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035A -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5035A KR20230135035A KR1020230122683A KR20230122683A KR20230135035A KR 20230135035 A KR20230135035 A KR 20230135035A KR 1020230122683 A KR1020230122683 A KR 1020230122683A KR 20230122683 A KR20230122683 A KR 20230122683A KR 20230135035 A KR20230135035 A KR 202301350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less
- probe
- ultrasound probe
- ultrasound
- wir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Clinical applications
- A61B8/0833—Clinical application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Clinical applications
- A61B8/0833—Clinical application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 A61B8/0841—Clinical application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for locating instru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Clinical applications
- A61B8/0833—Clinical application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 A61B8/085—Clinical application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for locating body or organic structures, e.g. tumours, calculi, blood vessels, nodu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05—Device being mounted on a trolle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27—Device being portable or laptop-lik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38—Means for identifying the diagnostic device, e.g. barco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the probe
- A61B8/4472—Wireless pro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7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using several separate ultrasound transducers or pro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83—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ultrasound transduc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8/462—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pla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8/465—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adapted to display user selection data, e.g. icons or men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0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raw data to produce diagnostic data, e.g. for generating an imag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4—Control of the diagnostic devi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유선 초음파 프로브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무선 초음파 프로브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초음파 진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Claims (30)
- 초음파 진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선 초음파 프로브;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로부터 페어링 수신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무선 통신 방법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 각각과 빔 포밍 제어 신호 및 초음파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선 초음파 프로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 중 사용자가 대상체를 검사하는데 사용하는 초음파 프로브를 인식하고, 인식된 초음파 프로브를 활성화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선 초음파 프로브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의 위치 및 집속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트랜스듀서들 각각에 인가되는 빔 포밍 신호를 형성하는 빔 포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선 초음파 프로브를 선택하여 활성화시키는 프로브 전환부(Probe Switching Assembly, PSA); 를 더 포함하는,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선 초음파 프로브 중 사용 중인 제1 유선 초음파 프로브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제1 유선 초음파 프로브를 활성화하도록 상기 프로브 전환부를 제어하고, 상기 빔 포밍 신호를 제1 유선 초음파 프로브에 전송하도록 상기 빔 포머를 제어하는,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 중으로 인식된 초음파 프로브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선 초음파 프로브 중 활성화된 유선 초음파 프로브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빔 포머 및 상기 프로브 전환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 중으로 인식된 초음파 프로브가 상기 무선 초음파 프로브에서 제1 유선 초음파 프로브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빔 포머 및 상기 프로브 전환부를 다시 동작시키고, 상기 제1 유선 초음파 프로브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프로브 전환부를 제어하고, 상기 빔 포밍 신호를 상기 제1 유선 초음파 프로브에 전송하도록 상기 빔 포머를 제어하는,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 중으로 인식된 초음파 프로브가 제1 무선 초음파 프로브인 경우, 제1 무선 초음파 프로브에 포함된 빔 포머를 제어하는 빔 포밍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초음파 프로브에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 각각의 식별 정보, 무선 통신 주파수, 연결 형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무선 통신 방법, 배터리 충전 정보, 배터리 잔량, 사용 가능 시간, 및 통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와이기그(Wireless Gigabit Allicance, WiGig) 및 RF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연결되는,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동시에 페어링되는,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의 무선 연결 상태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확인하는, 장치.
- 초음파 진단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복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각각 무선 통신 방법으로 연결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 중 사용자가 사용 중인 무선 초음파 프로브를 인식하고, 인식된 무선 초음파 프로브에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 각각과 페어링(pairing) 신호를 무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송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 각각의 식별 정보, 무선 통신 주파수, 연결 형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무선 통신 방법, 배터리 충전 정보, 배터리 잔량, 사용 가능 시간, 및 통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상기 복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 중으로 인식된 상기 무선 초음파 프로브에 포함된 빔 포머를 제어하는 빔 포밍 제어 신호를 상기 무선 초음파 프로브에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복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동시에 페어링되는, 장치.
