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790A -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using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 Google Patents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using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7790A
KR20230127790A KR1020220025517A KR20220025517A KR20230127790A KR 20230127790 A KR20230127790 A KR 20230127790A KR 1020220025517 A KR1020220025517 A KR 1020220025517A KR 20220025517 A KR20220025517 A KR 20220025517A KR 20230127790 A KR20230127790 A KR 20230127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material
opening
width
closing means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5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동욱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25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7790A/en
Publication of KR20230127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79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2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2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combinations of reinforcements, e.g. non-specified reinforcements, fibrous reinforcing inserts and fillers, e.g. particulate filler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or non-fill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2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hort length, e.g. in the form of a mat
    • B29C70/14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hort length, e.g. in the form of a mat 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70/10Composites of different types of material, e.g. mixtures of ceramics and polymers or mixtures of metals and bio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첨가제를 포함하는 복합소재가 저장되면서 이동되는 공간이 구비된 이동부; 상기 복합소재가 배출되는 출구부; 상기 이동부에서 상기 출구부 방향으로 폭이 좁아진 이후 폭이 넓어지는 오리피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리피스부는, 상기 이동부의 폭보다 작은 제1폭이 형성된 축소부와, 상기 제1폭과 연통되면서 상기 제1폭보다 큰폭이 형성된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소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축소부를 개폐시켜 상기 제1폭의 크기를 조절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additive alignment using an opening/closing means, comprising: a moving unit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a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n additive is stored and move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composite material is discharged; and an orifice portion whose width is widened after being narrow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portion from the moving portion, wherein the orifice portion communicates with a reduced portion formed with a first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moving portion and the first widt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xpansion part having a greater width than the first width, and an opening/closing means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first width by opening and closing the contraction part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reduction part.

Description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using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using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using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본 발명은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수단을 통해 오리피스부를 개폐하여 복합소재에 포함된 첨가제의 정렬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복합소재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more particularly, to output a composite material capable of controlling the alignment direction of additives included in a composite material by opening and closing an orifice through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It's about the device.

복합소재는 2개 이상의 물질이 혼합되어 만들어지는 것으로, 복합소재는 금속, 세라믹과 같은 기자재에 유리, 탄소, 금속 등과 같은 첨가제들이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합소재는 우주항공, 전자제품, 운동용품 등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되고 있다. Composite materials are made by mixing two or more materials, and composite materials can be manufactured by mixing additives such as glass, carbon, and metal with equipment such as metals and ceramics. Such composite materials ar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erospace, electronic products, and sports goods.

복합소재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첨가제가 구비될 수 있다. 첨가제는 복합소재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첨가제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복합소재의 열적 물성,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첨가제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복합소재는 높은 열전도율을 가질수도 있게 된다. A plurality of additiv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mposite material. Additives can improve the properties of the composite material, a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ditive extend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hermal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material. In addi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ditive extends, the composite material may have high thermal conductivity.

그러나 첨가제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는 복합소재의 열적 물성, 기계적 특성을 크게 향상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복합소재 내부에서 첨가제가 정렬되는 방향에 따라 복합소재는 이방성의 성질을 띄게 된다.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material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ditives extend, the composite material exhibits anisotropic properties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ditives are aligned inside the composite material.

