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3796A -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3796A
KR20230123796A KR1020220021020A KR20220021020A KR20230123796A KR 20230123796 A KR20230123796 A KR 20230123796A KR 1020220021020 A KR1020220021020 A KR 1020220021020A KR 20220021020 A KR20220021020 A KR 20220021020A KR 20230123796 A KR20230123796 A KR 20230123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control
electronic device
monitoring
device spec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1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3796A/ko
Priority to PCT/KR2022/020198 priority patent/WO2023158074A1/ko
Publication of KR20230123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a format for calling an appliance service function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2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은 전자장치가 서버로부터 제1장치명세서를 수신하는 단계와 전자장치가 서버에게 제1장치명세서에서 정의한 규칙에 따라 생성된 제1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DEVICE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BASED ON DEVICE SPECIFCATION AND METHOD OF DETECTING THEREOF}
본 발명은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전자제품은 다양한 환경에 배치되어 동작하며 제품 출하 시점을 기준으로 제품의 구조나 구성요소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의 경우 사용자의 잦은 온/오프가 발생할 경우 전원 연결부에서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에어컨과 같이 외부의 실외기와 기계적/화학적/물리적 구성요소들에 기반하여 동작할 경우 동작 과정에서 이상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냉장고는 사용 빈도가 매우 높은 장치라는 점에서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냉장고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으며, 냉매의 변화 혹은 컴프레셔의 변화 등 다양한 이상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가전제품들은 한번 배치되면 쉽게 교체되지 않으며 크기와 무게로 인해 사용자가 이를 쉽게 외부로 이동시키기도 어렵다는 점에서 제품 출하 후 기능을 업데이트하거나 제품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또는 원격에서 제어하는 것에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가전제품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인해 기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들이 요청되고 있다.
본 명세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전기기들의 모니터링과 제어를 원격에서 설정하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가전기기들의 모니터링과 제어를 위한 정보의 전달이나 기기의 설정 방식이 신뢰성에 기반하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가전기기에 설정되어 장치를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정보가 쉽게 교체되도록 하여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는 인증서 및 제1장치명세서를 저장하는 서버저장모듈과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와 보안 연결을 수행하고 제1장치명세서를 전자장치에게 전송한 후 전자장치로부터 제1장치명세서에서 정의한 규칙에 따라 생성된 제1데이터 셋을 수신하는 서버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전자장치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1장치명세서를 저장하는 장치저장모듈과 제1장치명세서에서 정의한 모니터링 규칙에 따라 모니터링을 수행한 후 제1데이터 셋을 생성하여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장치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장치는 인증서를 저장하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1장치명세서를 저장하는 장치저장모듈과 서버와 인증서를 이용하여 보안 연결을 수행하고 제1장치명세서에서 정의한 제어 규칙을 실행한 후 상기 실행에 대한 제1실행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에게 전송하는 장치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은 전자장치가 서버로부터 제1장치명세서를 수신하는 단계와 전자장치가 서버에게 제1장치명세서에서 정의한 규칙에 따라 생성된 제1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가전기기들의 모니터링과 제어를 원격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가전기기들의 모니터링과 제어를 위한 정보의 전달이나 기기의 설정 방식이 신뢰성에 기반하도록 구현하여 해킹 위협 없이 기기를 모니터링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가전기기에 설정되어 장치를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정보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대응 또는 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를 쉽게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명세서가 배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명세서를 적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가 인증서 및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와 서버 사이의 모니터링 및 제어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명세서의 모니터링 규칙을 적용하여 제품을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명세서의 제어 규칙을 적용하여 제품을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명세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외부 장치에서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에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경우 장치명세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부 장치가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전자장치는 가전제품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전자장치는 가전제품의 지속적인 기능 확정을 가능하게 하는 입출력 표준 인터페이스인 DXI(Digital Transformation Interface/Information)가 적용된다. 그 결과 전자장치의 진단, 모니터링, 제어 등을 원격에서 수행함에 있어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가 가정, 사무실 등에 설치된 후에 사용자의 사용행동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기능을 제공하거나 업그레이더블(upgradable)한 제품 기능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에 기반할 수 있다.
가전제품 등 전자장치를 제조한 제조사 또는 전자장치의 지속적인 성능 향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들은 전자장치의 효율적인 성능 향상을 위해, 제품 상태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나 모니터링/진단/제어 툴 등은 진단과 모니터링에 필요한 로직을 가전제품으로 전송한 뒤 서버나 전자장치가 해당 로직을 처리한다.
이후, 로직 처리 결과 가전제품은 소정이 값을 설정하거나 제어를 수행한 결과값 등의 피드백을 서버, 모니터링/진단/제어 툴 등에게 전송한다. 이때, 가전제품의 입/출력(진단/모니터링/제어)을 표준화시켜 제품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제품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려면 해당 제품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교체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이는 소프트웨어를 교체하는 담당자가 직접 방문하거나, 사용자가 소정의 가이드를 숙지한 후 직접 소프트웨어의 교체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했다. 종래의 방식은 교체 비용의 증가와 불편함을 야기하였고 결과적으로 출시된 제품의 기능 향상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명세서는 제품에 대한 명세서(이하 장치명세서, device specification)를 바탕으로, 전자장치들이 정밀하게 진단/모니터링/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전자장치들은 미리 정의한 규칙을 통해 특정 상태, 특정 시간에 정의된 규칙을 실행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전제품이 출시된 후에도,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적용하여 전자장치의 다양한 서비스/앱/툴을 개발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의 물리적 교체 없이도 제품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전자장치를 진단하거나 모니터링하거나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는 인증된 서비스, 앱, 툴 등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제품의 상태를 진단/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서버가 할당 받은 권한에 따라 안정적으로 장치들을 제어(control)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제품의 출하 후에도 다양한 응용솔루션 개발이 가능하도록 룰(rule) 기반의 모니터링 및 제어을 제공하고 제품의 저장소에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서버(300)는 장치명세서(제품 명세서)와 인증서를 저장한다.
전자장치(200)는 가전제품 등을 포함하며, 서버(300)에 접속하여 장치명세서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전자장치(200)는 사용자의 주거 공간이나 사무 공간 등에 설치되어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가전 제품 또는 전자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장치(200)는 냉장고, TV, 세탁기, 건조기, 공기 조화기, 공기 청정기, 의료 관리기, 전자 레인지, 전기 레인지, 오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나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200)는 시각적 또는 청각적 정보 출력을 통해 사용자에게 진단/모니터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설치된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진단, 또는 제어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300)는 장치명세서 및 인증서를 보관하는 모듈과 이들 장치명세서 및 인증서를 제공하는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구현 방식에 따라서 모듈은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며 이 경우 서버(300)는 둘 이상의 장치(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00)는 서버군으로 동작하고 서버군은 다시 하위의 다수의 서버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서버(300)는 전자장치(200)를 원격에서 관리하거나 모니터링,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다. 서버(300)는 통신망을 통해 전자장치(20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더불어 외부장치(500)와도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장치(500)와 연동하여 전자장치(200)를 모니터링, 제어, 진단 등을 할 수 있다.
서버(300)는 미리 설정된 다운로드 방식 또는 저장 메커니즘 등에 따라 전자장치(200)에게 장치 명세서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전자장치(200)의 장치명세서를 변경하여 전자장치(200)의 모니터링 및 제어 시나리오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장치(100)는 명세서를 생성하여 서버(300)에 업로드하는 장치이다. 제어장치(100)는 통상 전자장치(200)를 제조하여 관리하는 사업주체에서 관리하는 컴퓨터, 휴대폰, 태블릿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100)는 전자장치(200)들이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서버(300)에 전송한 정보들을 열람할 수 있다.
