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816A -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816A
KR20230135816A KR1020220033260A KR20220033260A KR20230135816A KR 20230135816 A KR20230135816 A KR 20230135816A KR 1020220033260 A KR1020220033260 A KR 1020220033260A KR 20220033260 A KR20220033260 A KR 20220033260A KR 20230135816 A KR20230135816 A KR 20230135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place
search
nam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성욱
김성하
Original Assignee
케이엠씨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엠씨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엠씨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3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5816A/ko
Publication of KR20230135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8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해양 포인트 장소의 위치 및 명칭이 지도상에 표시되는 전자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상기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등록 관리 및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제1 위치에 대응하는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등록 요청 명령을 수신하고 사용자가 해당 장소에 대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장소 명칭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입력된 장소 명칭과 상기 제1 위치의 GPS 정보를 해당 장소 정보로 저장 및 등록하는 장소 등록 모듈과,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특정 장소에 대한 검색 요청 명령 및 이에 따른 검색 키워드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입력된 검색 키워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장소 검색 모듈과, 상기 검색 결과에 따른 각각의 상기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장소 명칭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상기 전자지도상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검색 결과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연안 지역에서의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명칭 및 위치를 등록하여 이를 이용한 장소 검색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장소 검색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APPARATUS FOR MANAGING PLACE NAMES BASED ON HEURISTIC}
본 발명은 사용자의 경험이나 직관에 의한 추론 방식이 적용되는 휴리스틱을 기반으로 다양한 해양 포인트에 대한 장소 명칭을 등록하여 이에 따른 장소 검색을 수행 가능한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지도 서비스는 종래의 종이지도를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정보로 표현한 것으로서, 사이버 맵 또는 디지털 맵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전자지도 서비스는 종이지도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점이 큰 특징이며, 정보화 기술이 발달하면서 각종 지리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지리정보 시스템(GIS)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전자지도 서비스에 지리정보 시스템을 적용하면 위도, 경도, 주소 등의 위치정보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사용자들은 모바일 GIS 기반 전자지도 서비스를 이용하여 지도상의 임의의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 내에 있는 특정한 지점이나 장소 등의 관심 지점(POI; Point of Interest)을 검색하고, 검색된 관심 지점에 대한 상세 정보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GIS 기반 전자지도에 포함되는 각종 지리정보들은 대부분 육상 영역에 한정되어 있고, 해양 지리 정보는 어업 또는 항해업과 같은 특정 해양산업에 종사하는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구축되어 제공되는 경우가 많아 일반인이 이용하기엔 접근성이 낮은 실정이다.
특히, 육지와 해안이 맞닿는 지점 주변의 연안쪽의 경우엔 별다른 시설물 없이 좌표 위치로만 파악 가능한 선박의 입출항 지점이나 주요 낚시 포인트 지점에 대한 위치 파악이 요구되는데, 종래의 육상 위주 지도 서비스만으로는 해당 지점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없거나 설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이에 대한 위치 파악 및 검색이 쉽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안 지역을 대상으로 사용자에게 검색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필요하다.
KR 10-0474710 B1 KR 10-1142984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경험이나 직관에 의한 추론 방식이 적용되는 휴리스틱을 기반으로 다양한 해양 포인트에 대한 장소 명칭을 등록하여 이에 따른 장소 검색을 수행 가능한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는, 복수의 해양 포인트 장소의 위치 및 명칭이 지도상에 표시되는 전자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상기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등록 관리 및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제1 위치에 대응하는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등록 요청 명령을 수신하고 사용자가 해당 장소에 대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장소 명칭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입력된 장소 명칭과 상기 제1 위치의 GPS 정보를 해당 장소 정보로 저장 및 등록하는 장소 등록 모듈과,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특정 장소에 대한 검색 요청 명령 및 이에 따른 검색 키워드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입력된 검색 키워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장소 검색 모듈과, 상기 검색 결과에 따른 각각의 상기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장소 명칭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상기 전자지도상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검색 결과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소 등록 모듈은, 상기 전자지도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등록 요청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장소에 대한 장소 명칭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장소 명칭을 텍스트 형태로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등록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등록 요청 명령을 전송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GPS 위치 좌표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입력받은 