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366A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366A
KR20230134366A KR1020220031663A KR20220031663A KR20230134366A KR 20230134366 A KR20230134366 A KR 20230134366A KR 1020220031663 A KR1020220031663 A KR 1020220031663A KR 20220031663 A KR20220031663 A KR 20220031663A KR 20230134366 A KR20230134366 A KR 20230134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mobile terminal
wireless
pairi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우영
박예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220031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4366A/ko
Publication of KR20230134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은 연결된 무선 AP(Access Point)에게 셋톱박스 검색 요청을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은 무선 AP로부터 상기 무선 AP에 연결된 셋톱박스의 서비스 ID를 수신한다. 모바일 단말은 상기 모바일 단말에 부여된 모바일 단말 ID 및 상기 서비스 ID를 셋톱박스 제어 시스템에게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셋톱박스를 페어링시킨다. 모바일 단말은 셋톱박스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한 셋톱박스 제어 명령과 상기 모바일 단말의 ID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셋톱박스 제어 시스템에게 전송한다. 셋톱박스 제어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 ID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과 페어링된 셋톱박스를 식별하고, 식별한 셋톱박스에게 상기 셋톱박스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ET-TOP BOX USING MOBILE TERMINAL}
본 개시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인터넷 TV 서비스를 구현하는 셋톱박스의 제어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리모컨 분실 또는 리모컨 고장으로 인해 출동 서비스를 운영하는 데에 많은 예산이 소모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리모컨의 기능을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대체하고자 하는 필요가 있다.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셋톱박스를 제어하려면, 모바일 단말과 셋톱박스 간의 페어링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모바일 단말과 셋톱박스 간 페어링을 위해서 모바일 인증 번호를 리모컨을 이용하여 셋톱박스로 전송하여야 한다. 따라서, 리모컨을 이용한 페어링 절차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리모컨이 필요한 문제는 여전하다. 게다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해서 셋톱박스를 제어하고자 할 때마다 모바일 인증 번호를 이용한 페어링 절차를 수행해야 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하다.
모바일 단말이 셋톱박스의 가입자 별로 고유하게 할당되는 서비스 ID인 SAID(Service Agreement ID)를 알고 있다면, 예컨대, 셋톱박스의 SAID를 사용자에게 오프라인으로 제공하고, 셋톱박스와의 페어링이 필요할때마다 이용하게 하면, 모바일 인증 번호를 이용한 페어링 절차를 반복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SAID는 가입자 정보에 따라 변동되는 개인 정보로서, 셋톱박스가 동일하여도 가입자가 다르면 변경된다. 따라서, 이러한 SAID를 노출하면 보안 이슈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방식은 현실적으로 적용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본 개시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셋톱박스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AP(Access Point)를 통해 셋톱박스의 SAID(Service Agreement ID)를 획득하거나 또는 셋톱박스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를 통하여 셋톱박스의 SAID를 획득하고, 획득한 셋톱박스의 SAID를 이용하여 셋톱박스와 페어링을 수행한 후, 페어링된 셋톱박스를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특징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연결된 무선 AP(Access Point)에게 셋톱박스 검색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 AP로부터 상기 무선 AP에 연결된 셋톱박스의 서비스 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의 ID 및 상기 수신한 서비스 ID를 셋톱박스 제어 시스템에게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셋톱박스를 페어링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셋톱박스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한 셋톱박스 제어 명령과 상기 모바일 단말의 ID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셋톱박스 제어 시스템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ID는, 상기 셋톱박스 제어 시스템이 상기 셋톱박스 제어 명령을 전송할 상기 모바일 단말과 페어링된 셋톱박스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사전 정의된 IP 주소를 가지는 무선 AP와 연결된 경우, 상기 무선 AP의 지정된 경로로 접속하여 상기 무선 AP에 저장된 DMR(Digital Medea Renderer) 문서를 파싱하여 상기 서비스 ID를 획득하고, 상기 DMR 문서는 상기 무선 AP에 연결된 셋톱박스에 의해 사전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AP에 연결된 복수의 셋톱박스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DMR 문서를 파싱하여 복수의 서비스 ID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서비스 ID 중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하나의 서비스 ID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페어링 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서비스 ID를 상기 모바일 단말의 ID와 페어링시킬 수 있다.
