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198A -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198A
KR20230124198A KR1020220021208A KR20220021208A KR20230124198A KR 20230124198 A KR20230124198 A KR 20230124198A KR 1020220021208 A KR1020220021208 A KR 1020220021208A KR 20220021208 A KR20220021208 A KR 20220021208A KR 20230124198 A KR20230124198 A KR 20230124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l network
smart
smart plug
data
plu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삼
박정근
김정환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21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4198A/ko
Publication of KR20230124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1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7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04L12/417Bus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with deterministic access, e.g. token pa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52Lookup mechanisms between a plurality of directories; Synchronisation of directories, e.g. metadirect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중계 단말을 중심으로 형성된 로컬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테이터를 공유하는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및 상기 중계 단말을 통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접근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일한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수의 스마트플러그가 쉽게 데이터를 공유하고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LOCAL NETWORK BASED SMART PLUG SYSTEM FOR DATA SHARING}
본 발명은 스마트플러그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한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수의 스마트플러그가 쉽게 데이터를 공유하고 제어할 수 있는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4차산업혁명으로 각종 전자제품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한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들이 점점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이러한 기기들은 농장, 공장, 도시 및 가정의 자동화 추세와 맞물려 에너지관리, 편의성 증대, 안전관리, 작업 효율 증대 등을 목적으로 많은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IoT 기기들은 현재 주로 냉장고, 공기청정기, 보일러, 에어컨 등의 가전제품에 빌트인 형식으로 탑재되어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가정 이외의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하기에는 제한적인 경우가 많고 특정 상황을 감지할 센서의 역할도 한정적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IoT 기기들은 아직까지 많이 보급될 정도로 가격이 저렴하지 않다.
그 중에 스마트플러그는 IoT 기능을 내장하지 않은 재래식 전자기기들을 원격으로 켜거나 끌 수 있게 함으로써 제한적으로나마 IoT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장치는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기기의 전력계측 및 대기전력 차단 등의 기능을 내장하여 에너지 관리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외부 센서를 이용하여 주택에서 사람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거나 블루투스로 연결된 스마트폰의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 가정하여 에너지를 관리하는 방법이 수행되었다. 그리고, 전기매트 등의 전열기구에 온도 센서를 부착하여 스마트플러그를 통해 정밀 온도 제어를 수행하여 개별 기기의 에너지를 절약하는 방안도 연구되었다
이 외에 공장 등에서 스마트플러그에 내장한 전류 및 환경 센서로 측정한 3상 전력 및 환경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기 오작동 등으로 인한 위험상황이나 고장을 분석해 내거나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한 노드를 회피하는 방법이 있다. 여러 대의 스마트플러그들을 사용할 경우 많은 양의 Wi-Fi 통신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ZigBee를 사용하여 각 스마트플러그의 데이터를 취합 후 한 대의 스마트플러그에서만 Wi-Fi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안도 고려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은 내장된 센서가 없이 외부 센서에만 의존하거나 특정 목적으로만 만들어져 범용성이 떨어지고 통신장비의 성능의 한계로 한 그룹에 연결할 수 있는 스마트플러그의 대수에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34239호 (2018.02.26)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동일한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수의 스마트플러그가 쉽게 데이터를 공유하고 제어할 수 있는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은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중계 단말을 중심으로 형성된 로컬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테이터를 공유하는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및 상기 중계 단말을 통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접근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각각은 동작 상태의 활성화를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 상기 전력을 공급받아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부하 모듈; 상기 동작 상태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부하 모듈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전원 모듈 및 상기 부하 모듈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을 중계하는 릴레이 모듈;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하는 통신 모듈; 및 온도 및 습도 센서로 구성된 제1 센서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추가 센서로 구성된 제2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각각은 특정 시간을 초과하여 외부와의 통신이 없는 경우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부하 모듈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각각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이 검출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토큰(token)을 수신하여 상기 동작 상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각각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 특정 프로토콜을 통해 IP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파하고, 상기 특정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응답 메시지의 IP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공유 테이블을 갱신하고, 상기 데이터 공유 