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093A - Fuel cell stack assembly in which the contact area of the polymeric ion exchange membrane of the seperator is maintained - Google Patents

Fuel cell stack assembly in which the contact area of the polymeric ion exchange membrane of the seperator is maintain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093A
KR20230131093A KR1020220148537A KR20220148537A KR20230131093A KR 20230131093 A KR20230131093 A KR 20230131093A KR 1020220148537 A KR1020220148537 A KR 1020220148537A KR 20220148537 A KR20220148537 A KR 20220148537A KR 20230131093 A KR20230131093 A KR 20230131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plate
frame
hole
fue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5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권영
박재형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너지
Priority to KR1020220148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1093A/en
Publication of KR20230131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093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8Means for compression of the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택(stack); 상기 스택의 전후면에 각각 부착되어 전류를 전달하는 전극 플레이트; 상기 전극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리드; 상기 스택의 후면측으로 상기 전극 플레이트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 프레임부; 상기 스택의 전면측으로 상기 전극 플레이트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되,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스택을 가압하는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의 이격 간격을 고정시키는 제3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cell sta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ack (stack); Electrode plates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stack to transmit current; an electrode lead connected to the electrode plate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first frame portion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stack and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plate; A second frame part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stack an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plate and provided with a spring to press the stack, and a third frame part to fix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A fuel cell stack assembly can be provided.

Description

분리판의 고분자이온교환막의 접촉면적이 유지되는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FUEL CELL STACK ASSEMBLY IN WHICH THE CONTACT AREA OF THE POLYMERIC ION EXCHANGE MEMBRANE OF THE SEPERATOR IS MAINTAINED}Fuel cell stack assembly in which the contact area of the polymer ion exchange membrane of the separator is maintained {FUEL CELL STACK ASSEMBLY IN WHICH THE CONTACT AREA OF THE POLYMERIC ION EXCHANGE MEMBRANE OF THE SEPERATOR IS MAINTAINED}

본 발명은 분리판의 고분자이온교환막의 접촉면적이 유지되는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다수의 스프링을 활용하여 조립압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스택의 내구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분리판의 고분자이온교환막의 접촉면적이 유지되는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cell stack assembly in which the contact area of the polymer ion exchange membrane of the separator is maintained.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fuel cell stack assembly that can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stack by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assembly pressure using a plurality of springs. , relates to a fuel cell stack assembly in which the contact area of the polymer ion exchange membrane of the separator is maintained.

연료전지란 연료와 산화제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로 이 화학반응은 촉매층내에서 촉매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연료가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한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하다.A fuel cell is a device that generates electrical energy by electrochemically reacting fuel and an oxidant. This chemical reaction is carried out by a catalyst within a catalyst layer, and generally, continuous power generation is possible as long as fuel is continuously supplied.

또한, 연료전지는 전해질의 종류 및 작동 온도에 따라 알칼리형(AFC), 고분자 전해질형(PEMFC), 인산형(PAFC), 용융탄산염(MCFC), 고체산화물(SOFC) 연료전지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는 다시 수소를 연료로 하는 연료전지와 메탄올 액체를 연료로 하는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DMFC)로 구분할 수 있다.In addition, fuel cells can be classified into alkaline type (AFC), polymer electrolyte type (PEMFC), phosphoric acid type (PAFC), molten carbonate (MCFC), and solid oxide (SOFC) fuel cells 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rolyte and operating temperature. ,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fuel cells using hydrogen as fuel and 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 using methanol liquid as fuel.

이 중,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중심으로 양쪽에 다공질의 연료극(anode)과 공기극(cathode)이 부착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며, 연료극에서는 연료인 수소의 전기적 산화가, 그리고 공기극에서는 산화제인 산소의 전기화학적 환원이 일어나 전기 에너지가 발생된다.Among these, the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has a porous anode and an air electrode attached on both sides centered on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The anode conducts electrical oxidation of hydrogen, which is the fuel, and the air electrode produces oxygen, which is an oxidizing agent. Electrochemical reduction occurs and electrical energy is generated.

