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0159A - Smf 노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안 - Google Patents

Smf 노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0159A
KR20220130159A KR1020227027702A KR20227027702A KR20220130159A KR 20220130159 A KR20220130159 A KR 20220130159A KR 1020227027702 A KR1020227027702 A KR 1020227027702A KR 20227027702 A KR20227027702 A KR 20227027702A KR 20220130159 A KR20220130159 A KR 20220130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f
amf
message
reque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30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34Signalling channels for network managemen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backbone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노드를 선택하기 위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노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AF(Application Function) 노드로부터의 AF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AF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SMF를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선택 또는 재선택된 SMF로 상기 AF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SMF 노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안
본 명세서는 이동통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진화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EPC(Evolved Packet Core)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그 중에서 일부에 해당하는, S-GW(Serving Gateway)(52), PDN GW(Packet Data Network Gateway)(53),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51), 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ing Node), ePDG(enhanced Packet Data Gateway)를 도시한다.
S-GW(52)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경계점으로서 동작하고, eNodeB(22)와 PDN GW(53) 사이의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요소이다. 또한, 단말(또는 User Equipment: UE)이 eNodeB(22)에 의해서 서빙(serving)되는 영역에 걸쳐 이동하는 경우, S-GW(52)는 로컬 이동성 앵커 포인트(anchor point)의 역할을 한다. 즉, E-UTRAN (3GPP 릴리즈-8 이후에서 정의되는 Evolved-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내에서의 이동성을 위해서 S-GW(52)를 통해서 패킷들이 라우팅될 수 있다. 또한, S-GW(52)는 다른 3GPP 네트워크(3GPP 릴리즈-8 전에 정의되는 RAN, 예를 들어, UTRAN 또는 GERAN(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EDGE(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Radio Access Network)와의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PDN GW(또는 P-GW)(53)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향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종료점(termination point)에 해당한다. PDN GW(53)는 정책 집행 특징(policy enforcement features), 패킷 필터링(packet filtering), 과금 지원(charging support)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3GPP 네트워크와 비-3GPP 네트워크 (예를 들어, I-WLAN(Interworking Wireless 내부적(local) Area Network)과 같은 신뢰되지 않는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와 같은 신뢰되는 네트워크)와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앵커 포인트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의 네트워크 구조의 예시에서는 S-GW(52)와 PDN GW(53)가 별도의 게이트웨이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지만, 두 개의 게이트웨이가 단일 게이트웨이 구성 옵션(Single Gateway Configuration Option)에 따라 구현될 수도 있다.
MME(51)는, UE의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액세스,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 트래킹(tracking), 페이징(paging), 로밍(roaming) 및 핸드오버 등을 지원하기 위한 시그널링 및 제어 기능들을 수행하는 요소이다. MME(51)는 가입자 및 세션 관리에 관련된 제어 평면(control plane) 기능들을 제어한다. MME(51)는 수많은 eNodeB(22)들을 관리하고, 다른 2G/3G 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버를 위한 종래의 게이트웨이의 선택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또한, MME(51)는 보안 과정(Security Procedures), 단말-대-네트워크 세션 핸들링(Terminal-to-network Session Handling), 유휴 단말 위치결정 관리(Idle Terminal Location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SGSN은 다른 접속 3GPP 네트워크(예를 들어, GPRS 네트워크, UTRAN/GERAN)에 대한 사용자의 이동성 관리 및 인증(authentication)과 같은 모든 패킷 데이터를 핸들링한다.
ePDG는 신뢰되지 않는 비-3GPP 네트워크(예를 들어, I-WLAN, WiFi 핫스팟(hotspot) 등)에 대한 보안 노드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IP 능력을 가지는 단말(또는 UE)은, 3GPP 액세스는 물론 비-3GPP 액세스 기반으로도 EPC 내의 다양한 요소들을 경유하여 사업자(즉, 오퍼레이터(operator))가 제공하는 IP 서비스 네트워크(예를 들어, IMS)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다양한 레퍼런스 포인트들(예를 들어, S1-U, S1-MME 등)을 도시한다. 3GPP 시스템에서는 E-UTRAN 및 EPC의 상이한 기능 개체(functional entity)들에 존재하는 2 개의 기능을 연결하는 개념적인 링크를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라고 정의한다. 다음의 표 1은 도 1에 도시된 레퍼런스 포인트를 정리한 것이다. 표 1의 예시들 외에도 네트워크 구조에 따라 다양한 레퍼런스 포인트들이 존재할 수 있다.
레퍼런스 포인트 설명
S1-MME E-UTRAN와 MME 간의 제어 평면 프로토콜에 대한 레퍼런스 포인트
S1-U 핸드오버 동안 eNB 간 경로 스위칭 및 베어러 당 사용자 평면 터널링에 대한 E-UTRAN와 SGW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S3 유휴(Idle) 및/또는 활성화 상태에서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간 이동성에 대한 사용자 및 베어러 정보 교환을 제공하는 MME와 SGSN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이 레퍼런스 포인트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내 또는 PLMN-간(예를 들어, PLMN-간 핸드오버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음)
S4 GPRS 코어와 SGW의 3GPP 앵커 기능 간의 관련 제어 및 이동성 지원을 제공하는 SGW와 SGSN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또한, 직접 터널이 수립되지 않으면, 사용자 평면 터널링을 제공함
S5 SGW와 PDN GW 간의 사용자 평면 터널링 및 터널 관리를 제공하는 레퍼런스 포인트. UE 이동성으로 인해, 그리고 요구되는 PDN 커넥션성을 위해서 SGW가 함께 위치하지 않은 PDN GW로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 SGW 재배치를 위해서 사용됨
S11 MME와 SGW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SGi PDN GW와 PDN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PDN은, 오퍼레이터 외부 공용 또는 사설 PDN이거나 예를 들어, IMS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오퍼레이터-내 PDN일 수 있음. 이 레퍼런스 포인트는 3GPP 액세스의 Gi에 해당함
도 1에 도시된 레퍼런스 포인트 중에서 S2a 및 S2b는 비-3GPP 인터페이스에 해당한다. S2a는 신뢰되는 비-3GPP 액세스 및 PDN GW 간의 관련 제어 및 이동성 지원을 사용자 평면에 제공하는 레퍼런스 포인트이다. S2b는 ePDG 및 PDNGW 간의 관련 제어 및 이동성 지원을 사용자 평면에 제공하는 레퍼런스 포인트이다.
4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LTE(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LTE-A)의 성공에 힘입어, 차세대, 즉 5세대(소위 5G) 이동통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고, 연구도 속속 진행되고 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정의하는 5세대 이동통신은 최대 20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어디에서든 최소 100Mbps 이상의 체감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정식 명칭은 ‘IMT-2020’이며 세계적으로 2020년에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5세대 이동통신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뉴머롤로지(numerology) 혹은 SCS(subcarrier spacing)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SCS가 15kHz인 경우, 전통적인 셀룰러 밴드들에서의 넓은 영역(wide area)를 지원하며, SCS가 30kHz/60kHz인 경우, 밀집한-도시(dense-urban), 더 낮은 지연(lower latency) 및 더 넓은 캐리어 대역폭(wider carrier bandwidth)를 지원하며, SCS가 60kHz 또는 그보다 높은 경우, 위상 잡음(phase noise)를 극복하기 위해 24.25GHz보다 큰 대역폭을 지원한다.
NR 주파수 밴드(frequency band)는 2가지 타입(FR1, FR2)의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로 정의된다. FR1은 410 MHz - 7125 MHz이며, FR2는 24250MHz - 52600 MHz로 밀리미터 웨이브(millimeter wave, mmW)를 의미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NR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 중 FR1은 "sub 6GHz range"를 의미할 수 있고, FR2는 "above 6GHz range"를 의미할 수 있고 밀리미터 웨이브(millimeter wave, mmW)로 불릴 수 있다.
Frequency Range designation Corresponding frequency range Subcarrier Spacing
FR1 450MHz - 6000MHz 15, 30, 60kHz
FR2 24250MHz - 52600MHz 60, 120, 240kHz
상술한 바와 같이, NR 시스템의 주파수 범위의 수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은 하기 표 A7과 같이 410MHz 내지 7125MHz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FR1은 6GHz (또는 5850, 5900, 5925 MHz 등)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R1 내에서 포함되는 6GHz (또는 5850, 5900, 5925 MHz 등) 이상의 주파수 대역은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포함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을 위한 통신(예를 들어, 자율주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Frequency Range designation Corresponding frequency range Subcarrier Spacing
FR1 410MHz - 7125MHz 15, 30, 60kHz
FR2 24250MHz - 52600MHz 60, 120, 240kHz
ITU에서는 3대 사용 시나리오, 예컨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를 제시하고 있다.
