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8790A -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8790A
KR20230128790A KR1020220026113A KR20220026113A KR20230128790A KR 20230128790 A KR20230128790 A KR 20230128790A KR 1020220026113 A KR1020220026113 A KR 1020220026113A KR 20220026113 A KR20220026113 A KR 20220026113A KR 20230128790 A KR20230128790 A KR 20230128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ence
information
offline
tracking site
tr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문
구동현
이정범
정태승
김용정
Original Assignee
머큐리프로젝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머큐리프로젝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머큐리프로젝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6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8790A/ko
Publication of KR2023012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87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6Traff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4Opti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은, 연동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연동 정보를 기반으로 오디언스(Audience)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추적 사이트를 생성하는 추적 사이트 생성부 및 상기 추적 사이트의 접속 링크를 상기 연동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기에 제공하는 추적 사이트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 정보는, 오프라인(Off-line) 매장 판매 정보 및 오프라인 코드(code)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추적 사이트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와 연관된 제1 추적 사이트와, 상기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와 연관된 제2 추적 사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링크는 상기 제1 추적 사이트의 접속을 위한 제1 접속 링크와, 상기 제2 추적 사이트의 접속을 위한 제2 접속 링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extracting offline audiences}
본 발명은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마케팅을 위한 오프라인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하는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는 대중을 대상으로 특정 정보를 공개적인 알리는 행위로서, 일반적으로 상품, 회사 및 캠페인(Campaign)을 대중에게 알리는 하나의 수단이다.
더불어 인터넷이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인터넷(Internet) 망을 이용한 온라인(Online) 시장이 커지고, 오프라인(Offline) 상에서의 활동이 온라인으로 전환되는 과정 속에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의 광고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있어, 오프라인 상에서의 광고가 온라인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광고의 추세에 더불어, 광고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마케팅 분야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확장하면서, 온라인 상에서의 광고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광고 분석 시장이 발전하고 있다.
광고 분석 시장은 온라인 상에서의 광고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온라인 오디언스(Audience) 추출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광고 시장은 온라인 시장과 오프라인 시장이 통합되어 있어, 온오프라인을 통합하여 광고 성과를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온오프라인으로 형성된 각 광고 시장은 연결 고리가 없고,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은 온라인으로만 한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광고 성과의 정확도가 낮으며, 광고 성과를 분석해 산출하는 마케팅 정보도 부정확할 여지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04387호
본 발명의 과제는, 광고 성과와 마케팅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오프라인에서의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하는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광고 성과와 마케팅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오프라인에서의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하는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에 있어서, 연동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연동 정보를 기반으로 오디언스(Audience)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추적 사이트를 생성하는 추적 사이트 생성부 및 상기 추적 사이트의 접속 링크를 상기 연동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기에 제공하는 추적 사이트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 정보는, 오프라인(Off-line) 매장 판매 정보 및 오프라인 코드(code)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추적 사이트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와 연관된 제1 추적 사이트와, 상기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와 연관된 제2 추적 사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링크는 상기 제1 추적 사이트의 접속을 위한 제1 접속 링크와, 상기 제2 추적 사이트의 접속을 위한 제2 접속 링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적 사이트에서 상기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온오프라인(On/off-line) 구매 이력에 따른 온오프라인 오디언스 정보와, 상기 오디언스 정보를 통합하여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생성하는 오디언스 갱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기반으로 마케팅 정보를 추출하는 마케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언스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오디언스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언스 아이디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와 연관된 제1 오디언스 아이디와, 상기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와 연관된 제2 오디언스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에 있어서, (a) 연동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연동 정보를 기반으로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추적 사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b)상기 추적 사이트의 접속 링크를 상기 연동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 정보는,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 및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추적 사이트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와 연관된 제1 추적 사이트와, 상기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와 연관된 제2 추적 사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링크는 상기 제1 추적 사이트의 접속을 위한 제1 접속 링크와, 상기 제2 추적 사이트의 접속을 위한 제2 접속 링크를 포함한다.
