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513A - 지하매립형 온실 - Google Patents

지하매립형 온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513A
KR20230124513A KR1020230103471A KR20230103471A KR20230124513A KR 20230124513 A KR20230124513 A KR 20230124513A KR 1020230103471 A KR1020230103471 A KR 1020230103471A KR 20230103471 A KR20230103471 A KR 20230103471A KR 20230124513 A KR20230124513 A KR 20230124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assembly
corner
pile
dispose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3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노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노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노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2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51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8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agricultural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reenhouse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하매립형 온실은 생육공간(1)의 바닥(2)이 지면(3) 보다 낮게 배치되는 지하매립형 온실에 있어서, 작물이 재배되는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월어셈블리(1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월어셈블리(2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레프트월어셈블리(3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라이트월어셈블리(400);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 리어월어셈블리(200), 레프트월어셈블리(300) 및 라이트월어셈블리(400)의 상측에 조립되어 상기 생육공간(1)의 상측을 커버하는 루프어셈블리(500);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생육공간(1)으로 진입가능한 출입구(190); 상기 출입구(190)에 개폐가능하게 배치된 도어어셈블리(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생육공간의 바닥이 지면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생육공간이 지하의 지열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 난방비를 절감하고, 여름철에 냉방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지하매립형 온실{UNDERGROUND TYPE GREENHOUSE}
본 발명은 지면을 굴착하여 설치되는 지하 매립형 온실에 관한 것이다.
온실은 채소, 꽃 등의 작물에 알맞은 광, 온도 습도 등을 인공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든 구조물로서, 여러 작물의 재배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에서 겨울 및 여름의 저온과 고온의 외부환경에 재배 불가능한 작물의 재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온실 구조물 자체만으로는 온실 내부의 온도를 적정으로 유지하거나 조절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온실 내부 온도를 적정으로 유지하기 위한 기술로서, 특허문헌 1(특허공개번호 10-2015-0008547호)에는 온실 내부에 설치되어 온실 내를 적정온도로 유지시켜 주는 난방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이러한 난방장치는 최근 실제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난방장치를 구비하여 온실 내부 온도를 조절하게 되면 이에 드는 에너지 소모량이 상당하며, 실제로 시설원예 농가의 경영비 중 난방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30~40%로 매우 높은 실정이며, 유류 난방은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어 지열, 태양열 등 자연에너지를 이용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시설원예 작물재배 시 사용되는 난방연료의 85%는 유류를 사용하고 있어 매년 사용되는 유류 소모량이 약 120만kL로 금액으로는 약 1조 3,000억원에 이르고 있기에, 이에 따라 난방 연료를 최소화함으로써 겨울철 난방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5-000854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794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46831호
본 발명은 굴착된 지하의 온도를 이용하여 겨울철 및 여름철의 냉난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지하 매립형 온실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생육공간(1)의 바닥(2)이 지면(3) 보다 낮게 배치되는 지하매립형 온실에 있어서, 작물이 재배되는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월어셈블리(1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월어셈블리(2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레프트월어셈블리(3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라이트월어셈블리(400);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 리어월어셈블리(200), 레프트월어셈블리(300) 및 라이트월어셈블리(400)의 상측에 조립되어 상기 생육공간(1)의 상측을 커버하는 루프어셈블리(500);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생육공간(1)으로 진입가능한 출입구(190); 상기 출입구(190)에 개폐가능하게 배치된 도어어셈블리(600);를 포함하는 지하매립형 온실을 제공한다.
상기 생육공간의 전방 좌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 1 코너파일(11); 상기 생육공간의 전방 우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 2 코너파일(12); 상기 생육공간의 후방 좌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 3 코너파일(13); 상기 생육공간의 후방 우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 4 코너파일(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는, 상기 제 1 코너파일(11) 및 제 2 코너파일(12)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프론트파일(110)과, 상기 프론트파일(110) 및 제 1 코너파일(11)을 연결하는 제 1 프론트월(120)과, 상기 프론트파일(110) 및 제 2 코너파일(12)을 연결하는 제 2 프론트월(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월어셈블리(200)는, 상기 제 3 코너파일(13) 및 제 4 코너파일(14)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리어파일(210); 상기 제 3 코너파일(13), 리어파일(210) 및 제 4 코너파일(14)을 연결하는 리어월(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프트월어셈블리(300)는, 상기 제 1 코너파일(11) 및 제 3 코너파일(13)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레프트파일(310)과, 상기 제 1 코너파일(11), 레프트파일(310) 및 제 3 코너파일(13)을 연결하는 레프트월(320)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월어셈블리(400)는, 상기 제 2 코너파일(12) 및 제 4 코너파일(14)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파일(410)과, 상기 제 2 코너파일(12), 라이트파일(410) 및 제 4 코너파일(14)을 연결하는 라이트월(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루프어셈블리(500)는, 상기 제 1 코너파일(11) 및 제 2 코너파일(12)에 조립되는 프론트루프프레임(510); 상기 제 3 코너파일(13) 및 제 4 코너파일(14)에 조립되는 리어루프프레임(520); 상기 레프트파일(310) 및 라이트파일(410)에 조립되는 미들루프프레임(530);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루프프레임(510)은, 하단이 상기 제 1 코너파일(11)의 제 1 코너바디홀에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단이 상기 제 2 코너파일(12) 측으로 절곡되는 제 1 프론트벤딩파이프(511); 하단이 상기 제 2 코너파일(12)의 제 2 코너바디홀에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단이 상기 제 1 코너파일(11) 측으로 절곡되는 제 2 프론트벤딩파이프(512); 상기 제 1 프론트벤딩파이프(511)의 상단에 조립되는 제 1 프론트슬로프파이프(513); 상기 제 2 프론트벤딩파이프(512)의 상단에 조립되는 제 2 프론트슬로프파이프(514); 상기 제 1 프론트슬로프파이프(513) 및 제 2 프론트슬로프파이프(514)를 연결하는 프론트커넥트파이프(515);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루프프레임(520)은, 하단이 상기 제 3 코너파일(13)의 제 3 코너바디홀에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단이 상기 제 4 코너파일(14) 측으로 절곡되는 제 1 리어벤딩파이프(521); 하단이 상기 제 4 코너파일(14)의 제 4 코너바디홀에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단이 상기 제 3 코너파일(13) 측으로 절곡되는 제 2 리어벤딩파이프(522); 상기 제 1 리어벤딩파이프(521)의 상단에 조립되는 제 1 리어슬로프파이프(523); 상기 제 2 리어벤딩파이프(522)의 상단에 조립되는 제 2 리어슬로프파이프(524); 상기 제 1 리어슬로프파이프(523) 및 제 2 리어슬로프파이프(524)를 연결하는 리어커넥트파이프(525);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생육공간의 