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220A - Method for issuing electronic sanitation control certificate - Google Patents

Method for issuing electronic sanitation control certific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220A
KR20230134220A KR1020220031248A KR20220031248A KR20230134220A KR 20230134220 A KR20230134220 A KR 20230134220A KR 1020220031248 A KR1020220031248 A KR 1020220031248A KR 20220031248 A KR20220031248 A KR 20220031248A KR 20230134220 A KR20230134220 A KR 20230134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ion
terminal
information
facility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2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종선
전희조
Original Assignee
(주)케이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웍스 filed Critical (주)케이웍스
Priority to KR1020220031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4220A/en
Publication of KR20230134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220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감염병예방법에 따르면 숙박업소, 식품접객업소, 운송수단, 역사, 백화점 등과 같이 일반 공중의 출입이 잦아서 공중위생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시설 또는 장소에서는 정기적으로 소독을 실시하게 되어 있고, 이러한 시설에 대한 소독은 일정한 자격을 가진 업체로서 관계 당국에 소독업 신고를 필한 소독업체가 실시해야 한다. 본 발명은, 공중위생 관련 시설 등에서 소독업체를 통한 소독을 실시함에 있어 소독의 실효성을 높이고, 소독업체 등이 법령을 위반하는 것을 방지하고, 행정처리의 효율성을 제고함은 물론 소독행정을 담당하는 지역보건소 등의 행정기관에서 관내 시설들에 대한 소독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염병 확산 등 유사시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독정보의 입력, 소독실시대장 관리 및 소독증명 발급 등을 전자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erforming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facilities or place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ublic hygiene due to frequent access by the general public, such as lodging establishments, food service establishments, transportation, stations, department stores, etc., must be regularly disinfected, and disinfection of these facilities is required. It must be carried out by a disinfection company that has certain qualifications and has registered as a disinfection business with the relevant authorities.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disinfection when disinfection is carried out by disinfection companies in public hygiene-related facilities, etc., prevents disinfection companies from violating laws and regulations, improves the efficiency of administrative processing, and also improves the efficiency of administrative processing. This is to enable administrative agencies such as local public health centers to check the disinfection status of facilities within the jurisdiction in real time, so that they can quickly respond to emergencies such as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inputting disinfection information, managing disinfection implementation records, and issuing disinfection certificates. It relates to a method of performing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that allows it to be done electronically.

Description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Method for issuing electronic sanitation control certificate}Method for issuing electronic sanitation control certificate}

본 발명은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감염병예방법에 따르면 숙박업소, 식품접객업소, 운송수단, 역사, 백화점 등과 같이 일반 공중의 출입이 잦아서 공중위생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시설 또는 장소에서는 정기적으로 소독을 실시하게 되어 있고, 이러한 시설에 대한 소독은 일정한 자격을 가진 업체로서 관계 당국에 소독업 신고를 필한 소독업체가 실시해야 한다. 본 발명은, 공중위생 관련 시설 등에서 소독업체를 통한 소독을 실시함에 있어 소독의 실효성을 높이고, 소독업체 등이 법령을 위반하는 것을 방지하고, 행정처리의 효율성을 제고함은 물론 소독행정을 담당하는 지역보건소 등의 행정기관에서 관내 시설들에 대한 소독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염병 확산 등 유사시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독정보의 입력, 소독실시대장 관리 및 소독증명 발급 등을 전자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erforming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facilities or place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ublic hygiene due to frequent access by the general public, such as lodging establishments, food service establishments, transportation, stations, department stores, etc., must be regularly disinfected, and disinfection of these facilities is required. It must be carried out by a disinfection company that has certain qualifications and has registered as a disinfection business with the relevant authorities.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disinfection when disinfection is carried out by disinfection companies in public hygiene-related facilities, etc., prevents disinfection companies from violating laws and regulations, improves the efficiency of administrative processing, and also improves the efficiency of administrative processing. This is to enable administrative agencies such as local public health centers to check the disinfection status of facilities within the jurisdiction in real time, so that they can quickly respond to emergencies such as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inputting disinfection information, managing disinfection implementation records, and issuing disinfection certificates. It relates to a method of performing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that allows it to be done electronically.

감염병의 발생 및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다양한 예방조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국가는 감염병의 예방조치에 관한 사항을 법령으로 정해놓고 있으며,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공중위생 관련 시설의 관리자 등에 대하여 감염병 예방조치와 관련된 각종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이러한 감염병 예방조치로는 관할 지역에 대한 교통을 차단하거나, 집회나 집합을 제한 또는 금지하거나, 감염병 전파의 위험성이 있는 장소 또는 시설에 출입자 명단을 작성하고, 마스크를 착용하게 하는 등 방역지침을 준수하게 하거나, 버스·열차·선박·항공기 등 감염병 전파가 우려되는 운송수단의 이용자에 대하여 마스크 착용 등을 준수하게 하는 것 등이 있는데, 이와 더불어 숙박업소나 식품접객업소 등 공중위생에 관계있는 시설 또는 장소에 대한 소독이나 그 밖에 필요한 조치를 명하도록 하기도 한다.Various preventive measures are necessary to prevent the occurrence and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ccordingly, the state has established by law matters related to preventive measures against infectious diseases, and various obligations related to preventive measures against infectious diseases are imposed on the state,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managers of public hygiene-related facilities. Thes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measures include blocking traffic to the jurisdictional area, restricting or prohibiting gatherings or gatherings, creating a list of people entering places or facilities with a risk of spreading infectious diseases, and complying with quarantine guidelines such as requiring people to wear masks. This includes requiring users of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buses, trains, ships, and airplanes where infectious diseases are likely to spread to wear masks, etc. In addition, facilities or places related to public health, such as lodging establishments or food service establishments, etc. Disinfection or other necessary measures may be ordered.

그중에서도 특히 숙박업소나 식품접객업소 등 공중위생에 관계있는 시설 또는 장소에 대한 소독은 감염병이 창궐하는 시기가 아니더라도 평상시에도 철저하게 정기적으로 실시하도록 의무를 부과하고 있는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약칭 : 감염병예방법) 제51조 제1항에 의하면, 시·도지사나 시장·군수·구청장은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청소나 소독을 실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조 제3항에 의하면 여러 사람이 거주하거나 이용하는 시설 등을 관리·운영하는 자도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감염병 예방에 필요한 소독을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시설은 숙박업소, 관광숙박업소, 식품접객업소, 비행기 기차 등 대중교통용 운송수단, 여객운송 역사, 백화점, 전통시장, 병원, 집단급식소 등이다.Among them,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Act imposes an obligation to thoroughly and regularly disinfect facilities or places related to public hygiene, such as lodging establishments or food service establishments, even during normal times, even when infectious diseases are prevalent. (Abbreviated nam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According to Article 51, Paragraph 1, it is stipulated that city/provincial governors or mayors/county/district heads must carry out cleaning or disinfection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and according to Paragraph 3 of the same Article, multiple people It is stipulated that persons who manage and operate facilities where people reside or use facilities, etc., must also carry out disinfection necessary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as prescribed by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se facilities include lodging establishments, tourist accommodation establishments, food service establishments,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airplanes and trains, passenger transport stations, department stores, traditional markets, hospitals, and communal cafeterias.

그리고 감염병예방법 제51조 제4항에 의하면 소독을 하여야 하는 시설의 관리·운영자는 소독업의 신고를 한 자에게 소독하게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또한 감염병예방법 제54조에 의하면, 소독업자는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기준과 방법에 따라 소독하여야 하며, 소독업자가 소독을 한 경우에는 그 소독에 관한 사항을 기록·보존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소독업자는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기준과 방법에 따라 소독하여야 하고, 이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과 방법 및 횟수 등은 감염병예방법 시행규칙 제40조와 관련한 별표 5, 별표 6 및 별표 7 등에 상세하게 규정되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rticle 51, Paragraph 4 of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the manager/operator of a facility that requires disinfection must have the person who reported the disinfection business do the disinfection. Also, according to Article 54 of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the disinfection business is subject to health and welfare. It stipulates that disinfection must be done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s and methods prescribed by the Ministerial Ordinance, and if disinfection is performed by a disinfection service provider, the matters related to the disinfection must be recorded and preserved. In addition, disinfection operators must disinfect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s and methods prescribed by the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specific standards, methods, and frequency regarding this are stipulated in detail in Table 5, Table 6, and Table 7 in relation to Article 40 of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there is.

그러나 감염병의 예방을 위하여 정교하게 정해진 이러한 감염병예방법의 규정은 현실상의 어려움 때문에 현장에서 지켜지기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감염병예방법에서 소독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방법 및 횟수 등을 정해놓았는데, 이를 충실하게 지키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철저하게 소독을 실시해야 한다. 그러나, 숙박업소, 식품접객업소 등과 같이 소독을 실시해야 하는 업소의 입장에서는 소독에 따른 영업시간 단축이나 매출 감소, 비용부담 또는 이용객의 불편으로 인한 불만 발생 등의 문제로 충실하게 소독을 실시하려는 의지가 부족하고 이를 부담으로 인식하다 보니 될 수 있으면 안 하려 한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그리고, 시설 또는 업소의 의뢰를 받아 대가를 받고 소독을 실시해주는 소독업체 입장에서는 시설 또는 업소를 고객으로 하기 때문에 시설 또는 업소의 장이 철저한 소독을 해주기 보다는, 가급적 신속하게, 영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소독해주기를 원하는 경우, 소독사업을 수주해서 수행하는, 계약상 을의 위치에 있는 소독업체의 입장에서 이를 안 들어 주기가 어렵다는 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소독작업이 형식적으로 그치는 경우가 많이 있어왔다. 심지어는 소독업체와 시설 또는 업소의 장이 암묵적인 합의하에 소독을 안하고도 마치 소독을 수행한 것처럼 소독증명서를 발급하는 등의 부정한 시도도 있어왔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gulations of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which are elaborately established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are often not followed in the field due to practical difficulties. For example,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sets out specific standards, methods, and frequency for disinfection, and in order to faithfully follow these, disinfection must be conducted thoroughly over sufficient time.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businesses that need to conduct disinfection, such as lodging establishments and food service establishments, they are unwilling to faithfully carry out disinfection due to problems such as shortened business hours, decreased sales, cost burden, or complaints due to inconvenience to users due to disinfec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re is a shortage and people perceive this as a burden, so they try not to do it if possible. Also, from the perspective of a disinfection company that receives a request from a facility or business and performs disinfection in exchange for a fee, since the facility or business is its customer, rather than having the head of the facility or business perform thorough disinfection, it is done as quickly as possible and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business. When a company wants to properly disinfect, it has been difficult for the disinfection company, which is in a contractual position to receive and carry out the disinfection project, not to comply with this request. Therefore,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disinfection work has ended in a formality. There have even been fraudulent attempts, such as issuing disinfection certificates as if disinfection had been performed even though the disinfection company and the head of the facility or business did not disinfect under a tacit agreement.

