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851A -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851A
KR20230130851A KR1020220027951A KR20220027951A KR20230130851A KR 20230130851 A KR20230130851 A KR 20230130851A KR 1020220027951 A KR1020220027951 A KR 1020220027951A KR 20220027951 A KR20220027951 A KR 20220027951A KR 20230130851 A KR20230130851 A KR 20230130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treatment device
exterior
inner tub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케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케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케어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27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0851A/ko
Publication of KR20230130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85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68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61B17/32009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with additional movable means for clamping or cutting tissue, e.g. with a pivoting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61B2018/00071Electrical conductivity
    • A61B2018/00083Electrical conductivity low, i.e. electrically ins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9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ing two or more different kinds of non-mechanical energy or combining one or more non-mechanical energies with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43Modular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nt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파와 고주파를 통하여 생체 조직을 절개 및 봉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와 고주파를 동시에 발생시켜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가지는 치료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료 장치{Surgical Instrumen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파와 고주파를 통하여 생체 조직을 절개 및 봉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복강경 시술 등에 있어서, 초음파 진동을 사용하는 초음파 기구 및 고주파 전류를 사용하는 고주파 기구가 각각 수술 기구로서 공지되어 있다. 초음파 기구는 초음파 진동으로 조직을 가열함으로써 생체 조직을 응고시켜서 절단 또는 봉합할 수 있다. 고주파 기구는 생체 조직에 전류가 흐르는 전극을 접촉시킴으로써 생체 조직을 지져서 절단 또는 봉합할 수 있다.
그러나 초음파 진동은 진동의 강도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생체조직을 절개하는데 더욱 특화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고주파 전극에 의한 발열 역시 강도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생체조직을 봉합하는데 더욱 특화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과 고주파 전극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면 절단과 봉합이라는 두 치료기작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즉각적인 조직응고와 혈관봉합을 가능하게 하여 수술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높여서 환자의 신체 내부의 생체조직에 대하여 매우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 진동과 고주파 전극을 동시에 발생시켜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장치의 개발이 시급하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음파와 고주파를 동시에 발생시켜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가지는 치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가압부와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가압부에 회전동작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가 상기 고정부와 접촉과 분리를 반복할 수 있는 포셉부를 가지는 치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셉부의 상기 가압부의 일측과 힌지결합하는 외관;
상기 포셉부의 상기 가압부의 타측과 힌지결합하고, 상기 외관에 삽입 설치되는 내관;
일측은 상기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관에 삽입 설치되는 로드; 및
상기 외관과 상기 로드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내관이 상기 외관과 상대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핸들부;를 가지는 치료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핸들부 내부에는 진동에너지를 생성하는 트랜스듀서가 설치되고, 상기 트랜스듀서는 상기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로드를 진동시켜 상기 고정부에서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핸들부 내부에는 상기 외관과 연결되는 외관전원공급선과 상기 로드와 연결되는 로드전원공급선이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서 고주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외관의 내주면에는 절연코팅층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내관과 상기 로드 사이를 이격시킴과 동시에 상기 내관의 왕복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스페이서가 복수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와 고주파를 동시에 발생시켜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가지는 치료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장치의 삽입부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삽입부에서 내관이 외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여 포셉부의 가압부가 고정부를 가압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삽입부의 외주면에 흡입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삽입부가 결합되는 핸들부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핸들부를 구성하는 치료제어부의 결합부위와 트랜스듀서부의 결합부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장치의 삽입부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삽입부에서 내관이 외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여 포셉부의 가압부가 고정부를 가압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삽입부의 외주면에 흡입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삽입부가 결합되는 핸들부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핸들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결합부위인 제1결합부와 트랜스듀서부의 결합부위인 제2결합부를 나타낸다.
