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004B1 - Side-touch enabled smartphone case - Google Patents

Side-touch enabled smartphone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004B1
KR101461004B1 KR20140049435A KR20140049435A KR101461004B1 KR 101461004 B1 KR101461004 B1 KR 101461004B1 KR 20140049435 A KR20140049435 A KR 20140049435A KR 20140049435 A KR20140049435 A KR 20140049435A KR 101461004 B1 KR101461004 B1 KR 101461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case
smartphone case
mounting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9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지훈
Original Assignee
박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훈 filed Critical 박지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0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a smartphone having a display extended to side surfaces. The case does not inhibit the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from sensing touch. An additional card storing part and an accessory storing part can be formed and install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The case comprises a protection part which covers an upper end portion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smart phone; a case main body comprising a mounting part, which can be joined with a back side of the smart phone; and the card storing part and the accessory storing part. The case effectively protects the smartphone having a display extended to the side surfaces. A user can easily see and touch the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The card storing part and the accessory storing part,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increases convenience of the user.

Description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Side-touch enabled smartphone case}A side-touch enabled smartphone case {Side-touch enabled smartphone cas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까지 디스플레이가 확장되어 있는 스마트폰용 케이스로써 측면 디스플레이의 터치가 가능하고, 후면부로 별도의 카드수납부와 악세사리수납부를 형성 및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phone case having a display extended to a side surface thereof, which is capable of touching the side display, and a separate card storage portion and an accessory storage portion can be formed and installed at the rear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side touch.

핸드폰, PDA, 전자사전,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 기기들은 그 크기가 작아 사용자가 휴대하기 편하면서도 강력한 성능을 가지고 있어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Portable terminal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DAs, electronic dictionaries, and smart phones are commonly used because they are small in size and easy to carry by users and have strong performance.

하지만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 기기들은 휴대성을 올리기 위하여 작은 크기로 제작되며, 이로 인하여 떨어뜨림 등으로 인한 충격에 약하다는 단점을 필연적으로 가지게 된다. 특히 근래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 기기인 스마트폰은 성능이 데스크탑 컴퓨터와 비견될 정도로 성능이 강력하나, 이로 인하여 내부의 전자회로가 초소형화, 밀집화되어 민감하고, 외부의 디스플레이가 기타 휴대 단말기기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기타 휴대 단말 기기등에 비하여 충격에 훨씬 취약하게 된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portable terminal devices ar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in order to increase the portability, and thus they have a disadvantage that they are vulnerable to impact due to falling or the like. Especially, smartphone, which is the most popular portable terminal device in recent years, has a performance comparable to that of a desktop computer. However, since the internal electronic circuit is miniaturized and densified to be sensitive, It is much more vulnerable to impact than other portable terminal devices.

따라서, 상기의 스마트폰은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케이스를 외부에 장착함으로써 떨어뜨림 등의 충격으로부터 스마트폰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는 크게 측면을 보호하는 범퍼케이스, 측면과 후면을 보호하는 하드케이스, 신용카드 등을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는 다이어리케이스 등으로 구분된다.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smartphone generally protects the smartphone from shocks such as dropping by mounting the smartphone case on the outside. The smartphone case is divided into a bumper case for protecting the side surface, a hard case for protecting the side and rear surfaces, and a diary case for easily storing a credit card.

이중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식은 범퍼케이스와 하드케이스 방식으로, 상기 범퍼케이스 및 하드케이스는 우레탄이나 고무 등의 유연한 합성수지나 고형 젤리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재질로 제작되는 범퍼케이스 및 하드케이스는 내부에 거치되는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일차적인 역할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와 색상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패션 아이템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is a bumper case and a hard case type, and the bumper case and the hard case are generally manufactured by using a flexible synthetic resin such as urethane or rubber or a solid jelly. The bumper case and the hard case made of the above-mentioned materials are not only a primary role for protecting the smartphone mounted inside, but also can be used as fashion items because they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colors.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범퍼케이스와 하드케이스,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 거치되는 스마트폰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도시된 스마트폰(P)의 하드케이스(HC) 및 범퍼케이스(BC)는 현재 스마트폰(P)에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 generally used bumper case, a hard case, and a smart phone which is mounted on the case. The hard case HC and the bumper case BC of the smartphone P shown in Fig. 1 show the most general form currently used for the smart phone P.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현재 출시되고 있는 하드케이스(HC) 및 범퍼케이스(BC)는 모두 스마트폰(P)의 상하좌우 측면을 가리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스마트폰(P)이 떨어뜨림 등의 사고로 가장 많은 충격을 받는 부분이 모서리를 비롯한 스마트폰(P)의 상하좌우 측면이기 때문이며, 또한 상기 스마트폰(P)의 터치 디스플레이(PD)는 상부면 중앙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P)의 측면이 가려져도 사용에 지장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스마트폰(P)에 케이스(HC, BC)를 용이하게 끼워서 체결하기 위하여는 상기 스마트폰(P)의 측면부에 케이스(HC, BC)를 끼워서 체결하는 것이 가장 용이한 방법이다.1, it can be seen that the hard case HC and the bumper case BC, which are currently being released, are formed in a shape that covers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martphone P, (PD) of the smartphone P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martphone P, because the portion of the smartphone P that is most affected by an accident such as a drop is the upper, , And the side of the smartphone (P) is covered, the use is not hindered. It is the easiest way to fasten the case HC and BC to the side portion of the smartphone P in order to fasten the case HC and BC to the smartphone P with ease.

