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158A -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 Google Patents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158A
KR20230132158A KR1020220029346A KR20220029346A KR20230132158A KR 20230132158 A KR20230132158 A KR 20230132158A KR 1020220029346 A KR1020220029346 A KR 1020220029346A KR 20220029346 A KR20220029346 A KR 20220029346A KR 20230132158 A KR20230132158 A KR 20230132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less
cover
live wire
indirect live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권
이원정
봉하국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29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158A/ko
Publication of KR2023013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15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간접활선으로 약 90cm의 이격거리를 확보하면서 측부 바인드 시공 작업이 가능한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가 개시된다. 상기 바인드리스 커버는, 애자의 머리 부분에 설치되는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에 힌지 결합되는 상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에 체결되어 상기 애자의 상단에 상기 하부 몸체를 고정 체결하는 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Bindless cover for working indirect live wire}
본 발명은 바인드리스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간접 활선 작업용 측부 바인드리스 커버에 대한 것이다.
약 229kV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직접활선으로 측부 바인드 시공은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상존한다. 일반적으로 간접활선 작업은 약 90cm의 이격거리를 확보하며 안전하게 작업하기 위해 절연스틱을 사용한다. 측부 바인드 설치를 위한 간접활선용 기자재 부재로 상대적으로 공사비가 비싼 타공법이 적용중이다.
일반적으로 바인드리스 커버는 애자와 전선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 1 커버(미도시), 제 2 커버(미도시), 제 1 커버(미도시)와 제 2 커버(미도시)를 볼트 결합시키는 고정볼트(미도시)와 고정너트(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방식에 의하면 간접 활선용 절연 스틱으로 고정볼트와 고정너트를 체결하므로 작업자의 시공이 어려워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고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의 경우 필요 이상의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시공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절연 스틱을 이용한 볼트 결합 중 필요 이상의 토크로 고정시키게 되면, 전선과 애자에 변형을 발생시켜서, 시공불량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간접활선 공법의 특성상 결합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개선된 결합 방식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각도(5°∼15°)주에 설치하는 LP(Line Post) 애자는 측부 바인드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직접활선으로 측부 바인드 시공은 가능하지만, 간접활선으로 약 90cm의 이격거리를 확보하면서 측부 바인드 시공 작업은 현재 불가능하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 10-2021-0105526 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간접활선으로 약 90cm의 이격거리를 확보하면서 측부 바인드 시공 작업이 가능한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접활선 절연스틱 작업이 가능한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부 바인드 작업의 간접활선 전환을 통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를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간접활선으로 약 90cm의 이격거리를 확보하면서 측부 바인드 시공 작업이 가능한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바인드리스 커버는,
애자의 머리 부분에 설치되는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에 힌지 결합되는 상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에 체결되어 상기 애자의 상단에 상기 하부 몸체를 고정 체결하는 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에는 후단에 상기 힌지 결합을 위해 스토퍼가 형성되고, 앞단에 상기 금구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에는 상기 체결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애자의 상기 머리 부분에 형성되는 애자 고정홈에 삽입되는 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밴드는 바깥쪽면과 내쪽면이 일정한 두께와 일정한 곡률을 갖는 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에는 2개의 단차가 가로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힌지핀에 의해 고정 체결되도록 상기 스토퍼와 엇갈리게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에는 상기 애자 고정홈을 기준으로 양쪽에 돌출되는 돌출턱중 하나가 돌출되도록 빈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에는 상기 애자 고정홈을 기준으로 양쪽에 돌출되는 돌출턱중 나머지가 안착되도록 제 1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안착홈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상기 밴드의 바깥쪽면이 안착되도록 제 2 안착홈이 형성되고,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에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볼트 체결을 위한 제 1 나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구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하부 몸체의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표면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제 2 나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구는 양쪽에 날개가 있는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에는 전선을 수납하는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홈의 표면에는 전선이 장력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밀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가로 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 무늬는 일자 형태의 필름이 일정 간격으로 여러 개 형성되거나 요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접활선으로 약 90cm의 이격거리를 확보하면서 측부 바인드 시공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간접활선 공법 현장적용 확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측부 바인드 작업의 간접활선 전환을 통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라 조립된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인드리스 커버를 전선측에 이동시킨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이동이후, 상부 몸체를 닫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상부 몸체를 닫은후, 볼트를 체결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A-A축으로 절개한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100)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100)는, 애자(10)의 상단에 설치되는 하부 몸체(110), 하부 몸체(110)에 힌지 결합되는 상부 몸체(120), 상기 하부 몸체(110)에 체결되어 상기 애자(10)의 상단에 상기 하부 몸체(110)를 고정 체결하는 금구(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애자(110)는 LP(Line Post) 애자이다.
하부 몸체(110)의 앞단에는 금구(130)와 체결되는 체결부(113)가 형성되며, 애자(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애자 고정홈(11)에 삽입되는 밴드(114)가 형성되고, 밴드(114)의 후면에 제 1 나사홈(112)이 형성된다. 또한, 힌지 결합을 위해 스토퍼(11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부(113)에 일체로 연결되어 애자(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애자 고정홈(11)에 삽입되는 밴드(114)가 형성된다. 체결부(113)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 형상이며, 밴드(114)로부터 앞쪽으로 길게 돌출되는 형상이다.
