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619A - Snow removal equipment - Google Patents

Snow removal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619A
KR20230131619A KR1020220028710A KR20220028710A KR20230131619A KR 20230131619 A KR20230131619 A KR 20230131619A KR 1020220028710 A KR1020220028710 A KR 1020220028710A KR 20220028710 A KR20220028710 A KR 20220028710A KR 20230131619 A KR20230131619 A KR 20230131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removal
heating module
rod
snow
removal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7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이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주 filed Critical 이승주
Priority to KR1020220028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1619A/en
Publication of KR20230131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619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60S1/02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using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2Hand imp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얼음 또는 눈과 접촉하는 바닥면에 열선모듈이 구비된 헤드부와, 헤드부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봉과, 봉과 대칭을 이루도록 헤드부 일측에 부착된 제설 넉가래를 포함하며, 전기적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활용해 얼음 또는 눈을 녹임으로써, 자동차 전면 유리 또는 겨울철 빙판 등 제설이 필요한 장소에서 손쉽고 빠르게 제설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제설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w removal device, which includes a head equipped with a heating module on the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ice or snow, a rod detach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d, and a snow removal shovel attached to one side of the head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rod. It provides a snow removal device that melts ice or snow using heat generated from an electrical heat source, allowing snow removal work to be easily and quickly performed in places where snow removal is required, such as car windshields or ice in winter.

Description

제설장치{SNOW REMOVAL EQUIPMENT}Snow removal equipment {SNOW REMOVAL EQUIPMENT}

본 발명은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적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활용해 얼음 또는 눈을 녹이는,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w removal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now removal device that melts ice or snow using heat generated from an electric heat source.

겨울철에는 아침 이슬, 눈 또는 빗물이 차량 전면 유리에 얼어붙게 된다. 운전자는 차량 주행을 위해 전방 시야를 확보해야만 하므로, 차량 전면 유리에 존재하는 얼음 또는 눈을 제거해야만 한다.During winter, morning dew, snow, or rainwater freezes on the windshield of a vehicle. Drivers must secure forward visibility to drive the vehicle, so they must remove ice or snow from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차량 시동 후에는 차량에 구비된 히터가 작동되므로, 차량 내부에서 차량 전면 유리로 히터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분사해 차량 전면 유리에 존재하는 얼음 또는 눈을 제거할 수 있다.After the vehicle is started, the heater provided in the vehicle is activated, so heated air can be sprayed through the heater onto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from inside the vehicle to remove ice or snow present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그러나, 엔진 예열 시간, 히터 작동 시간 및 가열 공기를 통한 해동 시간이 소요되므로, 차량 전면 유리에 존재하는 얼음 또는 눈을 제거하는데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이 소모된다.However, since engine preheating time, heater operation time, and thawing time using heated air are required, an unnecessarily large amount of time is spent to remove ice or snow present on the vehicle windshield.

이에 따라, 대다수의 운전자는, 긁게 등을 활용해 차량 전면 유리에 존재하는 얼음 또는 눈을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 majority of drivers use scrapers, etc. to remove ice or snow from the windshield of their vehicle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7379호(2014.12.02.)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37379 (2014.12.02.)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활용해 얼음 또는 눈을 녹임으로써, 자동차 전면 유리 또는 겨울철 빙판 등 제설이 필요한 장소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now removal device that can be easily used in places where snow removal is required, such as a car windshield or an ice field in winter, by melting ice or snow using heat generated from an electric heat sour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설장치는, 얼음 또는 눈과 접촉하는 바닥면에 열선모듈이 구비된 헤드부와, 헤드부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봉과, 봉과 대칭을 이루도록 헤드부 일측에 부착된 제설 넉가래를 포함한다.The snow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ead portion equipped with a heating module on the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ice or snow, a rod detach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and a rod attached to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to be symmetrical with the rod. Includes snow removal snow shovels.