하지만 최근 기술의 추세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의 터치 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의 크기에 비해 점점 더 넓어지는 추세이며, 최근 컨셉이 공개된 아이폰 6은 스마트폰의 상부 측단면 끝까지 확장된 디스플레이를 선보인 바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recent trend of the technology, the touch display of the above-mentioned smart phone is gradually widening compared to the size of the smart phone, and recently the concept of the iPhone 6 has been extended to display the upper end of the upper side of the smart phone .

또한 상기 스마트폰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기술이 도입됨에 따라, 곡면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기존의 스마트폰에 비해 그 모양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삼성과 LG 등의 업체는 휘어진 형태의 스마트폰을 출시한 바 있으며, 현재 공개되어 있는 공개특허 10-2011-0068666호 및 10-2013-0081617호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디스플레이가 휘어져 측면까지 확장되어 있는 스마트폰이 근미래에 등장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lexible display technology is introduced to the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form a curved display, and thus it can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compared to a conventional smart phone. Actually, Samsung and LG have introduced curved smart phones. As can be seen in the published patent publications 10-2011-0068666 and 10-2013-0081617, when the display is bent and extended to the side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smartphone that has been introduced will be introduced in the near future.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측면까지 확장되어 있는 스마트폰(이하 확장 디스플레이 스마트폰)이 출시될 경우, 기존의 하드케이스 및 범퍼케이스의 형태는 사용이 불가능해지는데, 이는 기존의 하드케이스 및 범퍼케이스 형태로 확장 디스플레이 스마트폰을 제작할 시, 측면부 디스플레이를 케이스가 가리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측면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When a smartpho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xtended display smartphone) with a display extended to the side as described above is released, the conventional hard case and the bumper case can not be used, which is a conventional hard case and a bumper case When manufacturing an extended display smartphone, the side display is covered by the case, making it impossible for the user to use the side display.

따라서 근미래에 등장하게 될 확장 디스플레이 스마트폰에는 종래의 케이스와는 다르게 설계된 스마트폰 케이스가 요구된다.Therefore, the extended display smartphone which will appear in the near future requires a smartphone case designed differently from the conventional case.

상기와 같은 스마트폰 케이스는 다양한 형태로 개시되어 있으며, 그중 하나는 공개실용신안 20-2013-0004063호로써, 몸체와 상기 몸체 전면부에 홈이 형성된 핸드폰삽입부, 상기 몸체의 후면에 설치된 포켓부로 구성되어, 상기 포켓부를 상 하 이중 포켓으로 설치되어 후면부의 하부에 손가락이, 상부에 카드가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한 포켓이 구비된 핸드폰 커버에 관한 것이다.One of them is a public utility model 20-2013-0004063, which includes a body, a cell phone insertion portion having a groove formed i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a pocket portion provided on the back of the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over having a pocket formed by a pair of upper and lower pockets and provided with a finger at a lower portion of a rear portion thereof and a car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하지만 상기 실용신안은 확장 디스플레이용 스마트폰에 관련된 발명인 본 발명과는 무관하다.However, the utility model is no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invention related to a smartphone for extended display.

그리고 등록특허 10-1201348호 및 등록실용신안 20-0467722호는 각각 보호필름과 투명판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보호하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 역시 확장 디스플레이용 스마트폰에 관련된 발명인 본 발명과는 무관하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10-1201348 and Registration Practice Model No. 20-0467722 disclose a smartphone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a touch screen of a smart phone using a protective film and a transparent plate, respectively, It is independent of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측면부까지 디스플레이가 확장되어 있는 확장 디스플레이용 스마트폰 케이스로써 측면터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스마트폰의 후면부에 카드 및 악세사리를 수납하는 공간을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는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phone case for an extended display having a display extended to a side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스마트폰 케이스로써, 스마트폰의 상단과 하단을 덮어 보호할 수 있는 보호부와, 스마트폰의 후면부 일부 또는 전체에 밀착될 수 있는 거치부로 구성되는 케이스본체로 구성되어 측면까지 디스플레이가 확장된 스마트폰의 측면터치가 용이한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한다..A smartphone case, a smartphone case having a protector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a smartphone, and a case body that includes a mounting part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a part or the whole of the rear part of the smart phone, It provides a smartphone case that can easily touch the side of the phone.

상기에서, 거치부는 스마트폰의 양 측면 일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연장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the mounting portion may be extended to cover a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smart phone.

상기에서, 스마트폰 케이스의 전면부로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결합되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덮어 보호할 수 있는 보호필름이 추가로 구성되어 스마트폰 케이스의 보호부 및 전면부의 안쪽 일분에 부착되어 제공되고, 상기 보호부에는 내부에 결합되는 스마트폰의 내장 장치에 따라서 이어폰노출부 및 카메라노출부, 안테나노출부, 케이블노출부, 스피커노출부, 마이크노출부, 스위치노출부, 터치펜노출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한다.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phone case may be provided with a protection film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coupled to the smartphone case and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rotective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smartphone case, The protec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arphone exposure unit, a camera exposure unit, an antenna exposure unit, a cable exposure unit, a speaker exposure unit, a microphone exposure unit, a switch exposure unit, and a touch pen exposure unit according to a built- .

상기에서, 스마트폰 케이스에는 후면수납판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rear housing plate may be additionally formed in the smartphone case.

상기에서, 스마트폰 케이스의 후면수납판의 일측면으로는 카드수납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card storage un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storage board of the smartphone case.

상기에서, 스마트폰 케이스의 후면수납판은 악세사리파우치가 추가로 구성되어, 상기 후면수납판에 악세사리파우치가 카드수납부가 형성된 반대편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ear housing plate of the smartphone case further comprises an accessory pouch so that the accessory pouch can be connected to the rear housing plate in a detachable manner on the opposite side formed with the card housing part.