한편, 소독업자가 소독을 의뢰받은 시설에 대한 소독작업을 수행하였을 때에는 감염병예방법에 정하는 바에 따라 소정 서식의 소독실시대장에 소독에 관한 사항을 기록하고 이를 2년 동안 보존하여야 한다. 그리고 소독에 관한 사항을 기록하지 않거나 보존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기록하게 되는 경우 감염법예방법에 의하여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에 처하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소독의 기준과 방법에 따르지 아니하고 소독을 실시하거나 소독실시 사항을 기록ㆍ보존하지 아니한 경우 영업정지 등의 행정처분도 가해지게 된다. 그러나, 소독업체들은 대부분 영세업체여서 행정인력이나 행정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행정처리에 미숙하고, 이로 인하여 소독실시대장을 유지하고 보존하는데 소홀한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경영난 등으로 폐업하는 경우 보존되어야 할 소독실시대장이 유실되어 소독에 대한 기록을 찾기가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가뜩이나 영세한 소독업체들이 행정처리 미숙으로 인하여 과태료 처분을 받아야 될 처지가 되기도 한다.Meanwhile, when a disinfection contractor performs disinfection work on a facility for which disinfection has been requested, he/she must record the details of disinfection in the disinfection practice record in a prescribed form and preserve it for two years in accordance with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In addition, if matters related to disinfection are not recorded, preserved, or recorded falsely, a fine of up to 10 million won will be imposed under the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Act. In addition, if disinfec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mplying with the standards and methods of disinfection, or if the details of disinfection are not recorded or preserved, administrative measures such as business suspension will be imposed. However, most disinfection companies are small businesses and lack administrative manpower and administrative power, so they are unskilled in administrative processing. As a result, not only are they often negligent in maintaining and preserving disinfection practice records, but also in case of business closure due to business difficulties, disinfection that should be preserved. There are cases where the implementation ledger is lost, making it difficult to find records of disinfection. As a result, small disinfection companies may be subject to fines due to poor administrative processing.

또한, 감염병예방법의 규정에 의하면, 행정관청은 소속 공무원으로 하여금 소독업자에게 소독의 실시에 관한 관계 서류의 제출을 요구하게 하거나 검사 또는 질문을 하게 할 수 있는데, 이 규정에 따라 지역담당보건소는 소독업체의 소독실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소독실시대장이나 소독증명서를 요청하게 되며, 소독업체는 지역담당보건소에 소독실시대장이나 발급된 소독증명서를 제출하고, 지역담당보건소는 이들을 취합하여 관내 공중위생 관련 업체들에 대한 소독현황을 파악하게 된다. 그러나, 수기로 작성되어 제출되는 소독실시대장이나 소독증명서로부터 관내 공중위생 관련 시설 등에 대한 모든 소독현황을 파악하는 일은 매우 어렵고 힘든 작업이어서 소독실시현황이 제대로 파악되기가 어렵고, 실시간 현황파악은 엄두도 못내는 불가능한 영역에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visions of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administrative offices may require public officials to request disinfection companies to submit document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disinfection, or to inspect or ask questions. According to these regulations, local public health centers are responsible for disinfec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status of the company's disinfection practice, a disinfection practice report or disinfection certificate is requested. The disinfection company submits the disinfection practice report or issued disinfection certificate to the local public health center, and the local public health center collects them and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public hygiene in the area. The disinfection status of companies will be identified.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and difficult to determine the status of all disinfections for public hygiene-related facilities in the district from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records or disinfection certificates that are written and submitted by hand, so it is difficult to properly determine the status of disinfection implementation, and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tatus in real time. The situation is in the realm of the impossibl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소독업체들이 감염병예방법에서 정한 소독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방법 등에 따라 의뢰받은 시설에 대한 소독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소독업무 수행에 있어서 소독증명서의 발급이나 소독실시대장의 기록 및 보존 등 관련 행정처리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생성되는 기록물이 안전하게 보관되고, 소독관련 행정기관의 입장에서는 관내 공중위생 관련 업체들에 대한 소독현황을 손쉽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enables disinfection companies to faithfully perform disinfection of requested facilities according to the specific standards and methods for disinfection set forth in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and performs disinfection in performing disinfection tasks. Not only can related administrative processes, such as issuance of certificates or recording and preservation of disinfection implementation records, be carried out quickly and conveniently, but the records generated are stored safely, and from the perspective of disinfection-related administrative agencies, the disinfection status of public hygiene-related companies in the jurisdiction can be carried out quickly and convenient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of performing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s that allows for easy and quick identification.

이뿐만 아니라, 소독증명서 등의 위변조나 오남용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독행정의 신뢰성을 제고하며, 공중위생 시설의 이용자들이 소독내용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신들이 이용하는 시설이 얼마나 청결한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수기로 된 소독증명서나 소독실시대장 등의 증명서 대신 전자문서로 교환하도록 함으로써, 소독행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관내 공중위생 관련 업체들에 대한 소독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염병 확산 등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mproves the reliability of disinfection administration by preventing forgery, falsification, or misuse of disinfection certificates, etc., and allows users of public sanitation facilities to easily check the contents of disinfection, so that they can directly check how clean the facilities they use are. In addition, by allowing the exchange of electronic documents instead of handwritten disinfection certificates or certificates such as disinfection performance records,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disinfection administration can be reduced, and the disinfection status of public sanitation-related companies in the area can be monitor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of performing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s that allows quick response to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by enabling real-time identifica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이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리서버, 제1단말기, 제2단말기, 제3단말기 및 QR표식을 포함하는 전자소독증명 관리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으로서, 상기 관리서버는 소독이 수행되어야 하는 시설에 대한 식별정보 및 상기 시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시설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시설에 대한 소독을 수행하는 소독수행자의 단말기이며,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시설을 관리하는 시설관리자의 단말기이며, 상기 제3단말기는 상기 시설이 소재한 지역에 대한 소독행정을 관리하는 행정기관의 단말기이며, 상기 QR표식은 QR코드가 인쇄된 표식으로서 상기 행정기관 또는 상기 소독수행자에 의하여 상기 시설에 제공되는 표식이며, 상기 제1단말기가,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1단말기가 전송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 중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있는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포함된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리스트를 상기 제1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리스트를 제시한 후 상기 리스트 중에서 소독을 수행할 대상시설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대상시설이 선택된 일시를 시작일시로 하여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식별정보와 상기 시작일시가 포함된 소독시작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소독시작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소독내용을 입력받은 후 상기 소독내용이 포함된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2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완료 메시지에 대한 확인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확인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대상시설에 제공된 상기 QR표식에 인쇄된 QR코드를 촬영하도록 요구한 후 상기 QR코드가 촬영되면, 상기 QR코드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QR코드가 촬영된 일시를 종료일시로 하는 단계;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performing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performed by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management server, a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a third terminal, and a QR mark,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has facility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where disinfection is to be performed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he first terminal is a terminal of a disinfection practitioner who performs disinfection of the facility, and the second terminal is It is a terminal of a facility manager who manages the facility, and the third terminal is a terminal of an administrative agency that manages disinfection administration for the area where the facility is located. The QR mark is a mark on which a QR code is printed, and the third terminal is a terminal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or the It is a mark provided to the facility by a disinfection worker, and the first terminal transmits 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The management server generates a list containing facility information about facilitie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terminal among the facilities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first terminal, and then sends the list to the first terminal. Transferring to; A step of the first terminal presenting the list and then selecting a target facility for disinfection from the list; When the first terminal generates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target facility and the start date and time using the selected date and time as the start date and time for the target facility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ment server, the management server performs the disinfection. Storing start information: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disinfection details for the target facility, generating a completion message containing the disinfection details,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second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receiving confirmation information for the completion message and then transmitting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When the first terminal requests to photograph the QR code printed on the QR mark provided at the target facility and the QR code is photographed, the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is identified, and the QR code is photographed. Setting the date and time as the end date and time;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식별정보, 상기 확인정보, 상기 소독내용, 상기 코드정보 및 상기 종료일시가 포함된 소독완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소독시작 정보와 상기 소독완료 정보가 포함된 전자소독대장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3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자소독대장에 대한 전송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전자소독대장을 상기 제3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generating, by the first terminal,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target facility,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the disinfection contents, the code information, and the end date and time, and transmitting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generating and storing, by the management server, an electronic disinfection ledger containing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and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And a step of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ting the electronic disinfection ledger to the third terminal when there is 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electronic disinfection ledger from the third terminal. It is desirable to do so.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소독시작 정보 및 상기 소독완료 정보가 포함된 전자소독증명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자소독증명에 대한 전송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전자소독증명을 상기 제2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the steps of generating and storing, by the management server,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containing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and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And a step of transmitting, by the management server,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to the second terminal when there is 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from the second terminal. It is also desirable to do so.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상기 소독시작 정보 및 상기 소독완료 정보에는 상기 제1단말기의 위치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상기 소독시작 정보 또는 상기 소독완료 정보를 전송받는 경우로서 상기 소독시작 정보 또는 상기 소독완료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상기 대상시설의 위치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소독시작 정보 또는 상기 소독완료 정보에 오류가 있다는 메시지와 함께 상기 소독시작 정보 또는 상기 소독완료 정보의 재전송을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at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and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first terminal to the management server further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first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In the case where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or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erminal 1,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included in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or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facility, the first terminal Requesting retransmission of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or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along with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or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to one terminal; A method of performing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further comprising: It is also desirable to do so.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제1단말기에 전송하는 상기 확인정보에는 상기 제2단말기의 위치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상기 확인정보를 전송받는 경우로서 상기 확인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상기 대상시설의 위치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제2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확인정보에 오류가 있다는 메시지와 함께 상기 확인정보의 재전송을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further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first terminal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In the case of receiving confirmation information,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included in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facility, the confirmation is accompanied by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for the second terminal. It is also desirable to use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performance method that further includes: a step of requesting retransmission of information.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대상시설의 이용자들이 소지하는 단말기인 제4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단말기에서 상기 QR코드가 촬영되는 경우 상기 제4단말기가, 상기 코드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소독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4단말기로부터 상기 소독정보를 요청받은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시설 중 상기 코드정보에 대응되는 시설에 대한 소독정보를 상기 제4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소독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제4단말기가, 상기 소독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ourth terminal, which is a terminal possessed by users of the target facility, and when the QR code is photographed at the fourth terminal, the fourth terminal generates the code information. transmitting to the management server to request disinfection information for the target facility; The management server, which has received a request for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from the fourth terminal, transmits disinfection information about a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code information among the facilities to the fourth terminal; and displaying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by the fourth terminal, which has received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제4단말기가 상기 관리서버에 대하여 상기 소독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드정보에 상기 제4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제4단말기로부터 상기 소독정보를 요청받은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4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상기 대상시설의 위치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코드정보는 상기 제4단말기가 위치한 곳에 있는 시설에 대한 코드정보가 아니라는 오류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when the fourth terminal requests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e code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ourth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ment server. , the management server, which has received a request for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from the fourth terminal,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ourth terminal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facility, the code information is sent to the facility where the fourth terminal is located. It is also desirable to use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an error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ode information is not for the information.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관리서버가 생성하여 상기 제2단말기에 전송하는 상기 전자소독증명에는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위치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소독증명을 전송받은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전자소독증명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로서 상기 전자소독증명을 디스플레이 하는 상기 제2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위치정보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전자소독증명은 현재 위치한 시설에 대한 소독증명이 아니라는 메시지를 같이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e feature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at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generated by the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facility, and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is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In the case where the received second terminal displays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isplaying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target facility,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is currently located at the location. It is also desirable to use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method that is characterized by showing a message that it is not a disinfection certification for the facilit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독업체의 소독수행자가, 소독이 수행되어야 하는 대상시설을 방문하여 소독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대상시설에 대한 시설정보를 입력하도록 하였고, 그 정보입력을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되도록 소독수행자가 소지하는 제1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선택하도록 하였다. 즉, 제1단말기가 자신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소독이 수행되어야 하는 대상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포함된 리스트를 관리서버로부터 불러오고 소독업체의 소독수행자는 리스트 중에서 대상시설을 선택하기만 하면 되므로 소독수행자가 소독업무 수행과 관련한 정보입력 등의 행정처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een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a disinfection operator from a disinfection company to visit the target facility where disinfection is to be performed and enter facility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facility before performing disinfection work, without entering the information one by one. To avoid having to do so, the selection was mad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carried by the disinfectant. In other words, the first terminal retrieves a list containing facility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facility where disinfection is to be performed based on it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disinfection performer at the disinfection company only has to select the target facility from the list.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disinfection practitioners to conveniently perform administrative processing, such as in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disinfection work.

