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760A - 개량된 단선구조를 갖는 전류퓨즈와, 이를 이용한 고압 퓨즈성형체 - Google Patents

개량된 단선구조를 갖는 전류퓨즈와, 이를 이용한 고압 퓨즈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760A
KR20230135760A KR1020220033127A KR20220033127A KR20230135760A KR 20230135760 A KR20230135760 A KR 20230135760A KR 1020220033127 A KR1020220033127 A KR 1020220033127A KR 20220033127 A KR20220033127 A KR 20220033127A KR 20230135760 A KR20230135760 A KR 20230135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terminal pin
current
insertion end
insulat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1886B1 (ko
Inventor
이율우
Original Assignee
이율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율우 filed Critical 이율우
Priority to KR102022003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886B1/ko
Priority to CN202310216618.0A priority patent/CN116779395A/zh
Publication of KR20230135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8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74Switches in which only the opening movement or only the closing movement of a contact is effected by heating or cooling
    • H01H37/76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 H01H37/761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with a fusible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된 단선구조를 갖는 전류퓨즈와, 이를 이용한 고압 퓨즈성형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정값 이상의 전류가 인가되면 단선하여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퓨즈와, 상기 전류퓨즈를 포함하여 설정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면 회로를 단선하여 고압 DC 전류가 회로에 인가되는 현상을 차단하여 고압 DC 전류에 의한 회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고압 퓨즈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량된 단선구조를 갖는 전류퓨즈와, 이를 이용한 고압 퓨즈성형체{Current fuse having an improved disconnection structure and a high pressure fuse molded bod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개량된 단선구조를 갖는 전류퓨즈와, 이를 이용한 고압 퓨즈성형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정값 이상의 전류가 인가되면 단선하여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퓨즈와, 상기 전류퓨즈를 포함하여 설정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면 회로를 단선하여 고압 DC 전류가 회로에 인가되는 현상을 차단하여 고압 DC 전류에 의한 회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고압 퓨즈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온도 퓨즈는, 온도 용융성 차단기(cutout)이라고도 하며, 보통 열을 발생하는 경향의 전자기기에 탑재된다.
상기 기기의 고장, 열의 발생 그리고 이상 온도를 초과할 때, 상기 온도 퓨즈는 자동으로 용융되어 화재로부터 전자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전원 공급 장치를 차단한다.
최근에, 상기 온도 퓨즈는 전기밥솥, 전기다리미, 전기난로 등 가열을 주요 기능으로 하는 대부분의 가전제품에 탑재된다. 내부 부품(internal parts)이 동작하지 않을때,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기기의 더 심각한 손상을 방지하는 온도 퓨즈에 의해 제때 차단될 수 있어, 화재원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온도 퓨즈는 평상시 동작에서 낮은 저항, 작은 전원 손실 및 낮은 표면 온도를 갖고, 단지 상기 전자 기기가 고장으로 비정상적인 온도를 발생하는 경우 전원 공급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온도 퓨즈는 온도범위가 온도 퓨즈 위치에서 온도 퓨즈 내부의 가용(可鎔, fusible) 합금 와이어의 용융온도에 도달했을 때 전원 공급 회로의 내에서 과열 보호의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전기 자동차 등 고압 DC 전류를 인가하는 전기·전자장치들이 급속히 보급되고 있으며, 상기 장치들은 고압 DC 전류를 통해 히터 등의 각종 전기 전자부품들을 동작하도록 구성된 관계로, 전기 안전성에 있어 온도퓨즈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예컨대, 주변부의 가열이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전자부품에 지속적으로 고압의 DC 전류가 인가될 경우에 해당 전자 전자부품의 전기적인 손상이 야기되고, 또 심화될 경우에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야기될 수도 있다.
