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800B1 - 휴대용 산소마스크 - Google Patents

휴대용 산소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800B1
KR101578800B1 KR1020130132258A KR20130132258A KR101578800B1 KR 101578800 B1 KR101578800 B1 KR 101578800B1 KR 1020130132258 A KR1020130132258 A KR 1020130132258A KR 20130132258 A KR20130132258 A KR 20130132258A KR 101578800 B1 KR101578800 B1 KR 101578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mask body
case
illumination
mou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0955A (ko
Inventor
원두환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스포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포이너 filed Critical (주)스포이너
Priority to KR1020130132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800B1/ko
Publication of KR20150050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62B7/04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and lung-controlled oxygen or ai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휴대용 산소마스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산소마스크는 코와 입 주위를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덮어 가릴 수 있게 얼굴에 착용되도록 마련된 마스크본체: 및 상기 마스크본체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상기 마스크본체에 한 몸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마스크본체로 공급되는 산소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산소캔;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산소마스크{Portable Oxygen Mask}
본 발명은 호흡이 곤란한 위급 환경에서 신선한 산소를 착용자에게 신속하게 제공하도록 마련된 휴대용 산소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화재 사고에서 대부분의 인명피해 원인은 질식사이며, 질식사의 대부분은 화재 발생 초기에 일어난다. 이러한 이유는 플래시 오버(flash over) 현상을 통해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화재시 발생하는 대부분의 유독가스가 화재 발생 초기 대략 6분 정도 내에 발생하기 때문이다. 결국 화재발생 초기 유독가스의 흡입을 피하면서 화재 현장을 벗어나게 된다면, 대부분의 질식사는 막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를 감안하여 기존 지하철이나 공공건물 등에는 주변에 화재 발생시 주변의 이용자들이 착용할 수 있도록 방독면들을 배치해 두고 있으나, 그 숫자가 위급 상황 발생시 이용해야할 이용자 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상태이며, 이는 부피를 줄이기에 한계가 있는 방독면의 기본 구조와도 관계가 있다.
또 방독면의 경우 정화필터의 수명이 정해져 있어 기밀을 유지하더라도 일정주기 별로 정화필터를 교체해 주어야만 하므로, 정화필터 교체주기를 놓친 상태로 현장에 배치된 방독면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정작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에도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생길 수 있다.
한편, 화재 전용은 아니지만, 환경오염이나 산소보충을 위해 개발된 휴대용 산소발생기의 경우 화재 현장으로부터 도피하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9187호는 이와 같은 종래 휴대용 산소발생기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산소발생기는 산소가 충진된 산소통이 연결호스를 통해 마스크에 연결되어 있어, 마스크를 얼굴 전면에 착용하고 산소통이 배낭에 수납되도록 한 휴대 상태에서 마스크 착용자에게 산소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산소통과 마스크 사이가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있는 종래 산소발생기는 산소통을 의복이나 가방과 같은 별도 착용물에 수납시키는 형태로 휴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 대피시 이용하기에는 휴대성이나 착용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 산소통 쪽에 설치된 조절밸브를 통해 마스크로 공급되는 산소의 흐름을 단속하는 종래 산소발생기는 화재 도피와 같이 경황이 없는 상황에서 조작이 쉽지 않기 때문에, 화재 대피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편리성에서도 약점이 많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9187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화재 대피 과정에서 신선한 공기를 대피자에게 제공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휴대성 및 착용성과 함께 조작성이 최적화 된 휴대용 산소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코와 입 주위를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덮어 가릴 수 있게 얼굴에 착용되도록 마련된 마스크본체: 및 상기 마스크본체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상기 마스크본체에 한 몸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마스크본체로 공급되는 산소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산소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마스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본체는 코 쪽을 덮도록 마련된 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 커버부 끝단에는 상기 산소캔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가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산소캔은 산소케이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산소케이스를 통해 상기 연결부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산소케이스의 회전방향에 따라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쪽에는 고정침이 마련되고, 상기 산소케이스는 일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산소캔의 산소출구와 상기 고정침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연결부에 체결되며, 상기 산소캔의 산소출구는 상기 고정침에 의해 파열될 수 있도록 밀봉처리 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본체는 