바닥이 지면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생육공간이 지하의 지열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 난방비를 절감하고, 여름철에 냉방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프론트월어셈블리, 리어월어셈블리, 레프트월어셈블리 및 라이트월어셈블리의 각 상단이 지면보다 높게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의 물이 생육공간을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어셈블리가 더 배치되기 때문에, 집중호우가 발생되더라도 외부의 물이 출입구를 통해 생육공간을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코너파일에 루프어셈블리가 조립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프론트월어셈블리, 리어월어셈블리, 레프트월어셈블리 및 라이트월어셈블리에 동일한 구성이 사용되기 때문에, 시공 시 자재의 범용성이 높고 보유해야 하는 자재의 종류를 대폭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루프어셈블리에 유리 또는 필름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지열을 저장하는 열순환장치가 생육공간의 아래에 매립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열매체에 저장된 열을 통해 생육공간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덟째, 본 발명은 펌프를 통해 탱크에 저장된 열매체가 루프어셈블리를 경유하도록 순환되기 때문에, 외기에 접하는 루프어셈블리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육공간의 온도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하매립형 온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론트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어월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리어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레프트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라이트월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코너파일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도어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하매립형 온실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정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하매립형 온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론트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어월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리어월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레프트월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라이트월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코너파일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도어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매립형 온실은, 지면에 하측 일부가 매립되어 배치되는 월어셈블리와, 상기 월어셈블리의 상측에 조립되어 생육공간(1)의 상측을 커버하는 루프어셈블리(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매립형 온실은 작물이 재배되는 생육공간(1)의 바닥(2)이 지면(3) 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특징이 있고, 상기 생육공간(1)의 정면 중 하측일부, 후면 중 하측일부, 좌측면 중 하측일부 또는 우측면 중 하측일부가 토사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매립형 온실은 생육공간(1)의 바닥(2)이 지면(3) 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굴착된 지면의 온도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외부기온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매립형 온실은 상기 생육공간(1)이 지면(3) 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겨울철의 경우, 상기 생육공간(1)의 온도가 외부 기온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월어셈블리는 작물이 재배되는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월어셈블리(100)와,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월어셈블리(200)와,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레프트월어셈블리(300)와,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라이트월어셈블리(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 리어월어셈블리(200), 레프트월어셈블리(300) 및 라이트월어셈블리(400)가 지면에 파일링되어 모두 토사를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경사면에 지하매립형 온실이 설치되는 경우, 프론트월어셈블리(100), 리어월어셈블리(200), 레프트월어셈블리(300) 또는 라이트월어셈블리(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지면에 매립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 리어월어셈블리(200), 레프트월어셈블리(300) 및 라이트월어셈블리(400) 중에서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 레프트월어셈블리(300) 및 라이트월어셈블리(400)가 지면에 적어도 일부 매립되어 토사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 리어월어셈블리(200), 레프트월어셈블리(300) 및 라이트월어셈블리(400) 중에서 상기 리어월어셈블리(200), 레프트월어셈블리(300) 및 라이트월어셈블리(400)가 지면에 적어도 일부 매립되어 토사를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월어셈블리는 상기 생육공간의 전방 좌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 1 코너파일(11)과, 상기 생육공간의 전방 우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 2 코너파일(12)과, 상기 생육공간의 후방 좌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 3 코너파일(13)과, 상기 생육공간의 후방 우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 4 코너파일(14)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가 상기 제 1 코너파일(11) 및 제 2 코너파일(12)을 연결하고, 상기 리어월어셈블리(200)가 상기 제 3 코너파일(13) 및 제 4 코너파일(14)을 연결하고, 상기 레프트월어셈블리(300)가 상기 제 1 코너파일(11) 및 제 3 코너파일(13)을 연결하고, 상기 라이트월어셈블리(400)가 상기 제 2 코너파일(12) 및 제 4 코너파일(14)을 연결한다.
제 1 코너파일(11), 제 2 코너파일(12), 제 3 코너파일(13) 및 제 4 코너파일(14)의 각 하단이 상기 바닥(2) 보다 깊게 매립되어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 리어월어셈블리(200), 레프트월어셈블리(300) 및 라이트월어셈블리(400)는 조립구조가 유사하고, 설치위치에 따른 구분이다.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는 상기 제 1 코너파일(11) 및 제 2 코너파일(12)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프론트파일(110)과, 상기 프론트파일(110) 및 제 1 코너파일(11)을 연결하는 제 1 프론트월(120)과, 상기 프론트파일(110) 및 제 2 코너파일(12)을 연결하는 제 2 프론트월(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에 출입구(190)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19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프론트파일이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파일(110)은 상기 출입구(190)의 좌측에 배치된 제 1 프론트파일(111)과, 상기 출입구(190)의 우측에 배치된 제 2 프론트파일(11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프론트파일(111) 및 제 2 프론트파일(112)이 상기 코너파일들과 같은 높이로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코너파일들과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파일(110), 코너파일들의 각 상단이 지면(3) 보다 적어도 50cm 이상 높게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표면의 우수가 생육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론트파일(111) 및 제 2 프론트파일(112)의 각 하단이 상기 바닥(2) 보다 깊게 매립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1 프론트파일(111) 및 제 2 프론트파일(112)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출입구(190)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프론트파일(111) 및 제 2 프론트파일(112)의 하단이 상기 지면(3)에 매립되고, 상단이 지면(3)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프론트월(120) 및 제 2 프론트월(130)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위치에 따라 구분한 명칭이다.
상기 제 1 프론트월(120)은, 제 1 프론트바디(122)와, 상기 제 1 프론트바디(122)의 일측(좌측) 가장자리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제 1 일단프론트홈(124)과, 상기 제 1 프론트바디(122)의 타측(우측) 가장자리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제 1 타단프론트홈(126)을 포함한다.
