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375A - 해저 안착 구조를 구비한 잭킹 시공방식의 해상풍력발전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해저 안착 구조를 구비한 잭킹 시공방식의 해상풍력발전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375A
KR20230130375A KR1020220027460A KR20220027460A KR20230130375A KR 20230130375 A KR20230130375 A KR 20230130375A KR 1020220027460 A KR1020220027460 A KR 1020220027460A KR 20220027460 A KR20220027460 A KR 20220027460A KR 20230130375 A KR20230130375 A KR 20230130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upport
main body
wind power
offshore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국
유영호
최성수
박찬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콤스
콥스 주식회사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콤스, 콥스 주식회사,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콤스
Priority to KR1020220027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0375A/ko
Publication of KR20230130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5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offshore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10Assembly of wind motors; Arrangements for erecting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4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5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ffsh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7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ubmerged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 발전용 터빈 및 타워가 조립된 해상 부유 가능한 본체를 예인하여 이동시킨 후 잭업 장치를 통해 레그를 내려 설치가 이루어지되 해저 본체 하측의 안착구조물을 통해 하강하는 레그의 직진도를 향상시키고 레그로 인한 해저면의 세굴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저 안착 구조를 구비한 잭킹 시공방식의 해상풍력발전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저 안착 구조를 구비한 잭킹 시공방식의 해상풍력발전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Jacking type offshore wind farm structure with seabed setting 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해상풍력발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풍력 발전용 터빈 및 타워가 조립된 해상 부유 가능한 본체를 예인하여 이동시킨 후 잭업 장치를 통해 레그를 내려 설치가 이루어지되 해저 본체 하측의 안착구조물을 통해 하강하는 레그의 직진도를 향상시키고 레그로 인한 해저면의 세굴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저 안착 구조를 구비한 잭킹 시공방식의 해상풍력발전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의 고갈 및 연소에 따른 대기오염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친환경 재생에너지에 관한 많은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친환경 재생에너지인 풍력을 이용한 풍력발전은 수직으로 설치된 타워 상부에 바람을 통해 회전하는 대형 블레이드와 이를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 및 부속장비가 설치되는 구조를 구비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기본적으로 풍력발전장치는 외부에 대형의 블레이드가 노출되는 구조로, 충분한 전력생산을 위해 다수의 풍력발전기를 일정거리를 유지하여 설치하게 되므로 넓은 설치 공간이 요구된다.
특히 바람의 발생이 적을 경우 경제성이 크게 떨어질 뿐 아니라 대형 블레이드의 고속 회전시 발생하는 소음 및 발전기 가동 소음이 발생함에 따라 주로 도심에서 떨어진 외곽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나 이마저 적합한 입지 선정이 쉽지 않은 실정에서 해상에 풍력발전 구조물을 시공하고자 하는 방안이 활발히 검토되고 있다.
해상풍력발전 구조물은 바람을 비롯하여 풍랑, 조수의 움직임에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해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지대를 만들어 상부의 타워를 지지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근래에는 더 많은 전력확보를 위해 터빈의 크기도 커지고, 깊은 해저면에 설치가 요구되에 따라 이러한 방식을 통해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오일, 가스 채취를 위한 해상구조물에 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해저면의 암반층을 굴착 후 파일을 막는 파일링 방식이 많이 고려되었으나, 개별 터빈의 발전 능력에 한계로 인해 원하는 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수십 내지 수백 대의 풍력발전구조체가 필요한 상황에서 각 구조체가 모두 파일링 작업시 지반구조에 악영향을 줄 뿐 아니라 설치비 또한 과다하게 투입되어 실질적으로 경제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9681호(2012.10.