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354B1 - Floating supporter - Google Patents

Floating suppo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354B1
KR101843354B1 KR1020170034066A KR20170034066A KR101843354B1 KR 101843354 B1 KR101843354 B1 KR 101843354B1 KR 1020170034066 A KR1020170034066 A KR 1020170034066A KR 20170034066 A KR20170034066 A KR 20170034066A KR 101843354 B1 KR101843354 B1 KR 101843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member
cap
outer case
cap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0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42099A (en
Inventor
윤석진
Original Assignee
윤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진 filed Critical 윤석진
Publication of KR20170142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0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3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체 부력으로 수상에 부유하도록 제공되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상부에 상기 제1 지지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제공되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지지부재; 및 대상 지지물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상부에 돌출되게 제공되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3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부에 배치되는 캡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컵부가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캡부와 상기 컵부가 서로 결합되도록 양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캡부와 상기 컵부의 결합시 내부에 밀폐공간을 제공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밀폐공간에 내장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자체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체;를 포함하는,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가 제공될 수 있다.
Disclosed is a floatable support for water instal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members provided to float on the water phase by self-buoyancy,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member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so as to be dispos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third support members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to support the target support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flange portion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ap portion and the cup portion so that the cap portion and the cup portion are coupled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cap portion and the cup portion are coupled, An outer case provided; And a float embedded in the sealed space to provide self-buoyancy to the first support member.

Figure R1020170034066
Figure R1020170034066

Description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FLOATING SUPPORTER}{FLOATING SUPPORTER}

본 발명은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able support for water installation.

일반적으로 특정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정 지지가 필요한 물체(이하, "대상 지지물"이라 한다)는 육상이나 수상 또는 건물의 옥상이나 지붕 등 일정한 면적이 확보될 수 있는 다양한 곳에 지지체를 매개로 설치되고 있다. In general, an object requiring fixed suppo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object support") to perform a specific purpose is installed via a support in various places where a certain area can be ensured, such as a land, a waterfront, or a roof or roof of a building .

예를 들어, 태양광 패널과 같은 대상 지지물은 면적 집약적인 특성상 주로 저렴한 임야나 농지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는 산림과 경관을 훼손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 바, 이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에는 유휴 수면을 활용하여 수상에 대상 지지물을 설치하는 방안이 도입되고 있다.For example, the object support such as the solar panel is mainly installed in low-cost forest or agricultural land due to its area-intensive nature, which causes a problem of damaging forests and landscapes. As an alternative to this, A method for installing an object support in a vehicle is introduced.

수상에 대상 지지물을 설치하는 방안은, 국토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면서 자연 경관이나 환경을 훼손하지 않고 대상 지지물의 그림자로 인하여 수면에 그늘을 형성하여 햇빛 차단을 통한 조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가 있어 최근 각광받고 있다.The method of installing the object support to the aquaria is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algae by blocking the sunlight by forming a shadow on the surface of the water due to the shadow of the object support without damaging the natural landscape or the environment, It is effective in recent years.

대상 지지물을 수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가 필요한데, 종래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는 부잔교 또는 선박의 계류시설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부력체 위에 철골 프레임을 연결하고, 그 철골 프레임 위에 다시 태양광 패널 같은 대상 지지물을 설치하는 구조를 통해 완성된다.In order to install a target support on a waterfront, a float-type support for a water-holding installation is required. Conventionally, a float-type support for a water-holding installation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a steel frame frame to a plurality of buoyant bodies used in a floating bridge or a mooring facility of a ship, It is accomplished through the structure of installing the object supports such as panels.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는 철골 프레임이 수상에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이 강한 별도의 부력체를 사용하는데, 이 부력체는 수면과 직접 접촉하는 플라스틱 또는 스티로폼(EPS)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floating type floating support for a water-mounted type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buoyant body having a strong buoyancy is used so that the steel frame can float on the water surface. This buoyant body is made of plastic or EPS material Lt; / RTI >

한국 해양 과학 기술원의 조사에 따르면, 플라스틱 부력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외선과 온도 변화에 의해 변성이 진행되어 결국 파손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스티로폼 부력체 역시 시간 경과에 따라 부력체로부터 떨어져 나온 미세 입자가 수중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According to a survey by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it is reported that the plastic buoyant body gradually undergoes deformation due to ultraviolet ray and temperature change with time, and the styrofoam buoyant body is also broken down due to the time lapse Particulate contamination of the water environment has been reported to be serious.

