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016A - Barge using buoyancy assembly - Google Patents

Barge using buoyancy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016A
KR20230131016A KR1020220028352A KR20220028352A KR20230131016A KR 20230131016 A KR20230131016 A KR 20230131016A KR 1020220028352 A KR1020220028352 A KR 1020220028352A KR 20220028352 A KR20220028352 A KR 20220028352A KR 20230131016 A KR20230131016 A KR 20230131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hole
drain hole
inflow prevention
b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3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승준
Original Assignee
조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승준 filed Critical 조승준
Priority to KR1020220028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1016A/en
Publication of KR20230131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0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부력이 유지되어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을 지속할 수 있는 부력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은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커버와, 상기 수용공간을 점유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배치되며 내부에 부력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부력체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부력조립체와; 상기 부력조립체들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부력조립체들에 설치되는 프레임과;상기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갑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갑판부는 상기 프레임상에 설치되며 물이 배수될 수 있는 배수공이 형성된 갑판플레이트와, 상기 갑판플레이트 상의 물이 배수되는 것은 허용하고 하방에서 상기 갑판플레이트 상으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수공에 설치되는 유입방지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ge using a buoyancy assembly, and more specifically, the structure is simple, so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and buoyancy is maintained so that the development of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s can be continued. It is about a buoyancy assemb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barge using a buoyanc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with 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on the inside and an open top, a cover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o seal the accommodating space, and the accommodating body. a plurality of buoyancy assemblies each including a plurality of buoyancy bodie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to occupy the space and having a buoyancy space therein; a frame installed on the buoyancy assemblies to connect the buoyancy assemblies to each other; a deck unit installed on the frame; and the deck unit is installed on the frame and has a drain hole through which water can drain. It includes a plate and an inflow prevention unit installed in the drain hole to allow water on the deck plate to drain and prevent seawater from flowing onto the deck plate from below.

Figure P1020220028352
Figure P1020220028352

Description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Barge using buoyancy assembly}Barge using buoyancy assembly}

본 발명은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부력이 유지되어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을 지속할 수 있는 부력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ge using a buoyancy assembly, and more specifically, the structure is simple, so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and buoyancy is maintained so that the development of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s can be continued. It is about a buoyancy assembly.

자연환경의 오염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수득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발전시설의 개발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지열 발전 등으로부터 소량의 전기를 수득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종래의 발전시설이 생산하던 전기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As pollu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is worsening, much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power generation facilities that can generate electricity using eco-friendly energy, and more specifically, solar power generation, wind power generation, geothermal power generation, etc.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go beyond the level of obtaining a small amount of electricity and to replace the electricity produced by conventional power generation facilities.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태양광 발전시설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데, 기존의 발전수단을 통해 수득하던 전기에너지를 상기 태양광 발전시설을 통해 보완하기 위해서는 상기 태양광 발전시설을 대규모로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넓은 평지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regard,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have been widely spread in recent years,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must be installed on a large scale in order to supplement the electric energy obtained through existing power generation means through the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flat area is needed for this.

이 태양광 발전은 타 발전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설치 및 운영이 용이하고 빠른 설치가 가능한 장점은 있으나, 발전량이 설치 면적에 비례하기 때문에 원하는 발전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설치 및 운영을 위한 부지의 확보가 필연적이다. 하지만, 입지조건에 부합하는 부지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This solar power genera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relatively easy to install and operate and can be installed quickly compared to other power generation methods. However, since the power generation amount is proportional to the installation area, securing a site for installation and operation is essential to secure the desired power generation amount. am. However, it is not easy to secure a site that meets the location conditions.

이에 발전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강, 호수, 저수지와 같은 수상과 해상에 설치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secure power generation sites, plans are being explored to install them in water and sea areas such as rivers, lakes, and reservoirs.

수상 및 해상 공간은 일부 공간만이 양식장 또는 레저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어, 육상부지에 비해 막대한 면적의 부지를 발전설비의 운영공간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Since only a portion of water and marine space is used as a fish farm or leisure space, it is expected that a vast area of land can be secured as an operating space fo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compared to land land.

통상적으로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은 일정 두께와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되, 복수의 부구를 지지대로 상호 연결하여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한 바지선에 다수의 태양광모듈을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진다.Typically,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re formed with a certain thickness and a large area, and are made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solar power modules at equal intervals on a barge that can float on the water surfac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floats with supports.

이러한 수상태양광 장치를 부유시키기 위한 부유체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04883호와 같은 부력부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9434호의 부력체가 적용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a floating body for floating such a floating solar power device, a buoyancy member such a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04883 or a buoyancy body such as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069434 may be applied.

상기의 부력부재나 부력체는 내부의 공간이 빈 구조를 가지므로 외력이 가해져 파손될 시 파손 부위를 통해 부력부재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문제가 있다.Since the above-described buoyancy member or buoyancy body has a structure with an empty internal sp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the buoyancy body is damaged, water seeps into the buoyancy member through the damaged area.

또한, 파도나 너울로 인해 해수가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측으로 유입됨으로써 태양광 발전장치가 부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may be corroded as seawater flows into the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due to waves or swell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04883호 :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용 부력체와 이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04883: Buoyancy body for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and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using the sam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9434호 : 태양전지판의 경사각 및 단위 부력체 모듈간 거리 조절이 이루어지는 수상 태양광 시스템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069434: Water solar power system that adjusts the inclination angle of solar panels and the distance between unit buoyancy modul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며,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부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에 적용하는데 적합한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It has a simple structure,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can improve watertightness, and can continuously maintain buoyancy, so it is applied to a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arge using a suitable buoyancy assembly.

또한, 본 발명은 파도나 너울로 인해 튀어오르는 해수가 유입되어 수상태양광 발전장치가 부식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rge using a buoyancy assembly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corrosion of the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due to the inflow of seawater bouncing due to waves or swells.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은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커버와, 상기 수용공간을 점유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배치되며 내부에 부력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부력체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부력조립체와; 상기 부력조립체들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부력조립체들에 설치되는 프레임과;상기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갑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갑판부는 상기 프레임상에 설치되며 물이 배수될 수 있는 배수공이 형성된 갑판플레이트와, 상기 갑판플레이트 상의 물이 배수되는 것은 허용하고 하방에서 상기 갑판플레이트 상으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수공에 설치되는 유입방지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barge using a buoyanc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with 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on the inside and an open top, a cover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o seal the accommodating space, and the accommodating body. a plurality of buoyancy assemblies each including a plurality of buoyancy bodie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to occupy the space and having a buoyancy space therein; a frame installed on the buoyancy assemblies to connect the buoyancy assemblies to each other; a deck unit installed on the frame; and the deck unit is installed on the frame and has a drain hole through which water can drain. It includes a plate and an inflow prevention unit installed in the drain hole to allow water on the deck plate to drain and prevent seawater from flowing onto the deck plate from below.

상기 유입방지부는 상기 배수공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배수공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수공보다 작은 제 1유출공을 형성하는 제 1유입방지막과, 상기 제 1유출공과 엇갈리게 배치되고 상기 배수공보다 작은 제 2유출공을 형성하도록 상기 배수공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2유입방지막을 구비한다. The inflow prevention portion includes a first inflow prevention film that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hole in a direction to block the drain hole and forms a first outflow hole smaller than the drain hole, and a second inflow prevention film disposed to alternate with the first outlet hole and smaller than the drain hole. A second inflow prevention membrane is provided that protrudes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 hole to form a hole.