외부장치(500)는 서버(300)로부터 권한을 받았거나 전자장치(200)와 연동되어 전자장치(200)를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장치이다. 외부장치(500)는 사용자가 보유한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서, 사용자 단말(20)은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TV, 스마트 워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외부장치(500)는 외부에서 전자장치(200)에 대해 진단하거나 모니터링, 제어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장치의 일 실시예는 외부에서 전자장치(200)를 진단/모니터링/제어하는 권한을 사용자 또는 서버(300) 관리자로부터 위임받은 제3자가 소유/관리하는 별도의 외부 서버 또는 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외부장치(500)는 전자장치(200)에 설치된 장치명세서에서 정의하는 권한에 따라 전자장치(200)의 진단과 모니터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외부장치(500)는 전자장치(200)와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장치(500)는 전자장치(200)와 직접적으로 진단, 모니터링,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외부장치(500)는 서버(300)를 경유하여 전자장치(200)에 대해 진단, 모니터링,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장치(500)는 전자장치(200)와 간접적으로 진단, 모니터링,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3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서버저장모듈(310)은 인증서, 장치명세서 등을 저장한다. 장치명세서의 경우, 전자장치의 모델이나 세부모델에 따라 각각 다른 장치명세서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버저장모듈(310)은 각각의 가전제품들의 모델 또는 세부 모델에 따른 장치명세서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이들 장치명세서는 제어장치(100)에 의해 업로드/업데이트되거나 수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서버저장모듈(310)은 인증서를 저장하며 추후 장치명세서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전자장치가 서버(300)를 검증할 수 있다. 서버저장모듈(310)은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전자장치(200)의 모니터링, 제어, 진단 관련 정보인 장치 명세서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제어모듈(350)은 장치명세서(310)를 업로드하거나, 혹은 장치명세서(310)의 정의된 작업을 전자장치(200)를 대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버제어모듈(350)은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와 보안 연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장치명세서를 전자장치(200)에게 전송한 후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버제어모듈(350)은 전자장치(200)로부터 장치명세서에서 정의한 규칙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셋을 수신하는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셋의 수신에 대한 규칙은 장치명세서에 정의된다. 데이터 셋의 수신 간격, 수신 조건 등에 대한 내용 역시 장치 명세서에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모듈(350)은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장치와 보안 연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장치명세서를 전자장치(200)에게 전송한 후 장치명세서에 정의된 제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버제어모듈(350)은 전자장치(200)에게 장치명세서에서 정의한 제어 명령을 전송한 후, 전자장치(200)로부터 제어 명령의 수행 결과인 실행 결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명령의 권한이나 제어명령에 대한 세부 내용은 장치명세서에 정의된다. 또한, 제어명령은 전자장치(2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소정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2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가 업그레이드될 경우, 해당 전자장치(200)가 제공할 수 있는 제어명령 역시 추가되거나 수정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서버제어모듈(350)은 프로세서 및 내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메모리는 전자장치(200)를 모니터링, 제어, 진단하기 위한 장치명세서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서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서버제어모듈(350)과 서버저장모듈(310)은 하나의 서버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별도의 서버 장치들에 각각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모듈(350)은 전자장치의 모델이나 전자장치의 지역별 위치 등에 따라 다수 포함될 수 있다. 즉, 모듈들은 다수의 서버군에 포함되는 서버들에 분산될 수 있다. 또는 다수의 서버군들이 도 2의 모듈들을 모두 포함하며 서버로 동작할 수 있다.
서버제어모듈(350)은 하위 구성요소로 서버 통신 인터페이스(35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전자장치(200)와 데이터나 정보 또는 제어 명령을 수행한 결과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서버 통신 인터페이스(355)는 서버제어모듈(350)와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버 통신 인터페이스(355)는 전자장치(200) 및 제어장치(100), 외부장치(5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 통신 인터페이스(355)는 유선 방식 및/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방식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및 원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는 하나의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수의 서버 군의 실시예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자장치(200)는 냉장고, TV, 오븐, 가습기, 식기세척기, 건조기, 세탁기, 에어컨 등 소정의 기능을 제공하는 가전제품을 포함한다. 전자장치(200)는 소정의 기능을 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장치저장모듈(210)과 기능 제어 및 업그레이드 등을 수행하는 장치제어모듈(250)을 포함한다. 전자장치(200)의 구성은 도 3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추가 구성 요소가 전자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다.
기능부(280)는 전자장치(200)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200)가 냉장고인 경우 냉장/냉동 기능을 제공하는 컴프레서, 모터 등이 기능부(280)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전자장치(200)가 TV인 경우 LCD/OLED 등의 영상 출력부 등이 기능부(280)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전자장치(200)가 세탁기인 경우 세탁조 및 배수, 출수 등이 기능부(280)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장치제어모듈(250)은 기능부(280)를 제어하며, 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인증서 및 장치명세서를 확인하거나 수신한다.
장치제어모듈(250)은 하위 구성요소로 통신 인터페이스(25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서버(300)와 데이터나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55)의 일 실시예는 모뎀(modem)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은 로컬 버스(local bus)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장치제어모듈(250)은 전자장치(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장치제어모듈(250)은 마이컴(Micom)와 대응될 수 있다. 또는 장치제어모듈(250)은 펌웨어(firmware)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장치제어모듈(25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장치제어모듈(250)은 전자장치(200)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가 될 수 있거나 또는 장치제어모듈(250)은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제어모듈(250)이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경우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에 따라 장치제어모듈(250)이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변경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장치제어모듈(250)은 프로세서 및 내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제어모듈(250)은 가전제품인 전자장치(200)의 기능에 따라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장치제어모듈(250)은 중앙처리장치(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제어모듈(250)은 펌웨어에 기초하여 동작하여 전자장치(200)의 제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장치제어모듈(250)은 인증서를 이용하여 서버(300)와 보안 연결을 수행하고 서버(300)로부터 장치명세서를 수신하여 장치저장모듈(210)에 저장한다. 또한, 장치제어모듈(250)은 장치명세서에서 정의한 규칙에 따라 데이터 셋을 생성하여 서버(300)에게 전송한다.
장치제어모듈(250)은 서버로부터 수신한 장치명세서의 모니터링 권한 또는 제어 권한과 인증서의 권한을 비교하여 장치명세서에서 유효한 권한인 모니터링 설정 또는 제어 설정을 반영하여 서버에게 전송할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로 장치제어모듈(250)은 모니터링한 결과값을 포함하는 데이터셋 또는 제어 명령을 수행한 결과인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결과의 송신 규칙(전송 횟수, 전송 간격, 전송 조건 등)은 장치명세서에 정의되며, 장치제어모듈(250)은 송신 규칙에 따라 데이터셋과 실행 결과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장치제어모듈(250)은 서버(300)로부터 제1장치명세서, 제2장치명세서 등을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장치제어모듈(250)은 제1장치명세서를 대체하여 제2장치명세서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장치제어모듈(250)은 제1장치명세서 및 제2장치명세서를 모두 장치저장모듈(210)에 저장하고 제1장치명세서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비활성화된 제1장치명세서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장치저장모듈(210)에서 삭제될 수 있다.
장치저장모듈(210)은 내부 메모리를 일 실시예로 하며, 이 메모리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내부 메모리는 펌웨어를 저장할 수 있고, 전자장치(200)의 제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장치저장모듈(210)은 인증서와 장치명세서를 저장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55)는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 인터페이스(255)는, 서버(300)로부터 장치 명세서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55)는 유선 방식 및/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255)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구현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에 기초한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55)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인 경우, 사용자의 주거 공간에는 액세스 포인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서버(300)와 통신 인터페이스(255)과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통신 인터페이스(255)이 WiFi 모듈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WiFi 공유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255)는 원거리 무선 통신을 구현하는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5G 등에 기초한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55)는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과 대응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55)는 펌웨어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기능부(280)는 전자장치(200)가 제공하는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일례로, 고유의 기능은 세탁기의 세탁 기능, 건조기의 건조 기능, 공기 조화기의 공기 조화 기능, 공기 청정기의 공기 청정 기능 등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90)는 전자장치(2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290)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스피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290)는 사용자로부터 전자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55)는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며 전자장치(200)에 저장할 장치명세서를 다운로드한다. 전자장치(200)는 장치명세서를 장치저장모듈(210)에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명세서가 배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제품의 SW 변경을 최소화하며 전자장치인 가전 제품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하는 가전 표준 인터페이스가 동작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장치명세서를 적용하면 전자장치 외부에서 새로운 서비스/기능을 개발할 수 있는 안전하고 유연한 통신 채널과 제품 명세 정보가 구현될 수 있다.
