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770A - 리소스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리소스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770A
KR20230125770A KR1020237002229A KR20237002229A KR20230125770A KR 20230125770 A KR20230125770 A KR 20230125770A KR 1020237002229 A KR1020237002229 A KR 1020237002229A KR 20237002229 A KR20237002229 A KR 20237002229A KR 20230125770 A KR20230125770 A KR 20230125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cch
resource
terminal device
channel
present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2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아레이 왕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유니삭 커뮤니케이션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유니삭 커뮤니케이션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베이징 유니삭 커뮤니케이션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125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7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H04B7/06964Re-selection of one or more beams after beam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리소스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를 공개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 장치가 제1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를 수신하는 것 - 제1 PDCCH는 단말 장치가 추천하는 빔 정보에 대응하는 빔에 캐링됨 - 과, 단말 장치는 제1 시간 동안 빔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것 - 제1 리소스는 제1 채널 및/또는 제1 신호의 공역 정보를 포함함 - 을 포함한다. 본 출원은 채널 및/또는 신호 리소스 공역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기술 방안을 제공하며, 단말 장치가 응답인 제1 PDCCH를 수신한 다음에, 단말 장치가 추천한 빔 정보에 따라 채널 및/또는 신호 리소스 공역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리소스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리소스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빔이 좁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 BFR) 또는 링크 복구 프로세스의 메커니즘이 NR에 동시에 도입되었다. 빠른 채널 변화로 인해, 단말이 수신한 빔의 품질 파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단말이 수신된 빔의 품질이 일정한 문턱보다 낮고 또한 발생 빈도가 예정된 조건에 도달된 것을 발견하면, 단말의 BFR 프로세스를 트리거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빔 실패를 발견하면, 단말은 고위층이 구성한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PRACH) 리소스에서 PRACH를 송신하여 리소스 업데이트 요청으로 하고, 그 후에 리소스 업데이트 요청에 대한 기지국의 응답으로서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CCH)을 수신한다. 고위층 시그널링은 단말이 리소스 업데이트 응답을 수신하는 검색 공간 및 이와 관련된 제어 리소스 집합(Control Resource Set, CORESET)을 구성하며, CORESET에 다른 검색 공간을 구성하지 않는다. 단말이 리소스 업데이트 응답의 PDCCH를 수신할 때, PDCCH의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와 고위층에서 구성된 인덱스가 qnew인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CSI-RS) 또는 동기화 신호와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and Physical Broadcast Channel block, SS/PBCH block)(SSB라고 약칭함)은 준공존(quasi co-located,QCL)이라고 가정한다. qnew은 단말 장치가 고위층이 구성한 후보 빔 인덱스에서 선택한 하나의 인덱스이며, 단말은 은밀한 방식으로 qnew를 네트워크측에 추천한다.
BFR 프로세스는 프로토콜 버전 15(Release 15, R15) 및 Release16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 Release 15는 특수한 셀(Special Cell, sPCell)의 BFR을 연구하며, sPCell는 PCell(Primary Cell)과 PSCell(Primary Secondary Cell)을 포함한다. Release16은 보조 셀(Secondary Cell, SCell)의 BFR을 연구한다.
현재 NR Rel-16은 멀티 송신 수신 포인트(multi-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multi-TRP) 전송을 지원하고, 단말과 여러 TRP가 동시에 통신하는 것을 지원한다. 진일보로, 프로토콜은 단일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기반으로 트리거되거나 스케줄링되는 mutli-TRP 전송을 지원하고, 여러 DCI를 기반으로 트리거되거나 또는 스케줄링되는 multi-TRP 전송도 지원한다. 여러 DCI를 기반으로 트리거되거나 또는 스케줄링되는 multi-TRP 전송 시나리오에서, 두가지 유형의 CORESET로 나눌 수 있다. 제1 CORESETs는 CORESET Pool Index가 구성되지 않거나 또는 CORESET Pool Index의 값이 0으로 구성된 CORESET이고, 제2 CORESETs는 CORESET Pool Index의 값이 1로 구성된 CORESET이다. 제1 CORESETs와 제2 CORESETs는 각각 서로 다른 TRP에 대응된다.