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두에서 부유 가능한 본체에 발전용 터빈 및 타워를 미리 설치한 상태로 예인선을 통해 해상 이동 후 잭업장치를 사용하여 레그를 내려 설치가 이루어지되 레그와 함께 하강하는 안착구조물을 통해 하강하는 레그의 위치를 잡아주고 해저면 안착을 통해 세굴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해저 안착 지지체를 구비한 잭킹 시공방식의 해상풍력발전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 해저 안착 지지체를 구비한 잭킹 시공방식의 해상풍력발전 구조체는 해상풍력발전 구조체에 있어서, 수상에 부유 가능한 구조물로서, 테두리 측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제1지지부가 형성되고, 상측으로 타워 및 풍력발전 터빈이 설치되는 본체; 상기 제1지지부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봉 형상의 구조물로서, 하단에 측면으로 일부가 돌출된 원뿔형태의 스퍼드캔이 형성되며, 상기 스퍼드캔이 해저 암반층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를 해상에 위치한 상태로 지지하는 복수의 레그; 상기 본체 하측에 위치하되, 테두리 측으로 상기 레그가 관통되는 제2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퍼드캔을 통해 하측이 지지된 상태로 하강하며 해저면에 안착되는 지지체; 상기 제1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그를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 잭킹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잭킹수단은, 상기 레그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허용하거나 고정하도록 동작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되 상기 레그와 임시적인 결합 및 해체가 이루어지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를 상하측으로 움직이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잭킹수단 탈거 상태에서 레그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본체와 동일한 외형의 틀을 이루며 제2지지부가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 내측으로 결합되며 복수의 보강바로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부 내측에서 상기 레그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잡아주는 부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 해저 안착 지지체를 구비한 잭킹 시공방식의 해상풍력발전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육상에서 본체 중앙 상측으로 풍력발전 터빈을 조립후 지지체에 겹쳐지는 형태로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에 레그를 삽입 및 고정하는 준비 단계; 지지체 및 레그가 고정된 본체를 해상에 띄워 설치장소로 예인하는 단계; 제1지지부에 결합된 잭킹수단을 통해 레그 및 지지체를 하강시키되 상기 지지체를 퇴적층 해저면에 안착시키는 퇴적층 안착 단계; 잭킹수단을을 통해 레그가 퇴적층을 뚫고 암반층에 안착되도록 하강시키는 암반층 안착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구비된 레그를 개별적으로 승하강시키며 본체의 수평을 조절하는 레벨링 단계; 본체 수평 조절에 따라 각 제1지지부에 삽입된 레그를 고정 후 잭킹수단을 탈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유구조의 본체에 발전용 터빈 및 타워를 미리 설치한 상태로 해상 이동 후 임시설치된 잭업 장치를 사용하여 레그를 해저면 암반층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본체 하측에 스퍼드캔을 통해 지지되는 지지체를 통해 하강하는 레그의 직진도를 유지하고 지지체가 퇴적층에 안착됨에 따라 안정적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레그로 인한 세굴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 파일링 방식과 같은 별도의 설치 선단이 필요 없고, 개별 잭업 방식으로 레그가 설치 및 조절됨에 따라 굴곡이 있고 지반이 약한 해저면에도 원활한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전통적으로 해상구조체에 적용되던 헤머링을 통해 지반을 뚫어 삽입하는 자켓(Jacket) 방식에 비해 잭업 방식으로 레그가 퇴적층을 뚫고 암반층에 안착됨으로 지반이나 해저 환경에 대한 악영향 및 시공 소음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잭킹수단의 예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운송, 설치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운송, 설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해저 안착 지지체를 구비한 잭킹 시공방식의 해상풍력발전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해상에 풍력발전 터빈 및 상기 터빈을 지지하는 타워를 설치하기 위한 해상풍력발전 구조체로서, 기본적으로 수상에 부유 가능한 구조물인 본체(110)와, 해저면에 안착되는 지지체(120) 및 퇴적층을 ?娥? 암반층에 안착되는 레그(13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10)는 중앙 상측으로 풍력발전 터빈이 설치되는 구조체로, 타워를 통해 풍력발전에 적당한 높이에 터빈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해상에 부유하여 이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육상에서 타워(102) 및 풍력발전 터빈(101)을 본체에 미리 조립 후 시운전을 완료한 상태로 해상이동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해상에서 무거운 구성품을 조립하기 위한 대형해상크레인 및 이의 이동과 운용을 위한 선단이 필요치 않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110)는 상부에 타워(102) 및 풍력발전 터빈(101)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부력을 유지하며 전후좌우 측에서 바람이나 파도가 가해지더라도 쉽게 전복되지 않도록 적정한 면적을 갖도록 하되 복원성을 유지하고 흘수와 트림을 조절하기 위해 밸러스트를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육상에서 