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818A - 상대적으로 좁은 표면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 - Google Patents

상대적으로 좁은 표면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818A
KR20230131818A KR1020237014165A KR20237014165A KR20230131818A KR 20230131818 A KR20230131818 A KR 20230131818A KR 1020237014165 A KR1020237014165 A KR 1020237014165A KR 20237014165 A KR20237014165 A KR 20237014165A KR 20230131818 A KR20230131818 A KR 20230131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eye
conveyor belt
portions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르 에르덴 해리 반
검 버터
안데르센 케네스 웨스터가드
Original Assignee
마렐 폴트리 비.브이.
아메랄 벨테크 모듈러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렐 폴트리 비.브이., 아메랄 벨테크 모듈러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마렐 폴트리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30131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8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surface being formed by the traction element
    • B65G17/08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surface being formed by the traction element specially adapted to follow a curved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8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surface being formed by th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65G17/40Chains acting a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0Modular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326Chains, cables or the like
    • B65G2812/02376Chains, cable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lt Convey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사이드 플렉싱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컨베이어 벨트 모듈이 제시되며, 길이 방향 표면 폭과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에 배치된 눈 부분의 최대 폭 사이의 폭 비율은 중심에 배치된 눈 부분의 양쪽 측면 상에 배치된 눈 부분에 대한 폭 비율보다 더 작다.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하나 이상의 요소를 운반하기 위한 방법 및 하나 이상의 요소를 운반하기 위한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의 용도가 추가로 제시된다.

Description

상대적으로 좁은 표면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 모듈, 더욱 구체적으로 사이드 플렉싱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컨베이어 벨트 모듈, 그리고 추가적으로 대응하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하나 이상의 요소를 운반하기 위한 방법 및 컨베이어 벨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는 내구성이 있고, 오염을 피하거나 감소시키도록 배열되고/배열되거나 용이하게 및/또는 효과적으로 세척되도록 배열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염은 특히 생선, 가금류 또는 육류와 같은 식품을 운반할 때 거의 불가피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감소되거나 회피되어야 한다.
특히 조립된 컨베이어 벨트가 육류 또는 채소와 같은 식품에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모듈로부터 조립된 컨베이어 벨트를 세척할 필요성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종종 사용되는 압력 와셔(washer)의 경우에도, 이러한 벨트는 식품 또는 잔해와 같은 다른 원하지 않는 재료를 모을 수 있는 공동(void), 틈새, 정점 또는 에지를 갖기 때문에 조립된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를 적절히 세척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개선된 컨베이어 벨트 모듈 및 대응하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하나 이상의 요소를 운반하기 위한 방법 및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의 용도는 유리할 것이며, 특히 내구성을 개선하고 오염을 감소시키고/감소시키거나 압력 와셔 또는 워터 제트(water jet)로의 세척 중의 세척성과 같은 세척성을 개선한 개선된 컨베이어 벨트 모듈 및 대응하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하나 이상의 요소를 운반하기 위한 방법 및 컨베이어 벨트의 용도가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를 극복하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 및 대응하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하나 이상의 요소를 운반하기 위한 방법 및 컨베이어 벨트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일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목적 및 몇몇 다른 목적은 사이드 플렉싱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컨베이어 벨트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 획득되도록 의도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 모듈은,
- 제1 축을 규정하는 눈(eye) 부분의 제1 세트, 및
- 제2 축을 규정하는 눈 부분의 제2 세트를 포함하고,
눈 부분은,
- 눈 부분의 1차 그룹,
- 눈 부분의 2차 그룹을 포함하고, 눈 부분의 2차 그룹은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축을 따라 눈 부분의 1차 그룹의 양쪽 측면 상에 배치된 눈 부분을 포함하고,
-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하고,
- 제1 축 및 제2 축 모두와 교차하는
라인에 직교하는 단면 평면(cross-sectional plane)에서,
임의의 눈 부분의 제1 폭 비율은,
- 단면 평면에서의 축을 따른 제1 방향으로 원위 단부(distal end)에서 눈 부분의 표면의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하고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폭 대
- 눈 부분의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최대 폭
의 비율로서 주어지고,
임의의 눈 부분의 제2 폭 비율은,
-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원위 단부에서 눈 부분의 표면의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폭 대
- 눈 부분의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최대 폭
의 비율로서 주어지고,
제1 폭 비율 및/또는 제2 폭 비율은 눈 부분의 2차 그룹 내의 눈 부분에 비해 눈 부분의 1차 그룹 내의 눈 부분에 대해 더 작다.
본 발명의 가능한 이점은 눈 부분의 2차 그룹 내의 눈 부분에 비해 눈 부분의 1차 그룹 내의 눈 부분에 대해 더 작은 제1 폭 비율 및/또는 제2 폭 비율을 가짐으로써, 즉, 눈 부분의 2차 그룹의 눈 부분들 사이에 샌드위칭된 눈 부분의 1차 그룹에 대해 더 작은 적어도 하나의 폭 비율을 갖는 것에 대해, 눈 부분의 1차 그룹에 의해 전달되는 객체는 컨베이어를 구동하기 위한 작동 수단과 상호 작용하는 2차 그룹의 눈 부분의 주어진 폭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표면적 접촉에 비해 전달하는 눈 부분의 주어진 폭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표면적 접촉을 갖는다는 것일 수 있다. 폭은 강도에 따라 스케일링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따라서, (주어진 폭 또는 강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표면적이 작동 수단과 상호 작용할 수 있으면서,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의 중간/중심/샌드위칭된 부분에서 (주어진 폭 또는 강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표면적이 예를 들어, (생선, 육류 또는 가금류와 같은) 오염 객체와 상호 작용하는 것이 달성된다. 이것은 결국 (눈 부분의 1차 그룹 내의) 상대적으로 낮은 폭 비율이 (물과 같은) 용제가 눈 부분 사이에 더 쉽게 들어갈 수 있음으로 인한 쉽고/쉽거나 효과적인 세척, 그리고 (눈 부분의 2차 그룹 내의) 상대적으로 큰 폭 면적이 더 작은 수직력을 생성하므로 더 적은 마찰 따라서 더 적은 마모를 생성함으로 인한 더 큰 내구성, 상대적으로 낮은 폭 비율로 인한 오염의 최소 피착을 허용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 모듈'은 선택적으로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의 일부 또는 모두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축 및 제2 축을 통한 로드에 의해, 다른 유사하거나 동일한 모듈과 같은 다른 모듈과 결합될 수 있는 모듈로 이해될 수 있으며, 모듈의 하나 이상의 표면은 컨베이어 벨트의 부하 표면을 형성한다.