도 5(a)는 제1결합부를 나타내고, 도 5(b)는 제2결합부의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장치(10)는 복강경 시술 등을 위하여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하여 생체조직, 혈관조직 등을 절단하거나 봉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치료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료장치(10)는 삽입부(200)와, 삽입부(200)가 고정 설치되는 핸들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200)는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부(400)는 사용자인 의사 등이 잡고, 삽입하거나 인출하거나 포셉의 가압부(110)를 가압하거나 초음파 또는/및 고주파를 이시적 또는 동시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서 시술시 삽입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료장치(10)에서 삽입부(200)의 끝단은 포셉부(100)가 배치되고 포셉부(100)는 가압부(110)와 고정부(120)를 가지고, 상기 가압부(110)에 회전동작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110)가 상기 고정부(120)와 접촉과 분리를 반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료장치(10)는 외관(210)과, 내관(220)과, 로드(230)와, 핸들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관(210)은 포셉부(100)의 가압부(110)의 일측과 힌지결합할 수 있고, 내관(220)은 포셉부(100)의 가압부(110)의 타측과 힌지결합하고, 외관(210)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로드(230)는 그 일측은 고정부(120)를 형성하고, 내관(220)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핸들부(400)는 외관(210)과 로드(230)가 고정설치되고, 내관(220)이 외관(210)과 상대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핸들부(400) 내부에는 진동에너지를 생성하는 트랜스듀서(55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스듀서(550)는 로드(230)와 연결되어 로드(230)를 진동시켜 고정부(120)에서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핸들부(400) 내부에는 외관(210)과 연결되는 외관전원공급선(C1)과 로드(230)와 연결되는 로드전원공급선(C2)이 배치될 수 있고, 가압부(110)와 고정부(120) 사이에서 고주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외관(210)의 내주면에는 절연코팅층이 배치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 내관(220)과 로드(230) 사이를 이격시킴과 동시에 내관(220)의 왕복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스페이서(240)가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장치(10)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료장치(10)에서 삽입부(200)에서 외관(210)은 삽입부(20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인 의사가 핸들부(400)를 그립하고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하는 부분일 수 있다. 외관(210)의 끝단에는 힌지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결합부는 가압부(110)와 외관(210)을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가압부(110)의 일측은 가압 기능을 수행하는 회전부(111)와 회전부(111)를 회전시키는 링크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링크부(112)와 내관(220)은 힌지결합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구조이며, 내부로 로드(230)가 관통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회전부(111)와 링크부(112)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며, 회전부(111)와 링크부(112)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에서 외관(210)의 힌지결합부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하에서 링크부(112)가 움직이면 회전부(111)도 움직여서 가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외관(210)의 타단부에는 외관전원공급선(C1)과 연결되며, 외관전원공급선(C1)은 외관(2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외관(210)은 고주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전극의 기능을 갖는다. 로드(230)의 타단부는 로드전원공급선(C2)과 연결되며, 로드전원공급선(C2)은 로드(2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로드(230)는 고주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전극의 기능을 갖는다.