제 1 프론트바디(122)은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1 일단프론트홈(124) 및 제 1 타단프론트홈(126)이 쐐기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일단프론트홈(124)이 제 1 코너파일(11)과 수평방향에 대해 상호걸림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타단프론트홈(126)이 상기 제 1 프론트파일(111)과 수평방향에 대해 상호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프론트월(120)은 제 1 코너파일(11) 및 제 1 프론트파일(111)의 길이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고, 제 1 코너파일(11) 및 제 1 프론트파일(111)과 교차되는 방향에 대해서는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프론트월(130)은, 제 2 프론트바디(132)와, 상기 제 2 프론트바디(132)의 일측(좌측) 가장자리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제 2 일단프론트홈(134)과, 상기 제 2 프론트바디(132)의 타측(우측) 가장자리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제 2 타단프론트홈(136)을 포함한다.
제 2 프론트바디(132)은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2 일단프론트홈(134) 및 제 2 타단프론트홈(136)이 쐐기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일단프론트홈(134)이 제 2 프론트파일(112)과 수평방향에 대해 상호걸림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타단프론트홈(136)이 상기 제 2 코너파일(12)과 수평방향에 대해 상호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프론트월(130)은 제 2 코너파일(12) 및 제 2 프론트파일(112)의 길이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고, 제 2 코너파일(12) 및 제 1 프론트파일(112)과 교차되는 방향에 대해서는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프론트월(120) 및 제 2 프론트월(130)이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프론트월(120) 및 제 2 프론트월(130)이 지면(3)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장마 또는 집중호우 시에 빗물이 생육공간(1)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론트파일(111) 및 제 2 프론트파일(112)은 동일한 형상이기 때문에, 프론트파일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프론트파일(11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프론트파일바디(113)와, 상기 프론트파일바디(113)의 일측면(좌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일단프론트걸림부(114)와, 상기 프론트파일바디(113)의 타측면(우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타단프론트걸림부(115)와, 상기 프론트파일바디(113)의 내측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프론트바디홀(116)을 포함한다.
상기 일단프론트걸림부(114)가 상기 제 1 타단프론트홈(126)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타단프론트걸림부(115)에 미도시된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론트파일(111) 및 제 2 프론트파일(112)의 각 구성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프론트파일바디(113), 일단프론트걸림부(114) 및 타단프론트걸림부(115) 및 프론트바디홀(116)의 앞에 "제 1" 또는 "제 2"의 접두어를 붙여 구분한다. 예를 들어 제 1 프론트파일바디 또는 제 2 프론트파일바디라 할 수 있다.
상기 리어월어셈블리(200)는, 상기 제 3 코너파일(13) 및 제 4 코너파일(14)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리어파일(210)과, 상기 제 3 코너파일(13), 리어파일(210) 및 제 4 코너파일(14)을 연결하는 리어월(220)을 포함한다.
상기 리어파일(210)은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리어파일바디와, 상기 리어파일바디의 일측면(좌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일단리어걸림부와, 상기 리어파일바디의 타측면(우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타단리어걸림부와, 상기 리어파일바디의 내측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리어바디홀을 포함한다.
이하, 복수개의 구성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좌측에서 부터 우측으로 "제 1" 또는 "제 2"의 접두어를 붙이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제 1" 또는 "제 2"의 접두어를 붙여 구분한다.
상기 리어파일(210)은, 제 1 리어파일(211), 제 2 리어파일(212), 제 3 리어파일(213) 및 제 4 리어파일(21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리어파일(211), 제 2 리어파일(212), 제 3 리어파일(213) 및 제 4 리어파일(214)의 상단 높이가 상기 제 3 코너파일(13) 및 제 4 코너파일(14)의 상단 높이와 같을 수 있다.
제 3 코너파일(13), 제 1 리어파일(211), 제 2 리어파일(212), 제 3 리어파일(213), 제 4 리어파일(214) 및 제 4 코너파일(14) 사이 사이에 리어월(220)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어월(220)은 5개가 배치되고, 제 1 리어월, 제 2 리어월, 제 3 리어월, 제 4 리어월 및 제 5 리어월을 포함한다.
상기 리어월(220)의 구조는 상기 제 1 프론트월(120)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리어월(22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넓게 형성된 리어바디(222)와, 상기 리어바디(222)의 일측(좌측) 가장자리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일단리어홈(224)과, 상기 리어바디(222)의 타측(우측) 가장자리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타단리어홈(22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코너파일(11), 제 2 코너파일(12), 제 3 코너파일(13) 및 제 4 코너파일(14)의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코너파일(10)의 구성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상기 코너파일(1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코너바디(15)와, 상기 코너바디(15)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일측코너걸림부(16)와, 상기 코너바디(15)의 일측면과 90도의 사이각을 형성하는 면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타측코너걸림부(17)와, 상기 코너바디(15)의 내측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코너바디홀(18)을 포함한다.
제 1 코너파일(11), 제 2 코너파일(12), 제 3 코너파일(13) 및 제 4 코너파일(14)의 각 구성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제 1 코너바디홀, 제 2 코너바디홀, 제 3 코너바디홀, 제 4 코너바디홀과 같이 "제 1" 또는 "제 2"등과 같은 접두어를 붙여 구분한다.
상기 코너바디(15)는 정면(15a), 배면(15b), 좌측면(15c), 우측면(15d), 상면(15e) 및 저면(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일측코너걸림부(16)가 정면(15a)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타측코너걸림부(17)는 배면(15b), 좌측면(15c) 또는 우측면(15d)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상기 코너바디홀(18)은 상면(15e) 및 저면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일측코너걸림부(16) 및 타측코너걸림부(17)는 방향에 따른 구분일 뿐 구성이 동일하고, 설치위치 및 방향에 따라 동일한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레프트월어셈블리(300)는, 상기 제 1 코너파일(11) 및 제 3 코너파일(13)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레프트파일(310)과, 상기 제 1 코너파일(11), 레프트파일(310) 및 제 3 코너파일(13)을 연결하는 레프트월(320)을 포함한다.
