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783A - Electrical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Electrical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783A
KR20230122783A KR1020220019417A KR20220019417A KR20230122783A KR 20230122783 A KR20230122783 A KR 20230122783A KR 1020220019417 A KR1020220019417 A KR 1020220019417A KR 20220019417 A KR20220019417 A KR 20220019417A KR 20230122783 A KR20230122783 A KR 20230122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signal
vias
ground plane
electrical conn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4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존 윌리엄스
Original Assignee
네오코닉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코닉스 인크 filed Critical 네오코닉스 인크
Priority to KR1020220019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2783A/en
Publication of KR20230122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7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2Holders for supporting the complete device in operation, i.e. detachable f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H05K3/3431Leadless components
    • H05K3/3436Leadless components having an array of bottom contacts, e.g. pad grid array or ball grid array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는 제1 절연 기판(11) 내에 배치된 신호 비아(12) 및 제1 및 제2 접지 비아(13, 14)를 포함한다. 제1 절연 기판(11) 상에 제1 접지면(15)이 형성된다. 제1 접촉 요소(21)는 제1 접지면(15) 상에 형성되고 신호 비아(12)에 각각 연결되어 제1 접지면(15)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신호 핀(P1)의 세트를 형성한다. 제2 접촉 요소(22)는 제1 접지면(15) 상에 형성되고 제1 접지 비아(13)에 각각 연결되어 접지 핀(P2)의 세트를 형성한다. 각각의 신호 핀(P1)은 적어도 하나의 접지 핀(P2)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지 비아(14)에 의해 차폐된다. 제2 접지 비아(14)에는 접촉 요소가 없다.The electrical connector includes a signal via 12 and first and second ground vias 13 and 14 disposed in a first insulating substrate 11 . A first ground plane 15 is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11 . The first contact elements 21 are formed on the first ground plane 15 and connected to signal vias 12 respectively to form a set of signal pins P1 electrically isolated from the first ground plane 15. . The second contact elements 22 are formed on the first ground plane 15 and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vias 13 respectively to form a set of ground pins P2. Each signal pin P1 is shielded by at least one ground pin P2 and at least one second ground via 14 . The second ground via 14 has no contact elements.

Description

신호 전송용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Electrical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ELECTRICAL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본 개시는 신호 전송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폐된 신호 비아 및 접촉 요소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electrical connectors for signal transmission, and more particularly to electrical connectors comprising shielded signal vias and contact elements.

랜드 그리드 어레이(Land grid array: LGA)는 집적 회로 패키지, 인쇄 회로 보드 또는 기타 전자 부품의 전기 접점으로서 사용되는 금속 패드(랜드라고도 함) 어레이를 지칭한다. 금속 패드는 일반적으로 절연 표면 또는 기판에서 리소그래피로 정의하고 에칭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런 다음 표면을 금막이나 기타 귀금속으로 코팅하여 산화되지 않는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볼 그리드 어레이(Ball Grid array: BGA)는 집적 회로 패키지에 대한 전기 접점으로서 사용되는 솔더 볼 또는 솔더 범프의 어레이를 지칭한다. LGA 및 BGA 패키지는 모두 반도체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며 각각 관련된 장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LGA 패키지는 전형적으로 솔더 볼이나 솔더 범프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볼 그리드 어레이(BGA) 패키지보다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 그러나, LGA 패키지는 전형적으로 PC 보드나 다중 칩 모듈에 조립하기가 더 어렵다. LGA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PC 보드나 칩 모듈에 연결된 LGA 패키지에 착탈식 및 재장착식 소켓 기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Land grid array (LGA) refers to an array of metal pads (also called lands) used as electrical contacts on integrated circuit packages, printed circuit boards, or other electronic components. Metal pads are typically formed by lithographically defining and etching in an insulating surface or substrate. It is common to then coat the surface with a film of gold or other noble metal to provide a non-oxidizing surface. A ball grid array (BGA) refers to an array of solder balls or solder bumps used as electrical contacts to an integrated circuit package. Both LGA and BGA packages are widely used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and each has its associated strengths and weaknesses. For example, LGA packages are typically less expensive to manufacture than ball grid array (BGA) packages because they do not require the formation of solder balls or solder bumps. However, LGA packages are typically more difficult to assemble into PC boards or multi-chip modules. LGA connectors are commonly used to provide removable and re-pluggable socket functionality for LGA packages connected to PC boards or chip modules.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반도체 집적 회로 내의 치수가 줄어들고 특히 실리콘 다이 또는 반도체 패키지 상의 접점에 대한 피치가 감소했다. 피치, 즉, 반도체 장치 상의 각 전기 접점("리드"라고도 함) 사이의 간격은 소정 응용례에서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웨이퍼 상의 접촉 패드는 250미크론 이하의 피치를 가질 수 있다. 250미크론 피치 레벨에서, 이들 반도체 장치에 분리 가능한 전기 연결부를 만들기 위해 기존 기법을 사용하는 것은 엄청나게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든다. 반도체 장치 상의 접촉 패드 피치가 50미크론 미만으로 감소하고 어레이의 복수의 접촉 패드에 대한 동시 연결이 요구됨에 따라 문제는 훨씬 더 중요해지고 있다.Advances in semiconductor technology have reduced dimensions with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particularly pitches for contacts on silicon dies or semiconductor packages. The pitch, ie the spacing between each electrical contact (also referred to as "lead") on a semiconductor device is rapidly decreasing in certain applications. For example, contact pads on a semiconductor wafer may have a pitch of 250 microns or less. At the 250 micron pitch level, using existing techniques to make separable electrical connections to these semiconductor devices is prohibitively difficult and costly. The problem becomes even more critical as contact pad pitches on semiconductor devices decrease to less than 50 microns and simultaneous connections to multiple contact pads in an array are required.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착탈가능하고 재장착가능하며, 크로스토크가 감소하고 신호 무결성이 개선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면서 컴팩트한 크기를 유지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or that is detachable and remountable, capable of transmitting signals with reduced crosstalk and improved signal integrity, while maintaining a compact size.