이와 같이, 플라스틱 또는 스티로폼 부력체는 내구성이 낮고 물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파도나 조류와 같은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될 수 있는 구조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수중 환경이 오염되고 부력체 교체에 따른 비용 증가를 초래하며, 심한 경우 부유식 지지체 전체가 균형을 상실하고 전복되어 고가의 대상 지지물을 손상시키는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As such, the plastic or styrofoam buoyant body has low durability and has a structural problem that can be easily broken even in small impacts such as waves and tides due to direct contact with water. This results in contamination of the underwater environment and increases the cost of replacing the buoyant body, and in severe cases, the floating support may lose its balance and overturn and cause serious problems of damaging the expensive support.

또한 종래의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별도의 부력체 위에 다시 철골 프레임을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floatable floating suppor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complicated in structure and requires a lot of cost because a steel frame needs to be connected to a separate buoyant body as described above.

특허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10-2015-138768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138768 특허문헌 2 :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04658호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04658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로 노출되는 별도의 부력체를 사용하지 않고 대상 지지물의 지지를 위해 사용되는 어느 일종의 지지부재가 자체적으로 부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구조 및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내구성을 높여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파손되지 않고 환경을 보호하며 저비용으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 a certain type of support member used for supporting a target support to have buoyancy itself without using a separate bushing body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increasing durability, Which can protect the environment without breakage and can be maintained at low cost fo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체 부력을 갖는 지지부재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그 밀폐공간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체를 설치하여 부유체가 물과 공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부유체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체적인 외관을 개선할 수 있는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를 제공하고자 한다.Further,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osed space is formed in a support member having a self-buoyant force, and a float providing buoyancy is provided in the closed space to maximize durability by preventing the floating body from directly contacting water and air Which is capable of improving the overall appearance by preventing the floating body from being expo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보행할 수 있는 발판을 미끄러지지 않는 구조로 제공하여 유지 관리를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 a floating type floating support which can be easily and easily maintained by providing a footrest that a user can walk on a non-slip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체 부력으로 수상에 부유하도록 제공되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상부에 상기 제1 지지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제공되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지지부재; 및 대상 지지물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상부에 돌출되게 제공되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3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는, 내부에 밀폐공간을 제공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밀폐공간에 내장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자체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부를 구성하는 캡부;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하부를 구성하고, 상기 캡부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컵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와 상기 컵부는 양단에 플랜지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캡부와 상기 컵부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캡부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컵부에 형성된 플랜지부가 서로 밀착되는,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members provided to float on the water phase by self-buoyancy,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member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so as to be dispos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third support members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to support the target support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first support member having a closed space An outer case provided; And a float which is embedded in the closed space and provides self-buoyancy to the first support member, wherein the outer case comprises: a cap part constituting an upper part of the outer case; And a cup portion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the cap portion. The cap portion and the cup portion are formed with flanges at both ends, respectively. When the cap portion and the cup por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re can be provided a floatable floating support in which a flange portion and a flange portion formed on the cup portion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의 개수는, 상기 제3 지지부재 : 상기 제1 지지부재 = 4 : 3의 비율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Further, the number of the first support members may be set to have a ratio of the third support member: the first support member = 4: 3.

또한 상기 제3 지지부재들의 사이에는 별도의 발판부재가 상기 제2 지지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Further, a separate foot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hird support members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second support member.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2 지지부재의 하부 상에서 상기 제3 지지부재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hird support members on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캡부는 발판의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캡부의 상부면에는 발판 기능의 제공시 보행자의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상기 캡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논슬립부가 제공될 수 있다.The cap portion of the outer case provides a function of a foot plate and a non-slip portion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p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ortion to prevent a slip of the pedestrian when the foot function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캡부의 상부면을 펀칭하여 형성되는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공 형성시 상기 캡부의 상부면에서 이탈된 부분은 상기 캡부의 표면으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밀려서 돌출되는 돌기를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non-slip portion may be formed by a long hole formed by punch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ortion, and a portion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ortion when the slot is formed may be protruded upward or downward from the surface of the cap portion .

