KR20230136601A - 음료 공급 금지 - Google Patents

음료 공급 금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6601A
KR20230136601A KR1020237025238A KR20237025238A KR20230136601A KR 20230136601 A KR20230136601 A KR 20230136601A KR 1020237025238 A KR1020237025238 A KR 1020237025238A KR 20237025238 A KR20237025238 A KR 20237025238A KR 20230136601 A KR20230136601 A KR 20230136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station
container
server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클라스 엠델리우스
마르틴 렝크
마티아스 리스
울프 스테네르하그
Original Assignee
웨이아웃 인터내셔널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2051545A external-priority patent/SE545511C2/en
Priority claimed from SE2051542A external-priority patent/SE545377C2/en
Priority claimed from SE2051543A external-priority patent/SE545312C2/en
Priority claimed from SE2051547A external-priority patent/SE2051547A1/en
Priority claimed from SE2051541A external-priority patent/SE545375C2/en
Priority claimed from SE2051540A external-priority patent/SE545551C2/en
Priority claimed from SE2051546A external-priority patent/SE545695C2/en
Application filed by 웨이아웃 인터내셔널 에이비 filed Critical 웨이아웃 인터내셔널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30136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60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6Mountings or arrangements of dispensing apparatus in or on shop or bar cou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1Level gauges for beverage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9Supports
    • B67D1/0891Supports for the beverag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8Supports
    • B67D3/0083Supports for the liquid contain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05B13/0265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the criterion being a learning criter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1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provided with coded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복수의 재사용 가능한 휴대용 음료 용기들을 구비하는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이 시스템은 음료 용기들 중의 하나를 지지하고 용기로부터 음료가 공급될 수 있게 음료 용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음료 공급 스테이션을 더 구비한다. 이 음료 공급 스테이션은 음료 용기의 식별 태그를 독출하도록 구성된 식별 태그 리더를 포함하고, 음료 공급 스테이션은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데, 여기서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공급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음료의 공급으로부터 사용자를 금지시키는 공급 금지 수단을 갖고, 시스템은 상기 음료 공급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서버를 더 구비하며, 서버는 복수의 음료 용기들의 각각의 신원들을 포함하는 저장된 데이터셋을 갖고, 여기서 음료 용기가 상기 공급 금지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데이터셋 내에 플랙이 달리며, 그리고 시스템이 음료 용기가 음료 공급 금지 수단의 작동을 위한 플랙이 달리면 공급 스테이션이 음료 공급 금지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음료 공급 금지
본 발명은 특히 개별적으로 추적 가능한 용기들을 사용하는, 음료 공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앙 공급수("수돗물(tap water)")가 대부분의 나라들의 적어도 인구 밀집 지역에서 사용 가능하지만, 그 물은 종종 인간의 음용(human consumption)에 적합하지 않다. 대신 음용수(potable water)가 중앙에서 제조 및 포장되고(병입(bottled)되고) 이어서 일회용(single use) 용기/병들이 트럭 또는 다른 차량 집단에 의해 이들이 구매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식품점 등의 점포로 배급된다. 맥주나 탄산음료 등 물이 아닌 다른 음료수들 역시 식품점에서 제공된다.
이는 몇 가지 단점들을 갖는데, 첫째로 인간이 다량의 음용수를 소비하므로, 필요한 양의 음용수(또는 음료수)의 필요한 양을 구매 및 이송하는 게 번거롭다. 뿐만 아니라, 일회용 용기가 제조될 필요가 있다. 사용 후 일회용 용기는 잘 해야 재사용되고 열병합 발전소(waste burning plant)에서 연료로 사용된다. 최악의 경우, 일회용 용기는 날로 심각해지는 전 세계적인 쓰레기 문제의 일부가 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국면(aspect)에서
각각 고유의 식별 태그를 반송(carry)하는 복수의 재사용 가능한 휴대용 음료 용기들을 구비하는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이 시스템은
음료 용기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고 음료가 용기로부터 공급될 수 있게 음료 용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료 공급 스테이션(beverage dispensing station)들로, 이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음료 용기의 식별 태그를 독출(read)하도록 구성된 식별 태그 리더를 포함하고, 위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을 더 구비하는데,
여기서 음료 공급 스테이션은 용기로부터의 음료의 공급을 사용자에게 금지하는 공급 금지 수단을 갖고,
시스템이 음료 공급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서버를 더 구비하는데, 이 서버는 복수의 음료 용기들의 각각의 신원(identity)을 포함하는 저장된 데이터셋(dataset)을 갖고, 여기서 음료 용기는 데이터셋에 음료 공급 금지 수단의 작동(activation)에 대한 플래그가 달릴(flagged) 수 있고, 음료 용기가 음료 공급 금지 수단의 작동에 대한 플래그가 달리면 시스템이 공급 스테이션의 음료 공급 금지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들은 신뢰성 있고 안전한 방식으로 음료를 제공한다. 음료의 제조와 공급이 개인 또는 집단(population) 수준에서의 수요 및 소비에 맞도록 시간을 맞추고 미세 조정될 수 있다. 음료의 제조는 음료의 "가상 배관(virtual pipe)"을 구현하도록 미세 조정될 수 있다.
음료의 제조는 완전하지 않아 드문 경우지만 나쁜 맛의 물 또는 약간 오염된 물, 심지어 건강에 위험한 물로 결과될 수 있다. 음료 용기 또는 음료 용기들이 세트의 내용물이 음용(consumption)에 부적합하다는 것을 알게 되면, 음료 공급 금지 수단이 최종 소비자에 의한 음료의 음용을 금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공급 금지 수단은 사용자에 대한 광학 또는 음향 신호이거나 공급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음료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스테이션이 탭(tap; 꼭지)을 가지면 공급 금지 수단은 이 탭을 잠글 수 있다.
식별 태그는 근거리 식별(Near Field Identification; NFC) 태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국면에서는 휴대용 음료 용기를 지지하고고 용기로부터 음료가 공급될 수 있게 음료 용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음료 공급 스테이션(beverage dispensing station)이 제공되는데, 이 음료 공급 스테이션은 음료 용기의 식별 태그를 독출하도록 구성된 식별 태그 리더를 구비하고, 이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며, 여기서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공급 스테이션(dispenser)로부터 사용자가 음료를 공급하지 못하게 금지하는 공급 금지 수단을 갖고, 여기서 공급 스테이션이 서버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면 공급 금지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태그 리더는 NFC 태그 리더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이동통신망(cell network)의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로 기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망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국면에서, 시스템에 관련된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시스템은:
각각 고유 식별 태그를 반송하는 복수의 재사용 가능한 휴대용 음료 용기들을 구비하고,
이 시스템이 또한 음료 용기들 중의 하나를 지지하고, 음료가 용기로부터 공급되게 음료 용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음료 공급 스테이션들을 더 구비하며, 이 음료 공급 스테이션들이 용기의 식별 태그를 독출하도록 구성된 식별 태그 리더를 구비하고, 위 음료 공급 스테이션들이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며,
이 시스템이 또한 음료 공급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서버를 더 구비하고, 이 서버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들의 신원에 관련된 복수의 음료 용기들의 각각의 신원들을 포함하는 데이터셋을 저장하고 있으며, 여기서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사용자의 공급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음료의 공급을 금지하는 공급 금지 수단을 갖고, 상기 방법은
a) 서버가 데이터셋의 어떤 음료 용기에 대해 공급 금지 플랙을 감지하는 단계와,
b) 서버가 데이터셋에서 플랙이 달린 음료 용기에 연계된 공급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단계와,
c) 서버가 단계 b)에서 식별된 공급 스테이션에 공급 금지 수단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d) 공급 스테이션이기 공급 금지 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첨부 도면들은 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여 본 발명의 원리들을 예시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시스템의 개략도,
도 3a 및 3b는 음료 용기의 개략도들.
도 4는 음료 용기를 보인다.
도 5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의 개략도.
도 6은 음료 공급 스테이션을 보인다.
도 7은 뒤집힌 자세로 음료 공급 스테이션의 탭에 부착된 음료 용기.
도 8은 음료 공급 스테이션에 지지 및 연결된 음료 용기.
도 9는 음료 용기 및 음료 공급 스테이션의 절개도.
도 10-11은 음료 용기 및 음료 공급 스테이션의 개략 평면도들.
도 12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의 일부의 개략도.
도 13-18은 방법들을 보이는 흐름도들.
도 19는 제어 회로의 개략도이다.
이 명세서에 제공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들은 음용(consumption)의 현장에 음료를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가상 배관(virtual pipe)" 방식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음료가 안전한 무재고(just-in time) 방식으로 제조되어 소비자에게 배급될 수 있다. 추적 가능한(traceable) 용기와 스마트한 공급 스테이션은 시스템(1)과 그 여러 가지 컴포넌트들의 고수준의 감시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에서, 시스템(1)은 복수의 음료 용기(2)들과 서버(3)를 구비한다. 음료 용기(2)들은 바람직하기로 재사용 가능하다. 음료 용기(2)는 바람직하기로 휴대용이다. 음료 용기(2)는 바람직하기로 재사용 가능하고 휴대용이다. 시스템(1)은 또한 하나 이상의 음료 충전 스테이션(beverage filling station; 4)들과, 하나 이상의 식별 태그 리더(10)들과, 및 하나 이상의 음료 공급 스테이션(beverage dispensing station; 50)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은 이 명세서에서 "공급 스테이션(dispensing station)(50)"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은 예를 들어 최종 사용자의 가정, 또는 레스토랑, 바, 학교, 병원, 사무실 또는 다른 업무 장소, 운도 설비, 또는 음료의 제공에 유용한 다른 장소들에 위치한다. 도 1은 또한 이동통신망(cell network; 16)과 예를 들어 인터넷 등의 광역통신망(wide area network; 17)도 도시하고 있다,
시스템(1)은 재사용 가능한 음료 용기(2)에 음료를 충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음료 충전 스테이션(4)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 충전 스테이션(4)은 음료를 제조, 저장, 및 용기(2)에 충전하고 용기(2)를 세척 및 저장하는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 충전 스테이션(4)은 음료 제조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음료 제조 유닛은 필터, 열, 자외선, 또는 화학적 수단 등의 어떤 적절힌 기술을 사용하여 물을 정화할 수 있는 정수 유닛(water purification unit; 5)을 구비할 수 있다. 음료 충전 스테이션(4)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여러 실시예들에서, 시스템(1)은 외부 소스(source)로부터 사전 충전된 용기(2)들을 반입할 수 있고, 그러면 시스템(1)은 음료 용기 창고(22)를 구비할 수 있다.
시스템(1)에서 배급되는 음료는 바람직하기로 물 또는 맥주이다. 여러 실시예들에서, 음료는 음용수(potable water)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음료는 맥주이다.
도 2를 보면, 시스템(1)은 2개,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들 등 복수의 음료 충전 스테이션(4)들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뒤에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각 음료 용기(2)는 어떤 충전 스테이션(4)과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논리적으로 연계되어, 각 충전 스테이션(4)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음료 용기(2)들(2)과 공급 스테이션(50)의 "집단(fleet)"을 갖는다(아래 참조). 도 2는 어떻게 3개의 다른 충전 스테이션(4q, 4b, 4c)들이 각각 용기(2)들의 집단(70a, 70b, 70c)과 공급 스테이션(50)의 분리된 집단(71a, 71b, 71c)들과 연계되는지를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1 및 2에서, 음료 충전 스테이션(4)은 서버(3)와 네트워크 통신하는 컴퓨터(19)를 가질 수 있다. 여러 실시예들에서, 충전 스테이션(4)의 컴퓨터(19)는 충전 스테이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충전 스테이션 사용자가 그의 음료 용기(2) 및 공급 스테이션(50)의 집단을 감시 및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사용자는 시스템(1)의 어떤 기능에만 액세스(access)를 가질 수 있다.
서버(3)는 데이터셋(15)을 구비하거나 이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데, 데이터셋(15)은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서버(3)는 음료의 제조와 용기(2)로의 음료 충전에 관해 컴퓨터(19)에 지령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3)는 데이터셋(15)을 사용하여 시스템(1) 내의 음료 소비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고, 이 예측을 사용하여 음료 충전 스테이션(4)에 얼마나 많은 음료가 제조되어야 하는지와 얼마나 많은 충전된 음료 용기(2)가 제조되어야 하는지에 관해 음료 충전 스테이션(4)에 지령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수요의 증가가 예측되면, 제조가 증가될 수 있다. 서버(3)는 또한 충전된 음료 용기(2)의 가격을 결정하는 가격 결정 기구도 구비한다.
시스템(1), 예를 들어 서버(3)는 빈 음료 용기(2)의 교체, 지불, 수송 리소스(resource)들의 예약(booking), 및 가격 결정 기구 등 음료 용기(2)에 대한 주문을 발주할 리소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최종 사용자는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시스템(1)에 사용자 계정으로 로긴(log into)하여 음료 용기(2)에 대한 주문을 발주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서버(3)는 필요시 음료 용기(2)를 공급 스테이션(50)으로 자동 선적(ship)하는 로직(음료 소비 추적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음료는 음료 충전 스테이션(4)의 탱크(6)에 저장되어 있다. 음료 충전 스테이션(4)은 또한 탭(tap; 14)과 음료 용기(2)의 저장을 위한 하나 이상의 영역들을 구비한다. 음료 충전 스테이션(4)은 또한 세척 스테이션(washing station; 7)을 갖는다. 세척 스테이션(7)은 예를 들어 온수 또는 세제를 사용하여 음료 용기(2)를 세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 스테이션은 온수 또는 세제를 음료 용기(2) 내로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정수 유닛(5)은 호수, 강, 또는 물을 공급하는 시설(utility) 등의 일부 수원(water supply)으로부터의 정화되지 않은 물에 대한 유입구(inlet; 8)에 연결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4) 및 특히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는 음료 용기(2)를 넣고 꺼내기 위한 유입구(10) 또는 도어(또는 모두)를 가질 수 있다. 음료 충전 스테이션(4)은 상세한 설명의 말미에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음료 용기(2)는 충전 스테이션(4)에서 음료가 충전된다. 바람직하기로 용기(2)의 충전 전에 이들은 세척 스테이션(7)에서 세척된다. 이어서 용기(2)들은 충전 스테이션(4)을 떠나 최종 사용자에게 배급된다.
최종 사용자는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음료 공급 스테이션(50)들을 가진다. 최종 사용자는 음료 용기(2)를 충전 스테이션(4)에서 픽업(pick up)하거나 더 바람직하기로 용기(2)를 배송시킬 수 있다. 도 1에서 T는 충전 스테이션(4)으로부터 공급 스테이션(50)으로 이송되는 음료 용기(2)를 가리킨다. W는 세척 스테이션(7)을 막 떠난 음료 용기(2)를 가리킨다. S는 최종 사용자(음료 공급 스테이션(50))로의 수송을 대기하는 충전된 음료 용기(2)의 창고(storage)를 가리킨다. 세척 스테이션(7)은 충전 스테이션(4)으로 진입할 음료 용기(2)가 세척 스테이션(7)에서 세척된 다음, 세척 스테이션(7)을 이탈하는 처리 라인(processing line)으로 조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 스테이션(4)은 용기(3)들을 저장하고, 용기(2)들을 세척하며, 및 용기(2)들을 충전할 전용 영역들을 가질 수 있다. 세척 스테이션(7)은 완전히 자동이거나 반자동일 수 있다.