그러나 현재 프로토콜의 링크 복구 프로세스는 셀에 대하여 논하는 것이며, multi-TRP 시나리오의 링크 복구 프로세스(또는 빔 복구 프로세스) 에 대하여 그 어떤 표준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았다. 따라서 TRP를 향한 링크 복구 프로세스를 지원하고, multi-TRP 전송 시나리오에 있어서의 각 TRP 링크의 신속한 복구를 실현하며, 특히 단말 장치가 TRP에서 송신된 응답을 수신한 다음에 공역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리소스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단말 장치가 TRP에서 송신된 제1 PDCCH를 수신한 다음에 채널 및/또는 신호 리소스 공역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리소스 업데이트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 장치가 제1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를 수신하는 것과,
단말 장치는 제1 시간 동안 빔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것 - 제1 리소스는 제1 채널 및/또는 제1 신호의 공역 정보를 포함함 - 을 포함한다.
제2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리소스 업데이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제1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를 수신하는 데에 사용되는 송수신 유닛과,
제1 시간 동안 빔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데에 사용되는 업데이트 유닛 - 제1 리소스는 제1 채널 및/또는 제1 신호의 공역 정보를 포함함 - 을 포함한다.
제3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단말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프로그램은 제1 양태의 방법에서 설명된 일부 또는 모든 단계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명령을 포함한다.
*제4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전자 데이터 교환에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에 사용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제1 양태의 방법에서 설명된 일부 또는 모든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제5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수행될 경우, 컴퓨터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양태의 방법에서 설명된 일부 또는 모든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소프트웨어 장착 패키지일 수 있다.
보다시피,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장치는 제1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수신하고, 단말 장치는 제1 시간 동안 빔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며, 제1 리소스는 제1 채널 및/또는 제1 신호의 공역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은 채널 및/또는 신호 리소스 공역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기술 방안을 제공하며, 단말 장치가 응답인 제1 PDCCH를 수신한 다음에, 단말 장치가 추천한 빔 정보에 따라 채널 및/또는 신호 리소스 공역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첨부 도면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하, 예시된 첨부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고, 당업자는 이러한 도면을 기반으로 창조적인 노력 없이도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 명백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리소스 업데이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리소스 업데이트 장치의 기능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단말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 방안은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5G 통신 시스템(예를 들면, NR(New Radio))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5G 이동 통신 시스템은 비단독모드(non-standalone, NSA)의 5G 이동 통신 시스템 및/또는 단독모드(standalone, SA)의 5G 이동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기술 방안은 또한 다양한 통신 기술이 융합된 통신 시스템(예를 들면, LTE 기술과 NR 기술이 융합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6G 통신 시스템, 7G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미래의 새로운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도 적용되며, 중계 네트워크 아키텍처, 이중 링크 아키텍처, 차량에서 모든 물체에 이르는 통신(Vehicle-to-Everything) 아키텍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와 관련된 TRP는 기지국(Base Station, BS)일 수 있고, 기지국 설비라고도 할 수 있으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배치하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2G 네트워크에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설비는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및 기지국 컨트롤러(Base Station Controller, BSC)를 포함하고, 3G 네트워크에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설비는 노드 B(NodeB)와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adio Network Controller, RNC)를 포함하고, 4G 네트워크에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설비는 진화하는 노드 B(evolved NodeB, eNB)를 포함하고, 무선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에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설비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이고, 5G 새로운 라디오(New Radio, NR)에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설비는 계속 진화하는 노드 B(gNB), 미래의 새로운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설비 등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단말 장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장치를 포함한다. 