상기에서, 악세사리파우치와 후면수납판의 탈부착 가능한 연결 수단은 스냅버튼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tachable connecting means of the accessory pouch and the rear receiving plate use snap buttons.

상기에서, 후면수납판에는 후면카메라 및 후면스피커를 노출시킬 수 있는 카메라노출부 및 스피커노출부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a camera-exposed portion and a speaker-exposed portion are formed on the rear housing plate to expose the rear camera and the rear speaker.

상기에서, 거치부의 일측에 거치확장부가 연장 형성되고, 타측으로 거치결합부가 형성되며, 후면수납판의 일측으로 수납확장부가 접을 수 있게끔 형성되고, 타측으로 수납결합부가 상기 거치결합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후면수납판의 수납확장부가 거치부의 거치확장부에 부착되어 설치되고, 수납결합부와 거치결합부는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The storage expansion par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mounting plate so that the storage expansion part can be folded. On the other side, the storage coupling par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ounting coupling part And the storage expansion portion of the rear housing board is attached to the mounting expansion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so that the accommodation coupling portion and the mounting coupling portion are detachably connected.

상기에서, 거치부의 양 측면 또는 후면으로 한 쌍의 거치부레일이 형성되고, 하단부로 칸막이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확장부가 한 쌍의 거치부레일 내로 끼어들어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a pair of embossing bushe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r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 partition may be formed as a lower end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so that the accommodating brac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air of mounting bushes.

상기에서, 거치부가 스마트폰의 후면부 전체를 덮는 후면보호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rear surface protecting portion covering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smart phone.

상기에서, 후면보호부에는 내부에 결합되는 스마트폰의 내장 장치에 따라서, 카메라노출부 및 스피커노출부, 마이크노출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built-in device of the smart phon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ack protection unit, at least one of the camera exposure unit, the speaker exposure unit, and the microphone exposure unit is formed.

상기에서, 후변보호부의 외부면으로 하나 이상의 수납부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side protection portion.

상기에서, 후면보호부의 외부면으로 악세사리파우치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accessory pou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protecting part.

본 발명에 의하면, 측면부까지 디스플레이가 확장되어 있는 확장 디스플레이용 스마트폰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도 측면 디스플레이까지 용이하게 보거나 터치하는 등의 사용이 가능하고, 후면부에 카드 및 악세사리 수납 공간을 별도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se a smartphone for extended display, in which a display is extended to a side portion, while easily viewing or touching a side display, and separately providing a card and accessory storage space in the rear portion. Can be improved.

도 1은 일반적인 스마트폰 케이스의 형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제1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제1예시가 스마트폰과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제1예시가 보호필름과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5, 도 11은 본 발명의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제2예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제2예시가 스마트폰과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후면수납판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후면수납판과 악세사리파우치가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후면수납판과 스마트폰 케이스의 제1예시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케이스의 제2예시와 악세사리파우치가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구조도.
1 is a schematic structural view of a typical smartphone cas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xample of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side tou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tructural view illustrating a first example of a side-touch capable smart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d with a smartphone.
FIG. 4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first example of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side tou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d with a protective film. FIG.
5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of a second example of a smartphone case capable of side tou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tructural view illustrating a second example of a side-touch capable smart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d with a smartphone.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receiv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rear receiv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essory pouch are coupled.
FIG. 9 and FIG. 10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rear case and a first example of a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2 is a structural view illustrating a second example of a smart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hape in which a accessory pouch is combined.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이하의 특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intended to assist in the 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invention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본 발명의 스마트폰 케이스(10)는 스마트폰의 측면터치가 가능한 케이스 전반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두 가지 형태의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10), 즉 제1예시형태 케이스(100)와 제2예시형태 케이스(200)에 대해 설명하고 상기의 케이스(100, 200)에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The smartphone cas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neral case capable of side touching of a smartphone. In the following, a smartphone case 10, i.e., a first exemplary case 100,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case 200 will be described and constituent elements that can additionally be configured to the above cases 100 and 200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10)의 일예시로써, 제1예시형태 케이스(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2의 A는 스마트폰 케이스(10) 중 제1예시형태 케이스(100)의 전면 사시도이며, 도 2의 B는 상기 제1예시형태 케이스(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제1예시형태 케이스(100)에 스마트폰(P)을 결합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상기 제1예시형태 케이스(100)에 보호필름(F)이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1예시형태 케이스(100)에 대하여, 도 2 및 도 3, 도 4를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exemplary case 100 as an example of a smartphone case 10 capable of side tou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xemplary case 100 of the smartphone case 10, and FIG. 2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xemplary case 100.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martphone P is coupled to the case 100 of the first embodiment.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protective film F is coupled to the case 100 of the first embodiment. FIG. Hereinafter, the first embodiment cas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3, and 4. FIG.