해상에 걸친 이동성을 비롯하여 해상설치에 따른 안정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평면이 삼각형 형상을 하도록 구성된 본체(110)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본체(110) 테두리 측으로는 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제1지지부(11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10)가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각의 꼭짓점 부분마다 총 3개의 제1지지부(111)가 형성되고 있으며, 만약 상기 본체가 4각형 형상일 경우 4개의 제1지지부가 형성되는 등 본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추후 해저면에 안정적으로 레그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적정한 수의 제1지지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1지지부(111)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봉 형상의 구조물인 레그(130)가 각각 삽입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레그(130)는 육상에서 제1지지부(111)에 끼워진 상태로 본체(110)가 설치장소로 예인된 후 하강하며 해저면에 지지되며 본체(110)가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레그(130) 하단에는 하단에 반경이 커졌다가 점차 작아지는 원뿔형태의 스퍼드캔(Spudcan, 131)이 형성되어 하강중 해저면의 퇴적 점토층, 퇴적 모래층, 풍화토와 같이 약한 부분을 뚫고 내려가되 역방향으로 빠지기는 상대적으로 어려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레그(130)는 상기 스퍼드캔(131)이 해저 암반층, 즉 풍화암 상측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해상에 위치한 상기 제1지지부(11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해상의 본체(110)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높이, 즉 길이를 갖도록 제작된다.
즉 설치장소의 사전조사를 통해 레그(130)의 하단이 해저 암반측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단은 상기 제1지지부(111) 상측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높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단면이 원형인 형태의 레그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사각형, 오각형 등등 다양한 단면을 갖도록 레그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120)는 해저 안착을 위한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상기 본체(110) 하측에 위치하되, 테두리 측으로 상기 레그(130)가 관통되는 제2지지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스퍼드캔(131)을 통해 하측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제2지지부(121)는 레그(13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크기의 구멍으로 상기 스퍼드캔(131)의 바깥지름보다는 작은 안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자중에 의해 상시 상기 스퍼드캔(131) 상측에 위치하며 레그(130)와 함께 하강하며 해저면에 안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10)가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지지체(120)도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본체(110)의 경우 판 형상으로 이뤄지고 있는데 반해 지지체(120)의 경우 수중 하강시 저항을 줄이기 위해 중앙부분이 비어있는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지지체(120)는 상기 본체(110)와 동일한 외형의 틀을 이루며 제2지지부(121)가 형성된 메인프레임(123)과, 상기 메인프레임(123) 내측으로 결합되며 복수의 보강바로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124)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수중에서 레그(130)의 하강과 함께 원활한 침강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2지지부(121) 내측에는 상기 레그(130)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잡아주되 구리와 같이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금속의 부싱(122)이 설치되어 마찰로 인한 제2지지부(121) 및 레그(13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111) 및 제2지지부(121)에 레그(130)를 삽입 후, 하강시키며 퇴적층을 뚫고 암반층에 안착시키는 방법에 있어, 해저면의 굴곡 등의 요인에도 본체(11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개별 레그(130)를 승하강시키고 레그(130)의 하단, 즉 상기 스퍼드캔(131)이 퇴적된 점토, 모래, 풍화토 등을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시공된 레그(13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시키기 위한 잭킹수단(140)과, 고정수단(150)이 구비된다.
상기 잭킹수단(140)은 상기 본체(110)의 제1지지부(111)에 임시 또는 고정설치 가능하며 삽입된 레그(13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구성으로, 렉앤피니언 방식이나 실린더앤핀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특수선의 도움없이 풍력발전 구조체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상기 잭킹수단(140)은 상기 레그(130) 외측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레그(130)를 하강 또는 상승시키게 된다.
