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099A - 내장 히터를 포함하는 캡슐 및 비연소식 가열(hnb)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내장 히터를 포함하는 캡슐 및 비연소식 가열(hnb)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099A
KR20230135099A KR1020237027491A KR20237027491A KR20230135099A KR 20230135099 A KR20230135099 A KR 20230135099A KR 1020237027491 A KR1020237027491 A KR 1020237027491A KR 20237027491 A KR20237027491 A KR 20237027491A KR 20230135099 A KR20230135099 A KR 20230135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aerosol
housing
heater
forming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7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잭 더블유 블랙몬
에릭 호스
랑가라즈 에스. 순다르
레이몬드 더블유. 라우
자렛 킨
야닉 아워맨드
Original Assignee
알트리아 클라이언트 서비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트리아 클라이언트 서비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알트리아 클라이언트 서비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135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4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extraction; Tobacco extracts
    • A24B15/241Extraction of specific substances
    • A24B15/243Nicotin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7/00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7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15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 A61M2016/0018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 A61M2016/0021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with a proportional output signal, e.g. from a thermis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 A61M2016/003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electrical
    • A61M2016/0039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electrical in the inspiratory circu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cassettes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uid circuit
    • A61M2205/12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cassettes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uid circuit with incorporated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cassettes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uid circuit
    • A61M2205/1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cassettes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uid circuit with provisions for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4Detec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ube, a connector or a container in a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unwanted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68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92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telemetric means, e.g. radio or optical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5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Joule effect, i.e. electric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37Charg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용 캡슐(100)은 입구 개구부들(112, 122), 출구 개구부들(116, 126) 및 상기 입구 개구부들과 출구 개구부들 사이의 챔버(114, 124)를 한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챔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부로부터 대응하는 출구 개구부로 연장하는 최장 치수를 갖는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a, 160b)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된다. 히터(140)가 외측에서 하우징 안으로 연장할 수 있다. 히터는 제1 단부 섹션(142), 중간 섹션(144) 및 제2 단부 섹션(146)을 포함한다. 중간 섹션은 챔버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내 내에 배치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캡슐, 마우스피스 및 장치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캡슐과 체결되고,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캡슐 및 상기 마우스피스를 수용한다.

Description

내장 히터를 포함하는 캡슐 및 비연소식 가열(HNB) 에어로졸 생성 장치
본 개시 내용은 캡슐, 비연소식 가열(HNB, heat-not-burn)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실질적인 열분해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전자 장치는 식물 재료의 실질적인 열분해를 피하기 위해 온도를 식물 재료의 연소점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식물 재료의 성분을 방출하기에 충분한 온도로 식물 재료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예를 들어 비연소식 가열 에어로졸 생성 장치)라고 할 수 있으며, 가열되는 식물 재료는 담배일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식물 재료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가열 챔버에 직접 도입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식물 재료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삽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별 용기에 사전 포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비연소식 가열(HNB: heat-not-burn)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캡슐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캡슐은 입구 개구부들, 출구 개구부들, 및 상기 입구 개구부들과 상기 출구 개구부들 사이의 챔버를 한정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 그리고, 상기 하우징 안으로 연장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챔버는 상기 입구 개구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부로부터 상기 출구 개구부들 중 대응하는 출구 개구부까지 연장되는 최장 치수를 가지며, 상기 히터는 제1 단부 섹션, 중간 섹션 및 제2 단부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섹션은 상기 챔버 내의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 내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비연소식 가열(HNB: heat-not-burn)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캡슐, 마우스피스 및 장치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캡슐은 하우징,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입구 개구부들, 출구 개구부들 및 상기 입구 개구부들과 상기 출구 개구부들 사이의 챔버를 한정하며,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출구 개구부들을 통해 상기 챔버와 유체 연통하도록 상기 캡슐에 체결되고,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해 전류를 상기 히터에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 실시예의 다양한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면 더욱 명백해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첨부된 도면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축척에 맞게 그려진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명확성을 위해 도면의 다양한 치수가 과장되었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상류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문이 열려 있는 상태의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면 사시도로서, 마우스피스와 캡슐이 장치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캡슐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캡슐의 상류측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캡슐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다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상세히 개시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구체적인 구조적, 기능적 세부사항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시된 것뿐이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많은 대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 설명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국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과 대체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들의 예를 통해 표시되며 여기에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개시된 특정 형태들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으며,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모든 변형, 균등물 및 대안을 포괄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같은 참조번호들은 도면에 대한 설명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요소들을 가리킨다.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에 대해 "상에", "연결된", "결합된", "부착된", "인접한" 또는 "덮는"으로 언급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상기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있거나, 연결되거나, 결합되거나, 부착되거나, 인접하거나 또는 덮거나, 또는 중간 요소들 또는 층들이 존재할 수 있다. 반대로, 요소가 다른 요소 또는 층에 대해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된"으로 언급될 때, 중간 요소들 또는 층들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열거된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의 임의의 모든 조합들 및 부조합들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본원발명에서 다양한 요소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이 요소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들 용어는 어느 한 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단지 다른 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논의되는 제1 요소, 제1 영역, 제1 층, 또는 제1 섹션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교시를 벗어나지 않고 제2 요소, 제2 영역, 제2 층, 또는 제2 섹션으로 지칭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예를 들어, "아래에", "밑에", "하부", "위에", "상부"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들)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배향뿐만 아니라 사용 또는 작동 중인 장치의 다른 배향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 내의 상기 장치가 뒤집힌다면,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들의 "밑에" 또는 "아래에"로 설명된 요소들은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들의 "위에" 배향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용어 "아래에"는 위 및 아래의 배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다르게 배향될 수 있고(90도 회전되거나, 다른 배향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설명어구는 그에 맞춰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여기서 사용된 것과 같은, 단수 표현들 또는 단복수가 명시되지 않은 표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나타나지 않는 이상, 복수 표현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구비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등의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들, 