또한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캡부에 2열로 제공되며, 상기 돌기들은 상기 캡부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돌기와 상방 돌출 또는 하방 돌출이 교대로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on-slip part may be provided in two rows in the cap part, and the protrusions may be provided so as to alternately form another protrusion which is adjac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p part and an upward protrusion or a down protrusion.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캡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1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상기 플랜지부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connection member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wherein the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vertical portion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cap portion;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through fastening means;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flange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through fastening means.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수평부의 끝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강성을 보강하는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수평부의 끝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강성을 보강하는 제2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reinforc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downward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a second reinforcing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connecting member.

또한 제3 지지부재는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직각 삼각형 구조로 제공되며,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대상 지지물이 설치될 수 있다.Also, the third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in a right triangular structure in which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target support may be provided on the inclined surface.

또한 상기 대상 지지물은 태양광 패널일 수 있다.The object support may also be a solar panel.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로 노출되는 별도의 부력체를 사용하지 않고 대상 지지물의 지지를 위해 사용되는 제1 지지부재가 자체적으로 부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전체의 구조 및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내구성을 높여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파손되지 않고 환경을 보호하며 저비용으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member used for supporting the target support without buoyancy externally exposed has its own buoyancy, thereby simplifying the entire structure and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atable support for a water-mounted structure which can be protec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t a low cost while protecting the environment without being damaged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자체 부력을 갖는 제1 지지부재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그 밀폐공간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체를 설치하여 부유체가 물과 공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부유체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체적인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osed space is formed in the first support member having a buoyant force and a float providing buoyancy is provided in the closed space so that the floating body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water and air The durability is maximized and the floating body is not exposed,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appearan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보행할 수 있는 발판을 제1 지지부재에 일체로 형성하고 미끄러지지 않는 구조로 제공하여 부유식 지지체의 유지 관리를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rest which the user can walk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provided with a non-slip structure, so that the maintenance of the floating support can be easily and easi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재 및 논슬립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지지부재와의 관계에서 연결부재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을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ating type floating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3 is a side view of a float-type floating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llustrates a first support member and a non-slip sec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first support memb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first supporting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bending stress acting on a connecting member in relation to a second supporting memb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many aspects of the claimed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form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for clarity.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its various embodiments, it is intended to illustrate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such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10,20)에 대하여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floating structure floating supports 10 and 20 according to respec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재 및 논슬립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지지부재와의 관계에서 연결부재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ating type floating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FIG. 3 is a side view of a floating type floating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first supporting member and a non-slipping par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irst supporting memb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7 is a view showing a bending stress acting on a connecting member in relation to a second supporting memb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10)는 제1 지지부재(100), 제2 지지부재(200), 제3 지지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서 상기 제1 지지부재(100)는 외부 케이스(110) 및 부유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 floating type floating suppor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100, a second support member 200, a third support member 300, Wherein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may include an outer case 110 and a float 120.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재(100)는 자체 부력으로 수상에 부유하도록 제공되는 요소로서, 태양광 패널과 같은 대상 지지물(310)을 지지하기 위한 역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부력을 보유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지지체 전체를 수상에 부유시키기 위한 역할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is an element provided to float on the water main by its own buoyancy. Since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retains buoyancy itself as well 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object support 310 such as a solar panel, A role for flooding the entire floating support according to the example to the water phase can be performed in combination.

제1 지지부재(100)는 상기 부유식 지지체 전체를 물에 띄우기 위한 부력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웃하는 다른 제1 지지부재(10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 지지부재(200) 및 제3 지지부재(300)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균등하게 부담하여 부유식 지지체 전체를 안정적으로 수상에 부유시킬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10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at least two or more in order to provide buoyancy for flooding the entire floating support 100.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load applied from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300 is equally burdened, so that the entire floating support can be stably suspended in the water phase.

제1 지지부재(100)는 그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볼 때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막대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may have a circular or square cross-section, and may be provided with a bar structure that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whole.

본 실시예는 예시적으로 수평 방향이 수직 방향에 비해 더 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막대 구조로 구현되었는데, 필요에 따라 이와 다른 형상이나 구조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부재(100)의 구체적인 구조 및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embodied as a rod structur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which is long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way of example, bu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hapes or structures as necessary. The detailed structure and configura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한편, 상기 제2 지지부재(200)는 제1 지지부재(100)의 상부에서 제1 지지부재(10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가 제공되는 요소이다.The second support member 200 is an element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제2 지지부재(200) 역시 이웃하는 다른 제2 지지부재(20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지지부재(200)는 다른 제2 지지부재(200)와 반드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그 간격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ember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neighboring second support members 2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However,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econd support members 200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interval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s needed.