상기 셋톱박스 제어 시스템에게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ID 및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셋톱박스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상기 셋톱박스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셋톱박스를 페어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MAC 주소는,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셋톱박스를 페어링시킬 서비스 ID를 추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ID를 이용한 페어링과 상기 MAC 주소를 이용한 페어링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상기 무선 AP가 사전 정의된 IP 주소를 가지는 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을 리모컨으로 대체함으로써, 리모컨의 분실/고장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SAID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모바일 단말이 간편하게 SAID를 획득하여 셋톱박스와 페어링 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셋톱박스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과 셋톱박스 간 페어링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과 셋톱박스 간 페어링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셋톱박스를 제어 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원격 셋톱박스 제어를 위한 전용 앱의 UI(User Interface) 예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원격 셋톱박스 제어를 위한 전용 앱의 페어링 연결 UI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와이파이로 페어링 연결'을 선택한 경우의 UI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셋탑넘버로 페어링 연결'을 선택한 경우의 UI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장치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통신 장치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로 구성되고, 지정된 장소에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하드웨어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구성과 성능을 가진다. 프로그램은 도면들을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동작 방법을 구현한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하고, 프로세서와 메모리 장치 등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본 발명을 실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송 또는 제공"은 직접적인 전송 또는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를 통해 또는 우회 경로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전송 또는 제공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로 기재된 표현은 "하나" 또는 "단일" 등의 명시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않은 이상, 단수 또는 복수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도면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 은 언급된 구성 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 흐름도에서, 동작 순서는 변경될 수 있고, 여러 동작들이 병합되거나, 어느 동작이 분할될 수 있고, 특정 동작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셋톱박스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리모컨 대신 모바일 단말(100)을 이용하여 셋톱박스(200)를 제어하여 원하는 서비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에는 원격으로 셋톱박스(200)를 제어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 즉,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셋톱박스(200)로 전송하는 다양한 원격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은 전용 앱(App) 및/또는 모바일 앱으로 통칭하여 기재한다.
여기서, 원격 제어 명령은 방송 채널 재핑(channel zapping), VOD(Video On Demand)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검색/선택/구매/결제,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설정 등과 같이, 사용자가 리모컨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 다양한 TV/셋톱박스 제어 기능을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무선 AP(Access Point)(400)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 AP(400)는 셋톱박스(200)에 연결될 수 있다.
셋톱박스(200)는 TV(300) 및 무선 AP(400)에 연결되고, 무선 AP(400)를 통해 접속한 인터넷망(500)을 통해 원격 제어 명령에 따른 IPTV 서비스를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버(1000)로부터 수신하여 TV(300)에게 제공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무선 AP(400)를 통해 인터넷망(500)에 연결되거나 또는 이동통신망(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인터넷망(500)에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인터넷망(500)을 통해 셋톱박스 제어 시스템(10)에 연결된다.
셋톱박스 제어 시스템(10)은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앱 서버(600), 페어링(Pairing) 관리 서버(700), SAID(Service Agreement ID) 관리 서버(800) 및 셋톱박스 제어 서버(9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SAID 관리 서버(800)는 실시예에 따라 셋톱박스 제어 시스템(10)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100)은 인터넷망(500)을 통해 모바일 앱 서버(600), 페어링 관리 서버(700), 셋톱박스 제어 서버(900)에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앱 서버(600)는 모바일 단말(100)의 전용 앱과 연동하는 모바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서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100)은 인터넷망(500)을 통해 모바일 앱 서버(600), 페어링 관리 서버(700), 셋톱박스 제어 서버(900) 및 추가로 SAID 관리 서버(80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SAID 관리 서버(800)는 셋톱박스(200)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Address)와 SAID를 매핑하여 관리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100), 셋톱박스(200), 무선 AP(400), 모바일 앱 서버(600), 페어링 관리 서버(700), SAID 관리 서버(800), 셋톱박스 제어 서버(900) 및 IPTV 서버(1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동작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모바일 단말(100)이 전용 앱을 실행하면 모바일 앱 서버(600)에 연결된다. 모바일 단말(100)은 모바일 앱 서버(600)를 통해 셋톱박스 제어 서버(900)에 연결되어 셋톱박스(200)로 원격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셋톱박스 제어 서버(900)는 IPTV 사업자의 셋톱박스들(200)과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셋톱박스 제어 서버(900)가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원격 제어 명령을 셋톱박스(200)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셋톱박스(200)의 SAID가 있어야 한다. SAID는 IPTV 서비스 가입자 별로 부여되는 서비스 ID로서, 셋톱박스(200)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키(Key)값이다. 물리적으로 동일한 셋톱박스(200)여도 가입할 때 가입자마다 서로 다른 SAID가 부여되며, 부여한 SAID는 가입 해지시까지 유지된다.
