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411A - 구동 컨트롤러,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구동 컨트롤러,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411A
KR20230131411A KR1020220028403A KR20220028403A KR20230131411A KR 20230131411 A KR20230131411 A KR 20230131411A KR 1020220028403 A KR1020220028403 A KR 1020220028403A KR 20220028403 A KR20220028403 A KR 20220028403A KR 20230131411 A KR20230131411 A KR 20230131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umulated
stress
frame weight
enable signal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수
박종웅
송석정
백지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8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1411A/ko
Priority to US17/986,115 priority patent/US11875736B2/en
Priority to CN202310161948.4A priority patent/CN116704932A/zh
Publication of KR2023013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2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 a display other than an active matrix LCD,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ent on signals of two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8Improving the black lev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5Compensation of drifts i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8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using evaluation of the usage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Abstract

표시 장치의 구동 컨트롤러는 제1 누적 스트레스에 근거해서 보상값을 계산하고, 입력 영상 신호를 상기 보상값으로 보상해서 출력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보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출력 영상 신호를 현재 스트레스로 변환하는 스트레스 변환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제1 누적 스트레스와 상기 현재 스트레스를 더해서 제2 누적 스트레스를 출력하는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 상기 제2 누적 스트레스를 저장하고, 상기 제1 누적 스트레스를 상기 보상기 및 상기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로 제공하는 메모리 및 현재 구동 주파수를 수신하고, 상기 현재 구동 주파수에 근거해서 활성 레벨의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시간 계산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동 컨트롤러,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DRIVING CONTROLLE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OF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모니터 및 스마트 텔레비전 등의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표시 장치는 복수 개의 화소들 및 복수 개의 화소들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들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화소들 각각은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화소 회로를 포함한다. 화소 회로는 유기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고,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가 발광 소자로 제공됨에 따라 소정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 표시 영상의 품질 향상을 위해 구동 주파수를 고정된 값으로 제한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표시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의 변화에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구동 컨트롤러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의 변화에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구동 컨트롤러는 입력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누적 스트레스에 근거해서 보상값을 계산하고,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상기 보상값으로 보상해서 출력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보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출력 영상 신호를 현재 스트레스로 변환하는 스트레스 변환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제1 누적 스트레스와 상기 현재 스트레스를 더해서 제2 누적 스트레스를 출력하는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 상기 제2 누적 스트레스를 저장하고, 상기 제1 누적 스트레스를 상기 보상기 및 상기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로 제공하는 메모리 및 현재 구동 주파수를 수신하고, 상기 현재 구동 주파수에 근거해서 활성 레벨의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시간 계산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현재 구동 주파수의 최대 구동 주파수와 상기 현재 구동 주파수의 비율에 대응하는 프레임 웨이트를 계산하고, 상기 프레임 웨이트를 매 프레임마다 누적한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를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활성 레벨의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의 차를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상기 활성 레벨일 때 상기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와 상기 프레임 웨이트의 합을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작을 때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를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작을 때 비활성 레벨의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변환부 및 상기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상기 비활성 레벨일 때 비동작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상기 현재 구동 주파수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에 대응하는 주파수보다 낮으면, 수학식 F_AW2 = F_AW1 - (U_REF x (U_FREQ / FREQ))에 의해 상기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를 계산하되, F_AW2는 상기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 F_AW1는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 U_REF는 업데이트 기준값, U_REF는 업데이트 기준값에 대응하는 주파수 그리고 FREQ는 상기 현재 구동 주파수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는 상기 현재 구동 주파수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에 대응하는 주파수보다 낮으면, 수학식 AStr(t) = AStr(t-1) + Str(t) x W에 의해 상기 제2 누적 스트레스를 계산하되, AStr(t)는 상기 제2 누적 스트레스, AStr(t-1)은 제1 누적 스트레스, Str(t)는 상기 현재 스트레스 그리고 W는 가중치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상기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상기 활성 레벨일 때 상기 메모리로부터 새로운 상기 제1 누적 스트레스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입력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누적 스트레스에 근거해서 보상값을 계산하고,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상기 보상값으로 보상한 출력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 패널로 제공하는 구동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컨트롤러는 가변 주파수 모드동안 현재 구동 주파수에 근거해서 프레임 웨이트를 누적하고,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출력 영상 신호에 근거해서 상기 누적 스트레스를 다시 계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컨트롤러는 제1 누적 스트레스에 근거해서 보상값을 계산하고,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상기 보상값으로 보상한 상기 출력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보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출력 영상 신호를 현재 스트레스로 변환하는 스트레스 변환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제1 누적 스트레스와 상기 현재 스트레스를 더해서 제2 누적 스트레스를 출력하는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 상기 제2 누적 스트레스를 저장하고, 상기 제1 누적 스트레스를 상기 보상기 및 상기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로 제공하는 메모리 및 상기 현재 구동 주파수에 근거해서 상기 누적 프레임 웨이트를 계산하고, 상기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활성 레벨의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시간 계산기를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현재 구동 주파수의 최대 구동 주파수와 상기 현재 구동 주파수의 비율에 대응하는 프레임 웨이트를 계산하고, 상기 프레임 웨이트를 매 프레임마다 누적한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를 계산하고,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활성 레벨의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의 차를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상기 활성 레벨일 때 상기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와 상기 프레임 웨이트의 합을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작을 때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를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작을 때 비활성 레벨의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변환부 및 상기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상기 비활성 레벨일 때 비동작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출력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발광 소자로 제공하는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보상값은 상기 현재 스트레스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특성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입력 영상 신호 및 현재 구동 주파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영상 신호 및 제1 누적 스트레스에 근거해서 출력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현재 구동 주파수에 근거해서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면, 활성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 레벨일 때 상기 출력 영상 신호를 현재 스트레스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 레벨일 때 상기 제1 누적 스트레스와 상기 현재 스트레스에 근거해서 제2 누적 스트레스를 계산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2 누적 스트레스는 상기 제1 누적 스트레스로서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활성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현재 구동 주파수의 최대 구동 주파수와 상기 현재 구동 주파수의 비율에 대응하는 프레임 웨이트를 계산하고, 상기 프레임 웨이트를 매 프레임마다 누적한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를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활성 레벨의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활성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의 차를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표시 장치의 구동 컨트롤러는 화소 내 트랜지스터의 스트레스를 누적하고, 누적된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보상값을 계산하여 입력 영상 신호를 보상한 출력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입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가 변화하는 가변 주파수 모드동안 일정한 시간마다 트랜지스터의 스트레스를 누적할 수 있으므로 구동 컨트롤러는 정확한 보상값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영상 신호의 주파수가 변화하더라도 화소 내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에 따른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4a는 표시 장치의 구동 주파수가 제1 주파수일 때 시작 신호 및 스캔 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도 4b는 표시 장치의 구동 주파수가 제2 주파수일 때 시작 신호 및 스캔 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도 4c는 표시 장치의 구동 주파수가 제3 주파수일 때 시작 신호 및 스캔 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들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6은 구동 컨트롤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출력 영상 신호의 스트레스 레벨을 보여주는 예시적으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보상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구동 컨트롤러(100), 데이터 구동 회로(200), 전압 발생기(300) 및 표시 패널(DP)을 포함한다.
