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043A -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articles - Google Patents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art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043A
KR20230135043A KR1020237010936A KR20237010936A KR20230135043A KR 20230135043 A KR20230135043 A KR 20230135043A KR 1020237010936 A KR1020237010936 A KR 1020237010936A KR 20237010936 A KR20237010936 A KR 20237010936A KR 20230135043 A KR20230135043 A KR 20230135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tin oxide
oxide powder
producing
molten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09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토루 사쿠라바야시
토시하루 나리타
리쿠로 아이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35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043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03C3/08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 C03C3/087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containing calcium oxide, e.g. common sheet or container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25Refi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03C3/08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91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Abstract

유리 용해로(1)에 수용된 용융 유리(2) 상에 산화주석 분말을 포함한 유리 원료(4)를 공급함과 아울러, 공급한 유리 원료(4)를 용융 유리(2)에 침지시킨 전극(7, 8)에 의해 가열해서 용해시키는 용해 공정을 구비한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산화주석 분말로서 100g을 채취해서 ASTM 규격 E11의 140메시인 체에 통과시킨 경우에 체 상에 잔존하는 질량이 0.01g 이하가 되는 분말을 사용하도록 했다.Glass raw material 4 containing tin oxide powder is supplied onto the molten glass 2 contained in the glass melting furnace 1, and electrodes 7 and 8 are immersed in the supplied glass raw material 4 into the molten glass 2. ),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glass article including a dissolution process of heating and dissolving, when 100 g of tin oxide powder is collected and passed through a 140 mesh sieve of ASTM standard E11, the mass remaining on the sieve is 0.01 g or less. It was decided to use a powder that is .

Description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articles

본 개시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disclosure relates to methods of making glass articles.

주지와 같이 유리판이나 유리관, 유리 섬유 등으로 대표되는 유리 물품은 유리 용해로에 의해 유리 원료를 가열, 용해시켜서 생성한 용융 유리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유리 용해로로서는 로내의 용융 유리에 침지시킨 전극만으로 가열을 행하는 형태의 전체 전기 용융로(특허문헌 1을 참조)나, 전극과 연소 버너를 병용해서 가열을 행하는 형태의 로 등이 있다.As is well known, glass articles such as glass plates, glass tubes, glass fibers, etc. are manufactured by heating and melting glass raw materials in a glass melting furnace and molding the resulting molten glass into a predetermined shape. Glass melting furnaces include all-electric melting furnaces in which heating is performed only with electrodes immersed in molten glass in the furnace (see Patent Document 1), and furnaces in which heating is performed using both electrodes and combustion burners.

유리 원료에는 용융 유리로부터 기포를 탈포시키기 위한 청징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청징제로서는 산화주석(SnO2) 분말이 널리 사용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거품 품위가 우수한 유리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산화주석 분말로서 메디안 지름 D50이 2㎛~9㎛인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Glass raw materials contain a fining agent for defoaming bubbles from molten glass, and tin oxide (SnO 2 ) powder is widely used as a fining agent.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discloses the use of tin oxide powder with a median diameter D50 of 2 μm to 9 μm in order to produce a glass article with excellent foam quality.

일본 특허공개 2003-183031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3-183031 일본 특허공개 2016-74598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6-74598

그런데, 전체 전기 용융로를 사용해서 유리 물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산화주석 분말을 포함한 유리 원료를 사용한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However, when manufacturing glass articles using an all-electric melting furnace, the following problems sometimes occur when glass raw materials containing tin oxide powder are used.

즉, 전체 전기 용융로에서는 연소 버너에 의한 가열을 행하지 않는 점에서 로내의 상부 공간에 있어서의 온도가 낮아지고, 그 결과 산화주석 분말의 일부가 용해되지 않고 녹아 남기 쉬워진다. 이것에 유래되어 제조된 유리 물품에 입자상 주석이 결함으로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That is, in the entire electric melting furnace, since heating by a combustion burner is not performed, the temperature in the upper space within the furnace is lowered, and as a result, a portion of the tin oxide powder is likely to remain undissolved. There have been cases where particulate tin occurred as a defect in glass articles manufactured as a result of this.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해결해야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체 전기 용융로를 사용해서 유리 물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산화주석 분말을 포함한 유리 원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유리 물품에 있어서의 결함의 발생을 회피하는 것이다.A technical problem that must be solv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circumstances is to avoid the occurrence of defects in the glass article when using a glass raw material containing tin oxide powder in manufacturing a glass article using an all-electric melting furna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은 유리 용해로에 수용된 용융 유리 상에 산화주석 분말을 포함한 유리 원료를 공급함과 아울러, 공급한 유리 원료를 용융 유리에 침지시킨 전극에 의해 가열해서 용해시키는 용해 공정을 구비한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산화주석 분말로서 100g을 채취해서 ASTM 규격 E11의 140메시인 체에 통과시킨 경우에 체 상에 잔존하는 질량이 0.01g 이하인 분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glass articl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volves supplying glass raw materials containing tin oxide powder onto molten glass contained in a glass melting furnace, and heating and dissolving the supplied glass raw materials with an electrode immersed in the molten glas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glass article including a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when 100 g of tin oxide powder is collected and passed through a 140 mesh sieve of ASTM standard E11, a powder remaining on the sieve of 0.01 g or less is used. .