도 2에서 도시된 형태의 제1예시형태 케이스(100)는 상술하였다시피, 본 발명의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10)의 여러 형태 중 하나이다.The first exemplary case 100 of the type shown in FIG. 2 is one of various forms of the smartphone case 10 that can be side-touch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제1예시형태 케이스(100)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체이면서도 유연성 및 신축성을 가지고 있는 고무나 우레탄, 고형 젤리 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synthetic resin such as rubber, urethane or solid jelly which is solid and flexible and stretchabl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상기 제1예시형태 케이스(100)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00)는 결합될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이 정확히 맞물려 거치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며, 케이스(100) 상하 측면과 전면부의 일부로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의 상하좌우 측면 및 사방의 모서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부(110, 120)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부(110, 120)에는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의 전원케이블 및 이어폰, DMB안테나, 전면카메라, 스피커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케이블노출부(121) 및 이어폰노출부(111), 안테나노출부(112), 전면스피커노출부(113), 전면카메라노출부(114) 등이 형성되며, 이는 상기 케이스(100)와 결합되는 스마트폰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장치의 구성 및 위치에 따라 도 2 및 도 3, 도 4 등에 위치한 노출부(111, 112, 113, 114, 121) 등은 상기 보호부(110, 120) 상에서 그 위치가 바뀔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의 다른 장치를 사용하기 위하여, 보호부(110, 120)에는 추가적인 개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케이블노출부(121)는 하단보호부(120)에, 이어폰노출부(111) 및 안테나노출부(112)는 상단보호부(110)에 형성되는 것을 제1예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case 100 is formed in such a form that a smartphone (not shown) to be coupled can be correctly engaged and mounted,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ase 100 Protecting portions 110 and 120 are formed to effectively protect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and edges of four sides of a smart phone (not shown) as part of the front portion. A cable exposing unit 121, an earphone exposing unit 111, an antenna exposing unit 112, a front speaker exposing unit 113, a front camera 113, 2, 3 and 4,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and position of the device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smartphone coupled with the case 100. The exposed portions 111 and 112 , 113, 114, 121, etc.) are formed on the protective portions 110, 120 The position can be changed. Further, in order to use another device of the smart phone (not shown), an additional open space may be formed in the protection units 110 and 120. Hereinafter, the cable exposing unit 121 will be described as a bottom protecting unit 120, and the earphone exposing unit 111 and the antenna exposing unit 112 will be described as a first example in the upper protection unit 110 .

그리고 상기 보호부(110, 120)의 후면부와 측면부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보다 약간 좁은 폭을 지니는 거치부(130)가 사각 틀 형태로 상기 보호부(110, 120) 후면부에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mounting part 130, which is slightly narrower than a smart phone (not shown), is mounted on the rear and side parts of the protective parts 110 and 120, 120).

상기의 사각틀 형태의 거치부(130)는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보다 약간 좁게 형성되나, 상술한 바와 같이 거치부(130)를 포함하는 케이스(100)는 유연성 및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므로, 내부로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을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The rectangular frame 130 is formed to be slightly narrower than a smart phone (not shown).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ase 100 including the mounting portion 130 is formed of a flexible and stretchable material ,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a smart phone (not shown) inside.

이를 도 3을 통해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에, 스마트폰(P)의 디스플레이(PD)가 향하도록 하여 상기 케이스(100)에 스마트폰(P)을 밀어 넣게 되는데, 이때 케이스(100)의 거치부(130)가 늘어나 스마트폰(P)을 케이스(100) 내부로 밀어넣어 거치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스마트폰(P)이 케이스(100)에 들어가 거치되면, 상기 거치부(130)가 스마트폰(P)의 후면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원래 크기로 축소되므로, 상기 케이스(100)가 스마트폰(P)에 밀착 고정될 수 있게 된다.3, the user can set the case 100 so that the display PD of the smartphone P is dir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case 100, The mounting portion 130 of the case 100 is extended and the smartphone P can be pushed into the case 100 to be mounted thereon. The case 100 can be closely fixed to the smartphone P because the mounting portion 130 is reduced to its original size in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portion of the smartphone P, do.

상기와 같이 케이스(100)가 스마트폰(P)에 장착되는 형태는 도 3의 A, B, C형태가 될 수 있는데, 도 3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P)의 후면부가 평면으로 형성되고, 디스플레이(PD)가 확장되는 측면이 전면부에서 곡면이 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케이스(100)의 거치부(130)는 스마트폰(P)의 후면부 일부와 측면부 일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보호부(110, 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3 (A), 3 (B) and 3 (C). As shown in FIG. 3, the rear part of the smartphone P The mounting portion 130 of the case 100 may be form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part of a rear portion of the smartphone P and a portion of a side portion thereof, And the protective portions 110 and 120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도 3의 B 및 C에서와 같이 스마트폰(P)의 후면부 양 단이 곡면이 지도록 형성되고, 디스플레이(PD)가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폰(P)의 전면부 또한 양 단이 곡면이 지도록 형성되면서, 별도의 측면부 없이 상기 스마트폰(P)의 후면부와 전면부가 직접 맞닿도록 형성되는 경우, 도 3의 B에서와 같이 거치부(130)는 스마트폰(P)의 후면부 일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3의 C에서와 같이 거치부(130)가 후면부 일부와 전면부 일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보호부(110, 120)는 두 경우 모두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3B and 3C, both ends of the rear portion of the smartphone P are curved,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smartphone P having the display PD formed thereon is curved The mounting portion 130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part of the rear portion of the smartphone P as shown in FIG. 3B, when the rear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smartphone P are direct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such that the mounting portion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a part of the rear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as shown in C of FIG. The protective portions 110 and 120 are formed in both cases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은 형태와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마트폰 케이스(10)가 확장 디스플레이 스마트폰(P)은 케이스(100)의 보호부(110, 120) 및 거치부(130)가 일정 두께 이상으로 구성되어 스마트폰(P)의 상하부면 및 상하좌우 측면을 모두 감싸게 되므로, 상기 스마트폰(P)의 떨어짐 등으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스마트폰(P)의 보호부(110, 120) 또는 거치부(130)가 부딪히게 되어 스마트폰(P)을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동시에 스마트폰(P)의 측면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보거나 또는 조작할 수 있다.The smartphone case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configura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rotective portions 110 and 120 of the case 100 and the mounting portion 130 are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or more, The protective portions 110 and 120 or the mounting portion 130 of the smartphone P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even if the impact is applied due to the falling of the smartphone P. [ So that the smartphone P can be easily protected and at the same time the side display of the smartphone P can be easily viewed or operated.

