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461B1 -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461B1
KR102509461B1 KR1020200154024A KR20200154024A KR102509461B1 KR 102509461 B1 KR102509461 B1 KR 102509461B1 KR 1020200154024 A KR1020200154024 A KR 1020200154024A KR 20200154024 A KR20200154024 A KR 20200154024A KR 102509461 B1 KR102509461 B1 KR 102509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storage
duct
heating
green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1280A (ko
Inventor
박윤철
고광수
장재철
김종우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61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3Collecting 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1/00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 F24D11/002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water heating system
    • F24D11/003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water heating system combined with 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5/00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D15/04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2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4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Abstract

본 발명은 온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매가 유동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상기 온실과 연결되어 상기 온실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덕트, 상기 공기덕트와 상기 온실을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공기덕트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난방덕트, 상기 공기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덕트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으며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1 열교환부가 배치되어 있는 축열덕트, 외기열원이 유동할 수 있고 상기 축열덕트와 연결되어 있는 외기열원 덕트,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2 열교환부와 연결되어 있고 축열수가 저장될 수 있는 축열부 및 상기 온실에 배치되어 상기 축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축열수가 유동할 수 있는 난방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Energy Saving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실은 작물을 재배하고 바람, 비와 같은 자연 환경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한다. 이에 온실은 작물을 재배함에 있어 가장 생산적인 부분 중 하나이며 야외 재배 작물보다 10 ~ 20배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온실에서 작물의 생산성은 기후보다 열 효율에 따라 달라진다. 이에 겨울철에 온실의 내부 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난로 또는 온풍기를 설치하여 공기를 데우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유류를 사용하는 난로 또는 온풍기는 고유가로 인한 유지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농가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청정 에너지원인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온실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화석 연료 사용량을 줄이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7407호 (2013.05.2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6006호 (2019.10.18.)
본 발명은 태양일사가 있는 시간대에 온실의 상부 잉여열을 히트펌프 시스템을 이용하여 축열한 후 온실의 난방시간대에는 축열한 열을 먼저 이용하고, 축열한 열량이 모자라는 경우 외기 열원을 이용하여 온실의 난방을 실시할 수 있는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는 온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냉매가 유동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상기 온실과 연결되어 상기 온실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덕트, 상기 공기덕트와 상기 온실을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공기덕트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난방덕트, 상기 공기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덕트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으며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1 열교환부가 배치되어 있는 축열덕트, 외기열원이 유동할 수 있고 상기 축열덕트와 연결되어 있는 외기열원 덕트,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2 열교환부와 연결되어 있고 축열수가 저장될 수 있는 축열부 및 상기 온실에 배치되어 상기 축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축열수가 유동할 수 있는 난방 열교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는 상기 공기덕트와 상기 축열덕트의 사이에 배치된 제1 댐퍼, 상기 공기덕트와 상기 난방덕트의 사이에 배치된 제2 댐퍼 및 상기 축열덕트와 상기 외기열원 덕트의 사이에 배치된 제3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실의 공기가 상기 공기덕트와 상기 축열덕트를 유동하여 상기 제1 열교환부에서 냉매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제1 댐퍼는 열리고 상기 제2 댐퍼와 제3 댐퍼는 닫히며 상기 냉매는 상기 공기와 열교환으로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제2 열교환부에서 상기 축열수와 열교환할 수 있다.
상기 온실의 공기가 상기 공기덕트에서 상기 난방덕트로 유동하여 상기 난방 열교환부에서 상기 축열수와 열교환하여 온도가 상승하도록 상기 제2 댐퍼는 열리고 상기 제1 댐퍼와 상기 제3 댐퍼는 닫힐 수 있다.
