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327A -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327A
KR20230124327A KR1020220021497A KR20220021497A KR20230124327A KR 20230124327 A KR20230124327 A KR 20230124327A KR 1020220021497 A KR1020220021497 A KR 1020220021497A KR 20220021497 A KR20220021497 A KR 20220021497A KR 20230124327 A KR20230124327 A KR 20230124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amount
information
monitoring
e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진우
김상진
Original Assignee
(주)자몽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몽컴퍼니 filed Critical (주)자몽컴퍼니
Priority to KR1020220021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4327A/ko
Publication of KR20230124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30Administration of product recycling or dispo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은,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자의 적정 배출량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적정 배출량을 상기 배출자가 배출한 폐기물의 현장 계근량 및 배출 신고량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는 단계, 폐기물 처리업체에서 수집된 영상정보에 근거하여, 미계근 차량에 대한 차량 제원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차량 제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계근 차량이 운송한 폐기물에 대한 미계근량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미계근량을 이용하여 상기 폐기물 처리 업체의 처리인수량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추정된 미계근량을 이용하여 상기 폐기물 처리 업체의 현장 보관량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WASTE DISCHARGE AND DISPOSAL}
본 발명은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폐기물”이란 쓰레기, 연소재(燃燒滓), 오니(汚泥), 폐유(廢油), 폐산(廢酸), 폐알칼리 및 동물의 사체(死體) 등으로서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활동에 필요하지 않게 된 물질을 의미한다(「폐기물관리법」 제2조제1호). 폐기물은 발생원 및 성질에 따라 사업장폐기물, 지정폐기물 및 생활폐기물로 분류된다.
사업장폐기물 중 하나인 "건설폐기물"은, 건설공사로 인한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5톤 이상의 폐기물(공사를 시작할 때부터 완료할 때까지 발생하는 것만 해당함)로서 폐콘크리트, 폐아스팔트콘크리트, 폐벽돌, 폐블록, 폐기와, 폐목재, 폐합성수지, 폐섬우, 폐벽지 등 다양한 폐기물이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건설폐기물은 그 양이 방대하므로 그 처리를 위한 엄격한 기준과 방법이 요구되고, 이에 따라 방대한 양의 건설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배출자는 건설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드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폐기물의 배출자는 폐기물의 배출량을 허위로 작성하거나, 폐기물 운반자와 모의하여 폐기물을 지정된 처리 장소가 아닌 장소에 불법 투기(또는 매립)가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94597에서는, 차량의 GPS, 계근장치, 환경감지 센서, CCTV 카메라를 통해 운송화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출발전에 입력한 각각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변화 정도를 판단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운송화물 관리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출발전에 입력한 각각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변화 정도를 판단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고, 폐기물 배출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폐기물 배출 및 처리를 모니터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배출자와 관련하여 누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정된 배출량과 실제 배출된 배출량을 비교하여 누락 또는 허위 등 이상 행위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현장에서 수집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운반 또는 처리 업체의 이상 행위를 검출하기 위한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상 행위가 검출되는 경우, 해당 운반 또는 처리 업체와 관련된 차량의 정보를 기반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이다.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은,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자의 적정 배출량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적정 배출량을 상기 배출자가 배출한 폐기물의 현장 계근량 및 배출 신고량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는 단계, 폐기물 처리업체에서 수집된 영상정보에 근거하여, 미계근 차량에 대한 차량 제원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차량 제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계근 차량이 운송한 폐기물에 대한 미계근량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미계근량을 이용하여 상기 폐기물 처리 업체의 처리인수량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추정된 미계근량을 이용하여 상기 폐기물 처리 업체의 현장 보관량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배출자와 관련된 시스템 데이터에 기반하여, 공통되는 데이터 속성에 따른 복수의 불법 패턴을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불법 패턴 중 상기 배출자에 대응되는 특정 불법 패턴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특정 불법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배출자와 관련된 보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추정된 적정 배출량, 상기 배출자가 배출한 폐기물의 현장 계근량 및 배출 신고량을 입력 데이터로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이상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상 점수를 기반으로 이상 행위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이상 행위 발생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배출자를 의심 배출자로 분류하고, 상기 배출자와 관련된 차량의 이동 경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폐기물 처리 업체의 시설 규격 허용 보관량 정보와 상기 배출자와 관련된 시스템 데이터에 기반한 상기 폐기물 처리 업체의 이월 보관량 정보 간의 비교에 근거하여, 상기 현장 보관량 정보가 모니터링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폐기물 처리 업체에 대한 시스템 데이터에 근거하여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폐기물 처리 업체에 대한 이월 보관량 정보를 추정하고, 상기 폐기물 처리 업체에 대한 현장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추정된 이월 보관량 정보가 보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폐기물 처리업체의 시설 규격 허용 보관량 정보와 상기 보정된 이월 보관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허용 보관량의 초과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는,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이상 