현재 풍력발전 터빈의 전력생산 능력에 한계가 있으므로 예를 들어 1기가 와트 수준의 전력생산이 요구되는 풍력발전단지 조성시, 5메가와트의 전력생산능력을 갖는 풍력발전 터빈이 200개가 필요하므로, 적게는 수십 많게는 수백 단위의 풍력발전 구조체마다 고가의 잭킹수단을 모두 구비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에 레그(130)만 구비한 상태에서 시공 및 레벨링 작업에만 한시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잭킹수단(140)을 임시설치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소수, 3대가 1개 세트로 구성되는 잭킹수단(140)을 통해서 다수의 풍력발전 구조체를 시공할 수 있어 상당한 비용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잭킹수단(140)은 구체적으로 고정부(141) 및 이동부(142)와 액추에이터(143)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141)는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레그(130)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허용하거나 고정하도록 동작한다. 즉 상기 레그(130) 외측에 위치 고정되어 레그(130)에 접촉됨으로 레그(1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1동작과 레그(130)와의 접촉이 해제됨으로 레그(13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제2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바이스와 같이 레그(130) 외측을 잡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레그(130)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42)는 상기 고정부(141)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되,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141)와 동일한 원리를 통해 상기 레그(130)와 임시적인 결합 및 해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액추에이터(143)는 상기 이동부(142)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며, 전동, 공압, 유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길이 조절되는 실린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잭킹수단의 예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로서, 상측에 고정부(141) 하측에 이동부(142)가 각각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141) 및 이동부(142)와 액추에이터(143)의 유기적인 동작을 통해 레그(130)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레그(130)를 하측으로 내리는 동작을 기준으로, 먼저 상기 고정부(141)는 레그(130)를 고정하고 상기 이동부(142)는 고정이 해제된 상태로 상기 액추에이터(143)의 기동을 통해 레그(130)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부(142)가 상승한다. 이후 상기 이동부(142)는 레그(130)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141)는 고정을 해제하며 상기 엑추에이터(143)의 기동을 통해 이동부(142) 및 이에 고정된 레그(130)의 하강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고정부(141)는 레그(130)를 고정하고 상기 이동부(142)는 고정을 해제하여 초기상태가 되며, 이러한 절차가 반복되며 레그(130)의 하강이 이루어진다. 레그(130)의 상승은 동일한 구성을 통해 당연히 이의 반대 절차에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첨부된 도 4는 실린더앤핀 방식이 적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레그(130)에는 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핀홀(13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41) 및 이동부(142)에는 각각 상기 핀홀(132)에 삽입되어 레그(130)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핀(144)과 상기 핀을 움직여 핀홀(132)에 삽입하거나 핀홀(132)에 삽입된 핀(144)을 빼내도록 구동하는 실린더(145)가 구비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잭킹수단(140)이 각 제1지지부(111)에 임시설치 운용됨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잭킹수단(140) 탈거 상태에서 레그(1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111)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본체(11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그(130) 및 스퍼드캔(131)이 해저면 밑으로 삽입시 진직도가 매우 중요하며, 해저면에 안착된 상기 지지체(120)의 제2지지부(121)를 통해 레그(130)가 지지되며 직진도를 잡아주게 된다.
