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463A -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463A
KR20230124463A KR1020220131365A KR20220131365A KR20230124463A KR 20230124463 A KR20230124463 A KR 20230124463A KR 1020220131365 A KR1020220131365 A KR 1020220131365A KR 20220131365 A KR20220131365 A KR 20220131365A KR 20230124463 A KR20230124463 A KR 20230124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environment
indoor
information
control devi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5688B1 (ko
Inventor
윤창식
Original Assignee
(주)제이제이시스템즈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제이시스템즈컴퍼니 filed Critical (주)제이제이시스템즈컴퍼니
Priority to KR1020220131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688B1/ko
Publication of KR20230124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6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1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 A61B5/1176Recognition of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건물 내 복수의 실내공간들의 실내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은, 상기 실내공간에 출입하는 출입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기등록된 출입자만 상기 실내공간으로의 출입을 허용하는 도어락 장치와, 각 실내공간 내에 배치되어 실내환경을 조절하는 실내환경 제어기기와, 실시간으로 측정된 생체정보, 유효 출입자의 인적정보, 및 외부환경정보를 기초로 실내환경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실내공간들 각각에 설정된 실내환경정보에 부합되도록 상기 실내환경 제어기기를 원격에서 자동으로 제어하는 통합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환경 제어기기는, 상기 실내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시간대별로 상기 실내공간의 조명 밝기를 제어하는 전등장치와, 상기 실내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실내 온습도를 제어하는 온습도 제어장치와, 상기 실내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실내공간으로 외부공기의 유출입을 제어하는 환기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INTEGRATED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활환경이 도시화되고 대기질이 나빠짐에 따라 현대인들은 실외보다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현대인들의 생활환경은 과거에 비해 도시지역, 시내 중심지역과 같이 사람과 자동차들이 집중되는 지역에 위치하게 되었고, 이러한 지역에서는 공기질 악화에 따른 피해가 농경지역에 비해 더욱 심하게 발생되고 있다. 공기질의 악화는 발암, 폐질환, 알레르기 및 피로감 등 각종 질병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도심 지역의 현대인들은 실외보다 실내에서 생활하는 방식을 더욱 선호하고 있다.
한편, 4차 산업 발달이 가속화되면서 인간 생활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신기술 중에는 온습도 제어기술, 공기정화기술 등 안락한 실내환경을 위한 기술이 있다. 하지만, 기기발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감각만으로 냉난방기기들을 개별적으로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실내환경을 구성하는 실내환경 제어기기를 통합적으로 자동제어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실내환경을 운영하는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 내 복수의 실내공간들의 실내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은, 상기 실내공간에 출입하는 출입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기등록된 유효 출입자만 상기 실내공간으로의 출입을 허용하는 도어락 장치와, 각 실내공간 내에 배치되어 실내환경을 조절하는 실내환경 제어기기와, 실시간으로 측정된 생체정보, 유효 출입자의 인적정보, 및 외부환경정보를 기초로 실내환경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실내공간들 각각에 설정된 실내환경정보에 부합되도록 상기 실내환경 제어기기를 원격에서 자동으로 제어하는 통합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환경 제어기기는, 상기 실내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시간대별로 상기 실내공간의 조명 밝기를 제어하는 전등장치와, 상기 실내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실내 온습도를 제어하는 온습도 제어장치와, 상기 실내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실내공간으로 외부공기의 유출입을 제어하는 환기장치와, 상기 실내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전등장치, 상기 온습도 제어장치, 및 상기 환기장치 각각에 대해 상기 출입자에게 수동 제어기능을 제공하는 실내환경 제어스위치와, 상기 통합제어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실내환경정보를 수신하는 실내환경 통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출입자의 지문인식정보, 홍채인식정보, 및 안면인식정보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제1 생체정보와, 상기 출입자의 체온, 혈압, 및 맥박에 관한 제2 생체정보를 동시에 측정하고, 상기 제1 생체정보를 기초로 유효 출입자 여부를 판단하는 출입인증모듈과, 상기 통합 제어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출입인증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제2 생체정보를 제공하는 도어락 통신모듈과, 상기 출입인증모듈에 의해 판단된 유효 출입자를 위해 출입문을 개방하는 출입문 개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제어장치는, 상기 유효 출입자의 인적정보를 기초로 실내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유효 출입자의 상기 제2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건강상태를 판단하며, 판단된 현재 건강상태와 상기 외부환경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된 실내환경정보를 수정하고, 상기 출입인증모듈이 지문인식모듈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출입자가 