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897B1 -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 Google Patents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897B1
KR102335897B1 KR1020200138597A KR20200138597A KR102335897B1 KR 102335897 B1 KR102335897 B1 KR 102335897B1 KR 1020200138597 A KR1020200138597 A KR 1020200138597A KR 20200138597 A KR20200138597 A KR 20200138597A KR 102335897 B1 KR102335897 B1 KR 102335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composite material
additive
orific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5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동욱
정도인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8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8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8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put apparatus for outputting a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an additive, and to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comprising: a movement unit which stores the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the additive and provides a space for movement; an outlet unit through which the composite material is discharged; and an orifice unit of which a width is narrowed in a direction from the movement unit to the outlet unit and then is widened. The output apparatus controls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by the orifice unit and thus reduces devi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material by lamination direction.

Description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본 발명은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폭이 좁아진 이후 다시 폭이 넓어지는 오리피스부를 통해 복합소재 내부에 구비된 첨가제의 정렬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additive alignment, and more particularly, additive alignment control capable of controlling the alignment direction of additives provided inside a composite material through an orifice that is widened again after the width is narrowed. It relates to a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복합소재는 2개 이상의 물질이 혼합되어 만들어지는 것으로, 복합소재는 금속, 세라믹과 같은 기자재에 유리, 탄소, 금속 등과 같은 첨가제들이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합소재는 우주항공, 전자제품, 운동용품 등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되고 있다. A composite material is made by mixing two or more materials, and the composite material may be manufactured by mixing additives such as glass, carbon, and metal with a base material such as metal or ceramic. Such composite materials ar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erospace, electronic products, and sports equipment.

복합소재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첨가제가 구비될 수 있다. 첨가제는 복합소재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첨가제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복합소재의 열적 물성,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첨가제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복합소재는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가질수도 있게 된다. A plurality of additiv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mposite material. The additive can improve the properties of the composite material,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material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ditive is extended. In addi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ditive extends, the composite material may have a low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그러나 첨가제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는 복합소재의 열적 물성, 기계적 특성을 크게 향상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복합소재 내부에서 첨가제가 정렬되는 방향에 따라 복합소재는 이방성의 성질을 띄게 된다.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material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ditive is extended, the composite material exhibits anisotropic properties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ditives are aligned inside the composite material.

한편, 복합소재는 방향에 따라 요구되는 열적 물성, 기계적 특성이 있기 때문에, 복합소재 내부에 구비된 첨가제의 정렬을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복합소재 제조장치는 복합소재 내부에 구비된 첨가제의 정렬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mposite material has thermal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required depending on the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alignment of the additives provided inside the composite material. However, the conventional composite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alignment of the additives provided inside the composite material.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폭이 좁아진 이후 다시 폭이 넓어지는 오리피스부를 통해 복합소재 내부에 구비된 첨가제의 정렬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more specifically, a composite material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that can control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s provided inside the composite material through an orifice part that is widened again after the width is narrowed It is about the output devic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복합소재가 저장되면서 이동되는 공간이 구비된 이동부; 상기 복합소재가 배출되는 출구부; 상기 이동부에서 상기 출구부 방향으로 폭이 좁아진 이후 폭이 넓어지는 오리피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moving unit provided with a space to move while the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the additive is store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composite material is discharg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orifice part whose width is widened after the width is narrow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from the moving par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의 상기 오리피스부는, 상기 이동부의 폭보다 작은 제1폭이 형성된 축소부와, 상기 제1폭과 연통되면서 상기 제1폭보다 큰폭이 형성된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rifice por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the addi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reduced portion having a first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moving portion, and the first width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width It may include an extension having a larger width.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의 상기 축소부는, 내부에 구멍이 형성되는 오리피스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reduced por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the additive alignment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may be made of an orifice plate having a hole formed therei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의 상기 오리피스 판에 구비되는 구멍은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ole provided in the orifice plate of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the additive alignment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may be made of a plurality of hole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의 상기 오리피스부의 상기 제1폭은 0.2mm 보다 작을 수 있다. The first width of the orifice part of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the additive alignment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may be smaller than 0.2mm.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의 상기 오리피스부의 상기 제1폭은, 상기 출구부의 폭의 1/5 보다 작을 수 있다. The first width of the orifice part of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may be smaller than 1/5 of the width of the outlet par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의 상기 오리피스부의 상기 제1폭은 상기 이동부의 폭 또는 상기 확장부의 폭의 1/10 보다 작을 수 있다. The first width of the orifice part of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additive alig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may be smaller than 1/10 of the width of the moving part or the width of the extension par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의 상기 오리피스부의 상기 제1폭과 상기 출구부 사이의 거리는 3mm 보다 작을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dth of the orifice part and the outlet part of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the additive alignment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may be less than 3mm.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의 상기 오리피스부의 상기 제1폭과 상기 출구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출구부의 폭의 3배 보다 작을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dth of the orifice part and the outlet part of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may be less than three times the width of the outlet part.