또한, 이같이 시설정보를 임의로 입력하지 않고 제1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나온 리스트 중에서 선택해야 하므로, 소독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대상시설에 직접 방문해야만 대상시설에 대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대상시설에 방문하지도 않고 제3의 장소에서 대상시설에 대한 소독작업을 수행한 것처럼 임의로 입력하는 편법적 행위나 부정행위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acility information must be selected from a lis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rather than arbitrarily inputting the facility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nter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facility only by directly visiting the target facility where disinfection work must be performed.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fundamentally blocking illegal or fraudulent actions such as arbitrarily entering information as if disinfection work was performed on the target facility at a third location without visiting the target facility.

본 발명은 또한, 소독수행자가 제1단말기에서 대상시설을 선택하면, 대상시설이 선택된 일시를 시작일시로 하여 대상시설에 대한 식별정보와 시작일시가 포함된 소독시작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였고, 소독이 종료되어 소독수행자가 제1단말기로 QR코드를 촬영하면, 제1단말기가 QR코드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식별하고, QR코드가 촬영된 일시를 종료일시로 하여 관리서버에 알려주기 때문에 소독의 시작 및 종료일시가 관리서버에 정확하게 기록된다. 따라서, 실제 소독이 실시된 시간을 정확하게 기록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독업체가 관련 규정에 따라 소독작업을 제대로 이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서버에 저장된 소독시간(시작시간과 종료시간 사이의 차이)을 통하여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독업체로 하여금 소독작업을 충실하게 이행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뿐만 아니라 이렇게 자동으로 기록/저장되는 시작일시와 종료일시가 소독증명서 및 소독실시대장에 자동으로 기록되므로 소독업체에서 소독관련 행정처리에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isinfection performer selects a target facility in the first terminal,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art date and time for the target facility is set as the start date and time when the target facility is selected, and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stored. When disinfection is completed and the disinfectant performs a photo of the QR code with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identifies the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and notifies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date and time the QR code was captured as the end date. Because of the cycle, the start and end dates of disinfection are accurately recorded on the management server. Therefore, the time when actual disinfection was carried out can be accurately recorded and stored. Accordingly, in determining whether the disinfection company has properly performed disinfection work in accordance with the relevant regulations, the disinfection time (difference between the start time and end time) stored on the server can be stored. ) can be found out. Therefore, it has the effect of forcing the disinfection company to faithfully carry out the disinfection work. In addition, the start date and end date that are automatically recorded/saved in this way are automatically recorded in the disinfection certificate and disinfection performance ledger, which has the effect of helping disinfection companies save time and costs in administrative processing related to disinfection.

본 발명은 또한, 소독수행자가 소독작업을 완료한 후 대상시설에 대한 소독종류 및 사용된 약품 등과 같은 소독내용을 제1단말기에 입력하는 경우, 제1단말기는 소독내용이 포함된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대상시설을 관리하는 시설관리자의 단말기인 제2단말기에 전송하면, 제2단말기에서 시설관리자로부터 완료 메시지에 대한 확인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제2단말기는 입력받은 확인정보를 제1단말기에 전송하며, 제1단말기가 확인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대상시설에 제공된 QR표식에 인쇄된 QR코드를 촬영받아 소독완료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에 전송하기 때문에 소독내용에 대한 시설관리자의 확인이 전자적으로 이루어져서 편리성이 제고될 뿐만 아니라, 소독작업이 종료된 후에 시설관리자로부터 검수를 받고 그 기록을 전자적으로 남기는 것이 되므로, 소독작업의 충실성과 실효성이 제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at, when the disinfection performer completes the disinfection work and inputs disinfection details such as the type of disinfection and used medicine for the target facility into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generates a completion message containing the disinfection details. This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which is the terminal of the facility manager who manages the target facility. When the second terminal receives confirmation information for the completion message from the facility manager, the second terminal transmits the received confirm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 When the first terminal receives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it takes a photo of the QR code printed on the QR mark provided at the target facility, generates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ment server, so it is convenient because the facility manager's confirmation of the disinfection contents is done electronically. Not only is the quality improved, but the fide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disinfection work can be improved since it is inspected by the facility manager after the disinfection work is completed and the record is left electronically.

또한, 소독수행자가 시설관리자로부터 완료 메시지에 대한 확인정보를 전송받는 경우 QR코드를 촬영하면, 제1단말기가, 대상시설에 대한 식별정보, 확인정보, 소독내용, 코드정보 및 종료일시가 포함된 소독완료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관리서버는 소독시작 정보와 소독완료 정보가 포함된 전자소독대장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법령에서 정한 소독실시대장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효과가 있어 소독업체의 행정인력을 절감하고 행정처리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어 행정력이 부족한 영세 소독업체의 경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infection performer receives confi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completion message from the facility manager, when the QR code is scanned, the first terminal display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target facility, confirmation information, disinfection details, code information, and end date and tim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management server automatically creates and stores an electronic disinfection ledger containing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and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which has the effect of automatically creating a disinfection actual ledger specified in the law. It can reduce administrative manpower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administrative processing, which has the effect of helping the management of small disinfection companies that lack administrative power.

또한 관리서버는, 제3단말기로부터 전자소독대장에 대한 전송요청이 있는 경우 전자소독대장을 제3단말기에 전송하기 때문에 소독행정을 관장하는 지역담당 보건소 등에서는 관내 공중위생시설에 대한 소독실시 현황을 수작업으로 파악하기 위한 행정력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내 공중위생시설에 대한 소독실시 현황을 언제든지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서 전염병 확산 등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electronic disinfection ledger to the third terminal when there is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electronic disinfection ledger from the third terminal, so the local public health center in charge of disinfection administration reports the status of disinfection implementation for public sanitation facilities in the jurisdiction. Not only can it save administrative power to check manually, but it also has the effect of quickly responding to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by being able to check the disinfection status of public sanitation facilities in the area in real time at any time.

또한 관리서버는, 소독시작 정보 및 소독완료 정보가 포함된 전자소독증명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제2단말기로부터 전자소독증명에 대한 전송요청이 있는 경우 전자소독증명을 제2단말기에 전송하기 때문에 시설관리자에 대하여 소독증명서를 별도로 교부할 필요가 없어 행정처리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설관리자 입장에서는, 소독증명서 등이 분실되더라도 언제든지 편리하게 재교부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generates and stores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containing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and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to the second terminal when there is 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from the second terminal.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issue disinfection certificates to managers, which not only improves the efficiency of administrative processing, but also allows facility managers to conveniently reissue disinfection certificates at any time even if they are lost.

그리고, 제1단말기가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소독시작 정보 및 소독완료 정보에는 제1단말기의 위치정보가 더 포함되고, 관리서버가 제1단말기로부터 소독시작 정보 또는 소독완료 정보를 전송받는 경우로서 소독시작 정보 또는 소독완료 정보에 포함된 제1단말기의 위치정보가 대상시설의 위치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제1단말기에 대하여 소독시작 정보 또는 소독완료 정보에 오류가 있다는 메시지와 함께 소독시작 정보 또는 소독완료 정보의 재전송을 요구하기 때문에, 소독수행자가 소독을 미처 다 수행하지도 않고 제3의 장소로 이동하여 편법적 또는 부정한 방법으로 소독작업을 종결 처리하기 위해 소독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소독작업의 실효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도 거둘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and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to the management server further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disinfection occurs when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or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included in the start information or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facility,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or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terminal is sent along with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or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Because it requires retransmission of completion information,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isinfection performers from moving to a third location without completing disinfection and transmitting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to complete the disinfection process in an illegal or fraudulent mann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disinfection work.

