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597A - Sliding bearing and construction machinery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liding bearing and construction machinery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597A
KR20230133597A KR1020220030782A KR20220030782A KR20230133597A KR 20230133597 A KR20230133597 A KR 20230133597A KR 1020220030782 A KR1020220030782 A KR 1020220030782A KR 20220030782 A KR20220030782 A KR 20220030782A KR 20230133597 A KR20230133597 A KR 20230133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bearing
peripheral surface
tapered portion
pin
inner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7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해지
안상민
오대진
임동필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0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3597A/en
Publication of KR20230133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597A/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50/00Machines or articles related to building
    • F16C2350/26Exca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2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sliding-contact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베어링은, 외주면 일측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슬라이딩 베어링으로써, 상기 테이퍼부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소정의 길이는 슬라이딩 베어링의 전체 길이에 비하여 25% ~ 37.5%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는 프레임과 하우징과 핀과 슬라이딩 베어링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제1 연결부를 갖고, 하우징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갖는다. 핀은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내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베어링은 핀과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면 일측에 테이퍼부가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부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소정의 길이는 슬라이딩 베어링의 전체 길이에 비하여 25% ~ 37.5%이다.
The sliding be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ing bearing in which a tapered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tapered portion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predetermined length is 25% to 37.5% of the total length of the sliding bearing.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a housing, a pin, and a sliding bearing. The frame has a first connector and the housing has a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Pins are disposed with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e sliding bearing is disposed between the pi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a tapered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tapered portion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predetermined length is 25% to 37.5% of the total length of the sliding bearing.

Description

슬라이딩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SLIDING BEARING AND CONSTRUCTION MACHINERY INCLUDING THE SAME} Sliding bearings and construction machinery including them {SLIDING BEARING AND CONSTRUCTION MACHINER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슬라이딩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베어링에서의 마모와 이음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슬라이딩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liding bearings, and more specifically, to sliding bearings that can minimize wear and noise in sliding bearings and construction machinery including the same.

건설기계에서 슬라이딩 베어링(Sliding Bearing)은 축회전부나 관절부에 주로 사용된다. 슬라이딩 베어링은 축을 감싸고 있으며, 윤활유를 급지하여 운동 중에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마모를 감소시킨다. 슬라이딩 베어링은 일종의 부싱(bushing)이나 부시(bush) 역할을 한다. In construction machinery, sliding bearings are mainly used in shaft rotation or joints. The sliding bearing surrounds the shaft and supplies lubricant to reduce wear caused by friction that occurs during movement. A sliding bearing acts as a type of bushing or bush.

