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821A -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7821A
KR20230127821A KR1020220061381A KR20220061381A KR20230127821A KR 20230127821 A KR20230127821 A KR 20230127821A KR 1020220061381 A KR1020220061381 A KR 1020220061381A KR 20220061381 A KR20220061381 A KR 20220061381A KR 20230127821 A KR20230127821 A KR 20230127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key
type
electronic device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형
Original Assignee
(주)모키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키보 filed Critical (주)모키보
Priority to PCT/KR2023/00263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63537A1/ko
Publication of KR20230127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8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06F3/0213Arrangements provid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in a keyboard, e.g. trackball, mini-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을 포함함-, 복수개의 탄성 유닛 -상기 복수개의 탄성 유닛은 제1 탄성 유닛을 포함함-, 복수개의 전도성 물질 -상기 복수개의 전도성 물질은 제1 전도성 물질을 포함함-,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ELECTRICAL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MUMAN INTERFACE}
본 발명은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피씨, 휴대폰, TV, 빔 프로젝터 등의 전자 기기와 연결되어 텍스트 정보 또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상기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에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피씨, 휴대폰, TV, 빔 프로젝터 등의 전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하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하는 등의 동작을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필요가 있다.
컴퓨터의 경우 키보드와 같은 텍스트 입력 장치가 인터페이스로 구비되거나,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기기가 인터페이스로 구비될 수 있으며, 컴퓨터와 연결된 키보드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거나, 컴퓨터와 연결된 마우스로부터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나 포인터 실행 명령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태블릿 피씨나 휴대폰의 경우 터치 센서가 인터페이스로 구비되어, 구비된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대한 이동/변경 정보나, 적어도 하나의 기능 실행 명령 또는 버추얼 키보드를 통한 텍스트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피씨, 휴대폰, TV, 빔 프로젝터 등의 전자 기기에 대한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인터페이스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키 입력 센서 및 터치 입력 센서가 통합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키 입력 센서 및 터치 입력 센서가 통합된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피가 감소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이 상술한 과제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을 포함함-, 복수개의 탄성 유닛 -상기 복수개의 탄성 유닛은 제1 탄성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 유닛은 제1 전도성 물질을 포함함-,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탄성 유닛은 상기 제1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1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탄성 유닛의 상기 제1 전도성 물질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탄성 유닛의 상기 제1 전도성 물질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을 포함함-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1 키 캡과 관련된 제1 내지 제4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에 의해 정의되는 제1 영역에 위치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 상기 제1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키 캡, 및 상기 제1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하되 상기 제2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키 캡을 포함함-;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1 타입 라인들 및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어느 하나로 기능하며,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다른 하나로 기능하고,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제1 라인, 상기 제1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2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3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4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5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3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6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3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일렉트로드인 제7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1 타입 라인들 및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어느 하나로 기능하며,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다른 하나로 기능하고,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제1 라인, 상기 제1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2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제4 라인, 상기 제4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5 라인 및 상기 제4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6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라인, 상기 제2 라인 및 상기 제3 라인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라인은 복수개의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라인 및 상기 제6 라인은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지 않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 및 상기 제1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키 캡을 포함함-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1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제1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일렉트로드, 상기 제1 키 캡의 일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제1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일렉트로드, 상기 제2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제2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3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키 캡의 일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제2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4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4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3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3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 및 상기 제1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키 캡을 포함함-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1 일렉트로드,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2 일렉트로드, 상기 제2 키 캡과 오버랩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3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키 캡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4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3 일렉트로드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 제2 키 캡, 제3 키 캡 및 제4 키 캡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키 캡 및 상기 제2 키 캡은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며, 상기 제3 키 캡과 상기 제4 키 캡은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함-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1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일렉트로드, 상기 제2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일렉트로드, 상기 제3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3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3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4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4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4 일렉트로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미리 설정된 키보드 레이아웃에 대응되고,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 입력 영역, 상기 미리 설정된 키보드 레이아웃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고, 터치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입력 영역 및 상기 키 입력 영역 및 상기 터치 입력 영역이 오버랩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복합 기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키 캡 및 상기 제2 키 캡은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 키 캡 및 상기 제4 키 캡은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되, 상기 제3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4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키 입력 센서 및 터치 입력 센서가 통합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키 입력 센서 및 터치 입력 센서가 통합된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피가 감소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이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락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키보드 레이아웃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양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전반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 기호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에 따라 이용되거나 혼용 되는 것으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은 갖는 것이 아닐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도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을 포함함-, 복수개의 탄성 유닛 -상기 복수개의 탄성 유닛은 제1 탄성 유닛을 포함함, 복수개의 전도성 물질 -상기 복수개의 전도성 물질은 제1 전도성 물질을 포함함-,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탄성 유닛은 상기 제1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1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전도성 물질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전도성 물질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1 타입 라인들 및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어느 하나로 기능하며,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다른 하나로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 또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의 라인에 포함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 또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 중 다른 하나의 타입의 라인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3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4 일렉트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전도성 물질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전도성 물질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와 상기 제4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의 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와 상기 제4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의 형상은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의 돌출부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의 돌출부는 상기 제1 전도성 물질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와 상기 제1 전도성 물질이 오버랩되는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4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와 상기 제1 전도성 물질이 오버랩되는 영역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도성 물질은 상기 제1 키 캡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도성 물질은 상기 제1 키 캡에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도성 물질은 상기 제1 키 캡의 이동에 의한 상기 제1 탄성 유닛의 변형에 따라 이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도성 물질은 상기 제1 탄성 유닛에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을 포함함-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1 키 캡과 관련된 제1 내지 제4 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에 의해 정의되는 제1 영역에 위치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1 홀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며, 상기 제3홀은 상기 제1 홀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하고, 상기 제4 홀은 상기 제3 홀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되 상기 제2홀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2 홀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5 홀 및 상기 제4 홀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6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홀, 상기 제4 홀, 상기 제5 홀 및 상기 제6 홀에 의해 정의되는 제2 영역 내에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상기 제1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키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키 캡의 일부 및 상기 제2 키 캡의 일부와 오버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2 일렉트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일렉트로드가 트랜스미터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경우,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리시버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일렉트로드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하부 플레이트 및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는 제1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은 상기 제1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제1 내지 제4 결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결속 