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237A -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 - Google Patents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237A
KR20230135237A KR1020220032435A KR20220032435A KR20230135237A KR 20230135237 A KR20230135237 A KR 20230135237A KR 1020220032435 A KR1020220032435 A KR 1020220032435A KR 20220032435 A KR20220032435 A KR 20220032435A KR 20230135237 A KR20230135237 A KR 20230135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nag
neck
waist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춘
정용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싱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싱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싱쿤
Priority to KR1020220032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5237A/ko
Priority to PCT/KR2022/006943 priority patent/WO2023177014A1/ko
Publication of KR20230135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2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means for concealing or protecting hooks, e.g. to prevent entanglement with we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Abstract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낚싯줄이 묶여 지지되는 바늘목, 바늘목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바늘허리, 일단이 바늘허리로부터 연장되며 타단이 상측을 향하도록 휘어지게 형성되는 바늘굽, 바늘굽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단부에 첨예한 형상의 바늘끝이 형성되는 바늘턱 및 바늘목과 바늘턱 사이에 개재되어 바늘턱에서의 밑걸림을 방지하도록 일측이 바늘끝을 탈착 가능하게 커버하는 밑걸림 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WEEDLESS FISHING HOOK}
본 발명은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싯바늘은 미끼를 끼워 물고기가 미끼와 함께 낚싯바늘을 물어 걸리게 함으로써 물고기를 낚을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낚싯바늘은 낚싯줄이 감겨 묶이는 바늘목, 바늘허리, 바늘굽, 바늘턱, 바늘끝 및 미늘로 구성되며 수중으로 투척 후 미끼 교체, 자리 이동 및 그 밖의 사정으로 인해 수시로 물에서 물밖으로 끌어내야 한다.
이때, 낚싯바늘의 날카로운 바늘턱이 수초나 암초 및 그물 등의 장애물에 걸리는 밑걸림이 발생하여 낚싯줄 및 낚싯바늘 등과 같은 채비가 유실되고 이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는 물론 사용의 큰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낚싯바늘을 투척 시 낚싯바늘이 옷이나 얼굴 등의 신체에 박히게 되면서 피부가 찢어지는 등의 부상이 야기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따라 낚싯바늘의 밑걸림을 사전에 방지하여 채비의 손실, 그에 따른 환경오염 및 현장에서 채비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 등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 및 아이디어의 모색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1997-0004016호(1997.04.25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싯바늘이 수초, 암초 및 그물 등의 장애물에 걸리게 되면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채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낚싯줄이 묶여 지지되는 바늘목, 바늘목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바늘허리, 일단이 바늘허리로부터 연장되며 타단이 상측을 향하도록 휘어지게 형성되는 바늘굽, 바늘굽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단부에 첨예한 형상의 바늘끝이 형성되는 바늘턱 및 바늘목과 바늘턱 사이에 개재되어 바늘턱에서의 밑걸림을 방지하도록 일측이 바늘끝을 탈착 가능하게 커버하는 밑걸림 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이 제공된다.
바늘굽은 일단이 바늘허리로부터 연장되며 타단이 바늘목의 길이 방향 축의 연장선과 접하도록 휘어지게 형성되는 허리굽이 및 일단이 허리굽이로부터 연장되며 타단이 허리굽이의 일단보다 바늘목의 길이 방향 축의 연장선에 가깝게 배치되도록 상측을 향하여 휘어지게 형성되는 턱굽이를 포함할 수 있다.
밑걸림 방지 유닛은 양단이 개방된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밑걸림 방지 유닛의 타측은 바늘목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바늘끝은 밑걸림 방지 유닛의 일측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커버될 수 있다.
