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206A - Medical pressure band - Google Patents

Medical pressure b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206A
KR20230135206A KR1020220032014A KR20220032014A KR20230135206A KR 20230135206 A KR20230135206 A KR 20230135206A KR 1020220032014 A KR1020220032014 A KR 1020220032014A KR 20220032014 A KR20220032014 A KR 20220032014A KR 20230135206 A KR20230135206 A KR 20230135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iber
collagen
cor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0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지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탑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탑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탑메드
Priority to KR1020220032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5206A/en
Publication of KR20230135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206A/en

Links

Classifications

    • A61F13/0001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08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13/01017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ynthetic, e.g. polymer based
    • A61F13/0003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34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a property
    • A61F13/01038Flexibility, stretchability or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8Elastic stockings; for contracting aneur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8Yarns or threads for use in medical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87Wound bandages insulating; warmth or cold app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38Wound bandages characterised by way of knitting or wea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9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physical therapy, e.g. cold or 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압박밴드는 원사들이 경편 조직 및 위편 조직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조직으로 제편된 편물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원사들은 심사가 1차 효과사와 2차 효과사에 의해 차례로 2회 커버링되어 있는 더블 커버링 원사이고, 상기 심사는 스판덱스 원사이고, 상기 2차 효과사는 폴리에스터 폴리머인 코어부와 친수성기를 갖는 흡수성 폴리머인 쉬스부가 복합방사되어 있는 코어-쉬스형(Core-sheath type)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압박밴드는 인체에서 배출되는 수분 및 땀을 빨리 흡수 후 확신시킬 수 있어서 우수한 열전도성과 접촉 냉감성을 발현함과 동시에 통기성과 착용감을 향상시켜 준다.
The medical compression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knitted structure in which yarns are knitted with one tissue selected from warp knit tissue and weft knit tissue, and the yarns are covered twice in order by primary effect yarn and secondary effect yarn. It is a double covering yarn, the core is a spandex yarn, and the secondary effect yarn includes a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in which a core part of a polyester polymer and a sheath part of an absorbent polymer having a hydrophilic group are compositely spun. It is characterized by:
The medical compression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quickly absorbing and relieving moisture and sweat discharged from the human body, thereby exhibit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contact cold sensitivity while improving breathability and wearing comfort.

Description

의료용 압박밴드 {MEDICAL PRESSURE BAND}Medical pressure band {MEDICAL PRESSURE BAND}

본 발명은 열전도성 및 접촉 냉감성이 우수한 의료용 압박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종에 의해 생길 수 있는 팔이나 다리의 만성염증에 압박을 가하여 치료하는 부종 치료용 압박밴드 등으로 사용되며, 양호한 탄력성과 함께 우수한 열전도성과 접촉 냉감성을 구비하여 착용감과 통기성이 개선된 의료용 압박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compression band with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contact cold sensitivity. More specifically, it is used as a compression band for the treatment of edema, which applies pressure to treat chronic inflammation of the arms or legs that may be caused by edema. This relates to a medical compression band with improved fit and breathability by provid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contact cold sensitivity along with good elasticity.

이하, 본 발명에서 "더블 커버링" 이라는 용어는 심사(C)를 1차 효과사(E1)로 1차 커버링하여 싱글 커버링사를 제조한 다음, 상기 싱글 커버링사를 2차 효과사(E2)로 2차 커버링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double covering" refers to manufacturing a single covering yarn by first covering the screening (C) with a primary effect yarn (E1), and then covering the single covering yarn with a secondary effect yarn (E2). This means secondary covering.

의료용 압박붕대는 부종에 의해 생길 수 있는 팔이나 다리의 만성염증에 압박을 가해 치료하는 부종 치료용 압박밴드로 사용되거나, 골절환자의 깁스 시술시 골절 환부에 부목을 단 후 감아서 고정시키는 압박밴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A medical compression bandage is used as a compression band to treat edema by applying pressure to chronic inflammation in the arms or legs that may be caused by edema, or is a compression band that is wrapped and fixed after splinting the fractured area during cast treatment for fracture patients. It is used, etc.

히알루론산은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글루쿠론산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화합물로서, 피부, 관절액, 연골, 눈물 등 체내에 존재하는 다당류의 일종이다.Hyaluronic acid is a polymer compound composed of N-acetylglucosamine and glucuronic acid, and is a type of polysaccharide that exists in the body, including skin, joint fluid, cartilage, and tears.

히알루론산은 자신의 무게에 수백배에 해당하는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특성이 있고 점도가 높아 보습작용이 우수하며, 세균의 침입을 차단하는 작용을 하므로 인공눈물, 연골주사제, 상처 조직 재생제 등으로 사용된다.Hyaluronic acid has the property of being able to contain water hundreds of times its own weight, has a high viscosity, has an excellent moisturizing effect, and acts to block bacterial invasion, so it is used in artificial tears, cartilage injections, wound tissue regenerators, etc. It is used as.

특히, 히알루론산은 콜라겐, 엘라스틴과 함께 피부의 진피 조직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으로서 주름개선 및 피부탄력을 유지하는데 핵심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particular, hyaluronic acid is a major component that makes up the dermal tissue of the skin along with collagen and elastin, and is known to play a key role in improving wrinkles and maintaining skin elasticity.

한편, 피부 미용 분야에서 주름 개선 등의 시술에 사용되는 필러는 노화에 의해 줄어드는 성분을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 과거에는 실리콘 등의 외부 물질을 주로 이용하였으나 과도한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등의 각종 부작용이 있어 최근에는 체내에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성분으로서 생분해성,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히알루론산 필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Meanwhile, fillers used in procedures such as wrinkle improvement in the skin care field are intended to supplement ingredients lost due to aging. In the past, external substances such as silicon were mainly used, but they had various side effects such as causing excessive immune responses. Recently, hyaluronic acid filler, which is a fundamental ingredient in the body and is biodegradable and biocompatible, has been widely used.

콜라겐은 인체내에서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에 의해 만들어지며, 체내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결합 조직(connective tissue)의 주성분으로, 뼈, 피부, 관절, 각종 장기의 막, 모발 등 우리 몸 전체에 분포하고 있는 섬유상 단백질이다. 아울러, 중추 및 말초신경의 액손 주위에도 많은 콜라겐이 존재한다.Collagen is produced by fibroblasts in the human body and is the main component of connective tissue most commonly found in the body. It is distributed throughout our body, including bones, skin, joints, membranes of various organs, and hair. It is a fibrous protein. In addition, a lot of collagen exists around the axons of central and peripheral nerves.

체내에 존재하는 콜라겐 하이드로겔은 조직 부위에 따라 그 기능과 역할이 조금씩 다르므로, 부위별 콜라겐 하이드로겔의 콜라겐 농도와 배향 정도는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뼈는 배향된 콜라겐 섬유 사이에 마이크로/나 노결정의 미네랄이 자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Since collagen hydrogels present in the body have slightly different functions and roles depending on the tissue area, the collagen concentration and degree of orientation of the collagen hydrogels in each area are different. For example, bones are characterized by a structure in which micro/nanocrystalline minerals are located between oriented collagen fibers.

이러한 콜라겐은 섬유상 고체로 다세포 동물에 널리 분포하고 천여 개의 아미노산이 모여 가늘고 긴 띠의 형상을 갖는 구조 단백질이다. 시판 중인 콜라겐은 대부분 물고기, 돼지 또는 소 등의 동물 조직에서 추출한 이종 콜라겐으로, 용도에 따라서 필요한 경우 효소를 사용하여 텔로펩타이드를 제거한 아텔로 콜라겐(Atelo collagen)을 사용하기도 한다.Collagen is a fibrous solid that is widely distributed in multicellular animals and is a structural protein made up of over a thousand amino acids to form a long, thin band. Collagen on the market is mostly heterogeneous collagen extracted from animal tissues such as fish, pigs, or cows. Depending on the use, Atelo collagen, in which telopeptides have been removed using enzymes, is sometimes used, if necessary.

콜라겐은 생분해성 및 생체적합성 소재로 창상피복재, 조직수복재, 피부이식재, 뼈이식재, 세포배양 등 의료용 재료로 널리 이용될 뿐만 아니라 수분의 흡수와 방출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많은 화장품에 수분 보충제로서 사용되고 있다.Collagen is a biodegradable and biocompatible material that is widely used as a medical material such as wound dressing, tissue repair, skin graft, bone graft, and cell culture. It is also used as a moisture supplement in many cosmetics because it can absorb and release moisture. .

또한 피부에서 콜라겐이 부족하거나 노화되면 피하근육의 위축으로 탄력과 윤기가 없어지고 기미, 주름, 검버섯 등이 생기며, 뼈에서 콜라겐이 부족하면 뼈가 약해지고 골다공증, 관절염, 관절통, 부종 등의 발생 위험이 높아 지며, 혈관에서 콜라겐이 부족하게 되면 동맥경화, 괴혈병 등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연 유로 콜라겐은 건강보조식품, 치료제 및 화장품 등에서도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In addition, when collagen is lacking in the skin or when the skin ages, elasticity and luster are lost due to atrophy of the subcutaneous muscles, and blemishes, wrinkles, and age spots appear. If collagen is lacking in the bones, the bones become weak and there is a risk of developing osteoporosis, arthritis, joint pain, and swelling. It is reported that a lack of collagen in blood vessels causes arteriosclerosis and scurvy. For this reason, collagen is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including health supplements, treatments, and cosmetics.

콜라겐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천연 상태에서 추출된 콜라겐을 해당 용도에 부합되도록 가공하여 물성을 조절해야 한다. 종래에는 무세포진피를 동결건조한 후 제품으로 가공하였는데, 이는 많은 비용이 들고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동결건조 처리된 무세포진피를 후공정을 통하여 파우더로 제조하려고 할 때 분쇄되기 어려운 성질 등으로 인하여 용도가 많은 섬유로 만들기에는 큰 어려움이 있었다.In order to use collagen for various purposes, collagen extracted from its natural state must be processed to suit the corresponding purpose and its physical properties must be adjusted. Conventionally, acellular dermis was freeze-dried and then processed into products, but this process had the problem of high cost and low productivity. In particular, when trying to manufacture freeze-dried acellular dermis into powder through a post-process, it was difficult to grind, etc. Because of this, there was great difficulty in making it into a fiber with many uses.