행위 발생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폐기물 처리업체를 불법 의심 업체로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불법 의심 업체와 거래하는 거래 업체 및 거래 강도를 시각화하여 다이어그램 도는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을 저장한 저장부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자의 적정 배출량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적정 배출량을 상기 배출자가 배출한 폐기물의 현장 계근량 및 배출 신고량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며, 폐기물 처리업체에서 수집된 영상정보에 근거하여, 미계근 차량에 대한 차량 제원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차량 제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계근 차량이 운송한 폐기물에 대한 미계근량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미계근량을 이용하여 상기 폐기물 처리업체와 관련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출자의 적정 배출량을 추정하고, 추정된 적정 배출량을 배출자가 실제 배출한 배출량 정보와 비교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폐기물 처리업체에서 수집된 영상정보에 근거하여, 미계근 차량에 대한 차량 제원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량 제원 정보를 이용하여 미계근 차량이 운송한 폐기물에 대한 미계근량을 추정하여 폐기물의 처리 업체의 처리 인수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검출된 차량 제원 정보를 이용하여 미계근 차량이 운송한 폐기물에 대한 미계근량을 추정하여 폐기물의 처리 업체의 현장 보관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불법 폐기물 투기 매립 행위가 의심되는 이상 행위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상 행위가 검출되는 경우 해당 폐기물 배출자 및 처리 업체에 대한 모니터링 수행함으로써, 불법 폐기물 투기 매립 행위를 감시하고 폐기물의 운반자 또는 처리자의 불법 폐기물 투기 매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인계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a 및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이 배출자별 적정 배출량을 추정하고 그에 따른 이상 행위 발생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및 6c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이 처리인수량 신고 누락 및 허위 신고를 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 및 7c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이 허용 보관량 초과 여부에 따라 이상 행위 발생을 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및 8c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이 불법 의심 업체간 거래 관계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100)은, 폐기물 배출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폐기물의 배출량, 인수량, 보관량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100)은 모니터링 시스템(100)과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폐기물”이란 쓰레기, 연소재(燃燒滓), 오니(汚泥), 폐유(廢油), 폐산(廢酸), 폐알칼리 및 동물의 사체(死體) 등으로서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활동에 필요하지 않게 된 물질을 의미한다(「폐기물관리법」 제2조제1호). 폐기물은 발생원 및 성질에 따라 사업장폐기물, 지정폐기물 및 생활폐기물로 분류된다.
사업장폐기물 중 하나인 "건설폐기물"은, 건설공사로 인한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5톤 이상의 폐기물(공사를 시작할 때부터 완료할 때까지 발생하는 것만 해당함)로서 폐콘크리트, 폐아스팔트콘크리트, 폐벽돌, 폐블록, 폐기와, 폐목재, 폐합성수지, 폐섬우, 폐벽지 등 다양한 폐기물이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사업장 폐기물은 많은 양이 배출되므로 그 처리를 위한 엄격한 기준과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사업장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자는, 사업장 폐기물(예를 들어, 건설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발생될 수 있다.
관련 법규에 따르면,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사업장폐기물을 배출ㆍ운반 또는 처리하는 자는 그 폐기물을 배출ㆍ운반 또는 처리할 때마다 폐기물의 인계ㆍ인수에 관한 내용을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제45조 제2항에 따른 전자정보처리프로그램에 입력하여야 한다(폐기물관리법 제18조 제3항 (사업장폐기물의 처리))”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사업장폐기물을 배출, 운반 및 처리하는 자는 관련 내용을 전자정보처리프로그램(예를 들어, 올바로시스템)에 입력해야 한다. 폐기물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정보처리프로그램인 올바로시스템은, 폐기물의 배출에서부터 운반ㆍ최종처리까지의 전 과정을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투명하게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폐기물의 발생억제(폐기물 감량), 재활용(순환골재유통정보), 적정처리(적법처리, RFID시스템)을 통한 폐기물의 전 생애적 관리를 하나로 통합한 IT기반 폐기물 종합관리 시스템이다.
이하에서는 폐기물을 배출하는 자는 배출자로, 운반하는 자는 운반자로, 처리하는 자는 처리자로 명명하도록 한다. 또한, 폐기물이 배출되는 지역(또는 영역 또는 지점)은 배출지, 폐기물이 처리되는 지역(또는 영역 또는 지점)은 처리지로 명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전자정보처리프로그램(예를 들어, 올바로시스템)을 통해 폐기물을 배출, 운반 및 처리하기 위한 일반적인 프로세스를 설명하도록 한다.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자(또는 배출 업체, 310)는, 폐기물을 배출하는 경우, 폐기물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정보처리프로그램(이하, '올바로시스템'으로 명명함)을 이용하여 폐기물의 인계서를 작성할 수 있다(도 4 참조).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자(310)에 의해 작성된 인계서는, 올바로시스템의 DB 서버(2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배출자(310)에 의해 배출된 폐기물은, 운반자(또는 운반 업체, 320)에 의해 배출지에서 처리지로 운반될 수 있다. 운반자(320)는 폐기물을 인수하였음을 올바로시스템을 통해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운반자(320)의 인수 등록 데이터는 폐기물을 올바로시스템의 DB 서버(2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운반자(320)에 의해 처리지까지 운반된 폐기물은, 처리자(또는 처리 업체, 330)에게 인수될 수 있다. 