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574A - 수면에 설치하는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수면에 설치하는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574A
KR20230125574A KR1020220022336A KR20220022336A KR20230125574A KR 20230125574 A KR20230125574 A KR 20230125574A KR 1020220022336 A KR1020220022336 A KR 1020220022336A KR 20220022336 A KR20220022336 A KR 20220022336A KR 20230125574 A KR20230125574 A KR 20230125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olar panel
pressure control
pressure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술
Original Assignee
김재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술 filed Critical 김재술
Priority to KR1020220022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5574A/ko
Publication of KR20230125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5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integrated within the support for the lighting unit, e.g. within or on a p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수면에 설치하며 태양전지로 동작하는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본체(110)와 균형자(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상기 태양전지판, 배터리, 엘이디 및 충전회로부와; 상기 태양전지판, 배터리, 엘이디 및 충전회로부를 밀폐된 내부공간(C1)에 수용하는 튜브 형상의 물에 뜨는 케이스(111)를 포함한다. 균형자(130)는 상기 케이스(111)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마련되되 무게중심이 편심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11)의 길이방향 중심축(X)에 고정된다. 상기 태양전지판이 상기 중심축(X)을 따라 상기 케이스(111) 내에 평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본체(110)를 물에 띄울 때 상기 균형자(130)의 무게중심이 아래쪽으로 수직하게 물속에 배치되면서 상기 태양전지판이 지향하는 방향이 고정된다.

Description

수면에 설치하는 조명장치{Lighting Device Installed on the Water Surface}
본 발명은 강, 연못, 저수지, 호수, 해안 또는 바다와 같이 일정한 크기 이상의 물이 있는 곳에 설치하는 조명장치로서 물에 띄워 사용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사용하는 조명장치는 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지역에 설치되거나 스스로 발전할 수 있는 발전 기능을 가져야 한다. 소형 조명장치용 발전기로 널리 사용되는 것 중 하나가 태양전지이다. 태양전지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하며 발전 단가가 점점 낮아져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강, 연못, 저수지, 호수, 해안 또는 바다와 같이 일정한 크기 이상의 물이 있는 지역에도 조명이 필요하지만 대부분의 조명은 그 외곽의 땅위에 설치된다. 설치 및 관리의 용이성과 전원 공급의 용이성 등이 모두 고려된 결과이다. 저수지 등의 수면에 조명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조명장치가 물에 뜨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발전 기능을 구비해야 한다.
이런 분야의 종래기술이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대부분은 물에 띄운 상태로 야외에서 사용함에 따른 방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1. 실용신안등록 제20-0375325호 (태양광전지판의 부유 조명등) 2.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8-0001614호 (태양광을 이용한 부유 등기구)
본 발명의 목적은 강, 연못, 저수지, 호수, 해안 또는 바다와 같이 일정한 크기 이상의 물의 수면에 뜨도록 설치하되 태양전지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상용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수, 먼지 차단, 빗물 유입차단 등을 위해서 완전 밀폐 구조로 제작되면서도, 고온 지역에서 오랜시간 태양광을 받더라도 내부 압력이 증가하지 않도록 구현된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에 뜬 상태에서 태양전지가 태양을 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태양전지의 발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태양전지판에 의해 동작하는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본체(110)와 균형자(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상기 태양전지판, 배터리, 엘이디 및 충전회로부와; 상기 태양전지판, 배터리, 엘이디 및 충전회로부를 밀폐된 내부공간(C1)에 수용하는 튜브 형상의 물에 뜨는 케이스(111)를 포함한다. 균형자(130)는 상기 케이스(111)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마련되되 무게중심이 편심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11)의 길이방향 중심축(X)에 고정된다. 상기 태양전지판이 상기 중심축(X)을 따라 상기 케이스(111) 내에 평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본체(110)를 물에 띄울 때 상기 균형자(130)의 무게중심이 아래쪽으로 수직하게 물속에 배치되면서 상기 태양전지판이 지향하는 방향이 고정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본체(110)와 균형자(130)는 중심축(X)과 중심축(X)으로부터 이격된 고정점을 포함하는 두 개 지점에서 고정되고, 상기 균형자(130)에는 상기 고정점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제2 고정홀(133)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고정홀(133)의 일 지점과 상기 고정점을 맞추어 상기 태양전지판이 지향하는 방향을 자유롭게 고정할 수 있다.