또한, 본 실시예는 도면상 제2 지지부재(200)가 제1 지지부재(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구현되었으나, 반드시 직교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면 충분하다.Althoug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 is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but i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Once deployed is sufficient.

또한, 상기 제3 지지부재(300)는 태양광 패널과 같은 대상 지지물(310)과 직접 접촉하면서 그 대상 지지물(310)을 지지하기 위해 제2 지지부재(200)의 상부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요소이다.The third support member 300 may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 to support the target support 310 in direct contact with the target support 310 such as a solar panel Element.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지지부재(300) 역시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웃하는 다른 제3 지지부재(30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a plurality of third support members 300 may be provided, and the third support members 300 may be spaced from the neighboring third support members 3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여기서, 제3 지지부재(300)는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직각 삼각형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지지부재(200) 위에 고정 결합되는 프레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3 지지부재(300)는 제2 지지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third support member 300 may be provided in a right triangle structure in which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one side, and may be implemented as a frame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 The third support members 300 may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

제3 지지부재(300)의 경사면에는 지지하고자 하는 대상 지지물(31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대상 지지물(310)이 태양광 패널인 경우 다량의 태양광을 효과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상기 경사면은 태양의 남중 고도를 고려하여 그 각도가 설정될 수 있다.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hird support member 300 may be provided with a target support 310 to support the target support 310. When the target support 310 is a solar panel, The angle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altitude of the southern part of the sun.

이하, 상기 제1 지지부재(100)의 구성 및 구조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structur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제1 지지부재(100)는 외부 케이스(110)와, 그 외부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100 may include an outer case 110 and a float 120 provided inside the outer case 110 to provide buoyancy.

외부 케이스(110)는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면서 그 밀폐공간의 외부를 둘러싸서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분할된 캡부(111)와 컵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outer case 110 includes a cap portion 111, which is divided into a symmetrical structure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a cup portion 112. [0033]

캡부(111)는 외부 케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요소로서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컵부(112)는 외부 케이스(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요소로서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a) 참조)The cap part 111 is formed to be convex upward as an element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outer case 110 and the cup part 112 may be recessed downward as an element disposed on the lower part of the outer case 110. (See Fig. 5 (a)).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분할된 캡부(111)와 컵부(112)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b) 참조)The cap portion 111 and the cup portion 112, which are divided into a symmetrical structure,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closed space therein. (See Fig. 5 (b)).

또한 분할된 캡부(111)와 컵부(112)가 서로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외부 케이스(110)(캡부(111)와 컵부(112))의 양단에는 소정 길이로 돌출 연장된 플랜지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A flange portion 113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outer case 110 (the cap portion 111 and the cup portion 112) so as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divided cap portion 111 and the cup portion 112 can be easily engaged with each other. .

따라서, 캡부(111)의 플랜지부(113)와 컵부(112)의 플랜지부(113)가 서로 맞닿게 밀착시키고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b)을 통해 결합시킴으로써 내부의 밀폐공간으로 외부의 물이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도 5의 (c) 참조)The flange portion 113 of the cap portion 111 and the flange portion 113 of the cup portion 112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fastening means b such as a bolt, It is possible to seal the inside so as to prevent the inflow of air (see Fig. 5 (c)).

또한, 상기 외부 케이스(110)는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부식이 되지 않아야 하고 중량이 가벼워야 하는바, 그 재질은 상대적으로 가볍고 내식성이 강한 금속인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여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uter case 110 is an element directly contacting with water, it should not be corroded and should be light in weight. The material of the outer case 110 may be provided by extruding and molding aluminum, which is a relatively light and corrosion- have.

그러나, 외부 케이스(110)가 반드시 알루미늄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량이면서 내식성이 강한 것이라면 다른 재질(아연도금강판)로도 제작될 수 있다.However, the outer case 110 is not necessarily made of aluminum, but may be made of another material (galvanized steel) as long as it is lightweight and strong in corrosion resistance.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체(120)는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밀폐공간에 내장되어 제1 지지부재(100)가 자체 부유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요소이다. 부유체(120)는 외부 케이스(110)의 밀폐공간 내에 PE 폼(polyethylene form)을 채우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float 120 is an element that is embedded in the closed space of the outer case 110 and provides buoyancy so that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floats on its own. The float 120 may be installed in the sealed space of the outer case 110 to fill the polyethylene foam.