그런데, 종래 단순히 이격된 리드단자와 리드단자 사이에 가용 합금선을 배치한 형태의 온도퓨즈는 AC 전류나 저압의 DC 전류를 통전할 경우에, 주변부의 가열에 의해 이격된 리드단자 사이에 형성된 가용 합금선이 단선되어서 가용 합금선을 따라 통전하는 해당 전류가 더 이상 회로에 인가되지 아니하므로, 주변부의 이상 가열시 회로의 전기적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400V 이상 고압 DC 전류인 경우에, 주변부의 가열에 의해 리드단자와 리드단자 사이에 형성된 가용 합금선이 폭발하면서 화염이나 파편을 발생하면서 단선하는 현상이 발생되고, 특히 가용 합금선이 용융하여 단선된 후에도 400V 이상의 고압 DC 전류가 단선된 리드 단자와 리드 단자 사이에 아크 형태로 방전하여 통전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즉, 고전압 레벨이 400V 또는 그 이상의 직류전류 회로에서, 종래 온도 퓨즈의 가용 합금선의 용융 과정 동안에 상기 용융 합금선의 수축 속도는 느리고, 두 리드의 사이 간격은 매우 짧으며, 아크가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제시간 내에 회로를 차단할 수 없다. 상기 회로는 고온 연소와 함께 아크의 발생에 기인하여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전압 레벨이 400V 또는 그 이상인 직류전류 회로에 사용되는 현존하는 온도 퓨즈는 제시간 내에 보호 회로를 차단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문제들을 유발한다.
그리고, 상기 단선된 리드단자 사이로 아크 방전 형태로 통전되는 고압의 고압 DC 전류에 의해 회로나 전자·전기 부품의 전기적 손상이 지속적으로 야기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당분야에서는 주변부의 가열에 의해 저압 뿐 아니라 고압의 DC 전류를 안전하게 차폐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온도퓨즈의 개발 및 보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825866 B1 KR 10-1116087 B1 US 04948828 A US 04952900 A CN 2513223 Y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설정값 이상의 전류가 인가되면 저항 퓨즈선이 단선하여 전류를 차단함에 있어 저항 퓨즈선의 충분한 단선길이를 확보하여 전류의 안정적인 차폐가 가능한 전류퓨즈를 제공함에 있고,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전류퓨즈를 포함하여 주변부의 가열에 의해 가용 합금선의 단선과정에 순간적인 폭발과 화염과 파편의 발산을 억제하고, 특히 단선된 리드단자 사이에 고압의 DC 전류가 코로나 방전 형태로 통전되는 현상을 차단하여 고압의 DC전류에 의한 회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 성형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단선구조를 갖는 전류퓨즈는,
절연튜브와;
상기 절연튜브의 중공부의 삽입단을 삽입하여 절연튜브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제 1 단자핀과;
상기 절연튜브의 중공부에 삽입단을 삽입하여 절연튜브의 타측부에 형성되며, 제 1 단자핀의 삽입단과 이격되는 제 2 단자핀; 및
상기 제 1 단자핀의 삽입단에 일단을 고정하고, 제 2 단자핀의 삽입단에 타단을 고정하여 제 1 단자핀과 제 2 단자핀을 통전구조로 연결하며, 상기 전열튜브의 외경에 외장하여 배치되는 저항 퓨즈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튜브의 중공부에는 충진 접착제가 충진되어 절연튜브의 중공부 내에 삽입된 제 1 단자핀의 삽입단과 제 2 단자핀의 삽입단은 충진 접착제를 통해 절연튜브의 중공부에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항 퓨즈선이 형성된 절연튜브의 외경에는 수축튜브가 덧씌워져, 상기 수축튜브에 의해 단선과정에 저항 퓨즈선에 외부공기가 차폐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압 퓨즈성형체는,
수납공간을 갖는 절연 케이스와;
상기 절연 케이스의 수납공간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리드단자와;
상기 절연 케이스의 수납공간 타측에 배치되며, 제 1 리드단자와 이격되는 제 2 리드단자와;
상기 이격된 리드단자들 사이에 배치되어 수납공간 내에 수납되며, 리드단자들 사이의 통전경로를 형성하며, 설정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용융하여 단선되는 가용 합금선을 포함하는 온도퓨즈와;