장치명세서(410)는 제품에 적용되는 제품명세서이다. 파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장치명세서(410)는 제품이 어떤 작업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의이며, 이는 제품에 대한 모니터링, 제어, 제품세팅, 제약사항, 언어팩 등의 설정이나 수행에 적용될 수 있다.
장치명세서(410)는 전자장치(200)의 구성요소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규칙 및 전자장치(200)의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인증서(420)는 연결 서비스의 권한에 대한 정의이다. 즉, 인증서를 가진 서버나 외부 장치가 장치에 대해 수행할 수 있는 권한레벨을 정의한 파일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인증서(420)는 서버나 외부 장치 등이 서비스를 이용하여 언제까지 제품과 연동할 수 있을지에 대해 정의한 정보들을 포함하며, 필요 시 인증서를 폐기할 수 있다. 서버(300)와 전자장치(200)는 인증서(420)를 이용하여 보안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300)는 인증서(420) 및 장치명세서(410)를 등록하고 저장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권한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제어모듈(350)이 제어장치(100)로부터 제1장치명세서를 수신하면, 서버제어모듈(350)은 제1장치명세서의 모니터링 권한 또는 제어 권한과 인증서의 권한을 비교하여 제1장치명세서의 권한을 유효한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인증서가 모니터링 권한만 포함하며 제어 권한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한다. 서버(300)가 제어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제1장치명세서에 모니터링 규칙과 제어 규칙이 모두 포함된 경우, 서버(300)는 제1장치명세서에서 제어 규칙은 제외시킨다.
장치명세서(410) 및 인증서는 서버(300)의 서버저장모듈(31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제어장치(100a)는 인증서(420)가 필요한 서버제어모듈(350)이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장치들에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인증서를 요청한다(S1). 제1제어장치(100a)는 인증서를 발급받아서(S2) 소정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군(예를 들어 서버제어모듈)에게 인증서(420)를 주입한다(S3). 이후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군의 서버들(예를 들어 서버제어모듈(350))은 S3의 인증서에 따라 전자장치들과 통신하며 인증서에서 정의하는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서버군의 서버들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로는 PCC, 데이터 레이크(data lake), AI 엔진(AI Engine) 등이다. PCC(Proactive Customer Care)는 전자장치(200)의 사용 패턴이나 상태, 관리 등을 서버제어모듈(350)이 능동적으로 진행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데이터 레이크는 다수의 전자장치들이 장치명세서에 정의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규정된 프로토콜 등에 따라 전자장치들이 산출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데이터 레이크에 저장할 데이터의 생성 방식, 생성 시간, 전송 시간 등의 사항들을 관리하고 설정하는 서비스는 PCC 서비스가 제공할 수 있다.
AI 엔진 서비스는 전자 장치가 생성한 다양한 정보들에 기반하여 더 효과적인 장치의 설정 또는 더 효과적인 장치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중점적으로 제공하는 서버제어모듈(350)(또는 서버)은 인터넷을 통해 전자장치(200)와 연결하여 인증서(420)를 통해 부여받은 권한 범위 내에서 PCC, 데이터 레이크, AI 엔진 작업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로, 서버제어모듈(350)은 제2제어장치(100b)가 생성한 장치명세서(410)를 입력받은 후(S6), 이를 해당 전자장치(200)에게 전송한다. 전자장치(200)는 새로운 장치명세서(410)에 기반하여 서버제어모듈(350)과 모니터링, 진단, 제어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제어모듈(250)은 장치 명세서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코어 모듈을 일 실시예로 한다. 코어 로직(Core logic)과 권한 정보, 가변 데이터 생성 규칙 등을 이용하여 패킷을 생성한다(S11, S12, S13). 이때, 패킷 생성 방식은 주기형(1초, 5초 등 주기를 가짐)(S11), 이벤트형(문이 열리거나 닫히는 이벤트)(S12), 통계형(1분, 3분, 5분 동안의 취수량 등)(S13)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클럭 신호에 따라 코어 로직이 동작할 수 있으며, 코어 로직은 인증서(420)를 확인하여 서버제어모듈(350)의 권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코어 로직은 장치저장모듈(210),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소를 이용하여 인증서(420)와 장치명세서(410)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코어 로직은 장치 명세서(410)를 이용하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로직은 가변 데이터 생성 규칙을 이용하여 S11, S12, S13 등의 방식으로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Wi-Fi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뎀은 별도의 통신부로 전자장치(200)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장치(200)의 장치제어모듈(250)의 하위 구성요소로 Wi-Fi 모뎀이 포함될 수 있다.
전자장치(200)의 동작 상황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90)는 내부 기능부(280)의 현재 상태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의 일 실시예인 냉장고의 경우, 기능부(280)는 블라스터 칠러, 곡물 디스펜서, 아이스크림 제조기 등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90)와 기능부(280)의 각각의 하위 구성요소들은 유선 연결(Wired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290)가 이들 기능부(28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장치제어모듈(250)은 송신 버퍼, 수신 버퍼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장치제어모듈(250)은 제품의 상태 정보들을 누적하여 저장하여 이를 기반으로 패킷을 생성하여 서버제어모듈(3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품 상태 정보란, 냉장고를 일 실시예로 할 경우, 냉장, 냉동칸의 노치 정보(F_Notch, R_Notch), 댐퍼 단계(Damper_Step), 컴프레서의 온/오프 상황(Comp_OnOff) 등을 포함한다. 전자장치(200)의 구성요소들의 현재 상태, 또는 누적된 상태 등이 모두 제품 상태 정보에 해당한다.
전자장치(200)가 이들 상태 정보를 취합하고 장치 명세서(410)에 설정된 기준에 따라 패킷을 생성하여 서버제어모듈(3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또한, 서버제어모듈(350)의 지시에 따라 제품을 제어 할 수 있으며, 이는 시나리오 기반 전자장치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송신 버퍼는 송신할 패킷을 일정시간 버퍼링하며, 수신 버퍼는 수신한 패킷을 일정시간 버퍼렁한다.
한편, Wi-Fi 모뎀은 외부의 서비스나 기기와 연결되어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외부의 서비스/기기의 종류로는 서비스/공정 툴, 엣지 컨트롤러, 기타 다른 IoT 기기 등을 포함한다.
서버제어모듈(350)은 인증서(420) 및 장치명세서(410)에 기반하여 전자장치(200)와 통신하고 제어/모니터링/진단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서(420)를 이용하므로 서버제어모듈(350)과 전자장치(200) 사이에는 TLS/상호인증과 권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보안 연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장치명세서(410)를 이용하므로 서버제어모듈(350)과 전자장치(200)는 표준화된 I/O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4와 같은 구성을 적용할 경우, 전자장치인 가전제품과 연동하는 종단의 기기들(end-to-end) 간에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장치(200)에 새로운 피쳐(feature)를 추가할 경우 별도의 새로운 프로토콜 추가 없이 장치명세서를 설치할 수 있다. 기존에는 새로운 피쳐를 추가할 경우 새로운 프로토콜을 추가해야 했으나, 전술한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장치명세서를 공통으로 제공함으로써 전자장치(200)는 모니터링/진단/제어에 표즌화된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업그레이드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장치명세서는 모델간의 디테일한 차이점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모델 별로 세밀한 수준의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다.
