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857A - 가스 절연 배전반 - Google Patents

가스 절연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857A
KR20230122857A KR1020220019610A KR20220019610A KR20230122857A KR 20230122857 A KR20230122857 A KR 20230122857A KR 1020220019610 A KR1020220019610 A KR 1020220019610A KR 20220019610 A KR20220019610 A KR 20220019610A KR 20230122857 A KR20230122857 A KR 20230122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board
bushing
mounting flange
baying
gas ins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0293B1 (ko
Inventor
탁성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20019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029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1961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80293B1/ko
Publication of KR20230122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0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0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가스 절연 배전반은 제1방향으로 줄 지어 배치되는 복수의 배전반 본체와,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주회로 통전부와, 상기 제1방향으로 인접한 두 배전반 본체 각각의 주회로 통전부를 연결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주회로 통전부는,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 버스바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일 터미널을 구비하고, 상기 메일 터미널을 통해 상기 메인 버스바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열반 부싱을 포함한다. 특히, 장착 플랜지는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 측면에 장착된다. 장착 플랜지는 상기 열반 부싱이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 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상기 열반 부싱과 상기 배전반 본체를 연결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가스 절연 배전반 전체를 해체하지 않고 사고가 발생한 중간 접속 배전반만을 해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절연 배전반{GAS INSULATED SWITCHGEAR}
본 발명은 가스 절연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선을 통해 접속이 이루어지는 가스 절연 배전반의 열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절연 매체에 따라 크게 공기 절연 배전반(Air insulated switch-gear), 고체 절연 배전반(Solid insulated switch-gear) 및 가스 절연 배전반(GIS; Gas Insulated Switch-gear)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중 가스 절연 배전반(GIS)은 옥내·외의 발전소 및 변전소용으로, 정상 사용 조건에서의 부하전류의 개폐뿐만 아니라 사고·단락전류 등의 이상 상태에 있어서도 선로를 안전하게 개폐하여 전력계통을 보호하는 개폐장치이다.
가스 절연 배전반은 금속제 탱크(패널)의 내부에 차단기 및 단로기 등의 개폐설비를 수납하고 절연가스를 충전 및 밀봉하여, 개폐 및 차단시에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하고 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스 절연 배전반은 복수의 기밀 탱크(tank)들을 1열 또는 복수의 열로 줄을 맞추어서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다.
가스 절연 배전반은 금속제 탱크의 측면에 열반 절연 부싱을 직접 설치하고, 열반 시 각 패널 사이에 커넥터(connector)를 추가로 구비하여, 복수의 패널이 전력계통에 따라 커넥터를 통해 모선에 접속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가스 절연 배전반은 사용 중 중간 접속 배전반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중간 접속 배전반을 해체하기 위해 상기 중간 접속 배전반과 인접한 배전반을 좌우로 이동시켜 접속 커넥터를 해체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준 후 상기 중간 접속 배전반을 해체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가스 절연 배전반을 설치한 후에 인입 및 인출을 위한 전선케이블의 설치가 다 되어 있는 상태에서 배전반을 좌우로 이동시키기가 매우 어렵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가스 절연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첫째, 사용 중 중간 접속 배전반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중간 접속 배전반과 인접한 배전반을 좌우로 이동시키지 않고도 중간 접속 배전반을 해체할 수 있는 구조의 가스 절연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둘째, 사용 중 중간 접속 배전반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사고 배전반의 설치 및 해체, 그리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구조의 가스 절연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사고 배전반의 해체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구조의 가스 절연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자는 집중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의 과제 내지 상술한 첫째 내지 셋째 목적은 다음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배전반은, 제1방향으로 줄 지어 배치되는 복수의 배전반 본체;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주회로 통전부; 상기 제1방향으로 인접한 두 배전반 본체 각각의 주회로 통전부를 연결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주회로 통전부는,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 버스바;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일 터미널을 구비하고, 상기 메일 터미널을 통해 상기 메인 버스바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열반 부싱; 및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 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열반 부싱이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 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상기 열반 부싱과 상기 배전반 본체를 연결하는 장착 플랜지를 포함한다.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열반 부싱은 3상 전력의 상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열반 부싱은 상기 장착 플랜지에 병렬로 이격되게 장착될 수 있다.
