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040A - Mbs 관련된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Mbs 관련된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040A
KR20230130040A KR1020237026566A KR20237026566A KR20230130040A KR 20230130040 A KR20230130040 A KR 20230130040A KR 1020237026566 A KR1020237026566 A KR 1020237026566A KR 20237026566 A KR20237026566 A KR 20237026566A KR 20230130040 A KR20230130040 A KR 20230130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bs
network
data
smf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명준
김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30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0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multicast or broadcast services, e.g. MB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04W36/002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between different packet switched [PS] network technologies, e.g.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LTE and WLAN or LTE and 5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3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between licens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UE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에 가입(join)하는 단계; 상기 MBS를 위한 데이터는 5GS(5th generation system)에 의해 서빙되고, 상기 5GS에서 EPS(Evolved Packet System)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이후에 상기 MBS를 위한 데이터를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MBS에 대한 탈퇴(leave)를 결정하는 단계; PCO(Protocol Configuration Options)를 포함하는 NAS 신호를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PCO는 상기 UE의 상기 MBS에 대한 탈퇴(leave) 정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MBS 관련된 통신 방법
본 명세서는 이동통신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term evolution)는 고속 패킷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술이다. LTE 목표인 사용자와 사업자의 비용 절감, 서비스 품질 향상, 커버리지 확장 및 시스템 용량 증대를 위해 많은 방식이 제안되었다. 3GPP LTE는 상위 레벨 필요조건으로서 비트당 비용 절감, 서비스 유용성 향상, 주파수 밴드의 유연한 사용, 간단한 구조, 개방형 인터페이스 및 단말의 적절한 전력 소비를 요구한다.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및 3GPP에서 NR(new radio) 시스템에 대한 요구 사항 및 사양을 개발하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3GPP는 긴급한 시장 요구와 ITU-R(ITU radio communication sector)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20 프로세스가 제시하는 보다 장기적인 요구 사항을 모두 적시에 만족시키는 NR을 성공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구성 요소를 식별하고 개발해야 한다. 또한, NR은 먼 미래에도 무선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100 GHz에 이르는 임의의 스펙트럼 대역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NR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communications),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등을 포함하는 모든 배치 시나리오, 사용 시나리오, 요구 사항을 다루는 단일 기술 프레임 워크를 대상으로 한다. NR은 본질적으로 순방향 호환성이 있어야 한다.
단말이 5GS에서 MBS에 대하여 가입(join)한 후, EPS로 핸드오버한 뒤에 해당 MBS에 대한 탈퇴(leave)하는 방법이 문제된다.
단말이 해당 MBS에 대한 탈퇴(leave) 정보를 포함하는 PCO를 포함하는 NAS 신호를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MBS에 대한 탈퇴(leave)를 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양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절차를 통하여, 5GS에서 multicast 방식으로 전송되는 트래픽에 대해 UE가 EPS로 이동한 후에도 unicast 방식으로 전환하여 전송한 경우, 단말이 더 이상 MBS 서비스를 원하지 않을 때 MBS 트래픽에 대한 전송 중단 요청을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리소스를 막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일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나열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관련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related art)가 본 명세서로부터 이해하거나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적 효과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으로부터 이해되거나 유도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무선 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무선 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UE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5G 시스템 구조(system architecture)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MBS 트래픽 전달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도 7과 도 8은 N26 인터페이스로 단일 등록 모드를 위한 5GS에서 EPS로의 핸드오버의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1 개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제2 개시를 나타낸다.
도 11는 본 명세서의 제1 개시에 따른 단말의 절차를 나타낸다.
다음의 기법, 장치 및 시스템은 다양한 무선 다중 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을 포함한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또는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또는 E-UTRA(evolved UTRA)와 같은 무선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term evolution)는 E-UTRA를 이용한 E-UMTS(evolved UMTS)의 일부이다. 3GPP LTE는 하향링크(DL; downlink)에서 OFDMA를, 상향링크(UL; uplink)에서 SC-FDMA를 사용한다. 3GPP LTE의 진화는 LTE-A(advanced), LTE-A Pro, 및/또는 5G NR(new radio)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의 구현은 주로 3GPP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성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3GPP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상세한 설명이 제공되지만, 3GPP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 국한되지 않는 본 명세서의 측면은 다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와 기술 중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은 용어와 기술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이전에 발행된 무선 통신 표준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A 및/또는 B(A and/or B)"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A, B 또는 C(A, B or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슬래쉬(/)나 쉼표(comma)는 "및/또는(and/or)"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는 "A, B 또는 C"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 및 B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and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or B)"나 "A 및/또는 B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and/or B)"라는 표현은 "A 및 B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and B)"와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A, B 및 C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B and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A, B 또는 C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B or C)"나 "A, B 및/또는 C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B and/or C)"는 "A, B 및 C의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괄호는 "예를 들어(for example)"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정보(PDCCH)"로 표시된 경우, "제어 정보"의 일례로 "PDCCH"가 제안된 것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의 "제어 정보"는 "PDCCH"로 제한(limit)되지 않고, "PDCCH"가 "제어 정보"의 일례로 제안될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즉, PDCCH)"로 표시된 경우에도, "제어 정보"의 일례로 "PDCCH"가 제안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도면 내에서 개별적으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 국한되지는 않지만,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다양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는 기기 간 무선 통신 및/또는 연결(예: 5G)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다음의 도면 및/또는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하드웨어 블록, 소프트웨어 블록 및/또는 기능 블록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다.
도 1에 표시된 5G 사용 시나리오는 본보기일 뿐이며,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은 도 1에 나와 있지 않은 다른 5G 사용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5G에 대한 세 가지 주요 요구사항 범주는 (1)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범주, (2) 거대 기계 유형 통신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범주 및 (3)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범주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은 무선 장치(100a~100f), 기지국(BS; 200) 및 네트워크(300)을 포함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1)의 네트워크의 예로 5G 네트워크를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의 구현은 5G 시스템에 국한되지 않으며, 5G 시스템을 넘어 미래의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기지국(200)과 네트워크(300)는 무선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무선 장치는 다른 무선 장치와 관련하여 기지국/네트워크 노드로 작동할 수 있다.
무선 장치(100a~100f)는 무선 접속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 (예: 5G NR 또는 LTE)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를 나타내며, 통신/무선/5G 장치라고도 할 수 있다. 무선 장치(100a~100f)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로봇(100a), 차량(100b-1 및 100b-2), 확장 현실(XR; extended reality) 장치(100c), 휴대용 장치(100d), 가전 제품(100e), IoT 장치(100f) 및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장치/서버(4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는 무선 통신 기능이 있는 차량, 자율주행 차량 및 차량 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이 포함될 수 있다. 차량에는 무인 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예: 드론)가 포함될 수 있다. XR 장치는 AR/VR/혼합 현실(MR; mixed realty)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 텔레비전, 스마트폰, 컴퓨터, 웨어러블 장치, 가전 제품, 디지털 표지판, 차량, 로봇 등에 장착된 HMD(head-mounted device), HUD(head-up display)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장치에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웨어러블 장치(예: 스마트 시계 또는 스마트 안경) 및 컴퓨터(예: 노트북)가 포함될 수 있다. 가전 제품에는 TV, 냉장고, 세탁기가 포함될 수 있다. IoT 장치에는 센서와 스마트 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장치(100a~100f)는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라고 부를 수 있다. UE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시스템, 슬레이트 PC, 태블릿 PC, 울트라북, 차량, 자율주행 기능이 있는 차량, 연결된 자동차, UAV, AI 모듈, 로봇, AR 장치, VR 장치, MR 장치, 홀로그램 장치, 공공 안전 장치, MTC 장치, IoT 장치, 의료 장치, 핀테크 장치(또는 금융 장치), 보안 장치, 날씨/환경 장치, 5G 서비스 관련 장치 또는 4차 산업 혁명 관련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AV는 사람이 탑승하지 않고 무선 제어 신호에 의해 항행되는 항공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VR 장치는 가상 환경의 개체 또는 배경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R 장치는 가상 세계의 개체나 배경을 실제 세계의 개체나 배경에 연결하여 구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R 장치는 객체나 가상 세계의 배경을 객체나 실제 세계의 배경으로 병합하여 구현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로그램 장치는, 홀로그램이라 불리는 두 개의 레이저 조명이 만났을 때 발생하는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입체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여 360도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공 안전 장치는 사용자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이미지 중계 장치 또는 이미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TC 장치와 IoT 장치는 인간의 직접적인 개입이나 조작이 필요하지 않은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MTC 장치와 IoT 장치는 스마트 미터, 자동 판매기, 온도계, 스마트 전구, 도어락 또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장치는 질병의 진단, 처리, 완화, 치료 또는 예방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장치는 부상이나 손상을 진단, 처리, 완화 또는 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장치는 구조나 기능을 검사, 교체 또는 수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장치는 임신 조정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장치는 치료용 장치, 운전용 장치, (체외)진단 장치, 보청기 또는 시술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장치는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고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장치는 카메라, 폐쇄 회로 TV(CCTV), 녹음기 또는 블랙박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핀테크 장치는 모바일 결제와 같은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핀테크 장치는 지불 장치 또는 POS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환경 장치는 날씨/환경을 모니터링 하거나 예측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장치(100a~100f)는 기지국(200)을 통해 네트워크(30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장치(100a~100f)에는 AI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무선 장치(100a~100f)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AI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3G 네트워크, 4G(예: LTE) 네트워크, 5G(예: NR) 네트워크 및 5G 이후의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장치(100a~100f)는 기지국(200)/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200)/네트워크(300)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예: 사이드링크 통신(sidelink communication))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b-1, 100b-2)은 직접 통신(예: V2V(vehicle-to-vehicle)/V2X(vehicle-to-everything)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IoT 기기(예: 센서)는 다른 IoT 기기(예: 센서) 또는 다른 무선 장치(100a~100f)와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
무선 장치(100a~100f) 간 및/또는 무선 장치(100a~100f)와 기지국(200) 간 및/또는 기지국(200) 간에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이 확립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연결은 상향/하향링크 통신(150a), 사이드링크 통신(150b)(또는, D2D(device-to-device) 통신), 기지국 간 통신(150c)(예: 중계,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등과 같이 다양한 RAT(예: 5G NR)을 통해 확립될 수 있다.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을 통해 무선 장치(100a~100f)와 기지국(200)은 서로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은 다양한 물리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의 다양한 제안에 기반하여, 무선 신호의 송신/수신을 위한 다양한 구성 정보 설정 과정, 다양한 신호 처리 과정(예: 채널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자원 맵핑/디맵핑 등), 및 자원 할당 과정 등 중 적어도 일부가 수행될 수 있다.