본 방법에서는 산화주석 분말로서 100g을 채취해서 ASTM 규격 E11의 140메시인 체에 통과시킨 경우에 체 상에 잔존하는 질량이 0.01g 이하인 분말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산화주석 분말을 사용한 경우에는 용해 공정에서의 산화주석 분말의 용해 잔사를 적합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유리 물품에 있어서의 결함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In this method, when 100 g of tin oxide powder is collected and passed through a 140 mesh sieve of ASTM standard E11, a powder with a mass remaining on the sieve of 0.01 g or less is used. When such tin oxide powder is used, it becomes possible to appropriately prevent dissolution residues of the tin oxide powder in the dissolution process.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defects in glass articles can be avoided.

상기 방법에서는 산화주석 분말로서 메디안 지름 D50이 1㎛~80㎛인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method, it is preferable to use a tin oxide powder having a median diameter D50 of 1 μm to 80 μm.

메디안 지름 D50이 지나치게 작을 경우, 산화주석 분말에 포함되는 입자가 상응하게 미세한 것이 되고, 이와 같은 미세한 입자를 만들어 내기 위해 비용이 늘어나는 점에서, 결과적으로 산화주석 분말을 포함한 유리 원료의 생산 비용이 증대되기 쉬워진다. 한편, 메디안 지름 D50이 지나치게 클 경우, 체 상에 잔존하는 질량이 100g당 0.01g 이하라는 조건을 충족하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메디안 지름 D50이 1㎛~80㎛이면 유리 원료의 생산 비용의 증대를 방지하면서 상술한 조건을 충족하기 쉬워진다.If the median diameter D50 is too small,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tin oxide powder become correspondingly fine, and the cost increases to produce such fine particle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production cost of glass raw materials including tin oxide powder. It becomes easier to become On the other hand, if the median diameter D50 is too large, it becomes difficult to meet the condition that the mass remaining on the sieve is 0.01 g or less per 100 g. However, if the median diameter D50 is 1㎛ to 80㎛, it becomes easy to satisfy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while preventing an increase in the production cost of glass raw materials.

상기 방법에서는 산화주석 분말로서 메디안 지름 D50이 50㎛ 초과~80㎛인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method, it is preferable to use tin oxide powder having a median diameter D50 of more than 50 μm to 80 μm.

이와 같이 하면 메디안 지름 D50이 50㎛ 초과임으로써 유리 원료의 생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산화주석 분말에 과도하게 미세한 입자가 포함되기 어려움으로써, 예를 들면 유리 용해로에 유리 원료를 공급함에 있어서 원료를 피더로 보내기 쉬워지는 등, 유리 원료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way, the production cost of glass raw materials can be reduced because the median diameter D50 exceeds 50 μm. In addition,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tin oxide powder to contain excessively fine particles, it becomes possible to facilitate the handling of glass raw materials, for example, by making it easier to send the raw materials to a feeder when supplying glass raw materials to a glass melting furnace.

상기 방법에서는 용융 유리가 질량%로 0.01%~1.5%의 SnO2를 함유하도록 유리 원료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method, it is preferable to combine the glass raw materials so that the molten glass contains 0.01% to 1.5% by mass of SnO 2 .

이와 같이 하면 용융 유리로부터 기포를 적합하게 탈포시킬 수 있다.In this way, bubbles can be appropriately defoamed from the molten glass.

상기 방법에서는 용융 유리가 질량%로 SiO2: 50%~70%, Al2O3: 12%~25%, B2O3: 0%~12%, Li2O+Na2O+K2O(Li2O, Na2O, 및 K2O의 합량): 0%~1% 미만, MgO: 0%~8%, CaO: 0%~15%, SrO: 0%~12%, BaO: 0%~15%를 함유하도록 유리 원료를 조합해도 좋다.In the above method, the molten glass is SiO 2 : 50%~70%, Al 2 O 3 : 12%~25%, B 2 O 3 : 0%~12%, Li 2 O+Na 2 O+K 2 in mass%. O (total amount of Li 2 O, Na 2 O, and K 2 O): 0% to less than 1%, MgO: 0% to 8%, CaO: 0% to 15%, SrO: 0% to 12%, BaO : Glass raw materials may be combined to contain 0% to 15%.

이와 같이 하면 유리 물품으로서 디스플레이용의 유리 기판을 제조하는 경우에 결함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는 효과를 향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way, it becomes possible to enjoy the effect of avoiding the occurrence of defects when manufacturing a glass substrate for a display as a glass article.