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키보드 메커니즘에 결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 상기 제1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키 캡, 및 상기 제1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하되 상기 제2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키 캡을 포함함-;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1 타입 라인들 및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어느 하나로 기능하며,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다른 하나로 기능하고,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제1 라인, 상기 제1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2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3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4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5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3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6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3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일렉트로드인 제7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3 일렉트로드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7 일렉트로드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5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6 일렉트로드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1 타입 라인들 및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어느 하나로 기능하며,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다른 하나로 기능하고,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제1 라인, 상기 제1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2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제4 라인, 상기 제4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5 라인 및 상기 제4 라인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6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라인, 상기 제2 라인 및 상기 제3 라인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라인은 복수개의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라인 및 상기 제6 라인은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지 않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 및 상기 제1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키 캡을 포함함-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1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제1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일렉트로드, 상기 제1 키 캡의 일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제1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일렉트로드, 상기 제2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제2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3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키 캡의 일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제2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4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4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3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3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 및 상기 제1 키 캡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제2 키 캡을 포함함-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1 일렉트로드, 상기 제1 키 캡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2 일렉트로드, 상기 제2 키 캡과 오버랩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3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키 캡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4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3 일렉트로드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 제2 키 캡, 제3 키 캡 및 제4 키 캡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키 캡 및 상기 제2 키 캡은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며, 상기 제3 키 캡과 상기 제4 키 캡은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함- 및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1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일렉트로드, 상기 제2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일렉트로드, 상기 제3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3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3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4 키 캡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4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4 일렉트로드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미리 설정된 키보드 레이아웃에 대응되고,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 입력 영역, 상기 미리 설정된 키보드 레이아웃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고, 터치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입력 영역 및 상기 키 입력 영역 및 상기 터치 입력 영역이 오버랩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복합 기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키 캡 및 상기 제2 키 캡은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 키 캡 및 상기 제4 키 캡은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되, 상기 제3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4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는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피씨, 휴대폰, TV, 빔 프로젝터 등의 전자 기기와 연결되어 텍스트 정보 또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상기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에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키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키 스트로크(Keystroke)가 가능한 물리적 구성을 제공하되, 상기 키 스트로크가 가능한 영역 내에서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고 빠른 인터페이스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와 관련된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락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다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는 복수개의 키 캡(1010), 복수개의 탄성 유닛(1020), 터치 입력 센서(1030), 키 입력 센서(1040) 및 컨트롤러(10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키 캡(1010)은 통상적으로 키보드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 캡 또는 키 커버로 이해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키 캡(1010)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도 제공될 수 있고, 일부가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되되 일부가 상이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키 캡(1010)은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키 캡(1010)에 포함되는 제1 키 캡과 제2 키 캡은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키 캡(1010)은 사용자의 누름 입력에 따라 구분되어 이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키 캡(1010)에 포함되는 제1 키 캡과 제2 키 캡은 사용자의 누름 입력에 따라 구분되어 이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탄성 유닛(Elastic unit)(1020)은 상기 복수개의 키 캡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탄성 유닛(1020)은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이 사용자의 누름 입력에 따라 이동된 후 다시 원 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탄성 유닛(1020)은 탄성력을 가지는 물질 또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탄성 유닛(1020)은 러버덤(Rubber dome), 스프링(Spring) 등의 탄성력을 가지는 물질 또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탄성 유닛(1020)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탄성 유닛(1020)에 포함되는 제1 탄성 유닛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키 캡 (1010)에 포함되는 제1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탄성 유닛(1020)에 포함되는 제2 탄성 유닛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키 캡(1010)에 포함되는 제2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탄성 유닛(1020) 각각이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각각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과 적어도 일부 직/간접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센서(103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획득하여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은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에 근접함에 따른 입력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 신호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센서(1030)는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감압식 터치 패널,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광학 방식 터치 패널, 초음파 방식 터치 패널 등의 다양한 터치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센서(1030)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 되는 영역에 터치 영역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센서(1030)가 정전용량방식 터치 패널을 구현하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는 영역에 터치 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가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가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센서(1040)는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획득하여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은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에 대한 누름(Push) 입력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 지정된 위치에 대응되는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양한 입력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입력 신호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센서(1040)는 스위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센서(1040)는 복수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각각의 위상 변동에 따라 대응되는 키 입력 신호가 발생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에 포함되는 제1 스위치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에 포함되는 제1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에 포함되는 제2 스위치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에 포함되는 제2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각각이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각각의 위상이 변동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과 적어도 일 시점 직/간접적으로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센서(1040)는 정전용량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센서(1040)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각각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대응되는 키 입력 신호가 발생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증폭시키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탄성 유닛(1020)에 전도성 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1 일렉트로드 및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에 포함되는 제1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3 일렉트로드 및 제4 일렉트로드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에 포함되는 제2 키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의 정전 용량이 변화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키 캡(1010) 각각과 상기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의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 센서(1030) 및 상기 키 입력 센서(1040)는 통합적인 레이어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입력 센서(1030) 및 상기 키 입력 센서(1040)가 통합적인 레이어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전체적인 부피가 감소될 수 있으며,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제조 단가가 하락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터치 입력 센서(1030)로부터 획득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터치 입력 센서(1030)로부터 획득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좌표값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터치 입력 센서(1030)로부터 획득되는 터치 입력 신호의 좌표 값을 기초로 포인터 이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터치 입력 센서(1030)로부터 획득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실행 명령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터치 입력 센서(1030)로부터 획득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마우스 좌클릭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터치 입력 센서(1030)로부터 획득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마우스 우클릭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키 입력 센서(1040)로부터 획득되는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키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키 입력 센서(1040)로부터 획득되는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키 코드 값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코드 값은 통상의 키보드 레이아웃에 대응되는 키 코드 값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키 입력 센서(1040)로부터 획득되는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실행 명령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키 입력 센서(1040)로부터 획득되는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마우스 좌클릭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키 입력 센서(1040) 중 기 설정된 키 입력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마우스 