(3)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랜지는 양면이 평면인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열반 부싱은 상기 장착 플랜지의 제1면에 장착되고, 상기 열반 부싱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장착 플랜지의 제2면은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 측면에 접촉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4)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본체의 좌우 양측면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관통 가능하게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장착 플랜지는 복수의 상기 관통홀을 각각 덮도록 상기 배전반 본체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5)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랜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관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플랜지 관통홀; 및 상기 열반 부싱과 마주보는 제1면에 상기 열반 부싱의 일단부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6)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랜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며 각각 평면으로 형성되는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플랜지는, 상기 열반 부싱을 향하는 상기 제1면에 상기 열반 부싱의 일단부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너 리세스; 및 상기 제2면에 상기 열반 부싱을 상기 장착 플랜지에 체결하는 체결부재의 외측 단부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아우터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7) 상기 (6)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랜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관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플랜지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리세스와 상기 아우터 리세스는 상기 플랜지 관통홀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8)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랜지는,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 측면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열반 부싱을 장착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9)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랜지는 양면이 평면이며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10)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본체는,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런트 커버,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의 후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의 하면을 형성하는 바텀 커버,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 및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의 좌우 측면을 각각 형성하는 사이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플랜지는 복수의 상기 사이드 커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11)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배전반은 가스 절연 배전반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런트 커버,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의 후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의 하면을 형성하는 바텀 커버,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 및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의 좌우 측면을 각각 형성하는 사이드 커버를 포함하는 배전반 본체;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메인 버스바; 내부에 메일 터미널을 구비하고, 상기 메일 터미널의 일측을 상기 메인 버스바에 연결하고, 상기 메일 터미널의 타측을 플러그 커넥터와 연결하여, 상기 메인 버스바와 함께 주회로 통전부를 형성하는 열반 부싱; 상기 열반 부싱이 상기 사이드 커버의 내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내측에 상기 열반 부싱을 장착하고, 외측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사이드 커버에 체결되는 장착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12) 상기 (1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복수의 너트; 상기 복수의 너트가 각각 체결 가능하게 상기 사이드 커버의 내부 측면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볼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13) 상기 (1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복수의 볼트; 상기 복수의 볼트가 체결 가능하게 상기 사이드 커버의 내부 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14) 상기 (1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 및 너트의 나사 결합, 후크 결합, 스냅 핏 중 어느 하나의 결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15) 상기 (11)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본체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제1방향으로 줄지어 배치되고, 상기 장착 플랜지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열반 부싱을 장착하고, 상기 탑 커버와 상기 장착 플랜지 사이의 간격은 상기 바텀 커버와 상기 장착 플랜지 사이의 간격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첫째, 복수의 고전압 가스 절연 배전반이 일방향으로 줄 지어 설치되는 열반 구조에서, 배전반 본체의 내부 측면에 열반 부싱이 장착 플랜지를 매개로 장착됨으로써, 복수의 가스 절연 배전반 전체를 해체하지 않고 사고가 발생한 중간 접속 배전반만을 해체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열반 부싱은 장착 플랜지에 결합되고, 열반 부싱이 결합된 장착 플랜지는 사이드 커버의 내부 측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중간 접속 배전반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중간 접속 배전반의 탑 커버를 개방 후 중간 접속 배전반의 사이드 커버의 내부 측면에 결합된 장착 플랜지를 해체할 수 있다.
따라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열반 부싱을 해체하기 위해 탑 커버 해체 후, 열반 부싱이 장착된 장착 플랜지만을 해체하고 플러그 커넥터만 해체하면, 중간 접속 배전반에 인접한 배전반을 옆으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사고가 발생된 중간 접속 배전반의 해체가 가능하다.
또한, 중간 접속 배전반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가스 절연 배전반 전체를 해체 및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어, 해체 작업이 용이하고, 해체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아울러, 사고 발생 시 열반 배전반 전체를 해체하지 않고 사고 배전반만을 해체 가능함으로써, 유지 보수 시 열반 배전반의 재설치가 용이하다.
둘째, 금속제 탱크에 열반 부싱을 직접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복수의 열반 부싱을 장착 플랜지에 선조립하여 모듈화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열반 부싱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다.
셋째, 금속제 탱크의 탑 커버를 개방하면, 금속제 탱크의 상부 개구부를 통해 사고가 발생한 열반 부싱을 해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절연 배전반의 열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II-II를 따라 취하여 복수의 배전반의 열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복수의 배전반 사이에 플러그 커넥터가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한 개의 배전반의 프런트 커버와 탑 커버가 분해되어, 배전반 내부에 주회로 통전부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복수의 열반 부싱이 장착 플랜지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서 VIII를 확대하여 배전반 본체의 정면을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IX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3에서 X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2에서 중간 접속 배전반의 사고 발생시 중간 접속 배전반의 해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XII를 확대하여 주회로 통전부와 플러그 커넥터의 해체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제1사이드 커버에서 장착 플랜지와 열반 부싱의 어셈블리가 해체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배전반에서 장착 플랜지와 사이드 커버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배전반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 사이에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가 서로 전달됨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배전반"이라는 용어는 전기용 큐비클(Cubicle)혹은 패널(Panel)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가스 절연 배전반"이라는 용어는 절연가스, 예를 들면 육불화황 가스를 이용하여 아크를 소호하도록 구성되는 개폐장치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들은 가스 절연 배전반에 적용됨을 전제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들은 가스 절연 배전반 이외의 공기 절연 배전반 혹은 고체 절연 배전반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열반"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패널을 일 열 혹은 복수의 열로 줄을 맞추어서 설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우측", "좌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통해 이해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배전반의 구성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절연 배전반의 열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절연 배전반은 복수의 배전반 본체(100)가 1열 또는 복수의 열로 줄지어 배치되는 열반 구조로 설치된다. 복수의 배전반 본체(100)는 전후방향, 좌우방향,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지어 배치될 수 있다.
배전반 본체(100)는 탱크, 패널 또는 큐비클(cubicle)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배전반은 좌우방향으로 1열로 줄지어 배치된 모습을 보여준다.
배전반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차단기 및 단로기 등의 개폐설비가 수용될 수 있다. 배전반 본체(100)의 내부에 절연가스가 충전될 수 있다. 배전반 본체(100)는 기밀 유지를 위해 밀봉될 수 있다.
배전반 본체(10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각 배전반 본체(100)는 바텀 커버(101), 사이드 커버(102), 프런트 커버(103), 백 커버(104) 및 탑 커버(105)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커버(101), 탑 커버(105), 사이드 커버(102), 프런트 커버(103), 백 커버(104)는 각각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텀 커버(101)는 배전반 본체(100)의 하면을 형성한다. 탑 커버(105)는 배전반 본체(100)의 상면을 형성한다. 프런트 커버(103)는 배전반 본체(100)의 전면을 형성한다. 백 커버(104)는 배전반 본체(100)의 후면을 형성한다. 사이드 커버(102)는 배전반 본체(100)의 좌우 측면을 형성한다.