상기 유입방지부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배수공의 일측과 타측의 내주면으로부터 각각 상기 배수공을 폐쇄하는 서로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갑판플레이트 상의 해수가 상기 배수공으로 유입되면 상기 배수공으로 하방에서 상기 배수공 측으로 해수가 유입 시 각 단부가 상호 맞닿아 상기 배수공을 차단하는 유입방지편들을 구비하고, 상기 유입방지편들은 각 단부에 상호 맞닿는 표면을 확장시키는 접촉판이 형성된다.The inflow prevention portion extends obliquely downward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rain hole opposing each other toward each other closing the drain hole, and is formed to be able to flow up and down, so that when seawater on the deck plate flows into the drain hole, the When sea water flows into the drain hole from below, each end is provided with inflow prevention piece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block the drain hole, and the inflow prevention pieces form a contact plate that expands the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each end.

상기 부력체의 측면에는 상기 부력체의 내부를 향해 인입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의 길이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부력체에 외력이 작용할 시 상기 부력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보강부가 마련되고, 상기 부력조립체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제 1보강부들이 형성하는 제 1부력홀을 점유하도록 상기 제 1부력홀에 개재되고,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제 1부력튜브를 더 구비한다. A first reinforcemen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uoyancy body, which is formed to be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buoyancy body and extends along the length or width direction of the buoyancy body to prevent the buoyancy body from being deformed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buoyancy body. , the buoyancy assembly is interposed in the first buoyancy hole so as to occupy the first buoyancy hole formed by the first reinforcement parts adjacent to each other, and further includes a first buoyancy tube capable of expanding and contracting.

상기 부력체의 측면에는 상기 부력체의 내부를 향해 인입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의 길이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부력체에 외력이 작용할 시 상기 부력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보강부가 마련되고, 상기 부력조립체는 상기 제 1보강부 및 상기 본체의 내측면이 형성하는 제 2부력홀을 점유하도록 상기 제 2부력홀에 개재되고,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제 2부력튜브를 더 구비한다.A first reinforcemen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uoyancy body, which is formed to be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buoyancy body and extends along the length or width direction of the buoyancy body to prevent the buoyancy body from being deformed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buoyancy body. , the buoyancy assembly is interposed in the second buoyancy hole to occupy the second buoyancy hole formed by the first reinforcemen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buoyancy tube capable of expanding and contracting.

상기 부력체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부력체의 내부를 향해 인입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의 길이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부력체에 외력이 작용할 시 상기 부력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보강부가 마련되고, 상기 부력조립체는 상기 제 2보강부 및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커버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3부력홀을 점유하도록 상기 제 3부력홀에 개재되고,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제 3부력튜브를 더 구비한다.A second reinforcement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oyancy body toward the inside of the buoyancy body and extends along the length or width direction of the buoyancy body to prevent the buoyancy body from being deformed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buoyancy body. Provided, the buoyancy assembly is interposed in the third buoyancy hole to occupy the third buoyancy hole formed between the second reinforcement and the main body or the cover, and further includes a third buoyancy tube capable of expanding and contracting. do.

상기 부력체는 측면에는 상기 부력체들 간의 상호간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며, 상기 부력체들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돌출된 복수의 엠보싱부가 형성된다.The buoyancy body has a plurality of protruding embossed portions formed on its side to reduce the mutual contact area between the buoyancy bodies and to form a space between the buoyancy bodies.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 사이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결합플랜지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결합플랜지부의 하방으로 인입 형성된 수밀홈의 바닥에 접촉되도록 상기 수밀홈과 대응되는 상기 커버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수밀부재를 포함한다.It further includes a sealing part that prevents water from flowing in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wherein the sealing part extends along the coupling flange part and has a watertight groove formed below the coupling flange part. It includes a watertight member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corresponding to the watertight groove so as to contact the floor.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은 본체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을 점유하도록 부력체가 삽입 배치됨으로써 본체에 크랙이나 손상이 발생하여 해당 부위를 통해 수용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부력체에 의해 부력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수상태양광 발전장치가 수중으로 침강하거나 일 측으로 기우는 등의 문제가 없이 수상태양광 발전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의 안정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In the barge using the buoyanc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ancy body is inserted and arranged to occupy the accommodation spac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so that even if a crack or damage occurs in the main body and water flows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relevant part, the buoyancy body maintains almost no buoyancy. Because it remains constant, the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can be stably supported without problems such as sinking into the water or leaning to one side, thereby promoting stable power generation of the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구조체를 이용한 바지선은 갑판플레이트 상의 해수를 배수공을 통해 배출 가능하며 하방에서 튀어오르는 해수가 유입방지부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수상태양광 발전장치가 부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barge using the buoyanc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charge seawater on the deck plate through the drain hole, and the seawater bouncing from below is blocked by the inflow prevention unit, thereby preventing corrosion of the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It ha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의 부분 정단면도,
도 3은 도 1의 부력조립체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부력조립체의 부분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력체의 사시도,
도 6은 도 2의 본체의 부분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커버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도 1의 부력조립체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의 부분 정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rge using a buoyanc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 barge using the buoyancy assembly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oyancy assembly of Figure 1;
Figure 4 is a partial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oyancy assembly of Figure 1;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oyancy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of Figure 2;
Figure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of Figure 2;
Figure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oyancy assembly of Figure 1;
Figure 9 is a partial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 barge using a buoyancy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barge using a buoyancy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은 전후좌우를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는 부력조립체(100)들과, 부력조립체들(100)을 서로 연결하는 프레임(110)과,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갑판부(120)를 구비한다.1 to 7 show a barge using a buoyancy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 a barge using a buoyancy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uoyancy assemblies 100 arranged along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a frame 110 connecting the buoyancy assemblies 100 to each other, and , and is provided with a deck portion 120 installed on the frame.

프레임(110)은 좌우로 배치된 복수 개의 부력조립체(100)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 1연결부재(111)와, 전후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 1연결부재(111)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 2연결부재(112)를 포함한다.The fram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members 111 that integrally connect a plurality of buoyancy assemblies 100 arranged left and right, and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members 111 arranged front and rear. It includes two second connection members 112.

제 1연결부재(111)는 좌우로 길게 연장된 H빔이 적용된다. 제 1연결부재(111)는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된다. 제 1연결부재(111)들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first connection member 111 is an H beam extending left and right.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members 111 are arranged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s 111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1연결부재(111)는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부력조립체(100)들의 커버와 볼트결합된다. 부력조립체(100)는 제 1연결부재(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1 is bolted to the covers of the plurality of buoyancy assemblies 100 arrang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buoyancy assembly 10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1.

제 2연결부재(112)는 전후로 길게 연장된 H빔이 적용된다. 제 2연결부재(112)는 제 1연결부재(112)들의 상방에서 제 1연결부재(111)들을 일체로 연결하도록 제 1연결부재들과 결합된다.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2 is an H beam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2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s 111 above the first connecting members 112 to integrally connect them.

본 실시 예와 다르게 제 1, 2연결부재(111, 112)는 각목, 파이프, 찬넬이 적용될 수도 있다.Unlike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111 and 112 may be made of square wood, pipes, or channels.

갑판부(120)는 프레임(110)상에 설치되며 물이 배수될 수 있는 배수공(122)이 형성된 갑판플레이트(121)와, 갑판플레이트(121) 상의 물이 배수되는 것은 허용하되 너울 또는 파도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튀어오르는 물이 갑판플레이트(121) 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수공(122)에 설치되는 유입방지부(130)를 포함한다.The deck portion 120 is installed on the frame 110 and includes a deck plate 121 with a drain hole 122 through which water can drain, and allows water on the deck plate 121 to drain, but is resistant to swells or waves. It includes an inflow prevention portion 130 installed in the drain hole 122 to prevent water bouncing from below from flowing onto the deck plate 121.