좌클릭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키 입력 센서(1040)로부터 획득되는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마우스 우클릭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50)는 상기 키 입력 센서(1040) 중 기 설정된 키 입력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마우스 우클릭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050)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전원 관련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1050)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모드를 전원 off 모드, 대기 모드, 활성화 모드 등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원 off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키 입력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무시되거나 인식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대기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키 입력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모드가 활성화 모드로 전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활성화모드에서는 사용자의 키 입력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키 값 또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050)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동작 관련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1050)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동작 모드를 키 입력 모드 또는 터치 입력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 입력 모드 에서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키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 값이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터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050)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터치 영역과 관련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1050)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모드를 키보드 레이아웃의 제1 영역을 터치 영역으로 하는 제1 모드 또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제2 영역을 터치 영역으로 하는 제2 모드로 결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제1 모드는 오른손 모드 상기 제2 모드는 왼손 모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모드가 오른손 모드, 상기 제2 모드가 왼손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상기 제2 영역 보다 오른쪽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050)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연결과 관련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1050)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모드를 제1 전자 기기와 연결되는 제1 연결 모드, 제2 전자 기기와 연결되는 제2 연결 모드 및 제3 전자 기기와 연결되는 제3 연결 모드로 결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050)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연결 모드에 따라 다른 설정 값을 로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1050)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연결 모드가 제1 연결 모드인 경우 제1 설정 값을 로딩하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연결 모드가 제2 연결 모드인 경우 제2 설정 값을 로딩하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연결 모드가 제3 연결 모드인 경우 제3 설정 값을 로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설정 값은 키 입력 센서와 키 코드 값에 대한 매칭 값, 연결되는 전자기기의 OS 관련된 설정 값, 터치 감도 값, 포인터 위치 이동 감도 값,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설정 값, 터치 영역에 대한 설정 값 등 다양한 설정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000)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연결된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키보드 레이아웃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키 입력 영역(1110) 및 터치 입력 영역(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 입력 영역(1110)은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신호(Key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 입력 영역(1110)은 사용자가 제1 키 캡을 누르는 경우 상기 제1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키 입력 센서로부터 키 입력 신호가 발생되며, 사용자가 제2 키 캡을 누르는 경우 상기 제2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키 입력 센서로부터 키 입력 신호가 발생되는 영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은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 캡에 대한 누름(Push) 입력, 압력(Pressure)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키 입력으로 이해될 수 있는 다양한 입력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입력 영역(1110)에서 발생된 상기 키 입력 신호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에 포함되는 컨트롤러에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에 포함되는 컨트롤러는 상기 키 입력 영역(1110)에서 발생된 상기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키 값(Key value)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에 포함되는 컨트롤러는 상기 키 입력 영역(1110)에서 발생된 상기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실행 명령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값(Key value)은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키 코드(Key code)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키 코드(Key code)에 대응되는 텍스트 값, 기능 값 등을 의미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키 값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키 코드(Key code)는 사용자의 키 입력, 사용자의 키 입력으로부터 발생되는 키 입력 신호, 텍스트 값 또는 기능 값을 식별하기 위해 이용되는 값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키 코드로 이해될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신호(Touch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은 사용자가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에 포함되는 제1 영역을 터치한 경우,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터치 입력 센서로부터 터치 입력 신호가 발생되며, 사용자가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에 포함되는 제2 영역을 터치한 경우,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터치 입력 센서로부터 터치 입력 신호가 발생되는 영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에 포함되는 터치 입력 센서로부터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양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에 포함되는 키 캡에 대한 터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에서 발생된 상기 터치 입력 신호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에 포함되는 컨트롤러에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에 포함되는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에서 발생된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에 포함되는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에서 발생된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실행 명령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 입력 영역(1110) 및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은 적어도 일부 오버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 입력 영역(1110)은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의 키보드 레이아웃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은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의 키보드 레이아웃의 일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은 상기 키 입력 영역(1110) 내에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은 상기 키 입력 영역(1110)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되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 영역(1110)과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 영역(1110)과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의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 영역(1110)과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이 오버랩되는 영역은 복합 기능 영역(Multi-functional region)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이 상기 키 입력 영역(1110) 내에 포함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과 대응되는 영역이 복합 기능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영역은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되,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키 입력 신호 및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터치 입력 신호 등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포인터 실행 명령 유닛(1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 유닛(1130)은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실행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은 마우스 좌클릭 또는 우클릭에 대응되는 실행명령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 실행 명령 유닛(1130)은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의 키보드 레이아웃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 실행 명령 유닛(1130)은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의 2개의 스페이스바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 실행 명령 유닛(1130)은 상기 키 입력 영역(1110) 내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 실행 명령 유닛(1130)은 상술한 키 입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 유닛(1130)에 포함되는 키 입력 센서는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 유닛(113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에 포함되는 컨트롤러는 상기 키 입력 신호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포인터 실행 명령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 실행 명령 유닛(1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 실행 명령 유닛(1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은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 및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에 대하여는 상술한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에 대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은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은 J 키캡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은 G 키캡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설정되어, G키캡의 일부, J키캡의 일부 및 H키캡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과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이 오버립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은 오버랩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은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보다 왼쪽 영역으로 설정되되 H 키캡의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은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보다 오른쪽 영역으로 설정되되 H키캡의 다른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동작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 때,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되는 것의 의미는 활성화되는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터치 입력 영역이 활성화 된다고 이해되는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이 활성화되는 제1 동작 모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이 활성화되는 제2 동작 모드 및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이 활성화되는 제3 동작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동작 모드는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에서 발생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터치 입력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 상기 터치 입력 영역(1120) 내에 터치 시작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동작 모드는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에서 발생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터치 입력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 내에 터치 시작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 외부의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 내에 터치 시작점이 위치하는 경우 터치 종료점까지의 터치 경로가 상기 제1 터치 입력 영역(1121) 외부의 터치 입력 영역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더라도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동작 모드는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에서 발생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터치 입력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 내에 터치 시작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 외부의 터치 입력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 내에 터치 시작점이 위치하는 경우 터치 종료점까지의 터치 경로가 상기 제2 터치 입력 영역(1122) 외부의 터치 입력 영역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더라도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모드는 왼손 모드에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모드는 오른손 모드에 대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모드에 따라 활성화되는 터치 입력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100)는 사용자의 커스텀 동작 모드인 제4 동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동작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터치 입력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제4 동작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터치 입력 영역은 사용자의 제스쳐, 모션, 터치 입력 등에 의해 설정되거나,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설정 값을 획득하여 설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대로 키 입력 센서와 터치 입력 센서가 통합적인 레이어로 제공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200)는 키 캡 레이어(1210), 키보드 메커니즘(Keyboard mechanism) 레이어(1220), 탄성 유닛 레이어(1230),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 