단말 장치는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pad), 무선 송수신 기능이 있는 컴퓨터,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단말 장치,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단말 장치, 산업 제어(industrial control) 중의 무선 단말기, 무인 운전(self driving) 중의 무선 단말기, 원격 의료(remote medical) 중의 무선 단말기,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중의 무선 단말기, 스마트 홈(smart home) 중의 무선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단말 장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 헬드 장치, 차량 탑재 장치, 웨어러블 장치, 컴퓨터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또는 미래 진화 공용 육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단말 장치 등일 수도 있다.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서 단말 장치는 서로 다른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기(access terminal), 사용자 유닛(user unit), 사용자 스테이션(us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원격 스테이션(remote station), 원격 단말기(remote terminal),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 단말기(terminal), 무선 통신 장치(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전화, 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5G 네트워크 또는 미래 진화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등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것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단말 장치와 여러개의 TRP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TRP는 모두 단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TRP에서 단말 장치로의 단방향 통신 링크를 다운 링크(Down Link, DL)로 정의하고, 다운 링크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다운 데이터이고, 다운 데이터의 전송 방향은 다운 방향이다. 단말 장치에서 TRP로의 단방향 통신 링크를 업링크(Up Link, UL)로 정의하고, 업 링크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업 데이터이고, 업 데이터의 전송 방향은 업 방향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적어도 하나’는 하나 또는 여러 개를 의미하며, '여러개’는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을 의미함을 이해해야 한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 대상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며, 세가지 관계가 존재함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 이 세가지 경우를 나타내며, A와 B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부호'/’는 전후 연관 대상 사이는 '또는’이라는 관계임을 나타낸다. '아래 적어도 한 항(한개)’ 또는 그 유사한 표현은 이런 항 중 임의의 조합을 의미하며, 단항(한개) 또는 다항(여러개)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한 항(한개)은 a, b, c, a-b, a-c, b-c, 또는 a-b-c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a, b, c는 한 개일 수도 있고, 여러개일 수도 있다.
그리고 반대의 설명이 없는 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제1’, '제2’ 등 서수사는 여러 대상을 구분하는 데에 사용되며, 여러 대상의 순서, 시간 순서, 우선 순위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데에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정보와 제2 정보는 서로 다른 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지, 이 두가지 정보의 내용, 우선 순위, 송신 순서나 중요도 등이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 나타난 '네트워크’와 '시스템’은 동일한 개념을 나타내며, 통신 시스템은 바로 통신 네트워크이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 나타난 '연결’은 직접 연결 또는 간접 연결 등 다양한 연결 방식을 가리키며,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다른 장치에 연결되고, 어떠한 제한도 하지 않는다.
NR Rel-16은 multi-TRP를 기반으로 하는 전송을 지원하며, 즉 단말 장치와 하나 이상의 TRP가 통신하는 것을 지원한다. 그러나 현재 프로토콜의 링크 복구 프로세스는 단지 셀에 대하여 논하는 것이며, multi-TRP 시나리오의 링크 복구 프로세스(또는 빔 복구 프로세스)에 대하여 그 어떤 표준화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TRP를 향하는 링크 복구 프로세스를 지원하여 multi-TRP 전송 시나리오에 있어서의 각 TRP 링크의 신속한 복구를 실현하고, 특히 단말 장치가 TRP에서 보낸 응답을 받은 후에 공역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리소스 업데이트 방법을 제공한다. 단말 장치는 제1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수신하고, 제1 PDCCH는 단말 장치가 추천하는 빔 정보에 대응하는 빔에 캐링되며, 단말 장치는 제1 시간 동안 빔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리소스를 업데이트하고, 제1 리소스는 제1 채널 및/또는 제1 신호의 공역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은 채널 및/또는 신호 리소스 공역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기술 방안을 제공하며, 단말 장치가 응답인 제1 PDCCH를 수신한 다음에, 단말 장치가 추천한 빔 정보에 따라 채널 및/또는 신호 리소스 공역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당업자가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책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전부 실시예가 아니라는 점은 자명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력 없이 획득할 수 있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리소스 업데이트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소스 업데이트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S210, 단말 장치는 제1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를 수신하고, 제1 PDCCH는 단말 장치가 추천하는 빔 정보에 대응하는 빔에 캐링된다.