또한, 헤드부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닥면에 결합된 박스 형상의 하우징을 포함하며, 바닥면의 중심에는 내부 공간을 외부로 개구하는 장착홀이 형성되며, 열선모듈은, 내부 공간에 삽입되도록, 장착홀에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part includes a box-shaped housing coupled to the bottom to form an internal space, and a mount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to open the internal space to the outside, and the heating module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 can be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또한, 바닥면은, 각 모서리에 지지돌기가 지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헤드부는, 일측에 지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고무판이 구비되며, 고무판은, 지지돌기 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so that support protrusions at each corner protrude toward the ground, and the head portion is provided with a rubber plate on one side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ground, and the rubber plate has a longer length than the support protrusions so that it protrudes from the floor surface to the ground. may protrude toward.

또한, 열선모듈은, 저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외형틀과, 외형틀 내측에 안착되고, 전원인가시 열을 발산하는 열원이 구비된 회로기판과, 외형틀 저면에 부착된 매쉬망을 포함하며, 외형틀 내측에는, 회로기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안착단이 구비되며, 매쉬망은, 매쉬망과 외형틀의 접촉부에 도포된 실리콘에 의해 외형틀에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ing module includes a box-shaped outer frame with an open bottom, a circuit board seated inside the outer frame and equipped with a heat source that radiates heat when power is applied, and a mesh network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outer frame. , Inside the outer frame, a seating end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ircuit board is provided, and the mesh network can be fixed to the outer frame by silicone applied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mesh network and the outer frame.

또한, 헤드부의 일측면에는, 봉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삽입홀은, 전기적으로 열선모듈을 외부전원과 연결시키는 전원숫단자와, 봉을 구속하는 고정구가 구비되며, 봉은, 길이방향 단부에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삽입부는, 삽입홀에 형성된 고정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와, 전원숫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암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sertion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into which the longitudinal end of the rod is inserted, and the insertion hole is provided with a male power terminal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heating module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fixture that restrains the rod. , an insertion part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at the longitudinal end, and the insertion part may be provided with a coupl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ture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and a female power terminal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le power terminal.

또한, 봉 내측에 전원암단자와 연결된 배터리가 구비되거나, 전원암단자와 대칭을 이루도록 봉 길이방향 단부에 전원암단자와 연결된 시거잭이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a battery connected to the power arm terminal may be provided inside the rod, or a cigar jack connected to the power arm terminal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ro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symmetrical to the power arm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설장치는, 얼음 또는 눈과 접촉하는 바닥면에 열선모듈이 구비된 헤드부와, 헤드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봉을 포함하며, 바닥면의 각 모서리에 지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열선모듈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도록 열선모듈 하측에 철판이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now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ead portion equipped with a heating module on a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ice or snow, a rod detachably mounted on the head portion, and a rod at each corner of the bottom surface. A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ground, and an iron plate is positioned below the heating module so that the temperature rises due to the heating module.

또한, 철판은, 지지돌기에 장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ron plate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rotrusion through a joist.

또한, 봉은, 헤드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내장된 진동장치와, 열선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또는 시거잭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od may include a built-in vibration device to generate vibration in the head portion, and a battery or cigar jack to supply power to the heating module.

