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034A - 약품보관용 진공용기 - Google Patents

약품보관용 진공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034A
KR20230131034A KR1020220028408A KR20220028408A KR20230131034A KR 20230131034 A KR20230131034 A KR 20230131034A KR 1020220028408 A KR1020220028408 A KR 1020220028408A KR 20220028408 A KR20220028408 A KR 20220028408A KR 20230131034 A KR20230131034 A KR 20230131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ontainer
control unit
storage spa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회정
김태성
김갑윤
Original Assignee
메타프레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타프레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타프레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8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1034A/ko
Publication of KR20230131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03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9Ampo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provided with transient audible or visual signaling means, e.g. for indicating dispensing, or other illuminating or acoustic devices, e.g. whis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1/00Vacuum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5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edicinal tablets or 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약품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용기를 포함한 약품보관용 진공용기로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형성 조립체를 포함하는 기구부;
상기 기구부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기구커버부;
상기 기구부 또는 상기 커버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산소센서로부터 상기 진공용기의 진공상태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외부에 송신하거나 수신받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소센서에 의해 측정된 산소농도가 일정 값 이상이 되는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동된 단말기에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약품보관용 진공용기 {Vacuum storage container for medicin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약품보관용 진공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품을 진공상태에서 보관하는 약품보관용 진공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관물을 신선한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저장용기는 산화를 막아 부패나 변질을 방지하고,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밀폐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데, 보관물을 더욱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보관할 수 있는 용기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예를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0218호(2016. 10. 24. 등록)에는 식품용기용 에어 펌핑장치가 개지되어 있으며, 펌프를 수동으로 피스톤 운동시켜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진공을 형성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한다. 이와같이 종래의 보관 용기는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을 형성하기 위해 수동식 감압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보관물은 주로 음식물이나 사료, 야채 등으로서, 약품에 관하여는 특화된 진공보관용기는 개발된 적이 없다. 약품은 일정기간을 두고 일정 주기로 복용해야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특화한 약품보관용 진공용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0218호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약품보관용 진공용기는 약품을 보관하는 용기에 적합하고, 약품 복용상태를 실시간으로 기록하거나 타인에게 전달할 수 있는 약품보관용 진공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약품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용기를 포함한 약품보관용 진공용기로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형성 조립체를 포함하는 기구부;
상기 기구부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기구커버부;
상기 기구부 또는 상기 커버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진공센서로부터 상기 진공용기의 진공상태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외부에 송신하거나 수신받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센서에 의해 측정된 진공도가 정해진 일정 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동된 단말기에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구부는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형성 조립체,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진공형성 조립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압력센서,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진공도를 측정하는 진공센서, 및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형성 조립체의 동작정보,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정보, 상기 배터리의 전력정보, 및 상기 산소센서의 산소정보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용기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을 밀폐시키고,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진공도를 측정하는 진공센서, 및 상기 진공용기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력정보, 또는 상기 진공센서의 진공도를 수집 및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진공센서는 산소센서이고,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반투과성 분리막과, 상기 분리막에 의해 분리된 영역에 구비되는 전해액, 및 상기 전해액에 접촉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산소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산소센서는 장경 또는 장축의 길이가 30mm 이내이고, 중량이 6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진공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진공센서는 진공이 해제된 상태의 진공도에 대한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진공도가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높아진 경우 사용자가 약품을 복용했다는 복용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진공용기는 알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정해진 시간에 알람을 설정하여 상기 알람기에서 알람을 울리게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약품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용기를 포함한 약품보관용 진공용기 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형성 조립체를 포함하는 기구부;
상기 기구부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기구커버부;
상기 기구부 또는 상기 기구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진공센서로부터 상기 진공용기의 진공도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외부에 송신하거나 수신받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진공용기; 및
상기 통신부을 통해서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진공용기를 제어하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센서에 의해 측정된 진공도가 정해진 일정 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동된 단말기에 복용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여부에 대한 알람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품보관용 진공용기는 내부의 산소의 농도를 파악하여 약품보관용 진공용기의 진공커버를 개방했는 지를 파악하여 약품의 복용여부를 파악하는 효과가 있다.