상기 방법에서는 유리 원료의 컬릿률이 40% 이하이어도 좋다.In the above method, the cullet rate of the glass raw material may be 40% or less.

유리 원료의 컬릿률이 낮을수록 산화주석 분말의 용해 잔사에 유래되어 유리 물품에 결함이 발생하기 쉽다. 그 때문에 컬릿률이 40% 이하인 경우에 체 상에 잔존하는 질량이 100g당 0.01g 이하가 되는 산화주석 분말을 사용하도록 하면 결함의 발생을 회피하는 효과를 적합하게 향수할 수 있다.The lower the cullet rate of the glass raw material, the more likely it is that defects will occur in the glass article due to the dissolution residue of the tin oxide powder. Therefore, when the cullet rate is 40% or less, the effect of avoiding the occurrence of defects can be appropriately achieved by using tin oxide powder whose mass remaining on the sieve is 0.01 g or less per 100 g.

상기 방법에서는 용융 유리에 있어서의 점도 102.5㎩·s에 상당하는 온도가 1630℃ 이하이어도 좋다.In the above method, th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viscosity of 10 2.5 Pa·s in the molten glass may be 1630°C or lower.

용융 유리가 상기와 같은 온도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산화주석 분말의 용해 잔사에 유래되어 유리 물품에 결함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상기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체 상에 잔존하는 질량이 100g당 0.01g 이하가 되는 산화주석 분말을 사용하도록 하면 결함의 발생을 회피하는 효과를 적합하게 향수할 수 있다.When the molten glass satisfies the above temperature conditions, defects are likely to occur in the glass article due to the melted residue of the tin oxide powder. Therefore, when the above conditions are met, the effect of avoiding the occurrence of defects can be appropriately achieved by using tin oxide powder whose mass remaining on the sieve is 0.01 g or less per 100 g.

상기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전체 전기 용융로를 사용해서 유리 물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산화주석 분말을 포함한 유리 원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유리 물품에 있어서의 결함의 발생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glass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it becomes possible to avoid the occurrence of defects in the glass article when using a glass raw material containing tin oxide powder in producing the glass article using an all-electric melting furnace.

도 1은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glass article.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glass article.

이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본 제조 방법에 사용하는 유리 용해로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glass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irst, the glass melting furnace used in this manufacturing method will be explained.

도 1에 나타내는 유리 용해로(1)는 용융 유리(2)의 수용이 가능한 용해실(3)을 구비한 전체 전기 용융로이다. 본 유리 용해로(1)는 용해실(3) 내의 용융 유리(2)의 표면(2a) 상에 공급된 유리 원료(4)를 가열해서 용해시키는 용해 공정(P1)을 실행함과 아울러, 용해 공정(P1)에 의해 생성된 용융 유리(2)를 용해실(3) 외로 유출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glass melting furnace 1 shown in FIG. 1 is an all-electric melting furnace provided with a melting chamber 3 that can accommodate molten glass 2. This glass melting furnace 1 performs a melting process (P1) in which the glass raw material 4 supplied on the surface 2a of the molten glass 2 in the melting chamber 3 is heated and melted, and a melting process is performed. 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molten glass 2 produced by (P1) to flow out of the dissolution chamber 3.

용해실(3)은 당해 용해실(3) 내에서의 유리 원료(4)(용융 유리(2))의 흐름 방향(D)에 있어서의 상류단에 위치하는 전방벽(3a)과, 하류단에 위치하는 후방벽(3b)과, 1쌍의 측벽(3c)(도 1에는 1쌍의 한쪽만 표시)과, 천장벽(3d)과, 저벽(3e)을 갖는다.The melting chamber 3 includes a front wall 3a located at the upstream end in the flow direction D of the glass raw material 4 (molten glass 2) within the melting chamber 3, and a downstream end. It has a rear wall 3b located at, a pair of side walls 3c (only one side of the pair is shown in Fig. 1), a ceiling wall 3d, and a bottom wall 3e.

전방벽(3a)에는 유리 원료(4)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크루 피더(5)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루 피더(5)로부터 공급된 유리 원료(4)는 용융 유리(2)의 표면(2a) 상에서 흐름 방향(D)으로 흐르면서 용해되어 간다. 이것에 의해 표면(2a)에 있어서의 일부의 영역이 유리 원료(4)로 덮인 상태로 되어 있다.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유리 원료(4)에는 청징제로서의 산화주석(SnO2) 분말이 포함되어 있다. 후방벽(3b)에는 용융 유리(2)를 연속적으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구(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산화주석 분말이란 SnO2를 주성분으로 하는 분말을 의미하고, 그 제조 과정이나 취급 과정에서 불가피적으로 혼입되는 불순물을 포함해도 좋다. 예를 들면, 산화주석 분말의 SnO2의 함유량은 98질량% 이상이다.A screw feeder 5 is installed on the front wall 3a to continuously supply the glass raw material 4. The glass raw material 4 supplied from the screw feeder 5 melts while flowing in the flow direction D on the surface 2a of the molten glass 2. As a result, a portion of the surface 2a is covered with the glass raw material 4. A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later, the glass raw material 4 contains tin oxide (SnO 2 ) powder as a clarifier. The rear wall 3b is formed with an outlet 6 for continuously flowing out the molten glass 2. Here, tin oxide powder refers to a powder containing SnO 2 as a main component, and may contain impurities that are inevitably mix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handling process. For example, the SnO 2 content of tin oxide powder is 98% by mass or more.

