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201A - 스킨의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 - Google Patents

스킨의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201A
KR20230124201A KR1020220021211A KR20220021211A KR20230124201A KR 20230124201 A KR20230124201 A KR 20230124201A KR 1020220021211 A KR1020220021211 A KR 1020220021211A KR 20220021211 A KR20220021211 A KR 20220021211A KR 20230124201 A KR20230124201 A KR 20230124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outsole
shoe
fastening
mid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철
Original Assignee
박광철
주식회사 티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철, 주식회사 티비에스 filed Critical 박광철
Priority to KR102022002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4201A/ko
Publication of KR20230124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20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2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upp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0Met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6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4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between upper and sole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아웃솔의 상부에 위치하고 스킨 결착부와 체결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결착 프레임, 상기 결착 프레임의 돌출부를 노출시키는 노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를 제외한 결착 프레임을 덮도록 아웃솔과 결합되는 미드솔, 상기 미드솔과 결합되어 발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피, 및 상기 외피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착 프레임의 돌출부와 체결되는 스킨 결착부를 포함하는 스킨을 포함하는 스킨 탈부착 신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킨의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SHOES WITH DETACHABLE SKIN}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킨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하나의 신발이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성을 갖도록 할 수 있는 스킨 탈부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의 개성이 다양해지면서 패션에 대해 자신의 개성을 반영하려는 소비자의 수요가 매우 높다. 또한, 신발 제품의 성능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좋아지면서 기존 착용하던 신발의 디자인 변화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신발은 소모품으로서 쉽게 밑창이 닳거나 외피가 손상되는데 이 경우 신발을 폐기해 버리는 경우가 많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 10-2021-0067050 호는 신발 밑창이 닳아도 신발을 새로 사지 않아도 되도록 갈아 끼울 수 있는 신발 밑창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 10-2020-0073431 호는 밑창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보조장치를 설계한 신발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 10-1890349 호는 뒷굽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계한 신발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신발의 밑창이나 밑창의 굽을 탈부착할 수 있는 신발에 대한 것으로 한정되어 있다.
한편, 아웃도어 신발 제품의 경우 밑창뿐만 아니라 일부 외피의 손상으로 신발 전체를 폐기해야 하는 불합리한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신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21-0067050 호 (2021.06.08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 10-2020-0073431 호 (2020.06.24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 10-1890349 호 (2018.08.14 등록)
본 발명의 스킨 탈부착 신발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신발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아웃솔의 상부에 위치하고 스킨 결착부와 체결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결착 프레임, 상기 결착 프레임의 돌출부를 노출시키는 노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를 제외한 결착 프레임을 덮도록 아웃솔과 결합되는 미드솔, 상기 미드솔과 결합되어 발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피, 및 상기 외피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착 프레임의 돌출부와 체결되는 스킨 결착부를 포함하는 스킨을 포함하는 스킨 탈부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킨 탈부착 신발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신발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아웃솔의 상부에 위치하고 스킨 결착부와 체결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결착 프레임,
상기 결착 프레임의 돌출부를 노출시키는 노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를 제외한 결착 프레임을 덮도록 아웃솔과 결합되는 미드솔,
상기 미드솔과 결합되어 발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피, 및