입 쪽을 덮도록 마련된 입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 커버부에는 외부공기가 상기 마스크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면서 상기 마스크본체 내부 이용자의 날숨은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는 배기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입 커버부 안쪽으로 위치되는 배기입구와, 상기 입 커버부 바깥쪽으로 마련되는 배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입 커버부에 밀폐되도록 결합된 배기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입구는 날숨의 통과시 소리를 유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본체에는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과, 상기 조명으로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을 포함하는 조명유닛이 마련되고,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마스크본체로 산소공급이 허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명이 켜지고, 상기 마스크본체로 산소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명이 꺼지도록 상기 산소캔의 개방 동작과 연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명유닛의 전원은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배터리를 상기 조명과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조명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케이스에는 상기 조명과 배터리 사이의 접속을 차단하는 절연지가 설치되며, 상기 절연지는 상기 산소캔의 개방 동작시 상기 조명과 배터리 사이에서 제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본체는 코와 입을 가리도록 마련된 안쪽의 내부몸체와, 코와 입 주위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상기 내부몸체의 외곽을 감싸는 바깥쪽의 외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및 외부몸체는 실리콘으로 마련되되, 상기 외부몸체를 구성하는 실리콘은 상기 내부몸체보다 연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본체는 적어도 일부 표면이 야광처리 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산소마스크는 상기 산소캔으로부터 배출되는 산소가 압력이 저감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크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감압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산소마스크는 상기 내부에 상기 감압공간이 형성된 감압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압케이스에는 상기 산소캔으로부터 상기 감압공간으로 유입되는 산소의 유입을 위한 제1미세공과, 상기 감압공간으로부터 상기 마스크본체 배출되는 산소의 배출을 위한 제2미세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감압공간에는 감압부재가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산소마스크는 마스크본체에 직결식으로 연결되는 산소캔의 결합구조를 통해 휴대성과 착용성이 개선되고, 산소캔 회전동작을 통해 산소캔으로부터 마스크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산소의 흐름이 단속되도록 조작성능이 향상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휴대성과 착용성은 물론 조작성능이 최적화된 휴대용 산소마스크는 화재와 같은 위급 상황에서 착용자가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는데 보다 적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산소마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산소마스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산소마스크에 있어서, 산소공급유닛이 마스크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의 요부 구조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산소공급유닛이 마스크본체에 체결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의 요부 구조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산소공급유닛의 산소캔이 개방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산소마스크에서 배기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산소마스크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산소마스크의 활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 산소캔이 개방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들숨을 쉴 때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8 상태에서 착용자가 날숨을 쉴 때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산소마스크(1)는 착용자가 휴대 상태에서 신선한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코와 입 주위를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덮어 가릴 수 있도록 얼굴에 착용되는 마스크본체(10)와, 마스크본체(10)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마스크본체(10)에 연결되는 산소캔(21)을 구비한다.
산소캔(21)은 상단에 산소출구(21a)가 형성되고, 내부에 산소가 압축된 상태로 충진되어 산소출구(21a) 개방시 소정시간 동안 내부의 산소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마스크본체(10) 양쪽에는 착용자(a)의 귀에 걸 수 있도록 한 쌍의 고정밴드(30)가 마련된다. 따라서 코와 입 주위를 가리도록 착용자(a) 얼굴 전면에 장착된 마스크본체(10)는 한 쌍의 고정밴드(30)가 착용자(a)의 양쪽 귀에 걸리도록 하여 얼굴 전면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산소캔(21)은 마스크본체(10) 전방에 직접 연결된 상태에서 마스크본체(10)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산소캔(21)이 마스크본체(10) 전방에 직결식으로 연결된 구조에서는 산소캔(21)과 마스크본체(10) 사이에 산소의 전달을 위한 호스 등이 삭제됨에 따라 휴대용 산소마스크(1)의 부피가 간소화되고, 마스크본체(10) 전면에 부착된 산소캔(21)을 의복이나 가방 등에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게 되어 휴대용 산소마스크(1)의 착용도 보다 간편해 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산소마스크(1)는 휴대성과 착용성이 동시에 최적화 되도록 개선되어 화재 대피 상황과 같은 위급한 환경에서 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언제 어디서든 개인적으로 휴대가 가능하여 사용범위도 더욱 넓어지게 된다.