여기서, 부유체(120)는 외부 케이스(110)에 의해 둘러 쌓여 외부의 수분이나 공기가 내부로 침투되지 못하고 보호되기 때문에 오랜 기간 경과하여도 부식되거나 변성,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동일한 부력을 제공하면서 부유체(120)의 손상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float 120 is enclosed by the outer case 110 and is protected from permeation of moisture or air outside, it is not corroded, denatured, or damaged even afte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damage of the float 120.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재(100)의 개수는 제3 지지부재(300)의 개수 대비 일정한 비율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first support members 100 may be set to have a constant ratio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the third support members 300.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부재(100)의 개수는 '제3 지지부재(300) : 제1 지지부재(100) = 4 : 3의 비율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1 and 2, the number of the first support members 100 is equal to the number of the third support member 300: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 4: 3. ≪ / RTI >

이러한 비율로 설정되는 이유는 최소한의 제1 지지부재(100) 개수로 부유식 지지체의 전체에 부력을 제공하기 위함인데, 다른 구성들은 비교적 가벼운 소재를 사용하여 최대한 경량화할 수 있기 때문에 무게에 대한 부담이 크지 않으나 제3 지지부재(300)에 설치되는 대상 지지물(310)은 상대적으로 무겁기 때문에 제1 지지부재(100)의 개수를 제3 지지부재(300)의 개수에 대비하여 최소한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ason for setting this ratio is to provide buoyancy to the entirety of the floating support with a minimum number of the first support members 100, since the other structures can be made as light as possible using relatively light materials, Since the target support 310 installed on the third support member 300 is relatively heavy, the number of the first support members 100 may be set to a minimum relative to the number of the third support members 300 desirable.

이에 따라 제1 지지부재(100)의 흘수가 50% 이하가 되도록 하는 조건에서 제1 지지부재(100)와 제3 지지부재(300)의 하중 관계를 고려하였을 때 가장 적절한 비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3 지지부재(300) 4개 당 3개의 제1 지지부재(100)를 사용할 때라는 것을 실험적으로 획득하였다.Accordingly, when considering the load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300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draf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is 50% or less, It is experimentally obtained that three first support members 100 per four third support members 300 are used.

여기서, 제1 지지부재(100)의 설치 위치는 제2 지지부재(200)의 하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지지부재(200)의 양단에 제1 지지부재(100)가 각각 1개씩 배치되고 제2 지지부재(200)의 가운데에 1개가 배치되는 비율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최소한의 제1 지지부재(100)로 부유식 지지체의 안정적인 부유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Her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 The first support members 100 may be disposed one by one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s 200 may be provided at a center thereof. This is advantageous in that stable floating of the floating support can be expected with the minimum of the first support members 100.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지지부재(300)들의 사이에 별도의 발판부재(210)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foot member 21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hird support members 300 as shown in FIGS.

발판부재(210)는 부유식 지지체(10)의 유지, 관리, 보수를 위해 사용자가 제3 지지부재(300) 사이로 보행할 때 안정적으로 다닐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요소로서, 제2 지지부재(200)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제공될 수 있다.
The pedestal member 210 is an element that helps the user to stably move when walking between the third support members 300 for maintenanc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the floating support 10.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 As shown in FIG.

한편,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0)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부재(100)는 제2 지지부재(200)의 하부 상에서 제3 지지부재(300)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3,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support members 300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 (see FIG. 3) ≪ / RTI >

제3 지지부재(300)들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통로는 사용자가 유지, 보수, 관리를 위해 보행할 수 있는 곳이므로 보행자의 하중에 대한 반력을 직하방에서 제1 지지부재(100)의 부력이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재(100)는 제3 지지부재(300)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passageway formed between the third support members 300 is a place where the user can walk for maintenance, maintenance, and management, the reaction force against the load of the pedestrian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buoyancy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support members 300 so that the first support member 100 can be provided.

이때, 외부 케이스(110)의 캡부(1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수적으로 발판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ap part 111 of the outer case 110 may be implemented to provide the function of the footing part incidentally as shown in FIG.