또한, 봉 길이방향 단부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설 넉가래 또는 와이퍼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now removal shovel or wiper blade selectively fastened to the longitudinal end of the rod.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each embodiment disclosed below, but may also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each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serves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each claim in the claims.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전기적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활용해 얼음 또는 눈을 녹임으로써, 자동차 전면 유리 또는 겨울철 빙판 등 제설이 필요한 장소에서 손쉽고 빠르게 제설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elting ice or snow using heat generated from an electric heat source, snow removal work can be easily and quickly performed in places where snow removal is required, such as a car windshield or an ice field in wint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설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설장치의 저면도,
도 3은 도 1의 제설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제설장치에 구비된 열선모듈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제설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제설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설장치의 예시도,
도 8은 도 5의 제설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9은 도 5의 제설장치의 다른 예시도,
도 10은 도 5의 제설장치의 요부 예시도,
도 11은 도 5의 제설장치의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now removal device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view of the snow removal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now removal device of Figure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heating module provided in the snow removal device of Figure 1;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now removal device of Figure 1;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now removal device of Figure 1;
7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now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now removal device of Figure 5;
Figure 9 is another example of the snow removal device of Figure 5;
Figure 10 is an illustration of main parts of the snow removal device of Figure 5;
Figure 11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snow removal device of Figure 5.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Before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unconditionally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use the terms and conditions to explain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cepts of various terms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and used, and furthermore, that these terms and words should be interpreted with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That is,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with the intention of specifically limiting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refer to various possibili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is a term defined with consideration in mind.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a different meaning, and that even if similarly expressed in plural, they may include singular meanings. do.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including” another component, it does not exclude any other component, but includes any other compon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could mean that you can do it.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Furthermore,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within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this component may be installed in direct connection or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 and may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 and may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 It may be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and in the case where it is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there may be a third component or means for fixing or connecting the component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r means of 3 may be omitted.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third component or means is present.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Likewis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and "directly neighboring", have the same meaning. It should be interpreted as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one side", "other side", "one side", "the other side", "first", "second", etc., if used, refer to one component. It is used to clearly distinguish it from other components,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eaning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is term.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related to position such as "top", "bottom", "left", "right", etc., if used, should be understood as indica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n the corresponding drawing. Unless the absolute location is specified, these location-related term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ferring to the absolute location.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Moreover,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unit", "unit", "module", "device", etc., if used, mean a unit capable of processing one or more functions or operations, which is hardware. Alternatively, it should be noted that 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specifying the reference numeral for each component in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 has the same reference number even if the component is shown in different drawings, that is, the same reference is mad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ymbols indicate the same component.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the size, position, connection relationship, etc.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exaggerated, reduced, or omitted in order to convey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ufficiently clearly o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may be described, and therefore its proportions or scale may not be exact.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that are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known technologies including prior art, may be omitted.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설장치는, 얼음 또는 눈과 접촉하는 바닥면(110)에 열선모듈(120)이 구비된 헤드부(100)와, 헤드부(100)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봉(200)과, 봉(200)과 대칭을 이루도록 헤드부(100) 일측에 부착된 제설 넉가래(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snow removal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ortion 100 provided with a heating module 120 on a bottom surface 110 in contact with ice or snow, and a head It includes a rod 200 detach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nit 100, and a snow removal shovel 300 attached to one side of the head unit 100 so as to be symmetrical to the rod 200.

헤드부(100)는, 내부 공간(A)을 형성하도록 바닥면(110)에 결합된 박스 형상의 하우징(130)을 포함한다. 하우징(130)은 직육면체일 수 있으며,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도 있다.The head portion 100 includes a box-shaped housing 130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110 to form an internal space A. The housing 130 may b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may also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바닥면(110)의 중심에는 내부 공간(A)을 외부로 개구하는 장착홀(111)이 형성되며, 열선모듈(120)은, 내부 공간(A)에 삽입되도록, 장착홀(111)에 장착된다.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110, a mounting hole 111 is formed that opens the internal space A to the outside, and the heating module 120 is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111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A. do.

바닥면(110)은, 각 모서리에 지지돌기(112)가 지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돌기(112)에 의해서 헤드부(100), 좀 더 정확히는 바닥면(110)이 얼음 또는 눈과 밀착되는 것이 방지되며, 열선모듈(12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얼음 또는 눈이 녹아 생성된 물이 바닥면(110) 또는 열선모듈(120)에 흡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지지돌기(112)에 의해 얼음 또는 눈과 바닥면(110)이 이격됨으로써, 열선모듈(120)의 누전을 방지하게 된다.The bottom surface 110 is formed with support protrusions 112 at each corner protruding toward the ground. The support protrusion 112 prevents the head portion 100, more precisely, the bottom surface 110 from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ice or snow, and water generated by melting ice or snow b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module 120. Absorption into the bottom surface 110 or the heating module 120 is prevented. That is, the ice or snow is separated from the floor surface 110 by the support protrusion 112, thereby preventing electric leakage of the heating module 120.