본 개시에 따르면, 코어 유닛 및 접촉 유닛을 포함하는 신호 전송용 전기 커넥터가 개시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 electrical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including a core unit and a contact unit is disclosed.

코어 유닛은, 복수의 비아 홀을 갖는 제1 절연 기판과, 복수의 신호 비아, 제1 접지 비아 및 제2 접지 비아 - 이들 모두 비아 홀에 각각 배치됨 - 와, 제1 절연 기판의 제1 표면 상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접지 비아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제1 접지면을 포함한다.The core unit includes a first insulating substrate having a plurality of via holes, a plurality of signal vias, first ground vias, and second ground vias, all of which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via holes, and on a first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and a first ground plane formed on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ground vias.

접촉 유닛은 코어 유닛에 위치되고, 복수의 제1 접촉 요소 및 복수의 제2 접촉 요소를 포함한다. 제1 접촉 요소는 제1 접지면 상에 형성되고 신호 비아에 각각 연결되어 신호 핀 세트를 형성한다. 제1 접촉 요소 각각 및 신호 비아 각각은 제1 접지면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제2 접촉 요소는 제1 접지면 상에 형성되고 제1 접지 비아에 각각 연결되어 접지 핀 세트를 형성한다.The contact unit is located on the core uni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ntact elements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 elements. The first contact elements are formed on the first ground plane an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ignal vias to form a set of signal pins. Each of the first contact elements and each of the signal vias ar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first ground plane. Second contact elements are formed on the first ground plane an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vias to form a set of ground pins.

신호 핀 각각은 접지 핀 중 적어도 하나 및 제2 접지 비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신호 핀 중 인접한 하나로부터 차폐된다. 제2 접지 비아는 제1 접지면 상에 형성된 접촉 요소가 없다.Each signal pin is shielded from an adjacent one of the signal pins by at least one of the ground pins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ground vias. The second ground via has no contact element formed on the first ground plane.