더불어 상기 레그(130)가 해저면 밑으로 삽입되며 설치를 마친 후 풍력 터빈운영시 레그(130)와 해저면 사이에 파도로 인한 세굴현상(파임 현상, Scour)이 발생하여 지지력을 약화시킬 수 있으나 상기 지지체(120)를 통해 이러한 이 세굴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견고한 설치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고정수단(150)은 레그(130)를 고정함에 있어서 다양한 공지의 수단을 적용할 수 있으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이스 구조로 레그(130)를 잡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첨부된 도 4를 통해 설명되는 상기 잭킹수단(140)과 동일하게 핀(144)과 실린더(145)를 구성하여 잭킹수단(140)의 탈거시에도 레그(1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10)를 해상에 띄워 터그 보트를 통해 이송시켜 해상에서 설치작업이 이루어짐에 있어 본체(110)의 수평유지 및 복원력 향상을 위한 밸러스트 탱크(113)와 더불어 상기 본체의 수평도를 측정하기 위한 수평감지부(11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감지부(112)는 다양한 장비의 수평유지장치에 사용되는 수평센서로서, 밸러스트 작업을 비롯하여 상기 레그(130)를 암반층에 안착시킴에 있어 본체(110)의 수평 여부를 확인시켜줌으로 원활한 레벨링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투시로서, 상기 본체(110) 내부에는 설정된 구획의 격실 형태로 구성된 밸러스트 탱크(113)가 형성된다. 이는 본체(11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체(110)가 삼각형 형상을 함에 따라 각 꼭짓점 측으로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3개의 밸러스트 탱크(113)가 구비된 모습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본체(110) 하측으로 해수와 연통되는 배관을 설치하여 상기 밸러스트 탱크(113)에 해수를 주입하거나, 반대로 상기 밸러스트 탱크(113)에 수용된 해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부(114) 및 밸브를 설치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레그(130)를 잭킹수단(140)을 통해 암반층까지 내리는 작업에 있어 사전 환경조사를 통해 암반층, 즉 풍화암 상측에 위치하여 뚫고 내려가야 할 퇴적점토층과 퇴적모래층과 풍화토의 깊이를 측정 후 작업이 이루어지지만 해저면의 바닥 높이가 평탄하지 않으므로 스퍼드캔의 암반층 도달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잭킹수단(140)은, 상기 레그(13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143) 구동에 소요되는 구동 소스를 감시하며 상기 스퍼드캔(131)의 위치를 퇴적점토층과 퇴적모래층과 풍화토와 풍화암으로 구분하여 판단하는 암반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암반감지부는 액추에이터(143)가 레그(130)를 움직임에 따라 가해지는 부하를 측정하여 레그(130)가 뚫고 내려가는 것이 용이한지 어려운지를 상대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즉 퇴적점토층과 퇴적모래층과 풍화토와 같이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토질의 경우 비교적 쉽게 뚫고 내려갈 수 있어 액추에이터(143)에 가해지는 부하는 상대적으로 가볍고 풍화암과 같은 암반층은 레그(130)가 쉽게 뚫을 수 없으므로 액추에이터(143)에 가해지는 부하가 상대적으로 커질 뿐 아니라 레그 하강에 따른 반작용으로 본체(110)가 들려 올려지게 되므로 스퍼드캔(131)이 암반층에 도달 여부를 상기 암반감지부 및 수평감지부(112)를 통해 해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추에이터(143)에 가해지는 부하는 전동식 액추에이터의 경우 투입되는 전류값의 변화, 유압이나 공압식 액추에이터의 경우는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 등을 통해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우리나라의 서해안과 같은 해저면에 굴곡이 많으면서 점토, 모래층이 형성되어 종래의 방식으로 해상구조물을 설치하기 어려운 환경에도 최적화된 시공방안이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운송, 설치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운송, 설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앞서 설명된 구성 및 구조를 기반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상풍력발전 구조체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첫 번째 준비 단계(S 110)에서는 육상에서 본체(110) 중앙 상측으로 풍력발전 터빈(101)을 조립후 지지체(120)에 겹쳐지는 형태로 제1지지부(111) 및 제2지지부(121)에 레그(130)를 삽입 및 고정한다. 이 작업은 육상의 크레인 또는 부두에 접안한 해상 크레인 등을 사용하게 되므로 해상에서 조립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시공방법 대비 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음 두 번째 예인하는 단계(S 120)에서는 지지체(120) 및 레그(130)가 고정된 본체(110)를 해상에 띄워 설치장소로 예인하게 된다. 선박을 진수하는 방식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타워(102) 및 풍력발전 터빈(101)이 설치된 본체(110)를 경사면을 통해 이동시켜 해상에 띄우거나 도킹 방식으로 도크에 준비된 본체(110)가 위치한 상태에서 해수면과 동일한 수위로 해수를 채워넣어 띄우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 단계(S 120)에서 레그(130)는 진수작업에 방해되지 않는 수준으로 지지체(120) 하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예인선을 통해 설치장소로 이동중, 필요시 밸러스트 탱크(113)에 해수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밸러스트 작업을 통해 진수 및 이동 중 본체(11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세 번째 퇴적층 안착 단계(S 130)에서는 제1지지부(111)에 결합된 잭킹수단(140)을 통해 레그(130) 및 지지체(120)를 하강시키되 상기 지지체(120)를 퇴적층 해저면에 안착시키게 된다. 구비된 레그(130)를 동시에 내리며 상기 지지체(120) 및 각 레그의 하단이 퇴적층 도달 여부를 확인하며, 필요시 밸러스트 작업을 통해 본체(11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네 번째 암반층 안착 단계(S 140)는 잭킹수단을(140)을 통해 레그(130)가 퇴적층을 뚫고 암반층에 안착되도록 하강시킨다.
