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6544A - Tablet printing apparatus and tablet printing method - Google Patents

Tablet printing apparatus and tablet print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6544A
KR20230136544A KR1020230033055A KR20230033055A KR20230136544A KR 20230136544 A KR20230136544 A KR 20230136544A KR 1020230033055 A KR1020230033055 A KR 1020230033055A KR 20230033055 A KR20230033055 A KR 20230033055A KR 20230136544 A KR20230136544 A KR 20230136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unit
inkjet head
area
convey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0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료 이쿠타
다카히로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301807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3138353A/en
Application filed by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36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5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77Cooling or ventil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5Using suction for maintaining printing material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002/16582Maintenance means fixed on the print head or its carr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 불량의 발생 및 잉크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는, 제1 영역(R1)에 마련되며, 정제를 흡인 구멍(21g)에 흡인 유지하여 반송하는 반송부(21)와, 제1 영역(R1)에 마련되며, 반송부(21)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잉크젯 헤드(24)와, 제1 영역(R1)에 이어지는 제2 영역(R2)에 마련된 발열원(62), 그리고 제1 영역(R1)에 제2 영역(R2)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기체를 공급하는 냉각부(61)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printing defects and the deterioration of ink.
The tablet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conveyance unit 21 provided in the first region R1, which suctions and holds the tablets in the suction hole 21g and conveys them, and is provided in the first region R1, and conveys the tablets. An inkjet head 24 that prints on the tablet conveyed by the unit 21, a heat source 62 provided in the second area R2 following the first area R1, and an inkjet head 24 in the first area R1. It is provided with a cooling unit 61 that supplies gas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region R2.

Figure P1020230033055
Figure P1020230033055

Description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TABLET PRINTING APPARATUS AND TABLET PRINTING METHOD}Tablet printing apparatus and tablet printing method {TABLET PRINTING APPARATUS AND TABLET PRINTING METHOD}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tablet printing devices and tablet printing methods.

현재, 식별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정제에 인쇄하기 위해, 잉크젯 헤드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는 정제 인쇄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 정제 인쇄 장치 중에는, 흡인 구멍에 흡인 유지되는 정제에 잉크젯 헤드를 이용하여 인쇄하는 장치가 존재한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잉크젯 헤드에 의해 인쇄를 행하는 영역의 안쪽에, 카메라나 검출 센서, 잉크젯 헤드 등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 정제의 흡인 유지에 이용하는 블로어, 정제의 반송에 이용하는 모터 등이 한데 모여 마련되어 있다.Currently, tablet printing devices that perform printing using an inkjet head have been developed to print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ablets. Among these tablet printing devices, there is a device that uses an inkjet head to print tablets held in suction holes. In this device, inside the area where printing is performed by the inkjet head, a camera, a detection sensor, a control board that controls the inkjet head, etc., a blower used to suction and hold the tablet, a motor used to transport the tablet, etc. are provided together. .

제어 기판이나 블로어, 모터 등은 발열원이 되고, 여기서 가열된 공기가 정제의 유지에 이용되는 흡인에 이끌려 흡인 구멍측에 유입된다. 흡인 구멍의 상방에는 잉크젯 헤드가 존재하기 때문에, 전술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잉크젯 헤드 근방의 온도가 올라 버린다. 잉크젯 헤드 근방의 온도가 오르면, 잉크젯 헤드 내의 잉크의 점도가 저하하여 정량의 잉크 토출을 할 수 없게 되거나, 노즐 부근이 건조하여 노즐에 잉크가 고착하거나 한다. 이에 의해 토출 불량이 생겨, 인쇄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혹은, 잉크젯 헤드 근방의 온도가 오름으로써, 잉크젯 헤드 내의 잉크의 열화가 진행되기 쉬워진다.The control board, blower, motor, etc. serve as heat sources, and heated air flows into the suction hole side due to the suction used to maintain the tablet. Since the inkjet head exists above the suction hole, the temperature near the inkjet head rises due to the air flow described above. When the temperature near the inkjet head rises, the viscosity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decreases, making it impossible to eject a certain amount of ink, or the area near the nozzle dries and ink sticks to the nozzle. This may cause ejection defects and result in printing defects. Alternatively, as the temperature near the inkjet head rises, the ink in the inkjet head becomes more likely to deteriorate.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2240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3-12240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쇄 불량의 발생 및 잉크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t printing device and a tablet printing method that can suppress the occurrence of printing defects and the deterioration of ink.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는, 제1 영역에 마련되며, 정제를 흡인 구멍에 흡인 유지하여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제1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잉크젯 헤드와, 상기 제1 영역에 이어지는 제2 영역에 마련된 발열원, 그리고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2 영역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기체를 공급하는 냉각부를 구비한다.A tablet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ance unit provided in a first area for transporting tablets by sucking them into a suction hole, and the tablets provided in the first area and conveyed by the conveyance unit. It has an inkjet head that performs printing, a heat source provided in a second area adjacent to the first area, and a cooling unit that supplies gas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area to the first area.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방법은, 제1 영역에 마련된 반송부가, 정제를 흡인 구멍에 흡인 유지하여 반송하는 것과, 상기 제1 영역에 마련된 잉크젯 헤드가, 상기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것, 그리고 상기 제1 영역에 이어지는 제2 영역에 발열원이 존재하는 상태에 있어서, 냉각부가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2 영역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기체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tablet prin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ort unit provided in a first area transporting the tablet by holding it by suction into a suction hole, and an inkjet head provided in the first area transporting the tablet by the transport unit. Printing on tablets, and in a state where a heat source is present in a second region following the first region, a cooling unit supplies gas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region to the first region. do.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쇄 불량의 발생 및 잉크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ccurrence of printing defects and deterioration of ink can be suppressed.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의 개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의 냉각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의 X1-X1선 단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의 케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의 화살표(Y1) 방향에서 본 화살표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칸막이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칸막이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칸막이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젯 헤드의 후퇴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공정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tablet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oling function of the tablet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is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X1-X1 of FIG. 2.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ase of the tablet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is an arrow diagram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arrow Y1 in FIG. 2.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artition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artition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artition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traction function of the inkjet hea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10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flow of the prin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실시형태><Embodiment>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정제 인쇄 장치의 구성예)(Configuration example of tablet printing device)

실시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1)의 구성예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tablet prin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1)는, 공급 장치(10)와, 인쇄 장치(20)와, 회수 장치(30)와, 제어 장치(4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 , the tablet prin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supply device 10, a printing device 20, a recovery device 30, and a control device 40.

공급 장치(10)는, 호퍼(11), 정렬 피더(12) 및 전달 피더(13)를 갖는다. 이 공급 장치(10)는, 인쇄 장치(20)의 일단측에 위치되며, 인쇄 대상물인 정제(T)를 인쇄 장치(20)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호퍼(11)는, 다수의 정제(T)를 수용하고, 수용한 정제(T)를 정렬 피더(12)에 순차 공급한다. 정렬 피더(12)는, 공급된 정제(T)를 일렬로 정렬하고, 전달 피더(13)를 향하여 반송 방향(A1)(시계 방향)에 반송한다. 전달 피더(13)는, 정렬 피더(12) 상에 일렬로 나열되는 각 정제(T)를 정제(T)의 상측으로부터 순차 흡인하여 유지하고, 유지한 각 정제(T)를 인쇄 장치(20)까지 일렬로 반송하여 인쇄 장치(20)에 전달한다. 정렬 피더(12)로서는, 예컨대 벨트 반송 기구나 진동 피더가 이용된다. 전달 피더(13)로서는, 예컨대 벨트 반송 기구가 이용된다. 이 전달 피더(13)의 벨트 반송 기구는, 반송 방향(A2)(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공급 장치(10)는 제어 장치(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그 구동이 제어 장치(40)에 의해 제어된다.The supply device 10 has a hopper 11, an alignment feeder 12, and a delivery feeder 13. This supply device 10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printing device 20 and is configured to supply tablets T, which are the printing objects, to the printing device 20. The hopper 11 accommodates a plurality of tablets T, and sequentially supplies the accommodated tablets T to the sorting feeder 12. The alignment feeder 12 aligns the supplied tablets T in a row and conveys them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1 (clockwise) toward the delivery feeder 13. The delivery feeder 13 holds each tablet T lined up on the alignment feeder 12 by sequentially suctioning it from the upper side of the tablet T, and prints each tablet T held in a row by the printing device 20. It is conveyed in a row and delivered to the printing device 20. As the alignment feeder 12, for example, a belt conveyance mechanism or a vibration feeder is used. As the delivery feeder 13, for example, a belt conveyance mechanism is used. The belt conveyance mechanism of this delivery feeder 13 is rotating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2 (counterclockwise). The supply device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40, and its driving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40.

인쇄 장치(20)는, 반송부(21)와, 검출부(22)와, 제1 촬상부(23)와, 잉크젯 헤드(24)와, 제2 촬상부(25)와, 이동 기구(26)와, 메인터넌스부(27)와, 건조부(28)를 구비한다.The printing device 20 includes a conveyance unit 21, a detection unit 22, a first imaging unit 23, an inkjet head 24, a second imaging unit 25, and a movement mechanism 26. and a maintenance unit 27 and a drying unit 28.

여기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부(22), 제1 촬상부(23), 잉크젯 헤드(24) 및 제2 촬상부(25)는, 예컨대, 각각 2개씩 마련되어 있지만, 그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정제(T)의 반송로의 수에 따라 설정된다. 또한, 각 검출부(22)의 구성, 각 제1 촬상부(23)의 구성, 각 잉크젯 헤드(24)의 구성 및 각 제2 촬상부(25)의 구성은, 각각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각각 중 한쪽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 as shown in FIG. 2, the detection unit 22, the first imaging unit 23, the inkjet head 24, and the second imaging unit 25 are provided, for example, two each, but their number is particularly limited. It is not possible and is set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turn routes for tablets (T). In addition, since the configuration of each detection unit 22, the configuration of each first imaging unit 23, the configuration of each inkjet head 24, and the configuration of each second imaging unit 25 are the same, each is described below. Explain one of them.

도 1로 되돌아가서, 반송부(21)는, 반송 벨트(21a), 구동 풀리(21b), 복수의 종동 풀리(21c), 모터(21d), 위치 검출기(21e) 및 흡인 챔버(21f)를 갖는다. 반송 벨트(21a)는, 무단형의 벨트이며, 구동 풀리(21b) 및 각 종동 풀리(21c)에 가설되어 있다. 구동 풀리(21b) 및 각 종동 풀리(21c)는 장치 본체(도시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구동 풀리(21b)는 모터(21d)에 연결되어 있다. 모터(21d)는 제어 장치(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40)에 의해 제어된다. 위치 검출기(21e)는, 인코더 등의 기기이며, 모터(21d)에 부착되어 있다. 이 위치 검출기(21e)는 전기적으로 제어 장치(40)에 접속되어 있으며,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40)에 송신한다. 반송부(21)는, 모터(21d)에 의한 구동 풀리(21b)의 회전에 의해 각 종동 풀리(21c)와 함께 반송 벨트(21a)를 주행시켜,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를 반송 방향(A1)(시계 방향)에 반송한다.Returning to FIG. 1, the transport unit 21 includes a transport belt 21a, a drive pulley 21b, a plurality of driven pulleys 21c, a motor 21d, a position detector 21e, and a suction chamber 21f. have The conveyance belt 21a is an endless belt, and is installed on the drive pulley 21b and each driven pulley 21c. The drive pulley 21b and each driven pulley 21c are rotatably provided in the device main body (not shown), and the drive pulley 21b is connected to the motor 21d. The motor 21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40, and its driving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40. The position detector 21e is a device such as an encoder, and is attached to the motor 21d. This position detector 21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40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40. The transport unit 21 moves the transport belt 21a together with each driven pulley 21c by rotating the drive pulley 21b by the motor 21d, thereby transporting the tablets T on the transport belt 21a. Convey in the conveying direction (A1) (clockwise).

반송 벨트(21a)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상의 흡인 구멍(21g)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들 흡인 구멍(21g)은, 각각 정제(T)를 흡착하는 관통 구멍이며, 평행하게 신장하는 2개의 반송로를 형성하도록 반송 방향(A1)을 따라 2열로 나열되어 있다. 각 흡인 구멍(21g)은, 흡인 챔버(21f)(도 1 참조)에 형성된 흡인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흡인 챔버(21f) 내에 접속되어 있고, 흡인 챔버(21f)에 의해 흡인력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흡인 챔버(21f)에는, 블로어가 흡인관(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블로어의 작동에 의해 흡인 챔버(21f) 내가 감압된다. 흡인관은, 흡인 챔버(21f)의 측면(반송 방향(A1)과 평행한 면)의 대략 중앙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블로어는 제어 장치(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40)에 의해 제어된다. 흡인 챔버(21f) 내가 감압되면, 반송 벨트(21a)의 각 흡인 구멍(21g) 상에 놓인 정제(T)는 흡인 구멍(21g)에 의해 흡인되어, 반송 벨트(21a) 상에 유지된다.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circular suction holes 21g are formed on the conveyance belt 21a. These suction holes 21g are through holes for adsorbing the tablet T, respectively, and are arranged in two rows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A1 to form two conveyance paths extending in parallel. Each suction hole 21g is connected to the suction chamber 21f through a suction path (not shown) formed in the suction chamber 21f (see FIG. 1), and suction force can be obtained by the suction chamber 21f. It is meant to be. A blower is connected to the suction chamber 21f through a suction pipe (not shown), and the pressure inside the suction chamber 21f is reduced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The suction pipe is connected to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side surface (plane parallel to the conveyance direction A1) of the suction chamber 21f. Additionally, the blow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40, and its driving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40.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suction chamber 21f is reduced, the tablets T placed on each suction hole 21g of the conveyance belt 21a are attracted by the suction hole 21g and are held on the conveyance belt 21a.

검출부(22)는, 공급 장치(10)가 마련된 위치보다 반송 방향(A1)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흡인 구멍(21g)으로 형성되는 반송로의 상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 검출부(22)는, 레이저 광의 투수광(投受光)에 의해 검출부(22)의 바로 아래의 검출 위치에 도달한 정제(T)(정제(T)의 도래), 즉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의 X 방향(도 2 참조)의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검출부(22)는,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의 높이를 검출한다. 검출부(22)로서는, 예컨대, 변위 센서가 이용된다. 또한, 변위 센서로서는, 반사형 레이저 센서 등의 각종 레이저 센서가 이용된다. 검출부(22)는 제어 장치(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어 장치(40)에 검출 신호를 송신한다.The detection unit 22 is located downstream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1 from the position where the supply device 10 is provided, and is provided above the conveyance path formed by the suction hole 21g. This detection unit 22 detects the tablet T that has reached the detection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detection unit 22 by the transmitted light of the laser light (arrival of the tablet T), that is, on the conveyance belt 21a. The position of the tablet T in the X direction (see Figure 2) is detected. Additionally, the detection unit 22 detects the height of the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As the detection unit 22, for example, a displacement sensor is used. Additionally, as a displacement sensor, various laser sensors such as a reflective laser sensor are used. The detection unit 2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40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40.

제1 촬상부(23)는, 검출부(22)가 마련된 위치보다 반송 방향(A1)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흡인 구멍(21g)으로 형성되는 반송로의 상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 제1 촬상부(23)는, 검출부(22)에 의해 검출된 정제(T)의 X 방향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제(T)가 제1 촬상부(23)의 바로 아래의 촬상 위치에 도달한 제1 촬상 타이밍에 촬상을 행하여, 정제(T)의 상면을 포함하는 제1 화상을 취득하고, 취득한 제1 화상을 제어 장치(40)에 송신한다. 제1 화상은, 정제(T)의 X 방향, Y 방향 및 θ 방향(도 2 참조)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또한, 정제(T)의 손상이나 이물 부착(예컨대, 균열이나 깨짐, 더러움 등)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1 촬상부(23)로서는, CCD(전하 결합 소자)나 CMOS(상보형 금속 산화막 반도체) 등의 촬상 소자를 갖는 각종 카메라가 이용된다. 제1 촬상부(23)는 제어 장치(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4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촬상용의 조명도 마련된다.The first imaging unit 23 is located downstream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1 from the position where the detection unit 22 is provided, and is provided above the conveyance path formed by the suction hole 21g. This first imaging unit 23 detects the tablet T at an imaging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first imaging unit 23,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ablet T in the X direc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22. Imaging is performed at the first imaging timing reached, a first image inclu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t T is acquired, and the acquired first imag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40. The first image is used to detect the positions of the tablet T in the ) is used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s the first imaging unit 23, various cameras having imaging elements such as CCD (charge-coupled device) or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are used. The first imaging unit 2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40, and its driving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40. Additionally, lighting for imaging is also provided as needed.

여기서, 정제(T)의 X 방향 및 Y 방향의 위치는, 예컨대, 제1 촬상부(23)의 촬상 영역의 중심(기준 위치)에 대한 XY 좌표계의 위치이다. 또한, θ 방향의 위치는, 예컨대, 제1 촬상부(23)의 촬상 영역의 XY 평면을 따른 수평면 내에서의 정제(T)의 회전 정도를 나타내는 위치이다. 이 θ 방향의 위치는, 정제(T)에 할선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나 정제(T)가 타원형이나 장원형, 사각형 등으로 성형되어 있는 경우 등, 정제(T)가 방향성을 갖는 형체인 경우에 검출된다. 또한, X 방향 및 Y 방향은,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이다.Here, the positions of the tablet T in the X direction and Y direction are, for example, the positions of the In addition, the position in the θ direction is, for example, a position indicat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tablet T within a horizontal plane along the XY plane of the imaging area of the first imaging unit 23. The position in the θ direction is detected when the tablet (T) has a directional shape, such as when the tablet (T) is provided with a secant line or when the tablet (T) is molded into an oval, oval, square, etc. do. Additionally, the X direction and Y direction are positio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1 촬상부(23)는, 또한 커버(23a)(도 2 참조)를 구비한다. 커버(23a)는, 제1 커버에 상당하고, 제1 촬상부(23)의 수광 부분에 이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커버(23a)는, 반송 벨트(21a)에 비접촉이고, 제1 촬상부(23)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다. 커버(23a)의 하단은, 후술하는 잉크젯 헤드(24)의 후퇴 위치(H3)와 동일한 높이이다(도 9 참조). 커버(23a)의 하단은, 잉크젯 헤드(24)의 후퇴 위치(H3)와 동일한 높이에 반드시 있을 필요는 없고, 정제(T)와 접촉하지 않는 높이이면 좋다. 커버(23a)는, 예컨대,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imaging unit 23 also includes a cover 23a (see FIG. 2). The cover 23a corresponds to the first cover and is a member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adhering to the light-receiving portion of the first imaging unit 23. The cover 23a is in non-contact with the conveyance belt 21a and is provided to surround the first imaging unit 23. The lower end of the cover 23a is at the same height as the retracted position H3 of the inkjet head 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ee Fig. 9). The lower end of the cover 23a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t the same height as the retracted position H3 of the inkjet head 24, and may be at a height that does not contact the tablet T. The cover 23a is made of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for example.