압력조절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압력조절부(140)를 더 포함한다. 압력조절부(140)는 탄성있는 소재의 압력조절용 막(411)과 지지체(413)를 포함한다.
압력조절용 막(411)은 지지체(413)의 개방된 양단 중 일단을 덮어 상기 지지체(413)의 개방된 일단을 밀폐하며, 상기 내부공간(C1)의 압력 변화에 따라 늘어났다가 다시 복원(또는 수축)할 수 있다. 지지체(413)는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C1)에 내장되어 상기 압력조절용 막(411)을 지지하며, 타단이 상기 케이스(111) 내면의 압력조절면(Z1)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압력조절용 막(411)과 압력조절면(Z1) 사이에 압력조절공간(C2)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공간(C1)의 압력이 증가하여 상기 압력조절용 막(411)이 팽창할 때 상기 압력조절면(Z1)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압력조절공간(C2)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상기 내부공간(C1)의 압력 증가를 해소할 수 있다. 이로써, 본체(110) 또는 케이스(111) 내부가 고온 등의 이유로 압력이 높아지더라도 압력조절부에 의해 내부 압력이 해소됨으로써 밀폐구조나 방수구조가 파괴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부(410)는 상기 압력조절면(Z1)과 일체로 구현된 마개(510)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1)의 개방된 일 단부를 상기 마개로 덮어 상기 내부공간(C1)이 밀폐되며, 상기 마개(510)의 외면에 상기 관통홀이 마련되며 상기 마개(510)의 측부가 상기 지지체(413)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강, 연못, 저수지, 호수, 해안 또는 바다와 같이 일정한 크기 이상의 물의 수면에 뜨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태양전지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상용전원이 없더라도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물에 띄운 상태로 야외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방수뿐만 아니라, 먼지 차단, 빗물 유입차단 등을 위해서 완전 밀폐 구조로 제작되면서도, 고온 지역에서 오랜시간 태양광을 받더라도 내부 압력이 증가하지 않도록 구현되어 밀폐구조가 파괴되거나 내구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물에 뜬 상태에서 태양전지가 태양을 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태양전지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물에 뜬 상태에서 조명하게 됨으로써 야간에 현재 위치가 수면으로 위험지역임을 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미감을 주는 경관을 만드는 역할도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본체에 내장된 구성품의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조명장치의 A-A' 절단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압력조절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압력조절부의 다른 실시 예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압력조절부의 동작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균형자에 의한 정상자세를 설정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는 관(Pipe)이나 튜브(Tube) 형상으로 수면에 뜬 상태로 발광체 역할을 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양단 모두 또는 양단 중 일측에 연결되어 수면에서 본체(110)의 자세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균형자(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태양전지판(113), 엘이디(115), 배터리(117), 충전회로부(201) 및 제어부(203)와 이들을 수용하는 케이스(111)를 포함한다. 도 1에서처럼 조명장치(100)를 물에 설치하면, 본체(110)의 하부가 물에 잠긴 상태로 수면에 뜨고, 균형자(130)는 물속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함으로써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체(110)가 '정상 자세'를 취하게 된다.
케이스(111)는 튜브 형상으로서, 태양전지판(113), 엘이디(115), 배터리(117), 충전회로부(201) 및 제어부(203)를 수용하기 위해 밀폐된 내부공간(C1)을 제공하며, 본체(110)의 외관을 구성한다. 케이스(111)는 단단한데 반해 가공성이 좋고 가벼워 물에 뜨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와 같은 합성수지 소재로 만드는 것이 좋다. 케이스(111)는 원통형이 바람직하지만, 길이 방향의 중심선(X)에 수직한 단면 형상이 원(원통 또는 원기둥)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한편, 태양전지판(113)은 케이스(111)의 중심축(X)을 따라 평평하게 배치되어야 하며, 태양전지판(113)이 지향하는 방향(또는 각도)가 본체(110)의 정상 자세가 된다.