중심 평면은,
-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축, 및
-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하고 제1 축 및 제2 축 모두와 교차하는 축에 의해 걸쳐 있다.
컨베이어 벨트 모듈은 중심 평면 및/또는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부하 지지 표면과 같은 부하-지지 표면을 갖는다. (최외곽 눈 부분들 사이와 같은)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중심 부분의 부하 지지 표면은 하나 또는 양쪽 최외곽 눈 부분의 부하 지지 표면과 동일 높이일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 모듈은 동일한 컨베이어 벨트 모듈에 연결될 수 있어 (중간 요소가 없는 것과 같이 직접) 연결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부하 지지 표면은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하는 단면 평면에서 편평하고 중단되지 않는 부하 지지 표면을 갖는다.
컨베이어 벨트 모듈은 눈 부분의 제1 세트가 (중심 평면에서 그리고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하는) 제1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눈 부분의 제2 세트가 제1 횡방향과 (역평행과 같이) 대향하는 것과 같이,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중심 평면에서 그리고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하는) 제2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세장형(그리고 제1 축 및/또는 제2 축의 방향으로 배향되는) 중심 빔을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는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벨트 모듈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견인 요소를 포함하는 무단(endless) 컨베이어로 이해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은 견인 요소의 표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는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구부러진 경로를 따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렉싱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side flexing modular conveyor belt)'는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으로 이해되며, 여기서 복수의 선택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은 컨베이어 벨트로 결합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적어도 100 m 이하, 10 m 이하, 1 m 이하의 회전 반경을 갖는 반경과 같이 (수직 축 주위에서의 회전을 허용하는 수평 평면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에 대해서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의 평면에서의 회전을 허용한다. 사이드 플렉싱은 예를 들어, 탄성 재료와 같이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진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가짐으로써 및/또는 길쭉한 눈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과 같이, 이를 포함하는 눈 부분의 제1 세트 및/또는 눈 부분의 제2 세트를 가짐으로써 허용될 수 있다. 사이드 플렉싱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는 일반적으로 곡선의 경로를 따르도록 구성될 수 있는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로 이해될 수 있다.
'눈 부분의 제1 세트' 또는 '눈 부분의 제2 세트'는 본 기술 분야에 통상적인 바와 같이 직선의 강성 또는 유연한 로드가 눈 부분의 제1 또는 제2 세트를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제1 축을 규정하는 것' 또는 '제2 축을 규정하는 것'은 눈 부분의 제1 또는 제2 세트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과 같은 축이 눈 부분의 제1 또는 제2 세트에 의해 규정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축이 곡선이 것이 포함된다. 제1 및/또는 제2 축은 직선일 수 있다. 제1 축 및 제2 축은 평행한 것과 같이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눈 부분의 제1 세트 및/또는 눈 부분의 제2 세트는 (동일한 수평 평면에 있는 제1 및 제2 축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경우에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수평 주 축을 갖는 홀(hole)과 같이) 제1 축 및 제2 축의 각각과 교차하는 라인과 평행한 방향인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가장 긴 연장을 갖는 길쭉한 홀과 같은 길쭉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눈 부분의 1차 그룹'은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축을 따라 눈 부분의 제2 그룹으로부터 눈 부분들 사이에 샌드위칭된 눈 부분의 그룹으로 이해된다. 눈 부분의 1차 그룹은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중간에 있는 중간 평면의 양쪽 측면 상에서와 같이 중심에 배열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주위에 실질적으로 대칭)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할 수 있다. 눈 부분의 1차 그룹은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에서 사용하는 동안 객체를 전달하기에 적합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영역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눈 부분의 2차 그룹'은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의 사용 중에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사용 중에 구동 수단과 상호 작용하기에 적합한 것과 같이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축을 따라 눈 부분의 1차 그룹의 양쪽 측면 상에 배치된 눈 부분으로 이해된다.
'폭 비율'은 중심 평면에 대해 원위에 있는 표면의 폭과 눈 부분의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최대 폭 사이의 비율로 이해되며, 여기서 '제1' 및 '제2' 표면 폭 비율은,
-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축, 및
- 수평 배향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경우 "위" 및 "아래"와 같이,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하고 제1 축 및 제2 축 모두와 교차하는 축
에 의해 걸쳐 있는 중심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각각의 방향으로의 표면 폭 비율을 지칭한다.
표면 폭은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편평한 부분의 폭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실용적인 목적(실제 거칠기, 툴링(tooling) 반경 등)을 위해 중심 평면에 대해 가장 원위 지점보다 중심 평면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측정된 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평면으로부터 (예를 들어, 중심 평면과 중심 평면으로부터 가장 원위 지점 사이의 거리의 99%인 위치에 대응하는) 눈 부분의 가장 원위 위치까지 전체 거리의 2%, 5%, 10%, 20%와 같이 1% 더 가까운 거리와 같이, 가장 원위 지점보다 중앙 평면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표면 폭이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평면으로부터 눈 부분의 가장 원위 지점까지 전체 거리의 2 mm, 5 mm, 10 mm, 20 mm와 같이 1 mm 더 가까운 거리와 같이, 가장 원위 지점보다 중심 평면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표면 폭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비율이 ws/wi로 주어지는 것과 같이, 폭 비율은 분자의 표면 폭 ws 및 분모의 최대 폭 wi로 주어질 수 있음이 이해된다.