이뿐만 아니라 제2단말기가 제1단말기에 전송하는 확인정보에는 제2단말기의 위치정보가 더 포함되며, 제1단말기가 제2단말기로부터 확인정보를 전송받는 경우로서 확인정보에 포함된 제2단말기의 위치정보가 대상시설의 위치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제2단말기에 대하여 확인정보에 오류가 있다는 메시지와 함께 확인정보의 재전송을 요구하기 때문에 시설관리자가 소독현장에서 직접 확인도 안한 상태에서 형식적으로 검수해 주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를 통하여 소독작업의 실효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further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when the first terminal receives confirm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included in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facility, the second terminal is requested to retransmit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along with a message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so the facility manager formally confirms it at the disinfection site without even directly confirming it.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inspection,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disinfection work.

그리고, 대상시설의 이용자들이 소지하는 단말기인 제4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들이 방문한 시설에 부착되어 있는 QR코드를 촬영하는 경우, 제4단말기가 코드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대상시설에 대한 소독정보를 요청하고, 제4단말기로부터 소독정보를 요청받은 관리서버가, 코드정보에 대응되는 시설에 대한 소독정보를 제4단말기에 전송하며, 관리서버로부터 소독정보를 전송받은 제4단말기가, 소독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공중위생 관련시설의 이용자들은 자신들이 이용하는 시설에 대한 소독상태를 통하여 시설의 위생 수준을 알 수 있게 되고, 시설관리자는 이를 통하여 자신의 시설에 대한 소독작업에 노력을 더욱 기울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users of the target facility use the fourth terminal, which is a terminal owned by users of the target facility, to take a photo of the QR code attached to the facility they visited, the fourth terminal transmits the cod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to provide disinfection information for the target facility. The management server, which has received a request for disinfection information from the fourth terminal, transmits disinfection information for the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code information to the fourth terminal, and the fourth terminal, which has received disinfection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Because it displays, users of public hygiene-related facilities can know the hygiene level of the facility through the disinfection status of the facility they use, and through this, facility managers can make more efforts to disinfect their facilities. There is a possible effect.

또한, 이같이 소독수행자가 대상시설에 대하여 발급한 QR표식은 소독정보를 조회해 볼 수 있는 디지털 표식이기 때문에 디지털소독증명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설관리자는 발급받은 QR표식을 이용자의 눈에 잘 띄는 적정한 곳에 부착해 놓고 확인요령 등을 게시해 놓으면, 대상시설의 청결상태를 홍보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QR tag issued by the disinfection practitioner to the target facility can serve as a digital disinfection certificate because it is a digital mark that allows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to be searched. Therefore, if the facility manager attaches the issued QR tag to an appropriate place where it is easily visible to users and posts confirmation instructions, it can serve as a means of promoting the cleanliness of the target facility.

또한, 제4단말기가 관리서버에 대하여 소독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코드정보에 제4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소독정보를 요청받은 관리서버는, 제4단말기의 위치정보가 대상시설의 위치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코드정보는 제4단말기가 위치한 곳에 있는 시설에 대한 코드정보가 아니라는 오류메시지를 전송하기 때문에 디지털 소독증명에 해당하는 QR코드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ourth terminal requests disinfection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e code information inclu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ourth terminal and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management server that has received the request for disinfection information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ourth terminal. If it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facility, an error message is sent that the code information is not code information for the facility where the fourth terminal is located, so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forgery and alteration of the QR code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disinfection certificate. There is.

그리고, 관리서버가 생성하여 제2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자소독증명에는 대상시설에 대한 위치정보가 포함되며, 관리서버로부터 전자소독증명을 전송받은 제2단말기가 전자소독증명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로서 전자소독증명을 디스플레이 하는 제2단말기의 위치정보가 대상시설에 대한 위치정보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전자소독증명은 현재 위치한 시설에 대한 소독증명이 아니라는 메시지를 같이 보여주기 때문에 시설관리자에 대하여 발급된 전자소독증명서에 대한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generated by the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facility, and when the second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from the management server displays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is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isplaying the certificate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target facility,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issued to the facility manager is displayed together with a message that it is not a disinfection certificate for the currently located facility.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certificates.

도 1은 종래 방법에 의한 소독증명 및 소독실시대장 생성 및 관리체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감염병예방법에 의한 소독증명서 서식이다.
도 3은 감염병예방법에 의한 소독실시대장 서식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수행되는 전자소독증명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QR표식의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이 수행되는 전자소독증명 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이 수행되는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hows a disinfection certification and disinfection implementation record gen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by a conventional method.
Figure 2 is a disinfection certificate format according to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Figure 3 is a disinfection implementation form according to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Figure 4 shows an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management system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Figure 5 shows an example of a QR mark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management system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Figure 7 shows the procedure in which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performa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e above-mentioned purpose and features become clear,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ready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and it is judg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provided. Decided to omit it.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but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so it is a simple term. We would like to make it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by the meaning of the term, not by its nam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have various additional embodiments, where specific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and related detailed descriptions are described.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o a specific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s.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may modify various elements of the embodiments, but do not limit the elements. For example, the above expressions do not limit the order and/or importance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The above expressions can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방법에 의한 소독증명 및 소독실시대장 생성 및 관리체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감염병예방법에 의한 소독증명서 서식이며, 도 3은 감염병예방법에 의한 소독실시대장 서식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숙박업소, 식품접객업소 등과 같은 공중위생 관련 시설의 시설관리자(20)가 자신이 관리하는 시설에 대하여, 법령의 규정에 따라 소독을 해야 하는 경우 감염병예방법의 규정에 의하여 행정관청에 신고한 소독업체(10)에 대하여 소독대행을 의뢰하게 된다(s11). 그리고 상기 소독업체(10)는 상기 시설관리자(2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시설에 대한 소독을 실시하게 되며(s12), 해당 시설에 대한 소독이 완료되면 도 2와 같이 법률에서 정한 서식에 따라 소독증명서를 발급해주게 된다(s13). 그리고 상기 소독업체(10)가 소독대행을 수행하고 소독증명서를 발급한 경우에는 그 내용을 도 3과 같은 소독실시대장에 기록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igure 1 shows a disinfection certification and disinfection implementation record gen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by a conventional method. Figure 2 is a disinfection certificate form according to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and Figure 3 is a disinfection implementation form according to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As shown in Figure 1, when a facility manager (20) of a public health-related facility such as an accommodation or food service establishment must disinfect the facilities he or she manages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law, administrative procedures ar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Disinfection service is requested from the disinfection company (10) that has been reported to the government office (s11). In addition, the disinfection company (10) will disinfect the facility at the request of the facility manager (20) (s12), and when disinfection of the facility is completed, disinfe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rm prescribed by law, as shown in Figure 2. A certificate will be issued (s13). In addition, when the disinfection company (10) performs disinfection services and issues a disinfection certificate, the contents must be recorded and stored in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log as shown in Figure 3.

한편,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지역보건소(30)에서 관내 소독 실시현황 파악을 위하여 상기 소독업체(10)에 대하여 소독실시대장을 요청하게 되는데(s14), 상기 지역보건소(30)로부터 소독실시대장을 요청받은 상기 소독업체(10)는 상기 지역보건소(30)에 대하여 도 3과 같은 소독실시대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소독실시대장을 제공받은 상기 지역보건소(30)에서는 여러 군데의 소독업체(10)들로부터 제공받은 소독실시대장을 취합하여 관내 공중위생 관련 시설들에 대한 소독실시현황을 파악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은 모두 도 3과 같은 수기 문서에 의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증명서 발급이나 대장관리를 하는 소독업체(10)들은 이와 관련되는 행정처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보건소(30)에서도 관내 공중위생 관련 시설들에 대한 소독실시현황을 파악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하기 때문에 적시에 현황파악이 안되고, 실시간 현황파악은 엄두조차 내지 못하는 실정이다.Meanwhile, the local public health center (30) in charge of the area requests a disinfection practice record from the disinfection company (10) in order to determine the status of disinfection practice in the area (s14). The disinfection practice record is received from the local public health center (30). The disinfection company 10 that has been requested provides a disinfection implementation plan as shown in FIG. 3 to the local public health center 30. In addition, the local public health center (30), which has received the disinfection practice record, collects the disinfection practice record provided by several disinfection companies (10) and determines the status of disinfection practice for public hygiene-related facilities in the area. Since these series of processes are all performed using handwritten documents as shown in FIG. 3, not only are disinfection companies (10) that issue certificates or manage ledgers experiencing many difficulties in related administrative processing, but also local public health centers (30) Since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understand the status of disinfection implementation of public hygiene-related facilities in the district, it is not possible to check the status in a timely manner, and it is not even possible to understand the status in real time.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전자소독증명 서비스를 수행하는 전자소독증명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관리서버(600), 제1단말기(100), 제2단말기(200), 제3단말기(300) 및 QR표식(500)을 포함하는 전자소독증명 관리시스템(50)에 의하여 수행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management system that performs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created to solve these problems, is shown in FIG. 4. As shown in Figure 4, this embodiment is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management server 600, a first terminal 100, a second terminal 200, a third terminal 300, and a QR mark 500. It is desirable to use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method performed by (50).

여기서 상기 관리서버(600)는 소독이 수행되어야 하는 시설에 대한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시설정보를 가지고 있도록 하고, 인터넷(700)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에 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시설’이라 함은 숙박업소나 식품접객업소 등 감염병예방법에서 “신고된 소독업체를 통하여 소독을 실시해야 하는” 공중위생 관련 업소를 말하며, 상기 시설에 대한 식별정보는 각각의 시설마다 유일하게 부여되는 고유의 정보로서 숫자 또는 문자 등으로 이루어진, 일정한 체계를 가진 코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관리서버(600), 상기 제1단말기(100), 상기 제2단말기(200) 및 상기 제3단말기(300)는 상기 식별정보를 통하여 상기 시설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시설정보는 해당 시설의 주소 등과 같은 지리적 위치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지리적 위치정보와 함께 GPS 정보 등도 같이 저장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지리적 위치정보를 GPS 값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시설정보에는 업소의 명칭이나 업태, 규모, 시설관리자 및 연락전화번호나 이메일주소 등도 같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상기 소독증명서나 도 3에 도시된 상기 소독실시대장에 있는 항목들은 모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desirable for the management server 600 to have facility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where disinfection is to be performed, and to be able to connect to a network so that it can be accessed via the Internet 700. . Here, ‘facility’ refers to public hygiene-related businesses, such as lodging establishments or food service establishments, that “must be disinfected through a notified disinfection company” under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above facilities is uniquely given to each facility. It is desirable to use a code with a certain system consisting of numbers or letters as unique information. Therefore, the management server 600, the first terminal 100,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third terminal 3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able to distinguish the facility throug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It is desirable for the facility information to includ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address of the facility. It is also desirable to store GPS information along with th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vert th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into GPS values. do.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include the name, business type, size, facility manager, and contact phone number or email address of the facility in the facility information. In particular, it is desirable to include all the items in the disinfection certificate shown in FIG. 2 or the disinfection implementation record shown in FIG. 3.

