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496A - 고압 스티머 - Google Patents

고압 스티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496A
KR20230126496A KR1020220023743A KR20220023743A KR20230126496A KR 20230126496 A KR20230126496 A KR 20230126496A KR 1020220023743 A KR1020220023743 A KR 1020220023743A KR 20220023743 A KR20220023743 A KR 20220023743A KR 20230126496 A KR20230126496 A KR 20230126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team
thermally conductive
chamb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성민
이재명
박보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3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496A/ko
Publication of KR20230126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4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06F75/20Arrangements for discharging the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06F75/14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the steam being produced from water in a reservoir carried by the iron
    • D06F75/16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the steam being produced from water in a reservoir carried by the iron the reservoir being heated to produce the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24Arrangements of the heating means within the iron; Arrangements for distributing, conducting or storing the hea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26Temperature control or ind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열전도성 내벽을 포함하고, 물 및 고압 스팀이 저장되고 가열되는 고압 챔버; 고압 챔버의 열전도성 내벽과 열전도적으로 연결된 열전도성 내벽을 포함하고, 스팀이 가열되는 스팀 챔버; 고압 챔버의 열전도성 내벽 및 스팀 챔버의 열전도성 내벽에 열전도적으로 연결되는 열원; 고압 챔버로부터 스팀 챔버로 스팀이 이동하는 유로; 유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부; 및 스팀 챔버와 외부를 연통하고, 가열된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고압 스티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압 스티머{HIGH PRESSURE STEAMER}
본 개시는 고압 스티머에 관한 것이다.
스티머는 물을 고온으로 끓여 발생하는 증기 또는 스팀을 의류 등에 분사하여 의류의 주름을 펴고 관리하는 장치이다. 기존의 스티머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제너레이터와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의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스팀이 노즐에서 토출되기 전에 실온의 부품들을 거치며 부품들과 열교환을 하기 때문에 응축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고압 스티머와 관련된 기술(미국 공개특허 제2008-0040953호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스티머 노즐과 스팀 제너레이터는 긴 호스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팀 제너레이터에서 생성된 스팀은 호스를 통해 노즐까지 이동하면서 긴 시간동안 상온에 노출되므로, 상술한 것과 같이 호스 내에서 스팀이 일부 응결될 수 있으며, 이는 고압 스티머의 스팀 발생 효율을 낮출 뿐 아니라 스팀의 온도도 낮추는 단점을 가진다.
기존의 스티머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팀 노즐의 사이즈를 늘이고, 스팀 제너레이터에서 노즐까지의 이동경로의 직경을 크게 하여 응축된 물이 다시 스팀 제너레이터로 회수되게 제작되었다. 또한 고압 스티머의 경우 호스와 노즐의 직경을 최대한 작게하여 응축이 덜 일어나게 하고 발생한 응축수는 좁은 노즐을 통해 액적이 최대한 작게 하여 방출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노즐에서 물이 방출되는 문제는 여전하기 때문에 스티머의 전체 부품이 충분히 가열되기 전에는 의류에 응축된 물이 분사되어 젖는 경우가 발생한다. 응축된 물이 분사되는 것은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는데 섬세한 의류의 경우 변형이 일어날 수 있고, 인체에 튈 경우 화상의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고압 스팀 제너레이터의 히터가 노즐까지 연장되어 노즐에까지 히터의 열이 전도되어, 스팀이 유로를 통과하며 응축된 응축수가 다시 기화되어 스팀의 질이 높아지고, 과열 증기가 생성되어 구김 제거 성능을 높일 수 있고, 응축수에 의한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는 고압 스티머를 제시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고압 스티머는, 열전도성 내벽을 포함하고, 물 및 고압 스팀이 저장되고 가열되는 고압 챔버; 고압 챔버의 열전도성 내벽과 열전도적으로 연결된 열전도성 내벽을 포함하고, 스팀이 가열되는 스팀 챔버; 고압 챔버의 열전도성 내벽 및 스팀 챔버의 열전도성 내벽에 열전도적으로 연결되는 열원; 고압 챔버로부터 스팀 챔버로 스팀이 이동하는 유로; 유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부; 및 스팀 챔버와 외부를 연통하고, 가열된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압 챔버는, 고압 챔버의 상부에 구비되는 물 주입구; 및 물 주입구로부터 고압 챔버의 내측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관형 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압 챔버는, 고압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는 물 저장부; 고압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물 저장부의 상부와 연통되고, 유로와 연통되는 고압 스팀 저장부; 및 고압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물 저장부와 고압 스팀 저장부를 구분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원은 물 저장부의 열전도성 내벽 및 고압 스팀 저장부의 열전도성 내벽에 열전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고압 스티머는, 고압 스팀 저장부의 열전도성 내벽과 열전도적으로 연결되고, 고압 스팀이 유로쪽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열전도성 가이드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팀 챔버는, 스팀 챔버의 열전도성 내벽의 열원에 근접한 일측으로부터 스팀 챔버의 내부로 연장되는 열전도성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로는, 유로의 내측으로 돌출된 걸침부를 포함하고, 개폐부는, 버튼; 걸침부에 걸쳐지는 마개; 버튼이 가압되면 압력을 마개로 전달하여 마개를 걸침부로부터 이격시켜 유로를 개방하는 압력 전달 부재; 및 버튼의 압력이 제거되면 마개가 걸침부에 걸치도록 되돌리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압 스티머는, 노즐의 출구에 인접하고 