상기 캡부(111)가 발판 기능도 함께 제공하게 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10)와 같이 별도의 발판부재(210)가 불필요하여 구성품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f the cap part 111 is also provided with a footing function, a separate footing member 210 is unnecessary as in the embodimen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thus the cost can be reduced .

캡부(111)가 발판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경우, 캡부(111)의 상부면에는 보행자의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논슬립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4 (a) and 1 (b), when the cap part 111 is provided with a step functio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cap part 111 is set to be A non-slip portion 130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may be formed.

논슬립부(130)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111)의 상부면을 펀칭하여 형성되는 장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장공 형성시 펀칭에 의해 캡부(111)의 상부면에서 이탈된 부분은 캡부(111)에서 완전히 떨어져 나가는 것이 아니라 캡부(111)의 표면으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밀려서 돌출되는 돌기(131)를 제공할 수 있다.The non-slipping part 130 may be formed as a long hole formed by punch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art 111 as shown in FIG. 4 (c). When the slip part 130 is punched ou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art 111 The protruding portion can be provided not to completely separate from the cap portion 111 but to protrude upwardly or downwardly from the surface of the cap portion 111 to protrude.

또한, 상기 논슬립부(130)는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111)에 2열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131)들은 캡부(1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돌기(131)와 상방 돌출 또는 하방 돌출이 교대로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캡부(111)의 상부면을 보행하는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4 (a) and 4 (b), the non-slipping part 130 may be provided in two lines in the cap part 111, and the projections 131 may b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p part 111 And the other projections 131 adjacent in the width direction are formed alternately with upward projecting or downward project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destrian, which is walk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ortion 111, from slipp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는 모두 상기한 구성 이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100)와 제2 지지부재(200)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6 and 6,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100 and 20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400 (not shown) ).

따라서, 제1 지지부재(100)는 연결부재(400)를 매개로 제2 지지부재(2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제1 지지부재(100)와 제2 지지부재(200)를 분해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ing member 10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00 via the connecting member 400 so that the first supporting member 100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00 Can be disassembled.

연결부재(400)는 전체적으로 볼 때 내부가 비어있는 쉘 형상의 빔에서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직부(410)와 제1 수평부(420) 및 제2 수평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4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is opened from a shell-shaped beam having an empty interior, and the vertical member 410, the first horizontal member 420 and the second horizontal member 430 .

수직부(410)는 연결부재(400)에서 수직 부분을 형성하는 구성 요소로서, 외부 케이스(110)의 캡부(111)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portion 410 is a component that forms a vertical portion in the connecting member 400 and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cap portion 111 of the outer case 110.

또한 제1 수평부(420)는 수직부(410)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며, 제2 지지부재(200)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b)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horizontal portion 420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4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 through a fastening means b such as a bolt.

또한 제2 수평부(430)는 수직부(410)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며, 제1 지지부재(100)(구체적으로, 외부 케이스(110))의 플랜지부(113)에 체결수단(b)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horizontal part 430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art 410 and is fastened to the flange part 113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100 (specifically, the outer case 110) (b).

또한, 연결부재(400)는 제1 지지부재(100)와 제2 지지부재(200) 사이에서 반복적인 굽힘 응력을 받게 되는데, 이를 보강하기 위해 제1 보강부(440) 및 제2 보강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400 receives repeated bending stress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member 100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00. In order to reinforce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440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200, 450).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0)는 일측이 개방된 중공 구조의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 지지부재(100)와 제2 지지부재(200)를 서로 연결하는데, 연결부재(400)와 제2 지지부재(200)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연결부재(400)의 상부에는 제2 지지부재(200)에 의해 반복적으로 굽힘 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연결부재(400) 상에서 제2 지지부재(200)와 만나는 지점에 굽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member 400 has a long bar shape having a hollow structure with one side opened and connects the first supporting member 100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00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member 400, 2 support members 200 are arrang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bending stress is repeatedly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400 by the second support member 200. Therefore, when the time elapses, bending deformation may occur at a point where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00 meets the connecting member 400.

연결부재(400)에 굽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부재(4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제1 보강부(440) 및 제2 보강부(450)가 제공된다.A first reinforcing portion 440 and a second reinforcing portion 450 are provided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in order to prevent the connection member 400 from being bent.