AI는 인공적인 지능 또는 이를 만들 수 있는 방법론을 연구하는 분야를 의미하며, 머신 러닝(기계 학습, Machine Learning)은 인공 지능 분야에서 다루는 다양한 문제를 정의하고 그것을 해결하는 방법론을 연구하는 분야를 의미한다. 머신 러닝은 어떠한 작업에 대하여 꾸준한 경험을 통해 그 작업에 대한 성능을 높이는 알고리즘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로봇은 스스로 보유한 능력에 의해 주어진 일을 자동으로 처리하거나 작동하는 기계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판단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 로봇을 지능형 로봇이라 칭할 수 있다. 로봇은 사용 목적이나 분야에 따라 산업용, 의료용, 가정용, 군사용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로봇은 액츄에이터(actuator) 또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구비하여 로봇 관절을 움직이는 등의 다양한 물리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가능한 로봇은 구동부에 휠, 브레이크, 프로펠러 등이 포함되어, 구동부를 통해 지상에서 주행하거나 공중에서 비행할 수 있다.
자율 주행은 스스로 주행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자율 주행 차량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 또는 사용자의 최소한의 조작으로 주행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자율 주행에는 주행 중인 차선을 유지하는 기술,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같이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술, 정해진 경로를 따라 자동으로 주행하는 기술, 목적지가 설정되면 자동으로 경로를 설정하여 주행하는 기술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차량은 내연 기관만을 구비하는 차량, 내연 기관과 전기 모터를 함께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그리고 전기 모터만을 구비하는 전기 차량을 모두 포괄하며, 자동차뿐만 아니라 기차, 오토바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차량은 자율 주행 기능을 가진 로봇으로 볼 수 있다.
확장 현실은 VR, AR, MR을 총칭한다. VR 기술은 현실 세계의 객체나 배경 등을 CG 영상으로만 제공하고, AR 기술은 실제 사물 영상 위에 가상으로 만들어진 CG 영상을 함께 제공하며, MR 기술은 현실 세계에 가상 객체를 섞고 결합시켜서 제공하는 CG 기술이다. MR 기술은 현실 객체와 가상 객체를 함께 보여준다는 점에서 AR 기술과 유사하다. 그러나, AR 기술에서는 가상 객체가 현실 객체를 보완하는 형태로 사용되는 반면, MR 기술에서는 가상 객체와 현실 객체가 동등한 성격으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NR은 다양한 5G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뉴머럴로지(numerology) 또는 부반송파 간격(SCS; subcarrier spacing)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SCS가 15kHz인 경우, 전통적인 셀룰러 밴드에서의 넓은 영역(wide area)를 지원하며, SCS가 30kHz/60kHz인 경우, 밀집한 도시(dense-urban), 저지연(lower latency) 및 더 넓은 반송파 대역폭(wider carrier bandwidth)를 지원하며, SCS가 60kHz 또는 그보다 높은 경우, 위상 잡음(phase noise)를 극복하기 위해 24.25GHz보다 큰 대역폭을 지원한다.
NR 주파수 대역은 2가지 타입(FR1, FR2)의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로 정의될 수 있다. 주파수 범위의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가지 타입(FR1, FR2)의 주파수 범위는 아래 표 1과 같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NR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 중 FR1은 "sub 6GHz range"를 의미할 수 있고, FR2는 "above 6GHz range"를 의미할 수 있고 밀리미터 웨이브(millimeter wave, mmW)로 불릴 수 있다.
주파수 범위 정의 주파수 범위 부반송파 간격
FR1 450MHz - 6000MHz 15, 30, 60kHz
FR2 24250MHz - 52600MHz 60, 120, 240kHz
상술한 바와 같이, NR 시스템의 주파수 범위의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은 아래 표 2와 같이 410MHz 내지 7125MHz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FR1은 6GHz (또는 5850, 5900, 5925 MHz 등)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 내에서 포함되는 6GHz (또는 5850, 5900, 5925 MHz 등) 이상의 주파수 대역은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포함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을 위한 통신(예: 자율 주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주파수 범위 정의 주파수 범위 부반송파 간격
FR1 410MHz - 7125MHz 15, 30, 60kHz
FR2 24250MHz - 52600MHz 60, 120, 240kHz
여기서, 본 명세서의 무선 장치에서 구현되는 무선 통신 기술은 LTE, NR 및 6G뿐만 아니라 저전력 통신을 위한 협대역 IoT(NB-IoT, narrowband Io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B-IoT 기술은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 기술의 일례일 수 있고, LTE Cat NB1 및/또는 LTE Cat NB2 등의 규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무선 장치에서 구현되는 무선 통신 기술은 LTE-M 기술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M 기술은 LPWAN 기술의 일례일 수 있고, eMTC(enhanced MTC)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LTE-M 기술은 1) LTE CAT 0, 2) LTE Cat M1, 3) LTE Cat M2, 4) LTE non-BL(non-bandwidth limited), 5) LTE-MTC, 6) LTE MTC, 및/또는 7) LTE M 등의 다양한 규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무선 장치에서 구현되는 무선 통신 기술은 저전력 통신을 고려한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및/또는 LPWA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그비 기술은 IEEE 802.15.4 등의 다양한 규격을 기반으로 소형/저-파워 디지털 통신에 관련된 PAN(personal area networks)을 생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무선 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장치(100)와 제2 무선 장치(200)는은 다양한 RAT(예: LTE 및 NR)를 통해 외부 장치로/외부 장치로부터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에서, {제1 무선 장치(100) 및 제2 무선 장치(200)}은(는) 도 1의 {무선 장치(100a~100f) 및 기지국(200)}, {무선 장치(100a~100f) 및 무선 장치(100a~100f)} 및/또는 {기지국(200) 및 기지국(2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무선 장치(100)는 송수신기(106)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프로세싱 칩(101)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칩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칩(101)은 프로세서(102)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04)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메모리(104)가 프로세싱 칩(101)에 포함되는 것이 본보기로 보여진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체적으로, 메모리(104)는 프로세싱 칩(101)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및/또는 송수신기(106)를 제어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는 메모리(1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1 정보/신호를 생성하고, 제1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기(106)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송수신기(106)를 통해 제2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정보/신호를 처리하여 얻은 정보를 메모리(1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04)는 다양한 유형의 정보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수행하는 명령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코드(105)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105)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수행하는 명령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105)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10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105)는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계층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10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02)와 메모리(104)는 RAT(예: LTE 또는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프로세서(102)에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각 송수신기(1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RF(radio frequency)부와 교체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무선 장치(100)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무선 장치(200)는 송수신기(206)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프로세싱 칩(201)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칩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칩(201)은 프로세서(202)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204)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메모리(204)가 프로세싱 칩(201)에 포함되는 것이 본보기로 보여진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체적으로, 메모리(204)는 프로세싱 칩(201)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및/또는 송수신기(206)를 제어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내의 정보를 처리하여 제3 정보/신호를 생성하고, 제3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기(206)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송수신기(206)를 통해 제4 정보/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제4 정보/신호를 처리하여 얻은 정보를 메모리(20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204)는 다양한 유형의 정보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4)는 프로세서(202)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수행하는 명령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코드(205)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205)는 프로세서(202)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수행하는 명령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205)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20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205)는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계층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20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202)와 메모리(204)는 RAT(예: LTE 또는 NR)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통신 모뎀/회로/칩의 일부일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프로세서(202)에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안테나(208)를 통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각 송수신기(206)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06)는 RF부와 교체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 무선 장치(200)는 통신 모뎀/회로/칩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무선 장치(100, 200)의 하드웨어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계층(예: PHY(physical) 계층,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 SDAP(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계층과 같은 기능적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에 따라 하나 이상의 PDU(protocol data unit) 및/또는 하나 이상의 SDU(service data unit)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에 따라 메시지, 제어 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 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로부터 신호(예: 베이스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에 따라 PDU, SDU, 메시지, 제어 정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하나 이상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하나 이상의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하나 이상의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및/또는 하나 이상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는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는 모듈, 절차,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포함되거나,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에 저장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는 코드, 명령어 및/또는 명령어의 집합 형태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 메시지, 정보, 프로그램, 코드, 지시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컴퓨터 판독 저장 매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통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 등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 등을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와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를 통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흐름도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송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이거나, 복수의 논리 안테나(예: 안테나 포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하기 위해,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RF 밴드 신호에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를 이용하여 처리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베이스밴드 신호에서 RF 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아날로그) 발진기(oscillator) 및/또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의 제어 하에 (아날로그) 발진기 및/또는 필터를 통해 OFDM 베이스밴드 신호를 OFDM 신호로 상향 변환(up-convert)하고, 상향 변환된 OFDM 신호를 반송파 주파수에서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는 반송파 주파수에서 OFDM 신호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의 제어 하에 (아날로그) 발진기 및/또는 필터를 통해 OFDM 신호를 OFDM 베이스밴드 신호로 하향 변환(down-convert)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구현에서, UE는 상향링크(UL; uplink)에서 송신 장치로, 하향링크(DL; downlink)에서 수신 장치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구현에서, 기지국은 UL에서 수신 장치로, DL에서 송신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 상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무선 장치(100)는 UE로, 제2 무선 장치(200)는 기지국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주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장치(100)에 연결, 탑재 또는 출시된 프로세서(102)는 본 명세서의 구현에 따라 UE 동작을 수행하거나 본 명세서의 구현에 따라 UE 동작을 수행하도록 송수신기(106)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무선 장치(200)에 연결, 탑재 또는 출시된 프로세서(202)는 본 명세서의 구현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수행하거나 본 명세서의 구현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송수신기(206)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노드 B(Node B), eNode B(eNB), gNB로 불릴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무선 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무선 장치는 사용 예/서비스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도 1 참조).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장치(100, 200)는 도 2의 무선 장치(100, 200)에 대응할 수 있으며, 다양한 구성 요소, 장치/부분 및/또는 모듈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무선 장치(100, 200)는 통신 장치(110), 제어 장치(120), 메모리 장치(130) 및 추가 구성 요소(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10)는 통신 회로(112) 및 송수신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112)는 도 2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2, 202) 및/또는 도 2의 하나 이상의 메모리(104, 2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114)는 도 2의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106, 206) 및/또는 도 2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208)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20)는 통신 장치(110), 메모리 장치(130), 추가 구성 요소(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무선 장치(100, 200)의 전체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20)는 메모리 장치(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코드/명령/정보를 기반으로 각 무선 장치(100, 200)의 전기/기계적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120)는 메모리 장치(130)에 저장된 정보를 무선/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장치(110)를 거쳐 외부(예: 기타 통신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장치(110)를 거쳐 외부(예: 기타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메모리 장치(130)에 저장할 수 있다.