약품의 복용여부를 실시간으로 복용자 또는 보호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복용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내부에 구비된 알람기에 따라 알람을 울림으로써 복용자가 정해진 시간에 복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보관용 진공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커버가 제거된 약품보관용 진공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보관 진공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탄성잠금캡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노브부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가 잠겼을 때와 개방되었을 때의 공기경로를 표시하는 동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기구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제어부의 개념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 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위에/아래에" 또는 "상에/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위에/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부에 저장공간이 구비되고, 상측이 개구된 용기 및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진공커버를 포함하는 약품보관용 진공용기를 개시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약품보관용 진공용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품보관용 진공용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기구부 및 커버부를 제거한 상태의 약품보관용 진공용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약품보관용 진공용기의 용기 및 진공커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용기(1)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구비되어 저장하고자 하는 약품이 저장되는 구성요소로서, 그 형태나 크기는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태 또는 상부가 개구된 원뿔대 형태인 것이 좋고,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진공커버(2)는 용기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되며 용기 내부 저장공간을 밀폐시킴으로써, 저장공간에 배치된 약품을 외부와 분리, 차단시킨다.
진공커버(2)는 커버부(3), 기구부(4) 및 기구커버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커버부(3), 기구부(4) 및 기구커버부(5)는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결합되어 진공커버(2)를 이룬다.
커버부(3)는 용기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진공커버와 용기 상부를 밀폐시킴으로써 내부 저장공간을 외부와 분리하는 역할을 하고, 후술할 기구부(4)와 내부공간 사이의 공간이 연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 구비되는 관통홀(31)을 포함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커버부는 기구부(4)나 기구커버부(5)가 제거되더라도 용기내부의 진공을 독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진공제어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진공제어노브는 홀의 하부에서 결합하는 탄성잠금캡(130)과 관통홀(31)의 상부에서 탄성잠금캡(130)과 결합하고 관통홀을 밀봉하는 제1고무실러(143)를 포함하는 노브부(140)를 포함한다.
이 때, 노브부(140) 상단에 진공펌브를 포함하는 기구부(4)를 장착할 경우 보관용기내부로부터 스크류너트(131)와 필라볼트(142) 안쪽으로 통과하여 공기를 외부로 유출할 수 있는 공기유출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노브부(140)를 움직여 스크류너트 외부와 탄성잠금캡(130) 내의 가장자리로 공기유입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탄성잠금캡(130)은 스크류너트 홀더(132)와, 스크류너트(131) 및, 용수철을 포함한다. 스크류너트 홀더(132)는 관통홀(39)과 연통되는 개구부(137)와 개구부 (137)주변을 따라 용기방향으로 입설된 끼움둑(138), 끼움둑(138)의 외측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139)을 구비한 제1받침부(136)와 가이드홈(139)의 외측을 따라 입설된 지지벽(1361)을 포함한다.
스크류너트(131)는 지지벽(1361) 내부면을 따라 장착되며, 가이드홈(139)을 통과하는 서로 이격되게 용기 상부방향으로 입설된 복수의 슬라이드 가이드(134)와, 슬라이드 가이드(134)가 구비되는 받침이 되며 관통하는 공기유출홀(1343)이 구비된 제2받침부(1341)와 제2받침부(1341)에서 용기 상부 방향으로 입설되어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1342)를 포함한다.
용수철(133)은 끼움둑(138)의 외주를 따라 끼워져 스크류너트 홀더(132)와 상기 스크류너트(131) 사이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이 때, 슬라이드 가이드(134)는 가이드홈(139)에 결합되어 스크류너트 홀더(132)와 스크류너트(131)가 결합하며, 노브부를 움직임으로써 공기유입경로가 상기 스크류너트 외부와 끼움둑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노브부(140)는 필라볼트(142)와 노브몸체(145)를 포함한다.
필라볼트(142)는 외면에 나사산을 가져 스크류너트(131)의 내면의 나사산과 결합하는 나사산부(1421), 상기 나사산부로부터 연장되는 필라부(1422), 상기 나산부 (1421)및 필라부(1422) 사이의 외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2고무실러(143)를 포함한다.