또한 상기 케이스(100)는 스마트폰(P) 중 특히 충격에 민감한 디스플레이(PD)를 추가로 보호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PD)를 덮는 보호필름(F)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이 디스플레이(PD)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동일한 반경으로 곡면이 지도록 형성되는 보호필름(F)이 케이스(100)의 안쪽으로 부착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The case 100 may further comprise a protective film F covering the display PD to further protect the impact sensitive display PD of the smartphone P, The protective film F formed to be curved to have the same radius so that both side surfaces are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display PD as shown in FIG.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케이스(10)의 또 다른 예시로써, 제2예시형태 케이스(200)를 도시한 것으로, 도 5의 A는 상기 제2예시형태 케이스(200)의 후면사시도이며, 도 5의 B는 상기 제2예시형태 케이스(200)의 전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제2예시형태 케이스(200)와 스마트폰(P)이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2예시형태 케이스(200)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xemplary case 200 as another example of the smartphone cas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xemplary case 200, 5B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case 200. FIG. FIG. 6 illustrates a process of combining the second exemplary case 200 and the smartphone P. Referring to FIG. Hereinafter, the second exemplary case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도 5에서 도시된 형태의 제2예시형태 케이스(200)는 상술하였다시피, 본 발명의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10)의 여러 형태 중 하나이다.The second exemplary case 200 of the type shown in FIG. 5 is one of various forms of the smartphone case 10, which is a side touch cap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예시형태 케이스(200)는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의 상단 측면 및 전면부 일부와 결합되는 상단보호부(210), 상기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의 하단 측면 및 전면부 일부와 결합되는 하단보호부(220), 상기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의 후면부와 밀착되는 후면보호부(230), 상기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의 측면 일부와 밀착되는 측면보호부(240)로 구성된다.5, the second exemplary case 200 includes a top protection 210 coupled to a top side and a front portion of a smartphone (not shown), a smartphone (not shown) A bottom protection unit 220 coupled to a lower side surface and a part of a front side of the smartphone, a rear protection unit 23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rear side of the smart phone (not shown) And a side surface protection portion 240 that is made of a resin.

그리고 상기의 제2예시형태 케이스(200)는 상술한 제1예시형태 케이스(100)와 마찬가지로, 결합되는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 외부에 설치되어, 드러나 있어야 하는 스위치 및 접속단자 등에 맞춰서 이어폰노출부(211) 및 안테나노출부(212), usb단자노출부(221), 터치펜노출부(222), 후방카메라노출부(231), 측면스위치노출부(241, 242) 등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exemplary case 200 is provided outside the smartphone (not shown) to which the earphone is exposed in accordance with a switch and a connection terminal to be exposed, as in the first exemplary case 100 described above. 5A and 5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antenna 211 and the antenna exposed portion 212, the usb terminal exposed portion 221, the touch pen exposed portion 222, the rear camera exposed portion 231, the side switch exposed portions 241 and 242, And may be formed as shown.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2예시형태 케이스(200)는 도 6에서와 같이 스마트폰(P)과 결합되는데, 이때 스마트폰(P)의 디스플레이(PD)가 상기 스마트폰 측면부 확장된 길이에 따라, 케이스(200)의 측면보호부(240)의 길이가 결정되도록 하는데, 이는 상기 측면보호부(240)가 디스플레이(PD)를 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6, the display PD of the smartphone P is connected to the extended length of the side of the smartphone P according to the extended length of the side of the smartphone P, The length of the side surface protection portion 240 of the case 200 is determined in order to prevent the side surface protection portion 240 from covering the display PD.

여기서 만약 상기 디스플레이(PD)가 스마트폰(P)의 측면부 끝까지 형성되는 형태로 상기 스마트폰(P)이 제작된다면, 상기 케이스(200)의 측면부(240)는 제거되어, 상단보호부(210) 및 하단보호부(220), 후면보호부(230) 만으로 구성하도록 한다.If the smartphone P is manufactured in such a manner that the display PD is formed to the side of the smartphone P, the side portion 240 of the case 200 is removed, The lower protection unit 220, and the rear protection unit 230. [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예시형태 케이스(100) 및 제2예시형태 케이스(200)는 상기 스마트폰(P)을 보호하는 기본적인 케이스의 형태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한 케이스(100, 200)에 부가적인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케이스(100, 200)에 추가할 수 있는 부가적인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The first exemplary case 100 and the second exemplary case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 basic case for protecting the smartphone P and may include a case 100 ). ≪ / RTI > Hereinafter, additional components that can be added to the case 100, 200 will be described.

상기의 스마트폰 케이스(10) 중 제1예시형태 케이스(100)의 거치부(130)에는 추가적으로 카드 또는 악세사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카드수납부 또는 악세사리수납부, 또는 둘 다 형성되어 있는 후면수납판(300)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smartphone case 10, the mounting portion 130 of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case 100 is provided with a card accommodating portion or an accessory accommodating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a card or an accessory or the like, The plate 300 may be further configured.

도 7 및 도 8는 상기 후면수납판(300)의 사시도이다. 상기 후면수납판(300)은 고체의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는 얇은 판(도시되지 않음) 위로 가죽이나 직물 등의 껍질을 씌워 형성하며, 상기한 케이스(100)의 거치부(130)와 동일한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130)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P) 후면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간단한 지갑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후면수납판(300)과 거치부(130)의 연결 형태에 대해서는 차후에 설명하도록 한다.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rear housing plate 300. FIG. The rear housing plate 300 is formed by covering a shell of leather or fabric on a thin plate (not shown) formed of solid plastic or the like and has the same size and size as the mounting portion 130 of the case 100 So that the back part of the smartphone P can be more effectively protected by being installed in the mounting part 130 and can also serve as a simple wallet. The connection form of the rear receiving plate 300 and the mounting portion 13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의 후면수납판(300)은 후면수납판(300)과 스마트폰(P)의 후면부가 맞닿는 안쪽 면으로 하나 이상의 카드수납부(301)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카드수납부(301)는 후면수납판(300)에 주머니 형식의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상기 후면수납판(3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나, 이러한 방식이 아닌 추가적인 가죽 또는 직물을 상기 후면수납판(300)에 덧대어 주머니를 형성함으로써 설치할 수도 있다.The rear housing plate 300 may form one or more card storage portions 301 on the inner side where the rear housing plate 300 and the rear portion of the smartphone P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back receiving plate 300 as an integral unit in the form of a bag in order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rear receiving plate 300, but it is possible to attach an additional leather or fabric to the back receiving plate 300 Or by forming a bag.