종래 의료용 압박붕대로는 심사인 스판덱스 원사가 효과사인 나일론 6 원사 또는 나일론 66 원사로 커버링되어 있는 커버링 원사로 직조된 편물 또는 직물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상기 종래 의료용 압박붕대는 인체에서 배출되는 땀을 빨리 흡수 후 확산시키는 기능이 떨어져서 열전도성 및 접촉 냉감성이 불량하였고, 그로 인해 통기성 및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As a conventional medical compression bandage, a knitted fabric or fabric woven with covering yarns in which spandex yarns are effective yarns or nylon 66 yarns has been widely used. However, the conventional medical compression bandages are used to absorb sweat discharged from the human body. The ability to quickly absorb and then diffuse was poor, resulting in poor thermal conductivity and poor contact cold sensitivity, which resulted in poor breathability and wearing comfort.

한편, 또 다른 종래 의료용 압박붕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2009호에서는 가연사(DTY 원사 : Draw Textured Yarn)로 직조된 직물 형태의 의료용 압박붕대를 게재하고 있으나, 상기 종래 의료용 압박붕대의 경우 피부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스판덱스 원사(고무사)를 사용하지 않고도 어느 정도 탄력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있지만, 탄력성이 다소 부족함과 동시에 인체에서 배출되는 땀을 빨리 흡수 후 확산시키는 기능이 떨어져서 열전도성 및 접촉 냉감성이 불량한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as another conventional medical compression bandag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52009 discloses a medical compression bandage in the form of fabric woven with draw textured yarn (DTY yarn: Draw Textured Yarn), but the conventional medical compression bandage is Although it has the effect of gaining a certain degree of elasticity without using spandex yarn (rubber yarn), which can cause skin diseases, it lacks elasticity and at the same time has a poor ability to quickly absorb and diffuse sweat released from the human body, resulting in thermal conductivity. And there was a problem of poor contact cooling sensitivity.

또 다른 종래 의료용 압박붕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12625호에서는 표면사와 이면사 사이에 쿠션사를 반복으로 삽입한 경편지인 의료용 쿠션붕대를 게재하고 있으나, 인체에서 배출되는 땀을 빨리 흡수 후 확산시키는 기능이 떨어져서 열전도성 및 접촉 냉감성이 불량한 문제가 있었다.As another conventional medical compression bandag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12625 discloses a medical cushion bandage, which is a light fabric with cushion threads repeatedly inserted between the surface yarns and the back yarns, but quickly absorbs sweat discharged from the human body. There was a problem with poor thermal conductivity and poor contact cold sensitivity due to poor diffusion function.

한국등록특허, KR 제10-0993600호, "의료용 쿠션붕대의 제조방법 및 그 쿠션붕대", (등록일 2010년 11월 4일)Korean registered patent, KR No. 10-0993600, “Manufacturing method of medical cushion bandage and cushion bandage”, (registration date: November 4, 2010)

본 발명의 과제는 양호한 탄력성을 구비하면서 인체에서 배출되는 수분 및 땀을 빨리 흡수 후 확산시킬 수 있어서 열전도성 및 접촉 냉감성, 통기성 및 착용감이 우수한 의료용 압박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al compression band that has good elasticity and is capable of quickly absorbing and diffusing moisture and sweat discharged from the human body, thereby providing excellent heat conductivity, contact cold sensitivity, breathability, and wearing comfort.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심사인 스팍덱스 원사에 1차 효과사와 2차 효과사가 차례로 커버링되어 있는 더블 커버링 원사로 직조된 직물 또는 편물로 의료용 압박밴드를 제조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task,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s a medical compression band using a fabric or knitted fabric woven with a double covering yarn in which the primary effect yarn and the secondary effect yarn are sequentially covered with the core Spakdex yarn.

이때, 상기 2차 효과사로는 폴리에스터 폴리머인 코어부와 친수성기를 갖는 흡수성 폴리머인 쉬스부가 복합방사되어 있는 코어-쉬스형(Core-sheath type) 복합섬유가 포함된 원사를 사용하고, 상기 1차 효과사로는 상기 코어-쉬스형(Core-sheath type)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원사를 사용할 수도 있고, 나일론 6 원사 또는 나일론 66 원사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ary effect yarn is a yarn containing a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in which a core part of a polyester polymer and a sheath part of an absorbent polymer having a hydrophilic group are compositely spun, and the primary effect yarn is used. As the effect yarn, yarn containing the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may be used, or nylon 6 yarn or nylon 66 yarn may be used alone.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압박밴드는 인체에서 배출되는 수분 및 땀을 빨리 흡수 후 확신시킬 수 있어서 우수한 열전도성과 접촉 냉감성을 발현함과 동시에 통기성과 착용감을 향상시켜 준다.The medical compression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quickly absorbing and relieving moisture and sweat discharged from the human body, thereby demonstrat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contact cold sensitivity while improving breathability and wearing comfort.

본 발명은 체내에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성분으로서 생분해성,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의료용 압박밴드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dical compression band using hyaluronic acid, which is a fundamentally existing component in the body and is biodegradable and biocompatible.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에 주사제의 형태로 피부에 직접 주입식으로 시술도록 마련되는 히알루론산 필러에 비해 안전하고 간편하게 피부에 부착할 수 있는 의료용 압박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a medical compression band that can be safely and easily attached to the skin compared to hyaluronic acid fillers, which are conventionally prepared to be injected directly into the skin in the form of an injection.

특히,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같이 용액 형태의 히알루론산을 외용 도포시 발생하는 흘러내림이나 수분 증발 문제를 배제하고, 저분자량의 히알루론산을 시트 형태로 구성하면서 피부에 밀착 밴딩하도록 구성하여 흡수율을 서서히 지속하면서 주름 및 탄력을 개선하고 보습력을 향상 및 지속하는 효과가 탁월한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problem of dripping or moisture evaporation that occurs when applying hyaluronic acid in solution form externally, as in the prior art, and configures low molecular weight hyaluronic acid in the form of a sheet to be banded closely to the skin to increase absorption rate. It has excellent benefits in that it improves wrinkles and elasticity and improves and maintains moisturizing power while continuing gradually.

도 1은 코어-쉬스형 복합섬유의 단면도.
도 2는 더블 커버링 원사를 제조하는 공정 개략도.
도 3은 코어-쉬스형 복합섬유의 단면도.
도 4는 코어-쉬스형 복합섬유의 단면도.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rocess for manufacturing double covering yar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의 의료용 압박밴드는 원사들이 경편 또는 위편으로 제편된 편물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원사들은 심사가 1차 효과사와 2차 효과사에 의해 차례로 2회 커버링 되어 있는 더블 커버링 원사이다.The medical compression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knitted structure in which yarns are knitted into warp or weft knits, and the yarns are double covering yarns in which the yarns are covered twice in order by primary effect yarn and secondary effect yarn.

상기 심사는 스판덱스 원사이고, 상기 2차 효과사는 폴리에스터 폴리머인 코어부와 친수성기를 갖는 흡수성 폴리머인 쉬스부가 복합방사되어 있는 코어-쉬스형(Core-sheath type) 복합섬유를 포함하고 있다.The core is a spandex yarn, and the secondary effect yarn includes a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in which a core part of a polyester polymer and a sheath part of an absorbent polymer having a hydrophilic group are compositely spun.

구체적으로, 상기 2차 효과사는 (ⅰ) 전부가 상기 코어-쉬스형 복합섬유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ⅱ) 일부만 상기 코어-쉬스형 복합섬유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일부는 나일론 6 원사 또는 나일론 66 원사 등의 나일론 원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ary effect yarn may be (i) entirely made of the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ii) only part of the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and the remaining part may be nylon 6 yarn or nylon 66 yarn, etc. It may be made of nylon yarn.

상기 1차 효과사는 (ⅰ) 일부만 상기 코어-쉬스형 복합섬유이고 나머지 일부는 나일론 원사일 수도 있고, (ⅱ) 전부가 나일론 원사일 수도 있다.The primary effect yarn may be (i) only part of the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and the remaining part may be nylon yarn, or (ii) may be entirely nylon yarn.

상기 코어-쉬스형 복합섬유의 쉬스부(Y)를 구성하는 친수성기를 갖는 흡수성 폴리머는 에틸렌-비닐알콜계 공중합 폴리머 등이다.The absorbent polymer having a hydrophilic group constituting the sheath portion (Y) of the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is an ethylene-vinyl alcohol-based copolymer.

상기 코어-쉬스형 복합섬유의 섬도는 심사인 스판덱스 원사의 섬도보다 상대적으로 굵은 것이 열전도도 및 접촉 냉감성을 개선하는데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neness of the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be relatively thicker than the fineness of the spandex yarn as the core to improve thermal conductivity and contact cold sensitivity.

본 발명의 의료용 압박밴드를 구성하는 더블 커버링 원사를 제조하는 방법 일례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릴에 거치된 보빈(B1)으로부터 심사(C)를 인출하여 장력조절장치(2)를 거치면서 장력을 균일하게 조절한 후 1차 스핀들(3)의 내부 중공부 내로 통과시키면서 상부 방향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1차 스핀들(3)에 끼워진 보빈(B2)으로부터 1차 효과사(E1)를 인출하여 상기 심사(C)에 1차 커버링하여 싱글 커버링사를 형성하고, 계속해서 상기 싱글 커버링사를 2차 스핀들(3')의 내부 중공부로 통과시키면서 상부 방향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2차 스핀들(3')에 끼워진 보빈(B3)로부터 2차 효과사(E2)를 인출하여 상기 싱글 커버링사를 커버링하여 더블 커버링 원사를 제조한다.Looking at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ouble covering yarn constituting the medical compression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core material (C) is withdrawn from the bobbin (B1) mounted on the creel and the tension adjusting device (2) is used. After adjusting the tension uniformly as it passes, it is guided upward while passing it through the internal hollow part of the primary spindle (3), and at the same time, the primary effect yarn (E1) is pulled from the bobbin (B2) inserted into the primary spindle (3). It is drawn out and first covered over the core material C to form a single covering yarn, and the single covering yarn is then guided upwar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ternal hollow part of the secondary spindle 3',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ary spindle (3') The secondary effect yarn (E2) is withdrawn from the bobbin (B3) inserted in 3') and covers the single covering yarn to manufacture a double covering yarn.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하기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스판덱스 원사(심사)가 (ⅰ) 나일론 66(1차 효과사)와 (ⅱ) 코어-쉬스형 복합섬유(2차 효과사)에 의해 차례로 커버링되어 있는 더블 커버링 원사로 위편 조직으로 제편하여 의료용 압박밴드를 제조하였다.Spandex yarn (fine yarn) is knitted into a weft knitted tissue with a double covering yarn in which (i) nylon 66 (primary effect yarn) and (ii)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secondary effect yarn) are sequentially covered to produce medical compression. A band was prepared.