갑판플레이트(121)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갑판플레이트(121)는 제 2연결부재(112)의 상방에 배치되며 제 2연결부재(112)와 결합된다. 갑판플레이트(121)는 하나의 넓은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제 2연결부재(112) 상에서 전후좌우로 배열되는 다수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ck plate 121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The deck plate 121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2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2. The deck plate 121 may be made of one wide plate-shaped member or may be made of a plurality of plate-shaped members arranged front, back, left and right o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112.

갑판플레이트(121)는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된 배수공(122)이 형성된다. 배수공(122)은 갑판플레이트(121)의 폭과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된다. 갑판플레이트(121)는 수상에 부유하는 부력조립체(100)에 의해 지지되어 화물 또는 인원을 수상에 지지하거나 수상태양광 발전장치(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한다.The deck plate 121 is formed with a drain hole 122 penetrat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drain holes 122 are formed along the width and length directions of the deck plate 121. The deck plate 121 is supported by the buoyancy assembly 100 floating on the water to support cargo or personnel on the water or provides an area where a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not shown) can be installed.

또한, 갑판플레이트(121)에 형성되는 갑판플레이트(121)의 상부 영역을 측방에서 커버하도록 프레임(110) 또는 갑판플레이트(121)에는 가드레일(150)이 설치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guard rail 150 is installed on the frame 110 or the deck plate 121 to cover the upper area of the deck plate 121 formed on the deck plate 121 from the side.

가드레일(150)은 갑판플레이트(121)가 파도나 너울에 의해 기울어질 시 갑판플레이트(121)에 의해 지지되는 화물이나 인원이 갑판플레이트(121) 상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한다.The guard rail 150 prevents cargo or personnel supported by the deck plate 12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deck plate 121 when the deck plate 121 is tilted by waves or swells.

유입방지부(130)는 배수공(122)의 내주면으로부터 배수공(122)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수공(122)보다 작은 제 1유출공(132)을 형성하는 제 1유입방지막(131)과, 제 1유출공(131)과 엇갈리게 배치되고 배수공(122) 보다 작은 제 2유출공(134)을 형성하도록 배수공(122)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2유입방지막(133)을 구비한다.The inflow prevention portion 130 includes a first inflow prevention film 131 that protrudes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 hole 122 in the direction of blocking the drain hole 122 and forms a first outflow hole 132 that is smaller than the drain hole 122, It is provided with a second inflow prevention film 133 that protrudes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 hole 122 to form a second outflow hole 134 that is arranged to be alternate with the first outlet hole 131 and is smaller than the drain hole 122.

제 1, 2유입방지막(131, 133)은 갑판플레이트(1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inflow prevention films 131 and 133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eck plate 121.

제 1유입방지막(131)은 배수공(122)의 일측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제 1유입방지막(131)은 배수공(122)의 일부를 폐쇄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The first inflow prevention film 131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 hole 122. The first inflow prevention film 131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at closes a portion of the drain hole 122.

제 1유출공(132)은 제 1유입방지막(131)의 단부에 형성된다.The first outflow hole 13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inflow prevention film 131.

제 2유입방지막(133)은 배수공(122)의 타측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제 2유입방지막(133)은 제 1유입방지막(131)의 하방에 형성된다. 제 2유입방지막(133)은 제 1유입방지막(131)의 하방에서 배수공(122)의 일부를 폐쇄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제 2유입방지막(133)은 제 1유입방지막(131)과 평행하게 형성된다.The second inflow prevention film 13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drain hole 122. The second inflow prevention film 133 is formed below the first inflow prevention film 131. The second inflow prevention film 133 is formed in a plate shape to close a portion of the drain hole 122 below the first inflow prevention film 131. The second inflow prevention film 133 is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inflow prevention film 131.

제 2유출공(134)은 제 2유입방지막(133)의 단부에 형성된다. 제 2유출공(134)은 상방이 제 1유입방지막(131)에 의해 커버된다.The second outflow hole 134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inflow prevention film 133. The second outflow hole 134 is covered on its upper side by the first inflow prevention film 131.

제 1, 2유입방지막(131, 133)은 배수공(122)에 상하방향을 따라 지그재그의 유로를 형성한다.The first and second inflow prevention films 131 and 133 form a zigzag flow path in the drain hole 122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와 같은 갑판부(120)는 비나 파도에 의해 갑판플레이트(121) 상에서 고인 물 또는 해수가 배수공(122) 통해 하방으로 유출되게 한다. 이때 배수공(122)으로 유입되는 물 또는 해수는 제 1유출공(132)과 제 2유출공(134)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갑판플레이트(121)의 하방으로 배수된다.This deck portion 120 allows water or seawater accumulated on the deck plate 121 due to rain or waves to flow out downward through the drain hole 122. At this time, the water or seawater flowing into the drain hole 122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irst outlet hole 132 and the second outlet hole 134 and is drained downward from the deck plate 121.

또는, 해수가 파도나 너울로 인해 상방으로 갑판플레이트(121)의 측으로 튀어오를 시 제 2유입방지막(131, 133)에 의해 1차적으로 차단되어 갑판플레이트(121) 상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갑판플레이트(121) 측으로 튀어오른 해수의 일부가 제 2유출공(134)을 통해 배수공(12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 2유출공(134)의 상방을 제 1유입방지막(131)이 커버하고 있으므로 제 2유출공(134)을 통과한 해수는 제 1유입방지막(131)과 충돌하게 된다. 제 2유출공(134)을 통과한 해수는 제 1유입방지막(131)과 충돌하게 되어 운동에너지를 상실하게 되며 더 이상 배수공(122)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Alternatively, when seawater bounces upward toward the deck plate 121 due to waves or swells, it is primarily blocked by the second inflow prevention membranes 131 and 133 to prevent it from flowing onto the deck plate 121.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seawater bouncing toward the deck plate 121 may flow into the drain hole 122 through the second outlet hole 134. In this situation, since the first inflow prevention membrane 131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outflow hole 134, seawa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outflow hole 134 collides with the first inflow prevention membrane 131. Seawa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outlet hole 134 collides with the first inflow prevention membrane 131, loses kinetic energy, and can no longer pass through the drain hole 122.

제 1유입방지막(131)과 충돌한 해수는 자중에 의하여 다시 제 2유출공(134)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게 된다. The seawater that collides with the first inflow prevention membrane 131 is discharged downward again through the second outlet hole 134 due to its own weight.

유입방지부는 다른 구조로 이루어진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The inflow prevention unit may be configured with a different structure.

도 9에는 유입방지부(140)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inflow prevention unit 140.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의 유입방지부(140)는 배수공(122)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하로 유동가능하여 갑판플레이트(121) 상의 해수가 배수공(122)으로 유입되면 하방에서 배수공(122) 측으로 해수가 유입 시 각 단부가 상호 맞닿아 배수공(122)을 차단하는 유입방지편(141)들을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inflow prevention part 140 of a barge using a buoyancy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 hole 122 and is capable of flowing up and down so that seawater on the deck plate 121 flows through the drain hole 122. ) When seawater flows into the drain hole 122 from below, each end is provided with inflow prevention pieces 141 tha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block the drain hole 122.