단말 장치는 multi-TRP 전송을 지원하며, 즉 하나의 DCI에 여러 개의 TRP에 대응하는 QCL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PDCCH 구성은 CORESET와 검색 공간 집합의 구성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CORESET은 주로 PDCCH가 위치한 리소스 위치를 구성하고,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리소스 매핑 방식, 리소스 입자 그룹 번들(REG bundle) 크기 등을 포함한다. 검색 공간 집합은 주로 검색 공간 집합의 검출 주기, 검출 오프셋 값, 검출 시간, 집계 등급 및 각 집계 등급의 PDCCH 후보 집합 수량 등을 구성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PDCCH 는 셀 무센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C-RNTI 또는 MCS-C-RNTI 스크램블된 PDCCH이다.
단말 장치가 제1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를 수신하는 것은, 단말 장치가 RecoverySearchSpaceId를 수신하고, RecoverySearchSpaceId에 대응하는 검색 공간에서 제1 PDCCH를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말 장치는 PRACH를 송신한 다음에, TRP가 송신하는 빔 실패 복구 응답을 기다린다. 빔 실패 복구 응답은 TRP가 빔 실패 복구 시에 상위 계층 매개변수(recoverySearchSpaceId)가 제공하는 검색 공간에서 셀 무센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 또는 변조 및 인코딩 책략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Modulation and Coding Scheme Cell Radio Networary Temporary Identifier, MCS-C-TIR) 스크램블된 PDCCH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검색 공간에서 C-RNTI 또는 MCS-C-RNTI 스크램블된 PDCCH가 감지되면,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가 성공적으로 전송되고,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BFR)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간주된다.
상술한 recoverySearchSpaceId는 BFR이 발생한 TRP가 구성한 것일 수 있고, 다른 TRP가 구성한 것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것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PDCCH는 다운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캐링하고, DCI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의 혼합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프로세스 번호는 첫번째 PUSCH의 HARQ 프로세스 번호와 동일하고, 또한 제1 PDCCH 중의 새로운 데이터 표시자(NDI) 필드는 DCI 스케줄링된 PUSCH가 새로운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PDCCH는 새로운 데이터 표시자(New Date Indicator, NDI) 필드를 포함하고, NDI 필드는 송신할 데이터가 초기 송신에 대응되는지 그렇지 않으면 이전 데이터의 재송신에 대응되는지를 표시하는 데에 사용되며, 새로운 데이터를 송신할 때, NDI 필드는 0->1->0->1...와 같은 순서로 비트 변경된다. 재송신인 경우, NDI 필드는 초기 송신된 NDI 필드와 같은 값을 갖는다. 따라서 TRP는 NDI 필드를 이전에 송신한 값과 비교하여 데이터 재송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PDCCH에 캐링된 DCI 스케줄링된 PUSCH의 HARQ 프로세스 번호와 첫번째 PUSCH의 HARQ 프로세스 번호가 동일하고, 또한 제1 PDCCH에 뒤집힌 NDI 필드 값이 있는 경우, 즉 제1 PDCCH의 NDI 필드 값이 직전 PDCCH의 NDI 필드 값과 반대인 경우,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가 성공적으로 송신되고 빔 실패 복구(BFR) 프로세스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간주된다.
S220, 단말 장치는 제1 시간 동안 빔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리소스를 업데이트하고, 제1 리소스는 제1 채널 및/또는 제1 신호의 공역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는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에 대한 TRP의 응답, 즉 제1 PDCCH를 수신한 다음에, 일정한 시간을 만족한 다음에,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에 있는 단말 장치가 유지 관리하는 백업 빔의 빔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채널 및/또는 제1 신호의 공역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선택적으로, 제1 채널 및/또는 제1 신호에 대응하는 TRP는 빔 정보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RS)와 관련된 TRP와 같다.
