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830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및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및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830A
KR20230134830A KR1020220032105A KR20220032105A KR20230134830A KR 20230134830 A KR20230134830 A KR 20230134830A KR 1020220032105 A KR1020220032105 A KR 1020220032105A KR 20220032105 A KR20220032105 A KR 20220032105A KR 20230134830 A KR20230134830 A KR 20230134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dom access
terminal
paging message
message
dr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규
아닐 아지왈
장재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2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4830A/ko
Priority to PCT/KR2023/003416 priority patent/WO2023177189A1/en
Priority to US18/183,335 priority patent/US20230300941A1/en
Publication of KR20230134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8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with additional processing of random access related information at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33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2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involving configuration of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with parallel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48Time-out mechanisms
    • H04L1/1851Time-out mechanisms using multiple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 H04L1/1883Time-out mechanisms using multiple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11Semi-persistent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3Point-to-multi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Abstract

본 개시는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6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그룹 페이징 메시지인지 또는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그룹 페이징 메시지인 경우, 4-스텝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인 경우, RSRP (Received Signal Received Power) 값이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이고 상기 RSRP 값이 상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 2-스텝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이고 상기 RSRP 값이 상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 4-스텝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및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RANDOM ACCESS AND A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및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5G 이동통신 기술은 빠른 전송 속도와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넓은 주파수 대역을 정의하고 있으며, 3.5 기가헤르츠(3.5GHz) 등 6GHz 이하 주파수('Sub 6GHz') 대역은 물론 28GHz와 39GHz 등 밀리미터파(㎜Wave)로 불리는 초고주파 대역('Above 6GHz')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5G 통신 이후(Beyond 5G)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는 6G 이동통신 기술의 경우, 5G 이동통신 기술 대비 50배 빨라진 전송 속도와 10분의 1로 줄어든 초저(Ultra Low) 지연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테라헤르츠(Terahertz) 대역(예를 들어, 95GHz에서 3 테라헤르츠(3T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5G 이동통신 기술의 초기에는, 초광대역 서비스(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고신뢰/초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대규모 기계식 통신 (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에 대한 서비스 지원과 성능 요구사항 만족을 목표로,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초고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다양한 뉴머롤로지 지원(복수 개의 서브캐리어 간격 운용 등)와 슬롯 포맷에 대한 동적 운영, 다중 빔 전송 및 광대역을 지원하기 위한 초기 접속 기술, BWP(Band-Width Part)의 정의 및 운영,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와 제어 정보의 신뢰성 높은 전송을 위한 폴라 코드(Polar Code)와 같은 새로운 채널 코딩 방법, L2 선-처리(L2 pre-processing),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등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었다.
현재, 5G 이동통신 기술이 지원하고자 했던 서비스들을 고려하여 초기의 5G 이동통신 기술 개선(improvement) 및 성능 향상(enhancement)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으며, 차량이 전송하는 자신의 위치 및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판단을 돕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하기 위한 V2X(Vehicle-to-Everything), 비면허 대역에서 각종 규제 상 요구사항들에 부합하는 시스템 동작을 목적으로 하는 NR-U(New Radio Unlicensed), NR 단말 저전력 소모 기술(UE Power Saving), 지상 망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단말-위성 직접 통신인 비 지상 네트워크(Non-Terrestrial Network, NTN), 위치 측위(Positioning) 등의 기술에 대한 물리계층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뿐만 아니라, 타 산업과의 연계 및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지원을 위한 지능형 공장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무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를 통합 지원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확장을 위한 노드를 제공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조건부 핸드오버(Conditional Handover) 및 DAPS(Dual Active Protocol Stack) 핸드오버를 포함하는 이동성 향상 기술(Mobility Enhancement), 랜덤액세스 절차를 간소화하는 2 단계 랜덤액세스(2-step RACH for NR) 등의 기술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 아키텍쳐/프로토콜 분야의 표준화 역시 진행 중에 있으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 및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기술의 접목을 위한 5G 베이스라인 아키텍쳐(예를 들어, Service based Architecture, Service based Interface),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MEC) 등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쳐/서비스 분야의 표준화도 진행 중이다.
이와 같은 5G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폭발적인 증가 추세에 있는 커넥티드 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이며, 이에 따라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 강화와 커넥티드 기기들의 통합 운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XR),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및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ML)을 활용한 5G 성능 개선 및 복잡도 감소, AI 서비스 지원, 메타버스 서비스 지원, 드론 통신 등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이러한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6G 이동통신 기술의 테라헤르츠 대역에서의 커버리지 보장을 위한 신규 파형(Waveform),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메타물질(Metamaterial)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기술 뿐만 아니라, 6G 이동통신 기술의 주파수 효율 향상 및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전이중화(Full Duplex) 기술, 위성(Satellite),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실현하는 AI 기반 통신 기술, 단말 연산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복잡도의 서비스를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실현하는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등의 개발에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및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그룹 페이징 메시지인지 또는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그룹 페이징 메시지인 경우, 4-스텝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인 경우, RSRP (Received Signal Received Power) 값이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이고 상기 RSRP 값이 상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 2-스텝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이고 상기 RSRP 값이 상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 4-스텝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그룹 페이징 메시지인지 또는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그룹 페이징 메시지인 경우, 4-스텝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인 경우, RSRP (Received Signal Received Power) 값이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이고 상기 RSRP 값이 상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 2-스텝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이고 상기 RSRP 값이 상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 4-스텝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말이 제공된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및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BS 통신의 동작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노티피케이션을 받은 후 수행하는 4-Step 랜덤 액세스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노티피케이션을 받은 후 수행하는 2-Step 랜덤 액세스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별 랜덤 액세스 수행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별 랜덤 액세스 수행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별 랜덤 액세스 수행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수행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수행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X (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X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X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면,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과 신호(signal)는 데이터 혹은 제어 신호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물리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이지만, PDSCH는 데이터를 지칭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서, '물리 채널을 송신한다'는 표현은 '물리 채널을 통해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신한다'는 표현과 동등하게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 상위 시그널링은 기지국에서 물리 계층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로, 또는 단말에서 물리 계층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신호 전달 방법을 뜻한다. 상위 시그널링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는 3GPP NR(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R (New Radio)) 또는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gN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eNB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eNB로 설명한 기지국은 gNB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단말이라는 용어는 핸드폰, MTC 기기, NB-IoT 기기, 센서뿐만 아니라 또 다른 무선 통신 기기들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gNodeB (gNB), eNode B (eNB), NodeB, BS (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BS 통신의 동작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MBS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통신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송신 장치가 여러 개의 수신 장치와 통신하는 방식을 말한다. 여기서 송신 장치는 기지국일 수 있고, 각각의 수신 장치는 단말이 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송신 장치가 단말이 될 수도 있다.