노브몸체(145)는 중공체로서 필라볼트(142)를 중공에 포함하면서 서로 결합한다. 필라볼트(142)의 단부에는 진공용기 내부로부터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원웨이밸브(147)가 구비된다. 또한 원웨이밸브 상단에는 보호캡(14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진공제어노브가 구비된 커버부는 진공커버에서 기구부와 기구커버부를 제거하더라도 남아서 진공용기에서 진공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즉, 커버부의 홀 상하부에 보관용기 내부로부터 공기를 유출할 수 있는 공기유출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내부로의 공기유입경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기구부(4)는, 커버부(3)의 상부에서 커버부(3)와 나사결합되며, 진공형성 조립체(30), 스위치(10), 압력센서(34), 산소센서(35), 제어부(36) 및 통신부(37)를 포함한다. 기구부(4)는 진공커버 및 진공보관용기의 주요 작동 기능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진공의 형성, 진공의 제어 및 외부와의 통신, 제어가 모두 이루어질 수 있다.
기구부(4)는 커버부(3)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용기에 연통되는 내부공기 배출공이 내부에 형성되는 돌출부(120)가 바닥면에 연장형성된다. 돌출부(120)는 커버부의 홀에 끼워져 하부로 돌출되며, 커버부의 하부에서 돌출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나사가 돌출부(120)와 커버부(3)를 고정할 수 있다.
진공형성 조립체(30)는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모터와 펌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펌프는 다이어프램형 피스톤을 포함하는 펌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형성 조립체는 모터와, 모터축에 연결되는 캠과, 캠에 편심되게 연결된 축에 고정되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변위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다이어프램형 피스톤을 구비한다.
진공형성 조립체의 동작에 의해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내부의 공기의 압력 및 산소농도를 감지하기 위해 공기순환모듈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기순환모듈은 기구부의 바닥에 고정되어 펌프를 지지하고, 돌출부의 내부공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관형태의 제1보스(23) 및 제2보스(24)가 바닥면에 연장형성되며, 제1보스(23) 및 제2보스(24)와 연통되는 배출통로(25) 및 유입통로(26)가 내부에 형성되고, 배출통로(25) 및 유입통로(26)에 연통되는 대롱형태의 제1공기이동관(27), 제2공기이동관(28)이 포함된다.
모터의 동작에 따른 진공의 형성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모터의 축에 설치된 캠이 회전하게 되고, 캠에 편심되도록 고정된 축에 연결된 다이어프램형 피스톤이 반복적으로 상하변위되며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여기에서 축에 연결된 피스톤이 반복적으로 상하변위되는 원리 및 다이어프램형 피스톤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하는 원리에 대한 설명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였다.
발생한 흡입력은 피스톤 하부의 포트(29a) 가장자리에 형성된 2개의 구멍을 따라 일방향의 공기흐름을 형성시키고 공기순환모듈의 제1플레이트(40) 바닥에 결합된 제2플레이트(50)에 형성된 공기 통로(50a)에 이동된다.
즉, 공기통로(50a)에 이동된 흡입력이 제2플레이트(50) 바닥에 밀착된 제3플레이트(60) 상면에 형성된 공기통로(60a)에 이동됨에 따라, 공기통로(60a)와 연통되도록 제3플레이트(60) 바닥면에 돌출된 제2공기이동관(28)에 이동된다.
제2공기이동관(28)에 이동된 흡입력은 기구부의 돌출부 내측에 형성된 내부공기 배출공을 통하여 용기 내부로 전달된다.
한편, 용기 내부의 공기는 돌출부의 내부공기 배출공을 지나 공기순환모듈의 제3플레이트(60) 바닥면에 돌출형성된 제1공기이동관(27)을 통해 배출통로(25)에 이동된다.
배출통로(25)에 이동된 공기는 공기순환모듈(29)의 제1플레이트(40) 상면에 돌출형성된 제1보스(23)을 통과해 기구커버부의 공기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으며, 제1보스(23)의 말단은 실리콘이나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패킹에 의해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스위치는 진공형성 조립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기구부의 상부로 돌출되고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토글형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센서는 저장공간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진공형성 조립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압력센서의 내부공간은 공기순환모듈(29)의 제2플레이트(50)의 배출통로(35)와 연통되고 있어 용기의 내부의 압력과 압력센서의 내부공간의 압력이 같아지고, 용기의 내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압력센서(34)는 기계식과 전자식 모두가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기계식 압력센서를 개시하는데, 압력센서는 내부가 저장공간과 연통되어 저장공간의 압력과 동일한 압력을 갖고, 외부는 저장공간과 구분된 외부 기압과 동일한 압력을 가지게 되는 구조를 포함하며,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이루어져 저장공간의 압력이 일정 값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에 외부와 내부의 압력차이에 의해 내부로 함몰될 수 있다.