추가 구성 요소(140)는 무선 장치(100, 200)의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구성 요소(140)는 동력 장치/배터리, 입출력(I/O) 장치(예: 오디오 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구동 장치 및 컴퓨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장치(100, 200)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로봇(도 1의 100a), 차량(도 1의 100b-1 및 100b-2), XR 장치(도 1의 100c), 휴대용 장치(도 1의 100d), 가전 제품(도 1의 100e), IoT 장치(도 1의 100f), 디지털 방송 단말, 홀로그램 장치, 공공 안전 장치, MTC 장치, 의료 장치, 핀테크 장치(또는 금융 장치), 보안 장치, 기후/환경 장치, AI 서버/장치(도 1의 400), 기지국(도 1의 200), 네트워크 노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장치(100, 200)는 사용 예/서비스에 따라 이동 또는 고정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서, 무선 장치(100, 200)의 다양한 구성 요소, 장치/부분 및/또는 모듈의 전체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연결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통신 장치(110)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무선 장치(100, 200)에서, 제어 장치(120)와 통신 장치(110)는 유선으로 연결되고, 제어 장치(120)와 제1 장치(예: 130과 140)는 통신 장치(110)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장치(100, 200) 내의 각 구성 요소, 장치/부분 및/또는 모듈은 하나 이상의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집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장치(120)는 통신 제어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그래픽 처리 장치 및 메모리 제어 프로세서의 집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메모리 장치(130)는 RAM, DRAM, ROM, 플래시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UE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UE(100)는 도 2의 제1 무선 장치(100) 및/또는 도 3의 무선 장치(100 또는 200)에 대응할 수 있다.
UE(100)는 프로세서(102), 메모리(104), 송수신기(106),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 전원 관리 모듈(110), 배터리(112), 디스플레이(114), 키패드(116),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118), 스피커(120), 마이크(12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구현하도록 UE(100)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은 프로세서(102)에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ASIC, 기타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모뎀(변조 및 복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의 예는 Qualcomm®에서 만든 SNAPDRAGONTM 시리즈 프로세서, Samsung®에서 만든 EXYNOSTM 시리즈 프로세서, Apple®에서 만든 A 시리즈 프로세서, MediaTek®에서 만든 HELIOTM 시리즈 프로세서, Intel®에서 만든 ATOMTM 시리즈 프로세서 또는 대응하는 차세대 프로세서에서 찾을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와 동작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프로세서(102)를 작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04)는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기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이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때, 여기에 설명된 기술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작동 흐름도를 수행하는 모듈(예: 절차, 기능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104)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04)는 프로세서(102) 내에 또는 프로세서(102) 외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술에서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통해 프로세서(102)와 통신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프로세서(102)와 동작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송수신기(106)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한다. 송수신기(106)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06)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08)를 제어하여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전원 관리 모듈(110)은 프로세서(102) 및/또는 송수신기(106)의 전원을 관리한다. 배터리(112)는 전원 관리 모듈(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디스플레이(114)는 프로세서(102)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한다. 키패드(116)는 프로세서(102)에서 사용할 입력을 수신한다. 키패드(116)는 디스플레이(114)에 표시될 수 있다.
SIM 카드(118)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와 관련 키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한 집적 회로이며, 휴대 전화나 컴퓨터와 같은 휴대 전화 장치에서 가입자를 식별하고 인증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많은 SIM 카드에 연락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스피커(120)는 프로세서(102)에서 처리한 사운드 관련 결과를 출력한다. 마이크(122)는 프로세서(102)에서 사용할 사운드 관련 입력을 수신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구현이 적용되는 5G 시스템 구조(system architecture)의 예를 나타낸다.
5G 시스템(5GS; 5G system) 구조는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 기능(NF; network function)으로 구성된다.
- AUSF (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 DN (Data Network), 예를 들어 운영자 서비스, 인터넷 접속 또는 타사 서비스
- USDF (Unstructured Data Storage Function)
- NEF (Network Exposure Function)
- I-NEF (Intermediate NEF)
- NRF (Network Repository Function)
- NSSF (Network Slice Selection Function)
- PCF (Policy Control Function)
- S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
- UDM (Unified Data Management)
- UDR (Unified Data Repository)
- UPF (User Plane Function)
- UCMF (UE radio Capability Management Function)
- AF (Application Function)
- UE (User Equipment)
- (R)AN ((Radio) Access Network)
- 5G-EIR (5G-Equipment Identity Register)
- NWDAF (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
- CHF (CHarging Function)
또한, 다음과 같은 네트워크 기능이 고려될 수 있다.
- N3IWF (Non-3GPP InterWorking Function)
- TNGF (Trusted Non-3GPP Gateway Function)
- W-AGF (Wireline Access Gateway Function)
도 5는 다양한 네트워크 기능이 어떻게 서로 상호 작용하는지를 보여주는 기준점(reference point) 표현을 사용하여 비로밍(non-roaming) 사례의 5G 시스템 구조를 보여준다.
도 5에서는 점 대 점 도면의 명확성을 위해, UDSF, NEF 및 NRF는 설명되지 않았다. 그러나 표시된 모든 네트워크 기능은 필요에 따라 UDSF, UDR, NEF 및 NRF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UDR과 다른 NF(예: PCF)와의 연결은 도 5에 도시되지 않는다. 명확성을 위해, NWDAF과 다른 NF(예: PCF)와의 연결은 도 5에 도시되지 않는다.
5G 시스템 구조는 다음과 같은 기준점을 포함한다.
- N1: UE와 AMF 사이의 기준점.
- N2: (R)AN과 AMF 사이의 기준점.
- N3: (R)AN과 UPF 사이의 기준점.
- N4: SMF와 UPF 사이의 기준점.
- N6: UPF와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의 기준점.
- N9: 두 UPF 사이의 기준점.
다음의 기준점은 NF의 NF 서비스 간에 존재하는 상호 작용을 보여준다.
- N5: PCF와 AF 사이의 기준점.
- N7: SMF와 PCF 사이의 기준점.
- N8: UDM과 AMF 사이의 기준점.
- N10: UDM과 SMF 사이의 기준점.
- N11: AMF와 SMF 사이의 기준점.
- N12: AMF와 AUSF 사이의 기준점.
- N13: UDM과 AUSF 사이의 기준점.
- N14: 두 AMF 사이의 기준점.
- N15: 비로밍 시나리오의 경우 PCF와 AMF 사이의 기준점, 로밍 시나리오의 경우 방문 네트워크의 PCF와 AMF 사이의 기준점.
- N16: 두 SMF 사이의 기준점(로밍의 경우 방문 네트워크의 SMF와 홈 네트워크의 SMF 사이)
- N22: AMF와 NSSF 사이의 기준점.
경우에 따라, UE를 서비스하기 위해 두 개의 NF를 서로 연결해야 할 수도 있다.
<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도 6은 MBS 트래픽 전달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트래픽은 단일 데이터 소스(Application Service Provider)에서 여러 UE로 전달되어야 한다. 많은 요인에 따라 5GS에서 MBS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해 여러 전달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전달 방법을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라고 하지 않고 아래에서 설명한다.
"유니캐스트 전달"이라는 용어는 3GPP 네트워크 내에서 PDU 세션을 사용하고 개별 UE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 주소(예: IP 주소)를 사용하여 UE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및 시그널링을 3GPP 네트워크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간 전달되는 메커니즘을 말한다.
5G CN의 관점에서 MBS 멀티캐스트 서비스에는 두 가지 전달 방법이 가능하다.
- 5GC 공유 MBS 트래픽 전달 방식: 5G CN은 MBS 데이터 패킷의 단일 사본을 수신하고 해당 MBS 패킷 패킷의 단일 사본을 RAN 노드에 전달한 다음 이를 하나 또는 여러 UE에 전달한다. 멀티캐스트를 지원하는 IP 주소를 사용해서 IP router에서 알아서 가입되어 있는 단말로 트래픽을 전송한다. 이때 만일 여러 개의 단말이 하나의 IP router에 붙어있을 경우, router에서 직접 멀티캐스트 패킷을 생성해서 트래픽을 전송한다. 이 경우 MBS 데이터는 단말의 PDU 세션을 이용해서 단말로 전송되지 않는다.