건설기계(구체적으로 굴삭기)에서 슬라이딩 베어링은 하우징(붐의 하우징)의 연결부에 억지끼움된 상태에서 사용되며, 하우징에 과도한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에(또는 상기 가혹 조건이 지속되는 경우에), 핀에 굽힘(Pin Bending)이 발생할 수 있다. 핀의 굽힘으로 인해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의 국부영역과 핀이 접촉하게 되어, 해당 국부영역에서의 면압이 매우 높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 베어링의 국부영역(접촉면)에는 마모와 이음이 발생할 수 있다.In construction machinery (specifically, excavators), sliding bearings are used in a press-fitted state in the connection part of the housing (housing of the boom), and when excessive load is applied to the housing (or when the above harsh conditions persist), the pin Pin bending may occur. Due to the bending of the pin, the pin comes into contact with a local area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and the surface pressure in that local area can become very high. As a result, wear and noise may occur in the local area (contact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3414호 (공개일자 2012년05월25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53414 (publication date May 25, 2012))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은, 건설기계의 가혹한 환경에서도 핀과 슬라이딩 베어링 사이의 공차가 확보되도록 하여, 슬라이딩 베어링에서의 마모와 이음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슬라이딩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o ensure the tolerance between the pin and the sliding bearing even in the harsh environment of construction equipment, there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wear and noise in the sliding bearing. To provide sliding bearings and construction machinery including them.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objectives, and may be expand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일측 외주면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슬라이딩 베어링은, 하우징의 연결부에 억지끼움 되면, 죔쇄력 및/또는 죔쇄량에 의해 슬라이딩 베어링의 일측 내주면에도 테이퍼부가 형성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베어링의 단부에서의 국부면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베어링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iding bearing having a tapered portion formed on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when forcibly fitted in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housing, slides by clamping force and/or clamping amount. Since a tapered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 sliding bearing and a construction machine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which can reduce the local surface pressure at the end of the sliding bearing by using thi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베어링은, 외주면 일측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슬라이딩 베어링으로써, 상기 테이퍼부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소정의 길이는 슬라이딩 베어링의 전체 길이에 비하여 25% ~ 37.5%이다. The sliding be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ing bearing in which a tapered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tapered portion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predetermined length is 25% to 37.5% of the total length of the sliding bear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는 프레임과 하우징과 핀과 슬라이딩 베어링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제1 연결부를 갖고, 하우징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갖는다. 핀은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내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베어링은 핀과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면 일측에 테이퍼부가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부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소정의 길이는 슬라이딩 베어링의 전체 길이에 비하여 25% ~ 37.5%이다.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a housing, a pin, and a sliding bearing. The frame has a first connector and the housing has a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Pins are disposed with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e sliding bearing is disposed between the pi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a tapered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tapered portion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predetermined length is 25% to 37.5% of the total length of the sliding bearing.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슬라이딩 베어링은 하우징의 제2 연결부에 억지끼움 되는 경우,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 일측에 테이퍼부가 형성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sliding bearing is press-fit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of the housing, a tapered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슬라이딩 베어링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테이퍼부의 길이는,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테이퍼부의 길이와 동일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taper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is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taper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테이퍼부는 단부에서 최대 깊이를 갖고, 상기 최대 깊이는 0보다 크면서 슬라이딩 베어링의 두께의 0.5% 이하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aper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has a maximum depth at an end, and the maximum depth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0.5% of the thickness of the sliding bearing.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슬라이딩 베어링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테이퍼부의 최대 깊이(TD1)와,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테이퍼부의 최대 깊이(TD2)는 관계식으로 산출되고, 상기 관계식은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ximum depth (TD1) of the taper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and the maximum depth (TD2) of the taper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are calculated using a relational equation, and the relational equation is as follows [mathematics] It is expressed as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TD1 * 죔쇄량 * 1.76 = TD2TD1 * clamping amount * 1.76 = TD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베어링은, 하우징에서의 과도한 하중 인가 조건에서 핀의 굽힘이 일정수준 이상 초과하여 발생하는 경우에도, 슬라이딩 베어링의 일측에서 마모와 이음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liding be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wear and noise on one side of the sliding bearing even when the bending of the pin exceeds a certain level under conditions of excessive load application in the housing.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may be expand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건설기계에서 사용되는 슬라이딩 베어링의 개략도이다.
도 2는 핀과 슬라이딩 베어링과 하우징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핀의 굽힘에 의해 슬라이딩 베어링에 국부면압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핀의 굽힘에 의해 핀이 슬라이딩 베어링의 국부영역을 가압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슬라이딩 베어링이 하우징에 억지끼움(압입)되는 경우, 죔쇄력에 의해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슬라이딩 베어링의 외주면 일측에 테이퍼부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에, 핀의 굽힘에 의해 슬라이딩 베어링의 일측에 나타나는 면압(슬라이딩 베어링에서의 국부면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베어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에 테이퍼부 적용시, 테이퍼부의 길이에 따른 면압 결과를 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표에 따른 테이퍼부 적용구간과, 해당 적용구간에서의 면압 결과를 시뮬레이션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 테이퍼부의 최대 깊이를 산출하기 위한, 핀의 굽힘각(Pin Bending Angle)과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에서의 테이퍼 각(Taper Angle)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liding bearing used in construction machinery.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pin, sliding bearing, and housing.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local surface pressure is generated in a sliding bearing due to bending of a pi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a pin pressurizes a local area of a sliding bearing by bending the pi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at when the sliding bearing is press-fitted into the housing, the shap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changes due to the clamping force.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change in surface pressure (local surface pressure in the sliding bearing) that appears on one side of the sliding bearing due to bending of the pin when there is or is not a tapered por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sliding be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table showing the results of surface pressur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tapered part when applying the tapered part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FIG. 9 is a diagram showing a simulation of the tapered portion application section according to the table in FIG. 8 and the surface pressure results in the application section.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in bending angle and the taper angl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for calculating the maximum depth of the tapered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종래기술에 의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용이하게 재현할 수 있는 것에 관하여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하여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mo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those that can be clearly understood and easily reproduc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omitted in order to not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dditionally,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베어링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Below, a sliding be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슬라이딩 베어링(Sliding Bearing)은 주로 건설기계의 축회전부나 관절부에 사용된다. 슬라이딩 베어링은 축을 감싸고 있으며, 윤활유를 급지하여 운동 중에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마모를 감소시킨다. 슬라이딩 베어링은 일종의 부싱(bushing)이나 부시(bush) 역할을 한다. 이하 도면에서의 부싱(bushing)이나 부시(bush)는 슬라이딩 베어링을 나타낸다.Sliding bearings are mainly used in shaft rotation or joi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The sliding bearing surrounds the shaft and supplies lubricant to reduce wear caused by friction that occurs during movement. A sliding bearing acts as a type of bushing or bush. In the drawings below, bushings or bushes represent sliding bearings.

도 1은 건설기계에서 사용되는 슬라이딩 베어링의 개략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liding bearing used in construction machinery.

도 1을 참조하면, 프레임은 건설기계의 차체 프레임을 나타낸다. 굴삭기를 예를 들면, 굴삭기는 상부에 배치되는 선회체와 하부에 배치되는 주행체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굴삭기는 선회체와 연결되는 붐(Boom)과, 상기 붐과 연결되는 암(Arm)과, 상기 암과 연결되는 버킷(Bucket)과 같은 부착물(Attachment)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frame represents a body frame of a construction machine. For example, an excavator can be divided into a rotating body disposed at the top and a traveling body disposed at the bottom. And the excavator is provided with a boom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an arm connected to the boom, and an attachment such as a bucket connected to the arm.

도 1에서의 프레임(Frame)은 선회체의 프레임을 나타내며, 그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Housing)은 붐의 하우징을 나타내며, 그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in FIG. 1 represents a frame of a rotating body and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thereof. Housing (Housing) refers to the housing of the boom and may include its connection part.

프레임의 연결부와 하우징의 연결부에는 핀(Pin)이 배치된다. 핀은 프레임과 하우징을 연결할 수 있다. 하우징은 핀을 매개로 핀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Pins are plac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rame and the housing. Pins can connect the frame and housing. The housing can rotate via the pi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n.

핀의 외주면과, 상기 핀의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는 하우징의 연결부의 내주면 사이에는 슬라이딩 베어링이 배치된다. A sliding bearing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n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housing that can contac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n.

슬라이딩 베어링은, 하우징의 연결부의 내주면과 접촉할 수 있는 핀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으며, 윤활유를 급지하여 하우징이 회전하는 중에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마모를 감소시킨다.The sliding bearing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n that can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housing, and supplies lubricant to reduce wear caused by friction that occurs while the housing rotates.

도 2는 핀과 슬라이딩 베어링과 하우징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pin, sliding bearing, and housin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베어링은 원통형의 관형(管形)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베어링은 중심에 관통홀(h, H)을 갖으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일 수 있다. 관통홀(h, H)에는 핀이 배치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베어링은 하우징의 연결부(구체적으로 하우징에 형성된 홀)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sliding bearing is formed in a cylindrical tubular shape. Specifically, the sliding bearing has a through hole (h, H) at the center and may be a cylinder with a predetermined length. Pins are disposed in the through holes (h, H). And the sliding bearing is dispos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housing (specifically, a hole formed in the housing).