잉크젯 헤드(24)는, 제1 촬상부(23)가 마련된 위치보다 반송 방향(A1)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흡인 구멍(21g)으로 형성되는 반송로의 상방에 마련되어 있다. 잉크젯 헤드(24)는, 복수(예컨대 수백 개 내지 수천 개)의 노즐(24a)(도 2 참조)을 갖고, 노즐(24a)이 일렬로 나열되는 방향(노즐열)이 수평면 내에서 반송 방향(A1)과 직교(교차의 일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잉크젯 헤드(24)는, 노즐(24a)마다의 구동 소자의 동작에 의해 각 노즐(24a)로부터 개별로 잉크를 토출한다. 이 잉크젯 헤드(24)로서는, 압전 소자, 발열 소자 또는 자왜 소자 등의 구동 소자를 갖는 각종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가 이용된다. 잉크젯 헤드(24)는 제어 장치(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40)에 의해 제어된다.The inkjet head 24 is located downstream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1 from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imaging unit 23 is provided, and is provided above the conveyance path formed by the suction hole 21g. The inkjet head 24 has a plurality (e.g., hundreds to thousands) of nozzles 24a (see FIG. 2),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nozzles 24a are lined up (nozzle row) is the conveyance direction in the horizontal plane ( It is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A1) (an example of intersection). The inkjet head 24 individually discharges ink from each nozzle 24a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element for each nozzle 24a. As this inkjet head 24, various inkjet type print heads having driving elements such as piezoelectric elements, heating elements, or magnetostrictive elements are used. The inkjet head 2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40, and its driving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40.

제2 촬상부(25)는, 잉크젯 헤드(24)가 마련된 위치보다 반송 방향(A1)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흡인 구멍(21g)으로 형성되는 반송로의 상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촬상부(25)는, 검출부(22)에 의해 검출된 정제(T)의 X 방향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제(T)가 제2 촬상부(25)의 바로 아래의 촬상 위치에 도달한 제2 촬상 타이밍에 촬상을 행하여, 정제(T)의 상면을 포함하는 제2 화상을 취득하고, 취득한 제2 화상을 제어 장치(40)에 송신한다. 제2 화상은, 정제(T)에 인쇄된 인쇄 패턴을 검사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2 촬상부(25)로서는, 전술한 제1 촬상부(23)와 동일하게, 예컨대, CCD나 CMOS 등의 촬상 소자를 갖는 각종 카메라가 이용된다. 제2 촬상부(25)는 제어 장치(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40)에 의해 제어된다. 필요에 따라 촬상용의 조명도 마련된다.The second imaging unit 25 is located downstream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1 from the position where the inkjet head 24 is provided, and is provided above the conveyance path formed by the suction hole 21g. This second imaging unit 25 detects the tablet T at an imaging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second imaging unit 25,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ablet T in the X direc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22. Imaging is performed at the second imaging timing reached, a second image inclu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t T is acquired, and the acquired secon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40. The second image is used to inspect the print pattern printed on the tablet T. As the second imaging unit 25,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first imaging unit 23, various cameras having an imaging device such as CCD or CMOS, for example, are used. The second imaging unit 2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40, and its driving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40. Lighting for imaging is also provided as needed.

제2 촬상부(25)는, 또한 커버(25a)(도 2 참조)를 구비한다. 커버(25a)는, 제2 커버에 상당하고, 제2 촬상부(25)의 수광 부분에 이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커버(25a)는, 반송 벨트(21a)에 비접촉이고, 제2 촬상부(25)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다. 커버(25a)의 하단은, 후술하는 잉크젯 헤드(24)의 후퇴 위치(H3)와 동일한 높이이다(도 9 참조). 커버(23a)의 하단은, 잉크젯 헤드(24)의 후퇴 위치(H3)와 동일한 높이에 반드시 있을 필요는 없고, 정제(T)와 접촉하지 않는 높이이면 좋다. 커버(25a)는, 예컨대,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imaging unit 25 also includes a cover 25a (see FIG. 2). The cover 25a corresponds to the second cover and is a member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adhering to the light-receiving portion of the second imaging unit 25. The cover 25a is not in contact with the conveyance belt 21a and is provided to surround the second imaging unit 25. The lower end of the cover 25a is at the same height as the retracted position H3 of the inkjet head 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ee Fig. 9). The lower end of the cover 23a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t the same height as the retracted position H3 of the inkjet head 24, and may be at a height that does not contact the tablet T. The cover 25a is made of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for example.

이동 기구(26)는, 각 잉크젯 헤드(24)를 승강 방향(도 1 중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 기구(26)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아암(26a) 및 아암 이동 기구(26b)를 갖는다. 아암(26a)은, 각 잉크젯 헤드(24)를 유지하는 유지부이다. 예컨대, 아암(26a)은, 반송 벨트(21a)의 반송면에 각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을 대향시켜 유지한다. 반송 벨트(21a)의 반송면은, 반송 벨트(21a)에 있어서 정제(T)가 배치되는 면으로서, 반송 벨트(21a)의 잉크젯 헤드(24)측의 면이다.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은, 잉크젯 헤드(24)에 있어서 노즐(24a)이 형성되어 있는 면으로서, 잉크젯 헤드(24)의 반송 벨트(21a)측의 면이다. 아암 이동 기구(26b)는, 아암(26a)을 유지하여 승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이 아암 이동 기구(26b)는, 흡인 챔버(21f)의 측면(반송 방향(A1)과 평행한 면)과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아암 이동 기구(26b)로서는, 예컨대, 리니어 가이드 기구가 이용된다. 아암 이동 기구(26b)는 제어 장치(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40)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이동 기구(26)는, 아암 이동 기구(26b)에 의해 아암(26a), 즉 각 잉크젯 헤드(24)를 승강시켜 반송 벨트(21a)의 반송면과 각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의 간격(이격 거리)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The moving mechanism 26 moves each inkjet head 24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in FIG. 1). As shown in FIG. 2, this moving mechanism 26 has, for example, an arm 26a and an arm moving mechanism 26b. The arm 26a is a holding portion that holds each inkjet head 24. For example, the arm 26a holds the discharge surface of each inkjet head 24 opposite to the transport surface of the transport belt 21a. The conveyance surface of the conveyance belt 21a is the surface on which the tablets T are placed on the conveyance belt 21a and is the surface of the conveyance belt 21a on the inkjet head 24 side. The discharge surface of the inkjet head 24 is the surface of the inkjet head 24 on which the nozzle 24a is formed, and is the surface of the inkjet head 24 on the side of the conveyance belt 21a. The arm moving mechanism 26b is a mechanism that holds the arm 26a and moves it in the raising/lowering direction. This arm moving mechanism 26b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ide surface (plane parallel to the conveyance direction A1) of the suction chamber 21f. As the arm moving mechanism 26b, for example, a linear guide mechanism is used. The arm moving mechanism 26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40, and its driving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40. This movement mechanism 26 raises and lowers the arm 26a, that is, each inkjet head 24 by the arm movement mechanism 26b, so that the conveyance surface of the conveyance belt 21a and the discharge surface of each inkjet head 24 are aligne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pacing (separation distanc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젯 헤드(24)의 최대 상승 위치는, 후술하는 메인터넌스 위치(H2)이다. 그러나, 잉크젯 헤드(24)의 최대 상승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잉크젯 헤드(24)의 최대 상승 위치는, 메인터넌스 위치(H2)보다 높은 위치여도 좋다. 즉, 최대 상승 위치는, 예컨대, 후술하는 냉각부(61)에 의해, 잉크젯 헤드(24)의 노즐 부근이 건조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이면 좋다. 단, 잉크젯 헤드(24)의 최대 상승 위치가 낮을수록, 후술하는 커버(53)의 천장의 높이도 낮게 할 수 있다. 커버(53)의 천장의 높이가 낮을수록, 커버(53)에 의해 덮이는 공간의 체적도 작아진다. 따라서, 후술하는 냉각부(61)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the maximum raised position of the inkjet head 24 is the maintenance position H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However, the maximum raised position of the inkjet head 24 is not limited to this. The maximum rising position of the inkjet head 24 may be a position higher than the maintenance position H2. In other words, the maximum elevation position can be any height that prevents the area around the nozzle of the inkjet head 24 from drying out due to the cooling unit 6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However, the lower the maximum elevation position of the inkjet head 24, the lower the ceiling height of the cover 5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ower the ceiling height of the cover 53, the smaller the volume of the space covered by the cover 53. Therefor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cooling unit 6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improved.

메인터넌스부(27)는, 각 잉크젯 헤드(24)에 관한 메인터넌스 동작을 행한다. 메인터넌스 작업으로서는, 예컨대, 와이핑 동작이나 잉크 수취 동작 등이 있다. 메인터넌스부(27)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와이핑부(27a) 및 수취 접시(27b)를 갖는다. 와이핑부(27a)는, 메인터넌스부(27)의 Y 방향(도 2 참조)의 왕복 이동에 의해 각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을 청소하는 청소부이다. 수취 접시(27b)는, 각 잉크젯 헤드(24)로부터 각각 토출된 액적을 받는 수취 부재이다. 이러한 메인터넌스부(27)는, 흡인 챔버(21f)의 측면(반송 방향(A1)과 평행한 면)과 인접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반송 벨트(21a)의 반송면과 각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 사이에 도시하지 않는 이동 기구(예컨대, 리니어 가이드 기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터넌스 실행 시, 반송 벨트(21a)의 반송면과 각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의 간격은, 이들 면 사이로 메인터넌스부(27)가 이동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거리만큼 이동 기구(26)에 의해 넓혀진다.The maintenance unit 27 performs maintenance operations on each inkjet head 24. Maintenance operations include, for example, wiping operations and ink receiving operations. As shown in FIG. 2, the maintenance unit 27 has, for example, a wiping unit 27a and a receiving plate 27b. The wiping unit 27a is a cleaning unit that cleans the discharge surface of each inkjet head 24 by reciprocating the maintenance unit 27 in the Y direction (see FIG. 2). The receiving plate 27b is a receiving member that receives the liquid droplets ejected from each inkjet head 24. This maintenance unit 27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ide surface of the suction chamber 21f (a surface parallel to the conveyance direction A1), and is connected to the conveyance surface of the conveyance belt 21a and each inkjet head 24. It is configured to be movable between the discharge surfaces by a moving mechanism (for example, a linear guide mechanism) not shown. In addition, when performing maintenance, the gap between the conveyance surface of the conveyance belt 21a and the discharge surface of each inkjet head 24 is set by a moving mechanism ( 26).

건조부(28)는, 반송 벨트(21a)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예컨대, 반송부(21)의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 건조부(28)는, 반송 벨트(21a) 상의 각 정제(T)에 도포된 잉크를 건조시킨다. 건조부(28)로서는, 에어 등의 기체에 의해 건조를 행하는 송풍기, 방사열에 의해 건조를 행하는 히터, 혹은, 기체 및 히터를 병용하여 온풍이나 열풍에 의해 건조를 행하는 송풍기 등의 각종 건조기가 이용된다. 건조부(28)는 제어 장치(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40)에 의해 제어된다.The drying unit 28 is arranged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transport belt 21a, and is provided below the transport unit 21, for example. This drying section 28 dries the ink applied to each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As the drying unit 28, various dryers are used, such as a blower that performs drying with a gas such as air, a heater that performs drying with radiant heat, or a blower that performs drying with warm air or hot air using a combination of gas and a heater. . The drying unit 2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40, and its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40.

회수 장치(30)는, 건조부(28)가 마련된 위치보다 반송 방향(A1)의 하류측에 위치되고, 반송부(21)의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 회수 장치(30)는, 재이용품 회수부(31)와, 불량품 회수부(32)와, 양품 회수부(33)를 갖는다. 회수 장치(30)는, 재이용품 회수부(31)에 의해 재이용품의 정제(T)를 회수하고, 불량품 회수부(32)에 의해 불량품의 정제(T)를 회수하고, 양품 회수부(33)에 의해 양품의 정제(T)를 회수한다. 예컨대, 재이용품은 재이용 가능한 정제이며, 무손상 및 이물 미부착의 비인쇄정이다. 또한, 불량품은 이물 부착의 비인쇄정이나 무손상 및 이물 미부착의 인쇄 불합격정(인쇄 완료정) 등이고, 양품은 무손상 및 이물 미부착의 인쇄 합격정(인쇄 완료정)이다. 또한, 재이용품 회수부(31), 불량품 회수부(32) 및 양품 회수부(33)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A1)에의 나열순은, 도 1에 나타내는 나열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절하게 변경되어도 좋다. 회수 장치(30)는 제어 장치(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40)에 의해 제어된다.The recovery device 30 is located downstream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1 from the position where the drying section 28 is provided, and is provided below the conveyance section 21. This collection device 30 has a reusable product collection unit 31, a defective product collection unit 32, and a good product collection unit 33. The recovery device 30 collects tablets T of reusable products through a reuse product recovery section 31, recovers tablets T of defective products through a defective product recovery section 32, and collects tablets T of defective products through a non-defective product recovery section 33. ) to recover the good quality tablets (T). For example, reusable products are reusable tablets, which are unprinted tablets that are intact and free of foreign matter. In addition, defective products are unprinted tablets with foreign matter attached or non-printable tablets that are intact and free of foreign matter (printed tablets), while good products are tablets that pass printing (printed tablets) that are intact and free of foreign substances. In addition, the listing order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1 in the reusable product collection unit 31, the defective product collection unit 32, and the good product collection unit 33 is not limited to the listing order shown in FIG. 1 and can be changed as appropriate. It's okay to be The recovery device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40, and its driving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40.

재이용품 회수부(31)는, 분사 노즐(31a)과, 회수 박스(31b)를 갖는다. 또한, 불량품 회수부(32)는, 분사 노즐(32a)과, 회수 박스(32b)를 갖는다. 양품 회수부(33)는, 분사 노즐(33a)과, 회수 박스(33b)를 갖는다. 이들 분사 노즐(31a, 32a, 33a)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각 회수 박스(31b, 32b, 33b)도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 때문에, 대표로서 분사 노즐(31a) 및 회수 박스(31b)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reuse collection unit 31 has a spray nozzle 31a and a collection box 31b. Additionally, the defective product collection unit 32 has a spray nozzle 32a and a collection box 32b. The non-defective product collection unit 33 has a spray nozzle 33a and a collection box 33b. These spray nozzles (31a, 32a, 33a) have basically the same structure, and each recovery box (31b, 32b, 33b) also has basically the same structure. For this reason, the injection nozzle 31a and the recovery box 31b will be explained as representatives.

분사 노즐(31a) 및 회수 박스(31b)는, 반송 벨트(21a)의 각 흡인 구멍(21g)이 나열되는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분사 노즐(31a)은, 흡인 챔버(21f) 내에 배치되어 있고, 예컨대, 반송 벨트(21a)를 향하여 기체(예컨대 에어)를 분사하여, 반송 벨트(21a)로부터 정제(T)를 낙하시킨다. 이때, 분사 노즐(31a)로부터 분사된 기체는, 반송 벨트(21a)의 흡인 구멍(21g)을 통과하여 정제(T)에 닿는다. 분사 노즐(31a)은 제어 장치(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40)에 의해 제어된다. 회수 박스(31b)는, 분사 노즐(31a)의 바로 아래로서 반송부(21)의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 회수 박스(31b)는, 분사 노즐(31a)로부터 분사된 기체에 의해 반송 벨트(21a)로부터 낙하한 정제(T)를 수취하여 수용한다.The injection nozzle 31a and the recovery box 31b are provided at positions opposing each other across a conveyance path along which each suction hole 21g of the conveyance belt 21a is arranged. The injection nozzle 31a is disposed in the suction chamber 21f and, for example, sprays gas (e.g. air) toward the conveyance belt 21a, causing the tablets T to fall from the conveyance belt 21a. At this time, the gas injected from the injection nozzle 31a passes through the suction hole 21g of the conveyance belt 21a and reaches the tablet T. The injection nozzle 31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40, and its driving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40. The collection box 31b is provided directly below the injection nozzle 31a and below the conveyance unit 21. This collection box 31b receives and accommodates the tablets T that have fallen from the conveyance belt 21a by the gas injected from the injection nozzle 31a.

여기서, 재이용품 회수부(31) 및 불량품 회수부(32)를 통과한 정제(T)는, 반송 벨트(21a)의 이동에 따라 반송되어, 반송 벨트(21a)에 있어서의 각 종동 풀리(21c)측의 단부 부근의 위치에 도달한다. 이 위치에서 흡인 작용이 정제(T)에 작용하지 않게 되지만, 분사 노즐(33a)에 의해 정제(T)의 상방으로부터 정제(T)에 기체가 분무되어, 정제(T)는 반송 벨트(21a)로부터 낙하한다. 따라서, 분사 노즐(33a)을 마련함으로써, 반송 벨트(21a)로부터 정제(T)를 확실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회수 박스(33b)는, 분사 노즐(33a)로부터 분사된 기체에 의해 반송 벨트(21a)로부터 낙하한 정제(T)를 수취하여 수용한다.Here, the tablets T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reusable product collection unit 31 and the defective product collection unit 32 are conveyed by the movement of the conveyance belt 21a, and are connected to each driven pulley 21c in the conveyance belt 21a. ) reaches the position near the end of the side. At this position, the suction action no longer acts on the tablet T, but gas is sprayed onto the tablet T from above by the spray nozzle 33a, and the tablet T is moved to the conveyance belt 21a. falls from Therefore, by providing the injection nozzle 33a, the tablet T can be reliably dropped from the conveyance belt 21a. The recovery box 33b receives and accommodates the tablets T that have fallen from the conveyance belt 21a by the gas injected from the injection nozzle 33a.

제어 장치(40)는, 각종 정보 및 각종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정제 인쇄 장치(1)의 각 부, 예컨대, 공급 장치(10)나 인쇄 장치(20), 회수 장치(30) 등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 장치(40)는, 반송부(21)의 위치 검출기(21e)나 검출부(22)로부터 각각 송신되는 검출 정보(예컨대 검출 신호) 등을 수신하고, 또한, 제1 촬상부(23)나 제2 촬상부(25)로부터 송신되는 화상 정보 등을 수신한다. 제어 장치(40)는, 예컨대, 집적 회로 등의 전자 회로 또는 컴퓨터 등에 의해 실현된다.The control device 40 controls each part of the tablet printing device 1, such as the supply device 10, the printing device 20, and the recovery device 30, based on various information and various programs.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40 receives detection information (e.g., a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sition detector 21e and the detection unit 22 of the conveyance unit 21, respectively, and also receives the first image pickup unit 23. I receive image information, etc. transmitted from the second imaging unit 25. The control device 40 is realized by, for example, an electronic circuit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or a computer.

(정제 인쇄 장치의 냉각 기능)(Cooling function of tablet printing device)

다음에, 정제 인쇄 장치(1)의 냉각 기능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oling function of the tablet printing device 1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 인쇄 장치(1)는, 케이스(51)를 갖는다. 이 케이스(51)는, 정제 인쇄 장치(1)가 구비하는 각 부를 내장한다. 각 부는, 공급 장치(10), 인쇄 장치(20), 회수 장치(30) 및 제어 장치(40)를 포함하는데, 도 3의 예에서는, 냉각부(61) 및 발열원(62), 또한, 반송부(21), 각 잉크젯 헤드(24), 이동 기구(26) 및 메인터넌스부(27)를 나타내고 있다.2 to 4, the tablet printing device 1 has a case 51. This case 51 contains each part included in the tablet printing device 1. Each part includes a supply device 10, a printing device 20, a recovery device 30, and a control device 40, and in the example of FIG. 3, a cooling unit 61 and a heat source 62, as well as a conveying unit 61. A unit 21, each inkjet head 24, a moving mechanism 26, and a maintenance unit 27 are shown.