손가락을 상기 출입인증모듈 상에 위치시킬 때 지문을 스캔하고, 동시에 상기 출입자의 손가락, 손바닥, 손등, 및 손목 중 어느 하나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체온, 혈압, 및 맥박을 측정하며, 상기 출입인증모듈이 홍채인식모듈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출입자가 홍채를 상기 출입인증모듈 앞에 위치시킬 때 상기 홍채를 스캔하고, 이와 동시에 출입자의 안면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체온, 혈압, 및 맥박을 측정하며, 상기 출입인증모듈이 안면인식모듈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출입자가 안면인증모듈 앞에 위치할 때 안면을 스캔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출입자의 안면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체온, 혈압, 및 맥박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에 따르면, 실내공간에 출입하는 출입자의 생체정보를 판단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실내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자동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여 적절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환경 통합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환경 제어기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적 부분을 의미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환경 통합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환경 제어기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10)은 통합제어장치(100), 실내환경 제어기기(200), 및 도어락 장치(300)를 포함한다.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10)은 건물 내 복수의 실내공간들의 온도, 습도, 조명 등의 실내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며, 특히 실내공간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건강상태, 인적사항, 외부환경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사용자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통합제어장치(100)는 건물 내 일정한 위치에서 각 실내공간의 실내환경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기로서, 건물 내 관리실이나 설비실 등에 위치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건물 외부에 별도의 관리시설에 위치하여 건물 내 각 실내환경을 제어할 수도 있다.
통합제어장치(100)는 건물 내 복수의 실내공간마다 개별적으로 실내환경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데, 여기서 실내환경정보는 실내공간에 출입하는 출입자의 생체정보, 유효한 출입자의 인적정보, 및 외부환경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설정된 정보를 의미한다. 따라서, 각 실내공간에 출입하는 출입자가 상이한 경우, 실내공간마다 설정되는 실내환경정보는 서로 다르게 설정된다.
통합제어장치(100)는 실내환경정보를 생성하는 통합 제어모듈(110), 실내환경 제어기기(200) 및 도어락 장치(300)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시모듈(120), 및 유효 출입자의 인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130)을 포함한다.
통합 제어모듈(110)은 각 실내공간에 출입하는 출입자들을 위한 맞춤형 실내환경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도어락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출입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출입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고려하고, 출입자에 대해 미리 저장된 기본 인적정보와 외부환경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된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통합 제어모듈(110)은 출입자의 인적정보를 기초로 실내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생체정보를 기초로 판단된 출입자의 건강상태와 외부환경정보를 고려하여 실내환경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환경정보는 통신부가 인터넷 포털 사이트, 기상청 서버 등으로부터 수신한 야외날씨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제1 실내공간에 출입이 허용된 제1 출입자의 인적정보는 저장모듈(1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인적정보에는 제1 출입자가 65세 여성으로서 추위를 싫어하고, 감기 등 질병에 쉽게 걸리며, 오전 7시부터 오후 11시까지 활동하는 것을 선호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통합 제어모듈(110)은 상기 인적정보를 기초로 제1 실내공간에서 오전 7시부터 오후 11시까지 자동으로 조명이 발광되도록 제어하고, 오후 11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까지는 자동으로 조명이 꺼지도록 제어하고, 제1 실내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기준온도 및 기준습도보다 일정량 높게 제어할 수 있고, 제1 실내공간에 출입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외기와의 환기가 진행되도록 실내환경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제어모듈(110)은 제1 출입자의 현재 건강상태와 외부환경정보를 분석하여 인적정보를 기초로 설정된 실내환경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만약, 제1 출입자의 체온, 혈압, 맥박 등이 정상상태가 아닌 경우,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정상상태를 돕기 위한 방향으로 조명, 온습도, 환기 등을 제어하기 위해 실내환경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모듈(110)은 기본적으로 외부환경과 실내환경이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차이가 벌이지지 않도록 실내환경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합 제어모듈(110)은 출입자의 인적정보를 기초로 실내환경정보를 생성한 후, 출입자의 생체정보와 외부환경정보를 기초로 실내환경정보를 수정하고, 수정된 실내환경정보에 따라 각 실내공간의 실내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실내환경 제어기기(200)는 각 실내공간 내에 배치되어 실내환경을 제어하는 전등장치(210), 온습도 제어장치(220), 환기장치(230), 실내환경 제어스위치(240), 및 실내환경 통신장치(250)를 포함한다.