본 발명은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폭이 좁아진 이후 다시 폭이 넓어지는 오리피스부를 통해 복합소재 내부에 구비된 첨가제의 정렬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층으로 제작되는 복합소재의 적층 방향에 따른 물성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alignment of additives, and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s provided inside the composite material can be adjusted through the orifice part, which is wide again after the width is narrowed, and through this, a composite manufactured by lamina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viation of physical properties depending o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material.

도 1은 복합소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3D 프린터를 통해 복합소재가 적층되면서 제작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멍이 형성된 오리피스 판으로 이루어진 축소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오리피스 판에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4가지(Case 1, Case 2, Case 3, Case 4) 복합소재 출력장치를 모사한 금형이다.
도 7은 도 6의 Case 1, Case 2, Case 3, Case 4에서 첨가제가 정렬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8은 도 6의 Case 1, Case 2, Case 3, Case 4에서 첨가제가 정렬되는 방향의 평균 각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mposite material.
2 is a view showing that the composite material is manufactured while being laminated through a 3D printer.
3 is a view showing a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reduced portion made of an orifice plate with a hol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at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orific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mold simulating four types of (Case 1, Case 2, Case 3, Case 4)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s having different shapes.
7 shows the directions in which the additives are aligned in Case 1, Case 2, Case 3, and Case 4 of FIG. 6 .
8 is a graph showing the average angle in the direction in which additives are aligned in Case 1, Case 2, Case 3, and Case 4 of FIG. 6 .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is specification clarifie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plains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closes embodiment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comprises” or “may include” that may b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 the existence of a corresponding disclosed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and may include one or more additional functions, operations, or Components, etc. are not limited. 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d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new components in th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no new element exists between the element and the other element. should be able t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은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폭이 좁아진 이후 다시 폭이 넓어지는 오리피스부를 통해 복합소재 내부에 구비된 첨가제의 정렬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and a composite material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capable of controlling the alignment direction of additives provided inside a composite material through an orifice part that is wide again after the width is narrowed It is about the output device.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첨가제(11)를 포함하는 복합소재(10)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복합소재(10)는 3D 프린터의 적층 방식(Layer-By-Layer)으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팅배드(21)를 구비하고, 3D 프린터의 출력장치(20)를 통해 복합소재를 히팅배드(21) 위에 적층하면서 복합소재(10)가 제작된다. 1 shows a composite material 10 including an additive 11 . Referring to FIG. 2 , such a composite material 10 may be manufactured by a layer-by-layer method of a 3D printer. Specifically, the composite material 10 is manufactured while the heating bed 21 is provided and the composite material is laminated on the heating bed 21 through the output device 20 of the 3D printer.

3D 프린터를 통해 복합소재(10)를 제작하면, 복잡한 형상을 만들 수 있으며, 재료의 낭비가 적기 때문에 시간적, 비용적인 측면에서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그러나 3D 프린터를 통해 복합소재(10)를 제작할 경우, 첨가제 정렬 방향과 적층 방향으로 인해 복합소재의 물성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When the composite material 10 is manufactured through a 3D printer, a complex shape can be made, and since the waste of material is small, there is an economic advantage in terms of time and cost. However, when the composite material 10 is manufactured through a 3D printer, deviations may occur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material due to the additive alignment direction and the lamination direction.

복합소재는 첨가제의 정렬 방향에 따라 이방성의 성질을 띄게 된다. 3D 프린터를 통해 복합소재를 적층하는 방법으로 제작하면, 첨가제(11)는 도 2와 같이 3D 프린터 출력장치(20)의 노즐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정렬된다. The composite material exhibits anisotropic properties depending on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When manufactured by a method of laminating a composite material through a 3D printer, the additive 11 is aligned parallel to the nozzle movement direction of the 3D printer output device 20 as shown in FIG. 2 .