TRP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장치를 위해 전송 구성 지시(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TCI) 상태와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의 대응 관계를 구성할 수 있다. TCI State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의 DMRS의 QCL 지시 또는 PDCCH의 DMRS의 QCL 지시에 사용되며, 즉, PDCCH 또는 PDSCH에 사용되는 다운링크 빔을 지시한다. 각 TCI State는 하나 이상의 RS Set에 대응되며, 각 RS Set는 여러개의 RS 리소스(즉 RS Resource)를 포함한다. 각 RS Set와 하나의 DMRS 포트 그룹(즉, DMRS port group)은 QCL 관계를 갖고, 예를 들면, 하나의 TRP는 하나의 DMRS 포트 그룹을 사용하고, 상기 DMRS 포트 그룹은 RS Set와 QCL 관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TCI가 PDCCH의 QCL 지시에 사용되는 경우, RRC 시그널링 또는 RRC 및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제어 유닛(Control Element, CE)를 통해 한 개의 TCI State를 통지하고, 하나의 RS Set를 지시하며, 상기 RS Set와 PDCCH의 DMRS 포트는 QCL 관계가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는 TCI State에 따라 어느 수신 빔(즉, Rx Beam)을 사용하여 PDCCH를 수신할지를 알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장치는 TRP에서 송신된 제1 PDCCH를 수신한 다음에, 단말 장치는 빔 정보에 대응하는 RS와 동일한 TRP에 관련된 채널 및/또는 신호의 공역 정보만 업데이트하고, 물리적 채널 및/또는 신호의 공역 정보를 효과적으로 업데이트하고, 다른 TRP에 속하는 물리적 채널 및/또는 신호도 업데이트되는 것을 회피함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제1 채널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USCH), 제1 제어 리소스 집합(COERSET, CORESET#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1 COERSET는 빔 실패가 발생한 보조 셀에 대응하는 CORESETs이다.
구체적으로, 제1 COERSET는 Scell 빔 실패 정보를 휴대한 MAC CE 중 지시된 Scell의 모든 CORESETs이고, CORESET#0은 Scell 및/또는 Pcell 중 인덱스 번호가 0인 CORESET이다. 제1 PDCCH를 수신한 다음에 단말 장치는 빔 정보에 대응하는 RS와 동일한 TRP에 관련된 PUCCH, PDSCH, PUSCH, 제1 COERSET, CORESET#0 중 적어도 하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신호는 탐지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포함할 수 있으며, SRS의 용도 구성은 코드북(codebook) 또는 비 코드북(non-codebook)을 포함한다.
SRS의 용도 구성은 빔 관리(beam management), 안테나 스위칭(antenna switching), 코드북(codebook) 기반 전송, 비코드북(non-codebook) 기반 전송 중 적어도 두가지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BFR가 발생한 다음에, 단말 장치는 빔 정보를 기반으로 SRS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SRS의 용도 구성은 코드북(codebook) 또는 비 코드북(non-codebook)을 기반으로 하는 전송이다.
선택적으로, 제1 시간은 제1 PDCCH의 마지막 부호 뒤에 있는 미리 설정된 위치의 부호로부터 제1 리소스가 구성 또는 활성화되는 때가지의 시간이다.