상기 제1단말기(100)는 상기 시설에 대한 소독을 수행하는 소독수행자의 단말기를 말한다. 상기 소독수행자는 감염병예방법에 의한 신고된 소독업체(10)에 소속된 사람으로서, 소독을 하고자 하는 대상시설에 대한 소독을 수행하는 책임자를 말하는데, 상기 소독업체(10)의 대표나 직원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단말기(100)는 상기 소독수행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마트폰이나 상기 스마트패드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terminal 100 refers to the terminal of the disinfection worker who performs disinfection of the facility. The disinfection performer refers to a person belonging to a disinfection company (10) notified under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and is responsible for disinfecting the target facility for disinfection, and may be a representative or employee of the disinfection company (10). there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erminal 100 is a smartphone or smart pad carried by the disinfectant. It is desirable for the smartphone or the smart pad to include an application program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2단말기(200)는 상기 시설을 관리하는 시설관리자의 단말기를 말하며 스마트폰이나 스마트기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숙박업소나 식품접객업소 등 감염병예방법에서 “신고된 소독업체를 통하여 소독을 실시해야 하는” 공중위생 관련 업소를 말하며, 상기 시설관리자는 시설의 대표나 지배인 또는 위생관리 담당 부서장 등과 같이 해당 시설에 대한 소독업무를 책임지는 사람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제2단말기(200)를 스마트폰이나 스마트기기로 하는 경우 상기 제2단말기(200)의 전화번호 또는 SNS연락처가 상기 시설정보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terminal 200 refers to the terminal of the facility manager who manages the facility and is preferably a smartphone or smart device. As mentioned above, the above facilities refer to public hygiene-related businesses, such as lodging establishments and food service establishments, that “must be disinfected through a notified disinfection company” under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and the above facility manager is the representative, manager, or person in charge of hygiene management of the facility. Refers to a person responsible for disinfection of the facility, such as a department head. And when the second terminal 200 is a smartphone or smart device, it is desirable to include the phone number or SNS contact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200 in the facility information.

상기 제3단말기(300)는 상기 시설이 소재한 지역에 대한 소독행정을 관리하는 행정관청이나 지역보건소(30)의 단말기를 말한다. 상기 제3단말기(300)는 상기 행정관청이나 지역보건소(30)에 설치된 노트북이나 PC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담당자의 스마트기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3단말기(300)는 상기 관리서버(6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상기 행정관청이나 지역보건소(30)에서 상기 관리서버(600)에 접속할 수 있는 ID를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행정관청이나 지역보건소(30)의 이메일 주소를 통하여 상기 관리서버(600)와 통신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hird terminal 300 refers to a terminal of an administrative office or local public health center 30 that manages disinfection administration for the area where the facility is located. The third terminal 300 is preferably a laptop or PC installed in the administrative office or local public health center 30, but can also be a smart device of the person in charge. In addition, it is desirable for the third terminal 300 to be able to access the management server 600. To this end, the administrative office or local public health center 30 provides an ID that can access the management server 600. It is also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management server 600 through the email address of the administrative office or local public health center 30.

상기 QR표식(500)은 QR코드가 인쇄된 표식으로서 상기 행정기관 또는 상기 소독수행자에 의하여 상기 시설에 제공되는 표식이다. 상기 QR표식(500)은, 소독작업을 수행한 대상시설 중에서 입구나 현관 등 이용객의 눈에 잘 띄는 장소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는 상기 QR표식(500)의 상세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QR표식(500)은 해당 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잘 식별할 수 있는 크기의 패널(501)에 인쇄된 QR코드(510)와 안내문(52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QR코드(510)에는 상기 상기 QR코드를 나타내는 고유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코드정보에는 상기 고유식별코드 외에 다양한 정보가 더 들어가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소독정보서비스 사이트에 대한 인터넷 주소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서 해당 시설의 이용자들이 스마트폰으로 상기 QR코드(510)를 촬영하면 소독정보서비스 사이트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기타 소독업체에 대한 정보 등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QR mark 500 is a mark on which a QR code is printed and is provided to the facility by the administrative agency or the disinfection person. It is desirable that the QR mark 500 be attached to a place that is easily visible to users, such as the entrance or front door, among the target facilities where disinfection work has been performed. Figure 5 shows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QR mark 500. As shown in Figure 5, it is desirable that the QR mark 500 includes a QR code 510 and a notice 520 printed on the panel 501 of a size that can be easily identified by users using the facility. . It is desirable for the QR code 510 to include code information includ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representing the QR code, but the code information may contain various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For example, it includes Internet address information for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service site provided by the management server, so it is possible to have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service site appear when users of the facility scan the QR code 510 with a smartphone. Information on other disinfection companies may also be included.

상기 안내문(520)에는, 상기 QR표식(500)이 전자소독증명이라는 것을 안내하고, 이와 더불어 상기 QR코드(510)를 촬영했을 때 이 업소의 소독현황을 알 수 있다는 안내문구 등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소독업체의 로고나 상호(530)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용자들은 상기 소독업체의 로고나 상호(530)를 통하여 자기가 이용중인 시설이 신뢰성있는 소독업체에 소독을 의뢰하여 소독하고 있는 시설인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되므로 소독업체 입장에서는 자신들의 신뢰도 제고를 위하여 부단히 노력하게 되며, 소독업체에 소독을 위탁하는 시설의 입장에서는 신뢰도 높은 소독업체에 소독작업을 위탁하고자 하므로, 소독업체의 소독품질이나 신뢰성 또는 시설의 위생관련 인식이 전반적으로 상승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QR표식(500)은, 소독작업이 수행될 때마다 제공될 필요는 없으며, 소독업체로부터 최초의 소독작업이 수행될 때 또는 소독업체가 변경된 경우 제공받아 부착해 놓은 뒤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notice 520 informs that the QR mark 500 is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and also includes a notice that the disinfection status of this business can be known when the QR code 510 is photographed. It is desirable. In addition, it is also desirable to include the disinfection company's logo or name (530). Through the logo or name (530) of the disinfection company, users can find out whether the facility they are using is a facility that has been disinfected by requesting disinfection from a reliable disinfection company. Therefore, from the disinfection company's perspective, they are constantly working to improve their reliability. From the standpoint of facilities that entrust disinfection to a disinfection company, they want to entrust the disinfection work to a highly reliable disinfection company, which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disinfection quality or reliability of the disinfection company or the overall hygiene-related awareness of the facility. . The QR mark 500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every time disinfection work is performed, but is provided and attached when the first disinfection work is performed by a disinfection company or when the disinfection company is changed so that it can be used continuously. It is desirable.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을 포함하는 전자소독증명 관리시스템(50)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독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소독수행자는 소독작업을 수행할 대상시설에 도착하면, 상기 제1단말기(100)로 상기 관리서버(600)에 접속하여 주변에 있는 시설의 리스트를 조회한 후 상기 대상시설을 선택함으로써 소독시작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600)에 전송하며, 상기 소독수행자가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소독을 완료하면 상기 제1단말기(100)에 소독내용을 입력하여 시설관리자가 소지한 상기 제2단말기(200)에 완료메시지를 보내며, 상기 제2단말기(200)를 소지한 시설관리자가 확인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제2단말기(200)가 상기 제1단말기(100)에 대하여 확인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1단말기(100)가 확인정보를 전송받으면, 상기 소독수행자에 대하여 상기 QR코드(510)를 촬영도록 하여 상기 제1단말기(100)에서 상기 QR코드(510)가 촬영되면, 소독완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600)에 전송하는 등의 방법으로 전자소독증명을 발행하고 전자소독대장을 생성해내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과정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it by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management system 50 including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infection worker who performs disinfection work arrives at the target facility where disinfection work is to be performed, he or she accesses the management server 600 with the first terminal 100, checks the list of facilities in the vicinity, and then selects the target facility. By selecting,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600, and when the disinfection performer completes disinfection of the target facility, the disinfection details are entered into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facility manager possesses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A completion message is sent to the second terminal 200, and when the facility manager holding the second terminal 200 enters confirmation information, the second terminal 200 confirms the first terminal 100. When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the first terminal 100 receives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the disinfection person is asked to take a picture of the QR code 510, and the first terminal 100 takes a picture of the QR code 510. Once completed,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600, thereby issuing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and generating an electronic disinfection ledger. The detailed process fo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7.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이 수행되는 전자소독증명 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실시예는, 앞에서 살펴본 실시예에 의한 구성(도 4 참조)에 제4단말기(400)를 더 포함한 실시예인데, 상기 제4단말기(400)는 상기 대상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소지하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기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대상시설의 이용자들이 상기 대상시설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4단말기(400)로 상기 QR코드(510)를 촬영하게 되면 상기 대상시설의 소독현황이 상기 제4단말기(400)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는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Figure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management system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he embodiment of FIG. 6 is an embodiment that further includes a fourth terminal 400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ee FIG. 4). The fourth terminal 400 is an embodiment of the fourth terminal 400 possessed by users using the target facility. It is desirable to use a smartphone or smart device as the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rs of the target facility photograph the QR code 510 with the fourth terminal 400 in the process of using the target facility, the disinfection status of the target facility is displayed on the fourth terminal 400. It is desirable to display it. The rest is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so it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이 수행되는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수행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소독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소독수행자는 소독작업을 수행할 대상시설에 도착하면, 상기 제1단말기(100)로 상기 관리서버(600)에 접속하여 주변에 있는 소독대상 시설의 리스트를 조회한 후 상기 대상시설을 선택함으로써 소독시작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600)에 전송하게 된다. Figure 7 shows the procedure in which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performa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Hereinafter,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When the disinfection worker who performs disinfection work arrives at the target facility where disinfection work is to be performed, he or she accesses the management server 600 with the first terminal 100, checks the list of nearby disinfection target facilities, and then By selecting the target facility,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600.