이와 같이 첨가제(11)가 노즐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정렬되면, 노즐 이동 방향으로는 복합소재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지만, 노즐 이동 방향과 수직인 적층 방향으로는 복합소재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As such, when the additive 11 is aligned parallel to the nozzle movement direction, the properties of the composite material can be improved in the nozzle movement direction, but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the composite material in the stacking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nozzle movement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그러나 대다수의 열적 특성이 요구되는 복합소재의 경우 적층 방향으로 물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첨가제(11)가 정렬되는 방향을 적층방향과 나란한 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in the case of a composite material requiring a majority of thermal properties, since physical properties are required in the lamination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ditives 11 are aligned is parallel to the lamination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100)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100)는 3D 프린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가제(11)가 포함된 복합소재(10)를 적층하는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치라면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100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100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3D prin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nufactured by laminating the composite material 10 including the additive 11 . If it is a capable device, it may be a variety of devic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100)는 이동부(110), 출구부(120), 오리피스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첨가제(11)를 포함하는 복합소재(10)는 유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출력장치(100)에 저장된 이후 배출될 수 있다.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100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unit 110 , an outlet unit 120 , and an orifice unit 130 . The composite material 10 including the additive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charged after being stored in the output device 100 in a flowable stat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110)는 첨가제(11)를 포함하는 복합소재(10)가 저장되면서 이동되는 공간이 구비된 것이며, 상기 출구부(120)는 상기 이동부(110)와 연통되면서 상기 복합소재(10)가 배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출구부(120)는 노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노즐을 통해 유동 가능한 상기 복합소재(10)가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moving unit 110 is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the composite material 10 including the additive 11 is stored and moved, and the outlet unit 120 includes the moving unit 110 and It is a part through which the composite material 10 is discharged while communicating. The outlet part 120 may be formed of a nozzle, and the composite material 10 capable of flowing through the nozzle may be output to the outside.

상기 오리피스부(130)는 상기 이동부(110)에서 상기 출구부(120) 방향으로 폭이 좁아진 이후 폭이 넓어지는 부분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리피스부(130)는 상기 이동부(110)의 폭(111) 보다 작은 제1폭(141)이 형성된 축소부(140)와, 상기 제1폭(141)과 연통되면서 상기 제1폭(141)보다 큰 폭이 형성된 확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rifice part 130 may be a part in which the width is widened after the width is narrow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part 120 from the moving part 110 . Specifically, the orifice part 130 includes the reduced part 140 having a first width 141 smaller than the width 111 of the moving part 110 and the first width 141 whi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It may include an extension 150 having a width greater than one width 141 .

상기 복합소재(10)에 포함된 상기 첨가제(11)는 유동에 의해 상기 복합소재(10)가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렬되면서 상기 출구부(120)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110)와 상기 출구부(120) 사이에 별도의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는다면, 도 2와 같이 상기 첨가제(11)는 상기 출구부(120)(노즐)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렬된다. The additive 11 included in the composite material 10 is discharged to the outlet 120 while being alig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posite material 10 moves by flow. Therefore, unless a separate configuration is provided between the moving part 110 and the outlet part 120 , the additive 11 is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utlet part 120 (nozzle) as shown in FIG. 2 . aligned in the direction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같이 상기 오리피스부(130)를 구비하면,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오리피스부(130)는 폭이 좁아졌다가 다시 폭이 넓어지는 것으로, 상기 첨가제(11)가 폭이 좁아지는 지점을 거쳐 폭이 넓어지는 지점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첨가제(11)는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게 된다. However, if the orifice part 130 is provided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can be changed. Referring to FIG. 3 , the orifice part 130 has a width that is narrowed and then widened again. (11) can be align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첨가제(11)가 폭이 좁은 상기 축소부(140)의 상기 제1폭(141)을 통과한 이후 폭이 넓은 상기 확장부(150)로 이동하면, 폭이 확장되는 유동 흐름에 의해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게 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additive 11 passes through the first width 141 of the narrow portion 140 and then moves to the wide extension portion 150 , the width is expanded It is possible to be align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by the flow.

여기서, 상기 오리피스부(130)의 상기 제1폭(141)과 상기 출구부(12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출구부(120)의 폭(121)의 3배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구부(120)에서 상기 복합소재(10)가 배출된 이후에는,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이 크게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복합소재(10)가 상기 출구부(120)로 배출되기 전에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제어해야 한다. 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dth 141 of the orifice part 130 and the outlet part 120 is preferably less than three times the width 121 of the outlet part 120 . After the composite material 10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part 120 , since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does not change significantly, the composite material 10 is discharged to the outlet part 120 .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before.