사이드 커버(102)는 배전반 본체(100)를 전방에서 바라볼 때 배전반 본체(100)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제1사이드 커버(1021)와, 배턴반 본체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2사이드 커버(10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03), 백 커버(104) 및 사이드 커버(102)는 바텀 커버(101)와 탑 커버(105)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사이드 커버(1021, 1022)의 상단은 탑 커버(105)의 좌우 양단부와 각각 결합된다. 제1 및 제2사이드 커버(1021, 1022) 각각의 하단은 바텀 커버(101)의 좌우 양단부와 각각 결합된다.
프런트 커버(103)와 백 커버(104)의 상단은 탑 커버(105)의 전후 양단부와 각각 결합된다. 프런트 커버(103)와 백 커버(104)의 하단은 바텀 커버(101)의 전후 양단부와 각각 결합된다.
프런트 커버(103), 사이드 커버(102), 백 커버(104) 및 바텀 커버(101) 및 탑 커버(105)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탑 커버(105)의 네 귀퉁이에 복수의 운반 고리(106)가 구비된다. 운반 고리(106)는 링부(1061)와 상기 링부(1061)를 탑 커버(105)의 상면에 연결하는 고리연결부(1062)를 구비한다.
링부(1061)는 폐루프의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리연결부(1062)는 탑 커버(105)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고리연결부(1062)의 상단은 링부(1061)의 일측과 연결되고, 고리연결부(1062)의 하단은 탑 커버(105)에 연결된다.
운반 고리(106)는 잭 ·윈치 ·호이스트 ·크레인 등 운반 기계의 후크에 걸리도록 하여, 설치 및 해체 시 배전반을 운반하도록 구성된다.
각 배전반 본체(100)는 후술할 프레임(107)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지지될 수 있다.
프레임(107)은 배치 방향에 따라 수평프레임(1071)과 수직프레임(107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1071)은 하부 프레임(1073), 중간 프레임(1074) 및 상부 프레임(1075)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073)은 프레임(107)의 최하부에 배치된다. 하부 프레임(1073)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프레임과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프레임을 구비하여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073)의 외측 좌우프레임은 나란하게 배치된 전후프레임의 전방측 단부와 후방측 단부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하부 프레임(1073)의 내측 좌우프레임은 바텀 커버(101)의 테두리부와 상방향으로 중첩되게 이격 배치되어, 하부 프레임(1073)의 전후프레임의 내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수직프레임(1072)은 하부 프레임(1073)의 전후프레임에서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수직프레임(1072)은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중간 프레임(1074)은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중간 프레임(1074)의 양단부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0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 프레임(1074)의 양단부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072)의 중간부 내측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부 프레임(1075)은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075)의 양단부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0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075)의 양단부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072)의 상단부 내측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전반 본체(100)와 프레임(107) 사이에 높이조절장치(108)가 구비될 수 있다. 높이조절장치(108)는 높이조절용 볼트(1081)와 너트(119)의 조합에 의해 배전반 본체(100)의 높이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높이조절용 볼트(1081)는 바텀 커버(101)의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높이조절용 너트(1082)는 상부 프레임(1075)에 복수 개로 장착될 수 있다. 높이조절용 볼트(1081)는 바텀 커버(101)에 고정된다. 높이조절용 너트(1082)는 높이조절용 볼트(1081)에 체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높이조절용 너트(1082)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배전반 본체(100)의 높이를 상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03) 및 사이드 커버(102) 각각의 내벽면에 보강부재(109)가 구비될 수 있다. 보강부재(109)는 각 커버 내벽면의 상하방향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부재(109)는 일측이 개방된 “U”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강부재(109)의 개방측 단부는 각 커버의 내벽면을 향해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II-II를 따라 취하여 복수의 배전반의 열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복수의 배전반 사이에 플러그 커넥터(115)가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한 개의 배전반의 프런트 커버(103)와 탑 커버(105)가 분해되어, 배전반 내부에 주회로 통전부(111)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복수의 열반 부싱(112)이 장착 플랜지(117)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서 배전반 본체(100)의 정면을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IX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3에서 X의 확대도이다.
복수의 배전반 본체(100)는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모선(11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모선(110)은 후술할 주회로 통전부(111)와 플러그 커넥터(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전반 본체(100)는 복수의 주회로 통전부(11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한 개의 배전반 본체(100)에 수용된 주회로 통전부(111)는 3개일 수 있다. 3개의 주회로 통전부(111)는 3상 전력의 R상, S상, T상 개수와 동일하다.
복수의 주회로 통전부(111)는 서로 다른 상을 갖는다. 복수의 주회로 통전부(111)는 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주회로 통전부(111)가 전후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모습을 보여준다. 복수의 주회로 통전부(111)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열반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배전반 본체(100) 각각의 주회로 통전부(111)는 후술할 플러그 커넥터(11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주회로 통전부(111)는 3상으로 병렬로 배치된다.
여기서, 열반 방향이란 복수의 배전반 본체(100)가 줄지어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주회로 통전부(111)는 배전반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주회로 통전부(111)는 배전반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탑 커버(105)와 주회로 통전부(111) 사이의 상하 간격은 바텀 커버(101)와 주회로 통전부(111) 사이의 상하 간격보다 더 작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주회로 통전부(111)가 탑 커버(105)와 더 가깝게 배치되면 탑 커버(105)를 개방한 후 주회로 통전부(111)를 배전반 본체(100)에 설치하거나 배전반 본체(100)로부터 해체하기가 용이하다.
