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712A -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7712A
KR20230127712A KR1020220025339A KR20220025339A KR20230127712A KR 20230127712 A KR20230127712 A KR 20230127712A KR 1020220025339 A KR1020220025339 A KR 1020220025339A KR 20220025339 A KR20220025339 A KR 20220025339A KR 20230127712 A KR20230127712 A KR 20230127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bonding
hardness
displa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기열
김인기
이형진
유혜련
조영균
정동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5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7712A/ko
Publication of KR20230127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평면 영역과, 상기 제1 평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평면 형상과 곡면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된 화면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 글래스 층, 상기 글래스 층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된 화면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 보호 필름, 상기 글래스 층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글래스 층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제1 접합층, 및 상기 보호 필름과 상기 글래스 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호 필름을 상기 글래스 층의 전면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제2 접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층 또는 상기 제2 접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평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며 제1 경도를 가진 제1 접합 영역과, 상기 폴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며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가진 제2 접합 영역과, 상기 제1 접합 영역과 상기 제2 접합 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경도보다 낮고 제2 경도보다 높은 제3 경도를 가진 제3 접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하나의 휴대용 통신 장치 또는 전자 장치에 다양한 기능이 통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은 통신 기능과 아울러, 멀티미디어 재생 기기, 촬상 기기 또는 전자 수첩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추가 설치를 통해 나열되지 않은 추가의 기능이 스마트 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용 통신 장치 또는 전자 장치 자체에 탑재된 기능(예: 어플리케이션)이나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더 많은 정보를 검색하고, 선별하여 획득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 접속함에 있어, 직접 접속 방식(예: 유선 통신)은 빠르고 안정된 통신 수립을 제공할 수 있지만, 활용 영역이 고정된 위치 또는 일정 정도의 공간으로 제한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 접속함에 있어, 무선 통신 방식은 위치나 공간의 제약이 적고, 전송 속도나 안정성은 점차 직접 접속 방식과 동등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향후에는 직접 접속 방식보다 무선 통신 방식이 더 빠르고 안정된 통신 수립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 폰과 같은 개인용 또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휴대성과 사용의 편의성에 대한 사용자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는 화면, 예컨대, 시각적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이면서, 기계적인 입력 장치(예: 버튼식 입력 장치)를 대체하는 가상의 키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휴대용 통신 장치 또는 전자 장치는 소형화되면서도 동일한 또는 더욱 향상된 활용성(예: 더 큰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유연성을 가진(flexible), 예를 들어, 접혀질 수 있는(foldable) 또는 말아질 수 있는(rollable) 디스플레이가 상용화되면서, 전자 장치의 휴대성과 사용의 편의성은 더욱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술한 정보는 본 개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배경 기술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 중 어느 것도 본 개시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prior art)로서 적용될 수 있는지에 관해서는 어떠한 주장이나 결정이 제기되지 않는다.
발광층(예: 디스플레이 패널)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는 유리나 합성 수지 재질의 투명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이 유연성을 가질 때, 투명 플레이트도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유연성과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보호 성능은 상호 배타적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 및/또는 단점을 적어도 해소하고 후술하는 장점을 적어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연성을 가지면서, 변형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제조 방법, 디스플레이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평판 영역과, 유연성을 가진 폴딩 영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광 투과율 또는 굴절율의 차이를 억제할 수 있는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작된 디스플레이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추가 측면이 후술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제시될 것이며, 부분적으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거나 제시된 구현의 실시예를 통해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평면 영역(first plane area)과, 상기 제1 평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평면 형상과 곡면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folding area)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된 화면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 글래스 층(glass layer), 상기 글래스 층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된 화면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 보호 필름(protection film), 상기 글래스 층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글래스 층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제1 접합층, 및 상기 보호 필름과 상기 글래스 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호 필름을 상기 글래스 층의 전면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제2 접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층 또는 상기 제2 접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평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며 제1 경도(first hardness)를 가진 제1 접합 영역과, 상기 폴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며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가진 제2 접합 영역과, 상기 제1 접합 영역과 상기 제2 접합 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경도보다 낮고 제2 경도보다 높은 제3 경도를 가진 제3 접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평면 영역과, 상기 제1 평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평면 형상과 곡면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폴딩 영역과, 상기 폴딩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2 평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평면 영역이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주보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지정된 각도만큼 펼쳐진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평면 영역이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2 하우징, 적어도 하나의 폴딩 축을 제공하며 상기 폴딩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구조로서, 상기 폴딩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힌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된 화면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 글래스 층, 상기 글래스 층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된 화면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 보호 필름, 상기 글래스 층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글래스 층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제1 접합층, 및 상기 보호 필름과 상기 글래스 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호 필름을 상기 글래스 층의 전면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제2 접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층 또는 상기 제2 접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평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며 제1 경도를 가진 제1 접합 영역과, 상기 폴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며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가진 제2 접합 영역과, 상기 제1 접합 영역과 상기 제2 접합 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경도보다 낮고 제2 경도보다 높은 제3 경도를 가진 제3 접합 영역과, 상기 제2 평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며 상기 제2 경도보다 높은 제4 경도를 가진 제4 접합 영역과, 상기 제4 접합 영역과 상기 제2 접합 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4 경도보다 낮고 제2 경도보다 높은 제5 경도를 가진 제5 접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보호 구조물(예: 글래스 층이나 보호 필름)을 배치 또는 부착함에 있어, 평면 형태를 유지하는 영역에서는 곡면 형태로 변형되는 영역보다 높은 경도의 접합 물질을 활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안정된 보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평면 형태를 유지하는 평면 영역(들)의 적어도 일부와 곡면 형태로 변형되는 폴딩 영역(들)의 적어도 일부에서 접합 물질의 경도 차이에 따른 광학적 편차는,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접합 물질의 경도를 점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육안으로 식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변형이 필요한 영역의 유연성 및/또는 변형 불필요한 부분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 구조를 확보하면서, 출력 화면의 양호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해 상술한 측면 또는 다른 측면, 구성 및/또는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제조 장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5의 장비 또는 도 6의 방법에 따라 접합층이 형성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X축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2 하우징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화살표 ① 방향을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의 전반에서, 유사한 부품, 구성 및/또는 구조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 관한 다음 설명은 청구항 및 이에 상응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예시적인 구현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는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 중 하나인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일반 기술자는 본 문서에 기술된 다양한 구현의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공개의 범위와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을 자명하다. 또한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 설명과 청구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참고 문헌적 의미에 국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명확하고 일관되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술분야에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시의 다양한 구현에 대한 다음의 설명이 권리범위 및 이에 준하는 것으로 규정하는 공시를 제한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다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문맥이 다르게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a", "an", 그리고 "the"의 단수형식은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구성 요소 표면"이라 함은 구성 요소의 표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면 형상과 곡면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서, 디스플레이 패널(101), 글래스 층(102), 보호 필름(103) 및/또는 복수의 접합층(105; 105a, 105b, 105c, 105d)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접합층(105)들 중 적어도 하나(예: 제2 접합층(105b))에서 부분적으로 경도(hardness)가 다른 부분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00) 상에서, 곡면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부분(예: 폴딩 영역(FA))에 상응하는 접합층(105)의 적어도 일부분은 접합층(105)의 다른 부분(예: 제1 평면 영역(PA1) 또는 제2 평면 영역(PA2) 중 적어도 하나)보다 낮은 경도를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100)의 변형을 허용하면서 지정된 내구도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곡면 형상으로의 변형이 불필요한 부분, 예를 들어, 제1 평면 영역(PA1) 또는 제2 평면 영역(PA2)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접합층(105)은 폴딩 영역(FA)보다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으며, 외부 환경(예: 사용자 접촉)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할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실질적으로 전체 면적이 유연성을 가짐으로써 평면 형상과 곡면 형상 사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적어도 일부분, 예를 들어, 제1 평면 영역(PA1)과 제2 평면 영역(PA2)은 기계적인 구조물(예: 도 12의 지지 플레이트(337)나 미드 플레이트(352, 354))의 지지를 받아 평면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2 평면 영역(PA2)은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폴딩 영역(FA)을 통해 제1 평면 영역(PA1)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 영역(FA)은 실질적으로 제1 평면 영역(PA1)으로부터 연장되며, 제2 평면 영역(PA2)은 폴딩 영역(FA)으로부터 연장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폴딩 영역(FA)은 제1 평면 영역(PA1)이나 제2 평면 영역(PA2)보다 유연할 수 있으며, 곡면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이 곡면 형태로 변형될 때, 제2 평면 영역(PA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평면 영역(PA1)에 마주보게 위치될 수 있다. 