압력센서(34)는 함몰되거나 돌출되는 상태에 따라 상부에 구비되는 탄성편에 힘을 가할 수 있어 모터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진공이 형성되기 전에는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어 탄성편을 위로 밀어올리고 탄성편과 연결된 스위치를 작동시켜 모터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지만, 진공이 형성되어 함몰되는 경우 탄성편과 접촉하지 않아 탄성편을 밀어올리지 못하므로 스위치가 떨어져 회로를 차단하므로 모터의 동작이 멈추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산소센서(35)는 저장공간 내부의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저장된 약품이나 산화를 일으키는 산소 농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진공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산소센서는 직접적으로 설명한 산소의 농도를 센싱하는 것뿐만 아니라 진공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진공센서의 일예이다. 예를 들어 진공센서는 공기중의 질소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산소센서(35)는 기구부(4)의 내부공기 배출공을 통하여 유동되는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를 받아 저장공간 내부의 산소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소센서(35)가 공기순환모듈(29)에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공기순환모듈(29)로부터 공기를 받아 산소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제2플레이트(50)에 구비된 배출통로(35)는 공기순환모듈(29)의 외부와 연통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홀을 통해 배출통로(35)의 공기가 산소센서(35)에 공급되어 용기 내부 공기의 산소농도가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산소센서(35)는 외부 공기와 용기 내부공기를 분리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외부와 분리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센서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7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산소감지부(35-1)는 센서커버 내에 구비되어 용기 내부에서 공급된 공기를 공급받아 산소농도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센서(35)는 기구부에 배치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전원 공급 및 신호처리를 위해 배터리 및 인쇄회로기판(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소센서는 기구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도록 크기가 작은 센서가 사용되는 것이 좋으며, 예를들어 장축의 길이 또는 장경이 30mm 이내인 크기를 가지고, 중량이 6g 이하인 센서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센서가 너무 크거나 무거운 경우 기구부에 센서를 장착하기 어려워지고, 전체적인 용기의 휴대성이나 용량을 조절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센서(35)의 산소감지부(35-1)는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먼지필터, 분리막,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은 고순도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양극 및 음극으로 이루어지고, 전극을 둘러싸도록 전해액이 구비되고, 전해액이 새지 않도록 감싸는 반투과성, 방수성의 분리막이 포함된다. 분리막과 전극은 산소감지부의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며, 하우징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개구부에는 먼지필터가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받아들여 분리막에 접촉될 수 있게한다.
유입되는 공기는 먼지필터를 통해 이물질이 필터링된후, 분리막을 통하여 내부의 전해액실 침투하여 용해될 수 있으며, 양극에서 용해된 산소와 반응을 일으켜 전해액에 침투된 산소의 농도에 비례한 전류를 발생시키게 되어, 산소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전극은 납을 포함하지 않는 무연(Lead-free)소재의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순도 99.99% 이상의 순금, 다공성 카본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산소센서(35)는 600 mbar ~ 1200 mbar 의 압력범위에서 산소의 농도를 측정가능한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며, 0 내지 25 vol% 의 산소를 측정 가능한 센서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제어부(36)는 진공형성 조립체(30)의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 산소센서(35), 압력센서(34)에서 감지된 정보, 배터리(미도시) 정보에 관한 신호를 전달받아 수집하고 제어,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36)는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의 연결상태나 탄성편에 연결된 스위치의 상태를 전달받아 처리하여 진공형성 조립체(30)의 동작상태정보를 알 수 있으며, 압력센서(34) 또는 산소센서(35)등에서 발생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배터리의 전압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고, 보관될 약품의 유통기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부(36)는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회로기판은 인쇄회로기판(PCB)인 것이 좋으며, 진공형성 조립체 및 산소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거나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처리할 수 있고, 압력센서가 전자식 센서인 경우 압력센서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제어부(36)는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42)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설치된 알람기에 알람이 울리게 하거나, 통신부를 통해 외부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보관용기의 제어부(36)는 산소센서에 의해 측정된 산소농도가 일정 값 이상이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또는 통신부를 통해 연동된 사용자의 단말기에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진공커버를 제거하거나 커버부를 제거하여 