또한, (c) 상기 추적 사이트에서 상기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 상기 사용자 기기의 온오프라인 구매 이력에 따른 온오프라인 오디언스 정보와 상기 오디언스 정보를 통합하여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e) 상기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기반으로 마케팅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언스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오디언스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언스 아이디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와 연관된 제1 오디언스 아이디와, 상기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와 연관된 제2 오디언스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 및 방법은, 오프라인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하여 광고 성과에 필요한 데이터의 모수가 많아져 광고 성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오디언스 정보와 온라인 오디언스 정보가 통합된 오디언스 정보를 활용하여 정교한 마케팅 정보를 산출할 수 있고, 온오프라인으로 마케팅 전략을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제1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추적 사이트 생성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및 제2 추적 사이트 생성 모듈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5는 도 2의 추적 사이트 제공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제1 예시이다.
도 6은 도 2의 추적 사이트 제공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제2 예시이다.
도 7은 도 2의 추적 사이트 제공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제3 예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제2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의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추출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오디언스 갱신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12는 도 9의 오디언스 갱신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13은 도 9의 마케팅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오디언스 성향 분석 모듈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15는 도 13의 디마케팅 모듈 및 리마케팅 모듈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을 기초로 실시하는 제2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을 기초로 실시하는 제4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의 제5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일반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부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및 응용 가능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제1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은 네트워크(100)를 이용해 온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200), 오프라인 매장 시스템(400), 제1 사용자 기기(500) 및 제2 사용자 기기(600)와 통신한다.
여기서 네트워크(100)은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이 온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200), 오프라인 매장 시스템(400), 제1 사용자 기기(500) 및 제2 사용자 기기(600) 중 적어도 하나와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근거리 통신 기술 등으로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어떤 망이다. 또한, 네트워크(1)는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이 제1 사용자 기기(500)와 제2 사용자 기기(6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한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그 어떠한 망도 좋다.
유선 인터넷은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은 예를 들어,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및 5G NR(New Radio)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 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11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5G NR (New Radi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100)를 이용해서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과 통신하는 온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200)은 온라인 상에서의 온라인 오디언스(Online Audience) 정보를 추출하는 시스템으로 온라인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오디언스 정보는 온라인 상에서 광고에 노출된 오디언스(소비자 또는 청중)에 대한 정보이고, 각 오디언스를 식별하는 오디언스 아이디를 포함한다. 또한, 온라인 오디언스 정보는 오디언스의 성별, 오디언스의 나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오프라인 매장 시스템(400)은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를 생성하고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에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는 상품과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오프라인 오디언스에게 판매하거나 제공한 정보이고, 주문 번호, 판매 상품 정보, 결제 정보 및 배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는 주문 일자, 상품 품목 번호, 주문자, 연락처, 결제 금액, 입금 금액, 배송비, 배송 상태 코드 및 회원 아이디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사용자 기기(500) 및 제2 사용자 기기(600)는 오프라인 오디언스의 사용자 기기로 실시예에 따라 구분된 것이며, 동일한 하나의 기기일 수 있고, 서로 다른 기기 일 수도 있다. 실시예들이 이러한 설명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사용자 기기(500)는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한 오프라인 오디언스의 사용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기기(600)는 오프라인 매장의 특정 범위 내 위치한 오프라인 오 디언스의 사용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추적 사이트 생성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 및 제2 추적 사이트 생성 모듈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고, 도 5는 도 2의 추적 사이트 제공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제1 예시이고, 도 6은 도 2의 추적 사이트 제공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제2 예시이며, 도 7은 도 2의 추적 사이트 제공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제3 예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은 수신부(310), 추적 사이트 생성부(320) 및 추적 사이트 제공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310)은 연동 정보를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기기는 제1 사용자 기기(500)과 제2 사용자 기기(6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동 정보는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와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는 오프라인 매장의 특정 범위 내 근접한 오프라인 오디언스의 사용자 기기와 연관된 정보로서, 사용자 기기 식별 값, 위치 값, 오프라인 매장과의 거리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기기는 제2 사용자 기기(600)를 포함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사용자 기기(500)도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설명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며, 실시예들이 이러한 설명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변형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추적 사이트 생성부(320)는 수신한 연동 정보를 기반으로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추적 사이트를 생성한다. 추적 사이트 생성부(320)는 추적 사이트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추적 사이트 생성 모듈(321)과 제2 추적 사이트 생성 모듈(3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적 사이트에서 추출되는 오디언스 정보는 사용자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오디언스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고, 오디언스 아이디는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와 연관된 제1 오디언스 아이디와,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2 오디언스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디언스 아이디는 제1 사용자 기기(500)에 대응한 오디언스의 식별 값이고, 제2 오디언스 아이디는 제2 사용자 기기(600)에 대응한 오디언스의 식별 값일 수 있다.