케이스(51)는, 도어(52), 도어(55), 및 커버(53)를 갖는다. 도어(52) 및 도어(55)는, 개폐 가능하게 케이스(51)에 부착되어 있다. 도어(52)에는, 개구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52a)는, 냉각부(61)의 외장이 들어맞는 사이즈로, 또한, 도어(52)가 폐쇄되면, 냉각부(61)의 도어(52)측의 단부가 개구부(52a)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52a)에는, 패킹 등의 간극 부재가 마련되어도 좋다. 케이스(51)는, 잉크젯 헤드(24)의 상방측 및 발열원(62)의 상방측에 유지부(51a)를 갖는다. 유지부(51a)는, 예컨대, 잉크젯 헤드(24)나 제1 촬상부(23), 제2 촬상부(25)의 상측을 덮는 면형의 판이다. 유지부(51a)의 상방에는, 후술하는 입력 장치(40a)나 출력 장치(40b) 등이 수용되어 있다. 유지부(51a)의 하방에는, 검출부(22), 제1 촬상부(23), 제2 촬상부(25) 등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51)의 내부에 있어서의, 반송부(21)와 발열원(62) 사이에는, 칸막이 부재(54)가 마련되어 있다.Case 51 has a door 52, a door 55, and a cover 53. The door 52 and the door 55 are attached to the case 51 so that they can be opened and closed. An opening 52a is formed in the door 52. This opening 52a is sized to fit the exterior of the cooling unit 61, and when the door 52 is closed, the end of the cooling unit 61 on the door 52 side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52a. It is formed as much as possible. A gap member such as packing may be provided in this opening 52a. The case 51 has a holding portion 51a above the inkjet head 24 and above the heat source 62. The holding portion 51a is, for example, a planar plate that covers the upper sides of the inkjet head 24, the first imaging portion 23, and the second imaging portion 25. Above the holding portion 51a, an input device 40a, an output device 40b, et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accommodated. Below the holding portion 51a, the detection portion 22, the first imaging portion 23, the second imaging portion 25, etc. are accommodated. Additionally, a partition member 54 is provided between the transfer unit 21 and the heat source 62 inside the case 51.

칸막이 부재(54)는,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을 구획하기 위한 벽이며, 이것을 가짐으로써 발열원(62)의 열이 제1 영역(R1)측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칸막이 부재(54)는, 예컨대,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의 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 부재(54)의 X 방향의 길이는, 반송부(21)의 X 방향의 길이와 동일하다. 칸막이 부재(54)의 상단은, 케이스(51)의 천장과 접속되지만, 반드시 케이스(51)의 천장에 접속할 필요는 없다. 칸막이 부재(54)의 상단과 케이스(51)의 천장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제1 촬상부(23) 혹은 제2 촬상부(25)와 제어 기판을 접속하는 케이블이 존재한다. 칸막이 부재(54)에는, 케이블 등이 통과 가능한 도시하지 않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칸막이 부재(54)에는 개구(54a)가 마련된다. 개구(54a)는, 이동 기구(26)가 잉크젯 헤드(24)와 접속하기 위한 개구이다. 또한, 개구(54a)는, 메인터넌스부(27)가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을 왕래하기 위한 개구이기도 하다.The partition member 54 is a wall for dividing the first area R1 and the second area R2, and has this to prevent heat from the heat source 62 from flowing into the first area R1. there is. The partition member 54 is formed of, for example, a plate of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The length of the partition member 54 in the X direction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conveyance unit 21 in the X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member 54 is connected to the ceiling of the case 51, but is not necessarily connected to the ceiling of the case 51. A gap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member 54 and the ceiling of the case 51. There is a cable connecting the first imaging unit 23 or the second imaging unit 25 and the control board. The partition member 54 is provided with a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a cable or the like can pass. Additionally,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partition member 54 is provided with an opening 54a. The opening 54a is an opening for connecting the moving mechanism 26 to the inkjet head 24. Additionally, the opening 54a is also an opening for the maintenance unit 27 to pass between the first area R1 and the second area R2.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54a)는, 절결이다. 개구(54a)의 외형은, T자 형상이다. 예컨대, 직사각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의 칸막이 부재(54)의 일부가 T자 형상으로 절결되고, 칸막이 부재(54)의 일부에 T자 형상의 개구(54a)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개구(54a)는, 칸막이 부재(54)의 상단으로부터 Z 방향에 있어서 하방향으로 절결하여 형성된다. 개구(54a)의, 칸막이 부재(54)의 상단측에 있어서의 X 방향의 길이는, 도어(52)의 길이와 동일하다. 개구(54a)의 아래로 돌출한 부분에 있어서의 X 방향의 길이는, 커버(53)의 X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와 동일하다. 개구(54a)는, 메인터넌스부(27)와 칸막이 부재(54)가 교차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즉, 개구(54a)의 돌출 부분이 마련된 위치에 있어서의 칸막이 부재(54)의 상단은, 메인터넌스부(27)가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을 왕래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개구(54a)가 T자의 형상의 절결인 것은, 칸막이 부재(54)와 유지부(51a)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이고, 유지부(51a)가 없는 경우 등, 개구(54a)는, T자 이외의 형상의 절결이어도 좋고, 혹은, 직사각형이나 사각형, 원형 등의 형상의 구멍이어도 좋다.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54a is a notch. The outer shape of the opening 54a is T-shaped.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rectangular or square-shaped partition member 54 is cut into a T-shape, and a T-shaped opening 54a is formed in the portion of the partition member 54. Specifically, the opening 54a is formed by cutting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member 54 in the Z direction. The length of the opening 54a in the X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member 54 is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door 52 . The length of the downwardly protruding portion of the opening 54a in the X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cover 53 in the X direction. The opening 54a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maintenance unit 27 and the partition member 54 intersect.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member 54 at the position where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opening 54a is provided is at a height where the maintenance unit 27 can pass between the first area R1 and the second area R2. It is arranged to be located. 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opening 54a is a T-shaped notch is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partition member 54 and the holding portion 51a, and in the case where the holding portion 51a is not present, the opening 54a is T-shaped. It may be a notch in a shape other than a ruler, or it may be a hole in a shape such as a rectangle, square, or circle.

칸막이 부재(54)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장의 판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판(54b)을 조합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유지부(51a)의 상방을 막는 판(54b)이 존재하여도 좋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칸막이 부재(54)는, 복수의 판(54b)과, 케이스(51)에 부착 가능한 프레임(54c)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프레임(54c) 대신에 케이스(51)의 기둥이나 빔 등에 복수의 판(54b)이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The partition member 54 may be formed of a single plate, as shown in FIG. 5, or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plates 54b, as shown in FIG. 6. In this case, a plate 54b blocking the upper part of the holding portion 51a may be present. As shown in FIG. 7 , the partition member 54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lates 54b and a frame 54c attachable to the case 51. Additionally, instead of the frame 54c, a plurality of plates 54b may be attached to pillars or beams of the case 51.

도 2 및 도 3으로 되돌아가서, 커버(53)는, 반송부(21)의 상방의 공간을 도어(52)측(정면측)으로부터 막는 커버 부재이다. 커버(5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는, 적어도 각 잉크젯 헤드(24)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커버(53)는, 칸막이 부재(54)의 개구(54a)의 일부를 덮도록 칸막이 부재(54)에 부착되어, 반송부(21)의 상방의 공간을 막는 커버이다. 즉, 커버(5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칸막이 부재(54)의 개구(54a)와 연통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54a)의 상부는, 유지부(51a)에 의해 칸막이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53)로 덮을 수 없다. 그러나, 커버(53)가 개구(54a)의 전부를 덮을 수 있는 경우에는 덮어도 좋다. 요는, 잉크젯 헤드(24)를 향하여 제2 영역(R2)의 기체가 유입되는 범위를 커버(53)가 덮을 수 있으면 좋다.Returning to Figures 2 and 3, the cover 53 is a cover member that blocks the space above the conveyance unit 21 from the door 52 side (front side). At least each inkjet head 24 exists in the space surrounded by the cover 53. In addition, the cover 53 is attached to the partition member 54 so as to cover a part of the opening 54a of the partition member 54, and is a cover that blocks the space above the conveyance unit 21. That is, the space surrounded by the cover 53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54a of the partition member 54. 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54a cannot be covered with the cover 53 because it is partitioned by the holding portion 51a. However, if the cover 53 can cover the entire opening 54a, it may be covered. In essence, it is good if the cover 53 can cover the area where the gas in the second region R2 flows toward the inkjet head 24.

커버(53)는, 예컨대, 본체(53b)와 도어부(53c)를 갖는다. 본체(53b)는, 반송부(21)의 상방의 공간을 덮어, 정면측에서 본 외형이 U자의 개구를 아래를 향하게 한 상태의 U자 형상인 부재이다. 본체(53b)는, U자의 개구를 아래를 향하게 한 상태로 칸막이 부재(54)의 개구(54a)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도록 칸막이 부재(54)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53b)는, 반송 방향(A1)과 직교하는 2개의 측면과 이 2개의 측면끼리를 접속하는 천장을 갖는다. 본체(53b)의 천장은, 최대 상승 위치일 때의 잉크젯 헤드(24)의 상부보다 높다. 또한, 본체(53b)의 천장은, 최대 상승 위치의 잉크젯 헤드(24)의 상단보다 잉크젯 헤드(24)의 승강 스트로크의 범위 내의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있다. 본체(53b)는, 커버(23a)와 커버(25a) 사이를 딱 맞게 메우는 느낌으로 마련되어 있다.The cover 53 has, for example, a main body 53b and a door portion 53c. The main body 53b is a U-shaped member that covers the space above the conveyance unit 21 and has a U-shaped appearance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with the U-shaped opening facing downward. The main body 53b is connected to the partition member 54 so as to cover part or all of the opening 54a of the partition member 54 with the U-shaped opening facing downward. Therefore, the main body 53b has two sides perpendicular to the conveyance direction A1 and a ceiling connecting these two sides. The ceiling of the main body 53b is higher than the upper part of the inkjet head 24 when it is in the maximum raised position. Additionally, the ceiling of the main body 53b is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inkjet head 24 at the maximum raised position by a height within the range of the lifting stroke of the inkjet head 24. The main body 53b is provided to fit tightly between the cover 23a and the cover 25a.

도어부(53c)는, 본체(53b)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이다. 도어부(53c)는, 예컨대, 4개의 측면 중 하나가 빠진 상자형의 형상이다. 도어부(53c)는, 빠진 측면이 잉크젯 헤드(24)와 대향하는 상태로, 도시하지 않는 힌지를 통해 본체(53b)의 칸막이 부재(54)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어부(53c)는, 커버(25a)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53)는, 커버(23a)와 커버(25a) 사이로서, 반송부(21)의 상방의 공간을 막는 제3 커버에 상당한다.The door portion 53c is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53b. The door portion 53c is, for example, box-shaped with one of the four sides missing. The door portion 53c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main body 53b on the side opposite to the partition member 54 through a hinge (not shown), with the missing side facing the inkjet head 24. Additionally, the door portion 53c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cover 25a.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cover 53 corresponds to a third cover that blocks the space above the conveyance unit 21 between the cover 23a and the cover 25a.

도어부(53c)는, 정제 인쇄 장치(1)가 가동하고 있는 동안, 커버(25a)에 부착된다. 또한, 도어부(53c)는, 잉크젯 헤드(24)의 부착·제거 시에는, 커버(25a)로부터 제거되어, 도시하지 않는 힌지를 통해 커버(23a)측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정면측으로부터 잉크젯 헤드(24)의 부착·제거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젯 헤드(24)의 부착·제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The door portion 53c is attached to the cover 25a while the tablet printing device 1 is operating. Additionally, when attaching/removing the inkjet head 24, the door portion 53c is removed from the cover 25a and moves toward the cover 23a through a hinge (not shown). Therefore, the inkjet head 24 can be attached and removed from the front side. Therefore, attachment and removal of the inkjet head 24 can be easily performed.

커버(53)의 도어(52)측의 면(반송 방향(A1)와 평행한 면)에는, 통기부(53a)가 형성되어 있다. 통기부(53a)의 상부는, 본체(53b)의 천장과 동일한 높이나 수 ㎝(센티미터) 낮은 위치에 있다. 또한, 본체(53b)의 천장은, 최대 상승 위치의 잉크젯 헤드(24)의 상단보다 잉크젯 헤드(24)의 승강 스트로크의 범위 내의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있다. 이 통기부(53a)로서는, 예컨대, 철망 등의 메쉬 부재, 혹은, 펀칭판 등의 펀칭 부재가 이용된다. 통기부(53a)는, 냉각부(61)가 받아들인 외기를 통기부(53a)로부터 커버(53) 내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 통기부(53a)를 막도록 냉각부(61)가 커버(53)의 도어(52)측의 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통기부(53a)의 하단은, 최대 상승 위치에 있는 잉크젯 헤드(24)의 상부보다 높이 방향에 있어서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부(53a)의 하단이 잉크젯 헤드(24)의 상부보다 높으면, 잉크젯 헤드(24)에 의해 냉각 가스의 흐름이 방해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냉각부(61)로부터의 냉각 가스가 제2 영역(R2)에 흐르기 쉬워진다. 또한, 이 경우에는, 통기부(53a)의 상단은, 통기부(53a)의 하단보다 위에 마련하는 것은 물론이다.A ventilation portion 53a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53 on the door 52 side (a surface parallel to the conveyance direction A1). The upper part of the ventilation portion 53a is at the same height as the ceiling of the main body 53b, but is several centimeters (cm) lower. Additionally, the ceiling of the main body 53b is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inkjet head 24 at the maximum raised position by a height within the range of the lifting stroke of the inkjet head 24. As this ventilation portion 53a, for example, a mesh member such as a wire mesh or a punching member such as a punching plate is used. The ventilation unit 53a is for supplying the outside air received by the cooling unit 61 into the cover 53 from the ventilation unit 53a. A cooling portion 61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53 on the door 52 side to block the ventilation portion 53a. Additionally, the lower end of the ventilation portion 53a is preferably higher in the height direction than the upper part of the inkjet head 24 at its maximum raised position. If the lower end of the ventilation portion 53a is higher than the upper part of the inkjet head 24, the flow of cooling gas is not obstructed by the inkjet head 24. Therefore, the cooling gas from the cooling unit 61 easily flows into the second region R2. Additionally, in this cas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upper end of the ventilation portion 53a is provid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ventilation portion 53a.

케이스(51) 내에는, 제1 영역(R1) 및 그 제1 영역(R1)에 이어지는(연통하는) 제2 영역(R2)이 존재한다. 제1 영역(R1)에는, 반송부(21)나 각 잉크젯 헤드(24) 등이 마련되어 있고, 제2 영역(R2)에는, 발열원(6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동 기구(26)는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 걸쳐 존재하고 있어, 메인터넌스부(27)는 대기 위치가 제2 영역(R2)에 존재하고, 메인터넌스 위치가 제1 영역(R1)에 존재하게 된다. 또한, 메인터넌스부(27)의 메인터넌스 위치란, 잉크젯 헤드(24)의 메인터넌스(퍼지나 더미 토출, 와이핑 등)를 행하는 위치이며, 잉크젯 헤드(24)의 하방의 위치이다. 메인터넌스부(27)의 대기 위치란 잉크젯 헤드(24)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의 메인터넌스부(27)의 위치이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영역(R2)의 소정 위치이다. 메인터넌스부(27)는, 메인터넌스 위치와 대기 위치를 이동하며, 즉, 도 3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이동하게 된다.Within the case 51, there is a first region R1 and a second region R2 that continues (connects) to the first region R1. The conveyance unit 21 and each inkjet head 24 are provided in the first area R1, and the heat source 62 is provided in the second area R2. In addition, the moving mechanism 26 exists across the first area R1 and the second area R2, the maintenance unit 27 has a standby position in the second area R2, and the maintenance position is in the second area R2. 1 It exists in area (R1). In addition, the maintenance position of the maintenance unit 27 is a position where maintenance (purging, dummy discharge, wiping, etc.) of the inkjet head 24 is performed, and is a position below the inkjet head 24. The standby position of the maintenance unit 27 is the position of the maintenance unit 27 when maintenance of the inkjet head 24 is performed, and is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second area R2 as shown in FIG. 3 . The maintenance unit 27 moves between the maintenance position and the standby position, that is, it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FIG. 3 .

여기서, 제1 영역(R1)은 케이스(51)에 있어서의 칸막이 부재(54)보다 도어(52)측의 영역이다. 제2 영역(R2)은, 케이스(51)에 있어서의 칸막이 부재(54)보다 발열원(62)측의 영역이다.Here, the first area R1 is an area closer to the door 52 than the partition member 54 in the case 51. The second area R2 is an area closer to the heat source 62 than the partition member 54 in the case 51.

각 잉크젯 헤드(24)는, 이동 기구(26)에 의해 승강 방향(도 3 중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이들의 토출면의 승강 방향의 이동 범위(Ha)는, 각 잉크젯 헤드(24)가 통상 위치하는 통상 위치(H1)와, 메인터넌스부(27)가 각 잉크젯 헤드(24)에 관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위치(H2) 사이의 범위이다. 메인터넌스 위치(H2)는, 메인터넌스부(27)가 반송 벨트(21a)의 반송면과 각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 사이로 이동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위한 위치이다.Each inkjet head 24 moves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in FIG. 3) by the movement mechanism 26, but the movement range Ha of the discharge surface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of each inkjet head 24 is It is a range between the normal position H1, which is normally located, and the maintenance position H2, where the maintenance unit 27 performs maintenance work on each inkjet head 24. The maintenance position H2 is a position where the maintenance unit 27 moves between the conveyance surface of the conveyance belt 21a and the discharge surface of each inkjet head 24 to perform maintenance work.

냉각부(61)는, 외기를 받아들여 커버(53) 내에 보낸다. 냉각부(61)로서는, 예컨대, 공기의 흐름을 만드는 냉각 팬이 이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냉각부(61)는, 적어도 제1 영역(R1)에 제2 영역(R2)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기체를 공급할 수 있으면 좋고, 예컨대, 튜브 등에 의해 압축 기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등이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기체로서는, 예컨대, 공기나 질소 등의 기체가 이용된다.The cooling unit 61 receives outside air and sends it into the cover 53. As the cooling unit 61, for example, a cooling fan that creates an air flow is us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cooling unit 61 may be capable of supplying gas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area R2 to at least the first area R1. For example, a supply unit that supplies compressed gas through a tube or the like may be used. . Additionally, as the gas, for example, gas such as air or nitrogen is used.

또한, 냉각부(61)는, 정제(T)의 반송 방향(A1)인 X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직교하는 직교 방향인 Y 방향)에 있어서 발열원(62)에 대하여 잉크젯 헤드(24)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냉각부(61)는, 각 잉크젯 헤드(24)가 나열되는 방향(Y 방향)의 단부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은, 냉각부(61)에 의해 공급되는 기체를 모든 잉크젯 헤드(24)에 맞히기 위해서이다.In addition, the cooling unit 61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inkjet head 24 with respect to the heat source 62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It i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an in between. Specifically, the cooling unit 61 is provided at the end 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each inkjet head 24 is arranged (Y direction). This is to allow the gas supplied by the cooling unit 61 to hit all of the inkjet heads 24.