밴드(114)는 바깥쪽면과 내쪽면이 일정한 두께와 일정한 곡률을 갖는 휜 형태로 내쪽면에는 애자의 첨탐부위에 삽입되도록 일정한 폭을 갖는 곡면을 갖는다. 따라서, 애자 고정홈(11)에 밴드(114)가 안착된다.
또한, 밴드(114)는 애자(10)의 머리 부분을 끼워 바인드리스 커버(100)가 전선(20)을 잡으며, 애자 2개의 뿔 사이에 걸리는 부분이 전선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전선(20)의 측방향 장력으로 인한 바인드리스 커버(100)의 비틀림(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부 몸체(120)에는 스토퍼(111)와 엇갈리게 결합되는 결합부(121)가 형성되며, 스토퍼(111)와 결합부(121)는 힌지핀(140)이 삽입되어 체결된다. 즉, 경첩과 유사하게 스토퍼(111)는 일정 간격으로 두고 여러 개 형성되고, 이 일정 간격에 삽입되는 결합부(121)를 힌지핀(140)으로 고정체결한다.
상부 몸체(120)는 2개의 단차로 도면을 기준으로 위쪽에서부터 아래쪽으로 갈수록 가로폭이 좁아지는 형상이며, 가장자리에 관통홀(122)이 형성된다. 또한, 무게도 줄이고 애자 고정홈(11)을 기준으로 양쪽에 돌출되는 돌출턱중 하나가 돌출되도록 빈공간(123)을 형성한다. 물론, 밴드(114)의 표면 및 다른 하나의 돌출턱을 고정하기 위한 안착홈(미도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6에 도시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금구(130)는 상기 하부 몸체(110)에 체결되어 상기 애자(10)의 상단에 상기 하부 몸체(110)를 고정 체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금구(130)의 가장자리에는 하부 몸체(110)의 체결부(113)가 삽입되는 삽입홀(131)이 형성되며, 표면에는 제 2 나사홈(132)이 형성된다. 금구(130)는 양쪽에 날개가 있는 U자 형상이다.
금구(130)가 체결부(113)에 삽입되면, 체결을 위해 와셔(162)를 체결부(113)에 삽입하고, 너트(161)를 체결한다. 따라서, 금구(130)는 애자(10)의 맨위쪽 원판과 맨위쪽으로부터 2번째 원판 사이에 삽입되어 하부 몸체(110)를 애자 상단에 고정한다.
이후, 상부 몸체(120)를 시계방향으로 덮어 와셔(152)를 볼트(151)에 삽입하여 볼트(151)를 나사홈(112,132)에 스크류식으로 체결한다. 물론, 나사홈(112,113)에도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볼트(151)의 나사산과 나사홈(112,113)의 나사산이 치합된다.
도 2는 도 1에 따라 조립된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10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몸체(110) 및 상기 상부 몸체(120)에는 전선을 수납하는 요홈(210)이 형성된다. 이 요홈(210)의 표면에는 바인드리스 커버가 LP애자에 설치되어 전선을 잡을 때, 전선이 장력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밀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가로 무늬가 형성된다.
즉, 일자 형태의 필름이 일정 간격으로 여러 개 형성된다. 즉, |||||||와 같은 형태의 가로무늬가 형성된다. 물론, 필름이 아니라 요철(凹凸)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필름 형태의 경우, 필름상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이용하여 요홈(210)에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가로무늬로 인해 전선 피복과의 마찰을 통해 전선(20)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애자(10)의 머리 부분(즉 상단 또는 첨두)에 하부 몸체(110), 상부 몸체(120), 금구(130)를 조립한다. 물론, 하부 몸체(110)와 상부 몸체(120)는 힌지(230)에 의해 결합된다. 즉, 힌지 결합된다.
또한, 하부 몸체(110), 상부 몸체(120), 및 금구(130)의 재질로는 전기 절연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사용되나, 금속, 비철 금속도 사용될 수 있다.
상부 몸체(120)는 특고압 전선과 90cm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상부 몸체(120)를 닫아 하부 몸체(110)와 결합하기 위하여 절연스틱의 집게를 잡는 부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인드리스 커버(100)를 전선(20)측에 이동시킨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선(20)이 하부 몸체(110)에 형성된 요홈(210)에 삽입된 상태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이동이후, 상부 몸체(120)를 닫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몸체(120)를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여 하부 몸체(110)에 밀착시킨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상부 몸체(120)를 닫은후, 볼트(151)를 체결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몸체(120)와 하부 몸체(110)/금구(130)에 대해 볼트(151)로 체결한다. 금구(130)와 하부 몸체(110)에 대해 너트(161)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도 6은 도 5에서 A-A축으로 절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부 몸체(120)에는 애자 고정홈(11)을 기준으로 양쪽에 돌출되는 돌출턱중 나머지가 안착되도록 제 1 안착홈(601)이 형성되고, 제 1 안착홈(601)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밴드(114)의 바깥쪽면이 안착되도록 제 2 안착홈(602)이 형성된다. 밴드(114)는 애자 고정홈(11)에 삽입 안착된다.
