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628A - 화재 대피용 방연 마스크 - Google Patents

화재 대피용 방연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628A
KR20230125628A KR1020220022468A KR20220022468A KR20230125628A KR 20230125628 A KR20230125628 A KR 20230125628A KR 1020220022468 A KR1020220022468 A KR 1020220022468A KR 20220022468 A KR20220022468 A KR 20220022468A KR 20230125628 A KR20230125628 A KR 20230125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disposed
led
oxyge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귀선
Original Assignee
삼십오도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십오도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십오도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2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5628A/ko
Publication of KR20230125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6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1/00Devices for producing oxygen from chemical substances for respiratory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마스크는, 얼굴에 착용하는 본체(1)와; 본체(1)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파손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캡슐층(4)과; 본체(1)에 장착되어 돌출됨으로써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통(3)과; 그리고 정화통(3)의 내측에 배치되는 고체산소층(11)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재 대피용 방연 마스크{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의 내측에 산소캡슐을 배치하고, 고체산소가 구비된 정화통이 구비되고, LED 등이 일체로 구비되어 시야 확보가 어려운 화재시 방연효과가 우수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Mask)는 얼굴 또는 머리의 전반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면, 바이러스 혹은 오염 물질이 착용자의 호흡 경로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거나, 착용자가 토해낸 병원균이나 기타의 오염 물질에 다른 사람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마스크는 통상적으로 얼굴에 착용하는 본체와, 본체의 양측에 연결되어 귀에 걸리는 착용대와,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정전필터 등으로 구성된다.
본체는 주로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 재질로서, 안감, 정전필터, 지지체, 겉감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화재 발생시 다량의 연기가 발생하는 바, 착용한 마스크로는 유해가스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둘째, 화재 현장과 같이 연기로 인하여 시야확보가 어려운 환경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비상구, 장애물 등을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셋째, 화재 현장에서 구급대원이 연기로 인하여 마스크 착용자를 쉽게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등록 제10-434937호(호흡 마스크 및 사람의 얼굴에 대한 호흡마스크의 착용상태 평가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의 내측에 산소캡슐을 배치하고, 고체산소가 구비된 정화통이 구비됨으로써 마스크 착용자가 화재현장에서 벗어나는 동안 안정적인 호흡을 유지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스크에 반사지를 배치함으로써 시야확보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구급대원 등이 쉽게 마스크 착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스크에 손전등을 구비함으로써 필요시 온(ON) 상태로 함으로써 시야확보가 어려운 환경에서 전방 장애물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얼굴에 착용하는 본체(1)와;
본체(1)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파손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캡슐층(4)과;
본체(1)에 장착되어 돌출됨으로써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통(3)과; 그리고
정화통(3)의 내측에 배치되는 고체산소층(11)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마스크의 내측에 산소캡슐층을 배치하여 필요시 마스크에 외력을 가하여 산소캡슐층을 파손시킴으로써 마스크 내측 공간에 일정량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어서 마스크 착용자가 화재현장에서 벗어나는 동안 안정적인 호흡을 유지할 수 있다.
둘째, 정화통의 선단에 고체산소층을 배치함으로써 마스크 내부로 흡입되는 연기에 함유된 유독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안정적인 호흡을 유지할 수 있다.
셋째, 마스크에 소형 손전등을 구비함으로써 필요시 손전등을 온(ON) 상태로 함으로써 시야 확보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쉽게 장애물을 식별할 수 있다.
넷째, 손전등에 원통형상의 반사체를 배치하여 LED를 감싸고, 필요시 이 반사체를 전진시켜서 원뿔형상으로 펼침으로써 LED의 외부를 감싸서 광을 사방으로 확산시킴으로써 시인성을 높혀서 시야확보가 어려운 환경에서 쉽게 식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화통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화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손전등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손전등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마스크는 얼굴에 착용하는 본체(1)와; 본체(1)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파손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캡슐층(4)과; 본체(1)에 장착되어 돌출됨으로써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통(3)과; 정화통(3)의 내측에 배치되는 고체산소층(11)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1)는 통상적인 마스크 재질로 구성되는 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 재질이다.