열원과 열전도적으로 연결되는 열전도성 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압 스티머는, 고압 챔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기초로 고압 챔버의 내부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범위에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응축수를 토출시키거나 회수하지 않고 재가열하여 고압 스티머의 스팀의 질을 높이고, 양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 스티머에 일체화된 히터가 사용되므로 안전장치의 수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 스티머의 히터가 일체화 되어 있어 고압 스티머를 핸드-헬드(hand-held) 타입으로 제작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 스티머의 히터를 열판으로 사용하여 스티머의 구김제거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 센서로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여 스팀량과 열판의 온도를 조절하여 의류별로 최적의 조건을 만들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 은 본 개시에 따른 고압 스티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 는 본 개시에 따른 고압 스티머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개시에 따른 고압 스티머 및 히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 는 본 개시에 따른 고압 스티머의 일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본 개시에 따른 고압 스티머를 수평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 은 본 개시에 따른 고압 스티머의 일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a 는 본 개시에 따른 고압 스티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b 는 도 8a 에 나타난 고압 스티머의 일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 는 포화 증기표를 나타낸다.
본 개시에 기술된 실시예는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는 것이고, 통상의 기술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개시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수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달리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열전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서로 접촉하거나, 제1 부재 및 제3 부재와 동시에 접촉하고 열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3 부재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열전도성 물질은 알루미늄, 철,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재를 특정한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하면, 제2 부재 역시 함께 가열 또는 냉각되어(제3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 제1 부재 및 제2 부재에 접촉한 제3 부재를 통해 열이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온도가 같게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한, 단수는 물론 복수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들 또는 어떤 단계들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어떤 부분이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 또는 명세서 전체에 열거된 것 이외의 구성요소 또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도 아니며, 단지 이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문맥상 명세서의 일 부분에서 일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반대로 제2 구성요소도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특히 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재배열되어 행해질 수 있고,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을 부가하여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에 속하는 새로운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명세서와 도면의 간결함을 위하여, 본 개시를 이해하는데 관련이 없는 다양한 기능적 구성요소는 도면에서 생략되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개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추가 기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추가 구성 요소가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는 본 개시에 따른 고압 스티머(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고압 스티머(1)는, 열전도성 내벽(11)을 포함하고, 물 및 고압 스팀이 저장되고 가열되는 고압 챔버(10)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도성 내벽(11)은 고압 챔버(10)의 내부에 열을 고루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열전도성 내벽(11)은 알루미늄, 철,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열전도성 내벽(11)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다른 열전도성 물질에 비해 고압 스티머(1)를 가볍게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고압 챔버(10)에 열이 가해지면, 고압 챔버(10)에 담긴 물이 기화하여 스팀이 된다. 고압 챔버(10)는 물 및 스팀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고압 챔버(10)는 열전도성 내벽(11)을 가지므로, 물은 물론 고압 챔버(10)에 존재하는 스팀도 함께 가열될 수 있다. 스팀은 가열되어 압력이 점차 상승하여 고압 스팀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압 스티머(1)는, 고압 챔버(10)의 열전도성 내벽(11)과 열전도적으로 연결된 열전도성 내벽(21)을 포함하고, 스팀이 가열되는 스팀 챔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고압 챔버(10) 및 스팀 챔버(20)는 고압 스티머(1) 내부의 서로 분리된 공간일 수 있다. 이 때 고압 챔버(10) 및 스팀 챔버(20)는 격벽(29)으로 서로 구분되는 공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열전도성 내벽(21)은 알루미늄, 철,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열전도성 내벽(21)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다른 열전도성 물질에 비해 고압 스티머(1)를 가볍게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팀 챔버(20)는 고압 챔버(10)와 함께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방식의 공정을 통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고압 챔버(10)의 열전도성 내벽(11) 및 스팀 챔버(20)의 열전도성 내벽(21)은 서로 동일한 내벽을 지칭할 수 있다.