낮은 폭 비율은 상대적으로 작은 표면 폭(및 이에 따른 면적)에 유리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눈 부분과 전달될 객체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고/최소화하거나 주어진 최대 폭(따라서 눈 부분의 강도)에 대한 눈 부분들 사이의 체적으로의 (물과 같은) 세척 용액에 대한 접근을 최대화하는 데 적절할 수 있다. 주어진 최대 폭(따라서 눈 부분의 강도)에 대해 비교적 널은 표면 폭(따라서 면적)을 갖기 위한 높은 폭 비율은 유리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컨베이어를 구동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및/또는 상기 액추에이터와 접촉하는 눈 부분의 마모를 감소시기 위해 적절할 수 있다. 눈 부분의 낮은 폭 비율은 예를 들어, 45° 기울어진 측면과 같이 눈 부분의 기울어진 측면을 가짐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제1 폭 비율 및/또는 제2 폭 비율이 눈 부분의 2차 그룹 내의 눈 부분에 비해 눈 부분의 1차 그룹 내의 눈 부분에 대해 더 작다'는 것은 눈 부분의 1차 그룹 내의 눈 부분에 대한 제1 폭 비율이 눈 부분의 2차 그룹 내의 눈 부분에 대한 제1 폭 비율보다 작고/작거나 눈 부분의 1차 그룹 내의 눈 부분에 대한 제2 폭 비율이 눈 부분의 2차 그룹 내의 눈 부분에 대한 제2 폭 비율보다 작은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중심 평면의 한쪽 또는 양쪽 측면 상에서 폭 비율은 눈 부분의 (샌드위칭된) 2차 그룹에 대한 것보다 눈 부분의 (샌드위칭된) 1차 그룹 내의 눈 부분에 대해 더 작을 것이다.
'A보다 작은 B'는 일반적으로 A가 B의 102% 이상, B의 105% 이상, B의 110% 이상, B의 125% 이상, B의 150% 이상, B의 200% 이상, B의 500% 이상, B의 1000% 이상과 같이 B의 101% 이상이고/이상이거나 (길이 단위의 경우에) A가 B보다 적어도 2 mm 더 크고, B보다 적어도 5 mm 더 크고, B보다 적어도 10 mm 더 크고, B보다 적어도 25 mm 더 크고, B보다 적어도 50 mm 더 크고, B보다 적어도 100 mm 더 크고, B보다 적어도 500 mm 더 크고, B보다 적어도 1000 mm 더 큰 것과 같이, B보다 적어도 1 mm 더 크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이 제시되며, 여기에서 눈 부분의 1차 그룹 내의 듀티 비율(이는 펄스 지속 시간의 비율의 퍼센티지 또는 파형의 전체 주기(T)에 대한 펄스 폭(PW)과 같이 신호 또는 시스템이 능동인 하나의 주기의 비율과 같은 듀티 사이클과 유사한 것으로 고려될 수 있음)이 눈 부분의 2차 그룹 내의 듀티 사이클보다 더 작다. 눈 부분의 그룹에 대한 듀티 비율은
- 눈 부분의 그룹 내의 눈 부분의 표면 폭(ws)과 그룹 내의 이웃 눈 부분들 사이의 거리(wep-ep) 사이의 ws/wep-ep, 및/또는
- 눈 부분의 그룹 내의 눈 부분의 표면 폭(wl)과 그룹 내의 이웃 눈 부분들 사이의 거리(wep-ep) 사이의 wl/wep-ep,
와 같은 비율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이 제시되며, 여기서 제1 거리는 단면 평면에서 축을 따른 거리로서 임의의 눈 부분에 대해 주어지며,
- 제1 방향으로 원위 단부에서의 눈 부분의 표면과
- 눈 부분의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최대 폭의 위치
사이의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하고,
제2 거리는 단면 평면에서 축을 따른 거리로서 임의의 눈 부분에 대해 주어지며,
- 제2 방향으로 원위 단부에서의 눈 부분의 표면과
- 눈 부분의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최대 폭의 위치
사이의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하고,
제1 거리 및/또는 제2 거리는 눈 부분의 2차 그룹 내의 눈 부분에 비해 눈 부분의 1차 그룹 내의 눈 부분에 대해 더 크다.
가능한 이점은 더 큰 거리는 세척 용제가 눈 부분들 사이의 체적으로 들어갈 더 많은 공간을 수반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거리 및 제2 거리는 대안적인 용어로 각각의 원위 표면으로부터 눈 부분의 가장 넓은 부분까지의 중심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거리의 (가장 짧은) 차로서 설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이 제시되며, 여기서 제1 거리는 단면 평면에서 축을 따른 거리로서 임의의 눈 부분에 대해 주어지고
- 제1 방향으로 원위 단부에서의 눈 부분의 표면과
- 눈 부분의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최대 폭의 위치
사이의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하고,
제2 거리는 단면 평면에서 축을 따른 거리로서 임의의 눈 부분에 대해 주어지고
- 제2 방향으로 원위 단부에서의 눈 부분의 표면과
- 눈 부분의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최대 폭의 위치
사이의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하고,
눈 부분의 1차 그룹 내의 눈 부분에 대한 제1 거리 및/또는 제2 거리는 2 mm 이상, 3 mm 이상, 5 mm 이상, 10 mm 이상과 같이 1 mm 이상이다.