외관(210)의 일측 끝단에는 가압부(11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외관전원공급선(C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외관(210)을 타고 이동하여 가압부(110)에 전해진다. 따라서 가압부(110)는 제1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로드(230)의 일단은 고정부(120)를 형성한다. 따라서 로드(230)전원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은 로드(230)를 타고 이동하여 로드(230)의 끝단인 고정부(120)에 전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가압부(110)와 고정부(120) 사이에서 고주파를 발생시킴으로서 치료장치(10)가 봉합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료장치(10)의 삽입부(200)는 외관(210)의 내부에는 내관(220)이 삽입 설치되고, 내관(220)의 내부에는 로드(230)가 삽입 설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로드(230)와 외관(210)은 핸들부(4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내관(220)은 로드(230)와 외관(210) 사이에서 이들 구성들과 상대 운동할 수 있다. 즉, 외관(210)과 로드(230)가 핸들부(4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관(220)은 직선 운동할 수 있다. 내관(220)의 타단부는 핸들부(400)에 인출과 인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핸들부(400)의 트리거부(430)와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트리거부(430)를 이동시키면 트리거부(430)와 연결된 내관(220)이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내관(220)의 일단은 가압부(110)의 링크부(112)와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내관(220)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링크부(112)를 끌고 들어가면, 회전부(111)가 회전하여 고정부(120)를 가압하게 되는 방식으로 포셉부(1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외관(210)과 내관(220) 사이는 공간이 거의 없으며 내관(220)은 외관(210)의 내부에서 거의 유격이 없는 상태로 직선 상대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외관(210)은 고주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전극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외관(210)의 내주면에는 절연코팅층이 형성되어 내측으로 전원이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드(230)의 일측 끝단인 고정부(120)는 가압부(110)가 가압시 가압력을 버티는 구성이므로 로드(230)는 내관(220) 내부에서 상하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 설치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관(220)의 내부와 로드(230) 사이에 스페이서(240) 구성을 설치하여 로드(230)가 내관(220)의 내부에 직접 접촉하기 않고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하에서 로드(230)는 내관(220)의 내부에서 내관(220)의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으며, 내관(220)은 로드(230)와 상대 운동이 가능해 진다. 스페이서(240)는 내관(220)의 내주면으로부터 로드(230)를 이격시키는 기능과 동시에 내관(220)이 그 내부에 로드(230)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원활하게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페이서(240)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오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 개의 오링은 내관(220)의 내주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에서 로드(230)는 고주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전극으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전달체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 로드(230)의 타단은 트랜스듀서(55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트랜스듀서(550)와 로드(230)의 타단 사이에 진동증폭부(540)가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이하여 트랜스듀서(550)에서 생성된 진동은 진동증폭부(540)를 통하여 설계값에 부합하게 증폭된 뒤에 로드(230)를 타고 이동하여 고정부(120)를 타고 발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부(200)는 흡입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300)는 삽입부(200)가 환자의 신체 내부로 삽입된 경우 석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혈관 등을 봉합할 때 발생하는 혈액, 조직 등을 석션함으로써 조직 주변을 정리할 수 있다.