상기 레프트파일(310)은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프트파일(31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레프트파일바디와, 상기 레프트파일바디의 일측면(좌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일단레프트걸림부와, 상기 레프트파일바디의 타측면(우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타단레프트걸림부와, 상기 레프트파일바디의 내측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레프트바디홀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상기 레프트파일(310)을 제 1 레프트파일(311), 제 2 레프트파일(312), 제 3 레프트파일(313), 제 4 레프트파일(314)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레프트파일(311), 제 2 레프트파일(312), 제 3 레프트파일(313), 제 4 레프트파일(314)의 상단 높이가 상기 제 1 코너파일(11) 및 제 3 코너파일(13)의 상단 높이와 같을 수 있다.
제 1 코너파일(11), 복수개의 레프트파일 및 제 3 코너파일(13) 사이 사이에 레프트월(320)이 각각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프트월(320)은 복수개의 레프트파일 보다 1개 더 많이 배치되고,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 레프트월, 제 2 레프트월, 제 3 레프트월, 제 4 레프트월, 제 5 레프트월이라 한다.
상기 레프트월(320)의 구조는 상기 제 1 프론트월(120)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레프트월(32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넓게 형성된 레프트바디(322)와, 상기 레프트바디(322)의 일측(좌측) 가장자리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일단레프트홈(324)과, 상기 레프트바디(322)의 타측(우측) 가장자리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타단레프트홈(326)을 포함한다.
상기 라이트월어셈블리(400)는, 상기 제 2 코너파일(12) 및 제 4 코너파일(14)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파일(410)과, 상기 제 2 코너파일(12), 라이트파일(410) 및 제 4 코너파일(14)을 연결하는 라이트월(420)을 포함한다.
상기 라이트파일(410)은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파일(41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라이트파일바디와, 상기 라이트파일바디의 일측면(좌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일단라이트걸림부와, 상기 라이트파일바디의 타측면(우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타단라이트걸림부와, 상기 라이트파일바디의 내측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라이트바디홀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상기 라이트파일(410)을 제 1 라이트파일(411), 제 2 라이트파일(412), 제 3 라이트파일(413), 제 4 라이트파일(414)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라이트파일(411), 제 2 라이트파일(412), 제 3 라이트파일(413), 제 4 라이트파일(414)의 상단 높이가 상기 제 2 코너파일(12) 및 제 4 코너파일(14)의 상단 높이와 같을 수 있다.
제 2 코너파일(12), 복수개의 라이트파일 및 제 4 코너파일(14) 사이 사이에 라이트월(420)이 각각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라이트월(420)은 복수개의 라이트파일 보다 1개 더 많이 배치되고,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 라이트월, 제 2 라이트월, 제 3 라이트월, 제 4 라이트월, 제 5 라이트월이라 한다.
상기 라이트월(420)의 구조는 상기 제 1 프론트월(120)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라이트월(42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넓게 형성된 라이트바디(422)와, 상기 라이트바디(422)의 일측(좌측) 가장자리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일단라이트홈(424)과, 상기 라이트바디(422)의 타측(우측) 가장자리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타단라이트홈(426)을 포함한다.
상기 루프어셈블리(500)는, 상기 제 1 코너파일(11) 및 제 2 코너파일(12)에 조립되는 프론트루프프레임(510)과, 상기 제 3 코너파일(13) 및 제 4 코너파일(14)에 조립되는 리어루프프레임(520)과, 상기 레프트파일(310) 및 라이트파일(410)에 조립되는 미들루프프레임(530)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루프프레임(510)은, 하단이 상기 제 1 코너파일(11)의 제 1 코너바디홀에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단이 상기 제 2 코너파일(12) 측으로 절곡되는 제 1 프론트벤딩파이프(511)와, 하단이 상기 제 2 코너파일(12)의 제 2 코너바디홀에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단이 상기 제 1 코너파일(11) 측으로 절곡되는 제 2 프론트벤딩파이프(512)와, 상기 제 1 프론트벤딩파이프(511)의 상단에 조립되는 제 1 프론트슬로프파이프(513)와, 상기 제 2 프론트벤딩파이프(512)의 상단에 조립되는 제 2 프론트슬로프파이프(514)와, 상기 제 1 프론트슬로프파이프(513) 및 제 2 프론트슬로프파이프(514)를 연결하는 프론트커넥트파이프(515)를 포함한다.
상기 리어루프프레임(520)은, 하단이 상기 제 3 코너파일(13)의 제 3 코너바디홀에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단이 상기 제 4 코너파일(14) 측으로 절곡되는 제 1 리어벤딩파이프(521)와, 하단이 상기 제 4 코너파일(14)의 제 4 코너바디홀에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단이 상기 제 3 코너파일(13) 측으로 절곡되는 제 2 리어벤딩파이프(522)와, 상기 제 1 리어벤딩파이프(521)의 상단에 조립되는 제 1 리어슬로프파이프(523)와, 상기 제 2 리어벤딩파이프(522)의 상단에 조립되는 제 2 리어슬로프파이프(524)와, 상기 제 1 리어슬로프파이프(523) 및 제 2 리어슬로프파이프(524)를 연결하는 리어커넥트파이프(525)를 포함한다.
상기 미들루프프레임(530)은, 하단이 상기 레프트파일(310)의 레프트바디홀에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단이 상기 라이트파일(410) 측으로 절곡되는 제 1 미들벤딩파이프(531)와, 하단이 상기 라이트파일(410)의 라이프바디홀에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단이 상기 레프트파일(310) 측으로 절곡되는 제 2 미들벤딩파이프(532)와, 상기 제 1 미들벤딩파이프(531)의 상단에 조립되는 제 1 미들슬로프파이프(533)와, 상기 제 2 미들벤딩파이프(532)의 상단에 조립되는 제 2 미들슬로프파이프(534)와, 상기 제 1 미들슬로프파이프(533) 및 제 2 미들슬로프파이프(534)를 연결하는 미들커넥트파이프(535)를 포함한다.
