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541A - 정량 토출이 가능한 튜브용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정량 토출이 가능한 튜브용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7541A
KR20230127541A KR1020220024967A KR20220024967A KR20230127541A KR 20230127541 A KR20230127541 A KR 20230127541A KR 1020220024967 A KR1020220024967 A KR 1020220024967A KR 20220024967 A KR20220024967 A KR 20220024967A KR 20230127541 A KR20230127541 A KR 20230127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valve
dispenser
contents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태준
Original Assignee
황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태준 filed Critical 황태준
Priority to KR1020220024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7541A/ko
Publication of KR20230127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54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65D35/46Closures wit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4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meter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38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pring-lik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튜브용 디스펜서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바디;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밸브체; 상기 바디와 밸브체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 및 상기 바디의 개방된 단부를 마감하며 유입구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튜브에 가하는 압력에 따라 밸브체가 토출구의 개폐량을 조절함에 따라 사용자가 튜브에 가하는 압력에 상관없이 내용물을 정량 토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량 토출이 가능한 튜브용 디스펜서{QUANTITATIVE DISPENSING DISPENSER FOR TUBE}
본 발명은 튜브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정량 토출이 가능한 튜브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또는 겔상으로 이루어진 각종 내용물을 저장하여 사용하기 위한 용기를 밀폐하기 위해서는 통상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캡을 이용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기 중 튜브형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용물이 배출되는 입구와, 상기 입구에 결합되되, 일측 또는 타측 회전에 따라 상기 입구로부터 탈착되며 입구를 개폐하는 캡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캡은 단캡과 이중캡으로 그 종류가 나누어지는데, 단캡의 경우 캡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용기의 입구 외주면간 나사결합되어 단캡을 개방하여 사용하는 구조이고, 이중캡의 경우에는 외부캡과 내부캡이 나사결합되고 내부캡의 내주면과 튜브의 입구와 나사 결합되는 형태를 이용하는 구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공지의 튜브형 용기를 도 1을 예시로 설명한다. 도 1은 공지의 튜브형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 같이, 종래의 튜브형 용기는, 튜브(10)와, 상기 튜브(10)에 고정된 내부캡(20)과, 상기 내부캡(20)을 개폐하는 외부캡(30)으로 구성된다.
또한, 튜브(10)는 튜브 형태로 이어지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 상단부로부터 테이퍼지며 이어지는 어깨부(12)와, 상기 어깨부 내측으로 토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튜브(10)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즉, 튜브(10)에 수용된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할때에는 튜브(10)의 외부캡(30)을 열고, 사용자가 튜브(10)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적당량의 내용물을 토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튜브(10)는 외부캡(30)을 열고 튜브(10)에 압력(누르는)을 가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내용물의 토출량이 사용자의 감각에만 의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내용물을 정량 토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내용물이 과다 토출하여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이 경우, 튜브(10)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은 경우 내용물이 흐르며 토출되지 않고 발사(튀어)되어 주변을 오염시킨다.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 튜브(10)에 강한 압력을 가하여 내용물이 과다하게 튀어나오게 된다.
또한, 도 2와 같이 종래의 튜브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됨에 따라 튜브(10)에서 압력을 해제하면 복원력에 의해 튜브는 팽창하며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흡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공기와 내용물이 혼합되며 내용물의 변질된다.
따라서, 튜브의 내용물의 토출량을 사용자의 감각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정량이 토출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의 튜브용 디스펜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2021-0051311호(2021.05.10.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2021-0072650호(2021.06.17.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2022-0011269호(2022.01.28.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튜브에 가하는 압력에 상관없이 내용물을 정량 토출하는 튜브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용물을 토출 후 팽창하는 튜브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튜브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튜브용 디스펜서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바디;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밸브체; 상기 바디와 밸브체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 및 상기 바디의 개방된 단부를 마감하며 유입구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토출구를 계폐하는 밸브 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은 원뿔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 헤드에는 테이퍼진 밸브 페이스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에는 상기 밸브 페이스와 맞닿는 밸브 시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과 밸브 헤드 사이에는 밸브 플레이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외경은 상기 바디의 내측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 플레이트와 밸브 헤드의 사이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하는 스프링 시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의 단면적은 유입구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용 디스펜서에 따르면, 사용자가 튜브에 가하는 압력에 따라 밸브체가 토출구의 개폐량을 조절함에 따라 사용자가 튜브에 가하는 압력에 상관없이 내용물을 정량 토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튜브에 가하는 압력이 높아질수록 토출구는 개폐량은 작아지며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한다.
특히, 사용자가 튜브에 설정압력 이상을 가하는 경우 밸브체는 토출구를 폐쇄하여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내용물의 강한 토출, 즉 내용물의 발사(튀어나옴)를 방지하여 주변 오염을 억제한다.
특히, 어린아이의 부주의에 의한 내용물 과다 토출을 억제한다.
또한, 밸브체는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내용물의 토출 후 유입구를 폐쇄하여 내용물을 토출 후 팽창하는 튜브에 의해 튜브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외에도 밸브체는 유입구를 항상 폐쇄하여 튜브 내부로 공기 유입을 억제한다.