슬라이딩 베어링은 소정의 두께(관의 두께)(th, TH)를 가진다. 즉, 슬라이딩 베어링은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의 너비를 가진다. The sliding bearing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thickness of the pipe) (th, TH). That is, the sliding bearing has a width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inner circumference.

도 2에서, d는 슬라이딩 베어링의 관통홀(h, H)의 단면 지름을 나타내며,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경이라 한다. D는 하우징의 연결부(구체적으로 하우징에 형성된 홀)의 단면 지름을 나타내며, 하우징의 연결부의 내경이라 한다. 하우징의 연결부의 내경(D)은, 하우징의 연결부 중에서 슬라이딩 베어링이 배치되는 곳에서의 내경을 말한다. In Figure 2, d represents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h, H) of the sliding bearing, and is called the inner diameter of the sliding bearing. D represents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housing (specifically, the hole formed in the housing), and is called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housing. The inner diameter (D)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housing refers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housing where the sliding bearing is disposed.

핀의 외경과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경(d) 간에는 공차(Clearance)가 주어진다. 예로, 굴삭기의 경우에 상기 공차는 일반적으로 0.15 ~ 0.30mm이다. 여기서 핀의 외경은 핀의 바깥쪽(외주면)에서 잰 단면 지름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핀의 외경과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경(d) 간의 공차를 '핀과 슬라이딩 베어링의 공차(Pin/Bush Clearance)'라 한다.A clearance is given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n and the inner diameter (d) of the sliding beari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excavators, the tolerance is generally 0.15 to 0.30 mm. Here, the outer diameter of the pin refers to the cross-sectional diameter measured from the outsid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n. Hereinafter, the tolerance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n and the inner diameter (d) of the sliding bearing is referred to as the 'Pin/Bush Clearance'.

슬라이딩 베어링은 하우징의 연결부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베어링의 외경은 하우징의 연결부의 내경(D)보다 크다. 따라서 슬라이딩 베어링은 하우징의 연결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며, 건설기계(일 예로 굴삭기)에서 슬라이딩 베어링은 하우징의 연결부에 억지끼움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슬라이딩 베어링의 외경은 슬라이딩 베어링의 외주면에서 잰 단면 지름을 말한다.The sliding bearing is arranged in the connection part of the hous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sliding bearing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D) of the housing connection. Therefore, the sliding bearing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housing in a pressure-fitting manner, and in construction machinery (for example, an excavator), the sliding bearing is used in a state of being press-fitted in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housing. The outer diameter of a sliding bearing refers to the cross-sectional diameter measur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건설기계의 작동 중에는, 하우징(붐의 하우징)에 높은 하중이 인가되면 핀에 굽힘(Pin Bending)이 발생할 수 있다. 핀의 굽힘(Pin Bending)이, 핀과 슬라이딩 베어링의 공차 이상으로 발생할 경우에, 슬라이딩 베어링의 일측에는 면압이 매우 높아져, 마모와 이음이 발생할 수 있다. During the operation of construction machinery, pin bending may occur if a high load is applied to the housing (housing of the boom). When pin bending occurs beyond the tolerance between the pin and the sliding bearing, the surface pressure on one side of the sliding bearing becomes very high, which can cause wear and noise.

도 3은 핀의 굽힘에 의해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에 국부면압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핀의 굽힘에 의해 핀이 슬라이딩 베어링의 국부영역을 가압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a local surface pressure is genera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due to bending of the pin, and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the pin pressurizes a local area of the sliding bearing due to bending of the pin.

도 4의 (a)는 슬라이딩 베어링(20)의 단면의 일부를 나타내며, 슬라이딩 베어링(20)의 외주면 일측에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4의 (b)는 (a)의 슬라이딩 베어링(20)의 내부에 핀(100)이 배치되고, 핀(100)의 굽힘이 발생한 경우에, 핀(100)이 슬라이딩 베어링(20)의 내주면의 국부영역을 가압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딩 베어링(20)은 종래의 슬라이딩 베어링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딩 베어링(20)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은, 딤플(Dimple) 및/또는 포켓(Pocket)이다. 딤플 또는 포켓은, 핀(100)과 슬라이딩 베어링(20) 사이의 슬라이딩 접촉면에 내부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윤활유가 급지되는데, 상기 윤활유를 저장한다.Figure 4 (a) shows a por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liding bearing 20, and a tapered portion is not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 In (b) of Figure 4, the pin 100 is disposed inside the sliding bearing 20 of (a), and when bending of the pin 100 occurs, the pin 100 is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 Indicates the case of pressurizing a local area of . The sliding bearing 20 shown in FIGS. 3 and 4 represents a conventional sliding bearing. The groov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 shown in FIG. 4 is a dimple and/or a pocket. The dimple or pocket is supplied with lubricant to prevent internal wear on the sliding contact surface between the pin 100 and the sliding bearing 20, and stores the lubricant.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건설기계(일 예로 굴삭기)에서 슬라이딩 베어링(20)은 하우징의 연결부에 억지끼움된 상태에서 사용되며, 하우징에 과도한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에(또는 상기 가혹 조건이 지속되는 경우에), 핀(100)의 굽힘으로 인해 슬라이딩 베어링(20)의 내주면의 국부영역과 핀이 접촉하게 되어, 해당 국부영역에서의 면압이 매우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 베어링(20)의 국부영역(접촉면)에는 마모와 이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건설기계의 가혹한 환경에서도 핀과 슬라이딩 베어링의 공차가 확보되는 것이 필요하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sliding bearing 20 in construction machinery (for example, an excavator) is used in a state where it is press-fit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housing, and when excessive load is applied to the housing (or the above harsh conditions) If it continues), it can be seen that the bending of the pin 100 causes the pin to contact a local area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 and the surface pressure in the local area becomes very high. As a result, wear and noise may occur in the local area (contact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 To prevent this,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tolerances of pins and sliding bearings even in the harsh environment of construction equipment.