이 명세서에 사용된 "최종 사용자(end-user)"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을 운영하는 사용자이다. 최종 사용자는 음료 용기(2)를 구매하거나 충전된 음료 용기를 배송시킬 수 있다. 최종 사용자는 충전된 음료 용기(2)를 주문할 수 있을 것이다.
"서버 사용자(server user)" 어떤 면에서 시스템(1)을 관리하는 사용자이다. 서버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버(3) 또는 그 일부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다. 서버 사용자들은 다른 인가(permission)들을 가질 수 있어서, 일부 서버 사용자가 전체 시스템(1)에 대한 제어를 가질 수 있는 반면, 다른 서버 사용자들은 더 제한된 액세스를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1)은 하나 이상의 충전 스테이션(4), 또는 음료 용기(2)의 부분집합(70a, 70b, 70c) 또는 음료 공급 용기(50)들의 부분집합(71a, 71b, 71c)을 구비할 수 있지만. 일부 사용자들은 하나 또는 몇 개의 음료 충전 스테이션(4a, 4b, 4c)만을 제어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최종 사용자 또는 서버 사용자는 iPhone 등의 휴대폰을 사용하여 서버(3)와 정보를 송수신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명세서에서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로도 지칭되는) herein) 휴대폰은 예를 들어 앱(app)을 가짐으로써 서버(3)와 네트워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폰의 예는 iPhone이다. 서버는 예를 들어 휴대폰 상의 디스플레이에 메시지를 화상표시(display)시킬 수 있다.
시스템(1)의 재사용 가능한 음료 용기(2)들은 각각 고유 식별 태그(9)를 갖는다. 식별 태그(9)의 신원은 각 음료 용기(2)에 대해 고유하다. 물론, 실수로 동일한 신원을 갖는 2개 이상의 용기(2)들이 존재할 수 있지만, 목적은 각 음료 용기(2)가 고유한 신원을 갖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복수의 음료 용기(2)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고유한 신원들을 갖는다. 이 신원은 예를 들어 수(number) 등 숫자(digit) 또는 문자 같은 부호(symbol)들의 고유한 조합이다.
태그 리더(10)는 식별 태그(9)에 저장된 신원을 독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별 태그 리더(10)는 음료 용기(2)에 사용되는 식별 태그(9)와 다른 종류가 될 수 있으며 이 종류에 맞춰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리더(10)는 유도(induction)를 사용하여 태그(9)의 회로에 전류를 유도함으로써 태그(9)가 태그 리더(10)로 감지될 수 있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식별 태그(9)는 RFID 태그, 특히 NFC(근거리통신; 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의 도움으로 독출될 수 있는 종류가 선호된다. 고유 식별 태그(9)는 예를 들어 RFID 태그 리더(10)로 독출될 수 있는 RFID 태그가 될 수 있다. 또는 식별 태그(9)가 바코드 리더로 독출될 수 있는 바코드가 될 수 있다. 식별 태그(9) 및 식별 태그 리더(10)는 또한 5G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식별 태그(9)는 배터리 또는 다른 에너지 저장 수단(energy storage)을 구비한다. 그러나 식별 태그는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료 용기(2)의 개략도는 도 3a 및 3b에 보인다. 용기의 비제한적인 예는 도 4, 5 및 도 7-9에 보인 스테인리스강이다.
복수의 재시용 가능한 음료 용기(2)는 바람직하기로 2 내지 100 리터, 더 바람직하기로 3 내지 30 리터, 더욱 바람직하기로 8 내지 25 리터의 용적을 갖는다. 용기(2)는 바람직하기로 음료가 충전되었을 때 휴대용이다. 예를 들어, 용기(2)는 용기의 반송을 위한 핸들(11)(도 4)을 가질 수 있다. 용기(2)는 바람직하기로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또는 예를 들어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로 보강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같은 플라스틱 등의 폴리머 소재로 제작된다. 그러나 스테인리스강이 선호되는 재질이다. 소재는 투명할 수 있다. 용기(2)는 예를 들어 원통형 등 어떤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적절한 형태 및 크기는 사무실 공간 등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냉수기(water coolers)"에 사용되는 용기의 종류가 될 수 있다. 음료 용기(2)는 전형적으로 직접 이로부터 마시도록 설계되지 않는다.
용기(2)는 바람직하기로 세척이 용이해야 하고, 바람직하기로 가볍고 다수 회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사용 사이클의 회수는 바람직하기로 개별 용기(2)에 대해 10 내지 1000회로 예측되는데, 여기서 각 사이클은 용기(2)에 적어도 일부 음료를 한번 충전하여 이를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용기(2)는 바람직하기로 반복된 충전 및 최종 사용자에의 분배에 적합하다.
식별 태그(9)는 용기(2)에 부착되거나 달리 용기(2)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NFC 태그가 용기(2)에 접착되거나 접착 스티커 형태의 바코드가 용기(2)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태그(9)는 또한 제조시, 예를 들어 폴리머 소재로 제작되는 용기(2)의 성형(casting) 동안 용기(2)에 삽입될 수도 있다.
식별 태그(9)는 바람직하기로 용기(2)에 영구적 방식으로 부착된다. 그러나 일회용 태그 또는 제한된 회수 사용의 태그(9)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식별 태그(9)가 "영구적 방식(permanent manner)"으로 부착된다는 것은 음료 용기의 기대 수명의 지속 동안 음료 용기(2)에 부착될 것을 의도함을 의미한다.
태그(9)는 바람직하기로 경량 및 소형이다. 태그(9)의 중량은 바람직하기로 용기(2)의 중량에 비해 무시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아래 더 상세히 설명할 제2 태그(18)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식별 태그(9) 또는 제2 태그(18)의 중량은 바람직하기로 50 그램 미만이고, 더 바람직하기로 10 그램 미만, 가장 바람직하기로 1 그램 미만이다.
음료 용기(2)는 음료를 충전 및 배출(tapping)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opening; 12)를 갖는다. 개구(12)는 예를 들어 뚜껑(13)으로 폐쇄할 수 있다. 뚜껑(13)은 일회용이거나 재사용할 수 있다. 개구(12)로부터 음료를 따를 수도 있는데, 그러면 이는 주둥이(spout)로 사용된다. 이와는 달리, 아래 더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음료 용기(2)가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 부착되고 이 스테이션(50)으로부터 음료가 공급될 수도 있다.
시스템(1)은 재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음료 용기(2)들을 구비한다. 음료 용기의 수는 적어도 100개, 바람직하기로 적어도 1000개일 수 있다.
태그 리더(10)는 적절한 거리로부터 식별 태그(9)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태그 리더(10)는 바람직하기로, 전술한 바와 같이 RFID 또는 NFC 태그 리더이고, 이에 따라 관련 분야에 알려진 적절한 하드웨어를 구비한다. 태그 리더(10)는 어떤 거리 너머에서는 태그(9)들을 감지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10 m, 바람직하기로 5 미터, 1 미터 또는 20 cm, 더 바람직하기로 10 cm, 및 가장 바람직하기로 5 cm, 더욱 바람직하기로 2 cm이다. 이에 따라 태그 리더(10)가 감지 거리 한도를 가질 수 있다. 태그 리더(10)의 특정성(specificity)은 도 10 및 11을 참조하여 아래 더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태그 리더(10)에 지향성 안테나(directional antenna)를 사용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스테이션은 감지 영역(zone of detection; 57)을 공급 스테이션 상의 음료 용기(2)의 의도한 위치로 지향시키는(direct) 지향성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시스템(1)은 적어도 2개의 다른 태그 리더(10)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다른 태그 리더(10)들은 다른 지리적 위치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적어도 20 미터, 더 바람직하기로 적어도 100 미터 분리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제1 태그 리더(10)가 충전 스테이션(4) 또는 음료 용기 창고에 위치하는 반면, 제2 태그리더는 공급 스테이션(50)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리더(10)가 도시 등의 지리적 영역의 다른 지리적 위치, 예를 들어 최종 사용자들의 다른 가정의 공급 스테이션(50)들에 위치(present)할 수 있다. 그러나 태그 리더(10)는 또한 음료 용기(2)의 분배에 사용되는 트럭 또는 차량에 반송되거나 음료 용기(2)의 분배에 연관된 인원에 의해 수동으로 반송될 수 있다.
지리적 위치는 바람직하기로 알려진 지리적 위치이다. 지리적 위치는 예를 들어, 좌표 또는 주소를 데이터셋(15)에 저장함으로써 알려질 수 있다. 그러나 지리적 위치가 반드시 알려질 필요는 없다. 위치는 예를 들어, 위치결정 서비스GPS)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시스템(1)의 고객 등록으로부터 알려진 최종 사용자의 주소로부터, 또는 위치들을 수동으로 입력함으로써 취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의 기계학습 앱(machine learning application)에서 여러 지리학적 위치들 간의 거리, 예를 들어 음료 충전 스테이션(4)과 여러 음료 공급 스테이션(50) 간의 거리를 알면 충분할 것이다.
여러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태그 리더(10)가 하나 이상의 음료 공급 스테이션(50)들에 구비된다. 태그 리더(10)는 시스템(1)에 사용되어 음료 용기(2)가 태그 리더(10)들 중의 하나, 예를 들어 공급 스테이션(50)들 중의 하나에 위치한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태그 리더(10)는 시스템(1)에 사용되어 음료 용기(2)가 어떤 공급 스테이션(50)에 위치하거나 이에 지지되거나 연결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태그 리더(10)는 서버(3)와 디지털 통신한다. 시스템(1)은 태그 리더(10)를 사용하여 어떤 음료 용기(2)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데이터셋(15)에 수집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적어도 그 음료 용기(2)가 태그 리더(10)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시스템(1)은 태그 리더(10)를 사용하여 어떤 음료 용기(2)의 상태, 예를 들어 음료 용기(2)가 "세척(washed)" 상태, "5번 음료 스테이션에 위치(present at 5 beverage station)" 상태 등을 기록할 수 있다. 이 상태는 바람직하기로 데이터셋(15)에 저장된다.
태그 리더(10)는 음료 용기(2)가 태그 리더(10)들 중의 하나, 예를 들어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 위치함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서버(3)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기로 감지의 시점과 함께 데이터셋(15)에 저장될 수 있다.
태그 리더(10)는 바람직하기로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의 일부이거나 음료 충전 스테이션(4)에 구비되고, 태그 리더(10)는 하드웨어 및 그 컴포넌트들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서버(3)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태그 리더(10)가 음료 용기 창고(22)를 포함하는 분배 센터에 위치하거나 차량에 위치하거나 음료 용기(2)를 분배하는 인원 등 사람이 반송하는 경우에 그럴 수 있듯, 태그 리더(10)가 충전 스테이션(4) 또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50)과 독립적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독립적 태그 리더(10)는 각각 배터리 또는 다른 전원, 프로세서, 메모리, 및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제어 회로(도 19)를 구비할 수 있고, 서버(3)와 통신할 수 있다. NFC 기능(capability)을 가진 iPhone 등의 휴대폰이 사용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4)은 하나 이상의 태그 리더(10)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리더(10)는 음료 충전 스테이션의 도어 상의 프레임 내에 위치하여 음료 충전 스테이션(4)을 들고나는, 특히 음료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추가적 예로, 태그 리더(10)가 세척 스테이션(7)의 출구에 위치할 수 있다. 음료 충전 스테이션(4)의 여러 부분들은 모두 적용의 작업흐름을 가져 음료 용기(2)가 한 부분으로부터 다음 부분으로 이동,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4)으로 진입하여, 세척 스테이션(7)을 통과하고, 탭(14)에서 충전되고, 저장된 다음 전 스테이션(4)을 이탈할 수 있는데, 태그 리더(10)는 음료 충전 스테이션(4)의 여러 스테이션 또는 영역들에서 용기(2)의 존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태그 리더(10)는 예를 들어 음료 용기(2)가 세척 스테이션(7)을 떠날 때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청정해진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9)가 NFC 태그이고 태그 리더(10)가 세척 스테이션(7)의 출구로부터 적절한 거리에 배치된 NFC 리더일 때, (다른 용기(2)가 아닌) 세척된 용기(2)가 세척 스테이션(7)의 출구의 통과로서 감지된다. 유사한 구성이 시스템(1) 내에 태그 리더(1)가 위치한 어디라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태그 리더(10)가 시스템(1) 내에 위치하여 감지된 상태가 어떤 확실성을 갖고 판단되도록 보장한다.
태그 리더(10) 또는 복수의 태그 리더(10)들은 이에 따라 음료 용기(2)가 시스템(1)의 여러 부분들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여 이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3)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서버(3)는 이러한 정보를 데이터셋(15)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3)는 태그 리더(1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셋(15) 내의 개별 음료 용기(2)의 상태를 변경한다.
서버(3)는 태그 리더(10)로부터의 정보(즉 음료 용기(2)의 신원)를 어떤 태그 리더(10)에 연계된 정보의 소정의 부분(piece)과 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태그 리더(10)로부터 판독한 신원은 항상 용기(2)의 어떤 소정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태그 리더(10)로부터 판독한 신원은 용기(2)의 상태를 아래 더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세척 안 됨(unwashed)"으로부터 "세척됨(washed)"으로, 예를 들어 "스테이션 내(in station)"으로부터 "스테이션을 떠남(have left station)"으로 변경할 수 있다. ("세척 안 됨(unwashed)"은 또한 "스테이션에 들어옴(have entered station)"으로 지칭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태그 리더(10)는 시스템(1) 내에서 신원을 가질 수 있다. 태그 리더기 공급 스테이션(50)의 일부일 때, 태그 리더의 신원은 바람직하기로 공급 스테이션의 신원과 동일하다.
태그 리더(10)에 의한 음료 용기(2)의 태그(9)의 감지는 예를 들어 서버(3) 내에서 데이터셋(15) 내의 음료 용기(2)의 상태를 다음 중 하나로 설정하는 결과가 될 수 있는데:
a) 용기(2), 특히 음료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가 음료 충전 스테이션(4)에 진입,
b) 용기(2)가 세척 완료,
c) 용기(2)가 음료 충전 스테이션(4)에서 음료 충전,
d) 용기(2), 특히 음료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가 음료 충전 스테이션(4)을 떠남
e) 용기(2)가 분배 중,
f) 용기(2)가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의 최종 소비자와 함께 떠남,
g) 용기(2)가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 위치,
h) 용기(2)가 어떤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도 위치 안 함.
상태들은 배타적이어서 개별 용기(2)는 한 번에 한 상태만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2)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 존재할 수 없고, 어떤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애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서버(3)에 로직,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로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서버(3)의 오류 감지 로직이 잘못된 상태 전송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태그 리더(9)는 a) 내지 h)에서 선택된 제1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제2 태그 리더(9)는 b) 내지 h)에서 선택된 다음 단계로부터 선택된 제2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태그 리더들은 이 정보를 서버(3)에 제공할 수 있다.
태그 리더(10)는 또한 짧은 시간 동안에 복수의 태그(9)들을 동시에 독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트럭이 다수의 음료 용기(2)들을 적재한다면, RFID 태그 리더(10)는 트럭이 RFID 태그 리더(10)를 통과함에 따라 트럭 내의 모든 음료 용기(2)등의 태그(9)를 독출할 수 있다.