제1 추적 사이트 생성 모듈(321)은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와 연관된 제1 오디언스 아이디를 추출할 수 있는 제1 추적 사이트를 생성하고, 제2 추적 사이트 생성 모듈(322)은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와 연관된 제2 오디언스 아이디를 추출할 수 있는 제2 추적 사이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추적 사이트 생성 모듈(321)과 제2 추적 사이트 생성 모듈(322)은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각 추적 사이트마다 추적 설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적 설정 값은 광고주 식별 값(C1), 추적 사이트 식별 값(C2) 및 추적 수행 조건 정보(C6)를 포함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 추가 추적 정보(C3), 판매 정보(C4), 추적 수행 횟수 정보(C5)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추적 사이트 생성 모듈(321)은 광고주 식별 값(C1), 추적 사이트 식별 값(C2), 추가 추적 정보(C3), 판매 정보(C4), 추적 수행 횟수 정보(C5) 및 추적 수행 조건 정보(C7)를 제1 추적 사이트에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주 식별 값(C1)은 광고를 집행하는 광고주를 식별하는 식별 값이고, 추적 사이트 식별 값(C2)는 추적 사이트를 식별하는 식별 값이거나 추적 사이트마다 포함된 추적 설정 값을 식별하는 값일 수도 있다.
추가 추적 정보(C3)는 판매한 항목의 수를 추적하는 정보로서, 판매 관점 정보와 제품 관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 관점 정보는 발생한 총 판매 수 및 관련 수익을 계산하는 정보로, 주문 번호와 판매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 관점 정보는 발생한 각 판매, 판매된 총 항목 수 및 총 관련 수익을 계산하는 정보이다.
판매 정보(C4)는 추가 추적 정보(C3)가 판매 관점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주문 번호와 판매 금액이다.
추적 수행 횟수 정보(C5)는 미리 정해진 추적 수행 조건 정보(C7)에 대응하여 추가 추적 정보(C3)를 추적하는 횟수 정보로서, “추적 사이트마다 한번”, “추적 수행 조건 정보(C7)에 연관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한번” 및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한번”을 포함할 수 있다.
추적 수행 조건 정보(C6)는 추적을 수행할 시발점에 대한 정보와 미리 설정한 조건을 충족하는 시발점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설정한 조건은 적어도 하나의 수행 조건으로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수행 조건은 “추적 사이트 로드(Load) 시작”, “추적 사이트 로드 완료”, “동의 승인” 및 “DOM(Document Object Model) 사용 가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적 사이트 로드 시작”은 추적 사이트가 사용자 기기에 로드되는 시작 시점이고, “추적 사이트 로드 완료”는 추적 사이트가 사용자 기기에 로드 완료된 시점이고, “동의 승인”은 사용자 기기로부터 추적에 대한 동의가 수락되는 시점일 수 있다. 여기서 동의는 추적 사이트와 연결된 동의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기기에 제공하여 수신될 수 있다. “DOM 사용 가능”은 사용자 기기에 추적 사이트를 제공하고, 추적 사이트와 연관된 DOM을 파싱(Parsing) 할 수 있게 된 시점일 수 있다. 추적 사이트 요약 정보(C6)는 추적 수행 조건 정보(C7)와 추적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C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적 사이트의 URL 정보(C8)는 추적 사이트의 URL, 추적 사이트의 URL 일부 및 URN(Uniform Resource Name) 중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추적 수행 조건 정보(C7)는 제1 추적 사이트와 연관된 제1 추적 수행 조건 정보와 제2 추적 사이트와 연관된 제2 추적 수행 조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적 사이트 제공부(330)는 추적 사이트의 접속 링크를 연동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추적 사이트의 접속 링크는 문자 메시지, 이메일(E-mail) 및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사용자 기기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링크는 제1 추적 사이트의 접속을 위한 제1 접속 링크와, 제2 추적 사이트의 접속을 위한 제2 접속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동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기는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기기(500)와,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기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기기(500)는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에 포함된 주문자, 연락처 및 회원 아이디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사용자 기기이고, 여기서 제2 사용자 기기(600)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특정 범위내 위치한 사용자 기기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추적 사이트 제공부(330)는 문자 메시지(E1)를 이용해 제1 추적 사이트의 제1 접속 링크(E12)를 제1 사용자 기기(5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기기(500)가 제1 접속 링크(E12)에 접속하면 제1 추적 사이트(E2)가 제1 사용자 기기(500)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추적 사이트(E2)는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추적 사이트 제공부(330)는 QR 코드(E3)를 이용해 제2 추적 사이트의 제2 접속 링크를 제2 사용자 기기(600)에 제공할 수 있고, QR 코드(E3)는 오프라인 매장의 특정 범위내 기재될 수 있다(E4). 