핀(100)과 슬라이딩 베어링(20)의 공차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딩 베어링(20)의 내주면 일측은 테이퍼지게(tapered) 형성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secure the tolerance between the pin 100 and the sliding bearing 20,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 needs to be tapered.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 일측을 테이퍼지게 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딩 베어링의 외주면 일측을 테이퍼지게 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order to taper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a sliding bearing, it is necessary to taper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Below, thi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건설기계(일 예로 굴삭기)에서 슬라이딩 베어링은 하우징의 연결부에 억지끼움된 상태에서 사용되며, 억지끼움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베어링의 외경과 내경(d)은 죔쇄량(S)에 따라 변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2, the sliding bearing in construction machinery (for example, an excavator) is used in a state in which it is press-fitted in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housing, and in the press-fitted state, the outer diameter and inner diameter (d) of the sliding bearing are clamped (S). It changes depending on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베어링은 하우징의 연결부에 억지끼움(압입) 되면 죔쇄력에 의해 슬라이딩 베어링의 두께(th, TH)의 형상이 변한다. 즉,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의 형상(profile)이 변한다. 이는 도 5에 나타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liding bearing is press-fitted in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housing, the shape of the thickness (th, TH) of the sliding bearing changes due to the clamping force. In other words, the shape (profil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changes. This is shown in Figure 5.

도 5는 슬라이딩 베어링이 하우징에 억지끼움(압입)되는 경우, 죔쇄력에 의해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at when the sliding bearing is press-fitted into the housing, the shap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changes due to the clamping force.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슬라이딩 베어링이 하우징에 억지끼움(압입) 되기 전과 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슬라이딩 베어링이 하우징에 억지끼움되면 슬라이딩 베어링의 두께(TH)의 형상이 변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5, FIG. 5 is a view showing before and after the sliding bearing is press-fitted into the housing. When the sliding bearing is press-fitted into the housing, the shape of the thickness (TH) of the sliding bearing changes, and accordingly, the sliding It indicates that the shap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aring changes.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서 슬라이딩 베어링은 외주면 일측에만 테이퍼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외주면 일측에만 테이퍼부(210)가 형성된 슬라이딩 베어링은 하우징에 억지끼움(압입)되면, 슬라이딩 베어링의 두께(TH)의 형상이 변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의 형상이 변하여,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 일측에는 테이퍼부(220)가 형성되게 된다. Referring again to FIG. 5, the sliding bearing in FIG. 5 has a tapered portion 210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no tapered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When a sliding bearing with a tapered portion 210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press-fitted into a housing, the shape of the thickness (TH) of the sliding bearing changes, and the shap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changes accordingly, so that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A tapered portion 220 is formed.

즉, 슬라이딩 베어링의 일측 외주면에 테이퍼부(210)가 형성된, 슬라이딩 베어링은, 하우징의 연결부에 억지끼움(압입) 되면, 죔쇄력 및/또는 죔쇄량(S)에 의해 슬라이딩 베어링의 일측 내주면에도 테이퍼부(220)가 형성된다.That is, the sliding bearing in which the tapered portion 210 is formed on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is press-fitted in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housing,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sliding bearing is also tapered due to the clamping force and/or clamping amount (S). Part 220 is formed.

도 6은 슬라이딩 베어링의 외주면 일측에 테이퍼부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에, 핀의 굽힘에 의해 슬라이딩 베어링의 일측에 나타나는 면압(슬라이딩 베어링에서의 국부면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change in surface pressure (local surface pressure in the sliding bearing) that appears on one side of the sliding bearing due to bending of the pin when there is or is not a tapered por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도 6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외주면 일측에 테이퍼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200)이 하우징의 연결부에 억지끼움(압입) 되면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 일측에 테이퍼부(220)가 형성되고, 이 상태에서 하우징에 높은 하중이 인가되어 핀(100)에 굽힘이 발생한 경우에, 슬라이딩 베어링(200)에서의 국부면압은,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외주면 일측에 테이퍼부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감소함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6, a tapered portion 2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and when the sliding bearing 200 is press-fit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housing, a tapered portion 2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When the tapered portion 220 is formed and a high load is applied to the housing in this state and bending occurs in the pin 100, the local surface pressure in the sliding bearing 200 is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Compared to the case without the tapered part, it shows a significant decrease.

이를 정리하면, 일측 외주면에 테이퍼부(210)가 형성된 슬라이딩 베어링(200)은, 하우징의 연결부에 억지끼움(압입) 되면, 죔쇄력 및/또는 죔쇄량(S)에 의해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일측 내주면에도 테이퍼부(220)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 일측에 테이퍼부(210)가 형성되면, 핀(100)과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공차를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핀(100)과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공차가 추가적으로 확보된 경우에는 핀(100)에 굽힘이 발생하더라도 슬라이딩 베어링(200)과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 내(200)에 배치되는 핀(100) 사이의 접촉면'(이를 '핀(100)과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접촉면'이라 한다)이 늘어나,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일측에 나타나는 면압은 감소한다. To summarize, when the sliding bearing 200, which has a tapered portion 210 formed on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press-fitted (press-fitted) in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housing, the sliding bearing 200 is compressed by the clamping force and/or the clamping amount (S). A tapered portion 220 is also formed on one inner peripheral surface. When the tapered portion 2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the tolerance between the pin 100 and the sliding bearing 200 can be additionally secured. When the tolerance between the pin 100 and the sliding bearing 200 is additionally secured, even if bending occurs in the pin 100,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liding bearing 200 and the pin 100 disposed within the sliding bearing 200 '(This is referred to as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pin 100 and the sliding bearing 200') increases, and the surface pressure on one side of the sliding bearing 200 decreases.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베어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단면의 일부를 나타내며,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외주면 일측에 테이퍼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b)는 (a)의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부에 핀(100)이 배치되고, 핀(100)에 굽힘이 발생한 경우이다. 도 7에 도시된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은 딤플 및/또는 포켓이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sliding be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a) shows a por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liding bearing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apered portion 2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Figure 7 (b) shows a case where a pin 100 is disposed inside the sliding bearing 200 of (a) and bending occurs in the pin 100. The groove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shown in FIG. 7 are dimples and/or pockets.