케이스(111)는 태양광이 내부로 유입되고 엘이디(115)의 발광이 외부로 출사되는 것을 차단하지 않도록, 전부 또는 일부가 투명 또는 약한 수준으로 불투명하게 구현되는 것이 좋다. 도 1은 원통형 케이스(111)를 튜브의 중심선(X)을 따라 양분한 상태에 상면이 투명한 소재로 구현된 예이다.
케이스(111)는 태양전지판(113)과 엘이디(115) 등을 내장하고 야외의 물에 뜬 상태로 동작하기 때문에 내부로 물, 빗물,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는 완전 밀폐 구조로 제작되어야 한다. 한편, 소재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겠지만, 케이스(111)가 고온 지역에서 오랫동안 태양광을 받으면,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밀폐 구조가 나빠지거나 파손되어 특히 방수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당장 문제가 생기지 않더라도 주간과 야간에 본체 내부 압력이 증가했다가 다시 낮아지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방수와 관련된 내구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체(110)에는 케이스(111)의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압력조절부(410)가 마련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압력조절부(410)는 압력조절용 막(411)과, 압력조절용 막(411)을 지지하는 지지체(413)를 포함하며, 케이스(111) 내면의 압력조절면(Z1)에 부착된 상태로 케이스 내부공간(C1)에 내장된다.
압력조절용 막(411)은 케이스 내부공간(C1)의 압력 변화에 따라 늘어났다가 다시 복원(또는 수축)할 수 있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있는 소재로, 지지체(413)의 개방된 양단 중 일단을 덮어 지지체(413)의 개방된 일단을 밀폐한다. 한편, 압력조절용 막(411)은 늘어나지 않은 정상상태에서 지지체(413)의 개방된 일단을 대체로 평평하게 덮을 수 있는 크기가 좋다. 도 4에서는 원통형 지지체(413)에 대응하여, 압력조절용 막(411)이 원형의 편평한 막으로 구현되었다.
지지체(413)는 압력조절용 막(411)을 지지하되 두 개 부분이 개방된 밀폐 구조물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처럼 양단이 개방된 관(Pipe)이나 튜브 형태가 바람직하다. 지지체(413)의 개방된 일단은 압력조절용 막(411)에 의해 완전히 밀폐되고, 개방된 타단은 케이스(111)의 압력조절면(Z1)에 부착됨으로써 완전히 밀폐된다. 케이스(111)의 압력조절면(Z1)은 케이스(111)의 내면 어디라도 무방하되,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415)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본체(110)가 물에 뜬 상태로 '정상 자세'를 유지할 때, 관통홀(415)로 물이 유입되지 않아야 한다.
압력조절부(410)가 케이스(111)의 압력조절면(Z1)에 설치됨으로써 내부공간(C1)은 압력조절용 막(411)에 의해 여전히 밀폐를 유지한다. 압력조절용 막(411)과 케이스(111)의 압력조절면(Z1) 사이의 '압력조절공간'(C2)은 밀폐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415)을 통해 본체 외부와 연결된 상태로, 압력조절부(410)의 압력조절 용량(즉, 압력조절용 막의 팽창 한계)을 결정한다. 도 4 및 도 6은 케이스(111)의 양 단면 중 한 면을 압력조절면(Z1)으로 지정한 예로서, 지지체(413)가 케이스(111)와 일체로 구현되었으며, 하나의 관통홀(415)이 형성된 예이다.
압력조절부(410)는 케이스(111)의 압력조절면(Z1)과 일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더해서 튜브 형상의 케이스(111)의 개방된 일단을 덮는 마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111)는 일단이 개방되어 있고, 그 개방된 개구부를 마개(510)로 덮어 케이스(111)가 밀폐된다. 마개(510)의 내측에 압력조절용 막(411)이 설치되어 있고 마개(510)의 외면에 관통홀(415)이 마련되어 있다. 압력조절용 막(411)을 지지하는 마개(510)의 측부가 도 4의 지지체(413)가 됨으로써, 마개(510)는 지지체(413)와 압력조절면(Z1)와 일체로 구현된 예가 된다.