주회로 통전부(111)는 열반 방향,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주회로 통전부(111)는 플러그 커넥터(11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주회로 통전부(111)는 열반 부싱(112) 및 메인 버스바(114)를 포함한다.
열반 부싱(112; bushing)은 내부에 메일 터미널(113; male terminal)을 구비한다. 열반 부싱(112)은 일측이 개방된 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열반 부싱(112)은 반경방향으로 단면을 절단했을 때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열반 부싱(112)의 축방향 일측 단부에 개구부(1121)가 형성된다. 열반 부싱(112)의 축방향 타측 단부에 메일 터미널(113)이 장착될 수 있다. 열반 부싱(112)의 축방향 타측 단부에 터미널 결합홀이 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일 터미널(113)의 일단부는 터미널 결합홀을 통해 열반 부싱(112)에 결합될 수 있다. 메일 터미널(113)은 열반 부싱(112)의 터미널 결합홀에 결합된 상태로 열반 부싱(112)의 내부 공간으로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열반 부싱(112)은 메일 터미널(113)을 감싸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구성된다.
메일 터미널(113)은 플러그 커넥터(11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15)는 좌우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사이드 커버(1021)와 제2사이드 커버(1022)를 관통하여 서로 인접한 두 배전반 본체(100)의 열반 부싱(112)의 메일 터미널(113)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15)의 양측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며 마주보는 두 열반 부싱(112)의 개구부(1121)를 통해 열반 부싱(112)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플러그 커넥터(115)는 내부에 피메일 터미널(116)을 구비한다. 피메일 터미널(116)은 열반 부싱(112)의 메일 터미널(113)을 수용하고 메일 터미널(113)과 결합된다.
피메일 터미널(116)과 메일 터미널(113)은 접촉에 의해 상호 간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열반 부싱(112)은 사이드 커버(102)의 내부 측면에 후술할 장착 플랜지(117)를 매개로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반 부싱(112)은 배전반 본체(100)의 사이드 커버(102)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열반 부싱(112)과 장착 플랜지(117)가 서로 결합되고, 장착 플랜지(117)는 사이드 커버(102)에 결합됨에 따라, 열반 부싱(112)은 장착 플랜지(117)를 중간 매개체로 이용하여 사이드 커버(102)에 장착될 수 있다.
메인 버스바(114)는 길이가 폭에 비해 긴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버스바(114)의 양단부에 버스바 결합부(1141)가 각각 구비된다. 버스바 결합부(1141)는 메인 버스바(114)의 양단부에서 직각으로 벤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버스바 결합부(1141)에 결합홀이 형성된다. 볼트 등의 체결부재(1142)는 결합홀을 통해 관통할 수 있다. 메일 터미널(113)의 일단부에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 등의 체결부재(1142)는 버스바 결합부(1141)의 결합홀을 관통하여 메일 터미널(113)의 체결홈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열반 부싱(112)은 제1열반 부싱(112a)과 제1열반 부싱(11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열반 부싱(112a)은 한 개의 배전반 본체(100)의 제1사이드 커버(1021)에 장착 플랜지(117)를 매개로 장착된다. 제1열반 부싱(112b)은 상기 한 개의 배전반 본체(100)의 제2사이드 커버(1022)에 장착 플랜지(117)를 매개로 장착된다.
제1열반 부싱(112a)과 제1열반 부싱(112b) 각각의 중심은 배전반 본체(100)의 저면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정렬된다. 메인 버스바(114)는 하나의 배전반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된다.
메인 버스바(114)의 일단부는 제1열반 부싱(112a)의 메일 터미널(113)에 체결되고, 메일 버스바의 타단부는 제1열반 부싱(112b)의 메일 터미널(113)에 체결된다.
이에 의하면, 제1열반 부싱(112a)과 제1열반 부싱(112b)은 메인 버스바(114)를 통해 통전될 수 있다.
열반된 좌우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배전반 본체(100) 각각의 주회로 통전부(11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이드 커버(102)에 관통홀을 구비하고, 관통홀을 통해 플러그 커넥터(115)를 관통시켜 인접한 주회로 통전부(111)를 연결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사이드 커버(1021)와 제2사이드 커버(1022)에 제1관통홀(1021a)과 제2관통홀(1022a)이 각각 관통되게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15)는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두 배전반 본체(100) 중 하나의 배전반 본체(100)의 제1사이드 커버(1021)의 제1관통홀(1021a)과 다른 하나의 배전반 본체(100)의 제2사이드 커버(1022)의 제2관통홀(1022a)을 통해 제1사이드 커버(1021)와 제2사이드 커버(1022)를 각각 관통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15)와 열반 부싱(112)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플러그 커넥터(115)의 외주면은 열반 부싱(112)의 내주면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되게 형성된다고 함은 동일한 형상을 가짐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115)의 외주면은 플러그 커넥터(115)의 중앙부에서 그 양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모습을 보여준다. 열반 부싱(112)의 내주면은 개구부(1121) 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115)가 열반 부싱(112)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 시 플러그 커넥터(115)와 열반 부싱(112) 간에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다.