과거에 IoT 표준으로 가전에 적용하였던 플랫폼들은 대부분 제조사들의 공통된 영역을 api로 제공하였기에 매우 제한적인 수준의 입출력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장치명세서를 이용할 경우, 해당 모델에 적합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범위로 전자장치(200)의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명세서를 적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어장치(100)는 제1장치명세서를 생성하고(S20) 제1장치명세서를 서버(300)에게 전송한다(S21). 서버(300)는 제1장치명세서를 저장한 후, 제1장치명세서가 적용될 전자장치(200)에게 전송한다(S23). 이 과정에서 서버(300)와 전자장치(200)는 제품 연동을 위해 인증서 기반의 TLS/상호인증을 제공하고 핸드쉐이킹시 권한레벨을 추출하여 제품 권한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여기서 확인된 권한레벨에 해당하는 모니터링 및 제어(컨트롤)의 수행 및 결과만을 전자장치(200)가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장치명세서에는 레벨 5의 모니터링이나 제어에 관련된 내용이 포함된 경우라 하여도, 서버(300)가 레벨 3의 권한 레벨을 가진 경우, 레벨 5의 모니터링/제어 관련 장치명세서의 내용은 전자장치(200)에 적용되지 않는다.
S23 과정에서 전자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서버(300)에 등록된 명세서 정보가 업데이트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업데이트된 경우 모니터링/제어 규칙정보 및 권한 레벨을 업데이트한다. 즉, 전자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서버(300)에 새로운 장치명세서가 업데이트 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업데이트된 경우 서버(300)로부터 업데이트된 장치명세서를 수신하여 장치저장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주기는 전자장치(20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또한 미리 설정된 주기 역시 장치명세서에서 새롭게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200)는 12시간 간격으로 장치명세서의 업데이트 여부를 서버(300)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장치명세서를 수신한 전자장치(200)는 새로운 장치명세서에 지정된 업데이트 확인 주기가 24시간으로 변경된 경우, 전자장치(200)는 24시간 간격으로 장치명세서의 업데이트 여부를 서버(300)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200)의 장치제어모듈(250)은 제어장치(100)나 서버(300) 등 외부의 장치의 장치 명세서 및 인증서의 권한 레벨에 따라 모니터링 및 제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자장치(200)는 제1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진단/제어 관련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혹은 지시된 모니터링/진단/제어 동작을 수행한다(S24). 그리고 전자장치(200)는 제1장치명세서를 적용하여 모니터링/진단/제어를 수행한 결과 산출된 데이터로 구성된 결과물(예를 들어 모니터링과 진단의 경우 제1데이터 셋, 제어의 경우 제1실행결과 데이터)을 서버(300)에게 전송한다(S25). 서버(300)는 제1데이터셋/제1실행결과 데이터를 저장한다(S26).
제1장치명세서는 다수의 장치들에게 적용되었으므로, 각 전자장치들(200)이 전송하는 각각의 결과들이 서버(300)에 누적 저장된다. 이후, 제어장치(100)는 제1데이터셋 또는 제1실행결과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한다(S27). 제어장치(100)는 제1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산출된 제1데이터셋 또는 제1실행결과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결과 제1장치명세서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제2장치명세서를 생성한다(S30).
제2장치명세서는 제1장치명세서와 다른 장치의 설정을 지시한다. 일 실시예로 제2장치명세서는 전자장치(200)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시간 간격을 변경하거나, 특정 이벤트에 따라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이벤트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200)가 생성하는 통계형 데이터의 통계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제2장치명세서가 생성된 경우, 제어장치(100)는 이를 서버(300)에게 전송하고(S31), 서버는 제2장치 명세서를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2). S23 내지 S27 과정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자장치(200)는 제2장치명세서를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후(S33), 제2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진단/제어 관련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혹은 지시된 모니터링/진단/제어 동작을 수행한다(S34).
그리고 전자장치(200)는 제2데이터셋 또는 제1실행결과 데이터를 서버(300)에게 전송하고(S35), 서버(300)는 제2데이터셋 또는 제1실행결과 데이터를 저장한 후(S36), 제어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제2데이터셋 또는 제1실행결과 데이터를 제어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37).
이와 같은 과정은 반복될 수 있다.
도 5의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서버(300)와 전자장치(200)가 인증서를 이용하여 보안 연결을 수행한다. 그리고 전자장치(200)가 서버(300)로부터 제1장치명세서를 수신한다(S23).
전자장치(200)가 서버(300)에게 제1장치명세서에서 정의한 모니터링 규칙에 따라 생성된 제1데이터 셋 또는 제어 명령을 실행한 결과인 제1실행 결과 데이터를 전송한다(S24, S25). 전자장치(200)는 제1장치명세서의 모니터링 권한 또는 제어 권한과 인증서의 권한을 비교하여 제1장치명세서에서 유효한 권한인 모니터링 설정 또는 제어 설정을 반영하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제2장치명세서가 서버에 업로드된다(S31). 이에 따라, 전자장치(200)는 서버(300)로부터 제2장치명세서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33). 그리고 전자장치(200)는 제2장치명세서의 모니터링 권한 또는 제어 권한과 인증서의 권한을 비교하여 제2장치명세서에서 유효한 권한인 모니터링 설정 또는 제어 설정을 반영하여 제2데이터셋 또는 제1실행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S34). 이후, 전자장치(200)는 제2데이터셋 또는 제1실행결과 데이터를 서버에게 전송한다(S35).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제품을 실시예로 하는 전자장치(200)는 외부 장치들(서버, 제어장치)이 제품의 모니터링/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전자장치(200)는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제어/진단 등에 관련된 데이터를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명세서는 제품으로 전달되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API를 통해 인증서를 획득한 장치들 역시 장치명세서를 제품에 설치하여 데이터셋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가 인증서 및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자장치(200)는 인증 기반으로 서버(300)와 연결을 수행하고 서버의 권한 레벨을 수신한다(S41). 예를 들어, 전자장치(200)는 서버 또는 서드 파티 등의 외부 연동 시스템과 인증서를 기반으로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상호인증 과정 중 권한레벨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인증을 담당하는 서버가 있을 경우, 해당 인증 서버는 연동 시스템의 모니터링/제어 등의 작업 내용에 따라 해당 연동 시스템에 권한 레벨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가 인증서를 발행할 경우, 암호화된 권한레벨을 인증서(예를 들어 X.509)의 메타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인증을 담당하는 서버는 별도로 제공될 수 있고, 또한 서버(300)가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서버 또는 외부 서드 파티의 장치들은 전자장치(200)와 연동하는 과정에서 인증서를 전자장치(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TLS(Transport Layer Security) 핸드쉐이킹 등의 방식으로 인증서가 전자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인증서 전송 및 연결이 진행되면 전자장치(200)는 서버 또는 외부 서드 파티의 장치가 가지는 권한 레벨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200)는 서버 또는 외부 서드 파티의 장치로부터 장치명세서를 수신하여 장치명세서를 기반으로 모니터링/제어 항목을 식별하여 파싱한다(S42). 예를 들어, 전자장치(200)는 장치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을 이용하여 서버 또는 외부 서드 파티의 장치가 제품에 대해 수행하는 모니터링/제어와 그의 권한 레벨을 확인한다. 이를 위해 전자장치(200)는 장치명세서의 각 모니터링/제어 항목을 식별하여 파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200)는 장치명세서에서 제시하는 규칙이나 작업 등에 대해 해당 서버/서드 파티 장치가 적합한 권한 레벨을 가지는지 확인한다. 만약 인증서의 권한 레벨보다 높은 권한을 필요로 하는 모니터링/제어 항목이 있을 경우 전자장치(200)는 해당 항목의 내용을 반영하지 않는다.