구성들(integers), 단계들, 작동들, 및/또는 요소들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구성들, 단계들, 작동들, 요소들,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수치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약" 또는 "실질적으로"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 당해 수치는 언급된 수치에 대한 제조 또는 작동 오차(예를 들어 ±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기하학적 형태와 관련하여 "대체로"와 "실질적으로"라는 단어를 사용할 경우 기하학적 형태의 정확성이 요구되지는 않지만 형태에 대한 자유(latitude)는 개시 범위 내에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수치 또는 형태가 "약", "대체로" 또는 "실질적으로"에 의해 한정되는지에 상관없이, 수치 및 형태는 언급된 수치 및 형태에 대해 제조 또는 작동 오차(예를 들어 ±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하는)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을 포함하여,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그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원발명에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처리 회로(제어 회로)는 로직 회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같은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조합;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드웨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는 더 구체적으로, 중앙 처리 장치(CPU), 산술 논리 장치(AL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SoC(System-on-Chip),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으나, 여기에 열거된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상류측(upstream)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aerosol-forming substrate)를 수용하고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특히 전면 하우징(1202), 배면 하우징(1204), 및 프레임(1208)(예를 들어, 섀시)에 결합된 바닥 하우징(bottom housing)(1206)을 포함한다. 문(door)(1210)이 또한 전면 하우징(1202)에 피봇식으로 연결/부착된다. 예를 들어, 문(1210)은 힌지(1212)를 중심으로 움직이거나 회전(swing)하도록 구성되고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를 전환하기 위해 걸쇠부(latch)(1214)를 통해 전면 하우징(1202)과 가역적으로 체결/분리되도록(engage/disengag) 구성된다. 캡슐(100)(예를 들어, 도 5)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문(1210)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로 적재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작동 중에, 생성된 에어로졸은 마우스피스(1100)의 마우스측 세그먼트(mouth-end segment)(1104)에 의해 한정된(defined) 에어로졸 출구(aerosol outlet)(1102)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로부터 흡인(draw)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5).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제1 버튼(1218) 및 제2 버튼(1220)을 포함한다. 제1 버튼(1218)은 예열 버튼(pre-heat button)일 수 있고, 제2 버튼(1220)은 전력 버튼(power button)일 수 있다(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버튼(1218) 및 제2 버튼(122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제1 버튼(1218) 및/또는 제2 버튼(1220)이 눌리거나 그와 달리 연관된 제어 회로에 의해 지정될 때 가시 표시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튼(1218) 및 제2 버튼(1220) 모두가 LED를 포함하는 경우, 표시광은 동일한 색상일 수도 있고 다른 색상일 수도 있다. 표시광은 동일한 강도 또는 다른 강도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표시광은 연속 광 또는 간헐 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버튼(예를 들어, 제2 버튼(1220))과 관련된 표시광은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이 부족하고 충전이 필요함을 표시하기 위해 깜빡일 수/번쩍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2개의 버튼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원하는 인터페이스 및 기능에 따라 더 많거나(예를 들어, 3개) 더 적은 버튼이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전면(front face), 상기 전면 맞은편의 배면(rear face), 상기 전면과 배면 사이의 제1 측면(side face), 상기 제1 측면 맞은편의 제2 측면, 하류측 단부면(downstream end face) 및 상기 하류측 단부면 맞은편의 상류측 단부면(upstream end face)을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상류측"(및 역으로 "하류측")은 에어로졸의 흐름과 관련된 것이고 "근위"(proximal)(및 역으로 "원위"(distal))는 에어로졸 생성 동안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성인 조작자와 관련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단면이 다각형인 직육면체형 형상(예를 들어, 둥근 직사각형 직육면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원형 단면(예를 들어, 원형 실린더의 경우) 또는 타원형 단면(예를 들어, 타원형 실린더의 경우)을 갖는 실린더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주변 공기가 장치 본체(1200)(예를 들어, 도 5)로 들어가도록 허용하는 입구 삽입체(inlet insert)(1222)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입구 삽입체(1222)는 에어로졸 출구(1102)와 유체 연통하는 공기 입구로서 오리피스(orifice)를 한정한다. 그 결과 에어로졸 출구(1102)에 흡인 혹은 음압이 가해질 때, 주변 공기는 입구 삽입체(1222)의 오리피스를 통해 장치 본체(1200) 안으로 유입될 것이다. 입구 삽입체(1222)의 오리피스 크기(예: 직경)는, 유동 경로에서 다른 변수(예를 들어 캡슐(100))를 고려하면서, 원하는 전체 흡인 저항(RTD: resistance-to-draw)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입구 삽입체(1222)는 완전히 생략되어 공기 입구가 바닥 하우징(1206)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잭(1224) 및 포트(122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잭(1224)을 사용하여 연구 및 개발(R&D)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RS232 케이블을 통해) 작동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포트(1226)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의 내부 전원을 충전하기 위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예를 들어, USB/미니-USB 케이블을 통해) 전류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 또는 다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전화, 태블릿, 컴퓨터)와 (예를 들어 USB/미니 USB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전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앱)를 통해 전화와 같은 다른 전자 장치와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통해)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 성인 조작자는 앱을 통해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위치 확인, 사용 정보 확인, 작동 매개변수 변경 등)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를 제어하거나 달리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도 4는 문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마우스피스(1100)는 문(1210)이 열릴 때 보이고 문(1210)이 닫힐 때 시야에서 가려지는/숨겨지는 캡슐측 세그먼트(capsule-end segment)(1106)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측 세그먼트(1106)는 마우스측 세그먼트(1104)보다 더 크다(예를 들어, 직경이 더 크다). 문(1210)의 내부는 마우스피스(1100)의 캡슐측 세그먼트(1106) 및 마우스측 세그먼트(1104)의 굴곡에 대응하는 윤곽 융기부(contoured ridge)(예를 들어 반원형 만입부(indention)를 구비함)들을 구비한다. 결과적으로, 마우스피스(1100)는 문(1210)이 닫힐 때 전면 하우징(1202)과 문(1210) 사이에 상대적으로 꼭끼워맞춤 결합을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문(1210)의 내부에 있는 윤곽 융기부는 문(1210)이 닫힐 때 마우스피스(1100)의 더 큰 인접한 또는 당접한(abut) 세그먼트로부터 하류측에 있도록 크기가 지정되고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우스피스(1100)는 문(1210)이 닫힐 때 마우스피스(1100)가 장치 본체(1200)로부터 우발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교적 안전한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문(1210)은 힌지(121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닫힌 위치(closed position)로부터 열리도록(그리고 반대로, 회전하여 열린 위치(open position)로부터 닫히도록/폐쇄되도록) 구성된다. 힌지(1212)는, 문(1210)의 회전 축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종축(세로축)(longitudinal axis)과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문(1210)은 걸쇠부(latch)(1214)를 구비하고, 전면 하우징(1202)은 잠금쇠부(catch)(1216)를 한정한다. 문(1210)의 걸쇠부(1214)는 문(1210)이 닫힐 때 전면 하우징(1202)의 잠금쇠부(1216)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그 체결은 억지 끼워맞춤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힌지(1212)는 문(1210)를 이동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힘을 요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필요한 마찰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문(1210)은 그 위치(예를 들어, 닫힌 위치, 부분적으로 열린 위치, 완전히 열린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정상적인 움직임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하여 열리고/닫히지 않을 것이다. 또 다른 예에서, 힌지(1212)는 문(1210)이 기본적으로 닫힌 위치로 강제되도록(biased)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다(spring-loaded). 또 다른 예에서, 걸쇠부(1214) 및 잠금쇠부(1216)는 자기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걸쇠부(1214)는 제1 자석을 포함할 수 있는 반면, 잠금쇠부(1216)는 제2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은 서로 끌어당기도록 배향된다. 대안적으로, 걸쇠부(1214) 또는 잠금쇠부(1216) 중 하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는 반면, 걸쇠부(1214) 또는 잠금쇠부(1216) 중 다른 하나는 자석에 끌리는 재료(예를 들어, 강자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마우스피스 및 캡슐이 장치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의 도 4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캡슐(100) 및 마우스피스(11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장치 본체(120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 본체(1200)는 캡슐(1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receptacle)(1228)를 한정한다. 수용부(1228)는 캡슐(100)의 전기적 단부 섹션들/접점들을 수용하기 위해 외측으로 연장되고, 직경 방향으로 서로 맞은편에 있는 측면 슬롯들을 갖는 원통형 소켓의 형태일 수 있다. 하지만, 수용부(1228)는 캡슐(100)의 형상/구성에 따라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200)는 캡슐(100) 및 마우스피스(1100)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열리고 캡슐(100) 및 마우스피스(1100)를 유지하도록 닫히는 문(1210)을 포함한다. 마우스피스(1100)는 (예를 들어, 마우스측 세그먼트(1104)의) 마우스 측 단부(mouth end) 및 그 맞은편의 (예를 들어, 캡슐측 세그먼트(1106)의) 캡슐 측 단부(capsule end)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캡슐 측 단부는 마우스 측 단부 보다 크고, 장치 본체(1200)의 문(1210)이 닫힐 때 캡슐(100)로부터 마우스피스(1100)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장치 본체(1200) 내에 수용/고정되고 에어로졸 생성을 위해 준비될 때, 캡슐(100)은 시야에서 숨겨지는 반면 마우스피스(1100)의 에어로졸 출구(1102)를 한정(형성)하는 마우스측 세그먼트(1104)는 보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1100)의 마우스측 세그먼트(1104)는 장치 본체(1200)의 하류측 단부면(end face)으로부터/단부면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1100)의 마우스측 세그먼트(1104)는 장치 본체(1200)의 후면보다 전면에 더 가까이 있다.