플러그 커넥터(115)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플러그 커넥터(115)는 제1피메일 터미널(116a)과 제2피메일 터미널(116b)을 구비한다. 제1피메일 터미널(116a)은 플러그 커넥터(115)의 길이방향으로 플러그 커넥터(115)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피메일 터미널(116b)은 플러그 커넥터(115)의 길이방향으로 플러그 커넥터(115)의 타측에 배치된다.
열반 부싱(112)의 메일 터미널(113)과 플러그 커넥터(115)의 피메일 터미널(116) 각각의 중심은 서로 동일한 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메일 터미널(113)의 외주부와 피메일 터미널(116)의 내주부는 서로 접촉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피메일 터미널(116)의 내측 선단부에서 결합돌기(1161)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161)는 원호 형상의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결합돌기(1161)는 피메일 터미널(116)과 메일 터미널(113)의 사이의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메일 터미널(113)의 일단부에 테이퍼부(1131)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부(1131)는 메일 터미널(113)의 외주면에서 그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테이퍼부(1131)가 결합돌기(1161)의 내측으로 진입 시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다.
제1관통홀(1021a)과 제2관통홀(1022a)은 장착 플랜지(117)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되게 형성된다고 함은 동일하거나 유사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관통홀(1021a, 1022a)과 장착 플랜지(117)는 서로 형상이 같으나, 그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 관통홀(1021a, 1022a)의 크기는 장착 플랜지(117)의 크기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 모습을 보여준다.
장착 플랜지(117)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 플랜지(117)의 각 코너부는 4분 원호 형상의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021a, 1022a)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021a, 1022a)은 전후방향의 가로길이가 상하방향의 세로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관통홀(1021a, 1022a)의 네 귀퉁이는 4분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 플랜지(117)는 관통홀(1021a, 1022a)을 덮도록 배치된다. 장착 플랜지(117)의 테두리부는 관통홀(1021a, 1022a)의 테두리를 따라 사이드 커버(102)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장착 플랜지(117)의 테두리부는 복수의 볼트 및 너트(119)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사이드 커버(102)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수단은 볼트/너트의 나사 결합 이외에도 후크 결합, 스냅 핏(snap fit)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착 플랜지(117)의 테두리부에 복수의 체결홀(12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홀(120)은 장착 플랜지(117)의 테두리부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02)에 복수의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는 수나사 형태로 사이드 커버(102)에서 돌출되는 볼트부(118) 또는 암나사 형태로 사이드 커버(102)의 내부 측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너트(119)부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가 볼트부(118)로 구현된 모습을 보여준다.
복수의 볼트부(118)는 사이드 커버(102)의 내부 측면에서 장착 플랜지(117)의 체결홀(120)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볼트는 관통홀(1021a, 1022a)의 테두리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다.
볼트부(118)는 장착 플랜지(117)의 체결홀(120)을 관통한다. 너트(119)는 장착 플랜지(117)를 관통하여 돌출된 볼트부(118)의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장착 플랜지(117)는 사이드 커버(102)의 내부 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장착 플랜지(117)에 복수의 플랜지 관통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플랜지 관통홀(121)은 한 개의 배전반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반 부싱(112)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랜지 관통홀(121)은 한 개의 장착 플랜지(117)에 3개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 관통홀(121)은 열반 부싱(112)의 개구부(1121)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플랜지 관통홀(121)과 열반 부싱(112)은 연통된다. 플러그 커넥터(115)가 서로 인접하는 두 사이드 커버(102)의 관통홀, 서로 인접하는 플랜지 관통홀(121) 및 서로 인접하는 두 열반 부싱(112)의 개구부(1121)를 관통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02)의 관통홀(1021a, 1022a), 플랜지 관통홀(121) 및 열반 부싱(112)의 개구부(1121) 각각의 중심은 좌우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 관통홀(121)은 열반 부싱(112)의 외주면 직경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플랜지 관통홀(121)은 열반 부싱(112)의 개구부(1121)의 직경보다 직경이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02)의 양면에 이너 리세스(123)와 아우터 리세스(12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리세스(123)는 열반 부싱(112)을 향해 배치되고, 아우터 리세스(124)는 사이드 커버(102)의 외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리세스(123)는 제1리세스라고 명명될 수 있다. 아우터 리세스(124)는 제2리세스라고 명명될 수 있다.
이너 리세스(123)와 아우터 리세스(124)는 플랜지 관통홀(121)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리세스(123)와 아우터 리세스(124)는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너 리세스(123)는 열반 부싱(112)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너 리세스(123)의 직경은 열반 부싱(112)의 외주면 직경보다 약간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장착 플랜지(117)와 열반 부싱(112)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너 리세스(123)의 직경이 열반 부싱(112)의 외주면 직경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너 리세스(123)와 아우터 리세스(124)의 내주면과 수직한 이너 리세스(123)와 아우터 리세스(124) 각각의 내측에 복수의 플랜지 체결홀(125)이 장착 플랜지(117)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플랜지 체결홀(125)은 이너 리세스(123)와 아우터 리세스(124)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다.
열반 부싱(112)의 개구측 단부에 복수의 체결홈(1122)이 형성된다. 복수의 체결홈(1122)은 복수의 플랜지 체결홀(125)과 대응되게 배치된다.
복수의 볼트(1124) 등의 체결부재는 복수의 플랜지 관통홀(121)을 통해 아우터 리세스(124)에서 이너 리세스(123)를 향해 관통하여 열반 부싱(112)의 복수의 체결홈(1122)에 각각 체결된다.
복수의 열반 부싱(112)은 한 개의 장착 플랜지(117)에 형성된 복수의 이너 리세스(123)에 수용되며 장착될 수 있다.
