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553A - Phone case including attachment pad for convenience of smartphone users - Google Patents

Phone case including attachment pad for convenience of smartphone us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553A
KR20230131553A KR1020220028573A KR20220028573A KR20230131553A KR 20230131553 A KR20230131553 A KR 20230131553A KR 1020220028573 A KR1020220028573 A KR 1020220028573A KR 20220028573 A KR20220028573 A KR 20220028573A KR 20230131553 A KR20230131553 A KR 20230131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ed
pad
attachment pad
attachment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5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세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돔
Priority to KR1020220028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1553A/en
Publication of KR20230131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553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스마트폰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부착패드를 포함하는 폰케이스를 제공한다.
배면부(11)와 배면부(11)의 외측 단부에서 전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부(12)가 일체로 이루어져, 스마트폰이 탈착되도록 하는 케이스 본체(10)와; 일정 두께의 외측 커버부(21)와, 외측 커버부(21)의 전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어 부착력을 제공하는 점착층(2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케이스 본체(10)의 배면부(11)의 배면에 점착층(22)이 탈부착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패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부착패드(20)의 일부는 배면부(11)에 부착된 상태에서 나머지 일부는 배면부(11)에서 이탈시켜 부착 대상물에 이탈된 점착층(22)이 부착되며, 부착패드(20)의 일부와 부책패드(20)의 나머지 일부 사이에는 외부에서 터치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열기(미도시)와 전열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길이가 가변하는 형상기억합금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or the convenience of smartphone users, a phone case with an attachment pad is provided.
A case body 10 including a rear portion 11 and a side portion 12 extending from the outer end of the rear portion 11 toward the front, so that the smartphone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It includes an outer cover part 21 of a certain thickness and an adhesive layer 22 that is formed to a certain thicknes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cover part 21 to provide adhesion, and is attached to the back part 11 of the case body 10. It is comprised of an attachment pad 20 on which the adhesive layer 22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ck, with a portion of the attachment pad 20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11 and the remaining portion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11. The adhesive layer 22 is separated and attached to the attachment object, and a heater (not shown) whose temperature can be adjusted by touching from the outside is provided between part of the attachment pad 20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accessory pad 20. It is characterized by a built-in shape memory alloy whose length is variable by operation (not shown).

Description

스마트폰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부착패드를 포함하는 폰케이스{ PHONE CASE INCLUDING ATTACHMENT PAD FOR CONVENIENCE OF SMARTPHONE USERS}A phone case that includes an attachment pad for the convenience of smartphone users{ PHONE CASE INCLUDING ATTACHMENT PAD FOR CONVENIENCE OF SMARTPHONE USERS}

본 발명은 스마트폰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부착패드를 포함하는 폰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ne case that includes an attachment pad for the convenience of smartphone users.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거나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기본적인 전화통화는 물론, 다양한 정보, 게임, 촬영 등을 즐길 수 있는 현대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In general, smartphones are equipped with various functions or can download necessary applications to enjoy not only basic phone calls,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games, and photography.

스마트폰의 형태는 대부분 직사각형으로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고, 그 가장자리에는 조작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형상, 모양으로 외부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디스플레이의 전면에는 강화유리필름을 부착하여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스마트폰의 종류에 맞게 출시된 보호케이스를 구입하여 스마트폰의 가장자리와 배면 측의 카메라부를 제외한 배면을 덮어씌워 외부충격으로부터 스마트폰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있다.Most smartphones are rectangular in shape and have a display unit on the front, with operation buttons on the edges. In order to prevent external shocks, a tempered glass film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display to protect it from shocks. You can minimize damage to your smartphone from external impacts by using it or purchasing a protective case that is released according to the type of smartphone and covering the back of the smartphone except for the edges and the camera part on the back.