상대적으로 큰 거리의 가능한 이점은 세척 용제가 눈 부분들 사이의 체적으로 들어갈 수 있는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한다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이 제시되며, 여기서 눈 부분의 1차 그룹 내의 눈 부분에 대한 제1 거리 및/또는 제2 거리는 눈 부분의 2차 그룹 내의 눈 부분에 대한 제1 거리 및/또는 제2 거리보다 크다. 'B보다 큰 A'는 일반적으로 A가 B의 102% 이상, B의 105% 이상, B의 110% 이상, B의 125% 이상, B의 150% 이상, B의 200% 이상, B의 500% 이상, B의 1000% 이상과 같이 B의 101% 이상이고/이상이거나 (길이 단위의 경우에) A가 B보다 적어도 2 mm 더 크고, B보다 적어도 5 mm 더 크고, B보다 적어도 10 mm 더 크고, B보다 적어도 25 mm 더 크고, B보다 적어도 50 mm 더 크고, B보다 적어도 100 mm 더 크고, B보다 적어도 500 mm 더 크고, B보다 적어도 1000 mm 더 큰 것과 같이, B보다 적어도 1 mm 더 크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이 제시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눈 부분이 중심 빔에 부착되고, 중심 빔에 부착된 눈 부분 중 하나 이상의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러한 하나 이상의 눈 부분의 두께는 중심 빔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한다. 가능한 이점은 세척 용제가 눈 부분들 사이의 체적에 들어갈 수 있는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한다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이 제시되며, 컨베이어 벨트 모듈은 중심 빔을 포함하고, 중심 빔은,
- 1차 빔 부분, 및
- 2차 빔 부분들을 포함하고, 2차 빔 부분은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축을 따라 1차 빔 부분의 양쪽 측면 상에 배치되고,
- 각각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원위 단부에서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단위 길이 당 제1 편평한 표면적 및/또는 제2 편평한 표면적
은 1차 빔 부분보다 2차 빔 부분에 대해 더 크다.
가능한 이점은 눈 부분에 대해 설명된 이점과 유사하게 1차 빔 부분에서 오염될 표면적이 작고 및/또는 세척 용제에 대한 더 나은 접근, 및 구동 수단과의 접촉시 2차 빔 부분에서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더 많은 표면적일 수 있다.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에서 단위 길이당 더 작은 표면적은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더 작은 길이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이 제시되며, 여기서 눈 부분의 1차 그룹의 눈 부분의 단면 평면의 하나 또는 양쪽 단부는
- 대칭 또는 비스듬한 삼각형과 같은, 가장 원위의 정점에서 (실질적으로) 직각을 갖는 대칭 삼각형과 같은 삼각형,
- 반원,
- 1/4 원,
- 뾰족한 아치(arch),
- 구부러진 아치, 및
- 3개 초과의 면들을 갖는 다각형
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형상을 갖는다.
형상의 더 작은 단부가 대응하는 눈 부분의 상대적으로 좁은 표면 프로파일을 생성하도록 이러한 형상 중 임의의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이 제시되며, 여기서 눈 부분의 2차 그룹의 눈 부분의 단면 평면의 한쪽 또는 양쪽 단부는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표면을 갖는 직사각형인 형상을 갖는다.
형상의 더 작은 단부가 대응하는 눈 부분의 상대적으로 좁은 표면 프로파일을 생성하도록 이러한 형상 중 임의의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가 제시되고, 여기서 눈 부분의 1차 그룹은 제1 축 및/또는 제2 축을 따른 방향으로 그리고 중간을 향하여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1차 거리를 점유하고, 1차 거리는 20 내지 50 cm와 같이 10 내지 100 cm이고/이거나,
눈 부분의 2차 그룹은 제1 축 및/또는 제2 축을 따른 방향으로 그리고 중간을 향하여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2차 거리를 점유하고, 2차 거리는 2 내지 10 cm, 3 내지 5 cm, 4 cm과 같이 1 내지 20 cm이다.
가능한 이점은 이러한 값이 1차 거리에 해당하는 것과 같이 객체를 운반하기 위한 섹션을 갖는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및/또는 2차 거리에 해당하는 것과 같이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섹션을 갖는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에 대해 적합하다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이 제시되며, 여기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은,
-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축,
-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하고 제1 축 및 제2 축 모두와 교차하는 축, 및
-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축, 및
-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하고 제1 축 및 제2 축 모두와 교차하는 상기 축
- 의 각각에 직교하는 축
중 하나 이상의 주위에서 2차 회전 대칭을 갖는다.
가능한 이점은 컨베이어 벨트 모듈이 회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거꾸로 뒤집힐 수 있고, (설치 중에 "풀-프루프(fool-proof)"인 것과 같이)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에 여전히 올바르게 장착될 수 있다는 것이다. 회전 대칭은 180° 회전 시 유사하거나 동일한 형상이 나타나는 회전 대칭과 같은 이중 회전 대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하고 제1 축 및 제2 축 모두와 교차하는 축 주위의) 2중 회전 대칭의 가능한 이점은 거꾸로와 같이 주위의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마모된 상부 측면의 경우에 이를 거꾸로 뒤집는 것과 같이 가능하게는 마모된 측면에 대해 다른 측면에 대해 마모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 모듈을 180°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유리할 수 있으며, 이는 이전의 마모되지 않은 하부 측면이 새롭게 사용할 준비가 된 상부 측면이 될 수 있게 하며, 즉 자원, 경제 및 환경의 측면에서 가능한 연관된 이점들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수명을 효과적으로 2배로 만든다.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이 제시되며, 여기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은 적어도
- 눈 부분의 제1 세트
- 눈 부분의 제2 세트, 및
- 재료 부분
을 포함하는 모놀리식 요소를 포함한다.