저벽(3e)에는 용융 유리(2)를 통전에 의해 가열하기 위한 막대상의 전극(7)이 용융 유리(2)에 침지된 상태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1쌍의 측벽(3c) 각각에는 용융 유리(2)를 통전에 의해 가열하기 위한 판상의 전극(8)이 용융 유리(2)에 침지된 상태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전극(7, 8)이 용융 유리(2)를 가열함에 따라 용융 유리(2)의 표면(2a) 상의 유리 원료(4)가 간접적으로 가열되어서 순차적으로 용해되어 간다.On the bottom wall 3e, a plurality of rod-shaped electrodes 7 for heating the molten glass 2 by applying electricity are installed in a state immersed in the molten glass 2. In addition, a plurality of plate-shaped electrodes 8 for heating the molten glass 2 by applying electricity are installed on each of the pair of side walls 3c in a state immersed in the molten glass 2. As these electrodes 7 and 8 heat the molten glass 2, the glass raw material 4 on the surface 2a of the molten glass 2 is indirectly heated and sequentially melted.

본 유리 용해로(1)에서는 용융 유리(2)의 연속적인 생성의 개시 후(용해 공정(P1)의 개시 후)에 있어서는 용해실(3) 내의 용융 유리(2)에 부여하는 열 에너지를 전극(7, 8)에 의해서만 발생시킨다. 이것에 의해 용해실(3) 내에서 용융 유리(2)의 수분량이 증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얻어지는 유리(유리 물품)의 수분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연소 버너에 의한 가열을 행하는 일 없이 로내의 상부 공간에 있어서의 온도를 낮게 한 상태로 용융 유리(2)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온실 효과 가스의 배출량을 삭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유리 원료(4)의 용해에 필요한 에너지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연속적인 생성의 개시 전의 단계(용해 공정(P1)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까지 로를 셋업하는 단계)에서는, 예를 들면 측벽(3c)에 설치한 연소 버너(도시 생략)에 의해 용융 유리(2) 및/또는 유리 원료(4)를 가열하는 경우가 있다.In this glass melting furnace 1, after the start of continuous production of the molten glass 2 (after the start of the melting process P1), the heat energy applied to the molten glass 2 in the melting chamber 3 is supplied to the electrode ( It is generated only by 7, 8). As a result, an increase i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molten glass 2 within the dissolution chamber 3 can be suppressed, an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obtained glass (glass article) can be reduced. Additionally, the molten glass 2 can be produced while keeping the temperature in the upper space of the furnace low without heating by a combustion burner. For this reason, not only can the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be reduced, but also the energy required for melting the glass raw material 4 can be reduced. In addition, in the step before the start of continuous production (the step of setting up the furnace to a state in which the melting process (P1) can be performed), molten glass (not shown) is formed, for example, by a combustion burner (not shown) installed on the side wall 3c. 2) and/or the glass raw material 4 may be heated.

유리의 수분량의 저하, 온실 효과 가스의 배출량의 삭감, 및 용해에 필요한 에너지의 삭감을 촉진하는 관점으로부터, 용해 공정(P1)에서는 복수의 유리 용융로(1)를 사용하는 일 없이 단일의 유리 용해로(1)를 사용해서 용융 유리(2)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실 효과 가스의 배출량의 삭감 및 용해에 필요한 에너지의 삭감을 촉진하는 관점으로부터 유리 용융로(1)에 있어서의 용융 유리(2)의 최고 온도는 1400℃~17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리 용융로(1)에 있어서의 용융 유리(2)의 체재 시간은 2시간~24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moisture content of glass,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promoting reduction of energy required for melting, in the melting process (P1), a single glass melting furnace (1) is used instead of using a plurality of glass melting furnaces (1). It is desirable to produce molten glass (2) using 1). From the viewpoint of promoting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nergy required for melting, the maximum temperature of the molten glass 2 in the glass melting furnace 1 is preferably 1400°C to 1700°C, and the glass melting furnace 1 ), the residence time of the molten glass 2 is preferably 2 hours to 240 hours.