도 4 또는 도 14를 참조하여 살펴보겠지만, 제1 평면 영역(PA1)과 제2 평면 영역(PA2) 중 어느 하나는 폴딩 영역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폴딩 영역(FA)은 전자 장치(예: 도 14 내지 도 16의 전자 장치(400)) 또는 하우징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평면 영역(PA1), 제2 평면 영역(PA2) 및/또는 폴딩 영역(FA)은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일부분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100)의 일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의 도시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제1 평면 영역(PA1), 제2 평면 영역(PA2) 및/또는 폴딩 영역(FA)이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영역(들)으로서 구분하여 도시되고 있지만, 글래스 층(102), 보호 필름(103) 및/또는 디스플레이(100)를 설명함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보호 부재(141) 또는 유연성 브라켓(143)의 부분적인 영역(들)을 구분함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래스 층(glass layer)(102)은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전면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01)로부터 출력된 화면을 투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래스 층(102)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보호하면서, 출력된 화면이 사용자에게 충분히 시인될 수 있도록 가시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글래스 층(102)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폴딩 영역(FA)에 상응하는 부분은 디스플레이(100)의 변형을 허용할 수 있을 정도로 유연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래스 층'이라고 명칭이 부여되었지만, 글래스 층(102)의 재질은 글래스로 한정되지 않으며, 글래스 성분이 첨가된 합성 수지 필름 또는 합성 수지 시트(sheet)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글래스 층(102)의 재질이나 성분비는 실제 제작될 제품에서 요구되는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칭(예: 글래스 층)에 의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래스 층(102)의 폴딩 영역(FA)은 다른 부분(예: 제1 평면 영역(PA1) 또는 제2 평면 영역(PA2))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 형태로 변형되는 부분(예: 폴딩 영역(FA))에서의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유연성을 확보하고, 평면 형태로 유지되는 부분(예: 제1 평면 영역(PA1) 및/또는 제2 평면 영역(PA2))에서는 강도(strength)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적어도 제1 평면 영역(PA1) 및/또는 제2 평면 영역(PA2)에서, 글래스 층(102)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100)는 광학 수지(optical clear resin; OCR)(예: 도 17의 광학 수지(405))을 포함함으로써, 글래스 층(102)의 부분적인 두께 차이를 보상하고, 외관에서 평탄한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평탄한 표면'이라 함은, 글래스 층(102)의 두께가 서로 다른 두 부분의 경계가 촉각적으로 인지되지 않을 정도로 실질적인 평면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인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필름(103)은,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100)의 외측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글래스 층(102)의 전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1)에서 출력된 화면을 투과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보호 필름(103)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글래스 층(102)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필름(103)은 글래스 층(102)이 이물질에 오염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거나, 긁힘과 같은 표면 손상으로부터 글래스 층(102)을 보호할 수 있으며, 글래스 층(102)이 파손 또는 균열되더라도 글래스 층(102)의 물질이 비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필름(103)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합성 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합층(105)은, 예를 들면, 압력 감응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또는 광학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일 수 있으며, 글래스 층(102)을 디스플레이 패널(101)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제1 접합층(105a), 및/또는 보호 필름(103)을 글래스 층(102)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제2 접합층(105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접합층(105a)은 디스플레이 패널(101)과 글래스 층(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접합층(105b)은 글래스 층(102)과 보호 필름(1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접합층(105)이 필름 형태로 예시되었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합층(105)은 지정된 점도를 가진 접합 물질 또는 코팅 물질로서, 실질적으로 글래스 층(102)이나 보호 필름(103)의 표면에 도포된 물질 또는 도포된 상태에서 경화된 물질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겠지만, 제1 접합층(105a) 또는 제2 접합층(105b)은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접합층(105a)(또는 제2 접합층(105b))과 글래스 층(102) 표면 사이의 접합 친화도에 편차가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00) 또는 접합층(105)은 제3 접합층(151)을 더 포함함으로써, 접합 친화도의 편차를 완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접합층(151)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경도를 가질 수 있으며, 글래스 층(102)과 제1 접합층(105a) 사이 및/또는 글래스 층(102)과 제2 접합층(105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글래스 층(102) 및/또는 보호 필름(103)이 실질적으로 합성 수지 재질일 때, 접합층(105)과의 접합 친화도가 충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3 접합층(151)은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3 접합층(151)은 예를 들어, 후술되는 제n 접착층(105c) 또는 제n+1 접착층(105d)(여기서, 'n'은 4 이상인 임의의 자연수)과 함께 보호 부재(141) 또는 유연성 브라켓(143)과 같은 다른 구조물을 부착시키는데 추가로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00)는, 보호 부재(141) 및/또는 유연성 브라켓(14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100) 또는 접합층(105)은 제n 접착층(105c) 또는 제n+1 접착층(105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부재(141)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후면에 배치된 평판 형상의 저밀도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00)가 다른 구조물(예: 도 10의 제1 하우징(310)과 및/또는 제2 하우징(320))에 배치될 때, 보호 부재(141)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후면을 감싸 디스플레이 패널(101)과 다른 기계적인 구조물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100)가 다른 구조물에 배치될 때, 보호 부재(141)는 완충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가하는 충격이나 국부적인 압력을 흡수 또는 완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n 접착층(105c)은 보호 부재(141)와 디스플레이 패널(101) 사이에 배치되어 보호 부재(141)를 디스플레이 패널(102)의 후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제1 접착층(105a) 또는 제2 접착층(105b)과 유사하게, 제n 접착층(105c)은 제1 평면 영역(PA1) 또는 제2 평면 영역(PA2)보다 폴딩 영역(FA)에 상응하는 부분에서 낮은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는 부분에서 제n 접착층(105c)은 다른 부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100)의 변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연성 브라켓(143)은,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후면 및/또는 가장자리의 측면을 감싸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가장자리는 외부 물체와의 접촉으로 인해 쉽게 손상될 수 있으므로, 유연성 브라켓(143)이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유연성 브라켓(143)은 대체로 평판 형상으로 유지되며, 폴딩 영역(FA)에 상응하는 부분에서 격자 구조(lattice structure)(또는 그물 구조(mesh structure))(143a)를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100)의 폴딩 영역(FA)이 변형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n+1 접착층(105d)은 보호 부재(141)와 유연성 브라켓(143) 사이에서, 유연성 브라켓(143)을 보호 부재(141)에 부착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접착층(105a) 및/또는 제2 접착층(105b)은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전면에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이 출력되는 영역 전반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광 투과율 또는 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접착층(105)이 부분적으로 다른 경도를 가질 때, 광 투과율이나 굴절율은 접착층의 경도 차이에 따라 부분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광 투과율이나 굴절율에 있어 부분적인 차이에 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게 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접착층(105a) 및/또는 제2 접착층(105b)은 대략 10㎛ 이상, 대략 100㎛ 이하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은 대략 90% 이상, 대략 98%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가시광 투과율은, 글래스 층(102)이나 보호 필름(103)에서도 동일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화면 출력에 있어, 제n 접착층(105c) 또는 제n+1 접착층(105d)은 실질적으로 광 투과율이나 굴절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n 접착층(105c) 또는 제n+1 접착층(105d)을 형성 또는 배치함에 있어서는 제1 접착층(105a)이나 제2 접착층(105c)보다 설계 자유도가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n 접착층(105c) 또는 제n+1 접착층(105d)은 제1 평면 영역(PA1) 또는 제2 평면 영역(PA2)에 상응하는 부분에 제공되며, 폴딩 영역(FA)에 상응하는 부분에서 접합 물질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n 접착층(105c) 또는 제n+1 접착층(105d)은 폴딩 영역(FA)에 상응하는 부분에서 접합 물질을 포함하되, 해당 부분에서 접합 물질의 경도는 제1 평면 영역(PA1) 또는 제2 평면 영역(PA2)에 상응하는 부분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00)는, 곡면 형태로 변형되는 영역(예: 폴딩 영역(FA))에서 접합층(105)의 경도를 다른 부분(예: 도 1의 제1 평면 영역(PA1) 및/또는 제2 평면 영역(PA2))보다 낮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100)의 부분적인 변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곡면 형태로 변형되지 않는 영역에서는 변형 가능한 부분보다 접합층(105)의 경도가 높아짐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보호가 용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합층(105)은 광학 접착제로서 실질적으로 투명할 수 있으며, 부분적인 경도의 차이로 인해 화면이 출력되는 영역에서 광 투과율 또는 굴절율이 부분적으로 다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00) 또는 접합층(105)은 이러한 경도의 차이를 보상하는 접합 영역(예: 도 3의 제3 접합 영역(153) 또는 제5 접합 영역(15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도 3을 더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00) 및/또는 접합층(105)(예: 도 1의 제1 접합층(105a) 또는 제2 접합층(105b))은 제1 평면 영역(PA1)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제1 접합 영역(151)과, 상기 폴딩 영역(FA)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제2 접합 영역(152)과, 제1 접합 영역(151)과 제2 접합 영역(152) 사이에 배치된 제3 접합 영역(1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 영역(151)은 제2 접합 영역(152)보다 높은 제1 경도를 가짐으로써 제1 평면 영역(PA1)의 적어도 일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제2 접합 영역(152)은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100)의 일부 영역(예: 폴딩 영역(FA))의 변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1 경도는 예를 들면, 대략 10.0MPa 보다 클 수 있으며, 제2 경도는 대략 0.02MPa 보다 작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2 접합 영역(152)은 상술한 두께 및/또는 가시광 투과율을 가지면서 대략 0.02MPa 보다 작은 경도를 가짐으로써, 곡면 형상으로의 반복된 변형에도 충분한 내구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합 영역(152)에 관한 상술한 조건을 만족할 때, 디스플레이(100)(예: 폴딩 영역(FA)) 및/또는 접합층(105)은, 곡률 반경이 대략 4mm인 곡면 형태로 변형되는 조건에서 대략 20만회 반복된 변형에도 균열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00)는, 사용자 장치(예: 도 10 또는 도 14의 전자 장치(300, 400))에서 요구되는 충분한 내구도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접합 영역(153)은 제1 경도보다 낮고, 제2 경도보다 높은 제3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접합 영역(153)은 대략 0.02MPa 이상, 10.0MPa 이하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경도는 제2 접합 영역(152)으로부터 제1 접합 영역(151)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접합 영역(152)으로부터 제1 접합 영역(151)에 가까워짐에 따라 제3 경도는 제2 경도에서 제1 경도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제3 접합 영역(!53)에서의 경도 분포 또는 경도 변화는 제1 평면 영역(PA1)과 폴딩 영역(FA)의 경계에서, 접합층(105)의 경도 편차로 인한 화질의 저하(예: 광 투과율 및/또는 굴절율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접합 영역(153)의 일부는 제1 평면 영역(PA1)에 상응하고, 제3 접합 영역(153)의 다른 일부는 폴딩 영역(FA)에 상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00)가 제2 평면 영역(PA2)을 포함할 때, 접합층(105)(예: 제1 접합층(105a) 및/또는 제2 접합층(105b))은 제4 접합 영역(154)과 제5 접합 영역(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2 평면 영역(PA2)은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를 유지하면서, 폴딩 영역(FA)의 변형에 따라 제1 평면 영역(PA1)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평면 영역(PA2)은 곡면 형태로 변형 가능한 폴딩 영역(FA)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평면 영역(PA2)에 상응하는 부분에서, 유연성 브라켓(143)은 추가의 격자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접합 영역(154)은 제2 평면 영역(PA2)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며, 제2 경도보다 높은 제4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평면 영역(PA2)이 평면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때, 제4 접합 영역(154)은 제2 평면 영역(PA2)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보호 구조를 안정화할 수 있다. 