바늘허리는 바늘목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고, 밑걸림 방지 유닛은 바늘허리가 인출 가능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밑걸림 방지 유닛은 바늘목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바늘허리와 반대 방향으로 바늘허리보다 바늘목의 길이 방향 축에 가깝게 기울어져 바늘끝을 커버할 수 있다.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은 바늘목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밑걸림 방지 유닛의 밀림, 회전 및 이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방지하는 역방향 미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턱굽이 및 바늘턱은 낚싯줄에 의해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이 견인되는 방향으로부터 비틀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낚싯줄은 바늘목의 외주면에 감겨 지지되고,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은 바늘목의 타단에 형성되어 낚싯줄이 바늘목의 타단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 방지 유닛은 단부가 낚싯줄이 견인되는 방향과 멀어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밑걸림 방지 유닛은 이탈 방지 유닛에서의 밑걸림을 방지하도록 바늘목 및 이탈 방지 유닛을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낚싯바늘이 수초, 암초 및 그물 등의 장애물에 걸리게 되면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채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을 나타난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낚싯줄(10)이 묶여 지지되는 바늘목(110), 바늘목(1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바늘허리(120), 일단이 바늘허리(120)로부터 연장되며 타단이 상측을 향하도록 휘어지게 형성되는 바늘굽(130), 바늘굽(13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단부에 첨예한 형상의 바늘끝(142)이 형성되는 바늘턱(140) 및 바늘목(110)과 바늘턱(140) 사이에 개재되어 바늘턱(140)에서의 밑걸림을 방지하도록 일측이 바늘끝(142)을 탈착 가능하게 커버하는 밑걸림 방지 유닛(160)을 포함하는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은 바늘목(110)과 바늘턱(140) 사이에 개재되는 밑걸림 방지 유닛(160)을 이용하여 바늘목(110)과 바늘턱(140) 사이에 개방된 공간을 폐쇄함으로써 단부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수초, 암초 및 그물 등의 장애물에 자주 걸리는 바늘턱(140)이 장애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즉, 밀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은 바늘턱(140)이 수초, 암초, 및 그물 등과 같은 수중 속에 있을 수 있는 장애물에 걸리는 현상인 밑걸림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낚싯줄(10) 및 낚싯바늘 등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채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낚싯바늘을 투척 시 낚싯바늘이 옷이나 신체 일부에 걸리게 되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바늘목(11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줄(10)이 묶여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낚싯줄(10)은 바늘목(11)의 외주면에 감김으로써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바늘목(110)의 외주면에는 역방향 미늘(112)이 단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후술할 밑걸림 방지 유닛(160)의 타측을 지지함으로써 밑걸림 방지 유닛(160)의 밀림, 회전 및 이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역방향 미늘(112)은 낚싯바늘이 낚싯줄(10)에 의해 견인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밑걸림 방지 유닛(160)이 아래쪽으로 빠질 수 없는 구조일 수 있다.
한편, 바늘목(110)은 밑걸림 방지 유닛(160)의 타측이 지지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밑걸림 방지 유닛(160)의 지지되는 타측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역방향 미늘(112)은 바늘목(110)의 외주면에 한 쌍이 마주하게 형성되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배치는 밑걸림 방지 유닛(160)의 타측이 역방향 미늘(112)에 의해 지지될 시 밑걸림 방지 유닛(160)이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밑걸림 방지 유닛(160)의 사용 수명이 보다 길어질 수 있다.
바늘허리(1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목(1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후술할 바늘굽(130)과 바늘목(11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늘허리(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목(110)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탈 방지 유닛(15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목(110)의 타단에 형성되어 낚싯줄(10)이 바늘목(110)의 타단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탈 방지 유닛(15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목(110)의 단부가 외력에 의해 납작하게 눌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형상에 의해 바늘목(110)에 묶인 낚싯줄(10)이 바늘목(110)의 타단으로 이탈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이탈 방지 유닛(150)에는 낚싯줄(10)이 통과 가능한 구멍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낚싯줄(10)은 이탈 방지 유닛(150)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묶일 수도 있다.
한편, 이탈 방지 유닛(150)은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낚싯줄(10)과 접촉됨으로 인한 낚싯줄(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낚싯줄(10)이 견인되는 방향과 멀어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늘굽(13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바늘허리(120)로부터 연장되며 타단이 상측을 향하도록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늘굽(130)에는 물고기를 유인하기 위해 자연 미끼 또는 인조 미끼가 꿰어져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바늘굽(130)은 일단이 바늘허리(120)로부터 연장되며 타단이 바늘목(110)의 길이 방향 축의 연장선과 접하도록 휘어지게 형성되는 허리굽이(132) 및 일단이 허리굽이(132)로부터 연장되며 타단이 허리굽이(132)의 일단보다 바늘목(110)의 길이 방향 축의 연장선에 가깝게 배치되도록 상측을 향하여 휘어지게 형성되는 턱굽이(1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턱굽이(134)는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의 무게중심이 허리굽이(132) 측으로 배치되도록 일단부터 타단까지의 길이가 허리굽이(132)의 일단부터 타단까지의 길이보다 짧고 허리굽이(132)의 형상과 비대칭을 이룰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허리굽이(1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굽(130)에서 A선 및 B선으로 경계가 나뉠 수 있다.