제설 넉가래(300)와 대칭을 이루도록 헤드부(100)의 옆면에 고무판(140)이 부착된다. 고무판(140)의 일변이 헤드부(100) 옆면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도록, 고무판(140)은 헤드부(100) 옆면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갖도록 제작된다. 이때, 고무판(140)의 일변이, 지지돌기(112) 보다 더 긴 길이로, 헤드부(100) 옆면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고무판(140)의 넓이가 조절된다.A rubber plate 140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head portion 100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snow removal shovel 300. The rubber plate 140 is manufactured to have a larger area compar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0 so that one side of the rubber plate 140 can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0 toward the ground.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rubber plate 140 is adjusted so that one side of the rubber plate 140 is longer than the support protrusion 112 and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head portion 100 toward the ground.

고무판(140)이 구비됨에 따라, 열선모듈(12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얼음 또는 눈이 녹아 생성된 물이 헤드부(100) 진행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고무판(140)이 헤드부(100)에 구비됨으로써, 열선모듈(120)에 의해 생성된 물이 제설된 장소에 다시 얼어붙는 것이 방지된다.As the rubber plate 140 is provided, water generated by melting ice or snow due to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module 120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d unit 100 travels. That is, by providing the rubber plate 140 on the head portion 100, water generated by the heating module 120 is prevented from refreezing in the area where the snow was removed.

또한, 자동차 전면 유리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사용될 경우, 고무판(140)에 의해 자동차 전면 유리가 깨끗이 닦여지게 된다.Additionally, whe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on a car windshield, the car windshield is cleaned cleanly by the rubber plate 140.

열선모듈(120)은, 저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외형틀(121)과, 외형틀(121) 내측에 안착되고, 전원인가시 열을 발산하는 열원(H)이 구비된 회로기판(122)과, 외형틀(121) 저면에 부착된 매쉬망(123)을 포함한다.The heating module 120 includes a box-shaped outer frame 121 with an open bottom, and a circuit board 122 that is seated inside the outer frame 121 and is provided with a heat source (H) that radiates heat when power is applied. and a mesh network 123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outer frame 121.

외형틀(121) 내측에는, 회로기판(122)의 높이를 조절하는 안착단(L)이 구비된다. 회로기판(122)에는, 아래 기재된 전원숫단자(151)와 연결된 전기회로가 형성되며, 전기회로에는 열원(H)이 구비된다.Inside the outer frame 121, a seating end (L) is provid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ircuit board 122. An electric circuit connected to the male power terminal 151 described below is formed on the circuit board 122, and the electric circuit is provided with a heat source (H).

열원(H)은 형상 또는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원인가시 열을 발산하는 임의의 물체가 적용될 수 있다.The heat source H is not limited to shape or type, and any object that emits heat when power is applied can be applied.

열원(H)은, 판넬, 코일, 철사, 전구, 관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열원(H)은, 외형틀(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 형태를 이루도록 전기회로에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등 간격으로 나열될 수도 있다.The heat source H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anel, coil, wire, light bulb, tube, etc. Additionally, the heat source H may be provided in an electric circuit to form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frame 121, and a plurality of heat sources H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또한, 열원(H)으로, 종래 사용되던 원적외선, 근적외선 히터관, 할로겐, 고주파식 전구관이 사용될 수 있으며, LED, 적외선 열기구 등이 열원(H)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the heat source (H), conventionally used far-infrared rays, near-infrared heater tubes, halogens, and high-frequency bulbs can be used, and LEDs, infrared heaters, etc. can also be used as the heat source (H).

매쉬망(123)은, 매쉬망(123)과 외형틀(121)의 접촉부에 도포된 실리콘(S)에 의해 외형틀(121)에 고정된다. 매쉬망(123)은 스테인레스 스틸 등 녹이 생성되지 않는 물질로 제작되거나, 녹 생성이 방지되는 물질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sh network 123 is fixed to the outer frame 121 by silicone (S) applied to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mesh network 123 and the outer frame 121. The mesh network 123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generate rust, such as stainless steel, or is coated with a material that prevents rust.