최근 고분자 전해질막을 효과적으로 적층하여 에너지 수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있다.Recently, there have been efforts to improve energy yield by effectively stacking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이 때, 고분자 전해질막들 사이에는 각 고분자 전해질막으로 반응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세퍼레이터(separator)가 삽입되는데, 고분자 전해질막들과 세퍼레이터간의 가스 기밀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연료가 외부로 누설되어 에너지 수율이 낮아지고 연료가 낭비되며, 접촉저항이 커져 연료전지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a separator is inserted betwee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to supply the reaction gas to each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f gas tightness betwee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and the separator is not secured, the fuel leaks to the outside, reducing the energy yiel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the fuel cell decreases due to low fuel consumption, waste of fuel, and increased contact resistanc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27285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627285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다수의 스프링을 활용하여 조립압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분리판의 고분자이온교환막의 접촉면적이 유지되도록 하며 가스켓의 유체 유출 방지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킴에 따라 스택의 내구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분리판의 고분자이온교환막의 접촉면적이 유지되는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plurality of springs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assembly pressure, thereby maintaining the contact area of the polymer ion exchange membrane of the separator plate and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fluid leakage prevention performance of the gaske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uel cell stack assembly in which the contact area of the polymer ion exchange membrane of the separator is maintained, which can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stack by maintaining i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리판의 고분자이온교환막의 접촉면적이 유지되는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는 스택(stack), 상기 스택의 전후면에 각각 부착되어 전류를 전달하는 전극 플레이트, 상기 전극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리드, 상기 스택의 후면측으로 상기 전극 플레이트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 프레임부, 상기 스택의 전면측으로 상기 전극 플레이트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되,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스택을 가압하는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의 이격 간격을 고정시키는 제3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택은,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적층되는 복수의 전지 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지 셀 전후 양편에 배치되되, 일면에 상기 전지 셀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적층홈 및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봉홀을 포함하는 한 쌍의 지그 플레이트,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봉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그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지지봉을 포함하고, 상기 스택은, 상기 한 쌍의 지그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의 전지 셀을 정렬시키는 정렬보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렬보조부는, 상기 지그 플레이트에 전후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각 둘레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이동홀 및 상기 한 쌍의 지그 플레이트의 이동홀에 설치되어, 상기 전지 셀과 접하면서 상기 이동홀을 따라 이동하여 복수의 전지 셀을 정렬시키는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부는, 상기 이동홀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홀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바, 상기 전지 셀과 접하여 정렬시키는 정렬판 및 상기 이동바와 정렬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정렬판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A fuel cell stack assembly in which the contact area of the polymer ion exchange membrane of the separato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tained includes a stack, electrode plates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stack to transmit current, and connected to the electrode plate. an electrode lead exposed to the outside, a first frame portion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stack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plate, and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stack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plate, and provided with a spring. It includes a second frame part that presses the stack and a third frame part that fixes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wherein the stack includes a pair of through holes and a plurality of stacked battery cells, A pair of jig plate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disposed on both sides before and after the battery cell, including a stack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to seat the battery cell and a rod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a support rod inserted into the rod hole and installed on the jig plate, and the stack further includes an alignment auxiliary portion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jig plates to alig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the alignment auxiliary portion , is formed to penetrate the jig plate from the front and back, and is installed in the moving hole formed to have a length along each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moving hole of the pair of jig plates, and is in contact with the battery cell and follows the moving hole. It includes an alignment unit that moves to align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wherein the alignment unit includes a moving bar that is inserted into the moving hole and moves along the moving hole, an alignment plate that aligns in contact with the battery cells, and a space between the moving bar and the alignment plate. It is formed in and includes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elasticity to the alignment plat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판의 고분자이온교환막의 접촉면적이 유지되는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는 다수의 스프링을 활용하여 PEMFC 등 연료전지의 조립압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분리판의 고분자이온교환막의 접촉면적이 유지되도록 하며 엔드 플레이트의 유체 유출 방지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The fuel cell stack assembly in which the contact area of the polymer ion exchange membrane of the separator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tained as described above utilizes a plurality of springs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assembly pressure of fuel cells such as PEMFC, thereby separating The contact area of the plate's polymer ion exchange membrane can be maintained and the fluid leak prevention performance of the end plate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이에 따라 스택의 내구성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전력생산이 오래 유지되도록 하여 출력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urability of the stack can be increased, and power production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to ensure output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를 도시한 분리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a는 도 1의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의 제2 프레임이 제3 프레임부에 결합되기 전 모습을 나타낸 투영사시도.
도 5b는 도 1의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의 제2 프레임이 볼트를 통해 제3 프레임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투영사시도.
도 6은 도 1의 스택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스택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지그 플레이트를 도시한 전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의 스택에 보조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의 보조부재의 설치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의 스택에 정렬보조부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
도 1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의 제2 프레임이 제3 프레임부에 결합되기 전 모습을 나타낸 투영사시도.
도 1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의 제2 프레임이 결합돌기에 의해 제3 프레임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투영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el cell stack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of FIG. 1.
Figure 3 is an exploded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of Figure 1.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of FIG. 1.
FIG. 5A is a project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frame of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of FIG. 1 before being coupled to the third frame portion.
FIG. 5B is a project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frame of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of FIG. 1 coupled to the third frame portion through bolts.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ck of Figure 1;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ck of Figure 6;
Figure 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jig plate of Figure 7.
Figure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xiliary member installed in the stack of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A to 10C are exemplary diagrams sequentially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auxiliary members of FIG. 9.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lignment auxiliary part formed in the stack of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side view of Figure 11.
Figure 13a is a project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frame of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being coupled to the third frame portion.
Figure 13b is a projection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frame of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third frame portion by a coupling protrusion.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ossible. In addition, the content described below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their meaning is not limited, and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provide,” or “have” used below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construed and understood as not excluding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3b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1 to 13B.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를 도시한 분리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a는 도 1의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의 제2 프레임이 제3 프레임부에 결합되기 전 모습을 나타낸 투영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1의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의 제2 프레임이 볼트를 통해 제3 프레임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투영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el cell stack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of FIG. 1, and FIG. 3 is a fuel cell stack assembly of FIG. 1. It is an separated rear perspective view,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of FIG. 1, and FIG. 5A shows the second frame of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of FIG. 1 before being coupled to the third frame portion. It is a projection perspective view, and FIG. 5B is a projection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frame of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of FIG. 1 coupled to the third frame portion through bolt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1)는 스택(stack, 10), 전극 플레이트(20a,20b), 전극리드(30a,30b), 제1 프레임부(40), 제2 프레임부(50) 및 제3 프레임부(6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ck 10, electrode plates 20a and 20b, electrode leads 30a and 30b, and It may include a first frame part 40, a second frame part 50, and a third frame part 60.

여기서 연료전지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로 작동온도가 평균 80℃인 저온 연료전지로서, 기본적으로 산소와 수소로 작동하며, 이산화물을 함유한, 수소가 풍부한 개질 기체와 공기 중의 산소를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fuel cell is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which is a low-temperature fuel cell with an average operating temperature of 80°C. It basically operates on oxygen and hydrogen, and uses a hydrogen-rich reformed gas containing dioxide and It can also be operated using oxygen in the air. It is not limited to this.

전기를 생산하는 스택(1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stack 10 that produces electricity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전극 플레이트(20a,20b)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스택(10)의 전후면에 각각 부착되어 스택(10)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전극리드(30a,30b)를 통해 부하로 전달할 수 있다.The electrode plates 20a and 20b ar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re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tack 10, respectively, so that electricity produced in the stack 10 can be transmitted to the load through the electrode leads 30a and 30b.

전극 플레이트(20a,20b)는 양극 플레이트(20a)와 음극 플레이트(20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택(10)의 전면에 음극 플레이트(20b), 후면에 양극 플레이트(20a)가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electrode plates 20a and 20b may be composed of an anode plate 20a and a cathode plate 20b, and the anode plate 20b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stack 10, and the anode plate 20a may be attached to the rear of the stack 10. It is not limited to this.

전극리드(30a,30b)는 각 전극 플레이트(20a,20b)에서 연장되어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1)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됨에 따라 부하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연결된 부하에 생산된 전기를 전달할 수 있다.The electrode leads 30a and 30b extend from each electrode plate 20a and 20b and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1, thereby enabling connection to a load. The generated electricity can be delivered to the connected load.