다섯 번째 레벨링 단계(S 150)에서는 구비된 레그(130)를 개별적으로 승하강시키며 본체(110)의 수평을 세부적으로 조절하게 되며, 구비된 모든 레그(130)가 암반층에 안착된 상태에서 본체(110)가 수평을 유지함으로 잭킹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밸러스트 탱크(113)의 해수를 모두 비울 수 있다.
다음 여섯 번째 단계(S 160)에서는 본체(110) 수평 조절 및 에어갭 확보 후에 각 제1지지부(111)에 삽입된 레그(130)를 고정 후 잭킹수단(140)을 탈거함으로 시공작업을 완료한다. 이때 잭킹수단(140)의 탈거에 맞춰 구비된 고정수단(150)을 통해 레그(130)가 더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조치하게 된다. 이때 잭업의 경우 본체(110)가 수면으로부터 최소로 확보해야할 높이가 있으며 이를 에어갭이라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1: 터빈 102: 타워
110: 본체 111: 제1지지부
112: 수평감지부 113: 밸러스트 탱크
114: 펌프부 120: 지지체
121: 제2지지부 122: 부싱
123: 메인프레임 124: 지지프레임
130: 레그 131: 스퍼드캔
132: 핀홀 140: 잭킹수단
141: 고정부 142: 이동부
143: 액추에이터 144: 핀
145: 실린더 150: 고정수단

Claims (5)

  1. 해상풍력발전 구조체에 있어서,
    수상에 부유 가능한 구조물로서, 테두리 측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제1지지부(111)가 형성되고, 상측으로 타워(102) 및 풍력발전 터빈(101)이 설치되는 본체(110);
    상기 제1지지부(111)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봉 형상의 구조물로서, 하단에 측면으로 일부가 돌출된 원뿔형태의 스퍼드캔(131)이 형성되며, 상기 스퍼드캔(131)이 해저 암반층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를 해상에 위치한 상태로 지지하는 복수의 레그(130);
    상기 본체(110) 하측에 위치하되, 테두리 측으로 상기 레그(130)가 관통되는 제2지지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스퍼드캔(131)을 통해 하측이 지지된 상태로 하강하며 해저면에 안착되는 지지체(120);
    상기 제1지지부(111)에 설치되어 상기 레그(130)를 하강 또는 상승시키는 잭킹수단(140);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풍력발전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잭킹수단(140)은,
    상기 레그(130)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허용하거나 고정하도록 동작하는 고정부(141)와, 상기 고정부(141)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되 상기 레그(130)와 임시적인 결합 및 해체가 이루어지는 이동부(142)와, 상기 이동부(142)를 상하측으로 움직이는 액추에이터(143)로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111)에 설치되어, 상기 잭킹수단(140) 탈거 상태에서 레그(1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풍력발전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20)는,
    상기 본체(110)와 동일한 외형의 틀을 이루며 제2지지부(121)가 형성된 메인프레임(123)과, 상기 메인프레임(123) 내측으로 결합되며 복수의 보강바로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124)과, 상기 제2지지부(121) 내측에서 상기 레그(130)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잡아주는 부싱(1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풍력발전 구조체.