본 개시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기 커넥터의 신호 및 접지 부재, 및 단자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전기 커넥터의 신호 및 접지 부재, 단자 및 접지면을 도시하는 제1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전기 커넥터의 신호 및 접지 부재, 단자 및 접지면을 도시하는 제1 실시예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전기 커넥터에 연결 가능한 전자 부품을 도시하는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차동 신호 쌍을 갖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접지면과 제2 접지면 사이의 제1 절연 기판이 생략된 전기 커넥터를 도시하는 제2 실시예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signal and ground members and terminals of an electrical connector;
3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Fig. 4 is a plan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showing signal and ground members, terminals and ground planes of an electrical connector;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showing signal and ground members, terminals and ground planes of an electrical connector;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showing electronic components connectable to the electrical connector;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ing a differential signal pair.
8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ing an electric connector in which a first insulating board between a first ground plane and a second ground plane is omitted.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본 개시가 더 상세하게 설명되기 전에, 적절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유사한 특성을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는 대응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참조 번호 또는 참조 번호의 말단 부분이 도면 사이에서 반복되었음에 유의한다.Before the present disclosur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t is noted that reference numbers or terminal portions of reference numbers have been repeated between the drawings to indicate corresponding or similar elements that may optionally have similar properties, where deemed appropriate.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도시한다. 전기 커넥터는 코어 유닛(1), 코어 유닛(1)에 위치하는 접촉 유닛(2), 및 코어 유닛(1)의 대향하는 2개의 외측에 배치된 2개의 커버 플레이트(9)를 포함한다. 각각의 커버 플레이트(9)는 접착층(91)을 통해 조립된다. 제1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들은 2개의 전기 부품을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그 연결 지점은 2차원 매트릭스 어레이로 분포된다. 그러나, 전기 커넥터는 이것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1 shows an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ectrical connector includes a core unit (1), a contact unit (2) located on the core unit (1), and two cover plates (9) disposed on the opposite two outer sides of the core unit (1). Each cover plate 9 is assembled via an adhesive layer 91 . In the first embodiment, two opposite sides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re configured to connect two electrical components, and the connecting points are distributed in a two-dimensional matrix array. However, the electrical connector is not limited to thi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유닛(1)은 제1 절연 기판(11), 복수의 신호 비아(12), 복수의 제1 접지 비아(13), 복수의 제2 접지 비아(14), 제1 접지면(15) 및 제2 접지 비아(15)를 포함한다. 제1 절연 기판(11)은 복수의 비아 홀(110)을 갖는다. 신호 비아(12), 제1 접지 비아(13) 및 제2 접지 비아(14)는 모두 제1 절연 기판(11)의 비아 홀(110)에 각각 배치된다. 제1 접지면(15)은 제1 절연 기판(11)의 제1 표면(111) 상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접지 비아(13, 14)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제2 접지면(16)은 제1 절연 기판(11)의 제2 표면(111') 상에 형성되고, 제1 접지 비아(13) 및 제2 접지 비아(14)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제2 표면(111')은 제1 표면(111)의 반대쪽에 있다.1 to 3, the core unit 1 includes a first insulating substrate 11, a plurality of signal vias 12, a plurality of first ground vias 13, a plurality of second ground vias ( 14), a first ground plane 15 and a second ground via 15.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11 has a plurality of via holes 110 . The signal via 12 , the first ground via 13 , and the second ground via 14 are all disposed in the via hole 110 of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11 , respectively. The first ground plane 15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11 of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11 and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ground vias 13 and 14 . The second ground plane 16 is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111 ′ of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11 and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ground via 13 and the second ground via 14 . The second surface 111 ′ is opposite the first surface 111 .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비아 홀(110)은 제1 및 제2 방향(D1, D2)을 따라 교차하는 행으로 배열된다. 제1 절연 기판(11)의 비아 홀(110) 중 제1 방향(D1)으로 인접한 두 개의 비아 홀(110) 사이의 거리(L1)는 제1 절연 기판(11)의 비아 홀(110) 중 제2 방향(D2)으로 인접한 두 개의 비아 홀(110) 사이의 거리(L2)보다 크다.Referring to FIGS. 1 and 4 , via holes 110 are arranged in rows crossing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1 and D2 . Among the via holes 110 of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11, the distance L1 between two adjacent via holes 110 in the first direction D1 is It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L2 between two adjacent via holes 110 in the second direction D2.

신호 비아(12)는 제 1 및 제 2 접지 비아(13, 14)와 구성이 유사하지만, 제 1 및 제 2 접지 비아(13, 14)의 구성과 다른 기능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신호 비아(12), 제 1 접지 비아(13) 및 제2 접지 비아(14)는 중공(hollow)이 아닌 막대 형상이고 각각은 2개의 대향하는 단부를 갖는다. 그러나, 신호 비아(12), 제1 접지 비아(13) 및 제2 접지 비아(14)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gnal via 12 has a similar configuration to the first and second ground vias 13 and 14 , but has a different function from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ground vias 13 and 14 . In this embodiment, signal via 12, first ground via 13 and second ground via 14 are bar-shaped rather than hollow and each has two opposite ends. However, configurations of the signal via 12 , the first ground via 13 , and the second ground via 14 are not limited thereto.