제1 프레임부(40)는 스택(10)의 후면측으로 전극 플레이트(20a,20b)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41) 및 제1 엔드 플레이트(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rame portion 40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stack 10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plates 20a and 20b, and may include a first frame 41 and a first end plate 42. You can.

제1 프레임(41)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 프레임부(60)와 결합됨에 따라 제1 프레임(41)과의 이격 간격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프레임(41)은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1)의 외함부의 후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frame 41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coupled with the third frame portion 60,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first frame 41 can be fixed. This first frame 41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enclosure portion of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1.

제1 프레임(41)은 제3 프레임부(60)와의 결합을 위해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프레임(41)과 제3 프레임부(60)의 결합 방식은 볼트 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결합 방식에 따라 형태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first frame 41 may have at least one bolt groov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frame 41 for coupling to the third frame portion 60 . However, the coupling method of the first frame 41 and the third frame portion 60 is not limited to bolt coupling, and the shape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oupling method.

또한 제1 프레임(41)은 제1 엔드 플레이트(42)와의 결합을 위해 결착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frame 41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to the first end plate 42.

제1 엔드 플레이트(42)는 스택(10) 후면에 부착된 전극 플레이트(20a,20b)와 접하도록 설치되어, 스택(10)으로부터 생성된 전기가 전극 플레이트(20a,20b) 이외로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first end plate 42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plates 20a and 20b attached to the rear of the stack 10 to block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stack 10 from flowing to places other than the electrode plates 20a and 20b. You can.

이를 위해 제1 엔드 플레이트(42)는 내측면에 전극홈이 형성되어 있어 전극 플레이트(20a,20b)가 전극홈에 삽입됨에 따라 스택(10)과 접하고 있는 면을 제외한 전극 플레이트(20a,20b)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제1 엔드 플레이트(42)와 전극 플레이트(20a,20b)의 결합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first end plate 42 has an electrode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as the electrode plates 20a and 20b are inserted into the electrode groove, the electrode plates 20a and 20b, excluding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tack 10, are formed. By combining to surround the remaining portion, the airtightness of the first end plate 42 and the electrode plates 20a and 20b can be improved.

또한 제1 엔드 플레이트(42)는 제1 프레임(41)의 결착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end plate 42 may include a fastening protrusion that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first frame 41.

제2 프레임부(50)는 스택(10)의 전면측으로 전극 플레이트(20a,20b)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되, 스프링(54)이 구비되어 스택(10)을 가압할 수 있다. The second frame portion 50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stack 10 so as to contact the outer surfaces of the electrode plates 20a and 20b, and is provided with a spring 54 to pressurize the stack 10.

제2 프레임부(50)는 스프링(54)을 통해 스택(10)을 가압함에 따라,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1)의 조립압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이에 분리판의 고분자이온교환막의 접촉면적이 유지되도록 하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42,52)의 유체 유출 방지 성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스택(10)의 내구성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전력생산이 오래 유지되도록 하여 출력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frame portion 50 can continuously maintain the assembly pressure of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1 by pressing the stack 10 through the spring 54. Accordingly, the contact area of the polymer ion exchange membrane of the separator plate can be maintained and the fluid leak prevention performance of the first and second end plates 42 and 52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Through this, the durability of the stack 10 can be increased, and power production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to ensure output stability.

구체적으로, 제2 프레임부(50)는 제2 프레임(51), 제2 엔드 플레이트(52), 가압 플레이트(53) 및 스프링(54)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frame unit 50 may include a second frame 51, a second end plate 52, a pressure plate 53, and a spring 54.

제2 프레임(51)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 프레임부(60)와 결합됨에 따라 제1 프레임(41)과의 이격 간격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프레임(51)은 제3 프레임부(60)와 결합되어 고정됨에 따라 스프링(54)을 압착시켜, 스프링(54)에 의해 스택(10)이 압력을 받도록 할 수 있다. The second frame 51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s it is coupled with the third frame portion 60,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first frame 41 can be fixed. At this time, as the second frame 51 is coupled and fixed to the third frame portion 60, the spring 54 is compressed, so that the stack 10 is pressured by the spring 54.

이러한 제2 프레임(51)은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1)의 외함부의 전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This second frame 51 may be configured as the front of the enclosure portion of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1.

또한 제2 프레임(51)은 스프링홈(510) 및 볼트홈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frame 51 may include a spring groove 510 and a bolt groove.

스프링홈(510)은 제2 프레임(51)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t least one spring groove 51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51, and a plurality of spring grooves 510 may be form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스프링홈(510)은 복수개가 형성될 시 제2 프레임(51)의 내측면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각 스프링홈(510)에 스프링(54)이 설치 됨에 따라 스프링 압력이 가압 플레이트(53)의 면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spring grooves 510 are formed, they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51, and as the spring 54 is installed in each spring groove 510, the spri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pressing plate. It can be delivered evenly to the surface of (53).

볼트홈은 제2 프레임(51)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제3 프레임부(60)와 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프레임(51)과 제3 프레임부(60)의 결합 방식은 볼트 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결합 방식에 따라 형태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At least one bolt groove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frame 51 so that it can be fixed to the third frame part 60 by a bolt. However, the coupling method of the second frame 51 and the third frame portion 60 is not limited to bolt coupling, and the shape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oupling method.

제2 엔드 플레이트(52)는 스택(10) 전면에 부착된 전극 플레이트(20a,20b)와 접하도록 설치되어, 스택(10)으로부터 생성된 전기가 전극 플레이트(20a,20b) 이외로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second end plate 52 is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plates 20a and 20b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stack 10 to block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stack 10 from flowing to places other than the electrode plates 20a and 20b. You can.

제2 엔드 플레이트(52) 또한 내측면에 전극홈이 형성되어 있어 전극 플레이트(20a,20b)가 전극홈에 삽입됨에 따라 스택(10)과 접하고 있는 면을 제외한 전극 플레이트(20a,20b)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제2 엔드 플레이트(52)와 전극 플레이트(20a,20b)의 결합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전기 차단 기능이 바람직하게 나타날 수 있다.The second end plate 52 also has an electrode groove formed on its inner surface, so that when the electrode plates 20a and 20b are inserted into the electrode groove, the remainder of the electrode plates 20a and 20b except for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tack 10. Can be combined to surround parts. Accordingly, the tightness of the joint between the second end plate 52 and the electrode plates 20a and 20b can be improved, and the electrical blocking function can be preferably achieved.