장소 명칭과 매칭하여 해당 장소 정보로 저장하는 장소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소 등록 모듈은, 제1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제1 장소 정보로서 제1 장소 명칭 및 제1 위치 좌표가 매칭 저장되어 등록될 때, 상기 제1 해양 포인트 장소와 인접한 위치에 동일 또는 유사한 장소 명칭으로 기등록된 유사 장소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유사 장소에 대응하는 장소 정보와 상기 제1 장소 정보를 그룹화한 집합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장소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소 정보 관리부는, 기등록된 복수의 해양 포인트 장소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장소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 장소 명칭과 동일 또는 유사한 명칭을 가지는 경우에 대응하는 상기 해양 포인트 장소에 해당하는 유사 장소를 검출하는 유사 장소 검출부와, 상기 제1 위치 좌표와 상기 검출된 유사 장소에 대응되는 상기 위치 좌표에 대한 평균 위도 및 경도를 산출한 결과에 따른 평균 위치 좌표를 생성하는 평균 위치 산출부와, 상기 제1 장소 명칭과 상기 유사 장소에 대응되는 장소 명칭을 하나의 명칭 집합으로 그룹화한 후 상기 생성된 평균 위치 좌표와 함께 매칭하여 해당 집합 정보로 저장하는 명칭 집합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소 검색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자지도상의 특정 장소에 대한 검색 요청 명령 및 이에 따른 검색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장소에 대한 검색 키워드를 입력받아 상기 검색 키워드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장소 명칭에 대응하는 상기 해양 포인트 장소를 검색하는 장소 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소 등록 모듈은, 상기 등록 요청 명령의 수신 시점에 획득한 상기 GPS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장소 명칭을 추출한 결과를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명칭 입력 화면상에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출력하는 주변 명칭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소 등록 모듈은, 상기 제1 위치의 GPS 정보가 특정 해상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해상 위치에서 가장 인접한 육지의 주소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상기 입력된 장소 명칭과 상기 제1 위치의 GPS 정보와 함께 매칭하여 해당 장소 정보로 저장하는 것이고, 상기 검색 결과 표시부는, 상기 검색 결과에 따른 각각의 상기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장소 명칭 및 인접 육지 주소에 각각 해당하는 텍스트를 상기 전자지도상의 상기 제1 위치 주변에 상호 구분되도록 표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소 검색 모듈은, 기등록된 복수의 해양 포인트 장소들이 각각 상기 검색 결과로 출력된 횟수와 대비하여 해당 장소가 상기 검색 결과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횟수를 나타내는 검색 회수율을 소정 주기마다 계산하는 검색 회수율 계산부와, 상기 계산된 검색 회수율이 높은 순서대로 기설정된 개수의 상기 해양 포인트 장소들에 대응되는 장소 명칭들을 선별하고 이를 상기 전자지도상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여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검색 요청 명령이 수신되기 전까지 출력하는 주요 장소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안 지역에서의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명칭 및 위치를 등록하여 이를 이용한 장소 검색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장소 검색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경험이나 직관에 의한 추론을 적용한 휴리스틱 방식에 기반하여 특정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다양한 명칭을 반영하고 해당 장소의 인접 지역까지 확장된 범위를 적용하여 장소 정보로 데이터베이스화함에 따라, 사용자 개개인이 평소 사용하는 명칭을 이용한 직관적인 장소 검색이 가능하여 검색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자 입력부에서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장소 명칭을 입력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입력 구분 설정부 및 사용자 입력부에서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장소 특성과 관련된 카테고리들을 설정하고 각 카테고리별 속성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장소 정보 관리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검색 결과 표시부에 의해 사용자의 키워드 입력에 따른 장소 검색 결과가 사용자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주요 장소 표시부에 의해 검색 회수율이 높은 상위 주요 장소들을 지도상에 표시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자 입력부에서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장소 명칭을 입력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입력 구분 설정부 및 사용자 입력부에서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장소 특성과 관련된 카테고리들을 설정하고 각 카테고리별 속성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장소 정보 관리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검색 결과 표시부에 의해 사용자의 키워드 입력에 따른 장소 검색 결과가 사용자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주요 장소 표시부에 의해 검색 회수율이 높은 상위 주요 장소들을 지도상에 표시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10)는 복수의 해양 포인트 장소의 위치 및 명칭이 지도상에 표시되는 전자지도(DM; digital map) 서비스를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상기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등록 관리 및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경험이나 직관에 의한 추론 방식이 적용되는 휴리스틱(Heuristics)을 기반으로 다양한 해양 포인트에 대한 장소 명칭을 등록하여 이에 따른 장소 검색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10)는 크게 장소 등록 모듈(100), 장소 검색 모듈(200), 검색 결과 표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장소 등록 모듈(100)은 사용자의 해상 이동 경로에 따라 실시간으로 위치하는 여러 장소들 중에서 사용자가 관리하고자 하는 특정 장소에 대한 장소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것이다.
장소 등록 모듈(10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제1 위치에 대응하는 해양 포인트 장소(P)에 대한 등록 요청 명령을 수신하고 해당 명령이 전송된 상기 제1 위치의 GPS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해양 포인트 장소(P)는 해당 장소의 GPS 위치가 해상이거나 또는 해안 인접 지역인 경우로서 선박이 출발 또는 도착하는 연안 지점, 양식장 또는 어장 구역에 속하는 지점, 특정 어류에 대한 낚시 포인트 지점, 그 외 다양한 해양 지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장소 등록 모듈(100)은 사용자가 해당 장소에 대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장소 명칭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장소 명칭과 상기 제1 위치의 GPS 정보를 해당 장소 정보로 저장 및 등록한다.