상기 코어-쉬스형 복합섬유(2차 효과사)는 코어부(X)가 폴리에스터 폴리머이고 쉬스부(Y)가 에틸렌-비닐알콜계 공중합 폴리머로 구성하였다.The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secondary effect yarn) was composed of a core portion (X) of polyester polymer and a sheath portion (Y) of ethylene-vinyl alcohol-based copolymer.

실시예 2Example 2

스판덱스 원사(심사)가 (ⅰ) 나일론 66(1차 효과사)와 (ⅱ) 나일론 66 원사와 코어-쉬스형 복합섬유의 혼섬사(2차 효과사)에 의해 차례로 커버링되어 있는 더블 커버링 원사로 위편조직으로 제편하여 의료용 압박밴드를 제조하였다.It is a double covering yarn in which the spandex yarn (fine yarn) is sequentially covered by (i) nylon 66 (primary effect yarn) and (ii) a mixed yarn of nylon 66 yarn and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secondary effect yarn). A medical compression band was manufactured by knitting it with gastric tissue.

상기 코어-쉬스형 복합섬유(2차 효과사)는 코어부(X)가 폴리에스터 폴리머이고 쉬스부(Y)가 에틸렌-비닐알콜계 공중합 폴리머로 구성하였다.The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secondary effect yarn) was composed of a core portion (X) of polyester polymer and a sheath portion (Y) of ethylene-vinyl alcohol-based copolymer.

실시예 3Example 3

스판덱스 원사(심사)가 (ⅰ) 나일론 6 원사와 코어-쉬스형 복합섬유의 혼섬사(1차 효과사)와 (ⅱ) 코어-쉬스형 복합섬유(2차 효과사)에 의해 차례로 커버링되어 있는 더블 커버링 원사로 위편조직으로 제편하여 의료용 압박밴드를 제조하였다.Spandex yarn (fiber yarn) is sequentially covered by (i) a mixed yarn of nylon 6 yarn and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primary effect yarn) and (ii)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secondary effect yarn). A medical compression band was manufactured by knitting the double covering yarn into a weft knit tissue.

상기 코어-쉬스형 복합섬유(2차 효과사)는 코어부(X)가 폴리에스터 폴리머수지이고 쉬스부(Y)가 에틸렌-비닐알콜계 공중합 폴리머로 구성하였다.The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secondary effect yarn) consisted of a core part (X) made of polyester polymer resin and a sheath part (Y) made of an ethylene-vinyl alcohol-based copolymer.

비교실시예 1Comparative Example 1

스판덱스 원사(심사)가 (ⅰ) 나일론 66(1차 효과사)와 (ⅱ) 나일론 66 원사(2차 효과사)에 의해 차례로 커버링되어 있는 더블 커버링 원사로 위편조직으로 제편하여 의료용 압박밴드를 제조하였다.A medical compression band is manufactured by knitting a double covering yarn with a weft knit structure in which spandex yarn (screening) is sequentially covered by (i) nylon 66 (primary effect yarn) and (ii) nylon 66 yarn (secondary effect yarn). did.

상기 코어-쉬스형 복합섬유(2차 효과사)는 코어부(X)가 폴리에스터 폴리머이고 쉬스부(Y)가 에틸렌-비닐알콜계 공중합 폴리머로 구성하였다.The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secondary effect yarn) was composed of a core portion (X) of polyester polymer and a sheath portion (Y) of ethylene-vinyl alcohol-based copolymer.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으로 제조한 의료용 압박밴드와 비교실시예 1로 제조한 의료용 압박밴드를 실온 20℃에 3일 동안 보관한 후 이를 사람의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 순간적인 열의 이동량을 측정한 각 시료의 최대열흡수속도(Q·max)를 비교해본 결과,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으로 제조한 의료용 압박밴드들 각각의 최대열흡수속도는 0.15J/㎠·sec 이상으로서 접촉 냉감성이 우수하였으나, 비교실시예 1로 제조한 의료용 압박밴드의 최대열흡수속도는 0.1J/㎠·sec 미만으로서 접촉 냉감성이 불량하였다The medical compression band manufactured in Examples 1 to 3 and the medical compression band manufactured in Comparative Example 1 were stored at room temperature 20°C for 3 days and then the amount of instantaneous heat transfer was measured when the medical compression band was brought into contact with human ski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aximum heat absorption rate (Q·max) of each sample, the maximum heat absorption rate of each of the medical compression bands manufactured in Examples 1 to 3 was 0.15 J/cm2·sec or more, indicating cold sensitivity to contact. Although excellent, the maximum heat absorption rate of the medical compression band manufactured in Comparative Example 1 was less than 0.1 J/cm2·sec, and the contact cold sensitivity was poor.

원사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마이크로 파이버(극세사)일 수 있다. 상기 콜라겐은 단백질의 일종으로 뼈. 연골, 피부와 같은 결합조직의 주요 구성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콜라겐은 물에 잘 녹지 않으며, 산이나 염기처리를 한다음 가열하면 분해되어 젤라틴으로 변할 수 있다. 이로한 콜라겐은 물속에서 하이드로젤 상태를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콜라겐의 경우 분자량이 낮은 콜라겐을 사용하면 인체내의 흡수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분자량이 낮은 콜라겐이 인체와의 친화성이 높아 더욱 높은 보습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yarn may be microfiber containing collagen. Collagen is a type of bone protein. It can be used as a major component of connective tissues such as cartilage and skin. In general, collagen is not very soluble in water, and when treated with acid or base and then heated, it can decompose and turn into gelatin. This collagen can form a hydrogel state in water. In general, in the case of collagen, it is known that the absorption rate in the human body increases when collagen with a low molecular weight is used, and collagen with a low molecular weight is also known to have a higher moisturizing effect due to its higher compatibility with the human body.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물의 피부를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콜라겐의 경우 그 분자량이 5000Da를 초과하는 고분자 콜라겐으로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열 및 화학적으로 안정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높은 분자량으로 인하여 인체내의 흡수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어루의 껍질 특히 비늘에 포함되어 있는 분자량 1500Da미만의 콜라겐을 사용하는 것으로 기존의 콜라겐을 함유한 원사에 비하여 높은 인체 친화성 및 보습성을 가지는 원단의 제조가 가능하다.In the case of collagen, which is manufactured using commonly used animal skin as a raw material, it is a high-molecular collagen with a molecular weight exceeding 5000 Da and can be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thermally and chemically stable, but its absorption rate in the human body is low due to its high molecular weight. It may fall.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collagen with a molecular weight of less than 1500 Da contained in the skin of the fish, especially the scale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fabric with higher human compatibility and moisture retention compared to yarn containing existing collagen.

이를 위하여 상기 콜라겐은 어류의 비늘 및 껍질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비늘 또는 껍질을 약산으로 처리하여 지방을 제거하고 세척하는 단계; 상기 약산처리된 껍질 및 비늘 100중량부 대비 염기성용액 100~300중량부를 혼합하고 초음파를 가하는 1차 단백질 분해 단계; 상기 1차 단백질 분해단계 이후 산성용액을 혼합하여 pH 6~8로 중화하고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이 완료된 이후 상기 껍질 및 비늘 100중량부 대비 1~10중량부의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한 다음, 50~70℃의 온도에서 10~20시간동안 반응시키는 2차 단백질 분해 단계; 상기 2차 단백질 분해 단계 이후 90~110℃로 가열하여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를 불활성화 시키는 단계; 전체 액량대비 3~10중량부의 활성탄을 투입하여 불순물을 흡착 및 분리하는 단계; 및 필터를 이용하여 잔유물을 제거한 다음, 여과된 액을 진공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collagen includes collecting scales and skin of fish; Treating the collected scales or skins with a weak acid to remove fat and wash them; A first protein decomposition step of mixing 100 to 300 parts by weight of a basic solution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weakly acid-treated skin and scales and applying ultrasound; After the first protein decomposition step, mixing an acidic solution to neutralize pH to 6-8 and washing; After the washing is completed, a secondary protein decomposition step of adding 1 to 10 parts by weight of proteolytic enzym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kin and scales, and then reacting at a temperature of 50 to 70 ° C. for 10 to 20 hours; After the second proteolytic step, inactivating the proteolytic enzyme by heating to 90-110°C; Adsorbing and separating impurities by adding 3 to 10 parts by weight of activated carbon relative to the total liquid volume; and removing residues using a filter, then vacuum concentrating and freeze-drying the filtered liquid to powder it.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어류는 비늘의 크기가 크고 수집이 용이한 돔류, 연어류, 농어류, 조기류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어류 콜라겐의 경우 연골어류인 상어 또는 가오리의 껍질을 사용하거나 장어류, 메기류와 같은 껍질이 두꺼운 종을 사용하였지만, 이 껍질의 콜라겐의 경우 동물 껍질과 동일하게 분자량이 큰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경우 어류의 비늘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만, 생성의 비늘을 따로 수집하는 것은 어러우므로 상기와 같이 큰 비늘을 가지는 생선의 비늘과 껍질을 한꺼번에 수집하여 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sh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ferably those that have large scales and are easy to collect, such as sea bream, salmon, sea bass, and croaker. In the case of existing fish collagen, the skin of cartilaginous fish such as sharks or stingrays was used, or species with thick skins such as eels and catfish were used. However, the collagen of this skin has the characteristic of having a high molecular weight, just like animal skin.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manufacture it using fish scales.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collect fish scales separately, it is preferable to collect and use the scales and skin of fish with large scales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은 어류의 껍질과 비늘을 어류를 가공하고 남은 잔유물에서 채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류는 근육조직 즉 살 부분과 내장을 섭취하며, 껍질과 뼈부분은 폐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폐기되는 껍질 부분과 껍질에 포함되어 있는 비늘을 이용하여 상기 저분자량 콜라겐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kin and scales of the above-mentioned fish can be collected from the residue remaining after processing the fish. Generally, the muscle tissue (flesh and internal organs) of fish are consumed, and the skin and bones are discard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produce the low molecular weight collagen using the discarded skin parts and scales contained in the skin.