도 1의 실시예는 기지국 (110)이 송신 장치이고 단말 (120, 130, 140, 150, 160)이 수신장치인 경우의 MBS 통신을 수행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이러한 MBS 통신은, 불특정 다수를 위한 브로드캐스트 (Broadcast)일 수도 있고, 특정한 다수의 수신 장치를 위한 멀티캐스트(Multicast)일 수도 있다. 만약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기지국은 특정한 단말에게만 해당 멀티캐스트 패킷을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을 해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특정한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할 단말의 집합이 설정될 수 있고,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멀티캐스트 그룹 (170)이라 칭한다. 반대로 기지국과 단말과 일대일 통신을 하는 방식을 유니캐스트(Unicast)라고 한다.
멀티캐스트 그룹 내에 있는 단말들은 동일한 별도의 자원 식별자인 G-RNTI (Group -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를 할당 받음으로써, 해당 G-RNTI로 할당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G-RNTI는 멀티캐스트 그룹 내에 있는 단말들이 공유하는 RNTI로써, G-RNTI를 받은 단말들은 MBS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단말 1 (120), 단말 2 (130), 단말 3 (140), 단말 4 (150)가 하나의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설정되고, G-RNTI를 할당 받아서 기지국 (110)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수신하는 것을 가정한다. 단말 5 (160)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G-RNTI를 할당 받지 못하고, 이에 따라 단말 1 (120), 단말 2 (130), 단말 3 (140), 단말 4 (150)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단말 5 (160)는 수신할 수 없다.
이러한 멀티캐스트 그룹은 기지국 (110)의 커버리지에 하나 이상 설정될 수 있고, 각각의 멀티캐스트 그룹은 G-RNTI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의 단말은 하나 이상의 G-RNTI를 기지국 (110)으로부터 할당받을 수 있다. 단말은 연결 모드(RRC CONNECTED MODE)의 경우뿐만 아니라 유휴 모드 (RRC IDLE MODE)의 경우나 비활성 모드 (RRC INACTIVE MODE)의 경우에서도, 연결 모드에서 할당 받은 G-RNTI 값을 사용하여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G-RNTI는 단말이 연결 모드에서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RRC 설립 (Setup), RRC 재설립 (Reestablishment)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에 포함되어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G-RNTI는 시스템 정보 블록 (System Information Block, SIB)에 단말이 수신할 수 있는 G-RNTI 값으로 포함되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이렇게 G-RNTI 값을 설정 받은 단말은, 이 후부터 G-RNTI 값을 적용할 수도 있다.
만약 기지국이 RRC 연결 모드에서 멀티캐스트를 수행하게 하거나, RRC 연결 모드에서 G-RNTI를 비롯한 멀티캐스트 통신을 위한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전달하기 원한다면 멀티캐스트 그룹의 단말들을 연결 모드로 천이(Transition)시켜야 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멀티캐스트 그룹 (170) 내의 단말 중 단말 1 (120)만 연결 모드에 있고, 단말 2 (130), 단말 3 (140)은 RRC 비활성 모드에, 단말 4 (150)는 RRC 유휴 모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 때, RRC 비활성 모드 또는 RRC 유휴 모드에 있는 단말에게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해야 함을 알리기 위해서 기지국은 그룹 내에 있는 단말들에게 그룹 노티피케이션(Group Notifica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그룹 노티피케이션은 멀티캐스트 그룹 내의 단말들에게 공통으로 전송되는 것이기 때문에 개별 단말에게 별도로 전송되는 페이징(Paging)에 비해 자원소모가 적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그룹 노티피케이션은 그룹에 공통인 페이징 전송하는 그룹 페이징 (Group Paging)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룹 노티피케이션을 받은 단말은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하기 위하여 기지국 (110)에 대한 초기 접속 절차인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RA)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절차는 기지국이 사전에 설정해놓은 물리계층 랜덤 액세스 채널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 Preamble)을 전송하여 기지국에게 접속을 시도하려는 것을 알리는 것으로 시작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과정은 메시지 교환 절차에 따라 4-Step 랜덤 액세스 및 2-Step 랜덤 액세스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랜덤 액세스 과정은 불특정 단말이 수행할 수 있는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Contention-Based Random Access, CBRA)와 특정 단말이 전용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무경쟁 랜덤 액세스(Contention-Free Random Access, CFRA)로 구분될 수 있다. 그룹 노티피케이션을 받은 단말은 기지국 커버리지에 있을 수 있는 불특정 다수의 단말이기 때문에, 이들 단말이 그룹 노티피케이션을 받은 후 수행하는 랜덤 액세스는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CBRA)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노티피케이션을 받은 후 수행하는 4-Step 랜덤 액세스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단말(200)이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기지국(210)은 그룹 노티피케이션을 전송하여 단말이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하여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멀티캐스트 관련 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그룹 노티피케이션을 멀티캐스트 그룹 내 단말이 공통으로 수신가능한 그룹 페이징 (Group Paging)으로 전송하는 것을 가정한다. (215) 그룹 페이징을 수신하여 연결 모드 천이가 필요한 단말은 기지국 (210)에 대한 초기 접속 절차인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절차는 기지국이 사전에 설정해놓은 물리계층 랜덤 액세스 채널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220)을 전송하여 기지국에게 접속을 시도하려는 것을 알리는 것으로 시작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경쟁 기반 4-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기지국이 사전에 임의의 단말을 위해 설정해 놓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지만, 동시에 두 개 이상의 단말이 동일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충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단말이 전송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감지한 기지국은 단말에게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이 이 후 전송할 메시지3 (240)을 위한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단말과 기지국의 시간 동기화를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값을 전송할 수 있다. (230) 이 후, 단말은 메시지3에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여 기지국에게 RRC 연결 모드로의 천이를 요청할 수 있다. (240)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에서는 메시지3의 전송 자원에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단말이 메시지 전송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은 단말에게 기지국이 수신한 메시지가 어떤 단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인지를 알려줘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경쟁 해소 (Contention Resolution) 메시지에 수신한 메시지3을 복사하여 단말에게 전송하여, 동일한 메시지3을 전송한 단말이 랜덤 액세스에 성공한 것을 알릴 수 있다. (250) 만약 경쟁 해소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3의 내용이 단말이 전송한 메시지3과 다르다면, 이것은 랜덤 액세스에 실패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고, 추후 랜덤 액세스를 다시 수행하여야 한다. 