먼저, URLLC는 높은 신뢰성과 낮은 지연시간을 요구하는 사용 시나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주행, 공장자동화, 증강현실과 같은 서비스는 높은 신뢰성과 낮은 지연시간(예컨대, 1ms 이하의 지연시간)을 요구한다. 현재 4G (LTE) 의 지연시간은 통계적으로 21-43ms (best 10%), 33-75ms (median) 이다. 이는 1ms 이하의 지연시간을 요구하는 서비스를 지원하기에 부족하다.
다음으로, eMBB 사용 시나리오는 이동 초광대역을 요구하는 사용 시나리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초광대역의 고속 서비스는 기존 LTE/LTE-A를 위해 설계되었던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서는 수용되기 어려워 보인다.
따라서, 소위 5세대 이동통신에서는 코어 네트워크의 재 설계가 절실히 요구된다.
도 2는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5GC(5G Core)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그 중에서 일부에 해당하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41)와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42)와 PCF(Policy Control Function)(43), UPF(User Plane Function)(44), AF(Application Function)(45), UDM(Unified Data Management)(46), N3IWF(Non-3GPP InterWorking Function)(49)를 포함한다.
UE(10)는 NG-RAN)(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즉, gNB 또는 기지국를 통해 UPF(44)를 거쳐 데이터 네트워크으로 연결된다.
UE(10)는 신뢰되지 않는 비-3GPP(non-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액세스, 예컨대, WLAN(Wireless 내부적(local) Area Network)를 통해서도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비-3GPP 액세스를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N3IWF(49)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차세대 이동통신의 예상 구조를 노드 관점에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UE는 차세대 RAN(Radio Access Network)를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DN)와 연결된다.
도시된 제어 평면 기능(Control Plane Function; CPF) 노드는 4세대 이동통신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의 기능 전부 또는 일부, S-GW(Serving Gateway) 및 P-GW(PDN Gateway)의 제어 평면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한다. 상기 CPF 노드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와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을 포함한다.
도시된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노드는 사용자의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게이트웨이의 일종이다. 상기 UPF 노드는 4세대 이동통신의 S-GW 및 P-GW의 사용자 평면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된 PCF(Policy Control Function)는 사업자의 정책을 제어하는 노드이다.
도시된 애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 AF)은 UE에게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이다.
도시된 통합 데이터 저장 관리(Unified Data Management: UDM)은 4세대 이동통신의 HSS(Home subscriber Server)와 같이,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의 일종이다. 상기 UDM은 상기 가입자 정보를 통합 데이터 저장소(Unified Data Repository: UDR)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도시된 인증 서버 기능(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USF)는 UE를 인증 및 관리한다.
도시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기능(Network Slice Selection Function: NSSF)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위한 노드이다.
도 2에서는 UE가 2개의 데이터 네트워크에 다중 PDU(protocol data unit or packet data unit) 세션을 이용하여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도 4는 2개의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동시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아키텍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서는 UE가 하나의 PDU 세션을 사용하여 2개의 데이터 네트워크에 동시 액세스하기 위한 아키텍처가 나타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레퍼런스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N1은 UE와 AMF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2은 (R)AN과 AM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3은 (R)AN과 UP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4은 SMF와 UP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5은 PCF과 A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6은 UPF와 DN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7은 SMF과 PC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8은 UDM과 AM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9은 UPF들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0은 UDM과 SM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1은 AMF과 SM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2은 AMF과 AUS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3은 UDM과 AUS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4은 AMF들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5은 PCF과 AM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16은 SMF들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N22은 AMF와 NSSF 간에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도 5은 UE와 gNB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를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상기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다.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계층(Physical 계층), 데이터링크계층(Data Link 계층) 및 네트워크계층(Network 계층)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적으로는 데이터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평면(User Plane)과 제어신호(Signaling)전달을 위한 제어평면(Control Plane)으로 구분된다.
상기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제1계층), L2(제2계층),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무선 프로토콜의 각 계층을 설명한다.
제1 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정보전송서비스(정보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상기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송 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전달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송신 측과 수신 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전달된다.
제2계층은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그리고 패킷 데이터 수렴(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을 포함한다.
제3 계층은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약칭함)을 포함한다. 상기 R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되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라 약칭함)들의 설정(설정), 재설정(Re-설정)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 채널, 전송 채널 및 물리 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때, RB는 UE와 E-UTRAN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상기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연결관리(세션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NAS 계층은 MM(Mobility Management)을 위한 NAS 엔티티와 SM(session Management)을 위한 NAS 엔티티로 구분된다.
1) MM을 위한 NAS 엔티티는 일반적인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AMF와 관련된 NAS 절차로서, 다음을 포함한다.
- 등록 관리 및 접속 관리 절차. AMF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지원한다.
- UE와 AMF간에 안전한 NAS 신호 연결(무결성 보호, 암호화)
2) SM을 위한 NAS 엔티티는 UE와 SMF간에 세션 관리를 수행한다.
SM 시그널링 메시지는 UE 및 SMF의 NAS-SM 계층에서 처리, 즉 생성 및 처리된다. SM 시그널링 메시지의 내용은 AMF에 의해 해석되지 않는다.
- SM 시그널링 전송의 경우,
- MM을 위한 NAS 엔티티는 SM 시그널링의 NAS 전송을 나타내는 보안 헤더, 수신하는 NAS-MM에 대한 추가 정보를 통해 SM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과 위치를 유도하는 NAS-MM 메시지를 생성합니다.
- SM 시그널링 수신시, SM을 위한 NAS 엔티티는 NAS-MM 메시지의 무결성 검사를 수행하고, 추가 정보를 해석하여 SM 시그널링 메시지를 도출할 방법 및 장소를 유도한다.
한편, 도 4에서 NAS 계층 아래에 위치하는 RRC 계층, RLC 계층, MAC 계층, PHY 계층을 묶어서 액세스 계층(Access Stratum: AS)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차세대 이동통신(즉, 5G)를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즉, 5GC)은 비(non)-3GPP 액세스도 지원한다. 상기 비-3GPP 액세스의 예로는 대표적으로 WLAN 액세스가 있다. 상기 WLAN 액세스는 신뢰되는(trusted) WLAN과 신뢰할 수 없는(untrusted) WLAN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5G를 위한 시스템에서 AMF는 3GPP 액세스 뿐만 아니라 비-3GPP 액세스에 대한 등록 관리(RM: Registration Management) 및 연결 관리(CM: Connection Management)를 수행한다.
다른 한편, UE가 PDU 세션을 3GPP 액세스 또는 비(non)-3GPP 액세스에서 생성한 후 다른 액세스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려고 할 때,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자원 예약이 실패하는 경우 핸드오버가 실패할 수 있다.
이 경우 SMF가 AMF로 PDU 세션이 해제되었음을 알리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할 경우, AMF는 해당 PDU 세션에 대한 컨텍스트를 모두 지우게 된다. 이 경우 UE은 더 이상 PDU 세션에 대한 NAS 시그널링을 주고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노드를 선택하기 위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노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AF(Application Function) 노드로부터의 AF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AF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SMF를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선택 또는 재선택된 SMF로 상기 AF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시지는 N11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AF 요청 정보는: 요청하는 DNAI(Data Network Access Identifier) 및 AF 요청 수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NAI에 기초하여 상기 SMF가 선택 또는 재선택될 수 있다.
상기 AF 요청 수준에 기초하여 상기 SMF가 선택 또는 재선택될 수 있다.