구체적으로, 제1 시간은 단말 장치가 제1 PDCCH의 마지막 부호 뒤에 있는 미리 설정된 위치의 부호를 수신한 뒤로부터 제1 리소스의 전부 또는 일부가 구성되는 때까지의 시간이거나, 또는 제1 시간은 단말 장치가 제1 PDCCH의 마지막 부호 뒤에 있는 미리 설정된 위치의 부호를 수신한 뒤로부터 제1 리소스의 전부 또는 부분이 활성화되는 때까지의 시간이다. 다시 제1 리소스를 부분적으로 구성하거나 부분적으로 활성화는 것은 TRP가 PUCCH, PDSCH, PUSCH, 제1 제어 리소스 집합(COERSET, CORESET#0), SRS의 공역 정보 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러개를 다시 구성하거나 활성화하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진일보로, 미리 설정된 위치는 설계자가 미리 설정한 것일 수 있고, 프로토콜에 따라 규정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위치는 12, 16, 18, 24, 28, 30, 32 등일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것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보다시피, 본 출원의 실시예는 리소스 업데이트 방법을 제공하며, 단말 장치는 제1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수신하고, 제1 PDCCH는 단말 장치가 추천하는 빔 정보에 대응하는 빔에 캐링되며, 단말 장치는 제1 시간 동안 빔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며, 제1 리소스는 제1 채널 및/또는 제1 신호의 공역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은 채널 및/또는 신호 리소스 공역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기술 방안을 제공하며, 단말 장치가 응답인 제1 PDCCH를 수신한 다음에, 단말 장치가 추천한 빔 정보에 따라 채널 및/또는 신호 리소스 공역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상, 주로 방법측 실행 프로세스의 관점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안을 소개하였다. 상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전자 장치는 각 기능을 실행하는 데에 대응하는 하드웨어 구조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각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와 결합하여, 본 출원은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특정 기능이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지 아니면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를 구동하여 실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다르다. 전문 기술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 대하여 기능 유닛의 분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기능에 대응하여 각 기능 유닛을 분할할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기능이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다. 상술한 통합 유닛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유닛의 분할은 예시적이며, 논리적인 기능적 분할일 뿐이며 실제 구현에서 다른 분할 방법이 있을 수 있음에 유념해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리소스 업데이트 장치(300)의 기능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리소스 업데이트 장치(300)는 단말 장치에 응용되며, 리소스 업데이트 장치(300)는 송수신 유닛(310)과 업데이트 유닛(320)을 포함한다. 송수신 유닛(310)은 제1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를 수신하는 데에 사용되고, 제1 PDCCH는 단말 장치가 추천하는 빔 정보에 대응하는 빔에 캐링된다. 업데이트 유닛(320)은 제1 시간 동안 빔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데에 사용되고, 제1 리소스는 제1 채널 및/또는 제1 신호의 공역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채널 및/또는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수신 포인트(TRP)는 빔 정보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RS)와 관련된 TRP와 같다.
본 출원의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채널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USCH), 제1 제어 리소스 집합(COERSET, CORESET#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1 COERSET는 빔 실패가 발생한 보조 셀에 대응하는 CORESETs이다.
본 출원의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신호는 탐지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포함하며, SRS의 용도 구성은 코드북(codebook) 또는 비 코드북(non-codebook)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PDCCH 는 셀 무센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C-RNTI 또는 MCS-C-RNTI 스크램블된 PDCCH이다. 송수신 유닛(310)은 구체적으로 RecoverySearchSpaceId를 수신하고, RecoverySearchSpaceId에 대응하는 검색 공간에서 제1 PDCCH를 확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 출원의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PDCCH는 다운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캐링하고, DCI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의 혼합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프로세스 번호는 첫번째 PUSCH의 HARQ 프로세스 번호와 동일하고, 또한 제1 PDCCH 중의 새로운 데이터 표시자 NDI 필드는 DCI 스케줄링된 PUSCH가 새로운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시간은 제1 PDCCH의 마지막 부호 뒤에 있는 미리 설정된 위치의 부호로부터 제1 리소스가 구성 또는 활성화되는 때가지의 시간이다.