경쟁 해소 메시지에는 단말이 RRC 연결 모드로 천이를 할 수 있도록 RRC 연결 설정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단말은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노티피케이션을 받은 후 수행하는 2-Step 랜덤 액세스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단말(300)이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기지국(310)은 그룹 노티피케이션을 전송하여 단말이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하여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멀티캐스트 관련 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그룹 노티피케이션을 멀티캐스트 그룹 내 단말이 공통으로 수신가능한 그룹 페이징 (Group Paging)으로 전송하는 것을 가정한다. (315) 그룹 페이징을 수신하여 연결 모드 천이가 필요한 단말은 기지국 (310)에 대한 초기 접속 절차인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절차는 기지국이 사전에 설정해놓은 물리계층 랜덤 액세스 채널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320)을 전송하여 기지국에게 접속을 시도하려는 것을 알리는 것으로 시작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경쟁 기반 2-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기지국이 사전에 임의의 단말을 위해 설정해 놓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과 메시지3을 전송할 수 있지만, 동시에 두 개 이상의 단말이 동일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과 메시지3을 전송하는 충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2-Step 랜덤 액세스에서는 단말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320)과 메시지3 (330)을 모두 전송하게 된다. 이렇게 2-Step 랜덤 액세스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과 메시지3을 보내는 것을 합쳐서 메시지A라고 한다. (340) 단말은 메시지3에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여 기지국에게 RRC 연결 모드 (RRC connected mode)로의 천이를 요청할 수 있다. 단말이 전송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과 메시지3을 감지한 기지국은 단말에게 메시지B를 전송하여, 단말과 기지국의 시간 동기화를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값을 전송하고, 기지국이 수신한 메시지3을 복사하여 단말에게 전송하여, 동일한 메시지3을 전송한 단말이 랜덤 액세스에 성공한 것을 알릴 수 있다. (350) 만약 메시지B에 포함된 메시지3의 내용이 단말이 전송한 메시지3과 다르다면, 이것은 랜덤 액세스에 실패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고, 추후 랜덤 액세스를 다시 수행하여야 한다. 메시지B에는 단말이 RRC 연결 모드로 천이를 할 수 있도록 RRC 연결 설정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단말은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별 랜덤 액세스 수행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MBS 통신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MBS 세션으로 구분되며 TMGI (Temporary Mobile Group Identity)를 MBS 세션 ID로 사용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TMGI는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ID와 서비스 ID로 구성될 수 있다.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단말이 RRC 유휴 모드 (RRC idle mode) 또는 RRC 비활성 모드 (RRC inactive mode)에 있을 때 기지국은 그룹 노티피케이션을 전송하여 단말이 RRC 연결 모드 (RRC connected mode)로 천이하여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멀티캐스트 관련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그룹 노티피케이션은 그룹에 공통인 페이징 전송하는 그룹 페이징 (Group Paging)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룹 노티피케이션을 수신한 단말이 연결 모드로 천이하기 위하여 랜덤 액세스 동작을 수행할 때, 2-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지 4-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지는 어떤 MBS 서비스에 대한 그룹 노티피케이션인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TMGI1, TMGI2에 대응되는 MBS 서비스1, MBS 서비스2에 대한 그룹 노티피케이션 (TMGI1, TMGI2가 포함된 그룹 노티피케이션)인 경우 2-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410), TMGI3, TMGI4, TMGI5에 대응되는 MBS 서비스3, MBS 서비스4, MBS 서비스5에 대한 그룹 노티피케이션 (TMGI3, TMGI4, TMGI5가 포함된 그룹 노티피케이션)인 경우 4-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 (420)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어떤 MBS 서비스 (TMGI)가 2-Step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고, 어떤 MBS 서비스가 4-Step 랜덤 액세스를 사용할 것인지는 기지국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방식은 시스템 정보 블록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RRC 재설정 메시지(RRC Reconfiguration),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로 전송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SD (User Service Description) 중 하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에서는 2-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MBS 서비스 목록만 단말에게 전송하고, 전송되지 않은 MBS 서비스에 대해서는 4-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2-Step 랜덤 액세스는 랜덤 액세스 수행시간이 짧은데 반해, 무선 자원의 선예약으로 인한 자원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짧은 지연시간(Delay)를 요구하는 MBS 서비스에 한해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단말이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특정 MBS 서비스의 수신을 기지국에게 요청하거나 단말의 관심있는 MBS 서비스의 목록이 변경된 것을 알리기 위하여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하여 MBS Interest Indication (MII)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MII 메시지가 트리거링 되어 단말이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하기 위하여 랜덤 액세스 동작을 수행할 때, 2-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지 4-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지는 어떤 MBS 서비스가 MII 보고를 트리거링 했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 역시 도 4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TMGI 별로 어떤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것인지 설정한 것에 따라 단말은 2-Step 랜덤 액세스 또는 4-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별 랜덤 액세스 수행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MBS 통신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MBS 세션으로 구분되며 TMGI (Temporary Mobile Group Identity)를 MBS 세션 ID로 사용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TMGI는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ID와 서비스 ID로 구성될 수 있다.