일부 경우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장치 본체(1200)는 마우스피스 센서 및/또는 문 센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 센서는 수용부(1228)의 테두리(rim)(예를 들어, 장치 본체(1200)의 전면에 인접하여)에 배치될 수 있다. 문 센서는 힌지(1212)에 인접하고 문(1210)의 회전 경로(swing path) 내에 있는 전면 하우징(1202)의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마우스피스 센서 및 문 센서는 스프링 장착된(spring loaded)(예를 들어 수축가능한), 안전 장치로 구성된 돌출체(projection)이다.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 센서는 마우스피스(1100)가 수용부(1228) 내에 장착된 캡슐(100)과 완전히 체결될 때 수축/눌려질 수 (예를 들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문 센서는 문(1210(이 완전히 닫힐 때 수축/눌려질 수 (예를 들어 활성화 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장치 본체(1200)의 제어 회로는 전류가 캡슐(100)에 공급되어 그 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도록 한다(예를 들어, 제1 버튼(1218)이 눌려질 때 예열 되게 한다). 반대로, 장치 본체(1200)의 제어 회로는 마우스피스 센서 및/또는 문 센서가 활성화 되지 않았을 때 또는 비활성화 되었을 때(예를 들어, 분리되었을 때) 전류의 공급을 방지하거나 중단할 수 있다. 따라서, 마우스피스(1100)가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경우 및/또는 문(1210)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경우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가열이 개시되지 않을 것이다. 유사하게,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가열 동안 문(1210)가 열리면 캡슐(100)로의 전류 공급이 중단/정지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논의될 캡슐(100)은 대체로 입구 개구부(inlet opening)들, 출구 개구부(outlet opening)들 및 상기 입구 개구부들과 상기 출구 개구부들 사이의 챔버를 한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하우징의 챔버 내에 배치된다. 또한 히터는 외부에서 하우징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은 본체 부분과 상류측 부분(예를 들어, 기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의 본체 부분은 근위 단부(proximal end) 및 원위 단부(distal end)를 포함한다. 하우징의 상류측 부분은 본체 부분의 원위 단부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캡슐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캡슐의 상류측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캡슐(100)의 하우징은 제1 커버(110), 제2 커버(120) 및 기저 부분(base portion)(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의 본체 부분은, 제1 커버(110)(예를 들어 제1 본체 부품으로서) 및 제2 커버(120)(예를 들어, 제2 본체 부품으로서)의 형태일 수 있고, 하우징의 상류측 부분은 기저 부분(130)(예를 들어 제2 본체 부품으로서)의 형태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저 부분(130)은 체결 어셈블리(136)를 포함하고, 제1 커버(110) 및 제2 커버(120)는 체결 어셈블리(136)를 통해 서로 간에 그리고 기저 부분(130)과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제1 커버(110) 및 제2 커버(120)는 상류측 통로(upstream passage)(162) 및 하류측 통로(166)를 공동으로 한정한다. 상류측 통로(162)는 직렬로 배열된 복수개의 입구 개구부의 형태일 수 있는 반면, 하류측 통로(166)는 직렬로 배열된 복수개의 출구 개구부의 형태일 수 있으나,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저 부분(130)은 유입되는 공기가 상류측 통로(162)를 통과하여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배치되어 있는 캡슐(100) 내의 챔버 내로 들어가기 전에 초기에 캡슐(100)로 들어가는 기저 입구(base inlet)(132)(예를 들어 공기 채널)를 한정한다. 또한, 이후에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캡슐(100)은 기저 부분(130)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외부 섹션으로서 제1 단부 섹션(142) 및 제2 단부 섹션(146)을 갖는 히터(140)(예를 들어, 도 8)를 포함한다.
캡슐(100)은 또한 제1 환형 부재(150a) 및 제2 환형 부재(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환형 부재(150a)는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의 근위(또는 하류측) 단부들을 함께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의 원위(또는 상류측) 단부들이 기저 부분(130)의 체결 어셈블리(136)에 결합(예를 들어 클램핑(clamping))하기 때문에, 제1 환형 부재(150a)는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를 함께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따라서 부주의로 인해 기저 부분(13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환형 부재(150b)는 제1 커버(110) 및 제2 커버(120)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기저 부분(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환형 부재(150a) 및 제2 환형 부재(150b)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작동 중에 원하는 기밀(air sealing)을 제공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캡슐(100)이 마우스피스(1100)에 체결될 때, (예를 들어 탄성 O-링으로서) 제1 환형 부재(150a) 및 제2 환형 부재(150b)는 마우스피스(1100)의 캡슐측 세그먼트(1106)의 내부 표면과 인터페이스하여 적절한 실링(sealing)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흡인 또는 음압이 마우스피스(1100)의 에어로졸 출구(1102)에 적용될 때, 장치 본체(1200)로 끌어당겨진 주변 공기의 전부 또는 본질적으로 전부가 (마우스피스(1100)의 내부 표면과 캡슐(100)의 외부 표면 사이에서의 우회 흐름(bypass flow)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이) 캡슐(100)을 통해 흡인될 수 있다.