상기 선택 또는 재선택된 SMF로 제2 메시지의 전송은 UP(User Plane) 경로의 변경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상기 UP 경로의 변경은: PDU 세션 비활성화 또는 해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PDU 세션 재활성화 또는 재수립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노드를 선택하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노드에 장착되는 칩셋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칩셋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가능하게(operably)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AF(Application Function) 노드로부터의 AF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AF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SMF를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선택 또는 재선택된 SMF로 상기 AF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노드를 선택하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노드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송수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그리고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가능하게(operably)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AF(Application Function) 노드로부터의 AF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AF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SMF를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선택 또는 재선택된 SMF로 상기 AF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명령어들을 기록하고 있는 비휘발성(non-volatile)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들은,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노드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은: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AF(Application Function) 노드로부터의 AF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AF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SMF를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선택 또는 재선택된 SMF로 상기 AF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면, 제3자 요청에 기반하여 MEC(Mobile Edge Computing) 서비스의 QoE 및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하면, 제한된 네트워크 토폴로지 환경에서도 MEC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관계없더라도 제3자의 보안/정책 등에 부합되는 MEC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MEC 서비스 제공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진화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도 3은 차세대 이동통신의 예상 구조를 노드 관점에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2개의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동시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아키텍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UE와 gNB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를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예시적인 등록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예시적인 PDU 세션 수립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은 EAS(Edge Application Server)를 위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9는 I-SMF(intermediate SMF)가 도입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개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개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7번 과정 및 도 11에 도시된 6번 과정 이후에 UP 경로를 갱신하는 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구현된 프로세서의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UE(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7는 도 14에 도시된 제1 장치의 송수신부 또는 도 16에 도시된 장치의 송수신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명세서의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을 예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의 내용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의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의 내용과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내용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의 내용과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의 내용과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내용과 사상은 첨부된 도면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or B)”는 “A 및/또는 B(A 및/또는 B)”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A, B 또는 C(A, B or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슬래쉬(/)나 쉼표(comma)는 “및/또는(및/또는)”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는 “A, B 또는 C”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및 B(at least one of A and B)”는, “오직 A”, “오직 B” 또는 “A와 B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또는 B(at least one of A or B)”나 “적어도 하나의 A 및/또는 B(at least one of A 및/또는 B)”라는 표현은 “적어도 하나의 A 및 B(at least one of A and B)”와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A, B 및 C(at least one of A, B and C)”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모든 조합(any combination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A, B 또는 C(at least one of A, B or C)”나 “적어도 하나의 A, B 및/또는 C(at least one of A, B 및/또는 C)”는 “적어도 하나의 A, B 및 C(at least one of A, B and C)”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괄호는 “예를 들어(for example)”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정보(PDCCH)”로 표시된 경우, “제어 정보”의 일례로 “PDCCH”가 제안된 것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명세서의 “제어 정보”는 “PDCCH”로 제한(limit)되지 않고, “PDDCH”가 “제어 정보”의 일례로 제안될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즉, PDCCH)”로 표시된 경우에도, “제어 정보”의 일례로 “PDCCH”가 제안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도면 내에서 개별적으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예시적으로 UE(User Equipment)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시된 상기 UE는 UE(100)(Terminal), ME(Mobile Equipment), 등의 용어로 언급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UE는 노트북, 휴대폰,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멀티미디어 기기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거나, PC,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등록 절차>
UE는 이동 추적(mobility tracking)을 가능하게 하고 데이터 수신을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인가(authorise)를 얻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UE는 네트워크에 등록해야 한다. 등록 절차는 UE가 5G 시스템에 대한 초기 등록을 해야할 필요가 있을 때 수행된다. 또한, 상기 등록 절차는, UE가 주기적 등록 업데이트를 수행 할 때, 유휴 모드에서 새로운 TA(tracking area)으로 이동할 때 그리고 UE가 주기적인 등록 갱신을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 수행된다.
초기 등록 절차 동안, UE의 ID가 UE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AMF는 PEI (IMEISV)를 UDM, SMF 및 PCF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예시적인 등록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1) UE는 RAN으로 A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AN 메시지는 AN 파라미터, 등록 요청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는 등록 타입, 가입자 영구 ID 혹은 임시 사용자 ID, 보안 파라미터, NSSAI(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UE의 5G 능력, PDU(Protocol Data Unit) 세션 상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5G RAN인 경우, 상기 AN 파라미터는 SUPI(Subscription Permanent Identifier) 또는 임시 사용자 ID, 선택된 네트워크 및 NSSAI를 포함할 수 있다.
등록 타입은 "초기 등록"(즉, UE가 비 등록 상태에 있음), "이동성 등록 업데이트"(즉, UE가 등록된 상태에 있고 이동성으로 인해 등록 절차를 시작함) 또는 "정기 등록 업데이트"(즉, UE가 등록된 상태에 있으며 주기적인 업데이트 타이머 만료로 인해 등록 절차를 시작함)인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임시 사용자 I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임시 사용자 ID는 마지막 서빙 AMF를 나타낸다. UE가 3GPP 액세스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과 다른 PLMN에서 비-3GPP 액세스를 통해 이미 등록된 경우, UE가 비-3GPP 액세스를 통해 등록 절차 동안 AMF에 의해 할당된 UE의 임시 ID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보안 파라미터는 인증 및 무결성 보호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PDU 세션 상태는 UE에서 사용 가능한 (이전에 설정된) PDU 세션을 나타낼 수 있다.
2) SUPI가 포함되거나 임시 사용자 ID가 유효한 AMF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 RAN은 (R)AT 및 NSSAI에 기초하여 AMF를 선택할 수 있다.
(R)AN이 적절한 AMF를 선택할 수 없는 경우 로컬 정책에 따라 임의의 AMF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AMF로 등록 요청을 전달한다. 선택된 AMF가 UE를 서비스할 수 없는 경우, 선택된 AMF는 UE를 위해 보다 적절한 다른 AMF를 선택한다.
3) 상기 RAN은 새로운 AMF로 N2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N2 메시지는 N2 파라미터, 등록 요청을 포함한다. 상기 등록 요청은 등록 타입, 가입자 영구 식별자 또는 임시 사용자 ID, 보안 파라미터, NSSAI 및 MICO 모드 기본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5G-RAN이 사용될 때, N2 파라미터는 UE가 캠핑하고 있는 셀과 관련된 위치 정보, 셀 식별자 및 RAT 타입을 포함한다.
UE에 의해 지시된 등록 타입이 주기적인 등록 갱신이면, 후술하는 과정 4~17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4) 상기 새로이 선택된 AMF는 이전 AMF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UE의 임시 사용자 ID가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고 서빙 AMF가 마지막 등록 이후 변경된 경우, 새로운 AMF는 UE의 SUPI 및 MM 컨텍스트를 요청하기 위해 완전한 등록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이전 AMF로 전송할 수있다.
5) 이전 AMF는 상기 새로이 선택된 AMF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정보 응답 메시지는 SUPI, MM 컨텍스트, SMF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전 AMF는 UE의 SUPI 및 MM 컨텍스트를 포함하는 정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 이전 AMF에 활성 PDU 세션에 대한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이전 AMF에는 SMF의 ID 및 PDU 세션 ID를 포함하는 SMF 정보를 상기 정보 응답 메시지 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6) 상기 새로운 AMF는 SUPI가 UE에 의해 제공되지 않거나 이전 AMF로부터 검색되지 않으면, UE로 Identity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7) 상기 UE는 상기 SUPI를 포함하는 Identity Response 메시지를 상기 새로운 AMF로 전송한다.
8) AMF는 AUSF를 트리거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AMF는 SUPI에 기초하여, AUSF를 선택할 수 있다.
9) AUSF는 UE 및 NAS 보안 기능의 인증을 시작할 수 있다.
10) 상기 새로운 AMF는 이전 AMF로 정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AMF가 변경된 경우, 새로운 AMF는 UE MM 컨텍스트의 전달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정보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 인증 / 보안 절차가 실패하면 등록은 거절되고 새로운 AMF는 이전 AMF에 거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11) 상기 새로운 AMF는 UE로 Identity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PEI가 UE에 의해 제공되지 않았거나 이전 AMF로부터 검색되지 않은 경우, AMF가 PEI를 검색하기 위해 Identity Request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12) 상기 새로운 AMF는 ME 식별자를 검사한다.
13) 후술하는 과정 14가 수행된다면, 상기 새로운 AMF는 SUPI에 기초하여 UDM을 선택한다.
14) 최종 등록 이후에 AMF가 변경되거나, AMF에서 UE에 대한 유효한 가입 컨텍스트가 없거나, UE가 AMF에서 유효한 컨텍스트를 참조하지 않는 SUPI를 제공하면, 새로운 AMF는 위치 갱신(Update Location) 절차를 시작한다. 혹은 UDM이 이전 AMF에 대한 위치 취소(Cancel Location)를 시작하는 경우에도 시작될 수 있다. 이전 AMF는 MM 컨텍스트를 폐기하고 가능한 모든 SMF (들)에게 통지하며, 새로운 AMF는 AMF 관련 가입 데이터를 UDM으로부터 얻은 후에 UE에 대한 MM 컨텍스트를 생성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이 사용되는 경우 AMF는 요청 된 NSSAI, UE 가입 및 로컬 정책을 기반으로 허용 된 NSSAI를 획득한다. AMF가 허용된 NSSAI를 지원하는 데 적합하지 않은 경우 등록 요청을 다시 라우팅합니다.
15) 상기 새로운 AMF는 SUPI에 기반하여 PCF를 선택할 수 있다.
16) 상기 새로운 AMF는 UE Context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PCF로 전송한다. 상기 AMF는 PCF에게 UE에 대한 운영자 정책을 요청할 수 있다.
17) 상기 PCF는 UE Context Establishment Acknowledged 메시지를 상기 새로운 AMF로 전송한다.
18) 상기 새로운 AMF는 SMF에게 N1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AMF가 변경되면, 새로운 AMF는 각 SMF에게 UE를 서비스하는 새로운 AMF를 통지한다. AMF는 이용 가능한 SMF 정보로 UE로부터의 PDU 세션 상태를 검증한다. AMF가 변경된 경우 사용 가능한 SMF 정보가 이전 AMF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새로운 AMF는 UE에서 활성화되지 않은 PDU 세션과 관련된 네트워크 자원을 해제하도록 SMF에 요청할 수 있다.