가압 플레이트(53)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면에 스프링(54)이 연결되어, 스프링(54)으로부터 압력을 받아 내측면 측에 위치하여 접촉되는 제2 엔드 플레이트(52)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전극 플레이트(20a,20b)와 스택(10)에 압력이 전달되도록 한다.The pressing plate 53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connected to a spring 54 on the outer surface, so that it can receive pressure from the spring 54 and pressurize the second end plate 52 that is located and contacted on the inner surface. . Accordingly,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electrode plates 20a and 20b and the stack 10.

또한 가압 플레이트(53)는 스프링홈(530)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essure plate 53 may include a spring groove 530.

가압 플레이트(53)의 스프링홈(530)은 가압 플레이트(53)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t least one spring groove 530 of the pressure plate 53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53, and it may be desirable to form a plurality of spring grooves 530.

스프링홈(530)이 복수개가 형성될 시, 가압 플레이트(53)의 외측면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각 스프링홈(530)에 스프링(54)이 삽입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spring grooves 530 are formed, they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53, so that the spring 54 can be inserted into each spring groove 530.

스프링(54)은 제2 프레임(51)과 가압 플레이트(53)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제2 프레임(51)에 의해 압착되어 가압 플레이트(53)에 압력을 줄 수 있는데,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At least one spring 54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frame 51 and the pressure plate 53, and is compressed by the second frame 51 to apply pressure to the pressure plate 53. A plurality of springs 54 are provided. It may be more desirable to have it install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플레이트(53)의 면에 고르게 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스프링(54)이 가압 플레이트(53)의 내측면 면적 전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 drawing,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prings 54 are dispos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area of the pressure plate 53 so as to evenly transmit pressure to the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53.

또한 스프링(54)은 제2 프레임(51)에는 고정되고, 가압 플레이트(53)와는 접하나 고정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spring 54 is preferably fixed to the second frame 51 and in contact with the pressure plate 53, but is not fixed, but is not limited to this.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프레임부(50)를 통해 스택(1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프레임부(60)에 제2 프레임(51)을 결합하기 위해 제2 프레임(51)을 가압하여 볼트(V)에 의해 제3 프레임부(60)에 결합시킴에 따라, 스프링(54)이 압착되어 가압 플레이트(53), 제2 엔드 플레이트(52)에 스프링 압력이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전극 플레이트(20a,20b)와 스택(10)이 압력을 받아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Pressure can be applied to the stack 10 through the second frame unit 50 configur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second frame 51 is coupled to the third frame unit 60. In order to do so, the second frame 51 is pressed and coupled to the third frame portion 60 by the bolt V, so that the spring 54 is compressed to form the pressure plate 53 and the second end plate 52. The spring pressure is transmitted to, and ultimately, the electrode plates 20a and 20b and the stack 10 receive pressure,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제3 프레임부(60)는 제1 프레임부(40)와 제2 프레임부(50)의 이격 간격을 고정시킬 수 있는데, 제1 프레임부(40)와 제2 프레임부(50)에 결합되어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1)의 외함부의 상하좌우면으로 구성되어, 스택(10) 등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1)의 내부 구성들을 보호할 수 있다.The third frame part 60 can fix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frame part 40 and the second frame part 50, and is coupled to the first frame part 40 and the second frame part 50. It is composed of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uter case of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1, and can protect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1, such as the stack 10.

이러한 제3 프레임부(60)는 상하면프레임(61) 및 측면프레임(62)을 포함할 수 있다.This third frame portion 60 may include an upper and lower frame 61 and a side frame 62.

상하면프레임(61)은 제1 프레임(41)과 제2 프레임(51)의 상하면 측으로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볼트에 의해 제1 프레임(41)과 제2 프레임(51)과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frames 61 can b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frame 41 and the second frame 51, respectively, and can be coupled to the first frame 41 and the second frame 51 by bolts. May include holes.

측면프레임(62)은 제2 프레임(51)과 제2 프레임(51)의 측면 측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볼트에 의해 제1 프레임(41)과 제2 프레임(51)과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frame 62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frame 51 and the side of the second frame 51, and has a bolt hole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the first frame 41 and the second frame 51 by bolts. may include.

한편, 스택(10)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stack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FIGS. 6 to 12.

도 6은 도 1의 스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스택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지그 플레이트를 도시한 전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의 스택에 보조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의 보조부재의 설치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의 스택에 정렬보조부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ck of FIG. 1,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ck of FIG. 6,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jig plate of FIG. 7, and FIG. 9 is a firs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xiliary member installed in the stack of a fuel cell stac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S. 10A to 10C are exemplary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auxiliary member of FIG. 9, and FIG. 11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lignment auxiliary part formed in the stack of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12 is a side view of FIG. 11.

스택(10)은 복수의 전지 셀(11)을 직렬로 연결하여 일체로 구성된 것으로, 전지 셀(11)을 포함하고, 복수의 전지 셀(11)의 정렬을 위한 지그 플레이트(12) 및 지지봉(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ack 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connected in series and includes a battery cell 11, and a jig plate 12 and a support rod for align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 13) may further be included.

여기서 전지 셀(11)은 양극판, 냉각수 가스켓, MEA(Membrane-Electrode-Assembly, 박막-전극-어셈블리), 분리판, 등을 포함하고, 상기 MEA는 가스확산층(GDL, Gas Diffusion Layer), 촉매층, PEM (Proton Exchange Membrane), 촉매층, 가스확산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지 셀(11)에 대해서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battery cell 11 includes a positive plate, a coolant gasket, an MEA (Membrane-Electrode-Assembly), a separator plate, etc., and the MEA includes a gas diffusion layer (GDL), a catalyst layer, It can be composed of PEM (Proton Exchange Membrane), catalyst layer, and gas diffusion layer. Since this battery cell 11 is already a widely known technology,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 전지 셀(11)은 지지봉(13)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110)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봉(13)에 의해 복수의 전지 셀(11)이 일체로 연결되어, 한 쌍의 지그 플레이트(12) 사이에 정렬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cell 11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10 through which the support rod 13 can pass, so that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are integrally connected by the support rod 13, forming a pair. It can be aligned between jig plates (12).