도 7의 (b)를 상술한 도 4의 (b)와 비교하면, 도 4의 (b)는 핀(100)이 슬라이딩 베어링(20)의 내주면의 국부영역을 침범하여 가압함을 나타내고, 도 7의 (b)는 핀(100)과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접촉면을 최대로 늘림으로써, 핀(100)이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의 국부영역을 침범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Comparing FIG. 7(b) with the above-mentioned FIG. 4(b), FIG. 4(b) shows that the pin 100 invades and pressurizes a local area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 and FIG. (b) in 7 indicates that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pin 100 and the sliding bearing 200 is maximized, so that the pin 100 does not invade the local area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다시 도 7의 (b)와 도 6을 참조하면, 외주면 일측에 테이퍼부(210)가 형성된 슬라이딩 베어링(200)을 하우징의 연결부에 억지끼움(압입) 하면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 일측에 테이퍼부(220)가 형성되고, 이 상태에서는 하우징에 높은 하중이 인가되어 핀(100)에 굽힘이 발생하더라도, 슬라이딩 베어링(200)에서의 국부면압은, 슬라이딩 베어링의 외주면 일측에 테이퍼부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ure 7 (b) and Figure 6, when the sliding bearing 200 with the tapered portion 210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pressed in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housing,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is tapered. The portion 220 is formed, and in this state, even if a high load is applied to the housing and bending occurs in the pin 100, the local surface pressure in the sliding bearing 200 is different from the case where there is no tapered por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In comparison,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ecrease.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 일측을 테이퍼지게(tapered)(220) 형성함으로써, 핀(100)과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공차를 확보할 수 있다. By forming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to be tapered (220), the tolerance between the pin 100 and the sliding bearing 200 can be secured.

핀(100)과 슬라이딩 베어링(200) 사이의 공차 확보는, 핀(100)의 굽힘이 일정수준 이상 초과하여 발생하는 경우에, 핀(100)과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접촉면을 최대한 늘려준다. Securing the tolerance between the pin 100 and the sliding bearing 200 increases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pin 100 and the sliding bearing 200 as much as possible when the bending of the pin 100 exceeds a certain level.

따라서, 건설기계의 가혹한 환경에서 슬라이딩 베어링(200)에서의 국부면압은 현저하게 감소하여,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국부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모와 이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harsh environment of construction machinery, the local surface pressure in the sliding bearing 200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by reducing wear and joints that may occur in the local area of the sliding bearing 200.

이렇듯,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마모와 이음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 일측에 테이퍼부(220)를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uch, in order to reduce wear and friction of the sliding bearing 200, it is desirable to form a tapered portion 220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다만,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에는 딤플 및/또는 포켓이 형성(가공)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에 정상적인 형상을 가진 테이퍼부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However, since dimples and/or pockets are formed (process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it is difficult to additionally form a tapered portion with a normal shap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또한,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에 테이퍼부를 형성하게 되면, 테이퍼부가 형성된 부분에 딤플 및/또는 포켓이 손상되어 해당 부분에 열 발생량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소착이 발생하기 쉬워, 급속한 가속 마모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a tapered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the dimples and/or pockets are damaged in the portion where the tapered portion is formed,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and seizing is likely to occur, resulting in rapid accelerated wear. As a result, the lifespan of the sliding bearing 200 is shortened.

상술한 바에 따르면, 핀(100)의 굽힘에 의해, 핀(100)과 접촉하는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일측에 테이퍼부를 형성(가공)하되, 가공이 어려운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 대신 외주면에 테이퍼부(210)를 형성(가공)함으로써,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 일측에 테이퍼부(220)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a tapered portion is formed (processed) on one side of the sliding bearing 200 in contact with the pin 100 by bending the pin 100, bu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stead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which is difficult to process. By forming (processing) the tapered portion 210, the tapered portion 220 can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베어링은, 하우징에서의 과도한 하중 인가 조건에서 핀의 굽힘이 일정수준 이상 초과하여 발생하는 경우에도, 슬라이딩 베어링의 일측에서 마모와 이음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sliding be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wear and noise on one side of the sliding bearing even when the bending of the pin exceeds a certain level under conditions of excessive load application in the housing.

이는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일측 외주면의 설계 변경을 통해, 핀(100)의 굽힘이 일정수준 이상 초과하여 발생하는 경우에, 핀(100)과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접촉면을 최대한 늘려,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에서 발생하는 국부면압을 최소화함으로써, 가능하다.This is done by changing the desig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sliding bearing 200, so that when the bending of the pin 100 exceeds a certain level,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pin 100 and the sliding bearing 200 is maximized to increase the sliding bearing. This is possible by minimizing the local surface pressure occurring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200).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일측 외주면의 설계 변경은,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외주면 일측(일정 부분)을 테이퍼(taper)지게 하는 것을 말한다.A change in the design of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refers to tapering one side (a certain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따라서,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베어링(200)은,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일측이 테이퍼(taper)진, 테이퍼부(210)를 포함한다. Therefore, referring to FIGS. 5 and 7 , the sliding bearing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pered portion 210 in which one side of the sliding bearing 200 is tapered.

테이퍼부(210)는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다. The tapered portion 210 is formed on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슬라이딩 베어링(200)은 원통형의 관형으로, 슬라이딩 베어링(200)을 가로로 배치한 경우에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가로방향을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일측과 타측은 서로 반대되는 위치를 가리킨다.The sliding bearing 200 is cylindrical and tubular, and when the sliding bearing 200 is arranged horizontally,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liding bearing 200 can be defined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bearing 200.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bearing 200,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ding bearing 200 point to opposite positions.