상기 축열부는 상기 축열수가 저장될 수 있는 축열조, 일단과 타단이 상기 축열조와 연결되어 상기 축열수가 순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열교환부를 경유하며 축열펌프가 배치되어 있는 축열라인 및 일단이 상기 축열조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축열라인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난방 열교환부를 경유하며 난방펌프가 배치되어 있는 난방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열부는 상기 축열라인에 배치되어 있는 축열 삼방밸브, 상기 축열 삼방밸브와 상기 난방라인을 연결하는 직수라인, 상기 난방라인에 배치되어 있는 난방 삼방밸브 및 상기 난방 삼방밸브와 상기 축열조를 연결하는 순환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열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축열 삼방밸브는 상기 제2 열교환부에서 열교환으로 온도가 상승한 상기 축열수가 상기 축열조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직수라인을 통해 상기 난방 열교환부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는 상기 공기덕트에 배치된 필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실의 상부 잉여열의 온도가 높음으로 인해서 히트펌프 시스템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매는 제1 열교환부에서 잉여열 또는 외기열원과 열교환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다양한 열원을 사용함으로써 온실의 난방에너지 소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가 잉여열을 이용하여 히트펌프 시스템 축열운전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1의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가 축열수로 온실 난방운전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1의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가 외기열원을 이용하여 히트펌프 시스템 축열운전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1의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가 외기열원을 이용하여 온실 직수 난방운전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는 히트펌프 시스템(1), 공기덕트(2), 난방덕트(3), 축열덕트(4), 외기열원 덕트(5), 축열부(6) 및 난방 열교환부(7)를 포함하며 태양일사가 있는 시간대에 온실의 상부 잉여열을 히트펌프 시스템을 이용하여 축열한 후 온실의 난방시간대에는 축열된 열을 먼저 이용하고, 축열된 열량이 모자라는 경우 외기열원을 이용하여 온실의 난방할 수 있다.
온실은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덮인 비닐 하우스일 수 있다. 그러나 온실은 폴리에틸렌 필름 대신 폴리카보네이트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온실은 재배하는 작물을 자연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온실(H)의 온도는 입사되는 태양 에너지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태양 에너지가 입사되는 시간대에는 온실의 내부 온도가 높아서 잉여열이 발생한다.
히트펌프 시스템(1)은 압축기(11), 사방밸브(12), 어큐뮬레이터(13), 제1 열교환부(14), 제2 열교환부(15)를 포함하며 냉매가 순환할 수 있다. 냉매는 제1 열교환부(14)를 유동할 때 온도가 높아질 수 있고 제2 열교환부(15)를 유동할 때에는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제2 열교환부(15)의 내부는 일측과 타측으로 구획되어 일측은 냉매가 유동하고 타측은 축열수가 유동할 수 있다. 여기서 히트펌프 시스템(1)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구성의 히트펌프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기덕트(2)는 일단이 온실(H)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다. 공기덕트(2)의 내부에는 필터부재(22)가 배치되어 있다. 온실(H)의 내부 상단부에 형성된 잉여열(이하, 공기라 함)은 공기덕트(2)로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덕트(2)의 타단에는 제1 댐퍼(21)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댐퍼(21)는 공기덕트(2)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댐퍼(21)는 공지의 전동댐퍼 구성을 포함한다.
난방덕트(3)는 일단이 공기덕트(2)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온실(H)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다. 난방덕트(3)의 일단에는 제1 댐퍼(21)와 동일한 제2 댐퍼(31)가 배치되어 있다. 제2 댐퍼(31)는 공기덕트(2)를 유동하는 공기가 난방덕트(3)로 유동하는 것을 제어한다.
축열덕트(4)는 공기덕트(2)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열교환부(14)가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축열덕트(4)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1 열교환부(14)에서 냉매와 열교환할 수 있다.
외기열원 덕트(5)는 축열덕트(4)와 연결되어 있으며 외기열원이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다. 외기열원 덕트(5)에는 제1 댐퍼(21)와 동일한 제3 댐퍼(51)가 배치되어 있다. 제3 댐퍼(51)는 외기열원 덕트(5)를 유동하는 공기가 축열덕트(4)로 유동하는 것을 제어한다.
축열부(6)는 축열조(61), 축열라인(62) 및 난방라인(63)을 포함한다. 축열부(6)는 축열 삼방밸브(622), 직수라인(65), 난방 삼방밸브(632) 및 순환라인(6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축열조(61)는 축열수가 저장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조(611, 612, 613)를 포함한다. 축열조(61)의 개수를 3개로 하였으나 축열조(61)의 개수는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조(611, 612, 613)의 내부에는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에는 단열재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조(611, 612, 613)의 상부에는 안전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조(611, 612, 613)는 축열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조(611)의 상단과 제2 조(612)의 하단이 연결되고 제2 조(612)의 상단과 제3 조(613)의 하단이 연결되어 있다.