상기 루프어셈블리(500)에 투명한 유리가 설치되거나 또는 태양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의 필름(550)을 통해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유리 또는 필름(550)이 상기 프론트루프프레임(510), 리어루프프레임(520) 및 미들루프프레임(53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루프어셈블리(500)를 커버하는 필름(550) 중 일부에 상측으로 개폐가능한 윈도우(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루프어셈블리(500)를 개폐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루프프레임(510) 및 프론트월어셈블리(100) 사이의 공간과, 상기 리어루프프레임(520) 및 리어월어셈블리(200) 사이의 공간도 유리 또는 필름을 통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필름(550)은 상기 루프어셈블리(500) 및 월어셈블리를 감싸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필름(550)은 상기 루프어셈블리(50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프론트월어셈블리(100), 리어월어셈블리(200), 레프트월어셈블리(300) 및 라이트월어셈블리(400)의 외측면을 감싸고, 지면에 매립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기 또는 외부의 물이 생육공간(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작업자는 개방된 출입구(190)를 통해 생육공간(1)으로 진입할 수 있고, 상기 출입구(190)에 개폐가능한 도어어셈블리(6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600)는 외부에서 상기 생육공간(1)으로 회전되는 미닫이 형태의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하매립형 온실은 지면(3)에서 상기 출입구(190)를 향해 진입로(180)가 배치된다. 상기 진입로(180)는 계단 또는 경사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작물의 이동 편의성을 위해 경사면(185)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85)의 전단이 높고, 후단이 낮게 배치되고, 상기 후단이 상기 생육공간(1)의 바닥(2)과 연결된다.
상기 출입구(190)를 지지하기 위해 입구어셈블리(150)가 더 배치된다.
상기 입구어셈블리(150)는, 상기 제 1 프론트파일(111)과 이격되어 전방에 배치되고, 지면에 매립되는 제 1 입구파일(151)과, 상기 제 2 프론트파일(112)과 이격되어 전방에 배치되고, 지면에 매립되는 제 2 입구파일(152)과, 상기 제 1 프론트파일(111) 및 제 1 입구파일(151)을 연결하는 제 1 입구월(160)과, 상기 제 2 프론트파일(112) 및 제 2 입구파일(152)을 연결하는 제 2 입구월(170)을 포함한다.
제 1 입구파일(151) 및 제 2 입구파일(152)은 프론트파일(110)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입구파일(151)의 상단이 상기 제 1 프론트파일(111)의 상단과 같은 높이로 지면에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입구파일(152)의 상단이 상기 제 2 프론트파일(112)의 상단과 같은 높이로 지면에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진입로(180)가 상기 제 1 입구월(160) 및 제 2 입구월(17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생육공간(1)의 바닥(2)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600)는, 상기 제 1 프론트파일(111) 또는 제 2 프론트파일(112)에 끼움결합되는 도어회전프레임(610)과, 상기 도어회전프레임(610)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도어패널(620)과, 상기 도어회전프레임(610)이 조립되지 않은 제 2 프론트파일(112) 또는 제 1 프론트파일(111)과 끼움결합되고, 회전되는 상기 도어패널(620)의 외측단을 지지하는 도어서포트프레임(630)과, 상기 도어회전프레임(610) 및 도어패널(6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회전프레임(610) 및 도어패널(620)의 상측을 가능하게 연결하는 어퍼경첩(640)과, 상기 도어회전프레임(610) 및 도어패널(6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회전프레임(610) 및 도어패널(620)의 하측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로어경첩(미도시)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회전프레임(610)이 제 2 프론트파일(112)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서포트프레임(630)이 상기 제 1 프론트파일(111)에 결합된다.
상기 도어회전프레임(610)은, 상기 제 2 프론트파일(112)의 일단프론트걸림부(114)가 삽입되고, 좌우 방향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회전프레임홈(614)와, 상기 어퍼경첩(640) 및 로어경첩이 설치되는 경첩설치면(615)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프레임홈(614) 및 경첩설치면(615)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회전프레임홈(614)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일단프론트걸림부(114)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경첩설치면(615)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패널(620)이 닫혔을 경우, 상기 경첩설치면(615) 전체가 도어패널(620)에 밀착되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도어패널(620)은 상기 제 1 프론트월(120) 및 제 2 프론트월(130)과 같은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패널(620)의 일측면(623, 본 실시예에서 좌측면)이 상기 도어서포트프레임(630)과 밀착되고, 타측면(624, 본 실시예에서 우측면)에 상기 어퍼경첩(640) 및 로어경첩이 설치되고, 상기 도어회전프레임(610)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타측면(624)이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타측면(624)의 후단이 좌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전단에 우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타측면(624)이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15도 내지 45도의 경사각(S)을 형성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30도의 경사각을 형성한다.
상기 타측면(624)의 경사각을 통해 상기 도어패널(620)이 닫힐 때, 상기 도어서포트프레임(630)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도어패널(620)은 상기 어퍼경첩(640)이 설치되는 어퍼설치홈(621)과, 상기 로어경첩이 설치되는 로어설치홈(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어퍼설치홈(621)의 좌우 두께가 상기 어퍼경첩의 두께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어퍼경첩(640)은 상기 도어패널(620)에 결합되는 제 1 어퍼경첩부(641)와, 상기 도어회전프레임(610)에 결합되는 제 2 어퍼경첩부(642)와, 상기 제 1 어퍼경첩부(641) 및 제 2 어퍼경첩부(642)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어퍼경첩축(643)을 포함한다.
상기 어퍼경첩축(643)이 생육공간(1)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도어패널(620)의 회전중심이 상기 생육공간(1)에 위치되어, 회전 시 상기 진입로(180)와의 간섭을 방지한다.
상기 도어서포트프레임(630)은 상기 제 1 프론트파일(111)의 타단프론트걸림부(115)가 삽입되고, 좌우 방향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서포트프레임홈(632)와, 상기 서포트프레임홈(632)의 반대면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패널(620)의 타측면(624)을 지지하는 서포트경사면(634)을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경사면(634)이 도어서포트프레임(6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경사각(S)으로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경사면(634)이 상기 생육공간(1)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서포트프레임홈(632)이 타단프론트걸림부(115)와 형합되는 형상이고, 상기 타단프론트걸림부(115)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어 좌우 방향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서포트경사면(634) 및 타측면(624)이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패널(620)이 닫힐 때,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밀착 시 기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하매립형 온실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정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매립형 온실은 지열에 가열 또는 냉각된 열매체를 루프어셈블리(500)를 경유하게 순환시켜 생육공간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에너지사용량을 저감하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매립형 온실은 열순환장치(700)가 더 배치된다.