- 5GC 개별 MBS 트래픽 전달 방법: 5G CN은 MBS 데이터 패킷의 단일 복사본을 수신하고 이러한 MBS 데이터 패킷의 개별 복사본을 UE별 PDU 세션을 통해 개별 UE에 전달하므로 이러한 각 UE에 대해 하나의 PDU 세션이 멀티캐스트 세션과 연결되어야 한다. 서버에서는 멀티캐스트 IP 주소를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했음에도, 5GC 네트워크에서는 해당 트래픽을 마치 유니캐스트 트래픽처럼 처리해서 일반적은 PDU 세션을 통해서 단말로 전송한다. 즉, 어플리케이션 층(application layer)에서는 공유 전달(shared delivery) 방식과 동일하게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지만 (즉, multicast IP address를 가지는 패킷을 수신), 실제 5GC 네트워크 안에서는 데이터 전송이 유니캐스트 트래픽을 전송하는 것과 동일하게 처리하는 것으로, 단말의 PDU 세션을 이용해서 트래픽을 전송합니다
5GC 개별 MBS 트래픽 전달 방법이 지원되는 경우, CN에 의해 수신된 동일한 단일 MBS 데이터 패킷 사본이 일부 UE(들)에 대한 5GC 개별 MBS 트래픽 전달 방법 및 다른 UE(들)에 대한 5GC 공유 MBS 트래픽 전달 방법 모두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RAN의 관점에서(공유 전달의 경우) 무선을 통한 MBS 패킷 흐름 전송에는 두 가지 전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 PTP(Point-to-Point) 전달 방법: RAN 노드는 무선을 통해 개별 UE에 MBS 데이터 패킷의 별도 사본을 전달한다.
- PTM(Point-to-Multipoint) 전달 방법: RAN 노드는 무선을 통해 MBS 데이터 패킷의 단일 사본을 UE 세트에 전달한다.
RAN 노드는 MBS 패킷을 UE에 전달하기 위해 PTP/PTM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PTP 및 PTM 전달 방법은 참조용으로만 여기에 나열되어 있다.
다음 그림과 같이 멀티캐스트 MBS 세션에서 PTP 또는 PTM 전달(5GC 공유 전달 방식 사용)과 5GC 개별 전달 방식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MBS 방송 서비스는 5GC 공유 MBS 트래픽 전달 방식과 PTM 전달 방식만 적용된다.
MBS를 위한 멀티캐스트 전송은 EPS에서는 지원하지 않는다. 이에 UE가 5GS에서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MBS 트래픽을 수신한 경우, EPS로 이동 시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해당 MBS 트래픽을 계속 수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상기 멀티캐스트 방식의 전송은 UE가 형성한 PDU 세션을 통한 트래픽 전송이 아닌 멀티캐스트 그룹을 위해 형성한 경로/터널/자원(path/tunnel/resource)을 이용하여 (이를 공유 자원을 이용한다고 하자) 트래픽을 전송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코어 네트워크 구간 및 무선(radio) 구간에서 모두 공유 자원이 사용될 수도 있고, 코어 네트워크 구간에서만 공유 자원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UE가 5GS에서 EPS로 이동 시, EBI(EPS Bearer ID)가 할당되어 있는 QoS Flow에 대해서만 EPS로 이동시킨다.
< 5GS에서 EPS로의 핸드오버 >
도 7과 도 8은 N26 인터페이스로 단일 등록 모드를 위한 5GS에서 EPS로의 핸드오버의 예를 나타낸다.
도 7과 도 8은 N26이 지원되는 경우 5GS에서 EPS로의 핸드오버 절차를 설명한다.
공유 EPS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소스 NG-RAN은 대상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PLMN을 결정한다. 소스 NG-RAN은 HO(handover) 필수 메시지에서 전송된 TAI의 일부로 대상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선택된 PLMN ID를 AMF에 표시해야 한다.
공유 NG-RAN으로부터의 핸드오버의 경우, AMF는 UE가 5GS 공유 네트워크로 나중에 변경할 때 5GS PLMN이 선호 PLMN이라는 표시를 MME에 제공할 수 있다.
핸드오버 절차 동안, 소스 AMF는 핸드오버 절차가 시작된 이후 수신된 모든 PGW-C+SMF 개시 N2 요청을 거부해야 하며, 진행중인 핸드오버 절차로 인해 일시적으로 해당 요청이 거부되었다는 표시를 포함해야 한다.
절차는 EPC로의 핸드오버와 1-16단계의 EPC에서 EBI가 할당된 QoS 흐름에 대한 기본 EPS 베어러 및 전용 베어러 설정 및 필요한 경우 다음을 수행하는 비 GBR QoS 흐름에 대한 전용 EPS 베어러의 재활성화를 포함한다. 이 절차는 예를 들어 새로운 무선 조건, 로드 밸런싱 또는 일반 음성 또는 IMS 긴급 음성에 대한 QoS 흐름의 존재로 인해 트리거될 수 있다. 소스 NG-RAN 노드는 EPC로의 핸드오버를 트리거할 수 있다.
이더넷 및 Unstructured PDU 세션 유형의 경우 지원되는 경우 EPS에서 PDN 유형 이더넷 및 non-IP가 각각 사용된다.
EPS가 PDN 유형 이더넷을 지원하지 않지만 non-IP를 지원하는 경우, PDN 유형 non-IP는 이더넷 PDU 세션에도 사용된다. SMF는 또한 이 경우 EPS Bearer Context의 PDN Type을 non-IP로 설정해야 한다. EPS로의 핸드오버 후 PDN 연결은 PDN 유형이 nonj-IP를 갖지만 UE 및 SMF에서 PDU 세션 유형을 이더넷 또는 Unstructured로 관리되어야 한다.
홈 라우팅 로밍의 경우 PGW-C+SMF는 항상 EPS 베어러 ID와 매핑된 QoS 매개변수를 UE에 제공한다. V-SMF는 이 PDU 세션에 대해 H-SMF에서 얻은 EPS 베어러 ID와 매핑된 QoS 매개변수를 저장한다. 이는 HPLMN이 N26 없이 연동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참고 1: HPLMN의 PGW-C+SMF가 매핑된 QoS 매개변수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IP 주소 보존은 지원되지 않는다.
1. NG-RAN은 UE가 E-UTRAN으로 핸드오버되어야 한다고 결정한다. NG-RAN이 QoS 흐름 설정에 의해 트리거된 IMS 음성 폴백으로 인해 Inter RAT 이동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IMS 음성에 대한 QoS 흐름 설정 요청을 수신한 경우 NG-RAN은 폴백으로 인한 이동성으로 인해 QoS 흐름 설정 거부를 나타내는 응답 N2 SM 정보를 통해 IMS 음성에 대해 E-UTRAN으로 핸드오버를 트리거한다. NG-RAN은 AMF에 Handover Required(Target eNB ID, Direct Forwarding Path Availability, Source to Target 투명 컨테이너, 시스템 간 핸드오버 표시) 메시지를 보낸다. NG-RAN은 Source to Target Transparent Container에서 데이터 전달을 위한 5G QoS 흐름에 해당하는 베어러를 나타낸다.
직접 포워딩 경로 가용성은 NG-RAN에서 E-UTRAN으로 직접 포워딩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낸다. NG-RAN의 이 표시는 예를 들어 NG-RAN과 E-UTRAN 사이의 IP 연결 및 보안 연결(들)의 존재 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긴급 폴백으로 인해 핸드오버가 트리거되면 NG-RAN은 Source to Target 투명 컨테이너로 긴급 표시를 타겟 eNB로 전달할 수 있으며 타겟 eNB는 수신된 표시를 고려하여 무선 베어러 리소스를 할당한다.
2. AMF는 'Target eNB Identifier' IE로부터 핸드오버의 유형이 E-UTRAN으로의 핸드오버임을 결정한다. AMF는 MME를 선택한다.
HR 로밍의 경우 AMF는 Nsmf_PDUSession_Context 요청을 사용하여 매핑된 EPS 베어러 컨텍스트도 포함하는 SM 컨텍스트를 제공하도록 V-SMF에 요청한다. AMF는 V-SMF가 이더넷 PDN 유형 또는 non-IP PDN 유형에 대한 EPS 베어러 컨텍스트를 포함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요청에서 SMF에 대상 MME 기능을 제공한다. PDU 세션 유형 이더넷이 있는 PDU 세션의 경우 UE와 대상 MME가 이더넷 PDN 유형을 지원하는 경우 SMF는 이더넷 PDN 유형에 대한 SM 컨텍스트를 제공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대상 MME가 이더넷 유형을 지원하지 않지만 non-IP 유형을 지원하는 경우 SMF는 다음을 제공한다. non-IP PDN 유형에 대한 SM 컨텍스트. PDU 세션 유형이 Unstructured PDU 세션의 경우 SMF는 non-IP PDN 유형에 대한 SM 컨텍스트를 제공한다.
비 로밍 또는 LBO 로밍의 경우, AMF는 Nsmf_PDUSession_ContextRequest를 사용하여 SM Context를 제공하도록 PGW-C+SMF에 요청한다. AMF는 PGW-C+SMF가 이더넷 유형 또는 non-IP PDN 유형에 대한 EPS 베어러 컨텍스트를 포함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요청에서 PGW-C+SMF에 대상 MME 기능을 제공한다. PDU 세션 유형 이더넷이 있는 PDU 세션의 경우 UE와 대상 MME가 이더넷 PDN 유형을 지원하는 경우 SMF는 이더넷 PDN 유형에 대한 SM 컨텍스트를 제공한다. 그렇지 않으면 대상 MME가 이더넷을 지원하지 않지만 non-IP PDN 유형을 지원하는 경우 SMF는 non-IP PDN 유형에 대한 SM 컨텍스트를 제공한다. PDU 세션 유형이 Unjstructured PDU 세션의 경우 SMF는 non-IP PDN 유형에 대한 SM 컨텍스트를 제공한다. PGW-C+SMF는 각 EPS 베어러에 대한 CN 터널을 설정하고 AMF에 EPS 베어러 컨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해 PGW-U+UPF에 N4 세션 수정을 보낸다. PGW-U+UPF는 E-UTRAN으로부터 상향링크 패킷을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다.