이것의 가능한 이점은 약한 연결부가 없기 때문에 강도가 증가한다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이점은 먼지, 박테리아 등이 부착할 수 있는 연결부가 없기 때문에 위생적이라는 것일 수 있다. 모놀리식 컨베이어 벨트 모듈은 예를 들어, 사출 몰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이 제시되며, 여기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은 단일 유형의 중합체 재료와 같은 중합체 재료로 구성되는 것과 같이 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이 제시되며, 여기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은 단일 유형의 중합체 재료와 같은 중합체 재료로 구성되는 것과 같이 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이 제시되며, 여기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은,
-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제1 축과 동일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제2 축이 동축이며,
-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제1 축을 따른 컨베이어 벨트 모듈과 동일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위치가 유사하거나 동일하도록
- 컨베이어 벨트 모듈 및 동일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을 위치시키고,
-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제1 눈 부분 및 동일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눈 부분의 제2 세트를 통해 로드(rod)를 삽입시킴으로써
동일한 컨베이어 벨트 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 플렉싱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컨베이어 벨트 모듈이 제시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 모듈은:
- 제1 축을 규정하는 눈 부분의 제1 세트, 및
- 제2 축을 규정하는 눈 부분의 제2 세트를 포함하고,
- 1차 단면 평면인 단면 평면은 1차 최외곽 눈 부분과 교차하고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하고, 1차 최외곽 눈 부분은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의해 규정된 치수에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1차 단부에서 최외곽에 배치된 눈 부분이고/부분이거나,
- 2차 단면 평면인 단면 평면은 2차 최외곽 눈 부분과 교차하고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하고, 2차 최외곽 눈 부분은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의해 규정된 치수에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2차 단부에서 최외곽에 배치된 눈 부분이고,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2차 단부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1차 단부에 대향되고,
컨베이어 벨트 모듈은
-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축, 및
- 단면 평면에 있고 제1 축 및 제2 축과 교차하는 축
에 의해 걸쳐 있는 중심 평면의 양쪽 측면 상에서,
- 중심 평면에 직교하고, 제1 눈 부분을 통해 직선과 같은 라인과 단면 평면 사이의 제1 교차점을 포함하는 평면, 및
- 중심 평면에 직교하고 제2 눈 부분을 통하는 직선과 같은 라인과 단면 평면 사이의 제2 교차점을 포함하는 평면
의 각각의 양쪽 측면 상의 부분을 갖는 위치를 갖는 재료의 부분을 포함한다.
추가로, 컨베이어 벨트 모듈에 부착하기 위한 것과 같이 조립된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유닛과 같은 부착 유닛이 개시되며, 부착 유닛은,
- 길이 방향,
- 각각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제1 횡방향,
- 길이 방향 및 제1 횡방향 각각에 수직인 제2 횡방향
을 규정하고,
부착 유닛은,
- 요소를 감속시키거나 차단하는 것과 같은 비행 부분;
- 부착 부분을 포함하고, 부착 부분은,
-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돌출부의 제1 세트; 및
-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돌출부의 제2 세트를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돌출부는 제1 횡방향으로 비행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고,
여기서 돌출부의 제1 세트 및 돌출부의 제2 세트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컨베이어 벨트 모듈과 같은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의 리세스(recess)와 결합하기 위한 후크(hook)와 같은, 길이 방향 및/또는 제2 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 및 캐비티를 갖고,
여기서 돌출부의 제1 세트는 제2 횡방향을 따라 오프셋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베이어 벨트 모듈 시스템이 제시되며, 컨베이어 벨트 모듈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서로,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 모듈 시스템에 연결된 부착 유닛 및 컨베이어 벨트 모듈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부착 유닛의 하나 이상의 돌기 및/또는 캐비티는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하나 이상의 리세스 및/또는 연장부와 결합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제1 양태에 따른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 모듈을 포함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가 제시된다. 선택적으로 모놀리식인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하나 이상의 표면은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의 부하 지지 표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되지 않은 식품과 같은 식품 및/또는 끈적거리는 제품을 운반하기에 적합한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가 제시되며, 포장되지 않은 식품은 동물성 단백질을 포함하고, 포장되지 않은 식품은 생선 또는 육류 또는 가금류 중 어느 하나이다. '식품을 운반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가 정상적 또는 예측 가능한 사용 조건 하에서 인간의 건강을 위험하게 하거나, 음식의 조성에 수용할 수 없는 변화를 야기하거나, 그 감각기 특성의 저하를 야기할 수 있는 수량으로 그 구성 요소를 음식으로 전달하지 않고/않거나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가 연속 또는 비연속적인 기술에 의해 쉽게 세척 및 살균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끈적거리는 제품'은 표면이 수평 법선을 갖도록 배향되더라도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제품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이 제시되며,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은,
- 제2 양태에 따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의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레일 또는 가이드와 같은 수단, 및
-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하기 위해 배열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이 제시되며, 여기서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은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가 사이드 플렉싱인 부분을 포함한다. '컨베이어 벨트가 사이드 플렉싱'이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가
- 운반 방향, 및
- 제1 축 및/또는 제2 축
에 의해 걸쳐 있는 평면에서 곡선인 경로와 같은 곡선 경로를 따르도록 구성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4 양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요소를 운반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며, 상기 방법은,
- 제2 양태 또는 제3 양태에 따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에 또는 그 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요소를 배치하는 단계, 및
-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로 하나 이상의 요소를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요소를 운반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며,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요소는 포장되지 않은 식품과 같은 식품 및/또는 끈적거리는 제품을 포함하고, 포장되지 않은 식품은 동물성 단백질을 포함하고, 포장되지 않은 식품은 생선 또는 육류 또는 가금류 중 어느 하나이다.
제5 양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요소를 운반하기 위한 제2 양태 또는 제3 양태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용도가 제시되며,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요소는 포장되지 않은 식품과 같은 식품 및/또는 끈적거리는 제품을 포함하고, 포장되지 않은 식품은 동물성 단백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양태는 각각 임의의 다른 양태와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 및 다른 양태는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명백해지고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 모듈 및 대응하는 컨베이어 벨트 및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하나 이상의 요소를 운반하기 위한 방법 및 컨베이어 벨트의 용도가 이제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하나의 방식을 나타내며 첨부된 청구항 세트의 범위 내에 속하는 다른 가능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을 예시한다.
도 2는 최외곽 눈 부분 및 재료 부분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을 예시한다.
도 3은 사이드 플렉싱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를 예시한다.
도 4는 릿지(ridge)로 인해 워터 제트가 컨베이어 벨트를 세척할 수 있는 방식을 예시한다.