상기 이격된 리드단자들 사이에 온도퓨즈와 병렬구조로 배치되어 수납공간 내에 수납되어서 리드단자들 사이의 통전경로를 형성하며, 과전류에 의해 단선되는 가용 합금선을 갖는 전류퓨즈와;
상기 절연 케이스의 수납공간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류퓨즈는 절연튜브와; 상기 절연튜브의 중공부의 삽입단을 삽입하여 절연튜브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제 1 단자핀과; 상기 절연튜브의 중공부에 삽입단을 삽입하여 절연튜브의 타측부에 형성되며, 제 1 단자핀의 삽입단과 이격되는 제 2 단자핀; 및 상기 제 1 단자핀의 삽입단에 일단을 고정하고, 제 2 단자핀의 삽입단에 타단을 고정하여 제 1 단자핀과 제 2 단자핀을 통전구조로 연결하며, 상기 전열튜브의 외경에 외장하여 배치되는 저항 퓨즈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류퓨즈는, 제 1 단자핀과 제 2 단자핀을 중공부에 인입한 절연튜브의 외경에 제 1 단자핀과 제 2 단자핀을 통전하는 전류 퓨즈선을 길이방향으로 외장하여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전류퓨즈는 전류 퓨즈선의 충분한 단선거리를 확보하면서도 전류퓨즈의 총길이의 단축이 가능하므로, 전류퓨즈의 소형화가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고압 퓨즈성형체는 상기 전류퓨즈와 온도퓨즈를 병렬구조로 배치하여, 고압의 DC 전류를 통전하고 또 설정 용융온도 이상의 온도에 도래하면, 용융 단선되는 온도퓨즈의 가용 합금선이나 전류퓨즈의 제 1 단자핀과 제 2 단자핀 사이로 고압의 DC 전류가 방전하여 통전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결과적으로 고압의 DC전류에 의한 회로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단선구조를 갖는 전류퓨즈의 전체 구성과, 과전류에 의한 전류퓨즈의 순차적인 단선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압 퓨즈성형체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압 퓨즈 성형체를 구성하는 온도퓨즈와 전류퓨즈의 순차적인 단선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단선구조를 갖는 전류퓨즈와, 이를 이용한 고압 퓨즈성형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단선구조를 갖는 전류퓨즈의 전체 구성과, 과전류에 의한 전류퓨즈의 순차적인 단선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압 퓨즈성형체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압 퓨즈 성형체를 구성하는 온도퓨즈와 전류퓨즈의 순차적인 단선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개량된 단선구조를 갖는 전류퓨즈(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핀(10)과, 상기 제 1 단자핀(10)과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 2 단자핀(20), 그리고 제 1 단자핀(10)과, 제 2 단자핀(20) 사이를 통전구조로 연결하여 설정 이상의 전류에 의해 단선되는 전류 퓨즈선(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단자핀(10)과, 제 2 단자핀(20), 및 전류 퓨즈선(30)의 규격화된 조립과 함께, 제 1 단자핀(10)과 제 2 단자핀(20)을 통전하는 전류 퓨즈선(30)은 충분한 단선거리를 확보하여서 단선에 따른 신뢰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상기 전류 퓨즈선(30)은 단선거리가 짧은 경우에 제대로 단선되지 아니하거나 단선되더라도 제 1 단자핀(10)과 제 2 단자핀(20)을 통해 고압 DC 전류가 통전상태를 형성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나, 긴 제 1 단자핀(10)과 제 2 단자핀(20)이 근접되더라도 전류 퓨즈선(30)의 단선거리를 길게 형성하면 제 1 단자핀(10)과 제 2 단자핀(20) 사이로 고압 DC 전류가 통전되는 현상이 예방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길이의 전열튜브(40)를 부가하여, 상기 절연튜브(40)를 통해 제 1 단자핀(10)과, 제 2 단자핀(20), 및 전류 퓨즈선(30)의 규격화되게 배치한다.