이 경우, 운반자(320)는 올바로시스템을 통해 폐기물의 인계를 등록하고, 처리자(330)는 올바로시스템을 통해 폐기물의 인수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운반자(320) 및 처리자(330)의 인계 및 인수 등록 데이터는 올바로시스템의 DB 서버(2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폐기물의 배출자에 의해 작성되는 인계서(또는 전자 인계서)란, 폐기물의 배출자가 신고한 사업장폐기물 배출신고 DB를 활용하여 인터넷으로 폐기물 발생 및 배출내역 등록한 문서로서, 올바로시스템을 통해 전자 문서로 작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인계서에는 폐기물의 종류, 폐기물의 위탁량, 운반자 정보, 차량번호, 처리자 정보, 처리 방법, 처리 장소, 인계일자 및 인계자 성명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계서'는, 폐기물의 배출자에 의해 작성된 인계서를 지칭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인계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a 및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이 배출자별 적정 배출량을 추정하고 그에 따른 이상 행위 발생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및 6c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이 처리인수량 신고 누락 및 허위 신고를 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 및 7c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이 허용 보관량 초과 여부에 따라 이상 행위 발생을 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및 8c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이 불법 의심 업체간 거래 관계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100, 이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명명함)은, 서버로부터 배출된 폐기물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폐기물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정보처리프로그램(예를 들어, 올바로시스템)의 서버, 웹 사이트의 서버, 공공기관 서버, 관공서 서버 등 폐기물의 배출 및 처리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또는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서버(예를 들어, 올바로 시스템의 DB 서버)로부터 폐기물 배출자와 관련된 누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자와 관련된 누적 데이터는, 배출자와 관련된 업체 정보(운반 업체 또는 처리 업체), 과거 배출 횟수, 배출량, 운반량, 보관량, 처리량 등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폐기물을 배출한 배출자와 관련하여 누적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다른 예로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서버(예를 들어, 올바로 시스템의 DB 서버)로부터 폐기물 배출자에 의해 작성된 인계서(또는 전자 인계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계서란, 배출자가 신고한 사업장폐기물 배출신고 DB를 활용하여 인터넷으로 폐기물 발생 및 배출내역 등록한 문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수신된 인계서 데이터로부터 배출된 폐기물의 배출지 정보, 처리지 정보, 운반자(또는 운반 업체) 정보, 폐기물을 운반하기 위한 차량 정보, 폐기물의 배출량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인계서에서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배출자의 배출량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서버(예를 들어, 올바로시스템의 DB 서버 또는 관공서 서버)로부터 폐기물 불법 투기 매립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기물 불법 투기 매립과 관련된 정보는, 과거 폐기물 불법 투기 매립 이력이 있는 지역 정보, 폐기물 불법 투기 매립 신고가 발생한 지역 정보, 폐기물 불법 투기 매립이 예상되는 지역 정보, 폐기물 불법 투기 매립 업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폐기물 차량(또는 폐기물 운반 차량)과 관련된 영상 정보(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정보는, 차량 정보가 포함된 영상 정보로서,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 위성 카메라, CCTV 등 차량 정보를 촬영할 수 있는 다양한 카메라로부터 촬영되어 수신된 영상 정보를 의미한다.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현장에서 수집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미계근 차량 특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상술한 구성 요소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에 설명에 따른 장치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모니터링 시스템(100)과 폐기물 차량과 관련된 현장 정보(예를 들어, 영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단말(10), 모니터링 시스템(100)과 올바로 시스템의 DB 서버(20) 사이, 또는 모니터링 시스템(100)과 기타 서버(30) 사이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20)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라고도 명명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폐기물 차량의 현장 정보(예를 들어, 영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폐기물 차량의 현장 정보(예를 들어, 영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단말(10)은,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 위성 카메라, CCTV 등 차량 정보를 촬영할 수 있는 다양한 카메라, 또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올바로 시스템의 DB 서버(20)로부터 수신된 인계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공공기관 서버, 관광서 서버, 웹 사이트 서버 등 기타 서버(20)로부터 폐기물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정된 배출자의 적정 배출량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배출자의 적정 배출량과 실제 배출량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상기 배출자가 의심 배출자로 분류되는 경우, 의심 배출자 분류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저장부(120)와 별도로 외부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외부 저장소 역시 “데이터베이스”라고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자의 적정 배출량을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출자의 배출 특성에 따라 적정 배출량을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출자가 폐기물을 배출하는 경우, 폐기물의 현장 계근량 및 배출 신고량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와 추정된 적정 배출량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에 따라 제어부(130)는, 배출자의 이상 행위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영상 분석부(131), 미계근량 추정부(132), 모니터링부(133) 및 학습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영상 분석부(131)는, 수집된 영상 정보를 통해 폐기물 차량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131)는, 영상 정보로부터 검출된 폐기물 차량 정보와 계근 차량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131)는, 영상 정보로부터 검출된 폐기물 차량 정보와 계근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미계근 차량을 특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분석부(131)는, 분석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미계근 차량을 특정하고, 특정된 미계근 차량에 대한 차량 제원 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미계근량 추정부(132)는, 영상 분석부(131)에서 특정된 미계근 차량의 차량 제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계근 차량이 운송한 폐기물에 대한 미계근량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미계근량 추정부(132)는, 특정된 미계근 차량과 매칭되어 저장된 폐기물 배출량, 운반량 및 처리량 정보를 기반으로 미계근량을 추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33)는, 추정된 미계근량을 이용하여 상기 폐기물 처리업체의 처리 인수량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133)는, 추정된 미계근량을 이용하여 상기 폐기물 처리업체의 현장 보관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학습부(134)는, 배출자를 기준으로 추정된 배출량과 실제 현장에서 배출된 폐기물 배출량을 비교하여 이상 행위 발생 여부를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통해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 행위는, 폐기물의 배출 신고량을 실제 배출량과 다르게 누락시키거나 허위로 기재하는 행위로서, 불법 폐기물 투기 매립의 발생이 의심될 수 있다.