지그 플레이트(12)는 복수의 전지 셀(11)을 직렬로 용이하게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정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전지 셀(1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전지 셀(11)을 수용할 수 있는 적층홈(126)이 형성될 수 있다.The jig plate 12 allow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to be easily stacked in series, and can be formed as a pair.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with a certain thickness, and has the battery cells 11 on one side. A stacking groove 126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1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또한 지그 플레이트(12)는 봉홀(120)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jig plate 12 may include a rod hole 120.

봉홀(120)은 지그 플레이트(12)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지지봉(13)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봉홀(1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플레이트(12) 중심을 기준으로 사선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rod hole 120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jig plate 12 so that the support rod 13 can be inserted. At this time, the rod hole 120 may be formed to be disposed in a diagonally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jig plate 12, as shown in FIG. 8, but is not limited to this.

한편, 한 쌍의 지그 플레이트(12) 중 하나의 지그 플레이트(12)의 봉홀(120)은 홈의 형태로 대체되고, 나머지 하나의 지그 플레이트(12)의 봉홀(120)만 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지지봉(13)이 지그 플레이트(12)를 관통하여 스택(10)의 결합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Meanwhile, the rod hole 120 of one of the pair of jig plates 12 will be replaced in the form of a groove, and only the rod hole 120 of the other jig plate 12 will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e. This is to prevent the support rod 13 from penetrating the jig plate 12 and causing the stack 10 to be uncoupled.

또한 지그 플레이트(12)는 공기출입홀(121), 연료출입홀(122) 및 냉각수출입홀(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지 셀(11)에서 전기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공기, 연료, 냉각수 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를 공급하는 공기유로, 연료유로, 냉각수유로 등을 설치하기 위해 형성된 구성들이라고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jig plate 12 may further include an air inlet/outlet hole 121, a fuel in/out hole 122, and a coolant inlet/outlet hole 123. Since air, fuel, coolant, etc. are required to generate electricity in the battery cell 11, these can be said to be configurations formed to install air passages, fuel passages, and coolant passages that supply them.

공기출입홀(121)은 지그 플레이트(12)에 형성되어, 전지 셀(11)에 공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유로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출입홀(121)은 공기유입홀, 공기배출홀로 구성될 수 있다.The air inlet hole 121 is formed in the jig plate 12, and an air flow path for supplying air can be installed so that air can be supplied to the battery cell 11. The air inlet hole 121 may be composed of an air inlet hole and an air outlet hole.

연료출입홀(122)은 지그 플레이트(12)에 형성되어 전지 셀(11)에 연료(수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유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연료유입홀, 연료배출홀로 구성될 수 있다.The fuel entrance hole 122 is formed in the jig plate 12, and a fuel flow path for supplying fuel may be installed so that fuel (hydrogen) is supplied to the battery cell 11, and may be composed of a fuel inlet hole and a fuel discharge hole. You can.

냉각수출입홀(123)은 지그 플레이트(12)에 형성되어 전지 셀(11)에 냉각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유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냉각수유입홀, 냉각수배출홀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olant inlet/outlet hole 123 may be formed in the jig plate 12 and may be installed with a coolant flow path for supplying coolant to the battery cell 11, and may be composed of a coolant inlet hole and a coolant discharge hole.

지지봉(13)은 얇은 봉 형태로 형성되어 한 쌍의 지그 플레이트(12)의 봉홀(120)에 삽입되어, 한 쌍의 지그 플레이트(12)를 연결할 수 있다. The support rod 13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rod and is inserted into the rod hole 120 of a pair of jig plates 12 to connect the pair of jig plates 12.

또한 지지봉(13)은 전지 셀(11)이 통과되어 한 쌍의 지그 플레이트(12) 사이에 적층되도록 하며, 전지 셀(11)의 위치를 고정하여 복수의 전지 셀(11)이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rod 13 allows the battery cells 11 to pass through and be stacked between a pair of jig plates 12, and can fix the position of the battery cells 11 so that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are aligned. there is.

또한 지지봉(13)의 길이는 지그 플레이트(12)의 두께와 일체로 연결된 복수의 전지 셀(11)의 두께를 합한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스택(10)이 제2 프레임부(50)에 의해 가압될 시 지지봉(13)이 전극 플레이트(20a,20b)와 접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support rod 13 is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combined thickness of the jig plate 12 and the thicknes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integrally connected, which means that the stack 10 is 2 This is to prevent the support rod 13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de plates 20a and 20b when pressed by the frame portion 50.

도 9를 참조하면, 스택(10)은 보조부재(14)를 더 포함하고, 지그 플레이트(12)는 보조부재설치홀(124) 및 보조부재고정홈(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stack 1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member 14, and the jig plate 12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member installation hole 124 and an auxiliary member fixing groove 125.

보조부재(14)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조부재설치홀(124)과 보조부재고정홈(125)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자 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f the auxiliary member 14, the auxiliary member installation hole 124 and the auxiliary member fixing groove 125 will be described first.

보조부재설치홀(124)은 지그 플레이트(12)에 전후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각 둘레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한 쌍의 지그 플레이트(12)의 보조부재설치홀(124)에 하나의 보조부재(14)가 통과하여 설치될 수 있다.The auxiliary member installation hole 124 is formed to penetrate the jig plate 12 from the front and back, and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along each peripheral surface. Accordingly, one auxiliary member 14 can be installed by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member installation hole 124 of the pair of jig plates 12.

또한 보조부재설치홀(124)은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보조부재안착홈(124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조부재안착홈(124a)은 보조부재고정홈(12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auxiliary member installation hole 124 may include auxiliary member seating grooves 124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auxiliary member seating groove 124a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member fixing groove 125.

보조부재고정홈(125)은 지그 플레이트(12)의 각 둘레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부재고정홈(125)은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음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부재설치홀(124)을 통과하여 꺾인 보조부재(14)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auxiliary member fixing grooves 125 may be formed on each peripheral surface of the jig plate 12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member fixing groove 125 is open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9, the auxiliary member 14 bent through the auxiliary member installation hole 124 can be seated and fixed.