구동 컨트롤러(100)는 입력 영상 신호(I_RGB) 및 제어 신호(CTRL)를 수신한다. 구동 컨트롤러(100)는 입력 영상 신호(I_RGB)를 데이터 구동 회로(200) 및 표시 패널(DP)에 적합하도록 변환한 출력 영상 신호(O_RGB)를 출력한다. 구동 컨트롤러(100)는 스캔 제어 신호(SCS), 데이터 제어 신호(DCS) 및 발광 제어 신호(ECS)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컨트롤러(100)는 누적 스트레스에 근거해서 보상값을 계산하고, 입력 영상 신호(I_RGB)를 보상값으로 보상한 출력 영상 신호(O_RGB)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컨트롤러(100)는 가변 주파수 모드동안 현재 구동 주파수에 근거해서 프레임 웨이트를 누적하고,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출력 영상 신호(O_RGB)에 근거해서 누적 스트레스를 다시 계산할 수 있다. 구동 컨트롤러(100)의 회로 구성 및 동작은 추후 상세히 설명된다.
데이터 구동 회로(200)는 구동 컨트롤러(100)로부터 데이터 제어 신호(DCS) 및 출력 영상 신호(O_RGB)를 수신한다. 데이터 구동 회로(200)는 출력 영상 신호(O_RGB)를 데이터 신호들로 변환하고, 데이터 신호들을 후술하는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에 출력한다. 데이터 신호들은 출력 영상 신호(O_RGB)의 계조 값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전압들이다.
표시 패널(DP)은 스캔 라인들(GL0-GLn+1), 발광 제어 라인들(EML1-EMLn), 데이터 라인들(DL1-DLm) 및 화소들(PX)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DP)은 스캔 구동 회로(SD) 및 발광 구동 회로(ED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캔 구동 회로(SD)는 표시 패널(DP)의 제1 측에 배열된다. 스캔 라인들(GL0-GLn+1)은 스캔 구동 회로(SD)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다.
발광 구동 회로(EDC)는 표시 패널(DP)의 제2 측에 배열된다. 발광 제어 라인들(EML1-EMLn)은 발광 구동 회로(EDC)로부터 제1 방향(DR1)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스캔 라인들(GL0-GLn+1) 및 발광 제어 라인들(EML1-EMLn)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데이터 라인들(DL1-DLm)은 데이터 구동 회로(200)로부터 제2 방향(DR2)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스캔 구동 회로(SD) 및 발광 구동 회로(EDC)는 화소들(PX)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배열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캔 구동 회로(SD) 및 발광 구동 회로(EDC)는 표시 패널(DP)의 제1 측 및 제2 측 중 어느 하나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캔 구동 회로(SD) 및 발광 구동 회로(EDC)는 하나의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PX)은 스캔 라인들(GL0-GLn+1), 발광 제어 라인들(EML1-EMLn), 그리고 데이터 라인들(DL1-DLm)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화소들(PX) 각각은 3개의 스캔 라인들 및 1개의 발광 제어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번째 행의 화소들은 스캔 라인들(GL0, GL1, GL2) 및 발광 제어 라인(EML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j 번째 행의 화소들은 스캔 라인들(GLj-1, GLj, GLj+1) 및 발광 제어 라인(EMLj)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PX) 각각은 발광 소자(ED, 도 2 참조) 및 발광 소자(ED)의 발광을 제어하는 화소 회로(PXC, 도 2 참조)를 포함한다. 화소 회로(PXC)는 1개 이상의 트랜지스터 및 1개 이상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구동 회로(SD) 및 발광 구동 회로(EDC)는 화소 회로(PXC)와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된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PX) 각각은 제1 구동 전압(ELVDD), 제2 구동 전압(ELVSS) 및 초기화 전압(VINT)을 수신한다.
스캔 구동 회로(SD)는 구동 컨트롤러(100)로부터 스캔 제어 신호(SCS)를 수신한다. 스캔 구동 회로(SD)는 스캔 제어 신호(SCS)에 응답해서 스캔 라인들(GL0-GLn+1)로 스캔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컨트롤러(100)는 화소들(PX)의 열화 특성을 계산하고, 계산된 열화 특성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의 누적 스트레스에 따른 열화 특성에 근거해서 입력 영상 신호(I_RGB)를 보상하고, 출력 영상 신호(O_RGB)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라인들(DL1-DLm) 중 i번째 데이터 라인(DLi), 스캔 라인들(GL0-GLn+1) 중 j-1번째 스캔 라인(GLj-1), j번째 스캔 라인(GLj), j+1번째 스캔 라인(GLj+1), 발광 제어 라인들(EML1-EMLn) 중 j번째 발광 제어 라인(EMLj)에 접속된 화소(PXij)의 등가 회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화소들(PX)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화소(PXij)의 등가 회로도와 동일한 회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화소(PXij)는 화소 회로(PXC) 및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ED)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ED)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화소(PXij)가 하나의 발광 소자(ED)를 포함하는 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화소(PXij)의 화소 회로(PXC)는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1-T7) 및 하나의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1-T7) 각각은 LTPS(low-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반도체층을 갖는 P-타입 트랜지스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1-T7)은 산화물 반도체를 반도체층으로 하는 N-타입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들(T1-T7) 중 적어도 하나가 N-타입 트랜지스터이고, 나머지는 P-타입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소의 회로 구성은 도 2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화소 회로(PXC)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화소 회로(PXC)의 구성은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j-1번째 스캔 라인(GLj-1), j번째 스캔 라인(GLj), j+1번째 스캔 라인(GLj+1) 및 j번째 발광 제어 라인(EMLj)은 j-1번째 스캔 신호(Gj-1), j번째 스캔 신호(Gj), j+1번째 스캔 신호(Gj+1) 및 발광 신호(EMj)를 각각 전달할 수 있다. i번째 데이터 라인(DLi)은 i번째 데이터 신호(Di)를 전달한다. 