유리의 수분량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β-OH를 사용할 수 있다. 이 β-OH를 저하시키면 변형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리 조성이 동일한 경우이어도 β-OH가 작은 쪽이 변형점 이하 온도에서의 열 수축률이 작아진다. β-OH는 바람직하게는 0.30/㎜ 이하, 0.25/㎜ 이하, 0.20/㎜ 이하, 0.15/㎜ 이하, 특히 0.10/㎜ 이하이다. 또한, β-OH가 지나치게 작으면 용융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β-OH는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특히 0.03/㎜ 이상이다.β-OH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the moisture content of glass. If this β-OH is lowered, the strain point can be increased. Moreover, even when the glass composition is the same, the smaller the β-OH, the smaller the thermal contraction rate at a temperature below the strain point. β-OH is preferably 0.30/mm or less, 0.25/mm or less, 0.20/mm or less, 0.15/mm or less, especially 0.10/mm or less. Additionally, if β-OH is too small, meltability tends to decrease. Therefore, β-OH is preferably 0.01/mm or more, especially 0.03/mm or more.

여기에서 「β-OH」는 FT-IR을 사용해서 유리의 투과율을 측정하고, 하기 수식 1을 사용해서 구한 값을 가리킨다.Here, “β-OH” refers to the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transmittance of glass using FT-IR and using the following formula 1.

[수 1][Number 1]

β-OH=(1/X)log(T1/T2)β-OH=(1/X)log(T1/T2)

X: 판 두께(㎜)X: plate thickness (mm)

T1: 참조 파장 3846㎝-1에 있어서의 투과율(%)T1: Transmittance (%) at reference wavelength 3846cm-1

T2: 수산기 흡수 파장 3600㎝-1 부근에 있어서의 최소 투과율(%)T2: Minimum transmittance (%) around hydroxyl absorption wavelength 3600cm-1

이하, 상기 유리 용해로(1)를 사용한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물품으로서 디스플레이용의 유리 기판을 제조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glass article using the glass melting furnace 1 will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the case of manufacturing a glass substrate for a display as a glass article is given as an example.

본 제조 방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 용해로(1)에 수용된 용융 유리(2) 상에 산화주석 분말을 포함한 유리 원료(4)를 공급한다. 산화주석 분말로서는 용해 공정(P1)에서의 산화주석 분말의 용해 잔사를 방지하는 목적하, 산화주석 분말 100g을 채취해서 ASTM 규격 E11의 140메시인 체(눈 구멍이 105㎛인 체)에 통과시킨 경우에 체 상에 잔존하는 산화주석 분말의 질량이 0.01g 이하인 산화주석 분말을 사용한다. 또한, 체 상에 잔존하는 산화주석 분말의 질량은 0.005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체 상에 잔존하는 산화주석 분말의 질량의 하한은 0g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체 상에 잔존하는 산화주석 분말」이란 이하와 같은 산화주석 분말을 의미하고 있다. 즉, 산화주석 분말의 입자는 응집을 일으키는 점에서 이것을 고려해서 체 상에 남은 산화주석 분말을 체의 망목에 압박하고, 그런데도 여전히 체를 지나지 않는 산화주석 분말을 「체 상에 잔존하는 산화주석 분말」로 한다.In this manufactur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glass raw material 4 containing tin oxide powder is supplied onto the molten glass 2 contained in the glass melting furnace 1. For the tin oxide powder, 100 g of tin oxide powder was collected and passed through a 140 mesh sieve of ASTM standard E11 (a sieve with 105 ㎛ eye hole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dissolution residues of the tin oxide powder in the dissolution process (P1). In this case, use tin oxide powder with a mass of tin oxide powder remaining on the sieve of 0.01 g or less. Additionally, the mass of tin oxide powder remaining on the sieve is preferably 0.005 g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001 g or less.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of the mass of tin oxide powder remaining on the sieve can be set to 0 g. The “tin oxide powder remaining on the sieve” herein means the tin oxide powder as follows. In other words, taking into account this fact that particles of tin oxide powder cause agglomeration, the tin oxide powder remaining on the sieve is pressed against the mesh of the sieve, and the tin oxide powder that still does not pass through the sieve is referred to as the “tin oxide powder remaining on the sieve.” 」.

산화주석 분말을 포함한 유리 원료(4)의 생산 비용의 증대를 방지하는 관점과, 상술한 체 상에 잔존하는 질량이 100g당 0.01g 이하라는 조건을 충족하기 쉽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산화주석 분말에 있어서의 메디안 지름 D50은 1㎛~80㎛로 하고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메디안 지름 D50을 50㎛ 초과~80㎛로 한다. 이것에 의해 유리 원료(4)의 계량 및 반송을 안정시킬 수 있다.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an increase in the production cost of the glass raw material 4 containing tin oxide powder and from the viewpoint of making it easier to satisfy the condition that the mass remaining on the sieve described above is 0.01 g or less per 100 g, The median diameter D50 is set at 1㎛~80㎛. Also, preferably, the median diameter D50 is set to exceed 50 μm to 80 μm. This makes it possible to stabilize the weighing and conveyance of the glass raw material 4.