상기와 같이 채취된 껍질 및 비늘은 약산으로 처리하여 지방을 제거할 수 있다. 어류의 경우 일반적으로 껍질 또는 이외 인접한 부위에 지방을 축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지방성분의 경우 후술할 염기성 성분과 결합하는 경우 비누화되어 콜라겐의 생성 및 분리를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염기성성분을 이용한 단백질 분해단계 이전 약산을 이용하여 지방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kin and scales collected as above can be treated with weak acid to remove fat. In the case of fish, it is known that fat is generally accumulated on the skin or other adjacent areas. However, in the case of these fat components, when combined with basic components to be described later, they may be saponified and interfere with the production and separation of collagen.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remove fat using a weak acid before the protein decomposition step using basic ingredients.

이때 사용되는 약산은 아세트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산등의 강산을 이용하는 경우 지방의 제거효율은 높아질 수 있지만, 비늘에 포함되어 있는 칼슘성분을 분해하게되므로 비늘이 분해되어 후술할 과정에서 콜라겐의 추출이 어려울 수 있으며, 잔유물에 의하여 인체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식품용으로 사용되는 아세트산을 이용하여 지방의 분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약산은 1~10M의 농도를 가지며, 상기 껍질 및 지방 100중량부 대비 10~30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농도범위에서는 상기 지방의 분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지만,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지방의 제거가 어려울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산도가 높아져 비늘이 분해되거나 잔류된 아세트산으로 인하여 후술할 단백질 분해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The weak acid used at this time is preferably acetic acid. When using strong acids such as hydrochloric acid, the fat removal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ut since it decomposes the calcium contained in the scales, the scales are decomposed, making it difficult to extract collagen in the process described later, and the residue can cause damage to the human bod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decompose fat using acetic acid used for food. At this time, the weak acid has a concentration of 1 to 10 M, and 10 to 30 parts by weight can be used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kin and fat. In the above concentration range, the separation of the fat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but if it is below the above range, it may be difficult to remove the fat, and if i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acidity increases and the scales are decomposed or the remaining acetic acid causes the protein decomposition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This may not be easily accomplished.

상기와 같이 약산에 의하여 지방의 제거가 완료된 이후 비늘 및 껍질을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fat has been removed with a weak acid, the scales and skin can be washed and used.

상기 지방이 제거된 껍질 및 비늘은 껍질 및 비늘 100중량부 대비 염기성용액 100~300중량부를 혼합하고 초음파를 가하여 1차 단백질 분해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단백질 분해단계는 염기성용액과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비늘 또는 껍질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과정으로, 상기 비늘 및 껍질에 포함되어 있는 주요 단백질인 콜라겐을 분해하여 물에 용해시킴과 동시에 그 조직을 역화시켜 후술할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콜라겐 추출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The first protein decomposition step can be performed on the skin and scales from which the fat has been removed by mixing 100 to 300 parts by weight of a basic solution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skin and scales and applying ultrasound. The first protein decomposition step is a process of decomposing the protein present in the scales or shells using a basic solution and ultrasound. Collagen, the main protein contained in the scales and shells, is broken down and dissolved in water at the same time. This is a step to reverse the tissue so that collagen extraction using proteolytic enzyme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easily performed.

이때 기존에 사용되는 염기성 용액의 경우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강염기 즉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을 사용하였지만, 이 경우 잔류된 염기성 용액으로 인하여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탄산칼슘을 이용한 염기성용액을 제조하여 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콜라겐의 경우 피부에 접촉하여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탄산칼슘역시 공업적으로 합성된 제품이 아닌 조개패각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previously used basic solution, a strong base, such as sodium hydroxide or potassium hydroxide, was used for convenience of use, but in this case, the remaining basic solution may irritate the skin.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prepare and use a basic solution using calcium carbonate. In particular, since the collage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contact with the skin, the calcium carbonate can also be used as a product manufactured using clam shells rather than an industrially synthesized product.

이를 위하여 상기 염기성 용액은 조개 패각을 분리한 다음,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조개 패각을 800~1200℃의 온도에서 소성하는 단계; 상기 소성이 완료된 조개 패각을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조개 패각을 조개 패각 100중량부 대비 1000~5000중량부의 물과 혼합한 다음, 2~10일간 방치하는 단계; 및 상기 조개 패각의 고형분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용액일 수 있다.To this end, the basic solution includes the steps of separating clam shells and then washing them; Calcining the washed clam shells at a temperature of 800 to 1200°C; Crushing the fired clam shell; Mixing the pulverized clam shells with 1000 to 5000 parts by weight of wat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lam shells, and then leaving for 2 to 10 days; And it may be a solution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eparating the solid content of the clam shell.

상기 조개의 패각은 다량의 탄산칼슘을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은 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개패각에서 탄산칼슘을 추출하여 사용하는 경우 원하는 효과를 발휘하면서도 자원 재활용 환경보호 등에 일조할 수 있다. 상기 조개패각은 세척되고 유기물이 제거된 다음, 800~1200℃의 온도에서 소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조개패각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비록한 기타 불순물이 산화되어 제거될 수 있으며, 탄산칼슘만 남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성온도가 800℃미만인 경우 원활한 소성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12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너지 사용량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소성에 의하여 탄산칼슘이 분해되어 수율이 떨어질 수 있다.The shell of the clam is composed mainly of a large amount of calcium carbonate, and most of it is disposed of as waste. Therefore, when calcium carbonate is extracted and used from these shells, it can achieve the desired effect while contributing to resource recycling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clam shells may be washed and organic matter removed, and then fired at a temperature of 800 to 1200°C. Through this, organic matter and other impurities present in the shell may be oxidized and removed, leaving only calcium carbonate. At this time, if the calcination temperature is less than 800°C, smooth calcination may not be achieved, and if it exceeds 1200°C, not only does energy use increase, but calcium carbonate may be decomposed during calcination, resulting in a decrease in yield.

상기와 같이 소성이 완료된 다음, 이를 분쇄할 수 있으며, 100중량부 대비 1000~5000중량부의 물과 혼합한 다음, 2~10일간 방치하여 탄산칼슘 수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물이 100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제조되는 수용액의 양이 줄어들어 효율이 감소될 수 있으며, 5000중량부를 초과하는 물을 사용하는 경우 탄산칼슘의 농도가 낮아져 탄산칼슘에 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After the firing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pulverized, mixed with 1000 to 5000 parts by weight of water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and then left for 2 to 10 days to prepare an aqueous calcium carbonate solution. At this time, if less than 1000 parts by weight of water is used, the amount of aqueous solution produced may be reduced, which may reduce efficiency. If more than 5000 parts by weight of water is used, the concentration of calcium carbonate will be low and the effect of calcium carbonate cannot be expected. .

상기 염기성용액은 상기 비늘 및 껍질 100중량부 대비 100~300중량부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염기성용액이 10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콜라겐의 추출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며, 300중량부룰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후술할 분말화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필요로하여 비경제적이다.The basic solution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100 to 3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cales and shells. If the basic solution is added in less than 100 parts by weight, extraction of collagen may not be easy, and if it is added in excess of 300 parts by weight, a lot of energy is required in the powdering proces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king it uneconomical.

상기와 같이 염기성용액을 이용한 단백질의 추출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염기성용액과 상기 비늘 및 껍질의 혼합물에 초음파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의 경우 그 주파수에 따라 다양한 물질과 공진형상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껍질 및 비늘에 포함된 콜라겐을 분해하여 상기 염기성용액에 의한 추출우르 더욱 가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득히 본 발명에 의한 콜라겐 추출은 기존의 강염기를 이용한 추출방법과는 달리 약염기 물질을 이용하여 수행되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초음파를 공급하는 것으로 기존의 방법과 유사한 효율로 콜라겐의 추출이 가능하다.In order to more efficiently extract proteins using a basic solution as described above, ultrasound waves can be supplied to the mixture of the basic solution and the scales and shells. In the case of the ultrasonic wave, it can cause resonance shapes with various materials depending on its frequency.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serve to further accelerate extraction by the basic solution by decomposing the collagen contained in the skin and scales. Obviously, the collagen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using a weak base material, unlike the existing extraction method using a strong base, and thus collagen can be extracted with efficiency similar to the existing method by supplying ultrasound as described above.

이때 사용되는 초음파는 20~130kHz의 진동수를 가지고, 300~800W의 강도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가 상기 진동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콜라겐과 공진현상을 일으키지 못하여 추출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300W미만의 강도로 공급되는 경우 초음페에 의한 추출증대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800W를 초과하는 강도로 공급되는 경우 콜라겐의 분해강도가 강해지므로 콜라겐의 분자구조를 분해할 수 있으므로 추출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The ultrasonic waves used at this time have a frequency of 20 to 130 kHz and can be supplied at an intensity of 300 to 800 W. If the ultrasonic waves are outside the above frequency range, they may not cause a resonance phenomenon with collagen and the extraction efficiency may decrease. If the ultrasonic waves are supplied at an intensity of less than 300W, it is difficult to expect an effect of increasing the extraction by ultrasonic waves. In addition, if supplied at an intensity exceeding 800W, the decomposition strength of collagen becomes stronger and the molecular structure of collagen may be decomposed, thereby reducing extraction efficiency.

상기와 같이 염기성 용액 및 초음파에 의한 추출이 완료된 이후 산성용액을 이용하여 중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산성용액은 상기 염기성용액과 마찬가지로 천연 산성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산성용액은 레몬즙, 유자즙, 당유자즙, 오렌지즙 및 식초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염기성 용액을 이용하여 추출이 완료되면 상기 산성용액을 첨가하여 pH 6~8, 바람직하게는 pH7로 중화하여 반응을 종결시킬 수 있다.After the extraction using basic solution and ultrasound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neutralize using an acidic solution. The acidic solution used at this time is preferably a natural acidic solution like the basic solution, and the acidic solution is a mixture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emon juice, citron juice, sugared citron juice, orange juice, and vinegar. can be used. That is, when the extraction using the basic solution is completed, the acidic solution can be added to neutralize the reaction to pH 6 to 8, preferably pH 7, to terminate the reaction.