전등장치(210)는 실내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시간대별로 상기 실내 공간의 조명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등장치(210)는 통합제어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실내환경정보를 기초로 조명의 밝기와 점등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온습도 제어장치(220)는 실내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실내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할 수 있다.
환기장치(230)는 실내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실내 공간으로 외부공기의 유출입을 제어할 수 있으며, 환기장치(230)는 창문, 환기구 개폐, 환풍기 동작 제어 등 일련의 환기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실내환경 제어스위치(240)는 실내 공간 내에 배치되어 전등장치(210), 온습도 제어장치(220), 및 환기장치(230) 각각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실내환경 제어기기(200)는 통합제어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실내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제어되지만, 출입자도 직접 실내환경 제어기기(200)를 제어하여 실내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실내환경 제어기기(200)는 통합제어장치(100)로부터 실내환경정보를 수신하더라도 실내환경 제어스위치(240)에 의한 제어를 우선적으로 실행한다.
실내환경 통신장치(250)는 통합제어장치(100)와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실내환경정보를 수신하여, 실내환경 제어기기(200)의 각 구성에 실내환경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내환경 제어기기(200)의 각 구성은 자체 통시모듈(120)을 구비하여 통합제어기기와 직접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어락 장치(300)는 실내공간에 출입하는 출입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기등록된 출입자만 상기 실내공간으로의 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 도어락 장치(300)는 출입인증모듈(310), 출입문 개폐모듈(320), 및 도어락 통시모듈(120)로 구성되며, 각 실내공간의 출입문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출입인증모듈(310)은 출입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기등록된 출입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정보는 출입자의 지문인식정보, 홍채인식정보, 및 안면인식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제1 생체정보와, 출입자의 체온, 혈압, 및 맥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2 생체정보를 포함하며, 제1 생체정보는 유효 출입자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되고, 제2 생체정보는 실내환경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통합 제어장치에 제공된다.
출입인증모듈(310)은 제1 생체정보와 제2 생체정보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출입인증모듈(310)이 지문인식모듈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출입자가 손가락을 출입인증모듈(310) 상에 위치시킬때 지문을 스캔하고, 이와 동시에 출입자의 손가락, 손바닥, 손등, 손목 중 어느 하나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체온, 맥박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출입인증모듈(310)이 홍채인식모듈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출입자가 홍채를 출입인증모듈(310) 앞에 위치할 때 홍채를 스캔하고, 이와 동시에 출입자의 안면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체온, 맥박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출입인증모듈(310)이 안면인식모듈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출입자가 안면인증모듈 앞에 위치할 때 안면을 스캔하고, 이와 동시에 출입자의 안면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체온, 맥박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출입인증모듈(310)에 의해 유효 출입자로 판단된 경우, 출입문 개폐모듈(320)은 유효출입자를 위해 출입문을 개방시킬 수 있다.