데이터 신호(Di)는 표시 장치(DD, 도 1 참조)에 입력되는 입력 영상 신호(I_RGB)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구동 전압 라인들(VL1, VL2, VL3)은 제1 구동 전압(ELVDD), 제2 구동 전압(ELVSS), 초기화 전압(VINT)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5 트랜지스터(T5)를 경유하여 제1 구동 전압 라인(VL1)과 연결된 제1 전극, 제6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발광 소자(ED)의 애노드(anode)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극, 커패시터(Cst)의 일단과 연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2 트랜지스터(T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데이터 라인(DLi)이 전달하는 데이터 신호(Di)를 전달받아 발광 소자(ED)에 구동 전류(Id)를 공급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데이터 라인(DLi)과 연결된 제1 전극,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과 연결된 제2 전극 및 j번째 스캔 라인(GLj)과 연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j번째 스캔 라인(GLj)을 통해 전달받은 스캔 신호(Gj)에 따라 턴 온되어 데이터 라인(DLi)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신호(Di)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된 제1 전극,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연결된 제2 전극 및 j번째 스캔 라인(GLj)과 연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j번째 스캔 라인(GLj)을 통해 전달받은 스캔 신호(Gj)에 따라 턴 온되어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과 제2 전극을 서로 연결하여 제1 트랜지스터(T1)를 다이오드 연결시킬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된 제1 전극, 초기화 전압(VINT)이 전달되는 제3 전압 라인(VL3)과 연결된 제2 전극 및 j-1번째 스캔 라인(GLj-1)과 연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j-1번째 스캔 라인(GLj-1)을 통해 전달받은 스캔 신호(Gj-1)에 따라 턴 온되어 초기화 전압(VINT)을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에 전달하여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을 초기화시키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제1 구동 전압 라인(VL1)과 연결된 제1 전극,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과 연결된 제2 전극 및 발광 제어 라인(EMLj)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연결된 제1 전극, 발광 소자(ED)의 애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 및 발광 제어 라인(EMLj)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는 발광 제어 라인(EMLj)을 통해 전달받은 발광 신호(EMj)에 따라 동시에 턴 온되고 이를 통해 제1 구동 전압(ELVDD)이 다이오드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T1)를 통해 보상되어 발광 소자(ED)에 전달될 수 있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제4 트랜지스터(T4)의 제2 전극과 연결된 제1 전극, 제6 트랜지스터(T6)의 제2 전극과 연결된 제2 전극 및 j+1번째 스캔 라인(GLj+1)과 연결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커패시터(Cst)의 일단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제1 구동 전압 라인(VL1)과 연결되어 있다. 발광 소자(ED)의 캐소드(cathode)는 제2 구동 전압(ELVSS)을 전달하는 제2 구동 전압 라인(VL2)과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한 프레임(F) 내 초기화 기간 동안 j-1번째 스캔 라인(GLj-1)을 통해 로우 레벨의 j-1번째 스캔 신호(Gj-1)가 제공된다. 로우 레벨의 j-1번째 스캔 신호(Gj-1)에 응답해서 제4 트랜지스터(T4)가 턴 온되며, 제4 트랜지스터(T4)를 통해 초기화 전압(VINT)이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에 전달되어서 제1 트랜지스터(T1)가 초기화된다.
다음, 데이터 프로그래밍 및 보상 기간 동안 j번째 스캔 라인(GLj)을 통해 로우 레벨의 j번째 제1 스캔 신호(Gj)가 공급되면 제3 트랜지스터(T3)가 턴 온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턴 온된 제3 트랜지스터(T3)에 의해 다이오드 연결되고, 순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또한 로우 레벨의 j번째 스캔 신호(Gj)에 의해 제2 트랜지스터(T2)가 턴 온된다. 그러면, 데이터 라인(DLi)으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신호(Di)에서 제1 트랜지스터(T1)의 문턱 전압만큼 감소한 보상 전압이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다.
커패시터(Cst)의 양단에는 제1 구동 전압(ELVDD)과 보상 전압이 인가되고, 커패시터(Cst)에는 양단 전압 차에 대응하는 전하가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7 트랜지스터(T7)는 j+1번째 스캔 라인(GLj+1)을 통해 로우 레벨의 j+1번째 스캔 신호(Gj+1)를 공급받아 턴 온된다. 제7 트랜지스터(T7)에 의해 발광 소자(ED)의 애노드의 전류의 일부는 바이패스 전류로서 제7 트랜지스터(T7)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블랙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최소 전류가 구동 전류로 흐를 경우에도 발광 소자(ED)가 발광하게 된다면 제대로 블랙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PXij) 내 제7 트랜지스터(T7)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최소 전류의 일부를 바이패스 전류로서 제3 전압 라인(VL3)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트랜지스터(T1)의 최소 전류란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소스 전압이 제1 트랜지스터(T1)의 문턱 전압보다 작아서 제1 트랜지스터(T1)가 오프되는 조건에서의 전류를 의미한다. 이렇게 제1 트랜지스터(T1)를 오프시키는 조건에서의 최소 구동 전류가 발광 소자(ED)에 전달되어 블랙 휘도의 영상으로 표현된다. 블랙 영상을 표시하는 최소 구동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제3 전압 라인(VL3)으로 흐르는 바이패스 전류의 우회 전달의 영향이 큰 반면, 일반 영상 또는 화이트 영상과 같은 영상을 표시하는 큰 구동 전류가 흐를 경우에는 바이패스 전류의 영향이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소자(ED)는 블랙 영상을 확실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7 트랜지스터(T7)를 이용하여 정확한 블랙 휘도 영상을 구현하여 콘트라스트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7 트랜지스터(T7)의 게이트 전극은 j+1번째 스캔 신호(Gj+1)를 수신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발광 기간 동안 발광 제어 라인(EMLj)으로부터 공급되는 발광 신호(EMj)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변경된다. 발광 기간 동안 로우 레벨의 발광 신호(EMj)에 의해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가 턴 온 된다. 그러면,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의 게이트 전압과 제1 구동 전압(ELVDD) 간의 전압 차에 따르는 구동 전류가 발생하고, 제6 트랜지스터(T6)를 통해 구동 전류가 발광 소자(ED)에 공급되어 발광 소자(ED)에 전류가 흐른다.
이와 같이, 발광 소자(ED)로 제공되는 전류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과 제1 구동 전압(ELVDD) 간의 전압 차 즉,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소스 전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의 문턱 전압은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소스 전압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도 4a는 표시 장치(DD)의 구동 주파수가 제1 주파수(예를 들면, 120Hz)일 때 시작 신호 및 스캔 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도 1 및 도 4a를 참조하면, 시작 신호(STV)는 외부 호스트 장치(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메인 프로세서, 호스트 프로세서, 그래픽 프로세서 등)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CTRL)에 포함된 신호일 수 있다. 시작 신호(STV)는 한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구동 주파수가 제1 주파수(예를 들면, 120Hz)일 때 스캔 구동 회로(SD)는 프레임들(F11, F12, F13, F14) 각각에서 스캔 신호들(G0-Gn+1)을 순차적으로 로우 레벨로 활성화한다. 도 4a에는 스캔 신호들(G0-Gn+1)만 도시되었으나, 발광 제어 신호들(EM1-EMn)도 프레임들(F11, F12, F13, F14) 각각에서 순차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프레임들(F11, F12, F13, F14) 각각은 액티브 구간(AP)일 수 있다.
