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368A -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368A
KR20230126368A KR1020220023433A KR20220023433A KR20230126368A KR 20230126368 A KR20230126368 A KR 20230126368A KR 1020220023433 A KR1020220023433 A KR 1020220023433A KR 20220023433 A KR20220023433 A KR 20220023433A KR 20230126368 A KR20230126368 A KR 20230126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valuation value
mcs
dmrs
s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5361B1 (ko
Inventor
임광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20023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361B1/ko
Publication of KR20230126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3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31Multiple signaling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신호와 UL DMRS(Uplink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기 SRS 신호 및 상기 UL DMRS 신호를 함께 고려한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한 평가치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차이에 기초하여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MCS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SRS가 정상 수신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적절한 MCS가 선택되도록 하는 5G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망 운영에 있어서는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소정의 레퍼런스 시그널RS : Reference Signal) 신호를 주고받아야 한다.
즉, RS는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Transmitter에서 쏘는 미리 정의된 신호인데 주로 'Channel 추정'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LTE(4G 통신)인지 NR(5G 통신)인지에 따라서 어떤 RS가 정의되어있는지가 달라지는데, LTE 초기에 사용되던 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CRS)을 NR에서는 보다 여러 종류로 세분화 되었다.
예를 들어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 Reference Signal)는 gNB(gNodeB)가 UE(User Equipment : 사용자 단말)로 하향링크(Downlink)를 보내는 채널의 상황을 알아보기 위한 RS다.
이를 위해 CSI-RS를 gNB가 만들어서 CSI-RS를 쏘면, UE는 CSI-RS를 보고, 채널 상황을 파악하고 결과를 gNB로 Reporting하는 절차로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처리되는 CSI-RS를 생성하는 방법이나 채널 상황을 파악하는 알고리즘 등은 TS 38.21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표준화 되어 있다.
또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는 CSI-RS를 쏘는 주체와 받는 주체가 반대인 레퍼런스 시그널 신호에 해당한다.
즉, UE가 gNB로 보내는 업링크 채널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gNB로 쏘면, gNB는 현재 자신이 파악한 채널 상태를 기반으로 UE에게 Report해주고, 앞으로의 UL에 반영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UE는 여러 방향의 Beam으로 SRS를 전송하게 되고, gNB에서는 수신된 SRS를 기반으로 각 방향의 채널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어떤 Beam을 사용할지 또는 Rank는 얼마인지 등의 상향 링크 채널(Uplink Channel)에 필요한 정보들을 UE에 전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gNB(기지국)이 MCS(Modulation Coding Scheme)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MCS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고 할 수 있는데, 여기서 MCS는 통신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의 조합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각 변수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테이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MCS를 선택함에 있어서 SRS 신호에만 의존함으로써 적절한 MCS가 선택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예를 들어 UE에서 SRS 신호를 전송함에 있어서 측정구간(Measurement gap), 업링크 전력 부족(UL power shortage) 등의 다양한 문제로 인해 우선순위가 밀려 기지국이 기대하는 시점에 SRS을 제대로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기지국에서는 UE에 의해 SRS가 아예 전송되지 못하였음을 인지하지 못한 채로 아주 낮은 SRS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라고 잘못 판단하여 적절치 못한 MCS를 선택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등록특허 제10-226893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SRS가 제대로 전송되지 못한 상황에서도 오류를 최대한 줄인 MCS를 선택하는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제어방법은, 기지국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신호와 UL DMRS(Uplink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기 SRS 신호 및 상기 UL DMRS 신호를 함께 고려한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한 평가치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차이에 기초하여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MCS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RS 신호의 SINR과 UL DMRS 신호의 SINR의 합에 해당하는 평가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출한 평가치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SRS 신호의 SINR에 기초하여 MCS를 선택하고, 상기 산출한 평가치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UL DMRS 신호의 SINR에 기초하여 MCS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강전계 상태 또는 약전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전계 상태로 판단한 경우 전대역(full-band) SRS 신호 및 상기 UL DMRS 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평가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전계 상태로 판단한 경우 서브대역(sub-band) SRS 신호 및 상기 UL DMRS 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평가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은, 기지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신호와 UL DMRS(Uplink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신호 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SRS 신호 및 상기 UL DMRS 신호를 함께 고려한 평가치를 산출하는 평가치 산출부와; 상기 평가치 산출부에서 산출한 평가치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차이에 기초하여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선택하는 MCS 선택부와; 상기 MCS 선택부에서 선택한 MCS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가치 산출부는 상기 SRS 신호의 SINR과 UL DMRS 신호의 SINR의 합에 해당하는 평가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CS 선택부는, 상기 