보관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면 산소센서(35)는 진공이 해제된 상태의 산소 농도에 대한 신호를 발신하고 제어부는 산소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산소농도가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높아진 경우 사용자가 약품을 복용했다는 복용신호를 통신부를 통해서 사용자의 단말기에 송신하거나 디스플레이상에 사용자가 약품을 복용하였다는 복용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는 진공형성 조립체가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여 동작하고, 산소센서에 의해 측정된 산소농도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진공형성 조립체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통신부(37)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약품보관용 진공용기에 알람기가 구비될 경우 제어부는 진공여부에 관계없이 정해진 시간에 알람을 설정하여 알람을 울리게 하거나 약품보관용 진공용기의 개폐여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일정이상으로 산소농도가 높아진 것으로 사용자가 약품을 복용한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는 입력된 약품의 유통 만료기간이 다가오면 설정된 약품 판매자에게 추가 구입 주문을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술한 약품보관용 진공용기는 무선단말기에 설치되는 진공보관용기 제어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즉 복용자나 보호자의 무선단말기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약품보관용 진공용기에 구비된 알람기의 알람시간을 조정하거나, 사용자가 약품을 복용하였는 지 여부에 대한 알람을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약품판매자를 설정하고, 약품의 유통만료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통신부(37)는 제어부(36)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에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통신부는 외부와 블루투스 또는 무선통신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에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구부(4)에는 진공펌프 및 산소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배터리가 내부에 포함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배터리가 기구부에 구비되는 경우 배터리결합칸에 배터리가 장착되어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결합칸에는 배터리의 양극 및 음극과 접촉되는 금속편이 구비되어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한쌍의 금속편은 도선에 의해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은 기구커버부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기구커버부의 외부에 구비되는 케이블 연결 단자와 연결되어 외부의 케이블을 통해 전원이나 데이터를 공급받거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한다.
기구커버부(5)는 기구부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진공보관용기의 외관을 구성하고, 기구부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기구부가 파손되지 않도록 기구부를 덮는다. 기구커버부(5)는 또한 산소농도 또는 진공형성 조립체의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하는 디스플레이(42)를 포함하고, 외부 공기를 저장공간에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구커버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며, 손잡이를 사용해 사용자가 진공커버를 휴대하기 쉽다.
한편, 진공커버를 사용하지 않고 용기내부의 진공을 진공제어노브를 사용하여진공으로 유지하면서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기구부에 포함되는 산소센서, 알람기, 제어부, 통신부, 산소센서, 디스플레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는 커버부에 추가 또는 별도로 포함될 수 있다.
이는 기구부와 기구커버부를 제거하여 진공제어노브를 설치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기구부에 포함되는 산소센서, 알람기, 제어부, 통신부, 산소센서, 디스플레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약품보관용 진공용기에 존재하지 않아 외부단말기와 연동되지 않으므로, 추가적으로 커버부에 이들을 포함시킴으로써 기구부와 기구커버부의 부착여부에 관계없이 진공용기를 제어하고 외부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커버부에 산소센서등을 설치하는 것은 당업자가 제품의 디자인에따라 당업자가 자유로이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용기 2 : 진공커버
3 : 커버부 4 : 기구부
5 : 기구커버부 6 : 결합나사
10 : 스위치
30 : 진공형성 조립체 18 : 모터
19 : 캠 20 : 축
21 : 피스톤 23 : 제1보스
24 : 제2보스 25 : 배출통로
26 : 유입통로 27 : 제1공기이동관
28 : 제2공기이동관 29 : 공기순환모듈
34 : 압력센서 35 : 산소센서
35-1 : 산소감지부 36 : 제어부
37 : 통신부
40 : 제1플레이트 41 : 공기배출구
42 : 디스플레이 50 : 제2플레이트
51 : 회로기판 52 : 케이블연결단자
60 : 제3플레이트 101 : 함몰부
102 : 연통홀 103 : 개방홀
110 : 실리콘링 120 : 돌출부
130 : 탄성잠금캡
131 : 스크류너트
132 : 스크류너트 홀더
133 : 용수철
134 : 슬라이드 가이드
135 : 슬라이드 슬롯
136 : 제1받침부
137 : 개구부
138 : 끼움둑
139 : 가이드홈
140 : 노브부
142: 필라볼트
143 : 제1고무실러
144 : 제2고무실러
145 : 노브몸체
147 : 원웨이밸브
149 : 보호캡
151 : 벤트홀

Claims (8)

  1. 내부에 약품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용기를 포함한 약품보관용 진공용기로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형성 조립체를 포함하는 기구부;
    상기 기구부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기구커버부;
