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247A - 각막 조직으로부터 세포외기질 환경 조성 기반 내피세포 분리 및 배양 방법 - Google Patents

각막 조직으로부터 세포외기질 환경 조성 기반 내피세포 분리 및 배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247A
KR20230124247A KR1020220021308A KR20220021308A KR20230124247A KR 20230124247 A KR20230124247 A KR 20230124247A KR 1020220021308 A KR1020220021308 A KR 1020220021308A KR 20220021308 A KR20220021308 A KR 20220021308A KR 20230124247 A KR20230124247 A KR 20230124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al
stem cells
cells
limbal epithelial
corneal limb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석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엠피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엠피케이 filed Critical (주)에이엠피케이
Priority to KR1020220021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4247A/ko
Publication of KR20230124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24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18Cells of the nervous system
    • C12N5/0621Eye cells, e.g. cornea, iris pigmented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9/00Methods for the dissociation of cells, e.g. specific use of 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90Substrates of biological origin, e.g. extracellular matrix, decellularised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eurosurger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막 윤부 줄기 세포의 순수 분리 방법 및 대량 배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각막 윤부줄기 세포의 순수 분리 방법 및 대량 배양 방법은 각막 윤부 상피 세포로부터 분화 효율이 높은 각막 윤부 상피줄기 세포를 효율적으로 순수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줄기 세포의 줄기세포능을 유지한 채로 in vitro 상에서 저렴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의 대량 배양을 가능하게 하므로 인공 각막의 제조, 각막 재생, 또는 각막 손상의 치료법 등 다양한 분야에 실질적으로 상업화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각막 조직으로부터 세포외기질 환경 조성 기반 내피세포 분리 및 배양 방법{Method of endotheliocyte isolation and culture in cornea using endothelial cell-specific ECM-modulated culture condition}
본 발명은 각막 윤부 상피 세포로부터 각막 윤부 줄기 세포의 순수 분리 방법 및 대량 배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막(cornea)은 눈의 표면에 존재하는 무혈관성 막으로서, 눈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빛을 통과 및 굴절시켜 사물을 볼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안조직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각막은 선천적인 유전적 각막 이상으로 또는 후천적으로 외상에 의해, 또는 감염, 염증, 변성 등에 의하여 손상되게 되면 시력 장애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각막 손상에 대한 치료 방법으로는 타인의 각막을 이식 받는 방법 외에는 없다. 이러한 각막 이식의 경우에각막을 기증받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각막을 기증 받아도 이식 받은 환자 중 30% 정도는 거부 반응을 나타내는 등 각막 이식 만으로는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제의 각막과 유사한구조 및 기능을 가지는 인공 각막을 형성하여 이를 체내에 이식하고 손상된 각막을 재생하나 대체하고자 하는각막 재생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지고 있다(World J Stem Cells (2014) 6(4): 391-403).
대표적으로 각막 상피 세포 또는 구강 상피 세포를 이용한 세포 치료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그 치료 효율이 현저히 낮을 뿐만 아니라 각막 손상의 재발율이 매우 높다는 한계점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각막을 재생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최근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실질적으로 각막 재생 또는 각막 손상의 치료법으로 상업화되어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순수 분리된 줄기 세포를 대량 증식시킬 수 있는 방법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각막 재생에 사용될 수 있는 줄기 세포의 순수 분리 방법 및 대량 배양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중 마커를 이용하여 강한 줄기세포능을 가지는 각막 줄기 세포를 순수 분리하고, 이를 생체 외(in vitro)에서 대량 배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실질적으로 상업화가 가능한 각막 재생 및/또는 각막 손상의 치료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구체예가 도면을 참조로 기재된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다양한 특이적 상세사항, 예컨대, 특이적 형태, 조성물, 및 공정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의 구체예는 이들 특이적 상세 사항 중 하나 이상 없이,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 및 형태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 다른예에서, 공지된 공정 및 제조 기술은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특정의 상세사항으로 기재되지 않는다. "한 가지 구체예" 또는 "구체예"에 대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한 참조는 구체예와 결부되어 기재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다양한 위치에서 표현된 "한 가지 구체예에서" 또는 "구체예"의 상황은 반드시 본 발명의 동일한 