유리 원료(4)는 컬릿률이 40% 이하로 되어 있다. 또한, 유리 원료(4)는 당해 유리 원료(4)가 용해되어 용융 유리(2)가 생성되었을 때에 질량%로 0.01%~1.5%의 SnO2가 함유되도록 조합되어 있다. 또한, 유리 원료(4)는 용융 유리(2)가 생성되었을 때에 질량%로 SiO2: 50%~70%, Al2O3: 12%~25%, B2O3: 0%~12%, Li2O+Na2O+K2O(Li2O, Na2O, 및 K2O의 합량): 0%~1% 미만, MgO: 0%~8%, CaO: 0%~15%, SrO: 0%~12%, BaO: 0%~15%가 함유되도록 조합되어 있다. 또한, 이 용융 유리(2)에서는 점도 102.5㎩·s에 상당하는 온도가 1630℃ 이하로 되어 있다.The glass raw material 4 has a cullet rate of 40% or less. In addition, the glass raw material 4 is combined so that 0.01% to 1.5% by mass of SnO 2 is contained when the glass raw material 4 is dissolved and the molten glass 2 is produced. In addition, the glass raw material 4 is SiO 2 : 50% to 70%, Al 2 O 3 : 12% to 25%, and B 2 O 3 : 0% to 12% in mass% when the molten glass 2 is produced. , Li 2 O+Na 2 O+K 2 O (total amount of Li 2 O, Na 2 O, and K 2 O): 0% to less than 1%, MgO: 0% to 8%, CaO: 0% to 15 %, SrO: 0%~12%, BaO: 0%~15%. In addition, in this molten glass 2, th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viscosity of 10 2.5 Pa·s is 1630°C or lower.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해 공정(P1)의 실행에 의해 유리 용해로(1)에서 생성된 용융 유리(2)는 그 후에 청징 공정(P2), 교반 공정(P3), 상태 조정 공정(P4), 성형 공정(P5)을 순차적으로 거친다.As shown in FIG. 2, the molten glass 2 produced in the glass melting furnace 1 by performing the melting process (P1) is then subjected to a clarification process (P2), a stirring process (P3), a condition adjustment process (P4), It goes through the forming process (P5) sequentially.

청징 공정(P2)의 실행에는 청징조(9)를 사용한다. 청징조(9)에서는 유리 용해로(1)로부터 청징조(9)로 유입된 용융 유리(2)에 대해서, 당해 용융 유리(2)를 가열하면서 청징제(산화주석 분말)의 작용에 의해 용융 유리(2)로부터 기포를 탈포 시킨다.A clarification tank (9) is used to carry out the clarification process (P2). In the clarification tank 9, the molten glass 2 flowing into the clarification tank 9 from the glass melting furnace 1 is heated and the molten glass 2 is melted by the action of a clarifier (tin oxide powder). Remove the air bubbles from (2).

교반 공정(P3)의 실행에는 교반조(10)와 교반 날개를 구비한 스터러(11)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청징조(9)로부터 교반조(10)로 유입된 용융 유리(2)에 대해서 당해 용융 유리(2)를 스터러(11)에 의해 교반함으로써 용융 유리(2)를 균질화시킨다.To carry out the stirring process (P3), a stirring tank 10 and a stirrer 11 equipped with stirring blades are used. Specifically, the molten glass 2 flowing into the stirring tank 10 from the clarification tank 9 is stirred by the stirrer 11 to homogenize the molten glass 2.

상태 조정 공정(P4)의 실행에는 상태 조정조(12)를 사용한다. 상태 조정조(12)에서는 용융 유리(2)를 성형에 적합한 상태로 하기 위해 용융 유리(2)의 온도(점도)나 유량 등을 조정한다.The state adjustment tank 12 is used to execute the state adjustment process (P4). In the condition adjustment tank 12, the temperature (viscosity), flow rate, etc. of the molten glass 2 are adjusted to bring the molten glass 2 into a state suitable for molding.

성형 공정(P5)의 실행에는 성형체(13)를 사용한다. 성형체(13)에서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용융 유리(2)로부터 유리 리본(14)을 연속적으로 성형한다. 또한, 성형체(13)는 슬롯 다운드로우법, 리드로우법, 플로트법 등의 다른 성형법에 의해 유리 리본(14)을 성형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The molded body 13 is used to perform the molding process (P5). In the molded body 13, the glass ribbon 14 is continuously formed from the molten glass 2 by the overflow down-draw method. In addition, the molded body 13 may be formed by molding the glass ribbon 14 by another molding method such as the slot down-draw method, the re-draw method, or the float method.