흡입부(300)는 삽입부(20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의 흡입외관(3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흡입외관(310)의 일단은 외관(210)의 끝단과 동심원을 가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흡입외관(310)의 타단은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흡입부(300)는 일측면은 외관(210)의 외주면이 형성하고, 타측면은 흡입외관(310)의 내주면이 형성하며, 흡입부(300)의 일단은 개구되고, 타단은 폐쇄되는 구조(340)를 가질 수 있으며, 흡입외관(310)의 일측에는 석션 엑추에이터와 연결되는 연결구(32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흡입부(300)의 일측에는 온도센서(3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온도센서(350)를 통하여 타겟부위의 온도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온도정보에 기초하여 초음파 또는/및 고주파의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온도센서(350)는 실시예에 따라서 흡입부(300)의 개구부(330)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흡입외관(310)과 외관(210) 사이에는 흡입외관(310)의 내주면과 외관(210)의 외주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이격되도록 브릿지가 설치될 수 있다. 브릿지는 흡입외관(310)의 내주면과 외관(210)의 외주면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음압이 걸리도록 하여 석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치료장치(10)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료장치(10)는 실질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치료장치(10)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신체 내부로 삽입되어 치료를 위하여 초음파와 고주파를 동시에 발생시키고, 타겟부위를 가압할 수 있는 포셉부(100);
끝단에 상기 포셉부(100)가 배치되고, 상기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을 전달하며, 상기 고주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삽입부(200); 및
상기 삽입부(200)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포셉부(100)를 동작시키고, 상기 초음파를 생성하는 트랜스듀서(550)와 상기 고주파를 생성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핸들부(400);를 포함하는 치료장치(10)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포셉부(100)는 가압부(110)와 고정부(120)를 가지고, 상기 가압부(110)에 회전동작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110)가 상기 고정부(120)와 접촉과 분리를 반복할 수 있고,
상기 삽입부(200)는 상기 가압부(110)의 일측과 힌지결합하는 외관(210)과, 상기 가압부(110)의 타측과 힌지결합하고, 상기 외관(210)에 삽입 설치되는 내관(220)과, 일측은 상기 고정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내관(220)에 삽입 설치되는 로드(230)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400) 내부에는 상기 외관(210)과 연결되는 외관전원공급선(C1)과 상기 로드(230)와 연결되는 로드전원공급선(C2)이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110)와 상기 고정부(120) 사이에서 고주파를 발생시키고,
상기 핸들부(400) 내부의 상기 트랜스듀서(550)는 상기 로드(230)와 연결되어 상기 로드(230)를 진동시켜 상기 고정부(120)에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핸들부(400)는,
상기 트랜스듀서(550)가 설치되는 트랜스듀서부(500); 및 상기 트랜스듀서부(50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그립부(420)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고주파와 상기 초음파를 제어할 수 있는 트리거부(430)를 포함하는 몸체부(41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몸체부(410)의 일측에는 상기 트랜스듀서부(500)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제1결합부(440)가 형성되고, 상기 트랜스듀서부(500)의 일측에는 상기 제1결합부(440)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5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440)는 중앙에는 상기 로드(230)와 연결되는 제1로드결합부(450)가 배치되고, 상기 제1로드결합부(450) 둘레에는 상기 외관전원공급선(C1) 및 상기 로드전원공급선(C2)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포고핀(460)이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제2결합부(510) 역시 상기 제1결합부(440)와 마찬가지로 중앙에 상기 제1로드결합부(450)와 결합하는 제2로드결합부(530)가 배치되고, 상기 제2로드결합부(530)의 둘레에 상기 복수의 포고핀(460)과 접속하는 포로핀접속부가 인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트랜스듀서부(500)의 내부에는 상기 트랜스듀서(550)가 생성하는 진동을 증폭시키는 진동증폭기가 설치되며, 상기 제2로드결합부(530)는 상기 진동증폭기의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로드결합부(450)와 제2로드결합부(530)는 상호 나사결합하여 타이트하게 결합할 수 있다. 나사결합을 통하여 제2로드결합부(530)가 생성하는 진동을 제1로드결합부(450)로 에너지 손실 없이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트랜스듀서부(500)의 타측에는 로드결합핸들부(570)가 설치될 수 있다. 로드결합핸들부(570)는 트랜스듀서(550)와 핸들연결부(560)를 통하여 연결되며, 트랜스듀서(550)는 진동증폭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하에서 트랜스듀서부(500)의 내부에는 제2로드결합부(530)와 진동증폭기와 트랜스듀서(550)와 핸들연결부(560)가 차례로 배치되고, 핸들연결부(560)는 트랜스듀서부(500)의 타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외부로 노출된 핸들연결부(560)의 끝단에는 로드결합핸들부(570)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하에서 트랜스듀서부(5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로드결합부(530)와 진동증폭기와 트랜스듀서(550)와 핸들연결부(560)는 일체로서 동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트랜스듀서부(500)의 내부에서 상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트랜스듀서부(500)의 