그러나 이와 같은 스마트폰 케이스는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동영상 및 사진 촬영을 하기 위하여 안정적으로 거치하거나 고정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특히 곡면에서의 거치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t was difficult to stably mount or fix such a smartphone case for watching videos or taking videos and photos, and in particular, it was impossible to mount it on a curved surface.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 등록 제1925601호 "건식 접착패드가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휴대전화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상에 구비되되 기울기를 갖는 거치면 측에 면접 될 시에 자중 방향으로 고정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섬모가 형성된 건식 접착패드;가 포함되며, 상기 케이스 외부면에는 상기 휴대전화의 화면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틸팅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건식 접착패드는 상기 틸팅부재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건식 접착패드 및 섬모는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섬모는 일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되 그 단부는 상기 휴대전화가 자중 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 상기 거치면과 접촉면적이 확대되면서 마찰력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상기 섬모가 기울어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틸팅부재는 90도의 각도로 양방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접착패드가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를 제안한다.The technology behi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atent Registration No. 1925601, “Mobile phone case with dry adhesive pad” (Patent Document 1). In the above background technology, 'a case detachably coupled to the back of a mobile phone; and a dry adhesive pad provided on the case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cilia so as to exert a fix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its own weight when placed on the inclined surface,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screen of the mobile phone. A tilt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to enable switching, the dry adhesive pad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ilting member, the dry adhesive pad and cilia are made of a polymer material, and the cilia are form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the ends of which are When the mobile phone receives force in the direction of its own weight, the contact area with the mounting surface expands and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ilia are tilted so that the friction force can be maximized, and the tilting member moves in both directions at an angle of 90 degrees. We propose a 'mobile phone case equipped with a dry adhesive pad that is rotatably installed.'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접착패드가 외부로 노출되어 손상이 쉽게 될 뿐만 아니라, 부착 대상면이 곡면인 경우에는 부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 background technology had the problem that not only was the adhesive pad exposed to the outside and easily damaged, but it also made it impossible to attach when the surface to be attached was curv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부착패드를 포함하는 폰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ne case including an attachment pad for the convenience of smartphone user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폰케이스는 배면부(11)와 배면부(11)의 외측 단부에서 전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부(12)가 일체로 이루어져, 스마트폰이 탈착되도록 하는 케이스 본체(10)와; 일정 두께의 외측 커버부(21)와, 외측 커버부(21)의 전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어 부착력을 제공하는 점착층(2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케이스 본체(10)의 배면부(11)의 배면에 점착층(22)이 탈부착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패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부착패드(20)의 일부는 배면부(11)에 부착된 상태에서 나머지 일부는 배면부(11)에서 이탈시켜 부착 대상물에 이탈된 점착층(22)이 부착되며, 부착패드(20)의 일부와 부책패드(20)의 나머지 일부 사이에는 외부에서 터치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열기(미도시)와 전열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길이가 가변하는 형상기억합금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made up of a rear portion 11 and a side portion 12 extending from the outer end of the rear portion 11 toward the front, and a case body 10 that allows the smartphone to be detached. )and; It includes an outer cover part 21 of a certain thickness and an adhesive layer 22 that is formed to a certain thicknes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cover part 21 to provide adhesion, and is attached to the back part 11 of the case body 10. It is comprised of an attachment pad 20 on which the adhesive layer 22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ck, with a portion of the attachment pad 20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11 and the remaining portion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11. The adhesive layer 22 is separated and attached to the attachment object, and a heater (not shown) whose temperature can be adjusted by touching from the outside is provided between part of the attachment pad 20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accessory pad 20. It may be characterized by a built-in shape memory alloy whose length is variable by the operation (not shown).

케이스 본체(10)의 배면부(11)의 배면에는 패드 안착홈(111)이 형성되고, 패드 안착홈(111)에 부착패드(20)가 안착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pad seating groove 111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rear portion 11 of the case body 10, and the attachment pad 20 is seated and attached to the pad seating groove 111.