스팀 챔버(20)의 열전도성 내벽(21)은, 고압 챔버(10)의 열전도성 내벽(11)과 열전도적으로 연결되므로, 스팀 챔버(20)의 열전도성 내벽(21)의 온도는 고압 챔버(10)의 열전도성 내벽(11)의 온도와 같거나 그 근처일 수 있다. 이는 고압 챔버(10)로부터 스팀 챔버(20)로 흘러 들어간 스팀의 온도를 유지하거나 높이고, 응축된 물을 다시 기화 및 과열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압 스티머(1)는, 고압 챔버(10)의 열전도성 내벽(11) 및 스팀 챔버(20)의 열전도성 내벽(21)에 열전도적으로 연결되는 열원(30)을 포함할 수 있다. 열원(30)은 열선 등의 저항 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열원(30)은 외부 발열체와 열전도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발열체에서 생성되는 열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열원(30)은 고압 챔버(10)의 열전도성 내벽(11) 및 스팀 챔버(20)의 열전도성 내벽(21)에 열전도적으로 연결되므로, 열원(30)의 온도는 고압 챔버(10)의 열전도성 내벽(11)의 온도 및 스팀 챔버(20)의 열전도성 내벽(21)의 온도와 같거나 그 근처일 수 있다. 이는 열원(30)의 온도를 조절하여 고압 챔버(10)의 열전도성 내벽(11)의 온도 및 스팀 챔버(20)의 열전도성 내벽(21)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열원(30), 고압 챔버(10) 및 스팀 챔버(20)의 온도가 같거나 유사하므로, 스팀 챔버(20)를 거쳐 노즐(60)로 분출되는 스팀의 온도는 열원(30), 고압 챔버(10) 또는 스팀 챔버(20)의 온도와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는 노즐(60)로 분출되는 스팀 또는 과열 증기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열원(30)은 도 3 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압 스티머(1)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일단이 인입되어 고압 스티머(1)의 고압 챔버(10) 및 스팀 챔버(20)를 지나 고압 스티머(1)의 길이 방향 타측에서 유턴(U-turn) 하여 다시 고압 스티머(1)의 스팀 챔버(20) 및 고압 챔버(10)를 지나 고압 스티머(1)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타단이 인출되는 'U'-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원(30)은 고압 챔버(10) 및 스팀 챔버(2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압 챔버(10) 및 스팀 챔버(20) 하단에 고이는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기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열원(30)의 일부 또는 전부는 고압 챔버(10) 또는 스팀 챔버(20) 또는 고압 챔버(10) 및 스팀 챔버(20)와 함께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방식의 공정을 통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압 스티머(1)는, 고압 챔버(10)로부터 스팀 챔버(20)로 스팀이 이동하는 유로(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난 유로(40)는 열원(30)과 별도로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유로(40)는 상온에 노출되어, 고압 챔버(10)로부터 스팀 챔버(20)로 고온 고압의 스팀이 이동할 때 스팀의 온도와 압력이 낮아져 스팀이 응축수로 응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난 것과는 다르게, 유로(40)는 열원(30)과 열전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40)의 온도가 고압 챔버(10) 및 스팀 챔버(20)와 같거나 유사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유로(40)를 통과하는 스팀이 물로 응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유로(40)는 고압 챔버(10)와 스팀 챔버(20)를 연결하기 위하여, 스팀이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적절한 곡률을 가지는 굴곡부 및 직선부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로(40)의 입구는 고압 챔버(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압 챔버(10)의 상부에 모인 스팀이 유로(40)로 더 잘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로(40)의 출구는 스팀 챔버(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압 챔버(10)와 스팀 챔버(20)가 인접하는 경우, 유로(40)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유로(40)를 통과하는 스팀이 상온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압 스티머(1)는, 유로(40)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50)는 