테이블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각각은 상기 응답 메시지의 수신 여부에 따라 마스터(master) 노드 또는 슬레이브(slave) 노드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공유 테이블과 연결된 메모리 상에 저장하고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데이터 공유 테이블의 각 IP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각각은 상기 로컬 네트워크 상의 다른 스마트플러그로부터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공유 테이블의 해당 IP 주소와 연결된 메모리 상에 저장하여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중계 단말의 중계없이 상기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접근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중계 단말을 통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접근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연결된 스마트플러그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직접 수집하는 외부 IoT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은 동일한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수의 스마트플러그가 쉽게 데이터를 공유하고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플러그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플러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플러그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플러그의 연결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플러그의 데이터 공유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플러그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플러그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플러그(100)는 센서를 통해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로컬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센서 테이터를 공유하도록 구현된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스마트플러그(100)는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플러그(100)는 전원 모듈(110), 부하 모듈(120), 제어 모듈/통신 모듈(130), 릴레이 모듈(140) 및 센서 모듈(15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원 모듈(110)은 스마트플러그(10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모듈(110)은 스마트플러그(100)가 독립적인 장치로서 동작하고 필요에 따라 전력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모듈(110)은 스마트플러그(10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부하 모듈(120)은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 에너지를 소모하는 다양한 부하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 모듈(120)은 난방기, 송풍기 등의 가전제품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부하 모듈(120)은 전력을 공급받아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다양한 부하들 중에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하 모듈(120)은 전력을 소모하는 외부 장치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하 모듈(120)은 외부 장치와의 연동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모듈/통신 모듈(130)은 스마트플러그(100)의 동작 상태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동작 상태에 따라 부하 모듈(12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 생성하는 제어 모듈과 로컬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어 모듈과 통신 모듈을 하나의 모듈로서 표현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 모듈과 통신 모듈은 각각의 독립된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릴레이 모듈(140)은 전원 모듈(110) 및 부하 모듈(120)과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 모듈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력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릴레이 모듈(140)은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모듈(11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부하 모듈(12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 모듈(140)은 교류 220V 전원을 이용하여 부하 모듈(120)의 동작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다.
센서 모듈(150)은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각 센서에 의해 측정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 모듈(150)은 온도 및 습도 센서로 구성된 제1 센서(150a)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추가 센서로 구성된 제2 센서(150b)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센서(150a)와 제2 센서(150b)는 독립된 형태로 구현되어 센서 모듈(15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제2 센서(150b)는 스마트플러그(100)의 동작 환경이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플러그(100)는 특정 시간을 초과하여 외부와의 통신이 없는 경우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하고 부하 모듈(12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스마트플러그(100)는 장시간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플러그(100)는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결되어 활성화되지 않을 경우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플러그(100)는 동작 상태에 따른 동작 모드를 독립적으로 정의하고, 각 동작 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상태에 따른 동작 모드는 활성 모드 및 차단 모드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플러그(10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주기에 따라 데이터를 외부 IoT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만약 일정시간 이상 서버와의 통신이 끊기는 경우 차단 모드로 전환되어 부하 모듈(12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플러그(100)는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이 검출된 경우 사용자 단말로부터 토큰(token)을 수신하여 동작 상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토큰(token)은 스마트플러그(100)의 동작 상태를 변경하는 일련의 비트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스마트플러그(100)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토큰(token)이 전달될 수 있다. 즉, 스마트플러그(100)는 Wi-Fi Direct를 통해 어플리케이션과 직접 연결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토큰을 자동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플러그(100)가 연결해야 할 네트워크의 SSID와 비밀번호 정보가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면 스마트플러그(100)는 활성화되어 재시작될 수 있다. 