제2결합부(510)를 몸체부(410)의 제1결합부(440)와 결합시킨 뒤에 로드결합핸들부(570)를 파지하고 돌려서 제1로드결합부(450)와 제2로드결합부(530)를 나사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트랜스듀서부(500)의 제2결합부(510)를 몸체부(410)의 제1결합부(440)에 삽입한 뒤에 45도 정도로 회전시키면 제1결합부(440)의 복수의 포고핀(460)과 제2결합부(510)의 복수의 포고핀접속부(520)가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면서 접촉하게 되고, 그 뒤에 로드결합핸들부(570)를 파지하고 돌려서 제2로드결합부(530)와 제1로드결합부(450)를 나사결합시켜서 트랜스듀서(550)와 진동증폭기와 로드(230)를 타이트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연결시킨 뒤에는 사용자는 그립부(420)를 파지하고 트리거부(430)를 조절함으로써 초음파와 고주파를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으며, 초음파에 의한 절단 치료와 고주파에 의한 봉합 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치료장치
100: 포셉부
110: 가압부
111: 회전부
112: 링크부
120: 고정부
200: 삽입부
210: 외관
220: 내관
230: 로드
240: 스페이서
300: 흡입부
310: 흡입외관
320: 연결구
330: 개구부
340: 페쇄 구조
350: 온도센서
400: 핸들부
410: 몸체부
420: 그립부
430: 트리거부
440: 제1결합부
450: 제1로드결합부
460: 포고핀
C1: 외관전원공급선
C2: 로드전원공급선
500: 트랜스듀서부
510: 제2결합부
520: 포고핀접속부
530: 제2로드결합부
540: 진동증폭부
550: 트랜스듀서
560: 핸들연결부
570: 로드결합핸들부

Claims (5)

  1. 가압부와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가압부에 회전동작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가 상기 고정부와 접촉과 분리를 반복할 수 있는 포셉부를 가지는 치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셉부의 상기 가압부의 일측과 힌지결합하는 외관;
    상기 포셉부의 상기 가압부의 타측과 힌지결합하고, 상기 외관에 삽입 설치되는 내관;
    일측은 상기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관에 삽입 설치되는 로드; 및
    상기 외관과 상기 로드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내관이 상기 외관과 상대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핸들부;
    를 가지는 치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 내부에는 진동에너지를 생성하는 트랜스듀서가 설치되고, 상기 트랜스듀서는 상기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로드를 진동시켜 상기 고정부에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 내부에는 상기 외관과 연결되는 외관전원공급선과 상기 로드와 연결되는 로드전원공급선이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서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의 내주면에는 절연코팅층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과 상기 로드 사이를 이격시킴과 동시에 상기 내관의 왕복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스페이서가 복수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장치.



KR1020220027951A 2022-03-04 2022-03-04 치료 장치 KR20230130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951A KR20230130851A (ko) 2022-03-04 2022-03-04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951A KR20230130851A (ko) 2022-03-04 2022-03-04 치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851A true KR20230130851A (ko) 2023-09-12

Family

ID=8801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951A KR20230130851A (ko) 2022-03-04 2022-03-04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08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0516B1 (en)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tool
TWI633869B (zh) 超音波外科手術器械
EP1478294B1 (en) Ultrasonic medical treatment device for rf cauterization
TWI721278B (zh) 超聲外科手術器械
US6736814B2 (en) Ultrasonic medical treatment device for bipolar RF cauterization and related method
JP6559693B2 (ja) 能動的要素と吸引ケージとを備える外科用器具
JP6532640B2 (ja) 流体ルーメンを画定する超音波導波管を備えた手術器具
JPH08299351A (ja) 超音波切開凝固装置
JP2018522629A (ja) 組織を切断及び凝固するための機器及び方法
US9750521B2 (en) Ultrasonic blade overmold
BR112016010807B1 (pt) Aparelho
HRP990264A2 (en) Neurosurgical endoscopic ultrasonic contact probe
US10835308B2 (en) Tube, tube unit, and suction/fluid supply unit
US20170172699A1 (en)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 with cleaning port
KR20230130851A (ko) 치료 장치
KR20230130850A (ko) 분리형 트랜스듀서를 가지는 치료 장치
BR112018012535B1 (pt) Instrumento cirúrgico ultrassônico com segmento tubular de guia de ondas acústicas
CN113905677A (zh) 刀接地机构和另选的销轴设计
JP2001037770A (ja) 超音波処置具
JP2004141342A (ja) 超音波手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