상기와 같이 염기성용액을 이용하여 콜라겐을 용출시킨 다음에도 비늘 및 껍질의 조직사이에는 많은 콜라겐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단백질 분해효소는 엔도(endo)-유형 단백분해효소(Alcalas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ven after collagen is eluted using a basic solution as described above, a lot of collagen may exist between scales and skin tissue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extract it using proteolytic enzymes. The proteolytic enzyme used at this time is preferably an endo-type proteolytic enzyme (Alcalase).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상기 비늘 및 껍질에 존재하는 단백질이 분해되어 추출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콜라겐이 용출되어 분리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proteins present in the scales and skin can be decomposed and extracted, and collagen can be eluted and separated during this process.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상기 껍질 및 비늘 100중량부 대비 1~10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50~70℃의 온도에서 10~20시간동안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건에서는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의 추출효율이 최대화될 수 있지만,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산기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추출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더 이상의 효율 향상은 없이 고가의 단백질 분해효소 사용이 늘어나게 되므로 비효율적이다. 아울러 상기 반응시 7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가 변성되어 활성이 떨어질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add 1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proteolytic enzym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kin and scales and then react for 10 to 20 hours at a temperature of 50 to 70 ° C. Under the above conditions,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proteolytic enzyme can be maximized, but if it is below the above range, the extraction efficiency by the acidic proteolytic enzyme may decrease, and if it exceeds the above range, there is no further efficiency improvement and expensive proteolytic enzyme is used. It is inefficient because it increases usage. In addition, if the temperature exceeds 70°C during the reaction, the proteolytic enzyme may be denatured and its activity may decrease.

상기와 같이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콜라겐의 추출이 완료된 이후 90~110℃로 가열하여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를 불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의 경우 콜라겐과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 상기 콜라겐의 분자구조자체를 변형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을 통하여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를 변성시키는 것으로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를 불활성화 하는 것으 비람직하다. 이때 가열이 90℃미만의 온도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의 불활성화가 완전하지 않을 수 있으며, 110℃를 초과하는 온도로 가열하는 경우 콜라겐이 변성될 수 있다.After extraction of collagen by proteolytic enzyme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inactivate the proteolytic enzyme by heating to 90-110°C. In the case of the proteolytic enzyme, if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 collagen, there is a possibility of deforming the molecular structure of the collagen itself.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inactivate the proteolytic enzyme by denaturing the proteolytic enzyme through heating. At this time, if heating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below 90°C, the inactivation of the proteolytic enzyme may not be complete, and if heating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exceeding 110°C, collagen may be denatured.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의 불활성화 이후 전체 액량대비 3~10중량부의 활성탄을 투입하여 불순물을 합착 및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콜라겐의 경우 상기 어류의 껍질 및 비늘을 이용하여 추출되고 있으므로, 추출이 완료된 이후 어류 특유의 비린내가 날 수 있다. 이러한 비린내의 경우 상기 콜라겐과 같이 분해되어 추출되는 불순물에 의한 것으로 상기 활성탄을 이용하여 흡착하는 것으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콜라겐은 상기 활성탄의 기공보다 큰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비린내를 발생시키는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흡착하여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불활성화된 단백질 분해효소도 제거할 수 있다.After inactivation of the proteolytic enzyme, it is preferable to add 3 to 10 parts by weight of activated carbon relative to the total liquid volume to coalesce and separate impurities. In the case of the collage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extracted using the skin and scales of the fish, a fishy smell peculiar to the fish may be emitted after the extraction is completed. In the case of this fishy smell, it is caused by impurities extracted by decomposition like collagen, and is preferably removed by adsorption using the activated carbon. At this time, since the collagen has a larger size than the pores of the activated carbon, impurities causing the fishy smell can be selectively adsorbed and separated, and the inactivated proteolytic enzyme can also be removed.

상기와 같은 불순물의 분리가 완료되면 필터를 이용하여 잔유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콜라겐의 경우 상기와 같은 추출과정을 통하여 액상화될 수 있으며, 잔여 조직들의 경우 고체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필터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것으로 상기 콜라겐의 분리가 가능하다. 특히 이 과정에서 상기 활성탄도 분리할 수 있으므로, 비린내가 저감된 저분자화 콜라겐을 수득할 수 있다.Once the separation of impurities as described above is completed, the residue can be removed using a filter. In the case of the collagen, it can be liquefied through the above extraction process, and the remaining tissues can remain in a solid state. Therefore, the collagen can be separated by separating it using a filter. In particular, since the activated carbon can also be separated during this process, low-molecular-weight collagen with a reduced fishy smell can be obtained.

상기와 같이 분리된 액상의 콜라겐은 진공농축 및 동결건조과정을 거쳐 분말화될 수 있다.The liquid collagen separated as described above can be powdered through vacuum concentration and freeze-drying processes.

상기와 같이 제조된 콜라겐을 이용하여 원사를 제조할 수 있다.Yarn can be manufactured using collagen prepared as above.

상기 원사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분지부를 포함하여 단면이 2~10개의 팔을 가지는 별형태로 형성된 제1섬유; 및 상기 제1섬유의 분지부 사이에 위치하며, 단면이 쐐기형, 삼각형 또는 부채꼴형을 가지는 제2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도 2 참조).The yarn includes a first fiber formed in a star shape with 2 to 10 arms in cross section, including branches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enter; and a second fiber located between the branches of the first fiber and having a wedge-shaped, triangular, or fan-shaped cross-section (see Figure 2).

상기 제1 섬유는 상기 원사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중심부(310)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분지부(320)를 포함하여 단면이 2~10개의 팔을 가지는 별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제1 섬유는 상기 원사의 굵기와 형태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중심부와 분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fiber is a part that forms the center of the yarn and includes a branch portion 320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enter 310 and may be formed in a star shape with 2 to 10 arms in cross section. This first fiber is a part that constitutes the thickness and shape of the yarn and may be composed of a central part and a branch part.

상기 중심부(310)는 상기 제1 섬유의 중심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둘레를 따라 상기 분지부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별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The central part 310 is a part that forms the center of the first fiber, and the branch parts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to form a star shape.

상기 분지부(320)는 상기 중심부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부분으로 상기 각 분지부 사이에 후술할 제2 섬유(330)가 배치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단면에 원을 구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지부는 상기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섬유는 단면의 형상이 별형상 또는 불가사리 형상과 같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다수개의 분지부가 팔을 형성하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지부는 2~10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지부가 10개를 초과하는 경우 후술할 제2 섬유(330)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어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The branch portions 320 are part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enter, and second fibers 3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disposed between each branch portion, and may be formed to form a circle in the overall cross section. The branch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ber. Accordingly, the fiber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such that a plurality of branches form arms based on the center, such as a star shape or a starfish shape. . At this time, 2 to 10 branch parts may be formed, and if the number of branch parts exceeds 10, the thickness of the second fiber 3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come thin and durability may decrease.

상기 제1 섬유는 나일론6, 나일론 66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섬유는 상기 원사의 중심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원사의 강도를 결정하는 부분이므로 강도가 높은 섬유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의 경우 섬유로서 특성이 뛰어나고 내구성 역시 높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섬유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fiber may include nylon 6, nylon 66,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The first fiber forms the center of the yarn and is a part that determines the strength of the yarn, so it is preferably manufactured using a fiber with high strength.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nylon 6 or nylon 66, it is desirable to manufacture the first fiber using nylon 6 or nylon 66 because it has excellent fiber properties and high durability.

상기 제2 섬유(330)는 상기 제1 섬유의 분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원사의 단면이 원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원사의 표면의 대부분은 상기 제2 섬유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원사의 표면특성은 상기 제2 섬유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second fiber 330 is located between branches of the first fiber and can enable the yarn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Through this, most of the surface of the yarn is formed such that the second fiber is exposed, and accordingly,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yarn can be determined by the second fiber.

즉 상기 원사의 경우 물리적인 특성은 중심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섬유의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표면 특성의 경우 상기 제2 섬유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높은 물리적 특성을 가지면서도 인체친화적인 섬유로 제작될 수 있다(도 2 참조).That is, in the case of the yarn, the physical properties ma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fiber constituting the center, and the surface properties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second fiber, so it is manufactured as a human-friendly fiber while having high physical properties. It can be (see Figure 2).

이때 상기 제2 섬유의 경우 상기 제1 섬유의 분지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도록 단면이 쐐기형 삼각형 또는 부채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2 섬유는 상기 제1 섬유의 분지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원사의 형상이 원형을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원사의 외주면은 대부분이 상기 제2 섬유가 노출되어 구성되므로, 상기 제2 섬유의 효과를 가지는 원사의 제작이 가능하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second fiber, the cross section may be manufactured in a wedge-shaped triangle or fan shape so that it can be formed between branches of the first fiber. Through this, the second fiber can be located between the branches of the first fiber, and the overall shape of the yarn can be circular. In addition, as seen above, since mos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yarn is composed of exposed second fiber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yarn having the effects of the second fibers.

상기 제2 섬유는 상기 콜라겐 2~40중량%를 포함하는 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콜라겐에 의한 보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콜라겐이 2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이 콜라겐에 의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기 콜라겐이 4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섬유의 내구성이 떨어져 원사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The second fiber is preferably a polymer containing 2 to 40% by weight of collagen. Through this, the moisturizing effect caused by the collagen can be expected. At this time, if the collagen is included in less than 2%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effect of collagen, and if the collagen is more than 40% by weight, the durability of the second fiber may decrease and the durability of the yarn may decrease.

상기와 같이 제1 섬유와 제2 섬유는 0.001~0.01㎛의 간격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섬유 및 상기 제2 섬유를 후술할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어 섬유가 일정간격을 가지고 분리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섬유와 제2섬유 사이의 공간은 물과 수분이 모세관현상을 통하여 흡수되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원사에 의한 수분 조절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흡수된 수분은 인체의 표면에 건조해지면 재방출되면서 상기 콜라겐과 더불어 보습효과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iber and the second fiber may be configured to have a gap of 0.001 to 0.01㎛. The first fiber and the second fiber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a manufacturing method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fibers are separated at regular intervals. At this time, the space between the first fiber and the second fiber can be used as a space where water and moisture are absorbed through capillary action, so the moisture control effect by the yarn can be maximized. In addition, the moisture absorbed as described above is re-released when the surface of the human body dries, and it is possible to have a moisturizing effect along with the collagen.

또한 상기와 같이 섬유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도록 제작됨에 따라 상기 섬유는 냄새를 흡착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경우 각종 화학물질을 노폐물의 형태로 땀과 함께 발산하고 있으며, 이는 그 상태로 특정한 냄새를 발휘하거나 세균에 의하여 분해되는 것으로 독특한 향을 발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화학물질을 흡착하는 경우 이른바 소취력을 가지는 원단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섬유사이에 공급을 가지도록 제작됨에따라 상기 화학물질을 용이하게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높은 소취력을 가지는 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fibers are manufactured to have a certain space between the fibers as described above, the fibers can have the ability to absorb odors. In general, the human body emits various chemicals along with sweat in the form of waste products, which can emit a specific odor in that state or emit a unique scent when decomposed by bacteria. Therefore, when these chemicals are adsorbed, they can be made into fabrics with so-called deodorizing properties.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t is manufactured to have a supply between the fibers, the chemical substances can be easily adsorbed and removed, and thus a fabric with high deodorizing power can be manufactured.