모바일 단말(100)을 이용하여 셋톱박스(200)를 제어하려면, 모바일 단말(100)과 셋톱박스(200) 간의 페어링 절차가 필요하다. 즉, 모바일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셋톱박스(200)의 식별 정보인 SAID와 매핑하는 페어링 절차가 선행되어야 한다.
모바일 단말(100)과 셋톱박스(200)간 페어링 절차를 두가지 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과 셋톱박스 간 페어링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때, 도 2는 모바일 단말(100)이 무선 AP(400)로부터 셋톱박스(200)의 SAID를 획득하여 페어링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100), 셋톱박스(200) 및 무선 AP(400)는 동일한 홈 네트워크로 구성되고, 셋톱박스(200)와 무선 AP(400)는 동일한 네트워크 사업자의 장비에 해당된다.
무선 AP(400)에는 무선 AP(4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셋톱박스(200)의 DMR(Digital Media Renderer) 문서가 생성 및 저장되어 있다. DMR 문서에는 셋톱박스(200) 별로 디지털 미디어 렌더링 서비스를 위한 정보가 기재되어 있으며, 셋톱박스 단위로 생성된다. 즉, 무선 AP(400)에 연결된 셋톱박스(200)의 개수만큼 DMR 문서들이 생성 및 저장되어 있다. 각 DMR 문서에는 해당 셋톱박스(200)의 SAID가 기재되어 있다.
셋톱박스(200)는 부팅시 무선 AP(400)에 접속하여 접속한 무선 AP(400)가 특정 IP 주소를 가진 AP인지 확인하고, 특정 IP 주소를 가진 AP이면, 사전에 정해진 IP 주소를 할당받고 무선 AP(400)의 지정된 저장소에 자신의 DMR 문서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DMR 문서는 셋톱박스(200)의 모델명 및 SAID를 포함한다.
무선 AP(400)에서 DMR 문서가 저장된 주소, 즉, 지정된 저장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정보는 모바일 단말(100)에 설치된 전용 앱에 사전 설정되어 있다. DMR 문서가 저장된 저장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정보는 XML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형태(예, http://STB_IP:38520/description.xml)일 수 있다.
DMR 문서의 주소 정보는 정해진 복수의 IP 주소와 하나의 포트 주소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AP(400)에 연결된 세개의 셋톱박스(200)는 '172.30.1.128~130'의 범위에 속하는 IP 주소 중 하나를 할당받고 할당받은 IP 주소를 가진 저장소에 자신의 DMR 문서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100)은 IP 주소로 식별되는 3개의 DMR 문서에 접근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셋톱박스(200)는 부팅시 무선 AP(400)에 연결(S101)되면, 무선 AP(400)의 지정된 저장소에 자신의 서비스 ID인 SAID가 포함된 DMR 문서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102).
S102에서 셋톱박스(200)는 펌웨어에 설정된 명령에 따라, 연결된 무선 AP(400)의 IP 대역이 정해진 IP 대역, 즉, 사전에 설정된 동일 사업자의 IP 대역으로 확인되면, 무선 AP(400)의 지정된 저장소에 DMR 문서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보통, 셋톱박스(200)에는 성인 컨텐츠 등과 같이 접근 제한을 위한 용도로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셋톱박스(200)는 이러한 PIN을 사전에 페어링 관리 서버(700)에 등록할 수 있다(S103). 페어링 관리 서버(700)는 S103에서 획득한 셋톱박스(200)의 SAID와 PIN을 매핑하여 저장(S104)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100)은 리모컨 어플리케이션, 즉, 전용 앱을 실행(S105)하고, 무선 AP(400)에 연결된다(S106).