여기서 상기 케이스(100)의 이용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확장 스마트폰(P)의 후면부에 별도의 카메라 및 스피커 등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상기 후면수납판(300)에 스마트폰(P)의 후면부 카메라 렌즈를 노출시키기 위한 카메라노출부(302) 및 스피커노출부(303)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폰(P)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When a device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such as a separate camera and a speaker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expansion smart phone P to be used by the case 100, The camera exposure unit 302 and the speaker exposure unit 303 for exposing the rear side camera lens of the smartphone P may be formed to allow the user to use the smartphone P more conveniently.

그리고 상기 후면수납판(300)의 바깥쪽 면으로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악세사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악세사리파우치(320)를 추가로 구성하여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악세사리파우치(320)를 후면수납판(3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악세사리파우치(320)의 후면부와 후면수납판(300)의 바깥쪽 면으로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스냅버튼(31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스냅버튼(310)의 암놈(310b)은 후면수납판(300)에 설치하고, 수놈(310a)은 악세사리파우치(320)의 후면부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악세사리파우치(320)를 후면수납판(300)에서 탈착한 상태로 사용자가 스마트폰 케이스(10)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스냅버튼(310)의 수놈(310a)이 걸려서 불편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8, the accessory pouch 320, which can accommodate accessories,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housing plate 300. The accessory pouch 32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ne or more detachable snap buttons 310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accessory pouch 3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surface storage plate 300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torage plate 300, Install it. At this time, the female 310b of the snap button 310 is installed on the rear housing 300, and the male 310a is install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accessory pouch 320, so that the user can store the accessory pouch 320 in the rear It is preferable that the male user 310a of the snap button 310 is caught by the user even if the user uses the smartphone case 10 in a state in which it is detached from the plate 30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후면수납판(300)을 케이스(100)에 연결하는 형태에 대하여,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통하여 상기 후면수납판(300)과 케이스(100)의 연결 형태를 설명하도록 한다.9 and 10,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ar housing plate 300 and the case 100. The rear housing plate 300 is connected to the case 100, do.

도 9은 상기 케이스(100)와 후면수납판(300)의 연결 형태 제1예시이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에 후면수납판(300)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본체(100)의 거치부(130)의 일측면을 확장하여 거치확장부(130a)를 형성하고, 상기 거치확장부(130a)에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후면수납판(300)의 일측 역시 수납확장부(300a)를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후면수납판(300)과 수납확장부(300a)는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게 된다.9 is a first example of the connection type of the case 100 and the rear receiving plate 300. As shown in FIG. 9, in order to engage the rear receiving plate 300 with the case 100,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30 of the case body 100 is extended to connect the mounting extension portion 130a One side of the rear storage board 300 is also formed with a storage expansion unit 300a so that the rear storage board 300 and the storage expansion unit 300a can be attached to the storage expansion unit 130a. Is formed to be foldable.

상기와 같이 거치확장부(130a)와 수납확장부(300a)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수납확장부(300a)를 거치확장부(130a)에 접착제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부착함으로써 케이스(100)에 후면수납판(3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후면수납판(300)을 안정적으로 케이스(100)에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의 타측면으로 거치결합부(130b)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후면수납판(300)에 수납결합부(300b)를 형성하여, 이 둘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후면수납판(300)이 케이스(100)의 뒤편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결합부(130b)와 수납결합부(300b)의 결합 수단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자석을 사용하거나, 아니면 고무의 마찰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로간에 끼울 수 있게 형성하는 등의 종래에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하도록 한다.The storage expansion portion 300a is attached to the storage expansion portion 130a by means of an adhesive or the like to form the storage expansion portion 300a and the storage expansion portion 300a, So that the rear housing plate 300 can be connected.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stably connect the rear housing plate 300 to the case 100, the housing coupling portion 130b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100, and the rear housing plate The rear receiving plate 30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case 100. The rear receiving plate 3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ase 100. [ Here, the coupling means of the accommodation fitting portion 130b and the accommodation fitting portion 300b may be formed by using a magnet so as to be detachable or attachable to each other so that frictional force of rubber can be utilized, .

도 10은 상기 케이스(100)와 후면수납판(300)의 연결 형태 제2예시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케이스(100)와 후면수납판(300)의 연결 방법과는 다른, 또다른 방법을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10 is a second example of a connection form of the case 100 and the rear receiving plate 300. As shown in FIG. Hereinafter, another method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method of the case 100 and the rear receiving plate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100)에 후면수납판(300)을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거치부(130)의 후면 양 쪽에 'ㄷ'자 형의 거치부레일(130c)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거치부레일(130c) 사이로 후면수납판(300)을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케이스(100)의 거치부(130) 후면에 후면수납판(3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10, in order to easily attach and detachably connect the rear housing plate 300 to the case body 100, a 'C' shap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30 of the case 100 And the rear receiving plate 300 is pushed in between the mounting brackets 130c so that the rear receiving plate 30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30 of the case 100 .