제1 보강부(440)는 제1 수평부(420)의 끝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연결부재(4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제2 보강부(450)는 제2 수평부(430)의 끝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연결부재(4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440 may be bent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420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The second reinforcing part 450 may extend up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part 430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connecting part 400.

제1 보강부(440)와 제2 보강부(450)에 의해 연결부재(400) 전체가 굽힘 응력에 대해 보강되는 원리를 설명하면, 제1 보강부(440) 및 제2 보강부(45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평부(420) 및 제2 수평부(430)로부터 각각 절곡되고 연결부재(400)가 제2 지지부재(200)와 교차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연결부재(400)에 굽힘 응력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할 때 제1 보강부(440)와 제2 보강부(450)에 의해 절곡된 구조는 그렇지 않은 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형이 어렵게 되고, 이는 다시 말하면 연결부재(400)의 강성이 증대되어 연결부재(400)에 굽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440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45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440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450.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440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450 reinforce the connecting member 400 with respect to the bending stress, Since the connecting member 400 is bent in the first horizontal part 420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 430 and the connecting member 400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00, 400 are deformed by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440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450 when the bending stress acts as shown in FIG. The rigidity of the linking member 400 is increased and the occurrence of bending deformation in the linking member 400 can be suppressed.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 20 : 부유식 지지체
100 : 제1 지지부재 110 : 외부 케이스
111 : 캡부 112 : 컵부
113 : 플랜지부 120 : 부유체
130 : 논슬립부 131 : 돌기
200 : 제2 지지부재 210 : 발판부재
300 : 제3 지지부재 310 : 대상 지지물
400 : 연결부재 410 : 수직부
420 : 제1 수평부 430 : 제2 수평부
440 : 제1 보강부 450 : 제2 보강부
10, 20: Floating support
100: first supporting member 110: outer case
111: cap part 112:
113: flange portion 120: float
130: Non-slip portion 131:
200: second support member 210: foot member
300: third supporting member 310: object supporting member
400: connecting member 410: vertical part
420: first horizontal part 430: second horizontal part
440: first reinforcing part 450: second reinforcing part

Claims (11)

자체 부력으로 수상에 부유하도록 제공되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상부에 상기 제1 지지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제공되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지지부재;
대상 지지물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상부에 돌출되게 제공되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3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며, 일측이 개방된 중공 구조의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는,
내부에 밀폐공간을 제공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밀폐공간에 내장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자체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부를 구성하는 캡부;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하부를 구성하고, 상기 캡부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컵부를 포함하여,
상기 캡부와 상기 컵부는 양단에 플랜지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캡부와 상기 컵부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캡부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컵부에 형성된 플랜지부가 서로 밀착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캡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1 수평부;
상기 수직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상기 플랜지부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2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끝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강성을 보강하는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2 수평부의 끝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강성을 보강하는 제2 보강부를 포함하는,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members provided to float on the water phase by self-buoyancy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member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so as to be dispos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plurality of third support members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to support the target support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nd a connection member having a long rod shape and having a hollow structure and detachably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having one side opened,
Wherein the first support member comprises:
An outer case for providing a sealed space therein; And
And a float that is built in the closed space and provides self-buoyancy to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outer case includes:
A cap portion constituting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case; And
And a cup portion that forms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case and is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the cap portion,
Wherein the flange portion formed on the cap portion and the flange portion formed on the cup portion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cap portion and the cup por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vertical portion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cap portion;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through fastening means;
A second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a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flange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through fastening means;
A first reinforcing part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art downward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And a second reinforcing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connecting member.
Floating support for water install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의 개수는, 상기 제3 지지부재 : 상기 제1 지지부재 = 4 : 3의 비율을 갖도록 설정되는,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umber of the first support members is set to have a ratio of the third support member: the first support member = 4: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부재들의 사이에는 별도의 발판부재가 상기 제2 지지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eparate foot member is provided along the direction crossing the second support member between the third support members.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2 지지부재의 하부 상에서 상기 제3 지지부재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support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support members on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기 캡부는 발판의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캡부의 상부면에는 발판 기능의 제공시 보행자의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상기 캡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논슬립부가 제공되는,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ap portion of the outer case provides a function of a foot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ortion is provided with a non-slip portion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p portion to prevent slippage of the pedestrian when providing a footing function, Floating suppor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캡부의 상부면을 펀칭하여 형성되는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공 형성시 상기 캡부의 상부면에서 이탈된 부분은 상기 캡부의 표면으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밀려서 돌출되는 돌기를 제공하는,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non-slip part is formed by a long hole formed by punch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art, and a part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art when the long hole is formed is protruded upward or downward from the surface of the cap part, Floating support for water installation.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캡부에 2열로 제공되며,
상기 돌기들은 상기 캡부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돌기와 상방 돌출 또는 하방 돌출이 교대로 형성되도록 제공되는,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non-slip portion is provided in two rows in the cap portion,
Wherein the protrusions are provided so as to alternately form upward protrusions or downward protrusions with other protrusion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p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제3 지지부재는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직각 삼각형 구조로 제공되며,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대상 지지물이 설치되는,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support member is provided in a right triangular structure in which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one side and the target support is provided in the inclined surface.
제1 항 또는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지지물은 태양광 패널인,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0,
Wherein the object support is a solar panel.
KR1020170034066A 2016-06-16 2017-03-17 Floating supporter KR10184335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961 2016-06-16
KR20160074961 2016-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099A KR20170142099A (en) 2017-12-27
KR101843354B1 true KR101843354B1 (en) 2018-03-29