또한, 냉각부(61)는, 정제(T)의 반송 방향(A1)에 수평면 내에서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직교하는 직교 방향인 Y 방향)을 따라 기체를 분출하여 공급한다. 기체는 발열원(62)측의 제2 영역(R2)을 향하여 공급되기 때문에, 발열원(62)측의 제2 영역(R2)으로부터 흡인 구멍(21g)에의 공기의 유입을 방해할 수 있다. 냉각부(61)로부터 공급되는 기체에 의해, 제2 영역(R2)으로부터 흡인 구멍(21g)에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이 감소하면, 흡인 구멍(21g)에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는 내려가게 되고, 나아가서는 제1 영역(R1)의 온도도 내려가게 된다. 또한, 기체의 공급 방향으로서는, 예컨대, 잉크젯 헤드(24)의 상방에 냉각부(61)를 마련하도록 함으로써, 잉크젯 헤드(24)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기체를 공급하여도 좋고, 흡인 구멍(21g)에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내릴 수 있으면, 그 기체의 공급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the cooling unit 61 supplies gas by ejecting it along a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transport direction A1 of the tablet T in a horizontal plane (for example, the Y direction, which is an orthogonal direction). Since the gas is supplied toward the second area R2 on the heat source 62 side, the inflow of air from the second area R2 on the heat source 62 side into the suction hole 21g may be prevented. When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hole 21g from the second region R2 decreases due to the gas supplied from the cooling unit 61,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hole 21g decreases, Furthermore,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region R1 also decreases. In addition, as the supply direction of the gas, for example, by providing the cooling unit 61 above the inkjet head 24, the gas may be supplied from above to below the inkjet head 24, and the suction hole 21g ), the direction of supply of the ga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gas can be lowered.

또한, 냉각부(61)의 하단은, 승강 방향으로 이동하는 각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보다 항상 높아지도록, 즉 각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의 승강 방향의 이동 범위(Ha)의 상한보다 위가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냉각부(61)는, 이동 기구(26)에 의해 이동하는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을 피하여 기체를 분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cooling unit 61 is always higher than the discharge surface of each inkjet head 24 moving in the lifting direction, that is, the upper limit of the movement range Ha of the discharge surface of each inkjet head 24 in the lifting direction It is designed to be higher. That is, the cooling unit 61 is provided to eject gas while avoiding the discharge surface of the inkjet head 24 that moves by the moving mechanism 26.

이러한 냉각부(61)는 제어 장치(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40)에 의해 제어된다. 예컨대, 냉각부(61)는, 장치 전원이 투입되어 있는 상태로, 항상 구동되어도 좋고, 혹은, 소정 시간만 구동되거나, 소정 시간만 정지되거나 하여도 좋다. 또한, 정제 인쇄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예컨대, 소정 수의 정제(T)가 인쇄되는 소정 시간)은 발열원(62)에 의한 열의 확산이 약하기 때문에, 그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냉각부(61)가 구동되어도 좋다. 또한, 케이스(51)의 제2 영역(R2)측에는 냉각부(161)가 마련된다.This cooling unit 6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40, and its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40. For example, the cooling unit 61 may be driven all the time while the device power is turned on, or may be driven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ay be stopped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since the diffusion of heat by the heat source 62 is weak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start of tablet printing (e.g., a predetermined time for prin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tablets T), even if the cooling unit 61 is driven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good night. Additionally, a cooling unit 161 is provided on the second region R2 side of the case 51.

냉각부(161)는, 제2 영역(R2) 내의 공기를 받아들여 장치 외부에 배출한다. 냉각부(161)는, 예컨대, 케이스(51)의, 장치 외부와 제2 영역(R2)을 이격하는 부분에 마련된다. 냉각부(161)로서는, 예컨대, 냉각 팬이 이용된다. 그러나, 냉각부(161)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냉각부(161)는, 블로어나 펌프 등이어도 좋다. 냉각부(161)가 블로어나 펌프인 경우, 냉각부(161)는, 장치 외부에 마련된다. 그리고, 냉각부(161)는, 케이스(51)의, 제2 영역(R2)에 접하는 부분과 배관을 통해 접속된다.The cooling unit 161 receives air in the second region R2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The cooling unit 161 is provided, for example, in a portion of the case 51 that separates the outside of the device from the second region R2. As the cooling unit 161, for example, a cooling fan is used. However, the cooling unit 161 is not limited to this. The cooling unit 161 may be a blower, pump, or the like. When the cooling unit 161 is a blower or pump, the cooling unit 161 is provided outside the device. And, the cooling unit 161 is connected to the portion of the case 51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region R2 through a pipe.

발열원(62)은, 열을 발하는 근원이 되는 것이다. 예컨대, 발열원(62)은, 반송부(21)의 반송 동작 및 잉크젯 헤드(24)의 인쇄 동작 중 한쪽 또는 양쪽에 관계된 발열원이다. 이 발열원(62)으로서는, 예컨대, 제어 장치(40) 등의 제어 기판, 정제(T)의 흡인 유지에 이용하는 블로어, 정제(T)의 반송에 이용하는 모터 등이 있다.The heat source 62 is a source that generates heat. For example, the heat source 62 is a heat source related to one or both of the conveyance operation of the conveyance unit 21 and the printing operation of the inkjet head 24. Examples of this heat source 62 include a control board such as the control device 40, a blower used to suction and hold the tablets T, and a motor used to transport the tablets T.

(제어 장치의 구성예)(Configuration example of control device)

다음에, 제어 장치(40)의 구성예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control device 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40)는, 화상 처리부(41)와, 기억부(42)와, 제어부(43)를 갖는다. 이 제어 장치(40)에는, 입력 장치(40a)나 출력 장치(40b)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 장치(40a)는, 예컨대, 스위치나 터치 패널, 키보드, 마우스 등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출력 장치(40b)는, 예컨대, 디스플레이나 램프, 미터 등에 의해 실현된다.As shown in FIG. 8 , the control device 40 has an image processing unit 41, a storage unit 42, and a control unit 43. An input device 40a and an output device 40b are connected to this control device 40. The input device 40a is realized by, for example, a switch, a touch panel, a keyboard, or a mouse. Additionally, the output device 40b is realized by, for example, a display, a lamp, a meter, etc.

화상 처리부(41)는, 제1 촬상부(23)에 의해 촬상된 제1 화상 및 제2 촬상부(25)에 의해 촬상된 제2 화상을 받아들이고, 공지의 화상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화상을 처리한다. 예컨대, 화상 처리부(41)는, 제1 촬상부(23)로부터 얻어진 제1 화상을 처리하여, 정제(T)의 손상이나 이물 부착의 유무를 취득하고, 또한, 정제(T)의 X 방향, Y 방향 및 θ 방향의 위치를 취득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41)는, 제2 촬상부(25)로부터 얻어진 제2 화상을 처리하여, 정제(T)에 인쇄된 인쇄 패턴(예컨대, 문자나 마크)의 인쇄 위치나 형상, 사이즈를 취득한다. 화상 처리부(41)는, 취득한 정제(T)의 손상이나 이물 부착의 유무 정보, 취득한 각 정제(T)의 X 방향, Y 방향 및 θ 방향의 위치 정보, 또한, 각 정제(T) 상의 인쇄 패턴의 인쇄 위치 정보, 형상 정보 및 사이즈 정보를 제어부(43)에 송신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41 receives the first image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unit 23 and the second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imaging unit 25, and processes the images using a known image processing technique. do.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unit 41 processes the first image obtained from the first imaging unit 23 to obta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mage or foreign matter adhesion to the tablet T, and further Acquire the positions in the Y direction and the θ direction. Additionally, the image processing unit 41 processes the second image obtained from the second imaging unit 25 to obtain the printing position, shape, and size of the printing pattern (e.g., character or mark) printed on the tablet T. do. The image processing unit 41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mage or adhesion of foreign matter to the acquired tablet T, position information in the X direction, Y direction, and θ direction of each acquired tablet T, and a print pattern on each tablet T. The printing position information, shape information, and size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43.

기억부(42)는, 처리 정보나 각종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예컨대,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기억부(42)에는, 인쇄에 관한 인쇄 데이터, 반송 벨트(21a)의 이동 속도 데이터 등이 기억된다. 인쇄 데이터는, 문자나 마크 등의 인쇄 패턴의 정보를 포함한다.The storage unit 42 stores processing information and various programs. For example, it is realized by semiconductor memory elements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and flash memory, or storage devices such as hard disks and optical disks. The storage unit 42 stores print data related to printing, movement speed data of the conveyance belt 21a, and the like. Print data includes information on print patterns such as characters and marks.

제어부(43)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MCU(Micro Control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의 컴퓨터이며, 각 부를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43)는, 기억부(42)에 기억된 각종 정보나 각종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공급 장치(10)나 인쇄 장치(20), 회수 장치(30), 화상 처리부(41), 기억부(42) 등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3)는, 반송부(21)의 위치 검출기(21e)나 검출부(22)로부터 각각 송신되는 검출 신호 등을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43)는, 예컨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중 한쪽 또는 양쪽에 의해 실현된다.The control unit 43 is, for example, a computer such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MCU (Micro Control Unit), or MPU (Micro Processing Unit), and controls each unit.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3 operates the supply device 10, the printing device 20, the recovery device 30, the image processing unit 41, and the storage unit 42 based on various information and various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2. Controls unit 42, etc.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43 receives detection signals, etc. transmitted from the position detector 21e and the detection unit 22 of the transfer unit 21,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43 is realized by, for example, one or both of hardware and software.

(메인터넌스에 의한 잉크젯 헤드의 이동)(Movement of the inkjet head due to maintenance)

예컨대, 제어부(43)는, 메인터넌스 작업을 실행할 때, 각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을 통상 위치(H1)로부터 메인터넌스 위치(H2)로 이동시키도록 이동 기구(26)를 제어한다. 각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이 메인터넌스 위치(H2)로 이동하면, 다음에, 제어부(43)는, 메인터넌스부(27)를 Y 방향의 메인터넌스 위치로 이동시켜 각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을 메인터넌스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메인터넌스부(27)의 수취 접시(27b)가 각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메인터넌스부(27)를 이동시키고, 각 잉크젯 헤드(24)에 잉크를 연속하여 토출시키고, 그 후, 메인터넌스부(27)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3 controls the moving mechanism 26 to move the discharge surface of each inkjet head 24 from the normal position H1 to the maintenance position H2 when performing maintenance work. When the discharge surface of each inkjet head 24 moves to the maintenance position H2, the control unit 43 moves the maintenance unit 27 to the maintenance position in the Y direction to control the discharge of each inkjet head 24. Maintain the surface. Additionally, as necessary, the maintenance unit 27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receiving plate 27b of the maintenance unit 27 faces the discharge surface of each inkjet head 24, and ink is supplied to each inkjet head 24. It is continuously discharged, and then the maintenance unit 27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여기서, 통상, 통상 위치(H1)나 메인터넌스 위치(H2) 등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예컨대,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다. 단, 통상 위치(H1)나 메인터넌스 위치(H2) 등은, 소정 조건에 따라 변경되어도 좋고, 혹은, 입력 장치(40a)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변경되어도 좋다.Here, the normal position H1, maintenance position H2, etc. are set in advance and stored, for example, in the storage unit 42. However, the normal position H1, maintenance position H2, etc. may be changed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s o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operation to the input device 40a.

(정제의 높이 이상에 의한 잉크젯 헤드의 이동)(Movement of inkjet head due to abnormal tablet height)

또한, 제어부(43)는, 정제 인쇄 실행 시, 검출부(22)에 의해 검출된 정제(T)의 높이에 관한 높이 정보에 기초하여,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의 높이가 이상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43)는, 예컨대, 정제(T)의 높이가 소정의 임계값을 넘은 경우,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의 높이가 이상하다고 판정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가 이상한 상태인 정제(이하, 「높이 이상 정제」라고도 함)(T)는, 예컨대, 기립 자세의 정제이다. 기립 자세의 정제(T)는, 정제(T)의 자세가 반송 벨트(21a)의 반송면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 또는 경사진 상태이고, 그 자세인 채로 반송 벨트(21a)에 의해 잉크젯 헤드(24)의 바로 아래를 향하여 반송되어 가면, 소정의 통상 위치(H1)에 토출면이 위치하는 잉크젯 헤드(24)에 충돌한다. 정제(T)는, 흡인 구멍(21g)에 의한 흡인 작용에 의해 기립 자세로 반송 벨트(21a) 상에 유지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정제(T)의 피유지면이 라운드 형상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정제(T)의 중앙 부분이 아닌 1점이 흡인되는 영역이 되는 경우가 있어, 기립 자세로 유지되는 경우가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43 determines whether the height of the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is abnormal based on the height information regarding the height of the tablet 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22 when tablet printing is performed. Determine whether or not. For example, when the height of the tablet T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control unit 43 determines that the height of the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is abnormal. As shown in Fig. 9, the tablet with an abnormal height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tablet with an abnormal height”) T is, for example, a tablet in a standing position. The tablet T in the standing position is in a state where the posture of the tablet T is vertical or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onveyance surface of the conveyance belt 21a, and the inkjet head 24 is moved by the conveyance belt 21a in that posture. ), it collides with the inkjet head 24 whose discharge surface is located at the predetermined normal position H1. The tablet T may be held on the conveyance belt 21a in an upright position by the suction action of the suction hole 21g. In particular, when the holding surface of the tablet T has a round shape, one point rather than the central part of the tablet T may become a suction area, and the tablet T may be maintained in an upright position.

또한, 제어부(43)는,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의 높이가 이상한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반송 벨트(21a)가 정제(T)를 반송하는 반송 속도를 바꾸고, 또한, 반송 벨트(21a)의 반송면과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의 간격을 바꾼다. 예컨대, 제어부(43)는,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의 높이가 이상한 경우, 반송 벨트(21a)의 반송 속도를 내리도록 반송부(21)를 제어하고, 반송 벨트(21a)의 반송면과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의 간격을 넓히도록 이동 기구(26)를 제어한다. 그 후, 제어부(43)는, 높이가 이상한 상태인 정제(T)가 잉크젯 헤드(24)의 바로 아래를 통과하면, 잉크젯 헤드(24)를 통상 위치(H1)로 되돌리도록 이동 기구(26)를 제어하고, 반송 벨트(21a)의 반송 속도를 원래대로 되돌리도록 반송부(21)를 제어한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43 changes the conveyance speed at which the conveyance belt 21a conveys the tablets T based on whether the height of the tablets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is abnormal. The gap between the conveyance surface of the belt 21a and the discharge surface of the inkjet head 24 is changed. For example, when the height of the tablet T on the transport belt 21a is abnormal, the control unit 43 controls the transport unit 21 to lower the transport speed of the transport belt 21a, and The moving mechanism 26 is controlled to widen the gap between the conveyance surface and the discharge surface of the inkjet head 24. Thereafter, the control unit 43 operates the movement mechanism 26 to return the inkjet head 24 to the normal position H1 when the tablet T with an abnormal height passes directly below the inkjet head 24. and controls the conveyance unit 21 to return the conveyance speed of the conveyance belt 21a to its original state.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3)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가 이상한 상태인 정제(T)에 대하여, 잉크젯 헤드(24)가 상승하여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이 소정의 통상 위치(H1)로부터 소정의 후퇴 위치(H3)로 이동하도록 이동 기구(26)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반송 벨트(21a)의 반송면과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의 간격이 넓어진다. 높이가 이상한 상태인 정제(T)가, 그 상태인 채로 반송 벨트(21a)에 의해, 소정의 후퇴 위치(H3)에 토출면이 위치하는 잉크젯 헤드(24)의 바로 아래에 도달하여도, 그 잉크젯 헤드(24)에 충돌하는 일없이, 잉크젯 헤드(24)의 바로 아래를 통과한다. 그 후, 높이가 이상한 상태인 정제(T)가 잉크젯 헤드(24)의 바로 아래를 통과한 타이밍에, 잉크젯 헤드(24)가 하강하여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이 소정의 후퇴 위치(H3)로부터 소정의 통상 위치(H1)로 이동하도록 이동 기구(26)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반송 벨트(21a)의 반송면과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의 간격이 원래대로 되돌아간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the control unit 43 causes the inkjet head 24 to rise with respect to the tablet T whose height is abnormal, so that the discharge surface of the inkjet head 24 is adjusted to a predetermined normal level. The moving mechanism 26 is controlled to move from the position H1 to the predetermined retracted position H3. As a result, the gap between the conveyance surface of the conveyance belt 21a and the discharge surface of the inkjet head 24 widens. Even if the tablet T with an abnormal height reaches directly below the inkjet head 24 whose discharge surface is located at the predetermined retracted position H3 by the conveyance belt 21a in that state, It passes directly under the inkjet head 24 without colliding with the inkjet head 24. Thereafter, at the timing when the tablet T with an abnormal height passes directly below the inkjet head 24, the inkjet head 24 descends and the discharge surface of the inkjet head 24 moves to a predetermined retracted position (H3). The moving mechanism 26 is controlled to move from ) to the predetermined normal position H1. As a result, the gap between the conveyance surface of the conveyance belt 21a and the discharge surface of the inkjet head 24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여기서, 통상, 소정의 임계값이나 소정의 통상 위치(H1), 소정의 후퇴 위치(H3) 등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예컨대,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다. 통상 위치(H1)는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의 이동 범위(Ha)의 하한값이고, 소정의 후퇴 위치(H3)는, 이동 범위(Ha)의 상한값인 메인터넌스 위치(H2)보다 낮은 위치이다. 단, 소정의 임계값이나 소정의 통상 위치(H1), 소정의 후퇴 위치(H3) 등은, 소정 조건에 따라 변경되어도 좋고, 혹은, 입력 장치(40a)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변경되어도 좋다. 소정의 임계값은, 예컨대 정제(T)의 두께+1 ㎜의 값을 설정한다. 정제(T)의 피인쇄면과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의 거리는, 통상 1 ㎜ 정도이고, 정제(T)의 두께는 2∼8 ㎜ 정도이기 때문에, 정제(T)가 3 ㎜인 경우를 고려하면, 검출된 정제(T)의 높이가 4 ㎜를 넘었을 때에 임계값을 상회하여, 높이가 이상한 정제(T)라고 판정되게 되어, 잉크젯 헤드(24)에의 정제(T)의 충돌을 막을 수 있다. 소정의 통상 위치(H1)는, 예컨대, 잉크젯 헤드(24)가 반송 벨트(21a) 상의 누운 상태(통상 자세)의 정제(T)에 충돌하지 않고,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에 정상으로 인쇄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예컨대, 정제(T)의 피인쇄면으로부터 1 ㎜ 떨어진 높이 위치)가 실험적 또는 이론적으로 구해져 설정되어 있다. 또한, 소정의 후퇴 위치(H3)는, 잉크젯 헤드(24)가 반송 벨트(21a) 상의 높이가 이상한 상태인 정제(T)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예컨대, 반송 벨트(21a)로부터, 정제(T)의 길이 직경 이상으로 떨어진 높이 위치)이다. 또한, 어느 쪽의 위치에 관해서도, 적절하게 마진이 취해진다.Here, usually,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predetermined normal position H1, the predetermined retracted position H3, etc. are set in advance and stored, for example, in the storage unit 42. The normal position H1 is the lower limit of the movement range Ha of the discharge surface of the inkjet head 24, and the predetermined retraction position H3 is a position lower than the maintenance position H2, which is the upper limit of the movement range Ha. . However, the predetermined threshold, the predetermined normal position (H1), the predetermined retracted position (H3), etc. may be changed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s o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operation to the input device 40a. good night.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set, for example, to the thickness of the tablet T + 1 mm. The distance between the printing surface of the tablet T and the discharge surface of the inkjet head 24 is usually about 1 mm, and the thickness of the tablet T is about 2 to 8 mm, so when the tablet T is 3 mm Considering this, when the height of the detected tablet T exceeds 4 mm, it exceeds the threshold value and is determined to be a tablet T with an abnormal height, causing the tablet T to collide with the inkjet head 24. It can be prevented. The predetermined normal position H1 is such that, for example, the inkjet head 24 does not collide with the tablet T in a lying state (normal posture) on the conveyance belt 21a and does not collide with the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A position at which normal printing is possible (for example, a height position 1 mm away from the printing surface of the tablet T) is determined and set experimentally or theoretically.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retracted position H3 is a position where the inkjet head 24 does not contact the tablet T with an abnormal height on the conveyance belt 21a (for example, from the conveyance belt 21a to the tablet T ) is a height location away from the length diameter or more. Additionally, for either position, an appropriate margin is taken.