- 적어도 하나의 유선 초음파 프로브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무선 통신 방법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선 초음파 프로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 중 사용자가 대상체를 검사하는데 사용하는 초음파 프로브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초음파 프로브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초음파 프로브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선 초음파 프로브 중 사용 중인 제1 유선 초음파 프로브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인 프로브 전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유선 초음파 프로브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유선 초음파 프로브에 빔 포밍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 제17 항에 있어서,
사용 중으로 인식된 초음파 프로브가 상기 제1 유선 초음파 프로브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프로브 전환부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빔 포밍 신호의 전송을 중단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8 항에 있어서,
사용 중으로 인식된 초음파 프로브가 상기 무선 초음파 프로브에서 제2 유선 초음파 프로브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2 유선 초음파 프로브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프로브 전환부를 다시 동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유선 초음파 프로브에 상기 빔 포밍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초음파 프로브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 중 사용 중인 제1 무선 초음파 프로브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 초음파 프로브에 포함된 빔 포머를 제어하는 빔 포밍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초음파 프로브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연결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 각각의 식별 정보, 무선 통신 주파수, 연결 형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무선 통신 방법, 배터리 충전 정보, 배터리 잔량, 사용 가능 시간, 및 통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연결하는 단계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와이기그(Wireless Gigabit Allicance, WiGig) 및 RF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연결하는,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동시에 페어링하는,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의 무선 연결 상태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복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각각 무선 통신 방법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 중 사용자가 사용 중인 무선 초음파 프로브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무선 초음파 프로브에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연결하는 단계는, 무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 각각과 페어링(pairing)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연결하는 단계 이후, 상기 복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 각각의 식별 정보, 무선 통신 주파수, 연결 형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무선 통신 방법, 배터리 충전 정보, 배터리 잔량, 사용 가능 시간, 및 통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상기 복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사용 중으로 인식된 상기 무선 초음파 프로브에 포함된 빔 포머를 제어하는 빔 포밍 제어 신호를 상기 무선 초음파 프로브에 전송하는, 방법.
-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동시에 페어링하는, 방법.
- 제16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50010489A KR20250017735A (ko) | 2017-08-25 | 2025-01-23 |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762550124P | 2017-08-25 | 2017-08-25 | |
US62/550,124 | 2017-08-25 | ||
KR1020170181452A KR102580426B1 (ko) | 2017-08-25 | 2017-12-27 |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1452A Division KR102580426B1 (ko) | 2017-08-25 | 2017-12-27 |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50010489A Division KR20250017735A (ko) | 2017-08-25 | 2025-01-23 |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5035A true KR20230135035A (ko) | 2023-09-22 |
KR102761589B1 KR102761589B1 (ko) | 2025-02-03 |
Family
ID=65436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22683A Active KR102761589B1 (ko) | 2017-08-25 | 2023-09-14 |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026657B2 (ko) |
EP (1) | EP4570187A2 (ko) |
KR (1) | KR102761589B1 (ko) |
CN (1) | CN119112233A (ko) |
WO (1) | WO201903969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175781B2 (en) * | 2016-06-07 | 2021-11-16 | Koninklijke Philips N.V. | Operation control of wireless sensors |
CN111419274A (zh) * | 2020-04-01 | 2020-07-17 | 青岛大学附属医院 | 一种蓝牙超声设备 |
USD1016299S1 (en) * | 2020-09-18 | 2024-02-27 | Olive Healthcare Inc. | Device for breast cancer diagnosis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25350A (ja) * | 1999-05-20 | 2000-11-28 | Olympus Optical Co Ltd | 超音波診断装置 |
JP2007275087A (ja) * | 2006-04-03 | 2007-10-25 | Aloka Co Ltd | ワイヤレス超音波診断装置 |
JP2008000406A (ja) * | 2006-06-23 | 2008-01-10 | Aloka Co Ltd | 超音波診断装置 |
KR20100057341A (ko) * | 2008-11-21 | 2010-05-31 | 주식회사 메디슨 | 무선 통신이 가능한 초음파 시스템 |
JP2010528696A (ja) * | 2007-06-01 | 2010-08-26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軽量無線超音波プローブ |
WO2010122791A1 (ja) * | 2009-04-24 | 2010-10-2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ワイヤレス超音波診断装置、ワイヤレス超音波プローブ及びプローブ認証方法 |
US20120071762A1 (en) * | 2010-09-21 | 2012-03-22 | Fujifilm Corporation |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
JP2012090712A (ja) * | 2010-10-26 | 2012-05-17 | Fujifilm Corp | 無線超音波診断システム |
JP2012139491A (ja) * | 2010-12-27 | 2012-07-26 | General Electric Co <Ge> | 無線超音波プローブにユーザ設定を自動的にロード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
KR20120127072A (ko) * | 2011-05-13 | 2012-11-21 | 이우석 | 무선 멀티태스킹 키보드 및 그 구동방법 |