Family

ID=60938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066A KR101843354B1 (en) 2016-06-16 2017-03-17 Floating suppo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35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8178B1 (en) 2021-05-10 2022-11-24 The Green World Company Floating B V Raft for carrying solar pane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973A (en) * 2018-12-31 2020-07-08 (주)케이쏠라프라자 Solar Power Plant Buoyancy using Aluminium Tube with Balancing Blade
WO2021002559A1 (en) * 2019-07-03 2021-01-07 주식회사 네모이엔지 Floating structure for water solar power facility
KR102250159B1 (en) * 2019-07-03 2021-05-10 주식회사 네모이엔지 Floating assembly for water floating solar power plant
KR102076628B1 (en) * 2019-11-26 2020-02-12 주식회사 네모이엔지 Apparatus for water floating solar power plant
KR102579679B1 (en) * 2021-01-25 2023-09-18 에이치디현대에너지솔루션(주) Structure for floating photovoltaics system
KR102371452B1 (en) * 2021-09-09 2022-03-04 홍정주 Floating Photovoltaic Panel Installation Unit Structure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872B1 (en) * 2016-01-18 2016-06-14 (주) 태광 The light of the sun Buoys and aquatic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the install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872B1 (en) * 2016-01-18 2016-06-14 (주) 태광 The light of the sun Buoys and aquatic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the installation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8178B1 (en) 2021-05-10 2022-11-24 The Green World Company Floating B V Raft for carrying solar pa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099A (en)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354B1 (en) Floating supporter
US20130240025A1 (en) Buoyant solar panel, and solar power plant consisting of an assembly of said panels
KR101012954B1 (en) Structure for Arraying Solar Cell Array
KR102132647B1 (en) Supporter of solar panel
KR101890026B1 (en) Buoyancy frame module for solar panel
KR20090129001A (en) A bridge structure of floating type
KR101821127B1 (en)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ng system
KR101134524B1 (en) Solar energy generating facility of compressed buoy type
CN112203934A (en) Floatable structure and system
CN107453690B (en) Connection floating body of floating type photovoltaic array on water
KR102076628B1 (en) Apparatus for water floating solar power plant
US20180102732A1 (en) Waterborne photovoltaic system
KR102385735B1 (en) Multipurpose transparent fence barrier assembly
KR102162397B1 (en) Floating structure for solar panel
KR20170030984A (en) Floating structure module for solar module and solar power generation complex on water using the same
KR102318201B1 (en) Floating photovoltaic equipment
KR20170016236A (en) Cylindrical buoyancy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solar generation module using of the same
KR102162066B1 (en) Non-perforated solar power generation floating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250159B1 (en) Floating assembly for water floating solar power plant
KR101240139B1 (en) Subsidence prevention device of agricultural support
KR101312920B1 (en) Pontoon shaped stiffener, pontoon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ntoon assembly
KR20120007987U (en) The float for a farm
KR101977110B1 (en) Floating bridge structure
JP2014005657A (en) Aerial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KR102296785B1 (en) Water solar generating facility using mooring device and bird extermin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