이때, 상기 제1폭(141)과 상기 출구부(120) 사이의 거리가 지나치게 커지면(상기 출구부(120)의 폭(121)의 3배 보다 커지면), 상기 첨가제(11)는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다시 정렬될 위험이 있다. At this tim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dth 141 and the outlet portion 120 is too large (greater than three times the width 121 of the outlet portion 120), the additive 11 is the composite material. There is a risk of realignment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of (1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첨가제(11)는 유동에 의해 상기 복합소재(1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상기 제1폭(141)과 상기 출구부(120) 사이의 거리가 지나치게 커지면, 상기 오리피스부(130)에 의해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이 변경되더라도, 상기 복합소재(10)의 유동에 의해 상기 첨가제(11)가 상기 복합소재(1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다시 정렬될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폭(141)과 상기 출구부(12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출구부(120)의 폭(121)의 3배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additive 11 is alig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by flow. Therefor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dth 141 and the outlet portion 120 is excessively large, even if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is changed by the orifice portion 130, the flow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By this, the additive 11 can be re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dth 141 and the outlet portion 120 is preferably less than three times the width 121 of the outlet portion 120 .

또한, 상기 오리피스부(130)의 상기 제1폭(141)과 상기 출구부(12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폭(141) 보다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폭(141)과 상기 출구부(120) 사이의 거리는 상기 확장부(150)가 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기 오리피스부(130)의 상기 제1폭(141)과 상기 출구부(120) 사이의 거리가 너무 짧으면, 유동이 확장되는 힘을 받을 수 없게 된다.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dth 141 of the orifice part 130 and the outlet part 120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first width 141 .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dth 141 and the outlet portion 120 is a portion that becomes the extension portion 150 , the first width 141 of the orifice portion 130 and the outlet portion 120 . If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too short, the flow cannot receive the expanding force.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부(130)의 상기 제1폭(141)과 상기 출구부(12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폭(141) 보다는 크며, 상기 출구부(120)의 폭(121)의 3배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dth 141 of the orifice portion 130 and the outlet portion 120 is greater than the first width 141 , and is greater than three times the width 121 of the outlet portion 120 . Small is preferab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출구부(120)의 폭(121)은 1mm로, 상기 제1폭(141)은 0.2mm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오리피스부(130)의 상기 제1폭(141)과 상기 출구부(120) 사이의 거리는 3mm 보다 작으면서, 0.2mm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dth 121 of the outlet part 120 may be 1 mm and the first width 141 may be 0.2 mm, the first width 141 of the orifice part 130 may be formed. )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utlet portion 120 is less than 3mm, preferably greater than 0.2m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오리피스부(130)의 상기 제1폭(141)은 상기 출구부(120)의 폭(121)의 1/5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11)는 폭이 좁은 지점을 통과한 이후 폭이 넓은 지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정렬 방향이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폭(141)이 너무 크면(상기 제1폭(141)이 상기 출구부(120)의 폭의 1/5 보다 크면) 폭이 좁아지는 효과가 미비하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idth 141 of the orifice part 130 is preferably smaller than 1/5 of the width 121 of the outlet part 120 . As the additive 11 passes through the narrow point and moves to the wide point, the alignment direction may be changed. If the first width 141 is too large (the first width 141 is If it is larger than 1/5 of the width of the outlet part 120), the effect of narrowing the width is insignificant.

즉, 상기 제1폭(141)이 상기 출구부(120)의 폭의 1/5 보다 크면 확장되는 유동의 흐름를 상기 첨가제(11)에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함에 따라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변경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부(130)의 상기 제1폭(141)은 상기 출구부(120)의 폭(121)의 1/5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when the first width 141 is greater than 1/5 of the width of the outlet part 120 , the flow of the expanded flow cannot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additive 11 , so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is adjusted. becomes difficult to change. Accordingly, the first width 141 of the orifice part 130 is preferably smaller than 1/5 of the width 121 of the outlet part 120 .

또한, 상기 오리피스부(130)의 상기 제1폭(141)은 상기 이동부(110)의 폭(111) 또는 상기 확장부(150)의 폭의 1/10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소부(140)의 상기 제1폭(141)과 상기 확장부(150)의 폭 차이가 커질수록 확장되는 유동의 흐름을 상기 첨가제(11)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first width 141 of the orifice part 130 is preferably smaller than 1/10 of the width 111 of the moving part 110 or the width of the extension part 150 .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width 141 of the reduced portion 140 and the width of the expanded portion 150 increases, the expanded flow of the flow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additive 11 .