이와 관련하여, 장소 등록 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장소 정보 저장부(130), 장소 정보 관리부(140) 및 주변 명칭 추천부(150)를 포함한다.
제1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자지도(DM)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가 특정 시점에 위치한 제1 위치에 대응하는 해양 포인트 장소(P)에 대한 등록 요청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장소에 대한 장소 명칭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I1)를 사용자 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한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제1 인터페이스(I1)를 통해 상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해양 포인트 장소(P)에 대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장소 명칭을 텍스트 형태로 입력받는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받은 장소 명칭에 대한 공개 여부를 선택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부(120)는 제1 인터페이스(I1)를 통한 명칭 입력 화면(31)이 사용자 단말기(20) 화면에 표시될 때, 사용자가 해당 입력 화면(31)에서 등록할 장소 명칭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란에 '송정 1번 포인트'를 텍스트 형태로 입력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텍스트값을 등록 요청한 장소에 대한 장소 명칭 정보로 입력받게 된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20)는 도 2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I1)를 통한 명칭 입력 화면(32)이 사용자 단말기(20) 화면에 표시될 때, 사용자가 해당 입력 화면(32)에서 저장할 장소 명칭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란에 '송정 고등어 포인트'를 텍스트 형태로 입력하고 이에 대한 공개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입력란에 '미공개'로 선택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텍스트값 및 선택값을 해당 장소에 대한 장소 명칭 및 공개 여부 정보로 입력받게 된다.
장소 정보 저장부(130)는 제1 인터페이스부(110)에 의해 등록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등록 요청 명령을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20)의 GPS 위치 좌표, 즉, GPS 위성 신호에 기초한 위도 및 경도 좌표를 획득하고 이를 사용자 입력부(120)에 의해 입력받은 장소 명칭과 매칭하여 해당 장소 정보로 저장한다.
장소 정보 저장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에 의해 해당 장소에 대한 공개 여부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공개 여부 정보에 따라 로컬 머신과 검색 서버 중 하나를 결정하여 결정된 장치의 저장 공간에 상기 등록 요청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장소 명칭 및 상기 GPS 위치 좌표를 해당 장소 정보로 저장하도록 한다.
여기서, 장소 정보 저장부(130)는 상기 공개 여부 정보가 '미공개'로 선택된 경우엔 상기 장소 정보를 로컬 머신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공개 여부 정보가 '공개'로 선택된 경우엔 상기 장소 정보를 바로 저장함으로써 해당 장소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색 서버에 저장된 장소 정보는 장소 정보 저장부(130)에 바로 저장되는 것으로서 다른 사용자에 의한 장소 검색이 수행될 때 검색 대상에 포함되고, 로컬 머신에 저장된 장소 정보는 이를 등록한 사용자 본인의 단말기(20)의 내부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것으로서 해당 사용자에 의한 장소 검색 시에만 검색 대상에 포함되므로, 저장 공간의 유형에 따라 '공개' 또는 '미공개'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장소 정보 저장부(130)는 사용자가 등록 요청 명령을 전송한 시점에 위치한 제1 위치의 GPS 정보가 특정 해상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해상 위치에서 가장 인접한 육지의 주소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상기 입력된 장소 명칭과 상기 제1 위치의 GPS 정보와 함께 매칭하여 해당 장소 정보로 저장한다.