즉, 스마트플러그(100)는 재시작에 의해 새롭게 설정된 조건에 따라 중계 단말(예를 들어, Wi-Fi AP)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플러그(100)는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최대 10Hz 주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플러그(100)는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과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간마다 센서 데이터를 읽고 외부 IoT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스마트플러그(100)에서 발생시키는 heartbeat를 이용하여 스마트플러그(100)가 정상 동작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플러그(100)는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 특정 프로토콜을 통해 IP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파하고, 특정 프로토콜을 통해 프로토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며, 응답 메시지의 IP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공유 테이블을 갱신하고, 데이터 공유 테이블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 공유 테이블은 스마트플러그(100) 내에 구축된 데이터 구조에 해당할 수 있으며, 로컬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다른 스마트플러그(100)들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플러그(100)가 로컬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로컬 네트워크 상에서 자신의 정보를 전파하여 다른 스마트플러그(100)들이 인식하여 관련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스마트플러그(100)는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특정 프로토콜을 통해 자신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플러그(100)는 특정 프로토콜을 통한 응답 메시지의 수신 여부에 따라 마스터(master) 노드 또는 슬레이브(slave) 노드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마스터 노드는 로컬 네트워크의 전체 노드들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스마트플러그에 해당할 수 있으며, 슬레이브 노드는 마스터 노드 이외의 스마트플러그에 해당할 수 있다. 스마트플러그(100)의 연결 과정에 대해서는, 도 4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플러그(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데이터를 데이터 공유 테이블과 연결된 메모리 상에 저장하고 설정된 주기마다 데이터 공유 테이블의 각 IP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플러그(100)는 로컬 네트워크 상의 다른 스마트플러그로부터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데이터 공유 테이블의 해당 IP 주소와 연결된 메모리 상에 저장하여 갱신할 수 있다. 스마트플러그(100)의 데이터 공유 과정에 대해서는, 도 5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플러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플러그 시스템(200)은 복수의 스마트플러그(100)들 및 하나의 중계 단말(210)을 포함하여 로컬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스마트플러그(100)들 각각은 중계 단말(2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중계 단말(210)을 통해 다른 스마트플러그(100)들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각각의 스마트플러그(100)는 주변에 존재하는 중계 단말(210)(예를 들어, WiFi AP)에 연결되면 자동으로 자신의 네트워크 정보를 로컬 네트워크에 공유할 수 있고, 로컬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다른 스마트플러그(100)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플러그(100)는 수집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센서 모듈(150)을 통해 측정된 센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고, 공유되는 센서 데이터를 기초로 연결된 부하 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독립된 모듈로서 제어 모듈/통신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200)은 복수의 스마트플러그(100)들 만을 포함하여 로컬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스마트플러그 시스템(200)은 중계 단말(210)을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로컬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계 단말(210)은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을 중계하는 WiFi AP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로컬 네트워크에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중계 단말(210)이 포함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하나의 로컬 네트워크 내에 다수의 중계 단말(210)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중계 단말(210)을 통해 복수의 로컬 네트워크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스마트플러그(100)가 다수의 로컬 네트워크에 중복적으로 참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200)은 로컬 네트워크에 대해 특정 스마트플러그(100)의 접근이 검출된 경우 해당 스마트플러그(100)의 참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로컬 네트워크의 참여는 스마트플러그(100)들 간의 메시지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스마트플러그 시스템(200)이 중계 단말(210)을 통해 소정의 참여 규칙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계 단말(210)과의 네트워크 통신 세기가 기 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이거나, 또는 로컬 네트워크에 참여한 스마트플러그(100)들의 개수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스마트플러그(100)의 참여가 제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200)은 중계 단말(210)을 통해 스마트플러그(100)의 접속이 감지되고 해당 중계 단말(210)에 다수의 로컬 네트워크들이 정의된 경우, 다수의 로컬 네트워크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스마트플러그(100)를 참여시킬 수 있다. 즉, 중계 단말(210)은 로컬 네트워크마다 스마트플러그(100)에 대한 참여 규칙을 설정할 수 있으며, 특정 스마트플러그(100)의 접속이 감지되면 현재 생성된 로컬 네트워크들 중에서 참여 규칙을 만족하는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해당 스마트플러그(100)의 참여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200)은 중계 단말(210)을 통해 특정 스마트플러그(100)가 참여하는 로컬 네트워크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여 개수의 제한이 존재하는 로컬 네트워크에 보다 적합한 스마트플러그(100)가 접근하는 경우, 중계 단말(210)은 현재 참여 중인 스마트플러그(100)들 중에서 하나를 제외시키고 보다 적합한 스마트플러그(100)가 해당 로컬 네트워크에 참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플러그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플러그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플러그(100)와 중계 단말(210)을 통해 로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200)은 중계 단말(210)을 통해 외부 IoT 서버(3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 IoT 서버(310)는 사용자 단말(330)과 연결될 수 있다.