캡슐(100)이 장치 본체(1200)에 장착될 때, 기저 부분(130)의 대부분과 함께 히터(140)의 제1 단부 섹션(142) 및 제2 단부 섹션(146)은 수용부(1228) 내에 안착될 것이다(예를 들어, 수용부(1228) 주위 테두리 평면 아래에).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 본체(1200)의 수용부(1228)는, 캡슐(100)이 수용부(1228) 내에 완전히 안착될 때, 제1 환형 부재(150a) 및 제2 환형 부재(150b) 모두가 수용부(1228)의 테두리 위쪽에 있도록 하는 깊이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마우스피스(1100)가 캡슐(100)과 완전히 체결될 때, 마우스피스(1100)는 제1 환형 부재(150a), 제2 환형 부재(150b), 및 선택적으로 수용부(1228) 주위의 테두리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도 6의 캡슐의 분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캡슐(100) 내에 포함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제1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a) 및 제2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b)의 형태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a) 및 제2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b)는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 사이에 수용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작동 중에, 제1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a) 및 제2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b)는 히터(140)에 의해 가열되어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보다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히터(140)는 제1 단부 섹션(142), 중간 섹션(144) 및 제2 단부 섹션(146)을 포함한다. 또한, 캡슐(100)의 조립 전에, 히터(140)는 제조 공정 동안 기저 부분(130)에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100)의 제1 커버(110)는 제1 상류측 홈(upstream groove)(112), 제1 오목부(recess)(114) 및 제1 하류측 홈(116)을 한정한다. 제1 상류측 홈(112) 및 제1 하류측 홈(116)은 일련의 홈 형태일 수 있다. 유사하게, 캡슐(100)의 제2 커버(120)는 제2 상류측 홈, 제2 오목부 및 제2 하류측 홈(126)을 한정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커버(120)의 제2 상류측 홈, 제2 오목부, 및 제2 하류측 홈(126)은 각각 제1 커버(110)의 제1 상류측 홈(112), 제1 오목부(114) 및 제1 하류측 홈(116)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일부 예에서, 제1 커버(110) 및 제2 커버(120)는 동일하고 상보적인 구조이다. 이러한 한 경우에,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가 기저 부분(130)과 체결되기 위해 서로 마주하도록 배향하면 상보적인 배열이 될 것이다. 그 결과, 어느 하나가 제1 커버(110) 또는 제2 커버(120)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제조 방법이 단순화된다.
제1 커버(110)의 제1 오목부(114)와 제2 커버(120)의 제2 오목부는,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가 기저 부분(130)과 결합시 히터(140)의 중간 섹션(144)을 수용하는 챔버를 형성한다. 제1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a) 및 제2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b)는 또한 캡슐(100)이 조립될 때 히터(140)의 중간 섹션(144)과 열 접촉하도록 챔버 내에 수용될 수도 있다. 챔버는 (예를 들어, 상류측 통로(162)의) 입구 개구부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예를 들어, 하류측 통로(166)의) 출구 개구부들 중 대응하는 하나까지 연장되는 가장 긴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캡슐(100)의 하우징은 종축을 갖고, 챔버의 가장 긴 치수는 하우징의 종축을 따라 연장된다.
제1 커버(110)의 제1 하류측 홈(116)과 제2 커버(120)의 제2 하류측 홈(126)이 합쳐져 하류측 통로(166)를 이룬다. 비슷하게, 제1 커버(110)의 제1 상류측 홈(112)과 제2 커버(120)의 제2 상류측 홈이 합쳐져 상류측 통로(162)를 형성한다. 하류측 통로(166) 및 상류측 통로(162)는 챔버 내에 제1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a) 및 제2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b)를 유지하기에 충분히 작거나 좁지만 제1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a) 및 제2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b)가 히터(140)에 의해 가열될 때 공기 및/또는 에어로졸이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히 넓다.
일 예에서, 제1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a) 및 제2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b) 각각은, 제1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a)와 제2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b) 각각이 제1 커버(110)의 제1 오목부(114)와 제2 커버(120)의 제2 오목부) 내에 통일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일정 형태(consolidated form)(예를 들어, 시트, 팔레트, 정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제1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a)는 히터(140)의 중간 섹션(144)의 일측(예를 들어, 제1 커버(110)을 향하는 측)에 배치되고 제2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b)는 히터(140)의 중간 섹션(144)의 타측(예를 들어, 제2 커버(120)를 향하는 측)에 배치되어, 제1 커버(110)의 제1 오목부(114) 및 제2 커버(120)의 제2 오목부를 각각 대체로 채울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사이에 히터(140)의 중간 섹션(144)을 삽입(sandwiching)/장착(embedding) 한다. 대안적으로, 제1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a) 및 제2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b)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고정된 형상을 갖지 않으며, 수용될 때 제1 커버(110)의 제1 오목부(114)의 형상 및/또는 제2 커버(120)의 제2 오목부의 형상을 따르도록 구성된, 부정형 형태(loose form)(예를 들어, 입자들, 섬유들, 부스러기(ground)들, 파편들, 조각들)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캡슐(100)의 하우징은 제1 커버(110), 제2 커버(120) 및 기저 부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100)이 조립될 때, 하우징은 30mm ~ 40mm(예를 들어, 35mm)일 수 있으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커버(110)의 제1 오목부(114)와 제2 커버(120)의 제2 오목부 각각은 약 1mm ~ 4mm(예: 2mm)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커버(110)의 제1오목부(114)와 제2 커버(120)의 제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챔버의 전체 두께는 약 2mm ~ 8mm(예를 들어, 4mm)일 수 있다. 이러한 선들을 따라, 제1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a) 및 제2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b)는, 만약 정형 형태라면, 각각 약 1mm 내지 4mm(예를 들어, 2mm)의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그 결과, 제1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a)와 제2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b)는 히터(140)의 중간 섹션(144)에 의해 비교적 빠르고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재료(또는 재료들의 조합)이다. "에어로졸"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청구된 장치들 및 그 등가물에 의해 생성되거나 출력되는 물질과 관련된다. 상기 재료는 화합물(예를 들어 니코틴,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은 상기 재료가 가열될 때 생성된다. 상기 가열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실질적인 열분해 또는 연소 부산물(존재하는 경우)의 실질적인 생성을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도록 연소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 중에 그리고 그에 따른 에어로졸의 생성 중에 열분해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른 경우에는 일부 열분해 및 연소 부산물이 있을 수 있지만 그 정도는 상대적으로 미미하거나 및/또는 부수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섬유질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질 재료는 식물 재료일 수 있다. 