또 마스크본체(10) 전방에 직결식으로 연결된 산소캔(21)은 회전 동작을 통해 마스크본체(10) 내부로 공급되는 산소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되는데, 이처럼 산소캔(21)의 산소출구(21a)로부터 마스크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산소의 흐름 동작이 산소캔(21)의 동작을 통해 조작되는 휴대용 산소마스크(1)는 조작도 간편해져 화재 대피상황과 같이 경황이 없는 중에도 이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마스크본체(10)는 코와 입을 가리도록 마련된 안쪽의 내부몸체(10A)와, 코와 입 둘레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내부몸체(10A)의 외곽을 감싸는 바깥쪽의 외부몸체(10B)를 구비한다. 내부몸체(10A)는 코 쪽을 덮도록 마련된 코 커버부(11)와, 입 쪽을 덮도록 마련된 입 커버부(12)를 구비하여 얼굴 전면의 코와 입주를 가리게 되며, 외부몸체(10B)는 이 상태에서 코와 입 둘레의 얼굴에 밀착되어 마스크본체(10) 내부와 외부 사이 소통을 차단하게 된다.
내부몸체(10A)는 산소캔(21)이 개방된 상태에서 마스크본체(10) 내부로 일정한 량의 산소가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내부몸체(10A)는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기에 적합하도록 약간은 단단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마스크본체(10)의 밀폐력을 높이기 위해 외부몸체(10B)는 밀착성이 우수한 다소 연질의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성과 제작성을 고려하여 마스크본체(10)는 전체적으로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내부몸체(10A)는 충격시 안전성을 고려하여 어느 정도는 유연성을 구비하면서 전반적으로 형태의 변화가 적은 경도를 갖는 실리콘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외부몸체(10B)는 피부에 대한 밀착성을 고려하여 내부몸체(10A)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의 실리콘을 통해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 마스크본체(10)에 있어서 내부몸체(10A) 표면은 야광처리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크본체(10)의 적어도 일부 표면이 야광처리 될 경우, 어두운 위급환경에서 주변 사람이나 구조대원에게 착용자의 위치를 쉽게 알릴 수 있어 대피 안정성 확보에 보다 유리하게 된다.
내부몸체(10A)의 코 커버부(11) 끝단에는 산소캔(20)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40)가 일체로 마련되며, 산소캔(21)은 산소출구(21a)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산소케이스(22)에 수용된 상태에서 산소케이스를 통해 연결부(40) 쪽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어
산소출구(21a)를 통해 내부몸체(10A) 내부로 유입되는 산소가 착용자의 코 쪽으로 보다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산소캔(21)과 산소케이스(22)는 산소공급유닛(20)을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코 커버부(11) 하부를 통해 마스크본체(10)에 결합되는 산소캔(21)의 결합구조에서는 산소공급 관련 구조가 착용자의 시야를 가릴 우려가 없게 되어 대피시 안전성 확보에 유리하게 된다.
그리고 화재 대피 환경에서 이용할 경우, 플래시 오버(flash over) 현상이 발생하는 화재 초기 대략 6분 안에 휴대용 산소마스크(1)를 착용하고 화재공간을 벗어나기 위해, 산소캔(20)은 대략 6분 정도는 지속적으로 착용자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압축된 상태로 산소캔(20) 내부에 충진된 산소는 산소캔(20)의 산소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 압력에 의해 긴급하게 배출되어 6분간 산소배출을 지속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산소캔(20) 내부 산소가 대략 6분 정도 일정한 량과 속도로 마스크본체(10) 내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연결부(40)에는 산소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산소량을 감압시켜 조절하기 위한 감압유닛(70)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감압유닛(70)은 연결부와 산소공급유닛(20) 사이를 통해 마련될 수 있다.
감압유닛(70)의 구조를 산소공급유닛(20)의 구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유닛(70)은 감압케이스(71)를 구비하며, 감압케이스(71)에는 산소캔(21)으로부터 배출되는 산소가 압력이 저감된 상태에서 마스크본체(10)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감압공간(72)이 마련된다.
감압케이스(71) 외주에는 수나사(73)가 가공되며, 산소캔(21)의 산소출구(21a)가 위치하는 산소케이스(22) 상부의 개구 내주와, 코 커버부(11)와 연통되는 연결부(40) 하부의 개구 내주에는 감압케이스(71)의 수나사와 나사결합 되도록 암나사(21b,41)가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감압케이스(71)는 상부 쪽 수나사(73)를 통해 연결부(40)의 암나사(41)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고, 이 상태에서 감압케이스(71)의 하부 쪽 수나사(73)에 산소케이스(22)의 암나사(21b)를 나사방식으로 체결함으로써, 감압유닛(70)은 연결부(70)와 산소공급유닛(20)을 연결한 상태로 그 사이에 고정된다.