축열라인(62)은 제2 열교환부(15)를 경유하며 일단이 제1 조(611)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제1 조(611)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다. 축열라인(62)의 일단과 제2 열교환부(15)의 사이에는 축열펌프(621)가 배치되어 있다. 축열라인(62)의 타단과 제2 열교환부(15)의 사이에는 축열 삼방밸브(622)가 배치되어 있다. 축열펌프(621)의 구동으로 제1 조(611)의 축열수는 축열라인(62)을 유동하여 제2 열교환부(15)에서 냉매와 열교환한 후 제1 조(61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난방 열교환부(7)는 난방덕트(3)와 온실(H)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난방 열교환부(7)는 휀을 포함한다.
난방라인(63)은 난방 열교환부(7)를 경유하며 일단이 제3 조(613)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축열라인(62)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다. 난방라인(63)의 일단과 난방 열교환부(7)의 사이에는 난방펌프(631)가 배치되어 있다. 난방펌프(631)의 작동으로 축열조(61)의 축열수는 난방라인(63)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난방라인(63)의 타단과 난방 열교환부(7)의 사이에는 난방 삼방밸브(632)가 배치되어 있다. 제3 조(613)의 축열수는 난방펌프(631)의 구동으로 난방라인(63)을 유동하면서 난방 열교환부(7)를 경유하며 축열라인(62)의 일단으로 유입되어 제2 열교환부(15)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난방라인(63)에서 축열라인(62)으로 유입된 축열수가 제1 조(6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축열라인(62)의 일단에는 체크밸브(623)가 배치되어 있다.
직수라인(65)은 일단이 축열 삼방밸브(622)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난방라인(63)과 연결되어 있다. 축열조(61)의 축열수 온도가 설정온도의 범위를 초과하면 축열 삼방밸브(622)는 제2 열교환부(15)를 경유하면서 온도가 상승한 축열수가 직수라인(65)으로 유동하도록 제어한다. 축열수의 설정온도의 범위는 40℃ 내지 50℃일 수 있다. 축열수 설정온도는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의 설계 및 온실(H)의 설치 지역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축열수는 직수라인(65)을 통해 난방라인(63)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축열수는 축열펌프(621)의 작동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직수라인(65)을 통해 난방라인(63)으로 유입된 축열수가 난방라인(63)의 일단을 통해 축열조(6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난방펌프(631)와 직수라인(65)의 사이의 난방라인(63) 부분에는 체크밸브(633)가 배치되어 있다.
순환라인(64)은 복수로 이루어져 일단이 난방 삼방밸브(632)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제1 내지 제3 조(611, 612, 613)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다. 난방 삼방밸브(632)의 작동에 따라 난방 열교환부(7)를 경유한 축열수는 축열라인(62)으로 유동하거나 순환라인(64)을 통해 제1 내지 제3 조(611, 612, 613)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복수의 순환라인(64)에는 축열수의 유동을 제어하는 조절밸브(641)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는 태양일사가 있는 시간대에 온실의 상부 잉여열을 이용하여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축열수를 축열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축열운전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축열수를 축열한 후 온실의 난방시간대에 축열수에 축열된 열을 이용하여 온실 난방운전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외기열원을 이용하여 히트펌프 시스템 축열운전을 할 수도 있다.
[잉여열을 이용하여 히트펌프 시스템 축열운전]
도면 도 2를 참고하면, 태양일사로 온실(H)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잉여열이 발생하면 잉여열을 축열하기 위하여 제1 댐퍼(21)를 개방하고 제2 댐퍼(31)와 제3 댐퍼(51)를 닫는다.
히트펌프 시스템(1)을 구동하여 냉매가 순환하도록 한다. 냉매는 압축기, 사방밸브, 제2 열교환부(15), 제1 열교환부(14)를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축열펌프(621)의 구동으로 축열조(61)의 축열수는 축열라인(62)을 통해 제2 열교환부(15)를 유동한다.