19) 상기 새로운 AMF는 N11 응답 메시지를 SMF에게 전송한다.
20) 상기 이전 AMF는 UE Context Termination Request 메시지를 PCF로 전송한다.
상기 이전 AMF가 PCF에서 UE 컨텍스트가 설정되도록 이전에 요청했었던 경우, 상기 이전 AMF는 PCF에서 UE 컨텍스트를 삭제시킬 수 있다.
21) 상기 PCF는 이전 AMF로 UE Context Termin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22) 상기 새로운 AMF는 등록 수락 메시지를 UE로 전송한다.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는 임시 사용자 ID, 등록 영역, 이동성 제한, PDU 세션 상태, NSSAI, 정기 등록 업데이트 타이머 및 허용 된 MICO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는 허용된 NSSAI와 그리고 상기 매핑된 NSSAI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UE의 액세스 타입에 대한 상기 허용된 NSSAI정보는 등록 수락 메시지를 포함하는 N2 메시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매핑된 NSSAI의 정보는 상기 허용된 NSSAI의 각 S-NSSAI를 HPLMN을 위해 설정된 NSSAI의 S-NASSI에 매핑한 정보이다.
상기 AMF가 새 임시 사용자 ID를 할당하는 경우 임시 사용자 ID가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 내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동성 제한이 UE에 적용되는 경우에 이동성 제한을 지시하는 정보가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내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AMF는 UE에 대한 PDU 세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등록 수락 메시지 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UE는 수신된 PDU 세션 상태에서 활성으로 표시되지 않은 PDU 세션과 관련된 임의의 내부 리소스를 제거할 수 있다. PDU 세션 상태 정보가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에 있으면, AMF는 UE에게 PDU 세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 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23) 상기 UE는 상기 새로운 AMF로 등록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PDU 세션 수립 절차>
PDU(Protocol Data Unit) 세션 수립 절차는 아래와 같이 두 가지 유형의 PDU 세션 수립 절차가 존재할 수 있다.
- UE가 개시하는 PDU 세션 수립 절차
- 네트워크가 개시하는 PDU 세션 수립 절차. 이를 위해, 네트워크는 장치 트리거 메시지를 UE의 애플리케이션 (들)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예시적인 PDU 세션 수립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절차는 도 6에 도시된 등록 절차에 따라, UE가 AMF 상에 이미 등록한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AMF는 이미 UDM으로부터 사용자 가입 데이터를 획득한 것으로 가정한다.
1) UE는 AMF로 NAS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는 S-NSSAI(Session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DNN, PDU 세션 ID, 요청 타입, N1 SM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UE는 현재 액세스 타입의 허용된(allowed) NSSAI로부터 S-NSSAI를 포함시킨다. 만약 상기 매핑된 NSSAI에 대한 정보가 상기 UE에게 제공되었다면, 상기 UE는 상기 허용된 NSSAI에 기반한 S-NSSAI와 상기 매핑된 NSSAI의 정보에 기반한 대응 S-NSSAI를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핑된 NSSAI의 정보는 상기 허용된 NSSAI의 각 S-NSSAI를 HPLMN을 위해 설정된 NSSAI의 S-NASSI에 매핑한 정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UE는 도 5의 등록 절차에서 네트워크(즉, AMF)로부터 수신한 등록 수락 메시지의 포함된, 허용된 S-NSSAI와 상기 매핑된 S-NSSAI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UE는 상기 PDU 세션 수립 요청 메시지에 상기 허용된 NSSAI에 기반한 S-NSSAI와 상기 매핑된 NSSAI의 정보에 기반한 대응 S-NSSAI를 모두 포함시켜서, 전송할 수 있다.
새로운 PDU 세션을 수립하기 위해, UE는 새로운 PDU 세션 ID를 생성할 수 있다.
UE는 PDU 세션 수립 요청 메시지를 N1 SM 정보 내에 포함시킨 NAS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UE에 의해 개시되는 PDU 세션 수립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PDU 세션 수립 요청 메시지는 요청 타입, SSC 모드, 프로토콜 구성 옵션을 포함 할 수 있다.
PDU 세션 수립이 새로운 PDU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것일 경우 요청 타입은 "초기 요청"을 나타낸다. 그러나, 3GPP 액세스와 비-3GPP 액세스 사이의 기존 PDU 세션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요청 타입은 "기존 PDU 세션"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는 NAS 메시지는 AN에 의해 N2 메시지 내에 인캡슐레이션 된다. 상기 N2 메시지는 AMF로 전송되며,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액세스 기술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N1 SM 정보는 외부 DN에 의한 PDU 세션 인증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SM PDU DN 요청 컨테이너를 포함 할 수 있다.
2) AMF는 메시지가 상기 요청 타입이 "초기 요청"을 나타내는 경우 그리고 상기 PDU 세션 ID가 UE의 기존 PDU 세션을 위해서 사용되지 않았던 경우, 새로운 PDU 세션에 대한 요청에 해당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NAS 메시지가 S-NSSAI를 포함하지 않으면, AMF는 UE 가입에 따라 요청된 PDU 세션에 대한 디폴트 S-NSSAI를 결정할 수 있다. AMF는 PDU 세션 ID와 SMF의 ID를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
상기 AMF는 SMF를 선택할 수 있다.
3) AMF는 Nsmf_PDUSession_CreateSMContext Request 메시지 또는 Nsmf_PDUSession_UpdateSM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SMF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Nsmf_PDUSession_CreateSMContext Request 메시지는 SUPI, DNN, S-NSSAI(s), PDU Session ID, AMF ID, Request Type, PCF ID, Priority Access, N1 SM container, User location information, Access Type, PEI, GPSI, UE presence in LADN service area, Subscription For PDU Session Status Notification, DNN Selection Mode, Trace Requirement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M container는 PDU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smf_PDUSession_UpdateSMContext Request 메시지는 SUPI, DNN, S-NSSAI(s), SM Context ID, AMF ID, Request Type, N1 SM container, User location information, Access Type, RAT type, PE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1 SM container는 PDU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AMF ID는 UE를 서비스하는 AMF를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N1 SM 정보는 UE로부터 수신된 PDU 세션 수립 요청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4) SMF는 가입자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UDM으로 전송한다. 상기 가입자데이터 요청 메시지는 가입자 영구 ID, DNN을 포함할 수 있다. UDM은 가입 데이터 응답 메시지를 SMF로 전송할 수 있다
위 과정 3에서 요청 타입이 "기존 PDU 세션"을 나타내는 경우 SMF는 해당 요청이 3GPP 액세스와 비 -3GPP 액세스 사이의 핸드 오버로 기인한 것으로 결정한다. SMF는 PDU 세션 ID를 기반으로 기존 PDU 세션을 식별할 수 있다.
SMF가 아직 DNN과 관련된 UE에 대한 SM 관련 가입 데이터를 검색하지 않은 경우 SMF는 가입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가입 데이터에는 인증된 요청 타입, 인증된 SSC 모드, 기본 QoS 프로파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SMF는 UE 요청이 사용자 가입 및 로컬 정책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혹은, SMF는 AMF에 의해 전달된 NAS SM 시그널링(관련 SM 거부 원인 포함)을 통해 UE 요청을 거절하고, SMF는 AMF에게 PDU 세션 ID가 해제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함을 알린다.
5) SMF는 Nsmf_PDUSession_CreateSMContext Response 메시지 또는 Nsmf_PDUSession_UpdateSMContext Response 메시지를 AMF로 전송한다.
상기 Nsmf_PDUSession_CreateSMContext Response 메시지는 Cause, SM Context ID 또는 N1 SM contain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1 SM container는 PDU Session Reject를 포함할 수 있다.
위 과정 3에서 SMF가 Nsmf_PDUSession_CreateSM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수신했었고, 상기 SMF가 PDU Session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는 경우, 상기 SMF SM 컨텍스트를 생성하고, AMF에게 SM 컨텍스트 ID를 전달한다.
6) 2차 인증/허가(Secondary authentication/authorization)가 선택적으로 수행된다.
7a) PDU 세션을 위해서 동작 PCC가 사용되는 경우, SMF는 PCF를 선택한다.
7b) 상기 SMF는 SM 정책 어소시에이션(association)을 PCF와 수립하기 위해서 SM 정책 어소시에이션 수립 절차를 수행한다.
8) 과정 3의 요청 타입이 "초기 요청"을 나타내면 SMF는 PDU 세션에 대한 SSC 모드를 선택한다. 과정 5가 수행되지 않으면 SMF는 UPF도 선택할 수 있다. 요청 타입 IPv4 또는 IPv6의 경우 SMF는 PDU 세션에 대한 IP 주소 / 프리픽스(prefix)를 할당할 수 있다.