유입방지편(141)들은 서로 대향하는 배수공(122)의 일측과 타측의 내주면으로부터 배수공(122)을 폐쇄하게 서로를 향하도록 연장된다.The inflow prevention pieces 141 extend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rain hole 122 facing each other to close the drain hole 122 and face each other.

유입방지편(141)들은 수평에 대해 각각 동일한 기울기로 경사지게 하방으로 연장된다. 유입방지편(141)은 일측 단부가 상하로 유동 가능한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유입방지편(141)은 갑판플레이트(121)와 동일한 합성수지 소재가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충분히 얇은 두께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입방지편(141)은 배수공(122)의 내측면에 부착된 별도의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inflow prevention pieces 141 extend obliquely downward at the same inclination relative to the horizontal. One end of the inflow prevention piece 141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at can move up and down. The inflow prevention piece 141 may be made of the same synthetic resin material as the deck plate 121 and may have a structure formed of a sufficiently thin thickness to enable elastic deformation. Additionally, the inflow prevention piece 141 may be formed of a separate rubber material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rain hole 122.

유입방지편(141)들은 각 일측 단부가 서로 맞닿는 길이로 연장된다. 이때 서로 맞닿는 유입방지편(141)이 연장되는 길이의 합이 배수공(1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inflow prevention pieces 141 extend to a length where one end of each side come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sum of the extended lengths of the inflow prevention pieces 141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rain hole 122.

유입방지편(141)들은 배수공(122)의 내주면과 인접한 타단의 두께가 더 얇게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상하로 유동하는 작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inflow prevention pieces 141 are formed to have a thinner thickness at the other end adjacent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 hole 122, so that one end can easily flow up and down.

이를 위해, 유입방지편(141)들은 배수공(122)의 내주면과 인접한 타측 단부의 하면에 유입방지편(141)들의 유동을 용이하게 하는 인입홈(143)이 인입 형성됨이 바람직하다.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low prevention pieces 141 have an inlet groove 143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adjacent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 hole 122 to facilitate the flow of the inflow prevention pieces 141.

인입홈(143)은 유입방지편(142)들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된다. The inlet groove 143 is formed to extend lo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let prevention pieces 142.

유입방지편(141)들은 각 일측 단부에 상호 맞닿는 표면을 확장시키는 접촉판(142)이 형성된다.A contact plate 142 is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inflow prevention pieces 141 to expand the surfac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접촉판(142)은 유압방지편(141)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접촉판(142)은 유입방지편(142)과 일체로 이루어진 판상으로 형성된다.The contact plate 142 extends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hydraulic pressure prevention piece 141. The contact plate 142 is formed in a plate shape integral with the inflow prevention piece 142.

갑판플레이트(121) 상에 고여있는 해수가 배수공(122)으로 유입 시 유입방지편(141)들은 해수의 하중에 의해 유동하며 상호 맞닿은 접촉판(142)들이 벌어지게 된다.When seawater accumulated on the deck plate 121 flows into the drain hole 122, the inflow prevention pieces 141 flow due to the load of the seawater, and the contact plates 142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spread.

접촉판(142)들이 벌어짐에 따라 배수공이 개방되며 배수공(122) 내 해수는 하방으로 배수된다.As the contact plates 142 open, the drain hole opens and the seawater in the drain hole 122 drains downward.

그리고 파도나 너울에 의해 갑판플레이트(121) 하방의 해수가 상방으로 튀어오르게 될 시 튀어오른 해수가 유입방지편(141)들에 간섭되어 배수공(122)을 통과하는 것이 차단된다.And when the seawater below the deck plate 121 bounces upward due to waves or swells, the bounced seawater interferes with the inflow prevention pieces 141 and is blocked from passing through the drain hole 122.

이때, 배수공(122)을 차단하는 유입방지편(141)들은 각 접촉판(142)이 상호 접촉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해수가 갑판플레이트(121) 상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inflow prevention pieces 141 that block the drain hole 122 effectively block seawater from flowing onto the deck plate 121 by improving airtightness by bringing each contact plate 142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며 부력조립체(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uoyancy assembly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부력조립체(100)는 본체(10)와, 커버(30)와, 복수 개의 부력체(40)와, 고정구(50)와, 실링부를 각각 구비한다.The buoyancy assembly 100 includes a main body 10, a cover 30, a plurality of buoyancy bodies 40, a fixture 50, and a sealing portion.

본체(10)는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The main body 10 has a receiving space formed on the inside and has an open top structure.

본체(10)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바디부(11)와, 바디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바디부(11)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본체(10) 외측으로 연장 및 본체(10)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결합플랜지부(15)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12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art 11, which has an open top, and extends from the upper edge of the body part 11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10) It includes a coupling flange portion (15) extending along the upper edge.

결합플랜지부(15)는 수평부(16)와 수직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upling flange portion 15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16 and a vertical portion 17.

수평부(16)는 바디부(11)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하를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고정구(50)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제1관통공(18)과, 제 1연결부재(111)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1결합홈(19)이 형성된다.The horizontal portion 16 extends outward from the upper edge of the body portion 11 for a certain length and extends through the top and bottom to provide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18 for fastening the fixture 50 and a first connection. A first coupling groove 19 is formed for coupling the members 111.

제 1연결부재(111)는 볼트를 이용하여 커버(30)의 상단에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으며, 볼트는 지지프레임(3), 제2결합홈(33), 제1결합홈(19) 순서로 관통하며 단부에 너트가 결합된다.The first connecting member 111 can be coupled and fixed to the top of the cover 30 using bolts, and the bolts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3), the second coupling groove (33),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19) in that order. It penetrates through and a nut is attached to the end.

수직부(17)는 수평부(16)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하단은 후술하는 고정구(50)의 걸림턱(53)에 간섭 및 접촉된다.The vertical portion 17 extends downward for a certain length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16, and its lower end interferes with and contacts the locking protrusion 53 of the fixture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바디부(11)와 결합플랜지부(15) 사이에는 강성을 향상 및 보강하기 위해 바디부(11)와 결합플랜지부(15)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리브(14)가 구비된다. 보강리브(14)는 바디부(11)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된다.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14 connecting the body portion 11 and the coupling flange portion 15 are provided between the body portion 11 and the coupling flange portion 15 to improve and reinforce rigidity. The reinforcing ribs 14 extend for a certain length along the vertic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body portion 11.

커버(30)는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것으로서, 플레이트부(31)와, 결합스커트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ver 3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to seal the receiving space, and includes a plate portion 31 and a coupling skirt portion 35.

플레이트부(31)는 바디부(11)의 상부, 상세하게는 결합플랜지부(15)의 상단에 밀착 결합되어 수용공간(12)을 밀폐하도록 판 상으로 형성된다.The plate portion 31 is formed in a plate shape to be tightl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portion 11, 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flange portion 15 to seal the receiving space 12.

플레이트부(31)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제1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고정구(50)를 체결하기 위한 제2관통공(32)이 형성된다. Second through holes 32 for fastening the fixture 50 ar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plate portion 31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s.

플레이트부(31)는 본체(10)의 상단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플레이트부(31)의 하면(40F)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격자상으로 배치되는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플레이트부(31)에는 지지프레임(3)과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홈(33)이 형성된다.The plate portion 31 is formed with a larger area than the top of the main body 10. In addition, reinforcing ribs arranged in a lattice pattern are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40F of the plate portion 31 to reinforce rigidity. In addition, a second coupling groove 33 is formed in the plate portion 31 for coupling with the support frame 3.