제1 열교환부(14)의 휀 구동으로 온실(H)의 잉여열(이하, 공기라 함)은 공기덕트(2)를 유동할 수 있다. 공기는 필터부재(22)를 통과하면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 수분 따위가 필터링될 수 있다. 공기는 제1 댐퍼(21)를 통해 축열덕트(4)를 유동하여 제1 열교환부(14)를 통과할 수 있다. 공기와 냉매는 제1 열교환부(14)에서 열교환하며 냉매의 온도는 상승할 수 있다. 냉매는 압축기, 사방밸브, 제2 열교환부(15)를 유동할 수 있다. 제1 열교환부(14)를 통과한 공기는 축열덕트(4)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냉매와 축열수는 제2 열교환부(15)에서 열교환하며 축열수의 온도는 상승할 수 있으며 냉매의 온도는 하강할 수 있다. 축열수는 축열라인(62), 축열 삼방밸브(622)를 경유하여 축열조(61)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축열조(61)의 축열수는 순환라인(64), 난방 삼방밸브(632)를 통해 축열라인(62)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에 축열조(61)들의 축열수는 전체적으로 순환하여 온실(H)의 잉여열이 히트펌프 시스템(1)을 통해 축열조(61)에 축열될 수 있다.
잉여열이 히트펌프 시스템(1)을 통해 축열부(6)에 축열된 상태에서 온실(H)의 난방이 필요하면 축열수 온실 난방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
[축열수로 온실 난방운전]
도면 도 3을 참고하면, 온실(H)의 난방이 필요한 경우 제1 댐퍼(21)는 닫히고 제2 댐퍼(31)는 개방된다. 난방 열교환부(7)의 휀 구동으로 온실(H)의 공기는 공기덕트(2), 난방덕트(3)를 유동하여 온실(H)로 순환할 수 있다. 그리고 난방펌프(631)의 구동으로 축열조(61)의 축열수는 난방라인(63)을 유동하여 난방 열교환부(7)를 경유한다. 축열수는 난방 열교환부(7)에서 공기와 열교환하며 공기의 온도는 상승할 수 있다. 온도가 상승한 공기가 온실(H)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온실(H)의 내부는 난방이 이루어진다.
난방 열교환부(7)에서 열교환으로 온도가 하강한 축열수는 난방라인(63), 난방 삼방밸브(632), 축열펌프(621), 제2 열교환부(15), 축열 삼방밸브(622)를 경유하여 축열조(61)로 유입된다.
축열수와 공기의 열교환으로 축열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으로 하강하면 외기열원을 이용하여 축열수의 온도를 높이는 히트펌프 시스템 축열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
[외기열원을 이용하여 히트펌프 시스템 축열운전]
도면 도 4를 참고하면, 외기열원으로 히트펌프 시스템 축열운전을 실시하는 경우 제1 댐퍼(21)는 닫히고 제2 댐퍼(31)와 제3 댐퍼(51)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온실(H)의 공기는 난방 열교환부(7)의 휀 구동으로 공기덕트(2), 난방덕트(3)를 유동하여 온실(H)로 순환할 수 있다. 그리고 축열수는 난방펌프(631)의 구동으로 난방라인(63)을 따라 유동하여 난방 열교환부(7)를 경유하여 난방 삼방밸브(632), 제2 열교환부(15)를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히트펌프 시스템(1)의 구동으로 냉매는 압축기, 사방밸브, 제2 열교환부(15), 제1 열교환부(14)를 순환할 수 있다.
한편, 제3 댐퍼(51)의 개방으로 외기열원이 축열덕트(4)로 유입되어 유동하면서 제1 열교환부(14)를 경유할 수 있다. 이때 제1 열교환부(14)에서 외기열원과 냉매는 열교환하며 냉매의 온도는 상승할 수 있다. 냉매는 제2 열교환부(15)에서 축열수와 열교환할 수 있다. 온도가 상승한 축열수는 축열조(61)를 경유하여 난방 열교환부(7)가 배치된 난방라인(63)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에 잉여열에 의해 축열된 축열수의 온도가 낮아진 경우 외기열원을 이용하여 축열수의 온도를 높이므로 온실(H)의 난방은 계속 진행될 수 있다.
외기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 축열운전 중 축열수의 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외기열원을 이용하여 온실 직수 난방운전을 할 수 있다.