상기 원사는 상기 제1 섬유와 제2 섬유를 방사한 다음, 이를 연신하여 제작될 수 있다.The yarn may be produced by spinning the first fiber and the second fiber and then stretching them.

이를 위하여 상기 원사는, (a) 제1 섬유원료를 방사상으로 연장된 분지부를 가지는 노즐을 통하여 방사하는 제1 방사단계; (b) 상기 제 1방사단계에서 방사돤 제1 섬유를 원통형의 노즐로 통과시키며, 상기 제1 섬유의 팔사이로 상기 제2섬유원료가 침투할수 있도록 방사하는 제2 방사단계; (c) 상기 제2방사단계 이후 상기 섬유를 원하는 두께까지 연신하는 연신단계; (d) 상기 연신이 완료된 이후 상기 섬유를 염기성 용액에 침지하여 상기 제1 섬유와 상기 제2 섬유를 분리하는 단계; (e) 상기 분리된 제1 섬유 및 제2 섬유를 산성용액에 침지하는 중화단계; 및 (f) 상기 중화단계가 완료된 이후 상기 섬유를 세척하여 생성된 염을 분리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yarn includes: (a) a first spinning step of spinning a first fiber raw material through a nozzle having a radially extending branch; (b) a second spinning step of passing the first fiber spun in the first spinning step through a cylindrical nozzle and spinning the second fiber material to penetrate between the arms of the first fiber; (c) a stretching step of stretching the fiber to a desired thickness after the second spinning step; (d) separating the first fiber and the second fiber by immersing the fiber in a basic solution after the stretching is completed; (e) a neutralization step of immersing the separated first and second fibers in an acidic solution; and (f) washing the fiber after the neutralization step is completed, separating and drying the resulting salt.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섬유원료를 방사하여 상기 제1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로 방사상으로 연장된 분지부를 가지는 노즐을 통하여 제1 섬유 원료를 방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노즐은 상기 제1 원료를 방사하기 위하여 260~300℃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The step (a) is a step of manufacturing the first fiber by spinning the first fiber raw material, and it is preferable to spin the first fiber raw material through a nozzle having a radially extending branch. At this time, the nozzle may be heated to a temperature of 260 to 300° C. to spin the first raw material.

상기 방사상으로 연장된 분지부를 가지는 노즐을 통과한 제1 섬유원료를 가열된 노즐에 의하여 용융되어 제1 섬유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노즐을 통과한 이후 상기 제1 섬유는 경화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섬유 원료와 접촉하기 이전 표면에 경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섬유와의 융착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first fiber raw materia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nozzle having the radially extending branch is melted by the heated nozzle to form the first fiber. At this time, the first fiber may be hardened after passing through the nozzle, and may be hardened on the surface before contact with the second fiber raw material, thereby minimizing fusion with the second fiber.

상기 (b)단계는 상기 제 1방사단계에서 방사돤 제1 섬유를 원통형의 노즐로 통과시키며, 상기 제1 섬유의 팔사이로 상기 제2섬유원료가 침투할수 있도록 방사하는 제2 방사단계로, 제2 섬유를 상기 제1 섬유의 분지부 사이에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 방사단계를 위한 노즐은 상기와 같이 원형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원사의 표면은 원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원형 노즐의 직경을 상기 제1 원사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1 섬유의 분지부 사이에 상기 제2 섬유원료가 투입될 수 있다.The step (b) is a second spinning step in which the first fiber spun in the first spinning step is passed through a cylindrical nozzle and the second fiber raw material is spun to penetrate between the arms of the first fiber. This is the step of forming two fibers between the branches of the first fiber. Since the nozzle for the second spinning step has a circular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surface of the yarn may have a circular shape. In this case, if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nozzle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yarn, The second fiber raw material may be introduced between the branches of the first fiber.

상기 (b)단계를 거쳐 원통형의 원사가 방사되면 이를 연신하는 (c) 상기 제2방사단계 이후 상기 섬유를 원하는 두께까지 연신하는 연신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방사된 원사의 경우 방사의 한계로 인하여 마이크로 파이버보다는 두꺼운 굵기의 원사를 형성할 수 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방사를 마친 직후에는 상기 제1 섬유와 제2 섬유가 유착되어 있는 상태로 방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신과정을 통하여 상기 원사를 원하는 굵기로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제1섬유 및 제2섬유에 기계적인 응력을 가하여 두 섬유 사이의 유착이 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cylindrical yarn is spun through step (b), the second spinning step (c) of stretching the fiber may be followed by a stretching step of stretching the fiber to a desired thickness. In the case of the spun yarn, it is possible to form a yarn thicker than microfiber due to limitations in spinning. In addition, immediately after spinning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iber and the second fiber are spun in a state of adhesion. Therefore, through the stretching process, the yarn can be formed to a desired thickness and mechanical stress can b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fibers to reduce adhesion between the two fibers.

상기 (c) 단계의 연신이 완료된 이후 (d) 상기 연신이 완료된 이후 상기 섬유를 염기성 용액에 침지하여 상기 제1 섬유와 상기 제2 섬유를 분리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섬유 및 제2 섬유의 경우 염기에 대한 용해도가 상이한 섬유로 제작될 수 있으며, 특히 제2 섬유의 경우 콜라겐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제1 섬유와는 염기에 대한 용해도가 상이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방사되고 연신된 원사를 염기성 용액이 침지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섬유와 제2 섬유를 분리할 수 있다.After the stretching in step (c) is completed, (d) after the stretching is completed, the step of separating the first fiber and the second fiber by immersing the fiber in a basic solution may be performed. In the case of the first fiber and the second fiber, the solubility of the base may be different. In particular, since the second fiber contains collagen, the solubility of the base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fiber. Using this, the first fiber and the second fiber can be separated by immersing the spun and drawn yarn in a basic solution.

이때 사용되는 염기성용액은 콜라겐의 사용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조개패각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염기성용액(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se a basic solution (aqueous sodium carbonate solution) prepared using the same clam shell as that used for collagen use.

상기 염기성용액을 이용한 제1섬유 및 제2섬유의 분리단계가 완료된 이후 (e) 상기 분리된 제1 섬유 및 제2 섬유를 산성용액에 침지하는 중화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서 사용한 염기성용액은 약산성을 가지고 있지만, 이를 그대로 이불에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피부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산성용액을 이용하여 중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산성용액은 상기 콜라겐을 제조할 때 사용된 것과 동일한 천연 산성용액 즉, 레몬즙, 유자즙, 당유자즙, 오렌지즙 및 식초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he separation step of the first fiber and the second fiber using the basic solution is completed, (e) a neutralization step of immersing the separated first fiber and the second fiber in the acidic solution may be performed. The basic solution used in step (d) is slightly acidic, but if used as is on a blanket, it may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user's skin.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neutralize it using an acidic solution. The acidic solution used at this time is the same natural acidic solution used when producing the collagen, that is, a mixture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lemon juice, citron juice, sugared citron juice, orange juice, and vinegar. desirable.

상기와 같이 제조된 원사는 중화과정에서 발생한 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물로 세척된 다음, 건조하여 제작될 수 있다.The yarn manufactured as above can be manufactured by washing it with water to remove salts generated during the neutralization process and then drying it.

상기 원단은 상기 원사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사는 상기 원단에 10~30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원사가 상기 원단에 10중량%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콜라겐으로 인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기 원사가 3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상기 원단으로 제작된 이불의 촉감이 떨어지거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The fabric may be produced including the yarn. At this time, the yarn may be included in 10 to 30% by weight of the fabric. If the yarn is included in the fabric in less than 10%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effect due to the collagen, and if the yarn is included in more than 30% by weight, the feel of the quilt made of the fabric may be poor or the durability may be reduced. You can.

상기 콜라겐을 함유하는 원사와 혼합되어 사용되는 원사(고분자 모노 필라멘트)는 인견의 일종일 모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모달은 면과 유사한 촉감을 가지는 원사로 면에 비하여 수축이 적고 탄성 화복력이 뛰어나며, 은은한 광택을 가지고 있어 상기 이불에 사용되는 경우 뛰어난 촉감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너도밤나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모달을 사용하는 것으로 촉감이 뛰어난 이불의 제작이 가능하다.The yarn (polymer monofilament)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ollagen-containing yarn can be used as a type of modal rayon. The modal is a yarn that has a texture similar to cotton, has less shrinkage and excellent elasticity compared to cotton, and has a subtle gloss, so it can have an excellent texture when used in the blanke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blanket with excellent tactile feel by using modal made from beech wood.

상기 원단은 고분자 모노 필라멘트 1~30가닥과 상기 콜라겐을 함유하는 원사를 1~1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경사; 고분자 모노 필라멘트 1~30가닥과 상기 콜라겐을 함유하는 원사를 1~1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위사; 및 상기 경사 및 위사에 일정간격으로 삽입되며, 상기 고분자 모노 필라멘트 10~100가닥으로 구성되는 보강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bric is a warp fabric manufactured by mixing 1 to 30 strands of polymer monofilament and the yarn containing the collagen at a ratio of 1 to 10% by weight; Weft yarn manufactured by mixing 1 to 30 strands of polymer monofilament and the yarn containing the collagen at a ratio of 1 to 10% by weight; And it may include a reinforcing yarn inserted into the warp and weft yarns at regular intervals and composed of 10 to 100 strands of the polymer monofilament.

이때 상기 경사는 원단을 필?s을 때 수직인 원사를 의미하는 것이며, 위사는 이와는 달리 수평으로 배치된 원사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사 및 위사는 동일하게 제조된 실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탄성 및 기타 물성을 달리하기 위하여 상이하게 제작된 실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경사와 위사에 사용되는 실의 종류를 달리하는 것으로,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만 탄성을 가지는 원단을 제작하거나, 수직방향으로의 마착력을 높여 수면시 흘러내리지 않는 이불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warp refers to yarns that are vertical when the fabric is peeled, and the weft, unlike this, refers to yarns arranged horizontally. It is possible to use the same manufactured yarn for these warp and weft threads,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differently manufactured yarn to vary the elasticity and other physical propertie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In other words, by varying the types of threads used for the warp and weft threads, it is possible to produce a fabric with elasticity only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or to increase the adhe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roduce a blanket that does not slip off when sleeping. do.