즉, 소독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소독수행자는 소독작업을 수행할 대상시설에 도착한 후 상기 제1단말기(100)에서 소독수행자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면, 상기 제1단말기(100)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110)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단말기(100)로부터 위치정보를 전달받은 상기 관리서버(600)는, 상기 제1단말기(100)가 전송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소독대상 시설정보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있는 시설 중에서 상기 제1단말기(100)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있는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포함된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리스트를 상기 제1단말기(100)에 전송하는 단계(s120)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when the disinfectant performing disinfection work arrives at the target facility where disinfection work will be performed and operates the application dedicated to the disinfection worker on the first terminal 100, the first terminal 100 stores his/her location information. It is desirable to perform the step (s110) of transmitting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management server 600, which has received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100, uses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first terminal 100 to create its own disinfection target facility information database (not shown). To perform a step (s120) of generating a list containing facility information about facilitie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terminal 100 among the facilities in and then transmitting the list to the first terminal 100. It is desirable to do so.

그리고, 상기 리스트를 전송받은 상기 제1단말기(100)는, 상기 리스트를 상기 소독수행자가 알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s130)에 제시한 후, 상기 리스트 중에서 소독을 수행할 대상시설을 상기 소독수행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s140)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이 본 발명은 상기 소독수행자가 상기 제1단말기(100)에 상기 대상시설을 입력할 때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나타나는 리스트 중에서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소독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대상시설에 직접 방문해야만 대상시설에 대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대상시설에 방문하지도 않고 다른 장소에서 대상시설에 대한 소독작업을 수행한 것처럼 임의로 입력하는 편법적 행위 또는 부정행위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n, the first terminal 100, which has received the list, presents the list on the display screen s130 so that the disinfection practitioner can see it, and then selects the target facility to be disinfected from the list from the disinfection practitioner. It is desirable to perform the selection step (s140).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disinfection practitioner to select and input the target facility from the list that appear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when entering the target facility into the first terminal 100, so that the disinfection worker must directly visit the target facility where disinfection work must be performed. It is possible to input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Therefore,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undamentally blocking illegal or fraudulent acts of arbitrarily entering information as if disinfection work was performed on the target facility at another location without visiting the target facility.

상기 제1단말기(100)가 상기 리스트 중에서 소독을 수행할 대상시설을 상기 소독수행자로부터 선택받으면(s140), 상기 제1단말기(100)는 상기 대상시설이 선택된 일시(날짜 및 시간)를 시작일시로 하여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식별정보와 상기 시작일시가 포함된 소독시작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600)에 전송하고(s150), 상기 관리서버(600)는 상기 소독시작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60)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소독수행자가 소독을 시작한 일시는 상기 관리서버(600)에 자동으로 저장되고, 나중에 소독작업이 종료되면 종료일시 또한 전송받게 되므로 소독작업 수행시간이 정확하게 자동으로 산출되어 신뢰성있는 소독정보로 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first terminal 100 receives a selection from the disinfection performer of a target facility to be disinfected from the list (s140), the first terminal 100 selects the date and time (date and time) at which the target facility is selected. Generating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target facility and the start date and time and transmitting it to the management server 600 (s150), and the management server 600 storing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It is desirable to perform (s160). Accordingly, the date and time that the disinfection performer started disinfection is automatically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600, and later, when the disinfection operation is completed, the end date and time are also transmitted, so the disinfection operation time is accurately calculated automatically and reliable disinfection information is provided. It becomes possible.

이와 같은 과정(s110 ~ s160)을 거치게 되면 상기 소독수행자는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소독작업을 수행할 준비가 끝나게 되며, 상기 소독수행자는 상기 대상시설에서 수행할 소독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약품 등을 살포하며 소독작업을 진행하게 된다(s170). 그리고 소독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대상시설을 관리하는 시설관리자에게 검수를 의뢰하여 수행된 소독작업이 충실이 수행되었는지를 확인받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소독수행자가 상기 시설관리자와 직접 대면하여 종이서류에 사인을 받는다든가 또는 상기 제1단말기(100) 디스플레이창에 직접 사인을 받는 방법 등 대면접촉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단말기(100)에서 상기 시설관리자가 소지한 단말기인 상기 제2단말기(200)에 대하여 문자메시지 또는 SNS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받는 방식으로 확인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단말기(200)를 이용하여 확인을 받더라도 상기 제2단말기(200)에는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After going through this process (s110 to s160), the disinfection practitioner is ready to perform disinfection work on the target facility, and the disinfection practitioner sprays chemicals, etc.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disinfection to be performed in the target facility. and disinfection work is carried out (s170). And when the disinfection work is completed, the facility manager who manages the target facility is requested to inspect and confirm whether the disinfection work has been faithfully per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infection performer directly faces the facility manager and submits paper documents. Face-to-face contact methods, such as receiving an autograph or receiving an autograph directly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first terminal 100, are no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ation is received by sending a text message or SNS message from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second terminal 200, which is a terminal owned by the facility manager, and then receiving a response to the message. . Therefore, even if confirmation is received using the second terminal 200, a dedicated application is not required for the second terminal 200.

상기 소독수행자가 상기 시설관리자의 확인을 받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제1단말기(100)가,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소독내용을 상기 소독수행자로부터 입력받은 후(s180), 상기 제1단말기(100)는 상기 소독내용이 포함된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2단말기(200)에 전송하는 단계(s190)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완료 메시지를 전송받은 상기 제2단말기(200)는, 상기 완료 메시지에 대한 확인정보를 상기 시설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후 상기 확인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100)에 전송하는 단계(s200)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for the disinfection practitioner to receive confirmation from the facility manager, first, the first terminal 100 receives disinfection details for the target facility from the disinfection practitioner (s180), and then the first terminal 100 It is desirable to perform the step (s190) of generating a completion message containing the disinfection contents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which has received the completion message, receives confirmation information for the completion message from the facility manager and then transmits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100 (s200). It is desirable to have it done.

상기 제2단말기(200)로부터 상기 확인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제1단말기(100)는 소독완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600)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대상시설에 제공된 상기 QR표식(500)에 인쇄된 QR코드(510)를 촬영하도록 하여 상기 QR코드(510)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식별하여 이를 포함하는 소독완료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이 하면, 상기 s110 내지 s140 과정을 통하여 선택된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정보가 상기 코드정보와 연결되는 정보로 되어 상기 관리서버(600)로 전송되어 저장되므로, 향후 상기 QR코드(510)를 촬영하면 소독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된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시설의 이용자들이 상기 QR코드(510)를 촬영하면 상기 관리서버(600)에서 제공되는 소독정보 서비스 사이트에서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소독현황을 보여줄 수 있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관련 행정기관에서 공중위생 관련 점검을 나왔을 때 해당 대상시설에 대한 소독현황을 파악할 때 상기 QR코드(510)를 촬영하기만 하면 바로 파악할 수 있게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erminal 100, which has received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generates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ment server 600. To do so, first photograph the QR code 510 printed on the QR mark 500 provided at the target facility to identify the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510 and generat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ing this. It is desirable to do so. In this way, the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facility selected through the processes s110 to s140 becomes information linked to the code information and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600 and stored, so that when the QR code 510 is photographed in the future, it can be disinfecte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For example, when users of the target facility take a photo of the QR code 510, the disinfection status of the target facility can be displayed on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service site provided by the management server 600. In addition, when a public health-related inspection is conducted by a related administrative agency, the disinfection status of the target facility can be checked immediately by simply scanning the QR code (510).

이에 더하여 상기 QR표식(500)이 이전에 수행된 소독에서 이미 교부된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소독수행자가 상기 대상시설을 제대로 선택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도 된다. 즉, 상기 관리서버(600)에는 상기 소독수행자가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첫 번째 소독작업에서 상기 QR표식(500)을 제공하고, 상기 QR코드(510)가 촬영되어 식별된 코드정보로 소독완료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관리서버(600)에 전송하였을 것이고,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정보는 상기 코드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있을 것인데, 두 번째 이후의 소독작업에서는 상기 s110 내지 s140 과정을 통하여 선택된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코드정보가 대조되어 비교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대상시설이 잘못 선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f the QR mark 500 has already been issued in a previously performed disinfection, it also serves as a means to confirm whether the disinfection performer has correctly selected the target facility. That is, the disinfection performer provides the QR mark 500 in the first disinfection operation for the target facility to the management server 600, and the QR code 510 is photographed and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is provided with the identified code information. will be generated and then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600, and information on the target facility will be stored along with the code information. In the second and subsequent disinfection operations, the target facility selected through the s110 to s140 processes The information about and the code information can be contrasted and compared, thereby preventing the target facility from being selected incorrectly.

상기 제1단말기(100)가 상기 소독완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600)에 전송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단말기(200)로부터 상기 확인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제1단말기(100)는 먼저 상기 대상시설에 제공된 상기 QR표식(500)에 인쇄된 상기 QR코드(510)를 촬영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10). 즉, 상기 제1단말기(100)가 상기 제2단말기(200)로부터 상기 확인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제1단말기(100)에서 작동된 상기 소독수행자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QR표식(500)에 인쇄된 상기 QR코드(510)를 촬영하라는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제1단말기(100)에 포함된 카메라(미도시)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소독수행자에 의하여 상기 QR코드(510)가 촬영되면, 상기 제1단말기(100)는 상기 QR코드(510)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QR코드(510)가 촬영된 일시를 종료일시로 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이와 함께 상기 제1단말기(100)가,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식별정보, 상기 확인정보, 상기 소독내용, 상기 코드정보 및 상기 종료일시가 포함된 소독완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600)에 전송하는 단계(s230)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for the first terminal 100 to generate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management server 600, the first terminal 100, which has received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first It is desirable to request to photograph the QR code 510 printed on the QR mark 500 provided at the target facility (s210). That is, when the first terminal 100 receives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the disinfection practitioner-only application operated on the first terminal 100 is printed on the QR mark 500. The camera (not shown) included in the first terminal 100 is activated along with the message to photograph the QR code 510. And when the QR code 510 is photographed by the disinfectant, the first terminal 100 identifies the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510 and records the date and time when the QR code 510 was photographed. A step of setting the end date and time is performed, and 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100 provides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target facility,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the disinfection contents, the code information, and the end date and time. It is desirable to perform the step (s230)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o the management server 600.