제5 접합 영역(155)은 제2 접합 영역(152)과 제4 접합 영역(154) 사이에 배치되며, 제2 경도보다 높고 제4 경도보다 낮은 제5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접합 영역(152)으로부터 제4 접합 영역(154)에 가까워질수록 제5 경도가 점차 증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5 경도는 대략 0.02MPa 이상, 10.0MPa 이하일 수 있다. 예컨대, 위치에 차이는 있지만, 제5 접합 영역(155)은 제3 접합 영역(153)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고, 제4 접합 영역(154)은 제1 접합 영역(!51)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5 접합 영역(155)은 제2 접합 영역(152)과 제4 접합 영역(154) 사이에서 경도가 점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접합 영역(152)과 제4 접합 영역(154)의 경도 편차로 인한 광 투과율이나 굴절율의 편차를 억제 또는 보상할 수 있다. 제3 접합 영역(153) 또는 제5 접합 영역(155)을 포함하는 접합층(105), 예를 들어, 부분적인 경도 편차를 가진 접합층(105)을 형성하는 동작 또는 방법에 관해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게 될 것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200)(예: 도 1의 디스플레이(100))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00)는, 평면 영역(PA)과, 평면 영역(PA)으로부터 연장된 폴딩 영역(FA)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영역(PA)이라 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101), 글래스 층(102) 및/또는 보호 필름(103)은 유연성을 가져 곡면 형태와 평면 형태 사이에서 변형될 수 있고, 유연성 브라켓(143) 또는 전자 장치의 구조물(예: 도 14 내지 도 16의 제1 하우징(201))에 결합되었을 때 평판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4의 디스플레이(200)에서, 보호 부재(141), 격자 구조(143a) 및/또는 접합층들(105a, 105b, 105c,105d)은 도 1 내지 도 3의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예: 도 1 내지 도 4의 디스플레이(100, 200))의 제조 장비(1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00, 200)의 일부분을 제조하는 방법(3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5의 장비(10) 또는 도 6의 방법(30)에 따라 접합층(105)(예: 도 1의 접합층(105))이 형성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제조 장비(10)는 접합층(105)을 형성하기 위한 장비로서, 복수의 가이드 롤러(21a, 21b, 22), 가압 장치(23) 및/또는 경화 장치(24)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층(105)은 글래스 층(예: 도 1의 글래스 층(102)) 형성을 위한 제1 원단(12)과, 제1 원단(12)에 마주보게 합지되는(laminated) 제2 원단(1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원단(13)은 보호 필름(예: 도 1의 보호 필름(103))을 형성을 위한 원단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글래스 층(102)에 보호 필름(103)을 합지하기 전 제거되는 이형 필름 형성을 위한 원단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원단(12, 13)들은 제1 가이드 롤러(21a)와 제2 가이드 롤러(21b)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면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로 화살표 L 방향으로 진행하며, 제3 가이드 롤러(22)의 안내를 받아 가압 장치(23)와 경화 장치(24)를 경유할 수 있으며, 경화 장치(24)를 통과하면서 접합층(105)이 완성될 수 있다. 접합층(105)을 형성하기 위한 접합 물질(15) 또는 코팅 물질은, 원단(12, 13)들이 제1 가이드 롤러(21a)와 제2 가이드 롤러(21b)에 진입하기 직전에 원단(12, 13)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분배 또는 도포될 수 있다.
도 8을 더 참조하면, 제조 장비(10)를 이용한 제조 방법(30)은, 원단(12, 13)을 준비하는 동작(31), 접합 물질(15)을 도포하는 동작(33), 이형 필름을 합지하는 동작(35), 접합 물질(15)을 경화시키는 동작(37)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원단(12, 13)들이 가이드 롤러(21a,21b, 22)의 안내를 받아 제조 장비(10)를 순회하는 과정에서 원단(12, 13)들에 가해지는 장력은 실질적으로 원단(12, 13)으로 하여금 접합 물질을 가압하도록 강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조 방법(10)은 가압 장치(23)를 이용하여 접합 물질(15)을 가압함으로써, 형성하고자 하는 접합층(105)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단을 준비하는 동작(31)은 제1 원단(12)과 제2 원단(13)을 각각 제작, 준비하는 동작으로서, 준비된 원단(12, 13)들은 각기 다른 방향에서 제1 가이드 롤러(21a)와 제2 가이드 롤러(21b) 사이의 간격으로 진입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롤러(21a)와 제2 가이드 롤러(21b) 사이의 간격으로 진입하기 전, 제1 원단(12)과 제2 원단(13)은 도포 구역(dispensing zone)(Z1)을 통과할 수 있다. 도포 구역(Z1)은, 예를 들어, 제1 원단(12)과 제2 원단(13) 중 적어도 하나에 접합 물질(15)을 도포하는 구역으로서, 접합 물질(15)이 도포되기 전과 후의 원단(12, 13)들과 그 배치 상태가 도 7과 도 8에 예시되어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제1 가이드 롤러(21a)와 제2 가이드 롤러(21b)에 가까워질수록 원단(12, 13)들은 서로 근접하게 되며, 도포 구역(Z1)을 지나 제1 가이드 롤러(21a)와 제2 가이드 롤러(21b)를 통과하면서 실질적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도포 구역(Z1)에서, 원단(12, 13)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 접합 물질(15a)과 제2 접합 물질(15b)이 도포될 수 있다. 제1 접합 물질(15a)은 예를 들어, 도 3의 제1 접합 영역(151)을 형성하는 물질일 수 있고, 제2 접합 물질(15b)은 도 3의 제2 접합 영역(152)을 형성하는 물질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접합 물질(15)이 원단(12, 13)들 중 적어도 하나에 도포된 직후에 제1 접합 물질(15a)과 제2 접합 물질(15b)은 지정된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형 필름 합지 동작(33)에서, 원단(12, 13)들이 화살표 L 방향을 따라 합지 구역(laminating zone)(Z2)을 통과하며, 합지 구역(Z2)을 통과하는 동안 원단(12, 13)들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면서 제1 접합 물질(15a)과 제2 접합 물질(15b)이 원단(12, 13)들 사이의 간격 전체에 고르게 분포 또는 도포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합지 동작(33)에서 '이형 필름'이 언급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 제1 원단(12)과 제2 원단(13)은 글래스 층(102)과 보호 필름(103)을 형성하기 위한 원단일 수 있음을 앞서 언급한 바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접합 물질(15a)과 제2 접합 물질(15b)이 원단(12, 13)들 사이의 간격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면서 서로 혼합되는 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접합 물질(15a)과 제2 접합 물질(15b)이 혼합된 영역은 실질적으로 도 3의 제3 접합 영역(153)을 형성할 수 있다. 원단(12, 13)들은 합지 구역(Z2)을 지나 가압 구역(pressing zone)(Z3)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가압 구역(Z3)에서 제3 가이드 롤러(22)의 안내를 받으면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롤러(22)에 의한 진행 방향 전환 및/또는 원단(12, 13)들에 가해지는 장력은 원단(12, 13)들 사이의 간격 또는 접합 물질(15)의 두께를 더 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합 물질(15)의 두께를 제어함에 있어 제조 방법(30)은 원단(12, 13)(들)을 가압하는 동작(35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구역(Z3)에는 가압 장치(2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원단(12, 13)들이 제3 가이드 롤러(22)를 통과할 때 가압 장치(23)가 원단(12, 13)들을 가압할 수 있다. 가압 장치(23)는 예를 들어, 공기 분사 노즐이나 가압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하는 동작에서, 원단(12, 13)들 사이의 접합 물질(15) 두께나 부피가 제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접합 물질(15a) 또는 제2 접합 물질(15b)이 지정된 점도를 가진 경우, 두 접합 물질(15a, 15b)이 접촉되더라도 적절하게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하는 동작(35a)을 수행함으로써, 혼합 영역 또는 제3 접합 영역(153)에서 제1 접합 물질(15a)과 제2 접합 물질(15b)의 혼합을 촉진할 수 있다. 예컨대, 경화된 후, 제1 접합 영역(151)과 제2 접합 영역(153)의 경도 차이만큼, 제3 접합 영역(153)의 경도는 점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예: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100, 200) 상에서 접합층(105)의 경도 편차로 인한 화질의 저하를 억제 또는 완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경화시키는 동작(37)은 가압 구역(Z3)을 통과한 원단(12, 13)들 또는 접합 물질(15)을 경화 구역(hardening zone)(Z4)에서 열이나 빛에 노출시키는 동작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경화시키는 동작(37)은 가압 구역(Z3)을 통과한 원단(12, 13)들 또는 접합 물질(15)을 상온에서 지정된 시간동안 방치하는 동작일 수 있다. 접합 물질(15)의 성분에 따라 열 또는 자외선에 노출시킴으로써, 경화시키는 동작(37)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경화시키는 동작(37)을 수행하는 경화 장치(24)로는 광원(예: 자외선 광원)이나 히터(heater)가 활용될 수 있다. 가압 구역(Z3) 또는 경화 구역(Z4)을 통과한 원단(12, 13)들 또는 접합 물질(15)의 단면이 도 9에 예시되어 있다. 접합 물질(15)은 원단(12, 13) 사이에서 경화되어 접합층(105)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의 혼합 영역(159)은 도 8의 제1 접합 물질(15a)과 제2 접합 물질(15b)이 혼합 및/또는 경화된 부분을 지시하고 있으며, 혼합 영역(159)은 도 3의 제3 접합 영역(153) 또는 제5 접합 영역(155)으로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합 물질(15)이 경화된 후 접합층(105)은 대략 10㎛ 이상, 대략 100㎛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접합 물질(105)의 조성과 경화 전/후의 수축-팽창 특성을 고려하여 가압 구역(Z3)에서 가압 장치(23)가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합 물질(15)이 경화된 후 접합층(105)은 혼합 영역(159)에서 대략 0.02Mpa 이상, 대략 10.0MPa 이하의 경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도를 가지도록 접합 물질(15)의 성분과 성분비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접합층(105)은 제1 접합 물질(15a)에 의해 형성되면서 혼합 영역(159)이 아닌 부분에서 대략 10.0MPa 이상의 경도를 가지며, 제2 접합 물질(15b)에 의해 형성되면서 혼합 영역(159)이 아닌 부분에서 대략 0.02MPa 이하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접합 물질(15)이 경화된 후 접합층(105)은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이 대략 90% 이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또는 도 4의 디스플레이(100, 2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해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선행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의 참조번호가 동일하게 부여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접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함에 있어, 한 쌍의 하우징(예: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이 힌지 구조(예: 도 12의 힌지 모듈(30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에 관해 예시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실시예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를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세 개 이상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의 "한 쌍의 하우징"이라 함은 "세 개 이상의 하우징 중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두 개의 하우징"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가 세 개 이상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330)(예: 도 1의 디스플레이(100))는 추가의 폴딩 영역 또는 평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평면 영역과 복수의 폴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X / -X 방향", "+Y / -Y 방향" 또는 "+Z / -Z 방향"에 관해 언급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직교좌표계는 대체로 도 10 또는 도 11에서, 제1 하우징(310)의 폭 방향(X), 길이 방향(Y) 또는 두께 방향(Z)을 기준으로 설명되는 것임에 유의한다. 