결합스커트부(35)는 플레이트부(3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결합플랜지부(15)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결합스커트부(35)는 결합플랜지부(15)의 수직부(17)보다 하방으로 더 길게 돌출된다.The coupling skirt portion 35 extends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 plate portion 31 for a certain length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side of the coupling flange portion 15. The coupling skirt portion 35 protrudes downward longer than the vertical portion 17 of the coupling flange portion 15.

그리고, 결합스커트부(35)의 하단에는 결합플랜지부(15)의 하단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걸림턱이 더 구비된다. 걸림턱은 결합스커트부(35)의 하단으로부터 바디부 또는 결합플랜지부(15) 측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된다. 걸림턱(53)은 결합스커트부(35)에 걸리도록 결합되어 고정구(50)와 함께 커버(30)를 본체(10)에 고정시키는 고정력을 부가한다.In addition, a lock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flange portion 15 is furthe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upling skirt portion 35. The locking protrusion extends a certain length from the bottom of the coupling skirt portion 35 toward the body portion or coupling flange portion 15. The locking protrusion 53 is coupled to the coupling skirt portion 35 to add a fixing force for fixing the cover 30 to the main body 10 together with the fixture 50.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와 커버(3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0)와 커버(30)는 폴리에틸렌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For example,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30 may be made of polyethylene.

이와 다르게 본체(10)와 커버(30)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재질로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강재, 알루미늄, 섬유강화복합재 등을 적용할 수 있다.Differently,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30 can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and polypropylene, polyurethane, steel, aluminum, fiber-reinforced composite, etc. can be used.

부력체(40)들은 수용공간(12)을 점유하도록 수용공간(12)에 삽입된다. 부력체(40)들은 수용공간(12) 내에서 전후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부력체(40)는 내부에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부력공간(41)이 형성된다.The buoyancy bodies 40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2 so as to occupy the receiving space 12 . The buoyancy bodies 40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front,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in the accommodation space 12. The buoyancy body 40 has a buoyancy space 41 formed therein to provide buoyancy.

부력체(40)는 전면(40A), 후면(40B), 좌측면(40C), 우측면(40D), 상면(40E), 하면(40F)을 구비하는 육면체 구조로 형성된다.The buoyancy body 40 is formed in a hexahedral structure having a front side (40A), a back side (40B), a left side (40C), a right side (40D), an upper side (40E), and a lower side (40F).

부력체(40)의 측면에는 부력체(40)에 외력이 작용할 시 부력체(4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보강부(42)가 마련된다. A first reinforcement portion 42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uoyancy body 40 to prevent the buoyancy body 40 from being deformed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buoyancy body 40.

제 1보강부(42)는 본체(10)의 길이 방향 양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전면(40A) 및 후면(40B)에 각각 형성된 구조가 적용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 1보강부(42)는 부력체(40)의 전면(40A)과 후면(40B)에 각각 3개의 제 1보강부(42)가 일정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first reinforcement portion 42 has a structure formed on the front side 40A and the back side 40B, which are disposed to face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einforcement portion 42 is formed with three first reinforcement portions 4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on the front side 40A and the rear side 40B of the buoyancy body 40.

제 1보강부(42)는 부력체(40)의 측면으로부터 부력체(40)의 내부를 향해 일정 깊이 인입되어 홈 구조로 형성된다. 제 1보강부(42)는 부력체(4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The first reinforcement portion 42 is inserted from the side of the buoyancy body 40 toward the inside of the buoyancy body 40 at a certain depth to form a groove structure. The first reinforcement portion 42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or width direction of the buoyancy body 40.

수용공간(12) 내에서 부력체(40)는 전후좌우를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됨에 따라 서로 인접한 제 1보강부(42)들의 사이에 제 1부력홀(42a)이 형성된다. 제 1부력홀(42a)은 원통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Within the accommodation space 12, a plurality of buoyancy bodies 40 are disposed along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and thus a first buoyancy hole 42a is formed between the first reinforcement parts 42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rst buoyancy hole 42a is formed as a cylindrical space.

그리고, 본체(10)의 내측면 및 제 1보강부(42)의 사이에는 제 2부력홀(42b)이 형성된다.Additionally, a second buoyancy hole 42b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first reinforcement portion 42.

제 2부력홀(42b)은 반원 단면으로 연장된 통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The second buoyancy hole 42b is formed as a cylindrical space extending with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부력체(40)의 상면(40E) 및 하면(40F)에는 부력체(40)의 내부를 향해 인입 형성되고 부력체(40)의 길이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부력체(40)에 외력이 작용할 시 부력체(4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보강부(46)가 마련된다.The upper surface 40E and the lower surface 40F of the buoyancy body 40 are formed to be drawn toward the inside of the buoyancy body 40 and extend along the length or width direction of the buoyancy body 40 to apply an external force to the buoyancy body 40. A second reinforcement portion 46 is provided to prevent the buoyancy body 40 from being deformed when acting.

본 실시 예에서 제 2보강부(46)는 부력체(40)의 상면(40E) 및 하면(40F)에 각각 1개가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one second reinforcement portion 4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40E and the lower surface 40F of the buoyancy body 40.

제 2보강부(46)와 본체(10) 또는 상판(30)의 사이에는 제 3부력홀(46a, 46b)이 형성된다. 제 3부력홀(46a, 46b)은 반원 단면으로 연장된 통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Third buoyancy holes 46a and 46b are formed between the second reinforcement portion 46 and the main body 10 or the upper plate 30. The third buoyancy holes 46a and 46b are formed as a cylindrical space extending with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제 1, 2보강부(42, 46)는 부력체(40)의 내측으로 인입된 구조를 가져 부력체(40) 자체의 강성이나 휨응력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킨다. 제 2보강부(46)는 부력체(40)에 가해지는 외력 또는 충격에 의해 부력체(40)가 찌그러져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The first and second reinforcement parts 42 and 46 have a structure inserted into the buoyancy body 40 to increase the rigidity or resistance to bending stress of the buoyancy body 40 itself. The second reinforcement portion 46 effectively prevents the buoyancy body 40 from being distorted or damaged due to external force or impact applied to the buoyancy body 40.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부력체(40)들 사이에는 제1부력홀(42a)을 점유하도록 제1부력홀(42a)에 삽입 설치되어 부력체(40)들 사이에 부력을 제공하는 제1부력튜브(43)를 더 구비한다. 제1부력튜브(43)는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제 1부력튜브(43)는 제 1부력홀(42a)의 형상과 동일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between adjacent buoyancy bodies 40, a first buoyancy tube is installed inserted into the first buoyancy hole 42a to occupy the first buoyancy hole 42a and provides buoyancy between the buoyancy bodies 40. (43) is further provided. The first buoyancy tube 43 can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expand and contract. The first buoyancy tube 43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dentical to the shape of the first buoyancy hole 42a.

제1부력튜브(43)는 부력체(40)들 사이에 부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부력체(40)들 사이 개재되어 부력체(40)들이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지지함으로써 부력체(40)들의 서로 마주하는 각 면이 마찰되면서 닳아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일정 부분 방지한다. 또한, 제1부력튜브(43)는 부력체(40)들 사이에 개재되어 일 측의 부력체(40)에서 타 측의 부력체(40) 측으로 충격이나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The first buoyancy tube 43 not only provides buoyancy between the buoyancy bodies 40, but is also interposed between adjacent buoyancy bodies 40 to support the buoyancy bodies 40 spaced apart at small intervals, thereby (buoyancy body) 40) It prevents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from being worn or damaged by friction. In addition, the first buoyancy tube 43 is interposed between the buoyancy bodies 40 and has a buffering effect to block shock or external force from being transmitted from the buoyancy body 40 on one side to the buoyancy body 40 on the other side. can do.