다시 도 1에서, 시스템(1)은 서버(3)를 구비한다. 후술할 바와 같이 서버(3)는 가상 서버가 될 수 있다. 서버(3)는 디지털로 저장된 데이터셋(15)을 유지 또는 구비하는데. 이는 데이터베이스 형태가 될 수 있다. SQL 데이터베이스 등 데이터베이스 아키텍처의 어떤 적절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각 음료 용기(2)의 신원이 데이터셋(15)에 저장된다. 데이터셋(15)은 예를 들어 용기(1)가 시스템(1) 내의 사용에 투입된 시점. 충전 사이클 횟수, 제조 제작 일자 등 개별 음료 용기(5)에 특정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데이터셋(15)은 또한 전술한 태그 리더(10)에 기록된 음료 용기(3)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서버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용기(2)들을 추가하고 이들을 특정 충전 스테이션(4)에 논리적으로 연계시키는 것 역시 가능하다. 어떤 음료 용기(2)가 파손 및/또는 퇴역(taken out of service)되면, 데이터셋(15)에 수동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서버(3)는 복수의 재사용 가능한 음료 용기(2)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디지털로 저장된 데이터셋(15)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기로 서버(3) 역시 복수의 공급 스테이션(50)에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셋(15)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서버(3)는: 음료 소비 추적 모듈, 오류 감지 로직, 용기 오류 플랙 달기(flagging) 모듈, 공급 금지 수단 작동 모듈, 음료 제조 제어 로직,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 등, 이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들을 수행하는 적절한 논리 컴포넌트들과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음 정보(이들의 일부는 더 상세히 후술함)가 데이터셋(15) 내의 어떤 음료 용기(2)의 신원에 관련될 수 있는데: 음료의 종류, 음료 용기(2)의 세척 여부, 음료 용기(2)에 남은 음료의 양, 충전 사이클의 횟수, 제조 일자, 현재 위치, 용기(2) 내의 음료를 음용해선 안 된다는 정보, 제2 태그(변조 태그; tampering tag)의 신원, 제2 태그(8)의 상태, 용기(2)의 음료 충전 스테이션(4) 진입, 용기(2)의 음료 충전 스테이션(4)에서의 세척, 용기(2)의 음료 충전 스테이션(4), 용기(2)의 음료 충전 스테이션(4)에서의 음료 충전, 용기(2)가 분배중, 용기(2)가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의 사용자와 함께 떠남, 용기(2)가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 위치, 용기(2)가 속한 충전 스테이션(4)의 신원, 용기(2)가 어느 음료 공급 스테이션(4)에도 존재 안 함, 음료 용기(2)가 연계되었던 이전 공급 스테이션(50)의 신원, 이전 충전 사이클들의 일자, 태그 판독의 일자 및 시간, 음료 공급 사건(event), 중량 데이터 또는 음료 소비 데이터, 이들은 비제한적인 예들이다.
예를 들어 다음 정보가 데이터셋(15) 내의 공급 스테이션의 신원에 연계될 수 있는데: 공급 스테이션(50)에 있는 현재 음료 용기(2)의 신원, 음료 용기(2)가 존재 안 함, 센서 데이터, 온도 센서 데이터, 중량 데이터 또는 음료 소비 데이터, 통신 로그. 이전 통신 세션 이래 변경이 없다는 플랙, 공급 금지 수단(65)이 작동되어야 함, 공급 금지 수단(65)이 작동됨, 오류 메시지, 배터리 상태, 음료 공급 사건, 센서 데이터, 공급 스테이션(50)이 연계된 충전 스테이션(4)의 신원, 최종 사용자의 신원과 연락처(contact details), 최종 사용자의 로긴(log in) 상세, 주문 상태 등. 이들은 비제한적인 예들이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 관련한 서버(3)와 최종 사용자의 휴대폰 간의 통신을 핸들링(handling)하는 상세 역시 데이터셋에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서버(3)에 사용되어 특정한 음료 공급 스테이션의 최종 사용자에게 정보를 푸시(push)한다. 이 정보는 선적 정보, 중량 데이터 또는 음료 소비 데이터, 음료 용기(2) 내의 음료 잔류 양, 또는 어떤 용기 음료 용기(2)의 내용물을 음용해선 안 된다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데이터들이 이전 사건들에 대해 저장되어 각 음료 용기(2)와 공급 스테이션(50)의 히스토리가 데이터셋(15)에 저장될 수 있다.
서버(3)는 음료 용기(2) 또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에 관한 오류를 감지하는 로직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개별적인 음료 용기(2)가 "세척 안 됨(unwashed)"으로부터 바로 "충전됨(filled)"으로 변경할 수 있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변경("세척 안 됨"으로부터 "충전됨"으로)은 Such a change (from "unwashed" to "filled") 용기(2)가 "세척 안 됨(unwashed)" 다음 "세척(washed) 상태가 된 경우에만 허용될 것이다. 태그 리더(9)가 이러한 모순되는 정보를 제공하면 오류가 존재한다. 이 오류는 서버(3) 내의 소프트웨어,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로 감지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오류 플랙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오류는 예를 들어 도 17의 기계 학습 방법 등 다른 방법으로 감지될 수 있다. 용기(2)에 관한 오류는 서버(3)에 의한 오류 보고서의 생성을 유발하거나 그 용기(2)를 분배에서 배제하도록 유발할 수 있다. 배제는 예를 들어 어떤 용기(2)가 충전되지 않거나 최종 사용자에게 분배되지 않게 하는 플래그가 달리도록 수행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4)의 음향 신호, 또는 디스플레이 또는 점멸등, 최종 사용자 또는 서버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또는 공급 금지 수단의 작동(후술함) 등으로 경고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5-11에서, 시스템(1)은 바람직하기로 하나 이상의 음료 공급 스테이션(50)들을 구비한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은 음료 용기(2)로부터 음료를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 대한 많은 다른 설계들이 가능하다. 도 6-9의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은 개구(12)를 하향으로 하여 하우징(4)의 위에 위치하는 음료 용기(2)를 지지하는 자립(free-standing) 하우징(51)을 구비한다. 별도의 탭(tap; 52)이 개구(12)에 부착되어 최종 사용자에 의한 공급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면 음료는 중력 흐름을 사용하여 공급될 수 있다. 탭(52)은 밸브(도시 안 됨), 밸브를 작동하는 핸들(66), 및 커넥터(54)를 구비한다. 탭(52)은 하우징(51)과 물리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탭(52)는 하우징(51)의 V형 노치(notch)(53) 내에 안착된다. 이 역시 단순한 예이며 탭(50)이 하우징(51)에 통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의 탭(52)은 예를 들어 푸시 버튼, 또는 밸브를 제어할 어떤 다른 적절한 수단 등의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탭(52)은 예를 들어 음료를 공급하도록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밸브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하우징(51)은 후술할 바와 같ㅇ 제어 회로와, 중향 판단 수단(55), 가속도계(56), 배터리(63), LED 등(64), 및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의 여러 가지 센서들을 구비할 수 있다.
공급 스테이션(50)의 설계에 대한 수많은 가능성들이 존재한다. 다른 가능한 설계들은 사무실 작업 공간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냉수기(water cooler)"와 유사한 설계를 포함한다.
공급 스테이션(50)은 바, 테이블, 또는 벤치탑(bench top)에 세워두기에 적합하거나 마룻바닥 또는 지면 상에 자립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은 또한 가구, 특히 부엌, 레스토랑, 및 바에 적합한 가구에 통합될 수 있다. 공급 스테이션(50)은 또한 냉장고에 통합될 수 있다.
음료는 중력 흐름을 사용하거나 용기(2) 내부에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공급 스테이션(50)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도 6-9는 중력 흐름으로 음료를 공급하기에 적합한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을 보인다. 음료는 바람직하기로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거나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 지지되는 동안 음료 용기(2)로부터 공급된다.
맥주의 경우와 같이 압력이 사용되면, 공급 스테이션(50)은 관련 분야에 알려진 음료 용기(2)를 가압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면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은 전형적으로 가압 탄산가스(또는 다른 불활성 가스)를 음료 용기(2)에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탄산가스를 제공하는 수단은 용기(2) 내에 삽입되는 제1 배관을 구비하여 가압 탄산가스를 제공함으로써 용기(2)로부터 음료를 제2 배관으로 밀어낼 수 있다. 맥주에 사용될 공급 스테이션(50)은 용기(2)의 개구(12)가 상방을 향하도록 설계되고, 공급 스테이션(50) 또는 그 일부가 용기(2)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특히 배관을 위한 커넥터와 탄산가스를 제공하는 수단이 개구(12)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음료가 중력 흐름을 사용하여 공급될 때, 밸브는 주변 공기가 음료 용기(2) 내로 흘러들어오도록 허용할 수 있다.
공급 스테이션(50)은 음료 용기(2)를 기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 용기(2)의 일부 또는 전체 중량이 공급 스테이션(50)에 안착될 수 있다. 공급 스테이션(50) 또는 그 일부는 음료 용기(2)를 기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료 용기(2)는 예를 들어 러그(lug), 베이어닛 커플링(bayonet coupling), 클릭온(click-on), 또는 나사, 또는 다른 연결 수단에 의해 공급 스테이션(50)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공급 스테이션(50)은 음료 용기(2)와 맞물릴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기로 공급 스테이션(50)은 단지 하나의 음료 용기(2)만이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 지지 또는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음료 공급 스테이션은 하나의 단일한 음료 용기(2)를 기계적으로 지지하거나 기계적으로 수용하거니 기계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하나의 단일한 음료 용기(2)와 맞물릴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2)는 음료가 용기(2)로부터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급 스테이션(50)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료의 공급은 바람직하기로 공급 스테이션(50)의 일부를 통해 이뤄진다. 예를 들어, 공급 스테이션(50)은 음료 용기(2)의 개구(12)에 연결되는 커넥터(54)를 가질 수 있다..
시스템(1)은 바람직하기로 2개,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공급 스테이션(50)들, 적어도 10개 또는 적어도 100개의 공급 스테이션(50)들 등 복수의 공급 스테이션(50)들을 구비한다. 각 공급 스테이션(50)은 시스템(1) 내에 고유 신원을 가질 수 있다. 이 신원은 데이터셋(15)에 저장된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은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데이터셋(15) 내에서 하나의 어떤 음료 충전 스테이션(4)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논리적 연결은 데이터셋(15) 내에 있을 수 있다.
음료 용기(2)는 공급 스테이션(50)에 기계적으로 연결 또는 지지되던 제1 음료 용기(2)가 제2 음료 용기(2)로 교체된 다음 공급 스테이션(50)으로 기계적 연결 또는 지지되도록 전환될 수 있다.
도 12를 살펴보면,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이 메모리(60), 프로세서(61), 및 버스(62)를 구비하는 제어 회로를 갖거나 구비한다. 제어 회로는 부분적으로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여러 가지 센서들, 태그 리더(10),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58), 배터리(63), LED(64), 및 공급 금지 수단(6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 회로는 타이머와 클록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60)는 이 명세서에 기재된 여러 가지 방법들에 참여하거나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공급 스테이션(50)은 또한 제어 회로, 센서,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8), 태그 리더(10), 및 공급 금지 수단(65) 등의 공급 스테이션(50)의 여러 가지 전기 및 전자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6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력은 또한 또는 대체적으로 커넥터 및 콘센트(regular power outlet)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은 바람직하기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갖는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의 센서는 예를 들어 중량 판단 수단(55), 가속도계(56), 또는 음료 흐름 센서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급 스테이션(50)은 적어도 중량 판단 수단(55)과 가속도계(56)를 갖는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은 적어도 2개의 센서들을 가질 수 있는데, 제어 회로를 슬립(sleep) 상태로부터 웨이크(wake) 상태로 깨울(wake up) 수 있는 제1 센서와, 소비된 음료의 양을 판단할 수 있는 제2 센서이다. 제1 종류의 센서는 프로세서(61)의 인터럽트 핀을 사용하여 인터럽트 핀에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프로세서(61)를 깨울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센서는 중량 판단 수단(55)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센서는 가속도계이고 제2 센서는 중량 판단 수단(55)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센서는 근접 센서 등 사람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을 센서이다. 예를 들어, 센서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50) 근처에 위치하는 사람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감지의 임계 거리는 예를 들어 0.25 내지 1 미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의 예는 적외선(IR)의 감지에 기반하는 근접 센서 또는 유도형 근접 센서(inductive presence sensor)를 포함한다.
다시 도 5 내지 12에서, 공급 스테이션(50)는 바람직하기로 태그 리더(10)를 갖는다. 태그 리더(10)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 존재하는 음료 용기(2)의 신원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기로 태그 리더(10)는 공급 스테이션(50)으로 지지되거나 이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음료 용기(2)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기로 공급 스테이션(50)의 태그 리더(10)는 음료 용기(2) if 음료 용기(2)가 공급 스테이션(50)으로 지지되거나 이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면 이로부터 음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어떤 음료 용기(2)만의 태그를 감지한다.
도 10 및 11의 태그 리더들은 태그 리더(10)가 어떻게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 배치될 수 있는지(위로부터 개략적으로 도시)와 공급 스테이션(50)에 지지되는 음료 용기(2)만을 감지하는지의 2개의 다른 예들을 보인다. 도 10 및 11에서 음료 용기(3)는 공급 스테이션(50) 상에 안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태그 리더(10)는 음료 용기(2)가 스테이션(50) 상에 위치하는 자리(site)를 지향하는 감지 영역(field of detection; 57)을 형성하여 단거리 및 어떤 방향에서 독출하는 NFC 태그 리더(10)가 될 수 있다(도 10 참조). 감지 영역(57) 외부의 태그(9)는 태그 리더(10)로 감지되지 않는다. 도 11의 태그 리더(10)는 더욱 짧은 감지 범위를 가져 태그(9)가 태그 리더(10)을 대향하도록 음료 용기(2)가 정확한 방식으로 향할 때만 태그(9)를 감지한다. 이는 음료 용기(2)와 공급 스테이션(50) 간의 방향 맞춤(directional fit)을 사용하여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확한 방향은 음료 용기(2)와 공급 스테이션(50) 간에 끼워맞춤(keying)을 사용하여 이뤄질 수 있다. 도 10 및 11의 구조들은 단지 예이다.
태그 리더(10)는 공급 스테이션(50)의 제어 회로에 의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리더(10)는 적어도 5초마다, 적어도 1시간 마다, 또는 매일 음료 용기(2)의 태그(9)를 독출할 수 있다. 태그 리더(10)는 또한 이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속도계(56) 또는 중량 판단 수단(55)에 의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중량 판단 수단(55)이 중량을 감지했는데 태그(9)가 감지되지 않으면 이는 잘못된 음료 용기(2)가 공급 스테이션(50)에 지지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 상황이 발생되면,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은 이를 서버(3)에 보고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의 신원과 연계하여 데이터셋(15)에 저장될 수 있다. 음료 공급 금지 수단(65)이 작동되거나 최종 사용자의 휴대폰에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사용하여 서버(3)와 데이터 통신한다. 이에 따라 공급 스테이션(50)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58)를 갖는다. 무선 데이터 통신은 바람직하기로, 3G, 4G, 또는 5G 이동통신망 등의 이동통신망(16)에서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로 작용하는 공급 스테이션(50)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LoRa 등의 다른 표준도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 스테이션(50)은 이동통신망 통신에 적절한, 특히 사용자 단말기로 작용하기에 적합한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8)의 일부로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은 태그 리더(10), 중량 판단 수단(55), 가속도계(50), 또는 서버(3)로의 흐름 센서로부터의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후술할 바와 같이 데이터 연결, 특히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8)를 사용하여 서버(3)에 제공할 수 있다.