외부 IoT 서버(310)는 연결된 사용자 설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스마트플러그(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330) 등에서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명령을 스마트플러그(10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외부 IoT 서버(310)는 상용 IoT 플랫폼 서버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IoT 서버(310)는 Blynk를 통해 구현될 수 있고, HTTP 프로토콜을 활용하기 위하여 HTTP REST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30)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로컬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로컬 네트워크 상의 스마트플러그(100)들이 수집한 센서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관련 통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센서 동작이나 네트워크 환경에 관한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330)은 중계 단말(210)의 중계없이 복수의 스마트플러그(100)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에 접근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컬 네트워크는 중계 단말(210)없이 스마트플러그(100)들 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330)은 스마트플러그(100)와 직접 통신하여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로컬 네트워크 상에 중계 단말(210)이 참여한 상태에서도 사용자 단말(330)은 스마트플러그(100)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중계 단말(210) 또는 외부 IoT 서버(310)로부터 소정의 접근 권한을 사전에 부여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플러그(100)는 Wi-Fi를 지원하는 NodeMCU(ESP8266)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해당 마이크로컨트롤러는 Wi-Fi 이더넷 모듈을 내장하고 있으며 12개의 GPIO 포트와 1개의 SPI 포트, 1개의 I2C 포트 및 2개의 UART 포트 등의 임베디드 통신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마이크로컨트롤러는 다수의 오픈소스 라이브러리가 존재하는 점에서 사용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스마트플러그(100)는 NodeMCU에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HS3004센서가 I2C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외에도 다른 목적을 위해 추가적인 센서가 탑재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출력은 마이크로컨트롤러가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릴레이 소자를 구동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컨트롤러가 켜지지 않았거나 정상적인 신호가 오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기본적으로 차단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릴레이 소자에서 허용하는 정격전류는 15 A일 수 있다.
전원부는 Texas Instruments 사의 TPS64203DBV 소자를 활용하여 교류전원 220 V에서 먼저 12 V 전원을 획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을 위하여 전원분리를 위한 트랜스포머는 포함시키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획득된 12 V 전원은 릴레이 구동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12 V 전원은 전압강하 레귤레이터를 통해 3.3 V로 변환된 후 NodeMCU와 센서를 구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부하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도록 15 A 정격퓨즈가 추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플러그의 연결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플러그 시스템(200)은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100a, 100b)과 중계 단말을 통해 로컬 네트워크(410)를 형성할 수 있다. 각 스마트플러그는 중계 단말을 통해 다른 스마트플러그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중계 단말없이 스마트플러그들(100a, 100b)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제1 스마트플러그(100a)는 로컬 네트워크(410)에 접속하는 경우 프로토콜을 통해 네트워크 정보(IP1)를 로컬 네트워크(410)에 전파(advertising)할 수 있다. 여기에서, 네트워크 정보에는 IP 주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프로토콜은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이 사용될 수 있다. 만약 로컬 네트워크(410)에 연결된 장치가 없는 경우 자동적으로 가장 우선적으로 접속한 제1 스마트플러그(100a)가 마스터(Master)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제2 스마트플러그(100b)가 로컬 네트워크(410)에 접속하는 경우 SSDP 프로토콜을 통해 네트워크 정보(IP2)를 로컬 네트워크(410)에 전파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마트플러그(100a)는 제2 스마트플러그(100b)의 SSDP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 공유 테이블에 제2 스마트플러그(100b)의 IP 주소(IP2)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마트플러그(100a)는 SSDP 프로토콜을 통해 네트워크 정보(IP1)를 전파할 수 있으며, 제2 스마트플러그(100b)는 제1 스마트플러그(100a)의 SSDP 메시지를 수신하여 데이터 공유 테이블에 제1 스마트플러그(100a)의 IP 주소(IP1)를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제2 스마트플러그(100b)는 제1 스마트플러그(100a)의 데이터를 수신한 결과 슬레이브(Slave)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로컬 네트워크(410)에 새로운 스마트플러그가 참여할 때마다 동일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로컬 네트워크(410)에 참여한 스마트플러그들 간에도 주기적으로 전파 동작이 수행됨으로써 데이터 공유 테이블의 IP 정보가 최신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플러그의 데이터 공유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로컬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각 스마트플러그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510)와 데이터 공유 테이블(5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공유 테이블(530)은 각 스마트플러그의 센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연결될 수 있다. 