이 단계는 3GPP 액세스와 연관되고 EBI(들)가 할당된 UE의 PDU 세션에 해당하는 모든 PGW-C+SMF로 수행된다.
참고 2: AMF는 이더넷 PDN 유형 및/또는 non-IP PDN 유형을 지원하거나 로컬 구성을 통해 지원하지 않는 MME 기능을 알고 있다.
참고 3: 홈 라우팅 로밍 시나리오에서 UE의 SM EPS 컨텍스트는 V-SMF에서 얻는다.
3. AMF는 다음 수정 및 설명과 함께 순방향 재배치 요청을 보낸다.
- "반환 선호" 매개변수가 포함될 수 있다. 반환 선호는 5GS 공유 네트워크에 대한 이후 액세스 변경 시 5GS PLMN으로의 우선 반환에 대한 MME의 선택적 표시이다. MME는 이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 메시지의 제어 평면 또는 EPS 베어러 모두에 대한 SGW 주소 및 TEID는 대상 MME가 새로운 SGW를 선택하도록 한다.
- AMF는 구성 및 Direct Forwarding Path Availability에 기반하여 직접 데이터 전달이 적용 가능한지 대상 MME에 알리기 위해 Direct Forwarding 플래그를 결정한다.
- AMF는 활성 UP 연결이 있거나 없는 PDU 세션에 대한 매핑된 SM EPS UE 컨텍스트를 포함한다.
4-5. MME는 SGW에게 세션 생성 요청을 보낸다. SGW는 MME에게 응답한다.
6. MME는 E-UTRAN에게 핸드오버 요청을 보낸다.
- 핸드오버 요청은 eNodeB 기능에 대한 PLMN ID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정보 핸드오버 제한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 target eNB는 source to target container에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MME에서 제공하는 설정 대상 EPS 베어러 목록에 표시된 E-RAB를 설정해야 한다.
7-9. E-UTRAN은 핸드오버 요청의 ACK를 MME에게 보낼 수 있다. MME와 SGW는 간접 데이터 전달 터널 생성 요청/응답을 송수신할 수 있다. 재배치 응답을 MME는 AMF에게 보낼 수 있다.
10a. 데이터 전달이 적용되면 AMF는 Nsmf_PDUSession_UpdateSMContext 요청(데이터 전달 정보)을 PGW-C+SMF로 보낸다. 여러 PGW-C+SMF가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AMF는 EPS 베어러 ID(들)와 PDU 세션 ID(들) 간의 연관을 기반으로 데이터 전달을 위한 EPS 베어러를 PGW-C+SMF 주소로 매핑한다. 홈 라우팅 로밍의 경우 AMF는 간접 포워딩이 적용되는 경우 V-SMF에 간접 포워딩 터널을 생성하도록 요청한다.
10b. 간접 데이터 포워딩이 적용되는 경우, PGW-C+SMF는 데이터 포워딩을 위해 중간 PGW-U+UPF를 선택할 수 있다. PGW-C+SMF는 데이터 전달을 위한 EPS 베어러를 PGW-C+SMF의 QoS 흐름에 대한 EPS 베어러 ID(들)와 QFI(들) 간의 연관에 기반하여 5G QoS 흐름에 매핑한다. 그런 다음 PGW-U+UPF에 데이터 전달을 위해 QFI, serving GW 주소(들) 및 TEID(들)를 전송한다. 데이터 포워딩을 위한 CN 터널 정보가 PGW-C+SMF에 의해 할당된 경우, 이 단계에서 데이터 포워딩을 위한 CN 터널 정보가 PGW-U+UPF에 제공된다. PGW-U+UPF는 응답을 전송하여 확인한다. CN Tunnel Info가 PGW-U+UPF에 의해 할당된 경우 CN Tunnel Info는 이 응답에서 PGW-C+SMF에 제공된다. 홈 라우팅 로밍의 경우 V-SMF는 데이터 전달을 위해 V-UPF를 선택한다.
10c. PGW-C+SMF는 Nsmf_PDUSession_UpdateSMContext 응답(원인, 데이터 전달 터널 정보, 데이터 전달을 위한 QoS 흐름)을 반환한다. 데이터 전달을 위한 QFI(들)와 serving GW 주소(들) 및 TEID(들) 간의 상관 관계를 기반으로 PGW-U+UPF는 QoS 흐름을 EPC의 데이터 전달 터널에 매핑한다.
11. AMF는 소스 NG-RAN(투명 컨테이너(대상 eNB가 준비 단계에서 설정한 무선 측면 매개변수), 데이터 전달 터널 정보, 데이터 전달을 위한 QoS 흐름)에 핸드오버 명령을 보낸다. 소스 NG-RAN은 HO 명령을 전송하여 대상 액세스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도록 UE에 명령한다. UE는 진행 중인 QoS 흐름을 HO 명령에서 설정될 표시된 EPS 베어러 ID와 상관시킨다. UE는 PDU 세션의 기본 QoS 규칙과 관련된 QoS 흐름에 할당된 EPS 베어러 ID가 없는 경우 PDU 세션을 로컬로 삭제한다. 기본 QoS 규칙과 관련된 QoS 흐름에 할당된 EPS 베어러 ID가 있는 경우 UE는 PDU 세션(PDN 연결)을 유지하고 EPS 베어러 ID(들)가 할당되지 않은 나머지 QoS 흐름(들)에 대해 UE는 QoS 규칙 및 QoS 흐름 수준 QoS 매개변수가 해당 QoS 흐름과 관련된 경우 로컬에서 삭제하고 영향을 받는 애플리케이션에 전용 QoS 리소스가 해제되었음을 알린다. UE는 모든 UE 파생 QoS 규칙을 삭제한다. PDU 세션에서 default QoS 규칙의 QoS 흐름을 위해 할당된 EPS Bearer ID는 해당 PDN 연결에서 default 베어러의 EPS Bearer ID가 된다.
간접 데이터 포워딩이 적용되는 경우 데이터 포워딩 터널 정보에는 PDU 세션당 데이터 포워딩을 위한 CN 터널 정보가 포함된다. "데이터 전달을 위한 QoS 흐름"에 표시된 QoS 흐름의 경우 NG-RAN은 PDU 세션당 데이터 전달을 위한 CN 터널 정보를 기반으로 PGW-U+UPF를 통해 데이터 전달을 시작한다. 그런 다음 PGW-U+UPF는 5GS의 데이터 전달 터널(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EPS의 데이터 전달 터널(들)에 매핑하고, 데이터를 serving GW를 통해 대상 eNodeB로 보낸다.
다이렉트 데이터 포워딩이 적용되는 경우 데이터 포워딩 터널 정보는 EPS 베어러별 데이터 포워딩을 위한 E-UTRAN 터널 정보를 포함한다. NG-RAN은 EPS 베어러당 데이터 전달을 위한 데이터 전달 터널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E-UTRAN으로 데이터 전달을 시작한다.
12-12c. AMF는 3GPP 액세스와 관련된 PDU 세션의 해제를 요청하며, 이는 EPC로 전송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즉, 할당된 EBI가 없고 2단계의 SM 컨텍스트를 위해 AMF와 접촉하지 않는 PGW-C+SMF에 해당한다.
12d. AMF는 Relocation Complete Ack 메시지로 MME를 확인한다. AMF의 타이머는 NG-RAN의 자원이 해제될 때 감독하기 위해 시작된다.
12e. 홈 라우팅 로밍의 경우 AMF는 V-SMF에 Nsmf_PDUSession_ReleaseSMContext 요청(V-SMF 전용 표시)을 호출한다. 이 서비스 동작은 V-SMF에 V-SMF에서 SM 컨텍스트만 제거하도록 요청한다. 즉, PGW-C+SMF에서 PDU 세션 컨텍스트를 해제하지 않는다.
간접 전달 터널(들)이 이전에 설정된 경우 V-SMF는 타이머를 시작하고 타이머 만료 시 SM 컨텍스트를 해제한다. 간접 전달 터널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V-SMF는 V-UPF에서 로컬로 이 PDU 세션에 대한 SM 컨텍스트 및 UP 리소스를 즉시 해제한다.
14a. PDU 세션(PDN 연결)에 EPS 베어러 ID가 할당되지 않은 QoS 흐름이 있는 경우 PGW-C+SMF는 해당 QoS 흐름과 관련된 PCC 규칙을 삭제하고 제거된 PCC 규칙에 대해 PCF에 알린다.
참고 4: QoS 흐름이 삭제되면 삭제된 QoS 규칙의 IP 흐름은 할당된 TFT가 없는 경우 기본 EPS 베어러에서 계속 흐르게 된다. 기본 EPS 베어러에 할당된 TFT가 있는 경우 삭제된 QoS 흐름의 IP 흐름은 전용 베어러 활성화가 PCF의 요청에 의해 트리거되는 19단계까지 중단될 수 있다.
PGW-C+SMF는 SMF 시작 SM 정책 연관 수정 절차를 수행하여 PCF에 일부 가입 이벤트를 보고해야 할 수도 있다.
15. PGW-C+SMF는 UPF+PGW-U를 향한 N4 세션 수정 절차를 시작하여 사용자 평면 경로를 업데이트한다. 즉, 표시된 PDU 세션에 대한 다운링크 사용자 평면이 E-UTRAN으로 전환된다. PGW-C+SMF는 UPF+PGW-U에서 PDU 세션을 위한 CN 터널의 자원을 해제한다.
16. 이 단계에서 UE, target eNodeB, Serving GW 및 PGW-U+UPF 간의 default 베어러 및 전용 EPS 베어러에 대한 사용자 평면 경로가 설정된다. PGW-C+SMF는 QoS 흐름 설정 동안 전용 EPS 베어러에 할당된 EPS QoS 매개변수를 사용한다. PGW-C+SMF는 다른 모든 IP 흐름을 기본 EPS 베어러에 매핑한다.