그리고 상기 제1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소독완료 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관리서버(600)는, 상기 소독시작 정보와 상기 소독완료 정보가 포함된 전자소독대장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s240)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이 본 발명은 상기 소독수행자가 소지하는 상기 제1단말기(100)를 통하여 상기 소독시작 정보와 상기 소독완료 정보를 전송받아 자동으로 전자소독대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소독대장에는 소독내용과 함께 소독작업에 대한 시작일시와 종료일시가 실제 수행한 소독작업에 근거하여 신뢰성있는 데이터로 전송되어 저장되므로 상기 전자소독대장의 신뢰성을 제고하고, 이를 통하여 감염병예방법에 의한 소독업무의 충실성과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And the management server 600, which has received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100, performs a step (s240) of generating and storing an electronic disinfection ledger containing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and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It is desirable to do so.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generate an electronic disinfection ledger by receiving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and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terminal 100 possessed by the disinfection performer, and the electronic disinfection ledger contains disinfection contents and Together, the start date and end date for the disinfection work are transmitted and stored as reliable data based on the actual disinfection work performe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electronic disinfection ledger and thereby ensuring the fidelity and reliability of the disinfection work according to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It is possible to improve.

한편, 상기 관리서버(600)는, 소독행정을 주관하는 지역보건소 등의 행정기관에 있는 상기 제3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전자소독대장에 대한 전송요청이 있는 경우(s250) 상기 전자소독대장을 상기 제3단말기(300)에 전송하는 단계(s260)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전자소독대장은 스프레드 시트 파일이나 워드 파일 등과 같이 상기 지역보건소 등의 행정기관에서 원하는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같이 상기 지역보건소 등의 행정기관에서 원하는 즉시 상기 전자소독대장을 제공하기 때문에 행정기관에서는 관할 지역내 공중위생 관련 시설에 대한 소독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독현황 파악에 별도의 시간이나 인력을 투입할 필요가 없어서 행정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management server 600 sends the electronic disinfection ledger when there is 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electronic disinfection ledger from the third terminal 300 located in an administrative agency such as a local public health center in charge of disinfection administration (s250). It is desirable to perform the step (s260) of transmitting to the third terminal 300.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o provide the electronic disinfection ledger in a format desired by administrative agencies such as the local public health center, such as a spreadsheet file or Word fil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lectronic disinfection ledger as soon as desired by administrative agencies such as local public health centers, administrative agencies can not only determine the disinfection status of public hygiene-related facilities within the jurisdiction in real time, but also provide separate information on the disinfection status. Since there is no need to invest a lot of time or manpower, administrative costs can be greatly reduced.

본 발명은 또한 소독이 완료된 시설에 교부하는 소독증명서를 전자적으로 교부할 수 있는 수단도 제공할 수 있다. 감염병예방법에는 소독업체가 대상시설에 대하여 소독을 한 경우에는 도 2와 같은 소독증명서를 발급해야 한다고 되어 있다. 따라서 소독업체가 대상시설에 대하여 소독을 한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종이형태로 된 소독증명서를 발급할 수도 있지만, 이를 전자소독증명으로 대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종이형태로 된 소독증명서를 발급하였으나, 분실 등의 사유로 재발급하는 경우 이를 전자소독증명으로 발급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관리서버(600)는, 상기 소독시작 정보 및 상기 소독완료 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소독시작 정보 및 상기 소독완료 정보가 포함된 전자소독증명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전자소독증명에 대한 전송요청이 있는 경우(s280), 상기 전자소독증명을 상기 제2단말기(200)에 전송하는 단계(s280)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means for electronically issuing a disinfection certificate to a facility that has completed disinfection.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states that if a disinfection company disinfects the target facility, it must issue a disinfection certificate as shown in Figure 2. Therefore, if a disinfection company disinfects the target facility, it may issue a disinfection certificate in paper form as shown in Figure 2, but this can be replaced with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Additionally, if a disinfection certificate is issued in paper form, but is reissued due to loss or other reasons, it can be issued as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Therefore, when the management server 600 receives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and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and store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containing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and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When there is 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from the terminal 200 (s280),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to the second terminal 200 (s280).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소독수행자가 편법 또는 부당한 방법으로 소독시작 정보 또는 소독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소독수행자가 소독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대상시설에 가지 않고도 소독을 한 것처럼 하는 부정행위를 못하게 방지한다. 이는, 소독대상 시설의 시설관리자(업소의 사장 등)가 소독비용을 절감할 목적으로 상기 소독수행자에게 적은 비용만 지불하고 자신이 스스로 소독을 하겠다든가 하는 부당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소독수행자가 상기 대상시설에 방문하지 않고는 소독시작 정보 또는 소독완료 정보를 전송할 수 없도록 하고, 소독시작 정보 및 소독완료 정보에는 전송할 당시의 일시가 기록되므로 상기 소독수행자는 실제 소독을 실시하든 안하든 소독시간 동안을 상기 대상시설에 머물러야 하기 때문에 부당한 방법을 사용할 요인이 없어지게 되므로 이러한 편법이나 부당한 방법 사용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event the disinfection practitioner from transmitting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or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in an expedient or unfair manner, thereby preventing the disinfection practitioner from pretending to have disinfected the target facility without having to go to the target facility where disinfection work must be performed. Prevent actions from taking place. This is to fundamentally prevent facility managers (business owners, etc.) of facilities subject to disinfection from using unfair methods, such as paying only a small fee to the disinfectant and doing the disinfection themselves for the purpose of reducing disinfection costs. .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infection operator cannot transmit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or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without visiting the target facility, and since the date and time at the time of transmission is recorded in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and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the disinfection operator is not able to transmit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or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without visiting the target facility. Regardless of whether disinfection is carried out or not, the facility must remain in the facility during the disinfection time, so there is no reason to use unfair methods,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 of such expedient or unfair methods.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제1단말기(100)가 상기 관리서버(600)에 전송하는 상기 소독시작 정보 및 상기 소독완료 정보에는 상기 제1단말기(100)의 위치정보가 더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600)가 상기 제1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소독시작 정보 또는 상기 소독완료 정보를 전송받는 경우로서 상기 소독시작 정보 또는 상기 소독완료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단말기(100)의 위치정보가 상기 대상시설의 위치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제1단말기(100)에 대하여 상기 소독시작 정보 또는 상기 소독완료 정보에 오류가 있다는 메시지와 함께 상기 소독시작 정보 또는 상기 소독완료 정보의 재전송을 요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in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and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management server 600. do. In addition, when the management server 600 receives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or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100, the first terminal 100 included in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or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facility,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or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is sent to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or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is sent to the first terminal 100. It is desirable to request retransmission.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소독수행자의 소독수행에 대하여 상기 시설관리자가 감독 및 검수를 철저히 할 수 있는 수단도 제공하고 있다. 즉, 상기 소독수행자의 소독실시 결과를 검수확인을 할 때 시설관리자가 대상시설의 소독현장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며, 시설관리자가 상기 대상시설에 없는 경우에는 검수확인이 이루어 질 수 없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2단말기(200)가 상기 제1단말기(100)에 전송하는 상기 확인정보에는 상기 제2단말기(200)의 위치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1단말기(100)가 상기 제2단말기(200)로부터 상기 확인정보를 전송받는 경우로서 상기 확인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단말기(200)의 위치정보가 상기 대상시설의 위치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제2단말기(200)에 대하여 상기 확인정보에 오류가 있다는 메시지와 함께 상기 확인정보의 재전송을 요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ans by which the facility manager can thoroughly supervise and inspect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of the disinfection practitioner. In other words, when inspecting and confirming the disinfection results of the disinfection perform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acility manager is located at the disinfection site of the target facility, and if the facility manager is not at the target facility, inspection confirmation cannot be performed.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econd terminal 200 to the first terminal 100 further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first terminal 100 In the case where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200 included in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facility, the second terminal ( 200), it is desirable to request retransmission of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along with a message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대상시설의 이용자들에 대하여 상기 대상시설의 소독현황을 쉽고 편리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수단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대상시설의 이용자들이 소지하는 단말기인 제4단말기(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단말기(400)에서 상기 QR코드가 촬영되는 경우 상기 제4단말기(400)가, 상기 코드정보를 상기 관리서버(600)에 전송하여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소독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제4단말기(400)로부터 상기 소독정보를 요청받은 상기 관리서버(600)가, 상기 시설 중 상기 코드정보에 대응되는 시설에 대한 소독정보를 상기 제4단말기(400)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서버(600)로부터 상기 소독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제4단말기(400)는 상기 소독정보를 자신의 디스플레이창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ans for users of the target facility to easily and conveniently know the disinfection status of the target facility.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ourth terminal 400, which is a terminal possessed by users of the target facility, and when the QR code is photographed in the fourth terminal 400, the fourth terminal 400 The c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600 to request disinfection information for the target facility, and the management server 600, which has received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fourth terminal 400, Disinfection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c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ourth terminal 400, and the fourth terminal 400, which has received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600, displays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on its display. It is desirable to display it in a window.

본 발명은 또한, 위변조된 QR표식(500)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도 제시한다. 따라서, 타 업소의 소독 확인용으로 발급된 QR표식(500)을 사용한다거나 하는 등의 부당한 사용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4단말기(400)가 상기 관리서버에 대하여 상기 소독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드정보에 상기 제4단말기(400)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제4단말기(400)로부터 상기 소독정보를 요청받은 상기 관리서버(600)는, 상기 제4단말기(400)의 위치정보가 상기 대상시설의 위치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코드정보는 상기 제4단말기(400)가 위치한 곳에 있는 시설에 대한 코드정보가 아니다”라는 오류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means for preventing the use of a forged or altered QR mark 50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unfair use, such as using the QR mark (500) issued to confirm disinfection at other businesses.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urth terminal 400 requests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ourth terminal 400 is further included in the code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In addition,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ourth terminal 400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facility, the management server 600, which has received a request for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from the fourth terminal 400, responds, “The code information is not code information for the facility where the fourth terminal 400 is located.” It is desirable to transmit an error message.