이를 상술하자면, 상기 전류 퓨즈선(30)의 일단부가 이음된 제 1 단자핀(10)의 삽입단(11)을 절연튜브(40)의 일단부에 삽입하고, 상기 전류 퓨즈선(30)의 타단부가 이음된 제 2 단자핀(20)의 삽입단(21)을 절연튜브(40)의 타단부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 1 단자핀(10)의 삽입단(11)과 제 2 단자핀(20)의 삽입단(21)이 삽입되는 절연튜브(40)의 중공부(41) 내에는 에폭시 수지 등의 각종 접착수지나, 무기물 충진제로 이루어진 충진 접착제(50)를 충진하여, 상기 제 1 단자핀(10)의 삽입단(11)과 제 2 단자핀(20)의 삽입단(21)은 충진 접착제(50)에 의해 절연구조로 고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자핀(10)과 제 2 단자핀(20) 사이에 형성되는 전류 퓨즈선(30)은 절연튜브(40)의 중공부(41)를 관통하지 아니하고, 상기 절연튜브(40)의 외경면을 길이방향으로 외장되게 배치하여서 제 1 단자핀(10)과 제 2 단자핀(20) 사이를 통전구조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전류 퓨즈선(30)이 형성된 절연튜브(40)의 외경면에는 수축튜브(60)가 덧씌워져, 상기 수축튜브(60)에 의해 전류 퓨즈선(30)의 단선과정에 외부공기가 차폐되어 아크나 화염이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전류 퓨즈선(30)의 단선거리는 절연튜브(40)의 중공부(41)에 삽입된 제 1 단자핀(10)의 삽입단(11)과 제 2 단자핀(20)의 삽입단(21) 사이의 간격에 길이가 한정되지 아니하고, 절연튜브(40)의 외경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므로 충분한 단선거리의 확보가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전류 퓨즈선(30)의 단선에 따른 신뢰성이 확보된다.
특히, 상기 절연튜브(40)의 외경에 전류 퓨즈선(30)을 길이방향으로 외장하여 배치되도록 구성하면, 전류 퓨즈선(30)의 충분한 단선거리를 확보하면서도 제 1 단자핀(10)과 제 2 단자핀(2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전류퓨즈(1)의 총길이 단축이 가능하므로, 전류퓨즈(1)의 소형화가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고압 퓨즈성형체(100)는, 주로 전기 자동차 등 800V 이상의 고압의 DC 전류가 인가되는 히터 회로 등에 배치되어, 주변부가 설정 용융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고압 DC 전류를 차폐하여서, 주변부의 이상가열과 회로의 손상을 방지하는 전기적 안전부품이다.
상기 고압 퓨즈성형체(100)는,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구부(111a)가 형성된 수납공간(111)을 갖는 절연 케이스(110)와; 상기 절연 케이스(110)의 수납공간(111)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리드단자(120)와; 상기 절연 케이스(110)의 수납공간(111) 타측에 배치되며, 제 1 리드단자(120)와 이격되는 제 2 리드단자(130)와; 상기 이격된 리드단자(120, 130)들 사이에 배치되어 수납공간(111) 내에 수납되며, 리드단자(120, 130)들 사이의 통전경로를 형성하며, 설정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용융하여 단선되는 가용 합금선으로 이루어진 온도퓨즈(140)와; 상기 이격된 리드단자(120, 130)들 사이에 온도퓨즈(140)와 병렬구조로 배치되어 수납공간(111) 내에 수납되며, 리드단자(120, 130)들 사이의 통전경로를 형성하며, 과전류에 의해 용융하여 단선되는 전류퓨즈(1)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 케이스(110)는 상부에 개구부(111a)가 형성된 세라믹 성형체로 구성되며, 상기 절연 케이스(110)의 개구부(111a)에는 밀폐 덮개부(113)가 배치되어 수납공간(111)은 밀폐된다.