이때 상기 경사 및 위사에는 고분자 모노 필라멘트가 1~30가닥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모노 필라멘트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견의 일종인 모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특히 너도밤나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모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분자 모노 필라멘트가 30가닥 이상 사용되는 경우 상기 경사 또는 위사의 굵기가 굵어져 원단의 촉감이 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1 to 30 strands of polymer monofilament may be used for the warp and weft yarns. As discussed above, the polymer monofilament can be made of modal, a type of rayon,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o use modal made from beech wood. At this time, if more than 30 strands of the polymer monofilament are used, the thickness of the warp or weft threads may become thick and the feel of the fabric may deteriorate.

상기 보강사는 상기 원단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경사 또는 위사에 일정 간격마다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사는 상기 원단이 손상되는 경우 손상이 주변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강사는 상기 경사 및 위사에 비하여 많은 양의 모노 필라멘트를 꼬아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사는 상기 고분자 모노 필라멘트 10~100가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사가 10가닥 미만의 모노필라멘트로 구성되는 경우 보강사에 의한 강도 보강효과가 없으며, 100가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보강사가 표면으로 돌출되게 되므로 상기 원단의 감촉에 떨어질 수 있다.The reinforcing yarn is use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fabric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warp or weft at regular intervals. When the fabric is damaged, these reinforcing yarns can play a role in preventing the damage from spreading to the surrounding area. For this purpose, the reinforcing yarn is preferably produced by twisting a larger amount of monofilament than the warp and weft yarns. Specifically, the reinforcing yarn may be composed of 10 to 100 strands of the polymer monofilament. If the reinforcing yarn is composed of monofilament with less than 10 strands, there is no strength reinforcement effect by the reinforcing yarn, and if it exceeds 100 strands, the reinforcing yarn protrudes to the surface, which may affect the texture of the fabric.

또한 상기 보강사는 상기 경사 및 위사 5~30가닥당 1개의 비율로 혼합되어 직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 또는 위사 5가닥당 1개를 초과하는 비율로 사용되는 경우 원단의 감촉이 떨어질 수 있으며, 30가닥당 1개 미만의 비율로 사용되는 경우 보강사에 의한 물성보강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yarns are mixed and woven at a ratio of 1 per 5 to 30 strands of the warp and weft yarns. If used at a ratio exceeding 1 per 5 strands of warp or weft, the texture of the fabric may deteriorate, and if used at a ratio of less than 1 per 30 strand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physical properties by the reinforcing yarn may be reduced.

이때 상기 외피는 후술할 내피(200)와의 결합을 위하여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120)은 상기 내피(200)를 압박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외피를 상기 내피와 일정한 형태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커버부(110)의 측면에 연결된 탄성밴드일 수 있다. 상기 내피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밴드는 상기 커버부의 모서리에 사선을 이루도록 고정되거나, 상기 커버부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shell may include fixing means for coupling with the inner sheath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xing means 120 may perform the role of fixing the outer sheath and the inner sheath in a certain shape by pressing and fixing the endothelium 200. For this purpose, the fixing means may be an elastic band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over part 110. In order to fix the endothelium, the elastic band may be fixed diagonally to the edge of the cover or may be fixed to connect both sides of the cover.

상기 커버부(110)의 모서리에 사선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경우 상기 내피의 모서리를 압박 고정하여 상기 내피를 고정할 수 있으며(도 1의 (a)), 상기 커버부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형태로 고정되는 경우 상기 내피의 중단을 압박하는 형태로 고정할 수 있다(도 1의 (b)).When fixed diagonally to the edge of the cover part 110, the endothelium can be fixed by pressing the edge of the endothelium (Figure 1(a)), and is fixed in a form that connects both sides of the cover part. In this case, the endothelium can be fixed in a way that puts pressure on it (Figure 1(b)).

상기 내피(200)는 0.1~5㎛의 굵기를 가지는 마이크로 파이버 모노 필라멘트를 직조하여 제조되는 원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피는 상기 내피 내부에 위치하는 보온소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보온소재의 굵기보다 작은 공극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상기 보온소재가 유출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내피의 내부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보온소재에 포함된 한방생약재의 유효성분이 외부로 휘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외피에 포함되는 콜라겐으로 인산 수분 조절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내피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파이버의 굵기가 0.1㎛미만인 경우 상기 내피의 내구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내피에 형성되는 공극의 크기가 작아져 공기의 유동이 줄어들 수 있으며, 5㎛를 초과하는 굵기의 마이크로 파이버를 사용하는 경우 내피의 촉감이 나빠짐과 더불어 공극의 크기가 커져 내부에 존재하는 보온소재가 유출될 수 있다.The lining 200 may be made of fabric manufactured by weaving microfiber monofilaments having a thickness of 0.1 to 5 μm. The inner skin plays a role in preventing 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located inside the inner skin from leaking out. It is manufactured to have pore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so that 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does not leak into the inner skin. It is desirable to be manufactured so that air can flow. Through this, not only can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herbal medicine contained in 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volatilize to the outside, but also the phosphoric acid moisture control effect can be maximized by the collagen contained in the outer skin. If the thickness of the microfiber used in the inner skin is less than 0.1㎛, not only will the durability of the inner skin decrease, but the size of the pores formed in the inner skin may decrease, which may reduce the flow of air. Microfibers with a thickness exceeding 5㎛ may be used. When used, the feel of the inner skin deteriorates and the size of the pores increases, causing 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inside to leak out.

상기 보온소재는 상기 내피의 내부에 존재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온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내피 내부의 공기유동을 최소화하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is present inside the endothelium and plays a role in maintaining the user's body temperature, thereby minimizing air flow inside the endothelium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이를 위하여 상기 보온소재는, 0.1~30㎛의 굵기를 가지는 마이크로파이버로 형성되는 부직포층; 및 상기 부직포 층에 흡착되어 있는 한방 생약재를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includes a non-woven fabric layer formed of microfibers with a thickness of 0.1 to 30 μm; And it may include herbal medicine adsorbed on the non-woven fabric layer.

상기 보온소재의 경우 마이크로 파이버를 사용하는 것으로 많은 양의 공기를 함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습도의 변화에도 보온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조넹 사용되는 천연 보온소재 특히 덕다운으로 조류의 털을 이용한 보온소재의 경우 무게가 가벼우며 많은 공기를 함유할 수 있어 가볍고 보온효과가 뛰어나지만 수분과 접촉하는 경우 인접된 털과 뭉치게되어 보온성이 급격히 감소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천연 보온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마이크로 파이버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부직포 층을 상기 보온소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파이버는 0.1~30㎛의 굵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내피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파이버보다 굵은 마이크로 파이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피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파이버는 직조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의 공극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공극의 크기는 상기 내피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파이버의 굵기와 비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온소재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파이버의 굵기가 상기 내피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파이버의 굵기에 비하여 굵은 것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내피를 통한 마이크로 파이버의 유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bov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it is desirable to use microfiber so that it can not only contain a large amount of air but also maintain thermal insulation despite changes in humidity. Natural thermal insulation material used in Gizoneng, especially duck down, is an insulation material made from bird fur and is light in weight and can contain a lot of air, so it is light and has an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effect. However, when it comes in contact with moisture, it clumps up with adjacent fur and loses warmth. It has the disadvantage of rapidly decreasing.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non-woven fabric layer made using microfibers that can replace such natural thermal insulation materials as 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At this time, the microfibers preferably have a thickness of 0.1 to 30㎛, and in particular, microfibers thicker than the microfibers used for the endothelium can be used. The microfibers used in the endothelium can form voids of a certain size by weaving, and the size of these voids may be proportional to the thickness of the microfibers used in the endothelium. Therefore, when the microfibers used in 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ar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icrofibers used in the inner skin, leakage of microfibers through the inner skin can be minimized.

또한 상기 마이크로 파이버는 부직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기존의 부직포의 경우 섬유를 적층한 다음, 이를 압착하여 제조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 마이크로 파이버를 적층한 다음, 이를 부풀리는 과정을 수행하고 각 퍼이버 사이를 결합하여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온보재의 경우 가벼운 무게를 가지면서도 많은 양의 공기를 함유하게 되므로 높은 보온효과를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microfibers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non-woven fabric. In the case of existing nonwoven fabrics, they are manufactured by laminating fibers and then compressing them, but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nonwoven fabrics can be manufactured by laminating microfibers, then performing a process of inflating them, and combining each fiber. Therefore, 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high thermal insulation effect because it contains a large amount of air while being light in weight.

상기 부직포층에는 한방생약재가 흡착될 수 있다. 상기 한방생약제는 수면시 인체에 유효성분을 휘산시켜 공급하는 것으로 수면에 도음을 줄 수 있는 유효성분과 향을 공급할 수 있다.Herbal medicine may be adsorbed to the non-woven fabric layer. The oriental herbal medicine volatilizes and supplies active ingredients to the human body during sleep, thereby providing active ingredients and scents that can help with sleep.

이를 위하여 상기 한방생약재는 감초, 박하, 국화, 석창포, 마황, 천궁, 쑥, 당귀, 백지, 신이화, 두충, 애엽(쑥), 고본, 천초, 진초, 계피, 건강, 방풍, 인삼, 길경, 백복령, 육종용, 백실, 의이인, 백미, 소회향, 목향, 비무 및 비렴의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상의 한방생약을 건조한 다음, 0.01~1mm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한방생약을 팽화기에 장입한 다음 1~3Mpa의 압력 및 100~300℃의 온도로 가열하여 팽화시키는 단계; 상기 팽화된 한방 생약을 물에 침지한 다음, 50~80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300~800W의 강도로 3~10분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초음파 공급이 완료된 이후 상기 팽화된 한방 생약이 침지된 물을 혼합하며 건조시켜, 용출된 유효성분을 재흡수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oriental herbal medicines include licorice, peppermint, chrysanthemum, Aspergillus, ephedra, Cheongung, mugwort, Angelica root, Baekji, Sinhwa, Eucommia, Ayeop (mugwort), Gobon, Cheoncho, Jincho, cinnamon, health, windbreak, ginseng, Gilgyeong, Baekbokryeong. Drying one or more herbal medicines selected from the group of Yukjongyong, Baeksil, Uiyin, White Rice, Small Fennel, Mokhyang, Bimmu and Bryeom, and then pulverizing them to a size of 0.01 to 1 mm; The step of charging the pulverized herbal medicine into a puffer and then swelling it by heating it at a pressure of 1 to 3Mpa and a temperature of 100 to 300°C; Immersing the puffed herbal medicine in water and then supplying ultrasonic waves with a frequency of 50 to 80 Hz at an intensity of 300 to 800 W for 3 to 10 minutes; And after the ultrasonic supply is completed, the puffed herbal medicine is mixed with water in which it is immersed and dried, thereby reabsorbing the eluted active ingredient.