예를 들어, 오프라인 매장의 2m 범위 내에서 배너, 현수막 및 게시판 등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 기기(600)에 제공될 수 있다. 제공된 QR 코드(E3)는 제2 사용자 기기(600)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 기기(600)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추적 사이트 제공부(330)는 오프라인 매장의 특정 범위 내로 포함된 모든 제2 사용자 기기(600)에게 네트워크(100)를 이용하여 QR 코드(E3)를 제공할 수 있고, 오프라인 매장의 특정 범위 내로 포함된 모든 사용자 기기 중 미리 수신 동의한 제2 사용자 기기(600)에 한정하여 QR 코드(E3)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만, 실시예들이 이러한 설명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제2 추적 사이트를 제2 사용자 기기(600)에 제공하는 경우, 추적 사이트 제공부(330)는 상품 구매 가능한 사이트를 추가적으로 제2 사용자 기기(600)에 제공할 수 있다(E5, E6). 예를 들어, 추적 사이트 제공부(330)는 제2 사용자 기기(600)에 제2 추적 사이트를 제공하여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하고, 오디언스 정보의 추출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상품 구매 가능한 사이트를 제2 사용자 기기(6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추적 사이트 제공부(330)는 제2 사용자 기기(600)에게 제2 추적 사이트를 히든 페이지(Hidden Layer)로 제공하고, 상품 구매 가능한 사이트를 랜딩 페이지(Landing page)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과 온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200)의 연동으로,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에서 생성한 추적 사이트로 추출된 오디언스 정보는, 온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200) 상에 저장된 온라인 오디언스 정보와 통합되어 갱신 오디언스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을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제2 개념도이고, 도 9는 도 8의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추출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오디언스 갱신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고, 도 12는 도 9의 오디언스 갱신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은 네트워크(100)를 이용해 오프라인 매장 시스템(400), 제1 사용자 기기(500) 및 제2 사용자 기기(600)와 통신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추출부(340)는 각 추적 사이트마다 포함된 추적 설정 값을 기초로 오디언스 정보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추출부(340)는 제1 오디언스 아이디 추출 모듈(341), 제2 오디언스 아이디 추출 모듈(342) 및 판매 정보 추출 모듈(3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디언스 아이디 추출 모듈(341)은 제1 추적 사이트에 포함된 추적 설정 값을 기초로 제1 추적 사이트를 이용하여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언스 정보는 제1 오디언스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오디언스 아이디 추출 모듈(342)은 제2 추적 사이트에 포함된 추적 설정 값을 기초로 제2 추적 사이트를 이용하여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언스 정보는 제2 오디언스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디언스 아이디 추출 모듈(341)이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하는 경우, 판매 정보 추출 모듈(343)은 제1 추적 사이트를 이용하여 주문 번호 및 판매 금액을 추출할 수 있다. 여 기서 오디언스 정보는 주문 번호 및 판매 금액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판매 정보 추출 모듈(343)은 추적 사이트 제공부(330)가 제2 사용자 기기(600)에게 제공한 상품 구매 가능한 사이트를 통해 주문 번호 및 판매 금액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오디언스 갱신부(350)는 제1 오디언스 아이디 추출 모듈(341), 제2 오디언스 아이디 추출 모듈(342) 및 판매 정보 추출 모듈(343)에서 각각 추출한 오디언스 정보를 기초로 오디언스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된 오디언스 정보는 제1 오디언스 아이디, 주문 번호 및 판매 금액을 포함할 수 있고, 업데이트된 오디언스 정보는 제2 오디언스 아이디, 주문 번호 및 판매 금액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2 오디언스 아이디만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실시예들이 이러한 설명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오디언스 갱신부(350)는 사용자 기기의 온오프라인 구매 이력에 따른 온오프라인 오디언스 정보와, 오디언스 정보를 통합하여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온오프라인 구매 이력에 따른 온오프라인 오디언스 정보는 온라인 오디언스의 정보와 오프라인 오디언스의 정보를 통합한 것이다.