헤드부(100)의 일측면에는, 봉(200)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150)이 형성된다. 삽입홀(150)에는, 전기적으로 열선모듈(120)을 외부전원과 연결시키는 전원숫단자(151)와, 봉(200)을 구속하는 고정구(152)가 구비된다. 열선모듈(120)의 외형틀(121)로부터 연장된 전선이 헤드부(100) 내부에서 전원숫단자(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n insertion hole 15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100 into which the longitudinal end of the rod 200 is inserted. The insertion hole 150 is provided with a male power terminal 151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heating module 120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fixture 152 that restrains the rod 200. A wire extending from the outer frame 121 of the heating module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le power terminal 151 inside the head part 100.

봉(200)은, 보관시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2단 또는 다단으로 구획되는 분리식 또는 접이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rod 200 may be manufactured in a detachable or foldable manner divided into two or multiple stages to minimize its size when stored.

봉(200)은, 길이방향 단부에 삽입홀(150)에 삽입되는 삽입부(210)가 형성된다. 삽입부(210)는, 삽입홀(150)에 형성된 고정구(15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211)와, 전원숫단자(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암단자(212)가 구비된다.The rod 200 has an insertion portion 210 formed at an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50. The insertion portion 210 is provided with a coupler 211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ture 152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150, and a female power terminal 212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le power terminal 151. do.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고정구(152)는, 삽입홀(150) 내측면에 홈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결합구(211)는 Z자 형태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돌출되도록 삽입부(210)에 내장된다. 결합구(211)의 양단부는 삽입홀(150)의 홈과 체결되거나 외부조작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ture 152 is formed in a groove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50. Additionally, the coupler 211 is formed in a Z-shape and is built into the insertion portion 210 so that both ends protrude. Both ends of the coupler 211 are engaged with the grooves of the insertion hole 150 or are externally manipulated.

삽입부(210)가 삽입홀(150)에 삽입될 경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구(211)의 단부가 고정구(152)인 홈에 체결되고, 외부 조작에 의해 고정구(152)와 분리된다.When the insertion part 2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50, the end of the coupler 211 is fastened to the groove of the fixture 15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nd is separated from the fixture 152 by external manipulation. .

이와 달리, 삽입홀(150) 내측면 및 삽입부(210) 외측면에 고정구(152) 및 결합부(211)가 나선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fixture 152 and the coupling portion 211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5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210.

이러한 경우에는, 고정구(152) 및 결합부(211)가 구리재질로 제작됨으로써, 고정구(152) 및 결합부(211)가 전원숫단자(151) 및 전원암단자(212)로 활용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fixture 152 and the coupling portion 211 are made of copper, so the fixture 152 and the coupling portion 211 may be used as the male power terminal 151 and the female power terminal 212. .

봉(200) 내측에는, 열선모듈(120)로 전기를 공급하도록, 전원암단자(212)와 연결된 배터리(21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원암단자(212)와 대칭을 이루도록 봉(200) 길이방향 단부에 전원암단자(212)와 연결된 시거잭(214)이 구비될 수도 있다. 봉(200) 내부에 전선이 수납됨으로써, 시거잭(214)이 봉(200)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side the rod 200, a battery 213 connected to the power arm terminal 212 may be provided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heating module 120. In addition, a cigar jack 214 connected to the power arm terminal 212 may be provid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rod 200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power arm terminal 212. It is preferable that the cigar jack 214 extends from the rod 200 by storing the electric wire inside the rod 200.

제설 넉가래(300)는, 헤드부(100) 진행방향으로 지면에 존재하는 얼음 또는 눈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열선모듈(120)로 인해 발생되는 물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제설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now removal shovel 300 can move ice or snow existing on the grou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d unit 100 travels, thereby minimizing the water generated by the heating module 120 and ultimately minimizing the snow removal time. can do.