도 5는 가능한 릿지의 전체가 아닌 목록을 예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을 예시하며, 이는 다른 유사하거나 동일한 컨베이어 벨트 모듈과 함께 측면 굽힘 모듈 컨베이어 벨트로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 모듈은 (중심에 배치된 눈 부분, 참조로 예를 들어, 삽입도의 확대도에서 중심 눈 부분의 폭 비율이 외부 눈 부분의 폭 비율보다 작게 보이므로) 운반되는 객체로부터의 작은 오염을 갖고 세척하기 용이하며 동시에 양호한 내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을 제공하지 않을 것이다. 중심 폭 비율이 외부 폭 비율보다 작지 않기 때문에, 도 1의 컨베이어 벨트 모듈은 (눈 부분의 1차 그룹의) 중심 운반 눈 부분의 낮은 오염, 중심 운반 눈 부분의 양호한 세척성 및 (눈 부분의 2차 그룹의) 외부 눈 부분의 양호한 내구성을 (주어진 눈 부분의 강도에 대해) 보장할 수 없다.
도 2는 릿지(42)를 갖는 눈 부분의 1차 그룹(40)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10)을 예시한다. 컨베이어 벨트 모듈(10)은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 모듈(10)을 포함하는 사이드 플렉싱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100)(도 3 참조)로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컨베이어 벨트 모듈은,
- 제1 축(20)을 규정하는 눈 부분의 제1 세트, 및
- 제2 축(30)을 규정하는 눈 부분의 제2 세트를 포함하고,
눈 부분은,
- 눈 부분의 1차 그룹(40),
- 눈 부분의 2차 그룹을 포함하고, 눈 부분의 2차 그룹은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축을 따라 눈 부분의 1차 그룹의 양쪽 측면들 상에 배치된 눈 부분을 포함하고,
- 제1 축(20) 및/또는 제2 축(30)에 직교하고,
- 제1 축(20) 및 제2 축(30) 모두와 교차하는
라인에 직교하는 단면 평면(예를 들어, 도 2의 하위 도면 B에 묘사된 단면 평면과 같이 축(20) 또는 축(30)을 포함)에서,
임의의 눈 부분의 제1 폭 비율은,
- 단면 평면에서의 축을 따른 제1 방향으로 원위 단부(도 2의 하위 도면 B에서의 상위 단부와 같음)에서 눈 부분의 표면의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하고 제1 축 및/또는 제2 축에 직교하는 방향(도 2의 하위 도면에서의 수평 방향과 같음)으로의 폭 대
- 눈 부분의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최대 폭
의 비율로서 주어지고,
임의의 눈 부분의 제2 폭 비율은,
-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원위 단부(도 2의 하위 도면 B에서의 하위 단부와 같음)에서 눈 부분의 표면의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폭 대
- 눈 부분의 제1 축 및/또는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최대 폭
의 비율로서 주어지고,
제1 폭 비율 및/또는 제2 폭 비율은 눈 부분의 2차 그룹 내의 눈 부분에 비해 눈 부분의 1차 그룹 내의 눈 부분에 대해 더 작다.
예를 들어, 도 2의 하위 도면 B에서, 릿지는 수평 방향에서 (눈 부분의 1차 그룹 내의) 눈 부분의 양쪽 원위 단부의 폭이 실질적으로 0이고 최대 폭이 0이 아니고, 따라서 눈 부분의 1차 그룹에서의 제1 및 제2 폭 비율이 실질적으로 0인 것을 수반한다. 다소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눈 부분의 2차 그룹의 (외부) 눈 부분에 릿지가 없으므로, 2차 그룹의 눈 부분에 대한 제1 및 제2 폭 비율은 근사적으로 1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 모듈 부분(10)은 도 3을 참조하여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 모듈을 포함하는 모듈형 사이드 플렉싱 컨베이어 벨트(100)로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 모듈(10)은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는 눈 부분의 제1 세트의 눈 부분 및 눈 부분의 제2 세트의 눈 부분을 가질 수 있어, 이들은 2개의 유사하거나 동일한 컨베이어 벨트 모듈이 동일하게 배향될 때 중첩될 수 있고, 각각 제1 축 및 제2 축이 동축 위치로 되고 동축 방향을 따른 위치가 동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 모듈(10)은 모듈형 사이드 플렉싱 컨베이어 벨트의 행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 모듈(10)은 사이드 플렉싱 컨베이어에서 단일 행을 형성할 준비가 된 모듈형 컨베이어 링크일 수 있다. 이것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 모듈(10)은 중심 빔(12)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 모듈(10)은 빔(12)으로부터 연장되는 눈 부분의 제1 세트를 포함한다. 눈 부분의 제1 세트는 제1 로드 축을 따라 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제1 개구를 갖는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 모듈(10)은 눈 부분의 제1 세트에 반대 방향으로 빔(12)으로부터 연장되고 눈 부분의 제1 세트에 대해 횡방향으로 오프셋되는 눈 부분의 제2 세트를 포함한다. 눈 부분의 제2 세트는 제2 로드 축을 따라 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길쭉한 개구를 갖는다. 제2 개구는 길쭉하며, 이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10)이 사이드 플렉싱 벨트에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눈 부분의 제1 및 제2 세트로부터의 눈 부분의 1차 그룹(40)은 부하-지지 측면(14) 상 및 하부 측면(16) 상에서 눈 부분 그룹의 눈 부분(44)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릿지(42)를 포함한다. 이것은 릿지(42)가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부품(10)이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100)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도 4에 가장 잘 예시된 간극을 생성하기 때문에 컨베이어 벨트 모듈(10)이 워터 제트로 더 잘 세척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눈 부분의 1차 그룹(40)의 눈 부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도에서 눈 부분의 중간을 통과하는 중심의 수직 축의 어느 한 측면 상에 45°의 경사면을 갖는 것과 같이) 테이퍼링된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다른 형상도 사용될 수 있으며, 도 5를 참조한다.