상기 열순환장치(700)는 상기 레프트월어셈블리(300) 하측에 배치되어 지면에 매립되고, 내부에 열매체가 저장되는 제 1 탱크(710)와, 상기 라이트월어셈블리(400) 하측에 배치되어 지면에 매립되되고, 내부에 열매체가 저장되는 제 2 탱크(720)와, 상기 제 1 탱크(710) 내부에 배치되어 저장된 열매체를 상기 루프어셈블리(500)를 향해 토출하여 순환시키는 제 1 펌프(730)와,상기 제 2 탱크(720) 내부에 배치되어 저장된 열매체를 상기 루프어셈블리(500)를 향해 토출하여 순환시키는 제 2 펌프(74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탱크(710)가 상기 온실의 좌측 바닥(2) 하측에 매립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코너파일(11) 및 제 3 코너파일(13)을 커버하도록 길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탱크(720)가 상기 온실의 우측 바닥(2) 하측에 매립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 코너파일(12) 및 제 4 코너파일(14)을 커버하도록 길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열매체로 물이 사용되고, 상기 제 1 탱크(710) 및 제 2 탱크(720)에 저장된다.
상기 제 1 탱크(710) 및 제 2 탱크(720) 내부에 흙보다 비열이 높은 물이 저장되기 때문에, 외부기온이 급변하더라도 상기 바닥(2)의 온도를 보다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매립형 온실은 온도변화에 민감한 작물을 재배할 때, 외부기온의 급변에 따른 냉해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탱크(710) 및 제 2 탱크(720)는 지열을 전도받을 수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내부식성이 높고 열전도도가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펌프(730)가 상기 제 1 탱크(7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펌프(740)가 상기 제 2 탱크(72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펌프(730)는 상기 프론트루프프레임(510) 내부로 물을 토출하여 상기 제 2 탱크(720)로 유동시키고, 상기 제 2 펌프(740)는 상기 리어루프프레임(520) 내부로 물을 토출하여 상기 제 1 탱크(710) 내부로 물을 유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펌프(730)는 제 1 코너파일(11)의 제 1 코너바디홀로 물을 토출하여, 상기 제 1 프론트벤딩파이프(511), 제 1 프론트슬로프파이프(513), 프론트커넥트파이프(515), 제 2 프론트슬로프파이프(514) 및 제 2 프론트벤딩파이프(512) 및 제 2 코너파일(12)의 제 2 코너바디홀을 통해 상기 제 2 탱크(720)로 물을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론트루프프레임(510)이 외기에 노출되기 때문에, 겨울철의 경우, 지열의 온도보다 낮게 형성되고, 여름철의 경우 지열의 온도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펌프(730)가 지열과 열교환된 제 1 탱크(710)의 열매체를 상기 프론트루프레임(510)을 경유하도록 토출하기 때문에, 열매체의 유동과정에서 상기 제 1 프론트벤딩파이프(511), 제 1 프론트슬로프파이프(513), 프론트커넥트파이프(515), 제 2 프론트슬로프파이프(514) 및 제 2 프론트벤딩파이프(512)와 열교환되어 생육공간(1)의 열관리에 유리하도록 겨울철에는 히팅을 제공하고, 여름철에는 냉각을 제공한다.
한편, 제 2 펌프(740)는 제 2 탱크(720)의 열매체를 상기 리어루프어셈블리(520) 내부로 물을 토출하여 상기 제 1 탱크(720)로 유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펌프(740)는 제 4 코너파일(14)의 제 4 코너바디홀로 물을 토출하여, 상기 제 2 리어벤딩파이프(522), 제 2 리어슬로프파이프(524), 리어커넥트파이프(525), 제 1 리어슬로프파이프(523) 및 제 1 리어벤딩파이프(521) 및 제 3 코너파일(13)의 제 3 코너바디홀을 통해 상기 제 1 탱크(710)로 물을 유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펌프를 통한 열매체의 누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각 코너파일의 코너바디홀에 각각의 코너바디파이프가 배치되고, 상기 코너바디파이프가 해당 벤딩파이프와 나사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코너바디홀에 제 1 코너바디파이프(735)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코너바디파이프(735)가 상기 제 1 프론트벤딩파이프(511) 및 제 1 펌프(730)에 결합되어 토출되는 열매체를 안내한다.
제 2 코너바디홀에 제 2 코너바디파이프(745)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코너바디파이프(745)의 상단이 상기 제 2 프론트벤딩파이프(512)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제 2 탱크(720) 내부에 위치된다.
제 3 코너바디홀에 제 3 코너바디파이프(미도시)가 배치되고, 상기 제 3 코너바디파이프의 상단이 상기 제 1 리어벤딩파이프(521)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제 1 탱크(710) 내부에 위치된다.
제 4 코너바디홀에 제 4 코너바디파이프(미도시)가 배치되고, 상기 제 4 코너바디파이프의 상단이 상기 제 2 리어벤딩파이프(522)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제 2 펌프(740)에 결합되어 토출되는 열매체를 안내한다.