이해할수 있는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리소스 업데이트 장치의 각 프로그램 모듈의 기능은 상술한 방법 실시예 중의 방법에 따라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실현과정은 상술한 방법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수 있으며, 여기서는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단말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단말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아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제1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를 수신하며, 제1 PDCCH는 단말 장치가 추천하는 빔 정보에 대응하는 빔에 캐링된다; 제1 시간 동안 빔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며, 제1 리소스는 제1 채널 및/또는 제1 신호의 공역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채널 및/또는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수신 포인트(TRP)는 빔 정보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RS)와 관련된 TRP와 같다.
본 출원의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채널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USCH), 제1 제어 리소스 집합(COERSET, CORESET#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1 COERSET는 빔 실패가 발생한 보조 셀에 대응하는 CORESETs이다.
본 출원의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신호는 탐지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포함하며, SRS의 용도 구성은 코드북(codebook) 또는 비 코드북(non-codebook)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PDCCH 는 셀 무센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C-RNTI 또는 MCS-C-RNTI 스크램블된 PDCCH이다. 제1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를 수신하는 방면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또한 아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RecoverySearchSpaceId를 수신하고, RecoverySearchSpaceId에 대응하는 검색 공간에서 제1 PDCCH를 확정한다.
본 출원의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PDCCH는 다운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캐링하고, DCI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의 혼합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프로세스 번호는 첫번째 PUSCH의 HARQ 프로세스 번호와 동일하고, 또한 제1 PDCCH 중의 새로운 데이터 표시자 NDI 필드는 DCI 스케줄링된 PUSCH가 새로운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시간은 제1 PDCCH의 마지막 부호 뒤에 있는 미리 설정된 위치의 부호로부터 제1 리소스가 구성 또는 활성화되는 때가지의 시간이다.
설명하여야만 하는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현과정은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현과정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전자 데이터 교환에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에 사용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 기재된 임의의 방법의 일부 또는 모든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수행될 경우, 컴퓨터가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 기재된 임의의 방법의 일부 또는 모든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소프트웨어 장착 패키지일 수 있다.
상술한 각 방법 실시예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 모두 일련의 동작 조합으로 서술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출원은 기재된 동작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으며, 본 출원에 따르면, 특정 단계는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가 모두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관련된 동작 및 모듈이 본 출원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님을 이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각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나름대로의 강조점이 있으며, 특정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다른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장치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분할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 분할일 뿐,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들 들어, 여러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가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일부 기능은 무시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간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분리된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 표시되는 구성 요소는 물리적 유닛일 수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여러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구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모든 유닛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통합 유닛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합 유닛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 형태로 구현되어 별도의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 혹은 기술 분야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방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TRP등)가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읽기 전용 기억 장치(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이동식 하드 디스크,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과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상술한 실시예의 각 방법의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는 프로그램을 통해 관련 하드웨어를 지시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고,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기억 장치(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하드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상 본 출원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소개하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예로 본 출원의 원리 및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며, 상기 실시예의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방법 및 핵심 사상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사상에 따라 구체적인 실시예 및 적용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내용은 본 출원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Claims (10)

  1. 리소스 업데이트 방법으로서,
    단말 장치가 제1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단말 장치는 제1 시간 동안 빔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것 - 상기 제1 리소스는 제1 채널 및/또는 제1 신호의 공역 정보를 포함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스 업데이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및/또는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수신 포인트(TRP)는 상기 빔 정보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RS)와 관련된 TRP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제1 제어 리소스 집합(COERSET, CORESET#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COERSET는 빔 실패가 발생한 보조 셀에 대응하는 CORESET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탐지 참조 신호(SRS)를 포함하며, 상기 SRS의 용도 구성은 코드북(codebook) 또는 비 코드북(non-codeboo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DCCH 는 셀 무센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C-RNTI 또는 MCS-C-RNTI 스크램블된 PDCCH이고,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단말 장치는RecoverySearchSpaceId를 수신하고, 상기RecoverySearchSpaceId에 대응하는 검색 공간에서 상기 제1 PDCCH를 확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DCCH는 다운 링크 제어 정보(DCI)를 캐링하고, 상기 DCI 스케줄링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혼합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프로세스 번호는 첫번째 PUSCH의 HARQ 프로세스 번호와 동일하고, 또한 상기 제1 PDCCH 중의 새로운 데이터 표시자 NDI 필드는 상기 DCI 스케줄링된 PUSCH가 새로운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1 PDCCH의 마지막 부호 뒤에 있는 미리 설정된 위치의 부호로부터 상기 제1 리소스가 구성 또는 활성화되는 때가지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리소스 업데이트 장치로서,
    제1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DCCH)를 수신하는 데에 사용되는 송수신 유닛과,
    제1 시간 동안 빔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는 데에 사용되는 업데이트 유닛 - 상기 제1 리소스는 제1 채널 및/또는 제1 신호의 공역 정보를 포함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스 업데이트 장치.