유로(40)의 입구, 출구 또는 중간 어딘가에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50)의 자세한 구조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고압 스티머(1)는, 스팀 챔버(20)와 외부를 연통하고, 가열된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60, 61, 62, 6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에는 3개의 노즐(61, 62, 63)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각각 스팀 챔버(20)에서 가열된 스팀이 적절한 압력과 속도를 가지고 외부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노즐의 개수는 도 1 과 다르게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압 챔버(10)는, 고압 챔버(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물 주입구(141), 및 물 주입구(141)로부터 고압 챔버(10)의 내측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관형 벽(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물 주입구(141)를 통해 고압 챔버(10)로 물을 주입한다면 물은 고압 챔버(10)의 바닥부터 서서히 차오르다가 일정 수준(201)(예를 들어, 관형 벽(14)의 끝단 위치)까지 채워질 수 있다. 이 때, 수준(201) 위쪽의 고압 챔버(10) 내부 공간은 관형 벽(14)에 의해 구획되므로, 고압 챔버(10)의 수준(201)까지 물을 주입한 다음에 더 주입되는 물은 관형 벽(14) 안쪽에만 들어찰 것이고, 나머지 공간(19)에는 더 이상 물이 채워지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형 벽(14)은 고압 챔버(10)에 물이 일정 수준(201) 이상 차지 않도록 물 주입량을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고압 챔버(10)에 물이 과도하게 채워져서 스팀이 아닌 물이 유로(40)를 통해 스팀 챔버(20)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이점이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고압 챔버(10)는, 고압 챔버(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물 저장부(12), 고압 챔버(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물 저장부(12)의 상부와 연통되고, 유로(40)와 연통되는 고압 스팀 저장부(16), 및 고압 챔버(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물 저장부(12)와 고압 스팀 저장부(16)를 구분하거나 물 저장부(12)의 물이 고압 스팀 저장부(16)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격벽(15)을 포함할 수 있다. 고압 스팀 저장부(16)에 저장된 스팀은 유로(40)를 통해 스팀 챔버(20)로 이동할 수 있다. 격벽(15)은 수직 격벽(151) 및 수평 격벽(152)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격벽(151)은 물 저장부(12)와 고압 스팀 저장부(16)를 구분하여, 물 저장부(12)에 저장된 물이 고압 스팀 저장부(16)로 넘어가지 않도록 한다. 수직 격벽(151)은 고압 챔버(10) 하단면에서 연장되되, 고압 챔버(10) 상단면에 닿지 않도록 형성되어 물 저장부(12)와 고압 스팀 저장부(16) 사이, 특히 고압 챔버(10)의 상부에 개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수평 격벽(152)은 수직 격벽(151)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되, 이를 보완한다. 수직 격벽(151)만 구비되는 경우 고압 스티머(1)의 기울어짐 등으로 인해 물 저장부(12)의 물이 고압 스팀 저장부(16)로 유입되기 쉽다. 수평 격벽(152)은 수평 방향의 격벽을 통해 물이 고압 스팀 저장부(16)로 유입될 가능성을 더욱 낮춘다. 수평 격벽(152)은 수직 격벽(151)의 높이 중간 일지점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수평 격벽(152)은 물 주입량의 수준(201) 보다는 높고, 수직 격벽(151)이 형성하는 개구 영역 경계보다는 낮은 높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압 챔버(10)의 물 저장부(12)에 저장된 물이 가열되어 기화된 스팀은 고압 챔버(10)의 상부에 모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고압 스팀 저장부(16)는 고압 챔버(10)의 상부이거나, 고압 챔버(10)의 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압 스팀 저장부(16)가 고압 챔버(10)의 상부에만 있는 경우, 고압 챔버(10)의 구조가 보다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고압 스티머(1)는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실 사용될 수 있으며, 기울어진 상태를 기준으로 고압 스팀 저장부(16)는 물 저장부(12)의 상부에 배치된 것으로 취급될 수 있다.