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단말이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기지국은 그룹 노티피케이션을 전송하여 단말이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하여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멀티캐스트 관련 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그룹 노티피케이션은 그룹에 공통인 페이징 전송하는 그룹 페이징 (Group Paging)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룹 노티피케이션을 수신한 단말이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하기 위하여 랜덤 액세스 동작을 수행할 때, 2-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지 4-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지는 어떤 MBS 서비스에 대한 그룹 노티피케이션인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510)이 단말(500)에게 전송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 메시지에 TMGI1에 대응되는 MBS 서비스는 그룹 노티피케이션 후에 2-Step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고, TMGI2에 대응되는 MBS 서비스는 그룹 노티피케이션 후에 4-Step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511) 이렇듯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달하는 메시지에 어떤 MBS 서비스에 대한 그룹 노티피케이션 후 랜덤 액세스 시 어떤 랜덤 액세스 방식을 사용할 것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단말은 허용된 랜덤 액세스 방식을 사용하여 RRC 연결 모드로 천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그룹 노티피케이션이 그룹 페이징으로 전송되는 것을 가정하였다. 515 단계에서 TMGI1에 대한 그룹 페이징이 단말에게 전송되었고 (515) 단말은 TMGI1에 대한 멀티캐스트 그룹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TMGI1에 대응되는 MBS 서비스는 그룹 노티피케이션 후에 2-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게 설정되었기 때문에 단말은 기지국에게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과 메시지3을 모두 전송하는 메시지A (MSGA)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520)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메시지A를 수신한 이 후 메시지B를 전송하여 RRC 연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530). 이 후 555 단계에서 단말이 다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 모드로 천이한 후에 TMGI2에 대한 그룹 페이징이 단말에게 전송되었고 단말은 TMGI2에 대한 멀티캐스트 그룹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TMGI2에 대응되는 MBS 서비스는 그룹 노티피케이션 후에 4-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게 설정되었기 때문에 단말은 기지국에게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먼저 전송하고 (560), 랜덤 액세스 응답 (RAR)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565), RAR 메시지에 포함되어 설정된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메시지3을 전송하고 (570), 경쟁 해소 메시지(580) 메시지 수신 시 RRC 연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별 랜덤 액세스 수행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MBS 통신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MBS 세션으로 구분되며 TMGI (Temporary Mobile Group Identity)를 MBS 세션 ID로 사용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TMGI는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ID와 서비스 ID로 구성될 수 있다.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단말이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특정 MBS 서비스의 수신을 기지국에게 요청하거나 단말의 관심있는 MBS 서비스의 목록이 변경된 것을 알리기 위하여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하여 MBS Interest Indication (MII)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MII 메시지가 트리거링 되어 단말이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하기 위하여 랜덤 액세스 동작을 수행할 때, 2-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지 4-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지는 어떤 MBS 서비스가 MII 보고를 트리거링 했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610)이 단말(600)에게 전송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 메시지에 TMGI1에 대응되는 MBS 서비스는 MII 메시지가 트리거링된 후에 2-Step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고, TMGI2에 대응되는 MBS 서비스는 MII 메시지가 트리거링된 후에 4-Step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611) 이렇듯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달하는 메시지에 어떤 MBS 서비스에 대한 MII 메시지가 트리거링된 후 랜덤 액세스 시 어떤 랜덤 액세스 방식을 사용할 것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단말은 허용된 랜덤 액세스 방식을 사용하여 RRC 연결 모드로 천이를 수행할 수 있다. 615 단계에서 TMGI1에 대한 MII 보고 메시지의 전송이 트리거링 되었고 (615) 단말은 TMGI1에 대한 멀티캐스트 그룹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TMGI1에 대응되는 MBS 서비스는 MII 보고 트리거링이 된 후에 2-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게 설정되었기 때문에 단말은 기지국에게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과 메시지3을 모두 전송하는 메시지A (MSGA)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620)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메시지A를 수신한 이 후 메시지B를 전송하여 RRC 연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630). 이 후 655 단계에서 단말이 다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 모드로 천이한 후에 TMGI2에 대한 MII 메시지가 트리거링되고 단말은 TMGI2에 대한 멀티캐스트 그룹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TMGI2에 대응되는 MBS 서비스는 MII 메시지가 트리거링된 후에 4-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게 설정되었기 때문에 단말은 기지국에게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먼저 전송하고 (660), 랜덤 액세스 응답 (RAR)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665), RAR 메시지에 포함되어 설정된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메시지3을 전송하고 (670), 경쟁 해소 메시지(680) 메시지 수신 시 RRC 연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수행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단말이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기지국은 그룹 노티피케이션을 전송하여 단말이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하여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멀티캐스트 관련 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그룹 노티피케이션은 그룹에 공통인 페이징 전송하는 그룹 페이징 (Group Paging)으로 전송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단말이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특정 MBS 서비스의 수신을 기지국에게 요청하거나 단말의 관심있는 MBS 서비스의 목록이 변경된 것을 알리기 위하여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하여 MBS Interest Indication (MII)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 모드 단말이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하기 위해서 기지국과 단말의 동기화 및 RRC 연결 절차를 수행해야 하고, 이를 위해 랜덤 액세스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2-Step 랜덤 액세스는 4-Step 랜덤 액세스에 비해 자원의 사전할당으로 인한 무선 자원 효율이 낮기 때문에 MBS 서비스로 인해 2-Step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는 것은 랜덤 액세스 자원의 낭비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이 4-Step 랜덤 액세스 및 2-Step 랜덤 액세스를 동시에 운영할 경우, 2-Step 랜덤 액세스를 유니캐스트에 한정해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즉 그룹 노티피케이션 또는 MII 메시지의 트리거링에 