한편, 복합소재는 방향에 따라 요구되는 열적 물성, 기계적 특성이 있기 때문에, 복합소재 내부에 구비된 첨가제의 정렬을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복합소재 제조장치는 복합소재 내부에 구비된 첨가제의 정렬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mposite material has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requir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there is a need to control the alignment of the additives provided inside the composite material. However, the conventional composite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alignment of the additives provided inside the composite material.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수단을 통해 오리피스부를 개폐하여 복합소재에 포함된 첨가제의 정렬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복합소재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alignment direction of additives included in the composite material by opening and closing an orifice through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는, 첨가제가 포함된 복합소재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로서, 첨가제를 포함하는 복합소재가 저장되면서 이동되는 공간이 구비된 이동부; 상기 복합소재가 배출되는 출구부; 상기 이동부에서 상기 출구부 방향으로 폭이 좁아진 이후 폭이 넓어지는 오리피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리피스부는, 상기 이동부의 폭보다 작은 제1폭이 형성된 축소부와, 상기 제1폭과 연통되면서 상기 제1폭보다 큰폭이 형성된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소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축소부를 개폐시켜 상기 제1폭의 크기를 조절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an additive, and has a space in which the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the additive is stored and moved. weal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composite material is discharged; and an orifice portion whose width is widened after being narrow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portion from the moving portion, wherein the orifice portion communicates with a reduced portion formed with a first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moving portion and the first widt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xpansion part having a greater width than the first width, and an opening/closing means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first width by opening and closing the contraction part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reduction par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의 상기 축소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오리피스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reduced por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may be formed of an orifice plate made of a plate shap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의 상기 오리피스 판은 복수 개의 판 부재로 분할될 수 있다. The orifice plate of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late member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의 상기 판 부재의 일측은, 상기 판 부재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 부재의 타측은, 상기 판 부재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오목한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e side of the plate member of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made of a convex curv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plate member, and the other side of the plate member is the plate member. It may be made of a concave curv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member.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의 상기 오리피스 판은 복수 개의 다각형 판 부재로 분할될 수 있다. The orifice plate of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lygonal plate member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의 상기 축소부가 열려있을 때의 상기 제1폭의 크기는, 상기 축소부가 닫혔을 때의 상기 제1폭의 크기 보다 3배 이상 클 수 있다. The size of the first width when the reduction part of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additive alig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 is open is 3 times great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width when the reduction part is closed. can be more than twice as larg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의 상기 개폐수단은 전기 모터 또는 유압으로 구동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an actuator driven by an electric motor or hydraulic pressur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의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축소부를 개폐시켜 상기 제1폭의 크기를 통해 상기 첨가제의 정렬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opening/closing means of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alignment of additi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may open and close the reduced portion to control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s through the size of the first width.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의 상기 축소부가 닫혔을 때 상기 제1폭을 통과하여 상기 출구부로 배출되는 상기 복합소재에 포함된 상기 첨가제의 정렬 방향은, 상기 복합소재의 유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며, 상기 축소부가 열렸을 때 상기 제1폭을 통과하여 상기 출구부로 배출되는 상기 복합소재에 포함된 상기 첨가제의 정렬 방향은, 상기 복합소재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s included in the composite material discharged to the outlet through the first width when the reduction unit of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closed , It is a direction cross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and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s included in the composite material discharged to the outlet through the first width when the shrinking part is opened is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It can be in a parallel direction.

본 발명은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리피스부와 오리피스부의 축소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통해 복합소재에 포함된 첨가제의 정렬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trol the alignment direction of additives included in a composite material through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an orifice and a reduced part of the orifice.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오리피스부와 오리피스부의 축소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통해 복합소재 내부에 구비된 첨가제의 정렬 방향을 제어함에 따라 적층으로 제작되는 복합소재의 적층 방향에 따른 물성 편차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djust the physical property deviation according to the lamination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produced by lamination by controlling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s provided inside the composite material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rifice part and the reduced part of the orifice part. there is