오디언스 갱신부(350)는 오디언스 정보가 추출될 때마다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11을 참조하면, 오디언스 갱신부(350)는 각 광고주 마다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1). 또한, 오디언스 갱신부(350)는 추적 사이트 식별 값(C2)과 추적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분류하여 생성하거나 관리할 수도 있고(A11), 분류된 갱신 오디언스 정보에 연관된 오디언스 아이디의 개수를 합산하여 각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관리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오디언스 갱신부(350)는 각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생성 및 업데이트할지 여부를 설정하여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관리할 수도 있다(A12). 오디언스 갱신부(350)는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FIFO(First in First Out)와 같은 선입선처리 방식으로 저장 및 관리될 수 있으며, 같은 일자에 통합된 오디언스 정보를 병렬 처리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갱신 오디언스 정보에 포함된 오디언스 정보는 미리 정해진 기간(A13) 동안 저장되고, 미리 정해진 기간이 지나면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오디언스 갱신부(350)는 미리 정해진 기간(A13)이 지난 오디언스 정보를 삭제하면서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오디언스 갱신부(350)는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기초로 선택 전환 횟수(A21), 선택 수익 발생 횟수(A22), 시청 전환 횟수(A23), 시청 수익 발생 횟수(A24), 전환 횟수 합계(A25) 및 수익 횟수 합계(A26)을 산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선택 전환 횟수(A21)는, 사용자 기기가 광고를 선택해 마케팅 성과로 인정할 수 있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의 수를 갱신 오디언스 정보에서 추출하여 합산한 것이다. 선택 수익 발생 횟수(A22)는 사용자 기기가 광고를 선택해 마케팅 성과로 인정할 수 있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수익이 발생한 경우의 수를 합산한 것이다. 시청 전환 횟수(A23)는 사용자 기기에게 광고가 제공되어 사용자 기기에 대응한 오디언스가 광고에 노출된 경우의 수를 갱신 오디언스 정보에서 추출하여 합산한 것이다. 시청 수익 발생 횟수(A24)는 사용자 기기에게 광고가 제공되어 사용자 기기에 대응한 오디언스가 광고에 노출된 경우, 수익이 발생한 경우의 수를 합산한 것이다. 전환 횟수 합계(A25)는 선택 전환 횟수(A21)와 시청 전환 횟수(A23)의 합산한 값이다. 수익 횟수 합계(A26)는 선택 수익 발생 횟수(A22)와 시청 수익 발생 횟수(A24)를 합산한 값이다.
이하,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여,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의 마케팅부(360)를 설명한다.
도 13은 도 9의 마케팅부(360)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오디언스 성향 분석 모듈(361)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도 15는 도 13의 디마케팅 모듈(362) 및 리마케팅 모듈(363)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마케팅부(360)는 오디언스 성향 분석 모듈(361), 디마케팅 모듈(362), 리마케팅 모듈(363) 및 마케팅 정보 추출 모듈(3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오디언스 성향 분석 모듈(361)은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기초로 오디언스 성향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언스 성향 정보는 갱신 오디언스 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오디언스 정보를 통계 및 분석한 정보로서, 성별 비율 정보, 나이 분포도, 접속 방법 정보 및 관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들이 이러한 설명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오디언스 성향 분석 모듈(361)은 온라인 광고를 기반으로 판매된 오프라인 실적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오디언스 성향 분석 모듈(361)은 온라인 광고가 온오프라인 상에 미치는 성과를 더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는, 오디언스 성향 분석 모듈(361)은 온라인 광고를 기반으로 판매된 온라인 실적도 산출할 수 있고, 온라인 실적과 오프라인 실적을 통합한 온오프라인 실적을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오디언스 성향 분석 모듈(361)은 온라인 설적과 오프라인 실적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오디언스 정보를 분류하여 오디언스 성향 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도 13과 도 15를 참조하면, 디마케팅(Demarketing) 모듈(362)은 오디언스 성향 정보를 기초로 타깃 오디언스(Target audience)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타깃 오디언스 정보는 마케팅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디마케팅 모듈(362)는 오디언스 성향 정보를 기초로 타깃 오디언스 정보에서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리마케팅(Remarketing) 모듈(363)은 오디언스 성향 정보를 기초로 마케팅 방법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마케팅 방법 정보는 타깃 오디언스 정보를 기초로 어떻게 마케팅을 할지 미리 정해 놓은 정보이고, 광고주는 마케팅 방법 정보에 따라 광고를 집행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마케팅 정보 추출 모듈(364)은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기반으로 마케팅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케팅 정보 추출 모듈(364)은 타깃 오디언스 정보와 마케팅 방법 정보를 기초로 마케팅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마케팅 정보는 타깃 오디언스 정보와 마케팅 방법 정보가 통합된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마케팅 정보는 타깃 오디언스 정보와 마케팅 방법 정보를 연결하여 추출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케팅 정보 추출 모듈(364)은 타깃 오디언스 정보를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타깃 오디언스 정보마다 마케팅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고, 여기서 마케팅 정보는 마케팅 방법 정보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오디언스 아이디 추출 모듈(341), 제2 오디언스 아이디 추출 모듈(342) 및 판매 정보 추출 모듈(343)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지능 모델인 모듈일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을 기초로 실시하는 제2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9는 도 16의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을 기초로 실시하는 제4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21은 도 19의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의 제5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은,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 및 300')은 연동 정보를 수신하고(S100), 연동 정보를 기반으로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추적 사이트를 생성할 수 있다(S200).