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578A - 누수 탐지 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누수 탐지 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578A
KR20230125578A KR1020220022346A KR20220022346A KR20230125578A KR 20230125578 A KR20230125578 A KR 20230125578A KR 1020220022346 A KR1020220022346 A KR 1020220022346A KR 20220022346 A KR20220022346 A KR 20220022346A KR 20230125578 A KR20230125578 A KR 20230125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measuring
unit
leak detection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기창
김중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일종합건축사사무소
(주) 소암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일종합건축사사무소, (주) 소암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일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20022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5578A/ko
Publication of KR20230125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57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therm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4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6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arrangements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s, e.g. by multiplex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5/00Testing or calibrating of thermometers
    • G01K15/005Calib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07Leak detector calibration, standard lea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는 하천 및 저수지에 설치되는 제방의 누수를 탐지하는 누수 탐지 장치에 있어서, 제방의 상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삽입장치와 삽입장치의 내부에 수용되며, 지중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장치와 복수의 온도측정장치에서 측정한 지중의 온도 변화를 산출하는 산출장치와 온도측정장치와 산출장치를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누수 탐지 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Apparatus for Detecting Water Lea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누수 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 및 저수지에 설치된 제방의 지중 온도를 측정하여 누수의 위치 및 흐름을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누수 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계측선 삽입장치는 TDR(Time Domain Reflectometry)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저수지 및 댐의 누수탐지를 하기 위한 계측선 삽입장치에 있어서, 검사대상의 지반을 수직하게 천공하면서 천공홀 내에 삽입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태의 가이드스크류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외주연에 나선형홈이 형성되며 끝단부가 뾰족한 굴착비트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 중공형의 오거드릴; 천공홀에 삽입된 오거드릴의 내부에 삽입되며 하단부에 외경이 축소되고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소정높이 형성된 연장돌부와, 상기 연장돌부(31)의 둘레에 복수개의 수직절개부를 갖는 내부 중공형의 수직가이드; 상부 내측으로 상기 수직가이드의 연장돌부가 삽입되도록 내부 중공형이며 내측이 상광하협의 형상이되, 상부 내경이 상기 연장돌부의 외경보다 소정크기 크게 형성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가 결합된 수직가이드의 연장돌부 내측으로 결합되면서 연장돌부의 외경을 확장시켜 연장돌부와 커넥터가 견고하게 결합되게 상협하광의 형상의 플랜지부가 하부로 형성되는 내부 중공형의 스토퍼; 스토퍼에 의해 결합된 수직가이드와 커넥터의 내측으로 삽입된 계측선의 하단에 연결되는 고정링; 계측선이 연결된 고정링이 걸리도록 상단에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하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커넥터의 하단에 끼움결합되는 로스트콘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지하의 누수 경로에 전류를 흘려주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류 인가 수단; 전류 인가 수단과 시각 동기화하여 자기장의 유한한 전파 속도에 의해 발생하는 지상에서의 자기장 검출 지연시간을 복수 위치에서 획득하기 마련된 자기장 검출기; 위치별 자기장 검출 지연시간의 차이에 근거하여 누수 경로의 지하 공간 좌표를 획득하는 연산수단;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저수지의 공간을 가로질러 제체 저면에 이르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저수지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수심별 온도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온도센서가 일정 간격마다 이격 설치되어 있는 다측점 온도센서 바; 각 온도센서로부터 온도데이터를 전달받은 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전송하는 온도데이터 송수신부; 및 상기 온도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전달되는 각 온도센서에서의 온도데이터를 수신하여 누적 저장하며, 기 저장되어 있는 온도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온도변화율을 산출한 후, 이러한 온도변화율을 기 설정된 온도변환한계값과 비교하여 제체의 이상 여부를 추정하는 저수지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지하수면 및 그 주위 온도분포 동시 측정장치는 지하의 지반조사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지하에 매설되며, 내부에 임의의 간격으로 다수의 온도 센서 및 임의의 위치에 하나의 수압센서가 인입되어 있는 다점 온도 및 수압 감지 케이블; 및 상기 다점 온도 및 수압 감지 케이블에 연결되는 다중 센서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1937847 B1 (2019년01월07일) KR 10-2018-0013458 A (2018년02월07일) KR 