도 1은 복합소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3D 프린터를 통해 복합소재가 적층되면서 제작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개폐수단을 통해 축소부를 닫히게 하여 첨가제의 정렬 방향을 복합소재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개폐수단을 통해 축소부를 열리게 하여 첨가제의 정렬 방향을 복합소재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축소부가 오리피스 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2개의 판 부재로 분할된 오리피스 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일측과 타측에 곡선이 형성된 복수 개의 판 부재로 오리피스 판이 분할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다각형 판 부재로 오리피스 판이 분할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mposite material.
2 is a view showing that the composite material is manufactured while being laminated through a 3D printer.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at the alignment direction of additives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by closing the contraction portion through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at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s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by opening the contraction portion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at the reduced portion is made of an orific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orifice plate divided into two plate mem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at an orifice plat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late members having curve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at an orifice plat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lygonal plate mem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is specification clarifie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plains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closes embodiment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include” or “may include” that may b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 the existence of a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that has been disclosed, and may include one or more additional functions, operations, or components. components, etc. are not limited. 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ar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is a gap between the element and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new components may exist i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elem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no new element exists between the element and the other element. should be able t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은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폐수단을 통해 오리피스부를 개폐하여 복합소재에 포함된 첨가제의 정렬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복합소재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relates to a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alignment direction of additives included in a composite material by opening and closing an orifice through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첨가제(11)를 포함하는 복합소재(10)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복합소재(10)는 3D 프린터의 적층 방식(Layer-By-Layer)으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팅배드(21)를 구비하고, 3D 프린터의 출력장치(20)를 통해 복합소재를 히팅배드(21) 위에 적층하면서 복합소재(10)가 제작된다. 1 shows a composite material 10 including an additive 11. Referring to FIG. 2 , such a composite material 1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layer-by-layer method of a 3D printer. Specifically, a heating bed 21 is provided, and the composite material 10 is manufactured while laminating the composite material on the heating bed 21 through the output device 20 of the 3D printer.

3D 프린터를 통해 복합소재(10)를 제작하면, 복잡한 형상을 만들 수 있으며, 재료의 낭비가 적기 때문에 시간적, 비용적인 측면에서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그러나 3D 프린터를 통해 복합소재(10)를 제작할 경우, 첨가제 정렬 방향과 적층 방향으로 인해 복합소재의 물성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When the composite material 10 is manufactured through a 3D printer, a complex shape can be made, and there is an economical advantage in terms of time and cost because there is little waste of material. However, when the composite material 10 is manufactured through a 3D printer, deviations in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material may occur due to the additive alignment direction and the stacking direction.

복합소재는 첨가제의 정렬 방향에 따라 이방성의 성질을 띄게 된다. 이와 같이 복합소재의 물성은 첨가제의 정렬 방향에 따라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복합소재를 적층하는 과정에서 첨가제(11)가 정렬되는 방향을 제어하여 목적하는 방향으로 첨가제(11)를 정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3D 프린터를 통해 복합소재를 적층하는 방법으로 제작하면, 도 2와 같이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Composite materials exhibit anisotropic properties depending on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s. Sinc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material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s, it is preferable to align the additives 11 in the desired direction by controll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ditives 11 are aligned in the process of laminating the composite material. do. However, when the composite material is manufactured by laminating the composite material through a 3D printer,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s 11 as shown in FIG. 2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100)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100)는 3D 프린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가제(11)가 포함된 복합소재(10)를 적층하는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치라면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100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is problem.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100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3D prin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mposite material 10 including the additive 11 A device that can be manufactured by a layering method may be a variety of devic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100)는 이동부(110), 출구부(120), 오리피스부(130), 개폐수단(1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첨가제(11)를 포함하는 복합소재(10)는 유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출력장치(100)에 저장된 이후 배출될 수 있다.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100 for controlling additive alignment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part 110, an outlet part 120, an orifice part 130,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do. The composite material 10 including the additive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the output device 100 in a flowable state and then discharg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110)는 첨가제(11)를 포함하는 복합소재(10)가 저장되면서 이동되는 공간이 구비된 것이며, 상기 출구부(120)는 상기 이동부(110)와 연통되면서 상기 복합소재(10)가 배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출구부(120)는 노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노즐을 통해 유동 가능한 상기 복합소재(10)가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moving part 110 is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the composite material 10 including the additive 11 is stored and moved, and the outlet part 120 is provided with the moving part 110 and This is the part where the composite material 10 is discharged while communicating. The outlet 120 may be formed of a nozzle, and the composite material 10 that can flow through the nozzle may be output to the outside.