예컨대, 실시예에 따라 또는 전자 장치(300)의 다른 구조물을 기준으로 설정함에 따라, 위와 같은 방향의 정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전자 장치(300)나 하우징(310, 320)들의 '전면(front face)' 또는 '후면(rear face)'이 언급될 수 있으며, 이는 하우징(310, 320)들의 상대적인 위치(예: 펼쳐진 상태 또는 접혀진 상태)와 관계없이, 도 10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30)가 배치된 면을 '전자 장치(300)(또는 하우징들(310, 320))의 전면'으로 정의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330)가 배치된 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을 '전자 장치(300)(또는 하우징들(310, 320))의 후면'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300)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구성"에 관해 언급될 수 있으며,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도 1 내지 도 3 또는 도 10 내지 도 12의 디스플레이(100, 330)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300)는, 서로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하우징(310, 320), 하우징들(310, 320)의 접힘 가능한 부분을 커버하는 힌지 커버(예: 도 12의 힌지 커버(340)), 및 하우징들(310, 32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배치된 플렉서블(flexible) 또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330)가 배치된 면이 전자 장치(300) 및/또는 하우징들(310, 320)의 제1 면(310a) 및/또는 제3 면(320a)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면(310a) 및/또는 제3 면(320a)의 반대 면이 전자 장치(300) 및/또는 하우징들(310, 320)의 제2 면(310b) 및/또는 제4 면(320b)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면(310a)과 제2 면(310b) 사이의 공간 및/또는 제3 면(320a)과 제4 면(32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면은 전자 장치(300) 및/또는 하우징들(310, 320)의 측면(예: 제1 측면(311a) 및 제2 측면(321a))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들(310, 320)은, 제1 하우징(또는 제1 하우징 구조)(310), 센서 영역(324)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또는 제2 하우징 구조)(320), 제1 후면 커버(380), 제2 후면 커버(390) 및 힌지 구조(예: 힌지 모듈(302) 및/또는 힌지 커버(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의 하우징들(310, 320)은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형태나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이나 부품의 조합 및/또는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하우징(310)과 제1 후면 커버(38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하우징(320)과 제2 후면 커버(39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구조(예: 힌지 모듈(302) 및/또는 힌지 커버(340))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 축(A)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폴딩 축, 예를 들면, 도 12의 제1 회동축(P1)과 제2 회동축(P2)이 제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하우징들(310, 320)은 폴딩 축(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복수의 폴딩 축이 제공된 경우, 제1 하우징(310)은 제1 회동축(P1)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제2 하우징(320)은 제2 회동축(P2)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폴딩 축(A) 또는 제1 회동축(P1)과 제2 회동축(P2)은 힌지 모듈(302)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310)은 힌지 모듈(302)에 결합하여 제1 회동축(P1)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제1 방향(예: +Z 방향)을 향하는 제1 면(310a), 및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예: -Z 방향)을 향하는 제2 면(3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320)은 힌지 모듈(302)에 결합하여 제2 회동축(P2)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제3 방향을 향하는 제3 면(320a), 및 제3 방향과 반대인 제4 방향을 향하는 제4 면(320b)을 포함하며, 힌지 모듈(302)을 중심으로 제1 하우징(3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들(310, 320)은 힌지 모듈(302)에 대하여 및/또는 서로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으며, 힌지 모듈(302)의 설계에 따라 서로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310)이 힌지 모듈(30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힌지 모듈(302)은 제2 하우징(32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면(320a)이 향하는 제3 방향은 Z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펼침 상태 또는 접힘 상태에 따라 +Z 방향 또는 -Z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300)는 접힘(folded) 상태 또는 펼침(unfolded)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힌지 모듈(302)의 설계에 따라, 제1 회동축(P1)과 제2 회동축(P2) 사이의 간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 회동축(P1)과 제2 회동축(P2)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회동축(P1)과 제2 회동축(P2)이 서로 일치되어 도 10의 폴딩 축(A)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예: 한 쌍)의 힌지 구조 또는 힌지 모듈(302)이 하우징들(310, 320) 사이에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힌지 모듈(302)이 일정 정도의 간격을 두고 Y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의 내부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예: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이 한 쌍의 힌지 모듈(302) 사이의 간격 또는 공간을 통해, 제1 회동축(P1) 및/또는 제2 회동축(P2)과 교차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힌지 모듈(302)은 힌지 커버(34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 커버(340)는 하우징들(310, 320) 사이에서 힌지 모듈(302)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게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가 접힘(folded) 상태에서 제1 면(310a)이 제3 면(320a)에 대면할 수 있으며, 펼침(unfolded) 상태에서 제3 방향이 제1 방향과 동일하거나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은 서로 마주보게 접혀진 제1 위치(예: 도 11에 도시된 상태)와, 제1 위치로부터 지정된 각도(예: 180도 각도)만큼 펼쳐진 제2 위치(예: 도 10에 도시된 상태) 사이에서 서로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1 방향 및 제3 방향은 +Z 방향이고, 제2 방향 및 제4 방향은 -Z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가 접힘 상태에서, 제1 방향 및 제4 방향은 +Z 방향이고, 제2 방향 및 제3 방향은 -Z 방향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전자 장치(300)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방향을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은 폴딩 축(A)(예: 도 12의 회동축(P1, P2)들)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폴딩 축(A)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은 전자 장치(300)의 상태가 펼침 상태인지, 접힘 상태인지, 또는 중간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이루는 각도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320)은, 제1 하우징(310)과 달리, 다양한 센서들이 배치되는 센서 영역(324)을 추가로 포함하지만,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의 제1 하우징(310)의 측면 또는 제2 하우징(320)의 측면에는 디지털 펜이 삽입될 수 있는 홀(323)이 형성될 수 있다. 디지털 펜이 홀(323)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디지털 펜을 별도로 휴대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은 디스플레이(330)(예: 도 1 내지 도 3의 디스플레이(100))를 수용하는 리세스를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영역(324)으로 인해, 디스플레이(330)는 부분적으로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330)를 지지하기 위해 선택된 크기의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이나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재질로 형성된 적어도 일부분은 전자 장치(300)의 그라운드 면(ground plane)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인쇄회로 기판(예: 도 12의 회로 기판들(362, 364))에 형성된 그라운드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영역(324)은 제2 하우징(320)의 일 코너에 인접하여 또는 디스플레이(330)의 상단 중앙부에 중첩하는 소정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센서 영역(324)의 배치, 형상, 및/또는 크기는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 영역(324)은 제2 하우징(320)의 다른 코너 혹은 상단 코너와 하단 코너 사이의 임의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300)에 내장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들(components)이 센서 영역(324)을 통해, 또는 센서 영역(324)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개구(opening)를 통해 전자 장치(300)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부품들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리시버, 조도 센서 또는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후면 커버(380)는 폴딩 축(A)의 일측에서 전자 장치(300)(예: 제1 하우징(310))의 후면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가장자리(periphery)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하우징(310)에 의해 가장자리가 감싸질 수 있다. 유사하게, 폴딩 축(A)의 타측에서 제2 후면 커버(390)는 전자 장치(300)(예: 제2 하우징(320))의 후면에 배치되고, 제2 하우징(320)에 의해 그 가장자리가 감싸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후면 커버(380) 및 제2 후면 커버(390)는 폴딩 축(A 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 후면 커버(380) 및 제2 후면 커버(390)가 반드시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300)는 다양한 형상의 제1 후면 커버(380) 및 제2 후면 커버(3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후면 커버(380)는 제1 하우징(3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후면 커버(390)는 제2 하우징(3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후면 커버(380), 제2 후면 커버(390),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은 전자 장치(300)의 다양한 부품들(예: 인쇄회로 기판, 또는 배터리)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의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부품(components)이 배치되거나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는 제1 후면 커버(380)의 제1 후면 영역(382)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서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후면 커버(390)의 제2 후면 영역(392)을 통해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센서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후면 영역(392)을 통해 노출되는 센서는 근접 센서 및/또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영역(324)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개구(opening)를 통해 전자 장치(300)의 전면에 노출된 전면 카메라 또는 제2 후면 커버(390)의 제2 후면 영역(392)을 통해 노출된 후면 카메라는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2 후면 영역(392)에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하는 플래시가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렌즈들(적외선 카메라,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전자 장치(300)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힌지 커버(340)는,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 부품(예: 도 12의 힌지 구조 또는 힌지 모듈(302))을 수용하여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커버(340)는, 전자 장치(300)의 상태(펼침 상태(flat state) 또는 접힘 상태(folded state))에 따라,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1 위치,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접힘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이 서로 마주보게 접혀지고, 힌지 커버(340)는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위치,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펼침 상태에서,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이 제1 위치로부터 180도 각도만큼 펼쳐지고, 힌지 커버(340)는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에 의해 실질적으로 은폐 또는 수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folded with a certain angle)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340)는 부분적으로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의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노출되는 영역은 접힘 상태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 커버(340)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330)는, 하우징들(310, 3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30)는 하우징들(310, 320)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recess)에 안착되며, 전자 장치(300)의 전면의 대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3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330) 및 디스플레이(330)에 인접한 제1 하우징(310)의 일부 영역 및 제2 하우징(320)의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300)의 후면은 제1 후면 커버(380), 제1 후면 커버(380)에 인접한 제1 하우징(310)의 일부 영역, 제2 후면 커버(390) 및 제2 후면 커버(390)에 인접한 제2 하우징(320)의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33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330)는 폴딩 영역(333)(예: 도 1 내지 도 3의 폴딩 영역(FA)), 폴딩 영역(333)을 기준으로 일측(예: 도 10에 도시된 폴딩 