테이퍼부(210)는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일측에 형성된다. 테이퍼부(210)는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하게 형성된다. The tapered portion 2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liding bearing 200. The tapered portion 210 is formed uniformly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슬라이딩 베어링(200)에서 테이퍼부(210)는, 핀(100)의 굽힘에 의해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일측에 국부면압이 발생하는, 일측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sliding bearing 200, the tapered portion 210 may be formed on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where local surface pressure is generated on one side of the sliding bearing 200 by bending the pin 100.

테이퍼부(210)는 소정의 길이(TL1)로 형성된다. The tapered portion 21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L1.

테이퍼부(210)는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외측으로 갈수록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tapered portion 210 is formed to slope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bearing 200 toward the outside of the sliding bearing 200.

즉, 테이퍼부(210)는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두께(TH)가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단부에서 테이퍼부는 최대 깊이(TD1)를 갖는다. That is, the tapered portion 210 is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TH) of the sliding bearing 200 decreases as it goes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bearing 200, and the tapered portion at the end of the sliding bearing 200 has a maximum depth (TD1). has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될 테이퍼부(210)의 길이(TL1)와 최대 깊이(TD1)는,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일측 내주면에 형성될 테이퍼부(220)의 길이(TL2)와 최대 깊이(TD2)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The length (TL1) and maximum depth (TD1) of the tapered portion 210 to be formed on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are the length (TL2) of the tapered portion 220 to be formed on on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It can be obtained from and maximum depth (TD2).

도 8은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에 테이퍼부 적용시, 테이퍼부의 길이에 따른 면압 결과를 표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표에 따른 테이퍼부 적용구간과, 해당 적용구간에서의 면압 결과를 시뮬레이션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은 딤플 및/또는 포켓이다.Figure 8 is a table showing the surface pressure result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tapered part when applying the tapered part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and Figure 9 is a simulation of the tapered part application section according to the table in Figure 8 and the surface pressure results in the application section. This is a drawing shown as . The groove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shown in FIG. 9 are dimples and/or pockets.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 테이퍼부(220) 적용구간(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전장길이에 대비하여 12.5% / 25% / 37.5% / 50% 구간)에 따른 최대 면압을 비교한 결과,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 테이퍼부(220) 길이(TL2)가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전장길이에 대비하여 25%(=1/4)일 때 가장 낮은 면압 결과를 나타낸다. 여기서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 테이퍼부(220) 적용구간은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부(220)의 길이(TL2)를 나타낸다. 그리고,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전장길이는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길이방향으로 전체 길이를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9에서의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전장길이 대비 최대 면압 결과는,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부(220)의 최대 깊이(TD2)가 0.25mm인 경우일 때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ures 8 and 9,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sec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apered portion 220 of the sliding bearing 200 (12.5% / 25% / 37.5% / 50% section compared to the overall length of the sliding bearing 200)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aximum surface pressure, the lowest surface pressure result was obtained when the length (TL2)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apered portion 220 of the sliding bearing 200 was 25% (=1/4) compared to the overall length of the sliding bearing 200. indicates. Here, the application section of the tapered portion 220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represents the length TL2 of the tapered portion 220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And, the overall length of the sliding bearing 200 represents the total length of the sliding bearing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aximum surface pressure results compared to the overall length of the sliding bearing 200 in Figures 8 and 9 show when the maximum depth (TD2) of the tapered portion 220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is 0.25 mm. .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 테이퍼부(220) 길이(TL2)가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전장길이에 대비하여 25%(=1/4)인 경우는, 내주면에 테이퍼부가 없는 종래의 슬라이딩 베어링과 비교하여, 최대 면압이 40% 이상 감소한 것이다.When the length (TL2) of the tapered portion 220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is 25% (=1/4) of the overall length of the sliding bearing 200, it is similar to a conventional sliding bearing without a tapered port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n comparison, the maximum surface pressure was reduced by more than 40%.

다시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 테이퍼부(220) 길이(TL2)는,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전장길이에 대비하여, 25% ~ 37.5% 일 때가 적합하다. Referring again to FIGS. 8 and 9, the length TL2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apered portion 220 of the sliding bearing 200 is suitably 25% to 37.5% of the overall length of the sliding bearing 200.

도 10은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 테이퍼부의 최대 깊이를 산출하기 위한, 핀의 굽힘각(Pin Bending Angle)과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에서의 테이퍼 각(Taper Angle)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in bending angle and the taper angl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for calculating the maximum depth of the tapered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도 10을 참조하면, 수치해석을 통해, 최대 하중 인가 시의 핀(100)의 굽힘각(Pin bending Angle)을 계산할 수 있고, 핀(100)과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접촉면적이 최대일 때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핀(100)과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접촉면적이 최대일 때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에서의 테이퍼부(220)의 최대 깊이(TD2)를 산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rough numerical analysis, the bending angle of the pin 100 can be calculated when the maximum load is applied, and whe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in 100 and the sliding bearing 200 is maximum. can be calculated. And, whe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in 100 and the sliding bearing 200 is maximum, the maximum depth (TD2) of the tapered portion 220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can be calculated.

핀(100)과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접촉면적이 최대일 때는, 핀(100)의 굽힘각과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에서의 테이퍼 각(Taper Angle)이 같을 때이다. 이때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에서의 테이퍼부(220)의 최대 깊이(TD2)를 산출하면, 이 값은 0(영) 보다는 크면서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두께(TH)의 0.5% 이하이다. 참고로, 도 8 내지 도 9에서의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전장길이 대비 최대 면압 결과는,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부(220)의 최대 깊이(TD2)가 0.25mm인 경우일 때를 나타낸다.Whe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in 100 and the sliding bearing 200 is maximum, the bending angle of the pin 100 and the taper angl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are the same. At this time, if the maximum depth (TD2) of the tapered portion 220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is calculated, this value is greater than 0 (zero) and is less than 0.5% of the thickness (TH) of the sliding bearing 200. . For reference, the maximum surface pressure results compared to the overall length of the sliding bearing 200 in Figures 8 and 9 are when the maximum depth (TD2) of the tapered portion 220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is 0.25 mm. It indicates time.