상기 오리피스부(130)의 상기 제1폭(141)이 상기 이동부(110)의 폭(111) 또는 상기 확장부(150)의 폭의 1/10 보다 크면, 상기 축소부(140)의 상기 제1폭(141)과 상기 확장부(150)의 폭 차이가 작아짐에 따라 확장되는 유동의 흐름를 상기 첨가제(11)에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하게 되면서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변경하기 어렵게 된다. When the first width 141 of the orifice part 130 is greater than 1/10 of the width 111 of the moving part 110 or the width of the expanded part 150, the reduced part 140 is As the width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width 141 and the extension part 150 decreases, the flow of the expanded flow cannot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additive 11 , and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부(130)의 상기 제1폭(141)은 상기 이동부(110)의 폭(111) 또는 상기 확장부(150)의 폭의 1/10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110)의 폭과 상기 확장부(150)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refore, the first width 141 of the orifice part 130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width 111 of the moving part 110 or 1/10 of the width of the extension part 150 . Here, the width of the moving part 110 and the width of the extension part 150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상기 오리피스부(130)의 상기 제1폭(141)은 좁을수록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지만, 상기 제1폭(141)이 너무 좁게 되면, 상기 복합소재(10)의 배출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폭(141)을 통해 상기 첨가제(11)가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1폭(141)은 상기 첨가제(11)의 길이보다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first width 141 of the orifice part 130 is narrower,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can be effectively changed, but when the first width 141 is too narrow, the composite material 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charge rate is lowered. In addition, since the additive 11 must pass through the first width 141 , the first width 141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additive 11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출구부(120)의 폭(121)은 1m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110)의 폭(111)과 상기 확장부(150)의 폭은 2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부(130)의 상기 제1폭(141)은 0.2mm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121 of the outlet part 120 may be 1 mm, and the width 111 of the moving part 110 and the width of the extension part 150 may be made of 2 mm. hav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width 141 of the orifice part 130 is smaller than 0.2 m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리피스부(130)는 폭이 좁아지는 상기 축소부(140)와 폭이 넓어지는 상기 확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orifice par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as long as it can include the narrowing part 140 and the widening part 150 .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축소부(140)는, 내부에 구멍(161)이 형성되는 오리피스 판(16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오리피스 판(160)은 오리피스 관(상기 구멍(161))을 포함하는 것으로, 원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오리피스 판(160)에 상기 구멍(161)을 형성시킴에 따라 폭이 좁아지는 지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4 and 5 , the reduced portion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n orifice plate 160 having a hole 161 therein. The orifice plate 160 includes an orifice tube (the hole 161), and may have a circular plate shape. As the hole 161 is formed in the orifice plate 160, a point where the width is narrowed can be formed.

상기 오리피스 판(160)을 상기 출구부(120)와 지정된 거리만큼 이격시키면서 상기 이동부(110)에 삽입하면, 폭이 좁아지는 상기 축소부(140)와 폭이 넓어지는 상기 확장부(150)를 포함하는 상기 오리피스부(130)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orifice plate 160 is inserted into the movable part 11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part 120 by a specified distance, the narrowing part 140 and the widening part 150 are narrowed. It is possible to form the orifice portion 130 comprising a.

상기 구멍(161)은 원형 구멍일 수 있으며, 상기 제1폭(141)은 상기 구멍(161)의 직경이 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구멍(161)의 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폭이 좁아지는 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hole 161 may be a circular hole, and the first width 141 may be the diameter of the hole 161 . However, the shape of the hole 161 is not limited to a circular shap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long as a narrowing point can be formed.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오리피스 판(160)에는 복수 개의 상기 구멍(161)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오리피스부(130)의 상기 제1폭(141)(상기 구멍(161)의 폭)이 좁을 수록 상기 첨가제(11)의 정렬 방향을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5 , a plurality of holes 161 may be formed in the orifice plate 160 . As described above, as the first width 141 (width of the hole 161) of the orifice part 130 is narrower,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can be effectively changed.