도 2의 하위 도면 C에서, 중심 빔(12)은 부하-지지 측면(14) 상에 그리고 (미러 대칭으로 인해) 곡면의 하부 측면(16) 상에 릿지(42)를 갖는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눈 부분들(40) 사이에서 연장되는 곡면을 포함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제시된 눈 부분의 1차 그룹(40)은 하부 측면 상과 부하-지지 측면 상 모두에서 편평한 표면을 갖는 눈 부분의 2차 그룹 내의 눈 부분들 사이에 샌드위칭된다.
도 3은 적어도 3개의 컨베이어 벨트 모듈(10I, 10II, 10III)에 의해 조립된 컨베이어 벨트(100)를 예시한다.
컨베이어 벨트(100)는 이웃하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눈 부분의 동축으로 정렬된 축을 통해 로드를 사용하여 조립된다.
도 4는 릿지(42)가 점선 타원으로 마킹된 간극을 형성할 때 1차 그룹(40)의 눈 부분의 릿지(42)로 인해 워터 제트가 컨베이어 벨트(100)를 세척하는 방식을 예시한다.
따라서, 워터 제트는 방해받지 않는 워터 제트가 제1 및/또는 제2 개구에 진입할 수 있는 각도로 컨베이어 벨트(100)를 공격할 수 있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가 길쭉할 때 특히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상이한 눈 부분(44)에 대한 릿지(42)의 가능한 형상의 전체가 아닌 목록을 예시한다.
요약하면, 사이드 플렉싱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컨베이어 벨트 모듈이 제시되며, 여기서 길이 방향 표면 폭과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에 배치된 눈 부분의 최대 폭 사이의 폭 비율은 중심에 배치된 눈 부분의 양쪽 측면 상에 배치된 눈 부분에 대한 폭 비율보다 더 작다. 추가적으로,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하나 이상의 요소를 운반하기 위한 방법 및 하나 이상의 요소를 운반하기 위한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의 용도가 제시된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제시된 예에 어떤 식으로든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 세트에 의해 설정된다. 청구항과 관련하여, "포함하는" 또는 "포함한다"라는 용어는 다른 가능한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어느(a)" 또는 "어떤(an)" 등과 같은 참조의 언급이 복수를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에 나타낸 요소와 관련하여 청구항에서 참조 부호를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상이한 청구항에 언급된 개별 특징은 가능하게는 유리하게 조합될 수 있으며, 상이한 청구항에서의 이러한 특징의 언급은 특징의 조합이 가능하지 않고 유리하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Claims (15)

  1. 사이드 플렉싱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컨베이어 벨트 모듈로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 모듈은,
    - 제1 축을 규정하는 눈(eye) 부분들의 제1 세트, 및
    - 제2 축을 규정하는 눈 부분들의 제2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눈 부분들은,
    - 눈 부분들의 1차 그룹,
    - 눈 부분들의 2차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눈 부분들의 2차 그룹은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과 평행한 축을 따라 상기 눈 부분들의 1차 그룹의 양쪽 측면들 상에 배치된 눈 부분들을 포함하고,
    -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에 직교하고,
    -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 모두와 교차하는
    라인에 직교하는 단면 평면에서,
    임의의 눈 부분의 제1 폭 비율은,
    - 상기 단면 평면에서의 축을 따른 제1 방향으로 원위 단부에서 상기 눈 부분의 표면의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과 평행하고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폭 대
    - 상기 눈 부분의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최대 폭
    의 비율로서 주어지고,
    임의의 눈 부분의 제2 폭 비율은,
    -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원위 단부에서 상기 눈 부분의 표면의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폭 대
    - 상기 눈 부분의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상기 최대 폭
    의 비율로서 주어지고,
    제1 폭 비율 및/또는 제2 폭 비율은 상기 눈 부분들의 2차 그룹 내의 눈 부분들에 비해 상기 눈 부분들의 1차 그룹 내의 눈 부분들에 대해 더 작은, 컨베이어 벨트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제1 거리가 상기 단면 평면에서 축을 따른 거리로서 임의의 눈 부분에 대해 주어지고,
    - 상기 제1 방향으로 원위 단부에서의 상기 눈 부분의 상기 표면과,
    - 상기 눈 부분의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최대 폭의 포지션
    사이의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에 직교하고,
    제2 거리가 상기 단면 평면에서 축을 따른 거리로서 임의의 눈 부분에 대해 주어지고,
    - 상기 제2 방향으로 원위 단부에서의 상기 눈 부분의 상기 표면과,
    - 상기 눈 부분의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최대 폭의 포지션
    사이의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에 직교하고,
    제1 거리 및/또는 제2 거리는 상기 눈 부분들의 2차 그룹 내의 눈 부분들이 비해 상기 눈 부분들의 1차 그룹 내의 눈 부분들에 대해 더 큰, 컨베이어 벨트 모듈.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거리가 상기 단면 평면에서 축을 따른 거리로서 임의의 눈 부분에 대해 주어지고,
    - 상기 제1 방향으로 원위 단부에서의 상기 눈 부분의 상기 표면과,
    - 상기 눈 부분의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최대 폭의 포지션
    사이의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에 직교하고,
    제2 거리가 상기 단면 평면에서 축을 따른 거리로서 임의의 눈 부분에 대해 주어지고,
    - 상기 제2 방향으로 원위 단부에서의 상기 눈 부분의 상기 표면과,
    - 상기 눈 부분의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최대 폭의 포지션
    사이의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에 직교하고,
    상기 눈 부분들의 1차 그룹 내의 눈 부분들의 제1 거리 및/또는 제2 거리는 2 mm 이상, 3 mm 이상, 5 mm 이상, 10 mm 이상과 같이 1 mm 이상인, 컨베이어 벨트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눈 부분들이 중심 빔에 부착되고, 상기 중심 빔에 부착된 상기 눈 부분들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러한 하나 이상의 눈 부분들의 두께는 상기 중심 빔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 모듈은 중심 빔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 빔은,
    - 1차 빔 부분, 및
    - 2차 빔 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2차 빔 부분들은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과 평행한 축을 따라 상기 1차 빔 부분의 양쪽 측면들 상에 배치되고,
    - 각각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원위 단부에서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단위 길이 당 제1 편평한 표면적 및/또는 제2 편평한 표면적
    은 상기 1차 빔 부분보다 상기 2차 빔 부분들에 대해 더 큰, 컨베이어 벨트 모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눈 부분들의 1차 그룹의 눈 부분들의 상기 단면 평면의 하나 또는 양쪽 단부들은,
    - 대칭 또는 비스듬한 삼각형과 같은 삼각형,
    - 반원,
    - 1/4 원,
    - 뾰족한 아치(arch),
    - 구부러진 아치, 및
    - 3개 초과의 면들을 갖는 다각형