10-2018-0120996 A (2018년11월07일) KR 10-1240542 B1 (2013년02월28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는 하천 및 저수지에 설치된 제방의 지중 온도를 측정하여 누수의 위치 및 흐름을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누수 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는 하천 및 저수지에 설치되는 제방(10)의 누수를 탐지하는 누수 탐지 장치에 있어서, 제방(10)의 상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삽입장치(50); 상기 삽입장치(50)의 내부에 수용되며, 지중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장치(100); 복수의 상기 온도측정장치(100)에서 측정한 지중의 온도 변화를 산출하는 산출장치(200); 상기 온도측정장치(100)와 상기 산출장치(200)를 연결하는 연결장치(3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누수 탐지 장치는 상기 산출장치(200)에서 연장되며, 하천 및 저수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계(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온도측정장치(100)는 내부가 개방되며, 상기 삽입장치(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110); 상기 삽입부(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지중의 다점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부(120); 상기 삽입부(110)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부(120)의 침수를 방지하는 침수방지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20)는 상기 삽입부(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연결장치(300)에 연결되는 회로기판(121); 상기 회로기판(121)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지중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침수방지부(130)는 상기 삽입부(110)에 충진되며, 상기 측정부(120)를 고정하는 충진재(131); 상기 삽입부(110)의 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연결장치(300)가 관통하는 침수방지커버(1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산출장치(200)는 복수의 상기 연결장치(300)가 결합되는 접속부(210); 복수의 상기 접속부(210)가 연결되며, 복수의 상기 온도측정장치(100)에서 측정한 제방(10)의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220); 상기 정보획득부(220)에 형성되며, 제방(10)의 온도 변화를 등온선 지도로 작도하여 표출하는 표출부(230); 상기 표출부(230)에 형성되며, 제방(10)의 누수 위치, 흐름 중 선택된 정보를 산출하는 산출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산출장치(200)에 형성되며, 상기 산출부(240)에서 산출한 제방(10)의 누수 정보를 관제센터(251)로 통신하는 통신장치(25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의 제작 방법은 누수 탐지 장치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120)를 상기 삽입부(110)에 삽입하는 센서삽입단계(S1610); 상기 센서삽입단계(S1610) 후, 상기 삽입부(110)의 내부에 상기 충진재(131)를 충진하는 충진단계(S1400); 상기 충진단계(S1400) 후, 상기 측정부(120)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장치(300)를 상기 산출장치(200)와 연결하는 연결단계(S1500); 상기 연결단계(S1500) 후, 복수의 상기 온도센서(122)에서 측정값을 보정하는 보정단계(S16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삽입단계(S1610) 전, 상기 삽입부(110)를 제작하는 제작단계(S1100); 상기 제작단계(S1100) 후, 상기 회로기판(121)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상기 온도센서(122)를 부착하는 센서부착단계(S12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정단계(S1600) 중, 상기 온도측정장치(100)를 수조에 저장된 저장수에 삽입하는 삽입단계(S1610); 상기 삽입단계(S1610) 후, 복수의 상기 온도센서(122)에서 저장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1620); 상기 측정단계(S1620) 후, 복수의 상기 온도센서(122)에서 측정한 온도 편차를 보정하는 센서보정단계(S163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누수 탐지 장치에 의하면, 파이프 내부에 온도센서가 삽입됨에 따라 지중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측정장치를 제방에 삽입하여 지중 온도를 측정함에 따라 제방의 누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가 설치된 제방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도측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로기판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도측정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출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의 제작 방법의 순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보정단계의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가 설치된 제방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는 하천 및 저수지에 설치되는 제방(10)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천 및 저수지의 누수 또는 빗물에 의하여 제방(10)의 붕괴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방(10)의 누수를 판단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지 누수탐지장치는 전기비저항탐사를 활용하여 누수탐지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전기비저항탐사를 활용하여 누수탐지를 진행할 경우 작업자의 기술력, 주위 기후 환경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방(10)의 토석류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질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누수가 탐지될 경우 지중의 온도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원발명의 누수 탐지 장치는 제방(10)의 상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삽입장치(50); 상기 삽입장치(50)의 내부에 수용되며, 지중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장치(100)와 복수의 온도측정장치(100)에서 측정한 지중의 온도 변화를 산출하는 산출장치(200)와 온도측정장치(100)와 산출장치(200)를 연결하는 연결장치(300)를 구비한다.