간접 전달 터널이 이전에 설정된 경우 PGW-C+SMF는 간접 데이터 전달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해제하는 데 사용되는 타이머를 시작한다.
18. UE는 트래킹 에이리어 업데이트(tracking area update) 절차를 시작한다.
여기에는 HSS+UDM에서 3GPP 액세스를 위한 이전 AMF의 등록 취소가 포함된다. 이전 AMF의 비-3GPP 액세스와 관련된 등록은 제거되지 않는다(즉, 3GPP 및 비-3GPP 액세스 모두를 통해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AMF는 UE를 비 3GPP 액세스를 통해 등록 취소된 것으로 간주하지 않고 등록 및 UDM의 구독 데이터 업데이트에 대한 가입 상태를 유지한다).
참고 5: HSS+UDM이 다른 유형의 CN 노드, 즉 AMF의 위치를 취소하는 동작은 MME 및 Gn/Gp SGSN 등록에 대한 HSS 동작과 유사하다. HSS+UDM에서 취소 위치를 수신하는 대상 AMF는 3GPP 액세스와 관련된 AMF이다.
UE가 비-3GPP 액세스를 통해 등록 취소를 결정하거나 이전 AMF가 더 이상 비-3GPP 액세스에 대한 UE 등록을 유지하지 않기로 결정하면 이전 AMF는 Nudm_UECM_Deregistration 서비스 작업을 전송하여 UDM에서 등록을 취소하고 다음을 전송하여 구독 데이터 업데이트 구독을 취소한다. UDM에 대한 Nudm_SDM_Unsubscribe 서비스 동작을 수행하고 UE와 관련된 모든 AMF 및 AN 자원을 해제한다.
19. PCC가 배치되면 PCF는 이전에 제거된 PCC 규칙을 PGW-C+SMF에 다시 제공하여 전용 베어러 활성화 절차를 시작하도록 PGW-C+SMF를 트리거할 수 있다. 이 단계는 PDN 유형 IP 또는 이더넷에 적용되지만 non-IP PDN 유형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21. 홈 라우팅 로밍의 경우, 12e 단계에서 시작된 V-SMF의 타이머가 만료되면 V-SMF는 10단계에서 할당된 간접 포워딩 터널들에 사용되는 자원을 포함하는 PDU 세션에 대한 SM 컨텍스트 및 UP 자원을 국부적으로 해제한다.
비로밍 또는 로컬 브레이크아웃 로밍에서 PGW-C+SMF가 단계 16에서 타이머를 시작했다면, 타이머 만료 시 PGW-C+SMF는 10단계에서 할당된 간접 전달 터널에 사용된 리소스를 릴리즈하는 N4 세션 수정 요청을 PGW-U+UPF에 전송한다.
12d단계에서 설정한 타이머가 만료되면 AMF도 UE Context Release Command 메시지를 소스 NG RAN으로 보낸다. 소스 NG RAN은 UE와 관련된 리소스를 해제하고 UE 컨텍스트 해제 완료 메시지로 응답한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단말이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NAS 메시지를 이용해서 조인(Join)을 알리며 서비스를 중단하고자 할 경우에도 NAS 메시지를 이용해서 탈퇴(Leave)를 알린다.
상기 UE가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한 가입(join)또는 탈퇴(leave)를 위해 전송하는 NAS 메시지는 Session Management NAS 메시지로 SMF로 전송된다.
단말이 5GS에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MBS)를 받다가 EPS로 넘어가야 하는 경우, EPS에서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서비스가 지원되지 않으면 개별적인 전달 방법(individual delivery method)을 사용해 단말로 계속해서 MBS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이 멀티캐스트 서비스 수신을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네트워크로 알리려면 NAS 메시지를 전송해야 한다. 하지만 단말이 EPS로 넘어와 있는 상태여서 5GS NAS 메시지를 전송해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중단할 수 없다. 이 경우 계속해서 MBS데이터가 단말로 전송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리소스를 낭비하게 된다.
<본 명세서의 개시>
본 명세서에서 후술되는 개시들은 하나 이상의 조합(예: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 각각은 각 개시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도면의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서 제안하는 방안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동작/구성/단계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아래의 방법들은 조합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 수행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BS는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와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BS 세션은 MBS 멀티캐스트 세션과 MBS 브로드캐스트 세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MBS 데이터는 MBS 멀티캐스트 데이터와 MBS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멀티캐스트 세션, 멀티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그룹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PCO, EPCO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SMF, PGW, P-GW, PGW-C+SMF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도면은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도면에 기재된 구체적인 장치의 명칭이나 구체적인 신호/메시지/필드의 명칭은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이 이하의 도면에 사용된 구체적인 명칭에 제한되지 않는다.
1. 제1 개시
도 9는 본 명세서의 제1 개시를 나타낸다.
도 9는 PGW-C+SMF로 탈퇴(leave)를 알리는 방법을 나타낸다.
PGW-C+SMF로 탈퇴(leave)를 알리는 방법으로 option 1 및 option 2 두 가지 방법을 제공한다.
Option 1: 단말이 EPS에서 MBS 서비스 수신을 중단하고자 할 경우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로부터 탈퇴(leave)를 하고자 하는 경우) BEARER RESOURCE MODIFICATION REQUEST 메시지, PDN DISCONNECT REQUEST 메시지 또는 BEARER RESOURCE ALLOCATION REQUEST 메시지의 (E)PCO 부분에 Leaving을 알리는 지시(indication) 또는 메시지를 넣어서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PGW-C+SMF는 5GS에서 단말이 Leaving을 전송한 것과 동일하게 이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S 컨텍스트로부터 단말의 컨텍스트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PDN 연결을 통해서 전송되는 MBS 트래픽에 대한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Option 2: 단말이 MBS 서비스 수신을 중단하고자 할 경우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로부터 탈퇴(leave)를 하고자 하는 경우), i) MBS 서비스를 수신 중인 dedicated bearer에 대한 해제를 요청하는 BEARER RESOURCE MODIFIC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ii) MBS 서비스를 수신중인 PDN 연결에 대한 비연결(disconnection)을 위해 PDN DISCONNEC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option 1과 달리 EPCO(Extended Protocol Configuration Options)에 탈퇴(leave)를 알리는 지시(indication) 또는 메시지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은 PGW-C+SMF에서 EPCO를 통한 탈퇴(leave)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상기 단말이 전송한 NAS 메시지를 수신한 PGW-C+SMF는 dedicated bearer에 대한 해제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해당 bearer를 통해 전송되는 MBS 서비스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해당 MBS 서비스로부터 단말을 탈퇴(leave)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만일 PDN disconnection을 요청한 경우라면 해당 PDN connection을 통해서 서비스되는 모든 MBS 서비스로부터 단말을 탈퇴(leave)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하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1. 단말이 5GS에서 등록 후 PDU 세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은 PDU 세션 요청을 전송하면서 단말이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을 알릴 수 있다. 그리하여 단말은 AMF가 멀티캐스트를 지원하는 PGW-C+SMF를 통해서 세션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은 EPCO를 통한 탈퇴(leave)를 지원하는 경우, 이를 PGW-C+SMF로 알릴 수 있다. PDU 세션 설립 요청(PDU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에 단말의 능력(capability) 형태로 단말이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을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MM NAS 메시지에 단말이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을 넣어서 전송하고, AMF가 PGW-C+SMF로 PDU 세션 설립 요청(PDU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때 능력(capability)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SMF는 단말이 올려준 능력(capability) 정보에 기반해서 PDU 세션 설립 승인(PDU Session Establishment Accept) 메시지에 PGW-C+SMF가 EPCO를 통한 탈퇴(leave)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단말로 알려줄 수 있다. 만일 PGW-C+SMF가 EPCO를 통해서 탈퇴(leave)를 지원하는지 알려주지 않는 경우, 단말은 PGW-C+SMF가 이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2. 단말은 MBS서비스, 특히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NAS 메시지를 전송해 서비스에 가입(join)함을 알릴 수 있다. 이때 단말이 가입(join)을 원하는 MBS 서비스에 매핑(mapping)되는 TMGI 정보(이는 MBS Session ID로 해석될 수 있음)를 함께 제공해 어떤 MBS 서비스에 가입(join)을 원하는지 알릴 수 있다. 이후 단말은 5GC 개별 MBS 트래픽 전달 방식(5GC Individual MBS traffic delivery method)또는 5GC 공유 MBS 트래픽 전달 방식(5GC Shared MBS traffic delivery method)를 통해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3. 단말의 이동성(mobility)으로 인해서 EPS 로 핸드오버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EPS에서는 멀티캐스트가 지원되지 않아 5GC 개별 MBS 트래픽 전달 방식(5GC Individual MBS traffic delivery method)으로 단말은 데이터를 수신하게 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층(application layer)에서는 5GC 공유 MBS 트래픽 전달 방식(5GC Shared MBS traffic delivery method)과 동일하게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지만 (즉, multicast IP address를 가지는 패킷을 수신), 실제 5GC 네트워크 안에서는 데이터 전송이 유니캐스트 트래픽을 전송하는 것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네트워크는 단말의 PDN 세션을 이용해서 단말에게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다.
4. 단말은 MBS 서비스를 그만 수신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멀티캐스트 서비스에서 탈퇴(leave)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Option 1) 단말이 EPCO를 통한 탈퇴(leave)를 지원하는 경우 5~7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5-6. 단말은 베어러 자원 수정(Bearer Resource Modification) 절차를 수행하면서 베어러자원 수정 요청(Bearer Resource Modification Request)메시지의 EPCO(Extended Protocol Configuration Options)에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탈퇴(leave)함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어떤 MBS 서비스에 대한 요청인지 알리기 위해 관련된 TMGI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EPCO 대신에 PCO를 통하여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한 탈퇴(leave)를 알릴 수 있다.