상기 절연 케이스(110)의 수납공간(111)에는 측벽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구획편(112)이 직립하여 형성되어, 도 5와 같이 상기 절연 케이스(110)의 수납공간(111) 내에는 구획편(112)에 의해 구획된 전류퓨즈 실장부(112a)와 온도퓨즈 실장부(112b)가 형성되어 전류퓨즈(1)와 온도퓨즈(140)가 좌우 분리하여 수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리드단자(120)와 제 2 리드단자(130)에는 한 쌍의 연결단(121, 122, 131, 132)이 각각 형성되어, 이들 연결단(121, 122, 131, 132)들을 통해 제 1 리드단자(120)와 제 2 리드단자(130) 사이에는 전류퓨즈(1)와 온도퓨즈(140)가 각각 병렬구조로 배치되어서, 상기 전류퓨즈(1)는 전류퓨즈 실장부(112a)에 실장되고, 온도퓨즈(140)는 온도퓨즈 실장부(112b)에 분리하여 실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류퓨즈(1)는 설정길이를 갖는 절연튜브(40)와; 상기 절연튜브(40)의 중공부(41)의 일측에 삽입단(21)을 설정길이로 삽입되어 절연튜브(4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단자핀(10)과; 상기 절연튜브(40)의 중공부(41)의 일측에 삽입단(21)을 설정길이로 삽입되어 절연튜브(4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단자핀(20); 및 상기 제 1 단자핀(10)의 삽입단(11)에 일단을 고정하고, 절연튜브(40)의 외경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외장하여 제 2 단자핀(20)의 삽입단(21)에 타단을 고정하여 제 1 단자핀(10)과 제 2 단자핀(20)을 통전구조로 연결하는 저항 퓨즈선(30)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퓨즈가 탑재된다.
그리고, 상기 온도퓨즈(140)를 구성하는 가용 합금선의 표면에는 고온 가열에 의해 용융되는 가용 합금선의 유동성을 증대하는 플럭스층(141)이 형성되며, 상기 전류퓨즈 실장부(112a)와 온도퓨즈 실장부(112b)는 내부덮개(113a)와 외부덮개(113b)로 이루어진 밀폐 덮개부(113)에 의해 외부와 밀폐된다.
이를 상술하자면, 도 4와 도 5a와 같이 상기 내부덮개(113a)를 구획편(112)의 상부에 적층하여 지지된 상태로 배치하여 전류퓨즈 실장부(112a)와 온도퓨즈 실장부(112b)를 1차적으로 밀폐하고, 이후 상기 내부덮개(113a)의 표면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여 에폭시 수지층(113c)을 형성한 다음, 상기 에폭시 수지층(113c)에 외부덮개(113b)를 적층하여서, 상기 전류퓨즈 실장부(112a)와 온도퓨즈 실장부(112b)는 내부덮개(113a)와 에폭시 수지층(113c)과 외부덮개(113b)를 통해 다중 밀폐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수납 케이스(110)에 의해 외부 충격이나 간섭에 의해 온도퓨즈(140), 및 전류퓨즈(1)가 물리적으로 끊어지는 현상이 억제되고, 또 온도퓨즈(140)의 용융 단선 과정에 발생되는 화염이나 아크가 외부로 확산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한편, 온도퓨즈(140)의 표면에 형성된 플럭스층(141)이 건조해져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예방된다.