고압 스팀 저장부(16)에 저장된 스팀을 더욱 가열하여 더욱 고온 고압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열원(30)은 물 저장부(12)의 열전도성 내벽(13) 및 고압 스팀 저장부(16)의 열전도성 내벽(17)에 열전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열원(30)은 물 저장부(12) 영역 내지 고압 스팀 저장부(16) 영역에 걸쳐 구비될 수 있다. 열원(30)은 두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으나, 단일 전원에 의해 일체로 구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심플한 회로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감소할 수 있으며,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열원(30)은 코일 히터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때 열원(30) 또는 코일 히터는 고압 스티머(1)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일단이 인입되어 고압 챔버(10)의 물 저장부(12) 영역 내지 고압 스팀 저장부(16) 영역을 지나 고압 스티머(1)의 길이 방향 타측에서 유턴(U-turn) 하여 다시 고압 챔버(10)의 물 저장부(12) 영역 내지 고압 스팀 저장부(16) 영역을 지나 고압 스티머(1)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타단이 인출되는 'U'-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원(30)은 물 저장부(12) 영역 내지 고압 스팀 저장부(16) 영역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물 저장부(12) 영역 내지 고압 스팀 저장부(16) 영역 하단에 고이는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기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열원(30) 또는 코일 히터는 스팀 챔버(20)를 함께 지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열원(30) 또는 코일 히터는 고압 스티머(1)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일단이 인입되어 고압 챔버(10)의 물 저장부(12) 영역 내지 고압 스팀 저장부(16) 영역 및 스팀 챔버(20)를 지나 고압 스티머(1)의 길이 방향 타측에서 유턴(U-turn) 하여 다시 및 스팀 챔버(20) 및 고압 챔버(10)의 고압 스팀 저장부(16) 영역 내지 물 저장부(12) 영역을 지나 고압 스티머(1)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타단이 인출되는 'U'-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열원(30)이 물 저장부(12)의 열전도성 내벽(13) 및 고압 스팀 저장부(16)의 열전도성 내벽(17) 모두에 동시에 열전도적으로 연결되므로, 고압 스팀 저장부(16)의 열전도성 내벽(17)의 온도는 열원(30) 및 물 저장부(12)의 열전도성 내벽(13)과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는 물 저장부(12)에서 기화된 물이 고압 스팀 저장부(16)에 저장될 때, 스팀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 은 본 개시에 따른 고압 스티머(1)를 수평 방향으로 자른 일 단면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고압 스팀 저장부(16)는, 고압 스팀 저장부(16)의 열전도성 내벽(17)과 열전도적으로 연결되고, 고압 스팀이 유로(40)쪽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열전도성 가이드벽(18)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고압 스팀이 열전도성 가이드벽(18)에 의해 유로(40)의 입구 쪽으로 유도되어 흘러가는 동안 열전도성 가이드벽(18) 및 열전도성 내벽(17)과 가능한 한 많이 열교환을 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 가이드벽(18)은 고압 스팀 저장부(16) 내에 유로(40) 쪽을 향하는 구부러진 통로가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스팀이 열전도성 가이드벽(18) 및 열전도성 내벽(17)의 가능한 한 넓은 표면적을 지날 수 있도록 하여, 열전도성 가이드벽(18) 및 열전도성 내벽(17)과 더 많은 열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6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열전도성 가이드벽(18)은 와선(spiral)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열전도성 가이드벽(18)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열전도성 가이드벽(18)의 구체적인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열전도성 가이드벽(18)은 둘 이상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열전도성 가이드벽은 도 6 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유로(40)의 입구를 향하는 관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열교환을 증가시키기 위해, 관형 형상은 유로(40)의 입구를 바로 향하는 직선 형태가 아닌, 구불구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팀 챔버(20)는, 스팀 챔버(20)의 열전도성 내벽(21)의 열원(30)에 근접한 일측(22)으로부터 스팀 챔버(20)의 내부로 연장되는 열전도성 돌기(23)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도성 돌기(23)는 열원(30) 및 열전도성 내벽(21)과 열전도적으로 연결되므로, 열원(30) 및 열전도성 내벽(21)과 같거나 유사한 온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스팀이 스팀 챔버(20) 내부로부터 노즐(60)으로 흘러가는 동안 열원(30) 및 열전도성 내벽(21)과 가능한 한 많이 열교환을 할 수 있도록, 스팀 챔버(20)는, 스팀 챔버(20)의 열전도성 내벽(21)의 열원(30)에 근접한 일측(22)으로부터 스팀 챔버(20)의 내부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열전도성 돌기(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스팀이 열전도성 돌기(23) 및 열전도성 내벽(21)의 가능한 한 넓은 표면적을 지날 수 있도록 하여, 열전도성 돌기(23) 및 열전도성 내벽(21)과 더 많은 열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는 유로(40)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응축수가 스팀 챔버(20)에 존재하더라도, 열원(30), 열전도성 내벽(21) 및 열전도성 돌기(23)에 의해 상기 응축수가 다시 기화 및 과열되도록 돕는 효과가 있다.