KR101733731B1 (ko) * | 2016-03-17 | 2017-05-24 |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 초음파 영상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06143A1 (en) | 2005-11-08 | 2007-05-10 | Flaherty J C | Electrode arrays and related methods |
US20080306387A1 (en) | 2007-04-13 | 2008-12-11 | Schutz Ronald W | Finger mounted imaging and sensing assembly |
JP5519949B2 (ja) | 2009-03-27 | 2014-06-11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超音波プローブ及び超音波プローブシステム |
US8465428B2 (en) * | 2009-03-27 | 2013-06-18 | Fujifilm Corporation | Ultrasonic probe and ultrasonic probe system |
JP5465203B2 (ja) * | 2011-03-10 | 2014-04-09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超音波診断装置および超音波画像生成方法 |
KR101365439B1 (ko) | 2011-07-25 | 2014-02-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초음파 진단을 위한 프로브의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US10064545B2 (en) | 2012-10-18 | 2018-09-04 | The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 Multi-resolution foveated endoscope/laparoscope |
KR102143628B1 (ko) * | 2013-04-30 | 2020-08-11 |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 초음파 프로브 및 그 통신 방법 |
KR20150019147A (ko) | 2013-08-12 | 2015-02-25 |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 프로브 제어 방법 및 장치 |
US9901324B2 (en) | 2013-09-03 | 2018-02-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Ultrasound prob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EP3666194B1 (en) | 2015-07-16 | 2021-09-08 | Koninklijke Philips N.V. | Wireless ultrasound probe pairing with a mobile ultrasound system |
KR101625661B1 (ko) | 2015-09-30 | 2016-05-30 |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 초음파 프로브,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2018
- 2018-01-15 US US15/871,261 patent/US11026657B2/en active Active
- 2018-04-12 CN CN202411555524.7A patent/CN119112233A/zh active Pending
- 2018-04-12 EP EP25174052.8A patent/EP4570187A2/en active Pending
- 2018-04-12 WO PCT/KR2018/004276 patent/WO2019039697A1/en unknown
-
2023
- 2023-09-14 KR KR1020230122683A patent/KR10276158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25350A (ja) * | 1999-05-20 | 2000-11-28 | Olympus Optical Co Ltd | 超音波診断装置 |
JP2007275087A (ja) * | 2006-04-03 | 2007-10-25 | Aloka Co Ltd | ワイヤレス超音波診断装置 |
JP2008000406A (ja) * | 2006-06-23 | 2008-01-10 | Aloka Co Ltd | 超音波診断装置 |
JP2010528696A (ja) * | 2007-06-01 | 2010-08-26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軽量無線超音波プローブ |
KR20100057341A (ko) * | 2008-11-21 | 2010-05-31 | 주식회사 메디슨 | 무선 통신이 가능한 초음파 시스템 |
WO2010122791A1 (ja) * | 2009-04-24 | 2010-10-2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ワイヤレス超音波診断装置、ワイヤレス超音波プローブ及びプローブ認証方法 |
US20120071762A1 (en) * | 2010-09-21 | 2012-03-22 | Fujifilm Corporation |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
JP2012090712A (ja) * | 2010-10-26 | 2012-05-17 | Fujifilm Corp | 無線超音波診断システム |
JP2012139491A (ja) * | 2010-12-27 | 2012-07-26 | General Electric Co <Ge> | 無線超音波プローブにユーザ設定を自動的にロード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
KR20120127072A (ko) * | 2011-05-13 | 2012-11-21 | 이우석 | 무선 멀티태스킹 키보드 및 그 구동방법 |
KR101733731B1 (ko) * | 2016-03-17 | 2017-05-24 |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 초음파 영상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90059856A1 (en) | 2019-02-28 |
US11026657B2 (en) | 2021-06-08 |
WO2019039697A1 (en) | 2019-02-28 |
KR102761589B1 (ko) | 2025-02-03 |
EP4570187A2 (en) | 2025-06-18 |
CN119112233A (zh) | 2024-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30205B1 (ko) | 무선 초음파 프로브,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연결되는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US11647986B2 (en) |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connected to wireless ultrasound probe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US10387713B2 (en) |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medical image | |
KR102761589B1 (ko) |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50017735A (ko) |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EP3292820B1 (en) | Ultrasonic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638273B1 (ko) |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연결되는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824915B1 (ko) |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연결되는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50105314A (ko) | 무선 초음파 프로브와 연결되는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50095399A (ko) | 초음파 영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KR20250052813A (ko) | 초음파 프로브 및 연성 인쇄 회로 기판 | |
KR20240071209A (ko) | 무선 프로브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
US20190239856A1 (en) |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91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71227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7018145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406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09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10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5012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71227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7018145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