여기서, 장소 정보 저장부(130)는 공공데이터 관련 오픈 API를 통해 행정구역별 주요 시설물 및 지명에 대한 명칭 및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관심 지점(POI; Point of Interest) 정보가 기저장된 국토 지리 정보 DB(5)에 접속하여, 상기 제1 위치에 대한 GPS 좌표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육지의 관심 지점들 중에서 GPS 좌표 간 거리가 가장 짧은 관심 지점 정보를 상기 해상 위치에서 가장 인접한 육지의 주소 정보로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주변 명칭 추천부(150)는 상기 등록 요청 명령의 수신 시점에 획득한 상기 GPS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반경(예컨대, 약 50m) 이내에 위치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장소 명칭을 추출한 결과를 제1 인터페이스(I1)를 통한 사용자의 명칭 입력 화면상에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우선순위는 각 장소 명칭에 대한 검색 횟수, 등록 횟수, 지정 횟수가 많을수록 높은 값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 횟수는 각 장소 명칭이 장소 검색부(220)에 의해 검색된 횟수를 나타내고, 상기 등록 횟수는 각 장소 명칭이 장소 정보 저장부(130)에 의해 저장된 횟수를 나타내고, 상기 지정 횟수는 각 장소 명칭이 검색 결과 표시부(300)에 의해 사용자에게 출력되어 선택 지정된 횟수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도 2를 참조하면, 장소 등록 모듈(100)에 의해 사용자가 등록 요청한 장소에 대한 장소 명칭이 사용자에 의해 '송정 1번 포인트'로 입력될 때, 해당 장소의 GPS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장소 명칭을 추출한 결과가 '송정 고등어 포인트' 및 '송정 낚시배 집합소'이고 각 명칭에 대한 우선순위가 각각 1순위 및 2순위로 기설정된 상태라면, 주변 명칭 추천부(150)는 사용자 단말기(20) 화면에 표시되는 제1 인터페이스(I1)를 통한 명칭 입력 화면(31)에서 해당 장소 명칭('송정 1번 포인트')이 입력된 입력란의 아래에 상기 추출된 장소 명칭에 해당하는 '송정 고등어 포인트' 및 '송정 낚시배 집합소'를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정렬하여 주변 등록 장소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장소 정보 관리부(140)는 장소 정보 저장부(130)에 의해 등록된 여러 장소 정보들 중에서 동일 권역에 속하는 장소들을 그룹화하여 함께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장소 정보 관리부(140)는 장소 정보 저장부(130)에 의해 제1 해양 포인트 장소(P1)에 대한 제1 장소 정보로서 제1 장소 명칭(N1) 및 제1 위치 좌표(L1)가 매칭 저장되어 등록될 때, 제1 해양 포인트 장소(P1)와 인접한 위치에 동일 또는 유사한 장소 명칭으로 기등록된 유사 장소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유사 장소에 대응하는 장소 정보와 상기 제1 장소 정보를 그룹화한 집합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한다.
이와 관련하여, 장소 정보 관리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 장소 검출부(142), 평균 위치 산출부(144) 및 명칭 집합 생성부(146)를 포함한다.
유사 장소 검출부(142)는 제1 해양 포인트 장소(P1)와 인접한 위치에 동일 또는 유사한 장소 명칭으로 기등록된 유사 장소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유사 장소 검출부(142)는 장소 정보 저장부(130)에 의해 기등록된 복수의 해양 포인트 장소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장소 정보들에 기초하여 제1 위치 좌표(L1)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반경(예컨대, 약 100m) 내에 위치하면서 제1 장소 명칭(N1)과 동일 또는 유사한 명칭을 가지는 경우에 대응하는 해양 포인트 장소(P)에 해당하는 유사 장소를 검출한다.
여기서, 유사 장소 검출부(142)는 제1 장소 명칭(N1)과 동일 또는 유사한 명칭을 가지는 경우에 대응하는 해양 포인트 장소(P)에 해당하는 유사 장소를 검출함에 있어서, 인공지능 기반 검색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제1 장소 명칭(N1)을 키워드로 하는 유의어 검색을 장소 정보 저장부(130)에 의해 기등록된 복수의 장소 정보들에 대응되는 장소 명칭들을 검색 대상으로 설정하여 수행한 결과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공지능 기반 검색 알고리즘은 딥러닝 기반의 파이썬(Python) 코드로 작성된 유의어 DB 데이터를 바탕으로 TF-IDF(Term Frequency - Inverse Document Frequency) 모델에 의한 키워드 추출 및 검색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평균 위치 산출부(144)는 제1 해양 포인트 장소(P1)에 대한 제1 위치 좌표(L1)와 유사 장소 검출부(142)에 의해 검출된 유사 장소에 대응되는 상기 위치 좌표에 대한 평균 위도 및 경도를 산출한 결과에 따른 평균 위치 좌표를 생성한다.
명칭 집합 생성부(146)는 제1 해양 포인트 장소(P1)에 대한 제1 장소 명칭(N1)과 유사 장소 검출부(142)에 의해 검출된 유사 장소에 대응되는 장소 명칭을 하나의 명칭 집합으로 그룹화한다.
명칭 집합 생성부(1406)는 상기 그룹화된 명칭 집합을 평균 위치 산출부(144)에 의해 생성된 평균 위치 좌표와 함께 매칭하여 동일 권역에 속하는 장소들에 대한 집합 정보로 저장한다.