즉, 공기의 유입에 따른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한다.
도 1은 공지의 튜브형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튜브 입구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용 디스펜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용 디스펜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량 토출이 가능한 튜브용 디스펜서(A)는, 토출구(110)가 형성되는 바디(100)와, 내용물에 의한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토출구(110)를 개폐하는 밸브체(200)와, 상기 바디(100)와 밸브체(200)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300) 및 상기 바디(100)의 개방된 단부를 마감하며 유입구(410)가 형성된 커버(4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바디(100)의 내부로 유로(120)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20)를 통해 내용물이 유입된다.
또한, 상기 바디(100)는 'ㄷ'자 단면으로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토출구(110)를 제외한 부분이 폐쇄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바디(100)는 내용물이 담긴 튜브의 입구에 설치되거나, 튜브의 입구에 설치된 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튜브용 디스펜서(A)는 튜브의 입구에 설치되거나 튜브의 입구를 개방하는 캡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 설치위치가 상이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는 동일하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바디(100)에는 플랜지(13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130)가 튜브의 입구 또는 튜브의 입구를 개방하는 캡 내부에 걸림되어 삽입위치를 한정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바디(100)는 튜브의 입구 또는 튜브의 입구를 개방하는 캡의 내부와 나사결합, 억지끼움, 접착, 융착 등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밸브체(200)는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유로(120)의 내부를 선단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밸브체(200)는 토출구(110)의 개폐 또는 개방량을 조절한다.
이외에도, 상기 밸브체(200)는 유입구(410)의 개폐 또는 개방량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00)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밸브체(200)는 유입구(410)를 폐쇄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300)는 스프링 상수를 달리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내용물의 토출량과 토출구(110)의 개방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스프링 상수가 각기 다른 탄성부재(300)로 교체함에 따라 내용물의 토출량과 토출구의 개방범위를 손쉽게 조절한다.
즉,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체(200)는 탄성부재(300)를 압축하며, 상기 밸브체(200)는 탄성부재(300)를 압축하며 토출구(110)의 개방범위와 토출구(110)를 폐쇄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300)의 탄성복원력을 달리함에 따라 토출구(110)의 토출량과 토출구(110)의 개방범위를 손쉽게 조절한다. 즉 튜브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압력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커버(400)는 바디(100)의 개방부위에 끼워지는 끼움돌기(420)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420)가 바디(100)에 삽입되며 본 발명의 튜브용 디스펜서(A)의 외형을 완성한다.
이때, 상기 커버(400)와 바디(100)의 결합은 나사결합, 억지끼움, 접착, 융착 등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체(200)는, 상기 유입구(410)에 가로질러 설치되는 피스톤(210)과, 상기 토출구(110)를 계폐하는 밸브 헤드(22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210)은 원뿔형으로 형성된다. 즉 원뿔형 피스톤(210)에 의해 피스톤(210)과 유입구(410) 사이로 내용물을 안내한다. 즉, 원뿔형 피스톤(210)의 외주면을 따라(타고) 내용물이 이동한다.
더욱이, 상기 원뿔형 피스톤(210)의 외경은 유입구(4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 헤드(220)에는 테이퍼진 밸브 페이스(230)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110)에는 상기 밸브 페이스(230)와 맞닿는 밸브 시트(1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밸브 시트(140)는 탄성부재(300)를 고정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더욱이, 상기 테이퍼진 밸브 페이스(230)의 외주면을 따라(타고) 내용물이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210)과 밸브 헤드(220)의 사이에는 밸브 플레이트(24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밸브 플레이트(240)의 외경은 상기 바디(100)의 내측 유로(12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밸브 플레이트(240)와 상기 바디(100)의 내측 유로(120)의 사이로 내용물이 흐르도록 구성된다. 즉 내용물이 이동하면서도 내용물이 밸브체(200)의 압력이 전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 플레이트(240)와 밸브 헤드(220)의 사이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하는 스프링 시트(25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 시트(250)와 밸브 시트(140)에 탄성부재(400)가 탄지됨에 따라 밸브체(200)는 바디(100)의 유로(120) 내에서의 측면 이동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밸브 플레이트(240)와 유로(120) 사이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체(200)의 측면 이동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를 스프링 시트(250)와 밸브 시트(140) 및 탄성부재(400)에 의해 방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토출구(110)의 단면적은 유입구(41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튜브에 가하는 압력에 따라 밸브체(200)가 토출구(110)의 개폐량을 조절함에 따라 사용자가 튜브에 가하는 압력에 상관없이 내용물을 정량 토출한다.
즉, 사용자가 튜브에 가하는 압력이 높아질수록 토출구(110)는 개폐량은 작아지며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한다.
특히, 사용자가 튜브에 설정압력 이상을 가하는 경우 밸브체(200)는 토출구(100)를 폐쇄하여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내용물의 강한 토출, 즉 내용물의 발사(튀어나옴)를 방지하여 주변 오염을 억제한다.