도 4b는 표시 장치(DD)의 구동 주파수가 제2 주파수(예를 들면, 60Hz)일 때 시작 신호 및 스캔 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도 1 및 도 4b를 참조하면, 구동 주파수가 제2 주파수(예를 들면, 60Hz)일 때 프레임들(F21, F22) 각각의 지속 시간은 도 4a에 도시된 프레임들(F11, F12, F13, F14) 각각의 지속 시간의 2배일 수 있다. 프레임들(F21, F22) 각각은 액티브 구간(AP)과 블랭크 구간(BP)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 구동 회로(SD)는 프레임들(F21, F22) 각각의 액티브 구간(AP)에서 스캔 신호들(G0-Gn+1)을 순차적으로 로우 레벨로 활성화한다. 도 4b에는 스캔 신호들(G0-Gn+1)만 도시되었으나, 발광 제어 신호들(EM1-EMn)도 프레임들(F21, F22) 각각의 액티브 구간(AP)에서 순차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스캔 구동 회로(SD)는 프레임들(F21, F22) 각각의 블랭크 구간(BP)동안 스캔 신호들(G0-Gn+1)을 인액티브 레벨(예를 들면, 하이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발광 구동 회로(EDC)는 프레임들(F21, F22) 각각의 블랭크 구간(BP)동안 발광 제어 신호들(EM1-EMn)을 인액티브 레벨(예를 들면, 하이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 구동 회로(EDC)는 프레임들(F21, F22) 각각의 블랭크 구간(BP)동안 발광 제어 신호들(EM1-EMn)을 순차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즉, 프레임들(F21, F22) 각각의 블랭크 구간(BP)동안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들(T5, T6)이 턴 온됨에 따라 커패시터(Cst)에 충전된 전하에 의해 발광 소자(ED)는 발광할 수 있다.
도 4c는 표시 장치(DD)의 구동 주파수가 제3 주파수(예를 들면, 30Hz)일 때 시작 신호 및 스캔 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도 1 및 도 4c를 참조하면, 구동 주파수가 제3 주파수(예를 들면, 30Hz)일 때 프레임(F31)의 지속 시간은 도 4b에 도시된 프레임들(F21, F22) 각각의 지속 시간의 2배일 수 있다. 프레임(F31)의 지속 시간은 도 4a에 도시된 프레임들(F11, F12, F13, F14) 각각의 지속 시간의 4배일 수 있다.
프레임(F31)은 액티브 구간(AP)과 블랭크 구간(BP)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 구동 회로(SD)는 액티브 구간(AP)동안 스캔 신호들(G0-Gn+1)을 순차적으로 로우 레벨로 활성화한다. 도 4c에는 스캔 신호들(G0-Gn+1)만 도시되었으나, 발광 제어 신호들(EM1-EMn)도 프레임(F31)의 액티브 구간(AP)에서 순차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스캔 구동 회로(SD)는 프레임(F31)의 블랭크 구간(BP)동안 스캔 신호들(G0-Gn+1)을 인액티브 레벨(예를 들면, 하이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발광 구동 회로(EDC)는 블랭크 구간(BP)동안 발광 제어 신호들(EM1-EMn)을 인액티브 레벨(예를 들면, 하이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 구동 회로(EDC)는 프레임들(F21, F22) 각각의 블랭크 구간(BP)동안 발광 제어 신호들(EM1-EMn)을 순차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즉, 프레임(F31)의 블랭크 구간(BP)동안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들(T5, T6)이 턴 온됨에 따라 커패시터(Cst)에 충전된 전하에 의해 발광 소자(ED)는 발광할 수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들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5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 도 1 참조)에 제1 영상(IM1)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영상(IM1)은 블랙 영상(a1)과 화이트 영상(b1)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DD)에 제1 영상(IM1)을 소정 시간(예를 들면, 60초) 이상 표시한 후 도 5b에 도시된 제2 영상(IM2)이 표시 장치(DD)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영상(IM2)은 블랙 영상(a1)의 계조 레벨보다 높고 화이트 영상(b1)의 계조 레벨보다 낮은 영상일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도 5b에 도시된 제2 영상(IM2)이 표시 장치(DD)에 표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표시 장치(DD)에는 도 5c에 도시된 제3 영상(IM3)이 표시 장치(DD)에 표시될 수 있다.
이는 화소(PXij) 내 제1 트랜지스터(T1)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에 기인한다. 제1 트랜지스터(T1)의 문턱 전압은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소스 전압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트랜지스터(T1)의 문턱 전압은 게이트-소스 전압이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상승되고 있을 때 제1 평균 레벨을 가질 수 있지만, 게이트-소스 전압이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낮아질 때 제1 평균 레벨과는 상이한 제2 평균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평균 레벨과 제2 평균 레벨은 제1 트랜지스터(T1)의 서로 다른 전류-전압 특성 곡선들을 도출할 수 있다. 게이트-소스 전압에 대한 문턱 전압의 이러한 의존성은 트랜지스터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에 따라, 이전 프레임에서 인가된 데이터 신호(Di)에 의해 현재 프레임에서 인가된 데이터 신호(Di)에 의한 제1 트랜지스터(T1)의 구동 전류가 영향을 받는다. 구체적으로, 이전 프레임에서 도 5a의 블랙 영상(a1)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Di)가 인가된 후 현재 프레임에서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특정 계조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Di)가 제공될 때,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발광 소자(ED)에는 현재 프레임의 특정 계조보다 높은 계조의 영상(a2)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전 프레임에서 도 5a의 화이트 영상(b1)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Di)가 인가된 후 현재 프레임에서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특정 계조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Di)가 제공될 때,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발광 소자(ED)에는 현재 프레임의 특정 계조보다 낮은 계조의 영상(b2)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이전 프레임의 영상이 현재 프레임에 잔상으로 남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컨트롤러(100, 도 1 참조)는 화소들(PX, 도 1 참조)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 신호(I_RGB)의 계조 레벨에 근거해서 화소들(PX) 내 제1 트랜지스터(T1)의 누적 스트레스를 계산하고, 누적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보상값으로 입력 영상 신호(I_RGB)를 보상해서 출력 영상 신호(O_RGB)를 출력한다.
도 6은 구동 컨트롤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동 컨트롤러(100)는 보상기(110), 스트레스 변환부(120),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130), 동작 시간 계산기(140) 및 메모리(150)를 포함한다.
보상기(110)는 입력 영상 신호(I_RGB)를 수신하고, 제1 누적 스트레스(AStr(t-1))에 근거해서 출력 영상 신호(O_RGB)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상기(110)는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해서 새로운 제1 누적 스트레스(AStr(t-1))를 수신할 수 있다.
스트레스 변환부(120)는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해서 출력 영상 신호(O_RGB)를 현재 스트레스(Str(t))로 변환한다. 현재 스트레스(Str(t))는 출력 영상 신호(O_RGB)에 대응하는 스트레스 전압 레벨일 수 있다.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130)는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해서 메모리(150)에 저장된 제1 누적 스트레스(AStr(t-1))와 스트레스 변환부(120)로부터의 현재 스트레스(Str(t))를 더해서 제2 누적 스트레스(AStr(t))를 계산한다. 제2 누적 스트레스(AStr(t))는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다.