상기 외피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착 프레임의 돌출부와 체결되는 스킨 결착부를 포함하는 스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킨 결착부는 미드솔과 스킨이 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돌출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킨 결착부는 미드솔과 접하는 스킨의 둘레 영역에 있어서 둘째 발가락 앞쪽, 뒤꿈치 뒤쪽, 및 발볼 양쪽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킨 결착부는 미드솔과 접하는 스킨의 둘레 영역에 있어서 뒤꿈치 양쪽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착 프레임은 탄성이 있는 금속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솔은 상기 결착 프레임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솔은 상면에 상기 결착 프레임이 놓이는 받침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틀은 결착 프레임의 돌출부에서 단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드솔의 하면에 상기 받침틀에 대응되는 도랑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솔의 바닥면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솔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드솔은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킨 탈부착 신발은 상기 스킨을 아웃솔, 미드솔, 또는 외피와 체결하는 보조체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킨 결착부는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걸림 체결을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킨은 방한 또는 방수 기능성 스킨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킨 탈부착 신발은 하나의 신발에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고, 신발의 부분 파손에 대하여 적절한 대응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 활용과 더불어 방한 및 방수 등의 부가기능을 적용하여 신발의 활용성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의 개성 표출과 동호회 등 본인이 속한 단체의 소속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탈부착 신발을 구성요소별로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탈부착 신발의 아웃솔과 결착 프레임의 구조 및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탈부착 신발의 아웃솔과 결착 프레임의 구조 및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탈부착 신발의 미드솔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탈부착 신발의 미드솔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탈부착 신발의 아웃솔, 결착 프레임, 및 미드솔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탈부착 신발의 아웃솔, 결착 프레임, 및 미드솔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탈부착 신발의 아웃솔, 결착 프레임, 및 미드솔과 이들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탈부착 신발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탈부착 신발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아래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예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설명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함유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요소(또는 구성성분) 등이 존재함을 지칭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요소 등이 존재하지 않거나 부가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스킨 탈부착 신발은 신발의 디자인 및 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탈부착 가능한 스킨(신발 외부 덮개)과의 결합을 통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이 가능하며, 또한 방한 및 방수 기능 등의 스킨을 적용하여 신발의 기능을 다양한 용도로 확장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특히 싸이클 등 스포츠 또는 아웃도어용 신발일 수 있고, 자전거용 슈즈일 경우 평페달용 슈즈 또는 클릿 슈즈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킨 탈부착 신발은 신발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100), 상기 아웃솔(10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아웃솔(1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스킨 결착부(501)와 체결되는 돌출부(201)가 형성된 결착 프레임(200), 상기 결착 프레임(200)의 돌출부(201)를 노출시키는 노출홈(301)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01)를 제외한 결착 프레임(200)을 덮도록 아웃솔(100)과 결합되는 미드솔(300), 상기 미드솔(300)과 결합되어 발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피(400), 및 상기 외피(400)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착 프레임(200)의 돌출부(201)와 체결되는 스킨 결착부(501)를 포함하는 스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스킨 탈부착 신발의 구성요소인 아웃솔과 결착 프레임을 나타내며, 도 2는 평페달형 신발의 아웃솔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고, 도 3은 클릿 슈즈의 아웃솔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저면도, (d)는 측면도와 배면도, (e)는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발의 밑창인 아웃솔(100)은 아웃솔(100) 위에 놓이는 결착 프레임(200)의 돌출부(201)에 대응되는 부분에 홈(10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솔(100)은 상면에 결착 프레임(200)이 놓이는 받침틀(102)이 형성되어, 받침틀(102) 위에 결착 프레임(20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받침틀(102)은 아웃솔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둘레에서 내측으로 1 내지 20 mm 떨어진 곳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단 결착 프레임(200)의 돌출부(201)에서 단절될 수 있다.
아웃솔(100)의 바닥면은 도 2 및 도 3의 (c)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다수 개의 돌기(10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릿 슈즈와 같이 자전거 페달과 일체화하는 장치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아웃솔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형성될 수 있고, 공지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아웃솔은 천연고무나 합성고무에 보강제와 촉진재를 배합하여 경도가 단단한 물성을 가지도록 성형한 것일 수 있다.