이상 행위 발생 여부를 산출하기 위해, 학습부(134)는,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이상 점수를 스코어링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 점수란, 폐기물의 배출 신고량을 실제 배출량과 다르게 누락시키거나 허위로 기재함으로써 이상 행위(또는 의심 행위)가 발생할 수 있는 정도를 스코어로 표기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이상 행위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이상 점수가 낮을수록 이상 행위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이상 행위 발생할 가능성이 낮고, 이상 점수가 낮을수록 이상 행위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30)가, 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이상 행위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이상 점수가 낮을수록 이상 행위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30)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요소인 영상 분석부(131), 미계근량 추정부(132), 모니터링부(133) 및 학습부(134)를 구분하지 않고, 제어부(130)가 수행하는 기능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통해, 폐기물 배출 및 처리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이하, '모니터링 방법'이라고 명명함)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는,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자의 적정 배출량을 추정할 수 있다(S210). 여기서 배출자와 관련된 누적 데이터는, 배출자와 관련된 업체 정보(운반 업체 또는 처리 업체), 과거 배출 횟수, 배출량, 운반량, 보관량, 처리량 정보 등 과거로부터 현재 시점까지 폐기물 배출자와 관련하여 누적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올바로시스템의 DB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511, 이하, '시스템 데이터'라고 명명함) 및 지능형 현장 정보(512)를 기반으로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 데이터(511)는, 업체의 기초정보, 배출계획서, 폐기물의 배출, 처리 및 운반 정보를 포함하는 인계서, 배출 대장, 처리 실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능형 현장 정보(512)는, 현장 계근량 정보, 전자 운송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시스템 데이터(511) 및 지능형 현장 정보(512) 중 배출자와 관련된 정보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필터링된 특정 배출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올바로시스템의 DB 서버에 배출자별로 누적 데이터가 각각 저장되어 있는 경우, 올바로시스템의 DB 서버로부터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출자의 배출 특성에 따라 적정 배출량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 특성은, 배출자의 배출 유형, 배출자의 배출 규모(또는 배출량), 배출 주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분석하여 배출자의 배출 특성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출자가 과거 폐기물을 배출한 이력을 분석하고, 배출자의 폐기물 배출 유형, 배출 규모(또는 배출량) 및 배출 주기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출자가 과거 폐기물을 배출한 이력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배출자의 공통되는 속성에 따라 배출자의 배출 특성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배출자의 누락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과거 배출량 정보들의 평균 값을 적정 배출량으로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제1 배출자가 과거 폐기물을 배출하는 경우 배출하는 배출량의 평균값이 10톤인 경우, 제1 배출자의 적정 배출량을 10톤으로 추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배출자의 누락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과거 배출량 및 배출 주기를 통해 산출된 배출 특성에 따라 적정 배출량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2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제2 배출자가 10년마다 50톤의 폐기물을 배출하는 경우, 제2 배출자가 10년 간격으로 배출하는 적정 배출량을 50톤으로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출자가 5년만에 폐기물을 배출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적정 배출량을 25톤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배출자의 누락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과거 배출 유형, 배출량 및 배출 주기를 통해 산출된 배출 특성에 따라 가중치를 이용한 적정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배출자의 유형을 분류하여 그에 매칭되는 특성을 반영하여 적정 배출량을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출 신고량, 인계서 및 배출 대장을 비교하여 과대 또는 과소 인계건을 분석할 수 있다. 도 5b의 (a) 및 (b)를 참조하면, 다량 배출자 유형의 일정 기간동안 전체 배출량과 배출 계획의 월 배출량을 비교한 결과로서, 가장 편차가 큰 업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량 배출자 업체를 전체 확인한 결과 과소 신고는 46.9%, 과대 신고는 53.1%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c의 참조하면, 배출자가 관급공사에 해당하는 경우 분기별 불일치 인계건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수량, 운반 차량, 처리량의 불일치가 동반하여 나타나는 이상구간(520)을 확인할 수 있다. 배출자가 관급공사에 해당하는 경우, 과소 신고는 73.77.%, 과대 신고는 26.23%에 해당한다. 즉 제어부(130)는, 배출자의 유형을 분석하여 산출된 배출 특성에 따라 적정 배출량을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폐기물 배출자의 누적데이터를 기반으로, 배출자의 배출 유형, 배출 규모(또는 배출량), 배출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배출 특성에 따라 적정 배출량을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추정된 적정 배출량을 배출자가 배출한 폐기물의 현장 계근량 및 배출 신고량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할 수 있다(S220).