감압공간(72)은 감압케이스(71) 상부 내측에 구획판(74)을 통해 하부와 구획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감압공간(72) 하부의 감압케이스(71) 내부공간은 산소출구(21b) 주변과 통하도록 저부로 개방될 수 있다.
도 4의 상태에서 산소케이스(22)와 감압케이스(71) 사이에 형성되는 감압공간(72) 저부 공간은 산소캔(21)에서 배출되는 산소의 압력을 1차적으로 완충시키는 예비완충공간(75)을 형성할 수 있으며, 예비완충공간(75)은 감압유닛(70)에 포함이 가능하다.
또 감압케이스(71)에는 예비완충공간(75)으로부터 감압공간(72)으로 유입되는 산소를 안내하는 제1미세공(76)과, 감압공간(72)으로부터 마스크본체(10) 쪽으로 배출되는 산소를 안내하는 제2미세공(77)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미세공(76,77)은 수 미크론에서 수십 미크론 단위의 미세구멍으로 형성되며, 제1미세공(76)의 경우 산소캔(21)의 산소출구(21a)로부터 배출되는 산소가 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산소출구(21a)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감압유닛(70)의 구조에서 산소캔(21)으로부터 배출되는 압축 산소는 예비완충공간(75)을 거치는 과정에서 1차적으로 압력이 저감되고, 이 상태의 산소는 제1미세공(76)을 통해 감압공간(72) 내부로 유입된 상태에서 확산된 후 제2미세공(77)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력이 충분히 저감된 상태로 서서히 마스크본체(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강압공간(72)에는 압축면소재나 스펀지와 같이 통기는 가능하면서 압축산소에 대한 저항력이 더욱 커지도록 하는 감압소재(78)가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이때 감압공간(72)을 지나는 압축공기는 감압소재(78)의 재질적 특성을 통해 감압소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력이 저감된다.
산소캔(21)의 산소출구(21a)와 대향되는 감압케이스(71)의 구획판(74) 중앙에는 고정침(79)이 마련될 수 있으며, 산소캔(21)의 산소출구(21a)는 납땜 등을 통해 밀봉처리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봉 처리된 산소출구(21a)는 도 4의 상태에서 산소케이스(22)를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케이스(71)에 고정된 고정침(79)에 의해 파열되면서 개방된다.
그리고 휴대용 산소마스크(1)를 착용한 이용자는 외부 공기의 유입이 완전히 차단된 마스크본체(10) 내부로 공급되는 신선한 산소만을 가지고 들숨을 쉬게 되고, 이후 발생하는 착용자의 날숨은 마스크본체 내부 산소의 농도를 저하시키지 않도록 바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를 위해 입 커버부(12) 쪽으로 마스크본체(10)의 내부몸체(10A)에는 외부공기가 마스크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면서 마스크본체(10) 내부 이용자의 날숨은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는 배기유닛(50)이 마련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유닛(50)은 배기입구(51a)는 입 커버부(12) 안쪽으로 위치되고 배기출구(51b)는 입 커버부(12) 바깥쪽으로 마련되어 입 커버부(12)에 밀폐되도록 결합된 배기케이스(51)와, 고정단이 배기케이스(51)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자유단을 통해 배기입구(51a)를 개폐하도록 상기 베기케이스(51)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부재(52)와, 개폐부재(52)를 배기입구(51a)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5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a는 배기입구(51a)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6b는 배기입구(51a)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배기케이스(51)의 배기입구(51a)는 착용자의 입을 통해 배출되는 날숨이 바로 배기케이스(51)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입 전방을 향하도록 배기케이스(51) 배면 중앙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기케이스(51)의 배기출구(51b)는 배기케이스(51)로 유입된 날숨이 배기케이스(51) 저부로 배출되도록 배기케이스(51) 저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배기유닛(50)을 통과하는 날숨에 의해 경보음 형성을 위한 소리가 유발되도록 할 경우, 휴대용 산소마스크(1)는 착용시 발생하는 경보음을 통해 주변에 위급상황을 알리는 기능도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기유닛(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사용자 날숨의 배출압력은 배기출구(51b)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위치된 배기입구(51a)를 지날 때 더 강하게 형성되므로, 배기유닛(50)의 소리유발구조는 배기입구(51a)의 구조를 공기의 흐름변화를 급격하게 유도하여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거나, 배기입구(51a) 주변으로 진동에 의해 소리를 유발시키는 진동판을 설치하는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배기입구(51a)는 공기흐름의 급격한 변화를 유도하여 소리를 유발하도록 날숨의 배출방향에 대하여 급격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마련된다.