또한, 제어부(43)는, 검출부(22)로부터 송신된 검출 정보, 즉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가 검출된 타이밍에 기초하여, 반송 벨트(21a)에 있어서 정제(T)의 X 방향의 위치를 취득하고, 이 정제(T)의 X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촬상부(23)의 제1 촬상 타이밍, 잉크젯 헤드(24)의 인쇄 개시 타이밍, 제2 촬상부(25)의 제2 촬상 타이밍을 설정하고, 이들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정보를 생성하여 기억부(42)에 보존한다. 인쇄 개시 타이밍이란, 잉크젯 헤드(24)의 바로 아래의 인쇄 위치에 도달한 정제(T)에 대하여 인쇄를 개시하는 타이밍이다. 또한, 제어부(43)는, 위치 검출기(21e)로부터 송신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반송 벨트(21a)의 이동량(회전량)이나 속도 등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43 determines the The position of the direction is acquired, and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tablet T in the The second imaging timing of the imaging unit 25 is set, and tim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se timings is genera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42. The printing start timing is the timing at which printing is started for the tablet T that has reached the printing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inkjet head 24.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43 can acquire information such as the movement amount (rotation amount) and speed of the conveyance belt 21a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osition detector 21e.

또한, 제어부(43)는, 화상 처리부(41)로부터 송신된 정제(T)의 손상이나 이물 부착의 유무 정보(이 정보는 제1 화상에 기초한 정보임)에 기초하여, 그 유무 정보가 얻어진 정제(T)에 대한 인쇄 가부를 인쇄 가부 정보로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43)는, 인쇄 가능으로 설정된 정제(T)에 대하여 인쇄 조건을 인쇄 조건 정보로서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43)는, 화상 처리부(41)로부터 송신된 정제(T)의 X 방향, Y 방향 및 θ 방향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그 위치 정보가 얻어진 정제(T)에 대하여 인쇄 조건을 설정한다. 예컨대, 제어부(43)는, 정제(T)의 Y 방향의 위치 정보나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잉크젯 헤드(24)에 있어서 대상의 정제(T)의 인쇄에 사용하는 노즐(24a)의 범위, 즉 사용 노즐 범위를 결정하고, 그 사용 노즐 범위나 인쇄 개시 타이밍 등을 포함하는 인쇄 조건을 설정한다. 또한, 정제(T)가 방향성을 갖는 형상인 경우, 제어부(43)는, 정제(T)의 θ 방향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제(T)의 θ 방향의 위치에 대응시켜 인쇄 조건을 설정한다. 일례로서, 제어부(43)는, 인쇄 패턴의 방향을 0도 내지 179도의 범위에서 1도씩 회전시킨 180가지의 인쇄 패턴을 기억부(42)에 등록해 두고, 이들 인쇄 패턴 중에서, 정제(T)의 θ 방향의 위치에 적합한 각도의 인쇄 패턴을 선택하여 인쇄 조건을 설정한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43 controls the tablet T for which the presence/absence information has been obtained, based on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mage or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tablet T transmit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41 (this information is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image). Print availability for (T) is set as print availability information. Then, the control unit 43 sets printing conditions as printing condition information for the tablet T set to be printabl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43 sets printing conditions for the tablet T for which the position information has been obtaine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ablet T in the Set it.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3 determines the range of the nozzle 24a used for printing the target tablet T in the inkjet head 24 based on the Y-direction position information and print data of the tablet T, That is, the nozzle range to be used is determined, and printing conditions including the nozzle range to be used and the timing of printing start are set. In addition, when the tablet T has a directional shape, the control unit 43 sets printing cond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tablet T in the θ direction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ablet T in the θ direction. do. 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43 registers 180 print patterns in the storage unit 42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print pattern is rotated by 1 degree in the range of 0 degrees to 179 degrees, and among these print patterns, the tablet (T) Set the printing conditions by selecting a printing pattern with an angle appropriate for the position in the θ direction.

또한, 제어부(43)는, 화상 처리부(41)로부터 송신된, 정제(T)에 인쇄된 인쇄 패턴의 인쇄 위치 정보, 형상 정보 및 사이즈 정보(이들 정보는 제2 화상에 기초한 정보임)에 기초하여, 인쇄 패턴이 소정 형상 및 소정 사이즈로 정제(T)의 소정 위치에 인쇄되었는지의 여부, 즉 인쇄 패턴이 정제(T)에 정상으로 인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정제(T)의 인쇄 양부 정보를 설정한다(인쇄 상태 검사). 예컨대, 제어부(43)는, 인쇄 패턴의 형상 및 사이즈 판단에 있어서, 검사용의 인쇄 패턴을 기억부(42)에 등록해 두고, 그 검사용의 인쇄 패턴과 실제의 인쇄후의 정제(T) 상의 인쇄 패턴(정제(T)에 인쇄된 인쇄 패턴)을 비교한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43 based on the printing position information, shape information, and size information of the print pattern printed on the tablet T (these information is information based on the second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41. Thu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int pattern is print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ablet T, that is, whether the print pattern is normally printed on the tablet T, and whether the printing quality of the tablet T is determined. Set information (check printing status). For example, in judg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print pattern, the control unit 43 registers the print pattern for inspection in the storage unit 42, and matches the print pattern for inspection on the tablet T after actual printing. Compare the print pattern (printed pattern on tablet (T)).

또한, 제어부(43)는, 적절하게 각종 정보(예컨대, 정제(T)의 손상이나 이물 부착의 유무 정보나 위치 정보, 정제(T)의 높이 정보, 타이밍 정보, 인쇄 가부 정보, 인쇄 조건 정보, 인쇄 양부 정보 등)를 기억부(42)에 보존하지만, 대상의 정제(T)가 회수 장치(30)에 의해 회수되면, 예컨대, 반송부(21)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A1)의 하류측의 단부로부터 낙하하여 소정 시간(예컨대 수 초)이 경과한 시점에, 기억부(42)로부터 각종 정보를 삭제한다. 단, 이들 정보가 후공정 등에서 필요로 되는 경우에는, 정제(T)마다의 각종 정보를 소거하지 않고 남겨 두거나, 장치 외의 보존용 미디어에 보존해 두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제(T)마다의 각종 정보를 보존해 두는 경우에는, 이 정보와 제조 일시나 로트 번호 등과 결합시켜 보존해 두어, 인쇄 후의 정제(T)에 대해서 출하 후에 불량품이 발생한 경우 등에 거스러 올라 원인 추궁을 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3 appropriately control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e.g.,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mage or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tablet T, position information, height information of the tablet T, timing information, print availability information, printing condition information, (print quality information, etc.)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2, but when the target tablet T is recovered by the recovery device 30, for exampl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nveyance direction A1 in the conveyance unit 21. After falling from the end of , various information is deleted from the storage unit 42 when a predetermined time (e.g., several seconds) has elapsed. However, if this information is needed in a subsequent process, etc., it is possible to leave various information for each tablet T without erasing it, or to save it in a storage medium other than the device. When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each tablet (T), this information is combined with the date of manufacture, lot number, etc., and stored to prevent the investigation of the cause in the event of defective products occurring after shipment of the printed tablet (T). It is okay to allow it to be done.

(인쇄 공정)(printing process)

다음에, 전술한 정제 인쇄 장치(1)가 행하는 인쇄 공정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인쇄 공정은, 검사 공정도 포함한다. 또한, 인쇄에 요하는 데이터나 잉크젯 헤드(24)의 후퇴에 요하는 데이터 등의 각종 정보는, 기억부(42)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Next, the printing process performed by the above-described tablet printing device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This printing process also includes an inspection process. Additionall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data required for printing and data required for retraction of the inkjet head 24, are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42.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 S1에 있어서, 공급 장치(10)의 호퍼(11)에 인쇄 대상의 정제(T)가 다수 투입되면, 정제(T)는 호퍼(11)로부터 정렬 피더(12)에 순차 공급되기 시작하여, 정렬 피더(12)에 의해 일렬로 나열되어 이동한다. 이 일렬로 이동하는 정제(T)는 전달 피더(13)에 의해 인쇄 장치(20)의 반송 벨트(21a)에 순차 공급된다. 반송 벨트(21a)는, 모터(21d)에 의한 구동 풀리(21b) 및 각 종동 풀리(21c)의 회전에 의해 반송 방향(A1)으로 회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반송 벨트(21a) 상에 공급된 정제(T)는 반송 벨트(21a) 상에서 일렬로 나열되어 소정의 반송 속도로 반송되어 간다.As shown in FIG. 10, in step S1, when a large number of tablets T to be printed are fed into the hopper 11 of the supply device 10, the tablets T are transferred from the hopper 11 to the alignment feeder 12. It starts to be supplied sequentially and moves in a line by the sorting feeder 12. The tablets T moving in line ar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conveyance belt 21a of the printing device 20 by the delivery feeder 13. The conveyance belt 21a is rotating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1 by rotation of the drive pulley 21b and each driven pulley 21c by the motor 21d. For this reason, the tablets T supplied on the conveyance belt 21a are lined up in a row on the conveyance belt 21a and are conveyed at a predetermined conveyance speed.

단계 S2에 있어서,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는, 검출부(22)에 의해 검출된다. 자세히는,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가, 검출부(22)의 바로 아래의 검출 위치(예컨대, 레이저 광의 조사 위치)에 도달하는 타이밍에 검출부(22)에 의해 검출되고, 그 정제(T)가 검출된 타이밍에 기초하여, 반송 벨트(21a)에 있어서 정제(T)의 X 방향의 위치가 제어부(43)에 의해 인식된다. 그리고, 그 정제(T)의 X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가 제어부(43)에 의해 생성되고, 기억부(42)에 보존된다. 또한,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의 높이가 검출부(22)에 의해 검출되고, 그 정제(T)의 높이에 관한 높이 정보가 제어부(43)에 의해 인식되고, 그 정제(T)의 높이 정보가 기억부(42)에 보존된다.In step S2, the tablets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are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22. In detail, the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22 at the timing when it reaches the detection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detection unit 22 (e.g., the laser light irradiation position), and the tablet ( Based on the timing at which T) is detected, the position of the tablet T in the X direction on the conveyance belt 21a is recognized by the control unit 43. Then,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tablet T in the X direction is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43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42. Additionally, the height of the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22, height information regarding the height of the tablet T is recognized by the control unit 43, and the tablet T The heigh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2.

단계 S3에 있어서, 높이 정보에 기초하여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의 높이가 이상한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예컨대,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의 높이가 소정의 임계값을 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의 높이가 소정의 임계값을 넘는다고 판단되면,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의 높이가 이상하다고 판정되고(단계 S3의 Yes), 처리는 단계 S11로 진행한다. 한편,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의 높이가 소정의 임계값을 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의 높이가 정상이라고 판정되고(단계 S3의 No), 처리는 단계 S4로 진행한다.In step S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height of the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is abnormal based on the height information. For examp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height of the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eight of the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 height of the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is abnormal (Yes in step S3), an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following steps: Proceed to S11.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eight of the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does not exceed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height of the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is determined to be normal (No in step S3), and processing Proceeds to step S4.

단계 S4에 있어서,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가 제1 촬상부(23)에 의해 촬상된다. 자세히는,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가, 제1 촬상부(23)의 바로 아래의 촬상 위치에 도달한 제1 촬상 타이밍에 제1 촬상부(23)에 의해 촬상되고, 그 제1 촬상부(23)에 의한 촬상에 의해 얻어진 제1 화상이 제어 장치(40)에 송신된다. 이 제1 화상에 기초하여, 정제(T)의 손상이나 이물 부착의 유무 정보, 또한, 정제(T)의 X 방향, Y 방향 및 θ 방향의 위치 정보가 화상 처리부(41)에 의해 생성되고, 기억부(42)에 보존된다.In step S4, the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is imaged by the first imaging unit 23. In detail, the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is imaged by the first imaging unit 23 at the first imaging timing when it reaches the imaging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first imaging unit 23, and the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is imaged by the first imaging unit 23. 1 The first image obtained by imaging by the imaging unit 23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40. Based on this first image,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mage or adhesion of foreign matter to the tablet T, as well as positional information in the X direction, Y direction, and θ direction of the tablet T are genera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41, It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42.

단계 S5에 있어서, 정제(T)의 손상이나 이물 부착의 유무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의 정제(T)에의 인쇄 가부가 제어부(43)에 의해 판단된다. 대상의 정제(T)에의 인쇄가 가능이라고 판단되면(단계 S5의 Yes), 처리는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또한, 정제(T)의 X 방향, Y 방향 및 θ 방향의 위치 정보나 인쇄 패턴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 가능으로 설정된 정제(T)(인쇄가의 정제(T))에 대한 사용 노즐 범위나 인쇄 개시 타이밍 등을 포함한 인쇄 조건이 기억부(42)에 설정된다. 전술한 인쇄 개시 타이밍(정제(T)에 대하여 인쇄를 개시하는 타이밍)에 기초하여, 정제(T)에 대한 토출 타이밍(정제(T)에 대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타이밍)이 결정된다. 한편, 대상의 정제(T)에의 인쇄가 불가라고 판단되면(단계 S5의 No), 처리는 단계 S9로 진행하여, 대상의 정제(T)에 대한 인쇄나 검사에 관한 동작이 제한된다. 또한, 정제(T)의 인쇄 가부 정보는, 적절하게 기억부(42)에 보존된다. 또한, 인쇄나 검사에 관한 동작의 「제한」이란, 적어도 대상이 되는 정제(T)에 대한 인쇄 및 검사에 관한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In step S5, the control unit 43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print on the tablet T of interest based 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tablet T is damaged or has foreign matter attached thereto. If it is determined that printing on the target tablet T is possible (Yes in step S5),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6. In addition,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the positional information and printing pattern of the tablet T in the Printing conditions including printing start timing, etc. are set in the storage unit 42. Based on the above-described printing start timing (timing to start printing for the tablet T), the ejection timing for the tablet T (timing to eject ink for the tablet T) is determined.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printing on the target tablet T is impossible (No in step S5),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9, and operations related to printing or inspection on the target tablet T are restricted. Additionally, the print availability information of the tablet T is appropriate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42. In addition, “restriction” on operations related to printing or inspection means not performing processing related to printing or inspection at least on the target tablet T.

단계 S6에 있어서, 상기 인쇄 조건에 기초하여 인쇄가 잉크젯 헤드(24)에 의해 실행된다. 즉, 잉크젯 헤드(24)가, 반송 벨트(21a) 상의 인쇄 가능인 정제(T)에 소정의 인쇄 패턴을 인쇄하도록 제어부(43)에 의해 제어된다. 자세히는, 제1 촬상부(23)의 하방을 통과한 반송 벨트(21a) 상의 인쇄 가능인 정제(T)는, 잉크젯 헤드(24)의 바로 아래의 인쇄 위치에 도달한 인쇄 개시 타이밍에, 전술한 인쇄 조건에 기초하여 잉크젯 헤드(24)에 의해 인쇄된다. 잉크젯 헤드(24)에서는, 각 노즐(24a)로부터 잉크가 적절하게 토출되어, 정제(T)의 상면인 피인쇄면에 인쇄 패턴(예컨대, 번호, 알파벳, 가타카나, 기호, 도형)이 인쇄된다.In step S6, printing is performed by the inkjet head 24 based on the above printing conditions. That is, the inkjet head 24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43 to print a predetermined print pattern on the printable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In detail, the printable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that has passed below the first imaging unit 23 is at the printing start timing when it reaches the printing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inkjet head 24, as described above. It is printed by the inkjet head 24 based on certain printing conditions. In the inkjet head 24, ink is appropriately ejected from each nozzle 24a, and a printing pattern (e.g., number, alphabet, katakana, symbol, figure) is printed on the printing surface, which is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t T.

단계 S7에 있어서, 반송 벨트(21a) 상의 인쇄 완료의 정제(T)가 제2 촬상부(25)에 의해 촬상된다. 자세히는, 반송 벨트(21a) 상의 인쇄 완료의 정제(T)는, 제2 촬상부(25)의 바로 아래의 촬상 위치에 도달한 제2 촬상 타이밍에 제2 촬상부(25)에 의해 촬상되고, 그 제2 촬상부(25)에 의한 촬상에 의해 얻어진 제2 화상이 제어 장치(40)에 송신된다. 이 제2 화상은, 제어 장치(40)의 화상 처리부(41)에 의해 처리된다. 자세히는, 정제(T)에 인쇄된 인쇄 완료의 인쇄 패턴에 관한 정보, 즉 인쇄 완료의 인쇄 패턴의 인쇄 위치나 형상, 사이즈가 화상 처리부(41)에 의해 취득된다. 제2 촬상부(25)로부터 송신된 제2 화상이 화상 처리부(41)에 의해 처리되어, 정제(T)에 있어서 인쇄 완료의 인쇄 패턴의 인쇄 위치나 형상, 사이즈를 나타내는 검사 정보가 생성되고, 기억부(42)에 보존된다.In step S7, the printed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is imaged by the second imaging unit 25. In detail, the printed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is imaged by the second imaging unit 25 at the second imaging timing when it reaches the imaging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second imaging unit 25. , the second image obtained by imaging by the second imaging unit 25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40. This second image is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41 of the control device 40. In detail, information about the printed print pattern printed on the tablet T, that is, the printing position, shape, and size of the printed print pattern, is acquir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41. The second imag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imaging unit 25 is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41, and inspec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inting position, shape, and size of the printed pattern on the tablet T is generated, It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42.

단계 S8에 있어서, 상기 검사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 상태 검사가 제어부(43)에 의해 실행된다. 자세히는, 기억부(42)에 보존된 전술한 인쇄 위치나 형상, 사이즈에 관한 검사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 패턴이 정제(T)에 정상으로 인쇄되었는지의 여부가 제어부(43)에 의해 판단되고, 정제(T)의 인쇄 양부를 나타내는 인쇄 양부 정보가 생성되어 기억부(42)에 보존된다. 예컨대, 인쇄 상태 검사에서는, 인쇄에 사용한 인쇄 패턴이 검사용의 인쇄 패턴으로서 기억부(42)에 보존되고, 검사용의 인쇄 패턴의 소정의 인쇄 위치나 형상, 사이즈에 관한 양품 정보와, 기억부(42)에 보존된 실제의 인쇄 완료의 인쇄 패턴의 인쇄 위치나 형상, 사이즈에 관한 검사 정보가 비교되어, 인쇄 패턴이 정제(T)에 정상으로 인쇄되었는지의 여부(합격 또는 불합격)가 판단된다.In step S8, a printing state inspection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43 based on the inspection information. In detail, the control unit 43 determines whether the print pattern has been properly printed on the tablet T based on the above-described inspec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printing position, shape, and size stored in the storage unit 42; , Print quality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int quality of the tablet T is genera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42. For example, in the printing status inspection, the print pattern used for printing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2 as a print pattern for inspection, non-defective product information regarding the predetermined printing position, shape, and size of the inspection print pattern, and the storage unit. The inspec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printing position, shape, and size of the actual printed print pattern stored in (42) is compar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rint pattern was printed normally on the tablet T (pass or fail). .