그리고, 마스크 본체(1)는 겉감, 지지체, 정전필터, 안감 등으로 구성되며, 겉감은 가장 외부에 배치된 부직포면으로 미세먼지를 1차로 걸러준다. 그리고, 지지체는 뻣뻣한 성질을 가짐으로써 마스크의 형태를 이룬다. 또한 정전필터는 정전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실질적으로 걸러준다.
그리고, 안감은 마스크의 가장 내측에 배치되어 피부와 접촉하는 면으로 피부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부드러운 재질이다.
이러한 마스크 본체(1)의 내측면에는 산소캡슐층(4)이 배치됨으로써 필요시 이를 파손하는 경우 산소가 마스크 본체(1)의 내부에 공급될 수 있다.
산소캡슐층(4)을 다양한 방식으로 마스크 본체(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다수의 산소 캡슐을 마스크 본체(1)의 내벽면에 코팅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산소가 필요한 경우, 마스크를 손 등으로 가압함으로써 외력을 가하여 캡슐을 파괴하여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산소캡슐층(4)은 본체(1)의 내벽면에 코팅방식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도 부착가능한 바, 예를 들면 접착 스티커 방식에 의하여 부착가능하다. 이러한 접착 스티커 방식의 경우, 필요에 따라 산소캡슐층(4)을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정화통(3)은 케이스(Case;5)와; 케이스(5)의 내측에 배치되는 활성탄층(7)과; 활성탄층(7)의 선단에 배치되는 필터층(9)을 포함한다.
활성탄층(7)은 탄소질로 된 다공성 물질로서 흡착성이 우수하여 기체나 습기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활성탄층(7)은 야자계, 목질계 및 석탄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층(9)은 연기 등의 이물질을 거르는 기능을 하며,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가 마스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정화통(3)의 필터층(9)의 선단에는 고체 산소층(11)이 배치되어 산소를 발생시킨다.
고체 산소층(11)은 공기 중에 섞여 있는 탄산가스와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및 발암성 유기물질 등이 고체산소에 닿을 때 화학반응을 일으켜 유해가스를 제거시 산소를 발생한다.
이러한 고체 산소층(11)은 금속산화물, 활성탄 및 촉매를 포함한다.
금속산화물은 초과산화칼륨(KO2), 과산화나트륨(Na2O2), 산화칼슘, 과산화마그네슘, 과산화칼륨, 과산화 바륨 및 과산화나트륨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금속산화물은 이산화탄소 또는 물과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촉매는 카탈라아제, 퍼옥시다아제, 요오드화칼륨 및 이산화망간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마스크는 필요시 접거나 펼칠 수 있는 바, 평시에는 접어서 보관하고, 화재시에 화재현장에서 긴급히 벗어날 필요가 있을 경우, 마스크를 펼쳐서 착용하게 된다.
그리고, 착용 후, 마스크의 표면에 외력을 가하여 산소 캡슐층(4)을 파손함으로써 일정량의 공기가 배출된다. 따라서, 산소가 마스크의 내부 공간에 충전되므로 화재 현장을 벗어나는 시간동안 안정적으로 호흡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로 흡입되는 연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정화통(3)에 의하여 필터링할 수 있다. 이때, 정화통(3)의 선단에 배치된 고체 산소층(11)으로부터 소량의 산소가 발생하므로 착용자가 안정적인 호흡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마스크는 화재시에는 연기 등에 의하여 외부에서 식별이 어려운 바, 마스크의 외측면에 반사지(5)를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지(5)는 다양한 재질을 포함하는 바, 예를 들면 재귀 반사필름 혹은 재귀반사 부칙포 등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시 연기로 인하여 시야확보가 어두운 환경에서도 마스크의 반사지(5)에 의하여 용이하게 식별이 가능하다.
또한, 마스크에는 소형 손전등(13)을 구비할 수 있는 바, 필요시 손전등(13)을 온(ON) 상태로 하여 주변 환경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손전등(13)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LED 손전등(13)에 반사체(27)를 전개가 가능하도록 배치한 구조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손전등(13)은 손잡이(15)와; 손잡이(15)의 선단에 배치되는 LED(17)와; LED(17)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9)와; 배터리(19)와 LED(17)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21)와; 손잡이(15)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부재(23)와; 이동부재(23)의 테두리에 배치되어 이동부재(23)의 전진시 방사방향으로 펼쳐짐으로써 LED(17)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사방으로 확산하여 조사하는 반사체(27)를 포함한다.
배터리(19)는 전원이 공급 가능한 다양한 종류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수은전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23)는 중간에 홀이 형성되어 손잡이(15)에 삽입됨으로써 손가락 등으로 외력을 가하는 경우 이동부재(23)는 손잡이(15)를 따라서 LED(17) 방향으로 전진한다.
그리고, 이동부재(23)의 테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사체(27)가 배치되고, 반사체(27)는 원통형상을 갖음으로써 LED(17), 배터리(19), 스위치(21)의 외부를 감싸게 된다. 또한, 반사체(27)의 내주면에는 재귀 반사필름(25) 혹은 재귀 반사부직포가 부착되어 반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23)가 전진하는 경우, 반사체(27)의 내측면이 스위치(21)의 테두리에 접촉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이동부재(23)가 점차 전진함에 따라 반사체(27)는 방사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이동부재(23)의 선단이 스위치(21)를 가압하게 되고, 이때 스위치(21)는 압력 방식의 스위치이므로 이동부재(23)에 의하여 가압되는 경우 온(ON)상태로 전환됨으로써 LED(17)를 발광시킬 수 있다.
이때 LED(17)의 주위에는 반사체(27)가 원뿔형상으로 펼쳐진 상태이다.
따라서, LED(17)에서 발광된 광은 반사체(27)에 의하여 반사되어 사방으로 확산될 수있다.
그리고, 이러한 손전등(13)은 마스크에 와이어, 줄 등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마스크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전등(13)에 반사체(27)를 구비하여 필요시 펼친 상태에서 발광시킴으로써 화재현장 등과 같이 시야 확보가 어려운 환경에서 마스크 착용자는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마스크에 의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두건방식의 마스크, 즉 방독면과 같은 구조의 마스크에도 적용가능하다.