상기 제 1 펌프(730)가 제 1 탱크(710)의 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펌프(740)가 제 2 탱크(720)의 후방 측에 배치되어 물을 유동시키기 때문에, 제 1 탱크(710) 및 제 2 탱크(720)에 저장된 열매체를 효과적으로 대류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펌프(730)가 상기 제 1 탱크(710)의 물을 상기 제 2 탱크(720)로 유동시키고, 상기 제 2 펌프(740)가 상기 제 2 탱크(720)의 물을 상기 제 1 탱크(710)로 유동시키기 때문에, 제 1 탱크(710) 및 제 2 탱크(720)에 저장된 열매체의 열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펌프(730)에서 제 2 탱크(720)로 펌핑된 열매체가 제 2 펌프(740)의 작동에 의해 제 2 탱크(720)의 후방으로 유동되고, 상기 제 2 펌프(740)에서 제 1 탱크(710)로 펌핑된 열매체가 제 1 펌프(730)의 작동에 의해 제 1 탱크(710)의 전방으로 유동되어 순환되기 때문에, 제 1 탱크(710) 및 제 2 탱크(720)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더라도 각 탱크의 전방 및 후방의 열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탱크(710) 및 제 2 탱크(720)의 열매체 수위를 균등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탱크(710) 및 제 2 탱크(720)의 하단을 연결하는 균형배관(750)과, 상기 균형배관(750)에 배치되는 개폐밸브(7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탱크(710) 및 제 2 탱크(720)가 소정시간 이상 작동되는 경우, 제 1 탱크(710) 및 제 2 탱크(720) 중 어느 한쪽에 더 많은 열매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폐밸브(760)를 소정시간 마다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상기 제 1 탱크(710) 및 제 2 탱크(720)에 저장된 열매체의 양을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탱크(710) 내부에 제 1 수위센서(715)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탱크(720) 내부에 제 2 수위센서(725)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탱크(710) 또는 제 2 탱크(720)에 저장된 물이 부족할 경우, 상기 제 1 프론트벤딩파이프(511) 또는 제 2 프론트벤딩파이프(512) 중 어느 하나를 분리하고, 코너파일의 코너바디홀(18)을 통해 물을 보충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이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코너파일 11 : 제 1 코너파일
12 : 제 2 코너파일 13 : 제 3 코너파일
14 : 제 4 코너파일 15 : 코너바디
16 : 일측코너걸림부 17 : 타측코너걸림부
18 : 코너바디홀 100 : 프론트월어셈블리
200 : 리어월어셈블리 300 : 레프트월어셈블리
400 : 라이트월어셈블리 500 : 루프어셈블리
600 : 도어어셈블리

Claims (9)

  1. 생육공간(1)의 바닥(2)이 지면(3) 보다 낮게 배치되는 지하매립형 온실에 있어서,
    작물이 재배되는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월어셈블리(1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월어셈블리(2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레프트월어셈블리(3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라이트월어셈블리(400); 및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 리어월어셈블리(200), 레프트월어셈블리(300) 및 라이트월어셈블리(400)의 상측에 조립되어 상기 생육공간(1)의 상측을 커버하는 루프어셈블리(50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 리어월어셈블리(200), 레프트월어셈블리(300) 및 라이트월어셈블리(400) 모두가 지면에 적어도 일부 매립되어 토사를 지지하는, 지하매립형 온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육공간의 전방 좌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 1 코너파일(11);
    상기 생육공간의 전방 우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 2 코너파일(12);
    상기 생육공간의 후방 좌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 3 코너파일(13);
    상기 생육공간의 후방 우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 4 코너파일(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는,
    상기 제 1 코너파일(11) 및 제 2 코너파일(12)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프론트파일(110)과, 상기 프론트파일(110) 및 제 1 코너파일(11)을 연결하는 제 1 프론트월(120)과, 상기 프론트파일(110) 및 제 2 코너파일(12)을 연결하는 제 2 프론트월(130)을 포함하는 지하매립형 온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어월어셈블리(200)는,
    상기 제 3 코너파일(13) 및 제 4 코너파일(14)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리어파일(210);
    상기 제 3 코너파일(13), 리어파일(210) 및 제 4 코너파일(14)을 연결하는 리어월(220);을 포함하는 지하매립형 온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프트월어셈블리(300)는, 상기 제 1 코너파일(11) 및 제 3 코너파일(13)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레프트파일(310)과, 상기 제 1 코너파일(11), 레프트파일(310) 및 제 3 코너파일(13)을 연결하는 레프트월(320)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월어셈블리(400)는, 상기 제 2 코너파일(12) 및 제 4 코너파일(14)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파일(410)과, 상기 제 2 코너파일(12), 라이트파일(410) 및 제 4 코너파일(14)을 연결하는 라이트월(420)을 포함하는 지하매립형 온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루프어셈블리(500)는,
    상기 제 1 코너파일(11) 및 제 2 코너파일(12)에 조립되는 프론트루프프레임(510);
    상기 제 3 코너파일(13) 및 제 4 코너파일(14)에 조립되는 리어루프프레임(520);
    상기 레프트파일(310) 및 라이트파일(410)에 조립되는 미들루프프레임(530);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루프프레임(510)은,
    하단이 상기 제 1 코너파일(11)의 제 1 코너바디홀에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단이 상기 제 2 코너파일(12) 측으로 절곡되는 제 1 프론트벤딩파이프(511);
    하단이 상기 제 2 코너파일(12)의 제 2 코너바디홀에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단이 상기 제 1 코너파일(11) 측으로 절곡되는 제 2 프론트벤딩파이프(512);
    상기 제 1 프론트벤딩파이프(511)의 상단에 조립되는 제 1 프론트슬로프파이프(513);
    상기 제 2 프론트벤딩파이프(512)의 상단에 조립되는 제 2 프론트슬로프파이프(514);
    상기 제 1 프론트슬로프파이프(513) 및 제 2 프론트슬로프파이프(514)를 연결하는 프론트커넥트파이프(515);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루프프레임(520)은,
    하단이 상기 제 3 코너파일(13)의 제 3 코너바디홀에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단이 상기 제 4 코너파일(14) 측으로 절곡되는 제 1 리어벤딩파이프(521);
    하단이 상기 제 4 코너파일(14)의 제 4 코너바디홀에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단이 상기 제 3 코너파일(13) 측으로 절곡되는 제 2 리어벤딩파이프(522);
    상기 제 1 리어벤딩파이프(521)의 상단에 조립되는 제 1 리어슬로프파이프(523);
    상기 제 2 리어벤딩파이프(522)의 상단에 조립되는 제 2 리어슬로프파이프(524);
    상기 제 1 리어슬로프파이프(523) 및 제 2 리어슬로프파이프(524)를 연결하는 리어커넥트파이프(525);를 포함하는 지하매립형 온실.
  6. 생육공간(1)의 바닥(2)이 지면(3) 보다 낮게 배치되는 지하매립형 온실에 있어서,
    작물이 재배되는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월어셈블리(1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월어셈블리(2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레프트월어셈블리(3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라이트월어셈블리(400);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 리어월어셈블리(200), 레프트월어셈블리(300) 및 라이트월어셈블리(400)의 상측에 조립되어 상기 생육공간(1)의 상측을 커버하는 루프어셈블리(500); 및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생육공간(1)으로 진입가능한 출입구(190);를 포함하는 지하매립형 온실.