의한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의 경우 2-Step 랜덤 액세스 자원의 설정여부와 관계 없이 4-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여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해야 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710) 이 때 단말이 수신한 페이징 메시지가 그룹 페이징 메시지인지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를 구별할 수 있다. (720) 만약 MBS 서비스를 위해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해야하는 그룹 페이징이라면 단말은 2-Step 랜덤 액세스의 설정여부와 관계 없이 4-Step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4-Step 랜덤 액세스를 위해 설정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사용하여(4-Step 랜덤 액세스를 위해 설정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함) 랜덤 액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740) 720 단계에서 단말이 수신한 페이징 메시지가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라면 단말은 현재 RSRP (Received Signal Received Power) 값에 따라 2-Step 랜덤 액세스나 4-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735) 이를 위해 제 1 임계치 값이 설정될 수 있으며 단말의 RSRP가 제 1 임계치 이하라면 단말은 4-Step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740) 이러한 제 1 임계치는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 블록 또는 이전에 설정한 RRC 설정 메시지 또는 RRC 해제 (Release) 메시지에 의해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4-Step 랜덤 액세스를 위해 설정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사용하여(4-Step 랜덤 액세스를 위해 설정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함) 랜덤 액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735 단계에서 단말의 RSRP가 제 1 임계치 이상이라면 단말은 2-Step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750) 이 때 단말은 2-Step 랜덤 액세스를 위해 설정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사용하여(2-Step 랜덤 액세스를 위해 설정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함) 랜덤 액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2-Step 랜덤 액세스 시에는 Message 3 메시지 또한 전송될 수 있고,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과 Message 3를 합쳐서 메시지A 전송이라고 불릴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그룹 페이징에 한해 4-Step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내었으나, 이러한 동작을 MBS에 의해 트리거링 되는 모든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에 확장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가령 MII 메시지의 트리거링에 의한 랜덤 액세스 사용 시 항상 4-Step 랜덤 액세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수행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단말이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기지국은 그룹 노티피케이션을 전송하여 단말이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하여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멀티캐스트 관련 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그룹 노티피케이션은 그룹에 공통인 페이징 전송하는 그룹 페이징 (Group Paging)으로 전송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단말이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특정 MBS 서비스의 수신을 기지국에게 요청하거나 단말의 관심있는 MBS 서비스의 목록이 변경된 것을 알리기 위하여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하여 MBS Interest Indication (MII)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 모드 단말이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하기 위해서 기지국과 단말의 동기화 및 RRC 연결 절차를 수행해야 하고, 이를 위해 랜덤 액세스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2-Step 랜덤 액세스는 4-Step 랜덤 액세스에 비해 자원의 사전할당으로 인한 무선 자원 효율이 낮기 때문에 MBS 서비스로 인해 2-Step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는 것은 랜덤 액세스 자원의 낭비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이 4-Step 랜덤 액세스 및 2-Step 랜덤 액세스를 동시에 운영할 경우, MBS에 의해 트리거링 되는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즉 그룹 노티피케이션 또는 MII 메시지의 트리거링에 의한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의 경우 단말의 RSRP를 제 2 임계치와 비교하여 4-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지 2-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여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해야 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810) 이 때 단말이 수신한 페이징 메시지가 그룹 페이징 메시지인지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를 구별할 수 있다. (820) 만약 MBS 서비스를 위해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해야하는 그룹 페이징이라면 단말은 현재 RSRP 값에 따라 2-Step 랜덤 액세스나 4-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830) 이를 위해 제 2 임계치 값이 설정될 수 있으며 단말의 RSRP가 제 2 임계치 이하라면 단말은 4-Step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840) 이러한 제 2 임계치는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 블록 또는 이전에 설정한 RRC 설정 메시지 또는 RRC 해제 (Release) 메시지에 의해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4-Step 랜덤 액세스를 위해 설정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사용하여(4-Step 랜덤 액세스를 위해 설정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함) 랜덤 액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830 단계에서 단말의 RSRP가 제 2 임계치 이상이라면 단말은 2-Step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850) 이 때 단말은 2-Step 랜덤 액세스를 위해 설정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사용하여(2-Step 랜덤 액세스를 위해 설정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함) 랜덤 액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2-Step 랜덤 액세스 시에는 Message 3 메시지 또한 전송될 수 있고,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과 Message 3를 합쳐서 메시지A 전송이라고 불릴 수 있다. 820 단계에서 단말이 수신한 페이징 메시지가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라면 단말은 현재 RSRP (Received Signal Received Power) 값에 따라 2-Step 랜덤 액세스나 4-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835) 이를 위해 제 1 임계치 값이 설정될 수 있으며 단말의 RSRP가 제 1 임계치 이하라면 단말은 4-Step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840) 이러한 제 1 임계치는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 블록 또는 이전에 설정한 RRC 설정 메시지 또는 RRC 해제 (Release) 메시지에 의해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4-Step 랜덤 액세스를 위해 설정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사용하여(4-Step 랜덤 액세스를 위해 설정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함) 랜덤 액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835 단계에서 단말의 RSRP가 제 1 임계치 이상이라면 단말은 