및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1250)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1210)는 복수개의 키 캡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키 캡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121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 캡들은 사용자와 컨택하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200)의 최상단의 구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121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 캡들은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121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 캡 들은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 텍스트 입력, 누름(Push) 입력, 압력(Pressure)입력, 하강 입력, 터치 입력, 슬라이딩 입력 등을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121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 캡들의 표면에는 대응되는 문자가 프린팅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는 복수개의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개의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들은 상기 복수개의 키 캡들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키 캡들 각각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는 복수개의 시저 메커니즘(Scissor mechanism)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저 메커니즘 유닛은 2개의 지지 유닛이 X자로 교차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지지 유닛이 대응되는 키 캡의 서로 다른 부분에 결착되어 상기 대응되는 키 캡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투-파트 어셈블리(Two-part assembly)로 제공되는 메커니즘 유닛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시저 메커니즘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는 복수개의 버터플라이 메커니즘(Butterfly mechanism)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버터플라이 메커니즘 유닛은 1개의 지지 유닛의 양단이 대응되는 키 캡의 서로 다른 부분에 결착되고, 양단의 사이에 위치하는 힌지를 중심으로 변형되어 상기 대응되는 키 캡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싱글 파트 어셈블리(Single-part assembly)로 제공되는 메커니즘 유닛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버터플라이 메커니즘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는 상술한 예시들 외에 대응되는 키 캡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다양한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유닛 레이어(1230)는 복수개의 탄성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탄성 유닛들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 유닛 레이어(1230)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개의 탄성 유닛들은 상기 복수개의 키 캡들 각각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키 캡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키 입력 신호(Key input signal) 또는 터치 입력 신호(Touch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사용자의 키 입력은 상기 키 캡 레이어(1210)를 통해 획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을 통해 상술한 터치 입력 또는 키 입력에 대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들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들은 상기 키 캡 레이어(121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에 포함되며,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기능하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 각각은 상기 키 캡 레이어(1210)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에 포함되며,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기능하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들은 상기 키 캡 레이어(1210)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들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는 복수개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가 배치되는 제1 레이어, 상기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의 적어도 일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2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 혹은 상기 제2 레이어의 적어도 일부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레이어, 외부 노이즈 신호를 차폐할 수 있는 도전체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레이어, 상기 제2 레이어 및 상기 커버레이어는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는 상술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레이어 중 적어도 일부의 레이어들 사이의 접착을 제공하기 위한 접착 레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커버레이어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레이어는 광원으로 부터 빛을 수신하여 기정해진 영역에서 빛이 확산될 수 있도록 광 확산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광 확산 영역은 레이저 혹은 도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백라이트 유닛으로 기능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과 재료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는 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 보드(FPCB)로 형성되거나 플라스틱 필름에 도전성 안료를 안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 복수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홀은 상술한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을 하술하는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에 결착시키기 위해 하부 플레이트에 포함되는 결속 부재를 통과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홀은 상술한 키보드 매커니즘 레이어(1220)를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에 결착시키기 위해 키보드 매커니즘 레이어(1220)에 포함되는 결속 부재를 통과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홀 중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술한 키보드 매커니즘 레이어(1220)를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에 결착시키기 위한 결속부재를 통과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홀 중 적어도 하나의 홀은 백라이트의 광원을 통과시키도록 기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홀 중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술한 키보드 매커니즘 레이어(1220)의 위치상태에 따라 상술한 키보드 매커니즘 레이어(122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 안에 위치하거나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홀 중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홀 중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에 포함되는 상기 커버레이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레이어 또는 상기 제2 레이어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홀 중 적어도 하나의 홀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에 포함되는 상기 커버레이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2 레이어에는 형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커버레이어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특성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커버레이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2 레이어에는 형성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홀은 원형, 사각형, 선형 또는 십자형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커버레이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2 레이어에는 형성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기 제1 레이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일렉트로드와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레이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2 레이어에는 형성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기 제1 레이어에 포함되는 제1 일렉트로드 및 제2 일렉트로드와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상기 커버레이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레이어 및/또는 상기 제2 레이어에는 형성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홀은 물리적인 홀 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빛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통과 할 수 있는 홀의 개념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홀의 주변보다 광 투과성이 높은 투명 혹은 반투명한 재질로 제공되는 광투과 영역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1250)는 상기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들을 장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1250)는 상기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들을 장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결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125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결속 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 각각과 결속되어 상기 복수개의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 각각을 상기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1250)에 장착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1250)는 제1 내지 제4 결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내지 제4 결속 부재는 상기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에 포함되는 제1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의 4 부분에 각각 결속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1250)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1250)에 장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에 포함된 결속부재가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 복수개의 홀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1250)에 결속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결속부재는 상기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시소)들을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유닛(미도시)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20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 레이어(1250),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240), 상기 탄성 유닛 레이어(1230), 상기 키보드 메커니즘 레이어(1220) 및 상기 키 캡 레이어(12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300)는 키 캡 레이어(1310), 탄성 유닛 레이어(1320) 및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 캡 레이어(1310), 탄성 유닛 레이어(1320) 및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1310)는 복수개의 키 캡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1310)는 제1 키 캡(1311) 및 제2 키 캡(131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유닛 레이어(1320)는 복수개의 탄성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유닛 레이어(1320)는 상기 제1 키 캡(1311)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1 탄성 유닛(1321) 및 상기 제2 키 캡(1312)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 탄성 유닛(132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유닛 레이어(132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탄성 유닛들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전도성 물질 또는 하술할 전도성 물질은 실시예에 따라 상기 키 캡 레이어(13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키 캡에 포함될 수 있으며, 혹은 적어도 하나의 키 캡이 전도성 물질로 제공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캡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전도성 물질이 이동되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와의 거리가 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복수개의 탄성 유닛들에 포함되는 전도성 물질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유닛 레이어(132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탄성 유닛(1321)은 제1 전도성 물질(13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탄성 유닛(1322)은 제2 전도성 물질(1324)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키 캡 레이어(1310)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전도성 물질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에 가까워 짐에 따라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야기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카본(carbon) 등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야기시키기 위한 다양한 물질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 또는 리시버(Receiver)로 기능하는 일렉트로드 라인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는 제1 일렉트로드(1331), 제2 일렉트로드(1332), 제3 일렉트로드(1333), 제4 일렉트로드(1334), 제5 일렉트로드(1335) 및 제6 일렉트로드(1336)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는 상기 복수개의 키 캡들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일렉트로드(1331 내지 1334)는 상기 제1 키 캡(1311)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5 및 제6 일렉트로드(1335 및 1336)는 상기 제2 키 캡(1312)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일렉트로드들이 상기 키 캡들과 오버랩 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330)에 포함되는 각 레이어들이 적층되는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일렉트로드들과 상기 키 캡들이 오버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수개의 탄성 유닛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33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및 제2 일렉트로드(1331 및 1332)는 상기 제1 탄성 유닛(1321)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5 및 제6 일렉트로드(1335 및 1336)는 상기 제2 탄성 유닛(1322)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일렉트로드(1331), 상기 제3 일렉트로드(1333) 및 상기 제5 일렉트로드(1335)는 트랜스미터로 기능하는 일렉트로드 라인의 일부를 구성하는 일렉트로드로 설명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1332), 상기 제4 일렉트로드(1334) 및 상기 제6 일렉트로드(1446)는 리시버로 기능하는 일렉트로드 라인의 일부를 구성하는 일렉트로드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키 캡(1311)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 또는 누름(Push)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1 키 캡(1311)은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키 