아웃솔(100)과 미드솔(300) 사이에 개재되는 결착 프레임(200)은 상기 아웃솔(10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돌출부(201)를 제외하고 아웃솔(100)의 둘레와 유사한 형태이나 크기는 더 작아 아웃솔(100)의 상면에 존재하고 아웃솔(100)의 바깥으로는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착 프레임(200)은 전체적인 안정성과 생산성을 고려한 기술 구조물로서, 미드솔(300)과 신발 전체의 상하좌우 밸런스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스킨(500)과 체결가능한 구조를 가져 스킨(500)을 탈부착할 수 있게 하는 구조물이다. 특히 결착 프레임(200)은 스킨 결착부(501)와 체결되는 돌출부(201)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결착 프레임은 철사 등 탄성이 있는 금속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스킨 결착부(501)와 일체화되는 경우 밴딩되어 미드솔(300)의 중간 정도에 고정이 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스킨 탈부착 신발의 구성요소인 미드솔의 구조를 나타내며, 도 4는 평페달형 신발의 미드솔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고, 도 5은 클릿 슈즈의 미드솔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저면도, (d)는 측면도와 배면도, (e)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발의 중창인 미드솔(300)은 결착 프레임(200)을 덮도록 아웃솔(100)과 결합되는 것으로, 이때 미드솔(300)은 상기 결착 프레임(200)의 돌출부(201)를 노출시키는 노출홈(301)이 형성되어 결착 프레임(200)의 돌출부(201)는 상기 노출홈(301)을 통해 노출되어 스킨 결착부(501)와 체결될 수 있다. 미드솔(300)과 아웃솔(100)의 결합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c)를 참조하면, 상기 미드솔(300)의 저면에는 상기 받침틀(102)에 대응되는 도랑(30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받침틀(102)과 받침틀(102)에 놓인 결착 프레임(200)이 삽입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 각각의 (A)와 (B)는 모두 아웃솔, 결착 프레임, 및 미드솔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6은 평페달용 신발일 수 있고 도 7은 클릿 형태의 신발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8은 아웃솔, 결착 프레임, 및 미드솔과 이들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웃솔, 결착 프레임, 및 미드솔은 순차로 적층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결합 후에는 돌출부를 제외한 결착 프레임은 외관으로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
미드솔의 소재는 공지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폴리우레탄(PU)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EVA)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PU 또는 EVA 컴파운드를 인젝션 사출기로 가압 발포하여 조형할 수 있다.
상기 미드솔(300)과 결합되는 외피(400)는 발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신발의 기능 또는 디자인에 따라 부가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외피(400)는 신발 사용자의 발에 적당히 고정되도록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는 다이얼 등의 장치, 벨크로, 밴딩, 신발끈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스킨(500)은 외피(4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신발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다양한 디자인 또는 기능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킨 탈부착 신발은 상기 스킨을 자유롭게 탈부착할 수 있는 것으로 스킨의 교체를 통해 신발을 새로 사지 않고 간단한 방법으로 새로운 외관을 가질 수 있어 경제적이고,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거나 방한, 방서, 방수 등 기능성 스킨으로 교체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기능성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스킨 탈부착 신발의 일 실시예로서 스킨에 따라 다양한 외관의 신발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도 9는 평페달용 신발로서 스킨이 메쉬타입인 것을 나타내며, 도 10은 클릿 슈즈로서 스킨이 외피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신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스킨(500)은 스킨 결착부(501)를 가져 아웃솔(100)과 미드솔(300) 사이의 결착 프레임(200)과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착 프레임(200)은 스킨 결착부(501)와 체결할 수 있도록 미드솔(300)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노출된 돌출부(201)를 가지며 이를 통해 스킨 결착부(501)와 체결이 가능하다.