영역(333)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영역(331)(예: 도 1 내지 도 3의 제1 평면 영역(PA1)) 및 타측(예: 도 10에 도시된 폴딩 영역(333)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영역(332)(예: 도 1 내지 도 3의 제2 평면 영역(P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331)은 예를 들면, 제1 하우징(310)에 배치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영역(332)은 제2 하우징(320)에 배치된 영역의 의미하고, 폴딩 영역(333)은 제1 영역(331)과 제2 영역(332)을 연결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폴딩 영역(333)은 힌지 모듈(302)이 배치된 영역에 상응하게 배치되며, 힌지 모듈(302)을 사이에 두고 힌지 커버(34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힘 동작이나 펼침 동작에서, 폴딩 영역(333)은 평판 형상과 지정된 곡률을 가진 곡면 형상 사이에서 점차 변형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한 디스플레이(330)의 영역 구분은 예시적인 것이며, 디스플레이(330)는 구조 또는 기능에 따라 복수(예를 들어, 4개 이상 혹은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Y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폴딩 영역(333) 또는 폴딩 축(A축)에 의해 디스플레이(330)의 영역이 구분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330)는 다른 폴딩 영역(예: X축에 평행한 폴딩 영역) 또는 다른 폴딩 축(예: X축에 평행한 폴딩 축)을 기준으로 영역이 구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330)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331)과 제2 영역(332)은 폴딩 영역(333)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2 영역(332)은, 제1 영역(331)과 달리, 센서 영역(324)의 존재에 따라 컷(cut)된 노치(notch) 또는 투명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의 영역에서는 제1 영역(331)과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영역(331)과 제2 영역(332)은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과, 서로 비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300)의 상태(예: 펼침 상태(flat state, 또는 unfolded state) 및 접힘 상태(folded state))에 따른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의 동작과 디스플레이(330)의 각 영역을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가 펼침 상태(flat state)(예: 도 10)인 경우,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은 지정된 각도, 예를 들면 180도 각도를 이루며 디스플레이(330)의 제1 영역(331)과 제2 영역(332)이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30)의 제1 영역(331)의 표면과 제2 영역(332)의 표면은 서로 180도 각도를 형성하며, 동일한 방향(예: 전자 장치의 전면 방향)을 향할 수 있다. 폴딩 영역(333)은 제1 영역(331) 및 제2 영역(332)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가 접힘 상태(folded state)(예: 도 11)인 경우,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30)의 제1 영역(331)의 표면과 제2 영역(332)의 표면은 서로 좁은 각도(예: 0도에서 10도 사이)를 형성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마주볼 수 있다. 폴딩 영역(333)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힘 상태로부터 펼침 상태로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이 회동함에 따라, 폴딩 영역(333)의 곡률이 점차 작아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가 중간 상태(folded state)인 경우,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은 서로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a certain angle), 예를 들면, 도 11의 제1 위치와 도 10의 제2 위치 사이의 임의의 각도를 이루게 배치될 수 있다. 중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330)의 제1 영역(331)의 표면과 제2 영역(332)의 표면은 접힘 상태보다 크고 펼침 상태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게 배치될 수 있다. 폴딩 영역(333)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의 곡률은 접힘 상태(folded state)인 경우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는 하우징들(310, 320), 디스플레이(330) 및 힌지 커버(3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들(310, 320)은, 제1 하우징(310), 제2 하우징(320), 브라켓 어셈블리(350), 제1 후면 커버(380), 제2 후면 커버(390), 및 힌지 구조(30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330)는 디스플레이 패널(335), 디스플레이 패널(335)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플레이트(337)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337)는 디스플레이 패널(335)과 브라켓 어셈블리(350)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 어셈블리(350)는 제1 미드 플레이트(352) 및 제2 미드 플레이트(3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미드 플레이트(352) 및 제2 미드 플레이트(354) 사이에는 힌지 구조 또는 힌지 모듈(302)이 배치될 수 있다. 외부에서 바라볼 때, 힌지 모듈(302)은 힌지 커버(예: 도 11의 힌지 커버(340))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미드 플레이트(352)와 제2 미드 플레이트(354)를 가로지르는 배선(예: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 브라켓 어셈블리(350)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들(362, 364)은, 제1 미드 플레이트(352)에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362)과 제2 미드 플레이트(354)에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3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362)과 제2 회로 기판(364)은, 브라켓 어셈블리(350), 제1 하우징(310), 제2 하우징(320), 제1 후면 커버(380) 및 제2 후면 커버(39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362)과 제2 회로 기판(364)에는 전자 장치(3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전기/전자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제1 회로 기판(362)과 제2 회로 기판(364)은 전기/전자 부품들 중 하나로 해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20)은 브라켓 어셈블리(350)에 디스플레이(3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브라켓 어셈블리(350)의 양측으로 결합되도록 서로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310)은 제1 미드 플레이트(352)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 측면 부재(31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하우징(320)은 제2 미드 플레이트(354)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 측면 부재(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310)은 제1 회전 지지면(31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하우징(320)은 제1 회전 지지면(312)에 대응되는 제2 회전 지지면(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면(312)과 제2 회전 지지면(322)은 힌지 커버(340)에 포함된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측면 부재(311)는 제1 면(310a) 과 제2 면(310b)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과 수직인 제1 측면(311a; 도 10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측면 부재(321)는 제3 면(320a)과 제4 면(320b) 사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제3 방향 또는 제4 방향과 수직인 제2 측면(321a; 도 10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회전 지지면(312)과 제2 회전 지지면(322)이, 전자 장치(300)가 펼침 상태(예: 도 10의 전자 장치)인 경우, 힌지 커버(340)를 은폐함으로써, 힌지 커버(340)는 전자 장치(300)의 후면으로 노출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펼침 상태에서, 힌지 커버(340)는 제1 회전 지지면(312)과 제2 회전 지지면(322)과 마주보게 위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하우징(310) 또는 제2 하우징(320)이 형성하는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회전 지지면(312)과 제2 회전 지지면(322)이, 전자 장치(300)가 접힘 상태(예: 도 11의 전자 장치)인 경우, 힌지 커버(340)는 전자 장치(300)의 외부 공간으로 최대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369a, 369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는 하우징들(310, 32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또는 두 하우징들(310, 320) 각각에 배치된 배터리(369a, 369b)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69a, 369b)는 실질적으로 회로 기판들(362, 364)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3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369a, 369b)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0의 X축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330)(예: 도 1 내지 도 3의 디스플레이(100))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330)는 더미 부재(341) 및/또는 접착 부재(343)(들)에 의해 미드 플레이트(352, 354)에 부착될 수 있다. 미드 플레이트(352, 354)는 제1 영역(331)과 제2 영역(332) 또는, 도 2의 제1 평면 영역(PA1)과 제2 평면 영역(PA2)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접합층(105a, 105b, 105c)들 중 적어도 하나가 폴딩 영역(333) 또는 도 2의 폴딩 영역(FA)에 상응하는 부분에서 낮은 경도(예: 대략 0.02MPa 이하)를 가짐으로써, 전자 장치(300)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동작이 원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딩 영역(333), 도 2의 폴딩 영역(FA) 및/또는 접합층(105a, 105b, 105c)들은 곡률 반경이 대략 4mm인 곡면 형태로 변형될 때 대략 20만회의 반복된 변형에도 균열이 발생되지 않는 내구도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합층(105a, 105b, 105c)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영역(331), 제2 영역(332) 또는 도 2의 평면 영역(PA1, PA2)들에 상응하는 부분에서 높은 경도(예: 대략 10.0MPa 이하)를 가짐으로써, 굽힘 변형이 불필요한 부분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1)의 보호 구조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합층(105a, 105b, 105c)들의 부분적인 경도 차이는 광 투과율이나 굴절율의 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접합층(105a, 105b, 105c)들의 부분적인 경도 차이는 화질의 편차 또는 화질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원인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접합층(105a, 105b, 105c)의 혼합 영역(예: 도 9의 혼합 영역(159))이나 제3 접합 영역(예: 도 3의 제3 접합 영역(153))은 경도가 서로 다른 두 부분 사이에서 점진적인 또는 연속적인 경도의 변화를 가짐으로써, 경도 차이로 인한 화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3)(예: 도 4의 디스플레이(200))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예: 도 4의 폴딩 영역(FA))이 제2 하우징(402)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3)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이 제2 하우징(402)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은 전자 장치(400)의 전면에서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403)(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우측 방향으로 확장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다만, 디스플레이(403)의 확장 방향은 하나의 방향(예: 좌측 방향)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며, 좌측 방향 및/또는 양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상태는 제2 하우징(402)에 대하여 제1 하우징(401)이 폐쇄(closed)된 것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도 15에 도시된 상태는 제2 하우징(402)에 대하여 제1 하우징(401)이 개방(open)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닫힌 상태(closed state)" 또는 "열린 상태(opened state)"는 전자 장치(400)가 폐쇄되거나 열린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는 하우징(401, 40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01, 402)은 제2 하우징(402), 및 제2 하우징(40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 하우징(401)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400)에서 제2 하우징(402)이 제1 하우징(401)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구조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401)은 제2 하우징(402)을 기준으로 도시된 방향, 예를 들어, 화살표 ①로 지시된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401)은, 예를 들면, 제1 구조물, 슬라이드부 또는 슬라이드 하우징으로 칭해질 수 있으며, 제2 하우징(402) 상에서 왕복 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401)은 회로기판이나 배터리와 같은 각종 전기, 전자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제2 하우징(402)은, 예를 들면, 제2 구조물, 메인부 또는 메인 하우징으로 칭해질 수 있으며, 제1 하우징(4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3)의 일부분(예: 제1 디스플레이 영역(A1))은 제1 하우징(401)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3)의 다른 일부분(예: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은, 제1 하우징(401)이 제2 하우징(402)에 대하여 이동(예: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제2 하우징(402)의 내부로 수납(예: 슬라이드 인(slide-in) 동작)되거나, 제2 하우징(402)의 외부로 노출(예: 슬라이드 아웃(slide-out)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401) 내에는 모터, 스피커, 심소켓 및/또는 메인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서브 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402) 내에는 AP(application processor), CP(communication processor)와 같은 전기 부품들이 장착된 메인 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401)은 