케이스(111)는 마개(510)와 더불어 완전한 밀폐구조가 되며, 케이스(111) 내에 태양전지판 등을 삽입하고 마개(510)를 닫아 봉함으로써 내부공간(C1)에 압력조절부(410)가 동시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가 고온 지역의 태양광 아래에서 장시간 노출되면서 밀폐된 내부공간(C1)의 압력이 본체(110)의 외부에 비해 높아지면, 도 6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공간(C1)의 압력에 의해 압력조절용 막(411)이 압력조절공간(C2)쪽으로 팽창하게 되고, 압력조절공간(C2) 내부의 공기는 관통홀(4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내부공간(C1)의 압력이 높아지더라도 외부와 평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내부공간(C1)의 압력 증가가 압력조절공간(C2)에 의해 해소되기 때문에, 내부공간(C1)의 압력 증가에 의해 케이스(111)의 밀폐구조가 나빠지거나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도 6의 (a) 상태에서 외부 온도의 변화 등으로 인해 밀폐된 내부공간(C1)의 압력이 낮아지면,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공간(C1)의 줄어든 압력에 의해 압력조절용 막(411)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고 그로 인해 압력이 낮아진 압력조절공간(C2)은 관통홀(415)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로 다시 채워진다.
균형자(130)는 조명장치(100)가 물에 뜬 상태에서 본체(110)의 정상자세를 설정하는 균형 추와 같은 역할을 하며, 본체(110)의 양 단부 각각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본체(110)의 양 단부 중 한쪽 단부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은 양단 모두에 균형자(130)가 설치된 예이다.
균형자(130)의 형태는 어떤 것이어도 무방하지만, 본체(110)보다 무거워 본체(110)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균형자(130)는 그 무게중심이 아닌 부분이 케이스(111)의 중심축(X)상에 고정됨으로써 균형자(130)의 무게 중심이 중심축(X)을 벗어나 편심된다. 조명장치(100)를 물에 띄우면 균형자(130)의 편심된 무게 중심이 중력방향으로 수직하게 움직이면서 아래쪽(물 속)에 배치되는데, 이때 균형자(130)와 본체(110) 사이의 배치에 따라, 본체(110)의 자세가 고정된다. 이때, 중심축(X)으로부터 균형자(130)의 무게중심에 이르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태양전지판(113)의 각도(또는 방향, 또는 위치)가 본체(110)의 정상자세가 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균형자(130)는 긴 막대형상으로서 막대의 일단이 케이스(111)의 중심축(X)에 고정되고 타단이 수직방향으로 물 속에 배치된다. 물 속에서 수직방향으로 자세를 잡은 균형자(130)에 대해 태양전지판(113)의 자세가 본체(110)의 정상자세가 된다. 본체(110)의 정상자세는 다양한 기준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는데, 태양전지판(113)의 발전효율을 고려하여 태양의 남중고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는 태양전지판(113)이 수평이 되는 자세를 정상자세가 되도록 하기 위해 본체(110)와 균형자(130)가 고정된 예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에서 본체(110)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본체(110)와 균형자(130) 사이의 위치를 바꾼 다음 고정한 것으로서, 태양전지판(113)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자세를 정상자세로 설정한 것이다. 태양의 남중 고도를 고려하여 본체(110)와 균형자(130) 사이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정상자세를 바꿀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본체(110)의 정상자세를 쉽게 변경하도록 하기 위해, 본체(110)와 균형자(130)는 중심축(X)과 중심축(X)으로부터 이격된 고정점을 포함하는 두 개 지점에서 고정될 수 있는데, 고정점에서 균형자(130)와 케이스(111)가 위치 고정됨으로써 정상자세를 만든다. 도 4을 참조하면, 케이스(111)의 단부에는 중심축(X)을 따라 형성된 제1 홀(431)과 고정점에 형성된 제2 홀(433)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도 7의 균형자(130)에는 제1 홀(431)에 대응하는 제1 고정홀(131)과, 고정점인 제2 홀(433)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제2 고정홀(133)이 마련된다. 제2 고정홀(133)의 원호는 중심축(X)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고정점, 즉 제2 홀(433)의 궤적이다. 정상자세를 설정할 때, 제1 홀(431)과 제1 고정홀(131)을 볼트 등으로 고정한 다음, 제2 고정홀(133)과 케이스(111)의 제2 홀(433) 사이의 위치를 맞추어 볼트(135)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정상자세를 설정하고 바꿀 수 있다.