캡(131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탄성 유닛(1321)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탄성 유닛(1321)의 형상의 변경에 따라 상기 제1 탄성 유닛(1321)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전도성 물질(1323)과 상기 제1 및 제2 일렉트로드(1331 및 1332)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제1 트랜스미터로 기능하는 제1 일렉트로드 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일렉트로드(1331)와 제1 리시버로 기능하는 제2 일렉트로드 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일렉트로드(1332) 및 상기 제1 전도성 물질(1323)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경되어 제1 키 입력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키 캡(1312)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 또는 누름(Push)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제2 키 캡(1312)은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키 캡(131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탄성 유닛(1322)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탄성 유닛(1322)의 형성의 변경에 따라 상기 제2 탄성 유닛(1322)에 포함되는 상기 제2 전도성 물질(1324)과 상기 제5 및 제6 일렉트로드(1335 및 1336)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제2 트랜스미터로 기능하는 제3 일렉트로드 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5 일렉트로드(1335)와 제2 리시버로 기능하는 제4 일렉트로드 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6 일렉트로드(1336) 및 상기 제2 전도성 물질(1324)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경되어 제2 키 입력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 캡 레이어(1310)의 제1 영역(1340)에 대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는 경우, 적어도 제3 트랜스미터로 기능하는 제5 일렉트로드 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3 일렉트로드(1333)와 제3 리시버로 기능하는 제6 일렉트로드 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4 일렉트로드(1334) 및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경되어 제1 터치 입력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제2 키 입력 신호의 크기는 제1 기준 값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터치 입력 신호의 크기는 제2 기준 값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제2 키 입력 신호의 크기는 제1 기준 값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터치 입력 신호의 크기는 제2 기준 값 이상이되 상기 제1 기준 값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키 입력 신호, 상기 제2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제1 터치 입력 신호는 상술한 컨트롤러에 의해 처리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키 값 또는 포인터 위치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들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도 4에서 기술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300)는 상술한 터치 입력 센서와 상술한 키 입력 센서가 통합적인 레이어로 구현되는 일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며, 이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300)의 전체적인 부피가 감소될 수 있으며,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제조 단가가 하락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1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 및 제2 일렉트로드 레이어(1420)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1420)는 제1 타입 라인들 및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타입 라인들 각각은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Length direction)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타입 라인들 각각은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Width direction)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은 X축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은 Y축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 때, 상기 제1 타입 라인들 또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을 구성하는 일렉트로드의 전기적 연결은 동일 레이어 상의 동일 표면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일체로 형성되는 다른 레이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1420)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transmitter) 또는 리시버(Receiver) 중 어느 하나로 기능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상기 트랜스미터 또는 상기 리시버 중 다른 하나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된 제1 타입 라인들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된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미터로 기능할 수 있고, 상기 제1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적어도 하나의 리시버로 기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제1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는 N개의 제1 타입 라인들 및 M개의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N개의 제1 타입 라인들 각각은 서로 다른 N개의 트랜스미터로 기능할 수 있으며, 상기 M개의 제2 타입 라인들 각각은 서로 다른 M개의 리시버로 기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레이어(1420)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된 제1 타입 라인들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된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레이어(142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적어도 하나의 리시버로 기능할 수 있고,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레이어(142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미터로 기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레이어(1420)는 N개의 제1 타입 라인들 및 M개의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N개의 제1 타입 라인들 각각은 서로 다른 N개의 리시버로 기능할 수 있으며, 상기 M개의 제2 타입 라인들 각각은 서로 다른 M개의 트랜스미터로 기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142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의 신호 타이밍(Signal timing)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142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이 각각 트랜스미터로 기능하는 경우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의 구동 신호 타이밍(Driving signal timing)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142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이 각각 리시버로 기능하는 경우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의 스캔 신호 타이밍(Scan signal timing)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142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의 신호 타이밍(Signal timing)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142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이 각각 트랜스미터로 기능하는 경우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의 구동 신호 타이밍(Driving signal timing)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142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이 각각 리시버로 기능하는 경우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의 스캔 신호 타이밍(Scan signal timing)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일렉트로드 레이어(1410,1420)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 레이어(1500)는 제1 타입 라인(1510) 및 제2 타입 라인(15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타입 라인(1510) 및 상기 제2 타입 라인(1520)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타입 라인(1510)은 제1 일렉트로드(1511), 제2 일렉트로드(15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타입 라인(1520)은 제3 일렉트로드(1521) 및 제4 일렉트로드(152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511) 및 상기 제3 일렉트로드(1521)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Touch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Key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는 기 설정된 형상을 가지는 일렉트로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는 마름모 형상의 일렉트로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와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일렉트로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의 형상이 마름모 형상인 경우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마름모 형상이 아닌 일렉트로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로 정의되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제1 돌출부(15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제2 돌출부(153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타입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타입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타입 라인(151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는 상기 제2 타입 라인(152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14)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타입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는 상기 제2 타입 라인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타입 라인(151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의 상기 제1 돌출부(1531)는 상기 제2 타입 라인(152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의 상기 제2 돌출부(1532)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탄성 유닛(미도시)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의 상기 제1 돌출부(1531)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의 상기 제2 돌출부(1532)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제1 탄성 유닛(미도시)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탄성 유닛의 전도성 물질(미도시)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의 상기 제1 돌출부(1531)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의 상기 제2 돌출부(1532)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제1 탄성 유닛의 제1 전도성 물질(미도시)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키 캡(미도시)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의 상기 제1 돌출부(1531)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의 상기 제2 돌출부(1532)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제1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2개의 돌출부의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의 상기 제1 돌출부(1531)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의 상기 제2 돌출부(1532)의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2개의 돌출부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의 상기 제1 돌출부(1531)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의 상기 제2 돌출부(1532)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2개의 돌출부의 면적은 다양한 비율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의 상기 제1 돌출부(1531)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의 상기 제2 돌출부(1532)의 면적은 5:5, 4:6, 3:7, 2:8, 1:9, 6:4, 7:3, 8:2, 9:1 등의 다양한 비율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는 곶(Cape)의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의 상기 제2 돌출부(1532)는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의 곶의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만(Bay)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의 상기 제1 돌출부(1531)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의 만의 위치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접한 일렉트로드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타입 라인(151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5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접한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511)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2 타입 라인(152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4 일렉트로드(15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접한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3 일렉트로드(1521)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될 수 있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상술한 내용들에 의해 정의되는 일렉트로드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네이밍 한 것으로, 동일한 정의에 대응되는 일렉트로드를 다른 방식으로 네이밍 하더라도 통상의 기술자에게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는 제1 일렉트로드(1610), 제2 일렉트로드(1620), 제3 일렉트로드(1630), 제4 일렉트로드(1640), 제5 일렉트로드(1650) 및 제6 일렉트로드(166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 7에서 도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의 변형 실시예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610)는 제1 돌출부(16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620)는 제2 돌출부(1621)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3 일렉트로드(1630)는 제3 돌출부(16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4 일렉트로드(1640)는 제4 돌출부(1641)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5 일렉트로드(1650)는 제5 돌출부(16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돌출부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610)의 상기 제1 돌출부(1611)는 상기 제1 일렉트로드(1610)의 곶(Cape)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620)의 상기 제2 돌출부(1621)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1620)의 만(Bay)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3 일렉트로드(1630)의 상기 제3 돌출부(1631)는 상기 제3 일렉트로드(1630)의 만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제3 일렉트로드(1630)의 만에 대응되는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1620)의 만에 대응되는 영역의 크기와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3 