도 6a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시스템 데이터(611), 지능형 현장 정보(612) 및 외부/공공데이터(613)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추정된 적정 배출량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 데이터(611)는, 업체 기초 정보, 처리 업체의 인허가 정보, 인계서 정보(폐기물의 배출, 운반, 처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 처리 대장, 실적 보고, 및 변경 삭제 이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능형 현장 정보(612)는, 현장 계근량 정보, 계근대 정보, 집입로 차량 정보, 전자 운송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공공데이터(613)는, 국토부 차량 제원 정보, 건설기계 제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배출자가 폐기물을 배출하는 경우 상기 배출자와 매칭되어 저장된 적정 배출량을 기준으로 폐기물 배출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출자를 기준으로, 배출자별 지능형 현장 정보(612)와 배출자의 추정 배출량에 대한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추정된 적정 배출량과 배출한 폐기물의 현장 계근량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장 계근량은, 지능형 현장정보(611) 중 하나로서 계근대를 통해 폐기물 차량(또는 폐기물 운반 차량)의 계근량을 측정한 정보를 의미한다. 일 예로서, 도 5D의 (b)를 참조하면, 차량의 계근량을 측정하기 위해 차량이 계근대를 이동시켜 계근대에 연결된 계근실에서 상기 차량의 계근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시스템 데이터(611) 중 인계서 또는 처리 대장 정보에서 검출된 배출량을, 추정된 적정 배출량과 비교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추정된 적정 배출량과 배출자의 배출 신고량을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시스템 데이터(611, 예를 들어, 인계서 또는 배출 대장)에서 배출 신고량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추정된 적정 배출량과 배출자의 배출 신고량을 비교하여 배출자의 배출 신고량이 적정 배출량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출자의 배출 신고량이 적정 배출량과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경우, 배출자의 배출 신고량이 적정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출자의 배출 신고량이 적정 배출량과 비교한 결과, 그 차이 값이 큰 경우, 이상 행위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30)는, 배출자의 배출 신고량이 적정 배출량과 비교한 결과, 그 차이 값이 큰 경우에도, 예외적으로 특정한 사유로 인해 폐기물의 배출량이 과거 배출량에 비해 많거나 혹은 적은 경우에도 적정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예외적인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배출자의 배출 신고량이 적정 배출량과 차이가 있더라도 적정 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추정된 적정 배출량과 현장 계근량, 또는 추정된 적정 배출량과 배출 신고량을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라 이상 행위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추정된 적정 배출량과 현장 계근량, 또는 추정된 적정 배출량과 배출 신고량을 비교한 결과 이상 행위 발생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배출자를 의심 배출자로 분류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추정된 적정 배출량과 현장 계근량, 또는 추정된 적정 배출량과 배출 신고량을 비교한 결과, 특정 배출자가 의심 배출자로 분류되는 경우, 상기 특정 배출자와 의심 배출자 리스트가 저장된 DB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추정된 적정 배출량과 현장 계근량(또는 배출 신고량)을 비교한 결과, 그 차이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보다 큰 경우, 폐기물을 누락 또는 허위로 배출하였다고 의심되는 이상 행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이상 행위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또는 이상 행위 발생이 검출된 배출자를 의심 배출자로 분류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의심 배출자 리스트에 저장된 의심 배출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추정된 적정 배출량과 현장 계근량 및 배출 신고량을 입력 데이터로 군집 분석, 회귀 분석 또는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수행하여 이상 행위 발생 여부를 산출할 수 있다(614).
제어부(130)는, 배출자를 기준으로 추정된 배출량과 실제 현장에서 배출된 폐기물 배출량을 비교하여 이상 행위 발생 여부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추정된 적정 배출량과 현장 계근량 및 배출 신고량을 입력 데이터로 머신러닝을 수행하여 이상 행위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 행위는, 폐기물의 배출 신고량을 실제 배출량과 다르게 누락시키거나 허위로 기재하는 행위로서, 불법 폐기물 투기 매립의 발생이 의심될 수 있다.
이상 행위 발생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제어부(130)는,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이상 점수를 스코어링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 점수란, 폐기물의 배출 신고량을 실제 배출량과 다르게 누락시키거나 허위로 기재하는 이상 행위(또는 의심 행위)가 발생할 수 있는 정도를 스코어로 표시한 것이다.
한편, 제어부(130)는, 특정 배출자와 관련하여 이상 행위 발생이 산출되는 경우, 상기 특정 배출자와 관련된 차량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이상 행위 발생이 산출된 특정 배출자와 관련된 차량에 대한 GPS를 이용한 이동 경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특정 배출자와 관련하여 이상 행위 발생이 산출되는 경우, 상기 특정 배출자와 관련된 차량에 대한 이동 경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전자 운송장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도 5d의 (a) 참조). 즉 제어부(130)는, 전자 운송장 정보 및 GPS를 이용한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배출자와 관련된 차량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이상 행위 발생이 산출된 배출자와 관련된 차량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폐기물의 누락 또는 허위 기재가 발생한 이상 구간 또는 이상 구간 발생 시기를 특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상 행위 발생이 산출된 배출자와 관련된 차량에 대한 핀셋 검사를 수행하여 폐기물 불법 투기 매립 행위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시스템 데이터(611) 중 인계서 정보를 기반으로 처리 인계 정보의 이상 업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6b의 (a) 및 (b)를 참조하면, 월별 대장이 없는 업체의 경우, 5월에 누락 인수량이 집중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c의 (a) 및 (b)를 참조하면, 인계서상 단위 오류로 인한 급상승 구간을 제외하면, 정상 업체의 평균 인계량보다 처리 대장 누락 업체의 인계량 평균이 다소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처리 대장의 누락 건수는, 폐콘크리트, 폐아스팔트, 혼합 건설 폐기물의 순으로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6c의 (b)).