동작 시간 계산기(140)는 현재 구동 주파수(FREQ)를 수신하고, 현재 구동 주파수(FREQ)에 근거해서 인에이블 신호(EN)를 출력한다. 인에이블 신호(EN)는 스트레스 변환부(120) 및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130)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구동 주파수(FREQ)는 외부 호스트 장치(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메인 프로세서, 호스트 프로세서, 그래픽 프로세서 등)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CTRL)에 포함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구동 주파수(FREQ)는 외부로부터 제공되지 않고, 구동 컨트롤러(100) 내부에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컨트롤러(100)는 제어 신호(CTRL)에 포함된 시작 신호(STV), 입력 영상 신호(I_RGB)가 유효한 신호인 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에 근거해서 구동 주파수를 판별하고, 구동 주파수에 대응하는 현재 구동 주파수(FREQ)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작 시간 계산기(140)는 외부로부터 현재 구동 주파수(FREQ)를 수신하지 않고, 제어 신호(CTRL)에 근거해서 현재 구동 주파수(FREQ)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상기(110) 및 메모리(150)는 단일 회로 블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가 보상기(11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상기(110)는 입력 영상 신호(I_RGB)에 대한 보상값을 계산하기 위해 입력 영상 신호(I_RGB)를 소정 비트(예를 들면, 5비트)의 전압 도메인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컨트롤러(100)는 입력 영상 신호(I_RGB)를 소정 비트(예를 들면, 5비트)의 전압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회로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레스 변환부(120)는 출력 영상 신호(O_RGB)를 소정 비트(예를 들면, 5비트)의 전압 도메인으로 변환한 현재 스트레스(Str(t))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상기(110)에 의해 계산되는 보상값은 도 2에 도시된 화소(PXij) 내 트랜지스터들 특히 제1 트랜지스터(T1)의 특성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값일 수 있다.
도 7은 출력 영상 신호의 스트레스 레벨을 보여주는 예시적으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입력 영상 신호(I_RGB)를 스트레스 전압 레벨(Str)로 변환하면, 스트레스 전압 레벨(Str)는 제1 전압 레벨(L1)부터 제2 전압 레벨(L2) 사이의 값일 수 있다. 입력 영상 신호(I_RGB)에 대응하는 스트레스 전압 레벨(Str)이 기준값(REF)보다 높은 경우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전압 레벨(Str)가 기준값(REF)보다 낮더라도 보상값의 계산이 필요하다. 이는 도 5a 내지 도 5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 영상 신호(I_RGB)의 계조 레벨이 높은 경우 및 낮은 경우 모두에 대해 입력 영상 신호(I_RGB)에 대한 보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기준값(REF)은 메모리(150)에 저장된 제1 누적 스트레스(AStr(t-1))일 수 있다. 보상기(110)는 저장된 제1 누적 스트레스(AStr(t-1))와 입력 영상 신호(I_RGB)의 차이값에 근거해서 보상값을 계산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보상기(1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보상기(110)는 도 1에 도시된 화소들(PX) 각각에 대응하는 보상값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 패널(DP, 도 1 참조)의 크기가 크면 화소들(PX)의 개수가 많고, 그에 따라 보상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50)의 크기도 커져야 한다.
보상기(110)는 표시 패널(DP)을 복수의 블록들(B11-B1a, B21-B2a, B31-B3a, ??, Bb1-Bba)(a, b 각각은 자연수)로 나누고, 각 블록에 대한 보상값을 계산할 수 있다. 복수의 블록들(B11-B1a, B21-B2a, B31-B3a, ..., Bb1-Bba) 각각은 복수의 화소들(PX)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블록들(B11-B1a, B21-B2a, B31-B3a, ..., Bb1-Bba) 각각은 4x4 개의 화소들(PX) 즉, 제1 방향(DR1)으로 4개의 화소들(PX) 및 제2 방향(DR2)으로 4개의 화소들(PX)을 포함할 수 있다.
보상기(110)는 입력 영상 신호(I_RGB) 중 블록들(B11-B1a, B21-B2a, B31-B3a, ..., Bb1-Bba) 각각에 대응하는 대푯값을 계산하고, 대푯값과 제1 누적 스트레스(AStr(t-1))에 근거해서 보상값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상기(110)는 입력 영상 신호(I_RGB) 중 블록들(B11)에 대응하는 대푯값 및 블록들(B11)에 대응하는 제1 누적 스트레스(AStr(t-1))에 근거해서 블록들(B11)에 대응하는 보상값을 계산할 수 있다.
입력 영상 신호(I_RGB) 중 블록들(B11-B1a, B21-B2a, B31-B3a, ..., Bb1-Bba) 각각에 대응하는 대푯값은 평균값, 중앙값, 최빈값 등 블록들(B11-B1a, B21-B2a, B31-B3a, ..., Bb1-Bba)의 특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값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보상기(110)는 입력 영상 신호(I_RGB)와 보상값에 근거해서 출력 영상 신호(O_RGB)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화소들(PX)의 스트레스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소정 시간동안 블록들(B11-B1a, B21-B2a, B31-B3a, ..., Bb1-Bba)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누적 스트레스(AStr(t-1))를 저장해야 한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의 화소들(PX)의 개수가 1440 x 3200개이고, 블록들(B11-B1a, B21-B2a, B31-B3a, ..., Bb1-Bba) 각각이 4개의 화소들(PX)에 대응하는 경우, 블록들(B11-B1a, B21-B2a, B31-B3a, ..., Bb1-Bba)의 개수는 288000 개이다. 즉, 한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1 누적 스트레스(AStr(t-1))의 개수도 288000이다.
일 실시예에서, 보상기(110)는 매 프레임마다 보상값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보상기(110)가 보상값을 매 프레임마다 계산하는 것은 구동 컨트롤러(100)에서의 소비 전력을 증가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보상기(110)는 소정의 주기마다 새로운 보상값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상기(110)는 4Hz에 대응하는 시간 0.25 초마다 새로운 보상값을 계산할 수 있다. 스트레스 변환부(120) 및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130)는 0.25초 마다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해서 동작하고, 제2 누적 스트레스(AStr(t))를 메모리(150)에 저장한다.