부착패드(20)의 외측 커버부(21)의 외측면은 일정 간격마다 폭방향으로 가이드 홈(2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portion 21 of the attachment pad 20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guide grooves 211 ar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본 발명의 폰케이스는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스마트폰을 보호하도록 하는 케이스 본체의 배면에 별도의 부착패드를 점착시켜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손에 들고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외에도 부착패드를 케이스 본체에서 일부 분리시켜 스마트폰을 부착시킬 대상물에 부착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쥐고 있지 않은 상태로 스마트폰을 가로 혹은 세로방향으로 고정하여 동영상 등의 시청, 카메라 촬영에 대한 편의성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상물의 표면이 평면뿐만 아니라, 경사면, 곡면, 원형 및 파이프 형상에서도 용이하게 스마트폰을 부착시킬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부착패드의 점착층이 케이스 본체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어 점착층을 보호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 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by attaching a separate attachment pad to the back of the case body that protects the smartphone by mounting it, so that in addition to the general method of holding the smartphone in hand and using it, the attachment pad is attached to the case body. By partially detaching the smartphone and attaching it to the object to which the smartphone is to be attached, not only can the user provide convenience for watching videos and taking camera shots by fixing the smartphone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without holding it with the user's hand. The smartphone can be easily attached not only to flat surfaces, but also to inclined surfaces, curved surfaces, circles, and pipe shapes. In normal times, the adhesive layer of the attachment pad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case body to protect the adhesive layer. It is effective for long-term us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폰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폰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폰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폰케이스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폰케이스의 내부에 충격 분산 에어홀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실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3.
Figures 5 and 6 are diagrams showing the 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use.
Figure 7 is an implementation view showing a shock dispersion air hole formed inside the 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provide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killed person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mentioned ele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ferenc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a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본 발명의 폰케이스(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부(11)와 배면부(11)의 외측 단부에서 전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부(12)가 일체로 이루어져, 스마트폰이 탈착되도록 하는 케이스 본체(10)와; 일정 두께의 외측 커버부(21)와, 외측 커버부(21)의 전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어 부착력을 제공하는 점착층(2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케이스 본체(10)의 배면부(11)의 배면에 점착층(22)이 탈부착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패드(2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phone cas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up of a rear portion 11 and a side portion 12 extending in the front direction from the outer end of the rear portion 11, so that the smartphone A case body 10 that is detachable; It includes an outer cover part 21 of a certain thickness and an adhesive layer 22 that is formed to a certain thicknes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cover part 21 to provide adhesion, and is attached to the back part 11 of the case body 10. It includes an attachment pad (20) on which the adhesive layer (22)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ck.

케이스 본체(10)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케이스와 동일하게 전면부가 개방되어 스마트폰(2)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며, 스마트폰(2)에 따라 배면부(11) 및 측면부(12)에는 카메라홀(16) 및 버튼부(17) 등이 형성될 수 있다.The case body (10) has an open front part, like a typical smartphone case, to accommodate the smartphone (2), and depending on the smartphone (2), the back part (11) and the side part (12) have a camera hole (16). ) and button portion 17, etc. may be formed.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일반적인 스마트폰 케이스 본체(10)에 별도의 부착패드(20)를 부착하도록 하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착패드(20)는 케이스 본체(10)의 배면부(11)의 크기와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외측 커버부(21)와 외측 커버부(21)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부착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점착층(22)으로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attachment pad 20 is attached to the general smartphone case body 10. The attachment pad 2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ize of the back portion 11 of the case body 10 and It consists of an outer cover part 21 of similar size and an adhesive layer 22 formed on the front part of the outer cover part 21 to provide adhesion.

커버부(21)는 사용자가 스마트폰(2)에 케이스(1)를 장착하고 파지할 때, 그립감이 뛰어나도록 하며 부착패드(20)가 곡면 등 다양한 부착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부착패드(20)를 케이스 본체(10)에서 일부만 떼어낼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의 가죽, 실리콘, 합성수지 등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ver portion 21 provides an excellent grip when the user attaches and holds the case 1 to the smartphone 2, and the attachment pad 20 can be attached to various attachment surfaces such as curved surfaces, and the attachment pad 20 ) may be made of various known materials such as flexible leather, silicone, and synthetic resin so that only a portion can be removed from the case body 10.

이와 같은 외측 커버부(21)의 전면부에는 점착층(22)이 형성되며 점착층(22)은 공지의 다양한 점착제가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점착용 패드로 공지의 재사용이 가능한 점착 패드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An adhesive layer 22 is formed on the front part of the outer cover 21, and the adhesive layer 22 is an adhesive pad made of various known adhesives with a certain thickness, so that known reusable adhesive pads can be used. can do.