9) SMF는 SM 정책 어소시에이션 수정 절차를 수행하여, 정책 제어 요청 트리고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10) 요청 타입이 "초기 요청"을 나타내고 SMF는 선택된 UPF를 사용하여 N4 세션 수립 절차를 시작하고, 그렇지 않으면 선택한 UPF를 사용하여 N4 세션 수정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10a) SMF는 UPF에 N4 세션 수립 / 수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SMF는 PDU 세션에 대해 UPF에 설치될 패킷 탐지, 시행 및 보고 규칙을 제공할 수 있다. SMF가 CN 터널 정보를 할당되는 경우, CN 터널 정보가 UPF에 제공될 수 있다.
10b) UPF는 N4 세션 수립 / 수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CN 터널 정보가 UPF에 의해 할당되는 경우, CN 터널 정보가 SMF에 제공될 수 있다.
11) 상기 SMF는 Namf_Communication_N1N2MessageTransfer 메시지를 AMF로 전송한다. 상기 Namf_Communication_N1N2MessageTransfer 메시지는 PDU Session ID, N2 SM information, N1 SM contain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2 SM 정보는 PDU Session ID, QFI(QoS Flow ID), QoS Profile(s), CN Tunnel Info, S-NSSAI from the Allowed NSSAI, Session-AMBR, PDU Session Type, User Plane Security Enforcement information, UE Integrity Protection Maximum Data R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1 SM container는 PDU 세션 수립 수락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DU 세션 수립 수락 메시지는 허가 된 QoS 규칙, SSC 모드, S-NSSAI, 할당 된 IPv4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12) AMF는 RAN으로 N2 PDU 세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는 N2 SM 정보, NAS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AS 메시지는 PDU 세션 ID, PDU 세션 수립 수락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AMF는 PDU 세션 ID 및 PDU 세션 수립 수락 메시지를 포함하는 NA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AMF는 SMF로부터 수신 N2 SM 정보를 N2 PDU 세션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시켜 RAN에 전송한다.
13) RAN은 SMF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관련된 UE와의 특정 시그널링 교환을 할 수 있다.
RAN은 또한 PDU 세션에 대해 RAN N3 터널 정보를 할당한다.
RAN은 과정 10에서 제공된 NAS 메시지를 UE에 전달한다. 상기 NAS 메시지는 PDU 세션 ID, N1 SM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1 SM 정보는 PDU 세션 수립 수락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RAN은 필요한 RAN 자원이 설정되고 RAN 터널 정보의 할당이 성공적인 경우에만 NAS 메시지를 UE에게 전송한다.
14) RAN은 AMF로 N2 PDU 세션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는 PDU 세션 ID, 원인, N2 SM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2 SM 정보는 PDU 세션 ID, (AN) 터널 정보, 허용 / 거부된 QoS 프로파일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 RAN 터널 정보는 PDU 세션에 해당하는 N3 터널의 액세스 네트워크 주소에 해당할 수 있다.
15) AMF는 Nsmf_PDUSession_UpdateSMContext Request 메시지를 SMF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Nsmf_PDUSession_UpdateSMContext Request 메시지는 N2 SM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MF는 RAN에서 수신한 N2 SM 정보를 SMF로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16a) 상기 PDU 세션에 대한 N4 세션이 이미 설정되지 않은 경우 SMF는 UPF와 함께 N4 세션 수립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SMF는 UPF를 사용하여 N4 세션 수정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SMF는 AN 터널 정보와 CN 터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CN 터널 정보는 SMF가 과정 8에서 CN 터널 정보를 선택한 경우에만 제공해야할 수 있다.
16b) 상기 UPF는 SMF에 N4 세션 수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17) 상기 SMF는 Nsmf_PDUSession_UpdateSMContext Response 메시지를 AMF에게 전송한다.
이 과정이 끝나면 AMF는 관련 이벤트를 SMF에 전달할 수 있다.
18) 상기 SMF는 Nsmf_PDUSession_SMContextStatusNotify 메시지를 전송한다.
19) SMF는 UPF를 통해 UE에게 정보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PDU Type IPv6의 경우 SMF는 IPv6 Router Advertisement를 생성하고 이를 N4와 UPF를 통해 UE로 전송할 수 있다.
20) 절차 중에 PDU 세션 수립이 성공적이지 않으면 SMF는 AMF에 알린다.
<에지 컴퓨팅(Edge Computing)>
5G에서는 에지 컴퓨팅(Edge Computing)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에지 컴퓨팅을 위해 여러 아키텍처들이 고려될 수 있다.
도 8은 EAS(Edge Application Server)를 위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DN(Data Network)은 PSA(PDU session Anchor)으로서 동작하는 UPF 1과 연결된다. 그리고 EAS는 PSA로서 동작하는 UPF 2와 연결된다. 상기 UPF 1과 UPF 2는 UL-CL(Uplink Classifier)/BP(Branching Point)로 동작하는 UPF 3와 서로 연결된다.
모든 UPF들은 하나의 SMF에 연결된다.
도시된 아키텍처들은 UE들이 에지 컴퓨팅을 인식하지 못하는 시나리오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도시된 아키텍처들은 UE들이 에지 컴퓨팅을 인식하는 시나리오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도시된 아키텍처들은 애플리케이션들이 에지 컴퓨팅을 인식하지 못하는 시나리오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UE 내의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들은 특별한 로직이 없더라도 에지 컴퓨팅을 사용할 수 있다.
<I-SMF의 도입>
도 9는 I-SMF(intermediate SMF)가 도입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UPF 1은 DN과 연결되어 있고, UPF 2는 로컬 DN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UPF 1은 SMF와 연결되고, 상기 UPF 2는 I-SMF와 연결될 수 있다.
<트래픽 라우팅>
다른 한편, 로컬 DN으로 트래픽 라우팅을 AF(application function) 요청 별로 활성화하는 것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로컬 DN으로 트래픽 라우팅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SMF 내에는 DNAI(Data Network Access Identifier)가 설정될 수 있다.
AF는 PDU 세션의 트래픽을 위하여 SMF 라우팅 결정에게 영향을 주는 요청들을 전송할 수 있다. AF의 요청은 UPF의 선택 또는 재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DNAI에 의해서 DN로 향하는 로컬 액세스로 사용자 트래픽을 라우팅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AF는 UE를 서빙하는 PLMN에 의해 제공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을 대신하여 상기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
AF가 네트워크로 직접 접속하는 것을 사업자가 허용하지 않는 경우, AF는 NEF를 사용하여 5GC와 인터렉션할 수 있다.
AF는 로컬 DN 내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재선택 또는 재할당을 담당할 수 있다.
AF는 PDU 세션과 관련된 이벤트에 통지를 요청할 수 있다.
AF 요청은 N5 인터페이스를 통해 혹은 NEF를 통해 PCF로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PCF는 AF 요청을 PDU 세션에 적용하는 정책으로 변환할 수 있다.
SMF는 로컬 DN으로 트래픽 라우팅을 활성화하기 위한 PCC 규칙을 수신할 경우, SMF는 요청된 DNAI가 SMF 또는 I-SMF에 의해서 지원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SMF 또는 I-SMF 중 어느 것도 상기 요청된 DNAI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SMF는 로컬 DN으로 향하는 트래픽 라우팅 설정을 활성화할 수 없을 수 있다.
AF 요청 정보는 NEF에 의해서 UDR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AF 요청은 UPF의 선택 또는 재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지만, SMF 선택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한편, I-SMF를 선택하여 로컬 DN으로 트래픽을 라우팅하기 위해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I-SMF와 SMF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5G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에지 컴퓨팅 환경에서는, 특이한 상황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제3자(3rd party) 서비스 제공자는 보안 혹은 자체 정책 등의 이유로 전용(dedicated) SMF, UPF를 사용하고 싶은 상황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I-SMF와 SMF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로컬 DN으로의 트래픽 라우팅이 수행할 수 있는 제어 방안을 필요하다.
<본 명세서의 개시>
본 명세서의 개시들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한다.
본 명세서의 개시들은 후술하는 하나 이상의 동작/구성/단계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I. 본 명세서의 개시들의 개괄(Overview)
I-1.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
제3자의 AF 혹은 이동 통신 사업자의 AF는 특정 위치, 특정 상황 (시간/장소 등)에서 전용 제어 노드와 UPF를 사용하겠다는 요청을 코어 네트워크로 송부한다.
상기 요청은 상기 DNAI와 AF 요청 수준(leve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NAI는 SMF, UPF 선택에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AF 요청 수준은 on/off, 0/1로 구분되는 단순 인디케이션일 수 있으나, 사업자와 서비스 제공자 간의 사업 협약에 따라 다양한 레벨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레벨은 새로운 SMF 선택을 위한 기본 정보 중 하나로 고려된다.