본체의 나머지 구성
본체(110)는 케이스(111)에 내장된 태양전지판(113), 엘이디(115), 배터리(117), 충전회로부(201) 및 제어부(203)를 포함한다.
태양전지판(113)은 태양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117)를 충전한다. 태양전지판(113)의 발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 케이스(111)가 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태양을 바로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균형자(130)에 의해 태양전지판(113)의 정상자세가 조정되는 것과 더불어 하나의 평면에 평평하게 배치됨으로써 태양전지판(113)의 정상자세 즉, 지향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 좋다.
엘이디(115)는 복수 개의 엘이디(LED)를 구비하여 배터리(117)에 충전된 직류 전원이 충전회로부(201)를 통해 방전되면 점등한다. 본체(110)가 전원이 되는 태양전지판(113)을 최대로 수용한 상태에서 엘이디(115)가 조명하도록 하기 위해, 도 1은 엘이디(115)가 태양전지판(113)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엘이디(115)는 케이스(111) 내의 어디에 위치해도 무방하다. 또한, 엘이디(115)가 별도의 독자적인 방수 수단을 갖춘다면 케이스(111) 외면에 고정되거나 케이스(111)와 별도의 구조물로 외부에 위치해도 무방하다.
태양전지판(113)의 발전과 엘이디(115)의 발광을 위해, 케이스(111)는 전체가 투명하거나 적어도 태양전지판(113) 및 엘이디(115)와 대향하는 부분은 투명한 소재로 구현되어 태양광이 태양전지판(113)으로 입사되는 것과 엘이디(115)의 발광이 출사하는 것을 차단하지 않아야 한다.
배터리(117)는 태양전지판(113)의 발전으로 충전된다. 충전회로부(201)는 제어부(203)의 제어에 따라 태양전지판(113), 배터리(117) 및 엘이디(115) 사이에서 충전/방전을 제어한다. 제어부(203)와 충전회로부(201)의 동작을 중심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및 방전 제어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필요한 정도로만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충전회로부(201)는 태양전지판(113), 엘이디(115) 및 배터리(117) 사이에서 충전/방전 스위칭 제어, 과충전 및 과방전 제어, 충전전류량 및 방전전류량 제어를 수행한다. 배터리 충전은 태양전지판(113)와 배터리(117) 사이에서 수행되고 배터리 방전은 배터리(117)와 엘이디(115) 사이에서 수행된다. 충전회로부(201)는 태양전지판(113)에서 배터리(117)로 이어지는 충전 경로와 배터리(117)에서 엘이디(115)로 이어지는 방전경로를 상호 스위칭함으로써 직류 전류의 배터리 충전 및 배터리 방전을 수행한다. 충전회로부(201)는 종래에 알려진 다양한 전기 및/또는 전자회로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203)는 조명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4)

  1. 태양전지판에 의해 동작하는 조명장치로서,
    상기 태양전지판, 배터리, 엘이디 및 충전회로부; 및
    상기 태양전지판, 배터리, 엘이디 및 충전회로부를 밀폐된 내부공간(C1)에 수용하는 튜브 형상의 물에 뜨는 케이스(111)를 포함하는 본체(110)와,
    상기 케이스(111)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마련되되 무게중심이 편심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11)의 길이방향 중심축(X)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균형자(130)를 포함하여,
    상기 태양전지판이 상기 중심축(X)을 따라 상기 케이스(111) 내에 평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본체(110)를 물에 띄울 때 상기 균형자(130)의 무게중심이 아래쪽으로 수직하게 물속에 배치되면서 상기 태양전지판이 지향하는 방향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와 균형자(130)는 중심축(X)과 중심축(X)으로부터 이격된 고정점을 포함하는 두 개 지점에서 고정되고, 상기 균형자(130)에는 상기 고정점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제2 고정홀(133)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고정홀(133)의 일 지점과 상기 고정점을 맞추어 상기 태양전지판이 지향하는 방향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체(413)의 개방된 양단 중 일단을 덮어 상기 지지체(413)의 개방된 일단을 밀폐하며, 상기 내부공간(C1)의 압력 변화에 따라 늘어났다가 다시 복원(또는 수축)할 수 있는 탄성있는 소재의 압력조절용 막(411); 및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C1)에 내장되어 상기 압력조절용 막(411)을 지지하며, 타단이 상기 