또한 배기케이스(51)의 배기출구(51b)가 배기케이스(51) 저부로 형성된 상태에서는 날숨의 배기작용은 배기케이스(51) 저부 쪽을 통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배기유닛(50) 전방으로 위치되는 산소공급유닛(20)과 배기케이스(51) 사이에 날숨의 원활한 배기를 위한 별도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산소공급유닛(20)과 배기유닛(50) 사이의 거리를 좁힐 수 있게 되어 휴대용 산소마스크(1)의 소형화에 더욱 유리하게 된다.
또한 어두운 대피 상황에서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마스크본체(10)에는 조명유닛(60)이 마련된다. 다시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조명유닛(60)은 마스크본체(10)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코 커버부(11) 전면에 설치되는 조명(61)과, 조명(61)으로 전류를 인가하도록 마련된 전원(미도시)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명(61)은 엘이디를 통해 구성될 수 있고, 전원(미도시)으로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가 채용될 수 있다. 전원(미도시)을 이루는 배터리는 조명(61) 안쪽의 내부몸체(11A) 안쪽으로 설치되는 조명케이스(62) 내부에 수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대부분의 위급 환경이 어둡거나 연기 등을 통해 시야 확보가 어렵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산소캔(20)을 개방시키는 동작과 조명(61)을 켜는 동작이 단일의 조작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경우, 조명유닛(60)이 추가된 상태에서도 휴대용 산소마스크(1)의 조작은 조명유닛이 없는 상태와 같이 간편한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상기 조명유닛(60)은 상기 마스크본체(10)로 산소공급이 허용된 상태에서는 조명(61)이 켜지고, 마스크본체(10)로 산소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조명(61)이 꺼지도록 산소캔(20)의 산소개폐 동작과 조명으로의 전원 인가 동작이 상호 연동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조명케이스(62)에는 조명(61)과 배터리 사이의 접속을 차단하는 절연지(63)가 제거가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절연지(63)는 산소캔(21)의 개방동작시 조명과 배터리 사이에서 제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절연지에는 연결끈(64)의 일단이 연결되며, 연결끝(64)은 타단이 산소출구(21a)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산소케이스(22)가 회전할 경우 절연지(63)를 당겨 조명(61)과 배터리 사이에서 제거하도록 산소케이스(2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는 이와 같이 마련된 휴대용 산소마스크(1)의 착용 및 활용 상태가 도시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산소마스크(1)를 착용한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산소캔(02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산소캔(20)의 산소출구가 개방되면서 산소캔(20) 내부의 산소는 마스크본체(10) 내부로 유입되기 시작한다. 이때 조명유닛(60)은 산소캔(20)의 개방동작과 연동하여 조명(61)이 켜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산소캔(20)으로부터 마스크본체(10)로 공급되는 산소는 연결부(40)에 마련된 감압장치를 통해 일정한 량과 속도를 유지하면서 대략 6분에 걸쳐 서서히 마스크본체(10) 내부로 산소를 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착용자(a)는 마스크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신선한 산소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들숨을 쉬게 되며, 이때는 마스크본체(10)의 외부몸체(10B)가 코와 입 둘레의 얼굴 전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배기유닛(50)의 개폐부재(52)가 배기입구(51a)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마스크본체(10) 내부로는 외부 공기의 유입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가 된다. 도 5에서 코 커버부(11) 안쪽의 점선 화살표는 마스크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산소의 흐름을 가리킨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숨 이후 착용자(a)가 날숨을 뱉게 되면, 착용자(a)로부터 배출된 날숨에 의해 개폐부재(52)가 탄성부재(53)를 가압하면서 배기입구(51a)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배기입구(51a)로 유입된 날숨은 배기유닛(50) 저부의 배기출구(51b)를 통해 하부로 신속하게 배출된다. 도 9에서 배기유닛(50)의 배기출구(51b) 저부에 표시된 실선 화살표는 마스크본체(10) 외부로 배출되는 날숨의 흐름을 가리킨다.
따라서 마스크본체(11) 내부 산소의 농도는 착용자(a)로부터 배출된 날숨 공기에 저하될 우려가 없게 되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휴대용 산소마스크 착용자(a)는 산소캔(20)으로부터 공급되는 신선한 산소만을 가지고 안전하게 호흡을 할 수 있게 된다.