특히, 어린아이의 부주의에 의한 내용물 과다 토출을 억제한다.
또한, 밸브체(200)는 탄성부재(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내용물의 토출 후 유입구(410)를 폐쇄하여 내용물을 토출 후 팽창하는 튜브에 의해 튜브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외에도 밸브체(200)는 유입구(410)를 항상 폐쇄하여 튜브 내부로 공기 유입을 억제한다.
즉, 공기의 유입에 따른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튜브용 디스펜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튜브를 가압하여 내용물의 이동이 시작된다.
다음, 도 4와 같이 내용물은 밸브체(200)를 밀어내며 밸브체(200)와 유로(120)의 사이를 지나 토출구(110)로 토출된다.
이때, 유입구(410)의 크기는 7.62mm로 크고, 토출구(110)는 5mm로 좁아서 내용물이 토출되면서도, 내용물의 토출 외 압력이 밸브체(200)에 작용한다.
즉, 밸브체(200)가 이동하면서 탄성부재(300)의 탄성복원력을 이겨내며 토출구(110)는 밸브체(200)에 의해 폐쇄되며 정량토출과 안전스톱퍼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튜브에 가해지는 압력이 사라지면 밸브체(200)는 유입구(410)를 폐쇄한다.
결국, 본 발명은 정량토출 기능, 더 이상 내용물이 나오지 않게 하는 안전 스토퍼 역할, 에어 유입 차단의 3가지 역할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A - 튜브용 디스펜서
100 - 바디 200 - 밸브체
300 - 탄성부재 400 - 커버

Claims (9)

  1. 토출구가 형성되는 바디;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밸브체;
    상기 바디와 밸브체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 및
    상기 바디의 개방된 단부를 마감하며 유입구가 형성된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 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는 피스톤과, 상기 토출구를 계폐하는 밸브 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 디스펜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원뿔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 디스펜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헤드에는 테이퍼진 밸브 페이스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에는 상기 밸브 페이스와 맞닿는 밸브 시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 디스펜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과 밸브 헤드 사이에는 밸브 플레이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 디스펜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외경은 상기 바디의 내측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튜브용 디스펜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와 밸브 헤드의 사이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하는 스프링 시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 디스펜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 디스펜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단면적은 유입구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 디스펜서.
KR1020220024967A 2022-02-25 2022-02-25 정량 토출이 가능한 튜브용 디스펜서 KR20230127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967A KR20230127541A (ko) 2022-02-25 2022-02-25 정량 토출이 가능한 튜브용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967A KR20230127541A (ko) 2022-02-25 2022-02-25 정량 토출이 가능한 튜브용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541A true KR20230127541A (ko) 2023-09-01

Family

ID=8797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967A KR20230127541A (ko) 2022-02-25 2022-02-25 정량 토출이 가능한 튜브용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754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311A (ko) 2019-10-30 2021-05-10 최광빈 튜브형 용기에서의 이중캡
KR20210072650A (ko) 2019-12-09 2021-06-17 임찬솔 튜브형 화장품 정량 조절 보조 장치
KR20220011269A (ko) 2020-07-21 2022-01-28 육진수 숄더 & 원터치 캡용 플라스틱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311A (ko) 2019-10-30 2021-05-10 최광빈 튜브형 용기에서의 이중캡
KR20210072650A (ko) 2019-12-09 2021-06-17 임찬솔 튜브형 화장품 정량 조절 보조 장치
KR20220011269A (ko) 2020-07-21 2022-01-28 육진수 숄더 & 원터치 캡용 플라스틱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558B2 (en) Non-refillable valve
US4964544A (en) Push up dispenser with capsule valve
US5273191A (en) Dispensing head for a squeeze dispenser
US7748578B2 (en) Pressure control device for maintaining a constant predetermined pressure in a container
RU2505465C2 (ru) Раздат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US4230242A (en) Triple seal valve member for an atomizing pump dispenser
US4895279A (en) Flat-top valve member for an atomizing pump dispenser
US4341330A (en) Aerosol container
RU2367588C2 (ru) Затвор для содержащего текучий продукт сосуда
US7721918B1 (en) Automatic dispensing cap for squeezable bottle
JPH03696A (ja) ディスペンサー
EP0390717B1 (en) A dispensing pump for a fluid contained in a container
US3201012A (en) Valve for fluid dispenser
JPH01124561A (ja) 計量機能を備えた容器閉鎖キャップ
US8499985B2 (en) Automatic dispensing cap for squeezable bottle
US20120024909A1 (en) Dispenser
US20100108724A1 (en) Twist open/twist close Closure
US20140151404A1 (en) Automatic dispensing cap for a squeezeable bottle
US6808159B1 (en) Non-refillable valve
EP0043698A1 (en) Taps
KR20230127541A (ko) 정량 토출이 가능한 튜브용 디스펜서
US5505345A (en) Gas saving dispensing cap for a bottle
JP2005145465A (ja) 押出チューブ容器
EP1310437A1 (en) Dispenser
US8297483B2 (en) Liquid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