그 후, 성형한 유리 리본(14)으로부터 유리 기판의 바탕이 되는 유리판을 잘라내는 절단 공정, 유리판의 연삭·연마 공정, 세정 공정, 검사 공정 등의 여러 가지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디스플레이용의 유리 기판이 제조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물품으로서 디스플레이용의 유리 기판을 제조하고 있지만, 물론 이것 이외의 유리 물품(예를 들면, 유리관, 유리 섬유 등)을 제조하도록 해도 좋다.After that, the glass substrate for display is obtained by going through various processes such as a cutting process to cut the glass plate that serves as the base of the glass substrate from the formed glass ribbon 14, a grinding/polishing process for the glass plate, a cleaning process, and an inspection process. This is manufactured.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 glass substrate for a display is manufactured as a glass article, but of course, glass articles other than this (e.g., glass tube, glass fiber, etc.) may be manufactured.

(실시예)(Example)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양태하,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00g을 채취해서 ASTM 규격 E11의 140메시인 체에 통과시킨 경우에, 체 상에 잔존하는 질량이 상호 상이한 4종류의 산화주석 분말(실시예: 3종, 비교예: 1종)을 각각 사용해서 디스플레이용의 유리 기판을 제조했다. 그리고 제조된 100kg의 유리 기판군에 대해서 산화주석 분말의 용해 잔사에 유래된 결함(입자상 주석)이 발생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했다. 구체적으로는 산화주석 분말의 용해 잔사에 유래되고, 또한 길이 10㎛ 이상인 결함의 개수를 카운트했다.Under the same mode as the above embodiment, as shown in [Table 1] below, when 100 g is collected and passed through a 140 mesh sieve of ASTM standard E11, four types of tin oxide with different masses remaining on the sieve are obtained. Glass substrates for displays were manufactured using each powder (Example: 3 types, Comparative Example: 1 type). Then, it was examined whether defects (particulate tin) derived from the dissolved residue of tin oxide powder occurred in the 100 kg glass substrate group manufactured. Specifically, the number of defects originating from the dissolved residue of tin oxide powder and having a length of 10 μm or more was counted.

여기에서 [표 1]에 있어서의 결함의 유무의 항목에 대해서 「◎」란 상기 결함의 개수가 0.01개 이하였던 것을 의미하고, 「○」란 상기 결함의 개수가 0.01개를 상회하고, 또한 0.1개 이하였던 것을 의미하고, 「△」란 상기 결함의 개수가 0.1개를 상회하고, 또한 0.2개 이하였던 것을 의미하고, 「×」란 상기 결함의 개수가 0.2개를 상회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Here, for the item of presence or absence of defects in [Table 1], “◎” means that the number of defects is 0.01 or less, and “○” means that the number of defects is more than 0.01, and also 0.1. It means that the number of defects was less than 0.1, and “△” means that the number of defects was more than 0.1 and less than 0.2, and “×” means that the number of defects was more than 0.2.

[표 1]에 나타내는 결과와 같이 실시예 1~3에 있어서는 비교예와는 달리 유리 기판에 있어서의 결함의 발생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와 같은 결과가 얻어진 것은 실시예 1~3에 있어서는 비교예와는 달리 용해 공정(P1)에서의 산화주석 분말의 용해 잔사를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추인된다. 또한, 비교예의 유리 원료(4) 및 실시예 1~3의 유리 원료(4)를 각각 사용해서 전체 전기 용융로인 상기 유리 용해로(1)가 아니라, 전극과 연소 버너를 병용하는 형태의 로를 사용해서 유리 기판을 제조한 경우에는 어느 것이나 결함은 발생하지 않았다.As shown in [Table 1], in Examples 1 to 3, it was possible to avoid the occurrence of defects in the glass substrate, unlike the comparative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reason such a result was obtained was that in Examples 1 to 3, unlike the Comparative Example, the dissolution residue of the tin oxide powder in the dissolution step (P1) was appropriately prevented. In addition, the glass raw material 4 of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glass raw material 4 of Examples 1 to 3 were used, respectively, and instead of the glass melting furnace 1, which is an all-electric melting furnace, a furnace using a combination of electrodes and a combustion burner was used. So, when glass substrates were manufactured, no defects occurred in any of them.

1: 유리 용해로 2: 용융 유리
4: 유리 원료 7: 전극
8: 전극 P1: 용해 공정
1: Glass melting furnace 2: Molten glass
4: Glass raw material 7: Electrode
8: Electrode P1: Dissolution process

Claims (7)