턱굽이(1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굽(130)에서 A선 및 C선으로 경계가 나뉠 수 있고 턱굽이(134)의 좌우 및 상하 길이는 허리굽이(132)의 좌우 및 상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바늘굽(130)의 이와 같은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속에서 낚싯바늘이 낚싯줄(10)에 의해 견인될 시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의 무게중심이 허리굽이(132)측으로 배치되어 턱굽이(134)측이 상측을 향할 수 있게 하고, 이는 턱굽이(134)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늘턱(140)이 바닥을 향하지 않도록 하여 바늘턱(140)에서의 밑걸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허리굽이(132)는 턱굽이(134)보다 바늘목(110)의 길이 방향 축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어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의 하중은 허리굽이(132)측에 쏠리게 되고 이로 인해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은 낚싯줄(10)에 의해 수중에서 견인될 시 턱굽이(134)가 수면 방향을 바라보게 되어 바늘턱(140)이 바닥에 끌려 장애물이 걸리는 밑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바늘턱(14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굽(13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단부에 첨예한 형상의 바늘끝(14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늘턱(140)은 물고기가 미끼에 유인되어 미끼가 꿰어진 낚싯바늘을 삼킬 시 낚싯바늘이 물고기의 입 주변이나 아가미에 꿰어지도록 낚싯바늘의 일단에 뾰족하게 형성된 것이다.
또한, 턱굽이(134) 및 바늘턱(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어, 농어, 민어 및 우럭 등을 대상어로 하는 바다낚시에서의 챔질 성공확률을 높이기 위해 낚싯줄(10)에 의해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이 견인되는 방향으로부터 비틀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바늘턱(140)의 구조는 상술한 대상어종 이외에도 다양한 어종에 대한 챔질 성공확률을 높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바늘턱(140)의 구조는 본 실시예의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이 견인되는 방향으로 바늘턱(140)이 물고기의 입에 걸리는 것보다 다양한 방향에서 물고기를 낚아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턱굽이(134) 및 바늘턱(140)은 바늘목(110), 바늘허리(120) 및 허리굽이(132)가 일직선상에 놓이는 것으로 보이는 각도에서 좌우로 비틀어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턱굽이(134) 및 바늘턱(140)은 한쪽으로 비틀어져 어떤 상황에서도 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하게 입걸림이 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바늘턱(140)에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턱(140)이 물고기의 입 주변이나 아가미에 걸렸을 시 물고기가 도로 빠져나오는 것을 막기 위한 미늘(14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미늘(144)은 낚시 중에 낚싯바늘에 연결된 미끼가 잘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은 물론 미끼를 먹은 물고기가 낚싯바늘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밑걸림 방지 유닛(16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목(110) 및 바늘턱(140) 사이에 개재되어 바늘턱(140)에서의 밑걸림을 방지하도록 일측이 바늘끝(142)을 탈착 가능하게 커버할 수 있다.
여기서 밑걸림은 낚싯바늘이 낚싯줄(10)에 묶여 견인될 시 바늘턱(140)이 물속의 수초나 암초 따위에 걸리는 현상을 말한다.
일 실시예로, 밑걸림 방지 유닛(16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개방된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밑걸림 방지 유닛(160)의 타측은 바늘목(110)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밑걸림 방지 유닛(160)의 일측은 바늘끝(142)을 탈착 가능하게 커버할 수 있다.
밑걸림 방지 유닛(160)은 바늘목(110)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바늘허리(120)와 반대 방향으로 바늘허리(120)보다 바늘목(110)의 길이 방향 축에 가깝게 기울어져 바늘끝(142)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밑걸림 방지 유닛(1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허리(120)가 인출 가능하도록 관통공(16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밑걸림 방지 유닛(160)은 이탈 방지 유닛(150)에서의 밑걸림을 방지하도록 바늘목(110) 및 이탈 방지 유닛(150)을 커버할 수 있다.
일례로, 밑걸림 방지 유닛(160)은 탄성력을 갖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밑걸림 방지 유닛(160)은 물고기의 입질에 따라 바늘허리(120) 방향으로 구부러져 바늘턱(140)으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다.