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 및 300')은 생성된 추적 사이트의 접속 링크를 연동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S300). 여기서 연동 정보는,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 및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추적 사이트는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와 연관된 제1 추적 사이트와,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와 연관된 제2 추적 사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링크는 제1 추적 사이트의 접속을 위한 제1 접속 링크와, 제2 추적 사이트의 접속을 위한 제2 접속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실시예에 따라,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은 추적 사이트에서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고, 사용자 기기의 온오프라인 구매 이력에 따른 온오프라인 오디언스 정보와 오디언스 정보를 통합하여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은 생성된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기반으로 마케팅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마케팅 정보를 지속적으로 추출할 수도 있다. 더불어,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은 추출된 마케팅 정보를 광고 플랫폼에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광고 플랫폼은 광고를 집행하는 과정에 포함된 모든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고, 광고를 집행하는 광고주의 사용자 기기도 포함될 수 있다.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에 대한 몇몇 실시예를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 및 300')은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0). 또한,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 및 300')은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와 연관된 제1 오디언스 아이디를 추출하기 위해 제1 추적 사이트를 생성할 수 있다(S210).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 및 300')은 제1 추적 사이트의 접속 링크를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기기(500)에 제공할 수 있다(S310).
추가적으로,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은 제1 추적 사이트의 제1 추적 수행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10). 제1 추적 수행 조건 정보를 만족하면,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은 제1 사용자 기기(500)의 제1 오디언스 아이디를 추출할 수 있다(S510).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8을 참조하면,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은 주문 번호와 결제 금액 중 적어도 하나와, 제1 오디언스 아이디를 온오프라인 오디언스 정보와 통합하여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S610). 또한,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은 생성된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기반으로 마케팅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S710).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9를 참조하면,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 및 300')은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S120),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2 오디언스 아이디를 추출하기 위해 제2 추적 사이트를 생성할 수 있다(S220).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 및 300')은 제2 추적 사이트의 접속 링크를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기기(60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S320).
추가적으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0을 참조하면,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은 제2 추적 사이트의 제2 추적 수행 조건 정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다(S420).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은 제2 사용자 기기(600)가 제2 추적 수행 조건 정보를 만족하지 않으면, 제2 추적 사이트의 접속 링크를 제2 사용자 기기(600)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기기(600)가 제2 추적 수행 조건 정보를 만족하면,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은 제2 사용자 기기(600)의 제2 오디언스 아이디를 추출할 수 있다(S520).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은 추출된 제2 오디언스 아이디를 온오프라인 오디언스 정보와 통합하여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S620), 생성된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기반으로 마케팅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S720).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1을 참조하면, 제2 추적 사이트와 연결된 주문 사이트를 제2 사용자 기기(600)에 제공할 수 있다(S630).