본 발명에서는 평상시에는 케이스 본체(10)의 배면부(11)에 부착패드(20)의 점착층(22)이 부착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점착층(2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점착층(22)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점착층(22)에 이물질이 묻거나 부착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시에만, 도 1 및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패드(20)의 일부는 배면부(11)에 부착된 상태에서 나머지 일부는 배면부(11)에서 이탈시켜 부착 대상물에 이탈된 점착층(22)이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dhesive layer 22 of the attachment pad 20 is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11 of the case body 10 in normal times, the adhesive layer 22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adhesive layer 22 Since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adhesive layer 22,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getting on the adhesive layer 22 or the adhesion strength decreases, and only when used, as shown in FIGS. 1, 5, and 6, a part of the attachment pad 20 is While it is attached to the back part 11, the remain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back part 11 so that the separated adhesive layer 22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object.

본 발명에서는 부착패드(20)의 점착층(22)을 직접 부착시켜 스마트폰(2)을 고정하기 때문에, 부착면이 평면이지 않아도, 경사면이나, 도 5에서와 같이 일정 곡면을 갖는 자동차의 대쉬보드(3)에도 부착이 가능하고, 도 6에서와 같이, 케이스 본체(!0)의 배면부(11)에서 일부 분리시킨 부착패드(20)를 자전거의 핸들(4)과 같은 파이프 형상의 부착 대상물에도 감는 형태로 부착시켜 고정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martphone 2 is fixed by directly attaching the adhesive layer 22 of the attachment pad 20, even if the attachment surface is not flat, it can be used on an inclined surface or on the dash of a car with a certain curved surface as in FIG. 5. It can also be attached to the board (3), and as shown in FIG. 6, the attachment pad (20), which is partially separated from the rear portion (11) of the case body (!0), can be attached to a pipe-shaped attachment object such as the handlebar (4) of a bicycle. It can also be attached and fixed in a coiled form.

특히, 도 1 내지 도 4에서오 k같이, 케이스 본체(10)의 배면부(11)의 배면에는 패드 안착홈(111)이 형성되고, 패드 안착홈(111)에 부착패드(20)가 안착되어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부착패드(20)가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주머니에 넣거나 뺄때 걸려서 떼어지지 않도록하여 부착패드(20)를 보호하면서도 부착패드(20)가 안정적으로 케이스 본체(10)에 부착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ures 1 to 4, a pad seating groove 111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rear portion 11 of the case body 10, and the attachment pad 20 is seated in the pad seating groove 111. By being attached, the attachment pad 20 is protected from being caught and removed when the user holds it, puts it in a pocket, or removes it, and can also ensure that the attachment pad 20 is stably attached to the case body 10. there is.

또한, 부착패드(20)의 외측 커버부(21)의 외측면은 일정 간격마다 폭방향으로 가이드 홈(211)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파지시에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부착패드(20)를 케이스 본체(10)에서 떼어낼 때 가이드 홈(211)을 따라 외측으로 잘 접히도록 하는 역할과 도 6에서와 같이 부착 대상불에 부착 패드(20)를 부착시킬때 가이드 홈(211)이 형성된 부분이 내측으로 접혀 곡면에도 용이하게 부착이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guide grooves 211 ar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portion 21 of the attachment pad 20, so that the user can prevent slipping when gripping, especially when attaching. When the pad 20 is removed from the case body 10, it folds well outward along the guide groove 211, and when attaching the attachment pad 20 to the attachment target as shown in Figure 6, the guide groove ( The part where 211) is formed can be folded inward so that it can be easily attached to a curved surface.