그리고 누수 탐지 장치는 산출장치(200)에서 온도측정장치(100)와 별개로 연장되어 하천 및 저수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계(400)가 형성된다. 수위계(400)는 하천 및 저수지의 수위를 측정함에 따라 수위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할 경우 누수를 의심할 수 있다. 또한, 수위계(400)는 하천 및 저수지의 온도를 측정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제방(10)의 지중 온도와 비교할 수 있다. 이는 제방(10)의 지중 온도를 측정하여 수위계(400)에서 측정한 하천 및 저수지의 온도와 비교한 결과가 유사하다 판단되면 하천 및 저수지에서 누수가 된다 판단하고 하천 및 저수지의 온도와 다르게 형성될 경우 빗물 등이 지중에 저장되었다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장치(200)에서 연결되는 온도측정장치(100)를 제방(10)의 표면에 삽입하는 삽입장치(50)는 철재,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의 파이프로 형성된다. 삽입장치(50)는 길이가 2 ~ 3 m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가 개방되어 온도측정장치(100)가 내부에 수용된다. 삽입장치(50)는 원형관으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체(51)가 형성된다. 삽입체(51)는 중심이 뾰족하게 돌출됨에 따라 제방(10)의 표면에서 압력 및 충격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장치(50)에 온도측정장치(100)를 삽입하기 위하여 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는 물에 온도측정장치(100)가 수용되면 온도의 전도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온도측정장치(100)가 제방(10)에 삽입되기 위하여 시추기 등의 장비가 필요 없으며, 지중의 토양층을 교란시키지 않고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누수탐지 목적 달성 후 온도측정장치(100)를 수거하여 다른 장소에도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경제적으로 누수 탐지가 가능하다.
또한, 온도측정장치(100)는 제방(10)의 표면에서 2 ~ 3 m의 길이로 삽입되어 지중의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의 온도는 대기의 영향을 받는 일정 심도(100 cm)를 제외하고 더 깊은 곳의 온도는 일년 단위로 변화폭이 크지 않으나 사인곡선의 궤적을 따라 완만하게 변화한다. 그러므로 본원발명은 지중에 지하수가 흐를 경우 지하수 온도에 따라 지중의 온도 평형이 깨져 온도에 의해 지하수 흐름 또는 누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저수지 제방(10) 내부에 온도측정장치(100)가 삽입되어 지중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온도측정장치(100)는 내부가 개방되며, 삽입장치(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110)와 삽입부(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지중의 다점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부(120)와 삽입부(110)에 형성되며, 측정부(120)의 침수를 방지하는 침수방지부(130)가 형성된다.
삽입부(110)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측정부(120)가 내부에 수용되어 이동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삽입부(110)는 10 ~ 12 mm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장치(5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삽입장치(50)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로 형성된다. 이는 삽입장치(50)를 통해 전달되는 지중의 온도가 삽입부(110)에 의하여 측정부(120)로 원활히 전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측정부(120)는 삽입부(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연결장치(300)에 연결되는 회로기판(121)과 회로기판(121)에 복수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형성되며, 다점으로 지중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22)가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회로기판(121)은 PCB보드로 형성되며, 삽입부(110) 내부에 삽입되도록 직경 12 mm 이하의 가늘고 긴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회로기판(121)은 온도센서(122)가 설치된 후 온도센서(122)로 전류를 공급하도록 회로가 인쇄되어 형성된다. 또한, 회로기판(121)은 일단부에 커넥터가 부착되어 연결장치(300)가 결합되는 것으로 하나의 연결장치(300)에서 복수의 온도센서(122)로 전류를 공급함과 동시에 복수의 온도 정보를 산출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121)에 설치되는 온도센서(122)는 회로기판(121)에 납땜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10 cm의 등간격으로 회로기판(121)에 설치된다. 이때, 온도센서(122)는 회로기판(121)에 25 ~ 30개가 설치되는 분포형 측정방식(distributed sensing)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측정부(120)가 내장된 삽입부(110)는 모듈로 형성되어 제방(10)의 표면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도록 복수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부(110)는 일단부의 내측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타단부가 나선돌기로 형성되는 연결파이프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삽입부(110)가 지중에 더욱 깊게 삽입되도록 서로 결합하는 것으로 연결파이프의 내부에도 측정부(120)가 내장된다. 