이때, S107 이후의 동작은 모바일 단말(100)의 전용 앱의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페어링을 와이파이 AP로 수행하도록 전용 앱에 사전 설정해두거나 또는 사업자가 전용 앱에 사전 설정해둔 경우에 자동으로 S107 이후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용 앱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와이파이 AP로 페어링 연결'을 선택한 경우에, S107 이후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S106의 연결 과정에서 획득 또는 확인한 무선 AP(400)의 IP 대역이 정해진 IP 대역인지 판단한다(S107). S107에서, 모바일 단말(100)은 연결된 무선 AP(400)가 셋톱박스(200)의 사업자와 동일한 사업자의 무선 AP(400)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S107에서 무선 AP(400)의 IP 대역이 정해진 IP 대역이라면, 무선 AP(400)에게 M-Search 메시지를 전송한다(S104). S104에서 M-Search 메시지는 모바일 단말(100)이 셋톱박스(200)의 연결 상태 확인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무선 AP(400)는 무선 AP(400)에 연결된 셋톱박스(200)의 유무를 확인(S109)하고, 셋톱박스(200)의 연결 유무를 포함하는 M-Search 응답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100)에게 전송한다(S110). S109에서, 무선 AP(400)는 셋톱박스(200)와의 연결을 위해 할당된 포트를 확인하여 셋톱박스(200)의 연결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과 무선 AP(400)는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통해 상호 연동하여 M-Search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사전에 설정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AP(400)의 미리 약속된 특정 경로로 접속하여 DMR 문서를 파싱하고 파싱한 DMR 문서로부터 셋톱박스(200)의 SAID를 추출한다(S111).
이때, 주소 정보는 서로 다른 포트 주소가 할당된 복수개의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100)은 각 포트 주소 별로 접속하여 각각의 DMR 문서를 파싱하여 각각의 SAID를 추출할 수 있다.
무선 AP(400)에 여러 개의 DMR 문서가 생성되어 있을 경우, 여러 개의 DMR 문서로부터 각각의 SAID를 획득하고, 이를 모바일 단말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페어링을 원하는 특정 SAID를 선택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SAID는 외부에 공개되지 않아야 하므로, 모바일 단말(100)은 SAID의 일부만 나열한 리스트를 화면에 출력하여 선택을 요구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각 DMR 문서로부터 셋톱박스(200)의 모델명(예, 기가지니A, 기가지니2 등)을 추가로 획득하고, SAID의 일부와 함께 셋톱박스 모델명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제어를 원하는 셋톱박스(200)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00)은 사용자가 셋톱박스(200)에 등록한 별칭을 DMR 문서를 통해 추가 획득하고, 이를 SAID의 일부와 함께 출력하여 사용자가 제어를 원하는 셋톱박스(200)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셋톱박스(200)에 설정된 PIN 입력을 요구하는 화면을 출력하여 PIN을 입력받을 수 있다(S112).
모바일 단말(100)은 무선 AP(400)를 통해서 혹은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모바일 앱 서버(600)에게 페어링 요청을 전송한다(S113). 이때, 페어링 요청은 모바일 단말 ID, SAID, PIN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 ID는 전용 앱에 부여되는 고유번호, SUID(Service User ID, 사용자 구분 ID)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100)은 모바일 단말 ID를 이용해서 모바일 앱 서버(600)에 로그인할 수 있다. 로그인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100)이 변경되더라도 모바일 단말 ID만 동일하면 페어링은 유지된다. 반면, 로그인하지 않는 경우, 모바일 단말(100)이 변경되면 페어링을 다시 수행해야 한다.