장치명세서에 미리 정의된 규칙을 다운받은 전자장치(200)는 특정 조건/시간에 따라 규칙을 자동으로 실행하고 모니터링 결과인 데이터셋 또는 제어 명령을 수행한 결과인 실행 결과 데이터를 서버 또는 서드파티 장치에게 전송한다(S43). 장치제어모듈(250)은 장치명세서에 기재된 모니터링 시간, 간격, 조건 등에 따라 모니터링 결과를 포함하는 데이터셋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장치제어모듈(250)은 장치명세서에 기재된 제어 항목에 따라 전자장치(200)를 제어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포함하는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셋과 실행 결과 데이터는 장치명세서에 기재된 전송방식(전송 간격, 전송횟수 등)에 따라 서버 또는 서드 파티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장치명세서는 변경될 수 있다. 변경된 장치명세서는 서버(300) 또는 외부의 서드 파티 장치 등을 통해 전송되며, 전자장치(200)는 S41 내지 S43 의 단계를 수행하며 장치명세서를 교체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효율적으로 가전제품의 생애주기 동안 제품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데이터를 관리하거나 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서버 측에서 각 제품의 특성이나 변화 상황에 적합하게 데이터셋이나 실행 결과 데이터의 생성이나 전송의 횟수, 양, 종류 등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상황에 적합하게 데이터셋의 전송을 중단시키거나 제어명령의 실행을 중단시키거나 혹은 데이터셋의 전송 및 제어명령의 실행을 재개할 수 있다.
이는 소프트웨어의 변경없이 제품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인증서를 통해 서버(300)뿐만 아니라 서드파티의 장치들도 인증서를 발급받아서 제품에 대한 모니터링 또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와 서버 사이의 모니터링 및 제어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자장치(200)는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내부 구성요소들(센서, 부품 등)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한 결과인 데이터셋을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51).
즉, 서버(300)는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한다(S51). 전자장치(200)가 제공한 각종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서버(300)는 PCC 기반으로 전자장치(200)를 진단 또는 제어할 수 있다(S52). 또한, 서버(300)는 전자장치(200)별로 설정된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S53).
모니터링 결과 전자장치(200)의 사용 패턴이 누적되면 서버(300)는 AI 엔진을 이용하여 전자장치(200)의 동작을 개인화할 수 있다(S54). 아울러, 서버(300)는 전자장치와 연동하는 앱을 이용하여 진단하거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S55). 또한, 서버(300)가 전자장치(200)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장치명세서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전자장치(200)가 제공하는 소정의 제어 명령을 호출할 수 있다.
또한, 장치명세서는 전자장치(200)가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값들을 저장하고 서버(300)가 제어명령을 호출하면 전자장치(200)는 장치명세서의 파라미터 값을 적용하여 제어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을 수행한 결과 전자장치(200)는 서버(300)에게 제어 명령을 수행한 결과(ACK/NACK/권한오류 등)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가 제어 명령을 수행한 결과는 제어 명령을 수행한 후 즉시 전자장치(200)가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전자장치(200)는 소정의 모니터링을 수행한 후 수행한 결과인 데이터셋에 제어 명령을 수행한 결과를 포함시켜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S52 내지 S55의 과정에서 서버(300)는 전자장치(200)에 적합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고 이에 기반하여 새로운 장치명세서를 전자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56). 전자장치(200)의 중앙 제어모듈은 새로운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부품들을 제어하거나 각 부품들의 상태 정보를 취합하여 S51과 같이 데이터셋을 서버(300)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2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장치명세서로 모니터링 및 제어 대상인 구성요소로 부품1 및 부품2가 있음을 가정한다. 이 경우, 부품1, 부품2는 각각 동작 과정에서 센싱된 결과 상태(상태 1), 동작 상태(상태 2), 그리고 에러 상태(상태 3)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정보는 모니터링 과정에서 데이터셋을 구성하여 서버(300)에게 전송된다.
서버(300)는 전자장치(200)의 부품1 및 부품2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S52 내지 S55의 동작을 수행하고 전자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S56). 전술한 과정들을 적용할 경우, 제품인 전자장치(200)에 대한 다양하고 가변적인 진단/모니터링/제어가 가능하여, 다양한 활용 신(scene) 또는 시나리오를 전자장치(200)에 적용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한 소프트웨어 구조를 전자장치(200)에 구현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가 제조 후 판매된 후에도 전자장치(200)에 배치된 소프트웨어는 기능 향상과 품질 관리를 위해 지속적으로 변경되거나 업데이트가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명세서(제품명세서) 기반의 표준 인터페이스가 전자장치(200)에 적용될 경우, 표준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의 자유도가 증가 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나 제어장치(100)는 상황에 따른 진단/모니터링/제어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입력데이터를 가변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300)나 제어장치(100)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주기, 이벤트, 통계, 시나리오 기반 등의 로직을 장치명세서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300)나 제어장치(100)는 전자장치(2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기능(함수)를 조합하여 전자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300)나 제어장치(100)는 제어에 필요한 다양한 함수 호출 목록을 최신으로 유지하여 전자장치(200)에 설치 또는 업그레이드된 소프트웨어와 호환되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버전의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다수의 전자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버전 별 실행 가능한 제어 규칙을 장치명세서에 포함시킬 수 있다.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 기능이 활성화되므로, 서버(300)에서의 원격 진단 및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전자장치(200)가 전송하여 누적한 데이터를 AI엔진에 입력하여 학습시킬 경우, 전자장치의 사용 고객의 패턴을 통한 개인화가 가능하며 또한 장치의 상태를 반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지향적 전자장치(200)의 동작 및 관리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인증서를 통해 장치명세서를 제공하거나 모니터링/제어하는 서버 또는 외부 서드 파티 장치에 대해 단계별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모니터링/제어 과정에서 전자장치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취득하는 권한과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권한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장치명세서를 적용할 경우, 전자장치(200)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하지 않고 표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모니터링/제어를 수행하므로, 전자장치(200)의 모니터링 및 제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200)의 소프트웨어가 업데이트 또는 업그레이드된 경우, 변경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장치명세서슨ㄴ 표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모니터링/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인증서가 서버에 의해 제공되거나 전송되는 과정 없이도 모니터링/제어 과정에서 전자장치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취득하는 권한과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는 제품 내에 기본적으로 모니터링 또는 제어와 관련된 서버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처음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저장한 서버의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한다. 해당 정보는 전자장치 내에 변경 불가능하게 저장될 수 있다. 또는 해당 정보는 소정의 인증된 프로세스에 의해 변경 후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다수의 서버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 내에 저장된 서버(접속 서버)의 정보에 따라 전자장치는 접속 서버에 접속한다. 접속 서버는 해당 전자장치에게 장치 명세서를 제공할 서버(장치명세서 서버)의 주소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접속 서버를 매개하여 전자장치와 장치명세서 서버가 장치명세서 및 데이터셋, 제어 명령을 실행한 결과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 서버에 대한 정보는 전자장치 내에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되 전술한 인증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서버가 접속 서버의 정보를 다른 관리 서버로 변경하는 명령어를 전자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는 관리 서버의 정보를 새로운 접속 서버의 정보로 업데이트한다. 이후 전자장치는 새로운 접속 서버(이전의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장치명세서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명세서의 모니터링 규칙을 적용하여 제품을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서버(300)는 제1장치명세서를 수정하여 등록한다(S61). 이때, 제1장치명세서는 적용될 전자장치의 모델명 또는 식별정보(I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200)는 주기적으로 서버(300)에 접속하여 업데이트를 확인한다(S62). 즉, 전자장치(200)는 새로운 장치명세서가 등록되었는지를 일정한 시간 간격(12시간, 24시간 등)으로 확인한다. 그리고 전자장치(200)는 서버(300)로부터 제1장치명세서를 다운로드한다(S63). 전자장치(200)는 제1장치명세서를 저장하고 업데이트한다(S64).