장착 플랜지(117)와 열반 부싱(112)은 배전반 본체(100)의 사이드 커버(102)의 관통홀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면, 장착 플랜지(117)와 열반 부싱(112)은 좌우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배전반 본체(100)의 주회로 통전부(111) 사이에 전기적인 연결을 허용하나, 인접하는 두 배전반 본체(100) 사이 또는 3상 전력의 3상 전원 사이를 밀봉하여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착 플랜지(117)와 열반 부싱(112)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부싱 실링(1123)이 구비된다. 부싱 실링(1123)은 열반 부싱(112)의 개구부측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열반 부싱(112) 개구부측 단부에 부싱실링홈이 형성된다. 부싱실링홈은 이너 리세스(123)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부싱 실링(1123)은 부싱실링홈에 장착된다. 부싱 실링(1123)은 열반 부싱(112)의 복수의 체결홈(1122)을 감싸도록 열반 부싱(1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부싱 실링(1123)은 장착 플랜지(117)의 이너 리세스(123)에 수용되며 밀착됨으로써, 열반 부싱(112)과 장착 플랜지(117)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커버(102)와 장착 플랜지(117)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플랜지 실링(1251)이 구비된다. 플랜지 실링(1251)은 사이드 커버(102)를 향하는 장착 플랜지(117)의 일면 테두리부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 플랜지(117)의 일면에 플랜지실링홈이 형성된다. 플랜지실링홈은 사이드 커버(102)의 내부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플랜지 실링(1251)은 플랜지실링홈에 장착된다. 플랜지 실링(1251)은 관통홀을 감싸도록 장착 플랜지(117)의 테두리부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 실링(1251)은 사이드 커버(102)의 내부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밀착됨으로써, 장착 플랜지(117)와 사이드 커버(102)의 내부 측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복수의 배전반 본체(100)는 좌우방향으로 줄 지어 배치되는 제1배전반 본체(100-1) 내지 제N배전반 본체(100-n)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이다.
제1배전반 본체(100-1)는 복수의 배전반 본체(100) 중 가장 왼쪽에 배치되고, 제N배전반 본체(100-n)는 가장 오른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배전반 본체(100-1)의 제1사이드 커버(1021)와 제N배전반 본체(100-n)의 제2사이드 커버(1022)에 각각 이너 마개(126)와 아우터 커버(127)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이너 마개(126)는 제1배전반 본체(100-1)의 제1사이드 커버(1021) 또는 제N배전반 본체(100-n)의 제2사이드 커버(1022)에 장착되는 열반 부싱(112)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너 마개(126)는 열반 부싱(112)의 개구부(1121)를 덮도록 열반 부싱(112)의 내부에 결합되어, 열반 부싱(112)의 메일 터미널(113)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외부 전력과 연결하기 위해 이너 마개(126)를 탈거한 경우에, 제1배전반 본체(100-1) 또는 제2배전반 본체의 메일 터미널(113)은 외부 전력과 연결될 수 있다.
아우터 커버(127)는 제1배전반 본체(100-1)의 제1사이드 커버(1021)에 형성된 제1관통홀(1021a)을 덮거나 혹은 제2배전반 본체의 제2사이드 커버(1022)에 형성된 제2관통홀(1022a)을 덮도록 상기 제1사이드 커버(1021) 및/또는 상기 제2사이드 커버(1022)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아우터 커버(127)는 외부로부터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2에서 중간 접속 배전반의 사고 발생시 중간 접속 배전반의 해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XII를 확대하여 주회로 통전부(111)와 플러그 커넥터(115)의 해체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제1사이드 커버(1021)에서 장착 플랜지(117)와 열반 부싱(112)의 어셈블리가 해체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중간 접속 배전반은 제1배전반 본체(100-1)와 제N배전반 본체(100-n) 사이에 배치되는 배전반을 의미한다.
중간 접속 배전반에서 전기 단락, 지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중간 접속 배전반을 점검하기 위해 사고가 발생된 중간 접속 배전반을 해체해야 한다.
가스 절연 배전반을 사용 중 중간 접속 배전반에 사고가 발생 시 다음과 같은 해제방법으로 해체할 수 있다.
먼저 중간 접속 배전반의 탑 커버(105)를 해체한 후 탑 커버(105)를 개방한다.
그 다음, 중간 접속 배전반의 내부에 수용된 메인 버스바(114)가 열반 부싱(112)과 분리되도록 메인 버스바(114)와 열반 부싱(112)을 해체한다.
계속해서, 열반 부싱(112)과 장착 플랜지(117)의 어셈블리를 배전반 본체(100)로부터 해체한다. 이때, 배전반 본체(100)의 제1사이드 커버(1021)와 제2사이드 커버(1022)에 각각 조립되었던 열반 부싱(112)과 장착 플랜지(117)의 어셈블리가 모두 해체되거나 둘 중 어느 하나의 어셈블리만 해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사이드 커버(1021, 1022)에 각각 조립된 열반 부싱(112)과 장착 플랜지(117)의 어셈블리가 모두 해체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장착 플랜지(117)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는 너트(119)가 사이드 커버(102)의 내측에 구비된 볼트부(118)와 분리되도록 장착 플랜지(117)의 너트(119)를 회전시켜 볼트부(118)로부터 해체한다.
이로써, 열반 부싱(112)과 장착 플랜지(117)의 어셈블리가 해체될 수 있다.