섬유질 재료는 가열될 때 화합물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화합물은 섬유질 재료의 자연 발생 성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질 재료는 담배와 같은 식물 재료일 수 있고 방출되는 화합물은 니코틴일 수 있다. "담배"라는 용어는 담배 잎, 담배 플러그(tobacco plug), 재생 담배, 압축 담배, 성형 담배(shaped tobacco), 분말 담배, 그리고 예를 들어 Nicotiana RusticaNicotiana tabacum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담배 식물 종의 조합을 포함하는 모든 담배 식물 재료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담배 재료는 Nicotiana 속의 임의의 구성원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담배 재료는 둘 이상의 상이한 담배 품종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유형의 담배 재료의 예는 연도 경화 담배(flue-cured tobacco), 벌리 담배(Burley tobacco), 다크 담배(Dark tobacco), 메릴랜드 담배(Maryland tobacco), 오리엔탈 담배(Oriental tobacco), 희귀 담배, 특수 담배, 이들의 블렌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담배 재료는 담배 박판, 부피 팽창 또는 퍼프(puff) 담배와 같은 가공 담배 재료, 절단 압연 또는 절단 퍼프 줄기와 같은 가공 담배 주맥, 재생 담배, 이들의 블렌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담배 재료는 실질적으로 건조한 담배 덩어리의 형태이다. 또한, 일부 경우에, 담배 재료는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이들의 부-조합,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와 혼합 및/또는 조합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또한 의학적으로 허용되는 치료 효과가 있는 약용 식물의 자연 발생 성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용 식물은 칸나비스(cannabis) 식물일 수 있으며, 상기 화합물은 칸나비노이드일 수 있다. 칸나비노이드는 체내 수용체와 상호작용하여 광범위한 효과를 낸다. 그 결과, 칸나비노이드는 다양한 의학적 목적(예를 들어 고통, 구토, 뇌전증, 정신과질환의 치료)으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 섬유질 재료는 칸나비스 사티바(Cannabis sativa), 칸나비스 인디카(Cannabis indica), 칸나비스 루데랄리스(Cannabis ruderalis)와 같은 칸나비스 식물 종 중 하나 이상의 잎 및/또는 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기 섬유질 재료는 60-80%(예를 들어 70%)의 칸나비스 사티바와 20-40%(예를 들어 30%)의 칸나비스 인디카의 혼합물이다.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s)의 예로는,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산(tetrahydrocannabinolic acid, THCA),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 (tetrahydrocannabinol, THC), 칸나비디올산 (cannabidiolic acid, CBDA),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칸나비놀(cannabinol, CBN), 칸나비싸이크롤(cannabicyclol, CBL), 칸나비크로멘(cannabichromene, CBC), 칸나비게롤(cannabigerol, CBG)이 있다.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산(THCA)은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의 전구체이며, 칸나비디올산(CBDA)은 칸나비디올(CBD)의 전구체이다.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산(THCA)과 칸나비디올산(CBDA)은 가열을 통해 각각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과 칸나비디올(CBD)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히터(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히터(140))에 의한 가열은 탈카르복실화를 야기하여 캡슐(100)의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산(TCHA)을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로 변환하고, 및/또는 캡슐(100)의 칸나비디올산(CBDA)을 칸나비디올(CBD)로 변환한다.
상기 캡슐(100)에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산(THCA)과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탈카복실화와 그로 인한 전환은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산(THCA)의 감소와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의 증가를 야기한다. 상기 캡슐(100)의 가열 동안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산(THCA)의 최소 50%(예를 들어 최소 87%)가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로 전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칸나비디올산(CBDA)과 칸나비디올(CBD)이 모두 상기 캡슐(100)에 존재하는 경우, 탈카복실화와 그로 인한 전환은 칸나비디올산(CBDA)의 감소와 칸나비디올(CBD)의 증가를 야기할 것이다. 상기 캡슐(100)의 가열 중에 최소 50%(예를 들어 최소 87%)의 칸나비디올산(CBDA)이 칸나비디올(CBD)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섬유질 재료에 후속적으로 도입되는 비천연 발생 첨가제일 수 있거나 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섬유질 재료는 목화,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인견, 이들의 조합 등을 (예를 들어 거즈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섬유질 재료는 셀룰로오스 재료(예를 들어, 비-담배 및/또는 비-칸나비스 재료)일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도입된 상기 화합물은 니코틴, 칸나비노이드 및/또는 향미제(flavora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식물 추출물(예를 들어 담배 추출물, 칸나비스 추출물) 같은 천연 공급원 및/또는 인공 공급원에서 유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섬유질 재료가 담배 및/또는 칸나비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향미제(예를 들어, 멘톨, 민트, 바닐라)이거나 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 내의 상기 화합물은 자연 발생 성분 및/또는 비-자연 발생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자연 발생 성분의 기존 레벨은 보충을 통해 증가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니코틴을 함유한 추출물을 보충하여 담배의 양에서 니코틴의 기존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칸나비스의 양에서 하나 이상의 칸나비노이드의 기존 레벨은 그러한 칸나비노이드를 함유하는 추출물로 보충을 통해 증가될 수 있다.
제1 커버(110) 및 제2 커버(120)는 또한 각각 제1 고랑 구조(furrow)(118) 및 제2 고랑 구조(128)를 한정한다. 제1 고랑 구조(118) 및 제2 고랑 구조(128)는 집합적으로(함께) 제1 환형 부재(150a)를 수용하는 하류측 고랑 구조를 형성한다. 유사하게, 기저 부분(130)은 제2 환형 부재(150b)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류측 고랑 구조(138)를 한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저 부분(130)은 제1 커버(110) 및 제2 커버(120)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체결 어셈블리(136)를 포함한다. 체결 어셈블리(136)는 일체로 형성된 기저 부분(130)의 부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저 부분(130)은 기저 입구(132)와 유체 연통하는 기저 출구(134)를 한정하고, 체결 어셈블리(136)는 기저 출구(134)의 각 측면에서 돌출한 테두리/칼라(projecting rim/collar) 형태이다. 추가로, 각각의 제1 커버(110) 제2 커버(120) 각각은 체결 어셈블리(136)의 대응하는 돌출한 테두리/칼라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롯을 한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원위 단부를 통해) 제1 커버(110) 및 제2 커버(120)는 (서로 인터페이싱 하면서) 기저 부분(130)의 체결 어셈블리와 맞물리게 결합하여 캡슐(100)의 하우징을 형성한다.
시트 재료는 히터(140)를 생성하기 위해 절단되거나 달리 처리(예를 들어, 스탬핑, 전기화학 에칭, 다이 절단, 레이저 절단)될 수 있다. 그러한 예에서, 히터(140)는 일체형의 연속적인 형태를 가질 것이다. 시트 재료는 주울 가열(옴/저항 가열이라고도 함)을 받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 재료에 적합한 전도체는 철 기반 합금(예: 스테인리스 스틸, 철 알루미나이드), 니켈 기반 합금(예: 니크롬) 및/또는 세라믹(예: 금속으로 코팅된 세라믹)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은 SS316L로 당업계에 공지된 종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트 재료는 약 0.10mm - 0.30mm(예를 들어, 0.15mm - 0.2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히터(140)는 0.5mm - 2.5옴(예를 들어, 1.0mm - 2.0옴)의 저항을 가질 수 있다.