평가치 산출부에서 산출한 평가치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SRS 신호의 SINR에 기초하여 MCS를 선택하고, 상기 평가치 산출부에서 산출한 평가치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UL DMRS 신호의 SINR에 기초하여 MCS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강전계 상태 또는 약전계 상태를 판단하는 통신 환경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환경 판단부에서 강전계 상태로 판단한 경우, 상기 평가치 산출부는 전대역(full-band) SRS 신호 및 상기 UL DMRS 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평가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환경 판단부에서 약전계 상태로 판단한 경우, 상기 평가치 산출부는 서브대역(sub-band) SRS 신호 및 상기 UL DMRS 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평가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SRS 신호와 UL DMRS 신호를 함께 고려한 평가치를 기초로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에서 측정구간(Measurement gap), 업링크 전력 부족(UL power shortage) 등의 다양한 문제로 인해 우선순위가 밀려 SRS 신호를 제대로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기지국은 적절한 MCS를 선택할 수 있고, 따라서 상향 링크 통신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을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0)을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대방과 통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상의 서버(300)와 통신하고자 하는 통신 가입자들이 이용하는 것으로서, 예를 스마트폰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기지국(10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데, 이때 적절한 통신 채널을 선정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신호 또는 레포트를 기지국(100)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0)는 5G(Fifth Generation) 단말기인 경우에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신호와 UL DMRS(Uplink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신호를 기지국(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상의 레퍼런스 시그널 신호에 대해 RSRP(Reference Signals Received Power)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기지국(1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처럼 통신 환경에 대한 판단, 적절한 통신 채널의 선정 등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가 기지국(100)과 송수신하는 과정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지국(100)은 사용자 단말기(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사용자 단말기(200)가 그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 신호/데이터를 그 목적지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100)'은 신호의 전달을 위해 필요한 중계기를 포함한다.
특히 기지국(100)은 5G(5세대) 모바일 네트워크를 위해 3GPP에서 정의한 라디오 액세스 테크놀로지(RAT)인 5G NR(뉴 라디오/New Radio)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는 의미는, 통신 주파수는 물론이고, 빔 방향(SRS Index), 랭크, 상향 링크를 위한 전송 부호화(Transmit Precoding) 정보 등을 선정하여 상호 교환하는 과정도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기지국(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와 적절한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의 레퍼런스 시그널(RS : Reference Signal)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수신부(110), 평가치 산출부(120), MCS 선택부(130), 통신 제어부(140), 통신 환경 판단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통신 환경 판단부(15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강전계 상태 또는 약전계 상태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통신 품질을 판단용으로 강전계 상태인지, 약전계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데, 통신 환경 판단부(150)는 이를 위해 자체적인 알고리즘에 의해 이러한 통신 환경을 판단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판단된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수신하여 통신 환경을 판단할 수도 있다.
신호 수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신호와 UL DMRS(Uplink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SRS 신호는 앞서 배경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가 Uplink Channel의 상태 또는 선정을 위해 전송하는 레퍼런스 신호이다.
또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신호는 데이터를 Demodulation 하기 위해 필요한 채널 값을 추정하기 위한 레퍼런스 신호이다. 하향링크(DL)와 상향링크(UL) 상관없이 DMRS를 보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 중 상향 링크의 경우만 고려한다.
평가치 산출부(120)는 신호 수신부(110)에 수신된 SRS 신호 및 UL DMRS 신호를 함께 고려한 평가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평가치 산출부(120)는 SRS 신호의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과 UL DMRS 신호의 SINR를 합산한 결과를 평가치로 산출할 수 있다.
특히, 앞서 언급한 통신 환경 판단부(150)에서 강전계 상태로 판단한 경우, 평가치 산출부(120)는 전대역(full-band) SRS 신호 및 UL DMRS 신호를 고려하여 평가치를 산출할 수 있다.
반면에 통신 환경 판단부(150)에서 약전계 상태로 판단한 경우, 평가치 산출부(120)는 서브대역(sub-band) SRS 신호 및 UL DMRS 신호를 고려하여 평가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평가치 산출부(120)에서 평가치를 산출하기 위해 이용하는 신호의 종류가 강전계 상태인지, 약전계 상태인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여기서 전대역(full-band)은 가용한 대역 전체를 의미하는 것이고, 서브밴드(sub-band)는 가용한 대역 중 일부의 대역을 의미하는 것이다. 참고로 전대역에 걸쳐 SRS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나 이 경우에는 도달거리가 짧다는 단점이 있고, 반면에 서브 밴드로 SRS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일부 대역에 파워를 집중할 수 있으므로 도달거리가 더 길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MCS 선택부(130)는 평가치 산출부(120)에서 산출한 평가치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차이에 기초하여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MCS를 선택한다는 것은 본 실시예에서는 적절한 상향 링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특정 MCS를 선택한다는 것으로서, MCS가 통신에 필요한 다양한 파라미터들의 조합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각 변수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테이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앞서 언급한 바 있고, 이러한 MCS의 구성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종래에는 MCS를 선택함에 있어서 기지국(100)이 SRS 신호에만 의존하였다면, 본 실시예에서는 평가치를 기초로 MCS를 선택하고 있고, 여기서의 평가치는 SRS 신호와 UL DMRS 신호를 모두 고려한 수치(특히, SRS 신호의 SINR과 UL DMRS 신호의 SINR의 합에 해당하는 수치)라는 점에서 종래 기술과 차이가 있는 것이다.