제1 및 제2 접지면(15, 16) 각각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각각 홀 경계를 갖는 복수의 격리 홀(H)을 갖는다. 각각의 격리 홀(H)은 각각의 신호 비아(12)의 단면보다 더 큰 단면을 갖는다. 각각의 신호 비아(12)는 제1 접지면(15)의 격리 홀(H) 중 하나와 제2 접지면(16)의 격리 홀(H) 중 하나로 각각의 격리 홀(H)의 홀 경계와 접촉하지 않고 연장되어 신호 비아(12)가 제1 및 제2 접지면(15, 16)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ground planes 15 and 16 is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and has a plurality of isolation holes H each having a hole boundary. Each isolation hole H has a cross section larger than that of each signal via 12 . Each signal via 12 is one of the isolation holes H of the first ground plane 15 and one of the isolation holes H of the second ground plane 16, and has a hole boundary of each isolation hole H. Extending out of contact, signal via 12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first and second ground planes 15 and 16 .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접촉 유닛(2)은 복수의 제1 접촉 요소(21) 및 복수의 제2 접촉 요소(22)를 포함한다. 제1 접촉 요소(21)는 제1 접지면(15) 상에 형성되고 각각 신호 비아(12)에 연결되어 신호 핀(P1)의 세트를 형성한다. 신호 비아(12) 및 제1 접촉 요소(21) 각각은 대응하는 격리 홀(H)의 홀 경계와 접촉하지 않고 제1 접지면(15)의 격리 홀(H) 중 하나로 연장되어 신호 비아(12) 및 제1 접촉 요소(21)는 제1 접지면(15)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제2 접촉 요소(22)는 제1 접지면(15) 상에 형성되고 제1 접지 비아(13)에 각각 연결되어 접지 핀(P2)의 세트를 형성한다. 제2 접지 비아(14)는 제1 접지면(15) 상에 형성된 접촉 요소가 없고 따라서 숨겨지거나 또는 매립된 접지 핀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접촉 요소(21, 22)는 제1 및 제2 방향(D1, D2)을 따라 교차하는 행으로 배열되고 제1 접지면(15)의 표면 상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접촉 요소(21, 22) 각각은 컴플라이언트 스프링 프로브를 갖는다.Referring to FIGS. 2 to 4 , the contact unit 2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ntact elements 21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 elements 22 . First contact elements 21 are formed on the first ground plane 15 and connected to signal vias 12 respectively to form a set of signal pins P1. Each of the signal via 12 and the first contact element 21 extends into one of the isolation holes H of the first ground plane 15 without contacting the hole boundary of the corresponding isolation hole H, so that the signal via 12 ) and the first contact element 21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first ground plane 15 . The second contact elements 22 are formed on the first ground plane 15 and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vias 13 respectively to form a set of ground pins P2. The second ground via 14 has no contact elements formed on the first ground plane 15 and thus forms a hidden or buried ground pin.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ments 21 and 22 are arranged in rows crossing alo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1 and D2 and ar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ground plane 15 .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ments 21, 22 has a compliant spring probe.

접촉 유닛(2)은 복수의 제3 접촉 요소(23), 및 복수의 제4 접촉 요소(24)를 더 포함한다. 제3 접촉 요소(23)는 제1 접촉 요소(21)의 반대쪽에 신호 비아(12)에 각각 연결된다. 제4 접촉 요소(24)는 제2 접촉 요소(22)의 반대쪽에 제1 접지 비아(13)에 각각 연결된다. 제2 접지면(16)에 배치된 제3 및 제4 접촉 요소(23, 24)의 배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지면(15) 상에 배치된 것과 유사하다. 제2 접지면(16)이 접지면(16)으로부터 제3 접촉 요소(23) 및 신호 비아(12)를 격리하기 위한 격리 홀(H)을 갖기 때문에, 제3 접촉 요소(23) 및 신호 비아(12)는 제2 접지면(16)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3 및 제4 접촉 요소(23, 24)의 구성은 컴플라이언트 스프링 프로브인 제1 및 제2 접촉 요소(21, 22)의 구성과 유사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3 및 제4 접촉 요소(23, 24)는 제1 및 제2 접촉 요소(21, 22)와 구성이 상이하다.The contact unit 2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third contact elements 23 and a plurality of fourth contact elements 24 . The third contact elements 23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ignal vias 12 on opposite sides of the first contact elements 21 . The fourth contact elements 24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vias 13 on opposite sides of the second contact elements 22 . The arrangement of the third and fourth contact elements 23 and 24 arranged on the second ground plane 16 is similar to that arranged on the first ground plane 15 as shown in FIG. 4 . Since the second ground plane 16 has an isolation hole H for isolating the third contact element 23 and the signal via 12 from the ground plane 16, the third contact element 23 and the signal via (12)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second ground plane (16). 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and fourth contact elements 23 and 24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ments 21 and 22 which are compliant spring probes. In another embodiment, the third and fourth contact elements 23 and 24 differ in configuration from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ments 21 and 22 .