아래의 표 1은 사용자가 등록 요청한 제1 해양 포인트 장소(P1)와 이에 대응하여 검출된 유사 장소들에 대한 집합 정보를 표로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장소 명칭 위치 좌표 평균 위치 좌표 명칭 집합
송정 고등어 포인트 (129.42, 35.37)
(129.56, 35.41)
{"송정 고등어 포인트",
"송정 낚시배 집합소",
"송정 골드 포인트"}
송정 낚시배 집합소 (128.93, 36.12)
송정 골드 포인트 (130.33, 34.75)
예컨대,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장소 등록 모듈(100)에 의해 제1 해양 포인트 장소(P1)에 대한 제1 장소 명칭(N1)으로 '송정 고등어 포인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고 해당 사용자 단말기(20)의 GPS 위치 좌표가 획득되는 경우, 유사 장소 검출부(142)는 제1 장소 명칭(N1)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장소 명칭에 해당하는 '송정 낚시배 집합소' 및 '송정 골드 포인트'에 각각 대응되는 제2 및 제3 해양 포인트 장소(P2,P3)를 장소 정보 저장부(130)에서 유사 장소로 검출하고, 평균 위치 산출부(144)는 제1 내지 제3 해양 포인트 장소(P1,P2,P3) 각각에 대응되는 GPS 위치 좌표를 장소 정보 저장부(130)에서 추출하여 이에 대한 평균 위도 및 경도를 산출한 결과에 따른 좌표값인 '(129.56, 35.41)'를 평균 위치 좌표로 생성하고, 명칭 집합 생성부(1406)는 제1 장소 명칭(N1)인 '송정 고등어 포인트'와 제2 및 제3 해양 포인트 장소 각각에 대한 장소 명칭인 '송정 낚시배 집합소' 및 '송정 골드 포인트'를 하나의 명칭 집합인 'S = {"송정 고등어 포인트", "송정 낚시배 집합소", "송정 골드 포인트"}'로 그룹화한 후 상기 생성된 평균 위치 좌표와 함께 매칭하여 동일 권역에 속하는 장소들에 대한 집합 정보로 저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소 등록 모듈(100)의 내부 구성으로서 입력 구분 설정부(160), 주변 명칭 추출부(170), 단어 선별부(180) 및 추천 명칭 생성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구분 설정부(160)는 사용자로부터 등록 요청 명령이 수신된 해양 포인트 장소(P)에 대한 위치 특성, 상세 특성 및 유형 특성에 대응하는 복수의 카테고리들을 구분하고 각 카테고리별 분류 명칭 및 배열 순서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들은 해양 포인트 장소의 위치 특성에 대응되는 지리적 지명을 분류하기 위한 제1 카테고리와, 해양 포인트 장소의 상세 특성에 대응되는 어종, 업종 및 기타 중 어느 하나를 분류하기 위한 제2 카테고리와, 해양 포인트 장소의 유형 특성에 대응되는 장소 종류를 분류하기 위한 제3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부(120)는 제1 인터페이스(I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해양 포인트 장소(P)에 대하여 입력 구분 설정부(160)에 의해 기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들에 대한 속성값들을 각각 구분하여 텍스트 형태로 입력받고 이를 기설정된 배열 순서에 따라 조합한 결과값을 해당 장소에 대한 장소 명칭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인터페이스부(110)는 입력 구분 설정부(160)에 의해 기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한 분류 명칭을 표시하고 각 카테고리별 속성값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I1)를 사용자 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입력 구분 설정부(160)는 제1 인터페이스(I1)를 통해 소정 장소에 대한 특성 단어들(위치 특성, 상세 특성, 유형 특성)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들을 구분하고 이에 대한 배열 순서를 설정하는 화면(41)이 사용자 단말기 화면에 표시될 때, 사용자로부터 해당 설정 화면(41)에서 각 카테고리의 분류 명칭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란에 “CL”,“CD”,“CT”를 입력받고, 카테고리별 편집란에 표시된 선택 수정 아이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각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행의 위치를 변경한 결과에 따라 배열 순서를 설정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20)는 제1 인터페이스(I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카테고리 분류명(CL,CD,CT)에 대한 속성값들을 “송정”,“낚시배”,“집합소”로 각각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입력된 속성값들을 기설정된 배열순서(CL -> CD -> CT)에 따라 조합한 결과값인 “송정 낚시배 집합소”를 사용자가 등록 요청한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장소 명칭으로 입력받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120)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해양 포인트 장소(P)에 대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들에 대한 속성값들을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입력받는 경우, 장소 정보 저장부(130)는 상기 입력된 카테고리별 속성값들을 상기 제1 위치에 대응되는 GPS 좌표와 함께 매칭하여 해당 장소(P)에 대한 장소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장소 정보 저장부(130)는 상기 제1 위치의 GPS 정보가 특정 해상 위치에 해당하면 상기 해상 위치에서 가장 인접한 육지의 주소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장소 정보에 추가로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만일 상기 제1 위치에 대한 GPS 좌표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반경 내에 복수 개의 육지의 관심 지점들이 위치하여 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인접 육지 주소가 장소 정보 저장부(130)에 의해 획득되는 경우, 장소 정보 저장부(130)는 장소 특성의 중요도에 따라 기설정된 카테고리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부(120)에 의해 입력된 속성값과 상기 인접 육지 주소에 대응되는 장소 명칭의 속성값을 카테고리별로 상호 비교한 결과, 상기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카테고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속성값을 갖는 경우에 해당하는 상기 인접 육지 주소를 해당 장소 정보에 추가로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장소 정보 관리부(140)는 도 1에 도시된 장소 명칭 관리 장치(10)에 포함되는 장소 정보 관리부(140)와 동일한 특징을 가지는 구성에 해당함에 따라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주변 명칭 추출부(170)는 상기 등록 요청 명령의 수신 시점에 획득한 상기 GPS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장소 명칭을 장소 정보 저장부(130)에 기등록된 복수의 해양 포인트 장소들에 대한 장소 정보들로부터 추출한다.