특히, MCS 선택부(130)는 평가치 산출부(120)에서 산출한 평가치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SRS 신호의 SINR에 기초하여 MCS를 선택하고, 평가치 산출부(120)에서 산출한 평가치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UL DMRS 신호의 SINR에 기초하여 MCS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MCS 선택부(130)는 SRS 신호와 UL DMRS 신호가 실제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는 없고, 다만 SRS 신호와 UL DMRS 신호의 전송을 제어한 이후에는 해당 신호들이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전송되었다고 가정하고 수신된 각 신호들의 SINR 값을 더하여 산출한 평가치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SRS 신호의 SINR에 기초하여 MCS를 선택하거나 또는 UL DMRS 신호의 SINR에 기초하여 MCS를 선택하는 것이다.
통신 제어부(140)는 MCS 선택부(130)에서 선택한 MCS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40)는 MCS 선택부(130)에서 선택한 MCS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하여 그 선택된 MCS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사용자 단말기(200)는 수신된 MCS에 기초하여 빔 방향(SRS Index), 랭크, 상향 링크를 위한 전송 부호화(Transmit Precoding) 정보 등을 설정한 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기지국(100)이 선택된 MCS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하여금 상향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0)의 제어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100)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SRS 신호와 UL DMRS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1).
여기서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한 SRS 신호와 UL DMRS 신호의 전송은 기지국(100)의 요청 또는 제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기지국(100)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SRS 신호의 SINR을 판단하고(단계 S3),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UL DMRS 신호의 SINR를 판단한다(단계 S5).
수신된 신호의 SINR을 판단하는 것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기지국(100)은 SRS 신호의 SINR과 UL DMRS 신호의 SINR을 더하여 평가치로 산출한다(단계 S7).
또한 기지국(100)은 산출된 평가치가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데(단계 S9), 비교 결과 평가치가 기준값보다 더 큰 경우에는 기지국(100)은 SRS 신호의 SINR에 기반하여 MCS를 선택한다(단계 S11).
비교 결과 평가치가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단계 S9) 기지국(100)은 UL DMRS의 SINR에 기반하여 MCS를 선택한다(단계 S13).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강전계/약전계 상황에 따른 처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100)은 통신 환경 상태를 판단한다(단계 S21). 즉, 강전계 상태인지 약전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강전계 상태인지 약전계 상태인지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RSRP에 의해 판단될 수도 있다.
판단결과 강전계 상태인 경우(단계 S23) 기지국(100)은 전대역(full-band) SRS 신호 및 UL DMRS 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MCS를 선택하고(단계 S25), 만일 강전계 상태가 아닌 경우(일 예로 약전계 상태인 경우)에는(단계 S23) 서브대역(sub-band) SRS 신호 및 UL DMRS 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MCS를 선택한다(단계 S27).