측부 바인드 작업의 간접활선 전환을 통해 공사비는 년간 약 114억원정도 절감된다. 즉, 공사건별 공사비의 종래의 596만원에서 120만원으로 감소하면, 부연하면, 476만원 절감이 가능하다. 따라서, 1건/월 x 12개월 x 200개 사업소 x 공사비 = 114억원이다.
10: 애자 20: 전선
11: 애자 고정홈
100: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110: 하부 몸체
111: 스토퍼 112: 제 1 나사홈
113: 체결부 114: 밴드
120: 상부 몸체
121: 결합부 122: 관통홀
130: 금구
131: 삽입홀 132: 제 2 나사홈
140: 힌지핀
151: 볼트
161: 너트
210: 요홈
230: 힌지

Claims (13)

  1. 애자(10)의 머리 부분에 설치되는 하부 몸체(110);
    상기 하부 몸체(110)에 힌지 결합되는 상부 몸체(120); 및
    상기 하부 몸체(110)에 체결되어 상기 애자(10)의 상단에 상기 하부 몸체(110)를 고정 체결하는 금구(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110)에는 후단에 상기 힌지 결합을 위해 스토퍼(111)가 형성되고, 앞단에 상기 금구(130)와 체결되는 체결부(1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110)에는 상기 체결부(113)에 일체로 연결되어 애자(10)의 상기 머리 부분에 형성되는 애자 고정홈(11)에 삽입되는 밴드(1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114)는 바깥쪽면과 내쪽면이 일정한 두께와 일정한 곡률을 갖는 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120)에는 2개의 단차가 가로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힌지핀(140)에 의해 고정 체결되도록 상기 스토퍼(111)와 엇갈리게 결합되는 결합부(1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120)에는 상기 애자 고정홈(11)을 기준으로 양쪽에 돌출되는 돌출턱중 하나가 돌출되도록 빈공간(1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120)에는 상기 애자 고정홈(11)을 기준으로 양쪽에 돌출되는 돌출턱중 나머지가 안착되도록 제 1 안착홈(60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안착홈(601)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상기 밴드(114)의 바깥쪽면이 안착되도록 제 2 안착홈(602)이 형성되고, 볼트(151)가 관통하는 관통홀(1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110)에는 상기 관통홀(122)을 통해 볼트 체결을 위한 제 1 나사홈(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구(130)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하부 몸체(110)의 상기 체결부(113)가 삽입되는 삽입홀(131)이 형성되며, 표면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제 2 나사홈(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금구(130)는 양쪽에 날개가 있는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110) 및 상기 상부 몸체(120)에는 전선을 수납하는 요홈(2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210)의 표면에는 전선(20)이 장력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밀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가로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무늬는 일자 형태의 필름이 일정 간격으로 여러 개 형성되거나 요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KR1020220029346A 2022-03-08 2022-03-08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KR20230132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346A KR20230132158A (ko) 2022-03-08 2022-03-08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346A KR20230132158A (ko) 2022-03-08 2022-03-08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158A true KR20230132158A (ko) 2023-09-15

Family

ID=8801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346A KR20230132158A (ko) 2022-03-08 2022-03-08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21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5526A (ko) 2020-02-19 2021-08-27 지상현 터치식 전선 고정용 lp 애자 바인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5526A (ko) 2020-02-19 2021-08-27 지상현 터치식 전선 고정용 lp 애자 바인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87518B (zh) 電纜夾組件
US9076899B2 (en) Grounding element for solar panel mounting systems
US6659702B2 (en) Bolting structure for magnesium alloy member
US6503020B1 (en) Connector system for structural members
US7562848B2 (en) Single bolt deadend anchor clamp
KR20230132158A (ko)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인드리스 커버
JP2010051050A (ja) ケーブルラックの継ぎ構造
US8286305B2 (en) Gate hinge
US10605290B1 (en) Connector assembly
FR2516315A1 (fr) Dispositif d'attache pour relier un cable a un support
US20110189901A1 (en) Wire clamp
CN216162377U (zh) 一种拉线金具用夹持装置
US11677227B2 (en) Dual tongue strap cleat bracket
DE102011081284B3 (de) Lagerteil eines Fensters, einer Tür oder dergleichen
US9856900B1 (en) Step Bolt Connector Assembly
KR20200115970A (ko) 애자 장착형 전력선 고정장치
FR2703197A1 (fr) Armoire de distribution, montée sur un socle et ayant des barrettes amovibles de support de câbles.
JP2002310128A (ja) 吊りボルト用ワイヤー支持金具
US7104742B1 (en) Straight-aligning rail system
KR200426175Y1 (ko) 전산볼트 및 안테나 선택고정용 원터치 복합클램프
KR102639215B1 (ko) 완철밴드 조립체
JP4472062B2 (ja) 固定装置
US20190003187A1 (en) Variable Angle Stair Railing Bracket Hinge
KR102277192B1 (ko) 프로파일 겸용 케이블 가이드바
JPH0333156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