이 때,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두 배전반 본체(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러그 커넥터(115)는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두 열반 부싱(112) 중 어느 하나의 열반 부싱(112)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15)가 중간 접속 배전반과 인접한 배전반의 열반 부싱(112)으로부터 인출되면, 중간 접속 배전반의 사이드 커버(102)에서 해체된 열반 부싱(112)에 결합된 채로, 플러그 커넥터(115), 복수의 열반 부싱(112) 및 장착 플랜지(117)의 어셈블리와 함께 한꺼번에 분리될 수 있다.
이 후, 플러그 커넥터(115)를 열반 부싱(112)으로부터 인출하여 해체할 수 있다.
그리고, 열반 부싱(112)을 장착 플랜지(117)로부터 해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착 플랜지(117)와 열반 부싱(112)을 체결하는 볼트(1124) 등의 체결부재를 하나씩 회전시킴으로 해제한다.
이로써, 열반 부싱(112)은 장착 플랜지(117)로부터 해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체된 열반 부싱(112) 및 메인 버스바(114)를 포함하는 주회로 통전부(111)와 플러그 커넥터(115) 등이 해체되면, 사고 원인의 파악을 위해 점검 및 불량한 부품의 교체 등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전압 가스 절연 배전반의 열반 구조에 있어서 열반 부싱(112)이 장착 플랜지(117)를 매개로 배전반 본체(100)의 사이드 커버(102)에 장착됨으로써, 복수의 가스 절연 배전반 전체를 해체하지 않고 사고가 발생한 중간 접속 배전반만을 해체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열반 부싱(112)은 장착 플랜지(117)에 결합되고, 장착 플랜지(117)는 사이드 커버(102)의 내부 측면에 결합된다. 중간 접속 배전반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중간 접속 배전반의 탑 커버(105)를 개방 후 중간 접속 배전반의 사이드 커버(102)의 내부 측면에 결합된 장착 플랜지(117)를 해체한다. 이로써,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열반 부싱(112)을 해체하기 위해 탑 커버(105) 해체 후, 열반 부싱(112)이 장착된 장착 플랜지(117)만을 해체하고 플러그 커넥터(115)만 해체하면, 중간 접속 배전반에 인접한 배전반을 옆으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사고가 발생된 중간 접속 배전반의 해체가 가능하다.
또한, 중간 접속 배전반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가스 절연 배전반 전체를 해체 및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어, 해체 작업이 용이하고, 해체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배전반의 구성의 설명
도 14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배전반에서 장착 플랜지와 사이드 커버(1021, 1022)의 체결을 위한 체결수단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는 배전반 본체(100)의 사이드 커버(1021, 1022)의 내부 측면에 장착 플랜지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이 상술한 도 1 내지 도 13의 실시예와 다르다.
본 실시예의 체결수단에 관하여 상술한 실시예의 체결부재 대비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열반 부싱(112a, 112b)이 장착된 장착 플랜지는 복수의 체결볼트(218)에 의해 사이드 커버(1021, 1022)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볼트(218)는 볼트 헤드(2181)와 스템부(2182)로 구성될 수 있다. 볼트 헤드(2181)는 스템부(2182)의 일단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볼트 헤드(2181)는 육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볼트 헤드(2181)는 육각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 및 해제 가능하다.
스템부(2182)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템부(2182)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산은 스템부(2182)의 외주면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은 스템부(2182)의 선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형성된다.
사이드 커버(1021, 1022)에 너트부(219)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너트부(219)는 스템부(2182)의 나사산과 대응되게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너트부(219)의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다. 너트부(219)는 스템부(2182)의 나사산이 체결되도록 이루어진다. 너트부(219)는 관통홀(1021a, 1022a)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며 이격 배치된다.
너트부(219)의 깊이는 스템부(2182)에 형성된 나사산의 길이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기타 구성요소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술한 도 14의 실시예에서 너트부(219) 대신에 보스부가 대체될 수 있다. 보스부는 사이드 커버(1021, 1022)의 내부 측면에서 장착 플랜지(117)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스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스부의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보스부의 중공부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보스부의 외주면은 나사산이 없이 매끈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볼트는 장착 플랜지(117)의 체결홀(125)을 관통하여 보스부의 내부에 체결될 수 있다.