일렉트로드(1630)의 상기 제3 돌출부(1631)의 위치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1620)의 상기 제2 돌출부(1621)의 위치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4 일렉트로드(1640)의 상기 제4 돌출부(1641)는 상기 제4 일렉트로드(1640)의 만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제4 일렉트로드(1640)의 만에 대응되는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1620)의 만에 대응되는 영역의 크기와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4 일렉트로드(1640)의 상기 제4 돌출부(1641)의 위치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1620)의 상기 제2 돌출부(1621)의 위치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5 일렉트로드(1650)의 상기 제5 돌출부(1651)는 상기 제5 일렉트로드(1650)의 곶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돌출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6 일렉트로드(1660)는 돌출부를 포함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가 쌍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2개의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각각 트랜스미터로 기능하는 라인 및 리시버로 기능하는 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일렉트로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일렉트로드(1610) 및 상기 제2 일렉트로드(1620)는 쌍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일렉트로드(1630)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1640)는 쌍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5 일렉트로드(1650) 및 상기 제6 일렉트로드(1660)는 쌍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2개의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각각의 일렉트로드의 돌출부가 어느 하나의 일렉트로드의 만에 대응되는 영역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일렉트로드(1610,1620)는 상기 제1 돌출부(1611)와 상기 제2 돌출부(1621)가 상기 제2 일렉트로드(1620)의 만에 대응되는 영역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2개의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각각의 일렉트로드의 돌출부가 각각의 일렉트로드의 만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및 제4 일렉트로드(1630,1640)는 상기 제3 돌출부(1631)와 상기 제4 돌출부(1641)가 상기 제3 일렉트로드(1630)의 만에 대응되는 영역과 상기 제4 일렉트로드(1640)의 만에 대응되는 영역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2개의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어느 하나의 일렉트로드의 돌출부가 다른 하나의 일렉트로드의 만에 대응되는 영역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5 및 제6 일렉트로드(1650,1660)는 상기 제5 돌출부(1651)가 상기 제6 일렉트로드(1660)의 만에 대응되는 영역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 8에서 도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8의 변형 실시예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는 쌍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Key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영역을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돌출부(1711) 및 제2 돌출부(1712)는 쌍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영역(1710)을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돌출부(1721) 및 제4 돌출부(1722)는 쌍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영역(1720)을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5 돌출부(1731) 및 제6 돌출부(1732)는 쌍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3 영역(1730)을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탄성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유닛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탄성 유닛은 일 실시예에 따라 쌍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돌출부(1711) 및 상기 제2 돌출부(1712)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상기 제1 영역(171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탄성 유닛은 일 실시예에 따라 쌍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3 돌출부(1721) 및 상기 제4 돌출부(1722)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상기 제2 영역(172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탄성 유닛은 일 실시예에 따라 쌍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5 돌출부(1731) 및 상기 제6 돌출부(1732)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상기 제3 영역(173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탄성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유닛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탄성 유닛의 상기 전도성 물질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탄성 유닛의 전도성 물질은 일 실시예에 따라 쌍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돌출부(1711) 및 상기 제2 돌출부(1712)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상기 제1 영역(171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탄성 유닛의 전도성 물질은 일 실시예에 따라 쌍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3 돌출부(1721) 및 상기 제4 돌출부(1722)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상기 제2 영역(172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탄성 유닛의 전도성 물질은 일 실시예에 따라 쌍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5 돌출부(1731) 및 상기 제6 돌출부(1732)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상기 제3 영역(173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다만, 도 6 내지 도 8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돌출부를 포함하는 일렉트로드의 구성을 제2 타입 일렉트로드로 기술하였으나, 앞서 기술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돌출부의 구성 자체가 제2 타입 일렉트로드로도 이해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때에 따라 앞서 기술한 돌출부 자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를 포함하는 일렉트로드로도 이해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통해 기술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대하여는 상술한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대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일렉트로드 레이어가 포함하는 제1 타입 라인, 제2 타입 라인, 제1 타입 일렉트로드, 제2 타입 일렉트로드 등에 대하여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는 제1 일렉트로드(1810) 및 제2 일렉트로드(18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일렉트로드(1810) 및 상기 제2 일렉트로드(18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키 입력 신호(Key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는 복수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는 제1 홀(1831), 제2 홀(1832), 제3 홀(1833) 및 제4 홀(18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개의 홀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제1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을 결착시키기 위한 하부 플레이트의 결속 부재가 통과하기 위한 홀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적어도 네 개의 홀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적어도 일부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810) 및 상기 제2 일렉트로드(1820)는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에 의해 정의되는 제1 영역(1840)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는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적어도 네 개의 홀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 내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810) 및 상기 제2 일렉트로드(1820) 각각의 돌출부들은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에 의해 정의되는 제1 영역(1840) 내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홀은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와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은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홀은 다양한 모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홀은 직사각형상, 정사각형상, 타원형상, 원형상, 사다리꼴 형상 등의 모양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상술한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모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홀이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와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홀 중 적어도 일부의 홀의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은 동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의 오리엔테이션은 서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홀 중 동일한 키 캡과 관련된 홀 들의 오리엔테이션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이 제1 키캡과 관련된 홀 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의 오리엔테이션은 서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홀 중 동일한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과 관련된 홀 들의 오리엔테이션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이 제1 키보드 메커니즘 유닛과 관련된 홀 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의 오리엔테이션은 서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적어도 네 개의 홀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가 적어도 일부 포함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네 개의 홀 중의 일부의 홀과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홀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 제5 홀(1835) 및 제6 홀(183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제1 영역(1840)에 상기 제1 일렉트로드(1810) 및 상기 제2 일렉트로드(1820)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2 홀(1832), 상기 제4 홀(1834), 상기 제5 홀(1835) 및 상기 제6 홀(1836)에 의해 정의되는 제2 영역(1850) 내에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에 포함되는 적어도 네 개의 홀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가 포함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네 개의 홀 중의 일부의 홀과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홀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는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1800)는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 제5 홀(1835) 및 제6 홀(183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내지 제4 홀(1831 내지 1834)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제1 영역(1840)에 상기 제1 일렉트로드(1810) 및 상기 제2 일렉트로드(1820)의 돌출부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2 홀(1832), 상기 제4 홀(1834), 상기 제5 홀(1835) 및 상기 제6 홀(1836)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제2 영역(1850) 내에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홀(1832)은 상기 제1 홀(1831)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홀이며, 상기 제5 홀(1835)은 상기 제2 홀(1832)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홀이고, 상기 제3 홀(1833)은 상기 제1 홀(1831)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홀이며, 상기 제4 홀(1834)은 상기 제3 홀(1833)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되, 상기 제2 홀(1832)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홀이고, 상기 제6 홀(1836)은 상기 제4 홀(1834)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되, 상기 제5 홀(1835)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홀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홀(1831)과 상기 제3 홀(1833)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5 홀(1835)과 상기 제 6 홀(1836)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홀(1831)과 상기 제5 홀(1835)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3 홀(1833)과 상기 제 6 홀(1836)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900)는 키 캡 레이어 및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 캡 레이어 및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는 복수개의 키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는 제1 키 캡(1951), 제2 키 캡(1952) 및 제3 키 캡(19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키 캡(1952)은 상기 제1 키 캡(1951)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키 캡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키 캡(1953)은 상기 제1 키 캡(1951)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하되, 상기 제2 키 캡(1952)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키 캡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키 캡(1952)은 상기 제1 키 캡(1951)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제1 거리만큼 이동된 키 캡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키 캡(1953)은 상기 제1 키 캡(1951)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제2 거리만큼 이동된 키 캡을 의미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1 라인(1910), 제2 라인(1920) 및 제3 라인(193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제1 라인(1910), 상기 제2 라인(1920) 및 상기 제3 라인(1930)의 형상은 상기 제1 라인(1910), 상기 제2 라인(1920) 및 상기 제3 라인(1930) 각각을 구성하는 일렉트로드들이 연결된 형상일 수 있으며,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10에서는 상기 제1 라인(1910), 상기 제2 라인(1920) 및 상기 제3 라인(1930) 각각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적어도 하나의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이 적어도 하나의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 각각을 구성하는 일렉트로드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라인(1910)은 상기 제1 키 캡(1951) 및 상기 제2 키 캡(1952)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라인(1920)은 상기 제1 키 캡(1951), 상기 제2 키 캡(1952) 및 상기 제3 키 캡(1953)과 오버랩 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다른 상기 제3 라인(1930)은 상기 제1 키 캡(1951) 및 상기 제3 키 