단어 선별부(180)는 주변 명칭 추출부(170)에 의해 추출된 장소 명칭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속성값들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속성값들 중 가장 많이 중복된 값을 해당 카테고리에 대한 속성 단어로 선별한다.
추천 명칭 생성부(190)는 단어 선별부(180)에 의해 선별된 복수의 속성 단어들 중에서 적어도 둘 이상을 상기 기설정된 배열 순서에 따라 하나의 키워드 단어로 조합한 결과에 대응하는 추천 명칭을 생성한다.
추천 명칭 생성부(190)는 상기 생성된 추천 명칭을 제1 인터페이스(I1)를 통한 사용자의 명칭 입력 화면상에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부(120)에 의해 사용자가 등록 요청한 장소에 대한 장소 명칭이 ‘송정 낚시배 집합소’로 입력될 때, 해당 장소의 GPS 좌표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장소들에 대응하는 장소 명칭들을 주변 명칭 추출부(170)가 추출한 결과가 ‘송정 고등어 포인트’,‘송정 고등어 양식장’,‘송정 골드 포인트’인 경우, 단어 선별부(160)는 상기 추출된 장소 명칭들을 ‘송정 / 고등어 / 포인트’, ‘송정 / 고등어 / 양식장’, ‘송정 / 골드 / 포인트’와 같이 카테고리별 속성값으로 분류하고, 카테고리별로 중복된 횟수를 카운팅한 결과에 따라 ‘송정’을 제1 카테고리(CL)에 대한 속성 단어로 선별하고, ‘고등어’를 제2 카테고리(CD)에 대한 속성 단어로 선별하고, ‘포인트’를 제3 카테고리(CT)에 대한 속성 단어로 선별하게 되고, 추천 명칭 생성부(190)는 상기 선별된 속성 단어들을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조합한 “송정 고등어 포인트”를 추천 명칭으로 생성하여 제1 인터페이스(I1)를 통한 사용자의 명칭 입력 화면(42)에서 해당 장소 명칭(송정/낚시배/집합소)이 입력된 입력란의 아래에 표시하고, 상기 추천 명칭이 복수 개인 경우엔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출력하게 된다.
다음으로, 장소 검색 모듈(2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검색 키워드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해양 포인트 장소 주변에 대한 확장된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장소 검색 모듈(200)은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특정 장소에 대한 검색 요청 명령 및 이에 따른 검색 키워드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입력된 검색 키워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검색을 수행한다.
이와 관련하여, 장소 검색 모듈(200)은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인터페이스부(210), 장소 검색부(220), 검색 회수율 계산부(240) 및 주요 장소 표시부(230)를 포함한다.
제2 인터페이스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전자지도(DM) 상의 특정 장소에 대한 검색 요청 명령 및 이에 따른 검색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I2)를 사용자 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한다.
장소 검색부(220)는 제2 인터페이스(I2)를 통해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장소에 대한 검색 키워드를 입력받아 상기 검색 키워드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장소 명칭에 대응하는 해양 포인트 장소(P)를 검색한다.
장소 검색부(220)는 장소 정보 저장부(130)에 기등록된 복수의 해양 포인트 장소들에 대한 장소 정보들 각각에 대응되는 장소 명칭들을 검색 대상으로 하여 해양 포인트 장소(P)에 대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장소 검색부(220)는 로컬 머신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기(20)의 내부 저장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소 정보가 기저장된 경우라면, 해당 단말기(20)의 내부 저장 공간 또는 장소 정보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해양 포인트 장소들에 대한 장소 정보들 각각에 대응되는 장소 명칭들을 검색 대상으로 하여 해양 포인트 장소(P)에 대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검색 회수율 계산부(240)는 기등록된 복수의 해양 포인트 장소들이 각각 장소 검색부(220)에 의한 검색 결과로 출력된 횟수와 대비하여 해당 장소가 상기 검색 결과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횟수를 나타내는 검색 회수율을 소정 주기마다 계산한다.
주요 장소 표시부(230)는 검색 회수율 계산부(240)에 의해 계산된 검색 회수율이 높은 순서대로 기설정된 개수의 상기 해양 포인트 장소들에 대응되는 장소 명칭들을 선별한다.