모바일 앱 서버(600)는 S113에서 수신한 페어링 요청으로부터 획득한 모바일 단말 ID가 등록된 ID인지 판단하는 모바일 단말 인증을 수행한다(S114). 모바일 단말 ID는 전용 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과정에서 모바일 앱 서버(600)에 등록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 ID는 전용 앱을 실행한 이후 회원 가입 절차 및/또는 페어링 절차에서 모바일 앱 서버(600)에 등록될 수도 있다.
모바일 앱 서버(600)는 페어링 관리 서버(700)에게 핀 인증 요청을 전송한다(S115). 이때, S115에서 핀 인증 요청에는 S113에서 획득한 PIN 및 SAID가 포함되어 있다.
페어링 관리 서버(700)는 S115에서 수신한 SAID에 매핑되는 PIN을 S104의 등록 정보로부터 획득하고, 획득한 PIN이 S115에서 수신한 PIN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PIN 인증을 수행한다(S116).
페어링 관리 서버(700)는 S116의 PIN 인증 결과를 모바일 앱 서버(600)로 전송한다(S117).
모바일 앱 서버(600)는 S114의 단말 인증과 S117에서 수신한 PIN 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을 나타내는지 판단한다(S118).
모바일 앱 서버(600)는 S118에서 인증 실패로 판단되면, 인증 실패로 인한 페어링 실패 응답을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한다(S119).
모바일 앱 서버(600)는 S118에서 인증 성공으로 판단되면, 페어링 관리 서버(700)에게 페어링 요청을 전송한다(S120). S120에서 페어링 요청은 S113에서 획득한 모바일 단말 ID 및 SAID를 포함한다.
페어링 관리 서버(700)는 S120에서 수신한 모바일 단말 ID를 SAID와 매핑한 페어링 정보를 등록한다(S121).
페어링 관리 서버(700)는 페어링 정보 등록이 완료되면, 페어링 성공 응답을 모바일 앱 서버(600)에게 전송한다(S122).
모바일 앱 서버(600)는 페어링 성공 응답을 모바일 단말(100)에게 전송한다(S123).
이때, 모바일 단말(100)은 S111에서 획득한 SAID를 화면에 노출하지 않으며, 모바일 단말(100)에 저장하지도 않는다. SAID를 모바일 단말(100)에 저장할 경우, 해킹의 위험 등이 있으므로, 모바일 앱 서버(600) 및/또는 페어링 관리 서버(700)와 같이 외부 서버에서 저장한다. 이때, SAID를 모바일 앱 서버(600)에 저장하는 경우, 임시 저장일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과 셋톱박스 간 페어링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의 실시예는 전용 앱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셋톱박스(200)의 MAC 주소로 페어링 연결을 선택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혹은, 도 3의 실시예는 도 2의 S107에서 무선 AP(400)의 IP 대역이 정해진 IP 대역이 아닌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때, 도 2의 S101 ~ S104는 도 3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나,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SAID 관리 서버(800)는 셋톱박스(200)의 MAC 주소와 SAID를 매핑한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한다(S201).
모바일 단말(100)은 사용자가 셋톱박스의 MAC 주소를 입력(S202)하면, 셋톱박스(200)에 설정된 PIN 입력을 요구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S203).
셋톱박스(200)의 MAC 주소는 셋톱박스(200)의 외부에 부착된 스티커에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모바일 단말(100)의 전용 앱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S202에서 입력받은 셋톱박스(200)의 MAC 주소, S203에서 입력받은 PIN 및 모바일 단말 ID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을 모바일 앱 서버(600)로 전송한다(S204).
모바일 앱 서버(600)는 SAID 관리 서버(800)에게 SAID 검색 요청을 전송한다(S205). S205에서 SAID 검색 요청은 S204에서 수신한 MAC 주소를 포함한다.
SAID 관리 서버(800)는 S205에서 검색 요청된 MAC 주소에 매칭되는 SAID를 추출(S206)하고, 추출한 SAID를 포함하는 SAID 검색 응답을 모바일 앱 서버(600)로 전송한다(S207).
모바일 앱 서버(600)는 S204에서 수신한 모바일 단말 ID가 등록된 ID인지 판단하는 모바일 단말 인증을 수행한다(S208). S205는 도 2의 S114와 동일하다.