이후, 전자장치(200)는 제1장치명세서가 정의하는 모니터링 항목, 주기, 조건 등에 따라 제1데이터셋을 생성한다(S65). 제1장치명세서에 정의된 모니터링 규칙은 주기형 규칙, 조건형 규칙 또는 요청형 규칙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전자장치(200)는 일정한 주기(1초, 2초, ..., 1시간 등)에 따라 모니터링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자장치(200)는 특정한 규칙(냉장고 문이 열리거나 과냉인 경우 등)에 따라 모니터링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자장치(200)는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모니터링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제1데이터셋을 서버(300)에 전송한다.
또한, 전자장치(200)는 외부장치(500)에게 제1장치명세서에 따라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200)는 제1장치명세서가 정의하는 모니터링 항목/주기/조건에 따라 제2데이터 셋을 생성하고(S67) 이를 외부 장치(5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68).
이 경우, 외부 장치(500)와 전자장치(200) 사이의 통신은 근거리 통신망에 따른 로컬 연결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외부 장치(500)와 전자장치(200) 사이의 통신과 서버(300)와 전자장치(200) 사이의 통신은 모두 인터넷 통신망에 따른 연결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장치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명세서에 포함된 모니터링 규칙은 주기형 규칙, 조건형 규칙, 요청형 규칙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규칙은 장치명세서에 기재되어 전자장치에게 전달된다. 요청형 규칙은 서버(300) 또는 외부장치(500)의 요청에 따라 즉시 모니터링한 결과가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외부장치(500)로 모니터링한 결과를 전송함에 있어 필요한 정보 역시 장치명세서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장치명세서는 모니터링 결과인 데이터 셋의 수신 장치인 외부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인 데이터 셋을 생성하여 앞서 장치명세서에 정의된 외부장치에게 데이터 셋을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셋은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이전에 수행했던 제어 명령의 결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전자장치(200)는 제어 명령을 실행한 결과를 데이터 셋과 별도로 서버(300) 또는 외부 장치(500)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실행 결과를 데이터 셋에 포함시켜 서버(300) 또는 외부 장치(5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전자장치의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 혹은 전자장치의 관리를 위탁받은 제3자 등이 소지한 외부 서버 등을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명세서의 제어 규칙을 적용하여 제품을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S61 내지 S64 단계는 도 8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도 8의 설명을 참조한다.
이후, 전자장치(200)는 제1장치명세서가 정의하는 제어 권한 및 시나리오를 저장하고 이를 설정한다(S71). 제1장치명세서에 정의된 제어 규칙은 전자장치(200) 내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규칙, 또는 전자장치 내에 저장된 시나리오 실행 규칙을 포함한다. 제어 규칙의 실행은 제어 규칙을 구성하는 제어 명령을 실행하거나, 제어 규칙을 실행시키도록 지시하는 제어 명령을 서버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제어 규칙을 실행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규칙이 제어 명령과 동일하게 지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규칙 중 일부가 제어 명령으로 지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규칙 중 다수가 하나의 제어 명령으로 지시될 수 있다.
이후, 서버(300)가 제1장치명세서에 정의된 제1제어명령을 전송하면(S72), 전자장치(200)는 서버(300)의 제어 권한을 체크하고 서버(300)가 적법한 권한을 가진 경우 제1제어명령을 수행한다(S73). 이후, 전자장치(200)는 제1제어 명령을 수행한 결과를 포함하는 제1실행 결과 데이터를 서버(300)에게 전송한다(S74).
한편, 외부장치(500) 역시 제2제어명령을 전자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75). 그리고 전자장치(200)는 외부장치(500)의 제어 권한을 체크하고 제2제어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S76). 그리고 전자장치(200)는 제2제어 명령 수행 결과를 포함하는 제2실행 결과 데이터를 외부 장치(5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77).
또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지 않으면서도 전자장치(200)는 시나리오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시나리오의 조건이 만족되면 전자장치(200)는 시나리오에 정의된 명령을 수행하고 전자장치 내의 부품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시나리오는 전자장치(2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개별 제어를 시간축으로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제품을 제어하기 위해 결합된 제어 명령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 명령의 수행에 필요한 조건 정보 역시 시나리오에 포함될 수 있다.
서버(300) 또는 외부 장치(500)는 주어진 권한 레벨에 따라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증서를 통해 각 장치들의 권한이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도 8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를 포함하는 데이터 셋은 이전에 수행했던 제어 명령의 결과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200)는 제어 명령을 실행한 결과를 데이터 셋과 별도로 서버(300) 또는 외부 장치(500)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실행 결과를 데이터 셋에 포함시켜 서버(300) 또는 외부 장치(5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명세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장치명세서(410)는 모니터링 규칙(모니터링할 항목, 방식, 주기, 권한 등)과 제어 규칙(컨트롤할 항목, 시나리오, 권한, 방식 등)을 포함한다. 또한 장치명세서(410)는 제품의 제약사항, 즉 전자장치(200)의 통신 속도나 최소 모니터링 주기, 최대 데이터 사이즈, 권한 등에 대한 제약 사항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장치명세서는 바이트 컨버팅(byte converting)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편집툴을 이용하여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설정값들이 포함된 장치명세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문자열 형태의 데이터(모니터링 규칙 및 권한정보, JSON 포맷)는 바이트 컨버팅 방식으로 16진수 등의 셋팅값을 포함하는 장치명세서로 변환될 수 있다. 이때, 장치명세서는 별도의 파싱 과정 없이 바로 전자장치(200)의 메모리(장치저장모듈)에 바로 덤프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편집툴을 이용하여 휴먼 리더블 데이터(Human readable data)로 모니터링 항목과 컨트롤 항목을 설정하고, 이를 그대로 장치 명세서에 포함시킬 경우, 전자장치(200)는 장치명세서에 기재된 값들을 파싱하기 위해 별도의 메모리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바이트 컨버팅 방식으로 16진수의 셋팅값을 포함하는 장치명세서가 전자장치(200)로 다운로드될 경우, 전자장치(200)는 메모리에 덤프된 장치명세서를 그대로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200)는 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장치명세서를 메모리에 바로 덤프할 경우 DXI 로직을 처리할 수 있다.
장치명세서(410)는 모니터링 셋팅 정보와 권한 정보를 마스킹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명세서(410)는 서버(300)에 저장되고, 전자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I/F)(255), 예를 들어 모뎀은 서버(300)와 통신하여 장치명세서(410)를 다운로드한다(S82). 장치제어모듈(250)은 모뎀이 수신한 장치명세서(410)를 이용하여 제품의 초기 설정 및 명세서 업데이트 등을 수행할 수 있다(S83).
이후, 장치명세서에 따라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데이터 레이크(DataLake)에 모니터링한 값(데이터셋)을 전송할 수 있다(S84). 서버(300)나 외부장치(500)는 데이터 레이크에 쌓인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전자장치(2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공정 툴 등에 의해 서버(300)나 외부장치(500)는 제어명령을 전송하고(S85) 장치제어모듈(250)은 제어명령에 따라 특정 설정값을 변경하거나 시나리오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서비스/공정 툴 등에 의해 서버(300)나 외부장치(500)는 제품 초기 설정을 수행하거나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외부 장치에서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와 달리 도 11은 외부 장치(500)가 서버(300)를 경유하여 제어 명령을 전자장치(200)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제어 명령은 전자장치(200)가 해당 제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것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신규 기능인 Funct_A를 위한 제1장치명세서를 수정하여 등록한다(S61a). 전자장치(200)는 주기적으로 서버(300)의 장치명세서가 업데이트되었는지 확인하고(S62a), 그 결과 서버(300)는 새로운 제1장치명세서를 전자장치에게 다운로드한다(S63a).