제1 플레이트(411)(예: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411)는 제1 플레이트(411)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제1 면(예: 도 15의 제1 면(F1)) 및 제1 면(F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면(F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411)는 디스플레이(403)의 적어도 일부(예: 제1 디스플레이 영역(A1))를 지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401)은 제1 플레이트(411), 제1 플레이트(411)에서 연장된 제1-1 측벽(411a), 제1-1 측벽(411a)과 제1 플레이트(411)에서 연장된 제1-2 측벽(411b) 및 제1-1 측벽(411a)과 제1 플레이트(411)에서 연장되고, 제1-2 측벽(411b)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3 측벽(411c)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하우징(402)은 제2 플레이트(421)(예: 메인 케이스), 제2 플레이트(421)에서 연장된 제2-1 측벽(421a), 제2-1 측벽(421a)과 제2 플레이트(421)에서 연장된 제2-2 측벽(421b) 및 제2-1 측벽(421a)과 제2 플레이트(421)에서 연장되고, 제2-2 측벽(421b)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3 측벽(421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2 측벽(421b)과 제2-3 측벽(421c)은 제2-1 측벽(421a)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레이트(421), 제2-1 측벽(421a), 제2-2 측벽(421b) 및 제2-3 측벽(421c)은 제1 하우징(40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또는 감싸도록) 일측(예: 전면(front face))이 열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40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지는 상태로 제2 하우징(402)에 결합되고, 제2 하우징(402)의 안내를 받으면서 제1 면(F1) 또는 제2 면(F2)과 평행한 방향, 예를 들어, 화살표 ①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레이트(421), 제2-1 측벽(421a), 제2-2 측벽(421b) 및/또는 제2-3 측벽(421c)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레이트(421), 제2-1 측벽(421a), 제2-2 측벽(421b) 및/또는 제2-3 측벽(421c)은 별개의 하우징으로 형성되어 결합 또는 조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플레이트(421) 및/또는 제2-1 측벽(421a)는 디스플레이(403)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403)의 적어도 일부(예: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 또는 도 4의 폴딩 영역(FA))는 제2 하우징(402)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으며, 제2 플레이트(421) 및/또는 제2-1 측벽(421a)는 제2 하우징(402)의 내부로 수납된 디스플레이(403)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401)은 제2-2 측벽(421b) 또는 제2-3 측벽(421c)에 평행한 제1 방향(예: ① 방향)으로 제2 하우징(402)에 대하여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로 이동 가능하며, 제1 하우징(401)은 폐쇄 상태에서 제2-1 측벽(421a)으로부터 제1 거리에 위치하고, 개방 상태에서 제2-1 측벽(421a)으로부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에 위치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폐쇄 상태일 때, 제1 하우징(401)은 제2-1 측벽(421a)의 일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403), 키 입력 장치(441), 커넥터 홀(443), 오디오 모듈(447a, 447b) 또는 카메라 모듈(449a, 449b)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전자 장치(400)는 인디케이터(예: LED 장치) 또는 각종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3)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A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 영역(A1)은 제2 하우징(40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A1)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하우징(401)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제2 하우징(402)(예: 구조물)의 내부로 삽입 또는 수납되거나, 상기 제2 하우징(40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은 실질적으로 제1 하우징(401)의 일 영역(예: 도 16의 굴곡면(450))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하여 상기 제2 하우징(402)의 내부, 또는 제1 하우징(401)과 제2 하우징(4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수납되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은 제1 하우징(401)의 제1 방향(예: 화살표 ①로 지시된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에 기초하여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우징(401)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동안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의 일부분이 제1 하우징(401)의 굴곡면(45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곡면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411)(예: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제1 하우징(401)이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이동하면,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은 점차 제2 하우징(402)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A1)과 함께 실질적으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3)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하우징(402)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으며, 도 14에 도시된 상태(예: 폐쇄 상태)에서도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의 일부는 시각적으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 상태 또는 개방 상태와 무관하게, 노출된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의 일부는 제1 하우징의 일부(예: 도 16의 굴곡면(450))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굴곡면(45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의 일부는 곡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키 입력 장치(441)는 제1 하우징(401)의 일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외관과 사용 상태에 따라, 도시된 키 입력 장치(441)가 생략되거나, 추가의 키 입력 장치(들)을 포함하도록 전자 장치(400)가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도시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 예를 들면, 홈 키 버튼, 또는 홈 키 버튼 주변에 배치되는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키 입력 장치(441)의 적어도 일부는 제2 하우징(402)의 제2-1 측벽(421a), 제2-2 측벽(421b) 또는 제2-3 측벽(421c)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홀(443)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지만, 전자 장치(400)는 복수의 커넥터 홀(4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커넥터 홀(443) 중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 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넥터 홀(443)은 제2-3 측벽(421c)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커넥터 홀(443) 또는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 홀이 제2-1 측벽(421a) 또는 제2-2 측벽(421b)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447a, 447b)은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홀(447a), 또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홀(447b)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홀(447a) 중 하나는 음성 통화용 리시버 홀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외부 스피커 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는 마이크 홀(447b)을 통하여 전자 장치(400)의 외부의 소리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스피커 홀(447a)과 마이크 홀(447b)이 하나의 홀로 구현된 오디오 모듈을 포함하거나, 스피커 홀(447a)이 제외된 스피커를 포함될 수 있다(예: 피에조 스피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449a, 449b)은 제1 카메라 모듈(449a) 및 제2 카메라 모듈(44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카메라 모듈(449b)은 제1 하우징(401)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403)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A1)과는 반대 방향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449a, 449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광각 카메라, 망원 카메라 또는 접사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적외선 프로젝터 및/또는 적외선 수신기를 포함함으로써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49a, 449b)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449a)은 디스플레이(403)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449a)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A1)의 주위 또는 디스플레이(403)와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403)과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된 경우 디스플레이(403)를 투과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카메라 모듈(449a)은 화면 표시 영역(예: 제1 디스플레이 영역(A1))으로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감춰진 디스플레이 배면 카메라(under display camera; UD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의 인디케이터(미도시)는 제1 하우징(401) 또는 제2 하우징(402)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함으로써 전자 장치(400)의 상태 정보를 시각적인 신호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센서 모듈(미도시)은, 전자 장치(4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은, 예를 들어, 근접 센서, 지문 센서 또는 생체 센서(예: 홍채/안면 인식 센서 또는 HRM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는 제1 하우징(401), 제2 하우징(402), 디스플레이(403)(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폴더블 디스플레이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및 지지 구조(413)(예: 다관절 힌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3)의 일부분(예: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은 제1 하우징(401)의 굴곡면(450)을 따라 전자 장치(400)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도 16의 제1 하우징(401), 제2 하우징(402), 및 디스플레이(403)의 구성은 도 14 및 도 15의 제1 하우징(401), 제2 하우징(402), 및 디스플레이(403)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하우징(401)은 제1 플레이트(411) 및 슬라이드 커버(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411) 및 슬라이드 커버(412)는 제2 하우징(402)에 장착(예: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고, 제2 하우징(402)의 안내를 받으면서 일 방향(예: 도 15의 화살표 ①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411)는 디스플레이(403)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레이트(411)는 제1 면(F1)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403)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A1)은 실질적으로 제1 면(F1)에 위치하여 평판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슬라이드 커버(412)는 제1 플레이트(411)에 위치한 디스플레이(403)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403)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플레이트(411) 및 슬라이드 커버(4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411) 및 슬라이드 커버(412)는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411)는 전자 장치(400)의 부품들 중 적어도 일부(예: 배터리(489)(예: 도 1의 배터리(189), 구동 모터(486), 및 랙(487))를 수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 구조(413)는 제1 하우징(401)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구조(413)는 제1 플레이트(411) 및 슬라이드 커버(4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401)이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지지 구조(413)는 제2 하우징(402)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지지 구조(413)는 폐쇄 상태(예: 도 14)에서는, 대부분의 구조가 제2 하우징(402)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구조(413)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하우징(401)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굴곡면(450)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 구조(413)는 복수의 바(bar)(414)(또는 복수의 봉(rods)) 및 가이드 레일(415)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바(414)들은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굴곡면(450)이 형성하는 회전축(R)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회전축(R)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예: 제1 하우징(401)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이드 레일(415)은 복수의 바(414)들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15)은 제1 플레이트(411)의 상단과 결합하고, 복수의 바(414)들 상단 부분과 연결된 상단 가이드 레일, 및 제1 플레이트(411)의 하단과 결합하고, 복수의 바(414)들 하단 부분과 연결된 하단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확대 영역(S1)을 참고하면, 복수의 바(414)들이 굴곡면(450)을 이동하면서 벤딩되거나 슬라이드 될 때, 복수의 바(414)들의 상단 부분 및/또는 하단 부분이 가이드 레일(415)과 끼움 결함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바(414)들의 상단 부분 및/또는 하단 부분이 가이드 레일(415) 내측에 형성된 홈 형상의 레일(4151)에 끼인 상태로 상기 레일(415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486)의 구동(예: 디스플레이 슬라이드 아웃을 위한 구동)에 의해, 모터(486)가 배치된 제1 플레이트(411)가 슬라이드 아웃 동작하고, 가이드 레일(415) 내측의 돌출 부분(4152)이 벤딩된 복수의 바(414)들의 상단 부분 및/또는 하단 부분을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플레이트(411) 및 슬라이드 커버(412) 사이에 수용되었던 디스플레이(403)가 전면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486)의 구동(예: 디스플레이 슬라이드 인을 위한 구동)에 의해, 모터(486)가 배치된 제1 플레이트(411)가 슬라이드 인 동작하고, 가이드 레일(415) 외측 부분(예: 돌출 부분(4152) 이외의 부분)이 벤딩된 복수의 바(414)들의 상단 부분 및/또는 하단 부분을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확장되었던 디스플레이(403)가 제1 플레이트(411) 및 슬라이드 커버(412) 사이로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랙(487)은 제2 하우징(402) 내에 배치되고, 제1 하우징(401) 및 디스플레이(403)의 슬라이드 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2 확대 영역(S2)은 제2 플레이트(421)의 후면(예: -Z축을 향하는 면)을 나타낸다. 