그리고 측정부(120)와 연결파이프의 측정부(120)는 서로 접함에 따라 전류 및 온도 정보를 산출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부(120)가 삽입부(110)에 내장된 후 삽입부(110)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측정부(120)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수방지부(130)가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침수방지부(130)는 삽입부(110)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재(131)가 형성되며, 충진재(131)는 온도센서(122)의 효율 및 회로기판(121)의 이동을 방지한다. 충진재(131)는 액상형 에폭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충진재(131)는 열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침수방지부(130)는 삽입부(110)의 단부에 침수방지커버(132)가 체결되며, 침수방지커버(132)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삽입부(1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침수방지커버(132)를 관통하여 연결장치(300)가 측정부(120)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온도측정장치(100)는 삽입장치(50)에 저장된 물에 수용된 후 삽입장치(5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커버(52)에 의하여 지중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전달받아 복수의 온도센서(122)에서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결합커버(52)는 삽입장치(50) 내부의 온도 변화 또는 물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연결장치(300)는 온도측정장치(100)와 산출장치(200)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무선으로 형성될 경우 회로기판(121)에 무선통신장치(2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산출장치(200)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으로 정보를 통신한다. 또한, 연결장치(300)가 유선으로 형성될 경우 케이블(TLS cable)로 형성되어 온도측정장치(100)에서 측정한 온도 정보를 산출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산출장치(200)는 복수의 연결장치(300)가 결합되는 접속부(210)와 복수의 접속부(210)가 연결되며, 복수의 온도측정장치(100)에서 측정한 제방(10)의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220)와 정보획득부(220)에 형성되며, 제방(10)의 온도 변화를 등온선 지도로 작도하여 표출하는 표출부(230)와 표출부(230)에 형성되며, 제방(10)의 누수 위치, 흐름 중 선택된 정보를 산출하는 산출부(240)가 형성된다.
접속부(210)는 제방(10)의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터미널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속부(210)는 4 ~ 5 개의 연결장치(30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접속부(210)는 온도측정장치(100)가 삽입된 수량에 따라 다수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접속부(210)는 서로 연결되거나 정보획득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정보획득부(220)는 복수의 접속부(210)와 연결장치(300)에 의하여 연결됨에 따라 정보획득부(220)는 복수의 온도측정장치(100)에서 측정한 지중의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획득부(220)는 테이터로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보획득부(220)는 제방(10)에 삽입된 온도측정장치(100)에서 측정한 복수의 온도를 등온선 지도로 작도하여 표출할 수 있는 표출부(230)가 형성되며, 표출부(230)는 디스플레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표출부(230)에서 표출되는 등온선 지도를 활용하여 제방(10)의 누수 위치, 누수 흐름을 산출하는 산출부(24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온도측정장치(100)가 삽입된 제방(10)의 온도 변화를 작도한 등온선 지도를 시간대별로 비교하여 제방(10)의 누수 위치, 누수 흐름을 산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산출장치(200)는 산출부(240)에서 산출한 제방(10)의 누수 위치, 누수 흐름 등의 누수 정보를 제방(10)을 관리하는 관제선터 및 관리자에게 통신하는 통신장치(250)가 형성되며, 통신장치(250)에 의하여 관리자는 제방(10)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 제방(10)을 유지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의 제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단계 S110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삽입부(110)를 제작하는 제작단계(S1100)가 형성된다. 제작단계(S1100)에서는 직경 10 ~ 12 mm, 길이 2 ~ 3 m 의 파이프로 형성되는 삽입부(110)를 제작하는 것이다.
단계 S1200에서는 회로기판(121)에 10 cm 간격으로 복수의 온도센서(122)를 부착하는 센서부착단계(S1200)가 형성된다. 그리고 회로기판(121)의 단부는 커넥터가 형성됨에 따라 연결장치(30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온도센서(122)는 회로기판(121)에 납땜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단계 S1300은 단계 S1200에서 온도센서(122)가 회로기판(121)에 부착된 측정부(120)를 삽입부(110)의 내부에 삽입하는 센서삽입단계(S1610)가 형성된다. 센서삽입단계(S1610) 후 단계 S1400에서 삽입부(110)의 내부에 액상형 에폭시로 형성되는 충진재(131)를 충진하는 충진단계(S1400)가 형성된다.