슬라이딩 베어링(200)이 하우징의 연결부에 억지끼움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일측 내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부(220)는,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부(21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When the sliding bearing 200 is press-fit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housing, the tapered portion 220 formed on on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corresponds to the tapered portion 210 formed on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It can have a shape.

슬라이딩 베어링(200)이 하우징의 연결부에 억지끼움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외경과 내경은 죔쇄력 및/또는 죔쇄량(S)에 따라 변하고, 죔쇄력 및/또는 죔쇄량(S)에 따른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외경과 내경의 변화량은 경험적인 치수에 의해 산출 가능하다.In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bearing 200 is press-fit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housing, the outer diameter and inner diameter of the sliding bearing 200 change depending on the clamping force and/or the clamping amount (S), and the clamping force and/or the clamping amount (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outer diameter and inner diameter of the sliding bearing 200 can be calculated using empirical dimensions.

도 6 내지 도 10 및, 아래 표 1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외주면 테이퍼부(210) 길이(TL1)는,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전장길이에 대비하여, 25% ~ 37.5% 일 때가 적합하고, 이는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 테이퍼부 길이(TL2)와 동일하다. 표 1은 죔쇄량에 따른 슬라이딩 베어링(200)에서의 테이퍼부의 길이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S. 6 to 10 and Table 1 below, the length TL1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apered portion 210 of the sliding bearing 200 is 25% to 37.5% compared to the overall length of the sliding bearing 200. The time is appropriate, and it is equal to the length (TL2) of the tapered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Table 1 shows the length of the tapered portion in the sliding bearing 200 according to the amount of clamping.

[표 1][Table 1]

또한, 실제 압입시험과 압입 수치해석에 의해,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테이퍼부(210)의 최대 깊이(TD1)와,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테이퍼부(220)의 최대 깊이(TD2)의 관계식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관계식은 아래 수학식 1과 같다. In addition, through actual press-fit testing and press-fit numerical analysis, the maximum depth (TD1) of the tapered portion 210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and the taper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 220), the relational expression for the maximum depth (TD2) can be calculated. The above relational expression is shown in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TD1 * 죔쇄량 * 1.76 = TD2TD1 * clamping amount * 1.76 = TD2

수학식 1에서,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테이퍼부(220)의 최대 깊이(TD2)는 0(영) 보다는 크면서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두께(TH)의 0.5% 이하인 경우이다. In Equation 1, the maximum depth (TD2) of the tapered portion 220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is greater than 0 (zero) and less than 0.5% of the thickness (TH) of the sliding bearing 200. am.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베어링(200)은, 외주면 일측에 테이퍼부(210)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에서의 과도한 하중 인가 조건에서 핀의 굽힘이 일정수준 이상 초과하여 발생하는 경우에도,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일측에서 마모와 이음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liding bearing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tapered portion 210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by preventing the bending of the pin from exceeding a certain level under conditions of excessive load applied to the housing. Even in this case, wear and noise occurring on one side of the sliding bearing 200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베어링(200)을 포함한다. Additionally, the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liding bearing 2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는, 제1 연결부(31)(도 1 참조)를 갖는 프레임(30)(도 1 참조)과, 상기 제1 연결부(31)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41)(도1 참조)를 갖는 하우징(40)(도 1 참조)과, 상기 제1 연결부(31)와 상기 제2 연결부(41) 내에 배치되는 핀(100)(도 6참조) 및, 상기 핀(100)과 상기 제2 연결부(41)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면 일측에 테이퍼부(210)가 형성된 슬라이딩 베어링(200)(도 6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2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베어링을 말한다.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30 (see FIG. 1) having a first connection part 31 (see FIG. 1),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see FIG. 1)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31. 41) (see FIG. 1), a housing 40 (see FIG. 1), a pin 100 (see FIG. 6) disposed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41,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pin 10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41 and includes a sliding bearing 200 (see FIG. 6) having a tapered portion 210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sliding bearing 200 refers to a sliding bea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를 구성하는 프레임(30)과, 하우징(40)과, 핀(100)과, 슬라이딩 베어링(20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베어링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따라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frame 30, housing 40, pin 100, and sliding bearing 200 that constitute the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liding bearing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 same as what was described. Therefore, detailed explanations will be omitted and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에서,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테이퍼부(210)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소정의 길이는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전체 길이에 비하여 25% ~ 37.5%이다. In the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pered portion 210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predetermined length is 25 times great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sliding bearing 200. % ~ 37.5%.

또한, 슬라이딩 베어링(200)은 하우징(40)의 제2 연결부(41)에 억지끼움 되는 경우,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 일측에는 테이퍼부(220)가 형성된다.Additionally, when the sliding bearing 200 is press-fit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41 of the housing 40, a tapered portion 2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또한,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테이퍼부(210)의 길이는,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테이퍼부(220)의 길이와 동일하다.Additionally, the length of the tapered portion 210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is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tapered portion 220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또한,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테이퍼부(220)는 단부에서 최대 깊이를 갖고, 최대 깊이는 0.25mm이다.In addition, the tapered portion 220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has a maximum depth at the end, and the maximum depth is 0.25 mm.

또한,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테이퍼부(220)는 단부에서 최대 깊이(TD2)를 갖고, 최대 깊이는 0(영) 보다 크면서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두께(TH)의 0.5% 이하이다. In addition, the tapered portion 220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has a maximum depth (TD2) at the end, and the maximum depth is greater than 0 (zero) and 0.5 of the thickness (TH) of the sliding bearing 200. % or less.