보조부재(14)는 한 쌍의 지그 플레이트(12) 사이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사이에 복수의 전지 셀(11)이 적층되어 있는 한 쌍의 지그 플레이트(12)를 고정시키며, 전지 셀(11)과 접하여 방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One or more auxiliary members 14 are installed between a pair of jig plates 12 to fix a pair of jig plates 12 wit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stacked therebetween, and the battery cells ( 11) It can exhibit a heat dissipation effect by contacting it.

이를 위해, 보조부재(14)는 유연성이 있되 방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auxiliary member 14 may be formed of aluminum, etc., which is flexible and can exhibit a heat dissipation effect.

또한 보조부재(14)는 바 형상으로 형성된 보조부재몸체(140) 및 보조부재몸체(140)의 일단에 형성되어 보조부재설치홀(124)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부재고정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member 14 may include an auxiliary member body 140 formed in a bar shape and a member fixing part 141 formed at one end of the auxiliary member body 140 to prevent the auxiliary member from being removed from the installation hole 124. there is.

부재고정부(14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부재설치홀(124)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보조부재설치홀(124) 보다 크게 형성되어, 보조부재(14)를 보조부재설치홀(124)에 통과시킬 시 부재고정부(141)에 의해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일단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member fixing part 141 is formed larger than the auxiliary member installation hole 124 to prevent it from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member installation hole 124, so that the auxiliary member 14 can b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member installation hole 124. When passing, the position of a group can be fixed by the member fixing part 141 without moving any further.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보조부재(14)의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Referring to FIGS. 10A to 10C,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member 1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10a는 보조부재(14)가 지그 플레이트(12)에 설치되기 전 상태이다.First, Figure 10a is a state before the auxiliary member 14 is installed on the jig plate 12.

도 10b는 후측의 지그 플레이트(12)에 보조부재몸체(140)를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삽입한 상태로, 도 9와 같이 부재고정부(141)가 보조부재설치홀(124)을 통과하지 못하고 고정될 수 있다.Figure 10b shows the auxiliary member body 140 inserted into the rear jig plate 12 from the rear to the front, and as shown in Figure 9, the member fixing part 141 does not pass through the auxiliary member installation hole 124 and is fixed. It can be.

마지막으로, 도 10c과 같이 유연성을 가지는 보조부재(14)는 보조부재설치홀(124)을 통과한 후 타단 측을 지그 플레이트(12)에 맞춰 상측으로 굴곡시켜 보조부재고정홈(125)에 안착 시킴에 따라 고정될 수 있다. 이에 한 쌍의 지그 플레이트(12)를 연결시키며 고정시킬 수 있다.Finally, as shown in Figure 10c, the flexible auxiliary member 14 passes through the auxiliary member installation hole 124 and then bends the other end upward in line with the jig plate 12 to settle in the auxiliary member fixing groove 125. It can be fixed according to . Accordingly, a pair of jig plates 12 can be connected and fixed.

이때, 보조부재(14)를 보조부재안착홈(124a)에 먼저 안착시키고 보조부재(14)를 굴곡시켜 보조부재고정홈(125)에 고정시킴으로써, 보조부재(14)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member 14 is first seated in the auxiliary member seating groove 124a, and the auxiliary member 14 is bent and fixed in the auxiliary member fixing groove 125, thereby preventing the auxiliary member 14 from shaking and increasing the fixing force. It can be improved further.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보조부재(14)를 설치함에 따라 스택(10)의 결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전지 셀(11)을 효과적을 냉각시킬 수 있다.By installing one or more auxiliary members 14 in this way, the coupling of the stack 10 can be improved and the battery cell 11 can be cooled effectively.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스택(10)은 정렬보조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 and 12 , the stack 10 may further include an alignment assistant 15.

정렬보조부(15)는 한 쌍의 지그 플레이트(12)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의 전지 셀(11)을 정렬시킬 수 있다.The alignment auxiliary unit 15 is installed between a pair of jig plates 12 to alig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구체적으로, 정렬보조부(15)는 이동홀(150) 및 정렬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lignment auxiliary unit 15 may include a moving hole 150 and an alignment unit 151.

이동홀(150)은 지그 플레이트(12)에 전후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각 둘레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정렬부(151)가 이동홀(1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복수의 전지 셀(11)의 면을 정렬시킬 수 있다.The moving hole 150 is formed to penetrate the jig plate 12 from the front and back, and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along each peripheral surface. Accordingly, the alignment unit 151 can move along the moving hole 150, thereby aligning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정렬부(151)는 한 쌍의 지그 플레이트(12)의 이동홀(150)에 설치되어, 전지 셀(11)과 접하면서 이동홀(150)을 따라 이동하여 복수의 전지 셀(11)을 정렬시킬 수 있다.The alignment unit 151 is installed in the moving hole 150 of a pair of jig plates 12 and moves along the moving hole 150 whil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attery cells 11 to alig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You can do it.

이러한 정렬부(151)는 이동바(151a), 정렬판(151b) 및 탄성부재(151c)를 포함할 수 있다.This alignment unit 151 may include a moving bar 151a, an alignment plate 151b, and an elastic member 151c.

이동바(151a)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지그 플레이트(12)에서 대칭되는 이동홀(150)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삽입되어 이동홀(15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movable bar 151a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symmetrical movable hole 150 in a pair of jig plates 12, so that it can move along the movable hole 150.

정렬판(151b)은 정후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전지 셀(11)과 접하여 정렬시킬 수 있다.The alignment plate 151b is formed in a plate shape with a length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and can be aligned in contact with the battery cell 11.

탄성부재(151c)는 이동바(151a)와 정렬판(151b) 사이에 형성되어, 정렬판(151b)에 탄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정렬판(151b)이 전지 셀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The elastic member 151c is formed between the moving bar 151a and the alignment plate 151b, and provides elasticity to the alignment plate 151b, allowing the alignment plate 151b to apply pressure to the battery cell.

이와 같이 구성된 정렬보조부(15)를 통해 복수의 전지 셀(11)을 보다 가지런히 정렬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can be aligned more neatly through the alignment auxiliary unit 15 configured in this way.