도어락 통신모듈(330)은 통합 제어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출입인증모듈(310)에서 측정된 제2 생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합제어장치(100)는 건물 내 제1 실내공간(ID1)과 제2 실내공간(ID2)의 실내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며, 제1 실내공간(ID1)과 제2 실내공간(ID2) 각각에는 실내환경 제어기기(200)가 배치되어 통합제어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실내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실내환경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출입자들(HM1 및 HM2)은 제1 및 제2 실내공간들(ID1 및 ID2)에 진입하기 위해 제1 및 제2 도어락 장치들(300a 및 300b)에서 출입자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도어락 장치(300a)는 제1 출입자(HM1)에 대한 제1 생체정보와 제2 생체정보를 동시에 측정하고, 제1 생체정보를 기초로 유효 출입자 여부를 판단하고, 제2 생체정보를 통합제어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도어락 장치(300a)도 제2 출입자(HM2)에 대한 제1 생체정보와 제2 생체정보를 동시에 측정하고, 제1 생체정보를 기초로 유효 출입자 여부를 판단하고, 제2 생체정보를 통합제어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통합제어장치(100)는 제1 및 제2 도어락 장치들(300a 및 300b)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생체정보를 기초로 제1 및 제2 실내공간들(ID1 및 ID2)을 위한 실내환경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통합제어장치(100)는 1차적으로 제1 및 제2 출입자들(HM1 및 HM2)의 인적정보를 기초로 실내환경정보를 생성한 후, 제1 및 제2 출입자들(HM1 및 HM2) 각각의 생체정보와 외부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실내환경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제1 출입자(HM1)와 제2 출입자(HM2)가 동일인이라면 인정정보는 동일한 정보가 이용될 수 있지만, 생체정보와 외부환경정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동일인이라도 실시간으로 측정된 생체정보와 외부환경정보에 따라 실내환경정보가 달라질 수 있어, 실내공간에 들어갈때마다 통합제어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실내환경정보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장치(300)가 출입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한 후, 출입자의 건강이상, 예컨대 고열, 발열 등이 발견된다면, 통합제어장치(100)는 환기구를 차단하여 연결된 덕트(PI)를 통해 다른 실내공간에 병균이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10: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
100: 통합제어장치
110: 통합 제어모듈
120: 통신모듈
130: 저장모듈
200: 실내환경 제어기기
210: 전등장치
220: 온습도 제어장치
230: 환기장치
240: 실내환경 제어스위치
250: 실내환경 통신장치
300: 도어락 장치
310: 출입인증모듈
320: 출입문 개폐모듈
330: 도어락 통신모듈

Claims (1)

  1. 건물 내 복수의 실내공간들의 실내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간에 출입하는 출입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기등록된 유효 출입자만 상기 실내공간으로의 출입을 허용하는 도어락 장치;
    각 실내공간 내에 배치되어 실내환경을 조절하는 실내환경 제어기기; 및
    실시간으로 측정된 생체정보, 유효 출입자의 인적정보, 및 외부환경정보를 기초로 실내환경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실내공간들 각각에 설정된 실내환경정보에 부합되도록 상기 실내환경 제어기기를 원격에서 자동으로 제어하는 통합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환경 제어기기는,
    상기 실내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시간대별로 상기 실내공간의 조명 밝기를 제어하는 전등장치;
    상기 실내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실내 온습도를 제어하는 온습도 제어장치; 및
    상기 실내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실내공간으로 외부공기의 유출입을 제어하는 환기장치;
    상기 실내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전등장치, 상기 온습도 제어장치, 및 상기 환기장치 각각에 대해 상기 출입자에게 수동 제어기능을 제공하는 실내환경 제어스위치; 및
    상기 통합제어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실내환경정보를 수신하는 실내환경 통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출입자의 지문인식정보, 홍채인식정보, 및 안면인식정보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제1 생체정보와, 상기 출입자의 체온, 혈압, 및 맥박에 관한 제2 생체정보를 동시에 측정하고, 상기 제1 생체정보를 기초로 유효 출입자 여부를 판단하는 출입인증모듈;
    상기 통합 제어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출입인증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제2 생체정보를 제공하는 도어락 통신모듈; 및
    상기 출입인증모듈에 의해 판단된 유효 출입자를 위해 출입문을 개방하는 출입문 개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제어장치는, 상기 유효 출입자의 인적정보를 기초로 실내환경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유효 출입자의 상기 제2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건강상태를 판단하며, 판단된 현재 건강상태와 상기 외부환경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된 실내환경정보를 수정하고,
    상기 출입인증모듈이 지문인식모듈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출입자가 손가락을 상기 출입인증모듈 상에 위치시킬 때 지문을 스캔하고, 동시에 상기 출입자의 손가락, 손바닥, 손등, 및 손목 중 어느 하나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체온, 혈압, 및 맥박을 측정하며,