I-1-2. 네트워크 제어 노드(예컨대, AMF)
상기 AF로부터 받은 정보(DNAI, AF 요청 수준 혹은 코어 네트워크에서 인지되는 변경된 인디케이션)에 따라 SMF 선택을 수행한다.
AF 요청에 의한 SMF 선택 결과임을 SMF에게 송부, UP 경로 변경을 트리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I-2. 단말의 기능
단말은 네트워크로부터 직간접적으로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PDU 세션의 비활성화/해제 및 재 활성화/재 설정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II. 구현 예시
이하의 도면 각각은 각 개시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도면의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개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도 10을 참조하면, AF는 자신의 요청, 즉 AF 요청을 생성한다.
2) 그리고 AF는 상기 AF 요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nef_TrafficeInfluence_Create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AF 요청에 대한 정보는 요청하는 DNAI 및 AF 요청 수준을 포함할 수 있다.
3a) 상기 NEF(Network Exposure Function)는 상기 AF 요청에 대한 정보를 상기 UDR(Unified Data Repository)에 저장 요청한다.
3b) 그리고, 상기 NEF는 상기 AF로 Nnef_TrafficeInfluence_Create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한다.
4) 상기 UDR은 상기 AF 요청 정보(즉, 상기 요청된 DNAI 및 AF 요청 수준 정보를 포함)을 포함하는 Nudr_DM_Notify 메시지를 PCF(Policy Control Function)로 전송한다.
5) 상기 PCF는 상기 AF 요청 정보(즉, 상기 요청된 DNAI 및 AF 요청 수준 정보를 포함)을 포함하는 상기 Npcf_SMPolicyControl_UpdateNotify 메시지를 상기 SMF와 교환한다.
6) 상기 SMF는 상기 AF 요청 정보(즉, 상기 요청된 DNAI 및 AF 요청 수준 정보를 포함)을 포함하는 N11 메시지를 상기 AMF로 전송한다.
7) 그러면, 상기 AMF는 새로운 SMF를 선택한다.
이후 UP 경로가 갱신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개시에 따른 신호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도 11을 참조하면, AF는 자신의 요청, AF 요청을 생성한다. 그리고 AF는 상기 AF 요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Nnef_TrafficeInfluence_Create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AF 요청에 대한 정보는 요청하는 DNAI 및 AF 요청 수준을 포함할 수 있다.
2) 그리고 AF는 상기 AF 요청 정보(즉, 상기 요청된 DNAI 및 AF 요청 수준 정보를 포함)을 포함하는 Nnef_TrafficeInfluence_Create 메시지를 전송한다.
3a) 상기 NEF는 상기 AF 요청 정보(즉, 상기 요청된 DNAI 및 AF 요청 수준 정보를 포함)를 상기 UDR에 저장 요청한다.
3b) 그리고, 상기 NEF는 상기 AF로 Nnef_TrafficeInfluence_Create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한다.
4) 상기 UDR은 상기 AF 요청 정보(즉, 상기 요청된 DNAI 및 AF 요청 수준 정보를 포함)를 포함하는 Nudr_DM_Notify 메시지를 AM-PCF로 전송한다.
5) 상기 AM-PCF는 상기 AF 요청 정보(즉, 상기 요청된 DNAI 및 AF 요청 수준 정보를 포함)를 포함하는 상기 Npcf_AMPolicyControl_UpdateNotify 메시지를 상기 AMF와 교환한다.
6) 그러면, 상기 AMF는 새로운 SMF를 선택한다.
이후 UP 경로가 갱신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7번 과정 및 도 11에 도시된 6번 과정 이후에 UP 경로를 갱신하는 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이다.
8) 상기 AMF는 AF 요청 정보(예컨대, AF 요청 수준 정보를 포함)을 포함하는 N11 메시지를 선택된 새로운(new) SMF로 전송할 수 있다.
9) 이후, PDU 세션 비활성화 또는 해제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PDU 세션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 또는 PDU 세션 해제 요청 메시지가 송수신될 수 있다.
10) 이후, 상기 PDU 세션 재활성화 또는 재수립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PDU 세션 재활성화 요청 메시지 혹은 PDU 세션 재수립 요청 메시지가 송수신될 수 있다.
상기 새로운(New) SMF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UPF로 PDU 세션의 경로를 변경하도록 요청한다.
11) 한편, UE는 수신한 메시지 내의 원인(cause) 혹은 직/간접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PDU 세션의 비활성화/해제 및 재 활성화/재 설정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III. 본 명세서의 개시들의 간략 요약
AF는 특정 네트워크 토폴로지 환경의 네트워크 노드를 사용하기 위한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AF가 전송하는 정보에는 AF 요청 수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F 요청 수준이라 함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업자와 협의된 요청 수준을 의미할 수 있다.
AF로부터 상기 정보를 받은 네트워크 제어 노드, 예컨대 AMF는 세션 관리 제어 노드인 SMF를 선택하고, AF 요청에 의한 선택임을 직/간접적으로 SMF에게 알릴 수 있다.
UE는 수신한 메시지 내의 원인 정보 혹은 직/간접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PDU 세션의 비활성화/해제 및 재 활성화/재 설정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위와 같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구현된 프로세서의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개시가 구현된 프로세서(102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제안된 기능, 절차 및/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복수의 회로(circuitry)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020)은 제1 회로(1020-1), 제2 회로(1020-2) 그리고 제3 회로(102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프로세서(1020)은 더 많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회로는 복수의 트랜지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로 불릴 수 있으며, DSP(digital signal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UE, 기지국, AMF 또는 SMF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가 AMF에 포함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AMF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제1 회로(1020-1)는 AF(Application Function) 노드로부터의 AF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AMF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제2 회로(1020-2)는 상기 AF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SMF를 선택 또는 재선택할 수 있다.
상기 AMF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제3 회로(1020-3)는 상기 선택 또는 재선택된 SMF로 상기 AF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시지는 N11 혹은 N15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AF 요청 정보는: 요청하는 DNAI(Data Network Access Identifier) 및 AF 요청 수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NAI에 기초하여 상기 SMF가 선택 또는 재선택될 수 있다.
상기 AF 요청 수준에 기초하여 상기 SMF가 선택 또는 재선택될 수 있다.