전자장치(200)는 다운로드한 제1장치명세서를 저장하여 업데이트한다(S64a). 그리고 업데이트와 관련된 정보를 외부장치(500)에게 알리는 알림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65a). 이러한 알림 프로세스는 i) 전자장치(200)가 스피커나 화면에서 장치명세서의 업데이트 및 이의 사용 가능함을 가이드하는 프로세스, ii) 서버(300)가 외부장치(500)에 설치된 앱에게 장치명세서의 업데이트 및 이의 사용 가능함을 가이드하는 프로세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후, 외부장치(500)가 앱을 실행하여(S64a) 새로운 장치명세서가 제공하는 제어 규칙에 정의된 제어 명령을 전자장치(200)가 실행할 수 있도록 제1제어명령을 서버(300)에게 전송한다(S91). 그리고 서버(300)는 제1제어명령을 전자장치(200)에게 전송하고(S92) 전자장치(200)는 제1제어명령와 관련하여 외부장치(500)가 제어권한을 가지는지 체크하여 권한을 가질 경우 제1제어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S93).
이후, 전자장치(200)는 제1제어명령을 실행한 결과인 제1실행 결과 데이터를 서버(300)에게 전송한다(S94). 서버(300)는 수신한 제1실행 결과 데이터(S95)를 외부장치(500)에게 전송함으로써 외부장치(500)가 제어 명령의 실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S95).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함수를 이용하는 방식에 있어 장치 명세서가 변경될 경우,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없이도 장치명세서를 통해 전자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혹은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는 전자장치의 장치제어모듈(250)이 서버(300)로부터 외부장치(500)가 전송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S91, S92) 제어명령의 제어권한을 제1장치명세서에서 확인한 후 제어 명령을 실행한 후(S93), 제어명령의 실행 결과인 실행 결과 데이터를 서버(300)에게 전송한다(S94).
그리고 서버(300)는 실행 결과 데이터를 외부장치(5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95).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에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경우 장치명세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의 210a는 소프트웨어의 버전이 1.5인 경우의 장치저장모듈을 지시한다. 210a를 참조한다. 소프트웨어 버전이 1.5이며 제공하는 함수는 "Function_A"와 "Function_B"이다. 장치저장모듈에 저장된 장치명세서(410a)는 Interface_01 및 Interface_02를 정의하고 있다. Interface_01은 "Function_A"에 소정의 파라미터들(para1, para2)를 설정하여 실행시키는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Interface_02는 "Function_B"에 소정의 파라미터(para3)를 설정하여 실행시키는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장치명세서는 410b로 업데이트될 경우, 410a를 대체한다. 410b가 지시하는 장치명세서는 앞서 410a와 동일하게 제공되는 함수에 대해 파라미터를 변경한 Interface_01 및 Interface_02를 포함한다. 장치저장모듈에 저장된 장치명세서(410b)는 Interface_01 및 Interface_02를 정의하고 있다. Interface_01은 "Function_A"에 소정의 파라미터들(para11, para12)를 설정하여 실행시키는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Interface_02는 "Function_B"에 소정의 파라미터(para15)를 설정하여 실행시키는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도 13의 210b는 소프트웨어의 버전이 1.7인 경우의 장치저장모듈을 지시한다. 소프트웨어 버전이 1.7로 업그레이드 되며 새로운 함수 "Function_C"가 추가되었다. 이에, 새로운 장치명세서(410c)는 Interface_01, Interface_02 및 Interface_03을 정의하고 있다. Interface_01은 "Function_A"에 소정의 파라미터들(para31, para32)를 설정하여 실행시키는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Interface_02는 "Function_B"에 소정의 파라미터(para33)를 설정하여 실행시키는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Interface_03은 "Function_C"에 소정의 파라미터(para4, para5)를 설정하여 실행시키는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도 13과 같이 전자장치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가 업그레이드될 경우, 장치명세서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12와 같이 소프트웨어가 업그레이드 되지 않은 경우에도 장치명세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2 및 13의 경우, 장치저장모듈(210)은 하나 이상의 함수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그리고, 장치명세서는 함수의 호출에 대한 인터페이스 및 함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장치제어모듈(250)은 장치명세서의 파라미터를 상기 함수에 입력하여 상기 함수를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음과 같이 장치 명세서를 구성할 수 있다.
전자장치의 장치저장모듈(210)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내의 특정 위치의 값을 설정하고, 이 값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장치 명세서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장치명세서는 get_status(uid) 또는 set_status(uid, value)들과 같이 표준 API 들로 구성될 수 있다. uid는 메모리 내의 특정 위치(주소)의 식별 정보이며, 장치제어모듈(250)은 장치명세서에 기재된 표준 API들을 이용하여 값을 갱신할 수 있다. 즉, 장치제어모듈(250)은 각 전자장치의 제품 상태에 관련된 장치명세서 내의 상태 항목(uid, 값의 타입, 갑의 범위) 등을 참고하여 해당 항목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만약 냉장고의 고내등이 켜지는 시간(초)에 대한 값이 메모리의 19라는 식별정보에 저장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set_status(19, 5)와 같이 장치명세서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제어모듈(250)은 장치명세서에서 지시하는 바와 같이 메모리 내의 식별번호 19의 값을 5로 설정한다. 이후 고내등이 켜지는 시간은 5초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치명세서를 구성할 경우, 메모리내에 저장되는 정보들은 다음과 같이 특정 위치에 특정한 값이 설정되거나 그 값을 읽어들이는 방식이다. 그리고 장치명세서에서 설정하는 값들은 하나의 메모리 맵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장치명세서를 다운로드 받은 장치제어모듈(250)은 장치저장모듈(210) 내의 메모리에 장치명세서에서 정의하는 메모리 맵의 값을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장치명세서의 내용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장치명세서를 받은 경우 uid 및 해당 값의 구성의 메모리의 내용은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메모리의 맵은 일정한 메모리 식별 정보를 통해 해당 값을 읽거나 설정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uid Value
1 3
2 55
35
19 5
그리고, 새로운 제2장치명세서를 받은 경우 새로운 메모리의 내용은 표 2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uid가 19인 영역의 값이 5에서 3으로 변경되었다.
uid Value
1 3
2 55
35
19 3
즉, 장치저장모듈은 메모리맵을 포함하며, 장치명세서는 메모리맵의 특정 식별 정보 및 메모리 맵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제어모듈(250)은 메모리맵의 값을 이용하여 제어 또는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장치제어모듈(250)이 제공하는 시나리오(제어 또는 모니터링을 위한 작업들의 집합)는 메모리 내에 설정된 값을 적용하여 제어 또는 모니터링 관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부 장치가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자장치가 냉장고인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도 14 및 도 1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외부장치(500a, 500b, 500c, 500d)는 앱을 실행한 상태이다. 앱을 실행하여 냉장고를 제어하는 4가지 기능(밝기 조절, 문열림 알림 조절, 맞춤형 탈취, 디스펜서 설정)을 선택하여 냉장고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한다.
일 실시예로, 밝기 조절을 수행하는 외부장치(500a)는 화면 상에 노크온 밝기/시간 조절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노크온은 냉장고 문의 일부가 투명한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해당 디스플레이 부분을 두드리거나 터치할 경우(노크 온) 디스플레이 부분이 켜지거나 혹은 투명 디스플레이로 화면이 전환되어 냉장고 내의 상황을 문을 열지 않고 확인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사용자는 외부장치(500a)를 이용하여 노크온 관련하여 외부등과 내부 고내등의 밝기 및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외부장치(500b)를 이용하여 냉장고의 문열림을 알리는 알림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칸의 문이 열린 뒤 얼마의 시간이 지난 후 알림을 발생시킬 것인지 또는 냉동칸의 문이 열린 뒤 얼마의 시간이 지난 후 알림을 발생시킬 것인지 사용자는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알림 자체를 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한다.