도 1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의 제2 프레임이 제3 프레임부에 결합되기 전 모습을 나타낸 투영사시도이며, 도 1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의 제2 프레임이 결합돌기에 의해 제3 프레임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투영사시도이다.FIG. 13A is a project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frame of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being coupled to the third frame portion, and FIG. 13B is the fuel ce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roject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frame of the stack assembly coupled to the third frame portion by a coupling protrusion.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1)의 제2 프레임(51)은 결합돌기(511)를 포함하고, 제3 프레임부(60)의 상하면프레임(61), 측면프레임(62)은 결합홀(610,620)을 포함할 수 있다.13A and 13B, the second frame 51 of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511, and the third frame portion 60 The upper and lower frames 61 and side frames 62 may include coupling holes 610 and 620.

여기서, 제2 프레임(51)의 볼트홈 대신에 결합돌기(511)가 형성되고, 상하면프레임(61), 측면프레임(62)에 결합홀(610,620)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Here, a coupling protrusion 511 is formed in place of the bolt groove of the second frame 51, and coupling holes 610 and 620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frames 61 and the side frames 62, respectively.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be sai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따라서, 결합돌기(511) 및 결합홀(610,620)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only the coupling protrusion 511 and the coupling holes 610 and 6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결합돌기(511)는 제2 프레임(51)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어, 제3 프레임부(60)와의 결합을 위해 제2 프레임(51)이 내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제3 프레임부(60)의 결합홀(610,62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s 511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frame 51, and as the second frame 51 is pressed inward for coupling with the third frame part 60, the third frame part 60 ) can b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coupling holes (610,620).

이러한 결합돌기(511)는 제2 프레임(51)의 둘레를 따라 각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se coupling protrusions 511 is formed on each sid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frame 51, and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y are formed to slope downward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이에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51)을 가압하는 것만으로 제3 프레임부(60)와 제2 프레임(51)을 결합시킬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13A and 13B, the third frame portion 60 and the second frame 51 can be coupled simply by pressing the second frame 51, thereby improving assembly efficiency. .

결합홀(610,620)은 상하면프레임(61), 측면프레임(62) 전측에 형성되어, 결합돌기(511)가 삽입될 수 있다.The coupling holes 610 and 620 are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61 and the side frames 62,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s 511 can be inserted.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는 다수의 스프링을 활용하여 PEMFC 등 연료전지의 조립압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분리판의 고분자이온교환막의 접촉면적이 유지되도록 하며 엔드 플레이트의 유체 유출 방지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plurality of springs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assembly pressure of a fuel cell such as a PEMFC,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of the polymer ion exchange membrane of the separator plat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luid leak prevention performance of the end plate continuously.

이에 따라 스택의 내구성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전력생산이 오래 유지되도록 하여 출력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urability of the stack can be increased, and power production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to ensure output stability.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를 제1 및 제2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성 및 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눠 설명한 것으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구성은 설계 변경하여 서로 적용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but this is explained by dividing the embodiment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ease of understanding, and the fuel cell stack assembly is limited to each embodiment. This is not the case, and the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each other by changing the design.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are not restrictive.

1: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
10: 스택
11: 전지 셀
110: 관통홀
12: 지그 플레이트
120: 봉홀
121: 공기출입홀
122: 연료출입홀
123: 냉각수출입홀
124: 보조부재설치홀
124a: 보조부재안착홈
125: 보조부재고정홈
126: 적층홈
13: 지지봉
14: 보조부재
140: 보조부재몸체
141: 부재고정부
15: 정렬보조부
150: 이동홀
151: 정렬부
151a: 이동바
151b: 정렬판
151c: 탄성부재
20a, 20b: 전극 플레이트
30a, 30b: 전극리드
40: 제1 프레임부
41: 제1 프레임
42: 제1 엔드 플레이트
50: 제2 프레임부
51: 제2 프레임
510: 스프링홈
511: 결합돌기
52: 제2 엔드 플레이트
53: 가압 플레이트
530: 스프링홈
54: 스프링
60: 제3 프레임부
61: 상하면프레임
610: 결합홀
62: 측면프레임
620: 결합홀
1: Fuel cell stack assembly
10: stack
11: battery cell
110: Through hole
12: Jig plate
120: Bonhol
121: Air entrance hole
122: Fuel access hole
123: Cooling water entry/exit hole
124: Auxiliary member installation hole
124a: Auxiliary member seating groove
125: Auxiliary member fixing groove
126: Laminated groove
13: support rod
14: Auxiliary member
140: Auxiliary member body
141: Member fixing unit
15: Alignment auxiliary unit
150: Mobile Hall
151: Alignment unit
151a: moving bar
151b: alignment plate
151c: Elastic member
20a, 20b: electrode plate
30a, 30b: Electrode lead
40: first frame part
41: first frame
42: first end plate
50: second frame part
51: second frame
510: Spring Home
511: Combined protrusion
52: second end plate
53: Pressure plate
530: Spring Home
54: spring
60: Third frame part
61: Upper and lower frames
610: coupling hole
62: Side frame
620: coupling hole

Claims (1)