공급 스테이션(50)의 제어 회로는 슬립 상태와 웨이크 상태를 가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 슬립 상태에서의 에너지 소비는 상당히 더 낮다. 슬립 상태에서의 에너지 소비는 웨이크 상태에서의 에너지 소비의 최대 30%, 더 바람직하기로 최대 10%가 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예를 들어 센서, 특히 제1 센서에 의해 슬립 상태로부터 웨이크 상태로 깨어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예를 들어 15분보다 긴 비활동 후 등 비활동 시간 후에 슬립에 진입한다. 공급 스테이션(50)의 제어 회로는 예를 들어 중량 판단 수단(55) 또는 가속도계(50)로 공급이 감지되면 슬립으로부터 깨어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량 판단 수단(55)은 신호를 이 목적으로 증폭시키는 증폭기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센서는 신호를 이 목적으로 증폭시키는 증폭기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태그 리더(10)의 음료 용기(2)의 태그(9) 독출에 관련된 공급 스테이션(50)과 서버(3) 간의 통신 세션을 묘사하고 있다. 충전 스테이션(4)의 일부인 태그 리더(10) 또는 독립적인 태그 리더(10)가 서버(3)와 유사한 방식으로 통신 세션을 수행한다. 단계 100에서 태그 리더(10), 특히 공급 스테이션(50)의 태그 리더가 개별 음료 용기(2)의 태그(9)를 감지한다. 이는 음료 용기(2)의 신원이기도 한 태그(9)의 신원 독출값(reading)을 포함한다. 이 신원은 공급 스테이션(50)의 메모리(60)에, 바람직하기로 감지의 시점과 함께 저장된다. 바람직하기로 중량 판단 수단(55) 또는 가속도계(56)로부터의 데이터 등의 다른 센서 데이터 역시 결정 및 저장된다. 아래 참조. 단계 100은 예를 들어 가속도계(56) 또는 중량 판단 수단(55) 등 공급 스테이션(50)의 제어 회로를 슬립 상태로부터 깨우거나 달리 태그 리더(10)가 태그(9)를 읽도록 유발하는 신호를 제어 회로에 제공하는 제1 센서에 의해 시작된다. 단계 100은 또한 음료 공급 스테이션(50)과 상호작용하는 최종 사용자에 의해, 예를 들어 on/off 스위치를 사용하여 음료 공급 스테이션을 켬으로써 시작될 수도 있다.
단계 101에서, 용기(2)의 신원이 서버(3)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기로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은 서버(3)에 데이터 연결을 설정하는 데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8)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기로 공급 스테이션(50)의 신원 역시 서버(3)에 제공된다. 이 통산은 암호화될 수 있다.
단계 102에서, 데이터가 데이터셋(15)에 저장되고 데이터셋(15) 내에서 적절한 음료 용기(2) 및 바람직하기로 적절한 공급 스테이션(50)의 신원과 연계된다. 바람직하기로 음료 용기(2)의 신원은 데이터셋 내의 공급 스테이션(50)의 신원과 연계된다. 그러면 서버(3)는 음료 용기(2)의 신원을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용기 신원이 데이터셋(15)에 존재하는지, 어떤 다른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 존재하지 않는지 검중한다. 오류가 감지되면 서버 사용자 또는 최종 사용자에게 오류 메시지가 전송되거나 공급 금지 수단(65)이 작동될 수 있다. 아래 참조.
데이터는 또한 공급 스테이션(50)이 의도된 대로 작동함을 표시하는 공급 스테이션(50)으로부터의 메시지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검은 깨어난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의 제어 회로에 의해, 또는 계획된 대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송된 데이터는 공급 스테이션(50)의 신원, 음료 용기(2)의 신원, 및 시스템 ok 메시지를 포함한다. 이는 예를 들어 음료 공급 스테이션(50)로부터의 문자 메시지(SMS 메시지)로 제공될 수 있다.
공급 스테이션(50)과 서버(3) 간의 통신 세션은 다음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데: 공급 스테이션(50) 신원, 현재 용기(2) 신원, 배터리 상태, 공급 사건, 중량, 소비 데이터, 가속도계로부터의 데이터 등 다른 센서 데이터, 온도 데이터, 또는 지난 세션 이래 무변화를 표시하는 메시지. "무변화(no change)" 메시지는 데이터 트래픽과 전력을 절감하는 효율적 방법이다. 가속도계 데이터, 온도 데이터, 또는 중량 판단 수단(55) 등의 센서 데이터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의 메모리(60)에 저장된 감지의 시점과 연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역시 데이터 통신 세션에 포함된다.
공급 스테이션(50)과 서버(3) 간의 통신은 어떤 적합한 스케줄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스테이션(50)은 예를 들어 적어도 몇 초마다, 시간마다, 매일 또는 매주 서버(3)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래 표 1은 3개의 다른 용기(2)들과 3개의 다른 공급 스테이션(50)의 신원들을 보이는 데이터셋(15)의 매우 간략화되고 개략적인 예를 나타낸다. 이 명세서에 언급한 바와 같이 데이터셋(15)은 이 예에 포함되지 않은 많은 다른 종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표 1은 동일한 표가 어떻게 음료 용기(2)들과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 사용되는지를 보이지만, 데이터셋(15)이 어떤 적합한 방식으로 구조화될 수 있으므로 상호 참조하는 둘 이상의 표들도 당연히 사용될 수 있다.
음료 용기 신원 공급 스테이션 신원 남은 양 배터리 상태 마지막 공급 사건 공급 금지 수단 작동 충전 스테이션
5647 2354 40% 73% 2020.11.26. 10:55 no 1
1225 0122 83% 14% 2020.11.10. 16:03 no 1
없음 2355 n/a 99% 2020.10.22. 07:32. no 2
1992 없음 100% n/a n/a n.a 2
표 1의 데이터셋에서, 신원 5647을 갖는 음료 용기(2)가 신원 2354를 갖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 연계된다. 신원 2355를 갖는 음료 용기(2)가 현재 음료 용기(2)를 갖지 않은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의 예이다. 음료 용기 1002는 현재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 연계되지 않은 음료 용기(2)의 예이다
여러 실시예들에서 공급 스테이션(50)은 가속도계(56)를 포함한다. 가속도계(56)는 어떤 종류의 유용한 가속도계가 될 수 있다. 가속도계는 예를 들어 iPhone 등의 휴대폰에 사용되는 종류의 것일 수 있다. 가속도계(56)는 공급 스테이션(50)이 테이블로부터 마룻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 등의 요동(jolt) 또는 진동 또는 방향의 변화 또는 충격 등 공급 스테이션의 공급 또는 이동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가속도계(56)는 또한 변조(tampering)를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임계값 이상의 가속도계 수치(readings)는 공급 스테이션(50)의 낙하로 유발되는 충격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가속도계 수치는 공급 스테이션(50)의 자기 시험(self-test)과 또한 서버(3)에 대한 보고를 촉발할 수 있다. 가속도계(56)는 운동을 감지할 임계값을 가져 이동(traffic)은 가속도계(56)로부터 신호를 촉발하지 않는다.
가속도계(56)로부터의 신호는 제어 회로를 슬립으로부터 깨우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의 프로세서(61)의 인터럽트 핀에 대한 신호이다.
가속도계(56)로부터의 신호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8)을 작동시키거나 중량 판단 수단(55)을 작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가속도계(56)로부터의 신호는 예를 들어 도 13의 단계 100-102에 보인 바와 같이 태그 리더(10)가 태그(9)를 독출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속도계(56)는 이어서 태그 리더(10)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제어 회로에 제공하는데, 이는 단계 100에서 음료 용기의 태그(9)를 독출하고, 그 신원을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의 제어 회로의 메모리(6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이는 음료 용기(2)가 교체되었는지 감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교체 과정 동안의 공급 스테이션의 약간의 요동은 가속도계(56)를 작동시킬 것이다. 음료 용기(2)가 교체되었으면, 태그 리더(10)로 독출된 새로운 용기(2)의 신원이 데이터셋(15)의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의 신원에 연계된다. 데이터셋(15 내에서 특정 공급 스테이션(50)에 연계되었던 이전 음료 용기(2)의 신원은 폐기될 수 있다.
가속도계 데이터는 바람직하기로 감지의 시점과 함께 공급 스테이션(50)의 메모리(60)에 저장될 수 있다.
여러 실시예들에서, 공급 스테이션(50)은 공급 스테이션(50)으로 지지되는 음료 용기(2)의 중량을 판단하는 중량 판단 수단(55)응 갖는다. 중량 판단 수단(55)은 어떤 적절한 종유의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계(strain gauge) 타입 또는 로드셀(load cell)이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적절한 종류의 중량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metal beam that supports 음료 용기(2)를 지지하는 금속 보에 전형적으로 굴곡되었을 때 저항이 변화되는 긴 도전성 부재를 사용하여 이 보의 변형을 감지하는 변형계가 설치된다. 긴 도전성 부재는 전형적으로 음료 용기(2)의 중량이 변형계의 긴 축에 직교하게 작용되는 방향을 향할 것이다. 중량 판단 수단(55)은 이와 달리 질량 변화가 결정에 변형을 줄 때 전압을 제공하는 압전 결정(piezoelectric crystal)을 구비할 수 있다.
중량 판단 수단(55)은 용기(2) 내의 음료의 양을 판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정보는 서버(3)에 사용되어 언제 용기(2)를 교체해야 할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스테이션(50)으로 지지되는 음료 용기(2)의 중량이 임계 중량 밑이면, 새로운 만충전 용기(2)가 공급 스테이션(50)의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선적된다. 서버(3)는 음료 용기(2)의 현재 충전 수준(중량)을 임계 중량과 비교하는 로직(음료 소비 추적 모듈)을 구비하여, 이 중량이 임계 중량 밑이면, 충전 스테이션(4)에 새로운 음료 용기(2)를 제조 및 발주하라는 주문을 발주할 수 있다.
공급 스테이션(50)의 소비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공급 스테이션(50)들의 음료의 소비를 추적하는 데 집계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스테이션(50)의 부분집합(70a)에 대한 소비가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공급 스테이션(50)의 다른 부분집합(70b)에 대한 소비와 비교될 수 있다. 부분집합들은 지리적 위치, 인구 동태(demography) 등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 정보는 서버(3)에서 음료 충전 스테이션(4)에서의 음료의 제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음료 소비 데이터 또는 중량 데이터는 또한 이 명세서에 다른 곳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기계학습에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참조. 중량 판단 수단(55) 대신 음료 공급 스테이션 내의 유량계가 사용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음료 소비는 공급 스테이션(50)의 제어 회로 또는 서버(3)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스테이션(50)은 소비를 연산하는 서버(3)에 중량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최근의 공급 사건 이후의 중량이 이전의 공급 사건 이후의 중량으로부터 차감되어 중량의 차이를 결정한다. 이 차이가 공급 사건의 음료 소비로 사용된다. 또는 공급 스테이션(50)이 연산을 수행하여 소비 데이터를 서버(3)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공급 스테이션(50)이 중량이 임계 중량 밑이라고 단순히 보고할 수 있다. 잡음을 여과하기 위해 어떤 임계값 위의 차이만 사용되도록 중량 데이터는 필터링될 수 있다. 시스템(1)의 데이터 트래픽과 서버(3)에 의한 데이터 핸들링을 저감시키기 위해 서버(3)가 아닌 공급 스테이션(50)에 의해 소비 또는 충전 수준이 판단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다음은 음료 소비 연산의 예이다.
초기 전체 중량: 11 kg
용기 중량: (용기가 가능하기로 도 7에 보인 탭을 가짐): 1 kg
정미중량: 10 kg
제1 측정치: 9.8 kg
제1 소비: 0.2 kg.
정미중량(tare weight)은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의 메모리(60)에 사전 저장될 수 있다. 정미중량의 사용은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4)으로부터, 초기 중량을 안다고 가정할 수 있다면 이는 필요 없다.
온도 센서(59)로부터의 온도 데이터는 중량 판단 수단(55)을 검정(calibrate)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50) 또는 서버(3)에서 수행될 수 있다. 서버(3)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으로부터 온도 독출값(reading)을 수신하고 이를 사용하여 중량값 또는 음료 소비 데이터를 교정 또는 검정할 수 있다. 온도 데이터는 중량 데이터 또는 음료 소비 데이터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량 데이터, 용기(2)에 남은 음료의 양, 공급된 음료의 양, 또는 중량이 임계 중량 밑이라는 것 등의 중량 데이터가 전달되거나 새로운 용기(2) 배송의 촉발에 의해 서버에 제공된다. 이 모든 것이 이 명세서에서 "중량 데이터 또는 음료 소비 데이터(weight data or beverage consumption data)" 로 지칭된다.
중량 판단 수단(55)은 적어도 소정 시간 간격마다 중량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 판단 수단(55)은 적어도 매주, 매일, 매시간, 매분, EH는 매초마다 중량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 스테이션(50)은 공급이 이뤄질 때 중량 또는 소비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은 흐름 센서, 탭(52)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계적 스위치 등 별도의 센서로 감지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급이 가속도계(56)로 감지된다. 이에 따라 가속도계로부터의 신호가 중량 판단 수단(55)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제1 센서 역시 중량 판단 수단(55)을 작동시킬 수 있다.
가속도계(56)는 바람직하기로 음료 용기(2)로부터의 음료의 공급이 가속도계(56)를 작동시키도록 공급 스테이션(50)에 배치된다. 가속도계(56)로부터의 신호는 제어 회로를 깨워 중량 판단 수단(55)를 작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어 회로의 프로세스(61)의 인터럽트 핀의 제어에 의한다. 가속도계(56)는 예를 들어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의 운동, 음료 흐름, 탭(52) 또는 컵 감지기(cup detector)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속도계(56)는 공급 스테이션(50) 자체, 또는 공급 스테이션(50)에 부착 또는 지지되는 음료 용기(2)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계(56)는 공급을 나타내는 하우징(51)의 진동 또는 운동을 감지하기 위해 하우징(51)에 부착될 수 있다.
시스템(1)은 공급 사건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 사건(dispensing event)"은 적어도,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 현재 지지 또는 연결된 어떤 음료 용기(2)로부터 공급된 음료의 양에 대한 정보 또는 음료 용기(2)의 중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용기(2)가 음료 공급 스테이션에 위치하는 것은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의 태그 리더(10)로 감지될 수 있다. 중량 판단 수단(55) 또는 유량계(flow meter)가 "공급 사건"을 판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공급 사건은 공급 스테이션(50)의 제어 회로의 메모리(60)에 저장될 수 있다. 공급 사건은 공급의 시점과 함께 저장될 수 있다. 공급 사건은 타이머를 촉발시킬 수 있다.
"공급 감지(detecting dispensing)"는 이 명세서에서 공급이 일어나거나 유사한 것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가속도계(56)로 감지될 수 있으며, 반드시 "공급 사건"에 이르는 것은 아닐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중량 데이터 또는 음료 소비 데이터는 공급 스테이션(50)로부터 서버(3)로 예를 들어 적어도 매주, 매일, 매시간, 또는 매분 등 적어도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같은 어떤 적절한 시간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공급 스테이션(50)의 배터리(63)를 절감하고 데이터 트래픽을 최소로 유지하기 위해 통신은 가능한 한 적게 이뤄지는 게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량 판단 수단(55)은 제1 센서에 의해 작동된다. 공급 스테이션(50)은 소정의 대기 시간 후 중량 판단 수단(55)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소정 시간은 바람직하기로 적어도 1초, 더 바람직하기로 적어도 1분, 더욱 바람직하기로 적어도 5분보다 더 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회로의 깨어남이 타이머를 시작시킬 수 있다. 중량 판단 수단(55)이 바람직하기로 공급이 완료되고 나서 중량을 판단하며, 이는 몇 초가 걸리므로 이것이 유용할 것이다. 또한 시스템(1)의 데이터 핸들링을 저감시키기 위해 2개보다 많은 컵(glass)들로의 공급을 하나의 공급 사건으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은 또한 깨어난 후, 바람직하기로 깨어난 후 소정 대기 시간 후, 서버(3)에 데이터 연결을 설정하고 중량 데이터 또는 소비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대기 시간은 제어 회로의 깨어남으로부터 또는 중량 판단 수단(55)의 판단으로부터 연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어도 10 초, 더 바람직하기로 적어도 1분, 더욱 바람직하기로 적어도 5분이 될 수 있다. 이에 같이 제어 회로의 깨어남 또는 중량 판단 수단에 의한 판단이 타이머를 시작시킬 수 있다.