그리하여, 상기 리드단자(120, 130) 사이를 통전하는 고압 DC 전류는 주로 전류퓨즈(1)의 전류 퓨즈선(30) 보다 상대적으로 저항값이 낮은 온도퓨즈(140)의 가용 합금선을 따라 통전되고, 설정온도 이상의 가열에 의해 온도퓨즈(140) 가용 합금선의 용융 단선시에는 전류퓨즈(1)만을 통해 고압 DC 전류가 과통전하여서 가용 합금선의 용융단선에 따른 아크 발생을 억제하면서 회로가 안정되게 단선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류퓨즈(1)의 전류 퓨즈선(30)은 중공부(41)에 제 1 단자핀(10)의 삽입단(11)과 제 2 단자핀(20)의 삽입단(21)을 삽입한 절연튜브(40)의 외경에 길이방향으로 외장하여 형성되어, 충분한 단선거리가 확보되어 제 1 단자핀(10)과 제 2 단자핀(20) 사이로 고압 DC 전류가 통전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가용 합금선으로 이루어진 온도퓨즈(140)와 전류퓨즈(1)를 병렬구조로 형성하면, 상기 가용 합금선(20)의 단선과정에 전류퓨즈를 통해 고압 DC 전류가 우회하여 통전되므로, 가용 합금선이 단선되는 과정에 고압 DC 전류로 인한 순간적인 폭발에 의해 생성된 화염과 파편을 비산되는 현상이 억제된다.
특히, 단선된 리드단자(120, 130) 사이에 고압의 DC 전류가 코로나 방전 형태로 통전되는 현상을 방지되므로, 고압의 DC전류에 의한 회로의 손상이 예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압 퓨즈성형체의 단선과정은, 도 6a의 상태에서 주변부의 온도가 온도퓨즈를 구성하는 가용 합금선의 가용온도에 도달하면, 도 6b와 같이 상기 온도퓨즈는 용융하여 단선되고, 이러한 과정에 상기 온도퓨즈(140)를 통해 통전되는 고압 전류는 전류퓨즈(1)의 전류 퓨즈선(30)을 통해 순간적으로 인가되어, 전류 퓨즈선(30)의 저항발생에 의해 전류 퓨즈선은 도 6c와 같이 단선되어서 고압 전류의 완전한 차단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용 단선되는 온도퓨즈(140)를 따라 흐르는 고압의 직류전류는 온도퓨즈와 병렬구조로 연결된 전류퓨즈(1)에 인가되므로, 고압 및 고전류가 가용 단선되는 가용 합금선의 용융단 사이에 지속적으로 통전하여서 고압 전류가 제대로 차단되지 아니하거나, 화염이나 폭발이 발생되는 현상이 예방된다.
1. 전류퓨즈
10. 제 1 단자핀
11. 삽입단
20. 제 2 단자핀 21. 삽입단
30. 전류 퓨즈선
40. 절연튜브 41. 중공부
50. 충진 접착제 60. 수축튜브
100. 고압 퓨즈성형체
110. 절연 케이스 111. 수납공간
111a. 개구부 112. 구획편
112a. 전류퓨즈 실장부 112b. 온도퓨즈 실장부
113. 밀폐 덮개부 113a. 내부덮개
113b. 외부덮개 113c. 에폭시 수지층
120. 제 1 리드단자 121. 연결단
130. 제 2 리드단자
131. 연결단 132. 연결단
140. 온도퓨즈 141. 플럭스층

Claims (7)

  1. 절연튜브와;
    상기 절연튜브의 중공부의 삽입단을 삽입하여 절연튜브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제 1 단자핀과;
    상기 절연튜브의 중공부에 삽입단을 삽입하여 절연튜브의 타측부에 형성되며, 제 1 단자핀의 삽입단과 이격되는 제 2 단자핀; 및
    상기 제 1 단자핀의 삽입단에 일단을 고정하고, 제 2 단자핀의 삽입단에 타단을 고정하여 제 1 단자핀과 제 2 단자핀을 통전구조로 연결하며, 상기 전열튜브의 외경에 외장하여 배치되는 저항 퓨즈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단선구조를 갖는 전류퓨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튜브의 중공부에는 충진 접착제가 충진되어 절연튜브의 중공부 내에 삽입된 제 1 단자핀의 삽입단과 제 2 단자핀의 삽입단은 충진 접착제를 통해 절연튜브의 중공부에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단선구조를 갖는 전류퓨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퓨즈선이 형성된 절연튜브의 외경에는 수축튜브가 덧씌워져, 상기 수축튜브에 의해 단선과정에 저항 퓨즈선에 외부공기가 차폐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단선구조를 갖는 전류퓨즈.