봉(200) 또는 헤드부(100) 표면에 온오프스위치가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다른 위치에 온오프스위치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온오프스위치 일측에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등 및 열선모듈(120)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상태등 등이 구비될 수 있다.An on-off switch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rod 200 or the head portion 100, and the on-off switch may be formed at another location as needed. Additionally, on one side of the on-off switch, an operating status light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and a temperature status light indicat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module 120 may be provided.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겨울철 자동차 전면 유리 또는 빙판 등 제설이 필요한 장소에서, 전기적 열원(H)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활용해 얼음 또는 눈을 녹임으로써 빠르고 손쉽게 제설작업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above, in places where snow removal is required, such as car windshields or ice sheets in winter, snow removal work is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by melting ice or snow using heat generated from an electric heat source (H). can do.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설장치는, 얼음 또는 눈과 접촉하는 바닥면(110)에 열선모듈(120)이 구비된 헤드부(100)와, 헤드부(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봉(2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7 to 11, the snow removal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ortion 100 provided with a heating module 120 on the bottom surface 110 in contact with ice or snow, and a head It includes a rod 200 detachably mounted on the unit 100.

또한, 바닥면(110)의 각 모서리에 지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지지돌기(112)가 형성되며, 열선모듈(120)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도록 열선모듈(120) 하측에 철판(400)이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support protrusions 112 are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bottom surface 110 to protrude toward the ground, and an iron plate 400 is positioned below the heating module 120 to increase the temperature by the heating module 120. It is characterized by

헤드부(100) 및 열선모듈(120)의 구성은, 앞서 기재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head unit 100 and the heating module 12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철판(400)은, 스테인레스 스틸 등 녹이 발생되지 않는 물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면에 녹 발생 방지 물질이 도포될 수도 있다.The steel plate 40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generate rust, such as stainless steel, and an anti-rust material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철판(400)은, 지지돌기(112)에 장선(410)을 통해 연결된다. 철판(400)은, 얼음 또는 눈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얼음 또는 눈이 녹아 발생된 물이 열선모듈(120)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iron plate 40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rotrusion 112 through a joist 410. The steel plate 400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ice or snow and prevents water generated by melting ice or snow from moving to the heating module 120.

다수개의 철판(400)이 열선모듈(120)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철판(400)은, 서로 간에 또는 헤드부(100)에 장선(410)을 통해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steel plates 400 may be provided below the heating module 120. In this case, each steel plate 400 may be additional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the head portion 100 through the joist 410.

봉(200)은, 헤드부(100)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내장된 진동장치(500)와, 열선모듈(12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13) 또는 시거잭(214)을 포함한다.The rod 200 includes a built-in vibration device 500 to generate vibration in the head portion 100, and a battery 213 or cigarette lighter jack 214 that supplies power to the heating module 120.

헤드부(100)에 진동이 발생되므로, 철판(400)과 헤드부(100) 진행방향에 존재하는 눈 또는 얼음과의 마찰이 최소화된다.Since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head unit 100, friction between the steel plate 400 and snow or ice exist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d unit 100 travels is minimized.

봉(200) 길이방향 단부에는 선택적으로 제설 넉가래(300) 또는 와이퍼블레으드가 선택적으로 체결된다.A snow removal shovel 300 or a wiper blade is selectively fastened to the longitudinal end of the rod 200.

제설 넉가래(300)가 구비됨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통해 제설을 실시하기 전에 제설 장소에 얼어 붙지 않은 얼음 또는 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통해 생성되는 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설시간을 극소화할 수 있다.Since the snow removal shovel 300 is provided, unfrozen ice or snow can be removed at the snow removal site before snow removal throug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water generated throug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inimized, and snow removal time can be minimized.

또한, 와이퍼블레이드(600)가 구비됨으로, 자동차 전면 유리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적용시, 제설 후 발생된 물을 자동차 전면 유리로부터 깨끗이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per blade 600 is provided, whe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windshield of an automobile, water generated after snow removal can be completely removed from the windshield of the automobile.