구체예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추가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limbal epithelial stem cells)"란 모든 세포 유형으로 분화될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는 미분화 또는 실질적인 미분화 세포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의미로서 각막을 이루는 세포 중의 하나로 분화할 수 있다면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p63a, ABCG2, integrin a9, ABCB5 등의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의 마커를 가지고 있는 세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a) 각막 윤부 상피 세포(corneal limbal epithelial cells)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각막 윤부 상피 세포를 세포외기질 단백질(extracellular matrix protein)이 코팅되어 있는 플레이트에서 배양하는 단계; c)상기 배양된 각막 윤부 상피 세포 중 과다 증식하는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limbal epithelial stem cells)를 분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각 윤부 상피 줄기 세포 중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 마커를 이용하여 분화효율이 높은 줄기 세포를 순수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의 분리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분리된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막 윤부 줄기 세포의 순수 분리 방법 및 대량 배양 방법은 각막 윤부 상피 세포로부터 분화효율이 높은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를 효율적으로 순수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줄기 세포의 줄기세포능을 유지한 채로 in vitro 상에서 저렴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의 대량 배양을 가능하게 하므로 인공 각막의 제조, 각막 재생, 또는 각막 손상의 치료법 등 다양한 분야에 실질적으로 상업화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공막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각막 윤부 상피 세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nT20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한 각막 윤부 상피 세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EM을 이용하여 배양한 각막 윤부 상피 세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막 윤부 상피 세포로부터 분리 및 증식된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수 분리된 ABCG2+/ABCB5+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BCG2+/ABCB5+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의 줄기세포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T-PCR을 이용하여 각막 상피 세포로의 분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역학적 염색을 이용하여 각막 상피 세포로의 분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막 위에서의 각막 상피 세포로의 분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각막 윤부 줄기세포의 대량 배양
1.1. 각막 윤부 상피세포의 분리 각막 재생을 위한 각막 윤부 줄기 세포(corneal limbal stem cells)를 대량 배양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일차적으로 각막 윤부 상피 세포(corneal limbal epithelial cells)를 분리하였다. 각막 윤부 상피세포를 분리하기 위하여 사람으로부터 분리된 각공막 조직(corneoscleral tissue)을 4개의 조직으로 자르고, 자른 각공막조직을 각각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가 담긴 60mm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담근 후 조직에 남아있던 홍채(iris)와 내피 세포(endothelial cells)를 제거하였다. 홍채와 내피 세포가 제거된 조직은 15mg/mL의 디스파제 II(Dispase II)와 10mM의 소비톨(sorbitol)이 첨가된 SHEM(Supplemented Hormonal Epithelial Medium)에 담근 후 4℃에서 18시간 정도 배양하였다. 그리고 배양된 조직을 비절단형 플랫 스테인레스강 스패튤라(noncutting flat stainless-steel spatula)를 이용하여 간질(stroma)층과 윤부의 상피(limbal epithelium)층을 분리하여 각막 윤부 상피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각막 윤부 상피 세포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막 윤부 상피 세포가 성공적으로 분리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2. 각막 윤부 줄기 세포의 분리 및 배양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된 각막 윤부 상피 세포 중 각막 윤부 줄기 세포를 분리하기 위하여, 5% 매트리겔(Matrigelⓡ, Corningⓡ), 0.05mg/mL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 Sigma-Aldrichⓡ), 5% 매트리겔 및0.05mg/mL 파이브로넥틴을 코팅시킨 각각의 플레이트에 CnT20 배지(Corneal Epithelium Medium, CELLnTEC)를 채우고, 분리된 각막 윤부 상피 세포를 접종한 후 37℃, 5% CO2 조건에서 삼일 동안 배양하였다. 매트리겔 및/또는 파이브로넥틴을 플레이트에 코팅하는 방법은 총량이 3mL이 되도록 60mm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5초간 플레이트를 흔들어 바닥에 모두 매트리겔 및/또는 파이브로넥틴에 적셔지도록 한 후, 남아있는 매트리겔 및/또는 파이브로넥틴을 제거하고 4℃에서 12시간 동안 플레이트를 보관한 후에 이후 실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다시 새로운 CnT20 배지로 교체한 후 다시 배양을 하였고, 이틀마다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며 8~10일간 배양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막 윤부 상피 세포가 정상적으로 증식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각막 윤부 상피세포의 증식 방법을 찾기 위하여, 분리된 각막 윤부 상피 세포를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첨가되어 있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 또는 CnT20 배지에서 5% 매트리겔(Matrigel), 0.05mg/mL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 5% 매트리겔(Matrigel) 및 0.05mg/mL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을 코팅시킨 각각의 플레이트 위에서 삼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PBS(phosphate bufferedsaline)로 세척한 후 10% 우태아혈청이 첨가되어 있는 DMEM으로 교체한 후 다시 배양을 하였고, 이틀마다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며 8~10일간 배양하였다. 