부력체(40)와 본체(10)의 내측면 사이에는 제 2부력홀에 삽입 설치되는 제 2부력튜브를 더 구비한다.A second buoyancy tube inserted into the second buoyancy hol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buoyancy body 4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제 2부력튜브(43)는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다. 제 2부력튜브는 제 2부력홀의 형상과 동일한 반원 단면의 통체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econd buoyancy tube 43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expand and contract. The second buoyancy tub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identical to the shape of the second buoyancy hole.

제 2부력튜브(43)는 본체(10)의 내측면과 부력체(40)의 사이에서 부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부력체(40)가 본체(10)의 내측면들로부터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지지함으로써 부력체(40)가 외부충격에 의해 유동하며 본체(10)와의 내측면과 마찰되면서 닳아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일정 부분 방지한다. 또한, 제 2부력튜브는 본체(1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부력체(4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The second buoyancy tube 43 provides buoyancy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buoyancy body 40, and also allows the buoyancy body 4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s of the main body 10 at a fine interval. By supporting, the buoyancy body 40 flows due to external shock and is partially prevented from being worn or damaged due to friction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dditionally, the second buoyancy tube may act as a buffer to block shock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buoyancy body 40.

부력체(40)와 본체(10)의 저면 또는 커버(30)의 사이에는 제 3부력홀에 삽입 설치되는 제 3부력튜브(47)를 더 구비한다.A third buoyancy tube 47 inserted into the third buoyancy hol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buoyancy body 40 and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or the cover 30.

제 3부력튜브는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다. 제 3부력튜브는 제 3부력홀의 형상과 동일한 반원 단면의 통체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third buoyancy tube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expand and contract. The third buoyancy tub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identical to the shape of the third buoyancy hole.

제 3부력튜브(47)는 본체(10)의 저면 또는 커버(30)와 부력체(40)의 사이에서 부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부력체(40)가 본체(10)의 저면 또는 커버(30)로부터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지지함으로써 부력체(40)가 외부충격에 의해 유동하며 본체(10) 또는 커버(30)와 마찰되어 닳아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일정 부분 방지한다. 또한 제 3부력튜브(47)는 부력조립체(10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부력체(4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The third buoyancy tube 47 provides buoyancy between the bottom or cover 30 of the main body 10 and the buoyancy body 40, and the buoyancy body 40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or the cover 30. ), the buoyancy body 40 flows due to external shock and is partially prevented from being worn or damaged by friction with the main body 10 or the cover 30. Additionally, the third buoyancy tube 47 may act as a buffer to block shock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buoyancy assembly 10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buoyancy body 40.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력체(4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부력구조체의 부력체(40)는 측면에 엠보싱부(45)가 형성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엠보싱부(45)는 본체(10)의 폭 방향 양측 내주면과 각각 마주하는 일 측 부력체(40)의 좌측면(40C)과 타측 부력체(40)의 우측면(40D)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Meanwhile, Figure 8 shows a buoyancy body 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uoyancy body 40 of the buoyancy structure may have an embossed portion 45 formed on the side. The embossed portion 45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on the left side 40C of one side of the buoyancy body 40 and the right side 40D of the other side buoyancy body 40, respectively, fac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s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

엠보싱부(45)는 부력체(40) 측면면으로부터 반원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The embossed portion 45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40 in a semicircular shape.

엠보싱부(45)는 본체(10) 및 부력체의 사이와 부력체(40)들 간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한다. 엠보싱부(45)는 본체(10) 및 부력체(40) 상호간 접촉면적과 부력체(40)들의 상호간 접촉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부력체(40)가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엠보싱부(45)는 외부로부터 부력조립체(100)에 가해지는 부력체(40)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한다.The embossed portion 45 forms a space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buoyancy body and between the buoyancy bodies 40. The embossing portion 45 prevents the buoyancy body 40 from being worn by friction by reduc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buoyancy body 40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uoyancy bodies 40. In addition, the embossing portion 45 cushions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buoyancy body 40 applied to the buoyancy assembly 100 from the outside.

엠보싱부(45)는 부력체(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엠보싱부(45)는 부력체(40)와 별개로 형성한 뒤 부력체(40)에 부착할 수 있다. 엠보싱부(45)를 부력체(40)와 별개로 형성한 경우 부력체(40)는 본체(10) 또는 다른 하나의 부력체(40)에 대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탄성을 갖는 고무소재로 형성된 부재가 부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embossed portion 4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uoyancy body 40. Alternatively, the embossed portion 45 can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buoyancy body 40 and then attached to the buoyancy body 40. When the embossing portion 45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buoyancy body 40, the buoyancy body 4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with elasticity so that it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against the main body 10 or another buoyancy body 40. It can be formed by attaching formed members.

다시 도 3 내지 도 7로 돌아와서, 부력체(40)는 블로우 성형 방식으로 성형 및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turning to FIGS. 3 to 7, the buoyancy body 40 is preferably molded and formed by a blow molding method.

블로우 성형 방식으로 부력체(40)를 성형함으로써 경량화시킬 수 있고, 일정량의 탄력도 가지며, 내부에 부력공간(41)을 형성함으로써 높은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By molding the buoyancy body 40 using a blow molding method, it can be made lightweight, has a certain amount of elasticity, and can provide high buoyancy by forming a buoyancy space 41 inside.

고정구(50)는 커버(30)를 본체(10)에 고정시키도록 본체(10)와 커버(3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복수의 후크핀(5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xture 50 includes a plurality of hook pins 51 that pass through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30 to secure the cover 30 to the main body 10.

후크핀(51)은 헤드부(51A)와, 연장부(51B)와, 걸림편(5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ook pin 51 includes a head portion 51A, an extension portion 51B, and a locking piece 51C.

헤드부(51A)는 단면이 원형이며, 제1관통공(18) 및 제2관통공(3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헤드부(51A)는 플레이트부(31)의 상면(40E)에 접촉되어 연장부(51B)가 인입되는 깊이를 제한한다. The head portion 51A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is formed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through hole 18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2. The head portion 51A contacts the upper surface 40E of the plate portion 31 to limit the depth at which the extension portion 51B is retracted.

연장부(51B)는 제1관통공(18) 및 제2관통공(32)을 통과할 수 있게 헤드부(51A) 하면(40F)에서 하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다. 연장부(51B)는 직경이 가변될 수 있도록 축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로 분할 및 갈라지게 형성된다. The extension portion 51B protrudes downward for a certain length from the lower surface 40F of the head portion 51A so that it can pas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8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2. The extension portion 51B is formed to be divided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based on the center of the axis so that the diameter can be varied.

연장부(51B)는 하부는 제1관통공(18) 및 제2관통공(32)을 통과할 때 후술하는 걸림편(51C)의 간섭 및 걸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헤드부(51A)에서 하부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인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된다.The lower part of the extension portion 51B is located at the head portion 51A to minimize interference and jamming of the catching piece 51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8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2. It is formed in a tapered structure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as it extends downward.

연장부(51B)는 중심축방향으로 오므라지거나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다. 연장부(51B)는 경량화 및 재료의 절약을 위해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xtension portion 51B has elasticity so that it can be com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r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The extension portion 51B may be hollow on the inside to reduce weight and save materials.