중량 데이터 또는 음료 소비 데이터는 바람직하기로 음료 용기(2)의 신원과 함께 서버(3)에 제공된다. 중량 데이터 또는 음료 소비 데이터는 바람직하기로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의 신원과 함께 서버(3)에 제공된다. 공급 스테이션(50)은 제어 회로가 슬립으로부터 깨어나는 각 시점마다, 각 공급 사건마다, 또는 중량이 판단될 때마다, 또는 각 통신 세션마다 태그 리더(10)를 작동시켜 태그(9)를 독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 관련된 방법을 보인다. 이 방법은 특정한 실시예를 보이고 도 14의 단계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별도의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다양한 실시예들은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대기 단계들은 별도의 실시예들이다. 또한 태그 리더(10)가 단계 201 내지 204의 어느 것에서 작동되어 음료 용기(2)의 태그(9)를 독출할 수 있음에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제어 회로는 또한 단계 201 내지 204의 어는 것에서 배터리 상태의 점검, 온도의 감지 등 공급 스테이션(50)의 회로의 다른 점검들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 단계 201에서, 제1 센서기 제어회로를 슬립으로부터 깨운다. 제1 센서는 바람직하기로 단계 200에서 운동을 감지하는 가속도계(56)이다.
202는 공급의 완료를 기다리는 선택적인 제1 대기 단계이다. 이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는 타이머를 가질 수 있다, 공급이 감지된 후 또는 깨어난 후의 소정 시간은 적어도 10초, 바람직하기로 적어도 1분 및 더 바람직하기로 적어도 1분이 될 수 있다. 더 긴 대기 시간은 공급의 완료를 보장하고 제2의 사람에 의해 이뤄진 공급을 포착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에너지 및 연산 전력(computing power)을 절감해준다. 그러나 공급 데이터를 더 정밀하게 하도록(to have more granularity) 짧은 대기 시간을 갖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단계 203에서, 제어 회로가 바람직하기로 중량 판단 수단(55)인 제2 센서를 작동시킨다. 음료 용기(2)의 중량이 판단 및 저장되는데, 바람직하기로 음료 소비가 연산되어 메모리(60)에 음료 공급 사건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 사건은 공급의 시전과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제2 센서는 도한 흐름 센서기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 대기 단계 202는 바람직하기로 생략된다.
단계 204는 선택적인 제2 대기 단계이다. 단계 204 동안 어떤 추가적 공급 사건들이 메모리(60)에 저장된다. 이 추가적인 공급 사건은, 예를 들어, 가속도계(56)가 중량 판단 수단(55)을 다시 작동시킴으로써 감지될 수 있다. 대기 기간은 바람직하기로 적어도 10초, 더 바람직하기로 적어도 1분, 더욱 바람직하기로 적어도 5분이다.
단계 205에서 제어 회로는 음료 소비 데이터 또는 중량 데이터를 서버(3)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어떤 이전에 보고되지 않은 공급 사건이 서버(3)에 보고될 수 있다. 음료 용기(2)의 신원, 공급 스테이션(50)의 신원, 또는 다른 센서 데이터 등의 다른 데이터도 서버(3)에 제공될 수 있다. 동일한 세션에서, 온도, 배터리 상태, 음료 공급 스테이션에 관한 시스템 ok 메시지 등의 다른 데이터도 서버(3)로 전송될 수 있다. 서버(3)는 이 데이터를 데이터셋(15)에 저장한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은 또한 통신 세션에서 공급 금지 수단(65)의 작동, 소프트웨어 갱신(update) 등의 정보를 서버(3)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8)는 이 단계, 또는 예를 들어 단계 201의 단계 등 이전 단계에서 작동될 수 있다.
도 14의 방법은 하나 또는 2개의(both) 선택적 대기 단계들을 사용하거니 사용하지 않는다.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8)는 비활동의 어떤 시간 후에 슬립으로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 사건은 서버(3)에 수신되어 데이터셋(15)에 저장된다.
서버(3)는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음료 소비 추적 모듈을 사용하여 음료 소비의 추적을 유지할 수 있다. 서버(3) 또는 공급 스테이션(50)에 저장된 임계값이 어떤 공급 스테이션(50)의 최종 사용자로의 새로운 음료 용기(2)의 자동 배송을 촉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배송을 위한 임계값은 선적 시간과 소비 속도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소비 속도는 공급 스테이션(50) 또는 복수의 공급 스테이션(50)들에 대한 데이터셋(15) 내의 공급 사건을 사용하여 연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주기에 대한 평균 소비가 사용될 수 있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은 음료 용기(2)의 온도 또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50) 주변의 주위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59)를 가질 수 있다. 이 온도는 새로운 용기(2)의 배송을 촉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50) 또는 서버(3)의 메모리(60)에 저장된 온도 추적 모듈은 온도 센서(59)로 감지된 온도를 추적하여 이를 임계 온도와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가 든 음료 용기(2)가 임계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고온에 노출된다면, 이는 공급 금지 수단(65)의 작동 또는 새로운 음료 용기(2)의 배송을 촉발할 수 있다. 최종 사용자의 휴대폰에 메시지가 전송되어 음료 용기(2) 내의 음료의 음용을 금지시킬 수 있다. 온도 데이터는 메모리(60) of 제어 회로의 메모리(60)에 저장될 수 있다. 공급 스테이션(50)은 예를 들어 적어도 매시간, 또는 적어도 매일 등 적어도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온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온도 데이터는 바람직하기로 감지의 시점과 함께 공급 스테이션(50)의 메모리(60)에 저장될 수 있다. 온도 독출 역시 공급 사건, 제1 센서, 가속도계(56) 또는 중량 판단 수단(55)으로 촉발될 수 있다.
공급 스테이션(50)은 공급 금지 수단(65)을 가질 수 있다. 공급 금지 수단(65)은 공급 스테이션(50)에 현재 지지 또는 연결된 음료 용기(2)로부터의 음료의 공급을 얼마간(some extent) 금지한다. 음료 공급 금지 수단(65)은 서버(3)에 의해 공급 스테이션(50)의 제어 회로를 경유하여 원격으로 제어된다.
공급 금지 수단(65)은 공급 스테이션(50)의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경고 신호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신호 등 어떤 종류의 것이 될 수 있다. 경고 신호는 예를 들어 LED(64) 등 공급 스테이션 외부의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등 또는 점멸등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공급 스테이션(50)은 공급 금지 수단(65)을 갖지 않는다. 대신 공급 스테이션(50)의 사용자에 연계된 스마트폰에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메시지는 현재 음료 용기(2)의 내용물을 음용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될 수 있다.
공급 금지 수단(65)은 또한 탭(52)을 잠그는 등 음료가 이로부터 공급되지 못하도록 공급 스테이션(50)을 잠글 수 있다. 예를 들어, 탭(52)이 핸들(66)을 포함하면 이 핸들(66)이 폐쇄 위치에 잠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계 액튜에이터가, 핸들(66)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잠금 부재를 해제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공급 금지 수단(65)은 어떤 음료 용기(2)의 내용물이 음용에 부적절하면 수동 또는 자동 방식으로 시스템(1)에 의해 작동된다. 예를 들어, 서버 사용자는 어떤 배치(batch)의 음료가 불쾌한 맛을 갖거나 어떤 방식으로 오염된 것을 알 수 있다. 시스템(1)이 불량 용기(2)들을 어떤 적절한 방법으로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7에 보인 기계학습, 온도 센서(59), 제2 태그(18) 또는 오류 감지 로직에 관한 방법이 이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the fact that a that a 비인가 용기가 공급 스테이션에 부착, 예를 들어 서버(3)가 공급 스테이션(50)으로부터 수신한 음료 용기 신원이 데이터셋(15)에 없음을 감지하거나, 제2 태그(18)(변조 (방지) 수단; tampering device)가 음료 용기(2)가 변조되었음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공급 스테이션(50)으로부터의 온도 데이터는 개별 음료 용기(2)의 내용물이 음용에 부적합하다는 것을 판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온도 센서(59)로부터의 온도 데이터는 서버(3)에 보고될 수 있고 이는 이 데이터를 음료 용기(2)가 비음용(non-consumption)으로 플래그가 달려야 한다고 판단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59)로 감지된 온도가 어떤 임계 시간 동안 임계 온도 위인 경우이다.
이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음료 용기(2)들이 비음용이라고 데이터셋(15)에 플랙이 달릴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행된다. 비음용 플랙은 플래그가 달린 용기(2)들이 존재하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50)들의 공급 금지 수단(65)의 작동을 자동으로 촉발할 수 있다.
데이터셋(15) 내의 플랙은 도 15의 단계 400에서 서버(3)로 감지된다. 예를 들어, 서버(3)의 로직(공급 금지 수단 작동 모듈)이 플랙 달린 용기(들)를 찾으려 데이터셋(15)을 반복적으로 검사(scan)한다. 서버(3)가 데이터셋(15)에서 플랙 달린 용기(2)가 현재 사용중인 공급 스테이션(50)을 식별한다(단계 401). 그러면 서버(3)는 공급 스테이션(50)의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8)를 사용하여 공급 스테이션(50)의 공급 금지 수단(65)에 작동 신호를 제공하고(단계 402),이는 공급 금지 수단(65)응 작동시킨다(단계403). 서버(3)는 이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음료 공급 모듈에 작동 신호를 제공하는데, 이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의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8)를 포함한다. 서버(3)가 공급 스테이션(50)과의 통신을 개시할 수 없을 경우 서버(3)는 공급 스테이션(50)로부터의 통신 사건을 기다릴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료 용기(2)는 거기에 영구적으로 부착된 식별 태그(9)를 갖는다. 영구 태그(9)는 또한 이 명세서에서 "제1 태그(first tag; 9)"로도 지칭된다. 제1 태그(9)는 바람직하기로 RFID 또는 NFC 태그이다. 제1 태그(9)는 음료 용기(2)의 신원을 저장한다..
여러 실시예들에서, 음료 용기(2)는 제2 태그(18)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바람직하기로 RFID 또는 NFC 태그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태그(9) 및 제2 태그(18)는 모두 NFC 태그들이다. 제2 태그(18)는 음료 용기(2)가 변조되면 감지하도록 구성된 변조 방지 수단(antitampering device)이다. 바람직하기로 태그(9, 18)들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NFC 안테나를 구비한다. 전형적으로, 제2 태그(18) 일회용(disposable)이다.
제2 태그(18)는 적어도 2개의 상태들을 갖고 음료 용기(2)의 개구(12)의 개방이 제2 태그(18)를 비가역적으로 제2 상태로 전환(put)시키는 방식으로 음료 용기(2)에 부착될 수 있다. 적어도 제1 상태는 태그 리더(10)로 감지될 수 있다. 제2 상태는 제2 태그(18)가 태그 리더(10)로 감지될 수 없거나 제2 태그(18)로부터의 신호가 제1 상태에 대해 어떤 식으로 변경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제2 태그(18)는 음료 용기(2)의 개구(12)의 개방이 제2 태그(18)의 상태의 비가역적인 변경을 필요로 하는 방식으로 충전된 음료 용기(2)의 개구(12)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뚜껑(13)의 제거는 제2 태그(18)의 제2 상태로의 전환을 필요로 한다. 제2 태그(18)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뚜껑(13)이 제거될 때 개구(12)가 개방되면 파손되는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는 두 부분들로 파손된다. 예를 들어, 제2 태그(18)는 뚜껑(13)을 가로질러 용기(2)의 일부에 위치하는 NFC 안테나를 가진 스티커의 형태가 되어 뚜껑(13)의 제거가 NFC 안테나의 파손을 필요로 할 수 있다(도 3b).
"비가역적(non-reversible)"이라는 용어에 관해서는, 일부 경우에 정확한 연장과 설비를 사용하는 아주 기술이 좋은 전문가라면 제2 태그(18)를 제1 상태로 복원할 수 있겠지만, 평균적인 최종 사용자는 그렇게 할 수 없으므로 여전히 "비가역적"으로 간주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제2 태그(18)는 예를 들어 스티커 또는 고리(loop) 형태가 될 수 있다. 제2 태그(18)의 일부는 NFC 안테나가 그 안에 통합된 폴리머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예는 Avery Dennison이 제공하는 Circus™ tamper loop이다. 제2 태그(18)는 NFC 태그 리더(10)가 제2 태그(18)로부터 어떤 신호도 수신하지 못하도록 완전히 파괴되는 종류의 것이 될 수 있다. 또는 제2 태그(18)가 신호가 변경되지만 제2 상태에도 여전히 존재하는 종류의 것이 될 수도 있다. 이는 하나는 제2 상태에서 파손되고 하나는 제2 상태에서도 여전히 기능하는 2개의 안테나를 갖는 제2 태그(18)로 달성될 수 있다. 이는 여전히 기능하는 안테나가 예를 들어, 태그 리더(10)가 의도한 대로 작동하게 하는 제어로 기능하므로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제2 태그(18)는 제2 태그(18)의 신원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태그(18)의 신원은 음료 용기(2)의 신원과 함께(제1 태그 신원) 데이터셋(15)에 저장된다. 이에 따라 어떤 변조 정보는 음료 용기(2)의 신원에 연계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음료 용기(2)가 배송될 때 그 용기(2)가 변조되지 않은 상태로 배송되었고 특정한 용기(2)가 이제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 연결되었음을 알면 유용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변조되지 않은 상태로 최종 사용자에게 배송된 용기(2)가 이제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애 연결되었는지 알기 어려우므로, 제2 태그(18)가 제2 상태에서 완전히 파괴(침묵; quiet)되는 것이 특히 유용하다. 또한 음료 용기(2)들의 기계학습 지원 추적을 위해 (예를 들어 어떤 음료 충전 스테이션(4)에 연계된) 용기들의 부분집합이 변조되었는지 알면 유용할 것이다.
제2 태그(18)는 도 16에 보인 방법을 사용하여 용기(2)에 적용될 수 있다. 단계 700에서 빈 음료 용기(2)가 제공된다. 음료 용기(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폐쇄될 수 있는 개구(12)를 갖는다. 음료 용기(2)는 영구적으로 부착된 제1 태그(9)를 갖고, 제1 태그(9)는 음료 용기(2)의 신원을 저장한다. 바람직하기로 용기(2)는 청정하고 "세정(washed)" 상태이다. 단계 701에서, 음료 용기(2)가 충전되어 적어도 일부 음료들을 포함한다. 용기(2)는 이어서 예를 들어 뚜껑(13)을 부착함으로써 폐쇄된다. 단계 702에서, 제1 상태의 제2 태그(18)가, 음료 용기(2)의 개구(12)의 개방이 비가역적으로 제2 태그(18)를 제2 상태로 변환시키는 방식으로 음료 용기(2)에 부착된다. 이는 바람직하기로 중간에 변조가 일어날 수 없는 통제된 환경에서 이뤄진다. 단계 703에서, 이제 전형적으로 제1 상태에 있는 제2 태그(18)의 상태가 데이터셋(15)에 저장된다. 이는 제1 NFC 태그(9)의 신원, 즉 음료 용기(2)의 신원과 함께 저장된다. 단계 703의 이전, 이후, 또는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는 단계 704에서, 제2 태그(18)의 신원이 음료 용기(2)의 신원과 함께 데이터셋(15)에 저장된다. 그러면 음료 용기(2)가 최종 사용자에게 선적될 수 있다.