부착패드(20)는 패드 안착홈(111)에 안착되어 부착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부착패드(20)가 패드 안착홈(111)에 삽입된 상태가 되어 부착패드(20)를 떼어내기 어렵기 때문에 부착패드(20)의 하단부에는 일부 절개되어 패드이탈구(23)이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패드이탈구(23)에 손가락을 넣어 용이하게 부착패드(20)를 케이스 본체(10)에서 이탈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The attachment pad 20 can be attached by being seated in the pad seating groove 111. In this case, the attachment pad 20 is inserted into the pad seating groove 111, making it difficult to remove the attachment pad 20. Therefore, the lower part of the attachment pad 20 is partially cut to form a pad release hole 23,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attachment pad 20 from the case body 10 by inserting a finger into the pad release hole 23. You can also do it.

도 7은 본 발명의 부착패드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내부에 충격 분산 에어홀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hock dispersion air hole is formed inside a smartphone case equipped with an attachment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스마트폰(2)을 본 발명의 부착패드가 구성된 스마트폰 케이스(1)에 장착하여 부착패드(20)를 일부 케이스 본체(10)에서 벗겨내어 부착 대상물에 붙여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7에서와 같이, 케이스 본체(10)의 배면부(11)와 측면부(12)가 연결되는 내측면의 각 모서리에는 일정크기의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충격 분산 에어홀(13)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낙하시에 스마트폰(2)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충격 분산 에어홀(13)에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invention, the smartphone (2) is mounted on a smartphone case (1) equipped with the attachment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ttachment pad (20) is partially peeled off from the case body (10) and attached to an attachment object for easy us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shock dispersion air holes 13 are formed by forming grooves of a certain size at each corner of the inner surface where the back part 11 and the side part 12 of the case body 10 are connected. ) by allowing it to be formed. It is also possible to disperse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2) when it falls through the shock dispersion air hole (13).

충격 분산 에어홀(13)은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케이스 본체(10)의 배면부(11)와 측면부(12)가 연결되는 내측면의 각 모서리에 형성되도록 한다.Shock dispersion air holes 13 are of various sizes and shapes and are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inner surface where the rear portion 11 and the side portion 12 of the case body 10 are connect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폰케이스는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스마트폰을 보호하도록 하는 케이스 본체의 배면에 별도의 부착패드를 점착시켜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손에 들고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외에도 부착패드를 케이스 본체에서 일부 분리시켜 스마트폰을 부착시킬 대상물에 부착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쥐고 있지 않은 상태로 스마트폰을 가로 혹은 세로방향으로 고정하여 동영상 등의 시청, 카메라 촬영에 대한 편의성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상물의 표면이 평면뿐만 아니라, 경사면, 곡면, 원형 및 파이프 형상에서도 용이하게 스마트폰을 부착시킬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부착패드의 점착층이 케이스 본체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어 점착층을 보호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by attaching a separate attachment pad to the back of the case body to protect the smartphone by mounting it, so that in addition to the general method of holding the smartphone in hand and using it, the attachment pad can be used. By detaching part of the case from the main body and attaching it to the object to which the smartphone is to be attached, the user can secure the smartphone horizontally or vertically without holding it with their hands, providing convenience for watching videos, etc., and taking camera shots. In addition, the smartphone can be easily attached not only to flat surfaces, but also to inclined surfaces, curved surfaces, circles, and pipe shapes. In normal times, the adhesive layer of the attachment pad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case body to protect the adhesive layer. It is effective and can be used for a long time.

나아가 본 발명의 폰케이스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부착패드(20)의 일부와 부책패드(20)의 나머지 일부 사이에는 외부에서 터치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열기(미도시)와 전열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길이가 가변하는 형상기억합금이 내장되어 거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추가적인 편의성을 제공한다.Furthermore, in a modified example (not shown) of the 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er (not shown) whose temperature can be adjusted by touching from the outside is provided between a part of the attachment pad 20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booklet pad 20 and an electric heater (not shown). It is built with a shape memory alloy whose length is variable by the operation of the device, providing additional convenience in adjusting the mounting length.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Claims (3)