주요 장소 표시부(230)는 상기 선별된 장소 명칭들을 전자지도(DM) 상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여 제2 인터페이스(I2)를 통한 상기 검색 요청 명령이 수신되기 전까지 사용자 단말기(20)의 화면에 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기설정된 개수가 3개일 때, 검색 회수율 계산부(240)에 의해 계산된 검색 회수율이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로 높은 해양 포인트 장소들 각각에 대한 장소 명칭이 '석이 아버지 양식장', '송정 낚시배 모임터', '송정 파출소 앞바다'인 경우, 주요 장소 표시부(230)에서는 각 장소에 대응되는 지도상의 위치에 해당 장소 명칭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하게 된다.
검색 결과 표시부(300)는 장소 검색부(220)에 의한 검색 결과에 따른 각각의 해양 포인트 장소(P)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장소 명칭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전자지도(DM) 상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기(20)의 화면에 출력한다.
검색 결과 표시부(300)는 특정 장소의 위치가 해상에 해당하여 이에 가장 인접한 육지의 주소 정보가 장소 등록 모듈(100)에 의해 해당 장소 정보로 함께 저장된 경우, 장소 검색부(220)에 의한 검색 결과에 따른 각각의 해양 포인트 장소(P)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장소 명칭 및 인접 육지 주소에 각각 해당하는 텍스트를 전자지도(DM) 상의 해당 장소 위치 주변에 상호 구분되도록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검색 키워드로 '송정 고등어 포인트'를 입력한 경우(61), 장소 검색부(220)에 의해 상기 입력된 검색 키워드와 동일한 장소 명칭에 대한 장소 정보가 검색되면, 검색 결과 표시부(300)는 상기 검색된 장소 정보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GPS 위치 좌표(63)(위도: 129.42, 경도: 35.37), 명칭 집합(64)("송정 낚시배 집합소", "송정 골드 포인트"), 인접 육지 주소(65)(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해변로 1-X)에 대한 정보를 해당 장소 위치(62) 주변에 구분되도록 표시하게 된다.
검색 결과 표시부(300)는 상기 검색 결과에 따른 복수의 해양 포인트 장소들 각각에 대한 장소 정보 중 일부(미공개 대상)가 로컬 머신에 저장되고 나머지(공개 대상)는 검색 서버에 저장된 경우, 로컬 머신에 저장된 장소 정보를 우선적으로 표시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안 지역에서의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명칭 및 위치를 등록하여 이를 이용한 장소 검색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장소 검색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경험이나 직관에 의한 추론을 적용한 휴리스틱 방식에 기반하여 특정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다양한 명칭을 반영하고 해당 장소의 인접 지역까지 확장된 범위를 적용하여 장소 정보로 데이터베이스화함에 따라, 사용자 개개인이 평소 사용하는 명칭을 이용한 직관적인 장소 검색이 가능하여 검색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강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써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장소 명칭 관리 장치 20: 사용자 단말기
100: 장소 등록 모듈 110: 제1 인터페이스부
120: 사용자 입력부 130: 장소 정보 저장부
140: 장소 정보 관리부 142: 유사 장소 검출부
144: 평균 위치 산출부 146: 명칭 집합 생성부
150: 주변 명칭 추천부 160: 입력 구분 설정부
170: 주변 명칭 추출부 180: 단어 선별부
190: 추천 명칭 생성부 200: 장소 검색 모듈
210: 제2 인터페이스부 220: 장소 검색부
230: 주요 장소 표시부 240: 검색 회수율 계산부
300: 검색 결과 표시부

Claims (8)

  1. 복수의 해양 포인트 장소의 위치 및 명칭이 지도상에 표시되는 전자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상기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등록 관리 및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제1 위치에 대응하는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등록 요청 명령을 수신하고 사용자가 해당 장소에 대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장소 명칭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입력된 장소 명칭과 상기 제1 위치의 GPS 정보를 해당 장소 정보로 저장 및 등록하는 장소 등록 모듈;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특정 장소에 대한 검색 요청 명령 및 이에 따른 검색 키워드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입력된 검색 키워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장소 검색 모듈;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따른 각각의 상기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장소 명칭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상기 전자지도상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검색 결과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 등록 모듈은,
    상기 전자지도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등록 요청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장소에 대한 장소 명칭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장소 명칭을 텍스트 형태로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등록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등록 요청 명령을 전송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GPS 위치 좌표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입력받은 장소 명칭과 매칭하여 해당 장소 정보로 저장하는 장소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 검색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자지도상의 특정 장소에 대한 검색 요청 명령 및 이에 따른 검색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장소에 대한 검색 키워드를 입력받아 상기 검색 키워드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장소 명칭에 대응하는 상기 해양 포인트 장소를 검색하는 장소 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 등록 모듈은,
    제1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한 제1 장소 정보로서 제1 장소 명칭 및 제1 위치 좌표가 매칭 저장되어 등록될 때, 상기 제1 해양 포인트 장소와 인접한 위치에 동일 또는 유사한 장소 명칭으로 기등록된 유사 장소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유사 장소에 대응하는 장소 정보와 상기 제1 장소 정보를 그룹화한 집합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장소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 정보 관리부는,
    기등록된 복수의 해양 포인트 장소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장소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 장소 명칭과 동일 또는 유사한 명칭을 가지는 경우에 대응하는 상기 해양 포인트 장소에 해당하는 유사 장소를 검출하는 유사 장소 검출부;