태그 리더(10), 예를 들어 배송 서비스에 사용되는 휴대용 태그 리더(10)는 변조 없는 용기가 최종 사용자에게 배송되는 것을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태그 리더(10)는 이 정보를, 그 정보를 데이터셋에 저장할 서버(3)에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변조 없는 용기가 최종 사용자에게 배송되었다는 정보를 제공한다. 배송은 최종 사용자에 의해 예를 들어 전자 서명 등의 서명 같은 여러 가지 수단으로 확인될 수 있다. 제2 태그(18)가 제2 상태이면, 서버(3)에 의해 새로운 용기(2)가 자동으로 최종 사용자에게 선적될 수 있다.
그러면 최종 사용자는 공급 스테이션의 태그 리더(10)가 제1 태그(9) 및 제2 태그(18)를 독출할 수 있도록 용기(2)를 공급 스테이션(50)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러면 공급 스테이션(50)의 태그 리더(10)가 제1 태그(9)의 신원을 독출하여 제2 태그(18)가 제2 상태(또는 제1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서버(3)에 보고한다. 공급 스테이션(50)의 태그 리더(10)는 제2 태그(18)를 독출하여 그 상태를 공급 스테이션(50)의 메모리(60)에 저장할 수 있다. 공급 스테이션(50)의 태그 리더(10)는 제1 태그(9)의 신원과 제2 태그(18)의 신원(제2 태그(18)가 신원을 가진다면)을 독출하고 이를 그 상태(제1/ 제2)와 함께 메모리(60)에 저장할 수 있다. 제2 태그가 태그 리더(10)로 감지되지 않고 제2 태그(18)가 자동으로 파괴되는 종류의 것이라면, 공급 스테이션은 태그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2 태그(18)가 제2 상태라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그 리더(10)가 제2 태그(18)의 독출을 시도하여 응답을 받지 못하면 이에 따라 제2 태그(18)가 제2 상태라고 가정한다.
방법은, 변조된 용기(2)가 배송되었으면, 데이터셋(15) 내에 그 용기(2)를 비사용으로 플랙을 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3)에는 비변조 상태(제1 상태)로 배송된 용기(2)들만이 공급 스테이션(50)과 연계될 수 있게 하는 로직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용기(2)가 공급 스테이션(50)에 존재하면 서버(3)는 공급 스테이션(50)이 음료 용기(2)의 신원을 서버에 보고함에 따라 (예를 들어 도 13을 참조하여) 다른 곳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신원을 수신할 것이다.
서버(3)가 공급 스테이션(50)에 변조된 용기(2)가 존재함을 감지하면, 서버(3)는 다른 행위들을 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금지 수단(65)이 작동될 수 있다. 변조에 관한 메시지, 예를 들어 최종 사용자가 그 내용물을 음용해서는 안 된다는 메시지가 최종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공급 스테이션(50)의 태그 리더(10)는 바람직하기로 식별 태그(9)를 독출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방식 제2 태그(18)를 독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11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제1 태그(9)뿐 아니라 제2 태그(18)에도 사용될 수 있다.
서버(3)는 기계학습 서비스(20)를 구비하거나 이와 디지털 통신할 수 있다. 기계학습 서비스(20)는 데이터셋(15)에 기계학습을 적용하여 판단 규칙(decision rule)을 얻을 수 있다. 기계학습 서비스(20)는 패턴들을 감지하여 시스템(1)을 관리하는 데 유용한 판단 규칙, 예를 들어: a) 음료에 대한 수요(demand), b) 물류(logistics)에 대한 수요, 즉 음료 용기(2)들의 분배, c) 시스템(1) 또는 시스템(1)의 여러 컴포넌트들의 오류 또는 병목(bottleneck)들, e) 음료 용기(2)들의 수명 종료의 판단, 및 f) 최종 사용자가 음용해서는 안 될 음료 용기(2)들의 감지에 유용한 판단 규칙을 산출할 수 있다. 서버(3)의 사용자는 시스템(1) 및 그 (하부)사용자들의 거동을 예측하는 데 기계학습을 사용할 수 있다.
많은 가능성들이 있다. 다음은 약간의 가상적 예들인데:
1. 항상 수요일에 음료 수요가 급증한다. 이는 충전된 용기(2)들의 제조를 미리 증가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2. 음료 용기들이 어떤 충전 스테이션(4)에서 계속 파손된다. 이 정보는 이 충전 스테이션(4)을 방문하여 문제를 처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3. 음료 용기(2)들에 대한 어떤 사용자 패턴, 예를 들어 충전 사이클의 횟수, 수송의 길이, 또는 다른 파라미터가 다른 용기들보다 더 빨리 이들을 손상시키게 한다. 예를 들어 충전 사이클의 횟수, 수송의 길이 등, 이 기준을 충족하는 음료 용기(2)들이 감지되어 이들이 파손되기 전에 퇴역될 수 있다.
4. 하나의 개별적 음료 용기(2)가 패턴에서 벗어난다. 이는 그 용기(2)가 변조되었거나 인가되지 않은 소스가 제공한 위조 용기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조 용기 ID가 생성되었거나 "참(true)" 용기(2)가 복제(clone)되어 그 용기(2)가 시스템(1)에 삽입, 예를 들어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에 부착되었다 이와 같이, 판단 규칙은 사기 거동의 감지에도 사용될 수 있다.
유용할 수 있고 데이터셋(15)에 포함되어야 할 파라미터들은: 충전 사이클의 횟수, 수송의 길이, 그 용기(2)가 최종 사용자에게서 보낸 시간의 길이, 음료 용기(2)의 제조 일자, 음료 용기(2)의 제조 배치(batch) 번호, 창고에서 보낸 시간, (중량 판단 수단(55), 온도 센서(59) 또는 가속도계(56) 등) 공급 스테이션(50)의 센서들로부터의 데이터, 수동 또는 자동 기록된 용기(2)들 및 공급 스테이션(50)의 오류 또는 실패, 수송 수단,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데이터셋(15) 내의 어떤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기계학습에 대한 정보 역시 외부 정보 제공자들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기후에 대한 정보, 최종 사용자에서의 온도, 또는 저장 동안의 습도 등이다. 많은 가능성들이 존재하므로 이들은 단지 비제한적인 예들이다.
특히 기계학습이 통계적 모델을 결정하고 이 통계적 모델에서 벗어나는 대별 음료 용기(2)의 거동을 감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그 음료 용기(2)가 변조되었거나, 그 음료 용기(2)의 신원이 위조되었거나, 또는 그 음료 용기(2)의 신원이 복제 또는 도난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은 어떻게 기계학습이 이상하게 거동하는 음료 용기(2)들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지를 예시하는 데 사용되는 가상적 예들인데:
- 공급 스테이션(50)으로의 음료 용기(2)의 비정상적 선적 속도(너무 짧은 시간들은 다중(multiple) IDS를 나타내고, 너무 긴 시간은 그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변조되었음을 나타낸다)
- 음료 용기(2)가 장기간 동안 시스템에 부재(변조를 나타낼 수 있다)
- 비정상적 가속도계 데이터(변조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판단 규칙은 "블랙박스(black box)"로 간주될 수 있어서 어느 파라미터들이 음료 용기(2)들의 변조 또는 다른 결함들을 예측할 수 있는지 추측하는 것은 어렵거나 심지어 의미가 없을 수도 있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기계학습 예측들은 데이터셋(15)이 오랜 시간에 걸쳐 축적된 아주 많은 음료 용기(2)들에 대한 정보(훈련 데이터 세트)를 구비할 때 향상될 수 있다. 기계학습은 용기(2)들이 유사 또는 동일하거나 적어도 비슷할(comparable) 때 향상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4) 또는 공급 스테이션(50)에서도 마찬가지다. 기계학습은 Amazon 등의 기계학습 서비스(20)로부터 제공되거나 서버(3)에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학습을 구현하는 베이즈의 정리(Bayes' theorem) 등 어떤 유용한 종류의 기계학습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지침은 US2014/0012784, US2008/0059120, 및 US8819498에서 찾아볼 수 있다.
기계학습의 적용은 복수의 음료 용기들의 거동에 대한 통계적 모델로 결과될 수 있다. 판단 규칙은 거동에서 벗어나는 어떤 용기(2)가 퇴역되어야 한다는 것일 수 있다. 판단 규칙은 통계적 모델에서 허용된 정도보다 벗어나는 어떤 용기(2)가 퇴역되어야 한다는 것일 수 있다. 퇴역되기 전에 용기(2)가 얼마나 통계적 모델에서 벗어나야 하는지에 대한 임계값이 존재할 수 있다. 임계값이 사전 결정되거나 또는 임계값이 서버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2진 분류(binary classification)가 퇴역되어야 할 음료 용기(2)들 대(vs) 퇴역되어서는 안 될 음료 용기(2)들을 분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방법은 단계 800: 기계학습을 데이터셋(15)에 적용하여 판단 규칙을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 규칙은 어떤 유용한 간격, 예를 들어 일별. 주별, 또는 월별 등으로 기계학습을 적용함으로써 갱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 800에서 데이터셋(15)이 판단 규칙을 얻을 훈련 데이터로 사용된다. 단계 801에서 판단 규칙이 데이터셋(15)에 적용된다. 이는 어떤 적절한 시간 간격으로도 실행되지만, 전형적으로 시별 또는 일별 등 판단 규칙의 갱신보다 더 자주 실행된다. 판단 규칙은 데이터셋(15)의 일부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학습은 퇴역된 음료 용기(2)들에 대한 데이터에 적용되는 반면, 판단 규칙은 현재 서비스 중인 음료 용기(2)들에만 적용될 수 있다. 데이터셋(15)은 전형적으로 자주 갱신되는데, 바람직하기로 실시간으로 갱신된다. 그러므로 데이터셋(15)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단계 902에서 결정이 취해진다. 이는 예를 들어 어떤 음료 용기(2)가 퇴역되어야 한다든가, 또는 음료 용기(2)의 내용물을 음용해서는 안 된다는 등 개별 음료 용기(2)에 관한 결정이 될 수 있다. 개별 용기(2)가 퇴역되도록 데이터셋에 플랙이 달릴 수 있다. 이는 서버(3)에서 서버 사용자에 대한 수동 경고를 촉발할 수 있다. 이는 또한 공급 금지 수단(65) 의 작동을 촉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실시예에서,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공급 금지 수단(65)을 갖고, 서버(3)는 음료 용기(2)가 퇴역되도록 플랙이 달렸을 때 공급 금지 수단(65)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음료 용기(2)에 연계된 데이터를 통계적 모델을 포함하는 판단 규칙에 제공함으로써 개별 음료 용기(2)의 퇴역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통계적 모델은 a) 시간에 걸쳐 축적된 많은 수의 음료 용기(2)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2)들에 대한 훈련 데이터의 수신으로, 여기서 데이터셋은 퇴역된 음료 용기(2)들을 포함하고, 및 b) 데이터셋에 기계학습을 적용하여 통계적 모델을 포함하는 판단 규칙을 산출함에 의해 얻어진 것이다.
훈련 데이터셋은 사용의 소정 시간 동안 퇴역된 많은 수의 음료 용기(2)들(예를 들어 파손된 음료 용기(2)들) 또는 소정 시간 한도(time limit) 내에 퇴역된 많은 수의 음료 용기(2)들, 또는 양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 규칙은 현재 사용중인 음료 용기들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소정 시간 전에 퇴역된 음료 용기(2)들 또는 소정 시간 후에도 여전히 사용중인 용기(2)들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와 높은 유사성을 갖는다.
기계학습은 음료 용기(2)들이 어떻게 시스템(1) 내에서 전형적으로 거동하는지, 예를 들어 선적 속도, 및 통계적 모델에서 벗어나는 어떤 음료 용기가 퇴역되도록 플랙이 달리는지 설명하는 통계적 모델을 산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어떤 방식으로 변조된 음료 용기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판단 규칙은 기계학습 서비스(20)에 저장될 수 있다. 서버(3)는 기계학습 서비스(20) 내의 판단 규칙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다음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음료 용기 추적 모듈 및 용기 오류 플랙 달기 모듈(container error flagging module)이다. 예를 들어, 용기 추적 모듈은 개별 음료 용기(2)에 연계된 데이터를 판단 규칙에 제공할 수 있다. 판단 규칙 로직이 개별 음료 용기(2)가 퇴역되어야 한다는 것에 관해 판단을 내리면, 이에 대한 정보가 판단 규칙 로직으로부터, 개별 용기(2)에 퇴역한다는 플랙을 다는 용기 오류 플랙 달기 모듈에 제공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기계학습이 음료 공급 스테이션(50)들의 오류를 예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1)은 음료 용기를 음료로 채우는 하나 이상의 용기 충전 스테이션(4)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음료 충전 스테이션(4)은 예를 들어 적절한 건물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음료 충전 스테이션(4)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음료 충전 컨테이너(2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시스템의 급속한 확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여기서 충전 스테이션(4)을 설치된 하나 이상의 충전 컨테이너(21)들이 채택된다.
충전 스테이션(4)은 음료 제조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음료 제조 유닛은 컴퓨터(19)가 탱크, 공급기, 밸브, 펌프, 히터, 및 쿨러들을 제어하여 소정의 시퀀스로 자동 주조 또는 음료 제조 공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제어될 수 있다. 컴퓨터(19)는 또한 음료가 준비되었을 때 또는 소정의 스케줄(정치 세척; Clean-in-place)에 따라 세척 공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음료 제조 유닛은 음용수(potable water), 맥주 또는 탄산음료, 또는 사이다 등 어떤 종류의 음료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는 음용수이다.
음료 제조 유닛은 정수 유닛(5)을 구비할 수 있다. 정수 유닛(5)은 필터, 가열, UV 방사, 또는 염소 등 화학약품의 첨가 등 어떤 적절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음료 제조 유닛은 또한 물에서 염을 제거하는 탈염 유닛(desalination unit)도 구비할 수 있다.
음료 제조 유닛은 또한 탄산음료를 제공하기 위한 시럽 등의 향미제 같은 여러 가지 성분들과, 및 탄산가스를 첨가하는 유닛 역시 제공할 수 있다. 음료는 지속적 또는 배치 공정으로 제조되어 탱크(6)에 저장될 수 있다.
음료 제조 유닛 바람직하기로 예를 들어, 음료 제조 유닛 내의 흐름, 온도, 압력, 또는 수준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센서는 컴퓨터(19)와 서버(3)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센서 데이터 및 제조 데이터는 데이터셋(15)에 저장될 수 있다. 음료 충전 스테이션(4)의 컴퓨터(19)는 서버(3)와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네트워크 통신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컴퓨터(19)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버스를 구비할 수 있다. 컴퓨터(19)는 바람직하기로 음료 충전 스테이션(4)의 태그 리더(10)에 연결된다.