또한, 상기 후면수납판(300)이 거치부레일(130c)을 따라 결합될 때, 아래 방향으로 떨어져 내려가지 않도록, 상기 거치부레일(130c) 하단으로 칸막이(130d)를 형성하여, 상기 후면수납판(300)이 거치부레일(130c)을 따라 하단으로 떨어져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A partition 130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bracket 130c so as not to fall downward when the rear housing plate 300 is coupled along the mounting bracket 130c, Thereby preventing the plate 300 from falling down to the lower end along the mounting bracket 130c.

이상이 제1예시형태 케이스(100)에 추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이며,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통해 제2예시형태 케이스(200)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components that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second exemplary case 200 through FIGS. 11 and 12 do.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예시형태 케이스(200)의 후면보호부(230) 바깥면으로 카드 또는 지폐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233)가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악세사리파우치(250)가 암놈(240b) 및 수놈(240a)을 이용한 스냅버튼(240)을 이용하여 케이스(200)의 후면보호부(230) 바깥면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2예시형태 케이스(200)에 추가적으로 하나이상의 수납부(233) 또는 악세사리파우치(2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케이스(200)의 후면보호부(230) 바깥면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수납부(233) 및 악세사리파우치(250)가 동시에 설치될 수도 있다.11, one or more storage compartments 233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protector 230 of the second embodiment case 200 to accommodate cards or banknotes or the like, The accessory pouch 250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protecting portion 230 of the case 200 using the snap button 240 using the female 240b and the male 240a as shown in FIG. . 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receiving portion 233 or the accessory pouch 250 may be formed in addition to the case 200 of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The accommodating portion 233 and the accessory pouch 250 may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 케이스(100, 200)에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악세사리파우치(250, 320)의 연결은 스냅버튼(240, 310)을 이용함을 일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악세사리파우치(250, 320)는 후면보호부(230) 또는 후면수납판(300)의 결합 수단은 부직포나 핀 등 탈부착이 용이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제작자가 상기 악세사리파우치(250, 320)를 후면보호부(230) 또는 후면수납판(300)에 완전히 고정 결합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The accessory pouches 250 and 320 may be connected to the case 100 or 200 by using the snap buttons 240 and 310. The accessory pouches 250 and 320 may be connected to the case 100, The accessory pouches 250 and 320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protecting part 230 or the rear surface storing part 300. [ It may be provided to be completely fixedly coupled to the plate 300.

100, 200 : 케이스본체. 110, 120 : 보호부. 111, 211 : 이어폰노출부.
112, 212 : 안테나노출부. 113 : 전면스피커노출부.
114 : 전면카메라노출부. 121, 221 : 케이블노출부. 130 : 거치부.
210 : 상단보호부. 220 : 하단보호부, 222: 터치펜노출부.
230 : 후면보호부, 231 : 후방카메라노출부. 232 : 후면스피커노출부.
240 : 측면보호부. 241, 242 : 측면스위치노출부.
250, 320 : 악세사리파우치. 300 : 후면수납판. 301 : 카드수납부.
302 : 카메라노출부. 303 : 스피커노출부. 310 : 스냅버튼.
100, 200: Case body. 110, 120: Protection section. 111, 211: earphone exposed part.
112, 212: Antenna exposed part. 113: Front speaker exposed section.
114: Front camera exposed part. 121, 221: cable exposed section. 130: Mounting section.
210: top protection. 220: lower protective portion, 222: touch pen exposed portion.
230: rear protection part, 231: rear camera exposure part. 232: Rear speaker exposed section.
240: side protection. 241, 242: side switch exposed portion.
250, 320: Accessory pouch. 300: Rear storage board. 301: Card receipt department.
302: Exposure of the camera. 303: Speaker exposure section. 310: Snap button.