  4. 수납공간을 갖는 절연 케이스와;
    상기 절연 케이스의 수납공간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리드단자와;
    상기 절연 케이스의 수납공간 타측에 배치되며, 제 1 리드단자와 이격되는 제 2 리드단자와;
    상기 이격된 리드단자들 사이에 배치되어 수납공간 내에 수납되며, 리드단자들 사이의 통전경로를 형성하며, 설정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용융하여 단선되는 가용 합금선을 포함하는 온도퓨즈와;
    상기 이격된 리드단자들 사이에 온도퓨즈와 병렬구조로 배치되어 수납공간 내에 수납되어서 리드단자들 사이의 통전경로를 형성하며, 과전류에 의해 단선되는 가용 합금선을 갖는 전류퓨즈와;
    상기 절연 케이스의 수납공간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퓨즈성형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퓨즈는 절연튜브와; 상기 절연튜브의 중공부의 삽입단을 삽입하여 절연튜브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제 1 단자핀과; 상기 절연튜브의 중공부에 삽입단을 삽입하여 절연튜브의 타측부에 형성되며, 제 1 단자핀의 삽입단과 이격되는 제 2 단자핀; 및 상기 제 1 단자핀의 삽입단에 일단을 고정하고, 제 2 단자핀의 삽입단에 타단을 고정하여 제 1 단자핀과 제 2 단자핀을 통전구조로 연결하며, 상기 전열튜브의 외경에 외장하여 배치되는 저항 퓨즈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퓨즈성형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튜브의 중공부에는 충진 접착제가 충진되어 절연튜브의 중공부 내에 삽입된 제 1 단자핀의 삽입단과 제 2 단자핀의 삽입단은 충진 접착제를 통해 절연튜브의 중공부에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퓨즈성형체.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퓨즈선이 형성된 절연튜브의 외경에는 수축튜브가 덧씌워져, 상기 수축튜브에 의해 단선과정에 저항 퓨즈선에 외부공기가 차폐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퓨즈성형체.
KR1020220033127A 2022-03-17 2022-03-17 개량된 단선구조를 갖는 전류퓨즈와, 이를 이용한 고압 퓨즈성형체 KR102661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127A KR102661886B1 (ko) 2022-03-17 2022-03-17 개량된 단선구조를 갖는 전류퓨즈와, 이를 이용한 고압 퓨즈성형체
CN202310216618.0A CN116779395A (zh) 2022-03-17 2023-03-08 带改进断开结构的电流熔断器和高压熔断器模制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127A KR102661886B1 (ko) 2022-03-17 2022-03-17 개량된 단선구조를 갖는 전류퓨즈와, 이를 이용한 고압 퓨즈성형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760A true KR20230135760A (ko) 2023-09-26
KR102661886B1 KR102661886B1 (ko) 2024-04-26

Family

ID=88012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127A KR102661886B1 (ko) 2022-03-17 2022-03-17 개량된 단선구조를 갖는 전류퓨즈와, 이를 이용한 고압 퓨즈성형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61886B1 (ko)
CN (1) CN116779395A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8828A (en) 1989-01-31 1990-08-14 Cooper Industries, Inc. Asbestos free material for gassing current limiting fuses
US4952900A (en) 1989-12-04 1990-08-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ntrolled seal for an expulsion fus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CN2513223Y (zh) 2001-12-05 2002-09-25 倪学锋 封闭式高压熔断器
JP2004014188A (ja) * 2002-06-04 2004-01-15 Nec Schott Components Corp 保護素子
JP2007035535A (ja) * 2005-07-29 2007-02-08 Nec Schott Components Corp 温度ヒューズを用いた保護装置
KR20160142307A (ko) * 2014-05-07 2016-12-12 샤먼 세트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고전압 직류전류 온도 퓨즈