음료 충전 스테이션(4)의 컴퓨터(19)의 메모리는 음료의 제조를 위한 디지털 형태의 지령들의 하나 이상의 집합(set)들을 가질 수 있다. 컴퓨터(19)는 복수의 지령들에 액세스할 수 있는데, 이는 맥주의 다른 종류 등 음료의 각 종류에 대한 것이다. 디지털 명령(레시피; recipe)들이 서버(3)로부터 컴퓨터(19)에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19)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주조 공정을 시작 및 정지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와,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음료 충전 스테이션(4)의 사용자는 휴대폰을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서버(3)를 통해 컴퓨터(19)에 연결하거나 직접 컴퓨터(19)에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가 음료에 대한 수요를 감지하거나 예측하면 컴퓨터(19)가 서버(3)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라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19)는 음료 제조 유닛을 작동시켜, 예를 들어 맥주 또는 음용수를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 충전 스테이션(4)은 음료 용기(2)가 세척 스테이션(7)을 통과한 경우에만 태그 리더(10)가 음료 용기(2)의 태그(9)를 감지하게 세척 스테이션(7)에 대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리더(10)가 세척 스테이션(7)의 출구 근처(close proximity)에 위치한다. 이는 세척된 용기(2)들의 자동 추적을 제공하고 세척된 용기(2)들만 "세척(washed)" 상태로 플랙이 달리도록 보장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방법은 음료 용기(2)를 감지하는 단계 900과, 태그 리더(10)가 음료 용기(2)의 신원을 서버(3)에 제공ㅇ하는 단계 90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서버(3)와 네트워크 통신하는 컴퓨터(19)를 통해 이뤄진다. 단계 902에서, 서버(3)는 데이터셋(15)에 음료 용기(2)의 상태를 "세척(washed)"으로 설정한다. 데이터셋(15)에서 태그 리더(10)의 신원이 세척 상태에 연계되도록 태그 리더(10)가 서버(3)에서 이 상태에 연계되어 있으므로 서버(3)가 상태를 "세척(washed)"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세척된 상태로 설정할 수 있는 능력이 태그 리더(10)에 저장될 수도 있는데, 이는 세척 상태 메시지를 음료 용기(2)의 신원과 함께 서버(3)에 제공한다.
이들이 유용한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태그 리더(10)들이 관련된 시스템의 어디에라도 유사한 규칙들이 적용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스템(1), 특히 충전 스테이션(4)은 적어도 3개의 태그 리더(10)들을 제공하는데: "비세척(unwashed)" 상태(또는 "스테이션 진입(entered station)" 상태)를 제공하는 하나, "세척(washed)" 상태를 제공하는 하나, 및 "충전/ 배송 준비 완료(filled/ready to deliver)" 상태가 될 수 있는 제3 상태를 제공하는 하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3)는 "세척(washed)" 상태를 거치지 않고 "비세척(unwashed)" 상태로부터 "충전(filled)" 상태로 잘못 전환하는 등의 오류를 감지하는 로직을 가질 수 있다. 오류가 발생되면 데이터셋(15)에 개별 음료 용기(2)가 퇴역되거나,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4)으로 복귀하여 다시 세척 및 충전하는 등 재처리되어야 한다는 플랙이 달린다. 또한 이 용기들이 어떻게든 공급 스테이션(50)에 배송되었다면 공급 스테이션(50)의 음료 공급 금지 수단(65)이 작동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4)은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에 포함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는 바람직하기로 음료 충전 스테이션(4)이 트럭 또는 트레일러 등을 사용하여 수송될 수 있게 하는 크기이다. 이에 따라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는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는 사전 제작된 선적 컨테이너의 치수들을 가질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는 표준 복합수송(intermodal) 선적 컨테이너의 치수들을 가질 수 있다. 표준 ISO 선적 컨테이너는 8ft (2.43m) 촉, 8.5ft (2.59m) 높이이며 2가지 길이; 20ft (6.06m) 및 40ft (12.2m)들이 사용된다.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는 강철, 또는 알루미늄, 유리섬유, 플라스틱, 합판 또는 유사한 소재 등 다른 강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는 바람직하기로 자립형(self-supporting)이다.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는 어떤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직사각형 블록 형태 또는 거의 이런 형태가 선호된다. 직사각형 블록은 대략: 높이 2-3 m, 폭 2-3 m, 및 길이 3-12 m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에 진입, 예를 들어 음료 제조 유닛을 정비(service)하거나 컴퓨터(19)에 입력하기 위해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에 걸어 들어갈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는 지면 또는 마룻바닥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를 평탄한 지면 또는 마룻바닥 상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는 기본적으로 평탄한 저면(underside)을 가질 수 있지만,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를 비평탄면 상에 위치시키도록 발(feet) 또는 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는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를 크레인으로 들어 올리거나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을 달리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는 의도한 위치로 수송될 수 있고 용이하게 연결되어 단시간 내에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는 바람직하기로 실외에 위치시키기에 적합하다. 이에 따라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는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보호하거나 음료 제조에 통제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다음의 하나 이상: 열, 저온, 비, 번개, 눈 또는 강한 바람에 대해 적절한 내구성(proofing)을 가져야 한다.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의 벽들(지붕과 바닥 포함)은 단열을 가질 수 있다. 이 벽들은 방수 및 방풍이 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의 바닥은 지면상에 위치되기에 적합하고 비와 침수를 막아야(proofed) 한다.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의 벽들은 단열을 포함하여 적어도 2 cm, 더 바람직하기로 적어도 4 cm, 가장 바람직하기로 적어도 6 cm의 전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는 애부 단열을 갖는 일반적인 통합수송 선적 컨테이너이다.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는 히터, 쿨러, 에어컨, 가습기 또는 제습기 등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 내부에 통제된 온도 및 습도를 제공하는 설비들을 구비할 수 있다. 컴퓨터가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의 내부 조건들을 제어하여, 예를 들어 온도 또는 습도를 소정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태그 리더(10)는 음료 용기(2)가 음료 충전 스테이션(4), 특히 음료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에 진입한 것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는 바람직하기로 외부 전원 공급, 물 공급, 및 하수도에 연결될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 용이한 연결이 가능하도록 적절한 배관 및 배선을 구비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의 벽들은 여러 연결들을 위한 부싱(bushing)들과 전기, 물, 하수,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다양한 설비들에 대한 포트(port)들을 가질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는 바다 또는 호수 또는 강 등의 수원으로부터 흡입하여 물을 제공하는 펌프를 가질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의 벽들은 다양한 연결들에 대한 적절한 부싱들과 전기, 물, 하수, 및 데이터 통신 등의 다양한 설비들에 대한 포트들을 가질 수 있다.
음료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는 바람직하기로 외부 전원 공급, 물 공급, 및 하수도에 연결될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 용이한 연결이 가능하도록 적절한 배관 및 배선을 구비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 컨테이너(21)는 특히 정수 유닛(5), 음료 제조 유닛, 음료 탱크(6), 하나 이상의 태그 리더(10)들, 컴퓨터(19), 및 세척 스테이션(7)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 시스템, 및 장치들은 디지털 컴퓨터 설비를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구현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서버(3), 음료 공급 스테이션(50), 태그 리더(10), 충전 스테이션(4), 컴퓨터(19), 기계학습 서비스(20), 휴대폰, 이 컴포넌트들 간의 통신 등 이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 및 컴포넌트들은 디지털 정보 및 신호의 저장 및 처리에 예를 들어 적절힌 디지털 프로세서, 디지털 메모리, 입력 수단, 출력 수단, 버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는 적절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와 함께 디지털 컴퓨터 기술을 사용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스크린 등을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출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서버(3)와 컴퓨터(19) 등의 여러 컴포넌트들은 각각 운영체제를 가질 수 있다. 서버(3)는 새로운 음료 용기(2)들을 추가하고 데이터를 분석하는 등에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태그 리더(10), 서버(3), 컴퓨터(19), 휴대폰, 및 기계학습 서비스(20)의 각각은 메모리(80), 프로세서(81), 버스(82), 및 통신 인터페이스(83)을 포함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태그 리더(10), 서버(3), 기계학습 서비스(20), 및 음료 공급 스테이션(50)의 각각은 인터넷 등의 데이터 네트워크 상에 통신하는 적절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가질 수 있다.
서버(3)는 하나의 물리적 서버이거나 가상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3)의 기능이 몇 개의 물리적 실체들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데이터셋(15)의 데이터셋 등의 데이터는 도 1에 보인 데이터 저장부 또는 서버(3)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셋(15)은 몇 개의 노드(node)들을 포함하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명세서의 방법들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적절한 프로그래밍 언어가 소프트웨어 유닛들과 기재된 방법들에 사용될 수 있다. Data communication in 시스템(1) 내의 데이터 통신은 3G, 4G 및 5G 등의 이동통신, LoRa, Wi-Fi 또는 Bluetooth, 또는 Ethernet을 포함하는 적절한 네트워킹 기술 및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은 무선 또는 유선(wire bound)이 될 수 있다. 인터넷(17) 등의 광역통신망을 통해 정보가 교환될 수 있다. 시스템(1) 내의 데이터 통신은 암호화될 수 있다. 시스템(1) 내의 무선 통신은 적절한 송신기 및 수신기들로 실행될 수 있다. 태그 리더(10)는 NFC 또는 RFID 태그들을 감지하는 적절한 송신기 및 수신기들을 가질 수 있다 .
The 신원 of the each of the 음료 용기(2)들과 공급 스테이션(50)의 각각의 신원은 디지털 데이터 처리에 적합한 숫자, 문자, 또는 다른 부호들의 어떤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 내의 충전 스테이션(4)들의 각각은 역시 신원을 가질 수 있다.
시스템(1) 내의 통신과 데이터셋(15)의 갱신은 적절한 스케줄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태그 리더(10)들과 공급 스테이션(50)은 예를 들어 음료 용기(2)가 태그 리더(10)로 감지되었을 때, 또는 공급 스테이션(50)의 센서들이 값을 감지했을 때 즉시 특정한 서버(3) 내의 시스템(1)을 휴지(rest)시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세션들은 이와 달리 계획되어(scheduled) 적절한 간격으로 실행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적어도 매초, 적어도 매분, 적어도 매시간, 또는 매일 등 적어도 소정의 간격마다 실행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연계하여 설명된 모든 것들이 호환성이 있다면 다른 실시예들에 완전히 적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한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 설명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 개념을 단지 예시하려 의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청구항들로 규정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이어지는 추가적 국면(aspect)들에 규정된 것으로 청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복수의 음료 용기들로, 음료 용기들의 각각이 재사용 가능하고 휴대용이며, 복수의 음료 용기들의 각각이 고유 신원을 갖는 식별 태그를 포함하는 복수의 음료 용기들과,
음료 공급 스테이션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동인 음료 용기로부터 음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음료 용기를 기계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음료 공급 스테이션들과,
데이터셋에 저장된 복수의 음료 용기들의 각각의 신원을 갖는 서버를 구비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위 음료 공급 스테이션들의 각각이 가속도계를 포함하고, 위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식별 태그 리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여, 가속도계가 운동을 감지하면 태그 리더가 음료 용기의 식별 태그를 독출하도록 구성되고,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음료 용기의 신원을 서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서버가 음료 용기의 신원을 수신하여 이 음료 용기의 신원을 데이터셋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에서의 가속도계의 사용은 많은 목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이는 사용자가 음료 용기를 뒤집은(switch)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음료 용기의 신원을 보고하기에 적절한 시간이다. 이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에서의 데이터 전송과 전력 사용을 최소로 유지하면서 서버의 갱신을 유지한다.
음료 용기의 신원은: 음료 소비 데이터 또는 중량 데이터, 온도 독출값, 배터리 상태 또는 가속도계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와 함께 제공된다. 이 데이터는 이 명세서에 기재된 대로 더 안전하고 더 나은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 음료 용기로부터 음료가 공급될 수 있게 음료 용기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제공되는데, 이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식별 태그 리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가속도계를 구비하고,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어 회로를 더 구비하는데, 여기서 음료 공급 스테이션은 가속도계가 운동을 감지하면 현재 공급 스테이션에 연결된 음료 용기의 식별 태그를 독출하야 이를 제어 회로의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숫자가 메모리에 저장되면, 음료 공급 스테이션은 그 신원을 전송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음료 용기 신원이 존재하면 음료 공급 스테이션은 그 신원을 서버에 전성할 수 있다. 신원이 이전과 동일하면, 음료 공급 스테이션은 아무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이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은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버에 연결하고, 음료 용기의 신원을 서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은 가속도계 데이터를 서버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변조 또는 예를 들어 마룻바닥으로의 낙하 등으로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손상된 것을 감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의 제어 회로는 웨이크 상태와 슬립 상태를 가질 수 있고, 음료 공급 스테이션은 가속도계에 의한 운동의 감지가 제어 회로를 슬립 상태로부터 깨우도록 구성된다. 이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에서의 전력을 절감시킨다. 가속도계는 또한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음료 공급 스테이션은 가속도계의 운동 감지에 의해 작동되는 중량 판단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중량 판단 수단은 음료 소비를 판단하고 음료 소비 데이터를 서버에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중량 판단 수단은 제어 ??를 슬립으로부터 깨우지 못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 시스템에 관련된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시스템은 복수의 음료 용기들로, 복수의 음료 용기들의 각각이 재사용 가능하고 휴대용이며, 복수의 음료 용기들이 각각 고유 신원을 갖는 식별 태그를 포함하는 복수의 음료 용기들과, 음료 용기로부터 음료기 공급될 수 있도록 음료 용기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음료 공급 스테이션들과, 데이터셋에 복수의 음료 용기들의 각각의 신원을 저장하는 서버를 구비하고, 위 음료 공급 스테이션들이 각각 가속도계를 포함하며, 위 음료 공급 스테이션들이 식별 태그 리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며, 방법이
가속도계가 운동을 감지함으로써 태그 리더기 음료 용기의 식별 태그를 독출하도록 작동시키는 단계와, 이어서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음료 용기의 신원을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와, 이어서
서버가 음료 용기의 신원을 수신하고, 이 음료 용기의 신원을 데이터셋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음료 공급 스테이션은 중량 판단 수단을 갖고, 중량 판단 단계가 단계 b) 전에 수행되며, 이 단계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의 중량 판단 수단을 사용하여 공급 스테이션에 현재 지지되는 음료 용기의 중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중량 데이터 또는 음료 소비 데이터가 단계 b)에서 서버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음료 용기가 제공되는데, 이 음료 용기는 재사용 가능하고 휴대용이며, 이 음료 용기는 폐쇄 가능한 개구를 가지며, 이 음료 용기가 2개의 근거리통신(NFC) 태그들을 갖는데,
이 2개의 NFC 태그들은:
음료 용기에 영구 부착되고 음료 용기의 신원을 저장하는 제1 NFC 태그와; 및
적어도 2개의 상태를 갖는 제2 NFC 태그로, 제1 상태에 있다가 음료 용기의 개구의 개방이 제2 태그를 비가역적으로 제2 NFC 상태로 전환시키는 방식으로 음료 용기에 부착되는 제2 NFC 태그이다.
제1 태그는 시스템 내의 용기의 추적 가능성(traceability)을 제공한다. 제2 태그는 사용자에게 배송된 용기가 변조되지 않았음을 보장한다. 이는 음료 용기의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안전을 제공한다.