상기 오리피스부(130)는 상기 이동부(110)에서 상기 출구부(120) 방향으로 폭이 좁아진 이후 폭이 넓어지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오리피스부(130)는 상기 이동부(110)의 폭보다 작은 제1폭(141)이 형성된 축소부(140)와, 상기 제1폭(141)과 연통되면서 상기 제1폭(141)보다 큰 폭이 형성된 확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rifice part 130 may be a part where the width of the orifice part 130 narrows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part 120 from the moving part 110 and then widens. The orifice part 130 communicates with the reduced part 140 having a first width 141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moving part 110, and the first width 141, and is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141. It may include the expansion part 150 formed with a large width.

상기 개폐수단(170)은 상기 축소부(140)와 연결되면서, 상기 축소부(140)를 개폐시켜 상기 제1폭(14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상기 축소부(140)를 닫히게 한 상태이며, 도 5는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상기 축소부(140)를 열리게 한 상태이다. The opening/closing means 170 is connected to the reduction part 140 and opens and closes the reduction part 140 to adjust the size of the first width 141 .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reduction part 140 is clos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and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reduction part 140 is open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상기 축소부(140)를 닫히게 되면, 상기 제1폭(141)의 크기가 좁아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상기 축소부(140)를 열리게 하면, 상기 제1폭(141)의 크기가 넓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폭(141)은 상기 이동부(110)의 폭까지 넓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when the reduction part 140 is closed through the opening/closing means 170, the size of the first width 141 may be narrowed. Referring to FIG. 5 , when the reduction part 140 is opened through the opening/closing means 170, the size of the first width 141 can be widened, and the first width 141 is the moving part. It can be widened to the width of (110).

상기 복합소재(10)를 적층하는 방법으로 제작하면, 상기 복합소재(10)에 포함된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110)와 상기 출구부(120) 사이에 별도의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는다면, 도 2와 같이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When the composite material 10 is manufactured by laminating,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included in the composite material 10 . Specifically, unless a separate configuration is provided between the moving part 110 and the outlet part 120,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as shown in FIG. 2.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오리피스부(130)와 상기 개폐수단(170)을 구비하면,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if the orifice part 130 and the opening/closing means 170 are provided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can be controll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오리피스부(130)는 폭이 좁아졌다가 다시 폭이 넓어지는 것으로, 상기 첨가제(11)가 폭이 좁아지는 지점을 거쳐 폭이 넓어지는 지점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첨가제(11)는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orifice part 130 has a narrow width and then widens again. When the additive 11 moves from the narrowed point to the widened point, , the additive 11 can be align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상기 축소부(140)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면, 상기 첨가제(11)가 폭이 좁은 상기 축소부(140)의 상기 제1폭(141)을 통과한 이후 폭이 넓은 상기 확장부(150)로 이동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reduced portion 140 is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the additive 11 reduces the first width 141 of the reduced portion 140. After passing through, it moves to the expansion part 150 having a wide width.

상기 첨가제(11)가 폭이 좁은 상기 축소부(140)의 상기 제1폭(141)에서 폭이 넓은 상기 확장부(150)로 이동되면, 폭이 확장되는 유동 흐름에 의해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additive 11 is moved from the first width 141 of the narrowed portion 140 to the widened portion 150, the composite material 10 ) can be align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low direction of

따라서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상기 축소부(140)가 닫혔을 때, 상기 제1폭(141)을 통과하여 상기 출구부(120)로 배출되는 상기 복합소재(10)에 포함된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은,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shrinking portion 140 is clos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the additive included in the composite material 10 discharged to the outlet portion 120 through the first width 141 The alignment direction of (11) may be a direction cross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은 도 2의 노즐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상기 축소부(140)가 닫혔을 때,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은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 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may b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nozzle movement direction of FIG.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