보상기(11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제1 누적 스트레스(AStr(t-1))를 수신하고, 제1 누적 스트레스(AStr(t-1)) 및 입력 영상 신호(I_RGB)에 근거해서 출력 영상 신호(O_RGB)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단일 주파수 모드 및 가변 주파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단일 주파수 모드는 현재 구동 주파수(FREQ)가 매 프레임마다 일정한 동작 모드이다. 단일 주파수 모드 동안 스트레스 변환부(120) 및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130)가 일정한 주기(예를 들면, 4Hz에 대응하는 주기)마다 제2 누적 스트레스(AStr(t))를 계산하고, 보상기(110)가 일정한 주기(예를 들면, 4Hz에 대응하는 주기)마다 새로운 보상값을 계산하는 것은 용이하다. 예를 들어, 현재 구동 주파수(FREQ)가 120Hz이면, 30개의 프레임들마다 스트레스 변환부(120) 및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130)가 동작하고, 보상기(110)가 새로운 보상값을 계산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보상기(110)는 현재 구동 주파수(FREQ)보다 낮은 주파수(예를 들면, 4Hz)로 새로운 보상값을 계산하므로 구동 컨트롤러(100)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가변 주파수 모드동안 표시 장치(DD)의 현재 구동 주파수(FREQ)는 매 프레임마다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가변 주파수 모드동안 스트레스 변환부(120) 및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130)가 일정한 주기(예를 들면, 4Hz에 대응하는 주기)마다 제2 누적 스트레스(AStr(t))를 계산하고, 보상기(110)가 일정한 주기(예를 들면, 4Hz에 대응하는 주기)마다 새로운 보상값을 계산할 수 있는 새로운 스킴이 요구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시간 계산기(140)는 현재 구동 주파수(FREQ)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구동 주파수(FREQ)에 포함된 구동 주파수는 1Hz부터 120Hz 사이의 값일 수 있다. 즉, 최대 구동 주파수(H_F)는 120Hz이고, 최소 구동 주파수는 1Hz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 제1 내지 제9 프레임들(F1-F9)동안 현재 구동 주파수(FREQ)는 120Hz, 120Hz, 90Hz, 30Hz, 10Hz, 10Hz, 120Hz, 120Hz 및 90Hz로 순차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동작 시간 계산기(140)는 현재 구동 주파수(FREQ)에 근거해서 현재 프레임에 대한 프레임 웨이트(F_W)를 계산한다. 현재 구동 주파수(FREQ)는 현재 프레임에 대한 구동 주파수 즉, 현재 구동 주파수(FREQ)를 포함한다. 동작 시간 계산기(140)는 최대 구동 주파수(H_F)와 현재 구동 주파수(FREQ)의 비율에 근거해서 수학식 1에 의해 프레임 웨이트(F_W)를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예를 들어, 최대 구동 주파수(H_F)가 120Hz이고, 현재 구동 주파수(FREQ)가 1Hz이면, 프레임 웨이트(F_W)는 30720이다.
예를 들어, 최대 구동 주파수(H_F)가 120Hz이고, 현재 구동 주파수(FREQ)가 120Hz이면, 프레임 웨이트(F_W)는 256이다.
다음 표 1은 최대 구동 주파수(H_F)가 120Hz일 때 현재 구동 주파수(FREQ)에 따른 프레임 웨이트(F_W)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FREQ 120 119 90 30 10 1
F_W 256 248 341 1024 3072 30720
동작 시간 계산기(140)는 프레임 웨이트(F_W)를 매 프레임마다 누적하여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를 계산한다.
[수학식 2]
F_AW1 = F_AW2 + F_W
예를 들어, 제1 프레임(F1)에서 현재 구동 주파수(FREQ)가 120Hz이고, 제2 프레임(F2)에서 현재 구동 주파수(FREQ)가 120Hz이면, 제2 프레임(F2)에서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는 256+256=512이다.
또한 제3 프레임(F3)에서 현재 구동 주파수(FREQ)가 90Hz이면, 제3 프레임(F3)에서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는 512+341=853이다.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가 업데이트 기준값(예를 들면, 7680)보다 작을 때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2)는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와 같은 값일 수 있다(F_AW2=F_AW1).
제6 프레임(F6)에서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가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면, 인에이블 신호(EN)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한다. 업데이트 기준값은 4Hz에 대응하는 값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7680일 수 있다.
스트레스 변환부(120)는 하이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해서 출력 영상 신호(O_RGB)를 현재 스트레스(Str(t))로 변환한다.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130)는 하이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해서 메모리(150)에 저장된 제1 누적 스트레스(AStr(t-1))와 스트레스 변환부(120)로부터의 현재 스트레스(Str(t))를 더해서 제2 누적 스트레스(AStr(t))를 계산한다. 제2 누적 스트레스(AStr(t))는 수학식 3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3]
AStr(t) = AStr(t-1) + Str(t)
제2 누적 스트레스(AStr(t))는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다.
제6 프레임(F6)에서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가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면, 동작 시간 계산기(140)는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과 업데이트 기준값의 차를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2)로 설정한다.
즉,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가 업데이트 기준값(U_REF)보다 크거나 같을 때 동작 시간 계산기(140)는 수학식 4에 의해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2)를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4]
F_AW2 = F_AW1 - U_REF
예를 들어, 제6 프레임(F6)에서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가 8021이면, 8021>7680이므로,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2)는 8021-7680 = 341로 된다.
인에이블 신호(EN)가 하이 레벨로 천이한 후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는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2)와 업데이트 기준값(U_REF)의 차이값으로 변경된다. 즉,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가 업데이트 기준값(U_REF)보다 크거나 같을 때 차를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는 수학식 5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5]
F_AW1 = F_AW2 - U_REF
예를 들어, 제6 프레임(F6)에서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가 8021이면, 8021>7680이므로, 인에이블 신호(EN)가 하이 레벨로 천이한 후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는 8021-7680 = 341로 된다.
제7 프레임에서 현재 구동 주파수(FREQ)가 120Hz이면, 프레임 웨이트(F_W)는 256이다.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는 수학식 2에 의해 341+256=597이 된다.
현재 구동 주파수(FREQ)가 가변되는 가변 주파수 모드동안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가 업데이트 기준값(U_REF)보다 크면 동작 시간 계산기(140)는 인에이블 신호(EN)를 하이 레벨로 활성화하여 스트레스 변환부(120) 및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130)가 제2 누적 스트레스(AStr(t))를 계산하도록 제어한다.
보상기(110)는 인에이블 신호(EN)가 하이 레벨로 천이하면 메모리(150)로부터 새로운 제1 누적 스트레스(AStr(t-1))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보상기(110)는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해서 제1 누적 스트레스(AStr(t-1))를 새로운 값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 제1 내지 제6 프레임들(F1-F6)은 주기(P)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P)는 4Hz에 대응하는 시간(0.25초)일 수 있다. 제7 프레임(F7)이 시작될 때 스트레스 변환부(120) 및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130)는 제2 누적 스트레스(AStr(t))를 계산하고, 보상기(110)는 새로운 제1 누적 스트레스(AStr(t-1))에 근거해서 입력 영상 신호(I_RGB)를 출력 영상 신호(O_RGB)로 변환할 수 있다.