봉(200) 또는 헤드부(100) 표면에 온오프스위치가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다른 위치에 온오프스위치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온오프스위치 일측에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등 및 열선모듈(120)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상태등 등이 구비될 수 있다.An on-off switch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rod 200 or the head portion 100, and the on-off switch may be formed at another location as needed. Additionally, on one side of the on-off switch, an operating status light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and a temperature status light indicat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module 120 may be provided.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겨울철 자동차 전면 유리 또는 빙판 등 제설이 필요한 장소에서, 전기적 열원(H)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활용해 얼음 또는 눈을 녹임으로써 빠르고 손쉽게 제설작업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now removal is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by melting ice or snow using heat generated from an electric heat source (H) in places where snow removal is required, such as car windshields or ice sheets in winter. can do.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Above, variou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giving some examples, but the description of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Content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section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above description is inten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is common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only to fully inform those with knowledge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each claim in the claims.

100: 헤드부
110: 바닥면
111: 장착홀
112: 지지돌기
120: 열선모듈
121: 외형틀
122: 회로기판
123: 매쉬망
130: 하우징
140: 고무판
150: 삽입홀
151: 전원숫단자
152: 고정구
200: 봉
210: 삽입부
211: 결합구
212: 전원암단자
213: 배터리
214: 시거잭
300: 제설 넉가래
400: 철판
410: 장선
500: 진동장치
600: 와이퍼블레이드
A: 내부 공간
H: 열원
L: 안착단
S: 실리콘
100: Head part
110: bottom surface
111: Mounting hole
112: Support protrusion
120: Heating module
121: Outline frame
122: circuit board
123: mesh net
130: housing
140: Rubber plate
150: Insertion hole
151: Power number terminal
152: fixture
200: Bong
210: Insertion part
211: Combiner
212: Power female terminal
213: battery
214: Cigar jack
300: Snow removal shovel
400: iron plate
410: joist
500: Vibration device
600: Wiper blade
A: Internal space
H: heat source
L: Seating end
S: Silicone

Claims (10)

얼음 또는 눈과 접촉하는 바닥면에 열선모듈이 구비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봉; 및
상기 봉과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헤드부 일측에 부착된 제설 넉가래;를 포함하는,
제설장치.
A head portion equipped with a heating module on the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ice or snow;
A rod detach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and
A snow removal shovel attached to one side of the head so as to be symmetrical to the rod,
Snow removal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면에 결합된 박스 형상의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의 중심에는 상기 내부 공간을 외부로 개구하는 장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열선모듈은,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장착홀에 장착된,
제설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ead part,
It includes a box-shaped housing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to form an internal space,
A mounting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to open the internal space to the outside,
The heating module is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Snow removal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각 모서리에 지지돌기가 지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는, 일측에 지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고무판이 구비되며,
상기 고무판은, 상기 지지돌기 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돌출된,
제설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with support protrusions at each corner protruding toward the ground,
The head portion is provided with a rubber plate on one side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ground,
The rubber plate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toward the groun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support protrusion.
Snow removal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모듈은,
저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외형틀;
상기 외형틀 내측에 안착되고, 전원인가시 열을 발산하는 열원이 구비된 회로기판; 및
상기 외형틀 저면에 부착된 매쉬망;을 포함하며,
상기 외형틀 내측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안착단이 구비되며,
상기 매쉬망은, 상기 매쉬망과 상기 외형틀의 접촉부에 도포된 실리콘에 의해 상기 외형틀에 고정된,
제설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eating module is,
A box-shaped outer frame with an open bottom;
A circuit board seated inside the outer frame and provided with a heat source that radiates heat when power is applied; and
It includes a mesh ne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outer frame,
Inside the outer frame, a seating end is provid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ircuit board,
The mesh network is fixed to the outer frame by silicone applied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mesh network and the outer mold,
Snow removal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봉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은,
전기적으로 상기 열선모듈을 외부전원과 연결시키는 전원숫단자; 및
상기 봉을 구속하는 고정구;가 구비되며,
상기 봉은,
길이방향 단부에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홀에 형성된 상기 고정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 및
상기 전원숫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암단자;가 구비된,
제설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insertion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into which the longitudinal end of the rod is inserted,
The insertion hole is,
A power terminal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heating module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fixture for restraining the rod is provided,
The bong is,
An insertion portion is formed at the longitudinal en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he insertion part,
A coupler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ture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and
Provided with a female power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le power terminal,
Snow removal equipm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봉 내측에 상기 전원암단자와 연결된 배터리가 구비되거나,
상기 전원암단자와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봉 길이방향 단부에 상기 전원암단자와 연결된 시거잭이 구비된,
제설장치.
According to clause 5,
A battery connected to the power arm terminal is provided inside the rod, or
A cigar jack connected to the power arm terminal is provided at an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so as to be symmetrical to the power arm terminal,
Snow removal equipment.
얼음 또는 눈과 접촉하는 바닥면에 열선모듈이 구비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봉;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의 각 모서리에 지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열선모듈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도록 상기 열선모듈 하측에 철판이 위치된,
제설장치
A head portion equipped with a heating module on the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ice or snow; and
Includes a rod detachably mounted on the head,
Support protrusions are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bottom surface to protrude toward the ground,
An iron plate is positioned below the heating module so that the temperature rises by the heating module,
snow removal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은,
상기 지지돌기에 장선을 통해 연결된,
제설장치.
In clause 7,
The iron plate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rotrusion through a joist,
Snow removal equipm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봉은,
상기 헤드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내장된 진동장치; 및
상기 열선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또는 시거잭;을 포함하는,
제설장치.
In clause 7,
The bong is,
A vibration device built into the head to generate vibration; and
Including a battery or cigarette lighter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module,
Snow removal equipm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봉 길이방향 단부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설 넉가래 또는 와이퍼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제설장치.
In clause 7,
Further comprising a snow removal shovel or wiper blade selectively fastened to the longitudinal end of the rod,
Snow removal equipment.
KR1020220028710A 2022-03-07 2022-03-07 Snow removal equipment KR202301316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710A KR20230131619A (en) 2022-03-07 2022-03-07 Snow removal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710A KR20230131619A (en) 2022-03-07 2022-03-07 Snow removal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619A true KR20230131619A (en) 2023-09-14