또한,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테이퍼부(210)의 최대 깊이(TD1)와, 슬라이딩 베어링(200)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테이퍼부(220)의 최대 깊이(TD2)는 관계식으로 산출되고, 상기 관계식은 상술한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ximum depth (TD1) of the tapered portion 210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and the maximum depth (TD2) of the tapered portion 220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00 are expressed by the relational equation It is calculated as, and the above relational expression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1]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실시 형태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형태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bove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illustrated in each embodiment can be combined or modified and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by a person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focuses on the embodimen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You will se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illustrated are possible. In other words,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these variations and differences in applica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30: 프레임(Frame)
31: 제1 연결부
40: 하우징(Housing)
41: 제2 연결부
100: 핀
200: 슬라이딩 베어링
210: 슬라이딩 베어링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테이퍼부
220: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테이퍼부
th, TH: 슬라이딩 베어링의 두께
h, H: 슬라이딩 베어링의 관통홀
TL1: 슬라이딩 베어링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테이퍼(Taper) 길이
TL2: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테이퍼(Taper) 길이
TD1: 슬라이딩 베어링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테이퍼(Taper) 깊이
TD2: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테이퍼(Taper) 깊이
30: Frame
31: first connection part
40: Housing
41: second connection portion
100: pin
200: sliding bearing
210: Taper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220: Taper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th, TH: Thickness of sliding bearing
h, H: Through hole of sliding bearing
TL1: Taper length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TL2: Taper length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TD1: Taper depth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TD2: Taper depth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a sliding bearing

Claims (7)

외주면 일측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슬라이딩 베어링으로써,
상기 테이퍼부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소정의 길이는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의 전체 길이에 비하여 25% ~ 37.5%인, 슬라이딩 베어링.
It is a sliding bearing with a taper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The tapered portion has a predetermined length,
A sliding bearing wherein the predetermined length is 25% to 37.5% of the total length of the sliding bearing.
제1 연결부를 갖는 프레임;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내에 배치되는 핀; 및
상기 핀과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면 일측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슬라이딩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퍼부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상기 소정의 길이는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의 전체 길이에 비하여 25% ~ 37.5%인, 건설기계.
a frame having a first connection;
a housing having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 pin disposed with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It includes a sliding bearing disposed between the pi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having a taper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tapered portion has a predetermined length,
Construction equipment, wherein the predetermined length is 25% to 37.5% of the total length of the sliding bear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은 상기 제2 연결부에 억지끼움 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 일측에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건설기계.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sliding bearing is press-fit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a tapered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테이퍼부의 길이는,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테이퍼부의 길이와 동일한, 건설기계.
According to claim 3,
The length of the taper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is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taper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테이퍼부는 단부에서 최대 깊이를 갖고, 상기 최대 깊이는 0보다 크면서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의 두께의 0.5% 이하인, 건설기계.
According to claim 3,
A taper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has a maximum depth at an end, and the maximum depth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0.5% of the thickness of the sliding bear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테이퍼부의 최대 깊이(TD1)와,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테이퍼부의 최대 깊이(TD2)는 관계식으로 산출되고, 상기 관계식은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되는, 건설기계.
[수학식 1]
TD1 * 죔쇄량 * 1.76 = TD2
According to claim 3,
The maximum depth (TD1) of the taper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and the maximum depth (TD2) of the taper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are calculated by a relationship, and the relationship formula is as follows [Equation 1] Expressed together, construction machinery.
[Equation 1]
TD1 * clamping amount * 1.76 = TD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테이퍼부는 단부에서 최대 깊이를 갖고, 상기 최대 깊이는 0보다 크면서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의 두께의 0.5% 이하인, 건설기계.
According to claim 6,
A taper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bearing has a maximum depth at an end, and the maximum depth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0.5% of the thickness of the sliding bearing.
KR1020220030782A 2022-03-11 2022-03-11 Sliding bearing and construction machinery including the same KR2023013359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782A KR20230133597A (en) 2022-03-11 2022-03-11 Sliding bearing and construction machiner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782A KR20230133597A (en) 2022-03-11 2022-03-11 Sliding bearing and construction machinery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597A true KR20230133597A (en) 2023-09-19

Family

ID=8819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782A KR20230133597A (en) 2022-03-11 2022-03-11 Sliding bearing and construction machinery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359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414A (en) 2010-11-17 2012-05-2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Sliding bearing having improved lubrication proper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414A (en) 2010-11-17 2012-05-2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Sliding bearing having improved lubrication proper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044B1 (en) Oil-free chain
US8419285B2 (en) Sliding bearin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sliding bearing device
US8714825B2 (en) Plain bearing and bearing device
US9121343B2 (en) Connecting rod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2016115874B4 (en) Bearing device for a crankshaf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009195B2 (en) Oil-free chain with joint link unit
JP4217002B2 (en) End seal assembly with stationary seal ring
JP6796537B2 (en) Connecting rod bearings and bearing equipment
KR20230133597A (en) Sliding bearing and construction machinery including the same
EP3405688A1 (en) Self-lubricating oscillating pin joint
CA1083211A (en) Sleeve bearing
JP5014232B2 (en) Oil-free chain with joint link unit
US20130004103A1 (en) Sleeve Bearing with Shell Portions of Unequal Extent
CN110748557A (en) Novel damping aligning slide bearing
JPH11511094A (en) Truck bush assembly and method
CN110230639B (en) Connecting rod small end bushing, machining method and equipment
JP4302763B1 (en) Oil-free chain with joint link unit
KR101702135B1 (en) A joint structure for construction equipments
JP2011069486A (en) Bearing device
KR200348332Y1 (en) Connection of pin and bushing
Kopeliovich Geometry and dimensional tolerances of engine bearings
JP6196796B2 (en) Connecting rod
JP4744825B2 (en) Crankshaft
CN215927778U (en) Octagonal bushing structure for rotor pump
JP5603616B2 (en) Engine and engine lower metal shortage inspect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