2-Step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850) 이 때 단말은 2-Step 랜덤 액세스를 위해 설정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사용하여(2-Step 랜덤 액세스를 위해 설정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함) 랜덤 액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2-Step 랜덤 액세스 시에는 Message 3 메시지 또한 전송될 수 있고,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과 Message 3를 합쳐서 메시지A 전송이라고 불릴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그룹 페이징에 한해 RSRP 값을 제 2 임계치와 비교하여 4-Step 랜덤 액세스 또는 2-Step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었으나, 이러한 동작을 MBS에 의해 트리거링 되는 모든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에 확장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가령 MII 메시지의 트리거링에 의한 랜덤 액세스 사용 시 단말의 RSRP 값을 제 2 임계치와 비교하여 RSRP 값이 제 2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 2-Step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4-Step 랜덤 액세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X (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900)의 경우 별도의 외부전원 공급 없이 배터리(Battery)를 사용하여 동작하게 되므로 전력소모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없을 때 단말이 불필요한 송수신 동작을 하지 않는 DRX 동작이 정의될 수 있다. DRX 동작은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가 각각 별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유니캐스트 DRX의 Active Time에는 단말은 유니캐스트를 위한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멀티캐스트 DRX의 Active Time에는 해당 멀티캐스트용 G-RNTI(Group-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G-CS(Configured Scheduling)-RNTI를 모니터링하는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해당 DRX의 Active Time은 그 DRX의 On-Duration Timer가 동작하거나, DRX Inactivity Timer가 동작하거나, DRX Retransmission Timer (유니캐스트 DRX의 경우 drx-RetransmissionTimerDL 및 drx-RetransmissionTimerUL, 멀티캐스트 DRX의 경우 drx-RetransmissionTimerDL-PTM)이 동작하는 시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유니캐스트 DRX와 멀티캐스트 DRX는 별도로 설정될 수 있지만, G-RNTI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PTM(Point-To-Multipoint) 초기 전송의 재전송을 C(Connection)-RNTI를 사용하여 특정 단말에게 PTP(Point-To-Point)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상호간 동작방식의 종속성이 존재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유니캐스트 DRX (920)와 멀티캐스트 DRX (930)이 모두 설정된 것을 가정한다. 멀티캐스트 DRX는 G-RNTI 별로 하나씩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단말에 다수의 멀티캐스트 G-RNTI가 설정될 수 있으나, 도 9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멀티캐스트 DRX가 설정된 예를 나타낸다. 하지만 도 9의 실시예는 다수의 멀티캐스트 DRX가 설정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940 단계에서 기지국(910)은 단말(900)에게 멀티캐스트 그룹에게 사용하는 PDCCH를 통해 G-RNTI를 사용한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 이 때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프로세스 (HARQ Process, HP)를 지정할 수 있고, 940 단계에서는 HP=1을 사용한 것을 가정한다. G-RNTI를 사용한 무선 자원의 할당정보를 확인한 후 단말은 데이터 수신을 시도하고 HARQ 피드백을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유니캐스트 DRX의 HARQ RTT Timer(drx-HARQ-RTT-TimerDL) (953)와 해당 G-RNTI에 설정된 멀티캐스트 DRX의 HARQ RTT Timer (drx-HARQ-RTT-TimerDL-PTM) (954)을 HARQ 피드백이 전송이 끝난 다음 첫 심볼 시점에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G-RNTI를 사용한 PDCCH가 하향링크 전송을 지시하는 경우 동작중인 유니캐스트 DRX의 drx-RetransmissionTimerDL과 해당 G-RNTI에 설정된 멀티캐스트 DRX의 drx-RetransmissionTimerDLPTM을 멈출 수 있다. drx-HARQ-RTT-TimerDL이 만료되었을 때 해당 HARQ 프로세스의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않은 경우에 유니캐스트 DRX의 drx-RetransmissionTimerDL를 시작할 수 있다. (955) drx-HARQ-RTT-TimerDLPTM이 만료되었을 때 해당 HARQ 프로세스의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않은 경우에 멀티캐스트 DRX의 drx-RetransmissionTimerDLPTM를 시작할 수 있다. (956)
960 단계에서 기지국(910)은 단말(900)에게 단말이 유니캐스트(또는 PTP) 용도로 사용하는 PDCCH를 통해 C-RNTI를 사용한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 이 때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프로세스 (HARQ Process, HP)를 지정할 수 있고, 960 단계에서는 HP=1을 사용하고 NDI (New Data Indicator) 값을 변경하지 않아서(Not toggled, 이전 NDI 값과 일치함)을 가정한다. 이것은 HP=1의 HARQ 프로세스에 직전에 G-RNTI를 사용한 전송의 재전송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C-RNTI를 사용한 무선 자원의 할당정보를 확인한 후 단말은 데이터 수신을 시도하고 동작중인 drx-RetransmissionTimerDL (955)과 동작 중인 모든 drx-RetransmissionTimerDLPTM(956)을 멈출 수 있다. (971, 972) 어떤 실시예에서는 직전 전송에 사용된 G-RNTI에 설정된 멀티캐스트 DRX의 drx-RetransmissionTimerDLPTM(956)만 멈추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렇게 C-RNTI로 전송된 하향링크 전송을 지시했을 때 유니캐스트 DRX의 drx-RetransmissionTimerDL (955)와 멀티캐스트 DRX의 drx-RetransmissionTimerDLPTM (956)을 모두 멈추는 것은 단말이 유니캐스트 DRX와 멀티캐스트 DRX의 Active Time을 모두 종료하게 하여 단말의 소모전력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C-RNTI를 사용한 PDCCH 전송이 지시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디코딩을 시도한 단말은 이 후 유니캐스트 DRX의 HARQ RTT Timer(drx-HARQ-RTT-TimerDL) (973)를 HARQ 피드백이 전송이 끝난 다음 첫 심볼 시점에 시작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X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1000)의 경우 별도의 외부전원 공급 없이 배터리(Battery)를 사용하여 동작하게 되므로 전력소모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없을 때 단말이 불필요한 송수신 동작을 하지 않는 DRX 동작이 정의될 수 있다. DRX 동작은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가 각각 별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유니캐스트 DRX의 Active Time에는 단말은 유니캐스트를 위한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멀티캐스트 DRX의 Active Time에는 해당 멀티캐스트용 G-RNTI(Group-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G-CS(Configured Scheduling)-RNTI를 모니터링하는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해당 DRX의 Active Time은 그 DRX의 On-Duration Timer가 동작하거나, DRX Inactivity Timer가 동작하거나, DRX Retransmission Timer (유니캐스트 DRX의 경우 drx-RetransmissionTimerDL 및 drx-RetransmissionTimerUL, 멀티캐스트 DRX의 경우 drx-RetransmissionTimerDL-PTM)이 동작하는 시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유니캐스트 DRX와 멀티캐스트 DRX는 별도로 설정될 수 있지만, G-RNTI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PTM(Point-To-Multipoint) 초기 전송의 재전송을 C(Connection)-RNTI를 사용하여 특정 단말에게 PTP(Point-To-Point)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상호간 동작방식의 종속성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유니캐스트 DRX (1020)와 멀티캐스트 DRX (1030)이 모두 설정된 것을 가정한다. 