상기 한방생약재는 다양한 한방생약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인체의 수면을 돕는다는 것으로 알려진 생약제와 인체의 피부에 좋은 효과를 가지는 생약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한방생약제를 포합하는 보온소재는 수면시 공기의 유동을 통하여 상기 한방생약재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을 휘산시켜 공급할 수 있다.The oriental herbal medicine can be used by combining various oriental herbal medicines, but it can be used by mixing herbal medicines that are generally known to help the human body sleep and herbal medicines that have a good effect on the human skin. Through this, 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containing the herbal medicine can volatilize and supply the activ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herbal medicine through the flow of air during sleep.

이때 사용되는 한반생약재는 감초, 박하, 국화, 석창포, 마황, 천궁, 쑥, 당귀, 백지, 신이화, 두충, 애엽(쑥), 고본, 천초, 진초, 계피, 건강, 방풍, 인삼, 길경, 백복령, 육종용, 백실, 의이인, 백미, 소회향, 목향, 비무 및 비렴의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The herbal medicines used at this time include licorice, peppermint, chrysanthemum, asparagus, ephedra, cheongung, mugwort, angelica root, baekji, sinhwa, eucommia, ayeop (mugwort), gobon, cheoncho, Jincho, cinnamon, health, windbreak, ginseng, gilgyeong, and baekbokryeong. , one or more species selected from the group of Yukjongyong, Baeksil, Uiiin, White Rice, Sofenhyang, Mokhyang, Bimmu, and Bryeom can be used.

상기 한방생약은 건조된 다음, 0.01~1mm의 크기로 분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방생약의 경우 상기 이물의 보온소재에 흡착되어 있으면서도 이물감이 없어야 하며, 상기 내피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한방생약을 0.01~1mm의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한방생약의 크기가 0.01mm미만인 경우 상기 내피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며, 1mm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불의 사용시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다.The herbal medicine may be dried and then ground to a size of 0.01 to 1 mm. In the case of the herbal medic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eign matter should not feel foreign while being adsorbed to the insulation material, and it is desirable that it not leak out of the endothelium.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herbal medicine by grinding it to a size of 0.01 to 1 mm. At this time, if the size of the herbal medicine is less than 0.01 mm, it may leak out of the endothelium, and if it is larger than 1 mm, a foreign body sensation may be felt when using the blanket.

상기 분쇄된 한방생약을 팽화기에 장입한 다음 1~3Mpa의 압력 및 100~300℃의 온도로 가열하여 팽화시시킬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하여 상기 한방생약의 밀도가 낮아쳐 이물감이 감소할 수 있음과 더불어 다공성을 가지게 되므로 유효성분의 휘산이 더욱 원활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 및 압력 미만에서 팽화시키는 경우 팽화가 원활하지 않아 유효성분의 휘산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온도 및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비용이 많이 필요로 함과 동시에 상기 한방생약이 탄화될 수 있다.The pulverized herbal medicine can be charged into a puffer and then heated to a pressure of 1 to 3Mpa and a temperature of 100 to 300°C to cause swelling. Through this process, the density of the herbal medicine can be lowered, thereby reducing the feeling of foreign matter, and it has porosity, so the volatiliz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can become more smooth. At this time, if the swelling is performed below the above temperature and pressure, the swelling may not be smooth and the volatiliz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decrease. If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are exceeded, the herbal medicine may be carbonized at the same time as it requires a lot of cost.

상기 팽화된 한방 생약을 물에 침지한 다음, 50~80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300~800W의 강도로 3~10분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는 상기 한방생약의 셀룰로오스와 공진하는 것으로 상기 셀룰로오스의 일부를 분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한방생약에 본재하는 유효성분의 휘산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다만 이 초음파 공급과정은 물속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초음파의 공급이 완료된 이후에는 공급된 물을 증발시켜 상기 물에 용출된 유효성분을 재흡착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immersing the puffed herbal medicine in water, ultrasonic waves with a frequency of 50 to 80 Hz can be supplied at an intensity of 300 to 800 W for 3 to 10 minutes. The ultrasonic waves can decompose part of the cellulose by resonating with the cellulose of the herbal medicine, thereby making it easier to volatilize the activ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herbal medicine. However, since this ultrasonic supply process is preferably performed in water, it is preferable to evaporate the supplied water and re-absorb the active ingredient eluted in the water after the ultrasonic supply is completed.

상기 재흡착과정은 상기 물에 용출된 유효성분을 상기 다공성의 한방생약제에 다시 공급하는 단계로, 물에 용출된 유효성분을 상기 한방생약에 균일하게 공급하여 각 한반생약의 위치에 따른 농도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한방생약은 분쇄되어 사용되므로 상기 부직포내에 균일한 농도로 흡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일부 위치에 따른 조성의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상기 한방생약의 유효성분의 농도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하여 상기 초음파 공급과정에서 외부로 용출된 유효성분을 재흡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유효성분이 상기 한방생약의 표면에 흡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유효성분의 휘산량도 많아질 수 있다.The re-adsorption process is a step of supplying the active ingredient eluted in the water back to the porous herbal medicine. The active ingredient eluted in the water is uniformly supplied to the herbal medicine to prevent concentration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each herbal medicine. It can be minimized. Since the herbal medicine is used after being pulverized, it is generally adsorbed at a uniform concentration within the nonwoven fabric. However, since there may be differences in composition depending on some locations, it is desirable to uniformize the concentr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herbal medicine through the above process. In addition, through this process, the active ingredient eluted to the outside during the ultrasonic supply process can be re-adsorbed, and since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herbal medicine, the amount of volatilization of the effective ingredient can also increase.

상기 외피는 상기 콜라겐을 포함하는 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이불의 최외곽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원단은 상기 외피중 인체와 접촉하는 커버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와 인체가 접촉되어 상기 인체에 콜라겐 및 마이크로 파이버에 의한 수분유지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The outer shell is manufactured using a fabric containing the collagen and can form the outermost layer of the blanket. The fabric may constitute a cover part of the outer ski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nd accordingly, the cover part and the human body can come into contact to bring about a moisture retention effect due to collagen and microfibers in the human body.

X : 코어-쉬스형 복합섬유의 코어부
Y : 코어-쉬스형 복합섬유의 쉬스부
1 : 사이드 크릴(Side creel) 2 : 장력조절장치
3 : 1차 스핀들 3' : 2차 스핀들
4 : 어댑터(Adapter)
5 : 커버링사 권취장치
6 : 사 가이드(Yarn Guide)
C : 심사
E1 : 1차 효과사
E2 : 2차 효과사
B1 : 심사(C)가 권취된 보빈
B2 : 1차 효과사(E1)가 권취된 보빈
B3 : 2차 효과사(E2)가 권취된 보빈
X: Core part of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Y: Sheath part of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1: Side creel 2: Tension control device
3: Primary spindle 3': Secondary spindle
4: Adapter
5: Covering yarn winding device
6: Yarn Guide
C: Judging
E1: Primary effects operator
E2: Secondary effects agent
B1: Bobbin with core material (C) wound on it
B2: Bobbin on which the primary effect yarn (E1) is wound
B3: Bobbin on which secondary effect yarn (E2) is wound

Claims (1)

원사들이 경편 조직 및 위편 조직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조직으로 제편된 편물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원사들은 심사가 1차 효과사와 2차 효과사에 의해 차례로 2회 커버링되어 있는 더블 커버링 원사이고, 상기 심사는 스판덱스 원사이고, 상기 2차 효과사는 폴리에스터 폴리머인 코어부와 에틸렌-비닐알콜계 공중합 폴리머인 쉬스부가 복합방사되어 있는 코어-쉬스형(Core-sheath type)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및 접촉 냉감성이 우수한 의료용 압박밴드.It has a knitted structure in which yarns are knitted with one tissue selected from warp knit tissue and weft knit tissue, and the yarns are double covering yarns in which the screening is covered twice sequentially by primary effect yarn and secondary effect yarn, and the screening is It is a spandex yarn, and the secondary effect yarn is a thermoelectric material comprising a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in which a core part of a polyester polymer and a sheath part of an ethylene-vinyl alcohol-based copolymer are compositely spun. A medical compression band with excellent conductivity and contact sensitivity.
KR1020220032014A 2022-03-15 2022-03-15 Medical pressure band KR202301352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014A KR20230135206A (en) 2022-03-15 2022-03-15 Medical pressure b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014A KR20230135206A (en) 2022-03-15 2022-03-15 Medical pressure b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206A true KR20230135206A (en) 2023-09-25

Family

ID=88190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014A KR20230135206A (en) 2022-03-15 2022-03-15 Medical pressure b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520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600B1 (en) 2008-07-29 2010-11-11 정동대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cushion bandage of for medical treatment cushion band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600B1 (en) 2008-07-29 2010-11-11 정동대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cushion bandage of for medical treatment cushion band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6605B1 (en) Quilt containing collagen fabric
US6815427B2 (en) Sericin-containing material,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method of using the same
Qin Medical textile materials
CN100400019C (en) Emergency wound dressing and its preparation method
JP3577083B2 (en) film
CN107233613A (en) A kind of aquatic origin cross-linked collagen composite multi-layer medical dressing
EA005697B1 (en) A method for preparing a collagen sponge
JPH0482561A (en) Wound cover material
KR102535461B1 (en) Functional quilt containing multiple collagens in th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unctional quilt
KR102364257B1 (en) Health Pillow Using Fragrance Therapy
CN1235795A (en) Anti-cellulite pantyhose
CN105177855A (en) Nonwoven fabric specialized for copper ammonia fiber facial mask
US6355263B1 (en) Clothing promoting metabolism of keratin layer
JPH09188972A (en) Silk processed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silk processing
KR20230135206A (en) Medical pressure band
JPH04176460A (en) Paper cloth product for prevention of excessive rubbing on bed
CN109303703A (en) A kind of moulding face lift object and application thereof
CN101548840B (en) Medical stone silk quilt
CN107252497A (en) A kind of medical accessory with antibacterial nutritve function
KR20230073010A (en) How to make a scented pillow
JPH10120523A (en) Fiber aggregate for face mask
KR20120038061A (en) Paper mulberry broussonetia kazinoki sieb basic raw materials have stocking
CN105852544A (en) Composite sericulture renewable resource functional silk pillow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507611B1 (en) Height-adjustable pillow
CN102631750A (en) Preparation method of gull rock anion far infrared gau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