단계 S9에 있어서,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가 회수 장치(30)에 의해 회수된다. 또한, 정제(T)에 도포된 잉크는 반송 중에 자연 건조하며, 건조부(28)에 의해 건조한다. 자세히는, 재이용품의 정제(T)가 반송 벨트(21a)의 이동에 따라 재이용품 회수부(31)에 도달하면, 분사 노즐(31a)에 의해 정제(T)의 상방으로부터 정제(T)에 기체가 분무되고, 정제(T)는 반송 벨트(21a)로부터 낙하하여 회수 박스(31b)에 의해 수용된다. 동일하게, 불량품의 정제(T)가 반송 벨트(21a)의 이동에 따라 불량품 회수부(32)에 도달하면, 분사 노즐(32a)에 의해 정제(T)의 상방으로부터 정제(T)에 기체가 분무되고, 정제(T)는 반송 벨트(21a)로부터 낙하하여 회수 박스(32b)에 의해 수용된다. 또한, 양품의 정제(T)가 반송 벨트(21a)에 있어서의 각 종동 풀리(21c)측의 단부 부근의 위치에 도달하면, 정제(T)에 흡인 작용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분사 노즐(33a)에 의해 정제(T)의 상방으로부터 정제(T)에 기체가 분무되고, 정제(T)는 반송 벨트(21a)로부터 낙하하여 회수 박스(32b)에 의해 수용된다. 이러한 기체의 분무에 관한 제어는, 예컨대, 정제(T)의 위치 정보, 정제(T)의 높이 정보, 인쇄 가부 정보, 인쇄 양부 정보 등의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43)에 의해 실행된다.In step S9, the tablets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are recovered by the recovery device 30. Additionally, the ink applied to the tablet T is naturally dried during transportation and dried by the drying unit 28. In detail, when the recyclable tablets T reach the recyclable product collection section 31 as the conveying belt 21a moves, the tablets T are sprayed from above the tablets T by the spray nozzle 31a. The gas is sprayed, and the tablets T fall from the conveyance belt 21a and are received by the recovery box 31b. Likewise, when the defective tablets T reach the defective product recovery unit 32 as the transport belt 21a moves, gas is blown into the tablets T from above by the injection nozzle 32a. After being sprayed, the tablets T fall from the conveyance belt 21a and are received by the recovery box 32b. In addition, when the good quality tablet T reaches the position near the end of each driven pulley 21c side of the conveyance belt 21a, the suction effect does not work on the tablet T, and the injection nozzle 33a ), gas is sprayed onto the tablets T from above, and the tablets T fall from the conveyance belt 21a and are received in the recovery box 32b. Control regarding the spraying of such gas is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43 based on various information such as, for exampl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ablet T, height information of the tablet T, print availability information, and print quality information.

단계 S10에 있어서, 인쇄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가 제어부(43)에 의해 판단된다. 예컨대, 인쇄 완료의 정제(T)의 수가 카운트되고, 그 수가 소정의 생산 수에 달하면, 인쇄가 종료하였다고 판단된다. 인쇄가 종료하였다고 판단되면(단계 S10의 Yes), 처리가 종료한다. 한편, 인쇄가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단계 S10의 No), 처리는 단계 S1로 되돌아간다. 또한, 인쇄 종료의 판단에 관해서, 입력 장치(40a)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예컨대, 사용자가 인쇄 종료 버튼을 누름으로써, 인쇄가 종료하였다고 판단되어도 좋다.In step S10, the control unit 43 determines whether printing has ended. For example, the number of tablets T that have been printed is counted, and when the number reaches a predetermined production number, it is determined that printing is comple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printing has ended (Yes in step S10), the process ends.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printing has not ended (No in step S10),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 In addition, regarding the determination of completion of printing, it may be determined that printing has end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operation on the input device 40a,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end printing button.

상기 단계 S3에 있어서,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의 높이가 이상하다고 판정되면(단계 S3의 Yes), 단계 S11에 있어서, 반송 벨트(21a)의 반송 속도가 제어부(43)에 의해 내려진다. 예컨대, 반송 속도는, 소정의 통상 속도부터 일정한 비율로 서서히 또는 단계적으로 내려져도 좋고, 또한, 랜덤한 비율로 서서히 또는 단계적으로 내려져도 좋다. 소정의 통상 속도를 소정의 속도로 저하시키는데, 이 소정의 속도는, 통상 속도의 1/10 정도의 반송 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step S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eight of the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is abnormal (Yes in step S3), the conveyance speed of the conveyance belt 21a is adjusted by the control unit 43 in step S11. It comes down. For example, the conveyance speed may be lowered gradually or stepwise at a constant rate from a predetermined normal speed, or may be lowered gradually or stepwise at a random rate. The predetermined normal speed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speed, and this predetermined speed is preferably a conveyance speed of about 1/10 of the normal speed.

예컨대, 소정의 속도는, 반송 벨트(21a) 상에 있어서의 검출부(22)의 바로 아래의 위치와 잉크젯 헤드(24)의 바로 아래의 위치의 거리 및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이 소정의 통상 위치(H1)로부터 소정의 후퇴 위치(H3)로 이동하는 데 요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어 있다. 또한, 반송 벨트(21a) 상에 있어서의 검출부(22)의 바로 아래의 위치와 잉크젯 헤드(24)의 바로 아래의 위치의 거리란, 예컨대, 검출부(22)에 의해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가 검출되는 검출 위치와 잉크젯 헤드(24)의 반송 방향(A1)의 상류단의 바로 아래의 위치의 거리이다.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speed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detection unit 22 on the conveyance belt 21a and the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inkjet head 24 and the discharge surface of the inkjet head 24.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time required to move from the normal position H1 to the predetermined retracted position H3.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detection unit 22 on the conveyance belt 21a and the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inkjet head 24 refers to, for example, the detection of tablets on the conveyance belt 21a by the detection unit 22. (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detection position where it is detected and the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upstream end of the conveyance direction A1 of the inkjet head 24.

단계 S12에 있어서, 잉크젯 헤드(24)가 이동 기구(26)에 의해 상승한다. 예컨대, 잉크젯 헤드(24)는, 그 토출면이 소정의 통상 위치(H1)로부터 소정의 후퇴 위치(H3)로 이동할 때까지 상승한다(도 9 참조). 이에 의해, 반송 벨트(21a)의 반송면과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의 간격이 소정의 후퇴 간격까지 넓어진다. 이 소정의 후퇴 간격은, 높이가 이상한 상태인 정제(T)가, 그 상태인 채로 반송 벨트(21a)에 의해 잉크젯 헤드(24)의 바로 아래에 도달하여도, 잉크젯 헤드(24)에 충돌하는 일없이, 잉크젯 헤드(24)의 바로 아래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한 간격이다.In step S12, the inkjet head 24 is raised by the moving mechanism 26. For example, the inkjet head 24 rises until its discharge surface moves from the predetermined normal position H1 to the predetermined retracted position H3 (see Fig. 9). As a result, the gap between the conveyance surface of the conveyance belt 21a and the discharge surface of the inkjet head 24 widens to a predetermined retreat distance. This predetermined retreat interval is such that even if the tablet T with an abnormal height reaches directly below the inkjet head 24 by the conveyance belt 21a in that state, it will not collide with the inkjet head 24. The gap is such that it is possible to pass directly under the inkjet head 24 without any problems.

단계 S13에 있어서, 높이가 이상한 상태인 정제(T), 즉 높이 이상 정제(T)를 포함하는, 그 전후에 위치하는 복수의 정제(T)에 대한 인쇄가 제어부(43)에 의해 제한된다. 예컨대, 잉크젯 헤드(24)는 이동 기구(26)에 의해 상승되며, 토출을 중단한다. 이에 의해, 높이 이상 정제(T) 및 그 전후에 반송되는 정제(T)(즉, 잉크젯 헤드(24)가 통상 위치(H1)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때에, 잉크젯 헤드(24)의 바로 아래를 통과하는 정제(T))가, 잉크젯 헤드(24)에 의해 인쇄되는 일이 없어진다. 그 결과, 인쇄 불량(인쇄 불합격)의 정제(T)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제어부(43)는, 잉크젯 헤드(24)를 이동 기구(26)에 의해 상승시키는 타이밍에, 동시에 정제(T)에의 잉크젯 헤드(24)에 의한 인쇄를 정지시킨다.In step S13, the control unit 43 restricts printing of the tablet T with an abnormal height, that is, a plurality of tablets T located before and after the tablet T with an abnormal height. For example, the inkjet head 24 is raised by the moving mechanism 26 and stops ejecting. As a result, when the tablet T higher than the height and the tablet T transported before and after it (i.e., when the inkjet head 24 is position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normal position H1), it is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inkjet head 24. The passing tablets (T) are no longer printed by the inkjet head 24.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tablets T with printing defects (failure to print) can be suppressed. That is, the control unit 43 stops printing by the inkjet head 24 on the tablet T at the same time that the inkjet head 24 is raised by the moving mechanism 26.

단계 S14에 있어서, 높이 이상 정제(T)가 잉크젯 헤드(24)의 바로 아래를 통과하였는지의 여부가 제어부(43)에 의해 판단된다. 높이 이상 정제(T)가 잉크젯 헤드(24)의 바로 아래를 통과하였다고 판단되면(단계 S14의 Yes), 처리는 단계 S15로 진행한다. 예컨대, 제어부(43)는, 검출부(22)에 의해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가 검출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넘은 경우, 높이 이상 정제(T)가 잉크젯 헤드(24)의 바로 아래를 통과하였다고 판정한다. 또한, 높이 이상 정제(T)가 잉크젯 헤드(24)의 바로 아래를 통과하였는지의 여부는, 위치 검출기(22e)의 검출에 의하여도 좋다.In step S14, the control unit 43 determines whether the tablet T of an abnormal height has passed directly under the inkjet head 2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ablet T above the height has passed directly below the inkjet head 24 (Yes in step S14),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5. 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passed since the tablet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wa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22, the control unit 43 detects the tablet T immediately below the inkjet head 24. It is determined that it has passed. Additionally, whether or not the tablet T above the height has passed directly below the inkjet head 24 may be determined by detection by the position detector 22e.

예컨대, 소정의 시간은, 정제(T)의 반송 속도(변화하는 반송 속도), 또한, 반송 벨트(21a) 상에 있어서의 검출부(22)의 바로 아래의 위치와 잉크젯 헤드(24)의 바로 아래의 위치의 거리, 반송 벨트(21a)의 이동량(회전량)에 기초하여 결정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반송 벨트(21a) 상에 있어서의 검출부(22)의 바로 아래의 위치와 잉크젯 헤드(24)의 바로 아래의 위치의 거리는, 예컨대, 검출부(22)에 의해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가 검출되는 검출 위치와 잉크젯 헤드(24)의 반송 방향(A1)의 하류단의 바로 아래의 위치의 거리이다.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time is the transport speed (changing transport speed) of the tablet T, the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detection unit 22 on the transport belt 21a, and the position directly below the inkjet head 24. is determined based on the distance of the position and the amount of movement (amount of rotation) of the conveyance belt 21a.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detection unit 22 on the conveyance belt 21a and the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inkjet head 24 here refers to,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directly below the inkjet head 24 on the conveyance belt 21a by the detection unit 22. This is the distance between the detection position where the tablet T is detected and the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downstream end of the inkjet head 24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1.

단계 S15에 있어서, 잉크젯 헤드(24)가 이동 기구(26)에 의해 하강한다. 예컨대, 잉크젯 헤드(24)는, 그 토출면이 소정의 후퇴 위치(H3)로부터 소정의 통상 위치(H1)로 이동할 때까지 하강한다(도 9 참조). 이에 의해, 반송 벨트(21a)의 반송면과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의 간격은, 소정의 통상 간격(잉크젯 헤드(24)가 통상 위치(H1)에 위치할 때의 간격)까지 되돌아간다.In step S15, the inkjet head 24 is lowered by the moving mechanism 26. For example, the inkjet head 24 descends until its discharge surface moves from the predetermined retracted position H3 to the predetermined normal position H1 (see Fig. 9). As a result, the gap between the conveyance surface of the conveyance belt 21a and the discharge surface of the inkjet head 24 returns to the predetermined normal interval (the interval when the inkjet head 24 is located at the normal position H1). .

단계 S16에 있어서, 반송 벨트(21a)의 반송 속도가 제어부(43)에 의해 원래대로 되돌아가고, 처리는 단계 S9로 진행한다. 예컨대, 반송 속도는, 소정의 통상 속도까지 일정한 비율로 서서히 또는 단계적으로 올려져도 좋고, 또한, 랜덤한 비율로 서서히 또는 단계적으로 올려져도 좋다. 또한, 소정의 통상 속도는, 미리 설정되어 있고, 예컨대,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다. 단, 소정의 통상 속도는, 소정 조건에 따라 변경되어도 좋고, 혹은, 입력 장치(40a)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변경되어도 좋다.In step S16, the conveyance speed of the conveyance belt 21a is returned to the original by the control unit 43,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9. For example, the conveyance speed may be increased gradually or stepwise at a constant rate up to a predetermined normal speed, or may be increased gradually or stepwise at a random rate. Additionally, a predetermined normal speed is set in advance and stored, for example, in the storage unit 42. However, the predetermined normal spee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s, o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operation to the input device 40a.

이러한 인쇄 공정 중도 포함하여, 냉각부(61)(도 3 참조)는 항상 외기를 받아들여 제1 영역(R1)에 공급하는 동작을 계속하고 있다. 제1 영역(R1)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는, 적어도 제2 영역(R2) 내의 온도보다 낮다. 이 제2 영역(R2) 내의 온도보다 온도가 낮은 공기는 냉각용 에어가 된다. 제1 영역(R1)에 냉각용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각 잉크젯 헤드(24)에 냉각용 에어가 닿아, 각 잉크젯 헤드(24)가 냉각되며, 냉각용 에어가 각 잉크젯 헤드(24)를 경유한 후에 정제(T) 유지용의 흡인 구멍(21g) 쪽에 유입되어, 발열원(62)측으로부터의 기류가 흡인 구멍(21g)에 흡입되기 어려워진다. 혹은, 발열원(62)측으로부터의 공기가 냉각용 에어에 의해 차가워져, 흡인 구멍(21g)에 흡입된다. 이에 의해, 흡인 구멍(21g) 부근에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내려가고, 나아가서는 잉크젯 헤드(24) 근방의 온도가 내려간다.Even during this printing process, the cooling unit 61 (see FIG. 3) continues to receive external air and supply it to the first region R1.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pplied to the first region R1 is at least lower than the temperature in the second region R2. Air whos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within the second region R2 becomes cooling air. By supplying cooling air to the first region R1, the cooling air reaches each inkjet head 24, cooling each inkjet head 24, and cooling air flows through each inkjet head 24. Later, it flows into the suction hole 21g for holding the tablet T, making it difficult for the airflow from the heat source 62 side to be sucked into the suction hole 21g. Alternatively, the air from the heat source 62 side is cooled by cooling air and is sucked into the suction hole 21g.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 near the suction hole 21g decreases, and the temperature near the inkjet head 24 further decreases.

여기서, 잉크젯 헤드(24) 근방의 목표 온도는, 예컨대, 20도∼2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부(61)에 의한 냉각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 잉크젯 헤드(24) 근방의 온도는 25도를 넘어 버린다. 잉크젯 헤드(24) 근방의 온도가 25도를 넘으면, 잉크젯 헤드(24)에 문제점(잉크 점도가 내려가 토출 불량이 생기는 등)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래서, 냉각부(61)에 의한 냉각용 에어의 공급에 의해, 잉크젯 헤드(24) 근방의 온도를 내림으로써, 잉크젯 헤드(24) 내의 잉크의 점도가 저하하는 것이나 노즐(24a) 부근의 잉크가 건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토출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인쇄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잉크젯 헤드(24) 내의 잉크의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잉크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잉크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험에 따르면, 냉각부(61)에 의한 냉각용 에어의 공급을 실행함으로써, 잉크젯 헤드(24) 근방의 온도를 28도∼31도로부터 23도 정도로 내릴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Here, the target temperature near the inkjet head 24 is preferably, for example, 20 to 25 degrees. If cooling by the cooling unit 61 is not performed, the temperature near the inkjet head 24 exceeds 25 degrees. If the temperature near the inkjet head 24 exceeds 25 degrees, the possibility of problems occurring in the inkjet head 24 (such as a decrease in ink viscosity causing ejection defects) increases. Therefore, by lowering the temperature near the inkjet head 24 by supplying cooling air by the cooling unit 61, the viscosity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24 decreases and the ink near the nozzle 24a decreases. Drying can be suppressed, making it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ejection defects, and the occurrence of printing defects can be suppressed. Additionally,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24 can be suppressed, making it possible to properly maintain the ink, and suppressing deterioration of the ink.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erature near the inkjet head 24 could be lowered from 28 to 31 degrees to about 23 degrees by supplying cooling air by the cooling unit 61.

또한, 잉크젯 헤드(24) 근방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기(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하고, 이 측정기의 측정 결과가 소정의 온도(예컨대 24도)를 상회한 경우에는, 냉각부(61)로부터 공급하는 냉각용 에어의 양을 늘리도록 하여도 좋다. 혹은, 측정기에 의한 측정 결과가 소정의 온도를 상회한 경우에는, 잉크젯 헤드(24)에 의한 인쇄를 정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인쇄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잉크젯 헤드(24) 근방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기는, 잉크젯 헤드(24)의 근방에 마련하여도 좋고, 잉크젯 헤드(24) 자체에 마련하여, 잉크젯 헤드(24) 자체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잉크젯 헤드(24) 근방의 온도란, 잉크젯 헤드(24) 자체의 온도도 포함한다.In addition, a measuring instrument (not shown) is provid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near the inkjet head 24, and whe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is measuring instrument exceed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24 degrees), the inkjet head 24 is supplied from the cooling unit 61. You may increase the amount of cooling air used. Alternatively, when the measurement result by the measuring device exceed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printing by the inkjet head 24 may be stopped. By doing this, the occurrence of printing defects can be prevented. Additionally, a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near the inkjet head 24 may be provided near the inkjet head 24, or may be provided on the inkjet head 24 itself to measur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inkjet head 24 itself. You may do so. That is, the temperature near the inkjet head 24 also includes the temperature of the inkjet head 24 itself.

또한, 냉각부(61)는, 이동 기구(26)에 의해 이동하는 각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을 피하여 냉각용 에어를 분출하도록 마려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잉크젯 헤드(24)가 정제(T)로부터의 후퇴나 메인터넌스 시 등 이동 기구(26)에 의해 이동하여도, 냉각부(61)로부터 분출된 냉각용 에어는 각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에 직접 닿지 않기 때문에, 노즐(24a) 부근의 잉크가 건조하여 고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인쇄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oling unit 61 is designed to eject cooling air while avoiding the discharge surface of each inkjet head 24 moved by the moving mechanism 26. Accordingly, even if each inkjet head 24 is moved by the moving mechanism 26, such as when retreating from the tablet T or during maintenance, the cooling air blown out from the cooling unit 61 remains in the respective inkjet head 24. Since it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discharge surface of the in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k near the nozzle 24a from drying and sticking.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ejection defects, and the occurrence of printing defects can be suppressed.

또한, 제2 영역(R2) 내의 공기를 냉각부(161)에 의해 장치 외부에 배출함으로써 제2 영역(R2) 내를 부압으로 하고 있다. 제2 영역(R2) 내가 부압이 됨으로써, 제2 영역(R2) 내에서 발생한 열이 제1 영역(R1)에 유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제2 영역(R2) 내가 부압이 됨으로써, 냉각부(61)로부터의 냉각 가스가 제2 영역(R2)에 유입되기 쉬워진다.In addition, the air in the second region R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by the cooling unit 161, thereby creating a negative pressure in the second region R2. By creating a negative pressure in the second region R2, heat generated in the second region R2 is suppressed from flowing into the first region R1. Additionally, because the inside of the second region R2 becomes a negative pressure, the cooling gas from the cooling unit 61 easily flows into the second region R2.