유리 용해로에 수용된 용융 유리 상에 산화주석 분말을 포함한 유리 원료를 공급함과 아울러, 공급한 상기 유리 원료를 상기 용융 유리에 침지시킨 전극에 의해 가열해서 용해시키는 용해 공정을 구비한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산화주석 분말로서 100g을 채취해서 ASTM 규격 E11의 140메시인 체에 통과시킨 경우에 상기 체 상에 잔존하는 질량이 0.01g 이하인 분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a glass article comprising a dissolution step of supplying glass raw materials containing tin oxide powder onto molten glass contained in a glass melting furnace and dissolving the supplied glass raw materials by heating them with an electrode immersed in the molten glass. ,
A method for producing a glass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100 g of the tin oxide powder is collected and passed through a 140 mesh sieve of ASTM standard E11, a powder remaining on the sieve of 0.01 g or less is u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주석 분말로서 메디안 지름 D50이 1㎛~80㎛인 분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for producing a glass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 powder having a median diameter D50 of 1 μm to 80 μm as the tin oxide powd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주석 분말로서 메디안 지름 D50이 50㎛ 초과~80㎛인 분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method for producing a glass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in oxide powder is used as a powder having a median diameter D50 of more than 50 μm to 80 μm.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유리가 질량%로 0.01%~1.5%의 SnO2를 함유하도록 상기 유리 원료를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method for producing a glass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glass raw materials are combined so that the molten glass contains 0.01% to 1.5% by mass of SnO 2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유리가 질량%로 SiO2: 50%~70%, Al2O3: 12%~25%, B2O3: 0%~12%, Li2O+Na2O+K2O(Li2O, Na2O, 및 K2O의 합량): 0%~1% 미만, MgO: 0%~8%, CaO: 0%~15%, SrO: 0%~12%, BaO: 0%~15%를 함유하도록 상기 유리 원료를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molten glass is SiO 2 : 50% to 70%, Al 2 O 3 : 12% to 25%, B 2 O 3 : 0% to 12%, Li 2 O+Na 2 O+K 2 O( (Total amount of Li 2 O, Na 2 O, and K 2 O): 0% to less than 1%, MgO: 0% to 8%, CaO: 0% to 15%, SrO: 0% to 12%, BaO: 0 A method for producing a glass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glass raw materials are combined to contain % to 1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원료의 컬릿률이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method for producing a glass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llet rate of the glass raw material is 40% or less.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유리에 있어서의 점도 102.5㎩·s에 상당하는 온도가 16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method for producing a glass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viscosity of 10 2.5 Pa·s in the molten glass is 1630°C or lower.
KR1020237010936A 2021-01-21 2022-01-07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articles KR2023013504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07919A JP2022112205A (en) 2021-01-21 2021-01-21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article
JPJP-P-2021-007919 2021-01-21
PCT/JP2022/000380 WO2022158316A1 (en) 2021-01-21 2022-01-07 Method for producing glass art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043A true KR20230135043A (en) 2023-09-22

Family

ID=8254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936A KR20230135043A (en) 2021-01-21 2022-01-07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article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112205A (en)
KR (1) KR20230135043A (en)
CN (1) CN116685561A (en)
WO (1) WO2022158316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3031A (en) 2001-12-18 2003-07-0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Electric melting furnace for manufacturing glass fiber and method of melting glass for glass fiber
JP2016074598A (en) 2015-11-18 2016-05-1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silicate glas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91382A (en) * 2010-06-18 2010-11-24 北京工业大学 Alumino-borosilicate glass with high strain point
JP7457278B2 (en) * 2017-09-13 2024-03-2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substrate for display
JP7421161B2 (en) * 2017-11-08 2024-01-2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alkali-free glass substrate and alkali-free glass substr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3031A (en) 2001-12-18 2003-07-0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Electric melting furnace for manufacturing glass fiber and method of melting glass for glass fiber
JP2016074598A (en) 2015-11-18 2016-05-1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silicate gla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685561A (en) 2023-09-01
WO2022158316A1 (en) 2022-07-28
JP2022112205A (en)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0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glass sheet
CN103124700B (en) The manufacture method of glass substrate
EP2228348B1 (en) Molten glass production apparatus and molten glass production method using same
US20080187686A1 (en) Method and Device For Fining and Homogenizing Glass and Products Obtained With the Aid of Said Method
JP2008105860A (en) Process for producing glass
WO2011010624A1 (en) Glass production apparatus, and glass production method
JP608277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plate
KR20120116385A (en) Glass melting furnace, molten glass manufacturing method, glass product manufacturing device, and glass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TW20132335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late
TW201302645A (en) Glass sheet production method
JP2018104265A (en) Manufacturing method of non-alkali glass substrate
WO2014050825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glass substrate
KR20140107233A (en) Apparatus for producing molten glass, method for producing molten glass, and method for producing plate glass using said apparatus and method
CN106316074B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substrate and the manufacturing device of glass substrate
JP7197835B2 (en) Glass plate manufacturing method
JP573143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plate
KR2023013504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articles
JP2018052792A (en) Production method of glass substrate, and production apparatus of glass substrate
TW201831409A (en) Glass article production method and glass substrate group
JP657721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substrate
JP730128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article
WO202205473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ow alkali glass plate, and low alkali glass plate
KR20220106698A (en) Float glass substrate
KR20170115958A (en) Melting method, and production method for alkali-free glass pl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