KR20200106971A (ko) * 2018-04-03 2020-09-15 샤먼 세트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고전압 퓨즈
KR20210078780A (ko) * 2019-12-19 2021-06-29 이율우 차폐 안정성이 확보된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 및 이를 이용한 온도퓨즈 모듈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8828A (en) 1989-01-31 1990-08-14 Cooper Industries, Inc. Asbestos free material for gassing current limiting fuses
US4952900A (en) 1989-12-04 1990-08-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ntrolled seal for an expulsion fus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CN2513223Y (zh) 2001-12-05 2002-09-25 倪学锋 封闭式高压熔断器
JP2004014188A (ja) * 2002-06-04 2004-01-15 Nec Schott Components Corp 保護素子
JP2007035535A (ja) * 2005-07-29 2007-02-08 Nec Schott Components Corp 温度ヒューズを用いた保護装置
KR101116087B1 (ko) 2005-07-29 2012-02-17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보호 장치
KR20160142307A (ko) * 2014-05-07 2016-12-12 샤먼 세트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고전압 직류전류 온도 퓨즈
KR101825866B1 (ko) 2014-05-07 2018-02-05 샤먼 세트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고전압 직류전류 온도 퓨즈
KR20200106971A (ko) * 2018-04-03 2020-09-15 샤먼 세트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고전압 퓨즈
KR20210078780A (ko) * 2019-12-19 2021-06-29 이율우 차폐 안정성이 확보된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 및 이를 이용한 온도퓨즈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886B1 (ko) 2024-04-26
CN116779395A (zh)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7236B2 (en) High-voltage direct-current thermal fuse
KR910008686B1 (ko) 전류차단기
CN105337169B (zh) 一种组合式电涌保护装置
US5463366A (en) Current limiting fuse and dropout fuseholder
KR100560058B1 (ko) 보호소자
US2259053A (en) Limiter
KR102661886B1 (ko) 개량된 단선구조를 갖는 전류퓨즈와, 이를 이용한 고압 퓨즈성형체
US20170222426A1 (en) Surge protection device with an independent chamber comprising a fuse for overcurrent protection
JP2011504282A (ja) 熱的過負荷保護を備えるサージアレスタ
KR102281423B1 (ko) 차폐 안정성이 확보된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 및 이를 이용한 온도퓨즈 모듈
CN110299272A (zh) 一种具有灭弧介质的温度保险丝
KR102512501B1 (ko)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 및 이를 이용한 온도퓨즈 모듈
KR960010104B1 (ko) 금속화된 필름 캐퍼시터
EP3869531B1 (en) High-voltage fusing apparatus
KR101987019B1 (ko) 전력형 온도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GB2126808A (en) Fusible element assembly and a high voltage current limiting fuselink incorporating same
KR20220101805A (ko)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
JPH08250224A (ja) 電源プラグまたはコードにヒューズをつけた電気機具
CN210535433U (zh) 抗工频灭弧封装压敏电阻器
KR20200141822A (ko) 고전압 퓨즈
KR200376480Y1 (ko) 고압전류 제한퓨즈
US7889463B1 (en) Fused lead wire for ballast protection
KR20210081883A (ko) 인버터 보호 소자용 퓨즈 조립체
KR100811416B1 (ko) 온도 감지 와이어가 설치된 백업 한류형 휴즈
KR200142047Y1 (ko) 휴우즈링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