처음부터 DMEM을 이용하여 배양한 경우에는 세포가 증식하지 못하였고, CnT20 배지에서 삼일 동안 배양한 후에 DMEM을 이용하여 배양한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5% 매트리겔 또는 0.05mg/mL 파이브로넥틴을 각각 코팅한 플레이트에서는 각막 윤부상피 세포가 정상적으로 증식되지 못하였지만, 5% 매트리겔 및 0.05mg/mL 파이브로넥틴을 모두 이용하여 코팅한플레이트에서는 각막 윤부 상피 세포가 활발하게 증식되었으며, 8~10일 동안 배양하면 각막 윤부 상피 세포 중과다 증식(highly proliferative)하는 콜로니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과다 증식된 콜로니를 아큐테이즈(accutase)를 이용하여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하고, 10% 우태아혈청이 포함되어 있는 DMEM을 5% 매트리겔(Matrigel)과 0.05mg/mL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이 코팅되어있는 플레이트에 첨가한 후 분리된 콜로니를 배양하여 과다 증식하는 새로운 세포, 즉,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limbalepithelial stem cells; LESC)를 분리 및 배양하였다. 분리된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를 배양한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리된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가 정상적으로 과다 증식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이를 통하여, 5% 매트리겔 및 0.05mg/mL 파이브로넥틴이 코팅된 플레이트와 DMEM을 이용하면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를 효율적으로 분리 및 증식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매트리겔은 그 조성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윤부 상피 줄기 세포의 증식 조건을 좀더 명확히 하기 위하여,0.12mg/mL의 라미닌(laminin, Sigma-Aldrichⓡ), 0.06mg/mL의 콜라겐 IV(collagen IV, collagen IV),0.016mg/mL의 엔탁틴(entactin, R&D systems) 및 0.05mg/mL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을 플레이트에코팅하고, 배지에는 추가로 성장 인자(Growth factors, Gibcoⓡ)를 추가로 넣어주었다. 나머지 실험 방법은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5% 매트리겔을 사용한 것과 동일하게 윤부 상피 줄기 세포가 정상적으로 과다 증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매트리겔을 대체하여 라미닌, 콜라겐 IV 및 엔탁틴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 ABCG2+/ABCB5+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의 분리 및 배양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된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 중 각막 재생 용도로 사용할 정도로 분화 효율이 높은 세포를 분리하기 위하여, ABCG2 와 ABCB5 두 개의 마커를 이용하여 ABCG2+/ABCB5+ 각막 윤부 상피 줄기세포(ABCG2+/ABCB5+ double positive limbal epithelial stem cells)를 분리하였다. 분리를 위하여 과다 증식된 세포에 ABCG2 및 ABCB5 항체를 결합시키고, 형광유세포분석법(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 FACS)을 이용하여 두 개의 마커를 모두 가진 세포 만을 순수 분리하였다. 각각의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는 BD Biosciences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10% 우태아혈청이 포함되어 있는 DMEM을 5% 매트리겔(Matrigel)과 0.05mg/mL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이 코팅되어있는 플레이트에 첨가한 후 순수 분리된ABCG2+/ABCB5+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를 배양하였다. 그리고 동일한 방법으로 계대 배양하며 ABCG2+/ABCB5+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를 대량 배양하였다.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ABCG2+/ABCB5+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가 순수 분리되었으며, 이를 세포외기질 단백질(extracellular matrix ptotein)이 코팅되어 있는 플레이트에서 우태아혈청이 포함되어 있는 DMEM 배지를이용하여 줄기세포능을 유지한 채로 대량 배양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4. ABCG2+/ABCB5+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의 줄기세포능 확인
ABCG2+/ABCB5+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가 실질적으로 줄기 세포로의 특성인 줄기세포능(stemness)을 가지고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분리된 ABCG2+/ABCB5+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의 텔로머레이즈 활성(telomerase activity)을 측정하였다. 텔로머레이즈 활성은 TRAPeze® Telomerase Detection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대조군으로는 일반 각막 상피 세포(corneal epithelial cell; CEC)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는 도6A에나타내었다. 또한, 유전자 이상(genomic abnormality)을 측정하여 재확인하였다. 유전자 이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분리된 ABCG2+/ABCB5+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를 60번(passage) 계대 배양한 후에 DAPI로 염색하고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대장암 세포주인 SW620 세포주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는 도 6B에나타내었다.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ABCG2+/ABCB5+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는 정상 각막 상피 세포와 비교하여 매우높은 텔로머레이즈 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인 대장암 세포주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염색체가 비정상적인 반면, ABCG2+/ABCB5+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는 비정상적인 염색체가 거의 관찰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ABCG2+/ABCB5+ 각막 윤부 상피줄기 세포는 줄기 세포로의 특성인 줄기세포능을 가지고 는 정상적인 줄기 세포 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를 이용하여 각막 재생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의 각막 상피 세포로의 분화