도 6 에 나타난 열전도성 돌기(23)는 일 예시일 뿐이므로, 열전도성 돌기(23)는 스팀 챔버(20) 내의 스팀 또는 응축수가 스팀 챔버(20)의 열전도성 돌기(23) 및 열전도성 내벽(21)의 더 많은 표면적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도 6 에 나타난 것과 다른 개수, 형태 및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도성 돌기(23)는 열전도성 내벽(21)의 근접한 일측(22)이 아닌 다른 내벽면에서 스팀 챔버(20)의 내부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열전도성 돌기(23)는 열전도성 가이드벽(18)과 유사하게 벽면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7 은 본 개시에 따른 고압 스티머(1)의 종단면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유로(40)는, 유로(40)의 내측으로 돌출된 걸침부(41)를 포함하고, 개폐부(50)는, 버튼(51), 걸침부(41)에 걸쳐지는 마개(52), 버튼(51)이 가압되면 압력을 마개(52)로 전달하여 마개(52)를 걸침부(41)로부터 이격시켜 유로(40)를 개방하는 압력 전달 부재(53), 및 버튼(51)의 압력이 제거되면 마개(52)가 상기 걸침부(41)에 걸치도록 되돌리는 탄성 부재(54)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51)의 형상은 도 7 에 나타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눌러 가압할 수 있는 업계에 알려진 모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버튼(51)은 사용자로부터 직접 가압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버튼(51) 근처에 구비되는 다른 압력 전달 부재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압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압 스티머는 버튼(51)이 보다 적은 힘으로 쉽게 가압 될 수 있도록, 버튼(51) 근처에 지렛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개(52)는 걸침부(41)에 걸칠 수 있으면서 폐쇄 시 유로(40)를 통한 스팀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유로(40)의 입구, 출구 또는 유로 중간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난 것과 같이 마개(52)는 유로(40)의 입구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덮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마개(52)는 고압 챔버(10) 내 고압 스팀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마개(52)가 걸침부(41)에 걸쳤을 때, 걸침부(41) 및 마개(52) 사이의 틈이 없이 고압 챔버(10)가 밀폐되도록 마개(52) 및 걸침부(41)는 서로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마개(52) 및 걸침부(41)가 서로 접촉하는 면은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되어 고압 챔버(10)의 밀폐를 돕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압력 전달 부재(53)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51)과 마개(52)를 연결하는 기둥일 수 있다. 이 때, 압력 전달 부재(53)는 버튼(51)을 누르는 압력 및 고압 챔버(10) 내 고압 스팀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탄성 부재(54)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일 수 있다. 이 때, 스프링의 일단은 버튼(51)과 연결되고, 스프링의 타단은 압력 전달 부재(53) 주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를 통해, 버튼(51)이 가압 되었을 때, 탄성 부재(54)는 일시적으로 수축 또는 팽창하여 복원력을 가졌다가, 버튼(51)이 더 이상 가압되지 않을 때, 탄성 부재(54)의 복원력에 의해 탄성 부재(54)가 반대로 팽창 또는 수축하여 버튼(51), 압력 전달 부재(53) 및 마개(52)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탄성 부재(54)는 도 7 에 도시된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을 통해 복원력을 가질 수 있는 업계에 알려진 모든 형태의 부재가 될 수 있다.
도 7 에 나타난 개폐부(50)의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스팀이 유로(40)로 흐르거나 흐르지 못하도록 유로(4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업계에 알려진 어떤 구조라도 본 개시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개폐부(50)는 밸브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밸브를 조작하여 유로(4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압 스티머(1)는, 노즐(60)의 출구에 인접하고 열원(30)과 열전도적으로 연결되는 열전도성 판(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전도성 판(70)은 열원(30)과 열전도적으로 연결되고,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고압 챔버(10), 스팀 챔버(20) 및 열원(30)은 서로 열전도적으로 연결되므로, 열전도성 판(70)의 온도는 고압 챔버(10), 스팀 챔버(20) 및 열원(30)과 같거나 비슷할 수 있다. 이는 열전도성 판(70)이 충분히 가열되어 의류 또는 옷감의 구김을 더 잘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열전도성 판(70)은 원형의 평판 형상을 가지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고압 스티머(1)는 다양한 형태의 열전도성 판(7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압 스티머(1)는, 고압 챔버(1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80), 및 온도 센서(80)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기초로 고압 챔버(10)의 내부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범위에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80)는 써모스탯(thermostat)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80)는 고압 챔버(10)의 열전도성 내벽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제어 모듈로 송신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개시에 따른 고압 스티머(1)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고압 스티머(1)는 케이스(81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압 챔버(10), 스팀 챔버(20) 및 열원(30)은 케이스(8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810)는 열전도도가 낮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810)는 