히터(140)는 제1 단부 섹션(142), 중간 섹션(144) 및 제2 단부 섹션(146)을 갖는다. 제1 단부 섹션(142) 및 제2 단부 섹션(146)은 히터(140)의 작동(활성화) 동안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받도록 구성된다. 히터(140)가 활성화되면(예를 들어, 주울 가열(Joule heating)을 받도록) 제1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a) 및 제2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b)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고,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으며, 캡슐(100)의 하류측 통로(166)를 통해 흡인 또는 달리 방출될 수 있다. 제1 단부 섹션(142) 및 제2 단부 섹션(146) 각각은 (예를 들어, 연결 볼트를 통해) 전원과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포크 단자(fork terminal)를 포함할 수 있지만,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140)가 시트 재료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단부 섹션(142), 제2 단부 섹션(146) 및 중간 섹션(144)은 동일 평면상에 있을 수 있다. 또한, 히터(140)의 중간 섹션(144)은 복수의 병렬 세그먼트(예를 들어, 8 내지 16개의 병렬 세그먼트)를 갖는 압축 진동(compressed oscillation) 또는 지그재그와 유사한 평면 및 권선 형태(planar and winding form)를 가질 수 있다. 한 예에서, 각각의 평행 세그먼트는 약 0.28mm - 0.32mm(예를 들어, 0.30mm)의 폭을 가지면 평행 세그먼트들의 간격은 약 0.30mm - 0.34mm(예를 들어, 0.32mm)일 수 있다. 그러나, 히터(140)의 중간 섹션(144)에 대한 다른 형태(예를 들어, 나선형 형태, 꽃과 같은 형태)도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히터(140)는 기저 부분(130)을 통해 연장된다. 그러한 예에서, 제1 단부 섹션(142) 및 제2 단부 섹션(146) 각각의 종단(terminal)은 기저 부분(130)의 두 반대측에서 돌출하는, 히터(140)의 외부 세그먼트들로 간주될 수 있다. 특히, 히터(140)의 중간 섹션(144)은 기저 부분(130)의 하류측에 있을 수 있고 기저부 출구(base outlet)(134)와 정렬될 수 있다. 제조 동안, 히터(140)는 사출 성형(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 오버몰딩)을 통해 기저 부분(130)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40)는 중간 섹션(144)이 체결 어셈블리(136)의 한 쌍의 돌출 테두리/칼라 사이에 균등하게 이격되도록 내장될 수 있다. 캡슐(100)이 조립될 때, 히터(140)의 중간 섹션(144)은 상류측 통로(162)와 하류측 통로(166) 사이에 정렬될 수 있다.
히터(140)의 제1 단부 섹션(142) 및 제2 단부 섹션(146)이 기저 부분(13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예를 들어, 핀(fin))로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히터(140)의 제1 단부 섹션(142)과 제2 단부 섹션(146)은 캡슐(100)의 측면 일부를 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 부분(130)의 윤곽을 따라가면서) 기저 부분(130)의 측면들에 대해 위치/접혀지도록, 히터(140)의 제1 단부 섹션(142) 및 제2 단부 섹션(144) 중 노출되는 부분들의 치수와 방위가 정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단부 섹션(142) 및 제2 단부 섹션(146)은 캡슐(100)의 측면의 일부뿐만 아니라 각각 제1 전기 접촉 패드 및 제2 전기 접촉 패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프레임(1208)(예를 들어, 금속 섀시)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토대 역할을 한다. 도면에 도시되고 위에서 이미 논의된 구조/구성 요소에 관하여, 그러한 관련 교시는 또한 본 섹션에 적용가능하고 간결함을 위해 반복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닥 하우징(1206)은 프레임(1208)의 상류측 단부에 고정된다. 추가로, (캡슐(1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228)는 프레임(1208)의 전면측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수용부(1228)와 바닥 하우징(1206) 사이에 수용부(1228)에 있는 캡슐(1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입구 채널(1230)이 있다. 유입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입구 삽입체(1222)(예를 들어 도 3)가 입구 채널(1230)의 원위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228) 및/또는 입구 채널(1230)은 유동 센서(예를 들어, 통합된 유동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covering)(1232) 및 그 내부의 전원(1234)(예를 들어, 도 11)이 프레임(1208)의 배면 측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1228) 내에 있고 마우스피스(1100)의 캡슐측 세그먼트(1106)에 의해 덮이는) 캡슐(100)과의 전기적 연결을 이루기 위해, 제1 전원 단자 블록(1236a) 및 제2 전원 단자 블록(1236b)이 제공되어 전류 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원 단자 블록(1236a) 및 제2 전원 단자 블록(1236b)은, 히터(140)의 제1 단부 섹션(142) 및 제2 단부 섹션(146)을 통해 전원(1234)과 캡슐(100) 사이에 필요한 전기적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제1 전원 단자 블록(1236a) 및/또는 제2 전원 단자 블록(1236b)은 황동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또한 그 작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인쇄회로기판(1238)(예를 들어, 전력 및 I2C용 브리지 PCB)이 전원(1234)용 덮개(1232)의 하류측 단부에 장착된다. 또한, 제2 인쇄회로기판(1240)(예를 들어 HMI PCB)이 덮개(1232)의 배면에 장착된다. 다른 예에서, 제3 인쇄회로기판(1242)(예를 들어, 직렬 포트 PCB)이 프레임(1208)의 전면에 고정되고 입구 채널(1230) 뒤에 위치한다. 또한, 제4 인쇄회로기판(1244)(예를 들어, USB-C PCB)이 프레임(1208)의 배면과 전원(1234)용 위한 덮개(1232) 사이에 배치된다. 그 크기, 형상 및 위치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원하는 특징에 따라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들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여기에서 설명된 것으로 제한되어선는 안된다.