[외기열원을 이용하여 온실 직수 난방운전]
도면 도 5를 참고하면, 외기열원을 이용하여 히트펌프 시스템 축열운전으로 축열수의 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면 축열 삼방밸브(622)는 제2 열교환부(15)에서 냉매와 열교환한 축열수가 직수라인(65)으로 유동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축열수는 축열조(61)를 경유하지 않으므로 직수가 된다. 직수라인(65)을 유동한 직수는 난방라인(63)을 통해 난방 열교환부(7)를 경유하여 온실(H)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난방 열교환부(7)를 경유한 직수는 난방 삼방밸브(632), 축열펌프(621) 및 제2 열교환부(15)를 유동하면서 다시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직수 난방운전을 통하여 히트펌프 운전에 따른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축열조(61)의 축열수 온도가 설정온도를 유지하면 축열조(61)에 저장된 축열수를 이용하여 다시 온실 난방운전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히트펌프 시스템(1)의 냉매는 제1 열교환부(14)에서 잉여열 또는 외기열원과 열교환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다양한 열원을 사용함으로써 온실의 난방에너지 소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H: 온실 1: 히트펌프 시스템
11: 압축기 12: 사방밸브
13: 어큐뮬레이터 14: 제1 열교환부
15: 제2 열교환부 2: 공기덕트
21: 제1 댐퍼 22: 필터부재
3: 난방덕트 31: 제2 댐퍼
4: 축열덕트 5: 외기열원 덕트
51: 제3 댐퍼 6: 축열부
61: 축열조 611: 제1 조
612: 제2 조 613: 제3 조
62: 축열라인 621: 축열펌프
622: 축열 삼방밸브 623, 633: 체크밸브
63: 난방라인 631: 난방펌프
632: 난방 삼방밸브 64: 순환라인
641: 조절밸브 65: 직수라인
7: 난방 열교환부

Claims (7)

  1. 온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냉매가 유동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상기 온실과 연결되어 상기 온실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덕트,
    상기 공기덕트와 상기 온실을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공기덕트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난방덕트,
    상기 공기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덕트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으며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1 열교환부가 배치되어 있는 축열덕트,
    외기열원이 유동할 수 있고 상기 축열덕트와 연결되어 있는 외기열원 덕트,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2 열교환부와 연결되어 있고 축열수가 저장될 수 있는 축열부,
    상기 온실에 배치되어 상기 축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축열수가 유동할 수 있는 난방 열교환부,
    상기 공기덕트와 상기 축열덕트의 사이에 배치된 제1 댐퍼,
    상기 공기덕트와 상기 난방덕트의 사이에 배치된 제2 댐퍼 및
    상기 축열덕트와 상기 외기열원 덕트의 사이에 배치된 제3 댐퍼
    를 포함하며,
    상기 온실의 공기가 상기 공기덕트와 상기 축열덕트를 유동하여 상기 제1 열교환부에서 냉매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제1 댐퍼는 열리고 상기 제2 댐퍼와 제3 댐퍼는 닫히며 상기 냉매는 상기 공기와 열교환으로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제2 열교환부에서 상기 축열수와 열교환하는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온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냉매가 유동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상기 온실과 연결되어 상기 온실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덕트,
    상기 공기덕트와 상기 온실을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공기덕트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난방덕트,
    상기 공기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덕트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으며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1 열교환부가 배치되어 있는 축열덕트,
    외기열원이 유동할 수 있고 상기 축열덕트와 연결되어 있는 외기열원 덕트,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2 열교환부와 연결되어 있고 축열수가 저장될 수 있는 축열부,
    상기 온실에 배치되어 상기 축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축열수가 유동할 수 있는 난방 열교환부,
    상기 공기덕트와 상기 축열덕트의 사이에 배치된 제1 댐퍼,
    상기 공기덕트와 상기 난방덕트의 사이에 배치된 제2 댐퍼 및
    상기 축열덕트와 상기 외기열원 덕트의 사이에 배치된 제3 댐퍼
    를 포함하며,
    상기 온실의 공기가 상기 공기덕트에서 상기 난방덕트로 유동하여 상기 난방 열교환부에서 상기 축열수와 열교환하여 온도가 상승하도록 상기 제2 댐퍼는 열리고 상기 제1 댐퍼와 상기 제3 댐퍼는 닫히는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축열부는
    상기 축열수가 저장될 수 있는 축열조,
    일단과 타단이 상기 축열조와 연결되어 상기 축열수가 순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열교환부를 경유하며 축열펌프가 배치되어 있는 축열라인 및
    일단이 상기 축열조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축열라인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난방 열교환부를 경유하며 난방펌프가 배치되어 있는 난방라인
    을 포함하는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