플라스틱 등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고압 스티머(1)를 사용할 때, 고압 챔버(10), 스팀 챔버(20) 또는 열원(30)에 사용자의 피부가 접촉하여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열판(70)은 케이스(8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열판(70)의 온도가 높아져서 케이스(810)를 변형 또는 파괴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압 스티머(1)는 핸들(820)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820)은 케이스(810)의 외벽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핸들(820)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쥐기 적합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핸들(820)은 스팀 분사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ㄱ'-자 형태로 굽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고압 스티머(1)를 한 손으로 잡고 원하는 방향으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핸들(820)은 열전도도가 낮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820)은 플라스틱 등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고압 스티머(1)를 사용할 때, 고압 챔버(10), 스팀 챔버(20) 또는 열원(30)에 사용자의 손이 접촉하여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압 스티머(1)는 분사 버튼(82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사 버튼(821)은 핸들(820)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 핸들(820)을 잡고, 잡은 손의 손가락으로 분사 버튼(821)을 눌러서 고압 스티머(1)의 스팀을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도 고압 스티머(1)를 들고 스팀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사 버튼(821)은 개폐부(5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 버튼(821)이 눌렸을 때 개폐부(50)가 작동하여(예를 들어, 개폐부(50)의 버튼을 누르도록 작동하여) 마개(52)가 열려서 고압 챔버(10)의 고압 스팀이 유로(40)를 통해 스팀 챔버(20)로 이동하여 스팀이 고압 스티머(1)의 노즐로부터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압 챔버(10)는 유로(40)가 폐쇄된 경우 유체의 출입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고압 챔버(10)의 온도가 상승하면 고압 챔버(10) 내의 물이 기화됨에 따라 고압 챔버(10) 내의 압력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고압 챔버(10)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고압 챔버(10) 내의 물의 포화 온도 역시 함께 상승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고압 챔버(10) 내의 온도와 물의 포화 온도가 같아지는 압력에서 고압 챔버(10) 내의 물의 기화량과 및 스팀의 응결량은 평형을 이룰 것이다. 즉, 고압 챔버(10)의 온도와 고압 챔버(10) 내의 압력은 일정한 대응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도 9 는 위에서 설명한 일정한 대응 관계 또는 본 개시에 따른 고압 스티머(1)의 고압 챔버(10) 내 물의 포화 증기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고압 챔버(10)에서 4 bar 이상의 계기 압력을 갖는 고압 스팀을 생성하기 위하여, 열원(30)의 온도는 최소한 섭씨 152도 이상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모듈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포화 증기 데이터를 기초로, 스팀의 압력이 기 설정된 목표 압력 범위를 만족하기 위하여 필요한 고압 챔버(10)의 목표 온도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온도 센서(80)로부터 고압 챔버(10)의 온도 값을 수신하여 기 설정된 목표 온도 범위와 비교한 다음, 열원(30)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어 고압 챔버(10) 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목표 온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열원(30)을 제어할 수 있다. 기 설정된 목표 온도 범위는 기 설정된 목표 압력 범위를 기초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80)가 측정한 고압 챔버(10)의 온도는 섭씨 100도이고, 설정된 목표 압력 범위는 3 bar 이상 4 bar 이하일 수 있다. 제어 모듈은 고압 챔버(10)의 내부 압력이 3 bar 이상 4 bar 이하이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포화 증기 데이터를 기초로, 고압 챔버(10)의 목표 온도 범위를 섭씨 144도 이상 152도 이하로 확인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온도 센서(80)로부터 고압 챔버(10)의 현재 온도 값을 수신하여, 고압 챔버(10)의 현재 온도가 섭씨 100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고압 챔버(10)의 현재 온도와 목표 온도 범위를 서로 비교하여, 고압 챔버(10)의 온도가 목표 온도 범위보다 낮으므로, 열원(30)의 온도를 높이도록 열원(30)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어 모듈은 고압 스티머(1)의 고압 챔버(10) 내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고압 스티머(1)에서 일정 시간 동안 분사되는 스팀량은 고압 챔버(10)의 압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은 고압 스티머(1)의 압력을 제어하여, 고압 스티머(1)의 노즐(60)에서 분사하는 스팀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스팀 분사 모드에 따라 스팀 온도 및 스팀 분사량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압 스티머(1)를 사용할 옷감에 따라 제어 모듈의 모드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압 스티머(1)는 버튼 또는 레버 등의 입력 모듈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입력 모듈을 조작하여 고압 스티머(1)의 스팀 분사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열원(3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열원(30)에 열전도적으로 연결된 열전도성 판(70)의 온도 역시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은 옷감의 종류에 따라 열전도성 판(70)의 온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압 스티머(1)를 사용할 옷감에 따라 열전도성 판(7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압 스티머(1)는 버튼 또는 레버 등의 입력 모듈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입력 모듈을 조작하여 열전도성 판(70)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개시에 따른 고압 스티머(1)를 이용하여 옷감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히터온도 및 스팀량을 조절하여 옷감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옷감의 구김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열전도성 내벽을 포함하고, 물 및 고압 스팀이 저장되고 가열되는 고압 챔버;