2.1. qRT-PCR을 이용한 분화 확인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 및 배양한 ABCG2+/ABCB5+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를 DMEM, CnT20 배지,또는 CnT30 배지로 각각 교체한 후에 5일 동안 배양하여 각막 상피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고, 각막 윤부 줄기세포 마커인 p63a, ABCG2, 및 Integrin a9과 각막 상피 세포 마커인 CK3 및 CK12의 발현량을 qRTPCR(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각막 상피 세포로 분화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확인을 위하여 분화가 유도된 세포를 회수하고, RNeasy Mini Kit을 이용하여 프로토콜에 따라 회수된 세포로부터 RNA를 추출하고, 추출된 RNA 1ug을 이용하여 one step RT-PCR kit를 이용하여 qRT-PCR을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CnT20 배지 또는 CnT30 배지에서 배양한 줄기 세포의 경우 각막 윤부 줄기 세포 마커인 p63a, ABCG2 및 integrin a9의 발현량은 감소되고, 각막 상피 세포 마커인 CK3 및 CK12는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하여, CnT20 배지 또는 CnT30 배지를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방법으로 분리된 ABCG2+/ABCB5+ 각막윤부 상피 줄기 세포를 정상적으로 각막 상피 세포로 분화시킬 수 있다는 것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할 경우에는 분화를 억제하고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를 정상적으로 계대 배양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있었다.
2.2. 면역학적 염색을 이용한 분화 확인
ABCG2+/ABCB5+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가 정상적으로 각막 상피 세포로 분화되었는지 재확인하기 위하여 면역학적 염색을 이용하여 분화 여부를 확인하였다. 확인을 위하여, 10% 우태아혈청이 포함되어 있는 DMEM에서 배양되고 있는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를 CnT30 배지로 교체한 후 5일 동안 추가 배양하고, 형광이 표지된 p63a및 CK3의 각각의 단일클론항체와 DAPI로 염색한 후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대조군으로는 DMEM에서 배양하고 있는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를 형광이 표지된 ABCG2 및 p63a의 각각의 단일클론항체와 DAPI로 염색한 후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각각의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는 BD Biosciences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qRT-PCR 결과와 동일하게 CnT30 배지를 이용하여 분화시킨 세포의 경우 줄기 세포 마커인 ABCG2 및 p63a의 발현량은 감소되고, 각막 상피 세포 마커인 CK3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CnT30 배지를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방법으로 분리된 ABCG2+/ABCB5+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를 정상적으로 각막 상피 세포로 분화시킬 수 있다는 것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할 경우에는 분화를 억제하고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를 정상적으로 계대 배양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3. 양막 위에서의 분화 확인 각막 혼탁(corneal opacity)을 예방 및 경감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양막(amniotic membrane) 위에서도 정상적으로 분화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ABCG2+/ABCB5+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를 GFP-Lentivirus를 이용하여 감염시킨 후에 GFP가 발현되는 1.5X105세포를 양막(1cmX1cm) 위에 접종하고 CnT30 배지를 이용하여 10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CK3 마커를 염색하여 각막 상피 세포로 분화되었는지 확인하였다.그 결과는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막 위에서 배양된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는 CK3의 발현량이 증가하였으며, 이를통하여 본 발명의 ABCG2+/ABCB5+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가 양막 위에서 정상적으로 각막 상피 세포로 분화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줄기 세포를 양막 위에 배양하여 효과적으로 각막 재생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a) 각막 윤부 상피 세포(corneal limbal epithelial cells)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각막 윤부 상피 세포를 세포외기질 단백질(extracellular matrix protein)이 코팅되어 있는 플레이트에서 배양하는 단계;
    c) 상기 배양된 각막 윤부 상피 세포 중 과다 증식하는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limbal epithelial stemcells)를 분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 중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 마커를 이용하여 분화 효율이 높은 줄기 세포를 순수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각막 윤부 상피 줄기 세포의 분리 방법.