또한, 칸막이 부재(54)의 X 방향의 길이는, 반송부(21)의 X 방향의 길이와 동일하다. 이에 의해, 반송 벨트(21a)에 있어서의 정제(T)를 흡인하지 않는 흡인 구멍(21g)이 제2 영역(R2)의 공기를 유입시켜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 부재(54)는, 그 상단이 케이스(51)의 천장과 접속되어 있다. 따뜻한 공기는, 공간의 위쪽으로 가기 쉽다. 따라서, 칸막이 부재(54)의 상단이 케이스(51)의 천장과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제2 영역(R2)에서 따뜻해진 공기가 제1 영역(R1)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ength of the partition member 54 in the X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conveyance unit 21 in the X direc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air in the second region R2 from flowing into the suction hole 21g on the conveyance belt 21a, which does not suction the tablet T. Additionally,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member 54 is connected to the ceiling of the case 51. Warm air tends to go to the top of space. Accordingly, since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member 54 is connected to the ceiling of the case 51, it is possible to prevent air warmed in the second region R2 from flowing into the first region R1.

또한, 제어부(43)는, 검출부(22)에 의한 높이 이상의 검출에 따라, 반송 벨트(21a)의 반송 속도를 내리고, 또한, 잉크젯 헤드(24)의 반송 벨트(21a)측의 면과 반송 벨트(21a)의 잉크젯 헤드(24)측의 면의 간격을 넓힌다. 이에 의해, 반송 벨트(21a) 상의 높이가 이상한 상태의 정제(T)가 잉크젯 헤드(24)에 충돌하지 않고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젯 헤드(24)의 손상이나 정제(T)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횟수의 증가나 메인터넌스 시간의 연장, 정제(T)의 파손 등에 의한 악영향을 억제하여, 효율적으로 정제(T)에 인쇄를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3 lowers the conveyance speed of the conveyance belt 21a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of a height abnormality by the detection portion 22, and further controls the surface of the inkjet head 24 on the conveyance belt 21a side and the conveyance belt. The gap between the surfaces on the inkjet head 24 side at (21a) is widened. As a result, the tablet T with an abnormal height on the conveyance belt 21a can pass through the inkjet head 24 without colliding with it. Therefore, damage to the inkjet head 24 and breakage of the tablet T can be suppressed, thereby suppressing adverse effects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maintenance times, extension of the maintenance time, and breakage of the tablet T, thereby efficiently improving the tablet T. Printing can be performed on (T).

제어부(43)는, 잉크젯 헤드(24)를 상승시켜, 높이가 이상한 상태인 정제(T)가 잉크젯 헤드(24)의 바로 아래를 통과하자마자, 잉크젯 헤드(24)를 원래의 높이 위치(통상 위치(H1))로 되돌리고, 반송 벨트(21a)의 반송 속도를 통상 속도로 되돌려, 통상의 반송 속도에서의 인쇄를 재개한다. 이 잉크젯 헤드(24)의 상승, 높이 이상 정제(T)의 잉크젯 헤드(24)의 하측 통과 및 잉크젯 헤드(24)의 하강 동안에만, 잉크젯 헤드(24)에 의한 인쇄가 중단되고, 잉크젯 헤드(24)가 통상 위치(H1)에 있는 경우, 인쇄가 행해지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정제(T)에 인쇄를 행할 수 있다. 즉, 잉크젯 헤드(24)의 반송 방향(A1)에 있어서의 길이분의 거리에 존재하는, 높이 이상 정제(T)의 후속의 정제에 대해서는 인쇄를 할 수 없지만, 높이 이상 정제(T)가 잉크젯 헤드(24)의 반송 방향(A1)에 있어서의 하류단을 완전히 통과한 후에 있어서는, 인쇄를 재개할 수 있어, 높이 이상 정제(T)가 반송되어 옴으로써 비인쇄정이 되는 정제(T)를 극력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높이 이상 정제(T)의 후속의 정제(T)에 대해서도 인쇄 및 검사에 관한 처리가 제한되게 되어, 이들 정제(T)에 대해서도 비인쇄정이 된다.The control unit 43 raises the inkjet head 24, and as soon as the tablet T with an abnormal height passes directly below the inkjet head 24, the inkjet head 24 is moved to its original height position (normal position). (H1)), the conveyance speed of the conveyance belt 21a is returned to the normal speed, and printing at the normal conveyance speed is resumed. Only during the raising of the inkjet head 24, the passage of the tablet T above the height below the inkjet head 24, and the descent of the inkjet head 24, printing by the inkjet head 24 is stopped, and the inkjet head ( Since printing is performed when 24) is in the normal position H1, printing can be performed on the tablet T efficiently. In other words, printing cannot be performed on tablets following the above-height tablet T that exist at a distance equivalent to the length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1 of the inkjet head 24, but the inkjet tablet After completely passing the downstream end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1 of the head 24, printing can be resumed, and the tablets T that are higher than the height are conveyed and thus become non-printed tablets (T) are removed as much as possible. It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processing related to printing and inspection is restricted for subsequent tablets (T) of tablets (T) with an abnormal height, and these tablets (T) also become non-printed tablets.

높이 이상 정제(T) 및 그 후속의 정제(잉크젯 헤드(24)의 반송 방향(A1)에 있어서의 길이분의 거리에 존재하는 정제)가 잉크젯 헤드(24)를 통과하여, 잉크젯 헤드(24)가 통상 위치(H1)로 되돌아가기만 하면, 제어부(43)는 잉크젯 헤드(24)에 의한 정제(T)에의 인쇄를 재개시킬 수 있다. 반송 벨트(21a)의 반송 속도를 저하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반송 속도를 통상 속도로 되돌리고 나서 인쇄를 재개시켜도 좋지만, 반송 속도가 저하한 채로 인쇄를 재개하여, 인쇄를 속행하면서 반송 속도를 원래대로 되돌리도록 하여도 좋다.The tablet T above the height and its subsequent tablets (tablets present at a distance equivalent to the length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1 of the inkjet head 24) pass through the inkjet head 24, As long as it returns to the normal position H1, the control unit 43 can resume printing on the tablet T by the inkjet head 24. If the conveyance speed of the conveyance belt 21a is lowered, printing may be resumed after returning the conveyance speed to the normal speed as described above, but printing is resumed with the conveyance speed lowered and the conveyance speed is increased while continuing printing. You may want to return it to its original state.

여기서, 통상, 공급 장치(10)로부터 반송부(21)에 정제(T)를 공급하는 공급 속도(정렬 피더(12)나 전달 피더(13) 등의 피더가 정제(T)를 반송하는 반송 속도)는, 항상, 반송 벨트(21a)가 정제(T)를 반송하는 반송 속도보다 느리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어부(43)는, 공급 장치(10)의 공급 속도와 반송 벨트(21a)의 반송 속도의 소정의 속도 차를 유지하도록, 반송 벨트(21a)의 반송 속도를 저하시킨 경우에는, 공급 장치(10)의 공급 속도도 저하시켜도 좋다. 이에 의해, 정제(T)가 정렬 피더(12)나 전달 피더(13) 등의 피더에서 쌓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Here, usually, the supply speed at which tablets T are supplied from the supply device 10 to the conveyance unit 21 (the conveyance speed at which a feeder such as the alignment feeder 12 or the delivery feeder 13 conveys the tablets T) ) is always set to be slower than the conveyance speed at which the conveyance belt 21a conveys the tablets T. For this reason, when the control unit 43 lowers the conveyance speed of the conveyance belt 21a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supply speed of the supply device 10 and the conveyance speed of the conveyance belt 21a, the control unit 43 supplies The supply speed of the device 10 may also be reduced. Thereb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tablets T from piling up in feeders such as the alignment feeder 12 and the delivery feeder 13.

또한, 제어부(43)는, 높이가 이상한 상태인 정제(T)를 검출하자마자, 새로운 정제(T)의 공급을 정지하도록 공급 장치(10)를 제어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높이가 이상한 상태의 정제(T)가 발생한 것에 따라, 새로운 정제(T)가 반송 벨트(21a) 상에 공급되지 않게 된다. 잉크젯 헤드(24)의 메인터넌스부(27)는, 잉크젯 헤드(24)와 반송 벨트(21a) 사이에 들어가 메인터넌스를 실시한다. 이때, 잉크젯 헤드(24)는 메인터넌스부(27)가 들어갈 스페이스를 만들기 위해, 통상 위치(H1)보다 높은 위치로 후퇴한다. 이 때문에,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가 회수되자마자, 새로운 정제(T)가 반송 벨트(21a)에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되면, 잉크젯 헤드(24)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잉크젯 헤드(24)의 메인터넌스를 실시하는 타이밍에, 반송 벨트(21a)(및 흡인 구멍(21g))의 메인터넌스를 실시하도록 하여도 좋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43 may control the supply device 10 to stop supply of new tablets T as soon as it detects the tablets T with an abnormal height. As a result, tablets T with abnormal heights are generated, and new tablets T are not supplied on the conveyance belt 21a. The maintenance unit 27 of the inkjet head 24 enters between the inkjet head 24 and the conveyance belt 21a to perform maintenance. At this time, the inkjet head 24 retreats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normal position H1 to make space for the maintenance unit 27. For this reason, as soon as the tablets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are recovered and new tablets T are not supplied to the conveyance belt 21a, maintenance work on the inkjet head 24 can be performed. Additionally, maintenance of the conveyance belt 21a (and suction hole 21g) may be performed at the timing of performing maintenance of the inkjet head 24.

또한, 제어부(43)는, 반송 벨트(21a)의 반송 속도를 내린 기간에 검출부(22)의 바로 아래를 통과한 정제(T)에 대한 잉크젯 헤드(24)의 잉크 토출을 제한하여, 그 반송 벨트(21a)의 반송 속도를 내린 기간에 검출부(22)의 바로 아래를 통과한 정제(T)를 재이용 가능한 비인쇄정, 즉 재이용품으로서 회수하도록 회수 장치(30)를 제어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반송 벨트(21a)의 반송 속도를 내린 기간에 검출부(22)의 바로 아래를 통과한 정제(T)를 재이용품으로서 회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3 limits the ink ejection of the inkjet head 24 for the tablets T that passed directly under the detection unit 22 during the period of lowering the transport speed of the transport belt 21a, and transports the tablets T. The recovery device 30 may be controlled to recover the tablets T that passed directly under the detection unit 22 during the period when the conveyance speed of the belt 21a was lowered as reusable non-printed tablets, that is, as reusable products. As a result, the tablets T that passed directly under the detection unit 22 during the period when the conveyance speed of the conveyance belt 21a was lowered can be recovered as reuse products.

또한, 반송 벨트(21a)의 배치면과 잉크젯 헤드(24)의 토출면의 간격을 바꾸기 위해, 잉크젯 헤드(24)가 이동 기구(26)에 의해 이동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반송 벨트(21a)가 이동 기구(26)에 의해 이동하여도 좋다. 이 반송 벨트(21a)의 이동은, 반송부(21)의 전체가 이동 기구(26)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실현되어도 좋고, 혹은, 잉크젯 헤드(24)에 대향하는 반송 벨트(21a)의 일부가 이동 기구(26)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실현되어도 좋다.In addition, in order to change the distance between the placement surface of the conveyance belt 21a and the discharge surface of the inkjet head 24, the inkjet head 24 is moved by the moving mechanism 26,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ncludes, for example, conveyance. The belt 21a may be moved by the moving mechanism 26. The movement of this conveyance belt 21a may be realized by moving the entire conveyance section 21 by the moving mechanism 26, or the part of the conveyance belt 21a opposing the inkjet head 24 may be moved. This may be realized by moving by the mechanism 26.

여기서, 반송 대상물이 정제(T)인 경우에는, 예컨대, 반송 대상물이 종이인 경우와 비교하여, 잉크젯 헤드(24)의 아래를 통과하는 스피드가 월등히 빠르고, 또한, 반송 대상물과 잉크젯 헤드(24)의 상대적인 크기의 차가 크고, 각 반송 대상물의 반송 간격도 좁다. 따라서, 단순히 반송 대상물과 잉크젯 헤드(24)의 충돌을 막으면 좋은 것이 아니라, 충돌을 막으면서, 충돌을 막기 위해 잉크젯 헤드(24)를 후퇴시킴으로써 인쇄를 할 수 없는 등의 영향을 받는 정제(T)의 수를 극력 줄이는 고안이 중요해진다. 또한, 높이가 이상한 상태인 정제(T)를 검지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운전을 정지하여, 반송 벨트(21a) 상의 정제(T)를 미인쇄(비인쇄정)인 채로 회수하면,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하여 버린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종이의 인쇄에는 없는 정제 특유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정제(T)에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는, 종이에 인쇄를 행하는 경우와 다르게, 반송 방향(A1)에 수평면 내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 나열되는 정제(T)에 대하여 하나의 잉크젯 헤드(24)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는 경우가 있다.Here, when the conveyance object is a tablet (T), for exampl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veyance object is paper, the speed of passing under the inkjet head 24 is much faster, and also, the conveyance object and the inkjet head 24 The difference in relative size is large, and the transport interval between each transport object is also narrow. Therefore, it is not good to simply prevent collision between the conveyed object and the inkjet head 24, but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ablets that are affected, such as not being able to print, by retracting the inkjet head 24 to prevent collision (T ) becomes important to devise ways to reduce the number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if the operation of the entire apparatus is stopped by detecting the tablets T with an abnormal height, and the tablets T on the conveyance belt 21a are recovered as unprinted (unprinted tablets), productivity significantly decreases. and throw it away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problems unique to tablets that are not present in printing on paper can be solv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printing on tablets T, unlike the case of printing on paper, one inkjet head 24 is used for a plurality of tablets T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1. ) may be used to prin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정제 인쇄 장치(1)는, 제1 영역(R1)에 마련되며, 정제(T)를 흡인 구멍(21g)에 흡인 유지하여 반송하는 반송부(21)와, 제1 영역(R1)에 마련되며, 반송부(21)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T)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잉크젯 헤드(24)와, 제1 영역(R1)에 이어지는 제2 영역(R2)에 마련된 발열원(62)과, 제1 영역(R1)에 제2 영역(R2)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기체를 공급하는 냉각부(61)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제1 영역(R1)에 제2 영역(R2)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기체를 공급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제1 영역(R1) 내의 잉크젯 헤드(24) 근방의 온도를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잉크젯 헤드(24) 내의 잉크의 점도가 저하하는 것이나 노즐(24a) 부근의 잉크가 건조하는 것을 억제하여, 토출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인쇄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잉크젯 헤드(24) 내의 잉크의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잉크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잉크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tablet printing device 1 is provided in the first region R1, and includes a conveyance unit 21 that suctions and holds the tablet T in the suction hole 21g and conveys it; , an inkjet head 24 provided in the first area R1 and printing on the tablets T transported by the transport unit 21, and a second area R2 following the first area R1. It is provided with a heat source 62 provided in and a cooling unit 61 that supplies gas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region R2 to the first region R1.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ly gas with a temperature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region R2 to the first region R1, thereby lowering the temperature near the inkjet head 24 in the first region R1.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viscosity of the ink in the inkjet head 24 from decreasing and the ink near the nozzle 24a to dry,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ejection defects,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printing defects. . Additionally,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of the ink within the inkjet head 24 can be suppressed, making it possible to properly maintain the ink, thereby suppressing deterioration of the ink.