한편, 밑걸림 방지 유닛(160)은 발광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야간에도 밑걸림 방지 유닛(160)을 바늘턱(140)에 걸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밑걸림 방지 유닛(160)이 발생시키는 은은한 불빛으로 어초에 숨어있는 물고기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물고기에 대한 유인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밑걸림 방지 유닛(160)은 내부에 발광 물체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물체는 케미라이트와 같은 빛을 내는 낚시용 채비일 수 있으며, 상술한 발광 재질의 밑걸림 방지 유닛(160)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낚싯바늘이 서로 이웃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은 바늘목 연결 유닛(170)에 의해 한 쌍의 바늘목(110)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바늘끝(142)이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하도록 각각의 바늘목(110)이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의 바늘허리(120)는 한 쌍의 낚싯바늘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늘목(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의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은 한 쌍의 낚싯바늘의 바늘끝(142) 사이 각도가 90°정도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바늘허리(120) 및 한 쌍의 바늘목(110)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더블 훅(double hook)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더블 훅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낚싯바늘에는 각각 밑걸림 방지 유닛(160)이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더블 훅 형상의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은 한 쌍의 바늘끝(142)에서의 밑걸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은 한 쌍의 바늘턱(140)이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어종의 물고기에 대하여 여러 방향에서의 입걸림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본 실시예의 구조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향하는 한 쌍의 낚싯바늘에 의해 한 개의 낚싯바늘로 구성되는 실시예보다 바늘턱(140)이 물고기의 입주변에서 약한 부분이 걸려 챔질 도중 빠지는 경우 또는 입이 긴 물고기의 입 라인과 같은 방향으로 입질이 들어와 물고기가 바늘턱(140)에 제대로 걸리지 않는 상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늘목 연결 유닛(170)은 한 쌍의 낚싯바늘 사이에 개재되어 낚싯줄(10)이 감겨 지지될 수 있고,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가 낚싯줄(10)을 견인하는 경우에 낚싯줄(10)이 한 쌍의 낚싯바늘의 대칭 중심에 지지되어 본 실시예의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견인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늘목 연결 유닛(1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한 쌍의 낚싯바늘이 각각 결합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이탈 방지 유닛(150)이 없더라도 안정적으로 낚싯줄(10)을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바늘목 연결 유닛(1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바늘목(110)사이의 거리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리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이탈 방지 유닛(150)이 없더라도 낚싯줄(10)이 바늘목(110)쪽으로 이동하여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더블 훅 형상의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은 종래의 3개의 낚싯바늘의 바늘턱(140)이 120° 각도를 이루는 트레블 훅(treble hook) 형상의 낚싯바늘을 대체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밑걸림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크기를 작게 제작하는 트레블 훅과 달리 밑걸림 방지 유닛(160)을 이용하여 밑걸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낚싯바늘의 크기를 보다 크게 제작할 수도 있다.
먼저, 사용자는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을 사용하기 위해 낚싯줄(10)을 바늘목(110)에 묶어 지지시키고 바늘턱(140)으로 미끼를 끼워 바늘굽(130)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바늘턱(140)에 형성된 미늘(144)은 미끼를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밑걸림 방지 유닛(160)의 타단이 바늘턱(140)을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끼울 수 있으며, 밑걸림 방지 유닛(160)이 바늘턱(140)을 커버한 상태로 낚싯대를 이용하여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을 투척할 수 있다.
이어서, 물고기가 미끼에 유인되어 미끼와 낚싯바늘을 무는 행위인 입질을 하게 되면, 사용자는 이러한 어신을 받아 낚싯대를 채는 동작으로 바늘턱(140)이 물고기의 입 주변이나 아가미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음 낚시를 위하여 잡은 물고기를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에서 뺀 후 다시 물고기를 잡기 위해 미끼를 새로 끼우고, 상술한 단계를 거쳐 낚시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낚시를 종료하는 경우,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100)의 밑걸림 방지 유닛(160)의 타단이 바늘턱(140)에 다시 위치하여 바늘턱(140)을 덮어 보관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낚싯줄
100: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
110: 바늘목
112: 역방향 미늘
120: 바늘허리
130: 바늘굽
132: 허리굽이
134: 턱굽이
140: 바늘턱
142: 바늘끝
144: 미늘
150: 이탈 방지 유닛
160: 밑걸림 방지 유닛
162: 관통공
170: 바늘목 연결 유닛

Claims (10)

  1. 낚싯줄이 묶여 지지되는 바늘목;
    상기 바늘목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바늘허리;
    일단이 상기 바늘허리로부터 연장되며 타단이 상측을 향하도록 휘어지게 형성되는 바늘굽;