현재 스트레스(Str(t)), 제1 누적 스트레스(AStr(t-1)) 및 제2 누적 스트레스(AStr(t)) 각각의 변수 t는 인에이블 신호(EN)가 활성화될 때마다 1씩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상기(110)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4x4 화소들(PX)을 하나의 블록으로 하여 보상값을 계산하는 경우, 스트레스 변환부(120)는 출력 영상 신호(O_RGB) 중 4x4 개의 화소들(PX)에 대응하는 단위로 현재 스트레스(Str(t))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x4 개의 출력 영상 신호(O_RGB)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고, 평균값에 대응하는 현재 스트레스(Str(t))를 계산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트레스 변환부(120) 및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130)는 인에이블 신호(EN)가 하이 레벨로 활성화될 때에만 동작한다. 따라서, 구동 컨트롤러(100)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컨트롤러(100)는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는 시작 신호(STV)에 동기해서 카운트 동작을 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가 단일 주파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보상기(110), 스트레스 변환부(120) 및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130)는 카운터의 카운트 값(F_FCNT)이 소정 값에 도달했을 때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주파수 모드에서 현재 구동 주파수(FREQ)가 120Hz이면, 카운터의 카운트 값(F_FCNT)이 15일 때 보상기(110)는 새로운 제1 누적 스트레스(AStr(t-1))를 메모리(150)로부터 수신하고, 스트레스 변환부(120) 및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130)는 제2 누적 스트레스(AStr(t))를 계산할 수 있다.
멀티 주파수 모드인 경우, 매 프레임마다 현재 구동 주파수(FREQ)가 다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 인에이블 신호(EN)는 주기(P) 마다 하이 레벨로 천이할 수 있다. 제7 프레임(F7)에서 인에이블 신호(EN)는 하이 레벨로 천이하나, 카운터의 카운트 값(F_FCNT)은 7에 불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컨트롤러(100)는 단일 주파수 모드뿐만 아니라 가변 주파수 모드에서 일정한 주기마다 제2 누적 스트레스(AStr(t))를 계산하고, 이전 누적 스트레스인 제1 누적 스트레스(AStr(t-1))에 근거해서 입력 영상 신호(I_RGB)를 출력 영상 신호(O_RGB)로 변환할 수 있다.
만일 현재 구동 주파수(FREQ)가 1Hz이면,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 프레임 웨이트(F_W)는 30720이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제6 프레임(F6)에서 현재 구동 주파수(FREQ)가 1Hz이면, 수학식 4에 의해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2)를 계산하면, 4949+30720=35669이다. 수학식 4에 의해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2)를 계산하면, 35669-7680=27989이다. 즉,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와 업데이트 기준값(U_REF)의 차이값이 업데이트 기준값(U_REF)보다 크다. 현재 구동 주파수(FREQ)가 1Hz이면, 한 프레임의 주기는 1초이고, 이는 업데이트 기준 주기(P)에 대응하는 값 7680(0.25초)보다 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동작 시간 계산기(140)는 현재 구동 주파수(FREQ)가 업데이트 기준값(U_REF)에 대응하는 주파수(예를 들면, 4Hz)보다 낮으면, 수학식 6에 의해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2)를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6]
F_AW2 = F_AW1 - (U_REF x (U_REFQ / FREQ))
U_REFQ는 업데이트 기준값(U_REF)에 대응하는 주파수이다.
예를 들어, 제6 프레임(F6)에서 현재 구동 주파수(FREQ)가 1Hz이고,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가 35669이고, U_REF가 7680이면,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2)는 35669- (7680 x 4) = 4949이다.
현재 구동 주파수(FREQ)가 업데이트 기준값(U_REF)에 대응하는 주파수(예를 들면, 4Hz)보다 낮으면, 제2 누적 스트레스(AStr(t))는 수학식 7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7]
AStr(t) = AStr(t-1) + Str(t) x W
여기서, W는 가중치이다.
현재 구동 주파수(FREQ)가 4Hz보다 낮으면, 도 2에 도시된 화소(PXij) 내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소스 전압은 장시간 동안 동일한 전압 레벨로 유지된다. 이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스트레스를 가중시킨다. 그러므로 현재 구동 주파수(FREQ)가 4Hz보다 낮으면, 제2 누적 스트레스(AStr(t))를 소정값만큼 증가시키는 것이 적절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가변 주파수 모드에서 업데이트 기준값(U_REF)이 4Hz에 대응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업데이트 기준값(U_REF)은 단일 주파수 모드의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DD) 및 도 6에 도시된 구동 컨트롤러(100)를 참조하여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의 구동 컨트롤러(100) 내 보상기(110)는 입력 영상 신호(I_RGB)를 수신하고, 동작 시간 계산기(140)는 현재 구동 주파수(FREQ)를 수신한다(단계 S100).
보상기(110)는 입력 영상 신호(I_RGB) 및 제1 누적 스트레스(AStr(t-1))에 근거해서 출력 영상 신호(O_RGB)를 출력한다(단계 S120).
동작 시간 계산기(140)는 현재 구동 주파수(FREQ)에 근거해서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를 계산한다(단계 S120).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는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동작 시간 계산기(140)는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가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면, 활성 레벨(예를 들면, 하이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EN)를 출력 수 있다.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가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커서 인에이블 신호(EN)가 활성화되면, 스트레스 변환부(120)는 출력 영상 신호(O_RGB)를 현재 스트레스(Str(t))로 변환한다(단계 S140).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F_AW1)가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커서 인에이블 신호(EN)가 활성화되면,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13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제1 누적 스트레스(AStr(t-1))와 스트레스 변환부(120)로부터의 현재 스트레스(Str(t))를 더해서 제2 누적 스트레스(AStr(t))를 계산한다(단계 S150). 제2 누적 스트레스(AStr(t))는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50)에 저장된 제2 누적 스트레스(AStr(t))는 다음 인에이블 신호(EN)가 활성화될 때 보상기(11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P: 표시 패널
SD: 스캔 구동 회로
EDC: 발광 구동 회로
PX: 화소
PXC: 화소 회로
100: 구동 컨트롤러
110: 보상기
120: 스트레스 변환부
130: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
140: 동작 시간 계싼기
150: 메모리
200: 데이터 구동 회로
300: 전압 발생기

Claims (22)

  1. 입력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누적 스트레스에 근거해서 보상값을 계산하고,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상기 보상값으로 보상해서 출력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보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출력 영상 신호를 현재 스트레스로 변환하는 스트레스 변환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제1 누적 스트레스와 상기 현재 스트레스를 더해서 제2 누적 스트레스를 출력하는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
    상기 제2 누적 스트레스를 저장하고, 상기 제1 누적 스트레스를 상기 보상기 및 상기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로 제공하는 메모리; 및
    현재 구동 주파수를 수신하고, 상기 현재 구동 주파수에 근거해서 활성 레벨의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시간 계산기를 포함하는 구동 컨트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현재 구동 주파수의 최대 구동 주파수와 상기 현재 구동 주파수의 비율에 대응하는 프레임 웨이트를 계산하고,
    상기 프레임 웨이트를 매 프레임마다 누적한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를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활성 레벨의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컨트롤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의 차를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로 출력하는 구동 컨트롤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상기 활성 레벨일 때 상기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와 상기 프레임 웨이트의 합을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로 출력하는 구동 컨트롤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작을 때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를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로 출력하는 구동 컨트롤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작을 때 비활성 레벨의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컨트롤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변환부 및 상기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상기 비활성 레벨일 때 비동작 상태인 구동 컨트롤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상기 현재 구동 주파수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에 대응하는 주파수보다 낮으면, 다음 수학식에 의해 상기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를 계산하되,
    F_AW2 = F_AW1 - (U_REF x (U_FREQ / FREQ))
    F_AW2는 상기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 F_AW1는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 U_REF는 업데이트 기준값, U_REF는 업데이트 기준값에 대응하는 주파수 그리고 FREQ는 상기 현재 구동 주파수인 구동 컨트롤러.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는 상기 현재 구동 주파수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에 대응하는 주파수보다 낮으면, 다음 수학식에 의해 상기 제2 누적 스트레스를 계산하되,
    AStr(t) = AStr(t-1) + Str(t) x W
    AStr(t)는 상기 제2 누적 스트레스, AStr(t-1)은 제1 누적 스트레스, Str(t)는 상기 현재 스트레스 그리고 W는 가중치인 구동 컨트롤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기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상기 활성 레벨일 때 상기 메모리로부터 새로운 상기 제1 누적 스트레스를 수신하는 구동 컨트롤러.