멀티캐스트 DRX는 G-RNTI 별로 하나씩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단말에 다수의 멀티캐스트 G-RNTI가 설정될 수 있으나,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멀티캐스트 DRX가 설정된 예를 나타낸다. 하지만 도 10의 실시예는 다수의 멀티캐스트 DRX가 설정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1040 단계에서 기지국(1010)은 단말(1000)에게 멀티캐스트 그룹에게 사용하는 PDCCH를 통해 G-RNTI를 사용한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 이 때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프로세스 (HARQ Process, HP)를 지정할 수 있고, 1040 단계에서는 HP=1을 사용한 것을 가정한다. G-RNTI를 사용한 무선 자원의 전송은 HARQ 피드백이 설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HARQ 피드백의 미설정은 RRC 메시지에 의해 설정되거나 DCI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성공적인 디코딩을 나타내는 HARQ ACK은 전송하지 않고, 디코딩에 실패했음을 나타내는 HARQ NACK만 전송하는 NACK-Only 피드백의 경우도 성공적인 데이터 디코딩으로 인해 HARQ 피드백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HARQ 피드백의 설정유무, 전송유무와 관계없이 G-RNTI를 사용한 하향링크 전송을 지시받는 경우 단말은 해당 데이터의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고, 이 때 추가적인 PDCCH로의 자원 할당은 예상되지 않기 때문에 동작중인 유니캐스트 DRX의 drx-RetransmissionTimerDL (1031)과 해당 G-RNTI에 설정된 멀티캐스트 DRX의 drx-RetransmissionTimerDLPTM (1032)을 멈출 수 있다. (1041, 1042) 어떤 실시예에서는 1040 단계에서 사용한 G-RNTI와 관계 없이 단말에 설정된 멀티캐스트 DRX의 drx-RetransmissionTimerDLPTM을 모두 멈추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렇게 GRNTI로 전송된 하향링크 전송을 지시했을 때 유니캐스트 DRX의 drx-RetransmissionTimerDL (1031)와 멀티캐스트 DRX의 drx-RetransmissionTimerDLPTM (1032)을 모두 멈추는 것은 단말이 유니캐스트 DRX와 멀티캐스트 DRX의 Active Time을 모두 종료하게 하여 단말의 소모전력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X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1100)의 경우 별도의 외부전원 공급 없이 배터리(Battery)를 사용하여 동작하게 되므로 전력소모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없을 때 단말이 불필요한 송수신 동작을 하지 않는 DRX 동작이 정의될 수 있다. DRX 동작은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가 각각 별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유니캐스트 DRX의 Active Time에는 단말은 유니캐스트를 위한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멀티캐스트 DRX의 Active Time에는 해당 멀티캐스트용 G-RNTI(Group-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G-CS(Configured Scheduling)-RNTI를 모니터링하는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해당 DRX의 Active Time은 그 DRX의 On-Duration Timer가 동작하거나, DRX Inactivity Timer가 동작하거나, DRX Retransmission Timer (유니캐스트 DRX의 경우 drx-RetransmissionTimerDL 및 drx-RetransmissionTimerUL, 멀티캐스트 DRX의 경우 drx-RetransmissionTimerDL-PTM)이 동작하는 시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유니캐스트 DRX와 멀티캐스트 DRX는 별도로 설정될 수 있지만, G-RNTI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PTM(Point-To-Multipoint) 초기 전송의 재전송을 C(Connection)-RNTI를 사용하여 특정 단말에게 PTP(Point-To-Point)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상호간 동작방식의 종속성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유니캐스트 DRX (1120)와 멀티캐스트 DRX (1130)이 모두 설정된 것을 가정한다. 멀티캐스트 DRX는 G-RNTI 별로 하나씩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단말에 다수의 멀티캐스트 G-RNTI가 설정될 수 있으나,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멀티캐스트 DRX가 설정된 예를 나타낸다. 하지만 도 11의 실시예는 다수의 멀티캐스트 DRX가 설정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1140 단계에서 기지국(1110)은 단말(1100)에게 주기적으로 할당되는 유니캐스트용 SPS(Semi-Persistent Scheduling)의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SPS는 '설정된 하향링크 할당 (Configured Downlink Assignment)'라는 용어로 불릴 수도 있다. 이 때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프로세스 (HARQ Process, HP)는 RRC 메시지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특정 시점에 전송된 SPS의 HARQ 프로세스는 단말이 계산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SPS의 디코딩 후 기지국에게 HARQ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고 (1150) 이 기간 동안에 기지국은 동일한 HARQ 프로세스에 하향링크 전송을 할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동작중인 유니캐스트 DRX의 drx-RetransmissionTimerDL (1131)과 단말에 설정된 모든 멀티캐스트 DRX의 drx-RetransmissionTimerDLPTM (1132)을 멈출 수 있다. (1141, 1142) 이렇게 유니캐스트 SPS 전송이 일어났을 때 유니캐스트 DRX의 drx-RetransmissionTimerDL (1131)와 멀티캐스트 DRX의 drx-RetransmissionTimerDLPTM (1132)을 모두 멈추는 것은 단말이 유니캐스트 DRX와 멀티캐스트 DRX의 Active Time을 모두 종료하게 하여 단말의 소모전력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송수신부 (1210), 제어부 (1220), 저장부 (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220)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 (12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210)는 예를 들어, 단말에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 (122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2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230)는 상기 송수신부 (12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12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단말은 송수신부 (1310), 제어부 (1320), 저장부 (1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 (13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310)는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132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3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330)는 상기 송수신부 (13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1320)를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 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는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 및 신호 등의 매체를 전체적으로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본 개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능력을 보고하는 방법에 제공되는 구성 이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다른 일 실시예의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기지국과 단말이 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적용 가능하며,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 또한 실시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실시예들은 LTE 시스템, 