걸림편(51C)은 연장부(51B)의 에서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수직부(17)의 하단에 접촉된다. 걸림편(51C)의 하부는 제1관통공(18) 및 제2관통공(32)을 통과할 때 걸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locking piece 51C protrudes from the extension portion 51B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17. The lower part of the catching piece 51C is inclined to minimize jamming when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8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2.

상술한 바와 같은 후크핀(51)을 이용하여 본체(10)와 커버(30)를 결합시키는 경우, 후크핀(51)은 연장부(51B)가 제1관통공(18) 및 제2관통공(32)으로 삽입되는 도중에 오므려져 직경이 작아진 상태로 제1관통공(18) 및 제2관통공(32)을 통과하며, 걸림편(51C)이 제2관통공(32)을 완전히 통과하면 탄성에 의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벌어지면서 걸림편(51C)의 상단이 수평부(16)의 하단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후크핀(51)이 제1관통공(18) 및 제2관통공(3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제한 및 억제된다.When connecting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30 using the hook pin 51 as described above, the hook pin 51 has an extension portion 51B that forms the first through hole 18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8. While being inserted into (32), it is retracted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8)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2) in a state in which the diameter is reduced, and the locking piece (51C) completely passe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32). When it does so, it opens back to its original state due to elasticity and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piece (51C) is caught at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16). In this state, separation of the hook pin 51 from the first through hole 18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2 is restricted and suppressed.

이와 반대로 연장부(51B)에 외력을 가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오므린 상태에서 걸림편(51C)를 제2관통공(32) 및 제1관통공(18)에 삽입 후 후크핀(51)을 상부로 인출시키면 본체(10)와 커버(30)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On the contrary, while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extension portion (51B) and shrinking it to a smaller diameter, inserting the locking piece (51C)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32) and the first through hole (18) and then inserting the hook pin (51) into the upper part. By pulling it out,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30 can be easily separated.

실링부는 결합플랜지부(15)에 형성된 수밀홈(13)과, 커버(30)에 형성된 수밀부재(7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aling portion includes a watertight groove 13 formed in the coupling flange portion 15 and a watertight member 71 formed in the cover 30.

수밀홈(13)은 결합플랜지부(15)의 수평부(16)를 따라 연장되고, 결합플랜지부(15) 하방으로 일정 깊이 인입 형성된다. 수밀홈(13)은 반원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tight groove 13 extends along the horizontal portion 16 of the coupling flange portion 15 and is formed to be recessed below the coupling flange portion 15 at a certain depth. The watertight groove 13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or oval shape.

수밀부재(71)는 수밀홈(13)과 대응되는 커버(30)의 하면(40F)으로부터 수밀홈(13)의 바닥에 접촉될 수 있도록 수밀홈(13)의 깊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돌출된다. The watertight member 71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40F of the cover 30 corresponding to the watertight groove 13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watertight groove 13 so as to contact the bottom of the watertight groove 13. .

수밀부재(71)는 플레이트부(3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수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이 탄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watertight member 71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plate portion 31, or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to increase watertightness.

또한, 이와 다르게 수밀부재(71)의 단부 또는 수밀홈(13)의 바닥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에는 실링부의 수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패킹부가 결합될 수 있다.Additionally, differently from this, a packing part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end of the watertight member 71 or the bottom of the watertight groove 13 to increase the watertightness of the sealing part.

수밀부재(71)는 수밀홈(13)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그 하단이 수밀홈(13)의 바닥에 긴밀하게 접촉되어 수용공간(12)으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한다.The watertight member 71 has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watertight groove 13, and its low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watertight groove 13 to block water from entering the receiving space 12.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밀홈(13)으로 유입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수밀홈(13)의 바닥에는 외부로 연장된 배출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 outwardly extending discharge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watertight groove 13 so that water flowing into the watertight groove 13 can be discharged.

편,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립체의 커버(30)는 플레이트부(31)의 상부로 노출된 고정구(50)의 헤드부(51A)를 보호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부(3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헤드부(51A) 주변을 감싸는 헤드보호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ver 30 of the buoyanc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plate portion 31 to protect the head portion 51A of the fixture 50 exposed above the plate portion 31. A head protection part surrounding the part 51A may be further provided.

도 8을 참조하면, 헤드보호부(37)는 후크핀(51)이 제1관통공(18) 및 제2관통공(32)을 통과하도록 체결된 상태에서, 플레이트부(31)의 상부로 돌출된 헤드부(51A)의 측면을 감싸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8, the head protection part 37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plate part 31 with the hook pin 51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8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2.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surround the side of the protruding head portion 51A.

헤드보호부(37)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51A)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높게 돌출되어 헤드부(51A)를 충격이나 외력으로부터 보호한다.As shown, the head protection portion 37 protrudes to a height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head portion 51A to protect the head portion 51A from impact or external forc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은 본체(10)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12)을 점유하도록 부력체(40)가 삽입 배치됨으로써 본체(10)에 크랙이나 손상이 발생하여 해당 부위를 통해 수용공간(12)으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부력체(40)에 의해 부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수상태양광 발전장치가 수중으로 침강하거나 일 측으로 기우는 등의 문제가 없이 수상태양광 발전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의 안정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In the barge using the buoyanc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uoyancy body 40 is inserted and arranged to occupy the receiving space 12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resulting in cracks or damage to the main body 10. Even if water flows into the receiving space (12) through the part, the buoyancy is maintained constant by the buoyancy body (40), so there is no problem such as the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sinking into the water or leaning to one side. can be stably supported, and through this, stable power generation of the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can be promo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구조체를 이용한 바지선은 갑판플레이트(121) 상의 해수를 배수공(122)을 통해 배출 가능하며 갑판플레이트(121)의 하방에서 튀어오르는 해수가 유입방지부(130)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수상태양광 발전장치가 부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barge using the buoyanc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charge seawater on the deck plate 121 through the drain hole 122, and seawater bouncing from the bottom of the deck plate 121 is blocked by the inflow prevention unit 130. This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corrosion of the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claims.

100 : 부력조립체 10 : 본체
30 : 커버 40 : 부력체
50 : 고정구 110 : 프레임
111 : 제 1연결부재 112 : 제 2연결부재
120 : 갑판부 121 : 갑판플레이트
122 : 배수공 130, 140 : 유입방지부
131 : 제 1유입방지막 133 ; 제 2유입방지막
141 : 유입방지편 142 : 유입방지편
100: Buoyancy assembly 10: Main body
30: Cover 40: Buoyancy body
50: fixture 110: frame
111: first connecting member 112: second connecting member
120: deck part 121: deck plate
122: drain hole 130, 140: inflow prevention unit
131: first inflow prevention membrane 133; Second inflow prevention membrane
141: Inflow prevention section 142: Inflow prevention section