    상기 기구부 또는 상기 커버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진공센서로부터 상기 진공용기의 진공상태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외부에 송신하거나 수신받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센서에 의해 측정된 진공도가 정해진 일정 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동된 단말기에 신호를 송신하는 약품보관용 진공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는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형성 조립체,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진공형성 조립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압력센서,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진공도를 측정하는 진공센서, 및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형성 조립체의 동작정보, 상기 압력센서의 압력정보, 상기 배터리의 전력정보, 및 상기 산소센서의 산소정보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는 약품보관용 진공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용기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을 밀폐시키고,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진공도를 측정하는 진공센서, 및 상기 진공용기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력정보, 또는 상기 진공센서의 진공도를 수집 및 처리하는 약품 보관용 진공용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센서는 산소센서이고,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반투과성 분리막과, 상기 분리막에 의해 분리된 영역에 구비되는 전해액, 및 상기 전해액에 접촉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산소감지부를 포함하는 약품보관용 진공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센서는 장경 또는 장축의 길이가 30mm 이내이고, 중량이 6g 이하인 약품보관용 진공용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진공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진공센서는 진공이 해제된 상태의 진공도에 대한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진공도가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높아진 경우 사용자가 약품을 복용했다는 복용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약품보관용 진공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용기는 알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정해진 시간에 알람을 설정하여 상기 알람기에서 알람을 울리게 하는 약품보관용 진공용기.
  8. 내부에 약품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용기를 포함한 약품보관용 진공용기 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을 밀폐시키는 커버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형성 조립체를 포함하는 기구부;
    상기 기구부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기구커버부;
    상기 기구부 또는 상기 기구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진공센서로부터 상기 진공용기의 진공도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외부에 송신하거나 수신받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진공용기; 및
    상기 통신부을 통해서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진공용기를 제어하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센서에 의해 측정된 진공도가 정해진 일정 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동된 단말기에 복용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여부에 대한 알람을 수신할 수 있는 약품보관용 진공용기 관리시스템.
KR1020220028408A 2022-03-04 2022-03-04 약품보관용 진공용기 KR20230131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408A KR20230131034A (ko) 2022-03-04 2022-03-04 약품보관용 진공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408A KR20230131034A (ko) 2022-03-04 2022-03-04 약품보관용 진공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034A true KR20230131034A (ko) 2023-09-12

Family

ID=8801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408A KR20230131034A (ko) 2022-03-04 2022-03-04 약품보관용 진공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103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218B1 (ko) 2015-10-30 2016-11-09 임상만 식품용기용 에어 펌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218B1 (ko) 2015-10-30 2016-11-09 임상만 식품용기용 에어 펌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0430B2 (en) Vented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US5192272A (en) Pack for administration of sterile liquids including pharmaceutical, nutrient and energy-source liquids
CA1331873C (en) Liquid separator
US9149939B2 (en) Disposable isolator comprising means for filling containers
CN213308831U (zh) 一种饮水量感应的智能水杯
SG146415A1 (en) Liquid container having detection device
WO2004051243A3 (en) Compact opto-fluidic chemical sensor
IE70750B1 (en) Liquid delivery device
CN113710343B (zh) 液体供应设备
KR20230131034A (ko) 약품보관용 진공용기
WO2010147325A2 (ko) 기밀도 시험기
KR20230131033A (ko) 진공보관용기용 노브
GB2560085A (en) A housing for an intravenous drip apparatus
EP3012625B1 (en) Galvanic cell type oxygen sensor
KR20220144751A (ko) 진공 보관 용기
CN209884764U (zh) 人脸识别智能药盒
CN212538444U (zh) 用于冰箱的杀菌模块、冰箱
CN207804711U (zh) 输液仪
IL304030A (en) Modular sensor configurations and its applications
WO2019066465A1 (ko) 작은 입자 약제 소진 알림 장치
KR20220021285A (ko) 수액 공급 보조 장치
JP3211034U (ja) 体液量検知装置
EP3474916B1 (en) Body drainage apparatus
CN219257992U (zh) 容纳装置
JPH09503187A (ja) 複数回投与可能なカートリッジから液体を分配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