도 4 및 도 5를 도 1과 결합하여 참조하면, 신호 핀(P1)은 단일 종단 신호 핀이다. 신호 핀(P1) 각각은 제1 방향(D1)으로 접지 핀(P2) 중 하나에 인접하고 제2 방향(D2)으로 제2 접지 비아(14) 중 하나에 인접하다. 따라서, 각각의 신호 핀(P1)은 신호 핀(P1) 중 다른 하나로부터 접지 핀(P2) 중 적어도 하나 및 제2 접지 비아(14)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차폐된다.Referring to FIGS. 4 and 5 in conjunction with FIG. 1 , signal pin P1 is a single-ended signal pin. Each of the signal pins P1 is adjacent to one of the ground pins P2 in a first direction D1 and adjacent to one of the second ground vias 14 in a second direction D2. Accordingly, each signal pin P1 is shielded by at least one of the ground pins P2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ground vias 14 from another one of the signal pins P1.

도 6을 도 3 및 5와 결합하여 참조하면, 제1 및 제2 접촉 요소(21, 22)는 테스트될 전자 부품(8)의 접점(81)에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부품(8)과 접촉하여 위치될 때, 제1 및 제2 접촉 요소(21, 22)는 전자 부품(8)에 의해 가압된다. 이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9)는 제1 및 제2 접촉 요소(21, 22)를 각각 노출시키고 이들이 내부에서 이동 및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리세스(90)를 갖는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는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전자 부품(8)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combination with FIGS. 3 and 5 ,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ments 21 , 22 may be electrically coupled respectively to a contact 81 of the electronic component 8 to be tested. As shown in FIG. 6 , when placed in contact with the electronic component 8 ,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ments 21 , 22 are pressed by the electronic component 8 . In this embodiment, the cover plate 9 has a recess 90 which exposes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ments 21 and 22 respectively and allows them to be moved and deformed therein. Thus, the electrical connector can establish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electronic component 8 in a detachable manner.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방향(D1)으로의 거리(L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D2)으로의 거리(L2)보다 크다. 도 4는 제1 방향(D1)에서 제1 및 제2 접촉 요소(21, 22)의 2개의 인접하는 행 사이의 거리(L3)가 제2 방향(D2)에서 제1 및 제2 접촉 요소(21, 22)의 2개의 인접하는 행 사이의 거리(L4)보다 작다는 것을 더 보여준다. 일 실시예에서, 인접한 비아 홀(110)은 제1 방향(D1)으로 1mm의 거리(L1)만큼 이격되고 제2 방향(D2)으로 0.63mm의 거리(L2)만큼 이격된다. 제1 및 제2 접촉 요소(21, 23)의 인접한 열들은 제1 방향(D1)으로 1mm의 거리(L3)만큼 이격되고 제2 방향(D2)으로 1.27mm의 거리(L4)만큼 이격된다.As mentioned above, the distance L1 in the first direction D1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L2 in the second direction D2 as shown in FIG. 4 . 4 shows that the distance L3 between two adjacent row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ments 21 and 22 in the first direction D1 is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ments in the second direction D2 ( 21, 22)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L4 between two adjacent rows. In one embodiment, adjacent via holes 110 are spaced apart by a distance L1 of 1 mm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spaced apart by a distance L2 of 0.63 mm in the second direction D2. Adjacent rows of first and second contact elements 21 and 23 are spaced apart by a distance L3 of 1 mm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spaced apart by a distance L4 of 1.27 mm in the second direction D2.