KR1020220021308A 2022-02-18 2022-02-18 각막 조직으로부터 세포외기질 환경 조성 기반 내피세포 분리 및 배양 방법 KR20230124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308A KR20230124247A (ko) 2022-02-18 2022-02-18 각막 조직으로부터 세포외기질 환경 조성 기반 내피세포 분리 및 배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308A KR20230124247A (ko) 2022-02-18 2022-02-18 각막 조직으로부터 세포외기질 환경 조성 기반 내피세포 분리 및 배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247A true KR20230124247A (ko) 2023-08-25

Family

ID=87847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308A KR20230124247A (ko) 2022-02-18 2022-02-18 각막 조직으로부터 세포외기질 환경 조성 기반 내피세포 분리 및 배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42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ortt et al. Ex vivo cultured limbal epithelial transplantation. A clinical perspective
Mimura et al. Corneal endothelial regeneration and tissue engineering
US9347041B2 (en) Method for preparing corneal endothelial cell
JP5391488B2 (ja) 接着結合を持つ細胞の増殖を刺激するRNAi方法および組成物
US10174284B2 (en) Medium, for culturing corneal endothelial cells, containing conditioned medium from mesenchymal stem cells
KR20170020527A (ko) 배양된 포유동물 윤부 줄기세포, 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의 용도
JP6637656B2 (ja) 角膜内皮細胞を含有する移植用組成物
López-Paniagua et al. Comparison of functional limbal epithelial stem cell isolation methods
De Miguel et al. Frontiers in regenerative medicine for cornea and ocular surface
Smeringaiova et al. Ex vivo expansion and characterization of human corneal endothelium for transplantation: a review
Kim et al. Establishment of Novel Limbus‐Derived, Highly Proliferative ABCG2+/ABCB5+ Limbal Epithelial Stem Cell Cultures
Chen et al. Optimization of ex vivo expansion of limbal epithelial progenitors by maintaining native niche cells on denuded amniotic membrane
Li et al. Subpopulations of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exhibit differential effects in delaying retinal degeneration
KR20230124247A (ko) 각막 조직으로부터 세포외기질 환경 조성 기반 내피세포 분리 및 배양 방법
JPWO2007091409A1 (ja) 組織幹細胞由来フィーダー細胞
WO2012149574A1 (en) Methods of isolating cells
CN106635955B (zh) 类角膜内皮细胞的获取方法
US9896657B2 (en) Method of inducing differentiation of stem cell into corneal limbal stem cell
US20220025325A1 (en) Generation and cryopreservation of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clinical grade corneal endothelial cells
KR101806001B1 (ko) 각막 윤부 줄기 세포의 분리 방법 및 대량 배양 방법
Daniele et al. Denuded Descemet’s membrane supports human embryonic stem cell-derived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 culture
CN108699526B (zh) 用于通过利用羊膜载玻片支架培养角膜缘干细胞的方法
Mathews et al. Standardizing transdifferentiation of rabbit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to corneal lineage by simulating corneo-limbal cues. J
Ho et al. Corneal Endothelium Regeneration: Future Prospects
Suresh et al. Standardization of human corneal endothelial cell isolation and the use of denuded human amniotic membrane as a scaffold for human corneal endothelial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