<다른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일실시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1)(정제 인쇄 방법)를 이용하여 정제(T)에 인쇄를 행하지만, 이것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정제 인쇄 장치(1)(정제 인쇄 방법)를 이용하여 정제(T)에 인쇄를 행하여, 인쇄 완료의 정제(T)를 제조한다고 바꾸어 말할 수도 있다. 즉, 정제 인쇄 장치(1)를 정제 제조 장치로, 정제 인쇄 방법을 정제 제조 방법으로 바꾸어 말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printing is performed on the tablet T using the tablet printing device 1 (tablet print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but this is done using the tablet printing device 1 (tablet print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can also be said in other words that printing is performed on the tablets (T) using a printing method to produce printed tablets (T). In other words, the tablet printing device 1 can be changed to a tablet manufacturing device, and the tablet printing method can be changed to a tablet manufacturing method.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정제(T)의 편면을 인쇄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인쇄 장치(20)를 하나의 유닛으로 하고, 그 유닛을 상하로 겹쳐 배치하여, 상측의 인쇄 장치(제1 인쇄 장치)(20)로 인쇄한 정제(T)를 반전하여 하측의 인쇄 장치(제2 인쇄 장치)(20)에 전달하고, 하측의 인쇄 장치(20)에 의한 정제(T)에의 인쇄를 실행하여, 정제(T)의 양면을 인쇄하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printing of one side of the tablet T is exemplifi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printing device 20 is set as one unit, and the units are arranged to overlap vertically, The tablets T printed by the upper printing device (first printing device) 20 are inverted and delivered to the lower printing device (second printing device) 20, and the tablets are printed by the lower printing device 20. By performing printing on (T), both sides of the tablet (T) may be printed.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정제(T)를 2열로 반송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열 수는 일렬이어도 좋고, 3열 이상의 복수 열이어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송 벨트(21a)의 개수도 2개 이상이어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잉크젯 헤드(24)의 개수도 1개여도, 3개 이상이어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exemplified that the tablets (T) are transported in two rows, but this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number of rows may be in one row or in multiple rows of three or more rows,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number of conveyance belts 21a may be two or mor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dditionally, the number of inkjet heads 24 may be one or three or mor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커버(53)로서, 본체(53b) 및 도어부(53c)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커버(23a)의 잉크젯 헤드(24)측의 측면과 커버(25a)의 잉크젯 헤드(24)측의 측면이 본체(53b)의 측면으로서 기능하여도 좋다. 또한, 케이스(51)의 유지부(51a)가 본체(53b)의 천장으로서 기능하여도 좋다. 또한, 커버(23a), 커버(25a) 및, 커버(53)의 천장이 일체여도 좋다. 또한, 커버(53)는, 본체(53b)와 도어부(53c)의 구별이 없고, 일체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ver 53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of the main body 53b and the door portion 53c,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23a on the inkjet head 24 sid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25a on the inkjet head 24 side may function as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53b. Additionally, the holding portion 51a of the case 51 may function as the ceiling of the main body 53b. Additionally, the ceiling of the cover 23a, cover 25a, and cover 53 may be integrated. Additionally, the cover 53 may be integral with the main body 53b and the door portion 53c without distinction.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제1 촬상부(23)를 덮는 커버(23a) 및 제2 촬상부(25)를 덮는 커버(25a)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커버(23a)와 커버(25a)는 필수가 아니며, 커버(53)는, 적어도 반송부(21) 상에서 잉크젯 헤드(24)의 주위와 상측을 둘러싸는 구성이면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ver 23a covering the first imaging unit 23 and the cover 25a covering the second imaging unit 25 are exemplifi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ver 23a and the cover 25a are not essential, and the cover 53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at least the periphery and upper side of the inkjet head 24 on the conveyance unit 21.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칸막이 부재(54)의 개구(54a)로서, 개구(54a)의 형상이 절결인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유지부(51a)가 없는 경우에는, 개구(54a)는, 메인터넌스부(27)가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을 왕래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갖는 구멍이어도 좋다. 이 경우, 개구(54a)의 하단은, 메인터넌스부(27)가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을 왕래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칸막이 부재(54)가 케이스(51)의 천장과 접속되어 있는 경우,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은, 칸막이 부재(54)에 의해 거의 칸막이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제2 영역(R2)에서 발생한 열의 대부분은, 개구(54a)를 통해 제1 영역(R1)에 유입되려고 한다. 그러나, 커버(53)에 의해 폐색된 공간에는, 냉각부(61)로부터의 냉각 가스가 공급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영역(R2)에서 발생한 열이 제1 영역(R1)에 유입되는 것을 한결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as for the opening 54a of the partition member 54, the shape of the opening 54a is notched,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holding portion 51a, the opening 54a may be a hole wide enough to allow the maintenance portion 27 to pass betwee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 In this case,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54a is positioned at a height that allows the maintenance unit 27 to pass between the first area R1 and the second area R2. When the partition member 54 is connected to the ceiling of the case 51, the first area R1 and the second area R2 are substantially separated by the partition member 54. In this case, most of the heat generated in the second region R2 attempts to flow into the first region R1 through the opening 54a. However, since cooling gas is supplied from the cooling unit 61 to the space closed by the cover 53, the heat generated in the second region R2 is greatly suppressed from flowing into the first region R1. can do.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잉크젯 헤드(24)로서, 노즐(24a)이 일렬로 나열되는 인쇄 헤드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노즐(24a)이 복수 열로 나열되는 인쇄 헤드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a print head in which the nozzles 24a are arranged in a row is exemplified as the inkjet head 24,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for example, a print head in which the nozzles 24a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s exemplified. You may use it.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잉크젯 헤드(24)를 노즐(24a)이 나열되는 방향이 수평면 내에 있어서 반송 방향(A1)과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마련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노즐(24a)이 나열되는 방향이 수평면 내에 있어서 반송 방향(A1)과 교차하는 방향이 되도록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it has been exemplified that the inkjet head 24 is provided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nozzles 24a are arranged is perpendicular to the conveyance direction A1 in the horizontal plane, but this is not limited to this, and, for example, , it may be arranged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nozzles 24a are arranged intersects the conveyance direction A1 in the horizontal plane.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정제(T)가 반송 벨트(21a) 상에 일정 간격이 아니라 랜덤하게 공급된다고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일정 간격으로 공급되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반송 벨트(21a) 상에 형성된 흡인 구멍(21g)에 의해 정제(T)가 흡인 유지된다고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포켓 등에 수용 유지되어 반송되도록 하여도 좋고, 혹은, 반송 벨트(21a) 상에 자기 중량에 의해 유지되어 반송되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it has been said that the tablets T are supplied randomly rather than at regular intervals on the conveyance belt 21a, but the tablets are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supplied at regular intervals. 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said that the tablet T is suction-held by the suction hole 21g formed on the conveyance belt 21a, but the tablet 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conveyed by being held in a pocket or the like. Alternatively, it may be carried by being held by its own weight on the transport belt 21a.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제어부(43)는, 검출부(22)에 의해 검출된 정제(T)의 높이에 관한 높이 정보에 기초하여 정제(T)의 높이가 이상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촬상부(23)에서 얻어진 정제(T)의 화상에 기초하여, 반송 벨트(21a)에 공급된 정제(T)를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면적이나 길이, 형상을 검출함(간접적으로 정제(T)의 높이를 검출함)으로써 높이 정보를 얻도록 하여도 좋다. 즉, 정제(T)의 평면으로 보았을 때의 면적이나 길이가 임계값을 하회하였을 때에 정제(T)의 높이가 이상하다고 판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혹은, 잉크젯 헤드(24)의 통상 위치(H1)를 기준으로 하여, 통상 위치(H1)로부터 1 ㎜ 정도 낮은 위치를 임계값으로서 설정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trol unit 43 determines whether the height of the tablet T is abnormal based on the height information regarding the height of the tablet 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22. Although exemplified, i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based on the image of the tablet T obtained by the first imaging unit 23, the area, length, and shape of the tablet T supplied to the conveyance belt 21a when viewed in a plan view are detected (indirectly Height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detecting the height of the tablet (T). That is, when the area or length of the tablet T when viewed from the top is below the threshold, the height of the tablet T may be determined to be abnormal. Alternatively, based on the normal position H1 of the inkjet head 24, a position about 1 mm lower than the normal position H1 may be set as the threshold.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제어부(43)는, 검출부(22)에 의해 높이 이상 정제(T)가 검출된 경우에는, 잉크젯 헤드(24)에, 잉크젯 헤드(24)가 후퇴 위치(H3)로 이동할 때까지, 혹은 높이 이상 정제(T)의 하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정제(T)까지 인쇄를 행하게 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검출부(22)에 의해 높이 이상 정제(T)가 검출된 시점에 잉크젯 헤드(24)에 의한 인쇄를 중단하며, 통상 위치(H1)로부터 후퇴 위치(H3)로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반송 벨트(21a)의 반송 속도는, 높이 이상 정제(T)가 검출되고 나서 상기 높이 이상 정제(T)가 잉크젯 헤드(24)에 도달하기까지의 동안에 후퇴 위치(H3)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속도까지 저하시키면 충분하다. 혹은, 인쇄가 제한되는 정제(T)가, 높이 이상 정제(T)의 전후 수 개(예컨대 10개 정도. 혹은 10개 정도가 반송된다고 예측되는 시간)가 되도록 잉크젯 헤드(24)를 후퇴 위치(H3)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반송 벨트(21a)의 반송 속도 저하 전후의 속도 차가 적어도 되어, 단위 시간당의 인쇄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when the tablet T with an abnormal height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22, the control unit 43 sends the ink jet head 24 to the retracted position H3. It has been exemplified that printing is performed until the tablet moves to or until the tablet T is located one upstream of the tablet T, which is higher than the tablet T, bu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when the tablet T of an abnormal height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22, printing by the inkjet head 24 may be stopped and moved from the normal position H1 to the retracted position H3. In this case, the conveyance speed of the conveyance belt 21a moves to the retracted position H3 after the tablet T with an abnormal height is detected until the tablet T with an abnormal height reaches the inkjet head 24. It is enough to reduce the speed to a level where it is possible. Alternatively, the inkjet head 24 is set to the retracted position (for example, about 10 tablets T, or the time at which it is predicted that about 10 tablets will be conveyed) so that the tablets T on which printing is limited are several tablets T before and after the tablet T with a height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height. You may control it to move to H3). In this case, the speed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reduction in the conveyance speed of the conveyance belt 21a becomes small, making it 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prints per unit time.

또한,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반송 벨트(21a)의 반송 속도를 서서히 또는 단계적으로 저하시키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검출부(22)에 의해 정제(T)의 높이가 소정의 임계값을 넘었다고 검출된 시점에, 목표로 하는 반송 속도까지 급속하게 반송 속도를 저하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반송 벨트(21a)의 반송 속도를 저하시킨 속도로부터 통상의 속도로 되돌리는 경우에 있어서도, 저하시키는 경우와 동일하게, 서서히 또는 단계적으로 되돌려도 좋고, 급속하게 되돌려도 좋다. 어느 쪽의 경우에 있어서도, 서서히 또는 단계적으로 반송 속도를 변경한 쪽이, 정제(T)의 반송 벨트(21a)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exemplified that the conveyance speed of the conveyance belt 21a is gradually or stepwise lowered, but this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height of the tablet T is determined by the detection unit 22 at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When it is detected that it has exceeded , the conveyance speed may be rapidly reduced to the target conveyance speed. When returning the conveyance speed of the conveyance belt 21a from the lowered speed to the normal speed, the conveyance speed may be restored gradually or stepwise, or may be returned rapidly, as in the case of lowering the conveyance speed. In either case, changing the conveyance speed gradually or stepwise can prevent the tablet 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veyance belt 21a.

여기서, 전술한 정제(T)로서는, 의약용, 음식용, 세정용, 공업용 혹은 방향용으로서 사용되는 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제(T)로서는, 나정(소정(素錠))이나 당의정, 필름 코팅정, 장용정, 젤라틴 피포정, 다층정, 유핵정 등이 있고, 경캡슐이나 연캡슐 등 각종 캡슐정도 정제(T)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정제(T)의 형상으로서는, 원반형이나 렌즈형, 삼각형, 타원형 등 각종 형상이 있다. 또한, 인쇄 대상의 정제(T)가 의약용이나 음식용인 경우에는, 사용하는 잉크로서 가식성 잉크가 적합하다. 이 가식성 잉크로서는, 합성 색소 잉크, 천연 색소 잉크, 염료 잉크, 안료 잉크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Here, the above-mentioned tablets (T) may include tablets used for medicine, food, cleaning, industrial use, or fragrance use. In addition, tablets (T) include uncoated tablets, sugar-coated tablets, film-coated tablets, enteric-coated tablets, gelatin-coated tablets, multi-layer tablets, and press-coated tablets, and various capsule-sized tablets such as hard capsules and soft capsules (T). ) can be included. Additionally, the shape of the tablet T includes various shapes, such as disk, lens, triangle, and oval. Additionally, when the tablet T to be printed is for pharmaceutical or food use, an edible ink is suitable as the ink to be used. As this edible ink, any of synthetic dye ink, natural dye ink, dye ink, and pigment ink may be used.

이상,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외의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며,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embodiments are presented as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se novel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various omissions, substitu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These embodiments and their modifications are included in the scope and gist of the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 정제 인쇄 장치 10 : 공급 장치
11 : 호퍼 12 : 정렬 피더
13 : 전달 피더 20 : 인쇄 장치
21 : 반송부 21a : 반송 벨트
21b : 구동 풀리 21c : 종동 풀리
21d : 모터 21e : 위치 검출기
21f : 흡인 챔버 21g : 흡인 구멍
22 : 검출부 23 : 제1 촬상부
23a : 커버 24 : 잉크젯 헤드
24a : 노즐 25 : 제2 촬상부
25a : 커버 26 : 이동 기구
26a : 아암 26b : 아암 이동 기구
27 : 메인터넌스부 27a : 와이핑부
27b : 수취 접시 28 : 건조부
30 : 회수 장치 31 : 재이용품 회수부
31a : 분사 노즐 31b : 회수 박스
32 : 불량품 회수부 32a : 분사 노즐
32b : 회수 박스 33 : 양품 회수부
33b : 회수 박스 33a : 분사 노즐
40 : 제어 장치 40a : 입력 장치
40b : 출력 장치 41 : 화상 처리부
42 : 기억부 43 : 제어부
51 : 케이스 51a : 유지부
52 : 도어 52a :개구부
53 : 커버 53a : 통기부
53b : 본체 53c : 도어부
54 : 칸막이 부재 54a : 개구
54b : 판 54c : 프레임
55 : 도어 61 : 냉각부
62 : 발열원 161 : 냉각부
A1 : 반송 방향 A2 : 반송 방향
Ha : 이동 범위 H1 : 통상 위치
H2 : 메인터넌스 위치 H3 : 후퇴 위치
T : 정제
1: Tablet printing device 10: Feeding device
11: Hopper 12: Sorting feeder
13: delivery feeder 20: printing device
21: conveyance unit 21a: conveyance belt
21b: driving pulley 21c: driven pulley
21d: motor 21e: position detector
21f: suction chamber 21g: suction hole
22: detection unit 23: first imaging unit
23a: Cover 24: Inkjet head
24a: nozzle 25: second imaging unit
25a: cover 26: moving mechanism
26a: Arm 26b: Arm moving mechanism
27: maintenance unit 27a: wiping unit
27b: receiving plate 28: drying unit
30: recovery device 31: reuse product recovery unit
31a: spray nozzle 31b: recovery box
32: defective product recovery unit 32a: spray nozzle
32b: Recovery box 33: Good product recovery unit
33b: recovery box 33a: injection nozzle
40: control device 40a: input device
40b: output device 41: image processing unit
42: memory unit 43: control unit
51: case 51a: maintenance part
52: Door 52a: Opening
53: Cover 53a: Ventilation part
53b: main body 53c: door part
54: partition member 54a: opening
54b: plate 54c: frame
55: door 61: cooling unit
62: heat source 161: cooling unit
A1: Conveyance direction A2: Conveyance direction
Ha: Movement range H1: Normal position
H2: Maintenance position H3: Retraction position
T: Tablet

Claims (12)

제1 영역에 마련되며, 정제를 흡인 구멍에 흡인 유지하여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제1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잉크젯 헤드와,
상기 제1 영역에 이어지는 제2 영역에 마련된 발열원, 그리고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2 영역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기체를 공급하는 냉각부
를 구비하는 정제 인쇄 장치.
a transport unit provided in the first area to transport the tablet by suctioning it into the suction hole;
an inkjet head provided in the first area and printing on the tablet transported by the transport unit;
A heat source provided in a second area following the first area, and
A cooling unit that supplies gas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area to the first area.
A tablet printing devic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원은, 상기 반송부의 반송 동작 및 상기 잉크젯 헤드의 인쇄 동작 중 한쪽 또는 양쪽에 관계된 발열원인, 정제 인쇄 장치.The tablet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source is a heat source related to one or both of the conveyance operation of the conveyance unit and the printing operation of the inkjet h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정제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발열원에 대하여 상기 잉크젯 헤드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정제 인쇄 장치.The tablet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oling unit is provided to face the heat sourc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tablet, with the inkjet head interposed therebetwee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정제의 반송 방향과 수평면 내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기체를 분출하는, 정제 인쇄 장치.The tablet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ooling unit ejects the ga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tablet in a horizontal pl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헤드의 상기 반송부측의 면과 상기 반송부의 상기 잉크젯 헤드측의 면의 간격을 바꾸도록 상기 반송부 또는 상기 잉크젯 헤드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잉크젯 헤드의 상기 반송부측의 면을 피하여 상기 기체를 분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정제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oving mechanism that moves the conveyance unit or the inkjet head so as to change the distance between a surface of the inkjet head on the conveyance unit side and a surface of the conveyance unit on the inkjet head side,
The tablet printing device, wherein the cooling section is provided to eject the gas avoiding a surface on the side of the conveying section of the inkjet head moved by the moving mechanis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제2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구획하기 위한 벽이며, 상기 이동 기구가 상기 잉크젯 헤드와 접속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칸막이 부재를 더 구비하는, 정제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ving mechanism is provided in the second area,
A tablet prin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artition member that is a wall for dividing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has an opening for the movement mechanism to connect with the inkjet hea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가 마련된 통기부를 갖고, 상기 칸막이 부재의 상기 개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도록 상기 칸막이 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반송부의 상방의 공간을 정면측으로부터 막는 커버를 더 구비하는, 정제 인쇄 장치.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cover having a ventilation portion provided with the cooling unit, attached to the partition member to cover part or all of the opening of the partition member, and blocking the space above the conveyance unit from the front side. tablet print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헤드가 마련된 위치보다 상기 정제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되며, 상기 반송부의 상방에 마련되어 있는 제1 촬상부와,
상기 반송부에 비접촉이며, 상기 제1 촬상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된 제1 커버와,
상기 잉크젯 헤드가 마련된 위치보다 상기 정제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되며, 상기 반송부의 상방에 마련되어 있는 제2 촬상부와,
상기 반송부에 비접촉이며, 상기 제2 촬상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된 제2 커버
를 더 구비하고,
상기 냉각부가 마련된 상기 통기부를 갖는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마련된 제3 커버인, 정제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first imaging unit located upstream i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tablet from a position where the inkjet head is provided and provided above the transport unit;
a first cover that is non-contact with the conveyance unit and is provided to surround the first imaging unit;
a second imaging unit located downstream i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tablet from the position where the inkjet head is provided and provided above the transport unit;
A second cover that is non-contact with the transport unit and is provided to surround the second imaging uni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tablet printing device wherein the cover having the ventilation portion provided with the cooling portion is a third cov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가 마련된 상기 통기부를 갖는 상기 커버는,
상기 반송부의 상방의 공간을 덮으며, 상기 정면측에서 본 외형이 U자의 개구를 아래를 향하게 한 상태의 U자 형상인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도어부
를 갖는, 정제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ver having the ventilation portion provided with the cooling portion,
a main body that covers the space above the conveyance unit and has a U-shaped external appearance viewed from the front side with the U-shaped opening facing downward;
Door part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Having a tablet print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 상의 상기 정제의 높이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이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높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제의 높이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넘은 경우, 상기 간격을 넓히도록 상기 이동 기구를 제어하는, 정제 인쇄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comprising: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height information of the tablet on the transport uni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moving mechanism
It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ing mechanism to widen the gap when the height of the tablet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based on the heigh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사이를 이동하여 상기 잉크젯 헤드에 관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메인터넌스부를 더 구비하는, 정제 인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further comprising a maintenance unit provided in the second area and moving between the second area and the first area to perform maintenance work on the inkjet head. Tablet printing device. 제1 영역에 마련된 반송부가, 정제를 흡인 구멍에 흡인 유지하여 반송하는 것과,
상기 제1 영역에 마련된 잉크젯 헤드가, 상기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것, 그리고
상기 제1 영역에 이어지는 제2 영역에 발열원이 존재하는 상태에 있어서, 냉각부가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2 영역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기체를 공급하는 것
을 포함하는 정제 인쇄 방법.
A transport unit provided in the first area holds the tablet by suction into the suction hole and transports it,
an inkjet head provided in the first area prints on the tablet transported by the transport unit, and
In a state where a heat source exists in a second area following the first area, the cooling unit supplies gas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area to the first area.
A tablet printing method comprising:
KR1020230033055A 2022-03-18 2023-03-14 Tablet printing apparatus and tablet printing method KR2023013654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43269 2022-03-18
JPJP-P-2022-043269 2022-03-18
JP2023018075A JP2023138353A (en) 2022-03-18 2023-02-09 Tablet printer and tablet printing method
JPJP-P-2023-018075 2023-0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544A true KR20230136544A (en) 2023-09-26

Family

ID=88191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055A KR20230136544A (en) 2022-03-18 2023-03-14 Tablet printing apparatus and tablet printing metho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6544A (en)
TW (1) TW20233742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2401A (en) 2011-12-09 2013-06-20 Kyoto Seisakusho Co Ltd Image process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2401A (en) 2011-12-09 2013-06-20 Kyoto Seisakusho Co Ltd Image proces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37421A (en) 202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9635B2 (en) tablet printing machine
US10486440B2 (en) Tablet printing apparatus
JP6284131B2 (en) Tablet printer
JPWO2017131211A1 (en) Tablet printing apparatus and tablet manufacturing method
JP6745627B2 (en) Tablet printing equipment
KR20190016581A (en) Tablet printing device and tablet printing method
KR20230136544A (en) Tablet printing apparatus and tablet printing method
JP7042164B2 (en) Tablet printing equipment
JP7068395B2 (en) Tablet printing equipment
JP2022179758A (en) Tablet printing device
JP2023138353A (en) Tablet printer and tablet printing method
JP7280704B2 (en) Tablet printing device and tablet printing method
CN116766769A (en) Tablet printing apparatus and tablet printing method
JP7473525B2 (en) Tablet printing device and tablet printing method
KR102326410B1 (en) Tablet printing apparatus and tablet printing method
JP7402298B2 (en) Tablet inspection equipment and tablet printing equipment
JP2023050476A (en) Tablet printing device and tablet printing method
JP7397132B2 (en) Tablet printing device and tablet printing method
JP7377137B2 (en) Tablet printing device and tablet printing method
KR20230034158A (en) Tablet printing apparatus and tablet printing method
TWI836559B (en) Tablet printing device and tablet printing method
KR20230109104A (en) Tablet inspecting device and tablet printing device
JP2023013752A (en) Tablet printing device and tablet printing method
JP2017176763A (en) Tablet printing apparatus and tablet printing method
JP2023046679A (en) Tablet printing device and tablet print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