    상기 제1 위치 좌표와 상기 검출된 유사 장소에 대응되는 상기 위치 좌표에 대한 평균 위도 및 경도를 산출한 결과에 따른 평균 위치 좌표를 생성하는 평균 위치 산출부; 및
    상기 제1 장소 명칭과 상기 유사 장소에 대응되는 장소 명칭을 하나의 명칭 집합으로 그룹화한 후 상기 생성된 평균 위치 좌표와 함께 매칭하여 해당 집합 정보로 저장하는 명칭 집합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 등록 모듈은,
    상기 등록 요청 명령의 수신 시점에 획득한 상기 GPS 위치 좌표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장소 명칭을 추출한 결과를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명칭 입력 화면상에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출력하는 주변 명칭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 등록 모듈은,
    상기 제1 위치의 GPS 정보가 특정 해상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해상 위치에서 가장 인접한 육지의 주소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상기 입력된 장소 명칭과 상기 제1 위치의 GPS 정보와 함께 매칭하여 해당 장소 정보로 저장하는 것이고,
    상기 검색 결과 표시부는,
    상기 검색 결과에 따른 각각의 상기 해양 포인트 장소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장소 명칭 및 인접 육지 주소에 각각 해당하는 텍스트를 상기 전자지도상의 상기 제1 위치 주변에 상호 구분되도록 표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 검색 모듈은,
    기등록된 복수의 해양 포인트 장소들이 각각 상기 검색 결과로 출력된 횟수와 대비하여 해당 장소가 상기 검색 결과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횟수를 나타내는 검색 회수율을 소정 주기마다 계산하는 검색 회수율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검색 회수율이 높은 순서대로 기설정된 개수의 상기 해양 포인트 장소들에 대응되는 장소 명칭들을 선별하고 이를 상기 전자지도상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여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검색 요청 명령이 수신되기 전까지 출력하는 주요 장소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
KR1020220033260A 2022-03-17 2022-03-17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 KR202301358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260A KR20230135816A (ko) 2022-03-17 2022-03-17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260A KR20230135816A (ko) 2022-03-17 2022-03-17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816A true KR20230135816A (ko) 2023-09-26

Family

ID=88191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260A KR20230135816A (ko) 2022-03-17 2022-03-17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581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710B1 (ko) 2002-02-19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운전자가 원하는 관심지점 정보 및 주행경로를 등록할 수있는 차량항법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중앙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방법
KR101142984B1 (ko) 2009-05-28 2012-05-08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장소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제공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710B1 (ko) 2002-02-19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운전자가 원하는 관심지점 정보 및 주행경로를 등록할 수있는 차량항법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중앙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방법
KR101142984B1 (ko) 2009-05-28 2012-05-08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장소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제공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75216B (zh) 坐标纠错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US8954561B2 (en)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search results based on density
US8938446B2 (en)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search results based on arbitrary queries
CN106681996B (zh) 确定地理范围内兴趣区域、兴趣点的方法和装置
US9171011B1 (en) Building search by contents
JP2016152044A (ja) 目標位置を確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6991185A (zh) Ota网站的酒店经纬度信息维护方法及系统
CN103250151B (zh) 信息管理服务器、信息管理方法
US8843480B2 (en) Server, information-management method, information-management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said program recorded thereon, for managing information input by a user
US20070123270A1 (en) Mobile device product locator
CN110321095B (zh) 用于显示航线信息的终端、系统及方法
CN107092623A (zh) 一种兴趣点查询方法及装置
CN107430631A (zh) 从位置报告确定语义地点名称
US8655883B1 (en) Automatic detection of similar business updates by using similarity to past rejected updates
Cetl et al. A comparison of address geocoding techniques–case study of the city of Zagreb, Croatia
KR20010105569A (ko) 3차원 부동산 지도정보 인터넷 서비스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서비스방법
CN114792111A (zh) 一种数据获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754266A (zh) 认证信息图像显示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05845020A (zh) 一种实景地图制作方法及装置
KR20190029412A (ko) 네트워크를 통한 오프라인 매장 정보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Yamamoto et al. On-demand generalization of road networks based on facility search results
KR20170000287A (ko) 지오 태깅 방법, 지오 태깅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매체
EP3150962A1 (en) Indexing and searching of a second soi object with respect to a first soi object
KR20230135816A (ko) 휴리스틱 기반의 장소 명칭 관리 장치
JP5358290B2 (ja) 対象物検索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