  6. 온실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냉매가 유동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상기 온실과 연결되어 상기 온실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덕트,
    상기 공기덕트와 상기 온실을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공기덕트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난방덕트,
    상기 공기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덕트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으며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1 열교환부가 배치되어 있는 축열덕트,
    외기열원이 유동할 수 있고 상기 축열덕트와 연결되어 있는 외기열원 덕트,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제2 열교환부와 연결되어 있고 축열수가 저장될 수 있는 축열부 및
    상기 온실에 배치되어 상기 축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축열수가 유동할 수 있는 난방 열교환부
    를 포함하며,
    상기 축열부는
    상기 축열수가 저장될 수 있는 축열조,
    일단과 타단이 상기 축열조와 연결되어 상기 축열수가 순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열교환부를 경유하며 축열펌프가 배치되어 있는 축열라인,
    일단이 상기 축열조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축열라인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난방 열교환부를 경유하며 난방펌프가 배치되어 있는 난방라인,
    상기 축열라인에 배치되어 있는 축열 삼방밸브,
    상기 축열 삼방밸브와 상기 난방라인을 연결하는 직수라인,
    상기 난방라인에 배치되어 있는 난방 삼방밸브 및
    상기 난방 삼방밸브와 상기 축열조를 연결하는 순환라인
    을 포함하며,
    상기 축열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축열 삼방밸브는 상기 제2 열교환부에서 열교환으로 온도가 상승한 상기 축열수가 상기 축열조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직수라인을 통해 상기 난방 열교환부를 유동하도록 하는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공기덕트에 배치된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
KR1020200154024A 2019-11-18 2020-11-17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 KR102509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47893 2019-11-18
KR1020190147893 2019-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280A KR20210061280A (ko) 2021-05-27
KR102509461B1 true KR102509461B1 (ko) 2023-03-14

Family

ID=7613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024A KR102509461B1 (ko) 2019-11-18 2020-11-17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461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407B1 (ko) 2011-03-07 2013-05-30 박삼식 천장 높이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절감형 이중 비닐하우스
KR101479685B1 (ko) * 2012-08-31 2015-01-07 대한민국 축열식 온실 난방시스템
KR20140147385A (ko) * 2013-06-19 2014-12-30 주식회사 디앤에스 온실용 히트펌프시스템의 온실 열회수 기능 및 열원공급용 공조기
KR101856190B1 (ko) * 2016-06-17 2018-05-1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닐하우스용 난방 시스템
KR102036006B1 (ko) 2018-06-30 2019-10-24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식물공장용 에너지 절감형 히트펌프 항온항습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280A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7732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environment in a greenhouse
KR101479685B1 (ko) 축열식 온실 난방시스템
KR101478204B1 (ko) 태양열시스템을 이용한 유리온실
CN201319779Y (zh) 地源温室大棚热冷调节装置
CN103314838B (zh) 蓄热-供热系统及其在水耕栽培上的应用
KR102008223B1 (ko) 태양열 구조물의 축열 보온수단을 가지는 비닐하우스
KR20100067156A (ko) 온실용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식 열교환 시스템
KR100934094B1 (ko) 온실용 공기온도 조절장치
Yang et al. Heating and cooling system for utilization of surplus air thermal energy in greenhouse and its control logic
KR101856190B1 (ko) 비닐하우스용 난방 시스템
KR20070008194A (ko) 비닐하우스용 냉난방장치
KR102509461B1 (ko)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
KR102277557B1 (ko) 수열 에너지를 이용한 스마트 팜용 축열식 냉난방 시스템
KR20190125729A (ko) 발열 필름 및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비닐하우스
CN111771811A (zh) 一种水产养殖设施及其水体加热蓄热方法
CN105104021A (zh) 一种用于设施栽培的太阳能增温系统
CN205747535U (zh) 一种光伏农业暖棚增温补光集成系统
JP2008220217A (ja) 温室の加温システム
CN203692073U (zh) 全天候温室小棚空调系统
KR20120063100A (ko) 무가온 온실시스템
Garzoli Energy efficient greenhouses
CN104855174A (zh) 温度自适应调节的智能温室系统
JP5848424B2 (ja) 植物栽培用ハウスの冷暖房装置
KR102456638B1 (ko) 시설하우스용 다단변온 농업용 냉난방 기기
KR200344749Y1 (ko) 온실 내의 열교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