이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상기 축소부(140)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면,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when the shrinking portion 140 is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can be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do.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합소재(10)의 물성은, 상기 복합소재(10)에 포함된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소재(10)의 물성을 변경하기 위해서 상기 복합소재(10)에 포함된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included in the composite material 10 . Therefore, in order to chang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s 11 included in the composite material 10.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상기 축소부(140)를 열린 상태로 유지하면, 상기 제1폭(141)의 크기가 넓어지게 된다. 상기 제1폭(141)의 크기가 넓어지게 되면, 상기 첨가제(11)가 폭이 좁아지는 지점을 통과하지 않게 되면서 폭이 확장되는 유동 흐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Referring to FIG. 5 , when the reduction part 140 is kept open through the opening/closing means 170, the size of the first width 141 increases. When the size of the first width 141 is widened, the additive 11 does not pass through the point where the width is narrowed, so that a fluid flow in which the width is expanded does not occur.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상기 축소부(140)가 열린 상태가 되면, 상기 제1폭(141)의 크기는 상기 이동부(110)의 폭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넓어질 수 있다. Here, when the shrinking part 140 is open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the size of the first width 141 may be widened to the same size as the width of the moving part 110. .

상기 복합소재(10)에 포함된 상기 첨가제(11)는 유동 흐름에 의해 상기 복합소재(10)가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상기 축소부(140)가 열린 상태가되어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흐름이 변하지 않게 되면, 상기 첨가제(11)는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additives 11 included in the composite material 10 can be alig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posite material 10 moves by the flowing flow, the shrinkage unit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When the flow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does not change as the 140 is opened, the additive 11 can be alig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

즉,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상기 축소부(140)가 열렸을 때, 상기 제1폭(141)을 통과하여 상기 출구부(120)로 배출되는 상기 복합소재(10)에 포함된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은,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shrinking portion 140 is open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the additive included in the composite material 10 discharged to the outlet portion 120 through the first width 141 The alignment direction of (11)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는,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상기 축소부(140)를 열리고 닫음에 따라 상기 복합소재(10)에 포함된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u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s and closes the reduction unit 140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and the composite material 1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includ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or cross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는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상기 복합소재(10)에 포함된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 또는 교차하는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additive alignment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s 11 included in the composite material 10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to the composite material. It may be adjusted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direction parallel to or cross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material 10 .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수단(170)은 상기 축소부(140)를 개폐시켜 상기 제1폭(141)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상기 축소부(140)의 상기 제1폭(141)의 크기를 조절하면, 상기 제1폭(141)의 크기에 따라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이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 또는 교차하는 방향 사이의 어느 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pening/closing means 170 may control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s 11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first width 141 by opening and closing the reduction part 140 . When the size of the first width 141 of the reduction part 140 is adjusted through the opening/closing means 170,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width 141. It may be aligned in any one direction between the flow direction of the material 10 and the direction parallel or intersecting.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는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상기 제1폭(141)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That is,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u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size of the first width 141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to adjust the composite material 10.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may be adjusted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축소부(14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오리피스 판(16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오리피스 판(160)에는 상기 제1폭(141)이 형성되는 구멍(16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멍(161)을 통과하면서 상기 복합소재(10)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duced portion 140 may be formed of an orifice plate 160 made of a plate shape. Referring to FIG. 6 , the orifice plate 160 may have a hole 161 in which the first width 141 is formed, and the composite material 10 may move while passing through the hole 161. there will b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수단(170)은 상기 오리피스 판(160)으로 이루어진 상기 축소부(140)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축소부(140)를 열리고 닫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6 , the opening/closing means 170 can open and close the reduced portion 140 while moving the reduced portion 140 formed of the orifice plate 160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수단(170)은 전기 모터 또는 유압으로 구동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축소부(140)가 열리고 닫힐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closing means 170 may include an actuator driven by an electric motor or hydraulic pressure, and the reduced portion 14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다만, 상기 개폐수단(170)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개폐수단(170)은 상기 축소부(140)를 열리고 닫히게 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However, the opening/closing means 17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pening/closing means 170 may include various devices as long as they can provide power to open and close the reduced portion 140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수단(170)은 상기 이동부(110), 상기 출구부(120)의 외측에 구비되는 하우징(18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170)은 상기 하우징(180)에 구비되면서 상기 축소부(140)에 연결되어 상기 축소부(14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개폐수단(170)은 상기 축소부(140)를 열리고 닫히게 할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180 provided outside the moving part 110 and the outlet part 120 . The opening/closing means 170 is provided in the housing 180 and is connected to the reduction unit 140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reduction unit 140 .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pening/closing means 170 may be provided in various positions as long as it can open and close the reduced part 140 .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리피스 판(160)은 복수 개의 판 부재(162)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오리피스 판(160)은 2개 이상의 판 부재(162)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수단(170)은 복수 개의 상기 판 부재(162)와 연결되면서 복수 개의 상기 판 부재(162)를 이동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and 8 , the orifice plate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late members 162 . The orifice plate 160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plate members 162, and the opening/closing means 170 may move the plurality of plate members 162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late members 162. ca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오리피스 판(160)이 2개의 판 부재(162)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개폐수단(170)은 2개의 상기 판 부재(162) 각각을 이동시켜 상기 축소부(140)를 열리게 하거나 닫히게 할 수 있다. 7 is a view showing that the orifice plate 160 is composed of two plate members 16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closing means 170 may open or close the reduced portion 140 by moving each of the two plate members 162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리피스 판(160)은 복수 개의 판 부재(162)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판 부재(162)의 일측과 타측에는 곡선이 형성될 수 있다. The orifice plate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late members 162,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late member 162 may be curved.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판 부재(162)의 일측은 상기 판 부재(16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163)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판 부재(162)의 타측은 상기 판 부재(16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오목한 곡선(16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one side of the plate member 162 may be formed of a convex curve 163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plate member 162, and the other side of the plate member 162 may be formed by the plate member 162 ) It may be made of a concave curve 164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판 부재(162)의 일측과 타측에 곡선이 형성되면, 복수 개의 상기 판 부재(162)의 이동을 통해 상기 축소부(140)가 열리고 닫힐 때 원형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구멍의 크기(상기 제1폭(141)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8 , when curves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late member 162, a state in which a circular shape is maintained when the reduced portion 140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plate members 162. The size of the furnace hole (the size of the first width 141) can be adjusted.