그러나 상기 제1폭(141)(상기 구멍(161)의 폭)이 지나치게 좁게 되면, 상기 복합소재(10)의 배출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오리피스 판(160)에는 복수 개의 상기 구멍(16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구멍(161)을 형성함에 따라 좁은 폭을 통해 상기 첨가제(11)의 정렬방향을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복합소재(10)의 배출속도를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게 된다. However, when the first width 141 (width of the hole 161) is too narrow,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ischarge rate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is reduc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lurality of the holes 161 may be formed in the orifice plate 160 . As the plurality of holes 161 are formed,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11 can be effectively changed through a narrow width, and at the same time, the discharge speed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can not be reduc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오리피스부(130)는 상기 오리피스 판(160)을 통해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오리피스부(130)는 폭이 좁아지는 상기 축소부(140)와 폭이 넓어지는 상기 확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ifice part 130 may be formed through the orifice plate 16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rifice part 130 has a narrower width. ) and the widening part 150 can be included in various configuration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출력장치(100)는 상기 이동부(110), 상기 출구부(120), 상기 오리피스부(1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출력장치(100)는 상기 복합소재(10)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110), 상기 출구부(120), 상기 오리피스부(130) 이외의 다른 구성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out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oving part 110 , the outlet part 120 , and the orifice part 130 , and the output device 100 is the composite material ( Of course, other components other than the moving unit 110 , the outlet unit 120 , and the orifice unit 130 may be included to output 1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리피스부(130)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복합소재의 출력장치를 모사한 금형이다. 도 6의 Case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같이 제1폭(141)이 0.2mm 인 오리피스부(130)가 형성된 것이다. 이때, 이동부(110)의 폭(111)은 2mm 이며, 출구부(120)의 폭(121)(노즐의 폭)은 1mm로 형성된다. 6 is a mold simulating an output device of a composite material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orifice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ase 1 of FIG. 6 , the orifice part 130 having a first width 141 of 0.2 mm is formed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width 111 of the moving part 110 is 2 mm, and the width 121 (the nozzle width) of the outlet part 120 is 1 mm.

도 6의 Case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같이 제1폭(141)이 0.5mm 인 오리피스부(130)가 형성된 것이다. 이때, 이동부(110)의 폭(111)은 2mm 이며, 출구부(120)의 폭(121)(노즐의 폭)은 1mm로 형성된다. In Case 2 of FIG. 6, an orifice part 130 having a first width 141 of 0.5 mm is formed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width 111 of the moving part 110 is 2 mm, and the width 121 (the nozzle width) of the outlet part 120 is 1 mm.

도 6의 Case 3은 오리피스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이동부(110)의 폭(111)은 2mm 이며, 출구부(120)의 폭(121)(노즐의 폭)은 1mm로 형성된다. 도 6의 Case 4는 노즐(출구부(120))만 형성된 것이다. 노즐의 폭(출구부(120)의 폭(121))은 1mm로 형성되어 있다. Case 3 of FIG. 6 is a view showing that the orifice part is not formed. At this time, the width 111 of the moving part 110 is 2 mm, and the width 121 (the nozzle width) of the outlet part 120 is 1 mm. In Case 4 of FIG. 6, only the nozzle (outlet part 120) is formed. The width of the nozzle (the width 121 of the outlet 120) is formed to be 1 mm.

도 7은 도 6의 Case 1, Case 2, Case 3, Case 4에서 첨가제가 정렬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며, 도 8은 도 6의 Case 1, Case 2, Case 3, Case 4에서 첨가제가 정렬되는 방향의 평균 각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7 shows the directions in which the additives are aligned in Case 1, Case 2, Case 3, and Case 4 of FIG. 6, and FIG. 8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ditives are aligned in Case 1, Case 2, Case 3, and Case 4 of FIG. 6 It is a graph showing the average angle of

도 8에서 첨가제가 정렬되는 방향의 평균 각도는 복합소재가 이동되는 방향(Flow direction)에 대한 각도로, 복합소재가 이동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이면 0도, 복합소재가 이동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면 90도가 된다. In FIG. 8 , the average angl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ditives are aligned is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in which the composite material is moved, 0 degre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posite material is moved,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posite material is moved This will be 90 degrees.

여기서, 복합소재(10)가 적층될 때, 복합소재가 이동되는 방향은 출력장치(100)가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이며, 복합소재가 이동되는 방향은 복합소재가 적층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 될 수 있다. Here, when the composite material 10 is stack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posite material moves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put device 100 moves,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posite material moves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posite material is laminated. this can be