제2 태그는 제2 신원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태그는 일회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a) 빈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로, 이 음료 용기는 재사용 가능하고 휴대용이며, 여기서 음료 용기는 폐쇄될 수 있는 개구를 갖고, 여기서 음료 용기는 음료 용기에 영구 부착되는 제1 NFC 태그를 가지며, 여기서 제1 NFC 태그가 음료 용기의 신원을 j장하는 단계와,
b) 용기에 적어도 일부 음료가 존재하도록 용기에 음료를 충전하고, 용기의 개구를 폐쇄하는 단계와,
c) 적어도 2개의 상태들을 갖는 제2 NFC 태그를 용기에 부착하는 단계로, 이 제2 NFC 태그가 제1 상태에 있다가 음료 용기의 개구의 개방이 제2 태그를 비가역적으로 제2 NFC 상태로 전환시키는 방식으로 음료 용기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추가적으로 복수의 음료 용기들의 신원들을 포함하는, 디지털적으로 저장된 데이터셋에도 관련될 수 있는데, 여기서 방법은 단계 c) 후에 수행되는, 음료 용기의 제2 NFC 태그의 상태를 제1 NFC 태그의 신원과 함께 데이터셋에 저장하는 단계 d)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제2 NFC 태그는 제2 신원을 저장할 수 있는데, 방법은 제2 NFC 태그의 신원을 제1 NFC 태그의 신원과 함께 데이터셋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셋 내의 연결은 시스템 내의 용기들의 추적 가능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변조된 용기가 어디 있는지 아는 것이 유용하다.
데이터셋이 서버에 의해 저장되면, 방법은 음료 용기로부터 음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음료 용기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에도 더 관련될 수 있는데, 음료 공급 스테이션은 식별 태그 리더를 구비하고, 음료 공급 스테이션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방법이
d) 공급 스테이션의 태그 리더가 음료 용기의 제1 태그를 독출하고, 공급 스테이션의 태그 리더가 제2 태그의 상태를 독출하거나 독출하여 시도하는 단계와,
e)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음료 용기의 신원과 제2 태그의 상태를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와, 이어서
f) 서버가 음료 용기의 신원을 공급 스테이션의 신원과 연계하여 데이터셋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 본 발명의 위 국면에 따른 복수의 음료 용기들과, 및 복수의 음료 용기들의 각각의 신원을 저장하게 하는 서버를 구비하는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제2 태그들의 각각의 상태가 데이터셋에 저장되고 음료 용기의 신원과 연계된다.
데이터셋 내의 연결은 시스템의 용기들의 추적 가능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변조된 용기가 어디 있는지 아는 것이 유용하다.
시스템은 추가적으로 태그 리더를 구비할 수 있다. 시스템은 추가적으로 음료가 음료 용기로부터 공급되게 음료 용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음료 공급 스테이션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는데, 음료 공급 스테이션은 태그 리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음료 용기들을 음료로 충전시키도록 구성된 음료 충전 스테이션으로, 적어도 하나의 식별 태그 리더를 포함하는 위 음료 충전 스테이션과,
재사용 가능하고 휴대용인 복수의 음료 용기들로, 여기서 그 각각이 고유 식별 태그를 반송하는 위 복수의 음료 용기들과,
식별 태그 리더에 연결된 서버로, 태그 리더로부터의 정보와 식별 태그를 사용하여 재사용 가능한 용기들의 상태를 데이터셋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위 서버를
구비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음료 용기들에 관한 정보의 집적(aggregation)을 제공하고 용기들에 대해 중앙 제어(centralized control)를 제공한다. 이는 안전을 향상시킨다.
음료 충전 스테이션은 세척 스테이션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세척 스테이션을 통과한 음료 용기들의 식별 태그만이 식별 태그 리더에 독출되도록 식별 태그 리더가 세척 스테이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음료 충전 스테이션은 음료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어느 용기들이 세척되고 어느 것들이 세척되지 않았는지 계속 추적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스템은 복수의 음료 충전 스테이션들을 구비할 수 있는데, 여기서 각 충전 스테이션은 데이터셋에 데이터를 제공하고, 그리고 여기서 각 음료 용기는 데이터셋 내의 어떤 음료 충전 스테이션에 논리적으로 연계된다.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 태그 리더는 다음
a) 용기가 음료 충전 스테이션에 진입했다,
b) 용기가 음료 충전 스테이션에서 세척되었다,
c) 용기가 음료 충전 스테이션에서 음료로 충전되었다,
d) 용기가 음료 충전 스테이션을 떠났다
로부터 선택된 재사용 가능한 용기의 상태를 등록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 음료 분배 시스템의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음료 분배 시스템이
재사용 가능한 음료 용기들에 음료를 충전하도록 구성된 음료 충전 스테이션으로, 적어도 하나의 식별 태그 리더를 포함하는 위 음료 충전 스테이션과,
복수의 음료 충전 용기들로, 위복수의 음료 충전 용기들이 재사용 가능하고 휴대용인데, 여기서 복수의 음료 충전 용기들의 각각이 고유 식별 태그를 반송하는 위 복수의 음료 충전 용기들과,
식별 태그 리더에 연결되는 서버로, 위 서버가 식별 태그를 사용하여 재사용 가능한 음료 용기의 상태를 디지털로 저장되는 데이터셋에 저장하는데, 여기서 음료 충전 스테이션이 세척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여기서 세척 스테이션을 통과한 음료 용기들의 식별 태그만이 식별 태그 리더에 독출되도록 식별 태그 리더가 세척 스테이션 내에 배치될 수 있는데,
방법은
a) 식별 태그 리더가 개별 음료 용기 상의 식별 태그를 독출하는 단계와,
b) 태그 리더가 음료 용기의 신원을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와,
c) 서버가, 그 개별적 음료 용기가 세척되었다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laims (10)

  1. 시스템이
    복수의 휴대용 음료 용기들로, 여기서 상기 복수의 휴대용 음료 용기들의 각각이 고유 식별 태그를 반송하는 상기 복수의 휴대용 음료 용기들을 구비하고,
    이 시스템이
    상기 음료 용기들 중의 하나를 지지하고 상기 용기로부터 음료가 공급될 수 있게 상기 음료 용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음료 공급 스테이션으로, 상기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음료 용기의 상기 식별 태그를 독출하도록 구성된 식별 태그 리더를 포함하고,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상기 음료 공급 스테이션을 더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상기 공급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음료의 공급으로부터 사용자를 금지시키는 공급 금지 수단을 갖고, 시스템이 상기 음료 공급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서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음료 용기들의 각각의 신원들을 포함하는 저장된 데이터셋을 갖고, 여기서 음료 용기가 상기 공급 금지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상기 데이터셋 내에 플랙이 달리며, 그리고 음료 용기가 상기 음료 공급 금지 수단의 작동을 위한 플랙이 달리면 상기 공급 스테이션이 상기 음료 공급 금지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금지 수단이 사용자에 대한 광학 또는 음향 경고 신호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금지 수단이 상기 공급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음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스테이션이 탭을 갖고, 상기 공급 금지 수단이 상기 탭을 잠그는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태그가 근거리통신(NFC) 태그인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용기가 재사용 가능한 시스템.
  7. 휴대용 음료 용기를 지지하고 상기 용기로부터 음료가 공급될 수 있게 상기 음료 용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음료 공급 스테이션으로, 상기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상기 음료 용기의 식별 태그를 독출하도록 구성된 식별 태그 리더를 구비하고, 상기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는데,
    여기서 상기 음료 공급 스테이션이 상기 공급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음료의 공급으로부터 사용자를 금지하는 공급 금지 수단을 갖고, 그리고 여기서 상기 공급 스테이션이 상기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음료 공급 스테이션의 공급 방지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리더가 NFC 태그 리더인 음료 공급 스테이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상기 음료 공급 스테이션을 이동통신망의 사용자 단말기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이동통신망 네트워크인 음료 공급 스테이션.
  10. 시스템과 관련된 방법으로, 상기 시스템이 복수의 휴대용 음료 용기들을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복수의 휴대용 음료 용기들의 각각이 고유 식별 태그를 반송하고,
    상기 시스템이 상기 음료 용기들 중의 하나를 지지하고 상기 용기로부터 음료가 공급될 수 있게 상기 음료 용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음료 공급 스테이션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음료 공급 스테이션들이 용기의 식별 태그를 독출하도록 구성된 식별 태그 리더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공급 스테이션들이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이 상기 음료 공급 스테이션들과 통신하는 서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음료 공급 스테이션들의 신원들과 연계된 상기 복수의 음료 용기들의 각각의 신원들을 포함하는 저장된 데이터셋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음료 공급 스테이션 사용자에게 상기 공급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음료의 공급을 금지하는 공급 금지 수단을 갖고,
    상기 방법이
    a) 상기 서버가 상기 데이터셋 내의 어떤 음료 용기에 대한 상기 공급 금지 수단을 작동시키는 플랙을 감지하는 단계와,
    b) 상기 서버가 상기 데이터셋에서 플랙이 달린 상기 음료 용기에 연계된 상기 공급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단계와,
    c) 상기 서버가 단계 b)에서 식별된 상기 공급 스테이션에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공급 금지 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와,
    d) 상기 공급 스테이션이 상기 공급 금지 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25238A 2020-12-22 2021-12-22 음료 공급 금지 KR202301366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2051545A SE545511C2 (en) 2020-12-22 2020-12-22 Beverage dispensing prevention
SE2051542A SE545377C2 (en) 2020-12-22 2020-12-22 Beverage dispensing station with accelerometer
SE2051543A SE545312C2 (en) 2020-12-22 2020-12-22 Reusable beverage container with multiple tags
SE2051540-9 2020-12-22
SE2051543-3 2020-12-22
SE2051547A SE2051547A1 (en) 2020-12-22 2020-12-22 Tracking beverage containers in a filling station
SE2051542-5 2020-12-22
SE2051541-7 2020-12-22
SE2051541A SE545375C2 (en) 2020-12-22 2020-12-22 Beverage dispensing station with weight determining means
SE2051547-4 2020-12-22
SE2051540A SE545551C2 (en) 2020-12-22 2020-12-22 System with smart beverage dispensing stations
SE2051545-8 2020-12-22
SE2051546-6 2020-12-22
SE2051546A SE545695C2 (en) 2020-12-22 2020-12-22 Machine learning in a beverage distribution system
PCT/EP2021/087388 WO2022136595A1 (en) 2020-12-22 2021-12-22 Beverage dispensing preven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601A true KR20230136601A (ko) 2023-09-26

Family

ID=7931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5238A KR20230136601A (ko) 2020-12-22 2021-12-22 음료 공급 금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240076178A1 (ko)
EP (2) EP4268153A1 (ko)
JP (1) JP2024503143A (ko)
KR (1) KR20230136601A (ko)
AU (1) AU2021405750A1 (ko)
IL (1) IL303958A (ko)
WO (4) WO20221365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451A1 (en) * 2022-09-12 2024-04-11 Reuso Tagging and tracking reusable packag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maximize usage of a product throughout its lifespa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0817B2 (en) * 1999-12-10 2010-07-06 Beverage Metrics Holding Ltd System and method using a scale for monitoring the dispensing of a beverage
WO2004096694A1 (en) * 2003-04-30 2004-11-11 At Group International Limited Pressurised drink dispensing system
US20080059120A1 (en) 2006-08-30 2008-03-06 Fei Xiao Using fault history to predict replacement parts
BRPI0817085A2 (pt) * 2007-09-06 2015-03-24 Deka Products Lp Sistema de identificação rfid e método
US8533133B1 (en) 2010-09-01 2013-09-10 The Boeing Company Monitoring state of health information for components
US10870565B2 (en) * 2011-09-02 2020-12-22 Bevolution Systems, Llc Scalable modular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preserving, managing, and selectively dispensing beverages
US8819498B2 (en) 2011-09-09 2014-08-26 Xerox Corporation Fault-based unit replacement
US9221667B2 (en) * 2012-05-24 2015-12-29 SteadyServ Technologies, LLC Draft beer supply chain systems and methods
US9054818B2 (en) * 2012-08-21 2015-06-09 Anheuser-Busch Inbev Gesture based polling using an intelligent beverage container
US9126738B2 (en) * 2013-02-04 2015-09-08 Pepsico, Inc. Cartridge for a dispensing system
CA2929131C (en) * 2013-11-03 2023-11-07 SteadyServ Technologies, LLC Draft beer supply chain systems and methods
US10544028B2 (en) * 2013-12-30 2020-01-28 Pernod Ricard Sa Beverage dispensing contain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11192770B1 (en) * 2015-04-15 2021-12-07 Sestra Systems Self serve beverage by the glass
CA3121446A1 (en) * 2016-04-29 2017-10-29 SteadyServ Technologies, LLC Sensing devices and systems including examples of pairing sensing devices to containers
KR102645078B1 (ko) * 2016-05-20 2024-03-07 케그스피드, 엘엘씨 용기를 통해 소비자에게 배달되는 액체 음료 제품의 흐름을 모니터링, 제어 및 최적화를 위한 배급 네트워크
ES2724776A1 (es) * 2018-03-09 2019-09-16 Elortegui Josu Larrauri Sistema para la gestión y control de botellas o garrafas de agua
CN111654860B (zh) * 2020-06-15 2020-12-01 南京审计大学 一种物联网设备网络流量整形方法
JP2024500792A (ja) * 2020-12-16 2024-01-10 フレッシュ ブレンズ リミテッド 適量供給およびブレンドインカップ飲料プラットフォームのためのスマート在庫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76178A1 (en) 2024-03-07
JP2024503143A (ja) 2024-01-24
WO2022136587A1 (en) 2022-06-30
IL303958A (en) 2023-08-01
US20240002209A1 (en) 2024-01-04
WO2022136595A1 (en) 2022-06-30
WO2022136593A3 (en) 2022-09-09
EP4268154A1 (en) 2023-11-01
WO2022136528A1 (en) 2022-06-30
WO2022136593A2 (en) 2022-06-30
EP4268153A1 (en) 2023-11-01
AU2021405750A1 (en)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47426C2 (ru) Сеть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для мониторинга, контроля и оптимизации потока жидких питьевых продуктов, доставляемых потребителям посредством контейнеров
US10796553B2 (en) Method and system to monitor container conditions
US11860653B2 (en) Preventing contamination in a bulk liquid storage tank
CN106949376B (zh) 基于卫星定位的智能液化气钢瓶即时监测管理平台
CN110889662A (zh) 一种危险化学品管理系统和管理方法
WO2020160405A9 (en) Tamper-resistant item transport systems and methods
KR20230136601A (ko) 음료 공급 금지
US20190016584A1 (en) Fuel pump
CN205722206U (zh) 一种可提示礼品储存量的新媒体推广机
SE545375C2 (en) Beverage dispensing station with weight determining means
CN116917223A (zh) 饮料分配预防
US20220129829A1 (en) Tamper-resistant item transport systems and methods
SE545377C2 (en) Beverage dispensing station with accelerometer
SE545695C2 (en) Machine learning in a beverage distribution system
SE545511C2 (en) Beverage dispensing prevention
SE545312C2 (en) Reusable beverage container with multiple tags
SE2051540A1 (en) System with smart beverage dispensing stations
US20220139146A1 (en) Reusable food or beverage related product management system
EP39817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supply and/or acquisition of bulk products
CN203786770U (zh) 智能集装箱化存储系统
CN102298753A (zh) 产品防伪系统
RU2809937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адиопередатчика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способе и системе для мониторинга, управления и оптимизации расхода продуктов
US20210292153A1 (en) System for providing automated bottled water reordering service
CA3012388A1 (en) Security power controller for pump on remote fluid source
CN111599100B (zh) 一种智能无人售货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