여기서, 상기 오리피스 판(160)이 분할되는 상기 판 부재(162)의 개수가 증가할 수록 원형에 가까운 구멍(상기 제1폭(141))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Here, as the number of plate members 162 into which the orifice plate 160 is divided increases, a hole close to a circular shape (the first width 141) can be formed.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오리피스 판(160)은 복수 개의 다각형 판 부재(162)로 분할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판 부재(162)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rifice plate 16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lygonal plate members 162 . Referring to FIG. 9 , the plate member 162 has a polygonal shape and can be moved through the opening/closing means 170 .

상기 오리피스 판(160)이 복수 개의 다각형 판 부재(162)로 이루어지면, 상기 축소부(140)의 개폐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의 형상은 분할되는 상기 판 부재(162)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When the orifice plate 16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olygonal plate members 162, the shape of the hole form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constriction part 14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divided plate members 162. there is.

가령, 상기 오리피스 판(160)이 4개의 다각형 판 부재(162)로 분할되면, 상기 축소부(140)의 개폐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은 사각형일 수 있으며, 상기 오리피스 판(160)이 8개의 다각형 판 부재(162)로 분할되면, 상기 축소부(140)의 개폐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은 팔각형일 수 있다. 즉, 상기 축소부(140)의 개폐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은, 다각형 판 부재(162)의 개수와 동일한 변을 가지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orifice plate 160 is divided into four polygonal plate members 162, the hole form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constriction part 140 may be a square, and the orifice plate 160 may have eight polygonal When divided into the plate member 162, a hole form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reduced portion 140 may have an octagonal shape. That is, the hole form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reduced portion 140 may be formed of a polygon having sides equal to the number of polygonal plate members 162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축소부(140)가 열려 있을 때의 상기 제1폭(141)의 크기는, 상기 축소부(140)가 닫혔을 때의 상기 제1폭(141)의 크기 보다 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first width 141 when the condensing part 140 is open is the size of the first width 141 when the condensing part 140 is clos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3 times or mor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는,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상기 축소부(140)를 닫히게 하여 상기 복합소재(10)에 포함된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u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oses the reduction part 140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so that the composite material 1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includ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는,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상기 축소부(140)를 열리게 하여 상기 복합소재(10)에 포함된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s the reduced portion 140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to be included in the composite material 10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may be controll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축소부(140)가 열려 있을 때의 상기 제1폭(141)의 크기가, 상기 축소부(140)가 닫혔을 때의 상기 제1폭(141)의 크기 보다 3배 이상이어야 한다. In order to adjust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in a direction parallel to or cross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the above when the reduction part 140 is open The size of the first width 141 should be three times great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width 141 when the reduction part 140 is closed.