Claims (6)

  1. 얼굴에 착용하는 본체(1)와;
    본체(1)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파손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캡슐층(4)과;
    본체(1)에 장착되어 돌출됨으로써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통(3)과; 그리고
    정화통(3)의 내측에 배치되는 고체산소층(11)을 포함하는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산소캡슐층(4)은 마스크 본체(1)의 내부에 코팅 혹은 접착 스티커 방식에 의하여 구비되는 마스크.
  3. 제 1항에 있어서,
    정화통(3)은 케이스(5)와; 케이스(5)의 내측에 배치되는 활성탄층(7)과; 활성탄층(7)의 선단에 배치되는 필터층(9)을 포함하는 마스크.
  4. 제 1항에 있어서,
    마스크의 외측면 반사지(5)를 부착하는 마스크.
  5. 제 1항에 있어서,
    마스크는 손전등(13)을 추가로 포함하며, 손전등(13)은 손잡이(15)와; 손잡이(15)의 선단에 배치되는 LED(17)와; LED(17)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9)와; 배터리(19)와 LED(17)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21)와; 손잡이(15)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부재(23)와; 이동부재(23)의 테두리에 배치되어 이동부재(23)의 전진시 방사방향으로 펼쳐짐으로써 LED(17)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사방으로 확산하여 조사하는 반사체(27)를 포함하는 마스크.
  6. 제 5항에 있어서,
    이동부재(23)는 중간에 홀이 형성되어 손잡이(15)에 삽입되어 LED(17) 방향으로 전후진하며, 이동부재(23)의 테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사체(27)가 배치되고, 펼쳐지는 경우에는 반사체(27)가 원통형상을 갖음으로써 LED(17)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사방으로 확산하여 조사하는 마스크.


KR1020220022468A 2022-02-21 2022-02-21 화재 대피용 방연 마스크 KR202301256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468A KR20230125628A (ko) 2022-02-21 2022-02-21 화재 대피용 방연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468A KR20230125628A (ko) 2022-02-21 2022-02-21 화재 대피용 방연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628A true KR20230125628A (ko) 2023-08-29

Family

ID=8780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468A KR20230125628A (ko) 2022-02-21 2022-02-21 화재 대피용 방연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56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937B1 (ko) 1995-09-12 2004-11-11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호흡마스크및사람의얼굴에대한호흡마스크의착용상태평가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937B1 (ko) 1995-09-12 2004-11-11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호흡마스크및사람의얼굴에대한호흡마스크의착용상태평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6492A (en) Clean room helmet system
KR102088938B1 (ko) 긴급 재난용 필터 마스크
JPS62106778A (ja) 防煙マスク
US20080083411A1 (en) Self-Sterilizing Particulate Respirator Facepiece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1578800B1 (ko) 휴대용 산소마스크
JP2006289093A (ja) 多機能性マスク
JPH0798073B2 (ja) 個人用使い捨て緊急呼吸システム
RU2729629C1 (ru) Индивидуальная фильтрующая маска с бактерицидной обработкой воздуха
KR101995860B1 (ko) 접착식 원터치 습식 화재대피 마스크
RU201491U1 (ru) Маска защитная медицинская
KR102193221B1 (ko) 대피용 방연마스크
KR20230125628A (ko) 화재 대피용 방연 마스크
KR20170050479A (ko) 응급 구조용 물품
KR101305359B1 (ko) 비상탈출용 방독호흡기
KR102413183B1 (ko) 비상 손전등
JP3231851U (ja) 空気浄化マスク
JP2005065515A (ja) 喫煙用具
KR102362440B1 (ko) 산소 발생기능을 구비한 생명구조타올
JP2021194235A (ja) ウイルス除去装置
KR200324205Y1 (ko) 필터 교환이 가능한 다기능 방독 휴대마스크
KR101982489B1 (ko) 휴대용 호흡기
KR102398355B1 (ko) 사용의 편리성 및 탁월한 여과기능을 겸비한 방진 및 방독마스크
KR102318762B1 (ko) 화재 및 재난 구조 요청 마스크
JP2022162948A (ja) マスク用光触媒装置
KR102166917B1 (ko) 산소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