제어부(130)는, 시스템 데이터(611) 중 인계서 정보를 기반으로, 누락 건수가 많은 구간의 특징 패턴을 분석하여, 유사한 특징 패턴을 가지는 구간을 보다 집중적으로 관리하여 누락 인수량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폐기물 처리업체에서 수집된 영상 정보에 근거하여, 미계근 차량에 대한 차량 제원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S230).
제어부(130)는, 수집된 영상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또는 폐기물 차량)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정보는, 차량 정보가 포함된 영상 정보로서,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 위성 카메라, CCTV 등 차량 정보를 촬영할 수 있는 다양한 카메라로부터 촬영되어 수신된 영상 정보를 의미한다.
제어부(130)는, 영상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주기로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주기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사용자 또는 운영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영상 정보를 수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영상 정보로부터 검출된 차량(또는 폐기물 차량)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이 계근 차량에 해당하는지 또는 미계근 차량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영상 정보로부터 검출된 차량(또는 폐기물 차량) 정보와 계근 차량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계근 차량 정보는, 계근 차량의 차량 번호, 계근 시점, 계근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근 차량 정보는, 저장부(130)의 계근 차량 리스트 DB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영상 정보로부터 검출된 차량 정보와 계근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미계근 차량을 특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영상 정보로부터 검출된 차량 정보가 계근 차량 리스트 DB에 저장된 계근 차량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을 계근 차량으로 특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영상 정보로부터 검출된 차량 정보가 계근 차량 리스트 DB에 저장된 계근 차량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을 미계근 차량으로 특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영상 정보로부터 검출된 차량의 차량 번호를, 계근 차량 리스트 DB에 저장된 계근 차량 정보에서 검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계근 차량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 목록에서 상기 영상 정보에서 검출된 차량의 차량 번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을 미계근 차량으로 특정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계근 차량 리스트 DB에 저장된 계근 차량 정보에서 상기 영상 정보에서 검출된 차량의 차량 번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폐기물 차량을 계근 차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분석된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미계근 차량을 특정하고, 특정된 미계근 차량에 매칭되어 저장된 차량 제원 정보를 저장부(120)에서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차량 제원 정보를 이용하여 미계근 차량이 운송한 폐기물에 대한 미계근량을 추정할 수 있다(S240).
제어부(130)는, 특정된 미계근 차량에 매칭되는 차량 제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계근 차량이 운송한 폐기물에 대한 미계근량을 추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추정된 미계근 차량 대수와 미계근량을 기반으로 이상 행위 의심 업체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처리업체 인계서의 인수량과 인수건의 누락 여부 및 이상 행위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이상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영상 정보에 대한 영상 분석 모델을 통해 현장 정보에 해당하는 미계근 차량대수와 미계근량을 추정하여 처리업체의 인수량 누락과 관련된 의심 점수를 최종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추정된 미계근량을 이용하여 상기 폐기물 처리업체의 처리 인수량 또는 현장 보관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S250).
제어부(130)는, 배출자와 관련된 시스템 데이터(711) 중 처리 업체의 처리 대장 정보를 기준으로 처리 인수량 특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추정된 미계근량, 인계서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된 배출자의 배출량, 및 처리 대장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된 처리 인수량을 비교하여 누락 데이터(또는 누락된 폐기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추정된 미계근량, 인계서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된 배출자의 배출량과, 처리 대장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된 처리 인수량을 비교하는 경우, 인수량, 인수건, 코드별, 성상별 누락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인계서 정보의 변경, 삭제 이력과 처리 대장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된 처리 인수량을 비교하여 누락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도출된 누락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이상 행위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락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누락 또는 허위로 기재된 폐기물의 양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30)는 이상 행위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누락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누락 또는 허위로 기재된 폐기물의 양이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130)는 이상 행위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폐기물 처리업체의 시설 규격 허용 보관량 정보와 배출자와 관련된 시스템 데이터에 기반한 폐기물 처리 업체의 이월 보관량 정보간의 비교에 근거하여, 현장 보관량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폐기물 처리업체의 시설 규격 허용 보관량 정보와 배출자와 관련된 시스템 데이터에 기반한 폐기물 처리 업체의 이월 보관량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폐기물 처리업체의 시설 규격 허용 보관량과 배출자와 관련된 시스템 데이터에 기반한 폐기물 처리 업체의 이월 보관량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폐기물 처리업체의 시설 규격 허용 보관량과 배출자와 관련된 시스템 데이터에 기반한 폐기물 처리 업체의 이월 보관량에 대한 비교 분석 결과를 통해, 현장 보관량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배출자와 관련된 시스템 데이터에 기반한 폐기물 처리 업체의 이월 보관량 정보, 시스템 데이터(711), 지능형 현장 정보(712)를 이용하여 군집 분석, 회귀 분석 또는 머신 러닝을 수행(714)하여 허용 보관량의 초과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허용 