캡(1953)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Touch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또는 적어도 키 입력 신호(Key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라인(1910)은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1 일렉트로드(1911) 및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2 일렉트로드(191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라인(1920)은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3 일렉트로드(1921),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4 일렉트로드(1922) 및 제5 일렉트로드(192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라인(1930)은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6 일렉트로드(1931),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7 일렉트로드(193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 라인들 각각을 구성하는 일렉트로드는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가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 보다 많거나, 더 넓은 면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일부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라인(1910)을 구성하는 10개의 일렉트로드 중 상기 제1 일렉트로드(1911)만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이며 나머지 9개의 일렉트로드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일부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라인(1920)을 구성하는 10개의 일렉트로드 중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만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이며 나머지 9개의 일렉트로드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일부를 참조하면, 상기 제3 라인(1930)을 구성하는 10 개의 일렉트로드 중 상기 제6 일렉트로드(1931)만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이며 나머지 9개의 일렉트로드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라인(1920)에 포함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는 상기 제1 키 캡(1951)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1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라인(1910)에 포함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911)는 상기 제2 키 캡(1952)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2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라인(1930)에 포함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6 일렉트로드(1931)는 상기 제3 키 캡(1953)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3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키 캡(1952)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2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상기 제1 일렉트로드(1911)는 상기 제1 키 캡(1951)의 일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상기 제2 일렉트로드(19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 키 캡(1951)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1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키 캡(1951)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1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는 상기 제2 키 캡(1952)의 일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상기 제4 일렉트로드(1922) 및 상기 제3 키 캡(1953)의 일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제5 일렉트로드(19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2 키 캡(1952)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2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상기 제1 일렉트로드(19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며, 상기 제3 키 캡(1953)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3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상기 제6 일렉트로드(19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키 캡(1953)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3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상기 제6 일렉트로드(1931)는 상기 제1 키 캡(1951)의 일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상기 제7 일렉트로드(19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 키 캡(1951)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1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되는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키 캡에 포함되는 상기 제1 키 캡(1951), 상기 제2 키 캡(1952), 상기 제3 키 캡(1953)은 복수개의 일렉트로드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제1 키 캡(1951)은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912), 상기 제7 일렉트로드(1932) 및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키 캡(1952)은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4 일렉트로드(1922) 및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911)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키 캡(1953)은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5 일렉트로드(1923) 및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6 일렉트로드(1931)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키 캡(1952)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911)는 상기 제1 키 캡(1951)과 오버랩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2 일렉트로드(19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 키 캡(1951)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제1 키 캡(1951)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는 상기 제2 키 캡(1952)과 오버랩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4 일렉트로드(1922) 및 상기 제3 키 캡(1953)과 오버랩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5 일렉트로드(19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2 키 캡(1952)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9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3 키 캡(1953)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6 일렉트로드(19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제3 키 캡(1953)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6 일렉트로드(1931)는 상기 제1 키 캡(1951)과 오버랩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7 일렉트로드(19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 키 캡(1951)과 오버랩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포함되는 제2 타입 라인들 중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라인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라인(1910) 및 상기 제1 라인(1910)과 인접한 상기 제2 라인(1920) 각각은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 일렉트로드(1911) 및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2 라인(1920) 및 상기 제2 라인(1920)과 인접한 상기 제3 라인(1930) 각각은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3 일렉트로드(1921) 및 상기 제6 일렉트로드(19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를 설명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1과 도 10에 도시된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동일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을 나누어서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통상의 기술자가 도 10과 도 11을 종합적으로 이해하여 기술적 사상을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도 10과 도 11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도출되는 기술적 사상 역시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1900)는 키 캡 레이어 및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 캡 레이어 및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는 복수개의 키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는 제1 키 캡(1951), 제4 키 캡(1954) 및 제5 키 캡(195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키 캡(1954)은 상기 제1 키 캡(1951)과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키 캡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5 키 캡(1955)은 상기 제1 키 캡(1951)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되, 상기 제4 키 캡(1954)과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키 캡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제1 타입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4 라인(1960), 제5 라인(1970) 및 제6 라인(198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제4 라인(1960), 상기 제5 라인(1970) 및 상기 제6 라인(1980)의 형상은 상기 제4 라인(1960), 상기 제5 라인(1970) 및 상기 제6 라인(1980) 각각을 구성하는 일렉트로드들이 연결된 형상일 수 있으며,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11에서는 상기 제4 라인(1960), 상기 제5 라인(1970) 및 상기 제6 라인(1980) 각각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적어도 하나의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이 적어도 하나의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 각각을 구성하는 일렉트로드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키 캡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4 라인(1960)은 상기 제1 키 캡(1951), 상기 제4 키 캡(1954) 및 상기 제5 키 캡(1955)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5 라인(1970)은 상기 제1 키 캡(1951), 상기 제4 키 캡(1954) 및 상기 제5 키 캡(1955)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6 라인(1970)은 상기 제1 키 캡(1951), 상기 제4 키 캡(1954) 및 상기 제5 키 캡(1955)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Touch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또는 적어도 키 입력 신호(Key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4 라인(1960)은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8 일렉트로드(1961), 제9 일렉트로드(1962) 및 제10 일렉트로드(196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5 라인(1970)은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11 일렉트로드(1971), 제12 일렉트로드(1972) 및 제13 일렉트로드(197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6 라인(1980)은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인 제14 일렉트로드(1981), 제15 일렉트로드(1982) 및 제16 일렉트로드(198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타입 라인들 각각을 구성하는 일렉트로드는 적어도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가 적어도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 보다 많거나, 더 넓은 면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일부를 참조하면, 상기 제4 라인(1960)을 구성하는 10개의 일렉트로드 중 상기 제8 일렉트로드(1961), 상기 제9 일렉트로드(1962), 상기 제10 일렉트로드(1963)가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이며 나머지 7개의 일렉트로드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일부를 참조하면, 상기 제5 라인(1970)을 구성하는 10개의 일렉트로드 모두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일렉트로드 레이어의 일부를 참조하면, 상기 제6 라인(1980)을 구성하는 10개의 일렉트로드 모두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라인(1960)에 포함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8 일렉트로드(1961)는 상기 제4 키 캡(1954)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4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라인(1960)에 포함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9 일렉트로드(1962)는 상기 제1 키 캡(1951)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1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라인(1960)에 포함되는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10 일렉트로드(1963)는 상기 제5 키 캡(1955)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제5 키 입력 신호의 발생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포함되는 제1 타입 라인들 중 어느 하나의 라인이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는 경우 인접한 다른 라인은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라인(1960)이 제2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8 일렉트로드(1961), 상기 제9 일렉트로드(1962) 및 상기 제10 일렉트로드(1963)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4 라인(1960)과 인접한 상기 제5 라인(1970) 및 상기 제6 라인(1980)은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포함되는 제1 타입 라인이 복수개의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제2 타입 일렉트로드 중 인접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의 개수는 적어도 일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라인(1960)이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인 상기 제8 일렉트로드(1961), 상기 제9 일렉트로드(1962) 및 상기 제10 일렉트로드(1963)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8 및 제9 일렉트로드(1961,196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의 개수는 2개이며, 상기 제9 및 제10 일렉트로드(1962,1963)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타입 일렉트로드의 개수 역시 2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렉트로드 및 전기적 연결 선을 검정색으로 표시하였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2000)는 복수개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드 레이어(2000)는 적어도 제1 레이어(2010) 및 제2 레이어(202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000)에 대하여는 제1 타입 라인, 제2 타입 라인, 제1 타입 일렉트로드, 제2 타입 일렉트로드 등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와 관련되어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00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레이어(2010)는 일렉트로드가 위치하는 레이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레이어(2010)는 일렉트로드가 패터닝되어 있는 레이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000)에 포함되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1 타입 라인 또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2 