도 11은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되고 위에서 이미 논의된 구조/구성요소와 관련하여, 그러한 관련 교시가 이 섹션에도 적용 가능하고 간결함을 위해 반복되지 않았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마우스피스(1100)의 마우스측 단부 세그먼트(1104)는 단일 출구 형태의 에어로졸 출구(1102)를 한정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출구(1102)는 대안적으로 복수의 더 작은 출구(예를 들어, 2개 내지 6개 출구)의 형태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복수의 출구는 4개의 출구 형태일 수 있다. 출구들은 에어로졸의 발산 스트림을 방출하도록 반경방향으로(radially) 배열되고 및/또는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필터 또는 향미 매질(flavor medium) 중 적어도 하나가 마우스피스(1100)의 마우스측 단부 세그먼트(110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예에서, 필터 및/또는 향미 매질은 챔버(164)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출구(1102)를 통해 빠져나가기 전에 필터 또는 향미 매질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할 것이다. 필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예를 들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a) 및/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b))로부터의 입자들이 의도하지 않게 캡슐(100)로부터 끌어당겨지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필터는 또한 원하는 입맛을 제공하기 위해 에어로졸의 온도를 감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향미 매질(예를 들어 향미 비드(beads))는 에어로졸이 원하는 향미를 에어로졸 부여하기 위해, 에어로졸이 통과할 때 향미제를 방출할 수 있다. 향미제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관련하여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필터 및/또는 향미 매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관련하여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형태 또는 부정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또한 수용부(1228) 내에 안착된 제3 환형 부재(150c)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3 환형 부재(150)(예를 들어 탄성 O-링)은, 캡슐(100)의 기저 부분(130)이 수용부(1228)에 완전히 삽입될 때 공기 밀봉(기밀)이 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수용부(1228)로 흡인된 공기의 전부는 아니지만 대부분은 캡슐(100)을 통과할 것이고, 캡슐(100) 주위의 임의의 우회 흐름은 존재한다고 해도 미미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환형 부재(150a), 제2 환형 부재(150b) 및/또는 제3 환형 부재(150c)는 투명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이미 논의된 인쇄회로기판에 더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또한 프레임(1208)과 전원(1234) 사이에 배치된 제5 인쇄회로기판(1246)(예를 들어, 메인 PCB)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원(1234)은 900mAh 배터리(예를 들어 리튬 이온 충전지)일 수 있으나,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센서(1248)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작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캡슐(100)의 상류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248)는 기류 센서일 수 있다. 센서(1248) 뿐만 아니라 제1 버튼(1218) 및 제2 버튼(1220)의 관점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작동은 자동 작동(예를 들어, 퍼프 작동), 수동 작동(예를 들어, 버튼 작동)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를 작동시키면, 장치 본체(1200) 내의 캡슐(100)이 가열되어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버튼(1220)을 누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켜질 것이다. 다음으로, 제1 버튼(1218)을 누르면 제어 회로가 전원(1234)에 지시하여 히터(140)의 제1 단부 섹션(142) 및 제2 단부 섹션(146)을 통해 캡슐(100)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캡슐(100)의 가열이 개시될 것이다. 캡슐(100) 내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원하는 혹은 미리 결정된 온도에 도달하며, 제1 버튼(1218)은 그러한 온도(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을 위한 온도)에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광(예를 들어 녹색 광)을 발할 것이다. 그 후, 마우스피스(1100)의 에어로졸 출구(1102)에 흡인 또는 음압이 가해지면 입구 채널(1230)을 통해 주변 공기를 장치 본체(1200)로 끌어당길 것이며, 여기서 공기는 초기에 입구 삽입체(1222)를 통과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3). 일단 장치 본체(1200) 내부에 들어가면, 공기는 입구 채널(1230)을 지나 수용부(1228)로 이동하여 센서(1248)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예를 들어, 지형 데이터의 생성을 위해). 센서(1248)를 지난 후에, 공기는 수용부(1228)를 계속 통과하고 기저 부분(130)을 통해 캡슐(100)로 들어간다. 구체적으로, 공기는 상류측 통로(162)를 통해 챔버(164)로 들어가기 전에 캡슐(100)의 기저부 입구(132)를 통해 흐를 것이다.
캡슐(100)에 전류를 공급한 결과로, 히터(140)의 중간 섹션(144)의 온도가 증가할 것이고, 이는 챔버(164) 내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예를 들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a) 및/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160b))의 온도를 증가시켜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의해 휘발성 물질이 방출되어 에어로졸을 생성 한다. 생성된 에어로졸은 챔버(164)를 통해 흐르는 공기에 혼입(수반)될 것이다. 특히, 챔버(164) 내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마우스피스(1100)의 에어로졸 출구(1102)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를 빠져나가기 전에, 캡슐(100)의 하류측 통로(166)를 통과할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제어 회로는 흡인/퍼프 동안 및 흡인/퍼프 사이에 히터(140)의 중간 섹션(114)의 온도를 모니터함으로써 히터(140)로 전달되는 (예를 들어, 전류를 통해) 에너지/전력의 양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제어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은 비교적 일정한 온도에서/온도로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일단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켜지면, 제1 버튼(1218)을 누르면 에어로졸 생성 온도 아래의 온도(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기재에 대한 에어로졸 생성 온도의 90% - 95%)로 캡슐(100)의 예열을 개시할 것이다. 다음으로, 에어로졸 발생 온도 아래의 온도를 에어로졸 발생 온도로 증가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활성화는 센서(1248)에 의한 기류의 검출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열 단계/모드 동안, 센서(1248)에 의한 기류의 검출은, 에어로졸 생성 온도를 얻기 위해, 제어 회로가 전원(1234)에 지시하여 히터(140)의 제1 단부 섹션(142) 및 제2 단부 섹션(146)을 통해 캡슐(100)에 추가적인 전류를 공급하도록 한다. 이후에 생성되는 에어로졸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로부터 흡인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센서(1248)에 의한 기류의 검출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를 켤 것이고 또한 제어 회로가 전원(1234)에 지시하여 히터(140)의 제1 단부 섹션(142) 및 제2 단부 섹션(146)을 통해 캡슐(100)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캡슐(100)의 가열을 시작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기재, 캡슐, 장치 및 방법의 추가 세부 사항은 또한 명칭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INCLUDING ENERGY-BASED HEATER CONTROL, AND METHODS OF CONTROLLING A HEATER"의 미국 출원 번호 17/151,375, 대리인 관리 번호 NO. 24000NV-000668-US; 명칭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INCLUDING INTRA-DRAW HEATER CONTROL, AND METHODS OF CONTROLLING A HEATER"의 미국 출원 번호 17/151,409, 대리인 관리 번호 NO. 24000NV-000670-US; 본 출원과 동시에 출원된 명칭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AND CAPSULES"의 미국 출원 번호 17/151,327, 대리인 관리 번호 NO. 24000NV-000717-US; 본 출원과 동시에 출원된 명칭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AND CAPSULES"의 미국 출원 번호 15/151,336, 대리인 관리 번호 NO. 24000NV-000718-US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들 각 출원의 개시내용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 내용으로 포함된다.
다수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여기에서 개시되었지만, 다른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그러한 모든 변형은 다음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캡슐로서, 상기 캡슐은:
    입구 개구부들, 출구 개구부들, 그리고 상기 입구 개구부들과 상기 출구 개구부들 사이의 챔버를 한정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챔버 내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 그리고,
    상기 하우징 안으로 연장되는 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는 상기 입구 개구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부로부터 상기 출구 개구부들 중 대응하는 출구 개구부까지 연장되는 최장 치수를 가지고,
    상기 히터는 제1 단부 섹션, 중간 섹션 및 제2 단부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섹션은 상기 챔버 내의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 내에 배치되는,
    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종축을 가지며, 상기 챔버의 상기 최장 치수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종축을 따라 연장하는,
    캡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본체 부분 및 기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부분은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저 부분은 상기 본체 부분의 원위 단부에 체결되는,
    캡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기저 부분은 상기 입구 개구부들을 통해 상기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공기 채널을 한정하는,
    캡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본체 부분이 상기 입구 개구부들, 상기 출구 개구부들 및 상기 챔버를 한정하는,
    캡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본체 부분은 제1 본체 부품 및 제2 본체 부품을 포함하는,
    캡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 부품은 제1 상류측 홈들, 제1 하류측 홈들, 그리고 상기 제1 상류측 홈들과 상기 제1 하류측 홈들 사이의 제1 오목부를 한정하고,
    상기 제2 본체 부품은 제2 상류측 홈들, 제2 하류측 홈들, 그리고 상기 제2 상류측 홈들과 상기 제2 하류측 홈들 사이의 제2 오목부를 한정하는,
    캡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류측 홈들 및 상기 제2 상류측 홈들은 함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입구 홈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하류측 홈들 및 상기 제2 하류측 홈들은 함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출구 개구부들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함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캡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 부품 및 상기 제2 본체 부품은 상기 기저 부분에 클램프 결합하는,
    캡슐.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 부품 및 상기 제2 본체 부품은 서로 동일하고 상보 구조를 나타내는,
    캡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제1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제2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상기 제2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히터의 상기 중각 섹션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캡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식물 재료를 포함하는,
    캡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료는 담배를 포함하는,
    캡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제1 단부 섹션 및 상기 제2 단부 섹션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있도록 상기 하우징을 통과해 내장되는,
    캡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상기 중간 섹션은 상기 입구 개구부들 및 상기 출구 개구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캡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상기 중간 섹션은 평면 권선 형태인,
    캡슐.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캡슐.