단말이 1단계에서 수신한 PGW-C+SMF가 EPCO를 통한 탈퇴(leave)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단말은 베어러 자원 수정 요청(Bearer Resource Modification Request)메시지의 EPCO를 통해서 탈퇴(leave)를 수행할지 결정할 수 있다. 만일 PGW-C+SMF가 EPCO를 통한 탈퇴(leave)를 지원한다면, 단말은 베어러자원 수정 요청(Bearer Resource Modification Request)메시지의 EPCO에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탈퇴(leave)함을 알릴 수 있다. 만일 1단계에서 능력(capability) 정보를 교환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일단 EPCO를 통해서 탈퇴(leave)를 수행해 볼 수 있다. 이때 PGW-C+SMF가 EPCO를 통한 탈퇴(leave)를 지원하면 PGW-C+SMF는 단말로 탈퇴(leave)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 EPCO를 통해 알릴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단말은 탈퇴(leave)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7. PGW-C+SMF는 단말이 보내온 EPCO의 탈퇴(leave)를 확인하여 단말이 더 이상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PGW-C+SMF는 UPF로 N4 수정(N4 Modification)을 수행해서 단말로의 MBS 데이터 전송을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Option 2) i) 단말이 5~7단계에서 EPCO를 통한 탈퇴(leave)를 시도했으나 성공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 (e.g. PGW-C+SMF가 탈퇴(leave)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 EPCO를 통해서 알려주지 않은 경우) 또는 ii) 단말이 EPCO를 통한 탈퇴(leave)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또는 iii) PGW-C+SMF가 EPCO를 통한 탈퇴(leave)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8~10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8. 단말은 MBS 서비스 수신을 중단하기 위해서 해당 MBS 트래픽을 수신하는 dedicated bearer에 대한 비활성화(deactivation)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어떤 TMGI에 대한 MBS 서비스 수신을 중단하고자 할 때, 단말은 해당 TMGI을 위한 MBS 트래픽을 수신하는 dedicated bearer를 찾아내 해당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에 대한 비활성화(deactivation)를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단말은 TMGI와 5GS QoS Flow 그리고 EPS beaer에 대한 매핑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는 단말이 2단계에서 5GS에서 MBS 서비스에 대한 가입(join)을 위해 NAS 메시지를 전송했을 때 네트워크에서 생성해준 5GS QoS Flow, EPS bearer정보를 기반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가 명시적으로 NAS 시그널링을 통해서 TMGI와 QoS Flow, EPS bearer의 관계를 알려줄 수도 있다. 만일 단말이 MBS 서비스와 관련된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를 찾지 못하거나 또는 PDN 연결에서 서비스 되는 모든 MBS 서비스에 대한 탈퇴(leave)를 원하는 경우 PDN 비연결(Disconnection)을 요청할 수 있다.
9. PGW-C+SMF는 단말이 특정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에 대한 비활성화(deactivation)를 요청한 경우, 해당 베어러(bearer)를 통해서 서비스 되는 MBS 서비스에 대해서 단말이 탈퇴(leave)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PGW-C+SMF는 MBS 서비스가 시작될 때 MBS QoS Flow와 이와 관련(associated)된 QoS Flow 및 EPS bearer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서 어떤 MBS 서비스에 대한 탈퇴(leave)인지 판단할 수 있다. 만일 단말이 PDN 비연결(disconnection)을 요청한 경우, 해당 PDN을 통해서 서비스되는 모든 MBS 서비스로부터 단말이 탈퇴(leave)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10. PGW-C+SMF는 단말이 더 이상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지하고 UPF로 N4 Modification (e.g. 단말이 dedicated bearer deactivation을 요청하는 경우) 또는 N4 Release (e.g. 단말이 PDN disconnection 을 요청하는 경우)를 수행해서 단말로의 MBS 데이터 전송을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11. UPF는 MBS 트래픽에 대한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12. PGW-C+SMF는 종래 절차에 따라서 전용 베어러 활성화 절차(Dedicated Bearer Activation Procedure) 또는 베어러 수정 절차(Bearer Modification Procedure) 또는 PDN GW 시작된 베어러 비활성화 (PDN GW Initiated Bearer Deactivation) 절차 또는 PDN 비연결 절차(PDN disconnec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MBS 서비스를 위해서 사용하던 베어러(bearer)를 비활성화(deactivation) 시키거나 PDN 연결을 해제(release) 할 수 있다.
PGW-C+SMF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 어떤 절차를 사용할지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이 8단계에서 PDN 비연결 요청(PDN Disconnection Request)을 이용한 경우 PGW-C+SMF는 PDN 비연결 절차(PDN disconnec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 단말이 5단계에서 베어러 자원 수정 요청(Bearer Resource Modification Request)을 이용한 경우, PGW-C+SMF가 MBS서비스가 사용되던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에 적용하기로 한 경우 (예를 들어, 해당 dedicated bearer가 MBS서비스만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는 경우), PDN GW 시작된 베어러 비활성화 (PDN GW Initiated Bearer Deactivation)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 단말이 5단계에서 베어러 자원 수정 요청(Bearer Resource Modification Request)을 이용한 경우, PGW-C+SMF가 MBS서비스가 사용되던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를 계속 유지하기로 한 경우 (예를 들어, 해당 dedicated bearer가 MBS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른 서비스를 위해서 사용되고 있는 경우), 패킷 필터 정보의 업데이트를 위해 베어러 수정 절차(Bearer Modifica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 단말이 5단계에서 베어러 자원 수정 요청(Bearer Resource Modification Request)을 이용한 경우, PGW-C+SMF가 새로운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를 만들 필요가 있을 경우 (예를 들어, MBS 서비스가 사용되던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가 다른 서비스를 위해서 사용되고 있고, PGW-C+SMF가 다른 서비스를 위해서 새로운 베어러(bearer)를 만들기로 결정하는 경우 또는 단말이 새로운 앱(app)이 실행되면서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 생성 요청과 MBS 서비스 leaving을 동시에 요청하는 경우), 전용 베어러 활성화 절차(Dedicated Bearer Activa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13. PGW-C+SMF는 단말을 MBS 세션 컨텍스트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1. 제2 개시
도 10은 본 명세서의 제2 개시를 나타낸다.
도 10은 단말이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탈퇴(leave)를 알리는 방법을 나타낸다.
단말이 EPS에서 MBS 서비스 수신을 중단하고자 할 경우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로부터 탈퇴(leave)를 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은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시그널링(application layer signaling)을 통해서 어플리케이션 서버(e.g. GCS AS, MC Service Server 등)에게 탈퇴(leave)를 알릴 수 있다. 이때 어떤 MBS 서비스에 대한 탈퇴(leave) 요청인지 알리기 위해 관련된 TMGI(Temporary Mobile Group Identity)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시그널링(application layer signaling)은 SIP 메시지를 이용해서 전송할 수 있다. SIP 메시지가 사용되는 경우 탈퇴(leave)를 나타내는 정보는 SIP 메시지에서 새로운 헤더(header)를 정의하여 포함시킬 수도 있고, 기존의 헤더(header)에 새로운 태그(tag)를 정의하여 포함시킬 수도 있고, SDP 부분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SIP 메시지가 사용되는 경우 탈퇴(leave)를 나타내는 정보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단말로부터 탈퇴(leave)를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네트워크로 단말이 MBS 서비스 수신을 중단했다고 알릴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에서는 단말로의 MBS 트래픽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1. 단말이 5GS에서 등록 후 PDU 세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은 PDU 세션요청(PDU Session Request)을 전송하면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을 알릴 수 있다. 그래서 단말은 AMF가 멀티캐스트를 지원하는 PGW-C+SMF를 통해서 세션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2. 단말은 MBS서비스, 특히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NAS 메시지를 전송해 서비스에 가입(join)함을 알릴 수 있다. 이때 단말이 가입(join)을 원하는 MBS 서비스에 매핑(mapping)되는 TMGI 정보 (이는 MBS Session ID로 해석될 수 있음)를 함께 제공해 어떤 MBS 서비스에 가입(join)을 원하는지 알릴 수 있다. 이후 단말은 5GC 개별 MBS 트래픽 전달 방법(5GC Individual MBS traffic delivery method) 또는 5GC 공유 MBS 트래픽 전달 방법(5GC Shared MBS traffic delivery method)을 통해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3. 단말의 이동성(mobility)으로 인해서 EPS로 핸드오버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EPS에서는 멀티캐스트가 지원되지 않아 5GC 개별 MBS 트래픽 전달 방법(5GC Individual MBS traffic delivery method)으로 단말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4. 단말은 MBS서비스를 그만 수신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에서 탈퇴(leave)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5.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레이어(application layer)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MBS 서비스에 대한 수신을 중단함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어떤 MBS 서비스에 대한 정보 (e.g. TMGI, MBS Session ID)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때 AS는 단말로 직접 유니캐스트 형식으로 MBS 트래픽을 전송한적이 없기 때문에 단말이 네트워크에서 개별 전달(individual delivery)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 받고 있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6단계를 수행해 네트워크로 단말로의 트래픽 중단을 요청하기 위해 단말이 MBS 서비스를 중단했음을 알릴 수 있다. 또는 이러한 과정 없이 단말로부터 MBS 서비스 중단을 알리는 메시지를 받을 경우 무조건 네트워크로 단말이 MBS 서비스를 중단했음을 알릴 수도 있다.