스킨 결착부(501)는 미드솔(300)과 스킨(500)이 접하는 부위로부터 상기 돌출부(201)까지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나 특히 스킨 결착부(501)에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01) 프레임에 걸도록 함으로써 걸림 체결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킨 결착부(501)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3 내지 6 개 있을 수 있다. 특히 스킨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스킨 결착부(501)는 미드솔(300)과 접하는 스킨(500)의 둘레 영역에 있어서 둘째 발가락 앞쪽, 뒤꿈치 뒤쪽, 및 발볼 양쪽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킨 결착부(501)는 미드솔(300)과 접하는 스킨(500)의 둘레 영역에 있어서 뒤꿈치 양쪽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킨 탈부착 신발은 스킨(500)이 신발과 일체화되기 위하여 스킨 결착부(501) 외에 추가의 보조체결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스킨(500)을 아웃솔(100), 미드솔(300), 또는 외피(400)와 체결하는 보조체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체결장치는 스킨을 신발에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한정되지 않으며, 일 실시예로서 도 10에 나타난 신발의 뒤축에 구비된 걸림끈과 걸림고리로 구성된 체결장치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아웃솔
101 돌기
102 받침틀
103 홈
200 결착 프레임
201 돌출부
300 미드솔
301 노출홈
302 도랑
400 외피
500 스킨
501 스킨 결착부

Claims (6)

  1. 신발의 바닥을 이루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아웃솔의 상부에 위치하고 스킨 결착부와 체결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결착 프레임,
    상기 결착 프레임의 돌출부를 노출시키는 노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를 제외한 결착 프레임을 덮도록 아웃솔과 결합되는 미드솔,
    상기 미드솔과 결합되어 발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피, 및
    상기 외피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착 프레임의 돌출부와 체결되는 스킨 결착부를 포함하는 스킨을 포함하는, 스킨 탈부착 신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착 프레임은 탄성이 있는 금속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탈부착 신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상기 결착 프레임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탈부착 신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의 바닥면은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탈부착 신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킨을 아웃솔, 미드솔, 또는 외피와 체결하는 보조체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탈부착 신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킨은 방한 또는 방수 기능성 스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탈부착 신발.

KR1020220021211A 2022-02-18 2022-02-18 스킨의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 KR20230124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211A KR20230124201A (ko) 2022-02-18 2022-02-18 스킨의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211A KR20230124201A (ko) 2022-02-18 2022-02-18 스킨의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201A true KR20230124201A (ko) 2023-08-25

Family

ID=8784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211A KR20230124201A (ko) 2022-02-18 2022-02-18 스킨의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420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349B1 (ko) 2017-12-12 2018-08-21 최한나 뒷굽의 탈착이 가능한 슈즈
KR20200073431A (ko) 2018-12-14 2020-06-24 김기태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신발
KR20210067050A (ko) 2019-11-29 2021-06-08 허예준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 밑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349B1 (ko) 2017-12-12 2018-08-21 최한나 뒷굽의 탈착이 가능한 슈즈
KR20200073431A (ko) 2018-12-14 2020-06-24 김기태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신발
KR20210067050A (ko) 2019-11-29 2021-06-08 허예준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 밑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1585B2 (en) 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a plurality of strips
JP5417042B2 (ja) つま先保護サンダル
US6836979B2 (en) Shoe structure
US7685739B2 (en) Convertible dance shoe
JP6014146B2 (ja) スポーツブーツ
WO2006014776A1 (en) Cleated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233848B1 (en) Sports boot having a rigid frame and cover
JP2007307378A (ja) 履物の構造
US20210127779A1 (en) Customizable footwear
CN111163659A (zh) 模块化鞋系统
US11160326B2 (en) Component shoe
US20110179671A1 (en) Reconfigurable footwear
US20180055138A1 (en) Shoe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KR20230124201A (ko) 스킨의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
US20130104424A1 (en) Heel-less footwear
KR102060454B1 (ko) 휴대가 용이한 신발용 투명 방수 커버
KR20070109967A (ko) 반달운동화
CN211211624U (zh) 一种女鞋
US20220273068A1 (en) Footwear with interchangeable member
KR102068301B1 (ko) 자가조립식 신발
KR101067487B1 (ko) 등산화용 발가락 보호대
US10683063B2 (en) Modular component wakeboard binding
KR200364422Y1 (ko) 발 걸레
KR200466029Y1 (ko) 샌들기능을 갖는 슬리퍼
JP2005312854A (ja) 甲皮となるストラップを着脱し、簡便容易に履き口を調節できるスリッパ底部又はサンダル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