5G, NR 시스템 또는 6G 시스템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그룹 페이징 메시지인지 또는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그룹 페이징 메시지인 경우, 4-스텝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인 경우, RSRP (Received Signal Received Power) 값이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이고 상기 RSRP 값이 상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 2-스텝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이고 상기 RSRP 값이 상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 4-스텝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그룹 페이징 메시지인지 또는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그룹 페이징 메시지인 경우, 4-스텝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인 경우, RSRP (Received Signal Received Power) 값이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이고 상기 RSRP 값이 상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큰 경우, 2-스텝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상기 유니캐스트 페이징 메시지이고 상기 RSRP 값이 상기 설정된 임계치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 4-스텝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말.
KR1020220032105A 2022-03-15 2022-03-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및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34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105A KR20230134830A (ko) 2022-03-15 2022-03-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및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CT/KR2023/003416 WO2023177189A1 (en) 2022-03-15 2023-03-14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and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8/183,335 US20230300941A1 (en) 2022-03-15 2023-03-14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and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105A KR20230134830A (ko) 2022-03-15 2022-03-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및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830A true KR20230134830A (ko) 2023-09-22

Family

ID=8802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105A KR20230134830A (ko) 2022-03-15 2022-03-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및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00941A1 (ko)
KR (1) KR20230134830A (ko)
WO (1) WO20231771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81012A (zh) * 2022-10-11 2024-04-12 华硕技术授权股份有限公司 处理用于多播数据接收的不连续接收定时器的方法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669A1 (ko) * 2019-02-24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 링크 단말이 채널 상태보고에 관련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32831B2 (en) * 2019-08-23 2021-06-08 Qualcomm Incorporated Handling miss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opportunities, multiple HARQ opportunities, or both for discontinuous reception (DRX)
EP4123915A1 (en) * 2019-10-03 2023-01-25 Ofinno, LLC Discontinuous reception for a two-step random access proced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7189A1 (en) 2023-09-21
US20230300941A1 (en)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858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HARQ feedback between terminal nodes
US11084436B2 (en) System and method of reducing interruptions for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KR20220099546A (ko) 유연한 고용량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US11375509B2 (en) Support for receive-limited user equipment in wireless environments
US202202726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paging occa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009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and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069104A (ko) 미리 구성된 업링크 자원에 대한 검증
EP4075896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2023011256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269828A1 (en) Methods and user equipment (ue) for handling mbs service in wireless network
US202203222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of mbs
US202400572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considering traffic peri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61937A1 (en) Methods and systems of harq retransmission for nr mbs services
Vikhrova et al. Group-oriented services for critical machine type communications in 5G networks
US202302765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and reporting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US20240163907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discontinuous reception of side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319430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discontinuous reception of side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4000627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에너지 세이빙 (network energy saving, NES) 모드와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의 공존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3709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unlicensed band
US202301998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ath switch operation of remote ue on side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17486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hannel acces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delink information in unlicensed band
KR2024004498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4004345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7160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및 비활성모드 단말의 nes 모드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40019593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MBS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QoE 측정 및 보고를 위한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