모바일 앱 서버(600)는 모바일 단말(100)에게 핀 인증 요청을 전송한다(S209). S209에서 모바일 앱 서버(600)는 S204에서 수신한 PIN과 S207에서 수신한 SAID를 포함하는 핀 인증 요청을 전송한다.
페어링 관리 서버(700)는 S209에서 수신한 SAID에 매핑되는 PIN을 도 2의 S104의 등록 정보로부터 획득하고, 획득한 PIN이 S209에서 수신한 PIN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PIN 인증을 수행한다(S210).
페어링 관리 서버(700)는 S210의 PIN 인증 결과를 모바일 앱 서버(600)로 전송한다(S211).
모바일 앱 서버(600)는 S208 및 S211의 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을 나타내는지 판단한다(S212).
S212에서 인증 실패로 판단되면, 모바일 앱 서버(600)는 모바일 단말(100)에게 인증 실패로 인한 페어링 응답을 전송한다(S213).
모바일 앱 서버(600)는 페어링 관리 서버(700)에게 모바일 단말 ID 및 SAID를 포함하는 페어링 요청을 전송한다(S214).
페어링 관리 서버(700)는 S214에서 수신한 모바일 단말 ID와 SAID를 매핑한 페어링 정보를 등록한다(S215).
페어링 관리 서버(700)는 페어링 정보 등록이 완료되면, 페어링 응답을 모바일 앱 서버(600)에게 전송한다(S216).
모바일 앱 서버(600)는 페어링 응답을 모바일 단말(100)에게 전송한다(S217). 이때, S209 ~ S217은 도 2의 S114 ~ S123과 동일하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셋톱박스를 제어 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원격 셋톱박스 제어를 위한 전용 앱의 UI(User Interface) 예시도이다.
이때, 도 4는 도 2 또는 도 3의 페어링 절차가 완료된 이후, 모바일 단말(100)이 페어링된 셋톱박스(200)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0)은 도 5와 같이 리모컨 제어 화면 상에서 발생한 사용자 입력/선택에 따라 셋톱박스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S301). 예컨대, 사용자가 특정 채널 번호를 입력하면, 특정 채널 선택 명령이 셋톱박스 제어 명령으로 생성된다.
모바일 단말(100)은 모바일 단말 ID와 S301에서 생성한 셋톱박스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요청 메시지를 모바일 앱 서버(600)에게 전송한다(S302).
모바일 앱 서버(600)는 S302에서 수신한 모바일 단말 ID에 매칭되는 SAID를 페어링 관리 서버(700)로부터 획득한다(S303). 이때, S303은 원격 제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될때마다 이루어진다. 또한, S303에서 획득한 SAID는 모바일 단말(100)을 통한 원활한 제어를 위해 일정 시간 동안 모바일 앱 서버(600)의 보안 저장소에 임시 저장될 수 있다. 임시 저장을 통해 모바일 앱 서버(600)와 페어링 관리 서버(700) 간의 통신 장애를 예비할 수 있다.
모바일 앱 서버(600)는 S302에서 수신한 원격 제어 요청 메시지에 S303에서 획득한 SAID를 추가하고, SAID가 추가된 원격 제어 요청 메시지를 셋톱박스 제어 서버(900)에게 전송한다(S304).
셋톱박스 제어 서버(900)는 S304에서 수신한 SAID를 기초로 관리 대상인 복수의 셋톱박스 중에서 원격 제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셋톱박스(200), 즉, 모바일 단말(100)과 페어링된 셋톱박스를 식별한다(S305).
셋톱박스 제어 서버(900)는 S305에서 식별한 셋톱박스(200)에게 S304에서 수신한 원격 제어 명령 메시지를 전송한다(S306).