    상기 바늘굽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단부에 첨예한 형상의 바늘끝이 형성되는 바늘턱; 및
    상기 바늘목 및 상기 바늘턱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바늘턱에서의 밑걸림을 방지하도록 일측이 상기 바늘끝을 탈착 가능하게 커버하는 밑걸림 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굽은,
    일단이 상기 바늘허리로부터 연장되며 타단이 상기 바늘목의 길이 방향 축의 연장선과 접하도록 휘어지게 형성되는 허리굽이; 및
    일단이 상기 허리굽이로부터 연장되며 타단이 상기 허리굽이의 일단보다 상기 바늘목의 길이 방향 축의 연장선에 가깝게 배치되도록 상측을 향하여 휘어지게 형성되는 턱굽이를 포함하는,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걸림 방지 유닛은 양단이 개방된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밑걸림 방지 유닛의 타측은 상기 바늘목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바늘끝은 상기 밑걸림 방지 유닛의 일측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커버되는,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허리는 상기 바늘목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고,
    상기 밑걸림 방지 유닛은 상기 바늘허리가 인출 가능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밑걸림 방지 유닛은 상기 바늘목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상기 바늘허리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바늘허리보다 상기 바늘목의 길이 방향 축에 가깝게 기울어져 상기 바늘끝을 커버하는,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목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밑걸림 방지 유닛의 밀림, 회전 및 이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방지하는 역방향 미늘을 더 포함하는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턱굽이 및 바늘턱은 상기 낚싯줄에 의해 상기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이 견인되는 방향으로부터 비틀어지게 형성되는,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은 상기 바늘목의 외주면에 감겨 지지되고,
    상기 바늘목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낚싯줄이 상기 바늘목의 타단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 유닛은 단부가 상기 낚싯줄이 견인되는 방향과 멀어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밑걸림 방지 유닛은 상기 이탈 방지 유닛에서의 밑걸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늘목 및 상기 이탈 방지 유닛을 커버하는,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
KR1020220032435A 2022-03-16 2022-03-16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 KR20230135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435A KR20230135237A (ko) 2022-03-16 2022-03-16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
PCT/KR2022/006943 WO2023177014A1 (ko) 2022-03-16 2022-05-13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435A KR20230135237A (ko) 2022-03-16 2022-03-16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237A true KR20230135237A (ko) 2023-09-25

Family

ID=8802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435A KR20230135237A (ko) 2022-03-16 2022-03-16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5237A (ko)
WO (1) WO202317701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016U (ko) 1995-07-10 1997-02-19 정문헌 휴대형 용기 파지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8367A (en) * 1992-07-31 1995-02-14 Theodore B. Rydell Sheath-guard
JP3082548U (ja) * 2001-06-11 2001-12-14 進 田尻 釣り針
KR100755892B1 (ko) * 2005-08-09 2007-09-06 손황 밑걸림방지 루어바늘
KR200440293Y1 (ko) * 2007-01-12 2008-06-09 김선삼 낚시용 채비
KR101723768B1 (ko) * 2016-02-16 2017-04-06 이만흠 낚시바늘의 밑걸림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016U (ko) 1995-07-10 1997-02-19 정문헌 휴대형 용기 파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7014A1 (ko)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1127B1 (en) Soft bait connector for a fishing hook
KR101445486B1 (ko) 루어낚시용 밑걸림 방지캡
JP6857412B2 (ja) 釣り針の根がかり防止装置
KR100702172B1 (ko) 밑 걸림 방지 루어바늘
US3197912A (en) Bait holding fish hook
US20090119972A1 (en) Design fishing hook for bait and lure
US5855089A (en) Pliable fishing lure and planar weedless fish hook
US200602306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ng line and recreational bait fishing
KR100755892B1 (ko) 밑걸림방지 루어바늘
US5884428A (en) Fishing hook apparatus for catch and release fishing
US6105303A (en) Fishing lure
US9420773B2 (en) Swim bait
KR20230135237A (ko) 밑걸림 방지 낚싯바늘
US20140283433A1 (en) Spring-Loaded Fish Hook
US20090113785A1 (en) Fish hook
US3435553A (en) Live bait holders
US2636306A (en) Combined fishhook and live bait cage
US3216143A (en) Fishing lure retrievers
US20130247443A1 (en) Swim Bait
US8826586B1 (en) Fishing rig
US2211064A (en) Fishhook
US20180235200A1 (en) Fishing apparatus
JP3450266B2 (ja) 釣り用仕掛け
US20220346360A1 (en) Fishing hook protectors
US20230263145A1 (en) Fishing lure line attachmen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