보관량이 일정 값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이상 행위의 발생을 검출(715)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폐기물 처리업체의 시설 규격 허용 보관량 정보와 배출자와 관련된 시스템 데이터에 기반한 폐기물 처리 업체의 이월 보관량 정보를 기반으로, 허용 보관량과 이월 보관량을 매칭하여 비교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허용 보관량과 이월 보관량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이상 점수를 산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지능형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폐기물 처리 업체의 이월 보관량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지능형 현장 정보에 해당하는 진입로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미계근 차량의 인수량을 추정하고, 폐기물 영역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폐기물 처리 업체의 추정된 이월 보관량 정보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지능형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보정된 이월 보관량 정보와 폐기물 처리업체의 시설 규격 허용 보관량 정보를 비교하여, 이월 보관량이 허용 보관량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지능형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보정된 이월 보관량 정보와 폐기물 처리업체의 시설 규격 허용 보관량 정보를 비교에 근거하여 이상 점수를 최종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이월 보관량이 허용 보관량을 초과한 경우, 이상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고, 이월 보관량이 허용 보관량의 이하 경우, 이상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b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인계서 물량에 대비하여 처리 실적이 과소한 업체 정보를 추출하여 이상 행위 발생 의심 업체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인수량 대비 처리 실적를 반영하여 인계량 보다 처리 실적이 비율이 높은 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
나아가 도 7c의 도면을 참조하면, 인수량 대비 처리 실적의 차이가 큰 업체 정보를 추출하여 이상 행위 발생 의심 업체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배출자와 관련된 시스템 데이터에 기반하여, 공통되는 데이터 속성에 따라 복수의 불법 패턴을 특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출자와 관련된 시스템 데이터에서 폐기물 불법 투기 매립과 관련된 정보, 폐기물 불법 누락 및 허위 신고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검출된 폐기물 불법 투기 매립과 관련된 정보, 폐기물 불법 누락 및 허위 신고와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공통되는 데이터 속성을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분석 결과에 따라 폐기물 불법 투기 매립 발생 시 공통되는 데이터 속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불법 패턴을 특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폐기물 불법 누락 및 허위 신고 시 공통되는 데이터 속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불법 패턴을 특정할 수 있다. 여기서 불법 패턴은, 폐기물 불법 투기 매립 이력이 있는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폐기물 불법 투기 매립이 발생하는 경우 공통되는 조건 또는 패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배출자가 A 처리 업체를 통해 폐기물을 처리하는 경우 폐기물 불법 투기 매립 이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배출자가 A 처리 업체를 이용하는 패턴을 불법 패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불법 패턴 중 상기 배출자에 대응되는 특정 불법 패턴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한 결과 특정 불법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배출자와 관련된 보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출자와 관련된 보고 정보를 올바로시스템 서버, 관공서 서버 또는 기타 폐기물 불법 행위를 관리 감독하는 기관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출자에 대응되는 불법 패턴이 검출되는 경우, 배출자의 폐기물 배출 및 처리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수 있다. 모니터링 결과, 실제 폐기물 불법 투기 매립 또는 폐기물 불법 누락 및 허위 신고가 발생하는 경우, 폐기물 불법 투기 매립 및 폐기물 불법 누락 및 허위 신고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배출자와 관련된 시스템 데이터에 기반하여, 1일 고빈도 운행(도 8b의 (a)), 원거리 처리 위탁(도 8b의 (b)), 인계서 변경/삭제 이력 분석하여, 불법 의심 업체 데이터를 특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분석 결과에 따라 불법 행위 타입을 분류할 수 있다. 이때 불법 행위 타입은, i) 1일 고빈도 운행, ii) 원거리 처리 위탁, iii) 인계서 변경/삭제 빈발, iv) 일일 처리량 대비 인계량 초과업체, v) 행정처분처리업체, vi) 송장강제하차 빈발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특정된 불법 의심 업체 정보와 그에 매칭되는 인계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된 불법 의심 업체와 거래하는 거래 업체 및 거래 강도를 군집을 형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특정된 불법 의심 업체 및 상기 업체의 거래 강도를 시각화하여 다이어그램 또는 지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도 8c). 특정된 불법 의심 업체 및 상기 업체의 거래 강도를 시각화하여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130)는, 복수의 불법행위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다이어그램 또는 지도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출자의 적정 배출량을 추정하고, 추정된 적정 배출량을 배출자가 실제 배출한 배출량 정보와 비교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폐기물 처리업체에서 수집된 영상정보에 근거하여, 미계근 차량에 대한 차량 제원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량 제원 정보를 이용하여 미계근 차량이 운송한 폐기물에 대한 미계근량을 추정하여 폐기물의 처리 업체의 처리 인수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검출된 차량 제원 정보를 이용하여 미계근 차량이 운송한 폐기물에 대한 미계근량을 추정하여 폐기물의 처리 업체의 현장 보관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불법 폐기물 투기 매립 행위가 의심되는 이상 행위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상 행위가 검출되는 경우 해당 폐기물 배출자 및 처리 업체에 대한 모니터링 수행함으로써, 불법 폐기물 투기 매립 행위를 감시하고 폐기물의 운반자 또는 처리자의 불법 폐기물 투기 매립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나아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소를 포함하며 전자기기가 통신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컴퓨터는 프로세서, 즉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가 탑재된 전자기기로서, 그 종류에 대하여 특별한 한정을 두지 않는다.