본 발명은 또한, 시설관리자 단말기인 상기 제2단말기(200)에 제공된 전자소독증명서의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도 제공한다. 즉, 상기 제2단말기(200)에 제공된 전자소독증명서를 상기 대상시설이 아닌 곳에서 보여줄 때는 현재 위치한 시설에 대한 전자소독증명이 아니라는 메시지를 같이 보여주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관리서버(600)가 생성하여 상기 제2단말기(200)에 전송하는 상기 전자소독증명에는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위치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관리서버(600)로부터 상기 전자소독증명을 전송받은 상기 제2단말기(200)가 상기 전자소독증명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로서 상기 전자소독증명을 디스플레이 하는 상기 제2단말기(200)의 위치정보가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위치정보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전자소독증명은 현재 위치한 시설에 대한 소독증명이 아니라는 메시지를 같이 보여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means for preventing misuse of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provided to the second terminal 200, which is a facility manager terminal. In other words, when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provided to the second terminal 200 is shown in a place other than the target facility, a message is displayed that it is not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for the currently located facility.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generated by the management server 600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200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facility, and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is generated by the management server 600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200. In the case where the second terminal 200, which has received the disinfection certificate, displays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200 displaying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target facility.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o display a message that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is not a disinfection certificate for the currently located facility.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bove-described various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xample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all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thereof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소독업체 20 시설관리자
30 지역보건소 등의 행정관청 50 전자소독증명 관리시스템
100 제1단말기 200 제2단말기
300 제3단말기 400 제4단말기
500 QR표식
501 패널 510 QR코드
520 안내문 530 소독업체 로고 또는 상호
600 관리서버
700 인터넷
10 Disinfection company 20 Facility manager
30 Administrative offices such as local public health centers 50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management system
100 1st terminal 200 2nd terminal
300 Terminal 3 400 Terminal 4
500 QR mark
501 Panel 510 QR Code
520 Notice 530 Disinfection company logo or name
600 management server
700 internet

Claims (7)

관리서버, 제1단말기, 제2단말기, 제3단말기 및 QR표식을 포함하는 전자소독증명 관리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으로서,
상기 관리서버는 소독이 수행되어야 하는 시설에 대한 식별정보 및 상기 시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시설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단말기는 상기 시설에 대한 소독을 수행하는 소독수행자의 단말기이며, 상기 제2단말기는 상기 시설을 관리하는 시설관리자의 단말기이며, 상기 제3단말기는 상기 시설이 소재한 지역에 대한 소독행정을 관리하는 행정기관의 단말기이며, 상기 QR표식은 QR코드가 인쇄된 표식으로서 상기 행정기관 또는 상기 소독수행자에 의하여 상기 시설에 제공되는 표식이며,
상기 제1단말기가,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1단말기가 전송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 중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있는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포함된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리스트를 상기 제1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리스트를 제시한 후 상기 리스트 중에서 소독을 수행할 대상시설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대상시설이 선택된 일시를 시작일시로 하여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식별정보와 상기 시작일시가 포함된 소독시작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소독시작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소독내용을 입력받은 후 상기 소독내용이 포함된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2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완료 메시지에 대한 확인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확인정보를 상기 제1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대상시설에 제공된 상기 QR표식에 인쇄된 QR코드를 촬영하도록 요구한 후 상기 QR코드가 촬영되면, 상기 QR코드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QR코드가 촬영된 일시를 종료일시로 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식별정보, 상기 확인정보, 상기 소독내용, 상기 코드정보 및 상기 종료일시가 포함된 소독완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소독시작 정보와 상기 소독완료 정보가 포함된 전자소독대장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3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자소독대장에 대한 전송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전자소독대장을 상기 제3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
As a method of performing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performed by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management server, a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a third terminal, and a QR mark,
The management server has facility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where disinfection is to be performed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nd the first terminal is a terminal of a disinfection practitioner who performs disinfection of the facility. The second terminal is the terminal of the facility manager who manages the facility, the third terminal is the terminal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that manages disinfection administration for the area where the facility is located, and the QR mark is a mark with a QR code printed on it, which is used by the administrative agency. It is a sign provided to the facility by the institution or the person performing disinfection,
The first terminal transmitting 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The management server generates a list containing facility information about facilitie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terminal among the facilities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first terminal, and then sends the list to the first terminal. Transferring to;
A step of the first terminal presenting the list and then selecting a target facility for disinfection from the list;
When the first terminal generates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target facility and the start date and time using the selected date and time as the start date and time for the target facility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ment server, the management server performs the disinfection. Steps to save startup information: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disinfection details for the target facility, generating a completion message containing the disinfection details,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to the second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receiving confirmation information for the completion message and then transmitting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When the first terminal requests to photograph the QR code printed on the QR mark provided at the target facility and the QR code is photographed, the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is identified, and the QR code is photographed. Setting the date and time as the end date and time;
generating, by the first terminal,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target facility,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the disinfection contents, the code information, and the end date and time, and transmitting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generating and storing, by the management server, an electronic disinfection ledger containing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and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and
A method of performing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comprising: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ting the electronic disinfection ledger to the third terminal when there is 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electronic disinfection ledger from the third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소독시작 정보 및 상기 소독완료 정보가 포함된 전자소독증명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자소독증명에 대한 전송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전자소독증명을 상기 제2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
In paragraph 1
generating and storing, by the management server,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including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and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and
A method of performing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by the management server,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to the second terminal when there is 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상기 소독시작 정보 및 상기 소독완료 정보에는 상기 제1단말기의 위치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상기 소독시작 정보 또는 상기 소독완료 정보를 전송받는 경우로서 상기 소독시작 정보 또는 상기 소독완료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상기 대상시설의 위치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제1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소독시작 정보 또는 상기 소독완료 정보에 오류가 있다는 메시지와 함께 상기 소독시작 정보 또는 상기 소독완료 정보의 재전송을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and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to the management server further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When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or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included in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or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i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facility and In other cases, requesting retransmission of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or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along with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disinfection start information or the disinfection comple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ow to perform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제1단말기에 전송하는 상기 확인정보에는 상기 제2단말기의 위치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상기 확인정보를 전송받는 경우로서 상기 확인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상기 대상시설의 위치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제2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확인정보에 오류가 있다는 메시지와 함께 상기 확인정보의 재전송을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further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first terminal receives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included in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facility, the second terminal A method of performing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further comprising: requesting retransmission of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along with a message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시설의 이용자들이 소지하는 단말기인 제4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단말기에서 상기 QR코드가 촬영되는 경우 상기 제4단말기가, 상기 코드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소독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4단말기로부터 상기 소독정보를 요청받은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시설 중 상기 코드정보에 대응되는 시설에 대한 소독정보를 상기 제4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소독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제4단말기가, 상기 소독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
In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 fourth terminal, which is a terminal owned by users of the target facility,
When the QR code is captured by the fourth terminal, the fourth terminal transmits the cod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to request disinfection information for the target facility;
The management server, which has received a request for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from the fourth terminal, transmits disinfection information about a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code information among the facilities to the fourth terminal; and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performance method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by the fourth terminal, which has received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말기가 상기 관리서버에 대하여 상기 소독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드정보에 상기 제4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제4단말기로부터 상기 소독정보를 요청받은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4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상기 대상시설의 위치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코드정보는 상기 제4단말기가 위치한 곳에 있는 시설에 대한 코드정보가 아니라는 오류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
In paragraph 5
When the fourth terminal requests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e code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ourth terminal and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ourth terminal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facility, the management server that has received the request for the disinfection information from the fourth terminal sends the code information to the facility where the fourth terminal is located. Method of performing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characterized by sending an error message that it is not code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가 생성하여 상기 제2단말기에 전송하는 상기 전자소독증명에는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위치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소독증명을 전송받은 상기 제2단말기가 상기 전자소독증명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로서 상기 전자소독증명을 디스플레이 하는 상기 제2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상기 대상시설에 대한 위치정보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전자소독증명은 현재 위치한 시설에 대한 소독증명이 아니라는 메시지를 같이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소독증명 서비스 수행방법
In paragraph 2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generated by the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facility,
When the second terminal, which has received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from the management server, displays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displaying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e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target facility. In this case, an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service performance method characterized by showing a message that the electronic disinfection certification is not a disinfection certification for the currently located facility.
KR1020220031248A 2022-03-14 2022-03-14 Method for issuing electronic sanitation control certificate KR202301342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248A KR20230134220A (en) 2022-03-14 2022-03-14 Method for issuing electronic sanitation control certific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248A KR20230134220A (en) 2022-03-14 2022-03-14 Method for issuing electronic sanitation control certific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220A true KR20230134220A (en) 2023-09-21

Family

ID=8818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248A KR20230134220A (en) 2022-03-14 2022-03-14 Method for issuing electronic sanitation control certific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422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dler et al. Local health department effectiveness in addressing the core functions of public health: essential ingredients
Findlater et al. Child protective services and domestic violence
Dowse et al. Stop the violence: Addressing violence against women and girls with disabilities in Australia: Background paper
Scally Scoping inquiry into the CervicalCheck screening programme
CN107480935A (en) A kind of inward animal and plant quarantine examination & approval management system
World Health Organization Caring for those who care: guide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programmes for health workers
Ogunmokun et al. Strategy implement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 study of private hospitals
KR20230134220A (en) Method for issuing electronic sanitation control certificate
Lenk et al. Place of last drink enforcement: Effects on alcohol‐related traffic crashes
Boehnke et al. International survey on public posting of restaurant inspection reports, and/or grade card posting schemes based upon health inspections
Adams-Wendling et al. Quality improvement in nursing facilities: A nursing leadership perspective
Sage et al. Operationalizing ICWA compliance to improve Native American child & family outcomes
Wilson The quality manager
Taubert et al. Evalu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a speech and language therapist‐led referring model for VFSS using the Consolidated Framework for Implementation Research (CFIR)
Holtzman The Role of Arbitrator Ethics
Thom Independent Review into the Afghan Locally Engaged Employee Program
ADAMS‐WENDLING et al. Budgeting nursing workload for required minimum data set assessments
Eckersberger et al. Examining reuse and replacement procedures for Ipas manual vacuum aspiration and cannulae in nine countries
ESCAP How to implement inclusive social protection schemes
Constans et al. The armory project: Partnering with firearm retailers to promote and provide voluntary out‐of‐home firearm storage
Groom et al. Primary care organization board members' views on accident prevention
CN114155929A (en) Distribution and answer management method for inspection report
McAllister et al. Practical steps to mitigate corruption risks in hiring
Pratt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Testing guidance for practitioners
World Health Organization Joint external evaluation of IHR core capacities of the Kingdom of Belgium: executive summary, 26-30 June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