  7. 생육공간(1)의 바닥(2)이 지면(3) 보다 낮게 배치되는 지하매립형 온실에 있어서,
    작물이 재배되는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월어셈블리(1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월어셈블리(2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레프트월어셈블리(3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라이트월어셈블리(400);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 리어월어셈블리(200), 레프트월어셈블리(300) 및 라이트월어셈블리(400)의 상측에 조립되어 상기 생육공간(1)의 상측을 커버하는 루프어셈블리(500); 및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생육공간(1)으로 진입가능한 출입구(19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 리어월어셈블리(200), 레프트월어셈블리(300) 및 라이트월어셈블리(400) 중에서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 레프트월어셈블리(300) 및 라이트월어셈블리(400)가 지면에 적어도 일부 매립되어 토사를 지지하는, 지하매립형 온실.
  8. 생육공간(1)의 바닥(2)이 지면(3) 보다 낮게 배치되는 지하매립형 온실에 있어서,
    작물이 재배되는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월어셈블리(1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월어셈블리(2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레프트월어셈블리(3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라이트월어셈블리(400);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 리어월어셈블리(200), 레프트월어셈블리(300) 및 라이트월어셈블리(400)의 상측에 조립되어 상기 생육공간(1)의 상측을 커버하는 루프어셈블리(500); 및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생육공간(1)으로 진입가능한 출입구(19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 리어월어셈블리(200), 레프트월어셈블리(300) 및 라이트월어셈블리(400) 중에서 상기 리어월어셈블리(200), 레프트월어셈블리(300) 및 라이트월어셈블리(400)가 지면에 적어도 일부 매립되어 토사를 지지하는, 지하매립형 온실.
  9. 생육공간(1)의 바닥(2)이 지면(3) 보다 낮게 배치되는 지하매립형 온실에 있어서,
    작물이 재배되는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월어셈블리(1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월어셈블리(2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레프트월어셈블리(300);
    상기 생육공간(1)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라이트월어셈블리(400);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 리어월어셈블리(200), 레프트월어셈블리(300) 및 라이트월어셈블리(400)의 상측에 조립되어 상기 생육공간(1)의 상측을 커버하는 루프어셈블리(500);
    상기 프론트월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생육공간(1)으로 진입가능한 출입구(190); 및
    상기 출입구(190)에 개폐가능하게 배치된 도어어셈블리(600);를 포함하는, 지하매립형 온실.
KR1020230103471A 2022-11-25 2023-08-08 지하매립형 온실 KR202301245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156 2022-11-25
KR20220160156 2022-11-25
KR1020220161283 2022-11-28
KR20220161283 2022-11-28
KR1020220162370A KR102566351B1 (ko) 2022-11-25 2022-11-29 지하매립형 온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2370A Division KR102566351B1 (ko) 2022-11-25 2022-11-29 지하매립형 온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513A true KR20230124513A (ko) 2023-08-25

Family

ID=8756582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2370A KR102566351B1 (ko) 2022-11-25 2022-11-29 지하매립형 온실
KR1020230103469A KR20230124512A (ko) 2022-11-25 2023-08-08 지하매립형 온실
KR1020230103471A KR20230124513A (ko) 2022-11-25 2023-08-08 지하매립형 온실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2370A KR102566351B1 (ko) 2022-11-25 2022-11-29 지하매립형 온실
KR1020230103469A KR20230124512A (ko) 2022-11-25 2023-08-08 지하매립형 온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663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522B1 (ko) * 2023-11-29 2024-03-05 두영엔시스 주식회사 필름 외피를 갖는 온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400B1 (ko) 2013-05-16 2015-01-06 홍경택 다목적 온실 돔
KR20150008547A (ko) 2013-07-15 2015-01-23 주식회사 에코히팅시스템즈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저탄소 친환경 온실용 난방 장치
KR101646831B1 (ko) 2014-05-28 2016-08-09 송기세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615A (ko) * 2003-09-09 2005-03-15 솔로몬테크(주) 아파트 베란다용 조립식 온실
JP4686631B1 (ja) * 2009-12-15 2011-05-25 伊坪ビジネス株式会社 農産物生産建屋構造
KR101061465B1 (ko) * 2011-05-19 2011-09-05 최하정 농업용 친환경 온실구조물
KR102177537B1 (ko) * 2018-12-10 2020-11-11 대한민국 조립식 온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400B1 (ko) 2013-05-16 2015-01-06 홍경택 다목적 온실 돔
KR20150008547A (ko) 2013-07-15 2015-01-23 주식회사 에코히팅시스템즈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저탄소 친환경 온실용 난방 장치
KR101646831B1 (ko) 2014-05-28 2016-08-09 송기세 지하온실의 작물 이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512A (ko) 2023-08-25
KR102566351B1 (ko) 202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24512A (ko) 지하매립형 온실
EP2338327A1 (en) Water curtain cultivation system capable of geological circulation of groundwater and artificial recharge of rainwater
US4237863A (en) Solar heating system
JP5991632B2 (ja) 地中蓄熱式暖冷房装置
CN207063350U (zh) 屋顶窗户和斜屋顶结构
JP2010068748A (ja) 地中熱交換式温度管理装置
USRE31321E (en) Solar heating system
KR100836353B1 (ko) 워터커튼의 지하수 순환시스템
US8408199B1 (en) Solar reflector, collecting window and heat storage
US4258697A (en) Pneumatic collection, storage and transfer of solar heat
KR100557460B1 (ko)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
JP5830211B2 (ja) 温室用栽培システム
US9249989B2 (en) Solar radiator
EP3248454B1 (fr) Dispositif et procédé de régulation thermique pour serre agricole
JP3203197U (ja) 簡易型ハウス
KR20190039482A (ko) 실내 정화용 태양광가열장치가 구비된 축사용 시설물
KR102618645B1 (ko) 식물 재배 시스템
KR102296899B1 (ko) 에너지 절감 온실
CN112314266A (zh) 配备多段通风结构的塑料大棚
RU2207752C1 (ru) Теплица
KR102616195B1 (ko) 온실 시스템
KR102615469B1 (ko) 벽면녹화용 플랜터 및 이를 구비하는 벽면녹화 장치
KR102509461B1 (ko)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
KR101909992B1 (ko) 태양광 집광 패널의 설치구조
KR102217384B1 (ko) 실내 정화용 태양광가열장치가 구비된 축사용 시설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