    상기 고압 챔버의 열전도성 내벽과 열전도적으로 연결된 열전도성 내벽을 포함하고, 스팀이 가열되는 스팀 챔버;
    상기 고압 챔버의 열전도성 내벽 및 상기 스팀 챔버의 열전도성 내벽에 열전도적으로 연결되는 열원;
    상기 고압 챔버로부터 상기 스팀 챔버로 스팀이 이동하는 유로;
    상기 유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부; 및
    상기 스팀 챔버와 외부를 연통하고, 가열된 스팀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고압 스티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챔버는,
    상기 고압 챔버의 상부에 구비되는 물 주입구; 및
    상기 물 주입구로부터 상기 고압 챔버의 내측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관형 벽을 포함하는, 고압 스티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챔버는,
    상기 고압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는 물 저장부;
    상기 고압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물 저장부의 상부와 연통되고,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고압 스팀 저장부; 및
    상기 고압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물 저장부의 물이 상기 고압 스팀 저장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고압 스티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상기 물 저장부의 열전도성 내벽 및 상기 고압 스팀 저장부의 열전도성 내벽에 열전도적으로 연결되는, 고압 스티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스팀 저장부는,
    상기 고압 스팀 저장부의 열전도성 내벽과 열전도적으로 연결되고, 고압 스팀이 상기 유로쪽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열전도성 가이드벽을 포함하는, 고압 스티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챔버는,
    상기 스팀 챔버의 열전도성 내벽의 상기 열원에 근접한 일측으로부터 상기 스팀 챔버의 내부로 연장되는 열전도성 돌기를 포함하는, 고압 스티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유로의 내측으로 돌출된 걸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버튼;
    상기 걸침부에 걸쳐지는 마개;
    상기 버튼이 가압되면 압력을 상기 마개로 전달하여 상기 마개를 상기 걸침부로부터 이격시켜 유로를 개방하는 압력 전달 부재; 및
    상기 버튼의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마개가 상기 걸침부에 걸치도록 되돌리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고압 스티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출구에 인접하고 상기 열원과 열전도적으로 연결되는 열전도성 판을 더 포함하는, 고압 스티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챔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기초로 상기 고압 챔버의 내부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범위에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고압 스티머.
KR1020220023743A 2022-02-23 2022-02-23 고압 스티머 KR202301264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743A KR20230126496A (ko) 2022-02-23 2022-02-23 고압 스티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743A KR20230126496A (ko) 2022-02-23 2022-02-23 고압 스티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496A true KR20230126496A (ko) 2023-08-30

Family

ID=8784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743A KR20230126496A (ko) 2022-02-23 2022-02-23 고압 스티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4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2141B2 (en) Iron with surge steam function
CN109652970B (zh) 衣物护理机烫头及具有其的衣物护理机
EP3194648B1 (en) A steam device
CN104762802A (zh) 服装汽蒸设备
US9624620B2 (en) Gravity-fed combined iron and steamer
KR100861167B1 (ko) 온수 순환 시스템
RU2605845C2 (ru) Паровой утюг
CN106402823B (zh) 一种发热锅组件
WO2020094293A1 (en) A cooking device comprising a steam generator
US6167643B1 (en) Iron with non-drip device
KR200425391Y1 (ko) 오버히트 방지부가 구비된 스팀 발생기
KR20230126496A (ko) 고압 스티머
CN204589678U (zh) 蒸汽熨斗装置
US7181874B2 (en) Multipurpose drip iron
EP3118369B1 (en) Improved iron structure
CN108611834B (zh) 包括通过导管彼此连接的蒸汽发生基部和熨斗的蒸汽熨烫设备
JP4014651B2 (ja) 水滴防止デバイス付きアイロン
US20230313443A1 (en) Hybrid steamer iron assembly
CN109750479A (zh) 一种蒸汽喷头及蒸汽熨烫机
JP2011030717A (ja) スチームアイロン
US2777224A (en) Steam pressing iron
EP2072662B1 (en) Ironing system
EP2138628A1 (en) Steam iron with water preheating device
US20230416974A1 (en) Domestic Appliance For Ironing And/Or Steaming Comprising At Least Two Vaporization Chamber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Duct
EP4108825A1 (en) Garment care device with a main groove arranged in the steaming sur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