제2 접지 비아(14)는 접촉 요소가 없는 매립된 접지 비아이기 때문에, 제2 방향(D2)의 인접한 비아 홀(110) 사이의 거리(L2)가 제1 방향(D1)의 거리(L1)에 비해 감소될 수 있게 하여 신호 무결성을 희생하지 않으면서 본 개시의 전기 커넥터의 전체 치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접촉 요소(21, 22)의 인접한 행이 제2 방향(D2)으로 제2 접지 비아(14)에 의해 이격되어 있어도, 접촉 요소(21, 22)의 인접한 행 사이의 거리(L4)는 제1 방향으로의 거리(L3)의 두 배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거리(L4)는 거리(L3)보다 약간 더 클뿐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기 커넥터는 신호 핀(P1)의 효과적이고 완전한 접지 차폐를 제공하면서 컴팩트한 크기를 유지한다.Since the second ground via 14 is a buried ground via without a contact element, the distance L2 between adjacent via holes 110 in the second direction D2 is equal to the distance L1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overall dimensions of the electrical connector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reduced without sacrificing signal integrity. Further, even if the adjacent row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ments 21 and 22 are spaced apart by the second ground via 14 in the second direction D2, the gap between the adjacent rows of the contact elements 21 and 22 The distance L4 is not twice the distance L3 in the first direction. Rather, distance L4 is only slightly greater than distance L3. In this way, the electrical connector maintains a compact size while providing effective and complete ground shielding of the signal pin P1.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도시한다. 제2 실시예는 신호 핀(P1)이 쌍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쌍들 각각은 제1 방향(D1)으로 접지 핀(P2) 중 적어도 하나 및 제2 방향(D2)으로 제2 접지 비아(14)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인접한 쌍으로부터 차폐된다. 신호 핀(P1)의 각 쌍은 차동 신호 쌍을 형성한다. 제2 접지 비아(14)는 제2 방향(D2)으로 인접한 신호 핀(P1) 쌍을 전기적으로 차폐하기 때문에, 제2 방향의 비아 홀(110) 사이의 거리(L2)는 제1 방향의 거리(L1)에 비해 감소한다. 제1 실시예와 같이, 이 실시예는 또한 전체적인 치수가 최소화될 수 있으면서 크로스토크가 감소하고 신호 무결성이 개선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7 and 8 show an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signal pins P1 are formed in pairs. Each of the pairs is shielded from an adjacent pair by at least one of the ground pins P2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ground vias 14 in the second direction D2. Each pair of signal pins P1 forms a differential signal pair. Since the second ground via 14 electrically shields a pair of adjacent signal pins P1 in the second direction D2, the distance L2 between the via holes 110 in the second direction is equal to the distance in the first direction It decreases compared to (L1). Like the first embodiment, this embodiment can also transmit signals with reduced crosstalk and improved signal integrity while overall dimensions can be minimized.

도 9 및 도 10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실시예의 코어 유닛(1)의 제2 접지면(16)은 제공되지 않는다. 대신, 제3 실시예의 코어 유닛(1)은 제2 절연 기판(17), 제1 및 제2 절연 기판(11, 17) 사이에 배치된 제3 접지면(18) 및 제3 접지면(18)의 반대쪽에 제2 졀연 기판(17)의 하면 상에 형성된 제4 접지면(18')을 포함한다. 제3 접지면(18)은 복수의 블랭크 영역(180), 블랭크 영역(180) 주위에 형성된 접지 영역(181) 및 각각의 블랭크 영역(180) 내부에 형성되고 접지 영역(181)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한 쌍의 신호 트레이스(182)를 갖는다.9 and 10 show an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ground plane 16 of the core unit 1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s not provided. Instead, the core unit 1 of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second insulating substrate 17, a third ground plane 18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substrates 11 and 17, and a third ground plane 18. ) and a fourth ground plane 18'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moke substrate 17 on the opposite side of the . The third ground plane 18 is formed inside the plurality of blank areas 180, the ground area 181 formed around the blank area 180, and each blank area 180, and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ground area 181. has a pair of signal traces 182.

신호 비아(12) 중 일부는 신호 트레이스(182)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신호 트레이스(182)는 신호 핀(P1)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부(182a) 및 다른 신호 핀(P1)(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제2 단부(182b)를 구비하고; 각각의 신호 트레이스(182)에 연결된 2개의 신호 핀(P1)은 코어 유닛(1)의 상이한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구성된 바와 같이, 신호 트레이스(182)는 코어 유닛(1)의 제1 위치에 위치된 접촉 요소를 코어 유닛(1)의 제2 위치에 위치된 다른 접촉 요소에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는 2개의 PC 보드의 신호 연결부를 연결하는 PC 브리지로서 기능할 수 있다.Some of the signal vias 12 ar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signal traces 182. As shown in FIG. 10, each signal trace 182 has a first end 182a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signal pins P1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other signal pin P1 (not shown). (182b); The two signal pins P1 connected to each signal trace 182 are located at different locations of the core unit 1 . As thus configured, the signal trace 182 can be used to connect a contact element located at a first position of the core unit 1 to another contact element located at a second position of the core unit 1 . The electrical connector in this embodiment can function as a PC bridge connecting the signal connections of two PC boards.

상기 설명에서, 설명을 위해, 실시예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들 특정 세부사항의 일부 없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가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일 실시예", "실시예", 서수 표시가 있는 실시예 등에 대한 언급은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개시의 실시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은 종종 개시를 간소화하고 다양한 발명 양상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단일 실시예, 도면 또는 이의 설명으로 함께 그룹화되며, 일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 또는 특정 세부사항은 본 개시의 실행에서 적절한 경우 다른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 또는 특정 세부사항과 함께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알아야 한다.In the forego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have been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ne or more other embodiments may be practiced without some of these specific details. Reference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o “one embodiment,” “an embodiment,” an embodiment marked with an ordinal number, or the like,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structure, or characteristic may be included in pract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escription, various features are often grouped together in a single embodiment, drawing, or description thereof in order to simplify the disclosure and facilitate understanding of various inventive aspects, where one or more features or specific details of an embodiment are appropriate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other embodiments may be practiced with one or more features or specific details.