그리고 충진단계(S1400)에서 충진된 충진재(131)가 경화되면 삽입부(110)의 단부에 침수방지커버(132)가 체결된다. 이에 따라 온도측정장치(100)는 제방(10)에 삽입된 후 온도 변화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누수에 의하여 온도센서(122)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단계 S1500에서는 측정부(120)의 단부에 형성되는 커넥터에 연결장치(300)의 단부를 연결하고 타단부는 산출장치(200)와 연결하는 연결단계(S1500)가 형성된다. 이때, 연결장치(300)는 복수의 온도측정장치(100)와 접속부(210)를 연결하고 복수의 접속부(210)와 정보획득부(220)를 연결한다.
단계 S1600은 온도측정장치(100)에 형성되는 복수의 온도센서(122)에서 측정하는 측정값을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1610에서 온도측정장치(100)를 수조에 저장된 저장수에 삽입되는 삽입단계(S1610)가 형성된다. 수조에 삽입된 온도측정장치(100)는 30초 간격으로 도합 1200번 반복한다.
그리고 단계 S1620에서는 저장수에 삽입된 복수의 온도센서(122)에서 저장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1620)가 형성된다. 단계 S1630의 센서보정단계(S1630)에서는 단계 S1620에서 측정한 저장수의 온도를 시간에 따른 온도 편차를 보정하여 온도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수 탐지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제방 50: 삽입장치
51: 삽입체 52: 결합커버
100: 온도측정장치 110: 삽입부
120: 측정부 121: 회로기판
122: 온도센서 130: 침수방지부
131: 충진재 132: 침수방지커버
200: 산출장치 210: 접속부
220: 정보획득부 230: 표출부
240: 산출부 250: 통신장치
251: 관제센터 300: 연결장치
400: 수위계
S1100: 제작단계 S1200: 센서부착단계
S1300: 센서삽입단계 S1400: 충진단계
S1500: 연결단계 S1600: 보정단계
S1610: 삽입단계 S1620: 측정단계
S1630: 센서보정단계

Claims (10)

  1. 하천 및 저수지에 설치되는 제방(10)의 누수를 탐지하는 누수 탐지 장치에 있어서,
    제방(10)의 상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삽입장치(50);
    상기 삽입장치(50)의 내부에 수용되며, 지중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장치(100);
    복수의 상기 온도측정장치(100)에서 측정한 지중의 온도 변화를 산출하는 산출장치(200);
    상기 온도측정장치(100)와 상기 산출장치(200)를 연결하는 연결장치(300);를 포함하는 누수 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탐지 장치는 상기 산출장치(200)에서 연장되며, 하천 및 저수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계(400);를 더 포함하는 누수 탐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측정장치(100)는 내부가 개방되며, 상기 삽입장치(50)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110);
    상기 삽입부(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지중의 다점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부(120);
    상기 삽입부(110)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부(120)의 침수를 방지하는 침수방지부(130);를 포함하는 누수 탐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120)는 상기 삽입부(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연결장치(300)에 연결되는 회로기판(121);
    상기 회로기판(121)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지중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22);를 포함하는 누수 탐지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방지부(130)는 상기 삽입부(110)에 충진되며, 상기 측정부(120)를 고정하는 충진재(131);
    상기 삽입부(110)의 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연결장치(300)가 관통하는 침수방지커버(132);를 포함하는 누수 탐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장치(200)는 복수의 상기 연결장치(300)가 결합되는 접속부(210);
    복수의 상기 접속부(210)가 연결되며, 복수의 상기 온도측정장치(100)에서 측정한 제방(10)의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220);
    상기 정보획득부(220)에 형성되며, 제방(10)의 온도 변화를 등온선 지도로 작도하여 표출하는 표출부(230);
    상기 표출부(230)에 형성되며, 제방(10)의 누수 위치, 흐름 중 선택된 정보를 산출하는 산출부(240);를 포함하는 누수 탐지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장치(200)에 형성되며, 상기 산출부(240)에서 산출한 제방(10)의 누수 정보를 관제센터(251)로 통신하는 통신장치(250);를 포함하는 누수 탐지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의 누수 탐지 장치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120)를 상기 삽입부(110)에 삽입하는 센서삽입단계(S1610);
    상기 센서삽입단계(S1610) 후, 상기 삽입부(110)의 내부에 상기 충진재(131)를 충진하는 충진단계(S1400);
    상기 충진단계(S1400) 후, 상기 측정부(120)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장치(300)를 상기 산출장치(200)와 연결하는 연결단계(S1500);
    상기 연결단계(S1500) 후, 복수의 상기 온도센서(122)에서 측정값을 보정하는 보정단계(S1600);를 포함하는 누수 탐지 장치의 제작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삽입단계(S1610) 전, 상기 삽입부(110)를 제작하는 제작단계(S1100);
    상기 제작단계(S1100) 후, 상기 회로기판(121)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상기 온도센서(122)를 부착하는 센서부착단계(S1200);를 포함하는 누수 탐지 장치의 제작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단계(S1600) 중, 상기 온도측정장치(100)를 수조에 저장된 저장수에 삽입하는 삽입단계(S1610);
    상기 삽입단계(S1610) 후, 복수의 상기 온도센서(122)에서 저장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1620);
    상기 측정단계(S1620) 후, 복수의 상기 온도센서(122)에서 측정한 온도 편차를 보정하는 센서보정단계(S1630);를 포함하는 누수 탐지 장치의 제작 방법.