상기 축소부(140)가 열려 있을 때의 상기 제1폭(141)의 크기가 상기 축소부(140)가 닫혔을 때의 상기 제1폭(141)의 크기의 3배 보다 작으면,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이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size of the first width 141 when the shrinking portion 140 is open is smaller than three times the size of the first width 141 when the shrinking portion 140 is closed, the additive The alignment direction of (11) may not change to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따라서, 상기 축소부(140)가 닫혀있을 때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축소부(140)가 열려있을 때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축소부(140)가 열려 있을 때의 상기 제1폭(141)의 크기가, 상기 축소부(140)가 닫혔을 때의 상기 제1폭(141)의 크기 보다 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when the constricting part 140 is closed,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is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and when the condensing part 140 is open, the additive 11 is aligned. In order to form the alignment direction of (11)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the size of the first width 141 when the shrinking portion 140 is open is the size of the shrinking portion ( 140) is preferably three time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width 141 when it is closed.

여기서, 상기 제1폭(141)의 최대 크기는 상기 축소부(140)가 완전히 열려 있을 때의 크기일 수 있으며, 상기 제1폭(141)의 최대 크기는 상기 이동부(110)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Here, the maximum size of the first width 141 may be the size when the contracting part 140 is completely open, and the maximum size of the first width 141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moving part 110. can be the same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는 상기 개폐수단(170)을 통해 상기 축소부(140)에 형성된 상기 제1폭(141)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 또는 교차하는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irst width formed on the reduction part 140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By adjusting the size of 141,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may be adjusted in a direction other than a direction parallel to or cross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above-described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u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는 오리피스부와 오리피스부의 축소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통해 복합소재에 포함된 첨가제의 정렬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u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trol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s included in the composite material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rifice part and the reduced part of the orifice part.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는 오리피스부와 오리피스부의 축소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통해 복합소재 내부에 구비된 첨가제의 정렬 방향을 제어함에 따라 적층으로 제작되는 복합소재의 적층 방향에 따른 물성 편차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s provided inside the composite material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rifice part and the reduced part of the orifice par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djust the physical property deviation according to the lamination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manufactured by lamination according to the lamination metho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복합소재 11...첨가제
100...출력장치 110...이동부
120...출구부 121...출구부의 폭
130...오리피스부 140...축소부
141...제1폭 150...확장부
160...오리피스판 161...구멍
162...판 부재 163...볼록한 곡선
164...오목한 곡선 170...개폐수단
180...하우징
10 ... Composite 11 ... Additives
100 ... output device 110 ... moving part
120 ... outlet 121 ... width of the outlet
130 ... Orifice part 140 ... Reduced part
141... first width 150... extension
160 ... orifice plate 161 ... hole
162... Plate member 163... Convex curve
164... concave curve 170... opening and closing means
180 ... housing

Claims (9)