셋톱박스(200)는 S306에서 수신한 셋톱박스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한다(S307). 예컨대, 셋톱박스(200)는 특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IPTV 서버(1000)로부터 수신한 특정 채널의 화면을 TV(30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원격 셋톱박스 제어를 위한 전용 앱의 페어링 연결 UI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와이파이로 페어링 연결'을 선택한 경우의 UI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서 '셋탑넘버로 페어링 연결'을 선택한 경우의 UI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0)은 원격 셋톱박스 제어를 위한 페어링 연결 화면(P1)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화면(P1)에서 '와이파이(WiFi)로 연결' 항목이 선택되면, 모바일 단말(100)은 도 7과 같이 '와이파이에 연결된 TV 찾기' 화면(P2)을 출력한다. 사용자가 '와이파이에 연결된 TV 찾기'를 클릭하면, 모바일 단말(100)은 도 2의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화면(P1)에서 '셋탑넘버로 연결' 항목이 선택되면, 모바일 단말(100)은 도 8과 같이 '셋탑넘버로 TV 찾기' 화면(P3)을 출력한다. 사용자가 '셋탑넘버로 TV 찾기'를 클릭하면, 모바일 단말(100)은 도 3의 절차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개시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모바일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연결된 무선 AP(Access Point)에게 셋톱박스 검색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 AP로부터 상기 무선 AP에 연결된 셋톱박스의 서비스 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의 ID 및 상기 수신한 서비스 ID를 셋톱박스 제어 시스템에게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셋톱박스를 페어링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셋톱박스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한 셋톱박스 제어 명령과 상기 모바일 단말의 ID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셋톱박스 제어 시스템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ID는,
    상기 셋톱박스 제어 시스템이 상기 셋톱박스 제어 명령을 전송할 상기 모바일 단말과 페어링된 셋톱박스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동작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사전 정의된 IP 주소를 가지는 무선 AP와 연결된 경우, 상기 무선 AP의 지정된 경로로 접속하여 상기 무선 AP에 저장된 DMR(Digital Medea Renderer) 문서를 파싱하여 상기 서비스 ID를 수신하고,
    상기 DMR 문서는,
    상기 무선 AP에 연결된 셋톱박스에 의해 사전에 저장된, 동작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AP에 연결된 복수의 셋톱박스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DMR 문서를 파싱하여 복수의 서비스 ID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서비스 ID 중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하나의 서비스 ID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페어링 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택한 서비스 ID를 상기 모바일 단말의 ID와 페어링시키는, 동작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셋톱박스 제어 시스템에게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ID 및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셋톱박스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상기 셋톱박스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셋톱박스를 페어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MAC 주소는,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셋톱박스를 페어링시킬 서비스 ID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동작 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서비스 ID를 이용한 페어링과 상기 MAC 주소를 이용한 페어링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상기 무선 AP가 사전 정의된 IP 주소를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동작 방법.


KR1020220031663A 2022-03-14 2022-03-14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제어 방법 KR20230134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663A KR20230134366A (ko) 2022-03-14 2022-03-14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663A KR20230134366A (ko) 2022-03-14 2022-03-14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366A true KR20230134366A (ko) 2023-09-21

Family

ID=8818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663A KR20230134366A (ko) 2022-03-14 2022-03-14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43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2413B1 (ko) 앱을 다운로드하는 방법 및 앱을 실행시키는 방법
EP3206362B1 (en) Account login method and apparatus
US11799683B2 (en) Communication, monitoring and control architecture and method
US9596501B2 (en) Remote control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JP654361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及び装置
US9391961B2 (en) Information operating device, information outpu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246152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n appliance control device for an appliance
KR20140126641A (ko) 전자 기기 및 이의 개인 클라우드 기기 등록 방법
US9043856B2 (en) Remote control of program receiving devices
US201503732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vice configuration
US20130097645A1 (en) Seamless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cheme
KR101775026B1 (ko) 페어 플레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7564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services and/or devices with a voice assistant
US117921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services and/or devices with a voice assistant
KR101141163B1 (ko) A/v 컨텐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방법 및 그 장치
US10116988B2 (en) Signal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9300918B2 (en) Service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embedded browser agent
KR101853960B1 (ko) 미디어 단말 및 이의 환경 설정 방법
KR20230134366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제어 방법
KR100912537B1 (ko) Iptv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2723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장치
EP4297367A1 (en) Messenger connection method in multi-messenger service environment, and device therefor
CN108829463B (zh) 一种控制应用程序提示信息的方法及装置
KR2015008670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
JP2021192540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