  18. 캡슐, 마우스피스 및 장치 본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이며,
    상기 캡슐은 하우징,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입구 개구부들, 출구 개구부들, 그리고 상기 입구 개구부들과 상기 출구 개구부들 사이의 챔버를 한정하며,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출구 개구부들을 통해 상기 챔버와 유체 연통하도록 상기 캡슐에 체결되고,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캡슐 및 상기 마우스피스를 수용 및 유지하고,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해 전류를 상기 히터에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캡슐 및 상기 마우스피스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열리고 상기 캡슐 및 상기 마우스피스를 유지하기 위해 닫히도록 구성된, 문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마우스측 단부 및 상기 마우스측 단부 반대편의 캡슐측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측 단부는 상기 마우스측 단부보다 크고, 상기 캡슐측 단부는, 상기 장치 본체의 상기 문이 닫힐 때, 상기 캡슐로부터 상기 마우스피스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237027491A 2021-01-18 2021-11-23 내장 히터를 포함하는 캡슐 및 비연소식 가열(hnb)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350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151,277 US20220225667A1 (en) 2021-01-18 2021-01-18 Capsules including embedded heaters and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US17/151,277 2021-01-18
PCT/US2021/060512 WO2022154862A1 (en) 2021-01-18 2021-11-23 Capsules including embedded heaters and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099A true KR20230135099A (ko) 2023-09-22

Family

ID=7895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7491A KR20230135099A (ko) 2021-01-18 2021-11-23 내장 히터를 포함하는 캡슐 및 비연소식 가열(hnb)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25667A1 (ko)
EP (1) EP4277485A1 (ko)
JP (1) JP2024503707A (ko)
KR (1) KR20230135099A (ko)
CN (1) CN117177680A (ko)
CA (1) CA3204770A1 (ko)
WO (1) WO2022154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37043A1 (en) * 2021-08-02 2023-02-02 Wendy Scheall-LaCroix Sound Counteracting System
US20240090574A1 (en) * 2022-09-19 2024-03-21 Altria Client Services Llc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and capsules
WO2024064669A1 (en) * 2022-09-19 2024-03-28 Altria Client Services Llc Capsules having electrical contact pads with surface discontinuities and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including the same
US20240148060A1 (en) * 2022-09-19 2024-05-09 Altria Client Services Llc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and capsules having electrical contact pads with surface discontinuiti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6934A1 (en) * 2014-01-31 2015-08-06 Bourque Michale Patrick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erbal vapor
US10874142B2 (en) * 2014-02-10 2020-12-29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having a heater assembly and a cartridge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having a fluid permeable heater assembly
NZ722801A (en) * 2014-02-10 2019-11-29 Philip Morris Products Sa Cartridge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EP3160552B1 (en) * 2014-06-30 2019-05-08 Syqe Medical Ltd. Drug dose cartridge for an inhaler device
US10602776B2 (en) * 2014-07-11 2020-03-31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forming cartridge with protective foil
EP3166430B1 (en) * 2014-07-11 2020-09-02 Philip Morris Products S.a.s. Aerosol-forming cartridge comprising a tobacco-containing material
GB2546934B (en) * 2014-11-11 2018-04-11 Jt Int Sa Electronic vapour inhalers
GB201423318D0 (en) * 2014-12-29 2015-02-11 British American Tobacco Co Cartridg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US11924930B2 (en) * 2015-08-31 2024-03-05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US20170055584A1 (en) * 2015-08-31 2017-03-02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rticl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US10758686B2 (en) * 2017-01-31 2020-09-01 Altria Client Services Llc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aerosol-generating system
JP7242543B2 (ja) * 2017-03-16 2023-03-20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エアロゾル発生装置および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GB201716735D0 (en) * 2017-10-12 2017-11-29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 provision systems
WO2020028591A1 (en) * 2018-07-31 2020-02-06 Juul Labs, Inc. Cartridge-based heat not burn vaporizer
US11154086B2 (en) * 2019-01-21 2021-10-26 Altria Client Services Llc Capsules,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and methods of generating an aerosol
CN112449573B (zh) * 2019-06-27 2022-08-19 赫兹阿特有限责任公司 烟草产品成分和输送系统
US11812785B2 (en) * 2020-06-23 2023-11-14 Altria Client Services Llc Capsules including internal heaters,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and methods of generating an aeros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25667A1 (en) 2022-07-21
CN117177680A (zh) 2023-12-05
EP4277485A1 (en) 2023-11-22
WO2022154862A1 (en) 2022-07-21
JP2024503707A (ja) 2024-01-26
CA3204770A1 (en)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35099A (ko) 내장 히터를 포함하는 캡슐 및 비연소식 가열(hnb)에어로졸 생성 장치
JP7465867B2 (ja) 接続性、空気流、およびエアロゾル経路が改善されたエアロゾル送達装置
KR20230134520A (ko) 에너지 기반 히터 제어를 포함하는 비연소식 에어로졸생성 장치 및 히터의 제어 방법
KR20230028777A (ko) 내부 히터를 포함하는 캡슐, 비연소식 가열(hnb)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방법
US20220211106A1 (en) Capsules with integrated mouthpieces,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and methods of generating an aerosol
EP3941256A1 (en) Smoking substitute system
US20240156162A1 (en) Capsules,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and methods of generating an aerosol
JP2024503874A (ja) 加熱式(hnb)エアロゾル発生デバイス、およびカプセル
US20230225401A1 (en) Capsules,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and methods of generating an aerosol
EP3941287A1 (en) Smoking substitute system
US11744288B2 (en) Capsules including internal filters, heat-not-burn (HNB) aerosol-generating devices, and methods of generating an aerosol
KR20230135097A (ko) 기류를 갖는 폐쇄 시스템 캡슐, 비연소식 가열(hnb)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방법
WO2022201068A1 (en) Aerosol delivery device
EP3941260A1 (en) Smoking substitut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