즉, 각 스마트플러그는 센서 데이터 획득 시 데이터 공유 테이블(530) 상에서 자신에 해당하는 메모리에 센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플러그는 설정된 주기마다 데이터 공유 테이블(530)의 IP 주소에 따라 센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데이터의 전송에는 UPnP 프로토콜 또는 사용자 정의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플러그는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공유 테이블(530)의 해당 IP 주소에 해당하는 메모리에 센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제1 스마트플러그(100a)는 데이터 공유 테이블(530) 상의 IP 주소인 IP2에 따라 제2 스마트플러그(100b)에게 자신의 센서 데이터(Sensor11)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스마트플러그(100b)는 제1 스마트플러그(100a)로부터 센서 데이터(Sensor11)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공유 테이블의 'IP addr' = IP1인 'Sensor Data'의 Sensor11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스마트플러그 시스템(200)은 데이터 취합 및 필터 알고리즘의 동작 주기마다 저장된 각 스마트플러그의 센서 데이터를 취합하여 최신 센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터(Master)인 제1 스마트플러그(100a)에서 갱신된 최신 센서 취합 데이터는 데이터 공유 테이블(530)의 IP 주소 정보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로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슬레이브(Slave)인 제2 스마트플러그(100b)는 수신한 최신 센서 취합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공유 테이블(530)을 갱신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수신 주기는 데이터를 취합 및 필터 알고리즘 동작 주기보다 빠르거나 동기화 가능한 정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모든 스마트플러그는 같은 데이터 취합 및 필터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의 연결이 불안정한 경우에도 동작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플러그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플러그 시스템(200)은 스마트플러그들 간의 로컬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플러그는 독립적인 장치로서 구현되고 다른 스마트플러그와의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로컬 네트워크를 독립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로컬 네트워크의 생성 과정은 스마트플러그의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단계 S610). 예를 들어, 스마트플러그는 동작 상태를 활성화하여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WiFi AP에 접속한 경우 WiFi AP를 중심으로 형성된 로컬 네트워크가 생성될 수 있다. 만약 WiFi AP 없이 다른 스마트플러그와 직접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경우 해당 스마트플러그 사이에 로컬 네트워크가 생성될 수도 있다.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한 스마트플러그는 자신의 IP 정보를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할 수 있다(단계 S630). 로컬 네트워크 상에 다른 스마트플러그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스마트플러그는 전파된 IP 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의 데이터 공유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단계 S650). 이후, 로컬 네트워크 상의 스마트플러그들은 독립적인 설정 주기에 따라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스마트플러그들과 공유할 수 있다(단계 S670).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플러그 시스템(200)은 스마트플러그들 간의 로컬 네트워크를 구현하고 스마트플러그들 간의 데이터 공유를 통해 IoT 환경에서 효과적인 시스템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플러그는 계절별로 온도 및 습도 차이가 심한 지역에서 동파나 과열 등과 같은 범용적인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온도 및 습도 센서를 내장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스마트플러그들 간의 로컬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다수의 스마트플러그들을 통해 온도 및 습도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스마트팜이나 스마트공장 등에서 온도 및 습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플러그 시스템(200)은 다양한 센서 데이터를 통해 환경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모니터링과 제어를 원격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스마트플러그가 형성하는 로컬 네트워크에 원격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스마트플러그와 통신이나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스마트플러그
100a, 100b: 제1 및 제2 스마트플러그
110: 전원 모듈 120: 부하 모듈
130: 제어 모듈/통신 모듈 140: 릴레이 모듈
150: 센서 모듈
200: 스마트플러그 시스템 210: 중계 단말
310: 외부 IoT 서버 330: 사용자 단말
410: 로컬 네트워크
510: 센서 530: 데이터 공유 테이블

Claims (10)

  1.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중계 단말을 중심으로 형성된 로컬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테이터를 공유하는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및
    상기 중계 단말을 통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접근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각각은
    동작 상태의 활성화를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
    상기 전력을 공급받아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부하 모듈;
    상기 동작 상태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부하 모듈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전원 모듈 및 상기 부하 모듈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을 중계하는 릴레이 모듈;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하는 통신 모듈; 및