  9. 단말 장치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전자 데이터 교환에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37002229A 2020-06-19 2021-04-13 리소스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KR20230125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570772.4 2020-06-19
CN202010570772.4A CN113825232A (zh) 2020-06-19 2020-06-19 资源更新方法及装置
PCT/CN2021/086904 WO2021253952A1 (zh) 2020-06-19 2021-04-13 资源更新方法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770A true KR20230125770A (ko) 2023-08-29

Family

ID=7891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2229A KR20230125770A (ko) 2020-06-19 2021-04-13 리소스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69810A1 (ko)
KR (1) KR20230125770A (ko)
CN (1) CN113825232A (ko)
WO (1) WO2021253952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7035B (zh) * 2018-02-13 2021-02-26 华为技术有限公司 波束管理方法、终端、网络设备以及存储介质
EP3633874A4 (en) * 2018-05-09 2020-06-2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RADIO AND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CN110896546B (zh) * 2018-09-13 2022-04-22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波束失败恢复方法及装置、存储介质、用户设备
CN112640568B (zh) * 2018-09-26 2022-06-28 富士通株式会社 信号发送方法、信号接收方法及装置
CN111278122B (zh) * 2019-01-25 2023-03-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波束失败恢复方法、处理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1093219A (zh) * 2019-11-07 2020-05-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的确定、对应关系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25232A (zh) 2021-12-21
WO2021253952A1 (zh) 2021-12-23
US20230269810A1 (en)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72004B (zh) Scell bfr期间的用户设备接收机空间滤波器配置的方法和装置
EP3793291B1 (en) Link recovery method and device
US20220408420A1 (en) Transmission channel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transmission channel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JP7262619B2 (ja) セカンダリ・セルのためのビーム障害回復の装置および方法
US11539422B2 (en) Beam management method, terminal, network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0228589A1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US20210167839A1 (en) Link failure recovery method and related device
JP6962519B2 (ja) 無線通信方法および機器
CN113273301A (zh) 无线链接恢复
US11122631B2 (en) Link re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s
WO2020207333A1 (zh) 链路失败恢复的方法和装置
KR102376765B1 (ko)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 방법, 수신 방법, 장치, 단말 및 기지국
CN115152157A (zh)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波束故障恢复过程的方法及其设备
US20230138282A1 (en) Method and device for beam failure recovery
WO20230504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determination
CN111479326A (zh) 一种信息发送、检测方法及装置
CN111757469B (zh) 一种波束失败的处理方法及装置
KR20230125770A (ko) 리소스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EP3691147B1 (en) Method for determining bundling size, user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US20220361256A1 (en) Generation mode, transmission mode of uplink data signals and equipment thereof
WO2024062878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ai)/machine learning (ml) for csi feedback enhancement
EP4322596A1 (en) Method and device for beam failure recovery of network cooperativ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4062880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ai)/machine learning (ml) for positioning accuracy enhancements
WO2024062879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ai)/machine learning (ml) for beam management
US20220007215A1 (en) Link failure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