상기 선택 또는 재선택된 SMF로 제2 메시지의 전송은 UP(User Plane) 경로의 변경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상기 UP 경로의 변경은: PDU 세션 비활성화 또는 해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PDU 세션 재활성화 또는 재수립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장치(100a)와 제2 장치(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장치(100a)는 본 명세서의 개시에서 설명한 UE일 수 있다. 또는, 제1 장치(100a)는 기지국, 네트워크 노드, 전송 UE, 수신 UE, 무선 장치, 무선 통신 장치, 차량,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차량, 커넥티드카(Connected Car), 드론(Unmanned Aerial Vehicle, UAV), AI(Artificial Intelligence) 모듈, 로봇, AR(Augmented Reality) 장치, VR(Virtual Reality) 장치, MR(Mixed Reality) 장치, 홀로그램 장치, 공공 안전 장치, MTC 장치, IoT 장치, 의료 장치, 핀테크 장치(또는 금융 장치), 보안 장치, 기후/환경 장치, 5G 서비스와 관련된 장치 또는 그 이외 4차 산업 혁명 분야와 관련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2 장치(100b)는 본 명세서의 개시에서 설명한 네트워크 노드(예: AMF 또는 MME)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장치(100b)는 기지국, 네트워크 노드, 전송 UE, 수신 UE, 무선 장치, 무선 통신 장치, 차량,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차량, 커넥티드카(Connected Car), 드론(Unmanned Aerial Vehicle, UAV), AI(Artificial Intelligence) 모듈, 로봇, AR(Augmented Reality) 장치, VR(Virtual Reality) 장치, MR(Mixed Reality) 장치, 홀로그램 장치, 공공 안전 장치, MTC 장치, IoT 장치, 의료 장치, 핀테크 장치(또는 금융 장치), 보안 장치, 기후/환경 장치, 5G 서비스와 관련된 장치 또는 그 이외 4차 산업 혁명 분야와 관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UE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UE기 (smartwatch), 글래스형 UE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는 머리에 착용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HMD는 VR, AR 또는 MR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 컨트롤 신호에 의해 비행하는 비행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VR 장치는 가상 세계의 객체 또는 배경 등을 구현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R 장치는 현실 세계의 객체 또는 배경 등에 가상 세계의 객체 또는 배경을 연결하여 구현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R 장치는 현실 세계의 객체 또는 배경 등에 가상 세계의 객체 또는 배경을 융합하여 구현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로그램 장치는 홀로그래피라는 두 개의 레이저 광이 만나서 발생하는 빛의 간섭현상을 활용하여, 입체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여 360도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공 안전 장치는 영상 중계 장치 또는 사용자의 인체에 착용 가능한 영상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TC 장치 및 IoT 장치는 사람의 직접적인 개입이나 또는 조작이 필요하지 않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MTC 장치 및 IoT 장치는 스마트 미터, 벤딩 머신, 온도계, 스마트 전구, 도어락 또는 각종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장치는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장치는 상해 또는 장애를 진단, 치료, 경감 또는 보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장치는 구조 또는 기능을 검사, 대체 또는 변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장치는 임신을 조절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장치는 진료용 장치, 수술용 장치, (체외) 진단용 장치, 보청기 또는 시술용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장치는 발생할 우려가 있는 위험을 방지하고, 안전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장치는 카메라, CCTV, 녹화기(recorder) 또는 블랙박스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핀테크 장치는 모바일 결제 등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핀테크 장치는 결제 장치 또는 POS(Point of Sale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후/환경 장치는 기후/환경을 모니터링 또는 예측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장치(100a)는 프로세서(1020a)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010a)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송수신기(1031a)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a)는 전술한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a)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1020a)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계층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10a)는 상기 프로세서(1020a)와 연결되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1031a)는 상기 프로세서(1020a)와 연결되고, 무선 시그널을 송수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2 장치(100b)는 프로세서(1020b)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010b)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와, 송수신기(1031b)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b)는 전술한 기능,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20b)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1020b)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계층들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10b)는 상기 프로세서(1020b)와 연결되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1031b)는 상기 프로세서(1020b)와 연결되고, 무선 시그널을 송수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10a) 및/또는 상기 메모리(1010b)는, 상기 프로세서(1020a) 및/또는 상기 프로세서(1020b)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각기 연결될 수도 있고, 유선 또는 무선 연결과 같이 다양한 기술을 통해 다른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장치(100a) 및/또는 상기 제2 장치(100b)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1036a) 및/또는 안테나(1036b)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5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특히, 도 15에서는 기지국이 중앙 유닛(CU: central unit)과 분산 유닛(DU: distributed unit)으로 분할되는 경우를 상세하게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지국(W20, W30)은 코어 네트워크(W1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기지국(W30)은 이웃 기지국(W20)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W20, W30)과 코어 네트워크(W1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NG라고 칭할 수 있고, 기지국(W30) 이웃 기지국(W2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Xn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W30)은 CU(W32) 및 DU(W34, W36)로 분할될 수 있다. 즉, 기지국(W30)은 계층적으로 분리되어 운용될 수 있다. CU(W32)는 하나 이상의 DU(W34, W36)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CU(W32)와 DU(W34, W36)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F1이라고 칭할 수 있다. CU(W32)는 기지국의 상위 계층(upper layers)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DU(W34, W36)는 기지국의 하위 계층(lower layers)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U(W32)는 기지국(예를 들어, gNB)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SDAP(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을 호스팅하는 로지컬 노드(logical node)일 수 있고, DU(W34, W36)는 기지국의 RLC(radio link control), MAC(media 액세스 control) 및 PHY(physical) 계층을 호스팅하는 로지컬 노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CU(W32)는 기지국(예를 들어, en-gNB)의 RRC 및 PDCP 계층을 호스팅하는 로지컬 노드일 수 있다.
DU(W34, W36)의 동작은 부분적으로 CU(W3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하나의 DU(W34, W36)는 하나 이상의 셀을 지원할 수 있다. 하나의 셀은 오직 하나의 DU(W34, W36)에 의해서만 지원될 수 있다. 하나의 DU(W34, W36)는 하나의 CU(W32)에 연결될 수 있고, 적절한 구현에 의하여 하나의 DU(W34, W36)는 복수의 CU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UE(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특히, 도 16에 도시된 UE(100)는 앞서 도 14의 제1 장치를 보다 상세히 예시하는 도면이다.
UE(100)는 메모리(1010), 프로세서(1020), 송수신부(1031), 전력 관리 모듈(1091), 배터리(1092), 디스플레이(1041), 입력부(1053), 스피커(1042) 및 마이크(1052),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2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제안된 기능, 절차 및/ 또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1020)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AP(application processor)일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모뎀(Modem; modulator and demodul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의 예는 Qualcomm®에 의해 제조된 SNAPDRAGONTM 시리즈 프로세서, Samsung®에 의해 제조된 EXYNOSTM 시리즈 프로세서, Apple®에 의해 제조된 A 시리즈 프로세서, MediaTek®에 의해 제조된 HELIOTM 시리즈 프로세서, INTEL®에 의해 제조된 ATOMTM 시리즈 프로세서 또는 대응하는 차세대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091)은 프로세서(1020) 및/또는 송수신부(1031)에 대한 전력을 관리한다. 배터리(1092)는 전력 관리 모듈(1091)에 전력을 공급한다. 디스플레이(1041)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한다. 입력부(1053)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사용될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부(1053)는 디스플레이(104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SIM 카드는 휴대 전화 및 컴퓨터와 같은 휴대 전화 장치에서 가입자를 식별하고 인증하는 데에 사용되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그와 관련된 키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집적 회로이다. 많은 SIM 카드에 연락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010)는 프로세서(102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로세서(6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01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액세스 memory),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예컨대, 절차,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1010)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10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010)는 프로세서(1020)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1010)는 프로세서(1020) 외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102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송수신부(1031)는 프로세서(102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송수신부(1031)는 전송기와 수신기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031)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기저 대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하나 이상의 안테나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20)는 통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음성 통신 데이터를 구성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명령 정보를 송수신부(1031)에 전달한다. 안테나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무선 신호를 수신할 때, 송수신부(1031)은 프로세서(1020)에 의해 처리하기 위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기저 대역으로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처리된 신호는 스피커(1042)를 통해 출력되는 가청 또는 가독 정보로 변환될 수 있다.
스피커(1042)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처리된 소리 관련 결과를 출력한다. 마이크(1052)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사용될 소리 관련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입력부(1053)의 버튼을 누르거나(혹은 터치하거나) 또는 마이크(1052)를 이용한 음성 구동(음성(voice) activation)에 의해 전화 번호 등과 같은 명령 정보를 입력한다. 프로세서(1020)는 이러한 명령 정보를 수신하고,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거는 등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구동 상의 데이터(operational data)는 심카드 또는 메모리(101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0)는 사용자가 인지하고 또한 편의를 위해 명령 정보 또는 구동 정보를 디스플레이(1041)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7는 도 14에 도시된 제1 장치의 송수신부 또는 도 16에 도시된 장치의 송수신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송수신부(1031)는 송신기(1031-1)과 수신기(1031-2)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기(1031-1)은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부(1031-11), 부반송파 맵퍼(1031-12), IFFT부(1031-13) 및 CP 삽입부(1031-14), 무선 송신부(1031-15)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기(1031-1)는 변조기(mod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스크램블 유닛(미도시; scramble unit), 모듈레이션 맵퍼(미도시; modulation mapper), 레이어 맵퍼(미도시; layer mapper) 및 레이어 퍼뮤테이터(미도시; layer permutator)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DFT부(1031-11)에 앞서 배치될 수 있다. 즉,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송신기(1031-1)는 부반송파에 신호를 매핑하기 이전에 먼저 정보를 DFT(1031-11)를 거치도록 한다. DFT부(1031-11)에 의해 확산(spreading)(또는 동일한 의미로 프리코딩) 된 신호를 부반송파 매퍼(1031-12)를 통해 부반송파 매핑을 한 뒤에 다시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부(1031-13)를 거쳐 시간축상의 신호로 만들어준다.