첨가제가 포함된 복합소재를 출력하는 출력장치에 있어서,
첨가제를 포함하는 복합소재가 저장되면서 이동되는 공간이 구비된 이동부;
상기 복합소재가 배출되는 출구부;
상기 이동부에서 상기 출구부 방향으로 폭이 좁아진 이후 폭이 넓어지는 오리피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리피스부는,
상기 이동부의 폭보다 작은 제1폭이 형성된 축소부와, 상기 제1폭과 연통되면서 상기 제1폭보다 큰폭이 형성된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소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축소부를 개폐시켜 상기 제1폭의 크기를 조절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
In the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additives,
A moving unit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a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n additive is stored and move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composite material is discharged;
Including; an orifice part whose width is widened after being narrow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part in the moving part;
The orifice part,
A reduced portion having a first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moving portion and an expand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width and having a larger width than the first width,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first width by opening and closing the reduction part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reductio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오리피스 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
According to claim 1,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duction portion is made of an orifice plate made of a plate sha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판은 복수 개의 판 부재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
According to claim 2,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orifice plat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late memb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 부재의 일측은, 상기 판 부재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 부재의 타측은, 상기 판 부재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오목한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
According to claim 3,
One side of the plate member is made of a convex curv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plate member,
The other side of the plate member is a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ncave curv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plate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판은 복수 개의 다각형 판 부재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
According to claim 3,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orifice plat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lygonal plate memb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부가 열려있을 때의 상기 제1폭의 크기는, 상기 축소부가 닫혔을 때의 상기 제1폭의 크기 보다 3배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
According to claim 1,
Composite material output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using an opening/clos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first width when the shrinking portion is open is three or more times great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width when the shrinking portion is closed.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전기 모터 또는 유압으로 구동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
According to claim 1,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comprises an actuator driven by an electric motor or hydraulic press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축소부를 개폐시켜 상기 제1폭의 크기를 통해 상기 첨가제의 정렬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through the size of the first width by opening and closing the reduce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부가 닫혔을 때 상기 제1폭을 통과하여 상기 출구부로 배출되는 상기 복합소재에 포함된 상기 첨가제의 정렬 방향은, 상기 복합소재의 유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며,
상기 축소부가 열렸을 때 상기 제1폭을 통과하여 상기 출구부로 배출되는 상기 복합소재에 포함된 상기 첨가제의 정렬 방향은, 상기 복합소재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수단을 사용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shrinking part is closed,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included in the composite material discharged to the outlet through the first width is a direction cross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Additives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s included in the composite material discharged to the outlet through the first width when the shrinking part is opened i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alignment control.
KR1020220025517A 2022-02-25 2022-02-25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using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KR2023012779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517A KR20230127790A (en) 2022-02-25 2022-02-25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using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517A KR20230127790A (en) 2022-02-25 2022-02-25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using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790A true KR20230127790A (en) 2023-09-01

Family

ID=8797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517A KR20230127790A (en) 2022-02-25 2022-02-25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using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779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mirante et al. Sliding spool design for reducing the actuation forces in direct operated proportional directional valves: Experimental validation
EP2059347B1 (en) High-pressure pulse nozzle assembly
US20170217066A1 (en) Proportional control valves mounted in an injection molding system
JP2005170029A (en) Valve gate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WO2019224426A1 (en) On/off hydraulic valve
US8579250B1 (en) High precision energy efficient valve
Dong et al. Double tearing mode in plasmas with anomalous electron viscosity
CN102889254A (en) Dual-drive servo valv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15201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uid flow rate characteristics of a valve assembly
KR20230127790A (en)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using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US20160123355A1 (en) Servo valves
JP6700137B2 (en) Flow control valve
DE102015226471B4 (en) Fluidic oscillator device
US20150377378A1 (en) A magnetic valve with an armature arranged inside a piston
KR102335897B1 (en)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CN101663230B (en) micro fluid transfer system
Persson et al. Dynamic modelling and performance of a two stage piezoelectric servovalve
TWI408001B (en) Microfluidic valve and mixer using shape memory material
Mitov et al. Analytical Modelling of Hydraulic Proportional Spool Valve Pilot Operated with Switching Micro Valves
CHEKIFI et al. Numerical investigation of flow dynamic in mini-channel: Case of a mini diode tesla
CN106337852B (en) Two-way plug-in excitation valve
CN103429910B (en) Valve
JP2018517383A (en) Electromagnetic torque motor with high torque and limited angle
CN205446225U (en) Actuating mechanism adjusting device and engineering machine tool
Yang et al. Water hydraulics-A novel design of spool-type valves for enhanced dynamic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