여기서 SRS 신호 및 UL DMRS 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MCS를 선택하는 과정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기지국(100)은 선택된 MCS를 이용한 상향 링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 단말기(200)를 제어한다(단계 S29).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강전계/약전계 상황에 따른 처리를 위해 기지국(100)은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에 SRS 신호의 전송 방식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강전계 상태인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SRS 신호를 전대역(full-band)으로 전송하라고 요청할 수 있고, 만일 약전계 상태인 경우에는 SRS 신호를 서브 밴드(sub-band)로 전송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가 SRS 신호를 적절한 대역을 통해 전송하며, 기지국(100)은 그 수신된 SRS 신호를 이용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UL DMRS 신호와 함께 고려하여 적절한 MCS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00)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기지국 200 : 사용자 단말기
110 : 신호 수신부 120 : 평가치 산출부
130 : MCS 선택부 140 : 통신 제어부
150 : 통신 환경 판단부

Claims (12)

  1. (a)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신호와 UL DMRS(Uplink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SRS 신호 및 상기 UL DMRS 신호를 함께 고려한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산출한 평가치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차이에 기초하여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선택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선택된 MCS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SRS 신호의 SINR과 UL DMRS 신호의 SINR의 합에 해당하는 평가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b) 단계에서 산출한 평가치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SRS 신호의 SINR에 기초하여 MCS를 선택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산출한 평가치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UL DMRS 신호의 SINR에 기초하여 MCS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e)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강전계 상태 또는 약전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e) 단계에서 강전계 상태로 판단한 경우 상기 (b) 단계에서는, 전대역(full-band) SRS 신호 및 상기 UL DMRS 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평가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약전계 상태로 판단한 경우 상기 (b) 단계에서는, 서브대역(sub-band) SRS 신호 및 상기 UL DMRS 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평가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제어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7.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8.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신호와 UL DMRS(Uplink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신호 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SRS 신호 및 상기 UL DMRS 신호를 함께 고려한 평가치를 산출하는 평가치 산출부와;
    상기 평가치 산출부에서 산출한 평가치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차이에 기초하여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선택하는 MCS 선택부와;
    상기 MCS 선택부에서 선택한 MCS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치 산출부는 상기 SRS 신호의 SINR과 UL DMRS 신호의 SINR의 합에 해당하는 평가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MCS 선택부는, 상기 평가치 산출부에서 산출한 평가치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SRS 신호의 SINR에 기초하여 MCS를 선택하고, 상기 평가치 산출부에서 산출한 평가치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UL DMRS 신호의 SINR에 기초하여 MCS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강전계 상태 또는 약전계 상태를 판단하는 통신 환경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환경 판단부에서 강전계 상태로 판단한 경우, 상기 평가치 산출부는 전대역(full-band) SRS 신호 및 상기 UL DMRS 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평가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환경 판단부에서 약전계 상태로 판단한 경우, 상기 평가치 산출부는 서브대역(sub-band) SRS 신호 및 상기 UL DMRS 신호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평가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220023433A 2022-02-23 2022-02-23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 KR102575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433A KR102575361B1 (ko) 2022-02-23 2022-02-23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433A KR102575361B1 (ko) 2022-02-23 2022-02-23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368A true KR20230126368A (ko) 2023-08-30
KR102575361B1 KR102575361B1 (ko) 2023-09-07

Family

ID=87846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433A KR102575361B1 (ko) 2022-02-23 2022-02-23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3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1807A (ko) * 2011-12-21 2013-07-01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상향링크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190039398A (ko) * 2017-05-04 2019-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059531A (ko) * 2018-11-21 2020-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68939B1 (ko) 2016-11-04 2021-06-25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캐리어 집성 활성화-관련 지연들에 대한 srs 스위칭의 영향 제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1807A (ko) * 2011-12-21 2013-07-01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상향링크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102268939B1 (ko) 2016-11-04 2021-06-25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캐리어 집성 활성화-관련 지연들에 대한 srs 스위칭의 영향 제어
KR20190039398A (ko) * 2017-05-04 2019-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059531A (ko) * 2018-11-21 2020-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361B1 (ko)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63264B (zh) 随机接入指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87928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ell for executing comp in multi-cell environment
RU2008107086A (ru) Способ эффектив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радиоресурсами
EP2750308B1 (en) Determining and indicating the number of reference resources needed for achieving a CQI level
US11412460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lay communication in a user equipment or a base station
CN105027638A (zh) 管理用于设备到设备通信的发射功率的方法和装置
CN104303444A (zh) 用于设备恢复的外层循环链路自适应
EP1550242A4 (en) DYNAMIC RADIATION ADAPTATION FOR CLEARING IN CELLULAR
WO2018091072A1 (en) Configurable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reporting for wireless networks
CN104661296A (zh) 决定用户设备的发送功率的装置和方法
JP200752090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EP4195571A1 (en) Srs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7735970B (zh) 网络节点、用户设备及其方法
CN114285520A (zh) 配置授权的自适应配置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575361B1 (ko) 기지국 및 그 제어방법
US10728803B2 (en) Adaptive and proactive feedback for power and performance optimization
CN115276908B (zh) 一种无线通信方法及设备、存储介质
US11985605B2 (en) Method and device in nodes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JP5330406B2 (ja) 無線資源の割当を容易にする方法および構成
CN112751657B (zh) 干扰测量方法、基站、通信系统以及存储介质
CN109802734B (zh) 一种传输信道质量信息的方法和装置
US20230413186A1 (en) Side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CN102067521B (zh) 无线网络中移动终端报告通信质量的方法和装置
WO2023044761A1 (zh) 信息上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032826B2 (en) Radio spectrum sharing leveraging link adaptation in primary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