본 개시는 예시적인 실시예로 간주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는 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그러한 모든 수정 및 균등한 구성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된다.Although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what is considered exemplary embodiments,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ncludes various configuration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broadest interpretation to include all such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configurations. It is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Claims (15)

전기 커넥터로서,
코어 유닛과,
상기 코어 유닛에 위치된 접촉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코어 유닛은,
비아 홀을 갖는 제1 절연 기판과,
복수의 신호 비아, 제1 접지 비아 및 제2 접지 비아 - 이들 모두 상기 비아 홀에 각각 배치됨 - 와,
상기 제1 절연 기판의 제1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지 비아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제1 접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유닛은,
상기 제1 접지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신호 비아에 각각 연결되어 신호 핀 세트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1 접촉 요소 - 상기 제1 접촉 요소 각각 및 상기 신호 비아 각각은 상기 제1 접지면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됨 - 와,
상기 제1 접지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지 비아에 각각 연결되어 접지 핀 세트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 접촉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핀 각각은 상기 접지 핀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2 접지 비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신호 핀 중 인접한 하나로부터 차폐되고, 상기 제2 접지 비아는 상기 제1 접지면 상에 형성된 접촉 요소가 없는
전기 커넥터.
As an electrical connector,
core unit,
Including a contact unit located on the core unit,
The core unit,
a first insulating substrate having via holes;
A plurality of signal vias, first ground vias and second ground vias, all of which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via holes;
a first ground plane formed on a first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ground vias;
The contact unit is
a plurality of first contact elements formed on the first ground plane and each connected to the signal vias to form a set of signal pins, each of the first contact elements and each of the signal via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first ground plane; Become - wow,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 elements formed on the first ground plane and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vias to form a set of ground pins;
Each of the signal pins is shielded from an adjacent one of the signal pins by at least one of the ground pins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ground vias, the second ground vias having no contact elements formed on the first ground plane.
electrical connect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 홀은 제1 및 제2 방향을 따라 교차하는 행으로 배열되는
전기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via holes are arranged in rows crossing alo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electrical connecto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핀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상기 접지 핀 중 하나에 인접하고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접지 비아 중 하나에 인접하며, 상기 신호 핀 각각은 상기 신호 핀 중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접지 핀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2 접지 비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차폐되는
전기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2,
each of the signal pins is adjacent to one of the ground pins in a first direction and adjacent to one of the second ground vias in a second direction, each of the signal pins extending from another one of the signal pins to at least one of the ground pins; and shielded by at least one of the second ground vias.
electrical connecto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핀은 단일 종단 신호 핀인
전기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3,
The signal pin is a single-ended signal pin
electrical connecto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핀은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쌍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의 상기 접지 핀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2 방향의 상기 제2 접지 비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차폐되는
전기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3,
The signal pins are formed in pairs, and each pair is shielded by at least one of the ground pins in the first direction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ground vias in the second direction.
electrical connecto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핀의 각 쌍은 차동 신호 쌍을 형성하는
전기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5,
Each pair of signal pins forms a differential signal pair.
electrical connect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지면은 각각 홀 경계를 갖는 복수의 격리 홀을 가지며, 상기 신호 비아 및 상기 제1 접촉 요소 각각은 상기 홀 경계 중 대응하는 하나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격리 홀 중 하나로 연장되어 상기 신호 비아 및 상기 제1 접촉 요소가 상기 제1 접지면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전기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ground plane has a plurality of isolation holes each having a hole boundary, and each of the signal via and the first contact element extends into one of the isolation holes without contacting a corresponding one of the hole boundary to form the signal via and wherein the first contact element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first ground plane.
electrical connector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홀 각각은 상기 신호 비아 각각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갖는
전기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7,
Each of the isolation holes has a cross section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of each of the signal vias.
electrical connector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유닛은 상기 제1 절연 기판의 제 2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지 비아 및 상기 제2 접지 비아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 접지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제1 표면의 반대쪽에 있으며, 상기 신호 비아 및 상기 제1 접촉 요소의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접지면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전기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7,
The core unit further includes a second ground plane form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ground via and the second ground via, the second surface comprising the first ground via. 1 surface, wherein each of the signal via and the first contact element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ground planes.
electrical connector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지면은 각각 홀 경계를 갖는 복수의 격리 홀을 가지며, 상기 신호 비아 각각은 상기 제2 접지면의 상기 홀 경계 중 대응하는 하나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2 접지면의 상기 격리 홀 중 하나로 연장되어 상기 신호 비아가 상기 제2 접지면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전기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9,
The second ground plane has a plurality of isolation holes each having a hole boundary, and each of the signal vias is one of the isolation holes of the second ground plane without contacting a corresponding one of the hole boundaries of the second ground plane. extending into one so that the signal via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second ground plane.
electrical connector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유닛은 상기 제1 접촉 요소의 반대쪽에 상기 신호 비아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3 접촉 요소 및 상기 제2 접촉 요소의 반대쪽에 상기 제1 접지 비아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4 접촉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접촉 요소 및 상기 신호 비아 각각은 상기 제2 접지면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전기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9,
the contact un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third contact element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ignal vias on opposite sides of the first contact elements and a plurality of fourth contact element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vias on opposite sides of the second contact elements; do,
Each of the third contact element and the signal via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second ground plane.
electrical connecto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절연 기판의 상기 비아 홀 중 2개의 인접한 비아 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절연 기판의 상기 비아 홀 중 2개의 인접한 비아 홀 사이의 거리보다 큰
전기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2,
A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via holes of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in the first direction is greater than a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via holes of the first insulating substrate in the second direction
electrical connector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요소 각각은 컴플라이언트 스프링 프로브를 갖는
전기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2,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elements has a compliant spring probe.
electrical connecto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유닛은 제2 절연 기판, 및 상기 제1 및 제2 절연 기판 사이에 배치된 제3 접지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접지면은 적어도 하나의 블랭크 영역,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랭크 영역 주위에 형성된 접지 영역, 및 상기 접지 영역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랭크 영역 내에 형성되어 상기 접지 영역으로부터 차폐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트레이스를 갖는
전기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2,
The core unit further includes a second insulating substrate and a third ground plan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substrates,
The third ground plane includes at least one blank area, a ground area formed around the at least one blank area, and at least one formed in the at least one blank area without contacting the ground area and shielded from the ground area. having a signal trace
electrical connector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랭크 영역은 복수의 블랭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 트레이스는 신호 트레이스의 쌍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트레이스의 각 쌍은 상기 블랭크 영역 중 하나 내에 배치되고, 상기 신호 핀의 일부는 상기 신호 트레이스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4,
The at least one blank area includes a plurality of blank areas, the at least one signal trace includes a pair of signal traces, each pair of the signal traces is disposed within one of the blank areas, and som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signal traces
electrical connectors.
KR1020220019417A 2022-02-15 2022-02-15 Electrical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KR202301227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417A KR20230122783A (en) 2022-02-15 2022-02-15 Electrical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417A KR20230122783A (en) 2022-02-15 2022-02-15 Electrical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783A true KR20230122783A (en) 2023-08-22