제2 확대 영역(S2)을 참고하면, 랙(487)은 제2 하우징(402)의 제2 플레이트(421)의 일면(예: -Z축을 향하는 일면) 상에 고정 배치되고,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구동 모터(486)에 연결된 기어가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랙(487)은 제1 하우징(401) 내에 배치되고, 모터(486)는 제2 하우징(40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랙(487)은 제2 하우징(402) 및 디스플레이(403)의 슬라이드 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랙(487)은 제1 하우징(401)의 제1 플레이트(411) 상에 고정 배치되고, 제2 하우징(402)의 제2 플레이트(421) 상에 배치된 구동 모터(486)에 연결된 기어와 회전하면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하우징(402)은 제2 플레이트(421), 제2 플레이트 커버(422), 및 제3 플레이트(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421)는 전자 장치(400)를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421)는 일면에 제1 플레이트(411)가 배치되고, 타면에 인쇄 회로 기판(404)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레이트(421)는 전자 장치(400)의 부품(예: 배터리(489)), 회로 기판(404))을 수용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 커버(422)는 제2 플레이트(421)에 위치한 각 종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402)에 수용되는 기판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메인 기판인 회로 기판(404)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404)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유형의 무선 주파수 케이블(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ype radio frequency cable, FR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기판(404)은 제2 플레이트(421)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고, 안테나 모듈 및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제2 하우징(402) 내에서 회로 기판(404)과 이격된 별도의 서브 회로 기판(4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회로 기판(490)은 연결 플렉서블 기판(491)을 통해 회로 기판(40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브 회로 기판(490)은 배터리(489) 또는 스피커, 및/또는 심소켓과 같이, 전자 장치(400)의 단부 영역에 배치된 전기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및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489)는 전자 장치(4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489)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회로 기판(404)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489)는 전자 장치(400) 내부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전자 장치(400)와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489)는 일체형의 하나의 배터리로 형성되거나 복수 개로 분리형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체형 배터리가 제1 플레이트(411)에 위치할 경우, 제1 플레이트(411)의 슬라이드 이동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플레이트(423)는 실질적으로 제2 하우징(402) 또는 전자 장치(400)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플레이트(423)는 제2 플레이트 커버(422)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플레이트(423)는 제2 플레이트 커버(422)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플레이트(423)는 전자 장치(400)의 외관에서 장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421) 및 제2 플레이트 커버(422)는 금속 또는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제3 플레이트(423)는 금속, 유리, 합성수지 또는 세라믹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레이트(421), 제2 플레이트 커버(422) 및/또는 제3 플레이트(423)는 적어도 부분적(예: 보조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빛을 투과하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403)의 일부(예: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가 전자 장치(40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400)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을 이용하여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2 하우징(402) 내부에 수납된 디스플레이(403)가 위치한 제2 플레이트(421), 제2 플레이트 커버(422) 및/또는 제3 플레이트(423)의 일 부분일 수 있다.
도 17은 도 15의 화살표 ① 방향을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3)(예: 도 4의 디스플레이(200))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3)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A1)은 도 4의 평면 영역(PA)에 상응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은 도 4의 폴딩 영역(FA)에 상응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에 상응하는 부분에서 접합층(105a, 105b, 105c)들 중 적어도 하나는 대략 0.02MPa 이하의 낮은 경도를 가짐으로써,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이 수납되거나 노출되는 동작에서 곡면 형태로 원활하게 변형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 영역(A2)에서 글래스 층(102)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A1)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전자 장치(400) 또는 디스플레이(403)는 광학 수지(405)를 더 포함함으로써, 글래스 층(102)에서의 두께 차이, 이러한 두께 차이로 인한 광학 특성의 편차를 보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평면 영역(first plane area)(예: 도 1 내지 도 3의 제1 평면 영역(PA1) 또는 도 4의 평면 영역(PA))과, 상기 제1 평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평면 형상과 곡면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folding area)(예: 도 1 내지 도 4의 폴딩 영역(FA))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예: 도 1 내지 도 4의 디스플레이(100, 200))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도 10 내지 도 17의 전자 장치(300, 400))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예: 도 1 내지 도 4의 디스플레이 패널(101)),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된 화면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 글래스 층(glass layer)(예: 도 1 내지 도 4의 글래스 층(102)), 상기 글래스 층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된 화면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 보호 필름(protection film)(예: 도 1 내지 도 4의 보호 필름(103)), 상기 글래스 층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글래스 층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제1 접합층(예: 도 1 내지 도 4의 제1 접합층(105a)), 및 상기 보호 필름과 상기 글래스 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호 필름을 상기 글래스 층의 전면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제2 접합층(예: 도 1 내지 도 4의 제2 접합층(105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층 또는 상기 제2 접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평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며 제1 경도(first hardness)를 가진 제1 접합 영역(예: 도 3의 제1 접합 영역(151))과, 상기 폴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며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가진 제2 접합 영역(예: 도 3의 제2 접합 영역(152))과, 상기 제1 접합 영역과 상기 제2 접합 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경도보다 낮고 제2 경도보다 높은 제3 경도를 가진 제3 접합 영역(예: 도 3의 제3 접합 영역(15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접합 영역은 상기 제2 접합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접합 영역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3 경도가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경도는 0.02Mpa 이상, 10.0MPa 이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합층 또는 상기 제2 접합층의 두께는 1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합층 또는 상기 제2 접합층은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이 90% 이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글래스 층과 제1 접합층 사이 또는, 상기 글래스 층과 제2 접합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제3 접합층(예: 도 1 또는 도 3의 제3 접합층(1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폴딩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2 평면 영역(예: 도 1 내지 도 3의 폴딩 영역(FA))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딩 영역이 곡면 형상으로 변형됨에 따라 상기 제2 평면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평면 영역에 마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 도 11 참조)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합층 또는 상기 제2 접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평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며 상기 제2 경도보다 높은 제4 경도를 가진 제4 접합 영역(예: 도 3의 제4 접합 영역(154))과, 상기 제4 접합 영역과 상기 제2 접합 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4 경도보다 낮고 제2 경도보다 높은 제5 경도를 가지는 제5 접합 영역(예: 도 3의 제5 접합 영역(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5 접합 영역은 상기 제2 접합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4 접합 영역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5 경도가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5 경도는 0.02Mpa 이상, 10.0MPa 이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0 내지 도 13의 전자 장치(300))는, 제1 평면 영역(예: 도 1 내지 도 3의 제1 평면 영역(PA1) 또는 도 10 내지 도 12의 제1 영역(331))과, 상기 제1 평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평면 형상과 곡면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폴딩 영역(예: 도 1 내지 도 3의 폴딩 영역(FA) 또는 도 10 내지 도 12의 제3 영역(333))과, 상기 폴딩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2 평면 영역(예: 도 1 내지 도 3의 제2 평면 영역(PA2) 또는 도 10 내지 도 12의 제2 영역(33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예: 도 1 내지 도 4의 디스플레이(100, 200) 또는 도 10의 디스플레이(330)), 상기 제1 평면 영역이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1 하우징(예: 도 10 내지 도 12의 제1 하우징(310)), 상기 제1 하우징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주보는 제1 위치(예: 도 11에 도시된 상태)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지정된 각도만큼 펼쳐진 제2 위치(예: 도 10에 도시된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평면 영역이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2 하우징(예: 도 10 내지 도 12의 제2 하우징(320)), 적어도 하나의 폴딩 축(예: 도 10의 폴딩 축(A))을 제공하며 상기 폴딩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구조(예: 도 12의 힌지 모듈(302) 및/또는 힌지 커버(340))로서, 상기 폴딩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힌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 내지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101)),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된 화면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 글래스 층(예: 도 1 내지 도 3의 글래스 층(102)), 상기 글래스 층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된 화면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 보호 필름(예: 도 1 내지 도 3의 보호 필름(103)), 상기 글래스 층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글래스 층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제1 접합층(예: 도 1 내지 도 3의 제1 접합층(105a)), 및 상기 보호 필름과 상기 글래스 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호 필름을 상기 글래스 층의 전면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제2 접합층(예: 도 1 내지 도 3의 제2 접합층(105b))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층 또는 상기 제2 접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평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며 