타입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들의 전기적 연결은 상기 제1 레이어(2010)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1 타입 라인에 대한 전기적 연결은 상기 제1 레이어(2010) 상에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00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레이어(2020)는 상기 제1 레이어(2010)에 위치하는 적어도 일부의 일렉트로드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레이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레이어(2020)는 상기 제1 레이어(2010)에 위치하는 적어도 일부의 일렉트로드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도선이 패터닝 되어있는 레이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2000)에 포함되며,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1 타입 라인 또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2 타입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에 포함되는 일렉트로드들의 전기적 연결은 상기 제2 레이어(202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2 타입 라인에 대한 전기적 연결은 상기 제2 레이어(2020)를 통해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를 통해 기술한 내용은 터치 입력 신호 또는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도 12를 통해 기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렉트로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렉트로드를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들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2100)는 키 캡 레이어 및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 캡 레이어 및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2100)는 키 입력 영역(2110) 및 터치 입력 영역(2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키 입력 영역(2110)과 상기 터치 입력 영역(2120)이 오버랩되는 영역에 복합 기능 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 입력 영역(2110), 상기 터치 입력 영역(2120) 및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는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는 키 캡 및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키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캡 레이어는 상기 복합 기능 영역과 오버랩되지 않으며,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제1 키 캡(2130), 상기 복합 기능 영역과 오버랩되며,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는 제2 키 캡(2140), 상기 복합 기능 영역과 오버랩되며,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는 제3 키 캡(2150), 상기 복합 기능 영역과 오버랩되지 않으며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제4 키 캡(2160) 및 상기 복합 기능 영역과 일부 오버랩되나 상기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제5 키 캡(217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2100)의 상기 키 입력 영역(2110)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키 입력 신호(Key input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한 쌍의 일렉트로드가 상기 키 캡 레이어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 캡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키 캡(2130)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제1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제1 및 제2 일렉트로드(2131,2132)가 상기 제1 키 캡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2 키 캡(2140)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제2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제3 및 제4 일렉트로드(2141,2142)가 상기 제2 키 캡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3 키 캡(2150)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제3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제5 및 제6 일렉트로드(2151,2152)가 상기 제3 키 캡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4 키 캡(2160)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제4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제7 및 제8 일렉트로드(2161,2162)가 상기 제4 키 캡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5 키 캡(2170)에 대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제5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제9 및 제10 일렉트로드(2171,2172)가 상기 제5 키 캡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기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키 캡과 오버랩되는 한 쌍의 일렉트로드는 제3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키 캡(2130)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제1 및 제2 일렉트로드(2131,2132)는 제3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4 키 캡(2160)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제7 및 제8 일렉트로드(2161,2162)는 제3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5 키 캡 (2170)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제9 및 제10 일렉트로드(2171,2172)는 제3 타입 일렉트로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제3 타입 일렉트로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타입 일렉트로드는 상술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복합 기능 영역 과 오버랩되지 않는 키 캡은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일렉트로드 중 한 쌍의 일렉트로드와 오버랩되되 다른 일렉트로드들과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키 캡(2130)은 상기 제1 및 제2 일렉트로드(2131,2132)와 오버랩되되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에 포함되는 다른 일렉트로드들과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기능 영역 내에 포함되는 키 캡들 중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2 개의 키 캡 각각에 대한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합 기능 영역 내에 포함되며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상기 제2 키 캡(2140) 및 상기 제3 키 캡(2150) 각각에 대한 제2 키 입력 신호 및 제3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키 캡(2140)과 오버랩되며, 상기 제2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제3 및 제4 일렉트로드(2141,2142)는 상기 제3 키 캡(2150)과 오버랩되며, 상기 제3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5 및 제6 일렉트로드(2151,21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기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키 캡들 중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인접한 2 개의 키 캡 각각에 대한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들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합 기능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으며,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상기 제4 키 캡(2160) 및 상기 제5 키 캡(2170) 각각에 대한 제4 키 입력 신호 및 제5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들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키 캡(2160)과 오버랩되며, 상기 제4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한 쌍의 일렉트로드 중 상기 제7 일렉트로드(2161)는 상기 제5 키 캡(2170)과 오버랩되며, 상기 제5 키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한 쌍의 일렉트로드 중 상기 제9 일렉트로드(21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3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키 입력 센서와 터치 입력 센서가 일렉트로드 레이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복합 기능 영역의 터치 분해능을 향상시키되, 복합 기능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키 입력 영역의 구성이 보다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를 통해 전반적으로 기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키 입력 센서와 터치 입력 센서가 일체로 구현되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전체적인 두께 또는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고, 통합적 신호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점에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사용 인터페이스의 보다 빠르고 명확한 전환 역시 가능해질 수 있으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제조 단가가 하락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1.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복수개의 키 캡 - 상기 복수개의 키 캡은 제1 키 캡을 포함함-;
    복수개의 탄성 유닛 -상기 복수개의 탄성 유닛은 제1 탄성 유닛을 포함함-;
    복수개의 전도성 물질 - 상기 복수개의 전도성 물질은 제1 전도성 물질을 포함함-;
    키 입력 신호 및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일렉트로드 레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탄성 유닛은 상기 제1 키 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타입 일렉트로드; 및
    적어도 키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타입 일렉트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1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전도성 물질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전도성 물질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1 타입 라인들 및 키보드 레이아웃의 폭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렉트로드로 구성되는 제2 타입 라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어느 하나로 기능하며,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은 트랜스미터 또는 리시버 중 다른 하나로 기능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에 포함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에 포함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 또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의 라인에 포함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타입 라인들 또는 상기 제2 타입 라인들 중 다른 하나의 타입의 라인에 포함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렉트로드 레이어는 상기 제1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3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에 포함되는 제4 일렉트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키 캡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전도성 물질과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 일렉트로드는 상기 제1 전도성 물질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일렉트로드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와 상기 제4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의 형상은 동일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와 상기 제4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의 형상은 상이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입 일렉트로드는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일렉트로드의 돌출부 및 상기 제4 일렉트로드의 돌출부는 상기 제1 전도성 물질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와 상기 제1 전도성 물질이 오버랩되는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4 일렉트로드의 돌출부와 상기 제1 전도성 물질이 오버랩되는 영역의 크기와 동일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물질은 상기 제1 키 캡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물질은 상기 제1 키 캡에 포함되도록 형성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물질은 상기 제1 키 캡의 이동에 의한 상기 제1 탄성 유닛의 변형에 따라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물질은 상기 제1 탄성 유닛에 포함되도록 형성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KR1020220061381A 2022-02-25 2022-05-19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KR202301278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2634 WO2023163537A1 (ko) 2022-02-25 2023-02-24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050 2022-02-25
KR20220025050 2022-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821A true KR20230127821A (ko) 2023-09-01

Family

ID=879751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381A KR20230127821A (ko) 2022-02-25 2022-05-19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KR1020230024683A KR20230127919A (ko) 2022-02-25 2023-02-24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683A KR20230127919A (ko) 2022-02-25 2023-02-24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127821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919A (ko)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11007B2 (ja) 統合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を備えたデバイス
KR102446706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US10963087B2 (en) Pressure sensitive keys
US7659887B2 (en) Keyboard with a touchpad layer on keys
US9423836B2 (en) Super-slim touch keyboard and super-slim cover device for smart keyboard having the same
US8803809B2 (en) Optical touch device and keyboard thereof
US20070262968A1 (en) Input device
US20120120019A1 (en) External input device for electrostatic capacitance-type touch panel
KR20130073824A (ko) 터치 키패드 모듈 및 그 모드 스위칭 방법
US20110079450A1 (en) Small Device
CN105359065A (zh) 提供附加功能和各功能预览的多功能按键
US10804897B2 (en) Touch-sensitive keypad control device
US20110090150A1 (en) Input processing device
US9176631B2 (en) Touch-and-play inpu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00039404A1 (en) Integrated input system
EP2073509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154429B2 (en) Keyboard device
US864362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30127821A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TWI725751B (zh) 觸控板模組及具有觸控板模組的電子計算機
JP2013041797A (ja) シートキー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20110291957A1 (en) Touch-type transparent keyboard
JP4489525B2 (ja) 入力装置
WO2009139297A1 (ja) 静電容量式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US20110291959A1 (en) Touch-type transparent key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