도 7 및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같이 오리피스부(130)가 형성됨에 따라 첨가제가 정렬되는 방향의 평균 각도가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같이 오리피스부(130)를 사용한 Case 1 및 Case 2가 Case 3 및 Case 4 보다 첨가제가 정렬되는 방향의 평균 각도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and 8 , it can be seen that the average ang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ditives are aligned increases as the orifice part 130 is formed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t can be seen that Case 1 and Case 2 using the orifice part 130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larger average ang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ditives are aligned than Case 3 and Case 4 .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리피스부(130)를 통해 첨가제(11)가 정렬되는 방향이 복합소재가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에서 벗어나면서 적층 방향 쪽으로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다. This indicates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ditive 11 is aligned through the orifice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toward the stacking direction while deviating from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posite material move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리피스부(130)를 통해 첨가제(11)가 정렬되는 방향을 적층 방향으로 변경하면, 적층으로 제작되는 복합소재(10)의 적층 방향에 따른 물성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f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ditive 11 is aligned through the orifice unit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to the lamination direction, the deviation of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lamination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10 manufactured in lamination can be reduced. be able to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Case 1이 Case 2에 비하여 첨가제가 정렬되는 방향의 평균 각도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1폭(141)이 좁을 수록 첨가제가 정렬되는 방향이 적층 방향으로 크게 변경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폭(141)은 0.2mm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6 to 8 , it can be seen that Case 1 has a larger average ang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ditives are aligned compared to Case 2 . That is, as the first width 141 is narrow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ditives are aligned is greatly changed in the stacking direction, and the first width 14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smaller than 0.2 mm.

도 6 내지 도 8에서 Case 3을 참조하면, 제1폭(141)과 출구부(120) 사이의 거리가 지나치게 커지면 오리피스부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Case 3은 폭이 좁아지는 축소부(140)가 구비되어 있기는 하지만, 제1폭(141)과 출구부(120) 사이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다. (Case 3에서 축소부(140)와 출구부(120) 사이의 거리는 27mm이다.) Referring to Case 3 in FIGS. 6 to 8 ,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dth 141 and the outlet part 120 is too large, the effect of the orifice part does not appear. In Case 3, although the narrowing portion 140 is provide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dth 141 and the outlet portion 120 is far apart. (In Case 3, the distance between the reduced portion 140 and the outlet portion 120 is 27 mm.)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Case 3과 같이 제1폭(141)과 출구부(120) 사이의 거리가 멀리 떨어지면, 복합소재의 유동에 의해 첨가제가 다시 복합소재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렬되면서 첨가제가 정렬되는 방향의 평균 각도가 작아지게 된다. 7 and 8,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dth 141 and the outlet 120 is far apart as in Case 3, the additive is again mov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by the flow of the composite material. As the alignment progresses, the average ang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ditives are aligned becomes smaller.

이와 같이 축소부(140)의 제1폭(141)과 출구부(120) 사이의 거리가 멀리 떨어지면 오리피스부(130)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폭(141)과 출구부(120) 사이의 거리는 출구부(120)의 폭(121)의 3배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dth 141 of the reduced portion 140 and the outlet portion 120 is far apart, the effect of the orifice portion 130 cannot be expected, so the first width ( The distance between the 141 and the outlet 120 is preferably less than three times the width 121 of the outlet 120.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the additive alignment contro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는 폭이 좁아진 이후 다시 폭이 넓어지는 오리피스부를 통해 복합소재 내부에 구비된 첨가제의 정렬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층으로 제작되는 복합소재의 적층 방향에 따른 물성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s provided inside the composite material through the orifice part that is widened again after the width is narrowed, and through this, the additive is manufactured as a laminat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viation of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lamination direction of the composite material.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는, 오리피스부의 제1폭을 출구부의 폭의 1/5 보다 작게 형성하거나, 오리피스부의 제1폭을 이동부의 폭 또는 확장부의 폭의 1/10 보다 작게 형성함에 따라 첨가제의 정렬 방향을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idth of the orifice part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1/5 of the width of the outlet part, or the first width of the orifice part is the width or extension of the moving part. By forming smaller than 1/10 of the width,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dditive can be effectively chang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는, 오리피스부의 제1폭과 출구부 사이의 거리를 출구부의 폭의 3배 보다 작게 함에 따라 유동에 의해 첨가제가 복합소재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다시 정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dth of the orifice part and the outlet part is made smaller than three times the width of the outlet part, the additive is added to the composite material by the flow.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vent rearrangement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복합소재 11...첨가제
100...출력장치 110...이동부
111...이동부의 폭 120...출구부
121...출구부의 폭 130...오리피스부
140...축소부 141...제1폭
150...확장부 160...오리피스 판
161...구멍
10...Composite material 11...Additive
100...output device 110...moving part
111...the width of the moving part 120...the exit part
121...Width of outlet 130...orifice
140...Reduced part 141...First width
150...extended 160...orifice plate
161...hole

Claims (9)