스택(stack);
상기 스택의 전후면에 각각 부착되어 전류를 전달하는 전극 플레이트;
상기 전극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리드;
상기 스택의 후면측으로 상기 전극 플레이트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 프레임부;
상기 스택의 전면측으로 상기 전극 플레이트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설치되되,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스택을 가압하는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의 이격 간격을 고정시키는 제3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택은,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적층되는 복수의 전지 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지 셀 전후 양편에 배치되되, 일면에 상기 전지 셀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적층홈 및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봉홀을 포함하는 한 쌍의 지그 플레이트;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봉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그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지지봉을 포함하고,
상기 스택은,
상기 한 쌍의 지그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의 전지 셀을 정렬시키는 정렬보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렬보조부는,
상기 지그 플레이트에 전후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각 둘레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이동홀 및
상기 한 쌍의 지그 플레이트의 이동홀에 설치되어, 상기 전지 셀과 접하면서 상기 이동홀을 따라 이동하여 복수의 전지 셀을 정렬시키는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부는,
상기 이동홀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홀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바;
상기 전지 셀과 접하여 정렬시키는 정렬판 및
상기 이동바와 정렬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정렬판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조립체.
stack;
Electrode plates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stack to transmit current;
an electrode lead connected to the electrode plate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first frame portion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stack and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plate;
A second frame part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stack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plate and provided with a spring to press the stack, and
It includes a third frame part that fixe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 parts,
The stack is,
A pair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 pair of jig plate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disposed on both sides before and after the battery cells, including a stack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to seat the battery cells and a rod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It includes a support rod that penetrates the through hole, is inserted into the rod hole, and is installed on the jig plate,
The stack is,
It further includes an alignment auxiliary unit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jig plates to alig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e alignment auxiliary unit,
A moving hole is formed to penetrate the jig plate from the front and back, and has a length along each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alignment unit installed in the moving hole of the pair of jig plates and moving along the moving hole while contacting the battery cells to align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e sorting unit,
a moving bar inserted into the moving hole and moving along the moving hole;
An alignment plate that is in contact with and aligns the battery cells, and
A fuel cell stack assembly including an elastic member formed between the moving bar and the alignment plate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alignment plate.
KR1020220148537A 2022-03-04 2022-11-09 Fuel cell stack assembly in which the contact area of the polymeric ion exchange membrane of the seperator is maintained KR202301310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537A KR20230131093A (en) 2022-03-04 2022-11-09 Fuel cell stack assembly in which the contact area of the polymeric ion exchange membrane of the seperator is maintain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199A KR102470688B1 (en) 2022-03-04 2022-03-04 Fuel cell stack assembly
KR1020220148537A KR20230131093A (en) 2022-03-04 2022-11-09 Fuel cell stack assembly in which the contact area of the polymeric ion exchange membrane of the seperator is maintaine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199A Division KR102470688B1 (en) 2022-03-04 2022-03-04 Fuel cell stack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093A true KR20230131093A (en) 2023-09-12

Family

ID=84237468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199A KR102470688B1 (en) 2022-03-04 2022-03-04 Fuel cell stack assembly
KR1020220148534A KR20230131090A (en) 2022-03-04 2022-11-09 Fuel cell stack assembly that maintains the fluid leakage prevention performance of the gasket
KR1020220148536A KR20230131092A (en) 2022-03-04 2022-11-09 Fuel cell stack assembly that continuously maintains the fluid leakage prevention performance of the end plate
KR1020220148533A KR20230131089A (en) 2022-03-04 2022-11-09 Fuel cell stack assembly that continuously maintains the fitting pressure of the fuel cell
KR1020220148538A KR20230131094A (en) 2022-03-04 2022-11-09 Fuel cell stack assembly capable of improving stack durability
KR1020220148531A KR20230131087A (en) 2022-03-04 2022-11-09 Fuel cell stack assembly with continuously maintaining fitting pressure
KR1020220148532A KR20230131088A (en) 2022-03-04 2022-11-09 Fuel cell stack assembly using spring
KR1020220148535A KR20230131091A (en) 2022-03-04 2022-11-09 Fuel cell stack assembly with output stability
KR1020220148537A KR20230131093A (en) 2022-03-04 2022-11-09 Fuel cell stack assembly in which the contact area of the polymeric ion exchange membrane of the seperator is maintained

Family Applications Before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199A KR102470688B1 (en) 2022-03-04 2022-03-04 Fuel cell stack assembly
KR1020220148534A KR20230131090A (en) 2022-03-04 2022-11-09 Fuel cell stack assembly that maintains the fluid leakage prevention performance of the gasket
KR1020220148536A KR20230131092A (en) 2022-03-04 2022-11-09 Fuel cell stack assembly that continuously maintains the fluid leakage prevention performance of the end plate
KR1020220148533A KR20230131089A (en) 2022-03-04 2022-11-09 Fuel cell stack assembly that continuously maintains the fitting pressure of the fuel cell
KR1020220148538A KR20230131094A (en) 2022-03-04 2022-11-09 Fuel cell stack assembly capable of improving stack durability
KR1020220148531A KR20230131087A (en) 2022-03-04 2022-11-09 Fuel cell stack assembly with continuously maintaining fitting pressure
KR1020220148532A KR20230131088A (en) 2022-03-04 2022-11-09 Fuel cell stack assembly using spring
KR1020220148535A KR20230131091A (en) 2022-03-04 2022-11-09 Fuel cell stack assembly with output st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9) KR10247068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285B1 (en) 2004-05-25 2006-09-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tack for fuel cell and fuel cel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7865A (en) * 2006-03-20 2007-10-04 Aisin Seiki Co Ltd Fuel cell stack device
KR101155926B1 (en) * 2010-06-10 2012-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uel cell stack and exchange device of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JP2019139917A (en) * 2018-02-08 2019-08-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Solid polymer type fuel cell stack
KR20210111487A (en) * 2020-03-03 2021-09-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uel cel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285B1 (en) 2004-05-25 2006-09-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tack for fuel cell and fuel cel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091A (en) 2023-09-12
KR20230131089A (en) 2023-09-12
KR102470688B1 (en) 2022-11-25
KR20230131092A (en) 2023-09-12
KR20230131094A (en) 2023-09-12
KR20230131090A (en) 2023-09-12
KR20230131087A (en) 2023-09-12
KR20230131088A (en)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9482B2 (en) Stack of generators and fuel cell system having the same
US7759014B2 (en) Fuel cell having a seal member
US20050186464A1 (en) Fuel cell
CN109728322B (en) Cell frame for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JP3913573B2 (en) Fuel cell
JP2010027476A (en) Fuel cell stack and fuel cell using the same
KR20070073340A (en) Flat type fuel cell assembly having housing
JP5125022B2 (en) Fuel cell
JP2005317311A (en) Fuel cell stack
JP5077358B2 (en) Fuel cell stack and fuel cell system using the same
JP5109570B2 (en) Fuel cell stack
JP2013161550A (en) Fuel cell stack
JP2008059875A (en) Fuel cell stack
US11791491B2 (en) Fuel cell
KR20230131093A (en) Fuel cell stack assembly in which the contact area of the polymeric ion exchange membrane of the seperator is maintained
US10804545B2 (en) Fuel cell
KR20080104566A (en) Stack for fuel cell
KR102470689B1 (en) Fuel cell stack with improved fixing power
JP2008186736A (en) Fuel cell stack
KR20200086531A (en) Fuel cell stack
KR20240079944A (en) Gasket assembly of fuel cell stack
CN115692810A (en) Fuel cell stack and fuel cell system having the same
KR20060040303A (en) Fuel cell system and stack of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