배면부(11)와 배면부(11)의 외측 단부에서 전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부(12)가 일체로 이루어져, 스마트폰이 탈착되도록 하는 케이스 본체(10)와;
일정 두께의 외측 커버부(21)와, 외측 커버부(21)의 전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어 부착력을 제공하는 점착층(2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케이스 본체(10)의 배면부(11)의 배면에 점착층(22)이 탈부착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패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부착패드(20)의 일부는 배면부(11)에 부착된 상태에서 나머지 일부는 배면부(11)에서 이탈시켜 부착 대상물에 이탈된 점착층(22)이 부착되며,
부착패드(20)의 일부와 부책패드(20)의 나머지 일부 사이에는 외부에서 터치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열기(미도시)와 전열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길이가 가변하는 형상기억합금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패드가 구성된 폰케이스.
A case body 10 including a rear portion 11 and a side portion 12 extending from the outer end of the rear portion 11 toward the front, so that the smartphone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It includes an outer cover part 21 of a certain thickness and an adhesive layer 22 that is formed to a certain thicknes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cover part 21 to provide adhesion, and is attached to the back part 11 of the case body 10. It consists of an attachment pad 20 on which the adhesive layer 22 is removably attached to the back,
While part of the attachment pad 20 is attached to the back part 11, the remaining part is detached from the back part 11 and the detached adhesive layer 22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object,
Between part of the attachment pad 20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accessory pad 20, there is a heater (not shown) whose temperature can be adjusted by touching it from the outside, and a shape memory alloy whose length is variable by the operation of the heater (not shown). A phone case with a built-in attachment pad.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10)의 배면부(11)의 배면에는 패드 안착홈(111)이 형성되고, 패드 안착홈(111)에 부착패드(20)가 안착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패드가 구성된 폰케이스.
According to paragraph 1,
A phone case comprised of an attachment pad, characterized in that a pad seating groove 111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rear portion 11 of the case body 10, and the attachment pad 20 is seated and attached to the pad seating groove 111. .
제1항에 있어서,
부착패드(20)의 외측 커버부(21)의 외측면은 일정 간격마다 폭방향으로 가이드 홈(2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패드가 구성된 폰케이스.
According to paragraph 1,
A phone case comprised of an attachment pad, characterized in that guide grooves 211 ar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portion 21 of the attachment pad 20.
KR1020220028573A 2022-03-07 2022-03-07 Phone case including attachment pad for convenience of smartphone users KR202301315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573A KR20230131553A (en) 2022-03-07 2022-03-07 Phone case including attachment pad for convenience of smartphone us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573A KR20230131553A (en) 2022-03-07 2022-03-07 Phone case including attachment pad for convenience of smartphone us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553A true KR20230131553A (en) 2023-09-14

Family

ID=88013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573A KR20230131553A (en) 2022-03-07 2022-03-07 Phone case including attachment pad for convenience of smartphone us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155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4085B1 (en) Accessory for mobile device
JP6576475B2 (en)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US9407743B1 (en) Handheld cell phone protector case with adjustable strap to facilitate securely holding the cell phone protector case and also retain the cell phone protector case on a body part
TWI580338B (en) Water-resistant case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water-resistant casing for electronic tablet
US10848194B2 (en)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US8616422B2 (en) Cantilevered snap fit case
US9585449B2 (en) Mobile phone enclosures
US20150365121A1 (en) Maneuverable handle and case for electronic devices
KR101461004B1 (en) Side-touch enabled smartphone case
KR20160018306A (e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013308B2 (en) Apparatus for carrying electronic device
US8770403B2 (en) Holding aid
JP3179614U (en) Cover for mobile terminal
KR20230131553A (en) Phone case including attachment pad for convenience of smartphone users
WO2016121891A1 (en) Portable terminal holding cover
KR102674529B1 (en) Smart phone protection case having sticking pad
KR101989189B1 (en) Accessory for mobile devices
KR20210026869A (en) Smart phone protection case having sticking pad
KR20150000060A (en)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20090117466A (en) Cover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KR101559317B1 (en) Protection Cover Case with Ringhandle for Mobile Device
JP3183624U (en) Smartphone cover with adapter
US20160056855A1 (en) Mobile phone enclosures with money clip
KR101163981B1 (en) A case of a portable terminal with a function of supporting that
KR20160003392A (en) Holder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a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