첨가제가 포함된 복합소재를 출력하는 출력장치에 있어서,
첨가제를 포함하는 복합소재가 저장되면서 이동되는 공간이 구비된 이동부;
상기 복합소재가 배출되는 출구부;
상기 이동부에서 상기 출구부 방향으로 폭이 좁아진 이후 폭이 넓어지는 오리피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리피스부는,
상기 이동부의 폭보다 작은 제1폭이 형성된 축소부와, 상기 제1폭과 연통되면서 상기 제1폭보다 큰폭이 형성된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소부는, 내부에 구멍이 형성되는 오리피스 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
In the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additives,
a moving unit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the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the additive is stored and move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composite material is discharged;
and an orifice part whose width is widened after the width is narrow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from the moving part;
The orifice part,
and a reduced portion having a first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moving portion, and an expanded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width and having a greater width than the first width.
The reduction unit,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orifice plate having a hole formed therei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판에 구비되는 구멍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 provided in the orifice plate is formed in plura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부의 상기 제1폭은 0.2mm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width of the orifice portion is a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 of the additive alignment,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0.2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부의 상기 제1폭은, 상기 출구부의 폭의 1/5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width of the orifice portion,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1/5 of the width of the outle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부의 상기 제1폭은 상기 이동부의 폭 또는 상기 확장부의 폭의 1/10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width of the orifice part is a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controlling additive alignment,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1/10 of a width of the moving part or a width of the expanded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부의 상기 제1폭과 상기 출구부 사이의 거리는 3mm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dth of the orifice portion and the outlet portion is less than 3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부의 상기 제1폭과 상기 출구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출구부의 폭의 3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제 정렬 제어를 위한 복합소재 출력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omposite material output device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dth of the orifice part and the outlet part is less than three times the width of the outlet part.
KR1020200138597A 2020-10-23 2020-10-23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KR1023358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597A KR102335897B1 (en) 2020-10-23 2020-10-23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597A KR102335897B1 (en) 2020-10-23 2020-10-23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897B1 true KR102335897B1 (en) 2021-12-06

Family

ID=78936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597A KR102335897B1 (en) 2020-10-23 2020-10-23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89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796A (en) * 2004-11-22 200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Photoresist coat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20160113629A (en) * 2014-01-13 2016-09-30 제임스 비. 울프 Grinder assembly
KR20180119606A (en) * 2016-03-03 2018-11-02 데스크탑 메탈, 인크. Pneumatic injection of metal for lamination
JP2020014472A (en) * 2011-09-12 2020-01-30 ウォルフ,ジェームス,ビー. System and method for inducing venturi effect in orif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796A (en) * 2004-11-22 200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Photoresist coat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2020014472A (en) * 2011-09-12 2020-01-30 ウォルフ,ジェームス,ビー. System and method for inducing venturi effect in orifice
KR20160113629A (en) * 2014-01-13 2016-09-30 제임스 비. 울프 Grinder assembly
KR20180119606A (en) * 2016-03-03 2018-11-02 데스크탑 메탈, 인크. Pneumatic injection of metal for lamin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준엽ㆍ오동욱,"탄소섬유와 액상 PDMS 혼합액의 오리피스 유로 유동가시화를 통한 첨가제 정렬 분석", 설비공학논문집 31(4), pg.141-148(20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2650B2 (en) Thermal compression bonding process cooling manifold
US20160243562A1 (en) Fluidic Oscillator Having Decoupled Frequency and Amplitude Control
KR102335897B1 (en)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US10222143B2 (en) Controllable magnetorheological fluid temperature control device
KR101913526B1 (en) Composite pallet
US20180075959A1 (en) Controllable magnetorheological fluid temperature control device
Döpp et al. 3D printing of gas jet nozzles for laser-plasma accelerators
KR101923838B1 (en) Nozzle device and processing device
KR1017112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s
Barlow et al. Fabrication of precise fluidic structures in LTCC
KR20190120348A (en) Gas cluster processing apparatus and gas cluster processing method
EP2830088B1 (en) Cooling fluid flow passage matrix for electronics cooling
US78217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using impinging jet control
US20140124434A1 (en) Filter
JP2015058642A (en) Light guide plate and metallic mold
KR20230127790A (en) Composite material output apparatus using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additive alignment control
KR101412391B1 (en) Flat die and sheet manufacturing method
US20220266512A1 (en) Energy dissipative nozzles for drop-on-demand printing and methods thereof
CN114953734A (en) Drop on demand ink jet printer with optimized nozzle design
US10319657B2 (en) Circuit package having a plurality of epoxy mold compounds with different compositions
KR102215527B1 (en) 3D printer for incorporating RF radiating module
EP2282335A1 (en) Cooling device and method
KR20170041441A (en) Injection Nozzle Having Control Unit of Flow
US10685898B2 (en) Circuit package
WO2016032473A1 (en) Air-cooling system and airflow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