  4. 제1항에 따른 해상풍력발전 구조체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육상에서 본체(110) 중앙 상측으로 풍력발전 터빈(101)을 조립후 지지체(120)에 겹쳐지는 형태로 제1지지부(111) 및 제2지지부(121)에 레그(130)를 삽입 및 고정하는 준비 단계(S 110);
    지지체(120) 및 레그(130)가 고정된 본체(110)를 해상에 띄워 설치장소로 예인하는 단계(S 120);
    제1지지부(111)에 결합된 잭킹수단(140)을 통해 레그(130) 및 지지체(120)를 하강시키되 상기 지지체(120)를 퇴적층 해저면에 안착시키는 퇴적층 안착 단계(S 130);
    잭킹수단을(140)을 통해 레그(130)가 퇴적층을 뚫고 암반층에 안착되도록 하강시키는 암반층 안착 단계(S 14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풍력발전 구조체의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구비된 레그(130)를 개별적으로 승하강시키며 본체(110)의 수평을 조절하는 레벨링 단계(S 150);
    본체 수평 조절에 따라 각 제1지지부(111)에 삽입된 레그(130)를 고정 후 잭킹수단(140)을 탈거하는 단계(S 1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풍력발전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20220027460A 2022-03-03 2022-03-03 해저 안착 구조를 구비한 잭킹 시공방식의 해상풍력발전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130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460A KR20230130375A (ko) 2022-03-03 2022-03-03 해저 안착 구조를 구비한 잭킹 시공방식의 해상풍력발전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460A KR20230130375A (ko) 2022-03-03 2022-03-03 해저 안착 구조를 구비한 잭킹 시공방식의 해상풍력발전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375A true KR20230130375A (ko) 2023-09-12

Family

ID=8801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460A KR20230130375A (ko) 2022-03-03 2022-03-03 해저 안착 구조를 구비한 잭킹 시공방식의 해상풍력발전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037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681B1 (ko) 2012-07-24 2012-10-11 삼강엠앤티 주식회사 해상용 풍력발전기의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681B1 (ko) 2012-07-24 2012-10-11 삼강엠앤티 주식회사 해상용 풍력발전기의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0670B1 (en) Support structure for use in the offshore wind farm industry
US3896628A (en) Marine structures
KR101459649B1 (ko) 해상 지지구조물 설치를 위한 이중 부유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지지구조물 시공 방법
US9004819B2 (en) Installation method and recovery method for offshore wind turbine
CN103228909A (zh) 用于安装海上塔的方法
US4266887A (en) Self-elevating fixed platform
US4265568A (en) Gravity base, jack-up platform - method and apparatus
CN101837929B (zh) 一种在滩涂区域驳船吊装风机的作业方法
KR20230026975A (ko) 잭킹 방식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는 해상풍력발전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130375A (ko) 해저 안착 구조를 구비한 잭킹 시공방식의 해상풍력발전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6105044B2 (ja) 海上風力、橋および海上建造物用部分浮体式海上プラットホーム、および施工方法
WO2004074086A1 (en) Method for installing a self-floating deck structure onto a buoyant substructure
KR101544640B1 (ko) 구조물의 수평 조절 위한 석션기초 어셈블리, 석션기초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해상풍력 발전시설
JP6681225B2 (ja) 重力式構造物の水底への設置方法
KR102457037B1 (ko) 선 파일관입공법을 위한 템플릿 구조물과 이를 이용한 해양 하부 구조물 설치방법
CN105401564A (zh) 将潮流能发电装置固定于水底的施工方法和潮流发电装置
JP2019534401A (ja) 港湾プラント、及び港湾プラントに浮体を係留するための方法
CN110435846B (zh) 高精度半潜船沉管基体、及其预制施工平台和施工方法
US11131073B2 (en) Method for foundation of a transformer platform and transformer platform with at least three piles
KR101338570B1 (ko) 해양석유생산플래트폼과 이러한 플래트폼을 석유생산지에설치하는 방법
CN215906728U (zh) 浮式钻孔施工平台
DK2860314T3 (en) Gravity fundering
NL2005415C2 (en) Improvements in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multiple offshore constructions.
EP2918729B1 (en) Foundation base
US20230391430A1 (en) Pontoon for transporting and placing a marine wind turbine on the sea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