Family

ID=87799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417A KR20230122783A (en) 2022-02-15 2022-02-15 Electrical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278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9929B2 (en) Direct-connect signaling system
US6086386A (en) Flexible connectors for microelectronic elements
US7737545B2 (en) Multi-surface IC packaging structur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7090502B2 (en) Board connecting component and three-dimensional connecting structure using thereof
JP5500870B2 (en) Substrate with connection terminal and socket for electronic parts
US6686732B2 (en) Low-cost tester interface module
WO2004047509A1 (en) Cabled signaling system
US8552549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thereof
US6351392B1 (en) Offset array adapter
JP7198127B2 (en) Interposers, sockets, socket assemblies and wiring board assemblies
US20240170867A1 (en) Connector including signal pins shielded by buried ground vias
JP2000294720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package
JP2005010147A (en) Module with inspection function, and its inspection method
JPS5822872B2 (en) High frequency connector
KR102269398B1 (en) Inspection socket having an insulating base made of a pcb in which conductive shielding layers are stacked in multiple layers
US6566761B1 (en) Electronic device package with high speed signal interconnect between die pad and external substrate pad
US7068120B2 (en) Electromagnetic bus coupling having an electromagnetic coupling interposer
KR20230122783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signal transmission
JP2008004368A (en) Connector
JP2549125Y2 (en)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JP2011134789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printed circuit board
US8476919B2 (en) Prober unit
KR101693001B1 (en) Test board for semiconductor package and board assembly for testing semiconductor package
US20240063562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ted ground plane
TWI772139B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