  11.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입력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누적 스트레스에 근거해서 보상값을 계산하고,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상기 보상값으로 보상한 출력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 패널로 제공하는 구동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컨트롤러는 가변 주파수 모드동안 현재 구동 주파수에 근거해서 프레임 웨이트를 누적하고,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출력 영상 신호에 근거해서 상기 누적 스트레스를 다시 계산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컨트롤러는,
    제1 누적 스트레스에 근거해서 보상값을 계산하고,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상기 보상값으로 보상한 상기 출력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보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출력 영상 신호를 현재 스트레스로 변환하는 스트레스 변환부;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제1 누적 스트레스와 상기 현재 스트레스를 더해서 제2 누적 스트레스를 출력하는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
    상기 제2 누적 스트레스를 저장하고, 상기 제1 누적 스트레스를 상기 보상기 및 상기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로 제공하는 메모리; 및
    상기 현재 구동 주파수에 근거해서 상기 누적 프레임 웨이트를 계산하고, 상기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활성 레벨의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시간 계산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현재 구동 주파수의 최대 구동 주파수와 상기 현재 구동 주파수의 비율에 대응하는 프레임 웨이트를 계산하고,
    상기 프레임 웨이트를 매 프레임마다 누적한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를 계산하고,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활성 레벨의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의 차를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로 출력하는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상기 활성 레벨일 때 상기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와 상기 프레임 웨이트의 합을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로 출력하는 표시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작을 때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를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로 출력하는 표시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간 계산기는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작을 때 비활성 레벨의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변환부 및 상기 누적 스트레스 계산기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상기 비활성 레벨일 때 비동작 상태인 표시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출력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를 상기 발광 소자로 제공하는 제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보상값은 상기 현재 스트레스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특성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값인 표시 장치.
  20. 입력 영상 신호 및 현재 구동 주파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영상 신호 및 제1 누적 스트레스에 근거해서 출력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현재 구동 주파수에 근거해서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면, 활성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 레벨일 때 상기 출력 영상 신호를 현재 스트레스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 레벨일 때 상기 제1 누적 스트레스와 상기 현재 스트레스에 근거해서 제2 누적 스트레스를 계산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2 누적 스트레스는 상기 제1 누적 스트레스로서 제공되는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현재 구동 주파수의 최대 구동 주파수와 상기 현재 구동 주파수의 비율에 대응하는 프레임 웨이트를 계산하고,
    상기 프레임 웨이트를 매 프레임마다 누적한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를 계산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활성 레벨의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제1 누적 프레임 웨이트와 상기 업데이트 기준값의 차를 제2 누적 프레임 웨이트로 출력하는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20028403A 2022-03-04 2022-03-04 구동 컨트롤러,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30131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403A KR20230131411A (ko) 2022-03-04 2022-03-04 구동 컨트롤러,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US17/986,115 US11875736B2 (en) 2022-03-04 2022-11-14 Driving controlle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of display device
CN202310161948.4A CN116704932A (zh) 2022-03-04 2023-02-24 驱动控制器、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403A KR20230131411A (ko) 2022-03-04 2022-03-04 구동 컨트롤러,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411A true KR20230131411A (ko) 2023-09-13

Family

ID=8784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403A KR20230131411A (ko) 2022-03-04 2022-03-04 구동 컨트롤러,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75736B2 (ko)
KR (1) KR20230131411A (ko)
CN (1) CN1167049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0420A (ko) * 2022-01-14 2023-07-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360B1 (ko) * 2014-11-10 2021-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60137216A (ko) * 2015-05-22 2016-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보정 방법
KR102447670B1 (ko) * 2015-12-07 2022-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열화 보상 장치,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10081677A (ko) * 2019-12-24 2021-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상 방법
TWI751815B (zh) * 2019-12-30 2022-01-01 南韓商Lg顯示器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用於控制顯示裝置的方法
US10943531B1 (en) * 2020-06-03 2021-03-09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Decay factor accumulation method and decay factor accumulation module using the same
JP7466400B2 (ja) * 2020-07-30 2024-04-12 JDI Design and Development 合同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20220019146A (ko) * 2020-08-06 2022-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20030514A (ko) * 2020-09-02 2022-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US20220108667A1 (en) 2020-10-06 2022-04-07 Samsung Display Co., Ltd. Data compensating circui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compensating data using the same
KR20220046464A (ko) 2020-10-06 2022-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보상 회로,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보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704932A (zh) 2023-09-05
US11875736B2 (en) 2024-01-16
US20230282154A1 (en)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3537B1 (ko) 구동 컨트롤러,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1990975B1 (ko) 계조 전압 발생기 및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US10008158B2 (en) Display device using adjustable gamma voltage
KR101469479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200600229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level control and/or contrast control in a display device
KR102332592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방법
KR2009005869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CN114120888A (zh) 显示装置
CN112242116A (zh) 驱动显示面板的方法和用于执行该方法的显示装置
KR102643096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2365843B (zh) 像素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及装置
KR102205798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30131411A (ko) 구동 컨트롤러,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
CN114446214A (zh) 显示设备
KR20220033615A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KR101338793B1 (ko)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1769456B2 (en) Display device
US20230154408A1 (en) Display device and gamma unit for display panel
KR20220061332A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KR20220030514A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US11875738B2 (en) Driving circuit including a first and second driving mod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30410723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915659B2 (en) Display device
KR20230171057A (ko) 표시 장치
KR20230043284A (ko) 구동 컨트롤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