6.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단말의 IP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로 단말이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한 수신을 중단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는 BM-SC+MBSF 노드나 NEF, PCF 등의 노드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어떤 MBS 서비스에 대한 중단인지 알리기 위해 TMGI, MBS Session ID등의 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7. 네트워크는 PGW-C+SMF로 단말이 특정 MBS 서비스를 중단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는 PGW-C+SMF로 바로 알려지거나 또는 MB-SMF를 거쳐서 알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BM-SC+MBSF가 서비스 중단을 알려주는 경우, MB-SMF로 먼저 알려준 후 MB-SMF가 다시 PGW-C+SMF로 알려줄 수 있다. 이때 MB-SMF는 단말의 IP address 정보를 기반으로 어떤 PGW-C+SMF가 단말의 서빙(serving) 노드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PCF로 단말이 특정 MBS 서비스를 중단했음을 알리면 PCF가 PGW-C+SMF로 이를 알릴 수도 있다.
8. PGW-C+SMF는 단말이 수신을 중단한 MBS 서비스에 대해서 단말이 탈퇴(leave) 한 것으로 처리하고 더 이상 MBS 트래픽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관련된 베어러(bearer) 에 대한 비활성화(deactivation)나 PDN 연결 해제(PDN connection release)를 수행할 수 있다.
11는 본 명세서의 제1 개시에 따른 단말의 절차를 나타낸다.
1. 단말은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에 가입(join)할 수 있다.
상기 MBS를 위한 데이터는 5GS(5th generation system)에 의해 서빙될 수 있다.
2. 단말은 상기 5GS에서 EPS(Evolved Packet System)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3. 단말은 상기 핸드오버 이후에 상기 MBS를 위한 데이터를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4. 단말은 MBS에 대한 탈퇴(leave)를 결정할 수 있다.
5. 단말은 PCO(Protocol Configuration Options)를 포함하는 NAS 신호를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PCO는 상기 UE의 상기 MBS에 대한 탈퇴(leav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AS 신호는 상기 MBS에 대응되는 TMGI(Temporary Mobile Group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BS에 가입하는 단계는 상기 UE가 상기 PCO에 MBS에 대한 탈퇴(leave)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PGW-C(Gateway-Control)와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가 합쳐진 노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프로세서, 송수신기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에 가입(join)하고; 상기 MBS를 위한 데이터는 5GS(5th generation system)에 의해 서빙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5GS에서 EPS(Evolved Packet System)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핸드오버 이후에 상기 MBS를 위한 데이터를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MBS에 대한 탈퇴(leave)를 결정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PCO(Protocol Configuration Options)를 포함하는 NAS 신호를 네트워크에 전송하고; 상기 PCO는 상기 UE의 상기 MBS에 대한 탈퇴(leav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대해 설명한다.
프로세서는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에 가입(join)하는 단계; 상기 MBS를 위한 데이터는 5GS(5th generation system)에 의해 서빙되고, 상기 5GS에서 EPS(Evolved Packet System)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이후에 상기 MBS를 위한 데이터를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MBS에 대한 탈퇴(leave)를 결정하는 단계; PCO(Protocol Configuration Options)를 포함하는 NAS 신호를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PCO는 상기 UE의 상기 MBS에 대한 탈퇴(leav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 제공에 대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가 저장된 비 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매체에 대해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기술적 특징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둘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에서 무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상주 할 수 있다.
저장 매체의 일부 예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결합된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개별 구성요소로 상주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유형 및 비 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 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는 SDRAM (Synchronization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NVRA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RAM (Random Access Memory)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읽기 전용 메모리 (EEPROM), 플래시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 매체 또는 명령이나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기타 매체. 비 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또한 위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 된 방법은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코드를 전달하거나 전달하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판독 및 / 또는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통신 매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그 위에 저장 하였다.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는 기지국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는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프로세서는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에 가입(join)하는 단계; 상기 MBS를 위한 데이터는 5GS(5th generation system)에 의해 서빙되고, 상기 5GS에서 EPS(Evolved Packet System)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이후에 상기 MBS를 위한 데이터를 개별적인 방식으로 수신하는 단계; MBS에 대한 탈퇴(leave)를 결정하는 단계; PCO(Protocol Configuration Options)를 포함하는 NAS 신호를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PCO는 상기 UE의 상기 MBS에 대한 탈퇴(leav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는 다양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절차를 통하여, 5GS에서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되는 트래픽에 대해 UE가 EPS로 이동한 후에 PDN 연결에 의한 방식으로 전환하여 전송한 경우, 단말이 더 이상 MBS 서비스를 원하지 않을 때 MBS 트래픽에 대한 전송 중단 요청을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리소스를 막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일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나열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관련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related art)가 본 명세서로부터 이해하거나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적 효과가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의 구체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본 명세서의 기술적 특징으로부터 이해되거나 유도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청구항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구현은 다음과 같은 청구 범위 내에 있다.

Claims (10)

  1. UE(user equipment)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에 가입(join)하는 단계;
    상기 MBS를 위한 데이터는 5GS(5th generation system)에 의해 서빙되고,
    상기 5GS에서 EPS(Evolved Packet System)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이후에 상기 MBS를 위한 데이터를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MBS에 대한 탈퇴(leave)를 결정하는 단계;
    PCO(Protocol Configuration Options)를 포함하는 NAS 신호를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PCO는 상기 UE의 상기 MBS에 대한 탈퇴(leave)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AS 신호는 상기 MBS에 대응되는 TMGI(Temporary Mobile Group Identity)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BS에 가입하는 단계는 상기 UE가 상기 PCO에 MBS에 대한 탈퇴(leave)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PGW-C(Gateway-Control)와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가 합쳐진 노드인 방법.
  5. 통신을 수행하는 UE(user equipment)로서,
    송수신기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에 가입(join)하고;
    상기 MBS를 위한 데이터는 5GS(5th generation system)에 의해 서빙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5GS에서 EPS(Evolved Packet System)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핸드오버 이후에 상기 MBS를 위한 데이터를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MBS에 대한 탈퇴(leave)를 결정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PCO(Protocol Configuration Options)를 포함하는 NAS 신호를 네트워크에 전송하고;
    상기 PCO는 상기 UE의 상기 MBS에 대한 탈퇴(leave) 정보를 포함하는 UE.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AS 신호는 상기 MBS에 대응되는 TMGI(Temporary Mobile Group Identity)를 포함하는 UE.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MBS에 가입할 때,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UE가 상기 PCO에 MBS에 대한 탈퇴(leave)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UE.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PGW-C(Gateway-Control)와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가 합쳐진 노드인 UE.
  9. 이동통신에서의 장치(apparatus)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게(operably)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에 가입(join)하는 단계;
    상기 MBS를 위한 데이터는 5GS(5th generation system)에 의해 서빙되고,
    상기 5GS에서 EPS(Evolved Packet System)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이후에 상기 MBS를 위한 데이터를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MBS에 대한 탈퇴(leave)를 결정하는 단계;
    PCO(Protocol Configuration Options)를 포함하는 NAS 신호를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PCO는 상기 UE의 상기 MBS에 대한 탈퇴(leave)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10. 명령어들을 기록하고 있는 비휘발성(non-volatile)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에 가입(join)하는 단계;
    상기 MBS를 위한 데이터는 5GS(5th generation system)에 의해 서빙되고,
    상기 5GS에서 EPS(Evolved Packet System)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이후에 상기 MBS를 위한 데이터를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MBS에 대한 탈퇴(leave)를 결정하는 단계;
    PCO(Protocol Configuration Options)를 포함하는 NAS 신호를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 를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PCO는 상기 UE의 상기 MBS에 대한 탈퇴(leave) 정보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0237026566A 2021-02-18 2022-02-16 Mbs 관련된 통신 방법 KR202301300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016 2021-02-18
KR20210022016 2021-02-18
PCT/KR2022/095031 WO2022177417A1 (ko) 2021-02-18 2022-02-16 Mbs 관련된 통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040A true KR20230130040A (ko) 2023-09-11

Family

ID=82931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6566A KR20230130040A (ko) 2021-02-18 2022-02-16 Mbs 관련된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297481A1 (ko)
KR (1) KR20230130040A (ko)
WO (1) WO2022177417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3398B (zh) * 2011-11-22 2019-01-18 华为技术有限公司 连接建立方法和用户设备
US9674251B2 (en) * 2013-06-17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Mediating content delivery via one or more services
CN106797555A (zh) * 2014-10-03 2017-05-31 英特尔Ip公司 切换期间的分组数据网连接建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77417A1 (ko) 2022-08-25
EP4297481A1 (en)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503536B (zh) 与应用服务器的改变有关的通信
KR102593980B1 (ko) 로밍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별 인증 실패 시 효율적인 plmn 선택
KR20220062557A (ko) 비-3gpp 상의 ims 음성 세션을 3gpp 액세스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안
EP4236456A1 (en) Method for managing network slice remapping
US20230319514A1 (en) Multicast-related communication
US20230084094A1 (en) Communication related to ps data off
US20230371125A1 (en) Method for supporting service continuity when disaster situation ends, and device supporting same
EP4021075B1 (en) Method for moving pdu session on non-3gpp to 3gpp access
EP4322691A1 (en) Pdu session management method
EP4199586A1 (en) Method for managing session
US20230136425A1 (en) N14 interface support indicator for service continuity
KR20230048074A (ko) Prose 중계 통신에서 pc5 링크와 uu 링크의 보안 적용 정책을 합의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EP4329417A1 (en) Method for managing redundant pdu session for redundant transmission
US20230345210A1 (en) Communication method by means of multicast
KR20230145204A (ko) Qos 성능 측정 방법
KR20230027171A (ko) 재난 상황 종료시 서비스 연속성을 지원하기 위한 ui/ux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230037049A (ko) 세션 관리 방법
KR20220130172A (ko)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관련된 통신
KR20230130040A (ko) Mbs 관련된 통신 방법
KR102668681B1 (ko) 재난 상황 종료시 서비스 연속성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20240187887A1 (en) Method for managing redundant pdu session for redundant transmission
US11924287B2 (en) Method for managing session
KR20220130159A (ko) Smf 노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안
KR20240040607A (ko) 3gpp 5g 시스템에서 산업용 트래픽의 효율적 혼잡 제어 방안
CN116671177A (zh) 用于管理网络切片重映射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