    상기 출입인증모듈이 홍채인식모듈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출입자가 홍채를 상기 출입인증모듈 앞에 위치시킬 때 상기 홍채를 스캔하고, 이와 동시에 출입자의 안면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체온, 혈압, 및 맥박을 측정하며,
    상기 출입인증모듈이 안면인식모듈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출입자가 안면인증모듈 앞에 위치할 때 안면을 스캔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출입자의 안면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체온, 혈압, 및 맥박을 측정하는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
KR1020220131365A 2022-02-18 2022-10-13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 KR102585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365A KR102585688B1 (ko) 2022-02-18 2022-10-13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192A KR102456871B1 (ko) 2022-02-18 2022-02-18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
KR1020220131365A KR102585688B1 (ko) 2022-02-18 2022-10-13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192A Division KR102456871B1 (ko) 2022-02-18 2022-02-18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463A true KR20230124463A (ko) 2023-08-25
KR102585688B1 KR102585688B1 (ko) 2023-10-06

Family

ID=838050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192A KR102456871B1 (ko) 2022-02-18 2022-02-18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
KR1020220131365A KR102585688B1 (ko) 2022-02-18 2022-10-13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192A KR102456871B1 (ko) 2022-02-18 2022-02-18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568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6795A (ko) * 2009-12-28 2011-07-0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를 이용한 실내 환경 자동 제어 시스템
KR20170022819A (ko) * 2015-08-21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80105956A (ko) * 2017-03-16 2018-10-01 주식회사 지알아이티 환경 데이터와 건강 데이터를 이용한 공간 환경 제어 시스템
KR20190135833A (ko) * 2018-05-29 2019-12-09 주식회사 완판고 고정식 생체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14620A (ko) * 2020-07-29 2022-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6795A (ko) * 2009-12-28 2011-07-0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를 이용한 실내 환경 자동 제어 시스템
KR20170022819A (ko) * 2015-08-21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80105956A (ko) * 2017-03-16 2018-10-01 주식회사 지알아이티 환경 데이터와 건강 데이터를 이용한 공간 환경 제어 시스템
KR20190135833A (ko) * 2018-05-29 2019-12-09 주식회사 완판고 고정식 생체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14620A (ko) * 2020-07-29 2022-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688B1 (ko) 2023-10-06
KR102456871B1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9330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infection control in a building
US20210390807A1 (en) Occupant health monitoring for buildings
US9580274B2 (en)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elevator systems and building systems
US10789820B1 (en) Appearance based access verification
US20160334121A1 (en) Environment control system, control device, program
JP5848674B2 (ja) 空調制御支援装置、空調制御支援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118441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ing in an office environment
KR20210152082A (ko) 인공지능 게이트형 살균 장치 시스템
US20230104820A1 (en) Self-Contained, Portable, Sanitization Device and Telemedicine Station
CN113543424A (zh) 一种教室照明方法
CN111913393B (zh) 一种智能家居系统
KR102585688B1 (ko) 실내환경 통합제어시스템
US20220093241A1 (en) Correlating interaction effectiveness to contact time using smart floor tiles
CN113050439A (zh) 自学习智能家居控制方法、控制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273556B (zh) 家居控制方法、装置和门锁
KR20240052909A (ko) 실내등 제어시스템
CN107023951A (zh) 通过人脸识别控制空调的方法和系统
JPH01299972A (ja) 入退室管理方式
JPH04131643A (ja) 総合環境創出システム
KR101258605B1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지능형 빌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136006A (ja) 調光制御装置
JP2018011730A (ja) 空気調和装置
JP7127347B2 (ja) 環境制御システム及び環境制御装置
JP2021188854A (ja) 環境制御システム
CN112015215A (zh) 一种智慧教室自动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