DFT부(1031-11)는 입력되는 심벌들에 DFT를 수행하여 복소수 심벌들(complex-valued 심볼)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Ntx 심벌들이 입력되면(단, Ntx는 자연수), DFT 크기(size)는 Ntx이다. DFT부(1031-11)는 변환 프리코더(transform precoder)라 불릴 수 있다. 부반송파 맵퍼(1031-12)는 상기 복소수 심벌들을 주파수 영역의 각 부반송파에 맵핑시킨다. 상기 복소수 심벌들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블록에 대응하는 자원 요소들에 맵핑될 수 있다. 부반송파 맵퍼(1031-12)는 자원 맵퍼(resource element mapper)라 불릴 수 있다. IFFT부(1031-13)는 입력되는 심벌에 대해 IFFT를 수행하여 시간 영역 신호인 데이터를 위한 기본 대역(baseband) 신호를 출력한다. CP 삽입부(1031-14)는 데이터를 위한 기본 대역 신호의 뒷부분 일부를 복사하여 데이터를 위한 기본 대역 신호의 앞부분에 삽입한다. CP 삽입을 통해 ISI(Inter-심볼 Interference), ICI(Inter-Carrier Interference)가 방지되어 다중 경로 채널에서도 직교성이 유지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수신기(1031-2)는 무선 수신부(1031-21), CP 제거부(1031-22), FFT부(1031-23), 그리고 등화부(1031-2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기(1031-2)의 무선 수신부(1031-21), CP 제거부(1031-22), FFT부(1031-23)는 상기 송신단(1031-1)에서의 무선 송신부(1031-15), CP 삽입부(1031-14), IFF부(1031-13)의 역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수신기(1031-2)는 복조기(demod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시나리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문서에 개시된 본 명세서의 개시의 다양한 설명,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들은 기기들간에 무선 통신/연결(예, 5G)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이하의 도면/설명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다르게 기술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하드웨어 블블록, 소프트웨어 블록 또는 기능 블록을 예시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명세서의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을 예시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개시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은 무선 기기, 기지국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기기는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New RAT), LTE(Long Term Evolution))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를 의미하며, 통신/무선/5G 기기로 지칭될 수 있다.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선 기기는 로봇(100a), 차량(100b-1, 100b-2), XR(eXtended Reality) 기기(100c), 휴대 기기(Hand-held device)(100d), 가전(100e), IoT(Internet of Thing) 기기(100f), AI기기/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차량, 자율 주행 차량, 차량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예, 드론)를 포함할 수 있다. XR 기기는 AR(Augmented Reality)/VR(Virtual Reality)/MR(Mixed Reality) 기기를 포함하며, HMD(Head-Mounted Device), 차량에 구비된 HUD(Head-Up Display), 텔레비전, 스마트폰,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전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 차량, 로봇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 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웨어러블 기기(예,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컴퓨터(예, 노트북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은 TV, 냉장고, 세탁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oT 기기는 센서, 스마트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네트워크는 무선 기기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무선 기기(200a)는 다른 무선 기기에게 기지국/네트워크 노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200)을 통해 네트워크(30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에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무선 기기(100a~100f)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AI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3G 네트워크, 4G(예, LTE) 네트워크 또는 5G(예, NR)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는 기지국(200)/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직접 통신(e.g. 사이드링크 통신(sidelink communication))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들(100b-1, 100b-2)은 직접 통신(e.g. V2V(Vehicle to Vehicle)/V2X(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을 할 수 있다. 또한, IoT 기기(예, 센서)는 다른 IoT 기기(예, 센서) 또는 다른 무선 기기(100a~100f)와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다.
무선 기기(100a~100f)/기지국(200), 기지국(200)/기지국(200) 간에는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이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연결은 상향/하향링크 통신(150a)과 사이드링크 통신(150b)(또는, D2D 통신), 기지국간 통신(150c)(e.g. relay, IAB(Integrated 액세스 Backhaul)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예, 5G NR)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을 통해 무선 기기와 기지국/무선 기기, 기지국과 기지국은 서로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연결(150a, 150b, 150c)은 다양한 물리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의 개시의 다양한 제안들에 기반하여, 무선 신호의 송신/수신을 위한 다양한 구성정보 설정 과정, 다양한 신호 처리 과정(예, 채널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자원 매핑/디매핑 등), 자원 할당 과정 등 중 적어도 일부가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개시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설명되는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청구항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방법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과 장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이 조합되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6)

  1.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노드를 선택하기 위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노드의 동작 방법으로서,
    AF(Application Function) 노드로부터의 AF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AF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SMF를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선택 또는 재선택된 SMF로 상기 AF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N11 메시지 혹은 N15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F 요청 정보는
    요청하는 DNAI(Data Network Access Identifier) 및 AF 요청 수준을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NAI에 기초하여 상기 SMF가 선택 또는 재선택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F 요청 수준에 기초하여 상기 SMF가 선택 또는 재선택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또는 재선택된 SMF로 제2 메시지의 전송은 UP(User Plane) 경로의 변경을 트리거링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P 경로의 변경은
    PDU 세션 비활성화 또는 해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PDU 세션 재활성화 또는 재수립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노드를 선택하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노드에 장착되는 칩셋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가능하게(operably)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AF(Application Function) 노드로부터의 AF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AF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SMF를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선택 또는 재선택된 SMF로 상기 AF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칩셋.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N11 혹은 N15 메시지인 칩셋.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F 요청 정보는
    요청하는 DNAI(Data Network Access Identifier) 및 AF 요청 수준을 포함하는 칩셋.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NAI에 기초하여 상기 SMF가 선택 또는 재선택되는 칩셋.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F 요청 수준에 기초하여 상기 SMF가 선택 또는 재선택되는 칩셋.
  13. 제8에 있어서,
    상기 선택 또는 재선택된 SMF로 제2 메시지의 전송은 UP(User Plane) 경로의 변경을 트리거링하는 칩셋.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UP 경로의 변경은
    PDU 세션 비활성화 또는 해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PDU 세션 재활성화 또는 재수립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칩셋.
  15.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노드를 선택하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노드를 위한 장치로서,
    송수신부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그리고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가능하게(operably)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AF(Application Function) 노드로부터의 AF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AF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SMF를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선택 또는 재선택된 SMF로 상기 AF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치.
  16. 명령어들을 기록하고 있는 비휘발성(non-volatile)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노드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동작은: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AF(Application Function) 노드로부터의 AF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AF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SMF를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선택 또는 재선택된 SMF로 상기 AF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27027702A 2020-03-02 2020-10-06 Smf 노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안 KR202201301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173 2020-03-02
KR20200026173 2020-03-02
PCT/KR2020/013547 WO2021177528A1 (ko) 2020-03-02 2020-10-06 Smf 노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159A true KR20220130159A (ko) 2022-09-26

Family

ID=7761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702A KR20220130159A (ko) 2020-03-02 2020-10-06 Smf 노드를 선택하기 위한 방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400430A1 (ko)
EP (1) EP4117390A4 (ko)
KR (1) KR20220130159A (ko)
WO (1) WO202117752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8949B2 (en) * 2017-01-06 2022-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ra-RAT handover for next generation system
KR20190043095A (ko) * 2017-10-17 2019-04-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의 up 연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27021B1 (ko) * 2017-11-17 2021-1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0120879B (zh) * 2018-02-06 2020-12-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服务水平协议的保障方法、设备及系统
US11528763B2 (en) * 2018-02-13 2022-12-1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establishment of MA PDU session, and AMF node and SMF node
CN110972126B (zh) * 2018-09-30 2023-09-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路径,路径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US11297530B2 (en) * 2018-11-02 2022-04-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using policy to handle packets
CN111770586B (zh) * 2019-04-02 2022-06-28 华为技术有限公司 会话处理的方法、通信装置及通信系统
CN114009139A (zh) * 2019-06-17 2022-02-0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会话上下文的处理
CN112291777A (zh) * 2019-07-23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会话管理网元的选择方法、装置及系统
US20230080830A1 (en) * 2020-02-03 2023-03-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XTENSION OF Npcf_EventExposure WITH USAGE MONITORING EVENT
KR20210108785A (ko) * 2020-02-26 2021-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177529A1 (ko) * 2020-03-02 2021-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f 요청에 따라 비활성화 혹은 수립되는 pdu 세션의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7528A1 (ko) 2021-09-10
EP4117390A1 (en) 2023-01-11
EP4117390A4 (en) 2024-04-03
US20220400430A1 (en)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89675A1 (en) Method for relaying unstructured traffic, and relay ue
US20220417825A1 (en) Path-switching between pc5 link and uu link
CN114600504B (zh) 用于将非3gpp上的ims语音会话移动到3gpp接入的方法
EP4021138A1 (en) Operation method of relay ue for remote ue
US20220287116A1 (en) Communication related to 3gpp ps data off
EP4021075B1 (en) Method for moving pdu session on non-3gpp to 3gpp access
EP4057657A1 (en) Network control method for transmitting ue policy
US20230189208A1 (en) Processing method of amf for supporting multiple usims
US20220386120A1 (en) Operating method for ausf and udm for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for each network slice
EP4109975A1 (en) Communication related to network slice
EP4167620A1 (en) Method for causing smf to effectively perform redundant transmission by improving function of nwdaf
US20230189268A1 (en) Operating method for user equipment supporting multiple usim
EP4117390A1 (en) Scheme for selecting smf node
KR102633032B1 (ko) Nwdaf의 분석 정보를 이용하는 smf의 동작 방법
KR102479456B1 (ko) V2x를 위한 보안 정책 처리 방법 및 단말
EP4090096A1 (en) Communication related to multiple usims
KR20240007074A (ko) 산업용 트래픽을 위한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에 대한액세스 제어 메커니즘
KR20240007067A (ko) 산업용 트래픽을 위한 pdu 세션 수정 절차
KR20230174728A (ko) 산업용 트래픽을 위한 pdu 세션 수립 절차
KR20240040607A (ko) 3gpp 5g 시스템에서 산업용 트래픽의 효율적 혼잡 제어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