100 : 배전반 본체 100-1 : 제1배전반 본체
100-n : 제N배전반 본체 101 : 바텀 커버
102 : 사이드 커버 1021 : 제1사이드 커버
1021a : 제1관통홀 1022 : 제2사이드 커버
1022a : 제2관통홀 103 : 프런트 커버
104 : 백 커버 105 : 탑 커버
106 : 운반 고리 1061 : 링부
1062 : 고리연결부 107 : 프레임
1071 : 수평프레임 1072 : 수직프레임
1073 : 하부 프레임 1074 : 중간 프레임
1075 : 상부 프레임 108 : 높이조절장치
1081 : 높이조절용 볼트 1082 : 높이조절용 너트
109 : 보강부재 110 : 모선
111 : 주회로 통전부 112 : 열반 부싱
1121 : 개구부 1122 : 체결홈
1123 : 부싱 실링 1124 : 볼트
112a : 제1열반 부싱 112b : 제2열반 부싱
113 : 메일 터미널 1131 : 테이퍼부
114 : 메인 버스바 1141 : 버스바 결합부
1142 : 체결부재 115 : 플러그 커넥터
116 : 피메일 터미널 1161 : 결합돌기
116a : 제1피메일 터미널 116b : 제2피메일 터미널
117 : 장착 플랜지 118 : 볼트부
119 : 너트 120 : 체결홀
121 : 플랜지 관통홀 123 : 이너 리세스
124 : 아우터 리세스 125 : 플랜지 체결홀
1251 : 플랜지 실링 126 : 이너 마개
127 : 아우터 커버 218 : 볼트
2181 : 볼트헤드 2182 : 스템부
219 : 너트부

Claims (15)

  1. 제1방향으로 줄 지어 배치되는 복수의 배전반 본체;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주회로 통전부;
    상기 제1방향으로 인접한 두 배전반 본체 각각의 주회로 통전부를 연결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주회로 통전부는,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 버스바;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일 터미널을 구비하고, 상기 메일 터미널을 통해 상기 메인 버스바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열반 부싱; 및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 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열반 부싱이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 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상기 열반 부싱과 상기 배전반 본체를 연결하는 장착 플랜지를 포함하는 가스 절연 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 부싱은 3상 전력의 상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열반 부싱은 상기 장착 플랜지에 병렬로 이격되게 장착되는 가스 절연 배전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랜지는 양면이 평면인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열반 부싱은 상기 장착 플랜지의 제1면에 장착되고,
    상기 열반 부싱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장착 플랜지의 제2면은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 측면에 접촉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스 절연 배전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본체의 좌우 양측면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관통 가능하게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장착 플랜지는 복수의 상기 관통홀을 각각 덮도록 상기 배전반 본체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가스 절연 배전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랜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관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플랜지 관통홀; 및
    상기 열반 부싱과 마주보는 제1면에 상기 열반 부싱의 일단부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가스 절연 배전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랜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며 각각 평면으로 형성되는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플랜지는,
    상기 열반 부싱을 향하는 상기 제1면에 상기 열반 부싱의 일단부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너 리세스; 및
    상기 제2면에 상기 열반 부싱을 상기 장착 플랜지에 체결하는 체결부재의 외측 단부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아우터 리세스를 포함하는 가스 절연 배전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랜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관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플랜지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리세스와 상기 아우터 리세스는 상기 플랜지 관통홀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가스 절연 배전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랜지는,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 측면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열반 부싱을 장착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가스 절연 배전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랜지는 양면이 평면이며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는 가스 절연 배전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본체는,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런트 커버,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의 후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의 하면을 형성하는 바텀 커버,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 및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의 좌우 측면을 각각 형성하는 사이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플랜지는 복수의 상기 사이드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스 절연 배전반.
  11. 가스 절연 배전반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런트 커버,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의 후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의 하면을 형성하는 바텀 커버,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 및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의 좌우 측면을 각각 형성하는 사이드 커버를 포함하는 배전반 본체;
    상기 배전반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메인 버스바;
    내부에 메일 터미널을 구비하고, 상기 메일 터미널의 일측을 상기 메인 버스바에 연결하고, 상기 메일 터미널의 타측을 플러그 커넥터와 연결하여, 상기 메인 버스바와 함께 주회로 통전부를 형성하는 열반 부싱;
    상기 열반 부싱이 상기 사이드 커버의 내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내측에 상기 열반 부싱을 장착하고, 외측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사이드 커버에 체결되는 장착 플랜지를 포함하는 가스 절연 배전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복수의 너트;
    상기 복수의 너트가 각각 체결 가능하게 상기 사이드 커버의 내부 측면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볼트부를 포함하는 가스 절연 배전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복수의 볼트;
    상기 복수의 볼트가 체결 가능하게 상기 사이드 커버의 내부 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너트부를 포함하는 가스 절연 배전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 및 너트의 나사 결합, 후크 결합, 스냅 핏 중 어느 하나의 결합 형태로 구현되는 가스 절연 배전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본체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제1방향으로 줄지어 배치되고,
    상기 장착 플랜지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열반 부싱을 장착하고,
    상기 탑 커버와 상기 장착 플랜지 사이의 간격은 상기 바텀 커버와 상기 장착 플랜지 사이의 간격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배전반.
KR1020220019610A 2022-02-15 가스 절연 배전반 KR102680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610A KR102680293B1 (ko) 2022-02-15 가스 절연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610A KR102680293B1 (ko) 2022-02-15 가스 절연 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857A true KR20230122857A (ko) 2023-08-22
KR102680293B1 KR102680293B1 (ko) 2024-07-01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2697U (ko) 배전반
KR20180131479A (ko) 중간 전압 극 조립체
US6337452B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with flange-spacer assembly
US9502160B2 (en) Corona-free cap assembly
KR20230122857A (ko) 가스 절연 배전반
US3983460A (en) Enclosed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fuse assembly
KR102680293B1 (ko) 가스 절연 배전반
KR102302478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CN111193218B (zh) 一种三相共箱母线拐弯结构及gis
JP4795219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1546791B1 (ko) 기체절연 개폐장치
EP2930804B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chaltanlage
US9006595B2 (en) Link disconnect box for an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 protector
KR101029293B1 (ko)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KR20170043929A (ko)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
KR101180492B1 (ko) 배전반용 안전유리도어
CN212209323U (zh) 一种变配电设备用隔离开关
JP4511312B2 (ja) 気中モールド開閉器の配電箱における取り付け構造
US20180138670A1 (en) Retrofitting device for medium voltage switchgear
JP2004319416A (ja) 地中配電用気中モールド開閉器
CN105449575B (zh) 一种充气柜及其固封极柱
KR101563588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도체 홀 커버 결합구조
JPH0620327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20230127513A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
CA2814107C (en) Link disconnect box for an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 pro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