Claims (14)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스마트폰의 상단과 하단을 덮어 보호할 수 있는 보호부와, 스마트폰의 후면부 일부 또는 전체에 밀착될 수 있는 거치부로 구성되는 케이스본체로 구성되어 측면까지 디스플레이가 확장된 스마트폰의 측면터치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In a smartphone case, a smart phone is composed of a protector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a smart phone, and a case body that is composed of a mounting part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a part or the whole of the back side of the smart phone. The side face touchable smartphone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face of the phone is easy to touc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스마트폰의 양 측면 일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연장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The side-touch capable smartphone case of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may extend to cover a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smartpho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전면부로 스마트폰 케이스에 결합되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덮어 보호할 수 있는 보호필름이 추가로 구성되어 스마트폰 케이스의 보호부 및 전면부의 안쪽 일분에 부착되어 제공되고, 상기 보호부에는 내부에 결합되는 스마트폰의 내장 장치에 따라서 이어폰노출부 및 카메라노출부, 안테나노출부, 케이블노출부, 스피커노출부, 마이크노출부, 스위치노출부, 터치펜노출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film covering and protecting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coupled to the smartphone case with a front portion of the smartphone case, And the protection unit includes a built-in device of the smartphon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martphone, the earphone-exposed unit and the camera-exposed unit, the antenna exposed unit, the cable exposed unit, the speaker exposed unit, Wherein at least one side surface touchable smartphone case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에는 후면수납판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2] The smartphone case of claim 1, wherein the smartphone case further comprises a rear housing plat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후면수납판의 일측면으로 카드수납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4] The smartphone case of claim 3, wherein at least one card storage un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storage board of the smartphone cas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의 후면수납판은 악세사리파우치가 추가로 구성되어, 상기 후면수납판에 악세사리파우치가 카드수납부가 형성된 반대편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rear housing plate of the smartphone case further comprises an accessory pouch, and the accessory pouch can be connected to the rear housing plate so that the accessory pouch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pposite side formed with the card housing part. Possible smartphone case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악세사리파우치와 후면수납판의 탈부착 가능한 연결 수단은 스냅버튼임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7] The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etachable connecting means of the accessory pouch and the rear receiving plate is a snap butt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수납판에는 후면카메라 및 후면스피커를 노출시킬 수 있는 카메라노출부 및 스피커노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4] The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rear housing plate is formed with a camera-exposed portion and a speaker-exposed portion capable of exposing the rear camera and the rear speaker.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거치확장부가 연장 형성되고, 타측으로 거치결합부가 형성되며, 후면수납판의 일측으로 수납확장부가 접을 수 있게끔 형성되고, 타측으로 수납결합부가 상기 거치결합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후면수납판의 수납확장부가 거치부의 거치확장부에 부착되어 설치되고, 수납결합부와 거치결합부는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Th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mounting expansion portion is extend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a mounting engagement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 storage expansion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mounting plate, Wherein the storage accommodation portion of the rear storage board is attached to the storage expansion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and the storage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accommodation portion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 smartphone case that can touch the side.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양 측면 또는 후면으로 한 쌍의 거치부레일이 형성되고, 하단부로 칸막이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확장부가 한 쌍의 거치부레일 내로 끼어들어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The cabin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pair of embossing bushes are formed on both sides or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 partition is formed by a lower end portion, and the storage expanding portion is inserted into a pair of mounting bushes And a side-touchable smartphone case that can be inserted and join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가 스마트폰의 후면부 전체를 덮는 후면보호부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The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rear surface protecting portion covering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smartphon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보호부에는 내부에 결합되는 스마트폰의 내장 장치에 따라서, 이어폰노출부 및 카메라노출부, 안테나노출부, 케이블노출부, 스피커노출부, 마이크노출부, 스위치노출부, 터치펜노출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12] 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1, wherein the rear surface protection unit includes an earphone exposing unit, a camera exposing unit, an antenna exposing unit, a cable exposing unit, a speaker exposing unit, a microphone exposing unit, Wherein at least one of the touch pen exposures is formed.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변보호부의 외부면으로 하나 이상의 수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12. The side-touch capable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at least on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ear-side protecting por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보호부의 외부면으로 악세사리파우치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12] The smartphone case of claim 11, wherein the accessory pouch is detachably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protecting part.
KR20140049435A 2014-01-24 2014-04-24 Side-touch enabled smartphone case KR10146100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691 2014-01-24
KR20140008691 2014-0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004B1 true KR101461004B1 (en) 2014-11-13

Family

ID=5229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9435A KR101461004B1 (en) 2014-01-24 2014-04-24 Side-touch enabled smartphone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004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933B1 (en) * 2014-05-14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US9454179B2 (en) 2014-05-14 2016-09-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20160003694U (en) *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Protecting cover
WO2017018757A1 (en) * 2015-07-30 2017-02-02 주식회사 엠피에이테크놀로지 Protective case for mobile smart device
KR20190067603A (en) 2017-12-07 2019-06-17 (주)에스피에스 Smartphone combined external device and external device smartphone combine method
US10491735B2 (en) 2015-04-01 2019-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olume by using touch scre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710U (en) * 2011-09-01 2011-10-12 김용식 Case for protecting cellphone
KR20120025324A (en) * 2010-09-07 2012-03-15 주식회사 뉴빛 Cellular phone ca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324A (en) * 2010-09-07 2012-03-15 주식회사 뉴빛 Cellular phone case
KR20110009710U (en) * 2011-09-01 2011-10-12 김용식 Case for protecting cellphon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933B1 (en) * 2014-05-14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US9454179B2 (en) 2014-05-14 2016-09-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0491735B2 (en) 2015-04-01 2019-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olume by using touch screen
KR20160003694U (en) *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Protecting cover
KR200490060Y1 (en) * 2015-04-16 2019-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Protecting cover
WO2017018757A1 (en) * 2015-07-30 2017-02-02 주식회사 엠피에이테크놀로지 Protective case for mobile smart device
KR20170014605A (en) 2015-07-30 2017-02-08 주식회사 엠피에이테크놀로지 Protection casing for portable smart devices
KR20190067603A (en) 2017-12-07 2019-06-17 (주)에스피에스 Smartphone combined external device and external device smartphone combine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004B1 (en) Side-touch enabled smartphone case
KR100934120B1 (en) Mobile phone case
US9894192B2 (en)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
EP2906074B1 (en)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s
KR200451310Y1 (en) wallet type mobile phone case
KR200468374Y1 (en) mobile phone case with exposure part of mobile phone
US8708140B2 (en) Mobile device enclosure system
US20140128132A1 (en)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s
KR101421220B1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S20140224676A1 (en) Low profile protective cover configurable as a stand with integrated battery
WO2013019937A1 (en) Cantilevered snap fit case
US20140091689A1 (en) Cover Having Wallet Feature for Electronic Devices
CN211791660U (en) Folding screen cell-phone shell
KR200476664Y1 (en) Case for protecting portable terminal
KR200472146Y1 (en) Protecting Case with Application which Capable of being Attached and Detached
KR101591302B1 (en) Mobi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Wallet
KR20130007270U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US20190208879A1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storage compartment
KR200479106Y1 (en) Multi-purpose pouch for a cellular phone
KR200477958Y1 (en) The smartphone diary case formed keeping-cash portion
KR20150000060A (en)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20140005628U (en) A Move Phone Protect Case
KR200472573Y1 (en) Cell-phone protecting case with purse
KR20150059430A (en) Smartphone store with a purse
KR200472574Y1 (en) Cell-phone protecting case with pur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