KR1020220022346A 2022-02-21 2022-02-21 누수 탐지 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 KR20230125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346A KR20230125578A (ko) 2022-02-21 2022-02-21 누수 탐지 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346A KR20230125578A (ko) 2022-02-21 2022-02-21 누수 탐지 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578A true KR20230125578A (ko) 2023-08-29

Family

ID=8780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346A KR20230125578A (ko) 2022-02-21 2022-02-21 누수 탐지 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557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542B1 (ko) 2012-08-21 2013-03-12 주식회사 다산지오사이언스 지하수면 및 그 주위 온도분포 동시 측정장치
KR20180013458A (ko) 2016-07-29 2018-02-07 한국수자원공사 누수 경로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0996A (ko) 2017-04-28 2018-11-07 (주)지오이노베이션 온도데이터를 이용한 저수지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37847B1 (ko) 2017-11-28 2019-01-14 (주)지앤테크 저수지 및 댐의 누수탐지를 위한 계측선 삽입장치와 이를 이용한 계측선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542B1 (ko) 2012-08-21 2013-03-12 주식회사 다산지오사이언스 지하수면 및 그 주위 온도분포 동시 측정장치
KR20180013458A (ko) 2016-07-29 2018-02-07 한국수자원공사 누수 경로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0996A (ko) 2017-04-28 2018-11-07 (주)지오이노베이션 온도데이터를 이용한 저수지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37847B1 (ko) 2017-11-28 2019-01-14 (주)지앤테크 저수지 및 댐의 누수탐지를 위한 계측선 삽입장치와 이를 이용한 계측선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703B1 (ko) 지반 침하 측정 시스템
KR101043746B1 (ko) 지반감시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반보강장치
KR101629279B1 (ko) 지중 경사계용 프로브 위치 측정 장치, 및 프로브
US8915131B2 (en) Method of determining surface level, and a soil moisture sensor
KR20190123616A (ko) 토층지반 교란 방지가 가능한 지중 함수비 측정장치
JP2021148757A (ja) 地下水位観測装置、地下水位観測装置の設置方法及び地下水位の観測方法
KR20230125578A (ko) 누수 탐지 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
CN109489626B (zh) 液压传感表层沉降计及沉降测量方法
KR102520099B1 (ko) 누수 탐지 장치를 활용한 누수 탐지 방법
KR101437959B1 (ko) 분포형 tdr 센서를 이용한 침하계
KR101385889B1 (ko) Tdr 측정장비의 계측선 고정장치
Dornstädter Leakage detection in dams–state of the art
KR101730481B1 (ko) 지하 매설물 경로 탐지 장치 및 지하 매설물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CN110030957B (zh) 海底管线填埋深度监测装置的操作方法
US6393925B1 (en) Groundwater velocity probe
KR20130079106A (ko) 유전상수 및 온도의 측정을 이용한 깊이별 하천 제방의 누수 탐지 시스템 및 방법
CN113029095B (zh) 一种煤矿地表广域高精度在线沉降监测方法
CN101694379A (zh) 地下管线深度的探测方法
KR20110064914A (ko) 현장투수측정장치
JP6827229B2 (ja) センサモジュール、測定システム、及び測定方法
CN112326073B (zh) 用于模型试验的土压力测量装置及其标定方法
JP6475647B2 (ja) 冷凍サイクルにおける冷媒漏洩検知装置
CN109839209A (zh) 管道周围土壤的温度场及土壤的导热系数的监测工具
EP4025871A1 (en) A settlem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0985987B1 (ko) 유류탱크의 수직천공 누유감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