Claims (8)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커버와, 상기 수용공간을 점유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배치되며 내부에 부력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부력체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부력조립체와;
상기 부력조립체들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부력조립체들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갑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갑판부는 상기 프레임상에 설치되며 물이 배수될 수 있는 배수공이 형성된 갑판플레이트와, 상기 갑판플레이트 상의 물이 배수되는 것은 허용하고 하방에서 상기 갑판플레이트 상으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수공에 설치되는 유입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
A main body with 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on the inside and an open top, a cover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o seal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 plurality of bodie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to occupy the accommodating space and having a buoyancy space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buoyancy assemblies each including a buoyancy body;
a frame installed on the buoyancy assemblies to connect the buoyancy assemblies to each other;
Provided with a deck portion installed on the frame,
The deck portion is installed on the frame and includes a deck plate with a drain hole through which water can drain, and a drain hole to allow water on the deck plate to drain and prevent seawater from flowing onto the deck plate from below. A barge using a buoyanc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nflow prevention part install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방지부는 상기 배수공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배수공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수공보다 작은 제 1유출공을 형성하는 제 1유입방지막과, 상기 제 1유출공과 엇갈리게 배치되고 상기 배수공보다 작은 제 2유출공을 형성하도록 상기 배수공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 2유입방지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
According to clause 1,
The inflow prevention portion includes a first inflow prevention film that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hole in a direction to block the drain hole and forms a first outflow hole smaller than the drain hole, and a second inflow prevention film disposed to alternate with the first outlet hole and smaller than the drain hole. A barge using a buoyanc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econd inflow prevention membrane protruding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 hole to form a bal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방지부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배수공의 일측과 타측의 내주면으로부터 각각 상기 배수공을 폐쇄하는 서로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갑판플레이트 상의 해수가 상기 배수공으로 유입되면 상기 배수공으로 하방에서 상기 배수공 측으로 해수가 유입 시 각 단부가 상호 맞닿아 상기 배수공을 차단하는 유입방지편들을 구비하고,
상기 유입방지편들은 각 단부에 상호 맞닿는 표면을 확장시키는 접촉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
According to clause 1,
The inflow prevention portion extends obliquely downward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rain hole opposing each other toward each other closing the drain hole, and is formed to be able to flow up and down, so that when seawater on the deck plate flows into the drain hole, the When seawater flows into the drain hole from below, each end is provided with inflow prevention pieces that contact each other to block the drain hole,
A barge using a buoyanc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low prevention pieces are formed at each end with a contact plate that expands the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의 측면에는 상기 부력체의 내부를 향해 인입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의 길이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부력체에 외력이 작용할 시 상기 부력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보강부가 마련되고,
상기 부력조립체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제 1보강부들의 사이에 형성된 제 1부력홀을 점유하도록 상기 제 1부력홀에 개재되고,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제 1부력튜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
According to clause 1,
A first reinforcemen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uoyancy body, which is formed to be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buoyancy body and extends along the length or width direction of the buoyancy body to prevent the buoyancy body from being deformed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buoyancy body. ,
The buoyancy assembly is interposed in the first buoyancy hole to occupy the first buoyancy hole formed between the adjacent first reinforcement parts, and further includes a first buoyancy tube capable of expanding and contracting. Barge us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의 측면에는 상기 부력체의 내부를 향해 인입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의 길이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부력체에 외력이 작용할 시 상기 부력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보강부가 마련되고,
상기 부력조립체는 상기 제 1보강부와 상기 본체의 사이에 형성된 제 2부력홀을 점유하도록 상기 제 2부력홀에 개재되고,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제 2부력튜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
According to clause 1,
A first reinforcemen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uoyancy body, which is formed to be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buoyancy body and extends along the length or width direction of the buoyancy body to prevent the buoyancy body from being deformed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buoyancy body. ,
The buoyancy assembly is interposed in the second buoyancy hole to occupy the second buoyancy hole formed between the first reinforcement and the main body,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buoyancy tube capable of expanding and contracting. Barge using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부력체의 내부를 향해 인입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의 길이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부력체에 외력이 작용할 시 상기 부력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보강부가 마련되고,
상기 부력조립체는 상기 제 2보강부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커버의 사이에 형성된 제 3부력홀을 점유하도록 상기 제 3부력홀에 개재되고,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제 3부력튜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
According to clause 1,
A second reinforcement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oyancy body toward the inside of the buoyancy body and extends along the length or width direction of the buoyancy body to prevent the buoyancy body from being deformed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buoyancy body. prepared,
The buoyancy assembly is interposed in the third buoyancy hole to occupy the third buoyancy hole formed between the second reinforcement and the main body or the cover, and further includes a third buoyancy tube capable of expanding and contracting. A barge using a buoyancy assemb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측면에는 상기 부력체들 간의 상호간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며, 상기 부력체들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돌출된 복수의 엠보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
According to clause 1,
A barge using a buoyancy assembly, wherein the buoyancy body has a plurality of protruding embossed portions formed on its side to reduce the mutual contact area between the buoyancy bodies and to form a space between the buoyancy bodi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 사이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결합플랜지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결합플랜지부의 하방으로 인입 형성된 수밀홈의 바닥에 접촉되도록 상기 수밀홈과 대응되는 상기 커버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수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
According to clause 1,
Further provided is a sealing portion that prevents water from flowing in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The sealing part extends along the coupling flange part and includes a watertight member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corresponding to the watertight groove so as to contact the bottom of the watertight groove formed downwardly of the coupling flange part. Barge using assembly.
KR1020220028352A 2022-03-04 2022-03-04 Barge using buoyancy assembly KR202301310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352A KR20230131016A (en) 2022-03-04 2022-03-04 Barge using buoyancy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352A KR20230131016A (en) 2022-03-04 2022-03-04 Barge using buoyancy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016A true KR20230131016A (en) 2023-09-12

Family

ID=8801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352A KR20230131016A (en) 2022-03-04 2022-03-04 Barge using buoyancy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1016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434B1 (en) 2018-03-22 2020-01-2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Sun light system for adjusting angle of solar pannel and unit buancy frame module gap
KR20210004883A (en) 2019-07-03 2021-01-13 지엔에스티주식회사 Buoy for solar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434B1 (en) 2018-03-22 2020-01-2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Sun light system for adjusting angle of solar pannel and unit buancy frame module gap
KR20210004883A (en) 2019-07-03 2021-01-13 지엔에스티주식회사 Buoy for solar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0141B2 (en) Wave-attenuating system
JP6305940B2 (en) Self-operating flood waterproof wall
KR101843354B1 (en) Floating supporter
KR102158200B1 (en) Floating photovoltaic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and buoyancy body for installation of floating photovoltaic panel
KR102015595B1 (en) Buoyancy of floating apparatus for solar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on water
KR101262016B1 (en) Solarcell panel supporting structure having device for coupling frames
KR102368919B1 (en) Floating wave absorbing revetment using concrete pontoons with adjustable buoyancy
KR20230131016A (en) Barge using buoyancy assembly
KR101099448B1 (en) A floating pier structure using a floating pipe
KR102162066B1 (en) Non-perforated solar power generation floating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005924B1 (en) Marine Photovoltaic Structure using Wave-Resistant Apparatus
KR102322797B1 (en) Buoy for solar generator on water
KR101312920B1 (en) Pontoon shaped stiffener, pontoon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ntoon assembly
KR20120007987U (en) The float for a farm
KR102246152B1 (en) Eco-frendly pontoon using endurability-enhanced waler type and expandable in two different directions
KR102253127B1 (en) multi-function pontoon
KR102665165B1 (en) A buoyancy body for installing floating photovoltaic panel having blocking inflow of sea water and a structure for installing floating photovoltaic panel including the same
KR102448240B1 (en) Buoyancy assembly
KR20230135365A (en) A buoyancy body for installing floating photovoltaic panel with improved structual load stress characteristics
KR102490231B1 (en) Floating water structure with shock absorber.
KR101193622B1 (en) A mounting bracket having a rolling and pitching damper in pontoon
KR102248933B1 (en) Buoyance body for installation of solar power panel
KR200481086Y1 (en) Floating facility for solar-cell power generation
KR102462301B1 (en) Buoyance body for floating structure
KR100921438B1 (en) Containing system using Floa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