제1 경도를 가진 제1 접합 영역(예: 도 3의 제1 접합 영역(151))과, 상기 폴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며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가진 제2 접합 영역(예: 도 3의 제2 접합 영역(152))과, 상기 제1 접합 영역과 상기 제2 접합 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경도보다 낮고 제2 경도보다 높은 제3 경도를 가진 제3 접합 영역(예: 도 3의 제3 접합 영역(153))과, 상기 제2 평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며 상기 제2 경도보다 높은 제4 경도를 가진 제4 접합 영역(예: 도 3의 제4 접합 영역(154))과, 상기 제4 접합 영역과 상기 제2 접합 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4 경도보다 낮고 제2 경도보다 높은 제5 경도를 가진 제5 접합 영역(예: 도 3의 제5 접합 영역(155))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접합 영역은, 상기 폴딩 영역의 곡률 반경이 4mm인 곡면 형태로 20만회 변형되는 조건에서 균열(crack)을 발생시키지 않는 내구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접합 영역은 상기 제2 접합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접합 영역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3 경도가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5 접합 영역은 상기 제2 접합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4 접합 영역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5 경도가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경도 또는 상기 제5 경도 중 적어도 하나는 0.02Mpa 이상, 10.0MPa 이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합층 또는 상기 제2 접합층의 두께는 1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합층 또는 상기 제2 접합층은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이 90% 이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글래스 층과 제1 접합층 사이 또는, 상기 글래스 층과 제2 접합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제3 접합층(예: 도 1 또는 도 3의 제3 접합층(1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평면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평면 영역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합층 또는 상기 제2 접합층 중 적어도 상기 제2 접합층이, 상기 제1 접합 영역, 상기 제2 접합 영역, 상기 제3 접합 영역, 상기 제4 접합 영역 및 상기 제5 접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양한 실시예에 관해 예시하여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를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을 포함하여, 본 개시의 전체 관점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그 형식과 세부적인 구성에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평면 영역과 1개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1개의 평면 영역과 1개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가 예시되었지만,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3개 이상의 평면 영역과 2개 이상의 폴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100, 200: 디스플레이 300, 400: 전자 장치
101: 디스플레이 패널 102: 글래스 층
103: 보호 필름 105: 접착층
151: 제1 접합 영역 152: 제2 접합 영역
153: 제3 접합 영역 PA1: 제1 평면 영역
PA2: 제2 평면 영역 FA: 폴딩 영역

Claims (20)

  1. 제1 평면 영역(first plane area)과, 상기 제1 평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평면 형상과 곡면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folding area)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된 화면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 글래스 층(glass layer);
    상기 글래스 층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된 화면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 보호 필름(protection film);
    상기 글래스 층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글래스 층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제1 접합층; 및
    상기 보호 필름과 상기 글래스 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호 필름을 상기 글래스 층의 전면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제2 접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층 또는 상기 제2 접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평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며 제1 경도(first hardness)를 가진 제1 접합 영역과,
    상기 폴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며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가진 제2 접합 영역과,
    상기 제1 접합 영역과 상기 제2 접합 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경도보다 낮고 제2 경도보다 높은 제3 경도를 가진 제3 접합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합 영역은 상기 제2 접합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접합 영역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3 경도가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경도는 0.02Mpa 이상, 10.0MPa 이하인 디스플레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층 또는 상기 제2 접합층의 두께는 10㎛ 이상, 100㎛ 이하인 디스플레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층 또는 상기 제2 접합층은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이 90% 이상인 디스플레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층과 제1 접합층 사이 또는, 상기 글래스 층과 제2 접합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제3 접합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폴딩 영역이 곡면 형상으로 변형됨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평면 영역에 마주보도록 구성된 제2 평면 영역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층 또는 상기 제2 접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평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며 상기 제2 경도보다 높은 제4 경도를 가진 제4 접합 영역과,
    상기 제4 접합 영역과 상기 제2 접합 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4 경도보다 낮고 제2 경도보다 높은 제5 경도를 가지는 제5 접합 영역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접합 영역은 상기 제2 접합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4 접합 영역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5 경도가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경도는 0.02Mpa 이상, 10.0MPa 이하인 디스플레이.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평면 영역과, 상기 제1 평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평면 형상과 곡면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폴딩 영역과, 상기 폴딩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2 평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평면 영역이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주보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지정된 각도만큼 펼쳐진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평면 영역이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2 하우징;
    적어도 하나의 폴딩 축을 제공하며 상기 폴딩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구조로서, 상기 폴딩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힌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된 화면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 글래스 층;
    상기 글래스 층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된 화면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된 보호 필름;
    상기 글래스 층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글래스 층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제1 접합층; 및
    상기 보호 필름과 상기 글래스 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호 필름을 상기 글래스 층의 전면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된 제2 접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층 또는 상기 제2 접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평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며 제1 경도를 가진 제1 접합 영역과,
    상기 폴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며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가진 제2 접합 영역과,
    상기 제1 접합 영역과 상기 제2 접합 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경도보다 낮고 제2 경도보다 높은 제3 경도를 가진 제3 접합 영역과,
    상기 제2 평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며 상기 제2 경도보다 높은 제4 경도를 가진 제4 접합 영역과,
    상기 제4 접합 영역과 상기 제2 접합 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4 경도보다 낮고 제2 경도보다 높은 제5 경도를 가진 제5 접합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 영역은, 상기 폴딩 영역의 곡률 반경이 4mm인 곡면 형태로 20만회 변형되는 조건에서 균열(crack)을 발생시키지 않는 내구도를 가지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합 영역은 상기 제2 접합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접합 영역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3 경도가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접합 영역은 상기 제2 접합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4 접합 영역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제5 경도가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경도 또는 상기 제5 경도 중 적어도 하나는 0.02Mpa 이상, 10.0MPa 이하인 전자 장치.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층 또는 상기 제2 접합층의 두께는 10㎛ 이상, 100㎛ 이하인 전자 장치.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층 또는 상기 제2 접합층은 가시광에 대한 투과율이 90% 이상인 전자 장치.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글래스 층과 제1 접합층 사이 또는, 상기 글래스 층과 제2 접합층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제3 접합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평면 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평면 영역과 마주보게 배치된 전자 장치.
  2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층 또는 상기 제2 접합층 중 적어도 상기 제2 접합층이, 상기 제1 접합 영역, 상기 제2 접합 영역, 상기 제3 접합 영역, 상기 제4 접합 영역 및 상기 제5 접합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20025339A 2022-02-25 2022-02-25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27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339A KR20230127712A (ko) 2022-02-25 2022-02-25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339A KR20230127712A (ko) 2022-02-25 2022-02-25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712A true KR20230127712A (ko) 2023-09-01

Family

ID=8797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339A KR20230127712A (ko) 2022-02-25 2022-02-25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77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45685B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CN105791471B (zh) 移动终端
CN112789674B (zh) 柔性显示装置及包括柔性显示装置的电子装置
EP4152733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KR20210081045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EP3788774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tating optical module
KR20230041969A (ko) 이동 단말기
US2022018317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20220103672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CN115443497A (zh) 包括包含玻璃的透明盖和与其联接的可折叠显示器的电子装置
KR20220017583A (ko)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10142456A (ko) 방열 구조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EP2426896A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case thereof
US20230180413A1 (en) Display module including cushion lay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KR20220065575A (ko) 패턴이 형성된 폴리머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들
KR102555577B1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27712A (ko)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30825A (ko)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1600493B1 (ko) 이동 단말기
US20230006006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KR20180135734A (ko)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카메라 장치의 제조방법
KR2022007896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3411474A (zh) 成像装置及电子设备
KR20220109024A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083747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