Family

ID=8801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710A KR20230131619A (en) 2022-03-07 2022-03-07 Snow removal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161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7379A (en) 2012-02-22 2014-12-02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Method and system for melting frost and/or rime and/or ice and/or snow on the window of a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7379A (en) 2012-02-22 2014-12-02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Method and system for melting frost and/or rime and/or ice and/or snow on the window of a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5561A (en) Heated flexible windshield wiper
US4497083A (en) Heated windshield wiper
US5539951A (en) Wiper blade assembly including heating and fluid dispensing means
RU2605574C2 (en) Hydraulic attaching device made with possibility of heating for self-propelled vehicle windshield washer fluid supply and/or distribution system
US7568256B1 (en) Heated Windshield Wiper Apparatus
CA2182933C (en) Heated wiper blade and blade carrier employing single heating element
KR20230131619A (en) Snow removal equipment
US9963114B2 (en) Heating device intended for a windscreen wiper and windscreen wiper including such a heating device
JPWO2011074229A1 (en) Beacon light
JP2015120507A (en) Front glass wiper heating element of vehicle
ES2886220T3 (en) Flexible resistance
JP2006176028A (en) Ice/snow accretion eliminating structure of lighting fixture for vehicle
ES2268976B1 (en) HEAT WINDSHIELD HEATING SYSTEM.
US20030097730A1 (en) Heating device, especially for handle of a portable implement
FI59364C (en) ANORDINATION FOR AVINING AV VINDRUTETORKARE
JP4177200B2 (en) Battery support structure
CN217778412U (en) Current teaching device, charging device and rail vehicle system
US20210291792A1 (en) Heated wiper device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 snowgroomer, and snowgroomer comprising such a heated wiper device
GB2384168A (en) Electrically heated ice scraper
KR20060096562A (en) Frost remover
CN205186103U (en) Deicing equipment
US1831859A (en) Defrosting windshield wiper
WO1999036301A1 (en) Heated windscreen wiper unit
ES2282005B1 (en) DEFROSTING SYSTEM FOR VEHICLE WINDSHIELD.
CN116674500A (en) Movable front windshield ice and snow removing device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