    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형상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눈 부분들의 1차 그룹은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을 따른 방향으로 그리고 중간을 향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1차 거리를 점유하고, 상기 1차 거리는 20 내지 50 cm와 같이 10 내지 100 cm이고/이거나,
    상기 눈 부분들의 2차 그룹은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을 따른 방향으로 그리고 중간을 향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 모듈의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2차 거리를 점유하고, 상기 2차 거리는 2 내지 10 cm, 3 내지 5 cm, 4 cm과 같이 1 내지 20 cm인, 컨베이어 벨트 모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 모듈은,
    -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과 평행한 축,
    -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에 직교하고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 모두와 교차하는 축, 및
    -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과 평행한 상기 축, 및
    - 상기 제1 축 및/또는 상기 제2 축에 직교하고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 모두와 교차하는 상기 축
    - 의 각각에 직교하는 축
    중 하나 이상의 주위에서 2차 회전 대칭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 모듈을 포함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10. 제9항에 있어서,
    비포장 식품들과 같은 식품들 및/또는 끈적거리는 제품들을 운반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비포장 식품들은 동물성 단백질을 포함하고, 상기 비포장 식품들은 생선 또는 육류 또는 가금류 중 어느 하나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11.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으로서,
    - 제9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 상기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의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레일들 또는 가이드들과 같은 수단, 및
    - 상기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하기 위해 배열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은 상기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가 사이드 플렉싱(side flexing)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13. 하나 이상의 요소를 운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에 또는 그 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요소를 배치하는 단계, 및
    - 상기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로 상기 하나 이상의 요소를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요소를 운반하기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요소는 비포장 식품들과 같은 식품들 및/또는 끈적거리는 제품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포장 식품들은 동물성 단백질을 포함하고, 상기 비포장 식품들은 생선 또는 육류 또는 가금류 중 어느 하나인, 하나 이상의 요소를 운반하기 위한 방법.
  15. 하나 이상의 요소를 운반하기 위한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의 용도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요소는 비포장 식품들과 같은 식품들 및/또는 끈적거리는 제품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포장 식품들은 동물성 단백질을 포함하고, 상기 비포장 식품들은 생선 또는 육류 또는 가금류 중 어느 하나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의 용도.
KR1020237014165A 2020-10-09 2021-10-08 상대적으로 좁은 표면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 KR202301318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01185 2020-10-09
EP20201185.4 2020-10-09
PCT/EP2021/077888 WO2022074210A1 (en) 2020-10-09 2021-10-08 Conveyor belt module with relatively narrow surfa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818A true KR20230131818A (ko) 2023-09-14

Family

ID=72826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165A KR20230131818A (ko) 2020-10-09 2021-10-08 상대적으로 좁은 표면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406643A1 (ko)
EP (1) EP4225676A1 (ko)
JP (1) JP2023544189A (ko)
KR (1) KR20230131818A (ko)
CN (1) CN116323437A (ko)
WO (1) WO2022074210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6001A (en) * 1997-05-14 2000-03-14 Rexnord Corporation Side-flexing conveyor construction
NL2004116C2 (en) * 2010-01-19 2011-07-20 Rexnord Flattop Europe Bv Modular conveyor belt.
US20140131177A1 (en) * 2012-11-15 2014-05-15 Habasit Ag Dampened Radius Modular Conveyor Belts and Belt Modules
US10065802B1 (en) * 2017-04-17 2018-09-04 Laitram, L.L.C. Modular conveyor belt integrating a high density array of roll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25676A1 (en) 2023-08-16
JP2023544189A (ja) 2023-10-20
CN116323437A (zh) 2023-06-23
US20230406643A1 (en) 2023-12-21
WO2022074210A1 (en)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6934A (en) Modular solid top plastic conveyor belt
US6766901B2 (en) Snap-on side guards
EP0113909B1 (en) Lightweight modular conveyer belt
EP1799596B1 (en) Belt module with oblong pivot hole
EP1731449B1 (en) Modular plastic conveyor belt suitable for tight turns
DK2817249T3 (en) Durable conveyor
US20080083598A1 (en) Radius conveyor belt
EP1407985B1 (en) Conveyor belt module with high friction surface
US6516944B2 (en) Module with alternating, offset cross-rib
KR20230131818A (ko) 상대적으로 좁은 표면을 갖는 컨베이어 벨트 모듈
ES2921536T3 (es) Fijación de carril de soporte de transportador, carril de soporte y transportador
CN113795442B (zh) 具有流体引导结构的模块化传送带
BR102018003747B1 (pt) Tambor de transportador dianteiro
WO2006014910A2 (en) Modular plastic conveyor belt with large open area and self-cleaning at hinges
US20240002156A1 (en) Conveyor belt module with portions for overlapping
KR20230131819A (ko) 컨베이어 벨트 모듈용 부착 유닛
ES2287593T3 (es) Estructura de cinta transportadora de eslabones de cadena anchos.
BR102018003704B1 (pt) Arranjo acionador dentado para um transportador de correia sem fim para um alimentador de uma combinada agrícola
BRPI0603084B1 (pt) Correia transportadora plástica modular adequada para curvas apertad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