1: 휴대용 산소마스크 10: 마스크본체
10A: 내부몸체 10B: 외부몸체
11: 코 커버부 12: 입 커버부
20: 산소공급유닛 21: 산소케이스
22: 산소캔 30: 고정밴드
40: 연결부 50: 배기유닛
51: 배기케이스 51a: 배기입구
51b: 배기출구 52: 개폐부재
53: 탄성부재 60: 조명유닛
61: 조명 62: 조명케이스
70: 감압유닛 71: 감압케이스
72: 감압공간

Claims (12)

  1. 코와 입 주위를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덮어 가릴 수 있게 얼굴에 착용되도록 마련된 마스크본체: 및
    상기 마스크본체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상기 마스크본체에 한 몸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마스크본체로 공급되는 산소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산소캔;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본체는 코 쪽을 덮도록 마련된 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 커버부 끝단에는 상기 산소캔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가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산소캔은 산소케이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산소케이스를 통해 상기 연결부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산소케이스의 회전방향에 따라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 쪽에는 고정침이 마련되며,
    상기 산소케이스는 일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산소캔의 산소출구와 상기 고정침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연결부에 체결되고,
    상기 산소캔의 산소출구는 상기 고정침에 의해 파열될 수 있도록 밀봉처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마스크.


  2. 삭제
  3. 삭제
  4. 코와 입 주위를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덮어 가릴 수 있게 얼굴에 착용되도록 마련된 마스크본체: 및
    상기 마스크본체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상기 마스크본체에 한 몸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마스크본체로 공급되는 산소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산소캔;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본체는 입 쪽을 덮도록 마련된 입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 커버부에는 외부공기가 상기 마스크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면서 상기 마스크본체 내부 이용자의 날숨은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는 배기유닛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마스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입 커버부 안쪽으로 위치되는 배기입구와, 상기 입 커버부 바깥쪽으로 마련되는 배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입 커버부에 밀폐되도록 결합된 배기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입구는 날숨의 통과시 소리를 유발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마스크.
  6. 코와 입 주위를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덮어 가릴 수 있게 얼굴에 착용되도록 마련된 마스크본체: 및
    상기 마스크본체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상기 마스크본체에 한 몸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마스크본체로 공급되는 산소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산소캔;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본체에는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과, 상기 조명으로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을 포함하는 조명유닛이 마련되고,
    상기 조명유닛은 상기 마스크본체로 산소공급이 허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명이 켜지고, 상기 마스크본체로 산소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명이 꺼지도록 상기 산소캔의 개방 동작과 연동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마스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의 전원은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유닛은 배터리를 상기 조명과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조명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케이스에는 상기 조명과 배터리 사이의 접속을 차단하는 절연지가 설치되며,
    상기 절연지는 상기 산소캔의 개방 동작시 상기 조명과 배터리 사이에서 제거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마스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는 코와 입을 가리도록 마련된 안쪽의 내부몸체와, 코와 입 주위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상기 내부몸체의 외곽을 감싸는 바깥쪽의 외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및 외부몸체는 실리콘으로 마련되되,
    상기 외부몸체를 구성하는 실리콘은 상기 내부몸체보다 연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마스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는 적어도 일부 표면이 야광처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마스크.
  10. 삭제
  11. 코와 입 주위를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덮어 가릴 수 있게 얼굴에 착용되도록 마련된 마스크본체:
    상기 마스크본체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상기 마스크본체에 한 몸을 이루도록 연결되고, 회전 동작을 통해 상기 마스크본체로 공급되는 산소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산소캔; 및
    상기 산소캔으로부터 배출되는 산소가 압력이 저감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크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감압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감압공간은 상기 마스크본체와 산소캔 사이에 형성된 감압케이스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감압케이스에는 상기 산소캔으로부터 상기 감압공간으로 유입되는 산소의 유입을 위한 제1미세공과, 상기 감압공간으로부터 상기 마스크본체 배출되는 산소의 배출을 위한 제2미세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마스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공간에는 감압부재가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마스크.