    온도 및 습도 센서로 구성된 제1 센서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추가 센서로 구성된 제2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각각은
    특정 시간을 초과하여 외부와의 통신이 없는 경우 동작 상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부하 모듈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각각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이 검출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토큰(token)을 수신하여 상기 동작 상태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각각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 특정 프로토콜을 통해 IP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파하고,
    상기 특정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응답 메시지의 IP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공유 테이블을 갱신하고,
    상기 데이터 공유 테이블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각각은
    상기 응답 메시지의 수신 여부에 따라 마스터(master) 노드 또는 슬레이브(slave) 노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공유 테이블과 연결된 메모리 상에 저장하고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데이터 공유 테이블의 각 IP 주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각각은
    상기 로컬 네트워크 상의 다른 스마트플러그로부터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공유 테이블의 해당 IP 주소와 연결된 메모리 상에 저장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중계 단말의 중계없이 상기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말을 통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접근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플러그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연결된 스마트플러그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직접 수집하는 외부 IoT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
KR1020220021208A 2022-02-18 2022-02-18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 KR20230124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208A KR20230124198A (ko) 2022-02-18 2022-02-18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208A KR20230124198A (ko) 2022-02-18 2022-02-18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198A true KR20230124198A (ko) 2023-08-25

Family

ID=8784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208A KR20230124198A (ko) 2022-02-18 2022-02-18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419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239B1 (ko) 2016-06-23 2018-03-05 주식회사 케이벨 스마트 플러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239B1 (ko) 2016-06-23 2018-03-05 주식회사 케이벨 스마트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2651B2 (en) Smart-home proxy devices with long-polling
US11018510B2 (en) Configurable mesh network for an electrical switching system
JP6257763B2 (ja) 分岐プロセッサハザード検出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748975B1 (en) Electrical lighting system power control
EP3216043B1 (en) Configurable mesh network for an electrical switching system
Marchiori et al. Distributed wireless control for building energy management?
AU20172438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network and device discovery
EP2903216B1 (e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EP2693693A1 (en) Home electric appliance control apparatus, home electric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home electric appliance control method
EP2582210A1 (en) Intelligent power controlling system
DK3210273T3 (en) CONTROL OF POWER CONSUMPTION IN APPLIANCES
JP2016158492A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8510597A (ja) 電力供給を制御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592810B1 (en) Terminal instrumentation node for a self-configuring and a secure building automation system
JP6985938B2 (ja) ネットワーク配電システムのコミッショニング支援
KR20230124198A (ko) 로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 공유 가능한 스마트플러그 시스템
Alkar et al. Web based ZigBee enabled home automation system
EP426477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motely controlling smart electrical switches and associated devices using analytics
JP4720447B2 (ja) 電力監視システム
JP2017175828A (ja) 通信アダプタ装置
KR20080082516A (ko) 링킹 유틸리티 제어 장치에 대한 시스템 및 방법
CN205160552U (zh) 基于广电网络的智能家居终端
CN217484747U (zh) 一种基于BACnet协议的控制装置及控制系统
US9454217B1 (en) Monitoring, controlling and reducing vampire power using a central controller in a network of power switch routers
JP2003322336A (ja) 燃焼機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