케이스(111) 내면의 압력조절면(Z1)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압력조절용 막(411)과 압력조절면(Z1) 사이에 압력조절공간(C2)을 형성하는 상기 지지체(413)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공간(C1)의 압력이 증가하여 상기 압력조절용 막(411)이 팽창할 때 상기 압력조절면(Z1)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압력조절공간(C2)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상기 내부공간(C1)의 압력 증가를 해소하는 압력조절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410)는 상기 압력조절면(Z1)과 일체로 구현된 마개(510)이고, 상기 케이스(111)의 개방된 일 단부를 상기 마개로 덮어 상기 내부공간(C1)이 밀폐되며, 상기 마개(510)의 외면에 상기 관통홀이 마련되며 상기 마개(510)의 측부가 상기 지지체(413)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220022336A 2022-02-21 2022-02-21 수면에 설치하는 조명장치 KR20230125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336A KR20230125574A (ko) 2022-02-21 2022-02-21 수면에 설치하는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336A KR20230125574A (ko) 2022-02-21 2022-02-21 수면에 설치하는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574A true KR20230125574A (ko) 2023-08-29

Family

ID=8780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336A KR20230125574A (ko) 2022-02-21 2022-02-21 수면에 설치하는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557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325Y1 (ko) 2004-11-20 2005-02-07 오승열 태양광전지판의 부유 조명등
KR20080001614U (ko) 2006-12-04 2008-06-10 주식회사 샘라이팅 태양광을 이용한 부유 등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325Y1 (ko) 2004-11-20 2005-02-07 오승열 태양광전지판의 부유 조명등
KR20080001614U (ko) 2006-12-04 2008-06-10 주식회사 샘라이팅 태양광을 이용한 부유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155B1 (ko) 밸러스트 탱크가 구비되는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US20110126885A1 (en) Photovoltaic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RU2617607C1 (ru) Навигационный буй с комплексной энергоустановкой
KR101042728B1 (ko) 추에 의해 지지되는 수상태양광 발전장치
US20070199589A1 (en) Light signaling post
CN112202398A (zh) 一种自动清洁降温联动光伏跟踪装置及系统
ES2634318T3 (es) Sistema de generación de energía flotante
CN110247620A (zh) 一种水面太阳能发电系统
KR20230125574A (ko) 수면에 설치하는 조명장치
CN110979580B (zh) 一种用于水上漂浮式的光伏组件的倾斜浮体
KR20110055990A (ko) 태양광 발전 부표
KR101488931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RU2519530C2 (ru) Концентратор солнечного излучения (варианты)
KR101978598B1 (ko) 태양광 led 표시등 기능을 갖는 태양광 집열 부표
JP2766023B2 (ja) 太陽電池装置
KR102281578B1 (ko) 수상 태양광 패널 발전장치
CN210284529U (zh) 一种带中心管的多级供电功率浮标
CN112544281A (zh) 一种太阳能收集装置以及由该装置组成的设备
AU2014100975A4 (en) Solar powered outdoor lighting device
CN208559718U (zh) 水下航道警示装置
GB2589732A (en) Lighting arrangement
KR102163288B1 (ko) 안정성을 갖는 에어챔버 및 밸러스트 추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US20070247838A1 (en) Underwater Lumination Devices With Solar Power Suppliers
KR100385778B1 (ko) 내부건조 및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수문
KR200440108Y1 (ko) 플라스틱 부표 및 태양전지 일체형 등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