한편,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차량과 관련된 영상을 수집하기 위한 단말기
20: 올바로 시스템 서버
30: 서버
100: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제어부
131: 영상 분석부
132: 미계근량 추정부
133: 모니터링부
134: 학습부

Claims (10)

  1.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자의 적정 배출량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적정 배출량을 상기 배출자가 배출한 폐기물의 현장 계근량 및 배출 신고량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는 단계;
    폐기물 처리 업체에서 수집된 영상정보에 근거하여, 미계근 차량에 대한 차량 제원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차량 제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계근 차량이 운송한 폐기물에 대한 미계근량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미계근량을 이용하여 상기 폐기물 처리 업체의 처리인수량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추정된 미계근량을 이용하여 상기 폐기물 처리 업체의 현장 보관량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자와 관련된 시스템 데이터에 기반하여, 공통되는 데이터 속성에 따른 복수의 불법 패턴을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불법 패턴 중 상기 배출자에 대응되는 특정 불법 패턴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특정 불법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배출자와 관련된 보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추정된 적정 배출량, 상기 배출자가 배출한 폐기물의 현장 계근량 및 배출 신고량을 입력 데이터로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이상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상 점수를 기반으로 이상 행위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행위 발생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배출자를 의심 배출자로 분류하고,
    상기 배출자와 관련된 차량에 대한 이동 경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처리 업체의 시설 규격 허용 보관량 정보와 상기 배출자와 관련된 시스템 데이터에 기반한 상기 폐기물 처리 업체의 이월 보관량 정보 간의 비교에 근거하여, 상기 현장 보관량 정보가 모니터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처리 업체에 대한 시스템 데이터에 근거하여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폐기물 처리 업체에 대한 이월 보관량 정보를 추정하고,
    상기 폐기물 처리 업체에 대한 현장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추정된 이월 보관량 정보가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처리 업체의 시설 규격 허용 보관량 정보와 상기 보정된 이월 보관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허용 보관량의 초과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는,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이상 행위 발생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폐기물 처리 업체를 불법 의심 업체로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불법 의심 업체와 거래하는 거래 업체 및 거래 강도를 시각화하여 다이어그램 도는 지도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10.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을 저장한 저장부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배출자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자의 적정 배출량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적정 배출량을 상기 배출자가 배출한 폐기물의 현장 계근량 및 배출 신고량 중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며,
    폐기물 처리 업체에서 수집된 영상정보에 근거하여, 미계근 차량에 대한 차량 제원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차량 제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계근 차량이 운송한 폐기물에 대한 미계근량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미계근량을 이용하여 상기 폐기물 처리 업체와 관련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KR1020220021497A 2022-02-18 2022-02-18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24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497A KR20230124327A (ko) 2022-02-18 2022-02-18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497A KR20230124327A (ko) 2022-02-18 2022-02-18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327A true KR20230124327A (ko) 2023-08-25

Family

ID=8784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497A KR20230124327A (ko) 2022-02-18 2022-02-18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43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810B1 (ko) * 2023-09-06 2024-02-27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폐기물의 불법 투기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CN117830301A (zh) * 2024-03-04 2024-04-05 青岛正大正电力环保设备有限公司 基于红外可见光融合特征的捞渣区域检测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810B1 (ko) * 2023-09-06 2024-02-27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폐기물의 불법 투기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CN117830301A (zh) * 2024-03-04 2024-04-05 青岛正大正电力环保设备有限公司 基于红外可见光融合特征的捞渣区域检测方法
CN117830301B (zh) * 2024-03-04 2024-05-14 青岛正大正电力环保设备有限公司 基于红外可见光融合特征的捞渣区域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24327A (ko) 폐기물 배출 및 처리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6025849B2 (ja) マニフェストデータをイメージング/検知処理に統合するx線検査システム
CN111709603B (zh) 基于风控的服务请求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02812441A (zh) 自动化的恶意软件检测和修复
US105525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driven anomaly detection
CN106934705A (zh) 一种基于支持向量机的增值税专票疑点纳税人监控方法
CN105488031A (zh) 一种检测相似短信的方法及装置
US20130173480A1 (en) Maintenance cycle for an aircraft
CN113449703A (zh) 环境在线监测数据的质控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CN113850244B (zh) 基于图像识别的输煤量监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898196B (zh) 物流巡查监控方法、装置及巡查终端
CN117421692B (zh) 垃圾投放站的垃圾违规投放识别方法、装置、设备
KR20230116543A (ko) 지능형 폐기물 관리 서비스에서 차량의 이상경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6186716A (zh) 一种面向持续集成部署的安全分析方法及装置
CN113254733B (zh) 基于大数据平台的信息分析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0765846B (zh) 抓拍机推图测试方法及装置
JP7108566B2 (ja) デジタルエビデンス管理方法およびデジタルエビデンス管理システム
CN114022114A (zh) 基于电信行业的数据治理平台
CN110414641A (zh) 对生活垃圾焚烧厂垃圾运输车辆合规性验证的技术方法
CN116935171A (zh) 图像识别误报率的确定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7689400B (zh) 一种基于数据标签的超限源头溯源方法及系统
CN115048981B (zh) 装修垃圾高热值组分处理检验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7078086A (zh) 垃圾分类数据分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230222903A1 (en) Detection of a scooter parking status through a dynamic classification model
CN117910739A (zh) 机检查验系统及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