KR1020130132258A 2013-11-01 2013-11-01 휴대용 산소마스크 KR101578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258A KR101578800B1 (ko) 2013-11-01 2013-11-01 휴대용 산소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258A KR101578800B1 (ko) 2013-11-01 2013-11-01 휴대용 산소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955A KR20150050955A (ko) 2015-05-11
KR101578800B1 true KR101578800B1 (ko) 2016-01-06

Family

ID=5338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258A KR101578800B1 (ko) 2013-11-01 2013-11-01 휴대용 산소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8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583B1 (ko) * 2018-03-08 2019-06-10 금강전기 (주) 마스크
IT202000007018A1 (it) * 2020-04-02 2021-10-02 Raffaella Tabacco Dispositivo di protezione
KR20210156902A (ko) * 2020-06-18 2021-12-28 조해 화장료를 분사하는 피부관리용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089B1 (ko) * 2016-02-04 2018-05-29 원희정 휴대용 산소마스크
KR101881871B1 (ko) * 2016-11-21 2018-07-25 주식회사 오투엠 비상약을 구비한 마스크
KR102080528B1 (ko) * 2018-06-29 2020-04-23 주식회사 오투엠 개폐부재를 구비한 산소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CN109876319A (zh) * 2019-04-05 2019-06-14 王福洪 一种手持式增压面罩
KR102503763B1 (ko) * 2020-11-23 2023-02-24 맥센스 주식회사 화재대피용 산소마스크
KR102328848B1 (ko) * 2021-04-06 2021-11-19 이봉래 비상용 산소마스크
KR102409694B1 (ko) * 2021-08-18 2022-06-16 맥센스 주식회사 긴급 대피용 산소마스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4894A (ja) 2004-06-30 2006-01-19 Earth Chem Corp Ltd 酸素ガス吸入用アタッチメント
KR100709471B1 (ko) * 2005-08-23 2007-04-18 박상복 휴대용 기체 공급 조절장치
KR101294333B1 (ko) * 2013-01-31 2013-08-07 이정식 구난호흡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9187A (ko) 2007-06-12 2008-12-17 김현주 마스크가 구비된 휴대용 산소발생기
KR20110002246U (ko) * 2009-08-28 2011-03-08 최우찬 산소캔용 직립식 흡입 마스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4894A (ja) 2004-06-30 2006-01-19 Earth Chem Corp Ltd 酸素ガス吸入用アタッチメント
KR100709471B1 (ko) * 2005-08-23 2007-04-18 박상복 휴대용 기체 공급 조절장치
KR101294333B1 (ko) * 2013-01-31 2013-08-07 이정식 구난호흡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583B1 (ko) * 2018-03-08 2019-06-10 금강전기 (주) 마스크
IT202000007018A1 (it) * 2020-04-02 2021-10-02 Raffaella Tabacco Dispositivo di protezione
KR20210156902A (ko) * 2020-06-18 2021-12-28 조해 화장료를 분사하는 피부관리용 마스크
KR102388019B1 (ko) * 2020-06-18 2022-04-20 조해 화장료를 분사하는 피부관리용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955A (ko) 201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800B1 (ko) 휴대용 산소마스크
KR101865298B1 (ko) 화재대피용 라이프마스크
US7819117B2 (en) Emergency oxygen mask
JP6274912B2 (ja) 電動ファン付き呼吸用保護具
RU2729629C1 (ru) Индивидуальная фильтрующая маска с бактерицидной обработкой воздуха
KR20170092819A (ko) 휴대용 산소마스크
JP2006289093A (ja) 多機能性マスク
KR20170110791A (ko) 산소 마스크
US11738217B2 (en) Head encapsulation unit
KR20180027483A (ko) 산소 마스크
KR20190078974A (ko) 온도조절모듈을 포함하는 산소 마스크
JP4317457B2 (ja) 呼吸用保護具
KR101547601B1 (ko) 휴대용 방연/방독 마스크
KR20160143421A (ko) 산소 마스크
KR200431561Y1 (ko) 산소호흡기용 후드
KR102260526B1 (ko) 산소발생기능이 구비된 마스크
JP6096920B2 (ja) 改善された保護呼吸装置吸入ダクト
JP2022000213A (ja) 携帯型空気清浄装置
CN207286476U (zh) 一种消防紧急求生用的便携式呼吸器
KR200321101Y1 (ko) 긴급 대피용 비상 소형 간이 산소마스크
KR20050024598A (ko) 휴대용 산소마스크
KR20060071061A (ko) 비상용 공기 호흡장치
JP2007296032A (ja) 防煙避難用具
KR100526310B1 (ko) 휴대용 방화 마스크
KR102650159B1 (ko) 능동 통기 장치를 구비하는 호흡기 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