제2 사용자 기기(600)가 주문 사이트에서 구매를 하는 경우(S730),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은 주문 사이트를 이용해 주문 번호와 결제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S830).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은 주문 번호와 결제 금액 중 적어도 하나와, 제2 오디언스 아이디를 온오프라인 오디언스 정보와 통합하여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930).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300')은 생성된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기반으로 마케팅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S720).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연동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연동 정보를 기반으로 오디언스(Audience)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추적 사이트를 생성하는 추적 사이트 생성부; 및
    상기 추적 사이트의 접속 링크를 상기 연동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기에 제공하는 추적 사이트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 정보는, 오프라인(Off-line) 매장 판매 정보 및 오프라인 코드(code)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추적 사이트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와 연관된 제1 추적 사이트와, 상기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와 연관된 제2 추적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링크는 상기 제1 추적 사이트의 접속을 위한 제1 접속 링크와, 상기 제2 추적 사이트의 접속을 위한 제2 접속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 사이트에서 상기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온오프라인(On/off-line) 구매 이력에 따른 온오프라인 오디언스 정보와, 상기 오디언스 정보를 통합하여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생성하는 오디언스 갱신부를 더 포함하는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기반으로 마케팅 정보를 추출하는 마케팅부를 더 포함하는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언스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오디언스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언스 아이디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와 연관된 제1 오디언스 아이디와, 상기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와 연관된 제2 오디언스 아이디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
  6. (a) 연동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연동 정보를 기반으로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추적 사이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추적 사이트의 접속 링크를 상기 연동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 정보는,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 및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추적 사이트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와 연관된 제1 추적 사이트와, 상기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와 연관된 제2 추적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링크는 상기 제1 추적 사이트의 접속을 위한 제1 접속 링크와, 상기 제2 추적 사이트의 접속을 위한 제2 접속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c) 상기 추적 사이트에서 상기 오디언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d) 상기 사용자 기기의 온오프라인 구매 이력에 따른 온오프라인 오디언스 정보와 상기 오디언스 정보를 통합하여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e) 상기 갱신 오디언스 정보를 기반으로 마케팅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언스 정보는 상기 사용자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오디언스 아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언스 아이디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판매 정보와 연관된 제1 오디언스 아이디와, 상기 오프라인 코드 식별 정보와 연관된 제2 오디언스 아이디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방법.
KR1020220026113A 2022-02-28 2022-02-28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28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113A KR20230128790A (ko) 2022-02-28 2022-02-28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113A KR20230128790A (ko) 2022-02-28 2022-02-28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790A true KR20230128790A (ko) 2023-09-05

Family

ID=87973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113A KR20230128790A (ko) 2022-02-28 2022-02-28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87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387B1 (ko) 2013-12-24 2018-01-10 구글 엘엘씨 오디언스 측정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387B1 (ko) 2013-12-24 2018-01-10 구글 엘엘씨 오디언스 측정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7236B2 (en) Self-contained business transaction capsules
US20190392487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of Automatic Construction of Digital Advertisements
US109498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promotional sample product
US20190287155A1 (en) Landing page providing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customized landing page
KR20190069916A (ko) 샵 분배 기능 및 인플루언서 마케팅 효율 분석 기능을 가지는 인플루언서 소셜 미디어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20150052929A (ko) 상품 이용 후기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KR10166101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7596B1 (ko) 중소시장 활성화를 위한 고객 맞춤형 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US20160253705A1 (en) Marketing system using mobile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20190066167A1 (en) System to dynamically manage and optimize the utilization of outdoor advertising units
KR101602106B1 (ko)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6994602B2 (ja) 広告制御装置、及び広告制御システム
KR20160095362A (ko) 구매 알림 푸시용 프로그램 및 이를 구현하는 플랫폼 서버
KR102359000B1 (ko) 사용자와 소상공인 매칭 방법 및 시스템
US202000901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gnitive and preemptive fashion inventory management & order fulfilment
KR20200113662A (ko) 아파트생활관리앱 연동 전통시장 통합관리 시스템
KR20160143186A (ko) 모바일 영수증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2288461A (zh) 广告信息推送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KR101992544B1 (ko) 소비자 능동형 광고 플랫폼 서버 및 광고 제공 방법
KR20230128790A (ko) 오프라인 오디언스 추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8525A (ko) 매장내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6564A (ko) 공동 구매 지원 단말 및 방법
KR20140119298A (ko) 광고컨텐츠제공방법 및 광고컨텐츠제공시스템
US10616161B1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ontent extraction and propagation in HTML messages
KR20220133540A (ko) 빅데이터 기반 상품 및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