사용자는 외부장치(500c)를 이용하여 냉장고의 탈취와 관련한 간격 및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UV(자외선) 나노(nano)를 이용한 탈취 또는 정수기의 자외선 등 고내 위생과 관련된 구성요소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외부장치(500d)를 이용하여 디스펜서 설정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0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는 기본적으로 물이 출수되도록 하되 사용자가 얼음을 취출한 후에 기본 설정인 "물"로 복귀하도록 구성할 것인지 여부와, 기본 설정인 "물"로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반도체 기록소자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외부의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제어장치 200: 전자장치
300: 서버 500: 외부장치

Claims (24)

  1.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1장치명세서를 저장하는 장치저장모듈; 및
    상기 제1장치명세서에서 정의한 모니터링 규칙에 따라 모니터링을 수행한 후 제1데이터 셋을 생성하여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장치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명세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구성요소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규칙인 주기형 규칙, 조건형 규칙 또는 요청형 규칙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모듈은 상기 서버로부터 인증서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장치제어모듈은 상기 제1장치명세서의 모니터링 권한과 상기 인증서의 권한을 비교하여 상기 제1장치명세서에서 유효한 권한인 모니터링 설정을 반영하여 상기 제1데이터셋을 생성하는, 전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모듈은 상기 서버로부터 제2장치명세서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장치제어모듈은 상기 제2장치명세서의 모니터링 권한과 상기 인증서의 권한을 비교하여 상기 제2장치명세서에서 유효한 권한인 모니터링 설정을 반영하여 제2데이터셋을 생성하여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명세서는 상기 제1데이터 셋의 수신 장치인 외부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제어모듈은 상기 제1장치명세서가 정의하는 모니터링 규칙에 따라 모니터링을 수행한 후 상기 제1데이터 셋을 생성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게 전송하는,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모듈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서버에 장치명세서가 업데이트 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업데이트된 장치명세서를 수신하여 상기 장치저장모듈에 저장하는, 전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장치명세서를 저장하는 서버저장모듈과 상기 장치명세서를 상기 전자장치에게 전송한 후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장치명세서에서 정의한 모니터링 규칙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셋을 수신하는 서버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제어모듈은 상기 다수의 장치명세서를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서버저장모듈에 저장하거나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업데이트하며,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서버와 보안 연결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8. 인증서를 저장하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1장치명세서를 저장하는 장치저장모듈; 및
    상기 서버와 상기 인증서를 이용하여 보안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제1장치명세서에서 정의한 제어 규칙을 실행한 후 상기 실행에 대한 제1실행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장치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명세서에 정의된 제어 규칙은 상기 전자장치 내의 설정값 변경 규칙 또는 상기 전자장치 내에 저장된 시나리오 실행 규칙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모듈은 상기 서버로부터 인증서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장치제어모듈은 상기 제1장치명세서의 제어 권한과 상기 인증서의 권한을 비교하여 상기 제1장치명세서에서 유효한 권한인 제어 설정을 반영하여 상기 제1실행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전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모듈은 상기 서버로부터 제2장치명세서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장치제어모듈은 상기 제2장치명세서의 제어 권한과 상기 인증서의 권한을 비교하여 상기 제2장치명세서에서 유효한 권한인 제어 설정을 반영하여 상기 제2장치명세서에서 정의한 제어 규칙을 실행한 후 상기 실행에 대한 제2실행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전자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명세서는 상기 제1실행 결과 데이터의 수신 장치인 외부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제어모듈은 상기 제1장치명세서가 정의하는 제어 규칙을 실행한 후 상기 제1실행 결과 데이터을 생성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게 전송하는, 전자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모듈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서버에 장치명세서가 업데이트 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업데이트된 장치명세서를 수신하여 상기 장치저장모듈에 저장하는, 전자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인증서 및 장치명세서를 저장하는 서버저장모듈과 상기 장치명세서를 상기 전자장치에게 전송한 후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장치명세서에서 정의한 제어 규칙을 실행한 결과 생성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제어모듈은 상기 다수의 장치명세서를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서버저장모듈에 저장하거나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업데이트하며,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서버와 상기 인증서를 이용하여 보안 연결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모듈은 상기 서버로부터 외부장치가 전송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명령의 제어권한을 상기 제1장치명세서에서 확인한 후 상기 제어 명령을 실행한 후, 상기 제어명령의 실행 결과인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에게 전송하는, 전자장치.
  16. 제1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저장모듈은 메모리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장치명세서는 상기 메모리맵의 특정 식별 정보 및 상기 메모리 맵의 값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제어모듈은 상기 메모리맵의 값을 이용하여 제어 또는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17. 제1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저장모듈은 하나 이상의 함수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며,
    상기 제1장치명세서는 상기 함수의 호출에 대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함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제어모듈은 상기 제1장치명세서의 상기 파라미터를 상기 함수에 입력하여 상기 함수를 실행시키는, 전자장치.
  18. 전자장치가 서버로부터 제1장치명세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서버에게 상기 제1장치명세서에서 정의한 규칙에 따라 생성된 제1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서버와 상기 전자장치가 인증서를 이용하여 보안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명세서는 상기 전자장치의 구성요소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규칙 및 상기 전자장치의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장치명세서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제1장치명세서의 모니터링 권한 또는 제어 권한과 상기 인증서의 권한을 비교하여 상기 제1장치명세서에서 유효한 권한인 모니터링 설정 또는 제어 설정을 반영하여 상기 제1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명세서는 상기 제1결과의 수신 장치인 외부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제1장치명세서가 정의하는 규칙에 따라 상기 제1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게 전송하는,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서버에 장치명세서가 업데이트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명세서가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업데이트된 장치명세서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메모리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장치명세서는 상기 메모리맵의 특정 식별 정보 및 상기 메모리 맵의 값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메모리맵의 값을 이용하여 제어 또는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KR1020220021020A 2022-02-17 2022-02-17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30123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020A KR20230123796A (ko) 2022-02-17 2022-02-17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PCT/KR2022/020198 WO2023158074A1 (ko) 2022-02-17 2022-12-13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020A KR20230123796A (ko) 2022-02-17 2022-02-17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796A true KR20230123796A (ko) 2023-08-24

Family

ID=8757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020A KR20230123796A (ko) 2022-02-17 2022-02-17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3796A (ko)
WO (1) WO202315807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671B1 (ko) * 2011-06-08 2012-11-27 (주) 지엔콤 센서 네트워크의 분산 제어 시스템, 이를 위한 로컬 노드 및 이를 위한 방법
US10083055B2 (en) * 2016-02-12 2018-09-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anagement of IoT devices in a virtualized network
KR101778768B1 (ko) * 2017-04-21 2017-09-18 (주)케이사인 IoT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48587A (ko) * 2017-10-31 2019-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인터넷 장치의 원격 보안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51620B1 (ko) * 2020-03-13 2022-01-19 우리정보 (주)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지능형 설비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8074A1 (ko)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85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on with an IoT device
US201900948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using a service rule
US6826267B2 (en) Internet enabled appliance command structure
US20190155896A1 (en) Compact schedules for resource-constrained devices
KR20120137546A (ko) 단말 관리를 위한 서버시스템 및 온라인 서비스
US20040158620A1 (en) Home networking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using the same
KR20090043988A (ko) 가전기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42281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CN101185287A (zh) 用于网络系统的装置和发送档案的方法
KR100421895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품 주소 설정방법
DK3050188T3 (en) CONTROL OF ELECTRONIC EQUIPMENT CONTROLS WHICH CAN BE CONTROLLED BY INFRARED CONTROL SIGNALS
KR20230123796A (ko) 장치명세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EP385087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n update report
KR20230103777A (ko) 가전 기기의 업그레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08966B1 (ko) 인터넷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에러 원격 관리방법
KR102288432B1 (ko) 서비스모듈을 이용한 개방형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312612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데이터 통신방법
KR20230103775A (ko) 가전 기기의 업그레이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US9848063B2 (en)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smart object and application provider
KR102430754B1 (ko) 건물 에너지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40068690A1 (en) Smart thermostat for ductless hvac units
US10904990B2 (en) Internet of things system
KR20090027092A (ko)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인증 장치
CN118043775A (zh) 家电设备的升级方法和实现该方法的装置
KR20230103780A (ko) 가전 기기의 업그레이드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